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0983A - 변속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변속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0983A
KR20180110983A KR1020170041074A KR20170041074A KR20180110983A KR 20180110983 A KR20180110983 A KR 20180110983A KR 1020170041074 A KR1020170041074 A KR 1020170041074A KR 20170041074 A KR20170041074 A KR 20170041074A KR 20180110983 A KR20180110983 A KR 201801109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lever
driving force
state
groove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1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89765B1 (ko
Inventor
차홍준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41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9765B1/ko
Priority to DE102018204870.3A priority patent/DE102018204870A1/de
Priority to US15/940,185 priority patent/US10718430B2/en
Priority to CN202011576562.2A priority patent/CN112728065B/zh
Priority to CN201810279751.XA priority patent/CN108692003B/zh
Publication of KR201801109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09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9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97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78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elector lever, e.g. grip parts, mounting or manufactu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2Locking of the control input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8Preventing unintentional or unsafe shift, e.g. preventing manual shift from highest gear to reverse g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4Providing feel, e.g. to enable sel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16H1/1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worm and worm-whe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78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elector lever, e.g. grip parts, mounting or manufacturing
    • F16H2059/0282Lever handles with lock mechanisms, e.g. for allowing selection of reverse gear or releasing lever from park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2059/0295Selector apparatus with mechanisms to return lever to neutral or datum position, e.g. by return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2059/081Range selector apparatus using knops or discs for rotary range sel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2Locking of the control input devices
    • F16H2061/223Electrical gear shift lock, e.g. locking of lever in park or neutral position by electric means if brake is not applied; Key interlock, i.e. locking the key if lever is not in park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4Providing feel, e.g. to enable selection
    • F16H2061/247Detents for range sel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속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비주차단에서 시동이 정지된 경우 디턴트(detent)의 발생 없이 변속단을 주차단으로 전환하는 변속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속 장치는 변속단 전환을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는 변속 레버와, 상기 변속 레버에 접촉하여 상기 변속 레버에 의한 변속단 전환 시 디턴트를 발생시키는 디턴트 그루브, 상기 변속 레버가 비주차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시동이 정지된 경우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력으로 상기 변속 레버에서 상기 디턴트 그루브를 이격시키는 구동력 전달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변속 장치 및 시스템{Apparatus and system for transmission}
본 발명은 변속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비주차단에서 시동이 정지된 경우 디턴트(detent)의 발생 없이 변속단을 주차단으로 전환하는 변속 장치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변속기의 변속단은 주차단(P단), 후진단(R단), 중립단(N단) 및 주행단(D단)을 포함할 수 있다. 운전자는 차량에 구비된 변속 레버를 이용하여 변속단을 전환할 수 있다.
변속단이 주차단으로 전환된 경우 차량의 바퀴가 잠금 상태로 전환되어 차량이 이동하지 않게 된다. 변속단이 주차단으로 전환됨에 따라 안전한 주차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운전자의 미숙 또는 부주의로 인하여 주행이 완료된 이후에 변속단이 주차단으로 전환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차량이 이동함으로써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주행이 완료된 차량에 있어서 변속단이 비주차단인 상태에서 주차단으로 자동으로 전환시키는 발명의 등장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04-0040862호 (2004.05.13)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비주차단에서 시동이 정지된 경우 디턴트(detent)의 발생 없이 변속단을 주차단으로 전환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속 장치는 변속단 전환을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는 변속 레버와, 상기 변속 레버에 접촉하여 상기 변속 레버에 의한 변속단 전환 시 디턴트를 발생시키는 디턴트 그루브, 상기 변속 레버가 비주차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시동이 정지된 경우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력으로 상기 변속 레버에서 상기 디턴트 그루브를 이격시키는 구동력 전달부를 포함한다.
상기 디턴트 그루브는 복수의 디턴트 홈을 포함하고, 상기 변속 레버의 말단에 구비된 불릿(bullet)이 상기 복수의 디턴트 홈간을 이동함에 따라 디턴트가 발생된다.
상기 복수의 디턴트 홈은 주차단, 후진단, 중립단 및 주행단에 대응하는 디턴트 홈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력 전달부는 상기 구동력으로 상기 변속 레버를 회전시켜 주차단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디턴트 그루브를 지지하여 상기 변속 레버가 상기 디턴트 홈에 밀착하도록 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하여 이동하여 상기 디턴트 그루브의 지지를 해제한다.
상기 지지부는, 이동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디턴트 그루브는 상기 경사면에 밀려 상승하거나 상기 경사면으로부터의 압력이 감소되어 하강한다.
상기 구동력 전달부는 상기 구동력으로 상기 지지부를 이동시켜 상기 변속 레버에서 상기 디턴트 그루브를 이격시킨다.
상기 구동력 전달부는, 상기 구동부로부터 구동력을 입력받는 구동력 입력부, 및 상기 구동력 입력부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력 입력부와 함께 회전함으로써 상기 지지부를 이동시키고 상기 변속 레버를 회전시키는 구동력 출력부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력 출력부는, 상기 지지부에 구비된 랙 기어에 치합되어 상기 지지부를 수평 이동시키는 평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변속 레버에 구비된 회전핀에 힘을 가하여 상기 변속 레버를 회전시키는 변속홀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을 상기 구동력 전달부로 전달하는 전달 기어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전달 기어는 상기 구동부와 상기 구동력 전달부간의 기어비를 결정한다.
상기 구동부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 모터, 및 상기 구동 모터에 의한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웜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전달 기어는, 상기 웜기어에 치합되는 웜휠기어, 및 상기 웜휠기어로 입력된 구동력을 상기 구동력 전달부로 전달하는 평기어를 포함한다.
상기 변속 장치는 상기 변속 레버가 주차단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잠금부, 및 상기 잠금부를 제어하여 상기 주차단으로의 이동 차단을 해제하는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한다.
상기 액추에이터는 솔레노이드를 이용하여 구동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잠금부는 상기 솔레노이드에 의하여 발생된 구동력에 의하여 자세를 전환하여 상기 변속 레버가 주차단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거나 상기 변속 레버에 구비된 잠금핀을 수용하여 상기 변속 레버를 주차단에 고정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속 시스템은 변속기의 변속단을 전환하는 변속 장치, 및 차량의 시동 상태 및 변속단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여 상기 변속단을 주차단으로 전환하도록 상기 변속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변속 장치는 변속 레버와 디턴트 그루브를 이격시킨 상태에서 변속단을 주차단으로 전환한다.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차량의 시동이 정지되고, 변속단이 비주차단인 경우 상기 변속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변속 레버와 상기 디턴트 그루브가 이격된 상태에서 변속단이 주차단으로 전환되도록 한다.
상기 변속 장치는, 상기 변속 레버가 주차단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잠금부와, 상기 잠금부를 제어하여 상기 주차단으로의 이동 차단을 해제하는 액추에이터,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력으로 상기 변속 레버에서 상기 디턴트 그루브를 이격시키고, 상기 변속 레버를 회전시켜 주차단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력 전달부를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속 장치 및 시스템에 따르면 비주차단에서 시동이 정지된 경우 디턴트(detent)의 발생 없이 변속단을 주차단으로 전환함으로써 주차에 따른 안전 사고를 사전에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속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속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속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속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속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잠금부가 잠금 상태로 전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잠금부가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잠금부에 의하여 변속 레버의 변속이 차단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제어에 의하여 잠금부가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가 디턴트 그루브의 지지를 해제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턴트 그루브가 하강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턴트 그루브가 하강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속 레버가 회전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제어에 의하여 잠금부가 잠금 상태로 전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가 디턴트 그루브를 지지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턴트 그루브가 상승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속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속 시스템(10)은 제어 장치(100), 변속 장치(200) 및 변속기(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어 장치(100)는 변속 장치(200)를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어 장치(100)는 변속 장치(200)로 제어 신호를 송신하여 변속 장치(200)로 하여금 변속기(300)의 변속단을 전환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제어 장치(100)는 변속기(300)의 변속단이 주차단으로 전환되도록 변속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어 장치(100)는 차량의 시동 상태 및 변속단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여 변속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100)는 차량의 시동이 정지된 상태에서 변속기(300)의 변속단이 비주차단인 경우 주차단으로 전환되도록 변속 장치(200)를 제어할 수 있다.
변속 장치(200)는 변속기(300)의 변속단을 전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변속 장치(200)는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한 변속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변속 레버를 이용하여 변속기(300)의 변속단을 전환시킬 수 있다.
또한, 변속 장치(200)는 변속 레버를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수단은 제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변속 레버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 수단은 변속 레버가 주차단을 가리키도록 그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 때, 변속 장치(200)는 변속 레버와 후술하는 디턴트 그루브를 이격시킨 상태에서 변속단을 주차단으로 전환할 수 있다. 변속 레버와 디턴트 그루브가 이격된 상태에서 변속단이 전환됨에 따라 디턴트의 발생 없이 변속단 전환이 수행될 수 있게 된다.
변속기(300)는 차량의 엔진과 바퀴간의 변속단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변속단은 주차단(P단), 후진단(R단), 중립단(N단) 및 주행단(D단)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변속단은 주차단(P단), 후진단(R단), 중립단(N단) 및 주행단(D단)의 순서로 형성될 수 있다.
변속 장치(200)의 변속 레버가 가리키는 변속단에 따라 변속기(300)는 차량의 변속단을 결정하여 엔진의 구동력을 바퀴에 전달하거나 바퀴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100)는 상태 감지부(110), 저장부(120), 제어부(130), 타이머(140) 및 신호 송신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태 감지부(110)는 차량의 상태를 감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태 감지부(110)는 차량의 주행 상태, 차량의 시동 상태, 브레이크 페달의 선택 상태, 변속 레버 버튼의 선택 상태 및 차량의 변속단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감지할 수 있다.
차량의 주행 상태는 차량이 주행 중인지 여부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0을 초과하는 절대 속도를 가지고 주행하는 상태와 절대 속도가 0인 상태가 차량의 주행 상태에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절대 속도는 속도의 절대값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전진 상태뿐만 아니라 후진 상태에서도 차량의 절대 속도는 0을 초과할 수 있다. 이하, 차량의 절대 속도가 0을 초과하는 상태를 차량 이동 상태라 하고, 차량의 절대 속도가 0인 상태를 차량 정지 상태라 한다.
차량의 시동 상태는 차량의 시동이 걸려있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이하, 차량의 시동이 걸려있는 상태를 시동 잠금 상태라 하고, 차량의 시동이 걸려있지 않은 상태를 시동 정지 상태라 한다.
브레이크 페달의 선택 상태는 브레이크 페달이 사용자에 의하여 눌려지고 있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이하, 브레이크 페달이 눌려진 상태를 페달 눌림 상태라 하고, 페달이 눌리지 않은 상태를 페달 해제 상태라 한다.
변속 레버 버튼의 선택 상태는 변속 레버에 구비된 버튼이 사용자에 의하여 눌려지고 있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이하, 버튼이 눌려진 상태를 버튼 눌림 상태라 하고, 버튼이 눌리지 않은 상태를 버튼 해제 상태라 한다.
차량의 변속단 상태는 변속기(300)가 어떠한 변속단으로 엔진과 바퀴를 변속하고 있는지를 나타낸다. 변속단 상태는 주차단(P단) 상태, 후진단(R단) 상태, 중립단(N단) 상태 및 주행단(D단) 상태를 포함한다. 또한, 주차단 상태가 아닌 변속단 상태를 비주차단 상태라 한다.
저장부(120)는 상태 감지부(110)로부터 수신된 차량 상태에 대한 정보를 임시로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저장부(120)는 제어 장치(100) 내부적으로 이동하는 다양한 정보를 임시로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제어부(130)는 상태 감지부(110)로부터 전달된 차량 상태를 참조하여 변속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차량 이동 상태에서 후진단 및 주차단이 선택되지 않도록 변속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하, 후진단 및 주차단의 선택이 차단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차단 제어 신호라 한다.
또한, 제어부(130)는 차량 정지 상태이고, 페달 눌림 상태이며, 버튼 눌림 상태에서 후진단 및 주차단을 포함한 모든 변속단의 선택이 가능하도록 변속 장치(2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하, 모든 변속단의 선택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해제 제어 신호라 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30)는 차량 정지 상태이고, 시동 정지 상태이며, 비주차단 상태에서 변속단이 자동으로 주차단으로 전환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하, 변속단이 자동으로 주차단으로 전환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자동 제어 신호라 한다.
제어부(130)는 차량 주행 상태가 차량 이동 상태에서 차량 정지 상태로 전환된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비주차단 상태가 유지된 경우 자동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정지 상태로 전환된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 동안 주행단 상태가 유지된 경우 제어부(130)는 자동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경과 시간을 확인하기 위하여 타이머(140)를 이용할 수 있다. 타이머(140)는 차량 이동 상태에서 차량 정지 상태로 전환된 시점으로부터 경과된 시간을 제어부(13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130)에 의하여 생성된 제어 신호는 신호 송신부(150)에 의하여 송신되고, 송신된 제어 신호는 변속 장치(200)에 의하여 수신될 수 있다.
제어 신호를 수신한 변속 장치(200)는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사용자의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단 제어 신호가 수신된 경우 변속 장치(200)는 후진단 및 주차단을 제외한 나머지 변속단만을 입력받을 수 있고, 해제 제어 신호가 수신된 경우 변속 장치(200)는 모든 변속단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자동 제어 신호가 수신된 경우 변속 장치(200)는 자동으로 변속단을 주차단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통하여 변속 장치(200)의 구성 및 동작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속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속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속 장치(200)는 변속 레버(210), 디턴트 그루브(220), 탄성 제공부(230), 지지부(240), 잠금부(250), 구동부(260), 액추에이터(270), 구동력 전달부(280) 및 전달 기어(2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변속 레버(210)는 변속단 전환을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변속 레버(210)는 손잡이(211) 및 로드(21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손잡이(211)는 사용자로부터 힘을 전달받아 로드(212)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손잡이(211)로 입력된 힘에 의하여 로드(212)는 회전축(Ax)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로드(212)의 말단에는 불릿(bullet)(214)이 구비될 수 있다. 로드(212)의 내부에는 불릿(214)의 일부를 수용하는 수용 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로드(212)의 수용 공간에는 불릿(214)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 수단(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탄성 수단은 용수철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탄성 수단은 로드(212)의 외측 방향으로 불릿(214)을 미는 힘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외력이 발생하는 경우 불릿(214)의 노출된 부분 중 적어도 일부가 수용 공간으로 삽입되고, 외력이 해제되는 경우 수용 공간에 삽입된 불릿(214)의 적어도 일부가 방출될 수 있다.
로드(212)에는 잠금핀(215) 및 회전핀(216)이 구비될 수 있다. 잠금핀(215) 및 회전핀(216)은 로드(212)의 외면에서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잠금핀(215) 및 회전핀(216)은 로드(212)의 외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잠금핀(215)은 전체 변속단 중 일부 변속단만이 선택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잠금부(250)에 의하여 잠금핀(215)의 이동이 차단됨으로써 변속 레버(210)는 중립단 또는 주행단을 가리키도록 이동이 가능하지만, 주차단 또는 후진단을 가리키도록 이동이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잠금핀(215)은 변속 레버(210)가 주차단에 고정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회전핀(216)은 변속 레버(210)의 자세를 전환시키기 위한 외력을 전달받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동력 전달부(280)로부터 회전핀(216)을 통하여 힘을 전달받아 변속 레버(210)는 회전축(Ax)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자세가 전환될 수 있다.
손잡이(211)에는 버튼(213)가 구비될 수 있다. 버튼(213)는 변속 레버(210)의 선택적인 자세 전환을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는 역할을 수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버튼(213)의 상태는 버튼 눌림 상태 및 버튼 해제 상태를 포함한다.
일부 변속단에 대해서는 버튼 해제 상태에서도 해당 변속단을 가리키도록 변속 레버(210)의 자세 전환이 가능하지만, 다른 일부 변속단에 대해서는 버튼 눌림 상태에서만 변속 레버(210)의 자세 전환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속 레버(210)는 버튼 해제 상태에서도 주행단과 중립단의 사이를 왕복하도록 자세 전환이 가능하다. 그러나, 주행단 또는 중립단을 가리키는 상태에서 후진단 또는 주차단을 가리키도록 하는 변속 레버(210)의 자세 전환은 버튼 눌림 상태에만 가능할 수 있다. 또한, 후진단 또는 주차단을 가리키는 상태에서 주행단 또는 중립단을 가리키도록 하는 변속 레버(210)의 자세 전환은 버튼 눌림 상태에만 가능할 수 있다.
이상은 버튼(213)의 눌림 여부에 따른 변속 레버(210)의 선택적인 자세 전환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버튼(213)의 눌림 여부에 따른 변속 레버(210)의 자세 전환 양상은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디턴트 그루브(220)는 변속 레버(210)에 접촉하여 변속 레버(210)에 의한 변속단 전환 시 디턴트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디턴트 그루브(220)는 복수의 디턴트 홈(221)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변속 레버(210)의 말단에 구비된 불릿(214)이 복수의 디턴트 홈(221) 중 하나에 삽입되어 디턴트 그루브(220)와 변속 레버(210)간의 접촉이 수행될 수 있다. 디턴트 그루브(220)와 변속 레버(210)간의 접촉이 유지된 상태에서 변속 레버(210)의 자세 변화에 따라 불릿(214)이 복수의 디턴트 홈(221)간을 이동하는 경우 디턴트가 발생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불릿(214)은 탄성 수단에 의하여 그 일부가 로드(212)의 내부로 삽입되거나 외부로 방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불릿(214)의 이동에 의하여 인접한 디턴트 홈(221)간을 이동하는 것이 용이하게 수행되고, 디턴트가 발생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복수의 디턴트 홈(221)은 주차단, 후진단, 중립단 및 주행단에 대응하는 디턴트 홈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복수의 디턴트 홈(221)은 주차단, 후진단, 중립단 및 주행단의 순서로 형성된 디턴트 홈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 제공부(230)는 하측 방향으로 미는 힘을 디턴트 그루브(220)에게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탄성 제공부(230)는 탄성 수단(231) 및 받침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 수단(231)은 용수철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탄성 수단(231)의 일측 말단은 디턴트 그루브(220)의 상측면에 접촉하고, 다른 일측 말단은 받침부(232)의 하측면에 접촉할 수 있다. 받침부(232)는 변속 장치(200)를 수용하는 하우징(미도시) 또는 차체(미도시)에 고정된 것일 수 있다. 이에, 받침부(232)에 지지된 탄성 수단(231)은 디턴트 그루브(220)에게 하측 방향으로 힘을 작용할 수 있다.
지지부(240)는 디턴트 그루브(220)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지지부(240)는 디턴트 그루브(220)의 하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탄성 제공부(230)가 탄성력을 제공하더라도 지지부(240)에 의하여 디턴트 그루브(220)는 하측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지지부(240)가 디턴트 그루브(220)를 지지함에 따라 변속 레버(210)가 디턴트 홈(221)에 밀착하고, 변속 레버(210)의 말단에 구비된 불릿(210)이 인접한 디턴트 홈(221)간을 이동하면서 디턴트가 발생될 수 있다.
지지부(240)는 지지 몸체(241) 및 랙 기어(2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 몸체(241)는 디턴트 그루브(220)를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랙 기어(242)는 지지 몸체(241)의 수평 이동을 위한 외력을 전달받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지지부(240)는 수평 이동하여 디턴트 그루브(220)를 지지하거나 지지 해제할 수 있다. 지지 해제된 지지부(240)의 지지 몸체(241)가 디턴트 그루브(220)의 하측으로 밀고 들어가는 것이 보다 용이하게 수행되도록 하기 위하여 지지 몸체(241)는 경사면(SF1)을 구비할 수 있다. 경사면(SF1)은 지지 몸체(241)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어 형성될 수 있다.
디턴트 그루브(220)는 경사면(SF1)에 밀려 상승하거나 경사면(SF2)으로부터의 압력이 감소되어 하강할 수 있다. 지지 몸체(241)의 경사면(SF1)과의 접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디턴트 그루브(220)에도 지지 몸체(241)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어 형성된 경사면(SF2)이 구비될 수 있다.
잠금부(250)는 변속 레버(210)가 주차단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잠금부(250)는 그 자세에 따라 잠금 상태 및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잠금부(250)가 잠금 상태인 경우 변속 레버(210)의 잠금핀(215)이 잠금부(250)의 말단에 의하여 이동이 제한됨에 따라 변속 레버(210)가 비주차단에서 주차단으로 이동하는 것이 차단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르면 잠금부(250)의 차단 범위에 따라 변속 레버(210)가 중립단 또는 주행단에서 후진단 또는 주차단으로 이동하는 것이 차단될 수도 있다.
잠금부(250)는 잠금홈을 포함할 수 있다. 잠금홈은 변속 레버(210)의 잠금핀(215)을 수용하여 변속 레버(210)의 이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변속 레버(210)가 주차단을 가리키고 있는 상태에서 잠금부(250)가 잠금 상태로 전환되면서 잠금홈에 잠금핀(215)이 삽입될 수 있다.
일단, 잠금홈에 잠금핀(215)이 삽입된 상태에서는 변속 레버(210)의 이동이 불가능하게 되며, 사전에 설정된 조건이 만족되는 경우 잠금부(250)가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되어 잠금홈에서 잠금핀(215)이 방출되면서 변속 레버(210)의 이동이 가능하게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정지 상태, 페달 눌림 상태 및 버튼 눌림 상태가 만족되는 경우 잠금부(250)가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270)는 구동력을 발생시켜 잠금부(250)의 자세를 전환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동력은 솔레노이드(미도시)에 의하여 발생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액추에이터(270)는 솔레노이드를 수용하는 구동 몸체(271) 및 솔레노이드에 의하여 직선 이동하는 구동핀(272)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핀(272)의 일단은 구동 몸체(271)에 삽입되고, 구동핀(272)의 다른 일단은 잠금부(250)에 연결될 수 있다. 구동핀(272)의 일부는 액추에이터(270)의 구동력에 의하여 구동 몸체(271)에 삽입되거나 방출될 수 있는데, 구동핀(272)의 삽입 및 방출에 의하여 잠금부(250)가 회전축(Bx)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잠금 상태 또는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결국, 잠금부(250)는 액추에이터(270)의 구동력에 의하여 자세를 전환하여 변속 레버(210)가 주차단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거나 변속 레버(210)에 구비된 잠금핀(215)을 수용하여 변속 레버(210)를 주차단으로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액추에이터(270)는 제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 제어 신호가 수신된 경우 액추에이터(270)는 잠금부(250)를 제어하여 변속 레버(210)에 의한 주차단으로의 이동 차단을 해제할 수 있다. 잠금부(250)가 잠금 상태인 경우 액추에이터(270)의 구동력에 의하여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는 것이다.
또는, 차단 제어 신호가 수신된 경우 액추에이터(270)는 잠금부(250)를 잠금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변속 레버(210)에 의한 후진단 및 주차단의 선택이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해제 제어 신호가 수신된 경우 액추에이터(270)는 잠금부(250)를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함으로써 변속 레버(210)에 의한 모든 변속단의 선택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구동부(260)는 구동력을 발생시켜 구동력 전달부(280)를 동작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동부(260)는 변속 레버(210)가 비주차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시동이 정지된 경우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구동부(260)는 제어 장치(10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구동부(260)는 구동 모터(261) 및 웜기어(26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동 모터(261)는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고, 웜기어(262)는 해당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다.
웜기어(262)의 구동력은 지지부(240) 및 변속 레버(210)로 전달될 수 있는데, 구동력의 전달을 위하여 구동력 전달부(280) 및 전달 기어(290)가 구비될 수 있다.
구동력 전달부(280)는 구동부(260)로부터 전달받은 구동력으로 변속 레버(210)를 회전시켜 주차단으로 이동시키고, 변속 레버(210)에서 디턴트 그루브(220)를 이격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변속 레버(210)에서 디턴트 그루브(220)를 이격시키기 위하여, 구동력 전달부(280)는 구동부(260)의 구동력으로 지지부(240)를 이동시킬 수 있다.
구동력 전달부(280)는 구동력 입력부(281) 및 구동력 출력부(28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동력 입력부(281)는 구동부(260)로부터 구동력을 입력받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동력을 입력받기 위하여 구동력 입력부(281)는 기어산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된 구동력에 의하여 구동력 입력부(281)는 회전축(Cx)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구동력 출력부(282)는 구동력 입력부(281)에 결합되어 구동력 입력부(281)와 함께 회전함으로써 지지부(240) 및 변속 레버(2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구동력 출력부(282)를 통하여 출력된 구동력으로 지지부(240)가 직선 이동할 수 있다. 디턴트 그루브(220)를 지지하고 있던 지지부(240)는 구동력 출력부(282)로부터 전달된 구동력에 의하여 이동하여 디턴트 그루브(220)의 지지를 해제할 수 있다.
또한, 구동력 출력부(282)를 통하여 출력된 구동력으로 변속 레버(210)가 회전할 수 있다. 변속 레버(210)는 구동력 출력부(282)로부터 전달된 구동력에 의하여 비주차단에서 주차단으로 이동할 수 있다.
구동력 출력부(282)는 평기어(282a) 및 변속홀(282b)을 포함할 수 있다. 평기어(282a)는 지지부(240)에 구비된 랙 기어(242)에 치합되어 지지부(240)를 수평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변속홀(282b)은 변속 레버(210)에 구비된 회전핀(216)에 힘을 가하여 변속 레버(210)를 회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변속홀(282b)은 변속 레버(210)의 자세 변화에 따른 회전핀(216)의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변속 레버(210)의 회전축(Ax)와 구동력 전달부(280)의 회전축(Cx)은 동일할 수 있다. 변속홀(282b)은 해당 회전축(Ax, Cx)을 중심으로 형성된 호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변속홀(282b)에 의하여 형성된 경로상에서 회전핀(216)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으며, 이에 변속 레버(210)에 의한 변속이 가능하게 된다.
구동부(260)의 구동력은 전달 기어(290)를 통하여 구동력 전달부(280)로 전달될 수 있다. 전달 기어(290)는 웜휠기어(291) 및 평기어(29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웜휠기어(291)는 구동부(260)의 웜기어(262)에 치합되어 구동력을 입력받는 역할을 수행한다. 평기어(292)는 웜휠기어(291)로 전달된 구동력을 구동력 전달부(280)로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평기어(292)가 구동력 전달부(280)의 구동력 입력부(281)에 치합됨에 따라 구동력이 구동력 전달부(280)로 전달될 수 있게 된다.
전달 기어(290)는 구동부(260)와 구동력 전달부(280)간의 기어비를 결정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웜휠기어(291)와 평기어(292)의 직경이 상이할 수 있는데, 그 직경의 차이에 따라 구동부(260)와 구동력 전달부(280)간의 기어비가 결정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속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속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변속 레버(210)를 이용하여 변속단을 선택할 수 있다.
도 7은 잠금부(250)가 잠금 해제 상태인 것을 도시하고 있는데, 이에 변속 레버(210)에 의한 모든 변속단의 선택이 가능하게 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턴트 그루브(220)에는 복수의 디턴트 홈(221)이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디턴트 홈(221)은 주차단 디턴트 홈(221P), 후진단 디턴트 홈(221R), 중립단 디턴트 홈(221N) 및 주행단 디턴트 홈(221D)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변속 레버(210)의 불릿(214)이 주행단 디턴트 홈(221D)에 삽입된 것을 도시하고 있다.
변속 레버(210)의 불릿(214)은 로드(212)에 대하여 방출되거나 삽입될 수 있는데, 불릿(214)이 인접한 디턴트 홈(221)간을 이동하면서 디턴트가 발생할 수 있다.
일단 불릿(214)이 특정 디턴트 홈(221)에 삽입되면 로드(212)의 내부에 구비된 탄성 수단(217)에 의하여 외측 방향으로 미는 힘이 불릿(214)에 작용하게 되고, 불릿(214)이 해당 디턴트 홈(221)을 밀면서 변속 레버(210)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이 때, 변속 레버(210)를 회전시키는 일정 크기 이상의 힘이 입력되는 경우 불릿(214)이 디턴트 홈(221)간을 이동하면서 변속단이 전환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잠금부가 잠금 상태로 전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잠금부가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잠금부에 의하여 변속 레버의 변속이 차단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잠금부(250)는 잠금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잠금 상태에서 잠금부(250)는 변속 레버(210)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잠금부(250)에 의하여 변속 레버(210)의 잠금핀(215)이 걸림으로써 변속 레버(210)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는 것이다.
변속 레버(210)의 회전이 제한됨에 따라 선택 가능한 변속단이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잠금부(250)의 잠금 상태에서는 주행단 및 중립단의 선택만이 가능하고, 후진단 및 주차단의 선택은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잠금부(250)는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잠금 해제 상태에서 잠금부(250)는 변속 레버(210)의 회전을 제한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변속 레버(210)에 의한 어떠한 변속단의 선택도 가능하게 된다.
잠금 해제 상태는 사전에 설정된 조건이 만족된 경우에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 정지 상태, 페달 눌림 상태 및 버튼 눌림 상태가 만족되는 경우 잠금부(250)가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잠금 해제 상태에서 사용자는 주차단을 가리키도록 변속 레버(210)를 조작할 수 있다. 도 10은 변속 레버(210)가 주차단을 가리키고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변속 레버(210)가 주차단을 가리키고 있는 상태에서 잠금부(250)는 잠금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변속 레버(210)가 주차단을 가리키고 있는 상태에서 잠금부(250)가 잠금 상태로 전환됨에 따라 변속 레버(210)의 잠금핀(215)이 잠금부(250)의 잠금홀(251)에 삽입되어 변속 레버(210)의 회전이 제한될 수 있다. 즉, 잠금핀(215)이 잠금홀(251)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변속 레버(210)에 의한 비주차단 선택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잠금부(250)는 잠금 상태 및 잠금 해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잠금 해제 상태에서 변속 레버(210)에 의한 어떠한 변속단 선택도 가능하다. 한편, 잠금 상태로 전환되는 시점에 변속 레버(210)가 가리키고 있는 변속단에 따라 잠금 상태에서 변속 레버(210)는 주행단 또는 중립단의 선택만이 가능할 수 있고, 어떠한 비주차단으로의 선택이 불가능할 수도 있다.
도 9 내지 도 11을 통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변속 레버가 조절되어 변속단이 전환되는 것을 설명하였다. 한편, 사용자의 미숙 또는 부주의에 의하여 차량의 주행이 완료된 이후에 변속단이 주차단으로 전환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의도하지 않게 차량이 이동할 수 있으며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속 장치(200)는 제어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자동 제어 신호에 의하여 자동으로 변속단을 주차단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하, 도 12 내지 도 23을 통하여 변속단이 자동으로 주차단으로 전환되는 것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제어에 의하여 잠금부가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가 디턴트 그루브의 지지를 해제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턴트 그루브가 하강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턴트 그루브가 하강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잠금부(250)는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자동 제어 신호가 수신된 경우 액추에이터(270)는 구동력을 발생시켜 잠금부(250)를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잠금부(250)가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된 이후에 구동부(260)는 구동력을 발생시켜 지지부(240)를 수평 이동시킬 수 있다. 구동부(260)의 웜기어(262)가 회전함에 따라 전달 기어(290)가 회전하고, 전달 기어(290)가 회전함에 따라 구동력 전달부(280)가 회전할 수 있다.
구동력 전달부(280)는 지지부(240)의 랙 기어(242)에 치합되는 평기어(282a)를 구비하는데, 구동력 전달부(280)가 회전함에 따라 지지부(240)가 수평 이동할 수 있다. 지지부(240)가 수평 이동함에 따라 지지부(240)에 의한 디턴트 그루브(220)의 지지가 해제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지지부(240)에 의한 디턴트 그루브(220)의 지지가 해제됨에 따라 디턴트 그루브(220)가 하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탄성 제공부(230)는 탄성 수단(231) 및 받침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받침부(232)에 지지된 상태에서 탄성 수단(231)은 디턴트 그루브(220)에 탄성력을 작용할 수 있는데, 해당 탄성력에 의하여 디턴트 그루브(220)는 하강하게 된다.
디턴트 그루브(220)가 하강하면 변속 레버(210)에서 디턴트 그루브(220)가 이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턴트 그루브(220)의 디턴트 홈(221)과 변속 레버(210)의 불릿(214)간의 접촉이 해제될 수 있게 된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속 레버가 회전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제어에 의하여 잠금부(250)가 잠금 상태로 전환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1 및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가 디턴트 그루브를 지지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턴트 그루브가 상승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구동력 전달부(280)에 의하여 변속 레버(210)가 회전할 수 있다.
변속 레버(210)의 회전핀(216)은 구동력 전달부(280)의 변속홀(282b)에 삽입되는데, 구동력 전달부(280)가 회전함에 따라 회전핀(216)이 변속홀(282b)의 내측면에 밀리면서 변속 레버(210)가 회전축(Ax)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변속 레버(210)의 회전은 변속 레버(210)가 주차단을 가리킬 때까지 진행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변속 레버(210)가 주차단을 가리킨 이후에 잠금부(250)는 잠금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270)는 구동력을 발생시켜 잠금부(250)를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액추에이터(270)의 제어를 위하여 제어 장치(100)는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제어 장치(100)는 변속 레버(210)가 회전하여 주차단을 가리키고 있는지를 감지하고, 그 결과에 따라 액추에이터(27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해당 제어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액추에이터(270)는 잠금부(250)를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변속 레버(210)가 주차단을 가리키고 있는 상태에서 잠금부(250)가 잠금 상태로 전환됨에 따라 잠금핀(215)이 잠금홀(251)에 삽입되고 변속 레버(210)가 주차단 상태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도 21 및 도 22를 참조하면, 변속 레버(210)가 주차단 상태로 고정된 이후에 지지부(240)는 디턴트 그루브(220)를 지지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변속 레버(210)가 주차단 상태로 고정되면 제어 장치(100)는 구동부(260)를 제어하여 구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해당 구동력에 따라 지지부(240)가 이동할 수 있으며, 지지부(240)는 디턴트 그루브(220)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지지부(240)는 디턴트 그루브(220)의 하측으로 밀고 들어가면서 디턴트 그루브(220)를 상승시킬 수 있다.
디턴트 그루브(220)가 상승함에 따라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 레버(210)의 불릿(214)이 디턴트 홈(221)에 삽입될 수 있게 된다.
이후에 차량을 주행하고자 하는 경우 잠금부(250)가 잠금 해제 상태로 전환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변속 레버(210)를 조작하는 경우 디턴트가 발생하면서 변속단이 전환될 수 있다.
이상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변속 시스템 100: 제어 장치
110: 상태 감지부 120: 저장부
130: 제어부 140: 타이머
150: 신호 송신부 200: 변속 장치
210: 변속 레버 211: 손잡이
212: 로드 213: 버튼
214: 불릿 215: 잠금핀
216: 회전핀 217: 탄성 수단
220: 디턴트 그루브 221: 디턴트 홈
230: 탄성 제공부 231: 탄성 수단
232: 받침부 240: 지지부
241: 지지 몸체 242: 랙 기어
250: 잠금부 251: 잠금홀
260: 구동부 261: 구동 모터
262: 웜기어 270: 액추에이터
271: 구동 몸체 272: 구동핀
280: 구동력 전달부 281: 구동력 입력부
282: 구동력 출력부 282a: 평기어
282b: 변속홀 290: 전달 기어
291: 웜휠기어 292: 평기어
300: 변속기

Claims (16)

  1. 변속단 전환을 위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 받는 변속 레버;
    상기 변속 레버에 접촉하여 상기 변속 레버에 의한 변속단 전환 시 디턴트를 발생시키는 디턴트 그루브;
    상기 변속 레버가 비주차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시동이 정지된 경우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력으로 상기 변속 레버에서 상기 디턴트 그루브를 이격시키는 구동력 전달부를 포함하는 변속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턴트 그루브는 복수의 디턴트 홈을 포함하고,
    상기 변속 레버의 말단에 구비된 불릿(bullet)이 상기 복수의 디턴트 홈간을 이동함에 따라 디턴트가 발생되는 변속 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디턴트 홈은 주차단, 후진단, 중립단 및 주행단에 대응하는 디턴트 홈을 포함하는 변속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 전달부는 상기 구동력으로 상기 변속 레버를 회전시켜 주차단으로 이동시키는 변속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턴트 그루브를 지지하여 상기 변속 레버가 상기 디턴트 홈에 밀착하도록 하는 지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에 의하여 이동하여 상기 디턴트 그루브의 지지를 해제하는 변속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이동 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디턴트 그루브는 상기 경사면에 밀려 상승하거나 상기 경사면으로부터의 압력이 감소되어 하강하는 변속 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 전달부는 상기 구동력으로 상기 지지부를 이동시켜 상기 변속 레버에서 상기 디턴트 그루브를 이격시키는 변속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 전달부는,
    상기 구동부로부터 구동력을 입력받는 구동력 입력부; 및
    상기 구동력 입력부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력 입력부와 함께 회전함으로써 상기 지지부를 이동시키고 상기 변속 레버를 회전시키는 구동력 출력부를 포함하는 변속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 출력부는,
    상기 지지부에 구비된 랙 기어에 치합되어 상기 지지부를 수평 이동시키는 평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변속 레버에 구비된 회전핀에 힘을 가하여 상기 변속 레버를 회전시키는 변속홀을 포함하는 변속 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을 상기 구동력 전달부로 전달하는 전달 기어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전달 기어는 상기 구동부와 상기 구동력 전달부간의 기어비를 결정하는 변속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 모터; 및
    상기 구동 모터에 의한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하는 웜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전달 기어는,
    상기 웜기어에 치합되는 웜휠기어; 및
    상기 웜휠기어로 입력된 구동력을 상기 구동력 전달부로 전달하는 평기어를 포함하는 변속 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 레버가 주차단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잠금부; 및
    상기 잠금부를 제어하여 상기 주차단으로의 이동 차단을 해제하는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하는 변속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솔레노이드를 이용하여 구동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잠금부는 상기 솔레노이드에 의하여 발생된 구동력에 의하여 자세를 전환하여 상기 변속 레버가 주차단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거나 상기 변속 레버에 구비된 잠금핀을 수용하여 상기 변속 레버를 주차단에 고정시키는 변속 장치.
  14. 변속기의 변속단을 전환하는 변속 장치; 및
    차량의 시동 상태 및 변속단 상태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여 상기 변속단을 주차단으로 전환하도록 상기 변속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변속 장치는 변속 레버와 디턴트 그루브를 이격시킨 상태에서 변속단을 주차단으로 전환하는 변속 시스템.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차량의 시동이 정지되고, 변속단이 비주차단인 경우 상기 변속 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변속 레버와 상기 디턴트 그루브가 이격된 상태에서 변속단이 주차단으로 전환되도록 하는 변속 시스템.
  16.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변속 장치는,
    상기 변속 레버가 주차단으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잠금부;
    상기 잠금부를 제어하여 상기 주차단으로의 이동 차단을 해제하는 액추에이터;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구동력으로 상기 변속 레버에서 상기 디턴트 그루브를 이격시키고, 상기 변속 레버를 회전시켜 주차단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력 전달부를 포함하는 변속 시스템.
KR1020170041074A 2017-03-30 2017-03-30 변속 장치 및 시스템 KR1022897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1074A KR102289765B1 (ko) 2017-03-30 2017-03-30 변속 장치 및 시스템
DE102018204870.3A DE102018204870A1 (de) 2017-03-30 2018-03-29 Getriebevorrichtung und Getriebesystem
US15/940,185 US10718430B2 (en) 2017-03-30 2018-03-29 Transmission apparatus and transmission system
CN202011576562.2A CN112728065B (zh) 2017-03-30 2018-03-30 变速装置
CN201810279751.XA CN108692003B (zh) 2017-03-30 2018-03-30 变速装置及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1074A KR102289765B1 (ko) 2017-03-30 2017-03-30 변속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0983A true KR20180110983A (ko) 2018-10-11
KR102289765B1 KR102289765B1 (ko) 2021-08-13

Family

ID=63525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1074A KR102289765B1 (ko) 2017-03-30 2017-03-30 변속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718430B2 (ko)
KR (1) KR102289765B1 (ko)
CN (2) CN112728065B (ko)
DE (1) DE1020182048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211923A1 (en) * 2018-01-05 2019-07-11 Kabushiki Kaisha Tokai-Rika-Denki-Seisakusho Shift device
EP3511597B1 (en) * 2018-01-15 2020-02-26 FCA Italy S.p.A.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gearshift
KR102522916B1 (ko) * 2018-09-11 2023-04-18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변속 장치
US11434991B2 (en) 2018-10-01 2022-09-06 Ficosa North America Corporation Shift-by-wire (SBW) column shifter
US10962108B2 (en) * 2018-10-01 2021-03-30 Ficosa North America Corporation Shift-by-wire (SBW) column shifter
CN111473105B (zh) * 2019-01-23 2022-01-14 现代自动车株式会社 主动回位的换挡装置及使用该换挡装置的换挡方法
CN111765243B (zh) * 2019-04-02 2022-04-22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车辆的换挡器以及车辆
JP7352859B2 (ja) * 2019-10-10 2023-09-29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変速操作装置
US11236818B2 (en) * 2019-12-10 2022-02-01 Kuster North America, Inc. Lever shifter with auto return to park and lock function
JP2022131692A (ja) * 2021-02-26 2022-09-07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シフト装置
US11635139B2 (en) * 2021-03-29 2023-04-25 Kuster North America, Inc. Plunger lock mechanism such as for restricting shifter motion
US11603926B2 (en) * 2021-04-08 2023-03-14 Kuster North America, Inc. Gear seeking polystable shifter
USD993847S1 (en) 2021-08-27 2023-08-01 Caterpillar Inc. Transmission shifter handle
CN114483941B (zh) * 2021-12-09 2023-07-25 浙江华洋赛车股份有限公司 滑套步进换挡操纵机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0862A (ko) 2002-11-08 2004-05-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변속기의 시프트 로크 장치
KR100800126B1 (ko) * 2006-08-17 2008-01-31 에스엘 주식회사 전자식 변속 레버
US20090217782A1 (en) * 2008-02-29 2009-09-03 Yong Qiang Wang Shift-by-wire shifter with default to park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17256A1 (de) * 1986-05-22 1987-11-26 Audi Ag Vorrichtung an einem kraftfahrzeug
US6189398B1 (en) * 1998-02-27 2001-02-20 Fuji Koko Co., Ltd. Shift-lever devices
JP3758850B2 (ja) * 1998-05-12 2006-03-22 スズキ株式会社 自動変速機用シフトレバー装置
DE10344287B4 (de) * 2003-09-23 2005-12-08 Zf Friedrichshafen Ag Rastiervorrichtung
CN100400328C (zh) * 2003-10-13 2008-07-09 Ghsp;Jsj股份有限公司之分公司 控制变速器的换档装置
KR101274648B1 (ko) * 2010-10-11 2013-06-14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변속 장치
JP6267494B2 (ja) * 2013-11-19 2018-01-24 富士機工株式会社 シフトレバー装置
DE102014110147B4 (de) * 2014-07-18 2019-10-02 Ecs Engineered Control Systems Ag Rastiervorrichtungen, insbesondere für Schaltvorrichtungen zur Betätigung von Getrieben in Kraftfahrzeugen
JP6594708B2 (ja) * 2015-08-27 2019-10-23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シフト装置
CN106246894A (zh) * 2016-08-25 2016-12-21 宁波高发汽车控制系统股份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换挡器
JP6785865B2 (ja) * 2016-09-12 2020-11-18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シフト装置
US11306816B2 (en) * 2018-01-05 2022-04-19 Kabushiki Kaisha Tokai-Rika-Denki-Seisakusho Shift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0862A (ko) 2002-11-08 2004-05-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변속기의 시프트 로크 장치
KR100800126B1 (ko) * 2006-08-17 2008-01-31 에스엘 주식회사 전자식 변속 레버
US20090217782A1 (en) * 2008-02-29 2009-09-03 Yong Qiang Wang Shift-by-wire shifter with default to pa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728065B (zh) 2021-12-07
CN108692003B (zh) 2021-03-09
CN112728065A (zh) 2021-04-30
US20180283543A1 (en) 2018-10-04
DE102018204870A1 (de) 2018-10-04
KR102289765B1 (ko) 2021-08-13
CN108692003A (zh) 2018-10-23
US10718430B2 (en) 2020-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10983A (ko) 변속 장치 및 시스템
KR101575414B1 (ko) 차량의 변속 장치
JP5473912B2 (ja) ギヤチェンジ伝動装置の切換段を選択するための操作装置
CN110662913B (zh) 用于车辆的操作元件
WO2005088169A1 (ja) 作業機械の前後進操作装置
JP4365320B2 (ja) 走行段入力ユニット
KR102557103B1 (ko) 자동 기어박스의 원-터치 제어 장치
KR20190076434A (ko) 차량용 변속 장치
EP3108156A1 (en) Vehicle system
KR20200081764A (ko) 차량용 변속 장치
JP6448312B2 (ja) シフトレバーユニット
CN111664244B (zh) 旋钮式换挡杆设备
JPH061157A (ja) 自動変速機のシフト制御装置
KR20190034894A (ko) 변속 장치
JPH0642613A (ja) 自動変速機の変速操作装置
JP4758011B2 (ja) シフト装置
KR101459960B1 (ko) 차량의 변속레버 장치
JP4508089B2 (ja) 車両のレンジ切換え装置
JP6992310B2 (ja) シフトバイワイヤ制御装置
JP2002254952A (ja) シフト装置
KR20190081625A (ko) 차량용 변속 장치 및 시스템
JP2008126837A (ja) 自動変速機のレンジ選択装置
KR20190081628A (ko) 차량용 변속 장치
JP2007263167A (ja) 車両のレンジ切換え装置
CN110259933B (zh) 换挡系统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