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9670A - 자체 마스킹 라벨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자체 마스킹 라벨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9670A
KR20180099670A KR1020187017442A KR20187017442A KR20180099670A KR 20180099670 A KR20180099670 A KR 20180099670A KR 1020187017442 A KR1020187017442 A KR 1020187017442A KR 20187017442 A KR20187017442 A KR 20187017442A KR 20180099670 A KR20180099670 A KR 201800996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bel
section
label section
carrier strip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7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5598B1 (ko
Inventor
스티브 한센
제임스 에이. 피터슨
Original Assignee
헬러만타이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헬러만타이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헬러만타이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80099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96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5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55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3/0288Labels or tickets consisting of more than one part, e.g. with address of sender or other reference on separate section to main label; Multi-copy lab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9/00Details of labelling machines or apparatus
    • B65C9/0006Removing backing shee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3/0295Labels or tickets for tubes, pipes and the lik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8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 G09F3/20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for adjustable,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labels
    • G09F3/205Casings, frames or enclosures for labels for adjustable, removable, or interchangeable labe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cables, pip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CLABELLING OR TAGGING MACHINES, APPARATUS, OR PROCESSES
    • B65C3/00Labelling other than flat surfaces
    • B65C3/02Affixing labels to elongated objects, e.g. wires, cables, bars, tub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2003/0208Indicia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2003/0222Features for removal or adhesion, e.g. tab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2Forms or constructions
    • G09F2003/0225Carrier web
    • G09F2003/0227Carrier strip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3/00Labels, tag tickets, or similar identification or indication means; Seals; Postage or like stamps
    • G09F3/08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 G09F3/10Fastening or securing by means not forming part of the material of the label itself by an adhesive lay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ackages (AREA)
  • Detail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AREA)
  • Labeling Devices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세장형 물품 주위로 래핑하기 위한 자체-마스킹 라벨 및 사용 방법이 제공된다. 라벨은 라벨의 길이를 따라서 단부-대-단부로 위치하고 인쇄 중에 캐리어 스트립 상에 지지되는 일련의 라벨 섹션을 포함한다. 제1 라벨 섹션은 표식이 마킹되거나 인쇄되도록 구성되고; 제2 라벨 섹션은 투명할 수 있으며; 제3 라벨 섹션은 제1 및 제2 섹션과 중첩하고 예를 들어 오버-코팅 과정 중에 표식을 커버 및 보호하도록 배열되며; 제4 라벨 섹션은 비점착성 탭 섹션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자체 마스킹 라벨 및 방법
(관련 출원)
본 출원은 2015년 12월 23일자로 출원된 동시-계류중인 미국 가특허출원 제62/387,239호의 이익을 청구한다.
와이어, 케이블, 호스, 튜브, 광섬유, 도관, 바인(vine) 등과 같은 다발 세장형 물품을 포함하는 세장형 물품에는 이 세장형 물품이 포함하는 전기 회로 또는 기타 시스템의 식별을 돕기 위해 흔히 식별 라벨이 부착된다. 시스템이 수리, 교체를 요하거나 아니면 정비가 필요한 경우에 이러한 세장형 물체가 식별 가능한 것은 중요하다. 또한, 식별 라벨은 종종 ANSI/TIA/EIA-606-A와 같은 특정 준수 요건을 충족해야 한다. 이러한 용도의 통상적인 라벨은 접착면 및 대향하는 인쇄 가능한 표면을 갖는다. 세장형 물품 또는 번들 세장형 물품은 추가로 지지 섀시 또는 골조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적용예는 예를 들어 자동차, 트럭, 항공기, 선박, 보트 및 기타 차량에서 보편적이다.
이러한 환경에서 사용되는 라벨의 예로는 외표면에 마킹이 적용된 튜브형 또는 원통형 라벨, 슬리브-타입 라벨, 및 조절 가능한 라벨 스트립을 포함한다. 이들 종래의 라벨은 일부 적용 조건에서 적합할 수 있지만, 특정 조건에서, 특히 라벨링된 세장형 물체가 오버-코팅 과정을 겪어야 하는 조건에서는 불충분할 수 있다. 오버-코팅은 예를 들어 라벨링된 세장형 물체가 자동차와 같은 페인팅을 요하는 물품에 부착될 때 필요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전기 배선과 같은 라벨링된 세장형 물품이 먼저 섀시에 체결될 수 있고, 섀시는 이후 보호 코팅으로 페인팅되거나 분사된다. 라벨 상의 임의의 식별 인쇄도 코팅되며 따라서 인쇄된 물질이 지워진다. 따라서, 인쇄된 정보의 오버-코팅 과정 이후의 가독성을 보존하면서, 세장형 물품에 사용하기에 적합하고, 적용하기에 용이하며, 오버-코팅 과정을 견딜 수 있는 자체 마스킹 라벨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래핑(wrapping) 능력을 갖는, 특히 세장형 물품 주위로 래핑되는 자체 마스킹 라벨에 관한 것이다. 라벨은 라벨의 길이를 따라서 단부-대-단부로 위치하는 일련의 라벨 섹션을 갖는 감압성 필름 재료의 스트립을 포함할 수 있다. 라벨은 인쇄 중에 캐리어 스트립 또는 다른 적절한 장치 상에 위치할 수 있고, 캐리어 스트립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으며, 라벨링될 세장형 물품 주위에 래핑될 수 있다. 라벨은 표식(indicia)이 마킹되거나 인쇄되도록 구성된 제1 라벨 섹션; 투명한 것이 바람직한 제2 라벨 섹션; 상기 제1 및 제2 섹션과 중첩되어 예를 들어 오버-코팅 과정 중에 표식 섹션을 커버 및 보호하도록 구성된 제3 라벨 섹션으로서, 천공부와 같은 취약 영역에 의해 윤곽이 그려질 수 있는 제3 라벨 섹션; 및 비점착성 탭 섹션을 포함하는 제4 라벨 섹션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제2 및 제3 섹션은 적어도 하나의 측면에 접착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3 섹션의 접착제는 제1 및 제2 섹션의 접착제보다 점착성이 덜하고, 따라서 비점착성 탭을 라벨 적용의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세장형 물체의 오버-코팅 이후 제3 섹션의 손쉬운 제거가 가능하다.
라벨이 제1 라벨 부분에 인쇄되고, 인쇄된 라벨이 세장형 물체 주위에 위치되며, 세장형 물체가 오버-코팅되는 사용 방법이 추가로 제공된다. 제3 라벨 섹션은 오버-코팅 이후 제거되며 그 아래의 제1 섹션 상의 인쇄 또는 기타 표식이 드러난다. 제3 및 제4 섹션은 이후 제2 및 제3 라벨 섹션 사이의 천공된 경계에서의 분리에 의해 제2 섹션으로부터 제거되어, 신속하고 용이한 파괴를 행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3 섹션은 제1 부분과 제2 부분으로 분리하기 위한 취약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라벨이 부착된 세장형 물품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캐리어 스트립 및 라벨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3a는 도 2에 도시된 캐리어 스트립 및 라벨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3b는 도 3a의 3B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2 및 도 3a에 도시된 캐리어 스트립 및 라벨의 부분 사시도이지만, 캐리어 스트립으로부터 부분적으로 제거된 라벨을 도시한다.
도 5는 도 4와 유사하지만, 캐리어 스트립으로부터 제거된 라벨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a는 세장형 물품에 라벨을 적용하는데 있어서의 제1 단계를 도시하는 부분 정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단계의 단면도이며 그 6B-6B 라인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7a는 세장형 물품에 라벨을 적용하는데 있어서의 다음 단계를 도시하는 부분 정면도이다.
도 7b는 도 7a에 도시된 단계의 단면도이며 그 7B-7B 라인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8a는 세장형 물품에 라벨을 적용하는데 있어서의 다음 단계를 도시하는 부분 정면도이다.
도 8b는 도 8a에 도시된 단계의 단면도이며 그 8B-8B 라인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9는 오버-코팅 과정 도중의 세장형 물품 상의 적소에서의 라벨을 도시하는 부분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9와 유사하지만, 오버-코팅 과정 이후 라벨의 일부를 제거하는데 있어서의 단계를 도시하는 부분도이다.
도 11은 도 9 및 도 10과 유사하지만, 오버-코팅 과정 이후 라벨의 일부를 제거하는데 있어서의 다음 단계를 도시하는 부분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단계의 단면도이며 그 12-12 라인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9, 도 10 및 도 11과 유사하지만, 오버-코팅 과정 이후 라벨의 일부를 제거하는데 있어서의 다음 단계를 도시하는 부분도이다.
도 14는 도 9, 도 10, 도 11 및 도 13과 유사하지만, 오버-코팅 과정 이후의 다음 단계를 도시하는 부분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단계의 단면도이며 그 15-15 라인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라벨을 갖는 캐리어 스트립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17a는 도 16에 도시된 캐리어 스트립 및 라벨의 부분 측면도이다.
도 17b는 도 17a에 도시된 17B 영역의 확대도이다.
도 18a는 도 16 내지 도 17b에 도시되고 세장형 물품에 부착된 라벨을 도시하는 부분 정면도이다.
도 18b는 도 18a에 도시된 라벨의 단면도이며 그 18B-18B 라인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라벨을 갖는 캐리어 스트립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라벨을 갖는 캐리어 스트립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에 도시된 라벨의 제1 부분이 적용된 세장형 물체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2는 도 20에 도시된 라벨을 세장형 물품에 적용하는데 있어서의 다음 단계를 도시하는 부분 정면도이며, 제2 부분이 정합 마킹과 정렬되어 있는 상태의 도면이다.
도 23은 도 21과 유사하지만, 도 20에 도시된 라벨의 제2 부분이 세장형 물품에 적용된 것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는 통상의 기술자가 발명을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고 정확하게 설명되지만, 여기에 개시된 실질적 실시예는 다른 특정 구조로 구체화될 수도 있는 발명을 예시할 뿐이다. 바람직한 실시예가 설명되지만, 본 발명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세부 사항이 변경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라벨(10)이 세장형 물품(12) 주위의 적소에 위치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라벨(10)과 관련하여 사용하기 위한 세장형 물품(12)으로는 와이어, 케이블, 호스, 튜브, 광섬유, 도관, 바인 등과 같은 번들 세장형 물품을 제한없이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라벨(10)은 라벨(10)의 길이를 따라서 단부-대-단부로 위치하는 일련의 라벨 섹션(14, 16, 18, 20)을 갖는 감압성 필름 재료의 스트립을 포함할 수 있다. 라벨(10)은 인쇄 중에 캐리어 스트립(22) 또는 다른 적절한 장치 상에 위치할 수 있고, 캐리어 스트립(22)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으며, 라벨링될 세장형 물품(12) 주위에 래핑될 수 있다. 도시되어 있듯이, 제1 라벨 섹션(14)은 표식(15)이 마킹되거나 인쇄되도록 구성되고; 제2 라벨 섹션(16)은 투명할 수 있으며; 제3 라벨 섹션(18)은 예를 들어 오버-코팅 과정 중에 제1 및 제2 섹션(14, 16)을 커버 및 보호하기 위해 중첩하도록 배열된다. 오버-코팅 과정의 예로는 인쇄된 표식(15) 위에 적용함으로써 상기 표식을 판독 불가능하게 만들 수 있는 임의의 다른 재료의 페인팅, 분사 또는 적용을 포함한다. 추가로 도시되어 있듯이, 제3 라벨 섹션(18)의 부분(18A)은 도시된 천공부(24)와 같은 취약 영역에 의해 라벨(1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라벨(10)은 추가로 제4 탭 섹션(2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라벨 섹션(14, 16, 18, 20)의 각각은 상면(26)과 하면(28)을 포함하며, 이들 표면(26, 28)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접착제(3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예를 들어 도 3b 참조).
도 5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듯이, 제4 탭 섹션(20)은 라벨(10)이 캐리어 스트립(22)으로부터 제거될 때 캐리어 스트립(22)의 부분(22A)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4 탭 섹션(20)이 비점착성 섹션이 되도록 부분(22A)은 접착제(30)를 커버한다. 도 3b를 추가로 참조하면, 제3 섹션(18)은 도시된 실리콘 코팅(32)과 같은 접착 내성 코팅을 갖는 상면(26)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콘 코팅(32)은 후술하듯이 세장형 물체(12)가 오버-코팅된 후에 분리 가능한 부분(18A)이 래핑된 라벨(10)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게 한다.
도 4 내지 도 14는 도 1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된 라벨(10)을 사용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도시되어 있듯이, 라벨(10)은 제1 라벨 부분(14)의 상면(26)에 표식(15) 또는 다른 마킹이 인쇄되며, 라벨(10)은 캐리어 스트립(22)으로부터 제거된다. 도 5는 특히 라벨(10)이 메인 캐리어 스트립(22)으로부터 제거될 때 제4 탭 섹션(20)에 접착되는 부분(22A)을 도시한다. 부분(22A)은 라벨(10) 제거 중에 제4 탭 섹션(20)에 의해 끌려가도록 라벨 제조 과정 중에 캐리어 스트립(22)으로부터 미리 절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a 및 도 6b는 라벨(10)을 사용하는 방법에서의 다음 단계를 도시한다. 인쇄된 라벨(10)은 세장형 물체(12)와 정렬되며 화살표 A 방향으로 래핑된다. 화살표 B 방향으로의 라벨(10)의 연속 적용이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되어 있으며, 라벨(10)의 래핑은 제3 섹션(18)을 제1, 인쇄된 섹션(14)과 제2 섹션(16) 위에 위치시킨다. 도 8a 및 도 8b의 도면은 세장형 물체(12) 주위에 고정되고 오버-코팅 과정을 대기하는 라벨(10)을 도시한다. 도 9의 도면은 예를 들어 분사 노즐(34) 및 보호 페인트(36)에 의한 오버-코팅의 단계를 도시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른 오버-코팅 장치 및 코팅을 포함하는 것을 알아야 한다.
도 10 내지 도 15의 도면은 오버-코팅 단계 이후의 세장형 물체(12) 및 부착된 라벨(10)을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부분(22A)의 존재로 인해 제4, 비점착성 탭 섹션(20)이 라벨(10)에 접착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제3 라벨 섹션(18)의 분리 가능한 부분(18A)이 풀려서(unwound) 천공부(24)가 노출될 때까지 제4, 비점착성 탭 섹션(20)을 라벨 적용의 반대 방향으로 화살표 C 방향으로 잡아당김으로써 분리 가능한 부분(18A)의 제거가 시작된다. 도 13에 도시되어 있듯이, 제3 라벨 섹션(18)의 분리 가능한 부분(18A)은 화살표 D의 방향으로 당겨지고 천공부(24)를 따라서 제거된다. 결과적인 라벨링된 세장형 물체(12)가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되어 있으며, 인쇄된 제1 라벨 섹션(14)은 제3 라벨 섹션(18)의 잔여부에 의해 커버된다. 이런 식으로, 제1 라벨 섹션(14) 상의 인쇄 또는 기타 표식(15)은 제3 라벨 섹션(18)의 이제 제거된 분리 가능한 부분(18A)에 의해 오버-코팅 단계 중에 보호되었기 때문에 보일 수 있다.
도 16 내지 도 18b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라벨(10A)을 도시한다. 도시되어 있듯이, 도 1 내지 도 15에 도시된 실시예와 유사하게, 이들 도면의 라벨(10A)은 라벨(10A)의 길이를 따라서 단부-대-단부로 위치하는 일련의 라벨 섹션을 갖는 감압성 필름 재료의 스트립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라벨(10A)은 인쇄 중에 캐리어 스트립(22) 또는 다른 적절한 장치 상에 위치할 수 있고, 캐리어 스트립(22)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으며, 라벨링될 세장형 물품(12) 주위에 래핑될 수 있다. 라벨(10A)은 전술한 라벨(10)의 섹션과 유사한 섹션을 포함하는 바, 표식(15)이 마킹되거나 인쇄되도록 구성된 제1 라벨 섹션(14); 투명한 제2 라벨 섹션(16); 및 예를 들어 오버-코팅 과정 중에 제2 섹션(16)과 중첩하도록 구성된 제3 라벨 섹션(180)을 포함한다. 제3 라벨 섹션(180)의 부분(18A)은 도시된 천공부(24)와 같은 취약 영역에 의해 라벨(10A)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라벨(10A)은 또한 제4, 탭 섹션(2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라벨 섹션(14, 16, 180, 20)의 각각은 상면(26)과 하면(28)을 포함하며, 이들 표면(26, 28) 중 적어도 하나는 접착제(3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17b 참조). 이전 실시예에서와 같이, 도 18a에 도시되어 있듯이, 제4 탭 섹션(20)은 라벨(10A)이 캐리어 스트립(22)으로부터 제거될 때 캐리어 스트립(22)의 부분(22A)을 유지한다. 제3 섹션(180)은 세장형 물체(12)가 오버-코팅된 후 분리 가능한 부분(18A)이 래핑된 라벨(10)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도록 도시된 실리콘 코팅(32)(도 17b 참조)과 같은 접착 내성 코팅을 갖는 상면(26)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도 16의 도면을 참조하면, 제3 섹션(180)의 분리 가능한 부분(18A)의 실리콘 코팅(32)이 불연속적이며 상면(26)이 무실리콘 영역(38)을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무실리콘 영역(38)은 후술하듯이 라벨(10A)을 코팅 중에 래핑된 상태로 부착 및 고정하는 것을 더 쉽게 할 수 있다.
도 18a 및 도 18b는 라벨(10A)이 세장형 물품(12) 주위의 적소에 위치하는 것과 오버-코팅 과정을 위한 조건에 있는 것을 도시한다. 라벨(10A) 사용 방법은 도 4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한 것과 유사하며, 제1 라벨 섹션(14)의 제1 표면(26)에 라벨(10A)이 인쇄되고, 라벨(10A)이 캐리어 스트립(22)으로부터 제거되며, 캐리어 스트립(22)의 부분(22A)을 제4 탭 섹션(20)에 부착된 상태로 남겨둔다. 인쇄된 라벨(10A)은 도 6a 내지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방식으로 세장형 물체(12) 주위에 위치되며, 제1, 인쇄된 섹션(14)은 세장형 물품(12) 위에 배치되고, 제2 라벨 섹션(16) 및 제3 라벨 섹션(180)이 래핑을 완성한다. 도 18b의 도면은 세장형 물품(12) 주위의 라벨(10A)을 도시하며, 특히 제3 섹션(180) 상의 무실리콘 영역(38)과 접착제(30)가 부착 지점(E)에서 연결된 것을 도시한다. 부착 지점(E)은 오버코팅 과정 중에 라벨(10A)에 안정성을 제공하며, 오버-코팅 과정이 완료되기 전에 라벨(10A)이 자유롭게 나올 발생율을 감소시킨다. 세장형 물체(12) 및 부착된 라벨(10A)이 오버-코팅된 후에, 제4, 비점착성 탭 섹션(20)은 제3 라벨 섹션(180)의 분리 가능한 부분(18A)이 풀려서 천공부(24)를 노출시킬 때까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되어 있듯이 화살표 C 방향으로 당겨진다. 제3 라벨 섹션(180)의 분리 가능한 부분(18A)은 도 13에 도시되어 있듯이 제거된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라벨(10B)을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18b에 도시된 실시예와 유사하게, 라벨(10B)은 라벨(10B)의 길이를 따라서 단부-대-단부로 위치하는 일련의 라벨 섹션을 갖는 감압성 필름 재료의 스트립을 포함한다. 라벨(10B)은 인쇄 중에 캐리어 스트립(22) 또는 다른 적절한 장치 상에 위치할 수 있고, 캐리어 스트립(22)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으며, 라벨링될 세장형 물품(12) 주위에 래핑될 수 있다. 도시되어 있듯이, 또한 전술한 라벨과 유사하게, 제1 라벨 섹션(14A)은 표식(15)이 마킹되거나 인쇄되도록 구성되고; 제2 라벨 섹션(16)은 투명하며; 제3 라벨 섹션(18)은 예를 들어 오버-코팅 과정 중에 제1 및 제2 섹션(14A, 16)을 커버 및 보호하기 위해 이들 섹션(14A, 16)과 중첩하도록 배열된다. 이 도면의 라벨(10B)은 섹션(14A, 16, 18)의 변경된 상대 크기를 도시하며, 제1, 인쇄된 섹션(14A)은 인쇄(15)의 바람직한 레이아웃 및 양을 수용하도록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전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3 라벨 섹션(18)의 부분(18A)은 천공부(24)에 의해 라벨(10A)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라벨(10B)은 제4 탭 섹션(20)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라벨 섹션(14A, 16, 18, 20)의 각각은 접착제(3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4 탭 섹션(20)은 라벨(10B)이 캐리어 스트립(22)으로부터 제거될 때 캐리어 스트립(22)의 부분(22A)을 유지한다. 이전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3 섹션(18)은 세장형 물체(12)가 오버-코팅된 후 분리 가능한 부분(18A)이 래핑된 라벨(10B)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도록 도시된 실리콘 코팅(32)(도 17b 참조)과 같은 접착 내성 코팅을 갖는 상면(26)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0 내지 2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라벨(10C)을 도시하며, 라벨(10C)이 두 개의 부분(40, 42)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라벨(10C)은 큰 표식(15)을 요구할 수도 있는 큰 원주를 갖는 세장형 물품(12)과 관련하여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라벨(10C)은 감압성 필름 재료의 두 개의 스트립 또는 부분(40, 42)을 포함하며, 각각의 스트립 또는 부분은 라벨(10C)의 길이를 따라서 단부-대-단부로 위치하는 일련의 라벨 섹션을 갖는다. 라벨(10C)은 인쇄 중에 캐리어 스트립(22) 또는 다른 적절한 장치 상에 위치할 수 있고, 캐리어 스트립(22)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으며, 라벨링될 세장형 물품(12) 주위에 래핑될 수 있다. 도시되어 있듯이, 전술한 라벨과 유사하게, 제1 부분(40)은 표식(15)이 마킹되거나 인쇄되도록 구성되는 제1 라벨 섹션(14), 투명한 제2 라벨 섹션(16), 및 예를 들어 오버-코팅 과정 중에 제1 섹션(14)과 중첩하도록 구성되는 제3 라벨 섹션(18)을 포함한다. 이 도면의 라벨(10C)은 2부분 구조를 도시하며, 이 구조에서는 제1 부분(40)이 먼저 적용될 수 있으며, 제1 부분(40)과 중첩하도록 구성되는 제2 부분(42)이 뒤따른다. 제2 부분(42)은 마스크 섹션(44) 및 탭 섹션(20)을 포함한다. 라벨 섹션(14, 16, 18, 20, 44)의 각각은 접착제(3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4 탭 섹션(20)은 제2 부분(42)이 캐리어 스트립(22)으로부터 제거될 때 캐리어 스트립(22)의 부분(22A)을 유지한다. 이전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3 섹션(18)은 세장형 물체(12)가 오버-코팅된 후 마스크 섹션(44)이 래핑된 라벨(10C)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 있도록 도시된 실리콘 코팅(32)(도 17b 참조)과 같은 접착 내성 코팅을 갖는 상면(26)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및 제2 부분(40, 42)은 후술되듯이, 사용 도중의 정렬을 돕기 위해 정합 마킹(46)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21 내지 도 23은 도 20에 도시된 라벨(10C)을 사용하는 방법을 도시한다. 라벨(10C) 제1 부분(40)은 먼저 제1 라벨 섹션(14)의 상면(26)에 표식(15) 또는 다른 마킹이 인쇄된다. 제1 부분(40)에는 제2 라벨 섹션(16) 및 제3 라벨 섹션(18)이 제공된다. 언급했듯이, 제3 라벨 섹션(18)은 실리콘 코팅(32)을 포함하는 반면에, 제2 라벨 섹션(16)은 투명한, 실리콘 비코팅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부분(40)은 캐리어 스트립(22)으로부터 제거되고 도 21에 도시되어 있듯이 세장형 물품(12) 주위에 래핑된다. 다음 단계에서, 제2 부분(42)이 제공된다. 제2 부분(42)은 마스크 섹션(44) 및 부분(22A)이 접착된 제4 탭 섹션(20)을 포함한다. 제2 부분(42)은 캐리어 스트립(22)으로부터 제거되며 정합 마킹(46)은 제1 부분(40) 상의 대응 정합 마킹(46)과 정렬된다. 부분(40, 42)의 정렬은 제1 라벨 섹션(14) 및 인쇄된 표식(15)이 오버-코팅 중에 적절하게 커버 및 보호되도록 보장한다. 도 22에 도시되어 있듯이, 제2 부분(42)은 세장형 물품(12) 주위에 화살표 F 방향으로 또한 도 23에 도시하듯이 제1 부분(40) 위에 래핑된다. 제2 부분(42)의 마스크 섹션(44)은 전술한 오버-코팅 과정 중에 표식(15) 위에 배치되어 표식(15)을 보호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2 부분(42)이 메인 캐리어 스트립(22)으로부터 제거될 때, 미리절단된 부분(22A)은 오버-코팅 이후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4, 탭 섹션(20)에 의해 끌려간다. 다음으로, 물품(12) 및 라벨(10C)은 도 9와 관련하여 설명한 방식으로 오버-코팅된다. 오버-코팅 단계 이후, 제4, 비점착성 탭 섹션(20)은 제2 부분(42)이 풀리고 제1 부분(40)이 노출될 때까지 당겨진다. 도 16 내지 도 18a와 관련하여 설명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라벨 섹션(16)으로 이해되는 무실리콘 영역은 부착 지점(E)에서 마스크 섹션(44) 상의 접착제(30)와 연결된다. 부착 지점(E)은 오버-코팅 과정 중에 라벨(10C)에 안정성을 제공하며, 오버-코팅 과정이 완료되기 전에 라벨(10C)이 자유롭게 나올 발생율을 감소시킨다.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원리를 단지 예시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또한, 여러가지 수정 및 변경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쉽게 발생할 것이기 때문에, 본 발명을 도시되고 설명된 정확한 구성 및 작동에 한정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바람직한 실시예가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세부사항이 변경될 수 있다.

Claims (17)

  1. 세장형 물품 주위에 사용하기 위한 자체-마스킹 라벨이며,
    상기 라벨은 제1 라벨 섹션 및 제2 라벨 섹션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라벨 섹션 및 제2 라벨 섹션은 단부-대-단부로 위치하며,
    상기 제1 라벨 섹션은 표식이 마킹되도록 배열되고,
    상기 제2 라벨 섹션은 상기 제1 섹션을 커버하도록 배열되며,
    캐리어 스트립이 상기 라벨을 지지하는, 라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라벨 섹션 및 상기 제2 라벨 섹션 각각은 상면과 하면을 포함하며, 상기 하면은 접착제를 포함하는, 라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라벨 섹션은 투명한, 라벨.
  4. 제1항에 있어서, 제3 라벨 섹션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3 라벨 섹션은 상기 제2 라벨 섹션과 중첩하도록 배열되는, 라벨.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라벨 섹션의 일부에 취약 영역을 포함하는, 라벨.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취약 영역은 천공부를 포함하는, 라벨.
  7. 제4항에 있어서, 제4 라벨 섹션을 추가로 포함하는, 라벨.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및 제4 라벨 섹션은 상면과 하면을 포함하며, 상기 하면은 접착제를 포함하는, 라벨.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라벨 섹션은 상기 라벨이 상기 캐리어 스트립으로부터 제거될 때 상기 캐리어 스트립의 부분을 유지하도록 배열된 탭인, 라벨.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스트립의 상기 부분은 상기 제4 라벨 섹션의 상기 접착제를 커버하는, 라벨.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라벨 섹션 상면의 적어도 일부는 접착 내성 코팅을 갖는, 라벨.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취약 영역은 상기 제3 라벨 섹션을 제1 부분과 제2 부분으로 분할하는, 라벨.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내성 코팅은 실리콘 코팅인, 라벨.
  14. 라벨을 사용하는 방법이며,
    세장형 물품을 제공하는 단계;
    제1 라벨 섹션과 투명한 제2 라벨 섹션을 갖는 라벨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1 라벨 섹션과 상기 제2 라벨 섹션 각각은 상면 및 하면을 포함하고, 상기 하면의 적어도 일부는 접착제를 갖는, 단계;
    캐리어 스트립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캐리어 스트립은 상기 하면 근처에서 상기 라벨을 지지하는 단계;
    상기 제1 라벨 섹션의 상기 상면에 표식을 적용하는 단계;
    상기 캐리어 스트립으로부터 상기 라벨을 제거하는 단계;
    상기 라벨을 상기 세장형 물체와 정렬시키는 단계; 및
    상기 라벨을 상기 세장형 물체 주위에 래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제3 라벨 섹션을 제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3 라벨 섹션은 그 적어도 일부에 접착 내성 코팅을 갖는 상면, 그 적어도 일부에 접착제를 갖는 하면, 및 상기 제3 라벨 섹션을 제1 부분과 제2 부분으로 분할하는 절단 가능한 취약 영역을 포함하는, 단계;
    상기 제3 라벨 섹션을 상기 세장형 물체 주위에 래핑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라벨 섹션의 상기 하면이 상기 제1 라벨 섹션 및 상기 제2 라벨 섹션의 상기 상면을 덮어씌우도록 상기 제3 라벨 섹션을 상기 제1 라벨 섹션 및 상기 제2 라벨 섹션 위에 위치시키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제4 라벨 섹션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4 라벨 섹션을 상기 제3 라벨 섹션 하면의 적어도 일부 상에 위치시켜 상기 접착제를 덮어씌우는 단계; 및
    상기 라벨을 오버 코팅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4 라벨 섹션을 상기 제3 라벨 섹션으로부터 멀리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제3 라벨 섹션의 상기 제2 부분을 상기 취약 영역을 따라서 절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라벨 섹션의 제2 부분을 제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KR1020187017442A 2015-12-23 2016-12-23 자체 마스킹 라벨 및 방법 KR1023755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387239P 2015-12-23 2015-12-23
US62/387,239 2015-12-23
PCT/US2016/068483 WO2017112920A1 (en) 2015-12-23 2016-12-23 Self masking label and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9670A true KR20180099670A (ko) 2018-09-05
KR102375598B1 KR102375598B1 (ko) 2022-03-16

Family

ID=590864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7442A KR102375598B1 (ko) 2015-12-23 2016-12-23 자체 마스킹 라벨 및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10446061B2 (ko)
EP (2) EP3393818B1 (ko)
JP (1) JP6829722B2 (ko)
KR (1) KR102375598B1 (ko)
CN (1) CN108430791B (ko)
ES (1) ES2877087T3 (ko)
PL (1) PL3393818T3 (ko)
WO (1) WO201711292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2082B1 (ko) 2020-11-12 2021-06-07 이승현 매칭 코드가 제시되는 가변적 영역할당을 이용한 라벨 레이어링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72606A (ja) * 2017-03-31 2018-11-0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媒体及びテープカートリッジ
JP6895114B2 (ja) * 2017-03-31 2021-06-3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媒体及びテープカートリッジ
JP6909426B2 (ja) * 2017-03-31 2021-07-2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媒体及びテープカートリッジ
USD868611S1 (en) 2018-07-17 2019-12-03 Walkabout Developments LLC Hydraulic hose identification device
SE543283C2 (en) * 2018-11-09 2020-11-17 Collinder Maerksystem Ab System and method for printing labels and applying a printed overlaminated label set on an object
JP7413801B2 (ja) * 2020-01-31 2024-01-1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ラベル巻付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79759A (en) * 1984-03-15 1986-04-01 Idento Gesellschaft Fur Industrielle Kennzeichnung Mbh Inscribable cable marking strip
EP0828237A1 (de) * 1996-08-23 1998-03-11 Idento Gesellschaft für industrielle Kennzeichnung mbH Beschriftbarer Kabelmarkierungsstreifen
KR20070049105A (ko) * 2004-10-22 2007-05-10 가부시키가이샤 사토 Rfid 태그를 갖춘 라벨을 물품 상에 부착하는 방법
KR20110013416A (ko) * 2008-05-09 2011-02-09 팬듀트 코포레이션 분리되는 부분을 가진 셀프 라미네이팅 회전 케이블 마커 라벨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91718A (en) * 1977-01-18 1978-05-30 Boise Cascad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composite container including a tab-cut label layer
US4420520A (en) 1980-07-03 1983-12-13 The Excello Specialty Company Area coated paint mask and method
JPS59222266A (ja) 1983-05-30 1984-12-13 Mazda Motor Corp 被塗物へのテ−プ貼付方法
JPS60144377A (ja) 1984-01-06 1985-07-30 Daicel Chem Ind Ltd 再剥離型粘着剤
US4609208A (en) 1985-09-16 1986-09-02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Wire identification label pad
US5056827A (en) * 1989-01-25 1991-10-15 Challenge Printing Company Pharmaceutical label
CA2075631A1 (en) 1990-10-10 1992-04-11 Douglass M. Vines Paint masking assembly and method of masking
CA2077939A1 (en) * 1991-10-02 1993-04-03 Ashley T. Kees Identification strip assembly
US5376418A (en) 1993-09-13 1994-12-27 Uarco Incorporated Image protected pressure sensitive label
US5654056A (en) 1994-10-07 1997-08-05 Intasco Corporation Paint mask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6613410B1 (en) 1999-09-23 2003-09-02 National Label Company Extended wrap label
US5618600A (en) 1996-02-12 1997-04-08 Uarco Incorporated Masked protected image pressure sensitive label
US5707713A (en) * 1996-02-21 1998-01-13 Moore Business Forms, Inc. Variable double sided linerless labels
US6277458B1 (en) 1999-03-15 2001-08-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Release strip with partible break to facilitate
US5800894A (en) 1997-09-28 1998-09-01 Brunswick Corporation Masking device with handle
DE69814358T2 (de) 1997-12-15 2004-04-01 Engineered Products & Services Inc., Brookfield Hochtemperaturbeständige maskiervorrichtung mit laschen
US6238760B1 (en) * 1999-02-24 2001-05-29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Pull tab labels for match mounting a tire with a rim
US6770345B2 (en) 1999-09-23 2004-08-03 National Label Company Extended wrap label and method of making same
DE10021243A1 (de) 2000-04-29 2001-11-08 Beiersdorf Ag Abdeckband und seine Verwendung
DE10203235A1 (de) 2002-01-28 2003-08-07 Schreiner Gmbh & Co Kg Lackierschutzetikett
US7195689B2 (en) 2003-08-15 2007-03-27 Nashua Corporation Double-sided labels and methods of manufacture and use
EP1536397B1 (de) * 2003-11-26 2018-03-07 Schreiner Group GmbH & Co. KG Etikett, Spritzenkörper und Spritzenanordnung mit Etikett
US7854978B1 (en) 2006-07-21 2010-12-21 Eric Nygard Tape strip with tab
CN101663694A (zh) * 2007-04-03 2010-03-03 英博有限公司 绝热标签和制造该标签的方法
US20100059162A1 (en) * 2008-09-08 2010-03-11 Cathleen Bridget Flanigan Painter's tape for corners
CN101760146A (zh) 2010-02-05 2010-06-30 东莞市富邦科技应用材料有限公司 聚烯烃材质喷烤漆遮蔽胶带
DE102010013040B4 (de) * 2010-03-26 2014-08-21 Schreiner Group Gmbh & Co. Kg Etikett zum Aufkleben auf einen Behälter für eine Medikamentenflüssigkeit und Behälter
US8528731B2 (en) 2010-04-21 2013-09-10 Ccl Label, Inc. Labels, related pads thereof, and related methods
DE102011054505A1 (de) 2011-10-14 2013-04-18 Andreas Gschwindt Kabelmarkierungsstreifen
KR20140116414A (ko) * 2011-12-21 2014-10-02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컴파니 라벨 조립체 및 사용 방법
CN203149997U (zh) * 2012-11-06 2013-08-21 深圳市欣视景科技有限公司 线缆标签
US9892662B2 (en) * 2014-05-21 2018-02-13 Saxon Inc. Adhesive label assembly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79759A (en) * 1984-03-15 1986-04-01 Idento Gesellschaft Fur Industrielle Kennzeichnung Mbh Inscribable cable marking strip
EP0828237A1 (de) * 1996-08-23 1998-03-11 Idento Gesellschaft für industrielle Kennzeichnung mbH Beschriftbarer Kabelmarkierungsstreifen
KR20070049105A (ko) * 2004-10-22 2007-05-10 가부시키가이샤 사토 Rfid 태그를 갖춘 라벨을 물품 상에 부착하는 방법
KR20110013416A (ko) * 2008-05-09 2011-02-09 팬듀트 코포레이션 분리되는 부분을 가진 셀프 라미네이팅 회전 케이블 마커 라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2082B1 (ko) 2020-11-12 2021-06-07 이승현 매칭 코드가 제시되는 가변적 영역할당을 이용한 라벨 레이어링 시스템
KR102307602B1 (ko) 2020-11-12 2021-09-30 이승현 매칭 코드가 제시되는 가변적 영역할당을 이용한 라벨 레이어링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93818A1 (en) 2018-10-31
JP2019503505A (ja) 2019-02-07
KR102375598B1 (ko) 2022-03-16
JP6829722B2 (ja) 2021-02-10
US20200020251A1 (en) 2020-01-16
EP3854601A1 (en) 2021-07-28
CN108430791B (zh) 2020-02-07
US10446061B2 (en) 2019-10-15
EP3393818B1 (en) 2021-02-17
ES2877087T3 (es) 2021-11-16
WO2017112920A1 (en) 2017-06-29
CN108430791A (zh) 2018-08-21
EP3393818A4 (en) 2019-07-24
US20170186343A1 (en) 2017-06-29
PL3393818T3 (pl) 2021-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99670A (ko) 자체 마스킹 라벨 및 방법
US5887368A (en) Cable tag having separable sub-label and method of using same
US2914166A (en) Identifying labels
CN102099845B (zh) 具有断开部分的自层叠转动电缆标识标签
USRE37164E1 (en) Label system for reusable containers and the like
US10068499B2 (en) Label
US6280549B1 (en) Die-cut linerless label production
EP3406681B1 (en) Adhesive tape
JP5061326B2 (ja) 感熱ラベルを用いたロール体
DE69202504D1 (de) Verfahren und Gerät zum Abtrennen einer Schutzfolie von einem selbstklebenden Etikett.
EP3180783B1 (en) Multiple wrap label
US20170154549A1 (en) Versatile pipe marker tape
JP5198965B2 (ja) 帯状表示ラベル
US10198971B1 (en) Label with removable section
CN202948775U (zh) 片状透明标识组件以及具有标识组件的线缆
CN109543808A (zh) 能够保护rfid功能的rfid标签
US11978365B2 (en) Labelling material
JP4239504B2 (ja) 欠点表示ラベル
JP5195396B2 (ja) タグラベルシート
JP2008209571A (ja) 首掛け用ラベル
US10604294B1 (en) Label with removable section
US20090241391A1 (en) Maximum vehicle height information article and method comprising same
US20190143724A1 (en) Multi-layer label assembly apparatus
CN103680730A (zh) 片状透明标识组件、其安装方法以及具有标识组件的线缆
JPH06332377A (ja) ラベル保護用シ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