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0800A - 콤바인 - Google Patents

콤바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0800A
KR20230160800A KR1020237029706A KR20237029706A KR20230160800A KR 20230160800 A KR20230160800 A KR 20230160800A KR 1020237029706 A KR1020237029706 A KR 1020237029706A KR 20237029706 A KR20237029706 A KR 20237029706A KR 20230160800 A KR20230160800 A KR 202301608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in
viewed
outside air
combine
air intro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29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스케 오카다
하루마사 기타오카
Original Assignee
얀마 홀딩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2105224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22149897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2105223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22149896A/ja
Application filed by 얀마 홀딩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얀마 홀딩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301608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08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67/00Undercarriages or frames specially adapted for harvesters or mowers; Mechanisms for adjusting the frame; Platforms
    • A01D67/02Protection against wea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49/00Tr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콤바인에 있어서, 캐빈 내의 거주 스페이스의 확보를 가능하게 함과 함께, 캐빈의 후측의 스페이스의 유효한 이용을 가능하게 한다. 운전부를 덮는 캐빈 (30) 을 구비한 콤바인으로서, 캐빈 (30) 의 승강용의 도어 (51) 가 형성된 캐빈 (30) 의 우측벽부 (34) 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후측의 가장자리부를 후경상으로 하고, 캐빈 (30) 의 후벽부 (32) 는, 우측벽부 (34) 의 후단부를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캐빈 (30) 의 후벽부 (32) 의 하방에, 공조 장치의 콘덴서를 배치하였다.

Description

콤바인
본 발명은 운전부를 덮는 캐빈을 구비한 콤바인에 관한 것이다.
콤바인에 있어서 운전부를 덮는 캐빈에 관해,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는, 캐빈의 후벽부에, 공조 장치의 냉각 장치인 콘덴서를 배치함과 함께, 캐빈의 측벽부의 후단부에, 콘덴서에 대한 외기를 도입하기 위한 외기 도입구를 형성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캐빈에 있어서, 콘덴서의 상방의 부위, 및 외기 도입구의 상방의 부위의 각각에, 투과창이 형성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7-132381호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캐빈의 구성에 의하면, 캐빈 내의 운전부에 배치된 운전 좌석의 후방의 스페이스가 넓어지기 때문에, 그 만큼 캐빈 내에 있어서의 거주 스페이스가 좁아지고, 또, 캐빈의 후측의 스페이스에 대해 효율적인 이용이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캐빈 내의 거주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음과 함께, 캐빈의 후측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는 콤바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콤바인은, 운전부를 덮는 캐빈을 구비한 콤바인으로서, 상기 캐빈의 승강용의 도어가 형성된 상기 캐빈의 측벽부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후측의 가장자리부를 후경상 (後傾狀) 으로 하고, 상기 캐빈의 후벽부는, 상기 측벽부의 후단부를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관련된 콤바인은, 상기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캐빈의 상기 후벽부의 하측에, 공조 장치의 콘덴서를 배치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관련된 콤바인은, 상기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캐빈의 상기 후벽부에 후 창부를 형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관련된 콤바인은, 상기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후 창부의 하방에, 상기 콘덴서를 형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관련된 콤바인은, 상기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캐빈의 후하측에 형성된 엔진의 측방에 배치된 엔진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엔진 커버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엔진 커버의 일부와 상기 캐빈의 상기 후벽부가 따르도록 배치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관련된 콤바인은, 상기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캐빈의 후벽부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후경 형상을 갖고, 상기 엔진 커버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적어도 일부를 상기 후벽부의 하측에 위치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관련된 콤바인은, 상기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캐빈의 좌우의 측벽부 중, 상기 엔진 커버가 위치하는 측의 측벽부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엔진 커버의 상방에 위치하는 부위에는, 투과창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관련된 콤바인은, 상기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투과창의 하부와, 상기 엔진 커버의 상부가, 측면에서 보았을 때 전후 방향으로 대향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관련된 콤바인은, 상기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캐빈의 후측에 배치된 공조 장치의 콘덴서를 구비하고,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엔진 커버에 겹치는 위치에, 상기 콘덴서에 대한 외기를 도입하기 위한 외기 도입구를 형성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관련된 콤바인은, 상기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투과창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전측으로부터 후측에 걸쳐 좌우 외측에서 좌우 내측을 향하도록 경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관련된 콤바인은, 상기 콤바인에 있어서, 상기 엔진 커버의 상측에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투과창의 후측에 위치하는 상측 커버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측 커버부는, 후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투과창을 노출시키도록 경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캐빈 내의 거주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음과 함께, 캐빈의 후측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콤바인의 좌측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콤바인의 우측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콤바인의 평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캐빈 및 외기 도입 커버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캐빈의 좌측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캐빈의 우측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캐빈의 배면도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캐빈의 우후방 사시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캐빈의 우측면 단면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캐빈의 우측벽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 단면도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투과창 및 상측 커버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캐빈의 루프부의 내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콘덴서 유닛의 배치 구성 및 에어컨 유닛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캐빈의 일부를 나타내는 좌후방 사시도이다.
도 1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외기 도입 덕트의 유로 구성을 나타내는 배면 단면도이다.
도 16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셔터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운전부를 덮는 캐빈을 구비한 콤바인에 있어서, 캐빈의 후벽부의 측면에서 본 형상 등을 연구함으로써, 캐빈의 후부에 형성된 외기 도입구의 개구 면적의 확보나 캐빈 내로부터의 후방 시인성 등에 대해 유리한 구성을 얻고자 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운전부를 덮는 캐빈을 구비한 콤바인에 있어서, 캐빈의 후벽부의 측면에서 본 형상 등을 연구함으로써, 캐빈의 후부에 형성된 외기 도입구의 개구 면적의 확보나 캐빈 내로부터의 후방 시인성 등에 대해 유리한 구성을 얻고자 하는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 을 사용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콤바인 (1) 의 전체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콤바인 (1) 의 전방을 향하여 좌측 및 우측을, 각각 콤바인 (1) 에 있어서의 좌측 및 우측으로 한다.
도 1 내지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콤바인 (1) 은, 좌우 1 쌍의 크롤러부 (3, 3) 를 갖는 크롤러식의 주행 장치로서 구성된 주행부 (2) 와, 주행부 (2) 에 의해 지지된 주행 기체 (4) 를 구비한다. 콤바인 (1) 은, 예취부 (5) 와, 탈곡부 (6) 와, 곡립 탱크 (7) 와, 선별부 (8) 와, 배출 오거 (9) 와, 배고 처리부 (10) 를 구비한다.
주행부 (2) 를 구성하는 각 크롤러부 (3) 는, 주행 기체 (4) 의 하방에 있어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트럭 프레임 (3a) 과, 트럭 프레임 (3a) 에 지지된 각종 회전체와, 이들 회전체에 권회된 무한궤도 (3b) 를 갖는다. 크롤러부 (3) 는, 트럭 프레임 (3a) 에 지지된 회전체로서, 트럭 프레임 (3a) 의 전단부에 지지된 구동 스프로킷 (3c) 등을 포함한다. 크롤러부 (3) 는, 구동 스프로킷 (3c) 에 있어서, 주행 기체 (4) 상에 탑재된 구동원으로서의 엔진 (11) 의 동력의 전달을 받아 구동한다.
예취부 (5) 는, 포장의 곡간을 예취하면서 거두어들이기 위한 장치 구성이고, 주행 기체 (4) 의 전부 (前部) 에 형성되어 있다. 예취부 (5) 는, 주행 기체 (4) 의 전측에 있어서, 콤바인 (1) 의 기체폭의 대략 전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예취부 (5) 는, 주행 기체 (4) 에 대해, 승강용의 유압 실린더를 통해서 소정의 축 둘레로 회동 (回動)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유압 실린더의 신축 동작에 의한 회동 동작에 의해 승강 조절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예취부 (5) 는, 예취 프레임으로서의 예취 지지기 프레임 (5a) 을 갖고, 이 예취 지지기 프레임 (5a) 에, 분초체 (分草體) (5b), 인기 (引起) 장치 (5c), 예취날 장치 (5e), 및 곡간 반송 장치 (5f) 를 지지시켜 구성되어 있다. 예취부 (5) 는, 분초체 (5b) 에 의해 포장의 곡간을 분초하고, 분초한 곡간을 인기 장치 (5c) 에 의해 일으켜 세우고, 일으켜 세운 곡간을 곡간 반송 장치 (5f) 에 의해 후측으로 반송하면서 예취날 장치 (5e) 에 의해 절단하여 예취한다. 예취부 (5) 가 갖는 각 장치는, 콤바인 (1) 이 구비하는 엔진 (11) 으로부터 동력이 전달됨으로써 작동한다.
주행 기체 (4) 상에는, 예취부 (5) 에 의해 예취된 곡간을 탈곡 처리하는 탈곡부 (6) 와, 탈곡부 (6) 로부터 취출된 곡립을 저류하는 곡립 탱크 (7) 가, 가로 배열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탈곡부 (6) 는 기체 좌측에, 곡립 탱크 (7) 는 기체 우측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탈곡부 (6) 는, 전후 방향을 회전축 방향으로 하는 탈곡통 (6a) 및 처리통 (도시 생략) 과, 탈곡통 (6a) 의 좌방에 형성된 곡간 공급 장치를 갖는다. 곡간 공급 장치는, 곡간의 그루터기를 협지하여 이삭 끝을 탈곡통 (6a) 측으로 한 횡와 (橫臥) 자세로 곡간을 후방으로 반송한다. 곡간 공급 장치는, 좌우 방향을 회전축 방향으로 하는 복수의 스프로킷에 권회된 피드 체인과, 피드 체인과 협동하여 곡간의 그루터기를 협액 (狹扼) 하는 곡간 공급 협액체를 갖는다.
주행 기체 (4) 상에 있어서의 탈곡부 (6) 의 하방에는, 탈곡부 (6) 에 의해 탈곡 처리된 처리물을 선별 처리하는 선별부 (8) 가 형성되어 있다. 선별부 (8) 는, 요동 선별 장치 (8a) 와, 도시하지 않는 바람 선별 장치 및 곡립 반송 장치를 갖는다. 선별부 (8) 는, 탈곡부 (6) 로부터 낙하해 온 처리물을 요동 선별 장치 (8a) 에 의해 요동 선별하고, 요동 선별 후의 처리물을 바람 선별 장치에 의해 바람 선별한다. 선별부 (8) 는, 바람 선별 후의 처리물 중, 곡립을 곡립 반송 장치에 의해 곡립 탱크 (7) 를 향하여 우방으로 반송하고, 짚 부스러기나 진애 등을 바람 선별 장치에 의해 후방으로 날려 기체의 외부로 배출한다. 곡립 반송 장치에 의해 곡립 탱크 (7) 를 향하여 반송된 곡립은, 곡립 탱크 (7) 에 저류된다.
주행 기체 (4) 상의 우측 후단부에는, 곡립 탱크 (7) 내의 곡립을 외부로 배출하는 곡립 배출 장치로서의 배출 오거 (9) 가 선회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곡립 탱크 (7) 에 저류되어 있는 곡립은, 스크루 컨베이어를 내장한 배출 오거 (9) 에 의해 반송되고, 배출 오거 (9) 의 선단부에 형성된 배출구 (9a) 로부터 배출된다. 배출구 (9a) 로부터 배출된 곡립은, 트럭의 짐받이나 컨테이너 등에 투입된다.
한편, 주행 기체 (4) 상에 있어서, 탈곡부 (6) 의 후방에는, 탈곡부 (6) 에 의한 탈곡 처리 후의 배고를 처리하는 배고 처리부 (10) 가 형성되어 있다. 배고 처리부 (10) 는, 배고 반송 장치 (10a) 와, 배고 절단 장치 (10b) 를 갖는다. 배고 반송 장치 (10a) 는, 탈곡부 (6) 에 의해 탈곡이 끝난 곡간 (배간) 을 후방으로 반송하여 기체의 외부로 배출하거나 혹은 배고 절단 장치 (10b) 에 반송한다. 배고 절단 장치 (10b) 는, 배고 반송 장치 (10a) 로부터 반송된 배간을 절단하여 기체의 외부로 배출한다.
또, 주행 기체 (4) 상에 있어서, 예취부 (5) 의 우방이며 곡립 탱크 (7) 의 전방에는, 캐빈 (30) 에 의해 덮힌 운전부 (12) 가 형성되어 있다 (도 9 참조). 운전부 (12) 는, 캐빈 (30) 내에 형성되어 있다.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운전부 (12) 의 전부에는, 조향 조작부로서의 핸들 (18) 이 형성되어 있고, 핸들 (18) 의 후방에, 운전석 (19) 이 형성되어 있다. 또, 운전석 (19) 의 좌측방에는, 주변속 레버 (21) 나 부변속 레버 (22) 등의 각종 조작구 등을 사이드 칼럼 (23) 에 배치 형성한 측방 조작부 (20) 가 형성되어 있다.
운전부 (12) 의 후하방에는, 엔진 룸 (13) 내에 설치된 엔진 (11) 을 포함하는 원동기부가 형성되어 있다. 엔진 (11) 의 동력은, 변속 장치 등을 통해서, 주행부 (2), 예취부 (5), 탈곡부 (6), 선별부 (8), 배출 오거 (9), 배고 처리부 (10) 등, 콤바인 (1) 이 구비하는 각 부의 각종 장치에 전달된다. 엔진 (11) 은, 디젤 엔진이다.
엔진 룸 (13) 내에 있어서, 엔진 (11) 의 우측방에는, 라디에이터 (14) 가 배치되어 있다 (도 3 참조). 라디에이터 (14) 는, 엔진 (11) 의 냉각수의 순환 경로의 도중에 형성되어 있고, 엔진 (11) 으로부터 보내져 온 냉각수를, 외기와의 사이의 열교환에 의해 냉각시킨다. 라디에이터 (14) 에 의해 냉각된 냉각수는, 엔진 (11) 으로 되돌려진다.
또,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엔진 (11) 의 우측방에는, 엔진 룸 (13) 의 우측을 덮는 엔진 커버로서의 외기 도입 커버 (15) 가 형성되어 있다. 외기 도입 커버 (15) 의 내측에, 라디에이터 (14) 가 위치하고 있다. 요컨대, 엔진 (11) 과 외기 도입 커버 (15) 사이에 라디에이터 (14) 가 배치되어 있다. 외기 도입 커버 (15) 로부터 도입된 외기는, 라디에이터 (14) 에 있어서의 열교환에 사용된다.
외기 도입 커버 (15) 는, 콤바인 (1) 의 우측에 있어서, 캐빈 (30) 과 곡립 탱크 (7)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외기 도입 커버 (15) 는, 곡립 탱크 (7) 의 우측의 측면부와 면일상 (面一狀) 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외기 도입 커버 (15) 의 후측 가장자리부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연직 방향을 따르도록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외기 도입 커버 (15) 는, 그 후측 가장자리부를 따르도록 주행 기체 (4) 상에 세워 형성된 도시하지 않는 지주에 대해, 도시하지 않는 힌지부를 통해서 상하 방향을 회동축 방향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외기 도입 커버 (15) 는, 지주에 대한 후측의 회동 지지부에 의해, 전측에서 열리도록 개폐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외기 도입 커버 (15) 가 닫힌 상태에 있어서, 엔진 (11) 및 라디에이터 (14) 의 기외측 (機外側) 이 되는 우측이 외기 도입 커버 (15) 에 의해 덮여, 엔진 룸 (13) 이 우측에서 닫힌 상태가 된다. 외기 도입 커버 (15) 가 열림으로써, 엔진 룸 (13) 의 우측이 개방된 상태가 된다.
외기 도입 커버 (15) 에는, 로터리 스크린 (16) 이 형성되어 있다. 로터리 스크린 (16) 은, 엔진 룸 (13) 내에, 엔진 (11) 에 대한 냉각풍으로서 외기를 도입하기 위한 구성이다. 로터리 스크린 (16) 은, 외기 도입 커버 (15) 에 형성된 원형상의 개구부 (16a) 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회전 지지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는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로터리 스크린 (16) 은, 원형상의 개구부 (16a) 에, 메시상의 방진망 (16b) 을 장설 (張設) 한 구성을 갖는다. 방진망 (16b) 에 의해, 티끌이나 먼지나 짚 등이 포집되고, 티끌 등이 외기와 함께 엔진 룸 (13) 내에 침입하는 것이 방지된다. 방진망 (16b) 에 의해 포집된 티끌 등은, 로터리 스크린 (16) 의 외측에 형성된 흡인 장치 (17) 에 의해 제거된다. 흡인 장치 (17) 는, 방진망 (16b) 에 부착된 티끌 등을 흡인하여 기외로 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콤바인 (1) 은, 운전부 (12) 를 덮는 캐빈 (30) 과, 캐빈 (30) 의 후하측에 형성된 엔진 (11) 과, 엔진 (11) 의 측방에 배치된 외기 도입 커버 (15) 를 구비한다.
도 4 내지 도 15 를 사용하여, 캐빈 (30) 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캐빈 (30) 은, 전면부 (31), 후벽부 (32), 좌측벽부 (33), 우측벽부 (34), 천정부를 이루는 루프부 (35), 및 플로어부 (36) 를 갖고, 이들 부분에 의해 전체적으로 대략 상자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캐빈 (30) 의 전면부 (31) 는, 그 상측의 과반 부분을 구성하는 전경상 (前傾狀) 의 전상면부 (31a) 와, 전면부 (31) 의 대략 하반부를 구성하는 전방 하향의 경사상의 전하면부 (31b) 를 갖고, 전체적으로 측면에서 보았을 때 후측에 오목한 굴곡 형상을 갖는다. 즉, 전상면부 (31a) 는, 상측으로부터 하측에 걸쳐 전측으로부터 후측으로 경사져 있고, 전하면부 (31b) 는, 상측으로부터 하측에 걸쳐 후측으로부터 전측으로 경사져 있고, 전면부 (31) 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가로 「V」 자상을 이룬다 (도 6 참조). 전상면부 (31a) 의 상단 가장자리부는, 전하면부 (31b) 의 하단 가장자리부보다 전측에 위치하고 있고, 전면부 (31) 의 상단측은 하단측에 대해 전방으로 장출되어 있다.
전면부 (31) 는, 전하면부 (31b) 를, 판금제의 부분인 하부 전면부 (37) 로 하고 있다. 하부 전면부 (37) 는, 강판 등의 금속제의 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 전면부 (31) 는, 전상면부 (31a) 를, 전체적으로 투명부인 전측 창부 (38) 로 하고 있다. 전측 창부 (38) 는, 하부 전면부 (37) 의 상측에, 유리나 아크릴 수지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으로 이루어지는 직사각형상의 상부 투명판 (39) 을 고정시킴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전상면부 (31a) 는, 전체적으로 상부 투명판 (39) 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캐빈 (30) 의 좌측벽부 (33) 는, 캐빈 (30) 의 좌측면부를 이루는 부분이고, 하측의 부분을, 강판 등에 의해 구성된 판금제의 부분인 하부 측면부 (41) 로 하고 있다 (도 5 참조). 하부 측면부 (41) 는, 상하 방향에 대해 전면부 (31) 의 전하면부 (31b) 와 대략 동일한 범위에서 형성되어 있다. 좌측벽부 (33) 에 있어서, 하부 측면부 (41) 의 상측에는, 좌측벽부 (33) 의 전후 방향의 중간부에 위치하고 상하 방향을 따른 직선상의 좌 지주부 (42) 가 형성되어 있다.
좌측벽부 (33) 에 있어서, 좌 지주부 (42) 의 후측에는, 직사각형상의 좌후 창부 (43) 가 형성되어 있다. 좌후 창부 (43) 는, 하부 측면부 (41) 의 상측의 부분에 있어서, 좌 지주부 (42) 를 전측의 변부로 하는 프레임상의 창틀부 (44) 에 대해, 직사각형상의 유리 등의 투명판 (45) 을 장착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투명판 (45) 은, 창틀부 (44) 의 상변부에 대해, 전후 양측에 형성된 힌지부 (46) 에 의해, 하측을 외측으로 이동시켜 열 수 있도록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좌측벽부 (33) 에 있어서, 좌 지주부 (42) 의 전측에는, 좌전 창부 (47) 가 형성되어 있다. 좌전 창부 (47) 는, 대략 역사다리꼴상을 갖고, 전측의 변부를, 전면부 (31) 의 전상면부 (31a) 의 전경상의 경사를 따르게 하고 있다. 좌전 창부 (47) 는, 좌 지주부 (42) 의 전측에 있어서 좌 지주부 (42) 를 포함하여 형성된 전측 개방의 프레임 부분에 대해 유리 등의 투명판 (48) 을 장착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투명판 (48) 은, 전측의 사변부를, 전측 창부 (38) 를 이루는 상부 투명판 (39) 의 좌변부에 맞추고, 평면 단면에서 보았을 때 상부 투명판 (39) 과 함께 대략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캐빈 (30) 의 우측벽부 (34) 는, 우측벽부 (34) 의 전부에 세워 형성된 우전 지주부 (49) 와, 우측벽부 (34) 의 후부에 세워 형성된 우후 지주부 (50) 를 갖는다. 우전 지주부 (49) 는, 하부 (49a) 를, 전면부 (31) 의 전하면부 (31b) 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의 경사를 따르게 하고, 상부 (49b) 를, 상하 방향으로 연신시키고 있다. 우전 지주부 (49) 는, 플로어부 (36) 의 우전의 위치에 세워 형성되고, 우측벽부 (34) 의 상하 방향의 대략 전체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우후 지주부 (50) 는, 우전 지주부 (49) 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연신한 상부 (49b) 에 대해, 대략 동일한 높이 위치에서 평행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우후 지주부 (50) 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전방 하향의 경사상으로 형성된 후벽부 (32) 의 우측의 가장자리부의 전후 중간부의 위치에 세워 형성되어 있다. 우전 지주부 (49) 와 우후 지주부 (50) 사이에, 우측벽부 (34) 의 대부분을 이루는 승강용의 개폐문인 도어 (51) 가 형성되어 있다.
도어 (51) 는, 우후 지주부 (50) 에 대해 상하 2 개 지점에 형성된 지지부 (52) 에 의해 상하 방향을 회동축 방향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어 (51) 는, 닫힌 상태에서, 캐빈 (30) 내에 작업자가 승강할 수 있도록 전측으로부터 외방으로 열린 상태가 된다. 도어 (51) 의 둘레 가장자리부에는, 도어 (51) 의 외형을 따라 고무 등의 시일 부재 (51a) 가 전체 둘레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도어 (51) 는, 상부에 있어서, 상하의 지지부 (52) 에 의한 지지를 받는 부분으로서, 대략 직사각형상의 창틀부 (53) 를 갖는다. 창틀부 (53) 에 대해, 대략 직사각형상의 유리 등의 투명판 (54) 이 장착되어 있다. 투명판 (54) 은, 창틀부 (53) 의 후변부에 대해, 상하 양측에 형성된 힌지부 (55) 에 의해, 전측을 외측으로 이동시켜 열 수 있도록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와 같이, 도어 (51) 의 상부에는, 개폐 가능한 창부 (56) 가 형성되어 있다.
도어 (51) 의 하부의 대략 전체는, 투명판 (54) 의 하측에 형성된 유리 등의 투명판 (57) 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도어 (51) 는, 상부의 투명판 (54) 및 하부의 투명판 (57) 에 의해, 대략 전체를 투명 부분으로 하고 있다. 도어 (51) 는, 투명판 (57) 을 형성한 하부에 대해, 전측의 가장자리부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 우전 지주부 (49) 의 하부의 경사를 따르게 하고, 후측의 가장자리부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 후벽부 (32) 의 전방 하향의 경사를 따르게 한 형상을 갖는다. 도어 (51) 의 하부의 전측의 하측 부근의 위치에는, 손잡이 (58) 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우측벽부 (34) 가, 캐빈 (30) 의 승강용의 도어 (51) 가 형성된 캐빈 (30) 의 측벽부로 되어 있다. 또, 우측벽부 (34) 는, 캐빈 (30) 의 좌우의 측벽부 중, 외기 도입 커버 (15) 가 위치하는 측의 측벽부이다.
또, 우측벽부 (34) 에 있어서, 도어 (51) 의 상부의 전측에는, 우전 창부 (59) 가 형성되어 있다. 우전 창부 (59) 는, 대략 역삼각형상을 갖고, 전측의 변부를, 전면부 (31) 의 전상면부 (31a) 의 전경상의 경사를 따르게 하고 있다. 우전 창부 (59) 는, 우전 지주부 (49) 의 전측에 있어서 우전 지주부 (49) 를 포함하여 형성된 전측 개방의 프레임 부분에 대해 유리 등의 투명판 (60) 을 장착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투명판 (60) 은, 전측의 사변부를, 전측 창부 (38) 를 이루는 상부 투명판 (39) 의 우변부에 맞추고, 평면 단면에서 보았을 때 상부 투명판 (39) 과 함께 대략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캐빈 (30) 의 루프부 (35) 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전후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대략 직사각형상을 이룬다. 루프부 (35) 는, 전측의 가장자리 끝부를, 전면부 (31) 의 상단부에 대해 전측에 차양상으로 돌출시키고 있고, 후측의 가장자리 끝부를, 후벽부 (32) 의 상단부에 대해 후측에 차양상으로 돌출시키고 있다.
캐빈 (30) 의 플로어부 (36) 는, 운전석 (19) 의 전하방에 있어서, 수평면상의 플로어면부 (63) 를 형성하고 있다 (도 9 참조). 플로어면부 (63) 의 후측에, 전방 하향의 경사면부 (64) 를 통해서, 대략 수평상의 좌석 지지면부 (65) 가 형성되어 있다. 좌석 지지면부 (65) 상에 운전석 (19) 이 설치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구비한 콤바인 (1) 에 있어서, 캐빈 (30) 의 후측의 위치에서 콤바인 (1) 의 우측면부의 일부를 이루도록 형성된 외기 도입 커버 (15) 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전측의 부분을 캐빈 (30) 에 대해 후측으로부터 경사상으로 맞댄 양태로 형성되어 있다. 즉, 개략적으로는, 우측면에서 보았을 때, 외기 도입 커버 (15) 및 캐빈 (30) 은, 전방 하향의 경사상의 경계선 A1 (도 4 참조) 을 이루도록, 상하로 중첩된 부분을 갖는다. 상세하게는 다음과 같다.
캐빈 (30) 의 후벽부 (32) 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후경형상을 갖는다. 즉, 후벽부 (32) 는, 전체적으로 전측으로부터 후측에 걸쳐 하측으로부터 상측을 향하도록, 전방 하향 (후방 상향) 의 경사면부로서 형성되어 있고, 측면에서 보았을 때 후경상을 이루고 있다. 도 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벽부 (32) 는, 좌석 지지면부 (65) 의 후측으로부터 후경사 상방을 향하여 일어서고, 루프부 (35) 에 연결되는 상단부를, 루프부 (35) 의 후단부 근방의 부위에 위치시키고 있다.
또, 도어 (51) 가 형성된 캐빈 (30) 의 우측벽부 (34) 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후측의 가장자리부를 후경상으로 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우측벽부 (34) 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후측의 가장자리부를, 캐빈 (30) 의 루프부 (35) 의 후측 가장자리부의 근방에 상단을 위치시키도록 후경상으로 하고 있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측벽부 (34) 의 대부분을 이루는 도어 (51) 에 있어서, 투명판 (57) 에 의해 형성된 하부의 후측의 가장자리부 (51b) 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전방 하향으로 경사진 직선을 따르도록 경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우측벽부 (34) 의 후측 가장자리부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도어 (51) 의 가장자리부 (51b) 를 상측으로 연장시킨 양태로 경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후측의 가장자리부를 후경상으로 한 우측벽부 (34) 에 대해, 캐빈 (30) 의 후벽부 (32) 는, 우측벽부 (34) 의 후측의 가장자리부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의 후경상을 따르도록 측면에서 보았을 때 후경상을 이루고 있다. 요컨대, 후벽부 (32) 는, 우측벽부 (34) 의 후단부를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우측벽부 (34) 의 후측의 가장자리부와, 후벽부 (32) 의 우측의 가장자리부는, 공통의 프레임 부재 (66) 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프레임 부재 (66) 가, 우측면에서 보았을 때 후경상으로 연신하고 있다. 프레임 부재 (66) 는, 하단을, 플로어부 (36) 의 우후측의 모서리부 근방에 위치시키고 있고, 대략 상하 방향을 따른 하단부 (66a) 보다 상측의 대략 전체의 부분을, 측면에서 보았을 때 후경상으로 경사시키고 있다. 프레임 부재 (66) 는, 상단을, 루프부 (35) 의 후단부에 위치시키고 있다.
콤바인에 있어서 운전부를 덮는 캐빈에 관해,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는, 캐빈의 측벽부에 배치된 승강용의 도어의 후방의 상부에, 후방 시인용의 창부를 형성하고, 그 창부의 하방에, 외기를 도입하는 외기 도입구를 형성한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구성에 있어서, 외기 도입구는, 캐빈의 후부에 형성된 외기 유통용 공간에 연통되어 있고, 외기 도입구로부터 외기 유통용 공간에 유입된 외기는, 외기 유통 공간에 면하여 형성된 공조 장치의 콘덴서의 열교환에 사용된다.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구성과 같이, 캐빈의 측벽부의 후상부에 형성된 후방 시인용의 창부의 하방에 외기 도입구를 배치한 구성에 의하면, 외기 도입구의 개구 면적을 확보하기 위해, 후방 시인용의 창부에 대해 충분한 크기를 확보하는 것이 어렵다. 이러한 점은, 캐빈 내에서 후방에 대한 시인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캐빈의 후부에 형성된 외기 도입구의 개구 면적을 확보할 수 있음과 함께, 후방 시인용의 창부의 면적을 확보할 수 있고, 캐빈 내로부터의 양호한 후방 시인성을 얻을 수 있는 콤바인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래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후벽부 (32) 를 갖는 캐빈 (30) 에 대해, 외기 도입 커버 (15) 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적어도 일부를 후벽부 (32) 의 하측에 위치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대해, 외기 도입 커버 (15) 의 전단의 위치 (B1) 는, 캐빈 (30) 의 후단인 루프부 (35) 의 후단의 위치 (B2) 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또, 캐빈 (30) 의 후측에 위치하는 외기 도입 커버 (15) 는, 우측면에서 보았을 때, 전측의 가장자리부를, 캐빈 (30) 의 후측의 후경상 (전방 하향의 경사상) 의 가장자리부를 따르게 하고 있다. 따라서, 우측면에서 보았을 때, 전후 방향에 대해 위치 (B1) 로부터 위치 (B2) 사이의 범위 (B3) 의 부분은, 상측에 위치하는 캐빈 (30) 과, 하측에 위치하는 외기 도입 커버 (15) 의 오버랩 부분이 된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기 도입 커버 (15) 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의 외형을 이루는 부분으로서, 전측의 경사 변부 (15a), 경사 변부 (15a) 의 하측에 연결된 전변부 (15b), 전변부 (15b) 의 하측에 연결된 하변부 (15c), 경사 변부 (15a) 의 상측에 연결된 상변부 (15d), 및 하변부 (15c) 와 상변부 (15d) 의 후측끼리를 연결하는 후변부 (15e) 를 갖는다.
경사 변부 (15a) 는, 외기 도입 커버 (15) 의 전측의 가장자리부의 상부를 이루는 부분이고, 우측면에서 보았을 때 연직 방향에 대해 프레임 부재 (66) 의 경사 부분의 하부를 이루는 중간부 (66b) 와 대략 동일한 경사 각도로 경사져 있다. 전변부 (15b) 는, 외기 도입 커버 (15) 의 전측의 가장자리부를 이루는 부분이고, 대략 연직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변부 (15c) 는, 외기 도입 커버 (15) 의 하측의 가장자리부를 이루는 부분이고, 대략 수평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변부 (15d) 는, 외기 도입 커버 (15) 의 상측의 가장자리부를 이루는 부분이고, 완만하게 전방 하향으로 경사져 있다. 상변부 (15d) 는, 전단부를, 다른 후측의 부분의 경사에 대해 전방 하향의 경사가 급한 경사 변부 (15f) 로 하고 있다. 후변부 (15e) 는, 외기 도입 커버 (15) 의 후측의 가장자리부를 이루는 부분이고, 대략 연직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측면에서 본 외형을 갖는 외기 도입 커버 (15) 는, 우측면에서 보았을 때, 전측의 경사 변부 (15a) 를, 캐빈 (30) 의 우측벽부 (34) 의 후측의 가장자리부에 후측에서 맞댄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캐빈 (30) 과의 사이에, 경계선 A1 을 따른 경계부 (67) 를 이루고 있다 (도 4 참조). 즉, 외기 도입 커버 (15) 는, 경사 변부 (15a) 를, 프레임 부재 (66) 의 중간부 (66b) 에 대해, 약간의 간극을 두고 평행상이 되도록 근접시킨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캐빈 (30) 과의 사이의 후경상의 경계부 (67) 를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이, 외기 도입 커버 (15) 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외기 도입 커버 (15) 의 일부와 캐빈 (30) 의 후벽부 (32)가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기 도입 커버 (15) 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경사 변부 (15a) 와 후벽부 (32) 가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우측면에서 보았을 때 연직 방향에 대한 경계선 A1 의 경사 각도 θ1 은, 약 25°로 되어 있다. 단, 이 각도의 값은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경사 각도 θ1 의 크기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캐빈 (30) 의 우측벽부 (34) 에 있어서, 후경상의 후측 가장자리부의 상부를 이루는 부분에 투과창 (70) 이 형성되어 있다. 투과창 (70) 은, 우측벽부 (34) 에 있어서, 우후 지주부 (50) 보다 후측의 부분의 대략 전체를 차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투과창 (70) 은, 상하 방향에 대해서는, 우측벽부 (34) 를 이루는 도어 (51) 의 상부에 형성된 투명판 (54) 에 의한 창부 (56) 와 대략 동일한 범위에서 형성되어 있다.
투과창 (70) 은, 캐빈 (30) 의 우측벽부 (34) 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외기 도입 커버 (15) 의 상방에 위치하는 부위에 형성되어 있다. 투과창 (70) 은, 하측을 정점측으로 한 삼각형상을 갖는 삼각창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투과창 (70) 은, 우후 지주부 (50) 와, 우후 지주부 (50) 의 후측에 위치하는 프레임 부재 (66) 의 상부 (66c) 와, 우후 지주부 (50) 와 프레임 부재 (66) 의 상단부 사이에 형성된 수평상의 프레임부 (71) 에 의해 형성된 삼각형상의 창틀 부분에 대해, 삼각형상의 유리 등의 투명판 (72) 을 고정시킴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투명판 (72) 은, 우후 지주부 (50) 를 따른 연직상의 전변부 (72a) 와, 프레임 부재 (66) 의 상부 (66c) 를 따른 후측의 후사변부 (後斜邊部) (72b) 와, 전변부 (72a) 및 후사변부 (72b) 의 상단간의 수평상의 상변부 (72c) 에 의해, 하측을 꼭지각측으로 한 직각 삼각형상을 갖는다 (도 6 참조).
투과창 (70) 의 창틀 부분에 관해, 우후 지주부 (50) 는, 전후 방향에 대해, 외기 도입 커버 (15) 의 경사 변부 (15a) 의 중간부의 상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 프레임 부재 (66) 의 상단부는, 전후 방향에 대해, 외기 도입 커버 (15) 의 상변부 (15d) 의 전부의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투과창 (70) 의 형성 범위는, 전후 방향에 대해, 외기 도입 커버 (15) 의 배치 형성 부위에 포함되어 있고, 우측면에서 보았을 때, 외기 도입 커버 (15) 의 상측에, 투과창 (70) 이 형성되어 있다.
투과창 (70) 과 외기 도입 커버 (15) 의 위치 관계에 관해, 투과창 (70) 의 하부와, 외기 도입 커버 (15) 의 상부가, 측면에서 보았을 때 전후 방향으로 대향하고 있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삼각형상의 투과창 (70) 의 하측의 단부인 정부 (70a) 는, 우후 지주부 (50) 의 하단부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 투과창 (70) 의 정부 (70a) 가 위치하는 장소는, 도어 (51) 를 지지하는 상하의 지지부 (52) 중 하측의 지지부 (52A) 의 직후방의 위치가 된다. 또한, 투과창 (70) 의 정부 (70a) 는, 투명판 (72) 의 전변부 (72a) 와 후사변부 (72b) 에 의해 형성되는 예각상의 모서리 부분이며, 우후 지주부 (50) 의 하단부와 프레임 부재 (66) 의 상부 (66c) 의 하단부에 의해 형성되는 모서리 부분에 대응하고 있다.
투과창 (70) 에 있어서, 투명판 (72) 의 후사변부 (72b) 중, 정부 (70a) 를 이루는 하단 부분은, 우측면에서 보았을 때 외기 도입 커버 (15) 의 경사 변부 (15a) 의 상단부에 대해 전측으로부터 평행상으로 근접하고 있다. 즉, 투과창 (70) 은, 우측면에서 보았을 때, 정부 (70a) 의 후측의 변부를, 외기 도입 커버 (15) 의 경사 변부 (15a) 의 상단부를 따르게 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외기 도입 커버 (15) 에 있어서 경사 변부 (15a) 와 상변부 (15d) (의 경사 변부 (15f)) 에 의해 형성되는 모서리부는, 우측면에서 보았을 때 투과창 (70) 의 정부 (70a) 의 후측의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투과창 (70) 의 정부 (70a) 와 외기 도입 커버 (15) 의 경사 변부 (15a) 의 상단부는, 정부 (70a) 를 전측, 경사 변부 (15a) 의 상단부를 후측으로 하여, 경계부 (67) 의 일부를 이루도록 전후 방향으로 대향하고 있다.
또, 투과창 (70) 의 배치 양태에 관해, 투과창 (70) 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전측으로부터 후측에 걸쳐 좌우 외측에서 좌우 내측을 향하도록 경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 8 및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투과창 (70) 의 창틀 부분의 후측의 변부를 이루는 프레임 부재 (66) 의 상부 (66c) 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전측으로부터 후측에 걸쳐 좌우 외측인 우측에서 좌우 내측인 좌측을 향하도록 경사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즉, 프레임 부재 (66) 는, 대략 연직상의 하단부 (66a) 와, 하단부 (66a) 에 대해 굴곡된 부분이며 하단부 (66a) 의 상측으로부터 전후 방향을 따른 연직면을 따라 후경사 상방으로 연신한 중간부 (66b) 와, 중간부 (66b) 에 대해 굴곡된 부분이며 중간부 (66b) 의 상측으로부터 후좌경사 상방을 향하여 연신한 상부 (66c) 를 갖는다.
프레임 부재 (66) 는, 하단부 (66a) 및 중간부 (66b) 의 좌우 방향의 위치를 공통으로 하고, 중간부 (66b) 보다 상측의 부분인 상부 (66c) 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 및 평면에서 보았을 때 경사상이 되도록 후좌경사 상방에 배치하고 있다. 프레임 부재 (66) 에 있어서의 중간부 (66b) 와 상부 (66c) 에 의한 굴곡 부분 (모서리 부분) 은, 우후 지주부 (50) 의 하단부 근방에 위치하고 있고, 프레임 부재 (66) 의 상부 (66c) 의 하단부와 우후 지주부 (50) 의 하단부에 의해, 투과창 (70) 의 정부 (70a) 를 이루는 예각상의 프레임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전후 방향에 대해 좌우 내측으로 굴곡된 양태로 경사상으로 배치된 창틀 부분에, 투명판 (72) 이 장착됨으로써, 평면에서 보았을 때 경사상의 투과창 (70) 이 구성되어 있다. 즉, 투과창 (70) 은, 캐빈 (30) 의 내부에 대해 평면에서 보았을 때 우경사 후방에 면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투명 부분으로서 외부를 시인 가능하게 하고 있다.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전후 방향에 대한 투명판 (72) 의 경사 각도 θ2 는 약 30°로 되어 있다. 단, 이 각도의 값은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경사 각도 θ2 의 크기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기 도입 커버 (15) 의 상측에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투과창 (70) 의 후측에 위치하는 상측 커버부 (75) 가 형성되어 있다. 상측 커버부 (75) 는, 판상의 커버 부분이고, 외기 도입 커버 (15) 와 면일상의 우측면부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측 커버부 (75) 는, 소정의 프레임 부분 등에 대해 고정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측 커버부 (75) 는, 우측면에서 보았을 때, 외기 도입 커버 (15) 의 경사 변부 (15a) 와 후변부 (15e) 에 의한 테이퍼 형상을 상측으로 연장시킨 양태의 외형을 갖고, 외기 도입 커버 (15) 와 일체적인 형상을 이루는 측면에서 본 외형을 갖는다.
상측 커버부 (75) 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의 외형을 이루는 부분으로서, 전측의 경사 변부 (75a), 경사 변부 (75a) 의 하측에 연결된 하변부 (75b), 경사 변부 (75a) 의 상측에 연결된 상변부 (75c), 및 하변부 (75b) 와 상변부 (75c) 의 후측끼리를 연결하는 후변부 (75d) 를 갖는다. 상측 커버부 (75) 는, 이들 변부에 의해, 측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사다리꼴상의 외형을 갖는다.
경사 변부 (75a) 는, 상측 커버부 (75) 의 전측의 가장자리부를 이루는 부분이고, 우측면에서 보았을 때 외기 도입 커버 (15) 의 경사 변부 (15a) 가 따르는 직선의 상측으로의 연장선을 따르도록 경사져 있다. 요컨대, 경사 변부 (75a) 는, 외기 도입 커버 (15) 의 경사 변부 (15a) 와 대략 동일한 경사 각도로 경사져 있다.
하변부 (75b) 는, 상측 커버부 (75) 의 하측의 가장자리부를 이루는 부분이고, 전단측을 제외한 대부분을, 외기 도입 커버 (15) 의 상변부 (15d) 에 대해 약간의 간극을 두고 상변부 (15d) 를 따르게 하고 있다. 요컨대, 하변부 (75b) 는, 외기 도입 커버 (15) 의 상변부 (15d) 의 경사 변부 (15f) 를 제외한 부분과 대략 동일한 경사 각도로 경사져 있다.
상변부 (75c) 는, 상측 커버부 (75) 의 상측의 가장자리부를 이루는 부분이고, 대략 수평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후변부 (75d) 는, 상측 커버부 (75) 의 후측의 가장자리부를 이루는 부분이고, 대략 연직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후변부 (75d) 는, 우측면도에 있어서 외기 도입 커버 (15) 의 후변부 (15e) 와 대략 동일 직선 상에 위치하고 있다.
이와 같은 측면에서 본 외형을 갖는 상측 커버부 (75) 는, 우측면에서 보았을 때, 전측의 경사 변부 (75a) 를, 투과창 (70) 의 후측의 가장자리부에 후측에서 맞댄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외기 도입 커버 (15) 와 함께, 캐빈 (30) 과의 사이에, 경계선 A1 을 따른 경계부 (67) 를 이루고 있다 (도 4 참조). 즉, 상측 커버부 (75) 는, 경사 변부 (75a) 를, 프레임 부재 (66) 의 상부 (66c) 에 대해, 약간의 간극을 두고 평행상이 되도록 근접시킨 상태로 형성되어 있고, 캐빈 (30) 과의 사이의 후경상의 경계부 (67) 를 이루고 있다.
또, 상측 커버부 (75) 는, 후면에서 보았을 때 투과창 (70) 을 노출시키도록 경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 커버부 (75) 는, 전체적으로, 상측을 하측에 대해 좌우 내측 (좌측) 에 위치시키도록 경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측 커버부 (75) 의 하측에 형성된 외기 도입 커버 (15) 는, 좌우 방향에 대해, 투과창 (70) 과 대략 동일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외기 도입 커버 (15) 에 대해, 상측 커버부 (75) 는, 좌우 방향에 대해, 하측을 외기 도입 커버 (15) 와 대략 동일한 위치에 위치시키고, 배면에서 보았을 때 하측으로부터 상측에 걸쳐 좌경사 상방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다.
이와 같이 상측 커버부 (75) 가 경사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배면에서 보았을 때, 상측 커버부 (75) 가 투과창 (70) 에 대해 좌우 내측으로 빠져나간 상태가 되어, 투과창 (70) 의 상측 및 좌우 외측 (우측) 의 대부분이 노출된 상태가 된다.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면에서 보았을 때, 상하 방향에 대한 상측 커버부 (75) 의 경사 각도 θ3 은 약 20°로 되어 있다. 단, 이 각도의 값은 어디까지나 일례이며, 경사 각도 θ3 의 크기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측 커버부 (75) 의 경사 각도 θ3 은, 상측 커버부 (75) 가 좌우 외측의 면으로서 갖는 평면상의 외표면 (75s) 에 대한 각도이다.
또, 도 1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 커버부 (75) 는, 후측의 대부분을 이루는 본체 부분 (75X) 에 대해, 전부를 좌우 내측으로 경사상으로 굴곡시킨 전경사면부 (76) 를 가짐으로써, 투과창 (70) 에 대해 전부를 더욱 좌우 내측으로 빠져나가게 하고 있다. 전경사면부 (76) 는, 상측 커버부 (75) 의 본체 부분 (75X) 에 대해, 본체 부분 (75X) 과 함께 경사 변부 (75a) 와 평행상의 능선부 (76a) 를 이루도록 굴곡 형성된 부분이다.
즉, 상측 커버부 (75) 에 있어서의 능선부 (76a) 는, 우측면에서 보았을 때, 전방 하향으로 경사져 있고 (도 4 참조), 배면에서 보았을 때, 상측 커버부 (75) 의 전체적인 경사에 의해 상측을 하측에 대해 좌우 내측에 위치시키도록 경사져 있다 (도 11 참조). 전경사면부 (76) 는, 우측면에서 보았을 때 후경상의 평행 사변형상이 되는 평판상의 부분이다.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캐빈 (30) 은, 캐빈 (30) 의 실내에 대한 냉난방 운전을 실시하는 공조 장치 (80) 를 구비한다. 공조 장치 (80) 는, 운전부 (12) 에 형성된 공조 조작부에 의해 조작된다. 공조 조작부는, 예를 들어, 공조 장치 (80) 를 온·오프시키기 위한 스위치나, 설정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다이얼 등을 포함한다.
공조 장치 (80) 는, 이른바 실외기로서의 콘덴서 유닛 (81) 과, 이른바 실내기로서의 에어컨 유닛 (82) 을 구비한다. 콘덴서 유닛 (81) 은, 캐빈 (30) 의 후벽부 (32) 에 형성되어 있다. 에어컨 유닛 (82) 은, 캐빈 (30) 의 루프부 (35) 내에 형성되어 있다.
콘덴서 유닛 (81) 은, 콘덴서 (83) 와, 콘덴서 (83) 에 대해 열교환용의 공기를 보내는 냉각 팬인 팬 (84) 을 갖는다. 콘덴서 (83) 는, 예를 들어 다단의 되접힘상으로 배치된 냉매 유통용의 파이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팬 (84) 은, 팬 본체 (85) 와, 팬 본체 (85) 를 구동시키는 구동원으로서의 전동식의 팬 모터 (86) 를 갖는 전동 팬이다. 팬 본체 (85) 의 회전축에, 팬 모터 (86) 의 구동축이 연결되어 있다. 팬 (84) 은, 팬 모터 (86) 의 구동력에 의해, 팬 본체 (85) 를 정회전 방향과 역회전 방향 중 어느 쪽으로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콘덴서 유닛 (81) 은, 개략적으로 대략 정방형상을 갖는 후판상의 외형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고, 캐빈 (30) 의 후벽부 (32) 에 있어서, 전후 방향을 판두께 방향으로 하여 연직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콘덴서 유닛 (81) 에 있어서는, 전측에 콘덴서 (83) 가 배치되고, 콘덴서 (83) 의 후측에 겹치도록 팬 (84) 이 부설되어 있다. 콘덴서 유닛 (81) 은, 콘덴서 (83) 의 전측의 부분을, 캐빈 (30) 의 후벽부 (32) 에 매립시킨 양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콤바인 (1) 은, 캐빈 (30) 의 후측에 배치된 공조 장치 (80) 의 콘덴서 (83) 를 구비한다. 콘덴서 (83) 는, 캐빈 (30) 의 후벽부 (32) 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즉, 콘덴서 (83) 는, 후벽부 (32) 에 있어서, 상하 방향에 대해 하측 부근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후벽부 (32) 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다.
캐빈 (30) 의 후벽부 (32) 에 있어서, 콘덴서 유닛 (81) 의 배치 형성 부위의 상측의 부분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 경계부 (67) 의 경사를 따른 상측 사면부 (32a) 로 되어 있다. 상측 사면부 (32a) 는, 후면에서 보았을 때 가로로 긴 직사각형상을 이루는 면부이며, 캐빈 (30) 의 후측의 상부에 있어서 후방 상향의 배면부를 이루고 있다. 콘덴서 유닛 (81) 은, 좌우 방향에 대해서는, 후벽부 (32) 의 중간부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캐빈 (30) 의 후벽부 (32) 에 있어서, 콘덴서 (83) 의 상측의 상측 사면부 (32a) 에는, 후 창부 (90) 가 형성되어 있다. 후 창부 (90) 는, 가로로 긴 직사각형상의 창 부분으로서 형성되어 있고, 상측 사면부 (32a) 에 있어서 둘레 가장자리부를 제외한 대부분에 걸치는 범위에서 형성되어 있다.
후 창부 (90) 는, 상측 사면부 (32a) 에 있어서 형성된 관통상의 개구부에 대해, 대략 직사각형상의 유리 등의 투명판 (91) 을 고정시킴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후 창부 (90) 는, 캐빈 (30) 의 내부에 대해 후방에 면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투명 부분으로서 외부를 시인 가능하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캐빈 (30) 에 있어서는, 후벽부 (32) 에, 후 창부 (90) 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후벽부 (32) 에 있어서는, 후 창부 (90) 의 하방에, 콘덴서 유닛 (81) 의 콘덴서 (83) 가 형성되어 있다.
에어컨 유닛 (82) 은, 이배퍼레이터나 히터 등을 포함하는 열교환기 (95) 와, 열교환기 (95) 에 공기를 송풍하는 송풍 팬 (96) 을 갖는다. 열교환기 (95) 및 송풍 팬 (96) 은, 서로 연통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열교환기 (95) 및 송풍 팬 (96) 은, 루프부 (35) 내의 후부에 있어서, 송풍 팬 (96) 을 좌측, 열교환기 (95) 를 우측으로 하여 좌우 가로 배열로 배치되어 있다. 에어컨 유닛 (82) 은, 루프부 (35) 내에 있어서 콘덴서 유닛 (81) 의 상방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루프부 (35) 는, 편평상의 외형을 가짐과 함께 중공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루프부 (35) 는, 루프부 (35) 의 본체 부분을 구성하는 프레임 부분인 하측 패널부 (97) 와, 하측 패널부 (97) 의 상측에 형성되고 캐빈 (30) 의 상면부를 이루는 상측 패널부 (98) 를 갖고, 이들 패널부에 의해 중공부를 형성하고 있다. 상측 패널부 (98) 는, 하측 패널부 (97) 를 전체적으로 상측 및 좌우 양측에서 피복하도록 형성된 커버 부분이다.
하측 패널부 (97) 는, 상측 패널부 (98) 의 상면부와 대향하는 하측 패널 본체부 (97a) 와, 하측 패널 본체부 (97a) 의 둘레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된 둘레벽부 (97b) 와, 둘레벽부 (97b) 의 상측 가장자리부를 따라 형성된 플랜지부 (97c) 를 갖는다. 루프부 (35) 의 중공부의 후부에, 에어컨 유닛 (82) 을 수용하는 에어콘 수용부 (99) 가 형성되어 있다.
상면부를 편평상으로 한 상측 패널부 (98) 에 대해, 하측 패널부 (97) 의 후부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오목 형상부 (97d) 가 형성되어 있다. 하측 패널부 (97) 는, 오목 형상부 (97d) 에 의해, 상측 패널부 (98) 와의 사이의 상하 방향의 치수를 부분적으로 넓히고, 상측 패널부 (98) 와의 사이에 에어콘 수용부 (99) 를 형성하고 있다. 오목 형상부 (97d) 의 하측의 전후 중간부에, 후벽부 (32) 의 상측 사면부 (32a) 의 상단이 연결되어 있다.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콘덴서 (83) 와 열교환기 (95) 사이에는, 냉매 공급 유로 (101) 및 냉매 복귀 유로 (102) 가 형성되어 있다. 냉매 공급 유로 (101) 는, 일단측을, 콘덴서 (83) 에 있어서의 냉매 유통용의 파이프의 일단측에 연통 접속시키고 있고, 타단측을, 열교환기 (95) 내의 냉매 유로의 일단측에 연통 접속시키고 있다. 냉매 복귀 유로 (102) 는, 일단측을, 콘덴서 (83) 에 있어서의 냉매 유통용의 파이프의 타단측에 연통 접속시키고 있고, 타단측을, 열교환기 (95) 내의 냉매 유로의 타단측에 연통 접속시키고 있다. 이들 유로는, 호스 등의 배관 부재나 접속 금구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냉매 공급 유로 (101) 에는, 냉매 여과·건조용의 리시버 (103) 가 형성되어 있다. 냉매 복귀 유로 (102) 에는, 컴프레서 (104) 가 형성되어 있다. 컴프레서 (104) 는, 엔진 (11) 에 연결되어 있고, 엔진 (11) 의 동력의 전달을 받아 구동된다.
도 1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루프부 (35) 내에 있어서, 에어컨 유닛 (82) 의 전측에는, 에어컨 유닛 (82) 에서 얻어진 공조용의 공기를 캐빈 (30) 의 실내에 송부하기 위한 송풍 덕트 (105) 가 형성되어 있다. 공조용의 공기로는, 열교환기 (95) 의 이배퍼레이터에 의해 발생되는 냉기 등이, 컴프레서 (104) 에 의해 송풍 덕트 (105) 내에 압송되고, 캐빈 (30) 의 실내에 대해 형성된 취출구 (吹出口) (106) 로부터 취출한다. 송풍 덕트 (105) 는, 후측의 기부 (基部) 로부터 좌우의 분기 덕트부 (105a) 에 두 갈래상으로 분기되고, 각 분기 덕트부 (105a) 는, 루프부 (35) 의 전부의 하측에 형성된 취출구 (106) 에 연통되어 있다.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측면에서 보았을 때 투과창 (70) 의 하방의 위치에, 콘덴서 (83) 에 대한 외기를 도입하기 위한 외기 도입구 (110) 가 형성되어 있다. 외기 도입구 (110) 는, 캐빈 (30) 의 후벽부 (32) 에 있어서, 콘덴서 (83) 의 전측이 면하도록 형성된 외기 유통 공간부 (111) 를 우측으로 개구시킨 부분이다. 외기 유통 공간부 (111) 는, 캐빈 (30) 의 우측방으로부터 외기를 유통시키는 공간 부분이다.
외기 유통 공간부 (111) 는, 캐빈 (30) 의 후벽부 (32) 에 있어서 상하 중간부에 형성되어 있다. 외기 유통 공간부 (111) 는, 후벽부 (32) 에 있어서 캐빈 (30) 의 실내측의 부분을 형성하는 대략 연직상의 전측 벽부 (112) 와, 전측 벽부 (112) 의 후측에 있어서 전측 벽부 (112) 에 대해 평행상으로 형성된 후측 벽부 (113) 와, 좌우의 측면부 및 바닥면부에 의해 형성된 편평상의 공간 부분이다.
외기 유통 공간부 (111) 는, 상부의 전측의 부분을, 우측면에서 보았을 때 경계선 A1 이 따르는 가상 평면보다 전측에 위치시키고 있다. 콘덴서 (83) 는, 외기 유통 공간부 (111) 를 형성하는 후측 벽부 (113) 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전측의 부분을 외기 유통 공간부 (111) 내에 위치시키고 있다. 후측 벽부 (113) 에는, 콘덴서 (83) 를 장착하기 위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다.
외기 도입구 (110) 는, 외기 유통 공간부 (111) 의 우측면부 (114) 에 있어서, 하반부를 전체적으로 개구시키도록 세로로 긴 개구 부분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외기 도입구 (110) 의 우방에는, 외기 도입 커버 (15) 가 위치하고 있다 (도 4 참조).
그리고, 측면에서 보았을 때 외기 도입 커버 (15) 에 겹치는 위치에, 외기 도입구 (110) 가 형성되어 있다. 즉, 우측면에서 보았을 때, 외기 도입구 (110) 의 전체 또는 대략 전체는, 외기 도입 커버 (15) 에 의해 덮여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외기 도입 커버 (15) 의 상부에 겹치는 위치에, 외기 도입구 (110) 가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우측면에서 보았을 때, 경사 변부 (15a) 와 상변부 (15d) 의 모서리 부분의 근방에, 외기 도입구 (110) 가 위치하고 있다.
외기 도입구 (110) 의 주위에 있어서의 후측 및 하측에는, 외기 도입구 (110) 로부터 외측 (우측) 에 걸쳐 확개된 양태의 가이드면부 (115) 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기 도입구 (110) 에는, 망상 부재 등의 방진용의 부재가 장착되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정회전하는 팬 (84) 의 흡인력에 의해, 외기 도입구 (110) 로부터 외기가 외기 유통 공간부 (111) 내에 도입된다 (화살표 C1 참조). 외기 유통 공간부 (111) 내에 도입된 외기는, 콘덴서 (83) 에 있어서 열교환하면서 콘덴서 (83) 를 통과하여, 캐빈 (30) 의 후방에 배기로서 배출된다 (화살표 C2 참조). 한편, 팬 (84) 이 역회전함으로써, 외기가 팬 (84) 으로부터 콘덴서 (83) 를 통과하여 외기 유통 공간부 (111) 내에 도입되고, 외기 도입구 (110) 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또, 캐빈 (30) 의 루프부 (35) 내에, 캐빈 (30) 내의 공조를 실시하기 위한 에어컨 유닛 (82) 을 구비한 구성에 있어서, 루프부 (35) 의 하방에, 에어컨 유닛 (82) 에 외기를 도입하기 위한 외기 도입부인 외기 도입 덕트 (120) 가 형성되어 있다.
외기 도입 덕트 (120) 는, 에어컨 유닛 (82) 에 외기를 도입하기 위한 외기 도입로 (121) 를 구성하고 있다 (도 15 참조). 외기 도입로 (121) 는, 캐빈 (30) 의 외측에 있어서의 외기를, 에어컨 유닛 (82) 의 설치 스페이스인 루프부 (35) 내의 에어콘 수용부 (99) 에 도입하기 위한 공기의 유로이다.
도 14 및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기 도입 덕트 (120) 는, 캐빈 (30) 의 후좌측의 모서리부에 있어서, 상하 방향을 따른 관로 형성부로서 형성되어 있고, 상하 방향으로 연신한 외기 도입로 (121) 를 형성하고 있다. 외기 도입 덕트 (120) 는, 평면 단면에서 보았을 때 전후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한 대략 직사각형상을 이루도록 대략 사각통상의 외형을 갖는다.
외기 도입 덕트 (120) 는, 캐빈 (30) 의 좌측벽부 (33) 의 후측에 있어서, 좌측벽부 (33) 와 면일상의 측면부를 이루도록, 또한, 후벽부 (32) 에 대해서는 후측으로 돌출된 양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외기 도입 덕트 (120) 는, 캐빈 (30) 의 후측의 일측방인 좌측방에 형성되어 있다.
외기 도입 덕트 (120) 는, 외기 도입로 (121) 의 상류측이 되는 하측을, 캐빈 (30) 의 외부에 개구시키고 있다. 또, 외기 도입 덕트 (120) 는, 외기 도입로 (121) 의 하류측이 되는 상측을, 루프부 (35) 내에 있어서의 에어콘 수용부 (99) 내에 대해, 개폐 가능한 셔터부 (125) 를 통해서 연통 가능하게 하고 있다.
에어컨 유닛 (82) 은, 셔터부 (125) 의 개폐에 의해, 운전 모드로서, 외기 도입 덕트 (120) 에 의해 외기를 도입시키는 외기 도입의 모드와, 캐빈 (30) 내의 내기를 순환시키는 내기 순환의 모드가 전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내기 순환의 모드에 관해, 에어컨 유닛 (82) 의 전방에는, 캐빈 (30) 의 내기가 유입되는 내기 유입구 (123) 가 형성되어 있다 (도 9 참조). 내기 유입구 (123) 는, 루프부 (35) 를 구성하는 하측 패널부 (97) 의 오목 형상부 (97d) 의 전측의 벽면부에 형성되어 있다.
외기 도입 덕트 (120) 는, 외기 도입로 (121) 를 형성하는 면부로서, 좌측면부 (131), 우측면부 (132), 전면부 (133), 후면부 (134), 상면부 (135), 및 바닥면부 (136) 를 갖는다. 외기 도입 덕트 (120) 는, 좌측면부 (131) 를, 캐빈 (30) 의 좌측벽부 (33) 의 외측의 면부와 대략 동일 평면 상에 위치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외기 도입 덕트 (120) 는, 좌우 내측의 측면부인 우측면부 (132) 를, 캐빈 (30) 의 후벽부 (32) 에 대해 후측에 위치시키고 있다. 즉, 외기 도입 덕트 (120) 의 우측면부 (132) 는, 후벽부 (32) 에 있어서의 콘덴서 유닛 (81) 의 배치 형성 부위의 연직상의 벽부와 함께 평면 단면에서 보았을 때 직각상을 이루도록, 후벽부 (32) 의 좌측의 가장자리부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일어선 양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 외기 도입 덕트 (120) 는, 하측에 대해, 외기 도입로 (121) 의 상류측의 단부를, 후벽부 (32) 에 있어서의 콘덴서 유닛 (81) 의 배치 형성 부위의 연직상의 벽부의 하단부의 높이에 위치시키고 있다. 외기 도입 덕트 (120) 는, 상측에 대해, 외기 도입로 (121) 의 하류측의 단부를, 루프부 (35) 의 후단부의 좌측에 위치시키도록 연장 형성되어 있다. 요컨대, 외기 도입 덕트 (120) 는, 상하 방향에 대해, 콘덴서 유닛 (81) 의 하단부의 근방의 위치에서 루프부 (35) 의 좌측분의 위치까지의 범위에서 연직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외기 도입 덕트 (120) 는, 외기 도입구로서 외기를 도입하기 위한 흡기구 (138) 를 갖는다. 흡기구 (138) 는, 외기 도입 덕트 (120) 의 우측면부 (132)의 하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흡기구 (138) 는, 판상의 부분인 우측면부 (132)를 관통시킨 개구부이고, 외기 도입로 (121) 를 외부에 면하여 개구시키고 있다.
흡기구 (138) 는, 외기 도입 덕트 (120) 의 하부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의 외형을 따른 개구 형상을 갖고, 상하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외기 도입 덕트 (120) 에 있어서, 흡기구 (138) 는, 캐빈 (30) 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내측을 향하여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외기 도입 덕트 (120) 의 흡기구 (138) 의 배치에 관해, 콤바인 (1) 은, 다음과 같은 구성을 구비한다. 즉, 콤바인 (1) 은, 캐빈 (30) 의 후측에 배치되고, 팬 (84) 을 갖는 공조 장치 (80) 의 콘덴서 유닛 (81) 을 구비한다. 그리고, 외기 도입 덕트 (120) 의 흡기구 (138) 는, 팬 (84) 에 의한 배풍로측을 향하여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팬 (84) 에 의한 배풍로는, 콘덴서 유닛 (81) 의 후측의 스페이스이고, 후벽부 (32) 에 팬 (84) 을 설치시킨 캐빈 (30) 의 후측의 공간 부분이 된다 (도 13, 화살표 C2 참조). 따라서, 후벽부 (32) 의 좌측의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외기 도입 덕트 (120) 에 대해, 팬 (84) 에 의한 배풍로는, 우측의 스페이스가 된다. 흡기구 (138) 는, 외기 도입 덕트 (120) 에 있어서 우측에 면한 우측면부 (132) 의 하부에 개구 형성되어 있다.
외기 도입 덕트 (120) 내에 있어서의 외기 도입로 (121) 의 유로 구성에 대해, 도 15 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외기 도입 덕트 (120) 의 바닥면부 (136) 에는, 흡기구 (138) 로부터 도입된 외기가 상측으로 유도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 사면 (140) 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사면 (140) 은, 좌측에서 우측에 걸쳐 내려가는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외기 도입 덕트 (120) 내에는, 외기 도입 덕트 (120) 의 내부 공간을 좌하측과 우상측으로 나누는 칸막이벽 (141) 이 형성되어 있다. 칸막이벽 (141) 은, 좌우 방향을 판두께 방향으로 하는 세로벽부 (142) 와, 세로벽부 (142) 의 하단부에서 좌우 내측 (우측) 을 향하여 직각상으로 굴곡 형성된 하벽부 (143) 를 갖고, 이들 벽부에 의해 배면에서 보았을 때 세로로 긴 대략 「L」 자상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칸막이벽 (141) 은, 세로벽부 (142) 의 상측을, 외기 도입 덕트 (120) 의 상면부 (135) 에 연결하고 있고, 하벽부 (143) 의 우측을, 외기 도입 덕트 (120) 의 우측면부 (132) 에 연결하고 있다. 칸막이벽 (141) 은, 세로벽부 (142) 를, 외기 도입 덕트 (120) 의 내부 공간의 좌우 중간부에 위치시키고 있다. 칸막이벽 (141) 은, 하벽부 (143) 를, 외기 도입 덕트 (120) 의 하부에 있어서의 흡기구 (138) 보다 상측에 위치시키고 있다.
칸막이벽 (141) 에 의해, 외기 도입로 (121) 는, 세로벽부 (142) 의 좌측 및 하벽부 (143) 의 하측의 공간 부분인 하외측 유로부 (121a) 와, 세로벽부 (142) 의 우측 및 하벽부 (143) 의 상측의 공간 부분인 상내측 유로부 (121b) 로 나누어져 있다.
하외측 유로부 (121a) 는, 하부에 있어서, 흡기구 (138) 에 의해, 외기 도입 덕트 (120) 의 외부에 연통되어 있다. 상내측 유로부 (121b) 는, 상부에 있어서, 셔터부 (125) 를 통해서 에어콘 수용부 (99) 내에 연통되어 있다. 에어콘 수용부 (99) 를 형성하는 하측 패널부 (97) 에 있어서, 둘레벽부 (97b) 의 좌측의 후부에, 외기 도입 덕트 (120) 의 내부와 에어콘 수용부 (99) 의 내부를 연통시키는 개구부 (97e) 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부 (97e) 가, 셔터부 (125) 에 의해 개폐된다.
외기 도입 덕트 (120) 에는, 공기 청정용의 필터 (150) 가 형성되어 있다. 필터 (150) 는, 외기 도입 덕트 (120) 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15 에 있어서는, 외기 도입 덕트 (120) 내에 형성된 필터 (150) 에 더하여, 편의상, 일점 쇄선의 타원 (D1) 내에, 외기 도입 덕트 (120) 로부터 취출된 상태의 필터 (150) 를 나타내고 있다.
필터 (150) 는, 칸막이벽 (141) 의 세로벽부 (142) 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필터 (150) 는, 가늘고 긴 직사각형 후판상의 외형을 갖고, 판두께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함과 함께 길이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하는 방향으로, 세로벽부 (142) 에 장착되어 있다. 필터 (150) 는, 상하 방향에 대해, 외기 도입 덕트 (120) 의 전체의 길이에 대해 대략 1/3 의 길이를 갖고, 외기 도입 덕트 (120) 의 중간부에 형성되어 있다.
필터 (150) 는, 본체부 (151) 에 대해, 판두께 방향의 일측에, 직사각형상의 외형을 따라 플랜지상으로 돌출된 플랜지부 (152) 를 갖는다. 한편, 세로벽부 (142) 에는, 필터 (150) 의 본체부 (151) 의 외형에 대응한 장착공부 (142a) 가 형성되어 있다.
필터 (150) 는, 세로벽부 (142) 에 대해, 좌우 외측인 좌측으로부터, 본체부 (151) 를 장착공부 (142a) 내에 삽입 끼움시킨 상태로 장착된다. 필터 (150) 는, 장착공부 (142a) 에 의해, 세로벽부 (142) 를 판두께 방향으로 관통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세로벽부 (142) 에 대한 필터 (150) 의 장착 상태에 있어서, 장착공부 (142a) 에 대한 확대 형상부인 플랜지부 (152) 가, 세로벽부 (142) 에 대해, 필터 (150) 의 우방으로의 이동에 대한 걸림부가 된다.
필터 (150) 는, 그 외형에 있어서의 판두께 방향 중, 플랜지부 (152) 측으로부터 본체부 (151) 측으로 통과하는 공기에 대해 작용한다. 따라서, 필터 (150) 는, 세로벽부 (142) 를 좌우 외측 (좌측) 에서 좌우 내측 (우측) 을 향하여 관통하는 방향으로 흐르는 공기에 대해 작용한다.
이상과 같은 외기 도입로 (121) 의 유로 구성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외기의 흐름이 얻어진다. 즉,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기구 (138) 로부터 유입된 외기는, 가이드 사면 (140) 에 의해 상측으로 안내되고, 하외측 유로부 (121a) 를 상방을 향하여 흐른다 (화살표 E1 참조). 하외측 유로부 (121a) 내의 외기는, 하외측 유로부 (121a) 의 상부에 있어서, 필터 (150) 를 통과하여 상내측 유로부 (121b) 에 유입되고 (화살표 E2 참조), 상방으로 유도된다 (화살표 E3 참조). 그리고, 셔터부 (125) 가 열린 상태에 있어서, 개구부 (97e) 로부터 에어콘 수용부 (99) 내에 유입된다 (화살표 E4 참조).
셔터부 (125) 의 구성에 대해, 도 16 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셔터부 (125) 는, 판상의 부재인 셔터 본체 (160) 를 갖고, 셔터 본체 (160) 를, 하측 패널부 (97) 의 둘레벽부 (97b) 에 형성된 개구부 (97e) 에 대해 내측으로부터 갖다 댐으로써, 개구부 (97e) 를 닫는다.
개구부 (97e) 는, 가로로 긴 대략 직사각형상의 개구 형상을 갖는다. 셔터 본체 (160) 는, 개구부 (97e) 의 개구 치수보다 한층 큰 외형 치수를 갖고, 둘레벽부 (97b) 의 내측으로부터 개구부 (97e) 의 전체를 막는다. 둘레벽부 (97b) 에 대향하는 측의 셔터 본체 (160) 의 외측면에는, 개구부 (97e) 의 개구 형상을 따른 프레임상의 고무 등의 탄성 재료로 이루어지는 시일부 (161) 가 형성되어 있다.
셔터 본체 (160) 는, 하측 패널부 (97) 에 있어서 오목 형상부 (97d) 의 하면부에 대해 고정 볼트 (164) 등에 의해 고정된 상태로 형성된 수평상의 장착판 (162) 에 대해, 전후 양측에 형성된 힌지부 (163) 에 의해, 전후 방향을 회동축 방향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힌지부 (163) 는, 셔터 본체 (160) 의 하단부를, 장착판 (162) 의 좌측의 단부에 연결 지지하고 있다.
셔터 본체 (160) 는, 전후의 힌지부 (163) 에 의해, 개구부 (97e) 를 막아 둘레벽부 (97b) 를 따른 연직상의 닫힌 상태로부터, 우측으로 넘어지도록 회동함으로써, 개구부 (97e) 를 연 상태로 한다 (도 15, 화살표 F1 참조).
셔터부 (125) 는, 개폐 동작하기 위한 구동원으로서 모터 (165) 를 갖는다. 모터 (165) 의 구동력에 의해, 셔터 본체 (160) 가 개폐 동작된다. 모터 (165) 는, 장착판 (162) 의 후부에 형성된 지지벽부 (162b) 의 후측에 형성되어 있다. 지지벽부 (162b) 는, 장착판 (162) 의 수평상의 본체부 (162a) 에 대해 전후 방향을 판두께 방향으로 하도록 수직상으로 굴곡 형성된 부분이다. 모터 (165) 는, 지지벽부 (162b) 에 대해 복수 지점에서 볼트 등의 고정구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모터 (165) 는, 전측에, 모터 구동축에 연결된 구동 아암 (166) 을 갖는다. 구동 아암 (166) 은, 조작 아암 (167) 을 통해서, 셔터 본체 (160) 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장착판 (162) 의 지지벽부 (162b) 에는, 구동 아암 (166) 과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만곡상의 오목부 (162c) 가 형성되어 있다.
조작 아암 (167) 은, 직선상의 부재이고, 일단측을, 연결축 (168) 에 의해, 구동 아암 (166) 의 선단부에 대해 전후 방향을 회동축 방향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 지지시키고 있다. 조작 아암 (167) 은, 타단측을, 셔터 본체 (160) 의 후단부에 고정 형성된 L 자 금구 (169) 의 돌편부 (169a) 에 대해, 연결축 (170) 에 의해, 전후 방향을 회동축 방향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연결 지지시키고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구비한 셔터부 (125) 에 있어서는, 모터 (165) 의 구동에 의한 구동 아암 (166) 의 회동에 수반하여, 조작 아암 (167) 이, 셔터 본체 (160) 를 밀어당기도록 이동하여, 셔터 본체 (160) 의 개폐 동작이 실시된다 (도 15, 화살표 F1 참조).
셔터 본체 (160) 에 의해 개구부 (97e) 가 열리고, 셔터부 (125) 가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 됨으로써, 외기 도입 덕트 (120) 로부터 개구부 (97e) 를 통해서 외기가 에어콘 수용부 (99) 내에 유입되어, 에어컨 유닛 (82) 은, 외기 도입의 모드로 전환된다. 한편, 셔터 본체 (160) 에 의해 개구부 (97e) 가 닫히고, 셔터부 (125) 가 열린 상태에서 닫힌 상태로 됨으로써, 내기 유입구 (123) 로부터 캐빈 (30) 내의 내기가 에어콘 수용부 (99) 내에 유입되고, 에어컨 유닛 (82) 은 내기 순환의 모드로 전환된다.
셔터부 (125) 의 개폐는, 운전부 (12) 에 형성된 소정의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전환된다. 이 조작부는, 공조 장치 (80) 의 운전 모드 전환용 조작부이고, 에어컨 유닛 (82) 의 외기 도입과 내기 순환을 전환하기 위한 조작부이다. 운전 모드 전환용 조작부는, 예를 들어 버튼이나 스위치 등의 조작구를 갖고, 도시하지 않는 제어부를 통해서 모터 (165) 에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는, 운전 모드 전환용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생성된 조작 신호의 입력을 받아, 조작 신호에 기초하는 제어 신호를 모터 (165) 에 대해 출력하고, 모터 (165) 를 동작시켜 셔터 본체 (160) 를 개폐시킨다.
또, 외기 도입 덕트 (120) 는, 필터 (150) 의 메인터넌스용의 창구부 (180) 를 갖는다. 창구부 (180) 는, 외기 도입 덕트 (120) 의 좌측면부 (131) 에 형성되어 있다. 창구부 (180) 는, 좌측면부 (131) 에 형성된 메인터넌스용 개구부 (131a) 를 개폐시키는 개폐문 (181) 을 갖는다.
메인터넌스용 개구부 (131a) 는, 좌측면부 (131) 측으로부터 필터 (150) 의 장착 및 떼어내기의 작업을 가능하게 할 정도의 크기로 개구되어 있다. 메인터넌스용 개구부 (131a) 는, 필터 (150) 의 외형을 따라 세로로 긴 직사각형상의 개구 형상을 갖고, 좌측면에서 보았을 때 개구 범위 내에 필터 (150) 의 전체를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개폐문 (181) 은, 메인터넌스용 개구부 (131a) 의 개구 치수보다 한층 큰 외형 치수를 갖고, 좌측면부 (131) 의 외측 (좌측) 으로부터 메인터넌스용 개구부 (131a) 의 전체를 막도록 형성되어 있다. 개폐문 (181) 은, 닫힌 상태에 있어서, 좌측면부 (131) 의 일부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개폐문 (181) 은, 좌측면부 (131) 에 대해, 후측의 가장자리부에 있어서 상하 양측에 형성된 힌지부 (182) 에 의해, 상하 방향을 회동축 방향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요컨대, 개폐문 (181) 은, 후측을 회동 지점으로 하여 전측에서 열리도록 형성되어 있다. 힌지부 (182) 는, 좌측면부 (131) 와 후면부 (134) 에 의한 모서리부에 고정 형성되어 있다.
개폐문 (181) 이 닫힌 상태는, 개폐문 (181) 의 전측의 상하 중앙부에 형성된 로크부 (183) 에 의해 고정된다. 로크부 (183) 는, 예를 들어 드로우 래치 등의 물림쇠이고, 수동 조작에 의해 간단하게 로크 및 그 해제를 할 수 있는 구성의 것이다.
또, 개폐문 (181) 의 내측에는, 필터 (150) 를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 (184) 가 형성되어 있다 (도 15 참조). 가압부 (184) 는, 필터 (150) 에 대해 외측 (좌측) 으로부터 가압 작용하는 가압면 (184a) 을 갖고, 개폐문 (181) 이 닫힌 상태에 있어서, 가압면 (184a) 을 필터 (150) 에 가압 작용시킨다. 가압부 (184) 는, 가압면 (184a) 을 형성하는 판상의 부분인 가압면부 (184b) 와, 가압면부 (184b) 를 개폐문 (181) 의 이면에 대해 소정의 간격을 둔 위치에 지지하는 복수의 지지 다리부 (184c) 를 갖고, 개폐문 (181) 의 이면측에 고정 형성되어 있다.
가압부 (184) 에 의하면, 개폐문 (181) 을 닫고, 로크부 (183) 를 로크함으로써, 가압부 (184) 에 의해 필터 (150) 가 외측으로부터 가압되고, 세로벽부 (142) 에 대해 끼워넣어진 상태의 필터 (150) 의 장착 상태가 유지된다. 요컨대, 개폐문 (181) 이 로크됨으로써, 필터 (150) 의 플랜지부 (152) 가 세로벽부 (142) 와 가압부 (184) 에 의해 끼워져, 필터 (150) 가 협지된 상태가 된다.
이상과 같이, 외기 도입 덕트 (120) 에 있어서는, 필터 (150) 에 대해 메인터넌스용의 창구부 (180) 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창구부 (180) 는, 캐빈 (30) 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외측인 좌측을 향하여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루프부 (35) 내에 있어서의 에어컨 유닛 (82) 의 배치에 관해, 송풍 팬 (96) 은, 열교환기 (95) 에 대해 외기 도입 덕트 (120) 측에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외기 도입 덕트 (120) 는, 루프부 (35) 내의 에어콘 수용부 (99) 에 대해, 루프부 (35) 의 후단부의 좌측면부에 형성된 셔터부 (125) 를 통해서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 송풍 팬 (96) 은, 열교환기 (95) 의 좌측에 위치하고, 외기 도입 덕트 (120) 측에 형성되어 있다.
즉, 송풍 팬 (96) 은, 루프부 (35) 내에 대한 외기 도입 덕트 (120) 의 연통부와, 열교환기 (95)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송풍 팬 (96) 은, 셔터부 (125) 의 근방의 위치에 있어서, 셔터부 (125) 의 셔터 본체 (160) 에 대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구비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콤바인 (1) 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작용 효과가 얻어진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콤바인 (1) 에 의하면, 캐빈 (30) 의 후부에 형성된 외기 도입구 (110) 의 개구 면적을 확보할 수 있음과 함께, 후방 시인용의 창부인 투과창 (70) 의 면적을 확보할 수 있고, 캐빈 (30) 내로부터의 양호한 후방 시인성을 얻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캐빈 (30) 에 있어서는, 캐빈 (30) 의 후벽부 (32) 가 측면에서 보았을 때 후경상을 이루고, 외기 도입 커버 (15) 는, 우측면에서 보았을 때 전측의 대부분을 후벽부 (32) 의 하측에 위치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캐빈 (30) 의 후방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활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외기 도입구 (110) 의 개구 면적을 확보하면서, 투과창 (70) 의 설치 스페이스를 넓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투과창 (70) 에 의한 후방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외기 도입구 (110) 에 대해 충분한 개구 면적을 확보할 수 있음으로써, 콘덴서 (83) 의 냉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캐빈 (30) 의 우측벽부 (34) 에 있어서, 외기 도입 커버 (15) 의 상방에 위치하는 부위에 투과창 (70) 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캐빈 (30) 의 후측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하여 외기 도입구 (110) 의 개구 면적을 확보할 수 있음과 함께, 캐빈 (30) 내로부터의 후방 시인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콤바인 (1) 은, 역삼각형상의 투과창 (70) 의 하부와, 외기 도입 커버 (15) 의 상부가 전후 방향으로 오버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투과창 (70) 에 의한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에 더하여, 외기 도입구 (110) 의 개구 면적을 크게 확보할 수 있고, 냉각 효율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투과창 (70) 이 직사각형상의 창부였을 경우, 외기 도입구 (110) 의 배치 스페이스가 투과창 (70) 에 의해 상측으로부터 압박되게 된다. 그래서, 투과창 (70) 을 역삼각형상으로 하여, 외기 도입 커버 (15) 의 상부와 오버랩시키도록 구성함으로써, 외기 도입구 (110) 의 배치 스페이스를 용이하게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캐빈 (30) 의 후벽부 (32) 에 콘덴서 (83) 가 배치되어 있고, 우측면에서 보았을 때 투과창 (70) 의 하방의 위치이며, 외기 도입 커버 (15) 에 겹치는 위치에 외기 도입구 (110) 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투과창 (70) 에 의한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에 더하여, 콘덴서 (83) 에 대해 외기를 도입하기 위한 외기 도입구 (110) 의 개구 면적을 크게 확보할 수 있고, 콘덴서 (83) 의 냉각 효율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 투과창 (70) 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전측으로부터 후측에 걸쳐 좌우 외측에서 좌우 내측을 향하도록 경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캐빈 (30) 내로부터의 투과창 (70) 에 의한 후방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배출구 (9a) 를 후방에 위치시키도록 선회한 상태의 배출 오거 (9) 로부터의 곡립의 배출시에 있어서, 캐빈 (30) 내로부터의 배출구 (9a) 에 대한 시인성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 외기 도입 커버 (15) 의 상측에 형성된 상측 커버부 (75) 는, 후면에서 보았을 때 투과창 (70) 을 노출시키도록 경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후면에서 보았을 때 투과창 (70) 의 노출 면적을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캐빈 (30) 내로부터의 투과창 (70) 에 의한 후방 시인성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캐빈 (30) 에 있어서는, 캐빈 (30) 의 우측벽부 (34) 는, 우측면에서 보았을 때 후측의 가장자리부를 후경상으로 함과 함께, 캐빈 (30) 의 후벽부 (32) 는, 우측벽부 (34) 의 후단부를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캐빈 (30) 내의 거주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음과 함께, 캐빈 (30) 의 후측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 캐빈 (30) 의 후벽부 (32) 의 하측에, 콘덴서 (83) 가 형성되어 있다. 요컨대, 후경상으로 구성된 후벽부 (32) 의 하방 공간에, 콘덴서 (83) 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캐빈 (30) 내의 거주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음과 함께, 캐빈 (30) 의 후측의 스페이스를 이용하여 공조 장치 (80) 의 콘덴서 (83) 를 포함하는 에어컨 유닛 (82) 을 컴팩트하게 수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후경상으로 구성된 캐빈 (30) 의 후벽부 (32) 에는, 투과창인 후 창부 (90) 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후 창부 (90) 가 후벽부 (32) 의 경사를 따라 후경상의 면을 이루도록 형성되므로, 후 창부 (90) 의 외측의 표면에 진애가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써, 후 창부 (90) 로부터의 양호한 시계 (視界) 를 유지할 수 있다.
또, 캐빈 (30) 의 후벽부 (32) 에 있어서, 후 창부 (90) 의 하방에, 콘덴서 (83) 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콘덴서 (83) 와 함께 콘덴서 유닛 (81) 으로서 형성된 팬 (84) 의 배풍 등에 의해 휘말려 올라가는 분진이 후 창부 (90) 에 부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캐빈 (30) 의 후벽부 (32) 의 하측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하여 콘덴서 유닛 (81) 을 배치할 수 있음과 함께, 팬 (84) 에 의해 휘말려 올라가는 진애가 부착되는 것에 의한 후 창부 (90) 로부터의 시계의 악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외기 도입 커버 (15) 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외기 도입 커버 (15) 의 일부와 캐빈 (30) 의 후벽부 (32) 가 따르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캐빈 (30) 의 후측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음과 함께, 캐빈 (30) 과 외기 도입 커버 (15) 의 형태적인 일체성을 얻을 수 있고, 외관의 의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콤바인 (1) 에 의하면, 캐빈 (30) 의 루프부 (35) 의 내부에 형성된 에어컨 유닛 (82) 에 대한 외기 도입 덕트 (120) 의 메인터넌스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캐빈 (30) 에 있어서는, 루프부 (35) 의 하방에, 외기 도입 덕트 (120) 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외기 도입 덕트 (120) 의 높이 위치를 낮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외기 도입 덕트 (120) 에 대해 양호한 메인터넌스성을 얻을 수 있다.
또, 외기 도입 덕트 (120) 는, 캐빈 (30) 의 후측에 있어서의 좌우의 일측 (좌측) 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외기 도입 덕트 (120) 에 의해 캐빈 (30) 으로부터 전방 혹은 후방에 대한 시계가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캐빈 (30) 의 측방으로부터의 외기 도입 덕트 (120) 에 대한 액세스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외기 도입 덕트 (120) 에 대해 양호한 메인터넌스성을 얻을 수 있다.
또, 외기 도입 덕트 (120) 에 있어서, 하부에 형성된 흡기구 (138) 는, 캐빈 (30) 에 있어서의 좌우 내측인 우측에 면하여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흡기구 (138) 가, 캐빈 (30) 의 외측에 대해 좌우 내측에 숨겨진 장소에 위치하게 되기 때문에, 흡기구 (138) 로부터 진애 등이 흡인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외기 도입 덕트 (120) 의 흡기구 (138) 의 개구측은, 콘덴서 유닛 (81) 의 팬 (84) 에 의한 배풍로측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팬 (84) 으로부터의 배풍에 의해 진애 등이 후방으로 날려지게 되기 때문에, 흡기구 (138) 로부터 진애 등이 흡인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외기 도입 덕트 (120) 에 있어서의 흡기구 (138) 의 형성 부위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흡기구 (138) 는, 예를 들어, 외기 도입 덕트 (120) 의 후면부 (134) 나 바닥면부 (136) 등의 다른 부위에 형성되어도 된다.
또, 외기 도입 덕트 (120) 에는, 공기 청정용의 필터 (150) 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필터 (150) 가 루프부 (35) 의 하방에 위치하게 되므로, 필터 (150) 를 낮은 높이 위치에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필터 (150) 의 메인터넌스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필터 (150) 는, 외기 도입 덕트 (120) 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외기 도입 덕트 (120) 의 외측의 측면부인 좌측면부 (131) 에는, 필터 (150) 의 메인터넌스용의 창구부 (180) 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창구부 (180) 로부터, 외기 도입 덕트 (120) 내의 필터 (150) 의 청소나 교환 등을 용이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져, 필터 (150) 의 메인터넌스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에어컨 유닛 (82) 의 배치에 관해, 송풍 팬 (96) 은, 열교환기 (95) 에 대해 외기 도입 덕트 (120) 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외기 도입 덕트 (120) 에 의해 루프부 (35) 내에 도입되는 공기를 효율적으로 송풍 팬 (96) 에 의해 열교환기 (95) 로 보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의 설명은 본 발명의 일례이며, 본 발명에 관련된 콤바인은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 이외여도, 본 발명에 관련된 기술적 사상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이면, 설계 등에 따라 여러 가지 변경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 : 콤바인
11 : 엔진
12 : 운전부
15 : 외기 도입 커버 (엔진 커버)
30 : 캐빈
32 : 후벽부
34 : 우측벽부
35 : 루프부
51 : 도어
70 : 투과창
75 : 상측 커버부
80 : 공조 장치
81 : 콘덴서 유닛
82 : 에어컨 유닛
83 : 콘덴서
84 : 팬
90 : 후 창부
95 : 열교환기
96 : 송풍 팬
110 : 외기 도입구
120 : 외기 도입 덕트 (외기 도입부)
121 : 외기 도입로
125 : 셔터부
132 : 우측면부
138 : 흡기구
141 : 칸막이벽
150 : 필터
180 : 창구부
181 : 개폐문

Claims (11)

  1. 운전부를 덮는 캐빈을 구비한 콤바인으로서,
    상기 캐빈의 승강용의 도어가 형성된 상기 캐빈의 측벽부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후측의 가장자리부를 후경상으로 하고,
    상기 캐빈의 후벽부는, 상기 측벽부의 후단부를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빈의 상기 후벽부의 하방에, 공조 장치의 콘덴서를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빈의 상기 후벽부에, 후 창부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후 창부의 하방에, 상기 콘덴서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빈의 후하측에 형성된 엔진과,
    상기 엔진의 측방에 배치된 엔진 커버를 구비하고,
    상기 엔진 커버를,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엔진 커버의 일부와 상기 캐빈의 상기 후벽부가 따르도록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빈의 후벽부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후경형상을 갖고,
    상기 엔진 커버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적어도 일부를 상기 후벽부의 하측에 위치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빈의 좌우의 측벽부 중, 상기 엔진 커버가 위치하는 측의 측벽부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엔진 커버의 상방에 위치하는 부위에는, 투과창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창의 하부와, 상기 엔진 커버의 상부가, 측면에서 보았을 때 전후 방향으로 대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빈의 후측에 배치된 공조 장치의 콘덴서를 구비하고,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엔진 커버에 겹치는 위치에, 상기 콘덴서에 대한 외기를 도입하기 위한 외기 도입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과창은, 평면에서 보았을 때 전측으로부터 후측에 걸쳐 좌우 외측에서 좌우 내측을 향하도록 경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11.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커버의 상측에는,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투과창의 후측에 위치하는 상측 커버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상측 커버부는, 후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투과창을 노출시키도록 경사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바인.
KR1020237029706A 2021-03-25 2022-02-18 콤바인 KR2023016080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052240 2021-03-25
JPJP-P-2021-052239 2021-03-25
JP2021052240A JP2022149897A (ja) 2021-03-25 2021-03-25 コンバイン
JP2021052239A JP2022149896A (ja) 2021-03-25 2021-03-25 コンバイン
PCT/JP2022/006651 WO2022202011A1 (ja) 2021-03-25 2022-02-18 コンバイン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0800A true KR20230160800A (ko) 2023-11-24

Family

ID=83396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9706A KR20230160800A (ko) 2021-03-25 2022-02-18 콤바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60800A (ko)
WO (1) WO2022202011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32381A (ja) 2016-01-28 2017-08-03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両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43982B2 (en) * 2004-06-22 2007-07-17 Caterpillar Inc Operator's cab for a work machine
JP5739137B2 (ja) * 2010-11-11 2015-06-24 株式会社クボタ 普通型コンバイン
US8702154B1 (en) * 2013-02-07 2014-04-22 Caterpillar Inc. Cab frame with integrated rollover protective structur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132381A (ja) 2016-01-28 2017-08-03 ヤンマー株式会社 作業車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202011A1 (ja) 2022-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74914B2 (ja) 収穫機
EP1924134B1 (en) Folding air intake scoop
JP5681577B2 (ja) コンバイン
KR20230160800A (ko) 콤바인
WO2022202010A1 (ja) コンバイン
JP6512995B2 (ja) コンバイン
JP2022149897A (ja) コンバイン
JP2022149896A (ja) コンバイン
JP2018113992A (ja) 収穫機
JP5667523B2 (ja) 収穫機
JP3789896B2 (ja) 作業車のエアコン装置
CN106457957B (zh) 作业机
WO1998046064A1 (fr) Dispositif pour moteur
JP7161580B2 (ja) コンバイン
JP2003116328A (ja) コンバインのコンデンサ取付装置
CN115534662A (zh) 联合收割机
JP3857447B2 (ja) 農作業機の冷・暖房装置
JP7381441B2 (ja) コンバイン
JP2008001203A (ja) 作業車用キャビンのドア構造
JP4748262B2 (ja) コンバイン
JP2005231448A (ja) 作業車
JPH10210840A (ja) コンバイン
JP6238813B2 (ja) コンバイン
RU2372768C1 (ru)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варианты), узел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и способ эксплуатации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CN111918544A (zh) 联合收割机