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0453B1 - 이송 장치 및 이송 설비 - Google Patents

이송 장치 및 이송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0453B1
KR102350453B1 KR1020210064344A KR20210064344A KR102350453B1 KR 102350453 B1 KR102350453 B1 KR 102350453B1 KR 1020210064344 A KR1020210064344 A KR 1020210064344A KR 20210064344 A KR20210064344 A KR 20210064344A KR 102350453 B1 KR102350453 B1 KR 102350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disposed
tension
roller
transpor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4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기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니모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니모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니모토
Priority to KR1020210064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04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0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0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3/00Elevated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vehicles
    • B61B3/02Elevated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vehicles with self-propelle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17/00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e of control gear and control systems
    • B61C17/12Control gear;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locomotives from remote points in the train or when operating in multiple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3/00Electric locomotives or rail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9/00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transmission system used; Transmiss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 B61C9/38Transmission systems in or for 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with electric motor propul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16H1/1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worm and worm-wheel

Abstract

본 발명은 이송 장치 및 이송 설비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레일(rail)에 걸려 상기 레일을 따라 구동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를 커버하는 하우징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기; 및 상기 하우징부에 설치되고, 외부 물체가 이송되도록 상기 외부 물체가 걸리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이송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이송 장치 및 이송 설비{TRANSFER APPARATUS AND TRANSFER INSTALLATION}
본 발명은 이송 장치 및 이송 설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도로나 트랙 등에서 무동력으로 탑승할 수 있는 루지(luge)와 같은 롤러 썰매를 원하는 장소로 이송시킬 수 있는 이송 장치 및 이송 설비에 대한 발명이다.
롤러 썰매는, 경사로나 트랙 등에서 탑승자가 탑승하여 탈 수 있는 무동력 카트이다. 이런 롤러 썰매는 중력에 의해 빠른 속력을 가지고 경사로나 트랙을 따라 주행된다. 따라서 이러한 롤러 썰매에는 바퀴가 설치되며, 제동을 위한 제동장치가 구비된다.
롤러 썰매는 무동력으로 중력에 의해 구동되기 때문에 경사로를 따라 내려가는 방향으로 주행된다. 따라서 경사로에서 주행을 마친 롤러 썰매를 출발 지점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별도의 차량을 이용하여야 한다.
별도 차량을 이용하기 때문에 한 번에 출발 지점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롤러 썰매의 대수가 정해질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롤러 썰매를 출발 지점으로 이동시키는 동안 출발 지점에서 롤러 썰매를 이용하지 못하기 때문에 롤러 썰매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는 롤러 썰매를 출발 지점으로 이송하는 시간까지 고려하여 롤러 썰매의 대수를 구비할 필요가 있다. 그에 따라 롤러 썰매의 대수를 과잉으로 구비해 놓는 등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18630호 (2018.11.08)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발명된 것으로서, 탑승자가 이용한 롤러 썰매를 출발 지점으로 빠르게 정확하게 이송시킬 수 있는 이송 장치 및 이송 설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레일(rail)에 걸려 상기 레일을 따라 구동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를 커버하는 하우징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기; 및 상기 하우징부에 설치되고, 외부 물체가 이송되도록 상기 외부 물체가 걸리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이송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모터;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하나 이상의 드라이브 기어; 하나 이상의 상기 드라이브 기어와 맞물리도록 배치된 하나 이상의 아이들 기어; 하나 이상의 상기 아이들 기어와 맞물리도록 배치된 복수 개의 피니언 기어; 및 상기 레일과 접촉되도록 배치되고, 복수 개의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복수 개의 레일 롤러를 포함하는, 이송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모터와 연결되고, 상기 모터의 구동 속도를 감속하는 웜 감속기를 더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상기 드라이브 기어는 상기 웜 감속기에 의해 회전되는, 이송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부는, 하나 이상의 상기 드라이브 기어 및 하나 이상의 상기 아이들 기어를 감싸도록 배치된 본체 커버; 및 상기 본체 커버의 상부에 배치되고, 복수 개의 상기 피니언 기어 및 복수 개의 레일 롤러를 감싸도록 배치된 롤러 커버를 포함하는, 이송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본체 커버의 고정되며, 상기 레일을 가압하는 복수 개의 텐션 조정기를 더 포함하는, 이송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상기 텐션 조정기는, 상기 본체 커버의 외면에 설치된 텐션 지지대; 상기 텐션 지지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부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체;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레일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된 텐션바; 상기 텐션 지지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텐션바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배치된 지지기둥; 및 상기 텐션바에 설치되며, 상기 레일과 접촉되는 텐션 롤러를 포함하는, 이송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상기 텐션 롤러와 복수 개의 상기 레일 롤러 사이에는 상기 레일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는, 이송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복수 개의 상기 피니언 기어 및 복수 개의 상기 레일 롤러의 중심축에 배치된 복수 개의 피니언 샤프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롤러 커버의 내측에 배치되고, 복수 개의 피니언 샤프트의 양단에 결합된 롤러 회전기를 더 포함하는, 이송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하나 이상의 아이들 기어의 중심축에 배치되는 아이들 샤프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아이들 샤프트는, 복수 개의 상기 텐션 조정기 사이에 배치되는, 이송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는, 일단이 상기 하우징부에 결합되며, 소정의 길이를 갖는 훅암; 및 상기 훅암의 타단에 결합되고, 상기 외부 물체가 걸리는 걸림고리를 포함하는, 이송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어기를 조작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이송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어기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구동부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동작하도록 선택하는 선택 스위치를 포함하는, 이송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소정의 길이를 갖는 레일(rail);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외부 물체를 이송시키는 이송 장치; 및 상기 이송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 장치는, 상기 레일을 따라 구동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를 커버하는 하우징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기; 및 상기 하우징부에 설치되며, 상기 외부 물체가 걸리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이송 설비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 장치는, 상기 레일을 따라 상기 레일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 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트로리바; 상기 트로리바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엔드 분전반; 및 복수 개의 상기 엔드 분전반에 전원을 공급하며, 외부의 상용 계통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하나 이상의 메인 분전반을 포함하는, 이송 설비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 장치는, 하나 이상의 상기 메인 분전반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복수 개의 상기 엔드 분전반에 전원을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서브 분전반을 더 포함하는, 이송 설비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 장치는, 상기 트로리바에 흐르는 전원을 차단하는 하나 이상의 차단기를 더 포함하는, 이송 설비가 제공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상기 차단기는 상기 서브 분전반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이송 설비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별도로 롤러 썰매를 이송시키기 위한 차량을 이용하지 않고, 이송 설비의 레일을 따라 이송 장치를 이용하여 롤러 썰매를 출발 지점으로 빠르고 정확하게 이송시킬 수 있다.
또한, 하나의 이송 장치를 이용하여 한 번에 여러 대의 롤러 썰매를 이송시킬 수 있으며, 이송 설비의 레일 상에 복수 개의 이송 장치를 운영할 수 있어 대량의 롤러 썰매를 출발 지점으로 이송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의 구동부를 설명하기 위해 하우징부의 일부를 제거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의 구동부를 설명하기 위해 이송 장치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의 텐션을 조정하기 위한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가 레일의 연장된 방향을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설비의 전원공급 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설비의 전원공급 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지지', '접속', '공급', '전달', '접촉'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지지, 접속, 공급, 전달, 접촉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측, 하측, 측면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설비(1)에 대해 설명한다. 이러한 이송 설비(1)는, 이송 장치(10), 레일(20) 및 전원공급 장치(30)를 포함한다.
이송 장치(10)는, 경사로나 트랙을 따라 중력에 의해 이동하는 루지(luge)와 같은, 롤러 썰매를 도착 지점에서 출발 지점으로 자동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러한 이송 장치(10)는, 도착 지점에서 출발 지점까지 연장되어 설치된 레일(20, rail)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레일(20)은 롤러 썰매가 중력에 의해 이동하는 경사로나 트랙의 경로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별도의 경로를 따라 설치될 수 있다.
이송 장치(10)는, 상기와 같이, 설치된 레일(20)에 결합되며, 레일(20)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이송 장치(10)는, 하우징부(100), 구동부(200), 제어기(300) 및 걸림부(400)를 포함한다.
하우징부(100)는, 이송 장치(10)의 외부 형상을 형성하도록 구동부(200), 제어기(300) 및 걸림부(400) 중 하나 이상을 커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부(100)의 내부에는 구동부(200) 및 제어기(300)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부(100)의 하부에 걸림부(40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부(100)는, 본체 커버(110), 롤러 커버(120), 제어 커버(130) 밑 텐션 조정기(140)를 포함한다.
본체 커버(110)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가지며, 내부 공간에 구동부(200)에 포함된 복수 개의 구성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체 커버(110)는 하부에 걸림부(400)가 설치될 수 있다.
롤러 커버(120)는 본체 커버(110)의 상단에 배치되며,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가지고 내부 공간에 구동부(200)의 일부 구성이 설치될 수 있다.
제어 커버(130)는, 본체 커버(110)의 일 측에 배치되고,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어 커버(130)는 내부 공간에 구동부(200)를 제어하는 제어기(300)가 설치될 수 있다.
텐션 조정기(140)는, 레일(20)을 따라 구동되는 구동부(200)가 레일(20)과 밀착될 수 있도록 레일(20)을 가압한다. 이를 위해 텐션 조정기(140)는, 본체 커버(110)에 설치될 수 있고, 레일(20)의 일부와 접촉될 수 있다. 텐션 조정기(140)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예컨대,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 커버(110)의 일면에 두 개가 배치될 수 있고, 이송 장치(10)의 양측에 배치되어, 총 네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텐션 조정기(140)는, 텐션 지지대(141), 스프링(143), 텐션바(145), 지지기둥(147), 조절 너트(147a) 및 텐션 롤러(149)를 포함한다.
텐션 지지대(141)는, 본체 커버(110)의 외면에 고정된다. 텐션 지지대(141)는, 스프링(143) 및 지지기둥(147)을 지지하며, 지지기둥(147)의 하단이 결합될 수 있다. 텐션 지지대(141)는,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가 꺾인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어느 일부가 본체 커버(110)에 고정되며, 다른 일부가 본체 커버(110)에 대해 수직으로 배향되고 이러한 다른 일부에 스프링(143) 및 지지기둥(147)이 배치될 수 있다.
수직한 부분이 본체 커버(110)에 고정되며, 수평한 부분의 상부에 스프링(143) 및 지지기둥(147)이 배치될 수 있다.
스프링(143)은, 텐션 지지대(141)와 텐션바(145)의 사이에 배치되며, 텐션바(145)가 상부 방향으로 압력을 받도록 텐션바(145)에 대하여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체일 수 있다.
텐션바(145)는, 레일(20)을 기준으로 양측에 배치된 본체 커버(110)를 가로질러 배치된다. 그리고 텐션바(145)는, 지지기둥(147)이 관통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관통홀은 지지기둥(147)이 수직방향으로 관통되도록 수직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기둥(147)은 텐션바(145)에 형성된 관통홀을 관통하며, 하단이 텐션 지지대(141)에 결합되어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기둥(147)은 스프링(143)이 이탈되지 않도록 스프링(143)의 길이 방향 중앙을 관통하여 배치된다. 따라서 지지기둥(147)에는 하부에 스프링(143)이 배치되고 스프링(143)의 상부에 텐션바(145)가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지지기둥(147)의 단부에는 조절 너트(147a)가 제공될 수 있다.
조절 너트(147a)는 지지기둥(147)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으며, 나사 결합으로 지지기둥(147)과 결합될 수 있다. 조절 너트(147a)는, 텐션바(145)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텐션바(145)의 상부로 돌출된 지지기중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조절 너트(147a)에 의해 텐션바(145)가 지지기둥(147)에서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조절 너트(147a)는, 지지기둥(147)과 나사 결합되며, 조절 너트(147a)의 위치에 따라 스프링(143)의 복원력이 텐션바(145)에 가해지는 복원력의 정도가 조절될 수 있다. 예컨대, 조절 너트(147a)가 지지기둥(147)에서 하부 방향으로 이동될수록 스프링(143)은 텐션바(145)에 강한 복원력이 제공될 수 있다.
텐션 롤러(149)는 텐션바(145)에 결합되며, 텐션바(145)의 길이 방향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롤러는, 회전되는 면의 일부가 레일(20)과 접촉될 수 있으며,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의 상단이 레일(20)과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텐션 롤러(149)에는 텐션바(145)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스프링(143)의 복원력이 작용될 수 있다. 이렇게 텐션 롤러(149)에 복원력이 작용되어, 텐션 롤러(149)는 레일(20)을 상부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또한, 텐션 롤러(149)는 구동부(200)의 구동에 의해 이송 장치(10)가 이송됨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구동부(200)는 이송 장치(10)가 레일(20)을 따라 이동될 수 있도록 구동될 수 있다. 구동부(200)는 이송 장치(10)가 레일(20)이 연장된 길이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동되며, 레일(20)의 양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부(200)는 모터(210), 웜 감속기(220), 드라이브 기어(230), 아이들 기어(240), 피니언 기어(250), 레일 롤러(260) 및 롤러 회전기(270)를 포함한다.
모터(210)는 이송 장치(10)가 이동될 수 있도록 외부의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모터(210)는, 레일(20)을 따라 연장된 전원 케이블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그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웜 감속기(220)는, 모터(210)가 동작됨에 따라 회전력을 드라이브 기어(230)로 전달한다. 이러한 웜 감속기(220)는, 모터(210)의 회전 속도를 소정의 속도로 감속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웜 감속기(220)는 모터(210)의 회전 방향을 바꾸는 역할을 한다. 예컨대, 웜 감속기(220)는, 모터(210)의 회전속도를 약 7.5:1의 비율로 감속할 수 있다.
드라이브 기어(23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웜 감속기(220)와 드라이브 샤프트(232)로 연결된다. 드라이브 기어(230)는 웜 감속기(220)에서 출력되는 회전수에 따라 회전된다. 이러한 드라이브 기어(230)는, 예컨대, 두 개가 구비되며 웜 감속기(220)의 양단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아이들 기어(240)는 드라이브 기어(230)와 맞물리도록 배치되고, 드라이브 기어(230)의 상부에 배치된다. 아이들 기어(240)는 아이들 샤프트(242)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아이들 샤프트(242)는 본체 커버(110)를 가로질러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아이들 기어(240)는, 예컨대, 두 개가 구비되며, 두 개의 본체 커버(110)의 내측면에 인접한 위치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아이들 기어(240)는 아이들 샤프트(242)와의 사이에 베어링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아이들 기어(240)는 아이들 샤프트(242)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피니언 기어(250)는 아이들 기어(240)와 맞물리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아이들 기어(240)의 상부에 배치된다. 피니언 기어(250)는 피니언 샤프트(252)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피니언 기어(250)는 레일 롤러(260)와 동일한 중심축인 피니언 샤프트(252)에 배치될 수 있다.
레일 롤러(260)는 피니언 기어(250)의 피니언 샤프트(252)에 배치될 수 있다. 레일 롤러(260)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H자 형상으로 형성된 레일(20)에 밀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레일 롤러(260)는 단면 형상이 H자 형상이 90도 회전된 형상의 양측 홈에 삽입된 상태로 레일 롤러(260)의 하단이 레일(20)과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레일 롤러(260)는 피니언 기어(250)를 통해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으며, 레일(20)과 접촉되어 레일(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레일 롤러(260)는 예컨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20)을 기준으로 레일(20)의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으며,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20)의 길이 방향으로 두 개가 배치되어 총 네 개의 레일 롤러(260)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레일(20)의 양측에 배치된 두 개의 레일 롤러(260)에 의해 이송 장치(10)는 안정적으로 레일(20)에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레일(20)의 길이 방향으로 롤러가 배치됨에 따라 이송 장치(10)가 레일(20)이 연장된 방향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20)의 하단을 기준으로 레일(20)의 하단 상부에 두 개의 레일 롤러(260)가 배치되고, 레일(20)의 하단 하부에 두 개의 텐션 롤러(149)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두 개의 레일 롤러(260)와 두 개의 텐션 롤러(149)는 서로 엇갈린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이송 장치(10)는, 복수 개의 레일 롤러(260) 및 복수 개의 텐션 롤러(149)에 의해 레일(20)의 연장된 방향과 나란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레일(20)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롤러 회전기(270)는, 레일 롤러(260)의 외측에 배치되며, 롤러 커버(120)에 고정될 수 있다. 롤러 회전기(270)는 피니언 샤프트(252)의 양단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피니언 샤프트(252) 및 피니언 기어(250)가 아이들 기어(24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될 수 있는데, 롤러 회전기(270)는 피니언 샤프트(252)가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내부에 베어링이 구비될 수 있다.
제어기(300)는 모터(210)에 외부 전력이 인가되도록 제어한다. 제어기(300)는 조정기(310)에의 조정에 따라 모터(210)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기(300)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연산 장치, 메모리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으며, 그 구현 방식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어기(3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정기(310)를 포함한다. 조정기(310)는, 전원 스위치(311), 선택 스위치(313), 후진 스위치(315), 정지 스위치(317) 및 전진 스위치(319)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스위치(311)는, 모터(210)에 외부 전력이 인가되거나 차단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선택 스위치(313)는, 이송 장치(10)를 수동으로 동작시키거나 자동으로 동작시키기 위한 스위치이다. 사용자가 선택 스위치(313)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이송 장치(10)를 동작시키는 경우, 후진 스위치(315), 정지 스위치(317) 및 전진 스위치(319)를 이용하여 모터(210)가 구동되도록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선택 스위치(313)를 이용하여 이송 장치(10)를 자동으로 동작시키는 경우, 이송 장치(10)는 레일(20)을 따라 자동으로 소정의 속도를 가지며 전진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후진 스위치(315)는, 사용자가 선택 스위치(313)를 수동으로 선택하였을 때 활성화된다. 후진 스위치(315)는 이송 장치(10)가 레일(20)에서 후진하는 방향(도 1에서 본체 커버(110)가 배치된 위치에서 모터(210)가 배치된 위치로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스위치이다. 후진 스위치(315)가 눌리는 경우, 제어기(300)는 이송 장치(10)가 후진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모터(210)를 제어할 수 있다.
정지 스위치(317)는 사용자가 선택 스위치(313)를 수동으로 선택하였을 때 활성되고, 이송 장치(10)가 이동되는 것을 정지시키기 위한 스위치이다. 정지 스위치(317)가 눌리는 경우, 제어기(300)는 모터(210)에 인가되는 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
전진 스위치(319)는, 사용자가 선택 스위치(313)를 수동으로 선택하였을 때 활성화된다. 전진 스위치(319)는 이송 장치(10)가 레일(20)에서 전진하는 방향(도 1에서 모터(210)가 배치된 위치에서 본체 커버(110)가 배치된 위치로의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스위치이다. 전진 스위치(319)가 눌리는 경우, 제어기(300)는 이송 장치(10)가 전진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모터(210)를 제어할 수 있다.
걸림부(400)는 본체 커버(110)에 설치되고, 롤러 썰매가 걸리기 위한 구성이다. 이러한 걸림부(400)는 훅암(410) 및 걸림고리(420)를 포함한다.
훅암(410)은 일단이 본체 커버(110)에 결합된다. 여기서, 훅암(4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된 상태로 본체 커버(110)에 결합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훅암(410)은, 본체 커버(110)에 소정의 각도의 범위에서 회전될 수 있게 결합될 수도 있다.
훅암(410)은 소정의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소정의 각도를 가지며 절곡될 수 있다.
걸림고리(420)는 롤러 썰매가 이송 장치(10)에 고정되도록 롤러 썰매가 걸릴 수 있다. 이를 위해 걸림고리(4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걸림고리(420)에는 하나의 롤러 썰매가 걸릴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 개의 롤러 썰매가 걸릴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롤러 썰매를 서로 연결하는 경우, 이송 장치(10)는, 걸림고리(420)에 하나의 롤러 썰매가 걸리더라도 복수 개의 롤러 썰매를 한 번에 이송시킬 수 있다. 또한, 도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레일 롤러(260)는, 레일(20)의 전후방향을 따라 소정의 이격거리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텐션 조정기(140) 중 전방에 배치된 텐션 조정기(140)는 이격 배치된 복수 개의 레일 롤러(260) 중 전방에 배치된 레일 롤러(260)보다 더 전방에 배치되고, 복수 개의 텐션 조정기(140) 중 후방에 배치된 텐션 조정기(140)는 이격 배치된 복수 개의 레일 롤러(260) 중 후방에 배치된 레일 롤러(260)보다 더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그리고, 걸림부(400)는 이격 배치된 복수 개의 레일 롤러(260) 중 전방에 배치된 레일 롤러(260)의 직하방의 위치보다 더 전방에서 하우징부(100)의 본체 커버(110)에 연결되고, 제어기(300) 및 모터(210)는 이격 배치된 복수 개의 레일 롤러(260) 중 후방에 배치된 레일 롤러(260)의 직하방의 위치보다 더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방에 배치된 레일 롤러(260)보다 더 전방측에는 전방에 배치된 텐션 조정기(140)가 본체 커버(110)에 배치되고, 전방에 배치된 레일 롤러(260)보다 더 전방측에는 걸림부(400)가 본체 커버(110)에 연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후방에 배치된 레일 롤러(260)보다 더 후방측에는 후방에 배치된 텐션 조정기(140)가 본체 커버(110)에 배치되고, 후방에 배치된 레일 롤러(260)보다 더 후방측에는 제어기(300) 및 모터(210)가 본체 커버(110)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설비(1)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 장치(30)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전원공급 장치(30)는 제1 엔드 분전반(33c) 및 제2 엔드 분전반(37c)이 각각 7개가 설치된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고, 도 7에 도시된 전원공급 장치(30)는 제1 엔드 분전반(33c) 및 제2 엔드 분전반(37c)이 각각 11개가 설치된 것을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렇게 필요에 따라 제1 엔드 분전반(33c) 및 제2 엔드 분전반(37c)이 설치되는 개수는 달라질 수 있다.
전원공급 장치(30)는, 이송 장치(10)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를 위해 전원공급 장치(30)는, 트로리바(31, trolley bar), 제1 메인 분전반(33a), 제1 서브 분전반(33b), 제1 엔드 분전반(33c), 제1 차단기(35), 제2 메인 분전반(37a), 제2 서브 분전반(37b), 제2 엔드 분전반(37c) 및 제2 차단기(39)를 더 포함한다.
트로리바(31)는 레일(20)에 설치되며, 레일(20)을 따라 양극(+) 및 음극(-)의 전원이 연결되게 두 개의 전원 라인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트로리바(31)는, 제1 메인 분전반(33a) 및 제2 메인 분전반(37a)을 통해 공급된 전원을 이송 장치(1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송 장치(10)는, 트로리바(31)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면서 이송 장치(10)와 함께 이동되는 전기접촉기(미도시)를 더 포함하고, 전기접촉기는 이송 장치(10)의 제어기(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트로리바(31)를 통해 이송 장치(10)로 공급된 전원은 제어기(300)를 통해 모터(210)로 공급될 수 있다.
제1 메인 분전반(33a) 및 제2 메인 분전반(37a)은, 각각 상용 계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용 계통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각각 제1 서브 분전반(33b) 및 제2 서브 분전반(37b)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메인 분전반(33a) 및 제2 메인 분전반(37a)은 트로리바(31)의 길이에 따라 제1 메인 분전반(33a) 및 제2 메인 분전반(37a) 중 하나만 구비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추가의 메인 분전반이 설치될 수도 있다.
제1 메인 분전반(33a) 및 제2 메인 분전반(37a)은 각각 상용 계통과 3상 연결이 될 수 있으며, 약 380V의 전압을 갖는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그리고 제1 메인 분전반(33a) 및 제2 메인 분전반(37a)은 각각 제1 서브 분전반(33b) 및 제2 서브 분전반(37b)에 220V의 전압을 갖는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며, 제1 서브 분전반(33b) 및 제2 서브 분전반(37b)과 단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메인 분전반(33a) 및 제2 메인 분전반(37a)은 각각 동일한 전기용량을 가질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서로 다른 전기 용량을 가질 수 있다.
제1 서브 분전반(33b) 및 제2 서브 분전반(37b)은 각각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예컨대, 두 개의 제1 서브 분전반(33b) 및 두 개의 제2 서브 분전반(37b)이 구비될 수 있다.
이렇게 두 개의 제1 서브 분전반(33b) 및 두 개의 제2 서브 분전반(37b)은 각각 제1 메인 분전반(33a) 및 제2 메인 분전반(37a)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서브 분전반(33b)은 제1 메인 분전반(33a)에서 공급받은 전원을 제1 엔드 분전반(33c) 및 제1 차단기(35)로 공급하고, 제2 서브 분전반(37b)은 제2 메인 분전반(37a)에서 공급받은 전원을 제2 엔드 분전반(37c) 및 제2 차단기(39)로 공급한다.
제1 엔드 분전반(33c)은 제1 서브 분전반(33b)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트로리바(31)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트로리바(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제1 엔드 분전반(33c)은 트로리바(31)의 양극 라인 및 음극 라인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엔드 분전반(33c)은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곱 개가 구비될 수 있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11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제1 엔드 분전반(33c)은 서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제1 엔드 분전반(33c)은 트로리바(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차단기(35)는 제1 서브 분전반(33b)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트로리바(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차단기(35)는, 트로리바(31)를 통해 흐르는 전원을 차단하기 위해 구비되며, 이를 위해 트로리바(31)에는 제1 차단기(35)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스위치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제1 차단기(35)는 트로리바(31)에 설치된 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스위치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복수 개의 제1 엔드 분전반(33c)과 제1 차단기(35)는, 각각 제1 서브 분전반(33b)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제1 서브 분전반(33b)이 설치되는 경우, 세 개의 제1 엔드 분전반(33c)과 제1 차단기(35)가 하나의 제1 서브 분전반(33b)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네 개의 제1 엔드 분전반(33c)이 다른 하나의 제1 서브 분전반(33b)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제1 서브 분전반(33b)이 설치되는 경우, 다섯 개의 제1 엔드 분전반(33c)과 제1 차단기(35)가 하나의 제1 서브 분전반(33b)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여섯 개의 제1 엔드 분전반(33c)이 다른 하나의 제1 서브 분전반(33b)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 개의 제1 엔드 분전반(33c)과 제1 서브 분전반(33b)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 제1 엔드 분전반(33c)과 제1 서브 분전반(33b) 사이의 거리에 따라 제1 엔드 분전반(33c)과 제1 서브 분전반(33b)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의 전기 용량이 다를 수 있다. 즉, 제1 엔드 분전반(33c)과 제1 서브 분전반(33b)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큰 전기 용량을 갖는 케이블이 이용될 수 있다.
제2 엔드 분전반(37c)은 제2 서브 분전반(37b)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트로리바(31)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트로리바(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제2 엔드 분전반(37c)은 트로리바(31)의 양극 라인 및 음극 라인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엔드 분전반(37c)은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곱 개가 구비될 수 있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11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제2 엔드 분전반(37c)은 서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제2 엔드 분전반(37c)은 트로리바(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 차단기(39)는 제2 서브 분전반(37b)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트로리바(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차단기(39)는, 트로리바(31)를 통해 흐르는 전원을 차단하기 위해 구비되며, 이를 위해 트로리바(31)에는 제2 차단기(39)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스위치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제2 차단기(39)는 트로리바(31)에 설치된 스위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스위치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복수 개의 제2 엔드 분전반(37c)과 제2 차단기(39)는, 각각 제2 서브 분전반(37b)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제2 서브 분전반(37b)이 설치되는 경우, 세 개의 제2 엔드 분전반(37c)과 제2 차단기(39)가 하나의 제2 서브 분전반(37b)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네 개의 제2 엔드 분전반(37c)이 다른 하나의 제2 서브 분전반(37b)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제2 서브 분전반(37b)이 설치되는 경우, 다섯 개의 제2 엔드 분전반(37c)과 제2 차단기(39)가 하나의 제2 서브 분전반(37b)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여섯 개의 제2 엔드 분전반(37c)이 다른 하나의 제2 서브 분전반(37b)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 개의 제2 엔드 분전반(37c)과 제2 서브 분전반(37b)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때, 제2 엔드 분전반(37c)과 제2 서브 분전반(37b) 사이의 거리에 따라 제2 엔드 분전반(37c)과 제2 서브 분전반(37b)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케이블의 전기 용량이 다를 수 있다. 즉, 제2 엔드 분전반(37c)과 제2 서브 분전반(37b)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큰 전기 용량을 갖는 케이블이 이용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이송 설비
10: 이송 장치
100: 하우징부 110: 본체 커버
120: 롤러 커버 130: 제어 커버
140: 텐션 조정기
141: 텐션 지지대 143: 스프링
145: 텐션바
147: 지지기둥 147a: 조절 너트
149: 텐션 롤러
200: 구동부
210: 모터 220: 웜 감속기
230: 드라이브 기어 232: 드라이브 샤프트
240: 아이들 기어 242: 아이들 샤프트
250: 피니언 기어 252: 피니언 샤프트
260: 레일 롤러 270: 롤러 회전기
300: 제어기
310: 조정기
311: 전원 스위치 313: 선택 스위치
315: 후진 스위치 317: 정지 스위치
319: 전진 스위치
400: 걸림부
410: 훅암 420: 걸림고리
20: 레일
30: 전원공급 장치
31: 트로리바
33a: 제1 메인 분전반 33b: 제1 서브 분전반
33c: 제1 엔드 분전반 35: 제1 차단기
37a: 제2 메인 분전반 37b: 제2 서브 분전반
37c: 제2 엔드 분전반 39: 제2 차단기

Claims (17)

  1.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rail)에 걸려 상기 레일을 따라 구동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를 커버하는 하우징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기; 및
    상기 하우징부에 설치되고, 외부 물체가 이송되도록 상기 외부 물체가 걸리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모터;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하나 이상의 드라이브 기어;
    하나 이상의 상기 드라이브 기어와 맞물리도록 배치된 하나 이상의 아이들 기어;
    하나 이상의 상기 아이들 기어와 맞물리도록 배치된 복수 개의 피니언 기어; 및
    상기 레일과 접촉되도록 배치되고, 복수 개의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복수 개의 레일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레일을 가압하는 복수 개의 텐션 조정기를 포함하며,
    복수 개의 상기 레일 롤러는, 상기 레일의 전후방향을 따라 소정의 이격거리로 배치되고,
    복수 개의 상기 텐션 조정기 중 어느 일부는 이격 배치된 복수 개의 상기 레일 롤러 중 전방에 배치된 레일 롤러보다 더 전방에 배치되고, 복수 개의 상기 텐션 조정기 중 다른 일부는 이격 배치된 복수 개의 상기 레일 롤러 중 후방에 배치된 레일 롤러보다 더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걸림부는 이격 배치된 복수 개의 상기 레일 롤러 중 전방에 배치된 레일 롤러의 직하방의 위치보다 더 전방에서 상기 하우징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기 및 상기 모터는 이격 배치된 복수 개의 상기 레일 롤러 중 후방에 배치된 레일 롤러의 직하방의 위치보다 더 후방에 배치되는,
    이송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모터와 연결되고, 상기 모터의 구동 속도를 감속하는 웜 감속기를 더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상기 드라이브 기어는 상기 웜 감속기에 의해 회전되는,
    이송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부는,
    하나 이상의 상기 드라이브 기어 및 하나 이상의 상기 아이들 기어를 감싸도록 배치된 본체 커버; 및
    상기 본체 커버의 상부에 배치되고, 복수 개의 상기 피니언 기어 및 복수 개의 레일 롤러를 감싸도록 배치된 롤러 커버를 포함하는,
    이송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텐션 조정기는 상기 본체 커버에 고정되는,
    이송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텐션 조정기는,
    상기 본체 커버의 외면에 설치된 텐션 지지대;
    상기 텐션 지지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부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체;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상기 레일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관통홀이 형성된 텐션바;
    상기 텐션 지지대의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텐션바의 관통홀을 관통하여 배치된 지지기둥; 및
    상기 텐션바에 설치되며, 상기 레일과 접촉되는 텐션 롤러를 포함하는,
    이송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텐션 롤러와 복수 개의 상기 레일 롤러 사이에는 상기 레일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되는,
    이송 장치.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복수 개의 상기 피니언 기어 및 복수 개의 상기 레일 롤러의 중심축에 배치된 복수 개의 피니언 샤프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롤러 커버의 내측에 배치되고, 복수 개의 피니언 샤프트의 양단에 결합된 롤러 회전기를 더 포함하는,
    이송 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하나 이상의 아이들 기어의 중심축에 배치되는 아이들 샤프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아이들 샤프트는, 복수 개의 상기 텐션 조정기 사이에 배치되는,
    이송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일단이 상기 하우징부에 결합되며, 소정의 길이를 갖는 훅암; 및
    상기 훅암의 타단에 결합되고, 상기 외부 물체가 걸리는 걸림고리를 포함하는,
    이송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사용자가 상기 제어기를 조작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스위치를 포함하는,
    이송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사용자가 상기 구동부를 자동 또는 수동으로 동작하도록 선택하는 선택 스위치를 포함하는,
    이송 장치.
  13.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rail);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외부 물체를 이송시키는 이송 장치; 및
    상기 이송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 장치는,
    상기 레일을 따라 구동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를 커버하는 하우징부;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기; 및
    상기 하우징부에 설치되며, 상기 외부 물체가 걸리는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어기에 의해 제어되는 모터;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하나 이상의 드라이브 기어;
    하나 이상의 상기 드라이브 기어와 맞물리도록 배치된 하나 이상의 아이들 기어;
    하나 이상의 상기 아이들 기어와 맞물리도록 배치된 복수 개의 피니언 기어; 및
    상기 레일과 접촉되도록 배치되고, 복수 개의 상기 피니언 기어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복수 개의 레일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부는, 상기 레일을 가압하는 복수 개의 텐션 조정기를 포함하며,
    복수 개의 상기 레일 롤러는, 상기 레일의 전후방향을 따라 소정의 이격거리로 배치되고,
    복수 개의 상기 텐션 조정기 중 어느 일부는 이격 배치된 복수 개의 상기 레일 롤러 중 전방에 배치된 레일 롤러보다 더 전방에 배치되고, 복수 개의 상기 텐션 조정기 중 다른 일부는 이격 배치된 복수 개의 상기 레일 롤러 중 후방에 배치된 레일 롤러보다 더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걸림부는 이격 배치된 복수 개의 상기 레일 롤러 중 전방에 배치된 레일 롤러의 직하방의 위치보다 더 전방에서 상기 하우징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기 및 상기 모터는 이격 배치된 복수 개의 상기 레일 롤러 중 후방에 배치된 레일 롤러의 직하방의 위치보다 더 후방에 배치되는,
    이송 설비.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 장치는,
    상기 레일을 따라 상기 레일에 설치되며, 상기 이송 장치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트로리바;
    상기 트로리바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 개의 엔드 분전반; 및
    복수 개의 상기 엔드 분전반에 전원을 공급하며, 외부의 상용 계통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하나 이상의 메인 분전반을 포함하는,
    이송 설비.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 장치는,
    하나 이상의 상기 메인 분전반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복수 개의 상기 엔드 분전반에 전원을 공급하는 하나 이상의 서브 분전반을 더 포함하는,
    이송 설비.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 장치는,
    상기 트로리바에 흐르는 전원을 차단하는 하나 이상의 차단기를 더 포함하는,
    이송 설비.
  17. 제 16 항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기 차단기는 상기 서브 분전반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이송 설비.
KR1020210064344A 2021-05-18 2021-05-18 이송 장치 및 이송 설비 KR102350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344A KR102350453B1 (ko) 2021-05-18 2021-05-18 이송 장치 및 이송 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4344A KR102350453B1 (ko) 2021-05-18 2021-05-18 이송 장치 및 이송 설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50453B1 true KR102350453B1 (ko) 2022-01-17

Family

ID=80051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4344A KR102350453B1 (ko) 2021-05-18 2021-05-18 이송 장치 및 이송 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04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1296B1 (ko) * 2023-05-26 2023-07-28 주식회사 지에스웹 주행 균형 장치가 마련되는 익스트림 주행 시설물의 주행체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2302A (ja) * 2003-03-04 2004-09-30 Nippon Yusoki Co Ltd 無人搬送車両の脱輪防止装置
KR20050079824A (ko) * 2004-02-07 2005-08-11 (주)엔티뱅크 트랙 이동식 조명 시스템
JP2007001690A (ja) * 2005-06-22 2007-01-11 Daifuku Co Ltd 搬送用走行体の配送設備
US20070101894A1 (en) * 2005-11-10 2007-05-10 Britcher James K I-Beam Trolley
JP2008062753A (ja) * 2006-09-06 2008-03-21 Murata Mach Ltd 走行台車
KR20110082401A (ko) * 2010-01-11 2011-07-19 김봉택 열차의 자동 및 일상 검사장치
KR20150007456A (ko) * 2013-07-11 2015-01-21 (주)새한트라비스엘리베이터 컨테이너 대차 이송 장치
KR101532641B1 (ko) * 2015-02-09 2015-07-01 주식회사 가람스페이스 궤도차량용 주행장치
KR20160140649A (ko) * 2014-03-28 2016-12-07 포마 케이블 수송 시스템
KR20180007743A (ko) * 2016-07-14 2018-01-24 정동일 비닐하우스용 작물 이송장치
KR101918630B1 (ko) 2017-03-30 2018-11-15 (주)인크랙스 롤러 썰매
KR102125446B1 (ko) * 2018-12-28 2020-07-07 이엠티씨 주식회사 고속주행 및 등판주행이 가능한 모노레일 차량용 동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노레일 시스템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72302A (ja) * 2003-03-04 2004-09-30 Nippon Yusoki Co Ltd 無人搬送車両の脱輪防止装置
KR20050079824A (ko) * 2004-02-07 2005-08-11 (주)엔티뱅크 트랙 이동식 조명 시스템
JP2007001690A (ja) * 2005-06-22 2007-01-11 Daifuku Co Ltd 搬送用走行体の配送設備
US20070101894A1 (en) * 2005-11-10 2007-05-10 Britcher James K I-Beam Trolley
JP2008062753A (ja) * 2006-09-06 2008-03-21 Murata Mach Ltd 走行台車
KR20110082401A (ko) * 2010-01-11 2011-07-19 김봉택 열차의 자동 및 일상 검사장치
KR20150007456A (ko) * 2013-07-11 2015-01-21 (주)새한트라비스엘리베이터 컨테이너 대차 이송 장치
KR20160140649A (ko) * 2014-03-28 2016-12-07 포마 케이블 수송 시스템
KR101532641B1 (ko) * 2015-02-09 2015-07-01 주식회사 가람스페이스 궤도차량용 주행장치
KR20180007743A (ko) * 2016-07-14 2018-01-24 정동일 비닐하우스용 작물 이송장치
KR101918630B1 (ko) 2017-03-30 2018-11-15 (주)인크랙스 롤러 썰매
KR102125446B1 (ko) * 2018-12-28 2020-07-07 이엠티씨 주식회사 고속주행 및 등판주행이 가능한 모노레일 차량용 동력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모노레일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1296B1 (ko) * 2023-05-26 2023-07-28 주식회사 지에스웹 주행 균형 장치가 마련되는 익스트림 주행 시설물의 주행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54856B1 (de) Kippschalen-Sortierförderer
KR102350453B1 (ko) 이송 장치 및 이송 설비
JPH11268820A (ja) 個品を分別するための装置
CA2749287C (en) Dual power motorized roller
JP4912747B2 (ja) 回転可能な索道輸送装置を持つ索道設備
EP1411008B1 (de) Verfahren zum Betätigen eines Kippschalen-Sorters, sowie Kipp-Förderelement zur Durchführung des vorgenannten Verfahrens
CA2386132A1 (en) Conveying device, with directly driven step bodies, for persons and step body for such a device
JP2014077262A (ja) 駐車装置
US6191502B1 (en) Apparatus for tapping current from a busbar
CA1288393C (en) Self-driven carriage, for sorting plants
KR101014529B1 (ko) 시트 전원인가장치
US3058567A (en) Article diverter system
EP3135530B1 (de) System mit einem futterwagen und mit einem stromschienensystem zur stromversorgung des futterwagens
DE141293C (ko)
JP4805684B2 (ja) クロスベルトソータ
US5996433A (en) System for actuating the unloading mat in switching machines
US10737887B2 (en) Zoned roller conveyor
JPH0688654B2 (ja) リニアモ−タ−駆動の仕分け用搬送装置
JP2596091B2 (ja) 仕分装置の移載コンベア制御方法
JP6925859B2 (ja) 対象物搬送機構と駐車装置
JP3906950B2 (ja) 搬送台車の非接触給電装置
JPH06199230A (ja) 索道の主原動装置
JP3218937U (ja) ベルトコンベアのストレッチャーユニット用駆動装置
JP2724034B2 (ja) 移動間仕切壁の走行装置
JP3557753B2 (ja) 動く歩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