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4107A - 연결식 차량의 연결 구조 - Google Patents

연결식 차량의 연결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4107A
KR20180114107A KR1020187026003A KR20187026003A KR20180114107A KR 20180114107 A KR20180114107 A KR 20180114107A KR 1020187026003 A KR1020187026003 A KR 1020187026003A KR 20187026003 A KR20187026003 A KR 20187026003A KR 20180114107 A KR20180114107 A KR 201801141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vehicle
carriage
supports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6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0788B1 (ko
Inventor
유사쿠 야마다
Original Assignee
센요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센요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센요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14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4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07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07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24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 B60D1/3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for sway control, e.g. stabilising or anti-fishtail devices; Sway alarm means
    • B60D1/32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for sway control, e.g. stabilising or anti-fishtail devices; Sway alarm means involving damping devices
    • B60D1/327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for sway control, e.g. stabilising or anti-fishtail devices; Sway alarm means involving damping devices using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48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 B60D1/481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adapted for being mounted to the front and back of trailers, carts, trolleys, or the like to form a trai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14Draw-gear o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type
    • B60D1/18Tow ropes, chain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DVEHICLE CONNECTIONS
    • B60D1/00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 B60D1/24Traction couplings; Hitches; Draw-gear; Towing devic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s for particular fun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GCOUPLINGS; DRAUGHT AND BUFFING APPLIANCES
    • B61G5/00Couplings for special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G5/02Couplings for special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upling articulated trains, locomotives and tenders or the bogies of a vehicle; Coupling by means of a single coupling bar; Couplings preventing or limiting relative lateral movement of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3/00Tractor-trailer combinations; Road tr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GCOUPLINGS; DRAUGHT AND BUFFING APPLIANCES
    • B61G7/00Details or accessories
    • B61G7/14Safety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andcart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연결식 차량의 연결 구조는, 제1 차량과 제2 차량과가 연결부를 통하여 진행 방향을 따라 연결된다. 상기 구조는, 한 쌍의 고정부와, 연결조(連結條)와, 한 쌍의 지지체를 구비한다. 한 쌍의 고정부는, 제1 차량의 제2 차량측의 단부(端部)에 있어서, 평면에서 볼 때 진행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의 연결부 양측에 설치된다. 한 쌍의 지지체는, 제2 차량의 제1 차량측의 단부에 있어서, 평면에서 볼 때 진행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의 연결부 양측에 설치된다. 연결조는, 중간부가 한 쌍의 지지체에 지지된 상태에서, 양 단부가 상기 한 쌍의 고정부에 연결되어 있다. 한 쌍의 지지체는, 연결조가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조를 지지한다.

Description

연결식 차량의 연결 구조
본 발명은, 연결식 차량의 연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5-253659호 공보(이하, 문헌 1)에는, 종래의 차량 연결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이 문헌 1에 기재된 차량은, 전(前) 차량과 후 차량이 연결봉을 통하여 연결된 연결식 유람 자동차이다. 이 연결식 유람 자동차에는, 연결봉의 좌우 양측(진행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의 양측)에, 사람이 전 차량과 후 차량의 사이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진입 방지용 벨트가 설치되어 있다. 진입 방지용 벨트는, 한쪽의 단부(端部)가 벨트 권취 장치에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그 반대측의 단부에 연결 플레이트가 장착되어 있다.
벨트 권취 장치는, 진입 방지용 벨트를 권취하는 방향으로 상시 가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벨트 권취 장치는, 예를 들면, 전 차량의 후벽(後壁)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후 차량의 전벽(前壁)에는, 버클 본체가 장착되어 있다. 진입 방지용 벨트는, 벨트 권취 장치로부터 인출되고, 연결 플레이트가 버클 본체에 탈착(脫着) 가능하게 장착됨으로써, 연결봉을 따라 배치된다.
연결식 유람 자동차는, 예를 들면, 좌측으로 돌면, 전 차량과 후 차량의 사이의 간극에 있어서, 전 차량과 후 차량의 진행 방향에서 볼 때 좌측의 간극이 작고, 우측의 간극이 커진다. 그러나, 이 진입 방지용 벨트는, 간극의 크기에 따라 인출되는 길이가 변동하므로, 연결식 유람 자동차가, 직진 또는 좌우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도는 경우에도, 하방으로 휘어지고, 처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종래의 차량에서는, 진입 방지용 벨트가 급격하게 인출되었을 때는 스토퍼가 작용하지만, 완만하게 인출되었을 때는 스토퍼가 작용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이 종래의 차량에서는, 시각적으로 진입을 저지하는 억지력은 작용해도, 사람의 진입을 역학적인 작용으로 저지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05-253659호 공보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차량이 연결된 연결식 차량에 있어서, 좌우 방향으로 돌 때, 연결조가 휘어져서 처지는 것을 억제하면서도, 연결부로의 사람의 진입을 역학적인 작용으로 저지할 수 있는 연결식 차량의 연결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형태의 연결식 차량 연결 구조는, 제1 차량과 제2 차량이 연결부를 통하여 진행 방향을 따라 연결된 연결식 차량의 연결 구조이다.
이 연결 구조는, 한 쌍의 고정부와, 연결조와, 한 쌍의 지지체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한 쌍의 고정부는, 상기 제1 차량의 상기 제2 차량측의 단부에 있어서, 평면에서 볼 때 진행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의 상기 연결부의 양측에 설치된다. 상기 한 쌍의 지지체는, 상기 제2 차량의 상기 제1 차량측의 단부에 있어서, 평면에서 볼 때 진행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의 상기 연결부의 양측에 설치된다. 상기 연결조는, 중간부가 한 쌍의 지지체에 지지된 상태에서, 양 단부가 상기 한 쌍의 고정부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지지체는, 상기 연결조가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조를 지지한다.
제2 형태의 연결식 차량 연결 구조는, 제1 형태의 연결식 차량 연결 구조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체 각각은, 상기 연결조를 지지하는 풀리(pulley)를 가지고 있다.
제3 형태의 연결식 차량 연결 구조는, 제2 형태의 연결식 차량 연결 구조에 있어서, 상기 연결조가 벨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풀리의 직경은, 회전축 방향의 중앙측에 위치할수록 작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4 형태의 연결식 차량 연결 구조는, 제1∼제3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의 연결식 차량 연결 구조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고정부 및 상기 연결조 및 상기 한 쌍의 지지체에 의해 구성되는 진입 방지체는, 상하 방향으로 복수 설치되어 있다.
제5 형태의 연결식 차량 연결 구조는, 제4 형태의 연결식 차량 연결 구조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진입 방지체 중 적어도 1개의 진입 방지체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고정부와 상기 한 쌍의 지지체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제6 형태의 연결식 차량 연결 구조는, 제1∼제5 중 어느 하나의 형태의 연결식 차량 연결 구조에 있어서, 상기 연결조에 장력을 부여하는 장력 부여부를 더 구비하고 있다.
제7 형태의 연결식 차량 연결 구조는, 제6 형태의 연결식 차량 연결 구조에 있어서, 상기 장력 부여부는, 상기 연결조의 길이 방향의 양 단부 각각에 설치된 한 쌍의 스프링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8 형태의 연결식 차량 연결 구조는, 제7 형태의 연결식 차량 연결 구조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체로서 한 쌍의 제1 지지체와, 상기 제1 차량의 상기 제2 차량측의 단부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된 한 쌍의 제2 지지체를 가진다. 상기 연결조는 상기 한 쌍의 제2 지지체와 상기 한 쌍의 제1 지지체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스프링 각각은, 대응하는 제2 지지체와 대응하는 고정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연결식 차량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실시형태 1의 제1 객차와 제2 객차의 사이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실시형태 1의 제1 객차와 제2 객차의 사이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실시형태 1의 제1 객차와 제2 객차의 사이의 평면도이며, 연결식 차량이 좌회전한 상태를 가상선으로 나타낸다.
도 5의 A는, 실시형태 1의 연결식 차량이 직진하는 상태의 평면도이며, 도 5의 B는, 실시형태 1의 연결식 차량이 좌회전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변형예 1의 연결식 차량 측면도이다.
도 7은 실시형태 1의 변형예 1의 제1 객차와 제2 객차의 사이의 평면도이다.
도 8은 실시형태 1의 변형예 1의 제1 객차와 제2 객차의 사이의 측면도이다.
도 9는 실시형태 1의 변형예 1의 고정부 및 제1 지지체 근방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변형예 2의 연결식 차량에 있어서, 제1 객차와 제2 객차의 사이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의 연결식 차량이 주행하는 쇼 세트의 전체 개략도이다.
도 13의 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의 제1 객차와 제2 객차의 측면도이며, 도 8의 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의 제1 객차와 제2 객차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연결식 차량의 연결 구조에 관한 것이며, 특히, 연결식 차량의 차량사이로의 진입을 방지할 수 있는 연결식 차량의 연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실시형태 1)
실시형태 1의 연결식 차량은, 유원지 등의 테마파크 내에 있어서, 고객을 태우고 유람하는 자동차이다. 연결식 차량은, 견인차(1)와, 제1 객차(2)와, 제2 객차(3)와, 복수의 연결부(4)와, 복수의 책상부(柵狀部)(5)를 구비하고 있다. 견인차(1) 및 제1 객차(2)는, 연결부(4)를 통하여, 진행 방향을 따라 연결되어 있다. 제1 객차(2) 및 제2 객차(3)는, 연결부(4)를 통하여, 진행 방향을 따라 연결되어 있다. 연결식 차량은, 견인차(1), 제1 객차(2), 제2 객차(3)의 순서로 배열되어 있다.
이하에 있어서는, 진행 방향을 따른 방향을 전방으로 하고, 그 반대 방향을 후방으로서 정의하고, 진행 방향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을 전후 방향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수평면을 따라, 또한 전방에서 볼 때, 좌측으로 향하는 방향을 좌향으로 하고, 우측으로 향하는 방향을 우향으로서 정의하고, 좌향 및 우향에 대하여 평행한 방향을 좌우 방향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견인차(1)는, 제1 객차(2)와 제2 객차(3)를 견인한다. 견인차(1)는, 구동부와, 운전실(11)을 구비하고 있다. 구동부는, 견인차(1)를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예를 들면, 가솔린 엔진, 또는 전동 모터에 의해 구성된다. 운전실(11)은, 연결식 차량의 운전자가 탑승하는 룸이며, 연결식 차량의 조작에 필요한 핸들, 액셀, 브레이크 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견인차(1)는 후벽(後壁)(12)을 가지고 있다. 이 후벽(12)은, 견인차(1)의 후방측 단부(端部)를 구성하고, 후벽(12)의 후면은 수직면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1 객차(2)는, 견인차(1)의 후방에 배치된다. 제1 객차(2)는, 견인차(1)에 연결부(4)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제1 객차(2)에는, 복수의 좌석이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좌석에 복수의 고객을 탑승시킬 수 있다. 제1 객차(2)는, 전방측의 단부에 설치된 전벽(21)과, 후방측의 단부에 설치된 후벽(22)을 가지고 있다. 전벽(21)의 전면(前面)과 후벽(22)의 후면은, 모두 수직면에 의해 구성된다.
제2 객차(3)는, 제1 객차(2)의 후방에 배치된다. 제2 객차(3)는, 제1 객차(2)에 연결부(4)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제2 객차(3)는, 제1 객차(2)와 같이 전벽(31)과 후벽(32)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2 객차(3)는, 제1 객차(2)와 동일한 구조이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복수의 연결부(4)의 각각은, 전후 방향으로 배열되는 차량끼리를 연결한다. 본 실시형태의 연결식 차량은, 복수의 연결부(4)과, 제1 객차(2)와 제2 객차(3)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41)과, 견인차(1)와 제1 객차(2)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42)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제1 연결부(41)와 제2 연결부(42)는 동일한 구조이므로, 주로 제1 연결부(41)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연결부(41)는, 제1 객차(2)의 후벽(22)과, 제2 객차(3)의 전벽(31)의 사이에 걸쳐서 놓여진다. 제1 연결부(41)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상방으로부터 볼 때(이하, 평면에서 볼 때)좌우 방향의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연결부(41)는, 제1 객차(2)의 후벽(22)에 고정된 제1 고정부(43)와, 제2 객차(3)의 전벽(31)에 고정된 제2 고정부(44)와, 제1 고정부(43)와 제2 고정부(44)를 연결하는 본체부(45)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부(45)는, 제1 고정부(43)에 대하여 좌우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본체부(45)는, 제2 고정부(44)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로써, 제2 객차(3)는, 견인차(1)가 구배(勾配)가 있는 길을 주행하거나, 좌우 방향으로 돌아서 주행해도, 제1 객차(2)에 추종할 수 있다.
복수의 책상부(5)는, 차량 사이의 간극에 사람이 진입하는 것을 방지한다. 복수의 책상부(5)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견인차(1)와 제1 객차(2)의 사이, 및 제1 객차(2)와 제2 객차(3)의 사이에 각각 1개씩 설치된다. 각 책상부(5)는, 평면에서 볼 때 각 연결부(4)를 에워싸도록 형성된 복수의 진입 방지체(51∼54)(도 3)를 가지고 있다. 복수의 책상부(5)는 각각이 동일한 구조이므로, 이하에 있어서는, 제1 객차(2)와 제2 객차(3)의 사이에 설치된 책상부(5)에 대하여 설명한다.
복수의 진입 방지체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복수 배열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각 책상부(5)는, 복수의 진입 방지체(51∼54)로서, 제1 진입 방지체(51)와, 제2 진입 방지체(52)와, 제3 진입 방지체(53)와, 제4 진입 방지체(54)를 구비하고 있다.
먼저, 제1 진입 방지체(51)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제1 진입 방지체(51)를 상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진입 방지체(51)는, 한 쌍의 고정부(61)와, 연결조(62)와, 한 쌍의 지지체(63)를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고정부(61)는, 연결조(62)의 양측 단부를 1 대 1로 고정한다. 한 쌍의 고정부(61)는, 제2 객차(3)의 전벽(31)에,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고정되어 있고, 이로써, 한 쌍의 고정부(61)는, 제1 연결부(41)의 좌우 방향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각 고정부(61)는, 제2 객차(3)의 전벽(31)의 좌우 방향 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고정부(61)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서로 동일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즉, 동일한 높이 위치에 설치된다). 본 실시형태의 각 고정부(61)는, 예를 들면, 아이볼트(611)에 의해 구성된다.
연결조(62)는, 로프나, 벨트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가요성을 가지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연결조(62)는, 로프(621)에 의해 구성된다. 로프(621)의 양측의 단부는, 한 쌍의 고정부(61)에 1 대 1로 연결된다. 로프(621)는, 일정 이하의 장력으로는 신장되지 않는 비신축(非伸縮) 소재로 이루어진다.
한 쌍의 지지체(63)는, 제1 객차(2)의 후벽(22)에,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고정되어 있고, 이로써, 한 쌍의 지지체(63)는, 제1 연결부(41)의 좌우 방향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각 지지체(63)는, 제1 객차(2)의 후벽(22)의 좌우 방향 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지지체(63)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서로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또한 한 쌍의 고정부(61)에 대해서도, 상하 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도 3 참조). 한 쌍의 지지체(63)는, 한 쌍의 고정부(61)에 양 단부가 고정된 상태의 로프(621)를, 팽팽한 상태에서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또한, 로프(621)가 각 지지체(63)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로프(621)를 지지한다. 본 실시형태의 각 지지체(63)는, 브래킷(bracket)(631)과, 브래킷(63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풀리(632)를 구비하고 있다.
브래킷(631)은, 제1 객차(2)의 후벽(22)에 고정되어 있고, 풀리(632)를 축지지한다. 브래킷(631)은, 예를 들면, 상하 방향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금속판과, 이 한 쌍의 금속판끼리를 연결하는 축부(軸部)를 구비한다. 풀리(632)의 중심에는 축부가 통과하고 있고, 이로써, 풀리(632)는, 제1 객차(2)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여기서,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식 차량이 직진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좌측을 향하여 돌면, 도 4에 있어서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객차(2)의 후벽(22)이, 좌우 방향의 중앙을 중심으로 하여, 제2 객차(3)의 진행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다. 이렇게 되면, 제1 객차(2)와 제2 객차(3)의 사이의 간극 중, 좌측단부의 간극은 작아지지만, 우측단부의 간극은 커진다. 이에 따라, 제1 객차(2)의 좌측의 지지체(63)는, 로프(621)를 따라 제2 객차(3)에 근접하고, 우측의 지지체(63)는, 로프(621)를 따라 제2 객차(3)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 때, 로프(621)는 일정한 장력이 걸린 상태로 유지되므로, 로프(621)의 자중(自重)에 의해, 로프(621)가 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로프(621)가 비신축 소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으므로, 로프(621)에서의 제1 객차(2)와 제2 객차(3)의 사이의 부분에, 좌우 방향을 따라 힘이 가해져도, 휨을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1 진입 방지체(51)는, 제1 객차(2)와 제2 객차(3)가 직진하고 있을 때는 물론, 직진하는 제2 객차(3)에 대하여, 제1 객차(2)가 좌우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돌아도, 로프(621)의 장력을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 후에, 제1 객차(2)가 진행함에 따라, 제2 객차(3)의 진행 방향은 제1 객차(2)의 진행 방향과 평행하게 근접하게 되지만, 제2 객차(3)의 움직임에 따라, 로프(621)를 따라 각 지지체가 이동하고, 로프(621)의 장력은 유지된다.
다음으로, 제2 진입 방지체(52)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 진입 방지체(52)의 구조는, 제1 진입 방지체(51)의 구조와, 거의 동일하지만 이하의 점에서 상이하다. 즉, 제2 진입 방지체(52)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고정부(61)가 제1 객차(2)의 후벽(22)에 고정되어 있고, 한 쌍의 지지체(63)가 제2 객차(3)의 전벽(31)에 고정되어 있는 점에서 상이하게 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지지체(63)는, 한 쌍의 고정부(61)에 대하여, 상방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한 쌍의 고정부(61)와 한 쌍의 지지체(63)는 상하 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한 쌍의 고정부(61)와 한 쌍의 지지체(63)에 걸린 로프(621)는, 후방에 위치할수록 상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져 있다.
이 제2 진입 방지체(52)도, 제1 진입 방지체(51)와 마찬가지로, 제1 객차(2)와 제2 객차(3)가 직진하고 있을 때는 물론, 직진하는 제2 객차(3)에 대하여, 제1 객차(2)가 좌우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돌아도, 로프(621)의 장력을 유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3 진입 방지체(53)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3 진입 방지체(53)의 구조는, 제1 진입 방지체(51)의 구조와, 거의 동일하지만, 이하의 점에서 상이하다. 즉, 제1 객차(2)의 후벽(22)에 고정된 한 쌍의 지지체(63)는, 제2 객차(3)의 전벽(31)에 고정된 한 쌍의 고정부(61)에 대하여, 상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있고, 한 쌍의 고정부(61)와 한 쌍의 지지체(63)는 상하 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이로써, 한 쌍의 고정부(61)와 한 쌍의 지지체(63)에 걸린 로프(621)는, 후방에 위치할수록 하방에 위치하도록 경사져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연결식 차량에서는, 제2 진입 방지체(52)와 제3 진입 방지체(53)에서, 좌우 방향에서 볼 때, 서로 교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크로스하고 있다). 이로써, 가능한 적은 로프(621)의 개수로, 넓은 영역에 로프(621)를 둘러칠 수 있고, 제1 객차(2)와 제2 객차(3)의 사이의 간극에 사람이 진입하는 것을 넓은 영역에 있어서 방지할 수 있다.
제4 진입 방지체(54)는, 제1 진입 방지체(51)의 하방에 있어서, 제1 진입 방지체(51)에 대하여 평행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4 진입 방지체(54)의 그 외의 구성은, 제1 진입 방지체(51)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책상부(5)는, 전술한 제1 객차(2)와 제2 객차(3)의 사이에 뿐만아니라, 견인차(1)와 제1 객차(2)의 사이에도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견인차(1)가 직선 이동으로부터 굴곡되어 진행할 때도, 견인차(1)와 제1 객차(2)의 사이에 설치된 책상부(5)와, 제1 객차(2)와 제2 객차(3)의 사이에 설치된 책상부(5)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로프(621)의 장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연결식 차량 연결 구조는, 장력 부여부를 가지고 있다. 장력 부여부는, 로프(621)에 장력을 부여한다. 본 실시형태의 장력 부여부는, 스프링(64)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스프링(64)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로프(621)의 길이 방향의 일부에, 일정 이상의 스프링 상수를 가지는 스프링(64)이 설치된다. 스프링(64)은, 어느 정도 신장시킨 상태로, 로프(621)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로프(621)의 양단은, 길이 방향의 중앙측을 향하여 가압된다.
이 스프링(64)의 스프링 상수는, 예를 들면, 1.7[N/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아사노(淺野) 금속공업(金屬工業)(주)에서 제조한 연결 스프링(AK3788)이 예시된다. 이로써, 로프(621)에 대하여, 로프(621)의 길이 방향으로 교차하는 방향에 일정한 외력이 가해져도, 신장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연결식 차량 연결 구조는, 장력 부여부를 가지고 있으므로, 로프(621)가 장기간에 걸쳐 신장되어도, 로프(621)에 장력을 가할 수 있어, 로프(621)의 장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로프(621)의 길이 방향의 도중에 스프링(64)이 설치되면, 연결식 차량이 좌우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돌 때, 만일, 로프(621)에 과잉한 장력이 걸려도, 파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연결식 차량 연결 구조는, 제1 차량과 제2 차량이 연결부(4)를 통하여 진행 방향을 따라 연결된 연결식 차량의 연결 구조이다. 이 구조는, 한 쌍의 고정부(61)와, 연결조(62)와, 한 쌍의 지지체(63)를 구비하고 있다. 한 쌍의 고정부(61)는, 제1 차량의 제2 차량측의 단부에 있어서, 평면에서 볼 때 진행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의 연결부(4)의 양측에 설치된다. 한 쌍의 지지체(63)는, 제2 차량의 제1 차량측의 단부에 있어서, 평면에서 볼 때 진행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의 연결부(4)의 양측에 설치된다. 연결조(62)는, 중간부가 한 쌍의 지지체(63)에 지지된 상태에서, 양 단부가 한 쌍의 고정부(61)에 연결되어 있다. 한 쌍의 지지체(63)는, 연결조(62)가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조(62)를 지지한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견인차(1)를 제1 차량으로 하면, 제1 객차(2)가 제2 차량에 해당한다. 또한, 제1 객차(2)를 제1 차량으로 하면, 제2 객차(3) 또는 견인차(1)가 제2 객차(3)에 해당한다. 또한, 제2 객차(3)를 제1 차량으로 하면, 제1 객차(2)가 제2 객차(3)에 해당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주행 중에, 제1 차량과 제2 차량이, 평면에서 볼 때 서로 경사진 경우에도, 연결조(62)의 장력을 항상 유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복수의 차량이 연결된 연결식 차량에 있어서, 좌우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돌 때, 연결조(62)가 휘어져서 처지는 것을 억제하면서도, 연결부(4)로의 사람의 진입을 역학적인 작용으로 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연결식 차량 연결 구조는, 다음의 부가적인 구성을 가진다. 즉, 본 실시형태의 한 쌍 지지체(63) 각각은, 연결조(62)를 지지하는 풀리(632)를 가지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연결조(62)에 대한 지지체(63)의 이동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 있고, 연결식 차량이 좌우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돌 때, 과도한 장력이 연결조(62)에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연결식 차량 연결 구조는, 다음의 부가적인 구성을 가진다. 즉, 본 실시형태의 한 쌍의 고정부(61), 연결조(62) 및 한 쌍의 지지체(63)로 구성되는 진입 방지체(51∼54)는, 상하 방향으로 복수 설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차량과 제2 차량의 사이에, 사람이 진입하는 것을 더 한층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연결식 차량 연결 구조는, 다음의 부가적인 구성을 가진다. 즉, 본 실시형태 중 적어도 1개의 진입 방지체에 있어서, 한 쌍의 고정부(61) 및 한 쌍의 지지체(63)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보다 넓은 범위에 있어서, 적은 개수의 연결조(62)에 의해, 사람이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연결식 차량 연결 구조는, 다음의 부가적인 구성을 가진다. 즉, 본 실시형태의 연결식 차량 연결 구조는, 연결조(62)에 장력을 부여하는 장력 부여부를 더 구비하고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연결조(62)의 열화(劣化)에 따라 연결조(62)가 신장되어도, 연결조(62)에 대하여 장력을 부여할 수 있고, 장기간에 걸쳐 연결조(62)의 장력을 유지할 수 있다.
(변형예 1)
실시형태 1의 연결식 차량은, 예를 들면, 도 6∼도11에 나타낸 바와 같은 태양이라도 된다(이것을 변형예 1로 함). 그리고, 본 변형예에 있어서, 실시형태 1에 대응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실시형태 1의 구성과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 후 부호의 말미(末尾)에 「a」를 부기하고, 실시형태 1와 상이한 구성에 대해서는 새롭게 부호를 부여한 후 부호의 말미 「a」를 부기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의 복수의 책상부(5a)는,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견인차(1a)와 제1 객차(2a)의 사이와, 제1 객차(2a)와 제2 객차(3a)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각 책상부(5a)는, 복수의 진입 방지체(51a∼53a)를 가지고 있다. 복수의 진입 방지체(51a∼53a)의 연결조(62a)는, 상하 방향에 있어서 서로 평행하게 되도록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도 7에는, 제1 객차(2a)와 제2 객차(3a)의 사이의 진입 방지체(51a∼53a)를 나타낸다. 복수의 진입 방지체(51a∼53a)는, 모두 동일한 구조이므로, 최상부의 진입 방지체(51a)(제1 진입 방지체)에 대하여 설명한다.
진입 방지체(51a)는, 제1 객차(2a)의 후벽(22a)에 고정된 한 쌍의 고정부(61a)와, 후벽(22a)에 있어서 한 쌍의 고정부(61a)보다 외측에 고정된 한 쌍의 제2 지지체(66a)와, 제2 객차(3a)의 전벽(31)에 고정된 한 쌍의 지지체(이하, 제1 지지체(63a))와, 연결조(62a)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한 쌍의 고정부(61a), 한 쌍의 제2 지지체(66a), 및 한 쌍의 제1 지지체(63a)는, 모두, 상하 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즉 같은 높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고정부(61a)는, 제1 객차(2a)의 후벽(22a)의 좌우 방향의 단부보다 내측의 위치에 고정되어 있다. 한 쌍의 고정부(61a)는, 후벽(22a)의 좌우 방향의 단부로부터, 예를 들면, 후벽(22a)의 좌우 방향의 전장(全長)에 대한 1/4 정도의 길이만 중앙측에 위치하는 부분에 고정된다. 이로써, 각 고정부(61a)는, 각각의 제2 지지체(66a)로부터 일정 치수 이격되어 있다.
한 쌍의 제2 지지체(66a)는, 후벽(22a)의 좌우 방향의 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각각의 제2 지지체(66a)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래킷(631a)과, 브래킷(631a)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풀리(632a)를 구비하고 있다.
브래킷(631a)은, 풀리(632a)를 축지지한다. 브래킷(631a)은, 제1 객차(2a)의 후벽(22a)에 고정되어 있다. 브래킷(631a)은, 상하 방향으로 대향하는 한 쌍의 금속판과, 이 한 쌍의 금속판끼리를 연결하는 축부를 구비한다. 풀리(632a)의 중심에는 축부가 통과하고 있고, 이로써, 풀리(632a)는, 제1 객차(2a)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풀리(632a)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부의 길이 방향(회전축 방향)의 중앙이 잘록하게 되어 있다. 환언하면, 풀리는, 축부의 길이 방향의 중앙을 경계로 하여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고, 한 쌍의 원뿔대의 소경(小徑) 측의 면을 서로 맞댄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풀리(632a)의 직경은, 회전축 방향의 중앙측에 위치할수록, 서서히 작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 쌍의 제1 지지체(63a)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객차(3a)의 전벽(31a)에 고정되어 있다. 한 쌍의 제1 지지체(63a)는, 제2 객차(3a)의 전벽(31a)의 좌우 방향의 단부에 배치된다. 각각의 제1 지지체(63a)는, 제2 지지체(66a)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1 지지체(63a)는, 제2 지지체(66a)와 동일한 구조이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연결조(62a)는, 벨트(622a)에 의해 구성된다. 벨트(622a)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단부와, 한 쌍의 단부의 사이의 중간부로 구성된다. 중간부는, 한 쌍의 제2 지지체(66a)와, 한 쌍의 제1 지지체(63a)에 지지되어 있다. 중간부는, 중간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제2 지지체(66a), 제1 지지체(63a), 제1 지지체(63a), 제2 지지체(66a)가 배열되어 있다. 한 쌍의 단부는, 스프링(64a)을 통하여 한 쌍의 고정부(61a)에 1 대 1로 연결된다. 벨트(622a)는,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가요성을 가지고 있다. 벨트(622a)는, 예를 들면, 나일론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일정 이하의 장력으로는 신축하지 않는다.
스프링(64a)은, 장력 부여부로서 기능한다. 스프링(64a)은, 벨트(622a)의 길이 방향의 양 단부의 각각에 설치되어 있다. 스프링(64a)의 길이 방향은, 도 9,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벨트(622a)의 길이 방향으로 평행하게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스프링(64a)의 길이 방향의 한쪽의 단부는 고정부(61a)에 연결되고, 다른 쪽의 단부는 벨트(622a)에 연결되어 있다.
각 스프링(64a)은, 벨트(622a)의 길이 방향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각 스프링(64a)은, 어느 정도, 신장한 상태로 벨트(622a)에 연결되어 있고, 장착 상태에 있어서, 상시, 일정한 장력을 벨트(622a)에 부여한다. 따라서, 제1 객차(2a) 및 제2 객차(3a)가, 직진 방향 또는 좌우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진행할 때도, 벨트(622a)에 걸리는 장력을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진입 방지체(51a)는,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복수 설치된다. 상하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벨트(622a)는, 수평 방향으로 평행하며, 서로 평행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변형예 1의 연결식 차량 연결 구조는, 연결조(62a)가 벨트(622a)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풀리(632a)의 직경은, 회전축 방향의 중앙측에 위치할수록 작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벨트(622a)가 풀리(632a)의 회전축 방향의 중앙측으로부터 이격되는 측으로 어긋난 경우라도, 풀리(632a)가 회전함으로써, 벨트(622a)를 회전축 방향의 중앙측으로 되돌릴 수 있다.
또한, 변형예 1의 연결식 차량은, 한 쌍의 스프링(64a)의 각각이, 대응하는 고정부(61a)와 대응하는 제2 지지체(66a)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연결식 차량이 좌우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돌 때, 제1 차량과 제2 차량의 사이의 간격이 좁아져도, 스프링(64a)이 제1 지지체(63a) 또는 제2 지지체(66a)에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변형예 2)
실시형태 1의 장력 부여부는, 연결조(62b)의 양단의 사이, 더욱 상세하게는, 연결조(62b)를 구성하는 로프(621)의 한 쌍의 단부 사이에 설치되어 있었지만, 예를 들면,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은 태양이라도 된다(이것을 변형예 2로 함). 그리고, 본 변형예에 있어서, 실시형태 1에 대응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실시형태 1의 구성과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 후 부호의 말미에 「b」를 부기하고, 실시형태 1과 상이한 구성에 대해서는 새롭게 부호를 부여한 후 부호의 말미에 「b」를 부기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변형예 2의 연결조(62b)는, 벨트(622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벨트(622b)는, 예를 들면, 나일론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일정 이하의 장력으로는 신축하지 않는다.
변형예 2의 장력 부여부는, 한 쌍의 스프링(64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각 스프링(64b)은, 벨트(622b)의 각 단과, 제1 객차(2b)의 사이에 연결되어 있다. 각 스프링(64b)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한 스프링이 사용되고 있다.
각 스프링(64b)은, 일단이 제1 객차(2b)에 걸려서 고정되어 있고, 타단이 벨트(622b)에 연결 금속 부재(65b)를 통하여 고정되어 있다. 연결 금속 부재(65b)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재(線材)를 벤딩 가공하여 형성되어 있고, 저변(底邊)과 한 쌍의 등변(等邊)을 가지는 이등변삼각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연결 금속 부재(65b)는, 저변에 상당하는 부분이 벨트(622b)에 고정되고, 한 쌍의 등변에 상당하는 부분의 정상점(頂点) 측이 스프링(64b)에 고정되어 있다.
각 스프링(64b)은, 벨트(622b)의 길이 방향의 양단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각 스프링(64b)은, 어느 정도, 신장시킨 상태에서 벨트(622b)에 연결되어 있고, 장착 상태에 있어서, 상시, 일정한 장력을 벨트(622b)에 부여한다. 따라서, 제1 객차(2b) 및 제2 객차(3b)가, 직진 방향 또는 좌우 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진행할 때도, 벨트(622b)에 걸리는 장력을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진입 방지체(5lb∼53b)는, 본 변형예 2에 있어서도, 상하 방향으로 복수 배열되어 배치되어 있다. 각 진입 방지체(5lb∼53b)는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다.
그리고, 변형예 1 및 변형예 2에 있어서는, 실시형태 1과 마찬가지로, 장력 부여부는, 제2 객차(3a, 3b)에 고정되어도 되고, 견인차(1a, 1b)에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장력 부여부는, 제1 차량과 제2 차량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있으면 된다.
(실시형태 2)
다음으로, 실시형태 2에 대하여 도 12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는 실시형태 1과 대부분에 있어서 동일하므로, 동일한 부분에 있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생략하고, 주로 상이한 부분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실시형태 1에 대응하는 구성에 대해서는 실시형태 1의 구성과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 후 부호의 말미에 「c」를 부기하고, 실시형태 1과 상이한 구성에 대해서는 새롭게 부호를 부여한 후 부호의 말미에 「c」를 부기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형태 2의 연결식 차량은, 실내에 설치된 쇼 세트(72c)를 관람시키기 위해 고객을 태우고 이동하는 실내형의 라이드이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내에는 궤도(70c)가 배치되어 있고, 본 실시형태의 연결식 차량은 이 궤도(70c)를 따라 이동한다.
본 실시형태의 연결식 차량은,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궤도(70c)를 따라 배치된 구동 레일(71c)과, 구동 레일(71c)에 고정된 복수의 객차(2c, 3c)와, 각 객차(2c, 3c) 사이에 설치된 복수의 책상부(5c)를 구비하고 있다. 각 객차(2c, 3c)는, 승강장(7c)으로부터 손님이 탑승하고, 궤도(70c)를 주회(周回)한 후, 승강장(7c)에서 손님이 하차하도록 구성된다.
구동 레일(71c)은, 궤도(70c)를 따라 연장되어 있고, 무단상(無端狀)으로(환형으로) 연속되어 있다. 구동 레일(71c)은, 궤도(70)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동 레일(71c)의 구동원은, 예를 들면, 모터에 의해 구성된다.
복수의 객차(2c, 3c)는, 구동 레일(71c)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진행 방향의 전방측 객차를 제1 객차(2c)로 하고, 그 후방의 객차를 제2 객차(3c)로 함). 각 객차(2c, 3c)는, 바닥면에 탑재되는 롤러 지지체(24c, 34c)와, 구동 레일(71c)에 기계적으로 접속된 접속부(23c, 33c)를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객차(2c, 3c)는, 구동 레일(71c)을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구동 레일(71c)이 길이 방향으로 이동하면, 복수의 객차(1c, 3c…)는, 구동 레일(71c)에 추종하여 진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구동 레일(71c)이 연결부(4c)에 해당한다.
책상부(5c)는, 복수의 진입 방지체(51c, 52c)를 구비하고 있다. 각 진입 방지체(51c, 52c)는, 수평면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진입 방지체(51c, 52c)는, 승강장(7c)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각 진입 방지체(51c, 52c)의 구성은, 실시형태 1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형태의 연결식 차량은, 구동 레일(71c)이 진행 방향으로 이동하고, 객차(2c, 3c)끼리가 좌우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경사져도, 로프(621c)의 장력을 유지할 수 있다. 이로써, 본 실시형태의 연결식 차량에 의하면, 연결조(62c)가 휘어져서 처지는 것을 억제하면서도, 연결부(4c)로의 사람의 진입을 역학적인 작용으로 저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손님이, 승강장(7c)으로부터, 제1 객차(2c)와 제2 객차(3c)의 사이의 간극에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실시형태 2의 연결식 차량에도, 적절하게, 장력 부여부가 장착되어도 된다.
(응용)
실시형태 1, 2의 한 쌍의 지지체(63, 63a, 63b, 63c)는, 풀리(632, 632a, 632b)를 가지고 있지만, 이동 가능하게 연결조(62, 62a, 62b, 62c)를 지지할 수 있으면, 풀리(632, 632a, 632b)는 없어도 된다. 즉, 예를 들면, 풀리(632, 632a, 632b) 대신, 주면(周面)이 원호로 된 환봉(丸奉)을 설치하고, 연결조(62, 62a, 62b, 62c)를 주면을 따라 걸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해도 된다. 이 때, 연결조(62, 62a, 62b, 62c)에는 저마찰 계수의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 쌍의 고정부(61, 61a, 6lb, 61c)와 한 쌍의 지지체(63, 63a, 63b, 63c)는, 진행 방향에 대하여, 어느 것이 전방측에 배치되어도 된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차량과 제2 차량은, 진행 방향에 대하여 어느 쪽이 앞쪽이라도 된다.
장력 부여부는, 스프링(64, 64a, 64b, 64c)에 의해 구성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고무와 같은 탄성체에 의해 구성되어도 된다.

Claims (8)

  1. 제1 차량과 제2 차량이 연결부를 통하여 진행 방향을 따라 연결된 연결식 차량의 연결 구조로서,
    상기 제1 차량의 상기 제2 차량측의 단부(端部)에 있어서,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진행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의 상기 연결부의 양측에 설치된 한 쌍의 고정부;
    상기 제2 차량의 상기 제1 차량측의 단부에 있어서,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진행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의 상기 연결부의 양측에 설치된 한 쌍의 지지체; 및
    중간부가 상기 한 쌍의 지지체에 지지된 상태에서, 양 단부가 상기 한 쌍의 고정부에 연결된 가요성을 가지는 연결조(連結條: connecting cord)
    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지지체는, 상기 연결조가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조를 지지하는, 연결식 차량의 연결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체 각각은, 상기 연결조를 지지하는 풀리(pulley)를 포함하는, 연결식 차량의 연결 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조가 벨트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풀리의 직경은, 회전축 방향의 중앙측에 위치할수록 작아지도록 구성되어 있는, 연결식 차량의 연결 구조.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고정부 및 상기 연결조 및 상기 한 쌍의 지지체에 의해 구성되는 진입 방지체는, 상하 방향으로 복수 설치되어 있는, 연결식 차량의 연결 구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진입 방지체 중 적어도 1개의 진입 방지체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고정부와 상기 한 쌍의 지지체는, 상하 방향으로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어 있는, 연결식 차량의 연결 구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조에 장력을 부여하는 장력 부여부를 더 포함하고 있는, 연결식 차량의 연결 구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 부여부는, 상기 연결조의 양 단부 각각에 설치된 한 쌍의 스프링에 의해 구성되어 있는, 연결식 차량의 연결 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지지체로서 한 쌍의 제1 지지체와,
    상기 제1 차량의 상기 제2 차량측의 단부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된 한 쌍의 제2 지지체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조는 상기 한 쌍의 제2 지지체와 상기 한 쌍의 제1 지지체에 지지되어 있고,
    상기 한 쌍의 스프링 각각은, 대응하는 제2 지지체와 대응하는 고정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연결식 차량의 연결 구조.
KR1020187026003A 2016-03-10 2016-03-10 연결식 차량의 연결 구조 KR1021007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6/001314 WO2017154041A1 (ja) 2016-03-10 2016-03-10 連結式車両の連結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4107A true KR20180114107A (ko) 2018-10-17
KR102100788B1 KR102100788B1 (ko) 2020-04-14

Family

ID=59790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6003A KR102100788B1 (ko) 2016-03-10 2016-03-10 연결식 차량의 연결 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960720B2 (ko)
KR (1) KR102100788B1 (ko)
CN (1) CN108883341B (ko)
WO (1) WO201715404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65519B (zh) * 2019-04-09 2020-07-31 嘉兴马克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用于煤矿运输车的具有缓冲效果的连接装置
CN113335333B (zh) * 2020-12-14 2023-09-08 重庆中车长客轨道车辆有限公司 单轨车辆及其车钩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2715A (ja) * 2002-07-09 2004-02-12 Tomisaburo Mikami 車両連結ゾーン安全装置
JP2005253659A (ja) 2004-03-11 2005-09-22 Senyo Kiko Kk 連結式遊覧自動車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12382A (en) * 1950-10-19 1952-09-30 Christian G Landis Trailer stabilizing connection
US3305246A (en) * 1964-10-02 1967-02-21 Donald L Gonczy Anti-fishtail device for trailer hitch
FR1441568A (fr) * 1965-04-13 1966-06-10 Dispositif pour la stabilisation transversale d'un véhicule remorqué
US3338595A (en) * 1965-10-23 1967-08-29 Nelson H Bogie Trailer stabilizer
US3394949A (en) * 1967-01-30 1968-07-30 Jess J. Gearhart Trailer stabilzier
US3659874A (en) * 1969-01-16 1972-05-02 William L Rendessy Sway control for trailer hitch
US3837676A (en) * 1969-08-08 1974-09-24 W Rendessy Sway control device for trailer hitches
US3871686A (en) * 1973-06-12 1975-03-18 William L Rendessy Trailer sway control device
US4575110A (en) * 1982-02-17 1986-03-11 Daimler-Benz Aktiengesellschaft Device for damping oscillations of a trailer
JPS58171768U (ja) 1982-05-14 1983-11-16 株式会社新潟鐵工所 車両用連結幌の緩衝装置
KR890001183B1 (ko) 1986-09-10 1989-04-26 대우중공업 주식회사 철도차량용 진동 방지장치
US5016899A (en) * 1989-12-14 1991-05-21 Leonard Euteneier No-slack restricted-drum stabilizer for commercial multitrailer combinations
US5407220A (en) * 1993-05-13 1995-04-18 Fischer; Edmond M. Rotary trailer sway dampener
FR2751603B1 (fr) 1996-07-26 1998-10-09 Lohr Ind Liaison composite articulee entre deux voitures successives d'un vehicule de transport en commun separees par un module intermediaire porte par un essieu
US6000708A (en) 1997-08-12 1999-12-14 Harlab Enterprises, Inc. Self tracking land vehicle
JP3548768B2 (ja) 1999-06-16 2004-07-28 川崎重工業株式会社 車両用転落防止装置
JP2007246001A (ja) 2006-03-17 2007-09-27 Hitachi Ltd 鉄道車両用の貫通路部の内壁構造
US7540523B2 (en) * 2006-12-11 2009-06-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nti-jackknifing hitch assembly
AU2011284803B2 (en) 2010-07-30 2013-01-10 Networked Infrastructure National Architecture Pty Ltd A modular ducting section adapted for laying end-to- end and side by side forming a networked utilities ducting system and rain and run-off water management system
CN202541561U (zh) 2011-09-14 2012-11-21 南车株洲电力机车有限公司 轻轨车辆及其铰接式转向架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2715A (ja) * 2002-07-09 2004-02-12 Tomisaburo Mikami 車両連結ゾーン安全装置
JP2005253659A (ja) 2004-03-11 2005-09-22 Senyo Kiko Kk 連結式遊覧自動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54041A1 (ja) 2017-09-14
US10960720B2 (en) 2021-03-30
CN108883341A (zh) 2018-11-23
CN108883341B (zh) 2020-02-21
KR102100788B1 (ko) 2020-04-14
US20200298640A1 (en) 2020-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44818C2 (ru) Система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людей
EP2420424B1 (de) Seilbahnanlage
US20230088063A1 (en) Cableway having car stabilization
EA008634B1 (ru) Лифт
KR20180114107A (ko) 연결식 차량의 연결 구조
JP2002506703A (ja) 娯楽装置
JPH09511969A (ja) けん引ベルトを使用した輸送システム
JP2669713B2 (ja) 鉄道車両用パンタグラフ支持装置
US5647281A (en) Semi-rigid, fin-based transportation system
TWI589461B (zh) 連結式車輛的連結構造
US3532063A (en) Retractable safety barrier
US20190100220A1 (en) A path following arrangement having a catenary structure and a method for operating such an arrangement
US1071335A (en) Vehicle-frame.
RU2754607C1 (ru) Минирельсовая транспортная система "Битран"
RU2787420C1 (ru) Канатная дорога, имеющая стабилизацию кабин
JP5467806B2 (ja) 索条牽引式輸送設備
JP6161360B2 (ja) 索条牽引式輸送設備の車両
JP3516696B2 (ja) 索道の円弧プラットフォーム装置
EP2253362A1 (de) Fahrgeschäft
KR20240052249A (ko) 전동차 플랫폼 안전장치
US1306706A (en) Island
JP2022126940A (ja) 車室仕切装置
US494672A (en) Car-brake
JP2001138901A (ja) ロープウェイの搬器
US1013202A (en) Amusement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