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1543A - 타이어 - Google Patents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1543A
KR20180111543A KR1020180032509A KR20180032509A KR20180111543A KR 20180111543 A KR20180111543 A KR 20180111543A KR 1020180032509 A KR1020180032509 A KR 1020180032509A KR 20180032509 A KR20180032509 A KR 20180032509A KR 20180111543 A KR20180111543 A KR 201801115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tire
main groove
land portion
t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2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8226B1 (ko
Inventor
요시유키 마에다
게이타 나카노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11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15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82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82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04Tread patterns in which the raised area of the pattern consists only of continuous circumferential ribs, e.g. zig-za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0304Asymmetric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032Patterns comprising isolated re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04Tread patterns in which the raised area of the pattern consists only of continuous circumferential ribs, e.g. zig-zag
    • B60C11/042Tread patterns in which the raised area of the pattern consists only of continuous circumferential ribs, e.g. zig-zag further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2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 B60C11/1236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with special arrangements in the tread patter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2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 B60C11/1272Width of the si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3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 B60C11/130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with special features of the groov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39Grooves
    • B60C2011/0341Circumferential groo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39Grooves
    • B60C2011/0341Circumferential grooves
    • B60C2011/0348Narrow grooves, i.e. having a width of less than 4 m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39Grooves
    • B60C2011/0341Circumferential grooves
    • B60C2011/0353Circumferential grooves characterised by wid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39Grooves
    • B60C2011/0341Circumferential grooves
    • B60C2011/0355Circumferential grooves characterised by dep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39Grooves
    • B60C2011/0358Lateral grooves, i.e. having an angle of 45 to 90 degees to the equatorial plane
    • B60C2011/0362Shallow grooves, i.e. having a depth of less than 50% of other groo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39Grooves
    • B60C2011/0358Lateral grooves, i.e. having an angle of 45 to 90 degees to the equatorial plane
    • B60C2011/0365Lateral grooves, i.e. having an angle of 45 to 90 degees to the equatorial plane characterised by wid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39Grooves
    • B60C2011/0358Lateral grooves, i.e. having an angle of 45 to 90 degees to the equatorial plane
    • B60C2011/0367Lateral grooves, i.e. having an angle of 45 to 90 degees to the equatorial plane characterised by dep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39Grooves
    • B60C2011/0381Blind or isolated groo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2011/0337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design features of the pattern
    • B60C2011/0339Grooves
    • B60C2011/0381Blind or isolated grooves
    • B60C2011/0383Blind or isolated grooves at the centre of the tr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2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 B60C11/1272Width of the sipe
    • B60C2011/1286Width of the sipe being different from sipe to si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200/00Tyr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B60C2200/04Tyr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road vehicles, e.g. passenger ca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6Optimisation of rolling resistance, e.g. weight re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과제) 서킷 등에 있어서의 고부하 주행 시에 있어서, 드라이 그립 성능 및 내편마모 성능을 유지하면서 우수한 웨트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타이어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트레드부(2)는, 외측 트레드단(To)과, 내측 트레드단(Ti)과, 제1 주홈(11)∼제3 주홈(13)과, 이들로 구분된 랜드부를 갖는다. 제1 주홈(11)은, 내측 트레드단(Ti)측에 배치되고, 타이어 적도(C)로부터 상기 홈 중심선까지의 거리(L1)가 트레드 반폭(TWh)의 5%∼25%이다. 제2 주홈(12)은, 제1 주홈(11)과 내측 트레드단(Ti) 사이에 배치되며, 또한, 타이어 적도(C)로부터 홈 중심선까지의 거리(L2)가 트레드 반폭(TWh)의 35%∼65%이다. 제3 주홈(13)은, 타이어 적도(C)와 외측 트레드단(To) 사이에 배치되며, 또한, 타이어 적도(C)로부터 홈 중심선까지의 거리(L3)가 트레드 반폭(TWh)의 25%∼55%이다. 제3 주홈(13)의 홈폭은, 제1 주홈(11) 및 상기 제2 주홈(12)의 홈폭보다 작다. 외측 크라운 랜드부(16), 내측 숄더 랜드부(17) 및 외측 숄더 랜드부(18)에는, 각각, 랜드부 내에서 폐쇄된 복수 개의 폐쇄 홈(20)이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타이어{TIRE}
본 발명은, 타이어로서, 상세하게는, 서킷 등에 있어서의 고부하 주행 시에 있어서, 우수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주로 서킷 등에서의 고부하 주행에 이용되는 타이어가 기재되어 있다. 이 타이어는, 차량 장착 시에 차량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 트레드부에만,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는 주홈(主溝)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의 타이어는, 예컨대, 웨트(wet) 상태의 서킷 주행에서는, 만족할 만한 주행 성능이 얻어지지 않는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자들은, 여러 가지 실험의 결과, 주홈의 위치를 특정한 후에, 주홈에 의해 구분된 랜드부(land portion)에 폐쇄 홈을 형성함으로써, 웨트 상태에서의 서킷 등에 있어서도 우수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타이어를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제6055521호 공보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서킷 등에 있어서의 고부하 주행 시에 있어서, 드라이 그립(dry grip) 성능 및 내(耐)편마모 성능을 유지하면서 우수한 웨트 성능을 발휘할 수 있는 타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차량에 대한 장착 방향이 지정된 트레드부를 갖는 타이어로서, 상기 트레드부는, 차량 장착 시에 차량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트레드단(端)과, 차량 장착 시에 차량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 트레드단과,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는 제1 주홈∼제3 주홈과, 상기 제1 주홈∼제3 주홈으로 구분되는 랜드부를 갖고, 상기 제1 주홈은, 그 홈 중심선이 타이어 적도보다 상기 내측 트레드단측에 배치되며, 또한, 타이어 적도로부터 상기 홈 중심선까지의 타이어 축 방향의 거리(L1)가 트레드 반폭(半幅)의 5%∼25%이고, 상기 제2 주홈은, 상기 제1 주홈과 상기 내측 트레드단 사이에 배치되며, 또한, 타이어 적도로부터 홈 중심선까지의 타이어 축 방향의 거리(L2)가 트레드 반폭의 35%∼65%이고, 상기 제3 주홈은, 타이어 적도와 상기 외측 트레드단 사이에 배치되며, 또한, 타이어 적도로부터 홈 중심선까지의 타이어 축 방향의 거리(L3)가 트레드 반폭의 25%∼55%이고, 상기 제3 주홈의 홈폭은, 상기 제1 주홈 및 상기 제2 주홈의 홈폭보다 작고, 상기 랜드부는, 상기 제1 주홈과 상기 제2 주홈 사이에 구분된 내측 크라운 랜드부와, 상기 제1 주홈과 상기 제3 주홈 사이에 구분되며 또한 상기 내측 크라운 랜드부보다 큰, 타이어 축 방향의 폭을 갖는 외측 크라운 랜드부와, 상기 제2 주홈과 상기 내측 트레드단 사이의 내측 숄더 랜드부와, 상기 제3 주홈과 상기 외측 트레드단 사이의 외측 숄더 랜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 크라운 랜드부, 상기 내측 숄더 랜드부 및 상기 외측 숄더 랜드부에는, 각각, 상기 랜드부 내에서 폐쇄된 복수 개의 폐쇄 홈이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폐쇄 홈은, 서로 깊이가 상이한 깊은 폐쇄 홈 및 얕은 폐쇄 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외측 크라운 랜드부, 상기 내측 숄더 랜드부 및 상기 외측 숄더 랜드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각각, 상기 깊은 폐쇄 홈과 상기 얕은 폐쇄 홈이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타이어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폐쇄 홈은, 타이어 축 방향으로 가로로 긴 형상이며, 또한, 그 길이 방향과 타이어 축 방향 사이의 각도가 0∼2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폐쇄 홈은, 상기 내측 숄더 랜드부에 형성된 내측 숄더 폐쇄 홈과, 상기 외측 숄더 랜드부에 형성된 외측 숄더 폐쇄 홈과, 상기 외측 크라운 랜드부에 형성된 외측 크라운 폐쇄 홈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 숄더 폐쇄 홈은, 상기 외측 숄더 폐쇄 홈 및 상기 외측 크라운 폐쇄 홈보다 작은, 타이어 축 방향의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내측 숄더 폐쇄 홈, 상기 외측 숄더 폐쇄 홈 및 상기 내측 크라운 폐쇄 홈은, 각각, 10∼30 mm의 타이어 축 방향의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홈 및 상기 제2 주홈은, 각각, 5.0∼15.0 mm의 홈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제3 주홈은, 2.5∼6.0 mm의 홈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홈, 상기 제2 주홈 및 상기 제3 주홈은, 각각, 4.0∼7.0 mm의 깊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주홈은, 홈 바닥부로부터 타이어 반경 방향 외측으로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홈벽을 갖고, 상기 제1 주홈의 상기 한쌍의 홈벽 사이의 각도(θ1), 및, 상기 제2 주홈의 상기 한쌍의 홈벽 사이의 각도(θ2)는, 45∼75°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제3 주홈의 상기 한쌍의 홈벽 사이의 각도(θ3)는, 0∼45°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외측 크라운 랜드부 및 상기 내측 숄더 랜드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일단이 상기 주홈에 연속되며 또한 타단이 상기 랜드부 내에서 중단되는 복수 개의 러그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폐쇄 홈과 상기 러그 홈은,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러그 홈은, 상기 폐쇄 홈보다 작은 깊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타이어의 트레드부는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는 제1 주홈∼제3 주홈을 갖고 있다. 제1 주홈은, 그 홈 중심선이 타이어 적도보다 내측 트레드단측에 배치되며, 또한, 타이어 적도로부터 홈 중심선까지의 타이어 축 방향의 거리(L1)가 트레드 반폭의 5%∼25%이다. 제2 주홈은, 제1 주홈과 내측 트레드단 사이에 배치되며, 또한, 타이어 적도로부터 홈 중심선까지의 타이어 축 방향의 거리(L2)가 상기 트레드 반폭의 35%∼65%이다. 제3 주홈은, 타이어 적도와 외측 트레드단 사이에 배치되며, 또한, 타이어 적도로부터 홈 중심선까지의 타이어 축 방향의 거리(L3)가 트레드 반폭의 25%∼55%이고, 제3 주홈의 홈폭은, 제1 주홈 및 제2 주홈의 홈폭보다 작다.
제1 주홈 및 제2 주홈은, 예컨대, 서킷에 있어서의 웨트 주행 시, 트레드부와 노면 사이의 물을 효과적으로 배출하고, 우수한 웨트 성능을 발휘하는 데 도움이 된다. 본 발명의 제1 주홈 및 제2 주홈은, 타이어 적도로부터의 거리가 일정 범위로 특정되어 있기 때문에, 랜드부의 과도한 강성 저하를 억제하여 드라이 그립을 유지하면서, 웨트 성능을 높일 수 있다.
고부하 주행 시에, 타이어 적도와 외측 트레드단 사이의 영역에는, 선회 시에 큰 접지압이 작용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타이어 적도로부터의 거리가 특정되며 또한 상대적으로 작은 홈폭을 갖는 제3 주홈이 상기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영역의 강성이 확보되고, 나아가서는 우수한 드라이 그립 성능 및 내편마모 성능이 발휘된다. 또한, 선회 시에 제3 주홈에 큰 접지압이 작용하기 때문에, 제3 주홈은, 상대적으로 작은 홈폭이더라도, 웨트 주행 시에 충분한 배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타이어의 랜드부는, 제1 주홈과 제2 주홈 사이에 구분된 내측 크라운 랜드부와, 제1 주홈과 제3 주홈 사이에 구분되며 또한 내측 크라운 랜드부보다 큰, 타이어 축 방향의 폭을 갖는 외측 크라운 랜드부와, 제2 주홈과 내측 트레드단 사이의 내측 숄더 랜드부와, 제3 주홈과 외측 트레드단 사이의 외측 숄더 랜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타이어는, 선회 시에 큰 접지압이 작용하는 외측 크라운 랜드부의 폭이 크게 확보되어 있기 때문에, 우수한 드라이 그립 성능 및 내편마모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타이어에 있어서, 외측 크라운 랜드부, 내측 숄더 랜드부 및 외측 숄더 랜드부에는, 각각, 랜드부 내에서 폐쇄된 복수 개의 폐쇄 홈이 형성되어 있다. 랜드부 내에서 폐쇄된 폐쇄 홈은, 웨트 성능을 높이면서, 랜드부의 강성을 적절히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작은 폭의 내측 크라운 랜드부와, 외측 크라운 랜드부, 내측 숄더 랜드부 및 외측 숄더 랜드부와의 강성차가 작아지고, 내편마모 성능이 높아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타이어는, 서킷 등에 있어서의 고부하 주행 시에 있어서, 드라이 그립 성능 및 내편마모 성능을 유지하면서, 우수한 웨트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타이어의 트레드부의 전개도이다.
도 2의 (a)는, 도 1의 A-A 선 단면도이고, 도 2의 (b)는, 도 1의 B-B 선 단면도이고, 도 2의 (c)는, 도 1의 C-C 선 단면도이다.
도 3의 (a)는, 도 1의 C-C 선 단면도이고, 도 3의 (b)는, 도 1의 D-D 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외측 크라운 랜드부 및 외측 숄더 랜드부의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의 내측 크라운 랜드부 및 내측 숄더 랜드부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타이어의 트레드부의 전개도이다.
도 7은, 비교예의 타이어의 트레드부의 전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의 타이어(1)의 트레드부(2)의 전개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타이어(1)는, 예컨대, 승용차용의 공기 타이어로서 사용되고, 특히 서킷 등에서의 사용을 전제로 한 고성능 타이어로서 적합하게 사용된다.
타이어(1)는, 차량에 대한 장착 방향이 지정된 트레드부(2)를 갖고 있다. 차량에 대한 장착 방향은, 예컨대, 사이드 월부(도시 생략) 등에 문자나 마크로 표시되어 있다. 도 1에 있어서, 타이어(1)가 차량에 장착된 경우, 도 1의 좌측이 차량 내측에 대응하고, 도 1의 우측이 차량 외측에 대응하고 있다.
차량에 대한 장착 방향이 지정됨으로써, 트레드부(2)는, 차량 장착 시에 차량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트레드단(To)과, 차량 장착 시에 차량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 트레드단(Ti)을 갖고 있다.
각 트레드단(To, Ti)은, 공기 타이어의 경우, 정규 림(도시 생략)에 림 조립되며 또한 정규 내압이 충전되고, 더구나 무부하인 정규 상태의 타이어(1)에, 정규 하중을 부하하여 캠버각 0°로 평면에 접지시켰을 때의 타이어 축 방향 최외측의 접지 위치이다.
「정규 림」은, 타이어가 기초하고 있는 규격을 포함하는 규격 체계에 있어서, 상기 규격이 타이어마다 정하고 있는 림이고, 예컨대 JATMA이면 “표준 림”이며, TRA이면 “Design Rim”이고, ETRTO이면 “Measuring Rim”이다.
「정규 내압」은, 타이어가 기초하고 있는 규격을 포함하는 규격 체계에 있어서, 각 규격이 타이어마다 정하고 있는 공기압이고, JATMA이면 “최고 공기압”이며, TRA이면 표 “TIRE LOAD LIMITS AT VARIOUS COLD INFLATION PRESSURES”에 기재된 최대치이고, ETRTO이면 “INFLATION PRESSURE”이다.
「정규 하중」은, 타이어가 기초하고 있는 규격을 포함하는 규격 체계에 있어서, 각 규격이 타이어마다 정하고 있는 하중이고, JATMA이면 “최대 부하 능력”이며, TRA이면 표 “TIRE LOAD LIMITS AT VARIOUS COLD INFLATION PRESSURES”에 기재된 최대치이고, ETRTO이면 “LOAD CAPACITY”이다.
트레드부(2)는,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는 제1 주홈(11)∼제3 주홈(13)과, 제1 주홈(11)∼제3 주홈(13)으로 구분된 랜드부(10)를 갖고 있다.
제1 주홈(11)∼제3 주홈(13)은, 예컨대, 타이어 둘레 방향을 따라 직선형으로 연장되어 있다. 제1 주홈(11)∼제3 주홈(13)은, 이러한 양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파형이나 지그재그형으로 연장되는 것이어도 좋다.
제1 주홈(11)은, 그 홈 중심선(11c)이 타이어 적도(C)보다 내측 트레드단(Ti)측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제1 주홈(11)은, 예컨대, 양측의 홈 가장자리가 타이어 적도(C)보다 내측 트레드단(Ti)측에 배치되어 있다.
제1 주홈(11)은, 타이어 적도로부터 상기 홈 중심선까지의 타이어 축 방향의 거리(L1)가 트레드 반폭(TWh)의 5%∼25%이다. 트레드 반폭(TWh)은, 트레드 폭(TW)의 절반의 길이를 갖는다. 트레드 폭(TW)은, 상기 정규 상태에 있어서의 내측 트레드단(Ti)으로부터 외측 트레드단(To)까지의 타이어 축 방향의 거리이다.
제2 주홈(12)은, 제1 주홈(11)과 내측 트레드단(Ti)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주홈(12)은, 타이어 적도(C)로부터 홈 중심선(12c)까지의 타이어 축 방향의 거리(L2)가 트레드 반폭(TWh)의 35%∼65%이다.
제3 주홈(13)은, 타이어 적도(C)와 외측 트레드단(To)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3 주홈(13)은, 타이어 적도(C)로부터 홈 중심선(13c)까지의 타이어 축 방향의 거리(L3)가 트레드 반폭의 25%∼55%이다.
제3 주홈(13)의 홈폭(W3)은, 제1 주홈(11)의 홈폭(W1) 및 제2 주홈(12)의 홈폭(W2)보다 작다.
제1 주홈(11) 및 제2 주홈(12)은, 예컨대, 서킷에 있어서의 웨트 주행 시, 트레드부(2)와 노면 사이의 물을 효과적으로 배출하고, 우수한 웨트 성능을 발휘하는 데 도움이 된다. 본 발명의 제1 주홈(11) 및 제2 주홈(12)은, 타이어 적도(C)로부터의 거리가 일정 범위로 특정되어 있기 때문에, 랜드부의 과도한 강성 저하를 억제하여 드라이 그립을 유지하면서, 웨트 성능을 높일 수 있다.
고부하 주행 시에, 타이어 적도(C)와 외측 트레드단(To) 사이의 영역에는, 선회 시에 큰 접지압이 작용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타이어 적도(C)로부터의 거리가 특정되며 또한 상대적으로 작은 홈폭을 갖는 제3 주홈(13)이 상기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영역의 강성이 확보되고, 나아가서는 우수한 드라이 그립 성능 및 내편마모 성능이 발휘된다. 또한, 선회 시에 제3 주홈(13)에 큰 접지압이 작용하기 때문에, 제3 주홈(13)은, 상대적으로 작은 홈폭이더라도, 웨트 주행 시에 충분한 배수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전술한 효과를 더욱 발휘시키기 위해, 제1 주홈(11)의 상기 거리(L1)는, 바람직하게는 트레드 반폭(TWh)의 8%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2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 이하이다. 제2 주홈(12)의 상기 거리(L2)는, 바람직하게는 트레드 반폭(TWh)의 4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5%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6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5% 이하이다. 제3 주홈(13)의 상기 거리(L3)는, 바람직하게는 트레드 반폭(TWh)의 3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5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5% 이하이다.
제1 주홈(11)의 홈폭(W1) 및 제2 주홈(12)의 홈폭(W2)은, 각각, 바람직하게는 5.0 m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mm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5.0 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2 mm 이하이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제1 주홈(11)의 홈폭(W1)은, 제2 주홈(12)의 홈폭(W2)과 동일하다. 이러한 제1 주홈(11) 및 제2 주홈(12)은, 드라이 그립 성능과 웨트 성능을 밸런스 좋게 높이는 데 도움이 된다.
제3 주홈(13)의 홈폭(W3)은, 예컨대, 제1 주홈(11)의 홈폭(W1)의 0.20∼0.50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3 주홈(13)의 홈폭(W3)은, 바람직하게는 2.5 m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mm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6.0 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mm 이하이다.
도 2의 (a)에는, 도 1의 제1 주홈(11)의 A-A 선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의 (b)에는, 도 1의 제2 주홈(12)의 B-B 선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의 (c)에는, 도 1의 제3 주홈(13)의 C-C 선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의 (a) 내지 도 2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주홈(11)의 깊이(d1), 제2 주홈(12)의 깊이(d2) 및 제3 주홈의 깊이(d3)는, 각각, 바람직하게는 4.0 m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mm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7.0 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mm 이하이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제1 주홈(11), 제2 주홈(12) 및 제3 주홈(13)은, 동일한 깊이를 갖고 있다. 이에 따라, 주홈으로 구분된 각 랜드부가 균등하게 마모되기 쉬워진다.
각각의 주홈(11∼13)은, 홈 바닥부(28)로부터 타이어 반경 방향 외측으로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홈벽을 갖고 있다. 제1 주홈(11)의 한쌍의 홈벽(11w) 사이의 각도(θ1), 및, 제2 주홈(12)의 한쌍의 홈벽(12w) 사이의 각도(θ2)는, 바람직하게는 4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7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5° 이하이다. 이러한 제1 주홈(11) 및 제2 주홈(12)은, 각 랜드부의 타이어 축 방향의 전도를 억제하고, 드라이 주행 시에 우수한 선회성을 발휘할 수 있다.
제3 주홈(13)의 한쌍의 홈벽(13w) 사이의 각도(θ3)는, 상기 각도(θ1, θ2)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제3 주홈(13)의 한쌍의 홈벽 사이의 각도(θ3)는, 바람직하게는 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4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이하이다. 이에 따라, 타이어 적도(C)와 외측 트레드단(To) 사이의 영역에 있어서, 랜드부가 타이어 축 방향으로 적절히 변형되기 쉬워진다. 따라서, 주행 시의 반복 변형에 의해 상기 영역이 발열되기 쉬워지기 때문에, 주행 개시 시에 적정 온도까지 상승하기 쉽고, 조기에 타이어 본래의 그립 성능이 발휘된다(이하, 이러한 성능을 「가온 성능」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랜드부(10)는, 내측 크라운 랜드부(15)와, 외측 크라운 랜드부(16)와, 내측 숄더 랜드부(17)와, 외측 숄더 랜드부(18)를 포함한다. 내측 크라운 랜드부(15)는, 제1 주홈(11)과 제2 주홈(12) 사이에 구분되어 있다. 외측 크라운 랜드부(16)는, 제1 주홈(11)과 제3 주홈(13) 사이에 구분되며 또한 내측 크라운 랜드부(15)보다 큰, 타이어 축 방향의 폭(W5)을 갖고 있다. 내측 숄더 랜드부(17)는, 제2 주홈(12)과 내측 트레드단(Ti) 사이에 구분되어 있다. 외측 숄더 랜드부(18)는, 제3 주홈(13)과 외측 트레드단(To) 사이에 구분되어 있다.
본 발명의 타이어는, 선회 시에 큰 접지압이 작용하는 외측 크라운 랜드부(16)의 폭(W5)이 크게 확보되어 있기 때문에, 우수한 드라이 그립 성능 및 내편마모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전술한 효과를 더욱 높이기 위해, 외측 크라운 랜드부(16)의 상기 폭(W5)은, 내측 크라운 랜드부(15)의 타이어 축 방향의 폭(W4)의 바람직하게는 1.45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5배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70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60배 이하이다.
외측 크라운 랜드부(16), 내측 숄더 랜드부(17) 및 외측 숄더 랜드부(18)에는, 각각, 랜드부 내에서 폐쇄된 복수 개의 폐쇄 홈(20)이 형성되어 있다. 랜드부 내에서 폐쇄된 폐쇄 홈(20)이란, 적어도, 그 가장자리가, 랜드부를 구분하는 주홈 또는 트레드단에 연속되어 있지 않은 양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랜드부 내에서 폐쇄된 폐쇄 홈(20)은, 웨트 성능을 높이면서, 랜드부의 강성을 적절히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작은 폭의 내측 크라운 랜드부(15)와, 외측 크라운 랜드부(16), 내측 숄더 랜드부(17) 및 외측 숄더 랜드부(18)와의 강성차가 작아지고, 내편마모 성능이 높아진다. 또한, 폐쇄 홈(20)이 형성된 랜드부는, 적절히 강성이 완화되고, 우수한 가온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랜드부는, 접지 시에 노면을 따르도록 적절히 변형되고, 나아가서는 한계 주행 시의 그립력의 변화를 운전자가 파악하기 쉬워진다(이하, 이러한 성능을 「접지성」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
본 실시형태의 폐쇄 홈(20)은, 예컨대, 타이어 축 방향으로 가로로 긴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폐쇄 홈(20)은, 예컨대, 타이어 축 방향으로 가로로 긴 형상의 타원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폐쇄 홈(20)은, 랜드부의 타이어 축 방향의 강성 저하를 억제하면서, 우수한 내편마모 성능 및 가온 성능을 발휘한다. 다만, 폐쇄 홈(20)은, 이러한 양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컨대, 원형, 타원형, 직사각형 등, 여러 가지 양태로 형성되어도 좋다. 또한, 폐쇄 홈(20)은, 그 길이 방향이 어떠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어도 좋다.
전술한 효과를 더욱 발휘시키기 위해, 폐쇄 홈(20)은, 예컨대, 그 길이 방향과 타이어 축 방향 사이의 각도(θ4)(도시 생략)가 0∼20°인 것이 바람직하다.
폐쇄 홈(20)은, 예컨대, 서로 깊이가 상이한 깊은 폐쇄 홈(21) 및 얕은 폐쇄 홈(22)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있어서, 깊은 폐쇄 홈(21) 및 얕은 폐쇄 홈(22)은 착색되어 있고, 얕은 폐쇄 홈(22)은 깊은 폐쇄 홈(21)보다 짙게 착색되어 있다. 도 3의 (a)에는, 깊은 폐쇄 홈(21)의 D-D 선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의 (b)에는, 얕은 폐쇄 홈(22)의 E-E 선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의 (a) 및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깊은 폐쇄 홈(21)은, 예컨대, 제1 주홈(11)의 깊이(d1)[도 2의 (a)에 나타냄]의 0.50∼0.70배의 깊이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깊은 폐쇄 홈(21)의 깊이(d4)는, 예컨대, 3.5∼4.5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얕은 폐쇄 홈(22)은, 예컨대, 깊은 폐쇄 홈(21)의 0.40∼0.60배의 깊이(d5)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얕은 폐쇄 홈(22)의 깊이(d5)는, 예컨대, 1.5∼2.5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크라운 랜드부(16), 내측 숄더 랜드부(17) 및 외측 숄더 랜드부(18) 중 적어도 하나에는, 각각, 깊은 폐쇄 홈(21)과 얕은 폐쇄 홈(22)이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각 랜드부에 있어서, 깊은 폐쇄 홈(21)과 얕은 폐쇄 홈(22)이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폐쇄 홈(20)의 배치는, 강성이 상이한 부분을 적절히 분산시키기 때문에, 랜드부의 마모의 진행을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도 4에는, 외측 크라운 랜드부(16) 및 외측 숄더 랜드부(18)의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 홈(20)은, 외측 크라운 랜드부(16)에 형성된 복수 개의 외측 크라운 폐쇄 홈(23)과 외측 숄더 랜드부(18)에 형성된 복수 개의 외측 숄더 폐쇄 홈(24)을 포함하고 있다.
외측 크라운 폐쇄 홈(23)의 타이어 축 방향의 길이(L4), 및, 외측 숄더 폐쇄 홈(24)의 타이어 축 방향의 길이(L5)는, 예컨대, 10∼30 mm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30 mm이다.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외측 크라운 폐쇄 홈(23)과 외측 숄더 폐쇄 홈(24)은,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갖고 있다.
외측 크라운 폐쇄 홈(23)의 폭(W6) 및 외측 숄더 폐쇄 홈(24)의 폭(W7)은, 예컨대, 제1 주홈(11)의 홈폭(W1)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각 폭(W6, W7)은, 예컨대, 폐쇄 홈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서 측정된다. 상기 폭(W6, W7)은, 예컨대, 상기 홈폭(W1)의 0.85∼0.95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드라이 그립 성능 및 웨트 성능이 밸런스 좋게 높아진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외측 크라운 폐쇄 홈(23) 및 외측 숄더 폐쇄 홈(24)은, 서로 동일한 폭을 갖고 있다. 이러한 폐쇄 홈(23, 24)은, 외측 크라운 랜드부(16) 및 외측 숄더 랜드부(18)의 마모의 진행을 균일하게 할 수 있다.
제1 주홈(11)의 가장자리로부터 외측 크라운 폐쇄 홈(23)의 가장자리까지의 최단 거리(S1), 및, 제3 주홈(13)의 가장자리로부터 외측 크라운 폐쇄 홈(23)의 가장자리까지의 최단 거리(S2)는, 예컨대, 제1 주홈(11)의 홈폭(W1)(도 1에 나타냄)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상기 최단 거리(S1, S2)는, 예컨대, 제1 주홈(11)의 홈폭(W1)의 1.35∼1.50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외측 크라운 폐쇄 홈(23)의 배치는, 외측 크라운 랜드부(16)의 가장자리의 편마모를 억제하면서, 우수한 가온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타이어 둘레 방향에서 인접하는 외측 크라운 폐쇄 홈(23)들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최단 거리(S3)는, 예컨대, 외측 크라운 랜드부(16)의 타이어 축 방향의 폭(W5)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최단 거리(S3)는, 상기 폭(W5)의 0.65∼0.80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외측 크라운 폐쇄 홈(23)의 배치는, 외측 크라운 랜드부(16)의 강성을 적절히 완화하고, 우수한 가온 성능 및 접지성을 발휘할 수 있다.
제3 주홈(3)의 가장자리로부터 외측 숄더 폐쇄 홈(24)의 가장자리까지의 최단 거리(S4)는, 예컨대, 제1 주홈(11)의 홈폭(W1)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최단 거리(S4)는, 예컨대, 상기 홈폭(W1)의 0.75∼0.85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상기 최단 거리(S4)는, 예컨대, 제3 주홈(13)의 홈폭(W3)보다 크다. 이러한 외측 숄더 폐쇄 홈(24)의 배치는, 외측 숄더 랜드부(18)의 제3 주홈(13)측 가장자리의 편마모를 억제시킬 수 있다.
외측 트레드단(To)으로부터 외측 숄더 폐쇄 홈(24)의 가장자리까지의 최단 거리(S5)는, 예컨대, 상기 최단 거리(S4)보다 크다. 또한, 상기 최단 거리(S5)는, 외측 숄더 폐쇄 홈(24)의 길이(L5)보다 크다. 구체적으로, 상기 최단 거리(S5)는, 외측 숄더 폐쇄 홈(24)의 길이(L5)의 1.35∼1.40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외측 숄더 폐쇄 홈(24)은, 외측 트레드단(To) 부근의 강성을 확보하고, 드라이 주행 시의 선회 성능을 높임과 함께, 외측 트레드단(To) 부근의 편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외측 숄더 폐쇄 홈(24)들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최단 거리(S6)는, 예컨대,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외측 크라운 폐쇄 홈(23)들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최단 거리(S3)의 0.90∼1.10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상기 최단 거리(S6)는, 상기 최단 거리(S3)와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의 각각의 외측 숄더 폐쇄 홈(24)은, 외측 크라운 폐쇄 홈(23)과 타이어 축 방향에서 인접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외측 숄더 폐쇄 홈(24)의 타이어 축 방향의 투영 영역이, 어느 외측 크라운 폐쇄 홈(23)의 적어도 일부와 교차한다. 각 폐쇄 홈(20)의 이러한 배치는, 타이어 주행 시의 각 랜드부의 변형을 더욱 촉진하고, 우수한 가온 성능 및 접지성을 발휘하는 데 도움이 된다.
더욱 바람직한 양태에서, 외측 숄더 랜드부(18)에 형성된 깊은 폐쇄 홈(21)은, 외측 크라운 랜드부(16)에 형성된 얕은 폐쇄 홈(22)과 타이어 축 방향에서 인접하고 있다. 외측 숄더 랜드부(18)에 형성된 얕은 폐쇄 홈(22)은, 외측 크라운 랜드부(16)에 형성된 깊은 폐쇄 홈(21)과 타이어 축 방향에서 인접하고 있다. 각 폐쇄 홈(20)의 이러한 배치는, 랜드부의 강성 분포를 균일하게 하고, 나아가서는 랜드부의 편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도 5에는, 내측 크라운 랜드부(15) 및 내측 숄더 랜드부(17)의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내측 크라운 랜드부(15)는, 예컨대, 홈 및 폐쇄 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플레인 리브(plain rib)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내측 크라운 랜드부(15)는, 전술한 외측 크라운 랜드부(16)와 함께, 우수한 드라이 그립 성능 및 내편마모 성능을 발휘할 수 있다.
폐쇄 홈(20)은, 예컨대, 내측 숄더 랜드부(17)에 형성된 복수 개의 내측 숄더 폐쇄 홈(25)을 포함한다.
내측 숄더 폐쇄 홈(25)은, 예컨대, 외측 숄더 폐쇄 홈(23) 및 외측 크라운 폐쇄 홈(24)(도 4에 도시됨, 이하 동일)보다 작은, 타이어 축 방향의 길이(L6)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내측 숄더 폐쇄 홈(25)의 타이어 축 방향의 길이(L6)는, 예컨대, 10∼30 mm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20 mm이다. 이러한 내측 숄더 폐쇄 홈(25)은, 내측 숄더 랜드부(17)의 강성을 상대적으로 높게 유지시킬 수 있고, 드라이 그립 성능을 높여준다.
내측 숄더 폐쇄 홈(25)의 폭(W8)은, 예컨대, 제1 주홈(11)의 홈폭(W1)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폭(W8)은, 예컨대, 상기 홈폭(W1)의 0.85∼0.95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서, 내측 숄더 폐쇄 홈(25), 외측 크라운 폐쇄 홈(23) 및 외측 숄더 폐쇄 홈(24)은, 서로 동일한 폭을 갖고 있다.
제2 주홈(12)의 가장자리로부터 내측 숄더 폐쇄 홈(25)의 가장자리까지의 최단 거리(S7)는, 예컨대, 제3 주홈(13)으로부터 외측 숄더 폐쇄 홈(24)의 가장자리까지의 최단 거리(S4)(도 4에 나타냄)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상기 최단 거리(S7)는, 예컨대, 상기 최단 거리(S4)의 0.50∼0.65배이다. 이러한 내측 숄더 폐쇄 홈(25)의 배치는, 내측 숄더 랜드부(17)의 제2 주홈(12)측 가장자리와, 외측 숄더 랜드부(18)의 제3 주홈(13)측 가장자리의 마모가 균일하게 진행되게 할 수 있다.
내측 트레드단(Ti)으로부터 내측 숄더 폐쇄 홈(25)의 가장자리까지의 최단 거리(S8)는, 예컨대, 상기 최단 거리(S7)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최단 거리(S8)는, 내측 숄더 폐쇄 홈(25)의 길이(L6)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최단 거리(S8)는, 내측 숄더 폐쇄 홈(25)의 길이(L6)의 2.0∼2.5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한 양태에서, 내측 트레드단(Ti)으로부터 내측 숄더 폐쇄 홈(25)의 가장자리까지의 최단 거리(S8)는, 외측 트레드단(To)으로부터 외측 숄더 폐쇄 홈(24)의 가장자리까지의 최단 거리(S5)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러한 폐쇄 홈(20)의 배치는, 내측 트레드단(Ti) 및 외측 트레드단(To) 부근에서의 마모의 진행을 균일하게 할 수 있다.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내측 숄더 폐쇄 홈(25)들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최단 거리(S9)는, 예컨대,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인접하는 외측 크라운 폐쇄 홈(23)들의 타이어 둘레 방향의 최단 거리(S3)의 0.90∼1.10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양태에서, 상기 최단 거리(S9)는, 상기 최단 거리(S3)와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의 각각의 내측 숄더 폐쇄 홈(25)은, 외측 크라운 폐쇄 홈(23)(도 4에 나타냄)과 타이어 축 방향에서 인접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내측 숄더 폐쇄 홈(25)의 타이어 축 방향의 투영 영역이, 외측 크라운 폐쇄 홈(23)의 적어도 일부와 교차한다.
더욱 바람직한 양태에서, 내측 숄더 랜드부(17)에 형성된 깊은 폐쇄 홈(21)은, 외측 크라운 랜드부(16)에 형성된 얕은 폐쇄 홈(22)과 타이어 축 방향에서 인접하고 있다. 내측 숄더 랜드부(17)에 형성된 얕은 폐쇄 홈(22)은, 내측 크라운 랜드부(15)에 형성된 깊은 폐쇄 홈(21)과 타이어 축 방향에서 인접하고 있다. 이러한 각 폐쇄 홈(20)의 배치는, 랜드부의 강성 분포를 균일하게 하고, 나아가서는 랜드부의 편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의 타이어(1)의 트레드부(2)의 전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형태와 공통되는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가 부여되어 있고, 여기서의 설명은 생략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형태에서는, 외측 크라운 랜드부(16) 및 내측 숄더 랜드부(17) 중 적어도 하나에, 복수 개의 러그 홈(30)이 형성되어 있다. 러그 홈(30)은, 일단이 주홈에 연속되며 또한 타단이 랜드부 내에서 중단된다. 바람직한 양태에서는, 외측 크라운 랜드부(16) 및 내측 숄더 랜드부(17) 각각에, 러그 홈(30)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러그 홈(30)은, 각각의 주홈과 함께, 웨트 성능을 높일 수 있다.
폐쇄 홈(20)과 러그 홈(30)은, 예컨대,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폐쇄 홈(20) 및 러그 홈(30)의 배치는, 랜드부의 편마모를 억제하는 데 도움이 된다.
러그 홈(30)은, 예컨대, 폐쇄 홈(20)보다 작은 깊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폐쇄 홈(20)으로서, 전술한 깊은 폐쇄 홈(21)이 배치되어 있다. 러그 홈(30)은, 예컨대, 깊은 폐쇄 홈(21)의 0.80∼0.90배의 깊이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러그 홈(30)은, 예컨대, 타이어 축 방향으로 가로로 긴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러그 홈(30)의 길이 방향과 타이어 축 방향 사이의 각도(θ5)(도시 생략)는, 예컨대, 0∼20°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러그 홈(30)이 타이어 둘레 방향의 마찰력을 높일 수 있고, 나아가서는 우수한 트랙션 성능이 얻어진다.
러그 홈(30)은, 예컨대, 외측 크라운 랜드부(16)에 형성된 외측 크라운 러그 홈(31)과 내측 숄더 랜드부(17)에 형성된 내측 숄더 러그 홈(32)을 포함한다. 외측 크라운 러그 홈(31)은, 일단이 제1 주홈(11)에 연속되며 또한 타단이 외측 크라운 랜드부(16) 내에서 중단되어 있다. 내측 숄더 러그 홈(32)은, 일단이 제2 주홈(12)에 연속되며 또한 타단이 내측 숄더 랜드부(17) 내에서 중단되어 있다.
외측 크라운 러그 홈(31)은, 예컨대, 외측 크라운 폐쇄 홈(23)보다 작은, 타이어 축 방향의 길이(L7)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외측 크라운 러그 홈(31)의 상기 길이(L7)는, 외측 크라운 폐쇄 홈(23)의 타이어 축 방향의 길이(L4)의 0.80∼0.95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외측 크라운 러그 홈(31)은, 외측 크라운 랜드부(16)의 과도한 강성 저하를 억제하면서, 트랙션 성능을 높일 수 있다.
외측 크라운 러그 홈(31)은, 예컨대, 외측 크라운 폐쇄 홈(23)과 타이어 축 방향에서 오버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꿔 말하면, 외측 크라운 러그 홈(31)의 외측 트레드단(To)측 끝(31a)은, 외측 크라운 폐쇄 홈(23)의 내측 트레드단(Ti)측 끝(23a)보다 외측 트레드단(To)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외측 크라운 러그 홈(31)의 배치는, 외측 크라운 랜드부(16)를 적절히 변형시키는 데 도움이 되고, 나아가서는 가온 성능 및 접지성을 높일 수 있다.
전술한 효과를 더욱 높이기 위해, 외측 크라운 러그 홈(31)과 외측 크라운 폐쇄 홈(23)의 오버랩량(V1)은, 예컨대, 외측 크라운 러그 홈(31)의 타이어 축 방향의 길이(L7)의 0.30∼0.40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온 성능 및 접지성을 높이기 위해, 내측 숄더 러그 홈(32)은, 예컨대, 내측 숄더 폐쇄 홈(25)보다 큰, 타이어 축 방향의 길이(L8)를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내측 숄더 러그 홈(32)의 상기 길이(L8)는, 내측 숄더 폐쇄 홈(25)의 타이어 축 방향의 길이(L6)의 1.25∼1.40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내측 숄더 러그 홈(32)은, 예컨대, 내측 숄더 폐쇄 홈(25)과 타이어 축 방향에서 오버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꿔 말하면, 내측 숄더 러그 홈(32)의 내측 트레드단(Ti)측 끝(32a)은, 내측 숄더 폐쇄 홈(25)의 타이어 적도(C)측 끝(25a)보다 내측 트레드단(Ti)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내측 숄더 러그 홈(32)의 배치는, 내측 숄더 랜드부(17)를 적절히 변형시키는 데 도움이 되고, 우수한 가온 성능 및 접지성을 얻도록 해준다.
전술한 효과를 더욱 높이기 위해, 내측 숄더 러그 홈(32)과 내측 숄더 폐쇄 홈(25)의 오버랩량(V2)은, 예컨대, 내측 숄더 러그 홈(32)의 타이어 축 방향의 길이(L8)의 0.70∼0.80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타이어를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전술한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 양태로 변경하여 실시될 수 있다.
실시예
도 1의 기본 트레드 패턴을 갖는 사이즈 235/40R18의 공기 타이어가, 표 1의 사양에 기초하여 시험 제작되었다. 비교예로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 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타이어가 시험 제작되었다. 비교예의 타이어는, 폐쇄 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점을 제외하고, 도 1의 트레드 패턴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각각의 테스트 타이어의 드라이 노면에서의 주행 타임, 하이드로플레이닝 현상의 발생 속도 및 내편마모 성능이 테스트되었다. 각 테스트 타이어의 공통 사양이나 테스트 방법은 이하와 같다.
림: 18×8.5J
타이어 내압: 180 kPa
테스트 차량: 배기량 2500 cc, 사륜 구동차
트레드 반폭(TWh) = 105.0 mm
제1 주홈의 홈폭(W1) 및 제2 주홈의 홈폭(W2) = 10.0 mm
제3 주홈의 홈폭(W3) = 3.0 mm
각각의 주홈의 홈깊이 = 5.5 mm
<드라이 노면에서의 주행 타임>
상기 테스트 타이어를 장착한 상기 테스트 차량으로, 1주 5 km의 포장 노면으로 이루어지는 드라이 상태의 주회 코스를 일주할 때의 주행 타임이 측정되었다. 결과는, 비교예를 100으로 하는 지수이고, 수치가 작을수록, 주행 타임이 짧은 것을 나타내고 있다.
<하이드로플레이닝 현상의 발생 속도>
인사이드 드럼 시험기가 이용되고, 각 테스트 타이어가 이하의 조건에서 수심 5.0 mm의 드럼면 상 주행을 했을 때의 하이드로플레이닝 현상의 발생 속도가 측정되었다. 결과는, 비교예 1을 100으로 하는 지수이고, 수치가 클수록, 상기 발생 속도가 높고, 웨트 성능이 우수한 것을 나타낸다.
슬립각: 1.0°
종하중: 3.92 kN
타이어 내압: 250 kPa
<내편마모 성능>
전술한 주회 코스로 20 km 연속 주행 후, 내측 크라운 랜드부의 마모량과, 외측 크라운 랜드부의 마모량의 차가 측정되었다. 결과는, 비교예의 상기 차를 100으로 하는 지수이고, 수치가 작을수록, 내측 크라운 랜드부 및 외측 크라운 랜드부의 마모량이 균일하고, 내편마모 성능이 우수한 것을 나타낸다.
테스트의 결과가 표 1에 기재된다.
[표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테스트 결과, 실시예의 타이어는, 드라이 그립 성능 및 내편마모 성능을 유지하면서 우수한 웨트 성능을 발휘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트레드부, 11: 제1 주홈, 12: 제2 주홈, 13: 제3 주홈, 15: 내측 크라운 랜드부, 16: 외측 크라운 랜드부, 17: 내측 숄더 랜드부, 18: 외측 숄더 랜드부, 20: 폐쇄 홈, TWh: 트레드 반폭, To: 외측 트레드단, Ti: 내측 트레드단

Claims (14)

  1. 차량에 대한 장착 방향이 지정된 트레드부를 갖는 타이어로서,
    상기 트레드부는,
    차량 장착 시에 차량의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 트레드단과,
    차량 장착 시에 차량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 트레드단과,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속하여 연장되는 제1 주홈∼제3 주홈과,
    상기 제1 주홈∼제3 주홈으로 구분되는 랜드부
    를 갖고,
    상기 제1 주홈은, 그 홈 중심선이 타이어 적도보다 상기 내측 트레드단측에 배치되며, 또한, 타이어 적도로부터 상기 홈 중심선까지의 타이어 축 방향의 거리(L1)가 트레드 반폭(半幅)의 5%∼25%이고,
    상기 제2 주홈은, 상기 제1 주홈과 상기 내측 트레드단 사이에 배치되며, 또한, 타이어 적도로부터 홈 중심선까지의 타이어 축 방향의 거리(L2)가 트레드 반폭의 35%∼65%이고,
    상기 제3 주홈은, 타이어 적도와 상기 외측 트레드단 사이에 배치되며, 또한, 타이어 적도로부터 홈 중심선까지의 타이어 축 방향의 거리(L3)가 트레드 반폭의 25%∼55%이고, 상기 제3 주홈의 홈폭은, 상기 제1 주홈 및 상기 제2 주홈의 홈폭보다 작고,
    상기 랜드부는,
    상기 제1 주홈과 상기 제2 주홈 사이에 구분된 내측 크라운 랜드부와,
    상기 제1 주홈과 상기 제3 주홈 사이에 구분되며 또한 상기 내측 크라운 랜드부보다 큰, 타이어 축 방향의 폭을 갖는 외측 크라운 랜드부와,
    상기 제2 주홈과 상기 내측 트레드단 사이의 내측 숄더 랜드부와,
    상기 제3 주홈과 상기 외측 트레드단 사이의 외측 숄더 랜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외측 크라운 랜드부, 상기 내측 숄더 랜드부 및 상기 외측 숄더 랜드부에는, 각각, 상기 랜드부 내에서 폐쇄된 복수 개의 폐쇄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인 타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홈은, 서로 깊이가 상이한 깊은 폐쇄 홈 및 얕은 폐쇄 홈을 포함하는 것인 타이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크라운 랜드부, 상기 내측 숄더 랜드부 및 상기 외측 숄더 랜드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각각, 상기 깊은 폐쇄 홈과 상기 얕은 폐쇄 홈이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인 타이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폐쇄 홈은, 타이어 축 방향으로 가로로 긴 형상이며, 또한, 그 길이 방향과 타이어 축 방향 사이의 각도가 0∼20°인 것인 타이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홈은, 상기 내측 숄더 랜드부에 형성된 내측 숄더 폐쇄 홈과, 상기 외측 숄더 랜드부에 형성된 외측 숄더 폐쇄 홈과, 상기 외측 크라운 랜드부에 형성된 외측 크라운 폐쇄 홈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 숄더 폐쇄 홈은, 상기 외측 숄더 폐쇄 홈 및 상기 외측 크라운 폐쇄 홈보다 작은, 타이어 축 방향의 길이를 갖는 것인 타이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숄더 폐쇄 홈, 상기 외측 숄더 폐쇄 홈 및 상기 내측 크라운 폐쇄 홈은, 각각, 10∼30 mm의 타이어 축 방향의 길이를 갖는 것인 타이어.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홈 및 상기 제2 주홈은, 각각, 5.0∼15.0 mm의 홈폭을 갖는 것인 타이어.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주홈은, 2.5∼6.0 mm의 홈폭을 갖는 것인 타이어.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홈, 상기 제2 주홈 및 상기 제3 주홈은, 각각, 4.0∼7.0 mm의 깊이를 갖는 것인 타이어.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홈은, 홈 바닥부로부터 타이어 반경 방향 외측으로 직선형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홈벽을 갖고,
    상기 제1 주홈의 상기 한쌍의 홈벽 사이의 각도(θ1), 및, 상기 제2 주홈의 상기 한쌍의 홈벽 사이의 각도(θ2)는, 45∼75°인 것인 타이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주홈의 상기 한쌍의 홈벽 사이의 각도(θ3)는, 0∼45°인 것인 타이어.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크라운 랜드부 및 상기 내측 숄더 랜드부 중 적어도 하나에는, 일단이 상기 주홈에 연속되며 또한 타단이 상기 랜드부 내에서 중단되는 복수 개의 러그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인 타이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폐쇄 홈과 상기 러그 홈은,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교대로 형성되어 있는 것인 타이어.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러그 홈은, 상기 폐쇄 홈보다 작은 깊이를 갖는 것인 타이어.
KR1020180032509A 2017-03-30 2018-03-21 타이어 KR1025282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67117 2017-03-30
JP2017067117A JP6844377B2 (ja) 2017-03-30 2017-03-30 タイ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1543A true KR20180111543A (ko) 2018-10-11
KR102528226B1 KR102528226B1 (ko) 2023-05-02

Family

ID=61837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2509A KR102528226B1 (ko) 2017-03-30 2018-03-21 타이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021018B2 (ko)
EP (1) EP3381717B1 (ko)
JP (1) JP6844377B2 (ko)
KR (1) KR102528226B1 (ko)
CN (1) CN10870590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056392B2 (ja) * 2018-06-13 2022-04-19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
JP7164425B2 (ja) * 2018-12-20 2022-11-01 Toyo Tire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CN112810387B (zh) * 2019-11-18 2023-10-17 住友橡胶工业株式会社 轮胎
JP2022094628A (ja) * 2020-12-15 2022-06-27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5521B2 (ja) 1976-10-29 1985-12-05 株式会社トクヤマ 有機高分子物質の表層部に存在するスルホニル基の分解方法
JPH0616106U (ja) * 1992-07-23 1994-03-01 オーツタイヤ株式会社 タイヤのトレッド部の構造
JP2004090763A (ja) * 2002-08-30 2004-03-25 Bridgestone Corp 非対称トレッドパターンを有するタイヤおよびその装着方法
US20060005904A1 (en) * 2004-07-09 2006-01-12 Jean-Nicolas Helt Asymmetric truck racing tire
KR20130076312A (ko) * 2011-12-28 2013-07-08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비대칭 타이어의 코니시티 개선방법 및 이를 적용한 비대칭 타이어
US20130312886A1 (en) * 2011-02-24 2013-11-28 Bridgestone Corporation Pneumatic radial tire
KR20140064610A (ko) * 2012-11-20 2014-05-28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공기 타이어
WO2016093069A1 (ja) * 2014-12-11 2016-06-16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75439A (en) * 1949-05-13 1951-11-20 Goodrich Co B F Tire
GB1019776A (en) 1961-12-18 1966-02-09 Ciba Ltd Basic ethers and process for preparing same
FR2080054A5 (ko) 1970-02-20 1971-11-12 Michelin & Cie
JPS58177703A (ja) * 1982-04-10 1983-10-18 Sumitomo Rubber Ind Ltd タイヤ
JPS59176104A (ja) * 1983-03-25 1984-10-05 Yokohama Rubber Co Ltd:The 重荷重用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JPH0253608A (ja) * 1988-08-12 1990-02-22 Sumitomo Rubber Ind Ltd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BR6802536U (pt) * 1988-11-18 1989-09-12 Pirelli Pneus Sa Banda de rodagem
JPH0616106A (ja) * 1993-03-23 1994-01-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自動車用ワイパ制御装置
IT1288435B1 (it) 1997-01-28 1998-09-22 Pirelli Pneumatico e fascia battistrada per pneumatici particolarmente per autocarri e simili
JP4044316B2 (ja) * 2001-11-01 2008-02-06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4286578B2 (ja) * 2002-05-08 2009-07-01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
FR2894183B1 (fr) * 2005-12-06 2008-02-15 Michelin Soc Tech Bande de roulement pour pneumatique poids lourd
JP4189008B2 (ja) * 2007-02-26 2008-12-03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EP2164716B1 (en) * 2007-07-05 2011-02-23 Pirelli Tyre S.P.A. Tyre for vehicles
JP5562727B2 (ja) * 2010-06-01 2014-07-30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5249993B2 (ja) * 2010-06-18 2013-07-31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CN103298631B (zh) * 2010-11-15 2016-03-16 株式会社普利司通 乘用车用充气子午线轮胎
JP5250063B2 (ja) * 2011-02-28 2013-07-31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WO2013042258A1 (ja) 2011-09-22 2013-03-28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US9463670B2 (en) * 2011-10-04 2016-10-11 The Yokohama Rubber Co., Ltd. Pneumatic tire
JP5503622B2 (ja) 2011-11-08 2014-05-28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5357988B2 (ja) * 2012-02-23 2013-12-04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CN103085607B (zh) * 2013-01-29 2015-05-13 上海轮胎橡胶(集团)股份有限公司轮胎研究所 低侧向噪声辐射轮胎花纹结构
JP6420547B2 (ja) * 2014-01-27 2018-11-07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6044561B2 (ja) * 2014-02-26 2016-12-14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5768909B1 (ja) * 2014-02-26 2015-08-26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6194279B2 (ja) * 2014-05-21 2017-09-06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JP6010589B2 (ja) * 2014-08-07 2016-10-19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6393208B2 (ja) * 2015-02-16 2018-09-19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2016159797A (ja) * 2015-03-03 2016-09-05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6581371B2 (ja) * 2015-03-20 2019-09-25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自動二輪車用タイヤ
CN106364261B (zh) * 2015-07-23 2019-11-15 住友橡胶工业株式会社 充气轮胎
JP6055521B1 (ja) * 2015-08-03 2016-12-27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6496208B2 (ja) * 2015-08-04 2019-04-03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6582726B2 (ja) * 2015-08-20 2019-10-02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
JP6575254B2 (ja) * 2015-09-15 2019-09-18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55521B2 (ja) 1976-10-29 1985-12-05 株式会社トクヤマ 有機高分子物質の表層部に存在するスルホニル基の分解方法
JPH0616106U (ja) * 1992-07-23 1994-03-01 オーツタイヤ株式会社 タイヤのトレッド部の構造
JP2004090763A (ja) * 2002-08-30 2004-03-25 Bridgestone Corp 非対称トレッドパターンを有するタイヤおよびその装着方法
US20060005904A1 (en) * 2004-07-09 2006-01-12 Jean-Nicolas Helt Asymmetric truck racing tire
US20130312886A1 (en) * 2011-02-24 2013-11-28 Bridgestone Corporation Pneumatic radial tire
JP5887332B2 (ja) * 2011-02-24 2016-03-16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KR20130076312A (ko) * 2011-12-28 2013-07-08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비대칭 타이어의 코니시티 개선방법 및 이를 적용한 비대칭 타이어
KR20140064610A (ko) * 2012-11-20 2014-05-28 스미토모 고무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공기 타이어
WO2016093069A1 (ja) * 2014-12-11 2016-06-16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2016112926A (ja) * 2014-12-11 2016-06-23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6492605B2 (ja) * 2014-12-11 2019-04-03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81717A1 (en) 2018-10-03
CN108705901A (zh) 2018-10-26
CN108705901B (zh) 2022-02-08
KR102528226B1 (ko) 2023-05-02
JP6844377B2 (ja) 2021-03-17
US20180281528A1 (en) 2018-10-04
JP2018167717A (ja) 2018-11-01
EP3381717B1 (en) 2020-09-02
US11021018B2 (en) 2021-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07677B1 (en) Pneumatic tire
US9555669B2 (en) Pneumatic tire
US9302548B2 (en) Pneumatic tire
KR102565115B1 (ko) 공기 타이어
EP3290235B1 (en) Pneumatic tire
JP2010058781A (ja) 空気入りタイヤ
JP5895778B2 (ja) 空気入りタイヤ
US10173476B2 (en) Pneumatic tire
KR20180111543A (ko) 타이어
KR102344134B1 (ko) 타이어
KR102377656B1 (ko) 공기 타이어
JP5923125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7205168B2 (ja) タイヤ
JP6496208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22123838A (ja) タイ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