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8726A - 작업 차량 - Google Patents

작업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8726A
KR20180108726A KR1020187024642A KR20187024642A KR20180108726A KR 20180108726 A KR20180108726 A KR 20180108726A KR 1020187024642 A KR1020187024642 A KR 1020187024642A KR 20187024642 A KR20187024642 A KR 20187024642A KR 20180108726 A KR20180108726 A KR 201801087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n
air conditioner
air
cabin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4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스케 나카시마
카나메 오사다
Original Assignee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얀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087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87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05Control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7/00Undercarriages or frames specially adapted for harvesters or mowers; Mechanisms for adjusting the frame; Platforms
    • A01D67/02Protection against wea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24Devices purely for ventilating or where the heating or cooling is irrelev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69Cooling devices output of a control signal
    • B60H2001/3276Cooling devices output of a control signal related to a condensing unit
    • B60H2001/3277Cooling devices output of a control signal related to a condensing unit to control the air flow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공조 장치의 효율이 악화되기 전에 부착된 분진을 제거함으로써, 공조 장치의 효율을 양호하게 유지하는 작업 차량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작업 차량인 콤바인(1)은, 내부에 운전부(201)가 마련된 캐빈(20), 운전부(201)용의 공조 장치, 정회전에 의해 공조 장치의 콘덴서에 열교환용 공기를 공급하는 회전 팬(342), 캐빈(20)에 형성되어 열교환용 공기를 도입하는 외기 도입구(209), 및 회전 팬(342)을 제어하는 팬 제어부를 구비한다. 그리고, 공조 장치 운전중에, 팬 제어부는 소정 시간마다 회전 팬(342)을 역회전시키고, 역회전이 정회전보다 고회전이 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외기 도입구(209) 등에 부착된 분진을 효율적으로 날려 제거한다.

Description

작업 차량
본 발명은 작업 차량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공조 장치를 구비한 작업 차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 콤바인의 한 형태로서, 운전부의 천정부에 냉난방용 공조 장치를 구비한 것이 있는데, 수확 작업을 실시하면 예취부 등에서 분진이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열교환용 공기를 흡입하는 공조 장치에는 분진이 흘러들어가기 쉽다.
따라서, 특허 문헌 1에서는, 공조 장치의 콘덴서에 열교환용 공기를 공급하는 회전 팬을 정회전시킴으로써, 운전부 상방으로부터 외기를 흡인해 냉난방을 가능하게 하고, 수확 작업이 정지되어 있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회전 팬을 역회전시킴으로써 운전부 상방의 바깥쪽으로 분진 청소풍을 배출시켜, 공조 장치에 부착되어 있는 분진에 분진 청소풍을 작용시켜 분진을 제거하기 쉽게 하고 있다. 특허 문헌 1에서는, 곡립 탱크로부터 곡립을 반출하는 곡립 반출 장치가 구동된 것을 검출한 경우에, 수확 작업이 정지되었다고 판단하고 회전 팬을 역회전시킨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00-5541호 공보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콤바인에서는, 회전 팬을 역회전시키는 시기가 수확 작업 정지 후로 제약되기 때문에, 수확 작업중에 분진 막힘에 의해 냉난방 효율이 악화되었을 경우에는 대응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공조 장치의 효율이 악화되기 전에 부착된 분진을 제거함으로써, 공조 장치의 효율을 양호하게 유지하는 작업 차량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작업 차량은, 내부에 운전부가 마련된 캐빈, 상기 운전부용의 공조 장치, 정회전에 의해 상기 공조 장치의 콘덴서에 열교환용 공기를 공급하는 회전 팬, 상기 캐빈에 형성되어 상기 열교환용 공기를 도입하는 외기 도입구, 및 상기 회전 팬을 제어하는 팬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공조 장치 운전중에, 상기 팬 제어부는 소정 시간마다 상기 회전 팬을 역회전시키고, 역회전이 정회전보다 고회전이 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작업 차량은, 내부에 운전부가 마련된 캐빈, 상기 운전부용의 공조 장치, 상기 공조 장치를 온 및 오프 조작하기 위한 공조 조작부, 정회전에 의해 상기 공조 장치의 콘덴서에 열교환용 공기를 공급하는 회전 팬, 상기 캐빈에 형성되어 상기 열교환용 공기를 도입하는 외기 도입구, 및 상기 회전 팬을 제어하는 팬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공조 조작부가 온 조작되었을 경우, 상기 팬 제어부는 상기 회전 팬을 역회전으로 시동시킨 후에 정회전시키도록 제어해도 된다.
상기 작업 차량에 있어서, 상기 캐빈의 도어 및/또는 창의 개방 상태를 검지하는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가 개방 상태를 검지했을 경우, 상기 팬 제어부는 상기 회전 팬을 역회전시키지 않도록 제어해도 된다.
상기 작업 차량에 의하면, 공조 장치 운전중에, 소정 시간마다 회전 팬을 역회전시킴으로써, 공조 장치의 효율이 악화되기 전에 외기 도입구 등에 부착된 분진을 제거하여 공조 장치의 효율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회전 팬의 역회전이 정회전보다 고회전이 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정회전시에는 외기 도입구를 통해 외기를 천천히 흡인하여 외기 도입구 등에 분진이 부착되는 것을 경감시켜 막힘을 억제한다. 한편, 역회전시에는 외기 도입구를 통해 분진 제거풍을 강력하게 분출함으로써, 외기 도입구 등에 부착된 분진을 효율적으로 날려 제거한다. 이에 따라, 공조 장치의 효율이 악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 차량에 의하면, 공조 조작부가 온 조작되었을 경우, 회전 팬을 역회전으로 시동시킨 후에 정회전시키도록 제어함으로써, 외기 도입구 등에 부착된 분진을 제거하고 나서 운전을 개시하므로, 시동시부터 공조 장치의 효율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 차량에 의하면, 도어 또는 창의 적어도 한쪽이 개방 상태인 경우, 회전 팬을 역회전시키지 않도록 제어함으로써, 분진 제거풍에 의해 외기 도입구로부터 날려 제거된 분진이 개방된 승강구나 창으로부터 캐빈 내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쾌적한 작업성을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콤바인의 좌측면도이다.
도 2는 콤바인의 우측면도이다.
도 3은 콤바인의 상면도이다.
도 4는 캐빈을 우측 후방에서 비스듬히 본 사시도이다.
도 5는 공조 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6은 회전 팬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회전 팬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8은 회전 팬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9는 회전 팬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타이밍 차트이다.
이하, 작업 차량으로서 콤바인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은 콤바인의 좌측면도이고, 도 2는 콤바인의 우측면도이고, 도 3은 콤바인의 상면도이다. 도면에는 콤바인의 전후 방향,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콤바인(1)은, 엔진(3), 주행부(4), 예취부(5), 탈곡부(6), 선별부(7), 곡립 배출부(8), 배출 짚 처리부(9)를 구비한다. 콤바인(1)은 엔진(3)의 동력을 주행부(4), 예취부(5), 탈곡부(6), 선별부(7), 곡립 배출부(8) 및 배출 짚 처리부(9)로 전달해 각 부분을 구동시킨다.
엔진(3)은 캐빈(20)의 하방이면서 곡물 탱크(16)의 전방에 배치된다. 엔진(3)은 연료를 연소시켜 얻은 열에너지를 회전 동력으로 변환한다.
주행부(4)는 기체(2)의 하부에 마련된다. 주행부(4)는 엔진(3)으로부터의 동력을 변속하는 HST 등의 변속 기구 및 좌우 한 쌍의 크롤러를 갖는 크롤러식 주행 장치(11)를 구비한다. 크롤러식 주행 장치(11)는 엔진(3)의 동력이 전달되어 구동된다. 이에 따라, 기체(2)가 주행한다.
예취부(5)는 기체(2)의 앞부분에 승강 가능하게 마련된다. 예취부(5)는 분초구(12), 기립부(13), 예취 반송부(14) 및 절단부(15)를 갖는다. 예취부(5)는 논밭의 곡간을 분초구(12)에 의해 분초(分草)하고, 분초 후의 곡간을 기립부(13)에 의해 일으켜 세워, 기립 후의 곡간을 예취 반송부(14)에 의해 후방으로 반송하면서 절단부(15)에 의해 절단하고, 절단 후의 곡간을 예취 반송부(14)에 의해 탈곡부(6)를 향해 더 후방으로 반송한다.
탈곡부(6)는 기체(2)의 왼쪽 상방에 배치된다. 탈곡부(6)는 피드 체인, 탈곡동(扱胴) 및 처리동을 갖는다. 탈곡부(6)는 예취부(5)로부터 반송되어 온 예취 후의 곡간을 피드 체인에 의해 전달 받아 후방으로 반송하고, 그 반송중의 곡간을 탈곡동에 의해 탈곡해, 탈곡 후의 처리물을 선별부(7)를 향해 하방으로 흘러 내리게 한다.
또한, 탈곡부(6)는 탈곡동에 의해 탈곡되지 않은 미처리물을, 탈곡실로부터 송진구를 통해 처리실로 반송해 처리동에 의해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동에 의한 처리물은 선별부(7)로 낙하하는 과정에서 처리동망에 의해 선별된다. 한편, 탈곡실 내의 미처리물은 그 이동 속도(체류 시간)가 송진 밸브에 의해 조절된다. 처리동망으로부터 받이통으로 낙하한 처리물은 리턴 컨베이어에 의해 전방으로 반송되어, 리턴 컨베이어의 전단에 마련된 배기구로부터 선별부(7)로 투입된다.
선별부(7)는 기체(2)의 왼쪽 하방에 배치된다. 선별부(7)는 요동 선별 장치, 바람 선별 장치, 곡립 반송 장치(제1 컨베이어, 양동(揚動) 장치, 제2 컨베이어 및 제2 환원 장치), 엔진(3)의 동력을 곡립 반송 장치로 전달하는 선별 벨트를 갖는다. 선별부(7)는 탈곡부(6)로부터 낙하해 온 처리물을 요동 선별 장치에 의해 요동 선별하고, 요동 선별된 것을 바람 선별 장치에 의해 바람 선별하고, 바람 선별된 것 가운데, 제1 처리물을 제1 컨베이어에 의해 양동 장치로 반송하고, 계속해서 양동 장치에 의해 곡립 배출부(8)의 곡물 탱크(16)로 반송한다.
또한, 선별부(7)는 제2 처리물을 제2 컨베이어에 의해 제2 환원 장치로 반송하고, 계속해서 제2 환원 장치에 의해 탈곡부(6)의 탈곡실 또는 요동 선별 장치의 위쪽 공간으로 반송한다. 그 후, 제2 처리물은 탈곡되거나 또는 탈곡되지 않고, 요동 선별 장치 및 바람 선별 장치에 의해 재선별된다.
곡립 배출부(8)는 곡물 탱크(16), 배출 오거(17) 및 스크류 컨베이어를 갖는다. 곡물 탱크(16)는 기체(2)의 우측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곡물 탱크(16)의 전단벽(16a)은 운전 캐빈(20)의 후방에 존재하고 있다. 곡물 탱크(16)의 측부 커버(16b)의 전단부는 전단벽(16a)보다 앞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곡물 탱크(16)에는 배출 오거(17)가 접속되어 있다. 배출 오거(17)는 기체(2)의 상부에서 곡물 탱크(16)의 후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곡물 탱크(16) 및 배출 오거(17)에는 스크류 컨베이어가 마련되어 있다. 곡물 탱크(16) 내의 곡립은 스크류 컨베이어에 의해 배출 오거(17) 내를 이동하여, 배출 오거(17)로부터 기체(2)의 외부로 배출된다.
배출 짚 처리부(9)는 기체(2)의 뒤쪽에 배치된다. 배출 짚 처리부(9)는 배출 짚 반송 장치(18) 및 배출 짚 절단 장치(19)를 갖는다. 배출 짚 처리부(9)는 탈곡부(6)로부터 반송되어 온 탈곡이 끝난 줄기를 배출 짚으로서 배출 짚 반송 장치(18)에 의해 후방으로 반송해 기체(2) 외부로 배출하거나, 또는 배출 짚 절단 장치(19)로 반송한다. 배출 짚을 배출 짚 절단 장치(19)로 반송했을 경우에는, 배출 짚 절단 장치(19)에 의해 절단한 후에 기체(2)의 외부로 배출한다.
기체(2) 앞쪽에는 캐빈(20)이 마련되어 있다. 캐빈(20)은 대략 사각의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전면에 앞유리(202), 좌우 측면에 개폐창(203), 우측면에 승강용 개폐 도어(204)가 마련되어 있다.
캐빈(20) 내부에 마련되는 운전부(201)에는, 운전석 외에, 핸들, 주행 레버, 변속 레버, 작업 클러치 레버 등의 각종 조작구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캐빈(20)에는 냉난방 운전 가능한 공조 장치(30)가 마련되어 있다. 운전석 근방에는 공조 장치(30)를 온 및 오프 조작하기 위한 온·오프 스위치(311, 도 6 참조)나 설정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온도 설정 다이얼 등을 갖는 공조 조작부(31, 도 6 참조)가 마련되어 있다.
캐빈(20)의 천정부(205)는 편평한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공조 장치(30)의 이른바 실내기가 마련된다. 천정부(205)의 내측에는 분출구가 형성되어, 냉풍 또는 온풍을 분출해 캐빈(20) 내를 냉방 또는 난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캐빈(20)의 뒤쪽벽(206)에는 공조 장치의 이른바 실외기가 마련된다.
도 4는 캐빈(20)을 우측 후방에서 비스듬히 본 사시도이고, 도 5는 공조 장치(30)의 개략도이다. 공조 장치(30)는, 실내기로서 캐빈(20) 천정부(205)의 유도 덕트(미도시) 내에 증발기(evaporator, 32)와 증발기 팬(33)을 배치하고 서로 연통시키고 있다. 또한, 공조 장치(30)는, 실외기로서 캐빈(20)의 뒤쪽벽(206)에 콘덴서(341), 콘덴서(341)에 열교환용 공기를 공급하는 회전 팬(342) 및 냉매 여과·건조용 리시버(343)를 포함하는 콘덴서 유니트(34)를 배치하고 있다.
콘덴서 유니트(34)와 증발기(32) 사이에는 냉매 공급 유로(35)와 냉매 반환 유로(36)를 마련하고 있다. 냉매 공급 유로(35)의 중간부에 리시버(343)를 마련하고, 냉매 반환 유로(36)의 중간부에 컴프레서(37)를 마련하고 있다. 컴프레서(37)는 엔진(3)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증발기(32)로부터 발생되는 냉기를 유도 덕트에 의해 분출구로 압송하고 있다.
콘덴서(341)는 지그재그 형상의 냉매 유통 파이프로 이루어지고, 캐빈(20)의 뒤쪽벽(206)에 형성된 개구부에 배치된다. 회전 팬(342)은 콘덴서(341)의 하류측(바깥쪽)에 콘덴서(341)와 중첩되어 배치된다. 회전 팬(342)의 회전축에는 정회전과 역회전 어느 쪽으로도 회전 구동 가능한 전동식의 팬 모터(344)가 연결된다.
캐빈(20) 내의 후방에는, 캐빈(20) 우측으로부터 외기를 유통시키는 외기 유통 공간(S)이 형성되고, 콘덴서(341)는 외기 유통 공간(S)에 노출된 상태로 배치된다. 즉, 캐빈(20) 내의 운전석 후방에서의 좌우 측벽 사이에는 칸막이벽(207)을 후방 측벽(206)과 전후 방향으로 대면시켜 세로로 마련함으로써, 칸막이벽(207)과 후방 측벽(206)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고, 그 사이에 외기 유통 공간(S)을 형성한다.
캐빈(20)의 우측 후방 벽체(208)에는 상하 2개의 외기 도입구(209)가 개구되고, 두 외기 도입구(209)에는 방진망(210)이 덮여 있다. 외기 도입구(209)는 외기 유통 공간(S)과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정회전하는 회전 팬(342)의 흡인력에 의해 방진망(210)을 통해 외기가 외기 도입구(209)로부터 외기 유통 공간(S)으로 유입되고, 콘덴서(341)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되어 배기(W1)로서 캐빈(20)의 후방으로 배출된다.
또한, 공조 장치(30)는 열교환기(미도시)를 구비하고, 열교환기와 엔진(3) 사이에 온수 공급로와 온수 반환로를 마련해 캐빈(20) 내를 난방하는 난방 기능을 부여하고 있다.
이와 같은 공조 장치(30)에서, 회전 팬(342)을 역회전시킴으로써 외기가 회전 팬(342) 및 콘덴서(341)를 통해 외기 유통 공간(S)으로 유입되고, 외기 도입구(209)의 방진망(210)을 통해 캐빈의 외부로 배출된다. 즉, 회전 팬(342)을 역회전시킴으로써 방진망(210)에 부착된 분진을 캐빈(20)의 외부를 향해 날려 제거하는 분진 제거풍(W2)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하, 회전 팬(342)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 및 회전 팬(342)의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회전 팬(342)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팬 제어부(38)는 RAM이나 ROM 등의 기억부, CPU 등의 연산 처리부 등에 의해 구성된 컴퓨터 장치로서, 캐빈(20) 등에 마련된다. 기억부에는 팬 모터(344)의 구동 제어에 관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연산 처리부는 제어 프로그램에 기초해 각종 입력 정보를 처리하고, 처리 결과에 기초해 팬 모터(344)를 구동한다.
팬 제어부(38)에는 온·오프 스위치(311)를 구비한 공조 조작부(31), 5분 트리거(39), 60분 트리거(40), 도어 센서(41), 창 센서(42), 팬 모터(344) 및 릴레이(43)가 접속된다. 또한, 팬 모터(344)와 릴레이(43)의 접속 회로에는 저항기(44)를 사이에 두고 접속되는 회로와, 직결되는 회로가 있다.
5분 트리거(39)는 5분마다 팬 제어부(38)에 통지하는 것이다. 60분 트리거(40)는 60분마다 팬 제어부(38)에 통지하는 것이다. 5분 트리거(39) 및 60분 트리거(40)의 온·오프는 사용자가 스위치 등으로 임의로 전환할 수 있다. 5분 트리거(39) 및 60분 트리거(40) 모두가 온인 경우에는 65분마다 팬 제어부(38)에 통지된다. 또한, 5분 트리거(39) 및 60분 트리거(40) 모두가 오프인 경우에는 시간이 계측되지 않기 때문에, 팬 제어부(38)에도 통지되지 않는다.
한편, 트리거의 시간에는 특별히 한정은 없고, 적절하게 설계할 수 있다. 또한, 트리거의 수는 2개 이외라도 되고, 1개 또는 3개 이상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5분 트리거(39) 및 60분 트리거(40) 대신 팬 제어부(38)에 타이머 기능을 부가해, 사용자가 임의의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도어 센서(41)는 개폐 도어(204)의 개방 상태를 검지하는 센서이다. 창 센서(42)는 개폐창(203)의 개방 상태를 검지하는 센서이다. 릴레이(43)는 팬 제어부(38)의 제어에 의해 팬 모터(344)의 정회전과 역회전을 전환하는 스위치이며, 정회전시에는 저항기(44)를 사이에 두는 회로로, 역회전시에는 직결 회로로 전환된다. 저항기(44)는 정회전시에 팬 모터(344)에 공급되는 전류값을 낮추는 것이다. 따라서, 회전 팬(342)은 역회전이 정회전보다 고회전이 된다.
이와 같이, 회전 팬(342)의 역회전이 정회전보다 고회전이 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정회전시에는 방진망(210)을 통해 외기를 천천히 흡인하여 방진망(210) 및 콘덴서(341)에 분진이 부착되는 것을 경감시켜 막힘을 억제한다. 한편, 역회전시에는 방진망(210)을 통해 분진 제거풍(W2)을 강력하게 분출함으로써 방진망(210) 및 콘덴서(341)에 부착된 분진을 효율적으로 날려 제거한다. 이에 따라, 공조 장치(30)의 효율이 악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회전 팬(342)의 역회전이 정회전보다 고회전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면, 저항기(44)를 이용하는 구성이 아니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면, 저항기(44) 대신에 팬 제어부(38)가 팬 모터(344)의 회전수를 제어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도 7 내지 도 9는 회전 팬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는 타이밍 차트이다.
도 7은 온·오프 스위치(311)가 온 조작되어, 공조 장치(30)가 오프에서 온으로 전환된 경우의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t1에서 온·오프 스위치(311)가 온 조작되면, t2까지의 소정 시간(예를 들면, 20초간)은 팬 모터(344)를 역회전시킨다. 다음으로, t2에서 t3까지의 소정 시간(예를 들면, 5초간)은 팬 모터(344)를 정지시킨다. 그 후, t3에서부터는 팬 모터(344)를 정회전시켜 공조 장치(30)를 냉난방 운전시킨다.
이와 같이, 공조 장치(30)가 오프에서 온으로 전환된 경우에는, 회전 팬(344)를 역회전으로 시동시킨 후에 정회전시키도록 제어함으로써, 방진망(210) 및 콘덴서(341)에 부착된 분진을 제거하고 나서 냉난방 운전을 개시하므로, 시동시부터 공조 장치(30)의 효율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역회전과 정회전 사이에 팬 모터(344)가 정지되는 시간을 마련함으로써, 팬 모터(344)의 부하가 경감되고 열화가 억제되므로, 팬 모터(344)를 보호할 수 있다.
도 8은 공조 장치(30)가 통상 운전중인 동작, 즉 도 7의 t3 이후의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t3에서 t4까지는 팬 모터(344)가 정회전으로 구동되고, 그 시간은 5분 트리거(39) 및 60분 트리거(40)의 온·오프에 의해 설정된다. 예를 들면, t3에서 t4까지의 시간은, 5분 트리거(39)가 온이고 60분 트리거(40)가 오프인 경우 5분간이다. 또한, 5분 트리거(39)가 오프이고 60분 트리거(40)가 온인 경우에는 60분간이다. 또한, 5분 트리거(39) 및 60분 트리거(40)가 온인 경우에는 65분간이다. 또한, 5분 트리거(39) 및 60분 트리거(40)가 오프인 경우는 시간 계측되지 않기 때문에 t4는 존재하지 않고, 팬 모터(344)는 정회전으로 계속해서 구동된다.
t4에서 t5까지의 소정 시간(예를 들면, 5초간)은 팬 모터(344)의 보호를 위해 팬 모터(344)를 정지시킨다. 다음으로, t5에서 t6까지의 소정 시간(예를 들면, 20초간)은 팬 모터(344)를 역회전시킨다. 다음으로, t6에서 t7까지의 소정 시간(예를 들면, 5초간)은 팬 모터(344)의 보호를 위해 팬 모터(344)를 정지시킨다. 그 후, t7에서부터는 팬 모터(344)를 정회전시키고, 트리거의 설정에 따라 t3에서 t7의 동작을 반복한다. 이에 따라, 5분 트리거(39) 및 60분 트리거(40)의 온·오프에 의해 설정된 소정 시간마다 팬 모터(344)가 역회전된다.
이와 같이, 공조 장치(30)의 운전중에, 팬 제어부(38)의 제어에 의해 소정 시간마다 회전 팬(342)을 역회전시킴으로써, 공조 장치(30)의 효율이 악화되기 전에 방진망(210) 및 콘덴서(341)에 부착된 분진을 제거하여, 공조 장치(30)의 효율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회전 팬(342)을 역회전시키는 간격이 되는 소정 시간은, 사용자가 5분 트리거(39) 및 60분 트리거(40)의 온·오프 조작에 의해 원하는 시간 간격으로 쉽게 설정할 수 있다.
도 9는 온·오프 스위치(311)가 오프 조작되어, 공조 장치(30)가 온에서 오프로 전환된 경우의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t8에서 온·오프 스위치(311)가 오프 조작되면, 팬 모터(344)를 정지시킨다. 한편, 온·오프 스위치(311)가 오프 조작되었을 때, 팬 모터(344)가 정역회전을 전환하기 위해 정지중인 경우에는, 팬 모터(344)를 그대로 정지시킨다. 또한, 온·오프 스위치(311)가 오프 조작되었을 때, 팬 모터(344)가 역회전중인 경우에도 팬 모터(344)를 정지시킨다. 그리고, 공조 장치(30)가 온에서 오프로 전환된 경우에는 트리거에 의한 시간 계측은 파기된다.
다음으로, 회전 팬의 다른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도어 센서(41) 또는 창 센서(42)의 적어도 한쪽이 개방 상태인 것을 검지했을 경우, 팬 제어부(38)는 회전 팬(342)을 역회전시키지 않도록 제어한다. 이에 따라, 분진 제거풍(W2)에 의해 방진망(210)으로부터 날려 제거된 분진이 개방된 승강구나 창으로부터 캐빈(20) 내로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쾌적한 작업성을 실현할 수 있다.
한편, 도어 및/또는 창이 개방 상태일 때 회전 팬(342)을 역회전시키는 타이밍이 된 경우, 역회전의 실행을 닫힌 상태가 된 직후로 늦추어도 되고, 이 역회전의 실행을 취소해도 된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공조 장치를 구비한 작업 차량에 이용 가능하다.
1: 콤바인(작업 차량)
20: 캐빈
30: 공조 장치
31: 공조 조작부
38: 팬 제어부
41: 도어 센서
42: 창 센서
201: 운전부
209: 외기 도입구
344: 회전 팬

Claims (3)

  1. 내부에 운전부가 마련된 캐빈,
    상기 운전부용의 공조 장치,
    정회전에 의해 상기 공조 장치의 콘덴서에 열교환용 공기를 공급하는 회전 팬,
    상기 캐빈에 형성되어 상기 열교환용 공기를 도입하는 외기 도입구, 및
    상기 회전 팬을 제어하는 팬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공조 장치 운전중에, 상기 팬 제어부는 소정 시간마다 상기 회전 팬을 역회전시키고, 역회전이 정회전보다 고회전이 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2. 내부에 운전부가 마련된 캐빈,
    상기 운전부용의 공조 장치,
    상기 공조 장치를 온 및 오프 조작하기 위한 공조 조작부,
    정회전에 의해 상기 공조 장치의 콘덴서에 열교환용 공기를 공급하는 회전 팬,
    상기 캐빈에 형성되어 상기 열교환용 공기를 도입하는 외기 도입구, 및
    상기 회전 팬을 제어하는 팬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공조 조작부가 온 조작되었을 경우, 상기 팬 제어부는 상기 회전 팬을 역회전으로 시동시킨 후에 정회전시키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캐빈의 도어 및/또는 창의 개방 상태를 검지하는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센서가 개방 상태를 검지했을 경우, 상기 팬 제어부는 상기 회전 팬을 역회전시키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차량.
KR1020187024642A 2016-01-28 2017-01-27 작업 차량 KR2018010872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14491 2016-01-28
JP2016014491A JP2017132381A (ja) 2016-01-28 2016-01-28 作業車両
PCT/JP2017/003052 WO2017131203A1 (ja) 2016-01-28 2017-01-27 作業車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8726A true KR20180108726A (ko) 2018-10-04

Family

ID=59399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4642A KR20180108726A (ko) 2016-01-28 2017-01-27 작업 차량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17132381A (ko)
KR (1) KR20180108726A (ko)
CN (1) CN108473026A (ko)
WO (1) WO20171312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98269B2 (ja) * 2018-03-20 2021-07-07 ヤンマーパワ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7273465B2 (ja) * 2018-06-15 2023-05-15 ヤンマーパワ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KR20230160800A (ko) 2021-03-25 2023-11-24 얀마 홀딩스 주식회사 콤바인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6225A (ja) * 1981-07-03 1983-01-13 Toshiba Corp 配電盤
JPS61142290U (ko) * 1985-02-26 1986-09-02
CN2869660Y (zh) * 2005-08-10 2007-02-14 杨亚兴 一种自清洁散热器的空调室外机
JP2008002331A (ja) * 2006-06-21 2008-01-10 Kubota Corp 作業車の冷却構造
KR101347129B1 (ko) * 2011-12-27 2014-01-02 이세키노우키가부시키가이샤 작업 차량의 원동부
JP6081897B2 (ja) * 2013-10-21 2017-02-15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31203A1 (ja) 2017-08-03
CN108473026A (zh) 2018-08-31
JP2017132381A (ja) 2017-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40938B2 (en) Suction excavator with flow revers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20180108726A (ko) 작업 차량
CN202799658U (zh) 联合收割机
JP2008088823A (ja) コンバイン
JP6081897B2 (ja) コンバイン
JP4529574B2 (ja) コンバイン
JP2007151455A (ja) コンバイン
JP2019135970A (ja) コンバイン
JP2017109685A (ja) コンバインのキャビン内換気装置
CN210381919U (zh) 具有性能提高的冷却空调系统的联合收割机
KR20010006459A (ko) 엔진장치
JP6193447B2 (ja) コンバイン
JP2016160755A (ja) 作業車輌の原動部
JP2024045847A (ja) コンバイン
JP2015188355A (ja) コンバイン
JP7455686B2 (ja) 作業車両
JP4622299B2 (ja) コンバイン
KR100450884B1 (ko) 콤바인
JP7381441B2 (ja) コンバイン
JP2006258356A (ja) 気流抑制装置
JP2012045991A (ja) 作業車輌の原動部構造
EP3103319B1 (en) Cooling package for an agricultural vehicle
JP2007228865A (ja) コンバイン
JP2015080426A (ja) コンバイン
JP2012210192A (ja) コンバイ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