KR101608458B1 - 회전체의 회동각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회전체의 회동각도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8458B1
KR101608458B1 KR1020150022440A KR20150022440A KR101608458B1 KR 101608458 B1 KR101608458 B1 KR 101608458B1 KR 1020150022440 A KR1020150022440 A KR 1020150022440A KR 20150022440 A KR20150022440 A KR 20150022440A KR 101608458 B1 KR101608458 B1 KR 1016084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rotation
rotating body
base
rotary shaf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2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창봉
Original Assignee
우창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창봉 filed Critical 우창봉
Priority to KR1020150022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84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8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8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베이스에 대해 회전체를 각도 조절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회전체와 베이스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제1회전축부, 회전체와 베이스 중 나머지 하나에 연결되는 제2회전축부, 제1 및 제2회전축부를 동축적으로 배치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중심축, 중심축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고정부재, 고정부재와 제1 또는 제2회전축부 사이에 위치되도록 중심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위치에 따라 제1 및 제2회전축부의 마주하는 단부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거나, 밀착된 상태가 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캠부재를 포함하며, 제1 및 제2회전축부의 서로 마주하는 단부에는 상보적으로 맞물려 결합되어 자세 고정되도록 형성된 맞물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의 회동각도 조절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회전체의 회동각도 조절장치{ROTATION ANGLE CONTROLLING APPARATUS FOR ROTATION MEMBER}
본 발명은 회전체의 회동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서로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두 물체를 서로 회동 각도 조절 가능하도록 연결하기 위한 회전체의 회동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두 물체를 서로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연결장치가 적용된다.
그 중에서도 두 물체가 서로 상대적으로 회동가능하고,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해서 회전축을 회전축부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하여 회동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상이와 같이 회전축을 회전축부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연결하게 되면, 오랜 시간 사용시 헐거워져서 회동각도를 조절한 위치를 고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두 물체 중 어느 하나에 큰 하중이 걸릴 경우, 그 하중을 견디지 못하고 회동되어 회동각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회전축부의 외측에 볼트를 설치하고, 볼트를 조이거나 풀어서 회동축을 고정하거나, 회전 가능한 상태로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볼트체결 방식을 이용한 회동각도 조절방법의 경우에는, 회전체의 회동각도를 조절하기 위해서 볼트를 풀어야 하고, 회동각도를 조절 후에는 다시 조이는 작업을 해야 하므로, 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회전체를 베이스에 대해 다양한 각도로 거치각도를 조절하고, 흔들림이나 진동에도 거치각도를 고정시킬 수 있는 조절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4-006629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두 물체를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하되, 그 회동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함은 물론, 조절된 회동각도를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회전체의 회동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회전체의 회동각도 조절장치는, 베이스에 대해 회전체를 각도 조절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회전체와 베이스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제1회전축부; 상기 회전체와 베이스 중 나머지 하나에 연결되는 제2회전축부; 상기 제1 및 제2회전축부를 동축적으로 배치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중심축; 상기 중심축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제1 또는 제2회전축부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중심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위치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회전축부의 마주하는 단부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거나, 밀착된 상태가 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캠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회전축부의 서로 마주하는 단부에는 상보적으로 맞물려 결합되어 자세 고정되도록 형성된 맞물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캠부재에 연결되는 회전레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캠부재와 접하는 상기 제1 또는 제2회전축부의 단부에는 단면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캠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캠부재의 상기 캠돌기부와 마주하는 단부에는 단면으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형성되어 상기 캠돌기와 상대적으로 접촉되는 캠면이 형성되며, 상기 캠면의 최대 돌출부분과 단면은 상기 캠부재를 90도 각도 기준으로 회전시 상기 캠돌기부와 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회전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고정부재 사이에 판스프링이 더 설치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2회전축부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회전체의 회동각도 조절장치에 따르면, 두 물체 즉, 베이스에 대해 상대적은 회전체의 거치각도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회전체를 베이스에 대한 회동각도의 조절작업이 용이함은 물론, 각도 조정된 상태에서는 그 각도가 쉽게 변경되지 않고 견고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체의 회동각도 조절장치가 적용된 상태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에 도시된 회전체의 회동각도 조절장치를 나타내 보인 결합 단면도이다.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제1 및 제2회전축부의 요부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 2c는 도 1의 중심축의 단부를 발췌하여 보인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2d는 도 1에 도시된 캠부재를 발췌하여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a의 상태에서 회전레버를 회전시켜 회전체의 자세를 고정시킨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체의 회동각도 조절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상태에서 제1 및 제2회전축부가 상호 결합되어 자세 고정된 상태를 보인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싱회동각도 조절유닛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체의 회동각도 조절장치를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체의 회동각도 조절장치(140)는, 베이스(12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회전체(130)를 연결할 때, 그들(120,130) 사이에 설치되어 회동 각도를 조절하여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여기서, 베이스(120)는 바닥면 등에 설치되는 플레이트 구조를 가질 수도 있고, 내비게이션 등을 지지하는 지지체, 또는 디스플레이부재(LCD)를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일 수도 있다. 이러한 베이스(120)에 대해 회전체(130)를 회동 가능하되, 자유롭게 각도 조절 가능하고, 각도 조절 후에는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회동각도 조절장치(140)에 의해 연결된다. 이러한 회전체(130)는 내비게이션 거치대, 스마트폰 거치대, LCD 등 다양한 제품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회동각도 조절장치(140)는 제1회전축부(141)와, 제2회전축부(142), 중심축(143), 제1고정부재(144), 제2고정부재(145) 및 캠부재(146) 및 회전레버(147)를 구비한다.
상기 제1회전축부(141)는 회전체(130)에 연결되고, 제2회전축부(142)는 베이스(120)에 연결된다. 제1 및 제2회전축부(141,142) 각각은 중심축(143)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끼워져 결합된다.
제1 및 제2회전축부(141,142) 각각의 서로 접하는 면에는 서로 상보적으로 접하여 결합되는 제1 및 제2기어치(141a,142a)가 원주 방향 즉, 회전방향을 따라 일정 패턴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도 2a와 같이, 제1 및 제2회전축부(141,142)가 서로 이격된 상태에서는 제1 및 제2기어치(141a,142a)가 서로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제1 및 제2회전축부(141,142) 즉, 베이스(120)와 회전체(130)는 상호 회전가능한 상태가 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및 제2회전축부(141,142) 각각은 베이스(120)와 회전체(130)는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별도로 제작되어 나사 등에 의해 체결되거나, 금속재질인 경우 용접 등의 결합방법에 의해 결합 될 수 있다.
상기 중심축(143)은 제1 및 제2회전축부(141,142)를 동축적으로 지지하도록 결합되며, 양단 각각에 제1 및 제2고정부재(144)(145)가 결합되는 고정용 환형홈(143a,143b)이 형성된다.
또한,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회전축부(142)의 일단부에는 부분적으로 돌출된 캠돌기부(142d)가 구비된다.
상기 캠부재(146)는 제2회전축부(142)의 캠돌기부(142d)에 접하도록 중심축(143)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2d를 참조하면, 이러한 캠부재(146)는 중심축(143)이 결합되는 축공(146a)과, 캠돌기부(142d)에 상대적으로 접하도록 제2회전축부(142)에 접하는 단부에 형성되는 캠면(146b)을 가진다. 캠면(146b)은 도시된 바와 같이, 캠부재(146)의 단면(146c)에서 회전방향 즉, 원주 방향으로 따라 일부분이 경사지게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캠부재(146)의 외주에는 회전레버(147)가 결합되는 결합공(146d)이 형성되며, 결합공(146d)의 내주에는 나사선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의 캠부재(146)에 의하면, 도 2a와 같이, 캠돌기부(142d)에 캠면(146b)이 아닌 단면(146c)이 접하도록 캠부재(146)의 자세가 위치되면, 제1 및 제2회전축부(141,142)는 서로 각각 분리되어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반대로, 도 2a의 상태에서 캠부재(146)를 90도 각도 회전시키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부재(146)의 캠면(146b)이 캠돌기부(142d)에 올라타면서 접촉되어 제2회전축부(142)를 제1회전축부(141) 측으로 강제로 밀착시킨다. 따라서, 제1 및 제2기어치(141a,142a)가 서로 맞물린 상태가 되어 제1 및 제2회전축부(141,142)는 서로 상대회전하지 못하고,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회전레버(147)는 캠부재(146)의 회전동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캠부재(146)에 연결되는 것으로서, 캠부재(146)의 외주에 돌출되게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회전레버(147)의 결합볼트부(147a)가 캠부재(146)의 결합공(146d)에 나사결합되어 조립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것이 좋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고정부재(144)와 제1회전축부(141)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판스프링(148)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이 판스프링(148)에 의해 제1 및 제2고정부재(144,145)를 사이에 두고 결합되는 제1 및 제2회전축부(141,142) 및 캠부재(146)의 결합유격을 보상할 수 있게 되어, 도 3과 같은 상태에서 제1 및 제2회전축부(141,142)가 더욱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회전체의 회동각도 조절장치(140)에 의하면, 회전체(130)를 베이스(120)에 대해 회동시켜 자세를 변경하고자 할 경우에는, 회전레버(147)를 회전시켜서 도 2a의 상태가 되도록 한다. 그러면, 제1 및 제2회전축부(141,142)가 서로 분리된 상태가 되므로, 사용자는 회전체(130)를 자유롭게 회동시켜서 자세를 결정한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회전레버(147)를 90도 각도 강제로 회전시키게 되면, 캠부재(146)가 90도 각도 회전되어 도 3의 자세가 된다. 즉, 캠부재(146)의 캠면(146b)이 캠돌기부(142d)에 올라타서 접하게 됨으로써, 제2회전축부(142)가 제1회전축부(141)측으로 이동되어 견고하게 접하게 된다. 즉, 제1 및 제1기어치(141a,142a)가 서로 견고하게 맞물린 상태가 되어 결국 회전체(130)는 베이스(120)에 대해 회전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자세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회전축부(141,142) 사이에 탄성부재(15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 및 제2회전축부(141,142)의 서로 마주하는 단부에는 제1 및 제2기어치(141a,142a)를 일부분만 형성하고, 나머지 부분은 내측으로 더 인입되게 스프링 수용홈(141b,142b)을 형성하여 탄성부재(150)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150)는 캠부재(146)가 도 2a와 같이 잠금 해제 상태가 될 때, 제1 및 제2회전축부(141,142)를 서로 자동으로 밀어내서 제1 및 제2기어치(141a,142a)가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회전체(130)를 더욱 자유롭게 회전시켜서 각도 조절할 수 있고, 각도 조절 후에는 회전레버(147)를 90도 각도 회전시켜서 다시 자세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고정모드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부재(150)가 압축된 상태를 유지하고, 제1 및 제2기어치(141a,142a)는 서로 맞물린 상태가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회전체의 회동각도 조절장치(140)에 의하면, 베이스(120)에 대해 회전체(130)를 회전식으로 용이하게 각도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회전체(130)의 거치자세나 방향으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회전축부(141,142) 각각에 결합리브(141c,142c)를 각각 일체로 형성하여 베이스(120) 및 회전체(130) 각각에 나사 등을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제1 및 제2회전축부(141,142)가 베이스(120) 및 회전체(130)와 별도로 제작되어 조립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20..베이스 130..회전체
140..회동각도 조절장치 141..제1회전축부
142..제2회전축부 143..중심축
144,145..제1, 제2고정부재 146..캠부재
147..회전레버 148..판스프링
150..탄성부재

Claims (5)

  1. 베이스에 대해 회전체를 각도 조절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회전체와 베이스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제1회전축부;
    상기 회전체와 베이스 중 나머지 하나에 연결되는 제2회전축부;
    상기 제1 및 제2회전축부를 동축적으로 배치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중심축;
    상기 중심축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제1 또는 제2회전축부 사이에 위치되도록 상기 중심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전위치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회전축부의 마주하는 단부가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거나, 밀착된 상태가 해제될 수 있도록 하는 캠부재; 및
    상기 제1 및 제2회전축부 사이에 설치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회전축부의 서로 마주하는 단부에는 상보적으로 맞물려 결합되어 자세 고정되도록 형성된 맞물림부가 형성되며,
    상기 캠부재와 접하는 상기 제1 또는 제2회전축부의 단부에는 단면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캠돌기부가 형성되고,
    상기 캠부재의 상기 캠돌기부와 마주하는 단부에는 단면으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경사지게 돌출형성되어 상기 캠돌기부와 상대적으로 접촉되는 캠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의 회동각도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재에 연결되는 회전레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의 회동각도 조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면의 최대 돌출부분과 단면은 상기 캠부재를 90도 각도 기준으로 회전시 상기 캠돌기부와 접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의 회동각도 조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회전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고정부재 사이에 판스프링이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의 회동각도 조절장치.
  5. 삭제
KR1020150022440A 2015-02-13 2015-02-13 회전체의 회동각도 조절장치 KR1016084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2440A KR101608458B1 (ko) 2015-02-13 2015-02-13 회전체의 회동각도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2440A KR101608458B1 (ko) 2015-02-13 2015-02-13 회전체의 회동각도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8458B1 true KR101608458B1 (ko) 2016-04-01

Family

ID=55799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2440A KR101608458B1 (ko) 2015-02-13 2015-02-13 회전체의 회동각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845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8999A (ja) * 2006-06-27 2008-01-17 Murata Mach Ltd 画像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8999A (ja) * 2006-06-27 2008-01-17 Murata Mach Ltd 画像形成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47488B2 (en) Support stand and flat-panel display monitor using the same
US5109572A (en) Locking hinge device for the LCD screen of a word processor
CN101684840B (zh) 磁性铰链结构
US11193527B2 (en) Supporting device
US11408553B2 (en) Tripod stand head mount
JPH02154897A (ja) 三脚ヘッド
JP7490224B2 (ja) 支持機構、及びこの支持機構を備えた支持装置
WO2021052291A1 (zh) 角度调节阻尼机构及应用该角度调节阻尼机构的医疗设备
TW201940046A (zh) 三維角度調整及定位裝置
TW201620359A (zh) 支撐裝置
JP2005090730A (ja) 雲台装置
KR20180124999A (ko) 설치 장치
KR101608458B1 (ko) 회전체의 회동각도 조절장치
EP3936818A1 (en) Two-line laser
JP5627341B2 (ja) レボルビング機能を有するレンズ鏡筒
JP2012220805A (ja) 撮像装置
JP2016146461A (ja) 保護ケース
CN215862769U (zh) 吊装结构及摄像机装置
CN210165953U (zh) 一种两线激光器
TWM629725U (zh) 支架
TWI724614B (zh) 監視器連接模組
JP4102630B2 (ja) クリック機構、及び回転式接合体
JP6047624B2 (ja) 機器支持装置
CN217003755U (zh) 一种弧度调节装置及显示屏
CN216905071U (zh) 车用摄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