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2161A - 롤러 썰매 - Google Patents

롤러 썰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2161A
KR20180112161A KR1020170041011A KR20170041011A KR20180112161A KR 20180112161 A KR20180112161 A KR 20180112161A KR 1020170041011 A KR1020170041011 A KR 1020170041011A KR 20170041011 A KR20170041011 A KR 20170041011A KR 20180112161 A KR20180112161 A KR 201801121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braking
roller
unit
separation prev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1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8630B1 (ko
Inventor
임성철
이준형
Original Assignee
(주)인크랙스
주식회사 에이케이레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크랙스, 주식회사 에이케이레저 filed Critical (주)인크랙스
Priority to KR1020170041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8630B1/ko
Publication of KR201801121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21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86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86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28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arrangements for sitting

Landscapes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탑승석이 마련된 탑승본체; 상기 탑승본체를 주행시키기 위한 제1롤러를 가지고, 상기 탑승본체에 설치된 제1기동부; 상기 탑승본체를 주행시키기 위한 제2롤러를 가지고, 상기 제1기동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탑승본체에 설치된 제2기동부; 상기 제2롤러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제동부; 상기 제2기동부에 설치된 제한부; 상기 제1기동부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2기동부가 이동하도록 상기 제1기동부 및 상기 제한부를 연결하는 제동와이어; 및 상기 제1기동부 및 상기 제한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동와이어에 설치된 분리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동와이어는 일단과 타단이 상기 제1기동부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상기 제1기동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한부는 상기 제동와이어가 삽입되는 삽입공을 포함하며, 상기 삽입공에는 상기 제1기동부 및 상기 제한부가 하나의 제동와이어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동와이어의 일단 및 상기 제동와이어의 타단 사이가 삽입되고, 상기 분리방지부는 상기 제동와이어가 절단되는 경우, 절단된 제동와이어가 상기 제1기동부 및 상기 제한부를 연결한 상태로 유지하도록 상기 제한부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썰매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롤러 썰매{Roller Luge}
본 발명은 롤러의 회전을 이용하여 주행하는 롤러 썰매에 관한 것이다.
롤러 썰매는 평탄한 도로, 경사로, 트랙(Track) 등에서 탑승자가 탑승한 상태로 주행하기 위해 롤러가 설치된 탈 것이다. 이러한 롤러 썰매는 경사로에서 이용되는 경우 중력으로 인해 빠른 속력으로 주행하게 되므로, 탑승자의 안전을 위하여 속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제동장치를 구비해야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롤러 썰매(100)에 대한 개략적인 저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롤러 썰매(100)는 제1기동부(110), 제2기동부(120), 제동와이어(130)를 포함한다.
상기 제1기동부(110)는 탑승자의 조작에 따라 이동하는 것이다. 상기 제1기동부(110)는 탑승자의 조작력을 전달받아 이동한다.
상기 제2기동부(120)는 롤러(121)가 설치된 것이다. 상기 제2기동부(120)에 설치된 롤러(121)는 상기 제2기동부(120)가 이동함에 따라 함께 이동한다. 따라서, 상기 제2기동부(120)가 제동부(140) 쪽으로 이동하면, 상기 롤러(121)도 상기 제동부(140)쪽으로 이동한다. 이에 따라, 상기 롤러(121)는 상기 제동부(140)와의 마찰 등으로 인해 회전이 제한된다. 상기 제동부(140)는 상기 롤러(121)의 회전을 제한하는 것이다.
상기 제동와이어(130)는 상기 제1기동부(110) 및 상기 제2기동부(120)를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제동와이어(130)는 상기 제1기동부(110) 및 상기 제2기동부(120) 각각에 설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2기동부(120)는 상기 제동와이어(130)를 통해 상기 제1기동부(110)가 이동함에 따라 이동한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롤러 썰매(100)는 탑승자가 상기 제1기동부(110)를 이동시킴에 따라 상기 제2기동부(120)에 설치된 롤러(121)가 상기 제동부(140)쪽으로 이동하도록 구현된다. 상기 제동부(140)쪽으로 이동한 롤러(121)는 상기 제동부(140)와의 마찰 등으로 인해 회전이 제한된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에 따른 롤러 썰매(100)는 감속된다.
여기서, 상기 제동와이어(130)는 반복된 제동에 따라 누적된 피로, 외부의 충격 등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절단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롤러 썰매(100)는 주행 도중 상기 제동와이어(130)가 절단되면, 상기 제1기동부(110)와 상기 제2기동부(120)가 서로 분리되므로, 탑승자가 상기 제동와이어(130)를 통해 상기 제2기동부(120)를 이동시킬 수 없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 기술에 따른 롤러 썰매(100)는 상기 제동와이어(130)의 절단으로 인해 감속이 필요한 구간에서 감속이 불가능해지므로, 탑승자에 대한 사고 위험이 크게 증대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제동와이어가 절단되더라도 감속이 가능한 롤러 썰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썰매는 탑승석이 마련된 탑승본체; 상기 탑승본체를 주행시키기 위한 제1롤러를 가지고, 상기 탑승본체에 설치된 제1기동부; 상기 탑승본체를 주행시키기 위한 제2롤러를 가지고, 상기 제1기동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탑승본체에 설치된 제2기동부; 상기 제2롤러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제동부; 상기 제2기동부에 설치된 제한부; 상기 제1기동부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2기동부가 이동하도록 상기 제1기동부 및 상기 제한부를 연결하는 제동와이어; 및 상기 제1기동부 및 상기 제한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동와이어에 설치된 분리방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썰매에 있어서, 상기 제동와이어는 일단과 타단이 상기 제1기동부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상기 제1기동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한부는 상기 제동와이어가 삽입되는 삽입공을 포함하며, 상기 삽입공에는 상기 제1기동부 및 상기 제한부가 하나의 제동와이어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동와이어의 일단 및 상기 제동와이어의 타단 사이가 삽입되고, 상기 분리방지부는 상기 제동와이어가 절단되는 경우, 절단된 제동와이어가 상기 제1기동부 및 상기 제한부를 연결한 상태로 유지하도록 상기 제한부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동와이어가 절단되더라도 제1기동부 및 제2기동부가 서로 분리되지 않고 연결되어 제동이 가능하도록 구현됨으로써, 탑승자에 대한 사고 위험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롤러 썰매에 대한 개략적인 저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썰매에 대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썰매에 대한 개략적인 저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썰매에 있어서, 조작부의 조작에 따라 제1기동부가 이동하는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썰매에 있어서, 제동부가 제2롤러의 회전을 제한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썰매에 있어서, 제동와이어가 삽입공에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썰매에 있어서, 제동와이어가 절단됨에 따라 분리방지부가 제한부에 지지되는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저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썰매에 있어서, 분리방지부가 지지면으로부터 이격거리만큼 이격되도록 제동와이어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저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썰매에 있어서, 분리방지부가 지지면에 접촉되도록 제동와이어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저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썰매에 있어서, 제1연장와이어가 절단됨에 따라 제1분리방지부재가 지지면에 지지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저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썰매에 있어서, 제2연장와이어가 절단됨에 따라 제2분리방지부재가 지지면에 지지된 모습을 나타낸 개략적인 저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썰매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12 를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롤러 썰매(1)는 평탄한 도로, 경사로, 트랙(Track) 등에서 탑승자가 탑승한 상태로 주행하기 위해 롤러가 설치된 탈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롤러 썰매(1)는 탑승석(21)이 마련된 탑승본체(2), 상기 탑승본체(2)를 주행시키기 위한 제1롤러(31)를 가지는 제1기동부(3), 상기 탑승본체(2)를 주행시키기 위한 제2롤러(41)를 가지는 제2기동부(4), 상기 제2롤러(41)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제동부(5), 상기 제2기동부(4)에 설치된 제한부(6), 상기 제1기동부(3) 및 상기 제한부(6)을 연결하는 제동와이어(7), 및 상기 제1기동부(3) 및 상기 제한부(6)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동와이어(7)에 설치된 분리방지부(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한부(6)는 상기 제동와이어(7)가 삽입되는 삽입공(6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동와이어(7)는 일단과 타단이 상기 제1기동부(3)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상기 제1기동부(3)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동와이어(7)의 일단과 타단 사이는 상기 삽입공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분리방지부(8)는 상기 제동와이어(7)가 절단되는 경우, 상기 제한부(6)에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썰매(1)는 상기 제동와이어(7)가 절단되는 경우, 상기 제동와이어(7)에 설치된 분리방지부(8)가 상기 제한부(6)에 의해 지지됨으로써 절단된 제동와이어(7)가 상기 제한부(6)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썰매(1)는 주행 도중 상기 제동와이어(130)가 절단되더라도 상기 제1기동부(3) 및 상기 제2기동부(4)가 서로 분리되지 않고 연결될 수 있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썰매(1)는 주행 도중에 상기 제동와이어(130)가 절단되어 감속되지 않음에 따른 탑승자에 대한 사고 위험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탑승본체(2), 상기 제1기동부(3), 상기 제2기동부(4), 상기 제동부(5), 상기 제한부(6), 상기 제동와이어(7), 및 상기 분리방지부(8)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를 참고하면, 상기 탑승본체(2)는 탑승석(21)가 마련된 것이다. 상기 탑승석(21)은 탑승자가 탑승하기 위한 좌석이다. 상기 탑승본체(2)는 본 고안에 따른 롤러썰매(1)의 본체로 기능할 수 있다. 상기 탑승본체(2)에는 상기 제1기동부(3), 상기 제2기동부(4), 및 상기 제동부(5)가 설치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제1기동부(3)는 상기 탑승본체(2)에 설치된 것이다. 상기 제1기동부(3)는 상기 탑승본체(2)를 주행시키기 위한 제1롤러(3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롤러(31)는 지면(地面)에 맞닿아 회전하면서 상기 탑승본체(2)를 주행시키는 것이다.
상기 제1기동부(3)는 이동 가능하게 상기 탑승본체(2)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기동부(3)는 제1방향(CD 화살표 방향) 및 제2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탑승본체(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방향(CD 화살표 방향)은 상기 제2기동부(4)로부터 상기 제1기동부(3)를 향하는 방향이다. 상기 제2방향(DD 화살표 방향)은 상기 제1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이다.
상기 제1기동부(3)는 조작부(1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10)는 탑승자에 의해 조작되는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자가 상기 조작부(10)를 조작하면, 상기 제1기동부(3)는 상기 조작부(10)에 연동되어 상기 제1방향(CD 화살표 방향) 및 상기 제2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예컨대, 탑승자가 상기 조작부(10)를 상기 제2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당기면, 상기 제1기동부(3)는 상기 제1방향(C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탑승자가 상기 조작부(10)를 상기 제1방향(CD 화살표 방향)으로 밀면, 상기 제1기동부(3)는 상기 제2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제2기동부(4)는 상기 제1기동부(3)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탑승본체(2)에 설치된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제2기동부(4)는 상기 제1기동부(3)로부터 상기 제2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기동부(4)는 상기 탑승본체(2)를 주행시키기 위한 제2롤러(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롤러(41)는 지면(地面)에 맞닿아 회전하면서 상기 탑승본체(2)를 주행시키는 것이다.
상기 제2기동부(4)는 이동 가능하게 상기 탑승본체(2)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기동부(4)는 상기 제1방향(CD 화살표 방향) 및 상기 제2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탑승본체(2)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롤러(41)는 상기 제1방향(CD 화살표 방향) 및 상기 제2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2기동부(4)는 상기 제동와이어(7) 및 상기 제한부(6)를 통해 상기 제1기동부(3)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기동부(4)는 상기 제1기동부(3)가 이동함에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2기동부(4)는 상기 제1기동부(3)가 상기 제1방향(CD 화살표 방향) 및 상기 제2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방향(CD 화살표 방향) 및 상기 제2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3 및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제동부(5)는 상기 제2롤러(41)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동부(5)는 상기 제2롤러(41)와의 마찰 등으로 인해 상기 제2롤러(41)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제동부(5)는 상기 제2롤러(41)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탑승본체(2)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동부(5)는 상기 제2롤러(41)로부터 상기 제1방향(CD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롤러(41)가 상기 제1방향(C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동부(5)는 상기 제2롤러(41)에 접촉되어 상기 제2롤러(41)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동부(5)는 상기 제2롤러(41)로부터 상기 제2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롤러(41)가 상기 제2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동부(5)는 상기 제2롤러(41)에 접촉되어 상기 제2롤러(41)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편의를 위해, 이하에서는 상기 제동부(5)가 상기 제2롤러(41)로부터 상기 제1방향(CD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 경우를 기준으로 하여 설명한다.
상기 제동부(5)는 고무 등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2롤러(41)와의 마찰을 통해 상기 제2롤러(41)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는 재질이면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제한부(6)는 상기 제2기동부(4)에 설치된 것이다. 상기 제한부(6)는 상기 제동와이어(7)를 통해 상기 제1기동부(4)에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한부(6)는 삽입공(6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공(61)은 상기 제동와이어(7)가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삽입공(61)에는 상기 제동와이어(7)의 일단 및 상기 제동와이어(7)의 타단 사이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한부(6)는 내부가 비어있는 U자형의 관(管)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동와이어(7)의 일단 및 상기 제동와이어(7)의 타단 사이가 삽입될 수 있는 형태이면 다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제한부(6)는 제한면(6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한면(62)은 상기 삽입공(61)에 삽입된 제동와이어(7)를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제한면(62)은 상기 삽입공(61)을 통해 형성된 상기 제한부(6)의 내면에서 상기 제1방향(CD 화살표 방향)에 배치된 면(面)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한면(62)은 상기 제동와이어(7)가 상기 제1방향(C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제동와이어(7)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한부(6)는 상기 제동와이어(7)가 상기 제1방향(C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함께 상기 제1방향(C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제한면(62)은 곡률중심이 상기 제한부(6)와 상기 제1기동부(3)의 사이에 위치한 곡면(曲面)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점선은, 상기 제한면(62)이 곡면으로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 대한 비교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한면(62)이 곡면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한면(62)이 곡면으로 형성되지 않은 경우에 비해 더 넓은 면적에 걸쳐 상기 제동와이어(7)를 지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썰매(1)는 상기 제동와이어(7)가 상기 제1방향(C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한면(62)에 지지되는 경우, 상기 제동와이어(7)가 받는 단위 길이당 힘이 감소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썰매(1)는 상기 제동와이어(7)가 절단될 가능성을 감소시켜 교체, 수리 등 유지보수작업에 대한 주기 및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고하면, 상기 제한부(6)는 제한공(6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한공(63)은 상기 제동와이어(7)가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제한공(63)은 상기 삽입공(61)에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한공(63)은 상기 삽입공(61)에 비해 단면의 크기가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한공(63)은 상기 삽입공(61)에 비해, 삽입된 상기 제동와이어(7)가 이동 가능한 거리를 더 제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썰매(1)는 주행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 등의 외부 충격에 의해 상기 제동와이어(7)가 흔들리는 정도가 감소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썰매(1)는 속력을 감소시키는 제동작업에 대한 안정성을 증대시켜 탑승자의 안전성을 더 증대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동와이어(7)가 절단될 가능성을 감소시켜 교체, 수리 등 유지보수작업에 대한 주기 및 비용을 더 감소시킬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제한부(6)는 지지면(6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면(64)은 상기 분리방지부(8)를 지지하는 것이다. 상기 지지면(64)는 상기 제동와이어(7)가 절단되는 경우, 상기 분리방지부(8)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지지면(64)이 상기 분리방지부(8)을 지지하는 과정은, 하기에서 상기 분리방지부(8)에 대해 설명함과 함께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제동와이어(7)는 상기 제1기동부(3) 및 상기 제한부(6)을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제동와이어(7)의 일단은 상기 제1기동부(3)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동와이어(7)의 타단은 상기 제동와이어(7)의 일단과 서로 다른 위치에서 상기 제1기동부(3)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동와이어(7)의 타단은 상기 제1롤러(31)를 기준으로 상기 제동와이어(7)의 일단이 설치된 부분의 반대편에서 상기 제1기동부(3)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동와이어(7)의 일단과 타단 사이는 상기 삽입공(61)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기동부(3)와 상기 제2기동부(4)는 상기 제한부(6) 및 상기 제동와이어(7)를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탑승자의 조작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썰매(1)가 감속되는 과정을 도 4 및 도 5를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탑승자는 주행 도중 상기 조작부(10)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제1기동부(3)를 상기 제1방향(C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탑승자는 상기 조작부(10)를 상기 제2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기동부(3)를 상기 제1방향(C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음, 상기 제1기동부(3)는 상기 제1방향(C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동와이어(7)를 상기 제1방향(CD화살표 방향)으로 당길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동와이어(7)는 상기 제1방향(C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제동와이어(7)는 상기 제1방향(C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한면(62)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제한부(6)를 상기 제1방향(CD 화살표 방향)으로 당길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한부(6)는 상기 제1방향(C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제한부(6)는 상기 제1방향(C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2기동부(4)를 상기 제1방향(CD 화살표 방향)으로 당길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기동부(4)는 상기 제1방향(C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롤러(41)도 상기 제1방향(C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다음, 상기 제2롤러(41)는 상기 제1방향(C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동부(5)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2롤러(41)는 상기 제동부(5)와의 마찰 등으로 인해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썰매(1)는 감속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제동와이어(7)는 중간와이어(71), 제1연장와이어(72), 제2연장와이어(7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간와이어(71)는 상기 삽입공(61)에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중간와이어(71)는 상기 제한면(62)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중간와이어(71)는 상기 제1연장와이어(72) 및 상기 제2연장와이어(73)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중간와이어(71)의 일단은 상기 제1연장와이어(72)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중간와이어(71)의 타단은 상기 제2연장와이어(73)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연장와이어(72)는 상기 중간와이어(71)의 일단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제1연장와이어(72)는 상기 중간와이어(71)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1기동부(3) 쪽으로 연장되어 제1기동부(3)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연장와이어(72)는 상기 중간와이어(71)를 통해 상기 제2연장와이어(73)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연장와이어(73)는 상기 중간와이어(71)의 타단에 결합된 것이다. 상기 제2연장와이어(73)는 상기 중간와이어(71)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제1기동부(3) 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기동부(3)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연장와이어(73)는 상기 제1연장와이어(72)와 서로 다른 위치에서 상기 제1기동부(3)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연장와이어(73)는 상기 중간와이어(71)를 통해 상기 제1연장와이어(72)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중간와이어(71), 상기 제1연장와이어(72), 및 상기 제2연장와이어(73)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기동부(3) 및 상기 제한부(6)는 하나의 제동와이어(7)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썰매(1)는 상기 제1연장와이어(72) 및 상기 제2연장와이어(73)가 일체로 형성되지 않고 각각 상기 제1기동부(3)에 설치된 경우에 비해, 제동 과정에서 상기 제1연장와이어(72)와 상기 제2연장와이어(73)에 힘이 균등하게 분배되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썰매(1)는 상기 제동와이어(7) 중 어느 일부분에 과도한 힘이 걸리는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반복되는 제동에 따라 누적되는 피로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썰매(1)는 상기 제동와이어(7)가 절단될 가능성을 더 감소시키므로, 상기 제동와이어(7)의 교체, 수리 등 유지보수작업에 대한 주기 및 비용을 더 감소시킬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분리방지부(8)는 상기 제동와이어(7)에 설치된 것이다. 상기 분리방지부(8)는 상기 제1기동부(3) 및 상기 제한부(6)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동와이어(7)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분리방지부(8)는 상기 제동와이어(7)가 절단되는 경우, 상기 제한부(6)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분리방지부(8)는 상기 제한부(6)에 지지됨으로써 상기 삽입공(61)에 삽입된 제동와이어(7)가 상기 삽입공(61)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썰매(1)는 상기 제동와이어(7)가 절단되는 경우에도 절단된 제동와이어(7) 및 상기 제한부(6)를 통해 상기 제1기동부(3)와 상기 제2기동부(4)가 서로 연결되도록 구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썰매(1)는 주행 도중에 상기 제동와이어(7)가 절단되더라도 감속이 가능하도록 구현됨으로써, 탑승자에 대한 사고 위험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참고하여, 상기 제동와이어(7)가 절단됨에 따라 상기 분리방지부(8)가 상기 제한부(6)에 지지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제동와이어(7)가 절단된 상태에서, 탑승자는 제동을 위해 상기 제1기동부(3)를 상기 제1방향(C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음, 상기 제1기동부(3)는 상기 제1방향(C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절단된 제동와이어(7)를 상기 제1방향(CD 화살표 방향)으로 당길 수 있다.
다음, 절단된 제동와이어(7)는 상기 제한면(62)에 지지되지 않으므로, 상기 제1방향(C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삽입공(61)으로부터 이탈되기 시작할 수 있다.
다음, 분리방지부(8)는 절단된 제동와이어(7)가 상기 삽입공(61)으로부터 이탈되기 시작함에 따라 상기 지지면(64)쪽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기준으로, 분리방지부(8)는 상기 제2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음, 상기 분리방지부(8)는 상기 제2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다가 상기 지지면(64)에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절단된 제동와이어(7)는 상기 삽입공(61, 도 6에 도시됨)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다음, 상기 분리방지부(8)가 상기 지지면(64)에 지지된 다음에도 탑승자가 상기 제1기동부(3)를 계속 상기 제1방향(C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절단된 제동와이어(7)는 상기 제1방향(C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한부(6)를 상기 제1방향(CD 화살표 방향)으로 당길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썰매(1)는 상기 분리방지부(8)가 상기 제동와이어(7)에 설치된 위치에 따라 다양한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를 참고하면, 상기 분리방지부(8)는 상기 지지면(64)으로부터 상기 제1방향(CD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제동와이어(7)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분리방지부(8)는 상기 지지면(64)으로부터 이격거리(D)만큼 이격되도록 상기 제1방향(CD 화살표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썰매(1)는 상기 분리방지부(8)를 상기 제동와이어(7)에 설치하는 과정에서 설치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의 손, 작업기구 등이 상기 제한부(6)에 간섭되지 않도록 구현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썰매(1)는 상기 분리방지부(8)를 설치하는 설치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분리방지부(8)는 상기 지지면(64)에 접촉되도록 상기 제동와이어(7)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분리방지부(8)는 상기 제동와이어(7)가 절단되는 경우, 상기 제2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상기 이격거리(D, 도 9에 도시됨)만큼 이동하지 않고도 상기 지지면(64)에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썰매(1)는 상기 분리방지부(8)가 상기 지지면(64)으로부터 상기 이격거리(D)만큼 이격된 경우에 비해 제동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구현된다. 상기 분리방지부(8)가 상기 지지면(64)으로부터 상기 이격거리(D)만큼 이격되는 경우에는, 탑승자가 제동을 위해서 상기 제1기동부(3)를 상기 이격거리(D)만큼 더 이동시켜야 하므로 제동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썰매(1)는 제동시간을 감소시킴으로써 탑승자에 대한 안전성을 더 증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썰매(1)는 상기 제동와이어(7)가 절단되기 전 및 절단된 후를 기준으로, 제동을 위해 상기 제1기동부(3)가 이동해야 하는 거리가 변동되지 않으므로 제동감도가 일정하게 유지된다는 장점도 있다.
상기 분리방지부(8)는 단면이 상기 삽입공(61)의 직경보다 더 큰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리방지부(8)는 압착 등의 방식을 통해 상기 제동와이어(7)에 설치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상기 분리방지부(8)는 제1분리방지부재(81) 및 제2분리방지부재(8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분리방지부재(81)는 상기 제1연장와이어(72)에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제1분리방지부재(81)는 상기 제1연장와이어(72)가 절단되면 상기 제한부(6)에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썰매(1)는 상기 제2연장와이어(73)가 상기 제1기동부(3) 및 상기 제한부(6)를 연결하도록 구현된다. 이하에서는, 도 11을 참고하여, 상기 제1연장와이어(72)가 끊어진 경우 탑승자가 롤러 썰매(1)를 감속시키는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제1연장와이어(72)가 절단된 상태에서, 탑승자는 제동을 위해 상기 제1기동부(3, 도 3에 도시됨)를 상기 제1방향(C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음, 상기 제1기동부(3)는 상기 제1방향(C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2연장와이어(73)를 상기 제1방향(CD 화살표 방향)으로 당길 수 있다.
다음, 제1분리방지부재(81)는 상기 제2연장와이어(73)가 상기 제1방향(C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2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제1분리방지부재(81)는 상기 제2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다가 상기 지지면(64)에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연장와이어(73)는 상기 제1방향(C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한부(6)를 상기 제1방향(CD 화살표 방향)으로 당길 수 있게 된다.
다음, 상기 제한부(6)가 상기 제1방향(C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2롤러(41)를 상기 제1방향(C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2롤러(41)가 상기 제1방향(C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동부(5)에 접촉되면, 상기 제2롤러(41)의 회전은 제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썰매(1)는 감속될 수 있다.
상기 제2분리방지부재(82)는 상기 제2연장와이어(73)에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제2분리방지부재(82)는 상기 제2연장와이어(73)가 절단되면 상기 제한부(6)에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썰매(1)는 상기 제1연장와이어(72)가 상기 제1기동부(3) 및 상기 제한부(6)를 연결하도록 구현된다. 이하에서는, 도 12를 참고하여, 상기 제2연장와이어(73)가 끊어진 경우 탑승자가 롤러 썰매(1)를 감속시키는 과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제2연장와이어(73)가 절단된 상태에서, 탑승자는 제동을 위해 상기 제1기동부(3, 도 3에 도시됨)를 상기 제1방향(C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다음, 상기 제1기동부(3)는 상기 제1방향(C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연장와이어(72)를 상기 제1방향(CD 화살표 방향)으로 당길 수 있다.
다음, 제2분리방지부재(82)는 상기 제1연장와이어(72)가 상기 제1방향(C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2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다음, 상기 제2분리방지부재(82)는 상기 제2방향(D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다가 상기 지지면(64)에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연장와이어(72)는 상기 제1방향(C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한부(6)를 상기 제1방향(CD 화살표 방향)으로 당길 수 있게 된다.
다음, 상기 제한부(6)가 상기 제1방향(C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2롤러(41)를 상기 제1방향(C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제2롤러(41)가 상기 제1방향(CD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동부(5)에 접촉되면, 상기 제2롤러(41)의 회전은 제한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썰매(1)는 감속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 :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썰매 2 : 탑승본체
3 : 제1기동부 4 : 제2기동부
5 : 제동부 6 : 제한부
7 : 제동와이어 8 : 분리방지부
21 : 탑승석 31 : 제1롤러
41 : 제2롤러 61 : 삽입공
62 : 제한면 63 : 제한공
64 : 지지면 71 : 중간와이어
72 : 제1연장와이어 73 : 제2연장와이어
81 : 제1분리방지부재 82 : 제2분리방지부재

Claims (8)

  1. 탑승석이 마련된 탑승본체;
    상기 탑승본체를 주행시키기 위한 제1롤러를 가지고, 상기 탑승본체에 설치된 제1기동부;
    상기 탑승본체를 주행시키기 위한 제2롤러를 가지고, 상기 제1기동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탑승본체에 설치된 제2기동부;
    상기 제2롤러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제동부;
    상기 제2기동부에 설치된 제한부;
    상기 제1기동부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2기동부가 이동하도록 상기 제1기동부 및 상기 제한부를 연결하는 제동와이어; 및
    상기 제1기동부 및 상기 제한부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동와이어에 설치된 분리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동와이어는 일단과 타단이 상기 제1기동부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상기 제1기동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한부는 상기 제동와이어가 삽입되는 삽입공을 포함하며,
    상기 삽입공에는 상기 제1기동부 및 상기 제한부가 하나의 제동와이어로 연결되도록 상기 제동와이어의 일단 및 상기 제동와이어의 타단 사이가 삽입되고,
    상기 분리방지부는 상기 제동와이어가 절단되는 경우, 절단된 제동와이어가 상기 제1기동부 및 상기 제한부를 연결한 상태로 유지하도록 상기 제한부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썰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와이어는 상기 삽입공에 삽입되는 중간와이어, 상기 중간와이어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제1기동부 쪽으로 연장되는 제1연장와이어, 및 상기 중간와이어의 타단으로부터 상기 제1기동부 쪽으로 연장되는 제2연장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연장와이어 및 상기 제2연장와이어는 상기 제1기동부의 서로 다른 위치에서 상기 제1기동부에 설치되며,
    상기 중간와이어는 상기 제1연장와이어 및 상기 제2연장와이어를 연결하도록 상기 제1연장와이어 및 상기 제2연장와이어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썰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방지부는 상기 제1연장와이어에 설치되는 제1분리방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분리방지부재는 상기 제1연장와이어가 절단되는 경우, 상기 제2연장와이어가 상기 제1기동부 및 상기 제한부를 연결한 상태로 유지하도록 상기 제한부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썰매.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방지부는 상기 제2연장와이어에 설치되는 제2분리방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분리방지부재는 상기 제2연장와이어가 절단되는 경우, 상기 제1연장와이어가 상기 제1기동부 및 상기 제한부를 연결한 상태로 유지하도록 상기 제한부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썰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는 상기 삽입공에 삽입된 제동와이어를 지지하는 제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한면은 곡률중심이 상기 제한부와 상기 제1기동부의 사이에 위치한 곡면(曲面)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썰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는 상기 제동와이어가 절단되는 경우, 상기 분리방지부를 지지하는 지지면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방지부는 상기 지지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제동와이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썰매.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는 상기 제동와이어가 절단되는 경우, 상기 분리방지부를 지지하는 지지면을 포함하고,
    상기 분리방지부는 상기 지지면으로부터 상기 제1기동부를 향하는 제1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제동와이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썰매.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한부는 상기 제동와이어가 삽입되는 제한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한공은 상기 제동와이어가 이동 가능한 거리를 제한하도록 상기 삽입공에 비해 단면의 크기가 더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썰매.
KR1020170041011A 2017-03-30 2017-03-30 롤러 썰매 KR1019186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1011A KR101918630B1 (ko) 2017-03-30 2017-03-30 롤러 썰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1011A KR101918630B1 (ko) 2017-03-30 2017-03-30 롤러 썰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2161A true KR20180112161A (ko) 2018-10-12
KR101918630B1 KR101918630B1 (ko) 2018-11-15

Family

ID=63876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1011A KR101918630B1 (ko) 2017-03-30 2017-03-30 롤러 썰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863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1946B1 (ko) 2019-05-23 2020-02-26 주식회사 더미동 롤러 썰매 제동장치
KR20220000141U (ko) 2020-07-07 2022-01-14 아이스월드 주식회사 롤러 썰매의 제동장치
KR102350453B1 (ko) 2021-05-18 2022-01-17 주식회사 유니모토 이송 장치 및 이송 설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951B1 (ko) * 2008-10-10 2009-04-22 (주)엔티전기 무대기기 승강장치용 브레이크
KR101677140B1 (ko) * 2016-07-26 2016-11-18 해강개발(주) 브레이크 기능이 개선된 롤러 썰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8630B1 (ko) 2018-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18630B1 (ko) 롤러 썰매
JP4500739B2 (ja) 車両用ペダルの後退防止装置
EP0757659B1 (en) Safety brake apparatus for an elevator car or counterweight
CN102388349A (zh) 具有安全装置的机动车踏板
US6918319B2 (en) Device for fixing a pedal lever of a motor vehicle
EP1264740B1 (en) Rearward displacement prevention mechanism for vehicle control pedal
KR20190048292A (ko) 롤러 썰매
KR101757783B1 (ko) 오버헤드 컨베이어
KR970026664A (ko) 케이블카 장치
JP4633637B2 (ja) 索条牽引式輸送設備の台車牽引構造
US11834301B2 (en) Guide device for an elevator car and elevator system
EP2431261B1 (en) Safety device for a spare-wheel pick-up system
JP4046232B2 (ja) 自動車用ブレーキペダルアセンブリ
JP6441436B1 (ja) 逆走車衝突回避システム
JP4783148B2 (ja) ブレーキ作動を伴う乗用コンベヤの駆動監視機構
KR200358844Y1 (ko) 정속 주행장치
KR101459658B1 (ko) 차량용 브레이크 페달의 밀림방지장치
JP4844025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室手摺装置
JP2002046596A (ja) 空中ケーブルシステムの搬送手段用走行歯車機構
KR0121681Y1 (ko) 자동차용 주차브레이크
JPH08216882A (ja) 過走車両停止装置
JP2003165681A (ja) エレベータの空調装置
KR20030042194A (ko) 차량비상 정지장치
KR200202879Y1 (ko) 차량용 보조브레이크장치
KR0168568B1 (ko) 자동차용 충돌시험장비의 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