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42194A - 차량비상 정지장치 - Google Patents

차량비상 정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42194A
KR20030042194A KR1020010072845A KR20010072845A KR20030042194A KR 20030042194 A KR20030042194 A KR 20030042194A KR 1020010072845 A KR1020010072845 A KR 1020010072845A KR 20010072845 A KR20010072845 A KR 20010072845A KR 20030042194 A KR20030042194 A KR 200300421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convergent
width
jaw
jaw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72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광영
Original Assignee
유광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광영 filed Critical 유광영
Priority to KR1020010072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42194A/ko
Publication of KR20030042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42194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00Design or layout of roads, e.g. for noise abatement, for gas absorption
    • E01C1/002Design or lay-out of roads, e.g. street systems, cross-sections ; Design for noise abatement, e.g. sunken roa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1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and having means for providing occasional passage, e.g. for emergency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14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specially adapted for local protection, e.g. for bridge piers, for traffic islands
    • E01F15/145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 E01F15/146Means for vehicle stopping using impact energy absorbers fixed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상에 차량의 폭보다 크게 확대된 개구부를 가지고 점차적으로 내측으로 향할 수록 수렴(Converging)하여 최종적으로는 차량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된 수렴턱부를 배치하여 차량을 완충시키면서 비상 정지시킴으로써 차량의 파손및 인명피해를 최소화하도록 개선된 차량비상 정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로의 일측에 차량의 폭보다 크게 확대된 개구부를 가지고 서로 마주하는 수렴턱부들을 구비하고, 상기 수렴턱부들은 그 사이의 폭이 점차적으로 내측으로 향할 수록 수렴(Converging)하여 최종적으로는 차량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수렴턱부 사이로 진입하는 차량의 바퀴 양측을 수렴턱부사이에서 협지하여 마찰시킴으로써 완충시켜 비상 정지시키도록 구성되는 차량비상 정지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비상 정지장치{AN APPARATUS FOR STOPPING VEHICLE IN CASE OF EMERGENCY}
본 발명은 차량에서 브레이크가 파손되는 등의 비상사태시 차량을 강제 정지시키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도로상에 차량의 폭보다 크게 확대된 개구부를 가지고 점차적으로 내측으로 향할 수록 수렴(Converging)하여 최종적으로는 차량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된 수렴턱부를 배치하여 차량을 완충시키면서 비상 정지시킴으로써 차량의 파손및 인명피해를 최소화하도록 개선된 차량비상 정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용차, 화물차, 오토바이등과 같은 차량들은 모두 원형의 바퀴들을 가지고, 엔진의 구동력에 의해서 고속주행하게 된다. 이러한 차량들은 고갯길등을 내려오는 경우, 브레이크등이 돌발적으로 파손되어 제기능을 하지 못하는 비상사태가 발생된다.
이와 같은 비상사태의 경우, 운전자들은 매우 당황하게 되며, 특히 고갯길과 같은 곳이라면 더욱 당황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운전자들은 주행속도를 최대한 줄여보기 위해 저단 기어를 변속장치에 넣어 엔진 브레이크를 시도하여 보지만, 차량은 정지되지 않고, 단지 조금 감속되고 계속 주행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비상사태에 대비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도 9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차량 비상정지장치(100)를 도로(110)에 구비하는 것이었다. 이는 도로(110)의 일측에 차량대피공간(105)을 형성하고, 그 차량대피공간(105)에는 경사면을 주어 차량(120)을 감속시키거나, 그 차량대피공간(105)에 모래주머니, 혹은 폐타이어등을 쌓아서 인공장해물(130)을 구축함으로서 차량(120)이 비상시에 충돌하도록 하고, 그에 따라서 비상 정지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도로(110)의 일측에 비교적 큰 차량대피공간(105)을 형성하고, 다수의 인공장해물(130)들을 구축하여야 함으로써 그 규모가 크고, 그에 따라서 이들을 설치하는 데에 비용이 크게 되어 효율적이지 못하다.
뿐만 아니라, 비록 다소의 완충효과는 얻을 수 있지만, 여전히 차량(120)및 탑승자에게 큰 충격을 주게 됨으로써 차량(120)의 파손이 심각함은 물론, 탑승자에게도 큰 부상을 입히는 문제점을 갖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서 차량을 완충시키면서 비상 정지시키되, 차량의 파손및 인명피해를 최소화하도록 개선된 차량비상 정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제 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비상정지장치가 도로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제 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비상정지장치가 도로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제 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비상정지장치에 갖춰진 수렴턱부의 구조를 상세히 도시한 도면으로서,
a)도는 수렴턱부의 정면도, b)도는 단면도;
제 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비상정지장치가 동작되는 상태를 시간에 따라서 단계적으로 도시한 설명도;
제 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비상정지장치의 작동 상태도로서,
a)도는 비상시 자동차가 진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b)도는 비상시 자동차가 진입하여 정지된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제 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비상정지장치의 작동 상태도로서,
a)도는 비상시 오토바이가 진입되는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b)도는 비상시 오토바이가 진입하여 정지된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
제 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비상정지장치의 변형 실시예로서, 수렴턱부를 완충부재로 구성하고 지지벽을 형성한 평면도;
제 8도는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비상정지장치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제 9도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차량비상 정지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제 10도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차량비상 정지장치의 동작설명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개구부 10a,10b,10a',10b'.... 수렴턱부
15a... 곡면 15b.... 수직면
20.... 보강부재 105.... 차량대피공간
110... 도로 120.... 차량
120a.. 바퀴 130.... 장해물
W..... 수렴턱부 사이폭 w1..... 차량 전방바퀴 사이폭
w2.... 수렴턱부 최소폭 w3..... 도로폭
H..... 수렴턱부 높이 h1..... 차량 최소 바퀴직경
h2.... 차량 최대 바퀴직경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차량에서 브레이크가 파손되는 등의 비상사태시 차량을 강제 정지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도로의 일측에는 차량의 폭보다 크게 확대된 개구부를 가지고 서로 마주하는 수렴턱부들을 구비하고, 상기 수렴턱부들은 그 사이의 폭이 점차적으로 내측으로 향할 수록 수렴(Converging)하여 최종적으로는 차량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수렴턱부 사이로 진입하는 차량의 바퀴 양측을 수렴턱부사이에서 협지하여 마찰시킴으로써 완충시켜 비상 정지시키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비상 정지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수렴턱부의 일측면은 그 상부모서리의 일부분이 곡면을 형성하여 차량 바퀴의 미끄러짐을 초래함으로써 차량이 상기 수렴턱부내로 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비상 정지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에서 브레이크가 파손되는 등의 비상사태시 차량을 강제 정지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도로의 일측에는 차량의 폭보다 크게 확대된 개구부를 가지고 서로 마주하는 완충재료의 수렴턱부들을 구비하고, 상기 수렴턱부의 배후측에는 상기 수렴턱부를 지지하는 보강부재들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수렴턱부들은 그 사이의 폭이 점차적으로 내측으로 향할 수록 수렴(Converging)하여 최종적으로는 차량의 폭보다 작은 폭을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수렴턱부 사이로 진입하는 차량의 바퀴 양측을 수렴턱부사이에서 협지하여 마찰시킴으로써 완충시켜 비상 정지시키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비상 정지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 1도및 제 2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비상 정지장치(1)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차량비상 정지장치(1)는 도로(110)의 일측에는 차량(120)의 전방바퀴(120a)사이의 폭(w1)보다 크게 확대된 개구부(5)를 가지고 서로 마주하는 수렴턱부(10a)(10b)들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수렴턱부(10a)(10b)들은 그 사이의 폭(W)이 점차적으로 내측으로 향할수록 그 폭이 좁아지는 수렴(Converging)구조를 갖추며, 최종적으로는 내단부는 차량(120)의 전방바퀴 폭(w1)보다 작은 폭(w2)을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수렴턱부(10a)(10b) 사이로 진입하는 차량(120)의 바퀴(120a) 양측을 수렴턱부(10a)(10b)사이에서 협지하여 마찰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상기 수렴턱부(10a)(10b)의 개구부(5)의 폭(W)은 현재 도로(110)에서 주행가능한 차량(120)중의 가장 큰 최대 바퀴(120a)사이의 폭보다 크고, 상기 도로(110)의 폭(w3)보다 작으며, 수렴턱부(10a)(10b)들의 최소폭(w2)은 주행가능한 차량(120)중의 가장 작은 바퀴(120a)사이의 폭보다 작은 것이다.
이와 같은 이유는 상기 수렴턱부(10a)(10b)의 개구부(5)의 폭(W)이 도로(110)에서 주행가능한 차량(120)중의 가장 큰 최대 바퀴(120a)사이의 폭보다 크고, 수렴턱부(10a)(10b)들의 최소폭(w2)이 주행가능한 차량(120)중의 가장 작은 바퀴(120a)사이의 폭보다 작아야 도로(110)상을 주행중인 모든 차종의 차량(120)들에 대하여 수렴턱부(10a)(10b)에서 정지기능을 할 수 있고, 상기 개구부(5)의 폭(W)이 도로(110)의 폭(w3)보다 크게 되면, 더 이상 불필요한 크기이기 때문에 예산 낭비를 초래하게 된다.
만일, 오토바이와 같은 2륜차량(120)인 경우에는 수렴턱부(10a)(10b)의 최소폭(w2)이 상기 오토바이의 바퀴(120a)의 폭(w4)보다 작아야 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렴턱부(10a)(10b)의 높이(H)를 갖는다. 즉, 수렴턱부(10a)(10b)의 높이(H)는 현재 도로(110)에서 주행가능한 차량(120)중의 가장 작은 최소 바퀴(120a) 직경(h1)보다 크고, 주행가능한 차량(120)중의 가장 큰 챠량의 바퀴 높이(h2)의 1/2보다 낮은 것이다. 상기에서 수렴턱부(10a)(10b)의 높이(H)가 주행가능한 차량(120)중의 가장 작은 최소 바퀴(120a) 직경(h1)보다 큰 이유는, 상기 수렴턱부(10a)(10b)가 그 정도는 되어야대형차들이 넘어가지 못하도록 하기 위함이고, 주행가능한 차량(120)중의 가장 큰챠량의 최대 바퀴높이(h2)의 1/2보다 작도록 한 것은 그 정도이면 도로에서 주행가능한 모든 차종에 대해서 브레이크 제동능력을 부여할 수 있으며, 동시에 과도한 높이(H)를 갖는 것은 불필요한 설치예산만이 낭비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수렴턱부(10a)(10b)는 도로(110)측을 향한 일측면의 상부모서리 일부분이 곡면(15a)을 형성하고, 그 하부측은 수직면(15b)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곡면(15a)에서는 차량 바퀴(120a)의 미끄러짐을 초래함으로써 차량(120)이 상기 수렴턱부(10a)(10b)내로 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그 하부의 수직면(15b)들은 바퀴(120a)의 외면에 서로 마주하여 그 사이에서 차량(120)의 바퀴(120a)들을 면접촉하여 완충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곡면(15a)들은 개구부(5)측으로 부터 내측으로 향할 수록 그 크기가 작아지도록 구성됨으로써 개구부(5)의 초입에서 차량 바퀴(120a)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개구부(5)의 내측 깊은 곳에서는 곡면(15a)보다는 수직면(15b)이 차량(120)의 전방바퀴(120a) 양측면에 보다 많이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제동 마찰능력을 더욱 크게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20)의 제동장치가 고장나는 등의 비상사태에는 차량(120)을 수렴턱부(10a)(10b)사이의 개구부(5)로 몰게 된다. 이러한 경우, 차량(120)은 개구부(5)의 중앙으로 진입하여 최소폭(w3)측으로 진입하게 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개구부(5)의 정중앙으로 진입하였다면, 차량(120)의 전방바퀴(120a)의 양측면에 수렴턱부(10a)(10b)의 곡면(15a)과 수직면(15b)에 마찰되면서 점차 감속되고, 결과적으로는 수렴턱부(10a)(10b)의 폭(W)이 해당 차량(120)의 전방 바퀴폭(w1)보다 작은 부분에서는 차량(120)의 전방바퀴(120a)가 끼어 강제 정지되는 것이다.
그러나, 만일 차량(120)이 개구부(5)의 정중앙으로 진입하지 못하는 대부분의 경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20)의 전방바퀴(120a)중 수렴턱부(10a)(10b)중의 어느 하나(10a)에 근접한 것이 먼저 그 수렴턱부(10a)에 충돌되고, 그 반발력으로서 차량(120)은 방향이 틀어져서 그 반대측의 전방바퀴(120a)가 반대측면의 수렴턱부(10b)에 충돌되며, 다시 그 반발력으로 그 반대편측의 수렴턱부(10a)에 충돌되고 하는 식으로, 상기 수렴턱부(10a)(10b)사이를 진입하여 결과적으로는 수렴턱부(10a)(10b)의 폭(W)이 해당 차량(120)의 전방 바퀴(120a)의 폭(w1)보다 작은 부분에서는 차량(120)의 전방바퀴(120a)가 끼어 강제 정지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차량(120)은 수렴턱부(10a)(10b)내를 일정거리 진행하게 되며, 상기 수렴턱부(10a)(10b)의 상부측에 형성된 곡면(15a)들은 차량(120)의 전방바퀴(120a)가 미끄러지도록 하여 차량(120)이 수렴턱부(10a)(10b)를 넘어서지 못하도록 기능하는 것이다.
이러한 수렴턱부(10a)(10b)의 기능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4륜차량(120)의 경우나,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오토바이의 2륜차량(120)에 각각 적용되어 효과적으로 상기 차량(120)들을 정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수렴턱부(10a)(10b)의 개구부(5)사이로 차량(120)을 진입시키기만 하면, 차량(120)의 전방바퀴(120a)들이 수렴턱부(10a)(10b)에 의해서 안내되어 강제 정지됨으로써 비상정지시킬 수 있고,이러한 과정에서 차량(120)은 완충효과를 얻게 되어 차량(120)에 가해지는 손상과 탑승자의 피해는 최소화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수렴턱부(10a)(10b)의 재료로서는 시멘트, 콘크리트, 고무, 나무, 플라스틱등 여러가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러한 재료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수렴턱부(10a)(10b)의 중간 중간에는 폐타이어등의 완충부재를 일정간격으로 돌출하도록 매설함으로써 수렴구조에 의한 제동능력에 더하여 추가적인 완충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도 7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변형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도로(110)의 일측에서 차량(120)의 전방바퀴 폭(w1)보다 크게 확대된 폭(w)의 개구부(5)를 가지고, 서로 마주하는 수렴턱부(10a')(10b')들을 구비하되, 상기 수렴턱부(10a')(10b')들은 완충재료들로서 이루어지고, 상기 수렴턱부(10a')(10b')의 배후측에는 상기 수렴턱부(10a')(10b')를 지지하는 보강부재(20)들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수렴턱부(10a')(10b')들은 그 사이의 폭(W)이 점차적으로 내측으로 향할 수록 수렴(Converging)하여 최종적으로는 차량(120)의 전방바퀴폭(w1)보다 작은 폭(w2)을 갖도록 구성되어 질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상기 수렴턱부(10a')(10b')들은 폐타이어, 고무재료등의 탄성 완충력이 우수한 재료들로서 이루어지고, 그 후방측의 보강부재(20)들은 시멘트, 콘크리트등의 견고한 구축물들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비상정지장치(1)는 수렴턱부(10a)(10b),
(10a')(10b')로 부터 차량(120)에 가해지는 충격력을 보다 최소화할 수 있음으로써 탑승자들은 차량(120)을 보다 더 양호하게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상기 수렴턱부(10a)(10b)(10a')(10b')들은 도 3에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곡면(15a)과 수직면(15b)들을 형성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비상사태의 차량(120)들을 안내하고, 완충시켜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도로(110)의 일측에 장착되는 서로 대향한 수렴턱부(10a)(10b) 또는 (10a')(10b')들을 구비한 간단한 구조로서 차량(120)을 완충시키면서 비상 정지시킬 수 있음으로써, 그 구조적으로 효율성이 높아지는 한편, 마치 차량 제동장치의 브레이크 작동과 유사하게 바퀴(120a)가 수렴턱부(10a)(10b), (10a')(10b')에 마찰하여 정지됨으로써 그 완충효과도 우수하여 차량(120)의 파손및 인명피해를 최소화하도록 개선된 효과를 얻는 것이다.

Claims (8)

  1. 차량(120)에서 브레이크가 파손되는 등의 비상사태시 차량(120)을 강제 정지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도로(110)의 일측에는 차량(120)의 전방바퀴 폭(w1)보다 크게 확대된 개구부(5)를 가지고 서로 마주하는 수렴턱부(10a)(10b)들을 구비하며, 상기 수렴턱부(10a)(10b)들은 그 사이의 폭(W)이 점차적으로 내측으로 향할 수록 수렴(Converging)하여 최종적으로는 차량(120)의 전방바퀴 폭(w1)보다 작은 폭(w2)을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수렴턱부(10a)(10b) 사이로 진입하는 차량(120)의 바퀴(120a) 양측을 수렴턱부(10a)(10b)사이에서 협지하여 마찰시킴으로써 완충시켜 비상 정지시키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비상 정지장치.
  2. 차량(120)에서 브레이크가 파손되는 등의 비상사태시 차량(120)을 강제 정지시키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도로(110)의 일측에는 차량(120)의 전방바퀴 폭(w1)보다 크게 확대된 개구부(5)를 가지고 서로 마주하는 완충재료의 수렴턱부(10a')(10b')들을 구비하고, 상기 수렴턱부(10a')(10b')의 배후측에는 상기 수렴턱부(10a')(10b')를 지지하는 보강부재(20)들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수렴턱부(10a')(10b')들은 그 사이의 폭이 점차적으로 내측으로 향할 수록 수렴(Converging)하여 최종적으로는 차량(120)의 전방바퀴 폭(w1)보다 작은 폭(w2)을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수렴턱부(10a')(10b') 사이로 진입하는 차량(120)의 바퀴(120a) 양측을 수렴턱부(10a')(10b')사이에서 협지하여 마찰시킴으로써 완충시켜 비상 정지시키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비상 정지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렴턱부(10a)(10b)또는 수렴턱부(10a')(10b') 의 개구부(5)의 폭(W)은 도로(110)에서 주행가능한 차량(120)중의 가장 큰 최대 바퀴(120a) 폭보다 크고, 상기 도로(110)의 폭(w3)보다 작으며, 수렴턱부(10a)(10b)들의 최소폭(w2)은 주행가능한 차량(120)중의 가장 작은 바퀴(120a)의 폭보다 작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비상 정지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렴턱부(10a)(10b)또는 수렴턱부(10a')(10b')의 일측면은 그 상부모서리의 일부분이 곡면(15a)을 형성하여 차량 바퀴(120a)의 미끄러짐을 초래함으로써 차량(120)이 상기 수렴턱부(10a)(10b)내로 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비상 정지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렴턱부(10a)(10b)또는 수렴턱부(10a')(10b')의 높이(H)는 현재 도로(110)에서 주행가능한 차량(120)중의 가장 작은 최소 바퀴(120a) 직경(h1)보다 크고, 주행가능한 차량(120)중의 가장 큰 챠량의 바퀴 높이(h2)의 1/2보다 낮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비상 정지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120)이 개구부(5)의 정중앙으로 진입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차량(120)의 전방바퀴(120a)중 수렴턱부(10a)(10b)또는 수렴턱부(10a')(10b')에 근접한 것이 먼저 수렴턱부(10a) 또는 (10a')에 충돌되고, 그 반발력으로서 차량(120)은 방향이 틀어져서 그 반대측의 전방바퀴(120a)가 반대측면의 수렴턱부(10b)또는 (10b')에 충돌되며, 다시 그 반발력으로 그 반대편측의 수렴턱부(10a)또는 (10a')에 충돌되고 하는 식으로 상기 수렴턱부(10a)(10b)또는 수렴턱부(10a')(10b')사이를 진입하여 결과적으로는 수렴턱부(10a)(10b)또는 수렴턱부(10a')(10b')의 폭(W)이 해당 차량(120)의 전방 바퀴폭(w1)보다 작은 부분에서는 차량(120)의 전방바퀴(120a)가 끼어 강제 정지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비상 정지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곡면(15a)들은 개구부(5)측으로 부터 내측으로 향할 수록 그 크기가 작아지도록 구성됨으로써 개구부(5)의 초입에서 차량바퀴(120a)의 이탈을 방지하고, 개구부(5)의 내측 깊은 곳에서는 곡면(15a)보다는 수직면(15b)이 차량(120)의 전방바퀴(120a) 양측면에 보다 많이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제동 마찰능력을 더욱 크게 형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비상 정지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렴턱부(10a)(10b)의 중간 중간에는 폐타이어등의 완충부재를 일정간격으로 돌출하도록 매설함으로써 수렴구조에 의한 제동능력에 더하여 추가적인 완충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비상 정지장치.
KR1020010072845A 2001-11-22 2001-11-22 차량비상 정지장치 KR200300421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2845A KR20030042194A (ko) 2001-11-22 2001-11-22 차량비상 정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72845A KR20030042194A (ko) 2001-11-22 2001-11-22 차량비상 정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42194A true KR20030042194A (ko) 2003-05-28

Family

ID=295707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72845A KR20030042194A (ko) 2001-11-22 2001-11-22 차량비상 정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42194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19016A (zh) * 2013-09-06 2016-04-20 三德利株式会社 使用基于时变频率的符号来发送和接收声波的方法以及使用所述方法的设备
CN106320118A (zh) * 2016-11-11 2017-01-11 合肥工业大学 一种山区狭窄路段会车和调头安全保障系统
CN112252103A (zh) * 2020-09-30 2021-01-22 江昕 一种高速连续下坡路段针对车辆刹车失灵用紧急避险车道
CN116356620A (zh) * 2023-03-22 2023-06-30 河南长基教育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高速交通安全防护障碍系统及其施工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76185A (en) * 1973-04-02 1975-04-08 J Lynn Welch Vehicle energy absorbing device
US4824282A (en) * 1987-11-06 1989-04-25 Waldecker Donald E Methods and apparatus for quickly erecting a vehicle barrier across a roadway
KR200255923Y1 (ko) * 2001-08-17 2001-12-13 극동엔지니어링(주) 경사로에서 브레이크 고장시를 대비한 안전 정지도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76185A (en) * 1973-04-02 1975-04-08 J Lynn Welch Vehicle energy absorbing device
US4824282A (en) * 1987-11-06 1989-04-25 Waldecker Donald E Methods and apparatus for quickly erecting a vehicle barrier across a roadway
KR200255923Y1 (ko) * 2001-08-17 2001-12-13 극동엔지니어링(주) 경사로에서 브레이크 고장시를 대비한 안전 정지도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519016A (zh) * 2013-09-06 2016-04-20 三德利株式会社 使用基于时变频率的符号来发送和接收声波的方法以及使用所述方法的设备
CN106320118A (zh) * 2016-11-11 2017-01-11 合肥工业大学 一种山区狭窄路段会车和调头安全保障系统
CN106320118B (zh) * 2016-11-11 2018-07-03 合肥工业大学 一种山区狭窄路段会车和调头安全保障系统
CN112252103A (zh) * 2020-09-30 2021-01-22 江昕 一种高速连续下坡路段针对车辆刹车失灵用紧急避险车道
CN116356620A (zh) * 2023-03-22 2023-06-30 河南长基教育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高速交通安全防护障碍系统及其施工方法
CN116356620B (zh) * 2023-03-22 2024-02-09 长基教育科技(浙江)有限公司 一种高速交通安全防护障碍系统及其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382113A (en)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c actuation of a vehicle
US20060267295A1 (en) Supporting structure for wheel
CN101130360A (zh) 汽车副制动刹车装置
KR20030042194A (ko) 차량비상 정지장치
KR200210303Y1 (ko) 자동차용 주차 브레이크장치
CN200981543Y (zh) 一种多功能智能高效刹车装置
CN212477483U (zh) 限位装置、减速带节段及减速带
CN220704364U (zh) 减速带
CN204279389U (zh) 车辆及其辅助制动系统、制动系统
JPS6332549Y2 (ko)
KR200255923Y1 (ko) 경사로에서 브레이크 고장시를 대비한 안전 정지도로
KR200202879Y1 (ko) 차량용 보조브레이크장치
CN216156432U (zh) 一种用于应急避险的公路桥梁用缓冲装置
CN211079963U (zh) 一种市政工程用减速带
CN2223228Y (zh) 自拉式防滑制动器
CN211764929U (zh) 一种加速、减速、驻车、定速巡航一体化装置
KR940000193B1 (ko) 자동차의 제동 안전장치
CN217074650U (zh) 一种具有碰撞紧急制动的电动三轮车
CN111549701B (zh) 一种道路防撞缓冲系统
CN220486322U (zh) 一种道路避险装置
KR100602003B1 (ko) 도로용 차량비상정지장치
CN210554721U (zh) 辅助制动装置及汽车
KR100401890B1 (ko) 경사로 주행시 차량의 밀림방지 장치
CN2285228Y (zh) 汽车安全防滑装置
KR0142348B1 (ko) 자동차의 브레이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