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9655A - 적층체 - Google Patents

적층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9655A
KR20180099655A KR1020187016344A KR20187016344A KR20180099655A KR 20180099655 A KR20180099655 A KR 20180099655A KR 1020187016344 A KR1020187016344 A KR 1020187016344A KR 20187016344 A KR20187016344 A KR 20187016344A KR 20180099655 A KR20180099655 A KR 201800996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ubstrate
oxide semiconductor
metal oxide
electrod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6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2656B1 (ko
Inventor
요시히로 우에오카
다카시 세키야
시게카즈 도마이
에미 가와시마
유키 츠루마
모토히로 다케시마
Original Assignee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99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9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2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26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1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 H01L29/24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including, apart from doping materials or other impurities, only semiconductor materia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9/16, H01L29/18, H01L29/20, H01L29/2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8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only by variation of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one or more of the electrodes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scillated or switched
    • H01L29/861Diodes
    • H01L29/872Schottky di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System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28Manufacture of electrodes on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8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System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205Deposition of non-insulating-, e.g. conductive- or resistive-, layers on insulating layers; After-treatment of these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4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crystalline structure, e.g. polycrystalline, cubic or particular orientation of crystalline pla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 H01L29/45Ohmic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 H01L29/47Schottky barrier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 H01L29/49Metal-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e.g. gates of MOSFET
    • H01L29/51Insulating materials associated therewith
    • H01L29/517Insulating materials associated therewith the insulating material comprising a metallic compound, e.g. metal oxide, metal silica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 H01L29/49Metal-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e.g. gates of MOSFET
    • H01L29/51Insulating materials associated therewith
    • H01L29/518Insulating materials associated therewith the insulating material containing nitrogen, e.g. nitride, oxynitride, nitrogen-doped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6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 H01L29/7869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having a semiconductor body comprising an oxide semiconductor material, e.g. zinc oxide, copper aluminium oxide, cadmium stannate
    • H01L29/78693Thin film transistors, i.e. transistors with a channel being at least partly a thin film having a semiconductor body comprising an oxide semiconductor material, e.g. zinc oxide, copper aluminium oxide, cadmium stannate the semiconducting oxide being amorphou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1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 H01L29/24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including, apart from doping materials or other impurities, only semiconductor materia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9/16, H01L29/18, H01L29/20, H01L29/22
    • H01L29/247Amorphous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1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 H01L29/2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including, apart from doping materials or other impurities, element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of the groups H01L29/16, H01L29/18, H01L29/20, H01L29/22, H01L29/24, e.g. alloys

Abstract

기판과, 접촉 저항 저감층 및 환원 억제층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층과, 쇼트키 전극층과, 금속 산화물 반도체층을 이 순서로 갖는 적층체.

Description

적층체
본 발명은, 적층체, 그것을 사용한 반도체 소자, 그것을 사용한 전자 회로 및 전기 기기에 관한 것이다.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는, 캐리어 농도가 충분히 높은 쇼트키 금속과 반도체의 접합면에 형성되는 전위 장벽을 이용하여 정류 작용을 갖게 한 다이오드이다. 예를 들어, 금속의 일함수를
Figure pct00001
, n 형 반도체의 일함수를
Figure pct00002
(여기서, 반도체의 일함수는 진공 준위와 페르미 준위의 차로서 정의한다) 로 한 경우,
Figure pct00003
의 관계를 만족하는 금속과 반도체를 접촉시키면, 금속과 반도체의 페르미 준위가 일치하도록 반도체의 접촉 계면 부근의 전자가 금속측으로 이동하여, 반도체의 접촉 계면에 공핍 영역이 형성됨과 함께, 금속-반도체 계면에 전위 장벽이 형성된다. 이 경우, 금속측이 정극, 반도체측이 부극의 다이오드가 된다. 순방향 바이어스시에는 전위 장벽이 낮아지고, 전자가 장벽을 넘어 전류가 흐르게 된다. 역바이어스시에는 전위 장벽에 의해 전자가 블록되고, 전류가 저지된다. 사용하는 반도체로는 Si 가 가장 일반적이다.
Si 계의 쇼트키 다이오드는, 고속 스위칭 소자나, 수 GHz 주파수대에 있어서의 송신/수신용 믹서, 주파수 변환 소자 등에 이용된다. 파워 용도에도 일반적으로 사용되는데, 밴드 갭이 1.1 eV 로 작고, 절연 파괴 전계도 0.3 MV/㎝ 로 작으므로, 큰 내전압성을 실현하려면 소자의 두께를 크게 할 필요가 있고, 순방향의 온 저항이 높아진다는 결점이 있다. 또, 고속 응답성이 우수한 Si 계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는 내전압성이 충분하지 않았다.
SiC 를 사용한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도 알려져 있고, SiC 는 밴드 갭이 3 eV 이상으로 크고, 절연 파괴 전계도 3 MV/㎝ 로 크기 때문에 파워용으로 적합하여, 적극적으로 적용이 검토되고 있다. 그러나, 양질의 결정 기판을 제조하는 것은 곤란하고, 또 에피택시얼 성장에 고열의 프로세스를 거치기 때문에, 양산성, 비용에 과제가 있다.
β-Ga2O3 은 더욱 밴드 갭이 넓고 (4.8 eV ∼ 4.9 eV), 높은 내전압성이 기대되지만, 역시 양질의 기판의 제조에 과제가 있어, 양산성과 비용에 과제가 있다.
산화물 반도체는 Si 에 비해 넓은 밴드 갭을 갖고, 절연 파괴 전계가 높기 때문에, 파워 반도체에 대한 응용이 기대된다. 특히 산화물 반도체를 사용한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는, 고속 응답성이나 양호한 역회복 특성이 기대된다.
비특허문헌 1 에는, 산화물 반도체로서 비정질 IGZO 를 사용하고, 쇼트키 금속 전극으로서 Ti/Pd 적층 구성을 사용하는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가 개시되어 있다. 또, 본 기술에서는, Pd 를 산소 플라즈마 처리함으로써, 양호한 쇼트키 장벽이 형성된다고 하고 있다. 그러나, 본 기술에서는 역방향의 누설 전류가 크고,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가 사용되고 있는 전자 회로에 이것을 장착한 경우, 입력 전력에 대해 출력시의 전력 로스가 커지거나, 또는 회로 자체가 오작동하는 것이 우려된다. 또한, 본 기술은 횡방향으로 전류를 취출하는 다이오드밖에 형성할 수 없어, 취출 전극의 저항에 의해 대전류를 취출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특허문헌 1 에는, 산화물 반도체층으로서 Ga2O3 계를 사용하고, 오믹 전극층과 쇼트키 전극층으로 협지한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Ga2O3 계의 산화물 반도체층을, 예를 들어 실리콘 기판 상에 제막하면, 순방향 온 저항이 높아지고,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가 사용되고 있는 전자 회로에 이것을 장착한 경우, 입력 전력에 대해 출력시의 전력 로스가 커진다.
특허문헌 2 에는, 산화물 반도체를 사용한 FET 의 게이트 전극과 소스 또는 드레인 전극을 전기적으로 접속함으로써, 역방향 포화 전류가 적은 다이오드를 실현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방식에서는, 소자 구성이 복잡해져 디바이스화했을 때의 수율에 과제가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102081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5-84439호
IEEE TRANSACTION ON ELECTRON DEVICES, Vol.60, No.10, OCTOBER 2013, p.3407
본 발명의 목적은, 순방향의 온 저항이 작고, 역방향의 리크 전류가 작고, 전력 로스를 적게 하고 전류를 취출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 및 그것에 사용되는 적층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하의 적층체 등이 제공된다.
1. 기판과, 접촉 저항 저감층 및 환원 억제층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층과, 쇼트키 전극층과, 금속 산화물 반도체층을 이 순서로 갖는 적층체.
2. 상기 기판과, 상기 접촉 저항 저감층과, 상기 환원 억제층을 이 순서로 갖는 1 에 기재된 적층체.
3. 상기 환원 억제층이, Pd, Mo, Pt, Ir, Ru, Au, Ni, W, Cr, Re, Te, Tc, Mn, Os, Fe, Rh 및 Co 로부터 선택되는 1 종류 이상의 원소를 포함하는 1 또는 2 에 기재된 적층체.
4. 상기 접촉 저항 저감층이, Ti, Mo, Ag, In, Al, W, Co 및 Ni 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금속 또는 그 실리사이드를 포함하는 1 ∼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체.
5. 상기 쇼트키 전극층이, 일함수가 4.4 eV 이상인 1 종류 이상의 원소의 산화물을 포함하는 1 ∼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체.
6. 상기 쇼트키 전극층이, Pd, Mo, Pt, Ir, Ru, Ni, W, Cr, Re, Te, Tc, Mn, Os, Fe, Rh 및 Co 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금속의 산화물을 포함하는 1 ∼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체.
7. 상기 기판이 도전성 기판인 1 ∼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체.
8. 상기 기판이 도전성의 실리콘 기판인 1 ∼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체.
9. 상기 금속 산화물 반도체층이, In, Sn, Ga, 및 Zn 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류 이상의 원소를 포함하는 1 ∼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체.
10. 상기 금속 산화물 반도체층의 수소 원자 농도가 1017 ∼ 1022 개/㎤ 인 1 ∼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체.
11. 상기 금속 산화물 반도체층 상에 오믹 전극층을 갖는 1 ∼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체.
12. 상기 금속 산화물 반도체층의 외연이, 상기 쇼트키 전극층의 외연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기 쇼트키 전극층의 외연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쇼트키 전극층이 상기 금속 산화물 반도체층의 하면의 전체면에 접하는 1 ∼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체.
13. 상기 오믹 전극층의 외연이, 상기 금속 산화물 반도체층의 외연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기 금속 산화물 반도체층의 외연의 내측에 위치하는 11 또는 12 에 기재된 적층체.
14. 1 ∼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적층체를 사용한 반도체 소자.
15. 14 에 기재된 반도체 소자를 사용한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16. 14 에 기재된 반도체 소자를 사용한 정션 트랜지스터.
17. 14 에 기재된 반도체 소자, 15 에 기재된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또는 16 에 기재된 정션 트랜지스터를 사용한 전자 회로.
18. 17 에 기재된 전자 회로를 사용한 전기 기기, 전자 기기, 차량, 또는 동력 기관.
본 발명에 의하면, 순방향의 온 저항이 작고, 역방향의 리크 전류가 작고, 전력 로스를 적게 하고 전류를 취출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 및 그것에 사용되는 적층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적층체의 일 실시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적층체의 다른 실시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적층체의 다른 실시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적층체의 다른 실시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적층체의 다른 실시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적층체의 다른 실시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적층체의 다른 실시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 은 실시예 2 에서 제조한 적층 전극의 단면 TEM 이미지이다.
도 9 는 실시예 16 ∼ 28 에서 제조한 소자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적층체]
본 발명의 적층체의 일 양태는, 기판과, 접촉 저항 저감층 및 환원 억제층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층과, 쇼트키 전극층과, 금속 산화물 반도체층을 이 순서로 갖는다.
본 발명의 적층체의 일 양태에서는,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를, 기판, 기재를 가리지 않고 형성할 수 있다.
기판과, 접촉 저항 저감층 및 환원 억제층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층 사이에 개재되는 층이 있어도 된다.
접촉 저항 저감층 및 환원 억제층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층과, 쇼트키 전극층은 접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쇼트키 전극층과, 금속 산화물 반도체층은 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체의 다른 양태는, 도전성 기판 상에, 적어도 쇼트키 전극층 및 금속 산화물 반도체층을 이 순서로 갖고, 도전성 기판과 쇼트키 전극층 사이에, 접촉 저항 저감층 및 환원 억제층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층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적층체의 일 양태 및 발명의 적층체의 다른 양태를 총괄하여, 본 발명의 적층체라고 한다.
본 발명의 적층체는, 접촉 저항 저감층과 환원 억제층은 양방을 포함해도 되고, 어느 일방만을 포함해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접촉 저항 저감층과 환원 억제층의 양방, 또는 접촉 저항 저감층만이다.
또, 본 발명의 적층체는, 금속 산화물 반도체층의 위, 즉 쇼트키 전극층측의 반대측에 오믹 전극층을 적층해도 된다.
본 발명의 적층체는, 상기 구성을 가짐으로써, 반도체 소자에 사용했을 때에 순방향의 온 저항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역방향의 리크 전류를 적게 할 수 있고, 전력 로스를 적게 하고 전류를 취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체의 층 구성으로서 이하의 구성을 들 수 있다.
(1) 기판//접촉 저항 저감층/쇼트키 전극층/금속 산화물 반도체층
(2) 기판//환원 억제층/쇼트키 전극층/금속 산화물 반도체층
(3) 기판//접촉 저항 저감층/환원 억제층/쇼트키 전극층/금속 산화물 반도체층
(「/」은 각 층이 인접하여 적층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은 각 층이 인접하지 않고 적층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또, 본 발명의 적층체에 오믹 전극층을 적층한 층 구성으로서 이하의 구성을 들 수 있다.
(4) 기판//접촉 저항 저감층/쇼트키 전극층/금속 산화물 반도체층/오믹 전극층
(5) 기판//환원 억제층/쇼트키 전극층/금속 산화물 반도체층/오믹 전극층
(6) 기판//접촉 저항 저감층/환원 억제층/쇼트키 전극층/금속 산화물 반도체층/오믹 전극층
상기 (6) 의 적층 구조를 도 1 에 나타낸다. 적층체 (1) 에 있어서, 기판 (9) 상에, 접촉 저항 저감층 (20), 환원 억제층 (30), 쇼트키 전극층 (40), 금속 산화물 반도체층 (50) 및 오믹 전극층 (60) 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다.
금속 산화물 반도체층 (50) 의 외연 (단부 (端部)) 은, 쇼트키 전극층 (40) 의 외연 (단부) 과 동일해도 되고, 쇼트키 전극층 (40) 의 외연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해도 된다. 후자의 경우를 도 2 에 있어서 적층체 (2) 로서 나타낸다.
또한, 본 출원의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구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또, 오믹 전극층 (60) 의 외연 (단부) 은, 금속 산화물 반도체층 (50) 의 외연 (단부) 과 동일해도 되고, 금속 산화물 반도체층 (50) 의 외연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해도 된다. 후자의 경우를 도 3 에 있어서 적층체 (3) 로서 나타낸다.
각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본 발명의 적층체의 층 구성으로서 이하의 구성도 들 수 있다.
(11) 도전성 기판/접촉 저항 저감층/쇼트키 전극층/금속 산화물 반도체층
(12) 도전성 기판/환원 억제층/쇼트키 전극층/금속 산화물 반도체층
(13) 도전성 기판/접촉 저항 저감층/환원 억제층/쇼트키 전극층/금속 산화물 반도체층
(「/」은 각 층이 인접하여 적층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또, 본 발명의 적층체에 오믹 전극층을 적층한 층 구성으로서 이하의 구성도 들 수 있다.
(14) 도전성 기판/접촉 저항 저감층/쇼트키 전극층/금속 산화물 반도체층/오믹 전극층
(15) 도전성 기판/환원 억제층/쇼트키 전극층/금속 산화물 반도체층/오믹 전극층
(16) 도전성 기판/접촉 저항 저감층/환원 억제층/쇼트키 전극층/금속 산화물 반도체층/오믹 전극층
상기 (16) 의 적층 구조를 도 4 에 나타낸다. 적층체 (11) 에 있어서, 도전성 기판 (10) 상에, 접촉 저항 저감층 (20), 환원 억제층 (30), 쇼트키 전극층 (40), 금속 산화물 반도체층 (50) 및 오믹 전극층 (60) 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다.
금속 산화물 반도체층 (50) 의 외연 (단부) 은, 쇼트키 전극층 (40) 의 외연 (단부) 과 동일해도 되고, 쇼트키 전극층 (40) 의 외연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해도 된다. 후자의 경우를 도 5 에 있어서 적층체 (12) 로서 나타낸다. 이 경우, 쇼트키 전극층 (40) 이 금속 산화물 반도체층 (50) 의 하면을 덮는 구성, 즉 금속 산화물 반도체층 (50) 의 하면의 전체면이 쇼트키 전극층 (40) 과 접하는 구성이 된다.
Si 등의 공유 결합성의 결정성 반도체에 있어서는, 고내전압을 실현하기 위해서, 반도체의 단부가 쇼트키 전극과 직접 접촉하지 않는 구조로 할 필요가 있다. 한편, 금속 산화물 반도체는 막 단부에서의 누설 전류가 적기 때문에, 금속 산화물 반도체층의 단부가 쇼트키 금속층의 단부와 동일하거나 또는 내측에 있는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역바이어스 인가시에, 반도체층의 단부에 전계가 집중되는 것을 막고, 높은 절연 내압을 실현할 수 있다.
또, 오믹 전극층 (60) 의 외연 (단부) 은, 금속 산화물 반도체층 (50) 의 외연 (단부) 과 동일해도 되고, 금속 산화물 반도체층 (50) 의 외연의 내측에 위치하도록 해도 된다. 후자의 경우를 도 6 에 있어서 적층체 (13) 로서 나타낸다. 이 경우, 금속 산화물 반도체층 (50) 이 오믹 전극층 (60) 의 하면을 덮는 구성이 된다.
상기 도 2, 도 3 의 구성은, 식 (6) 의 적층 구성 이외의 적층 구성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 도 2 와 도 3 에 나타내는 구성을 동시에 형성할 수도 있다.
또, 상기 도 5, 도 6 의 구성은, 식 (16) 의 적층 구성 이외의 적층 구성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 도 5 와 도 6 에 나타내는 구성을 동시에 형성할 수도 있다.
또, 상기 (16) 의 적층 구조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 7 에 나타낸다. 도 7 의 적층체 (14) 는, 도 5 와 도 6 에 나타내는 구성을 동시에 형성한 적층 구성으로서, 추가로, 쇼트키 전극층 (40) 의 외연 (단부) 이 환원 억제층 (30) 의 외연 (단부) 의 내측에 위치하고, 접촉 저항 저감층 (20) 의 외연 (단부) 이 도전성 기판 (10) 의 외연 (단부) 의 내측에 위치하는 구성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적층체를 구성하는 각 층에 대해 설명한다.
(기판)
기판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도전성 기판, 반도체 기판, 절연성 기판 등을 들 수 있다.
도전성 기판으로는, 실리콘 기판 또는 금속 기판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불순물 도프 농도가 높은 저저항의 실리콘 기판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n 형의 저저항 실리콘 기판이다. 도펀트로는 종래 공지된 B, P, Pb, As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실리콘 기판은 저저항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콘 기판의 체적 저항률 (ρ) 은, 바람직하게는 100 mΩ㎝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mΩ㎝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5 mΩ㎝ 이하이다.
금속 기판의 금속으로는, Cu, Al, Au, Cr, Fe, Ni, W 등을 들 수 있고, 이것들의 합금을 사용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저저항이며 저가이고, 또한 열전도성이 우수한 Cu, Al 또는 이것들의 합금이다.
도전성 기판으로서 금속 기판을 사용하는 경우, 이 금속 기판이 접촉 저항 저감층을 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층체는, 저가의 실리콘 기판이나 금속 기판을 도전성 기판으로서 사용해도, 양호한 다이오드 특성을 발현하는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를 제공할 수 있다.
도전성 기판의 두께는, 통상 200 ㎛ ∼ 2 ㎜ 이다.
반도체 기판은, 표면의 평활성이 유지되고 있으면, 재료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반도체 기판으로는, 캐리어 농도를 1 × 1018-3 이하로 조정한 Si 기판, GaN 기판, SiC 기판, GaP 기판, GaAs 기판, ZnO 기판, Ga2O3 기판, GaSb 기판, InP 기판, InAs 기판, InSb 기판, ZnS 기판, ZnTe 기판, 다이아몬드 기판 등을 들 수 있다.
반도체 기판은 단결정이어도, 다결정이어도 된다. 또, 비정질 기판 또는 비정질을 부분적으로 포함하는 기판이어도 된다. 도전체 기판, 반도체 기판, 절연성 기판 상에, CVD (화학 기상 성장) 등의 수법을 사용하여 반도체막을 형성한 기판을 사용해도 된다.
반도체 기판의 두께는, 통상 200 ㎛ ∼ 2 ㎜ 이다. 바람직하게는 200 ㎛ ∼ 1 ㎜,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 ㎛ ∼ 700 ㎛ 이다. 200 ㎛ ∼ 1 ㎜ 로 함으로써, 소자 제조 후의 다이싱시의 가공성이 우수하고, 소자의 수율이 높아져 생산성이 향상되기 쉬워진다.
절연성 기판은, 절연성을 갖는 기판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고, 본 발명의 효과를 잃지 않는 범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기판을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절연성 기판으로서, 예를 들어 석영 유리, 바륨붕규산 유리, 알루미노붕규산 유리, 알루미노실리케이트 유리 등의, 퓨전법이나 플로트법으로 제조되는 무알칼리 유리 기판, 세라믹 기판, 및 본 제조 공정의 처리 온도에 견딜 수 있는 내열성을 갖는 플라스틱 기판 등을 들 수 있다.
또, 절연성 기판으로서 유전성 기판도 사용해도 된다.
유전성 기판으로는, 니오브산리튬 기판, 탄탈산리튬 기판, 산화 아연 기판, 수정 기판, 사파이어 기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스테인리스 합금 등의 금속 기판의 표면에 절연막이나 유전막을 형성한, 절연성 기판, 유전성 기판을 사용해도 된다.
또, 기판에 하지막으로서 절연막을 형성해도 된다. 하지막으로서, CVD 법이나 스퍼터링법 등을 사용하여, 산화 규소막, 질화 규소막, 산화 질화 규소막, 또는 질화 산화 규소막 등의 단층 또는 적층을 형성할 수 있다.
절연성 기판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2 ㎛ ∼ 2 ㎜ 이다. 바람직하게는 2 ㎛ ∼ 1 ㎜, 보다 바람직하게는 2 ㎛ ∼ 700 ㎛ 이다. 2 ㎛ ∼ 1 ㎜ 로 함으로써, 소자 제조 후의 다이싱시의 가공성이 우수하고, 소자의 수율이 높아져 생산성이 향상되기 쉬워진다.
상기 서술한 도전성 기판, 반도체 기판 또는 절연성 기판 상에, 복수의 재료로 이루어지는 임의의 구조, 층 구조, 회로, 배선, 전극 등을 갖는 기재를 사용해도 된다.
임의의 구조의 재료로는, 예를 들어 대규모 집적 회로 (LSI) 상의 백엔드 오브 라인을 형성하는 금속, 층간 절연막 등의 다양한 금속이나 절연물의 복합 재료를 들 수 있다.
기판의 표면 조도 (표면 러프니스) 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150 ㎚ 이하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 이하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이하이다. 기판의 표면 러프니스를 작게 하고 평활성이 높은 것이, 접촉 저항 저감층, 환원 억제층, 및 쇼트키 전극층을 적층했을 때에 쇼트키 전극층의 평활성이 유지되고, 소자로서 평가했을 때의 역방향의 리크 전류가 낮게 억제된다.
기판의 표면 조도는, 예를 들어,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구할 수 있다.
층 구조의 층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전극층, 절연층, 반도체층, 유전체층, 보호막층, 응력 완충층, 차광층, 전자/홀 주입층, 전자/홀 수송층, 발광층, 전자/홀 블로킹층, 결정 성장층, 밀착성 향상층, 메모리층, 액정층, 캐패시터층, 축전층 등의 공지된 층을 사용할 수 있다.
전극층으로는, 일반적으로 Al 층, Si 층, Sc 층, Ti 층, V 층, Cr 층, Ni 층, Cu 층, Zn 층, Ga 층, Ge 층, Y 층, Zr 층, Nb 층, Mo 층, Tc 층, Ru 층, Rh 층, Pd 층, Ag 층, Cd 층, In 층, Sn 층, Sb 층, Te 층, Hf 층, Ta 층, W 층, Re 층, Os 층, Ir 층, Pt 층, Au 층, 이것들의 층의 금속을 1 이상 포함하는 합금층, 및 산화물 전극층 등을 들 수 있다. 산화물 반도체나 Si 등의 반도체의 캐리어 농도를 증가시켜, 전극층에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절연층으로는, 일반적으로 Al, Si, Sc, Ti, V, Cr, Ni, Cu, Zn, Ga, Ge, Y, Zr, Nb, Mo, Tc, Ru, Rh, Pd, Ag, Cd, In, Sn, Sb, Te, Hf, Ta, W, Re, Os, Ir, Pt 및 Au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금속을 포함하는 산화물 절연막, 질화막 등을 들 수 있다.
반도체층으로는, Si 층, GaN 층, SiC 층, GaP 층, GaAs 층, GaSb 층, InP 층, InAs 층, InSb 층, ZnS 층, ZnTe 층, 다이아몬드층, Ga2O3, ZnO, InGaZnO 등의 산화물 반도체층, 펜타센 등의 유기 반도체층 등, 단결정, 다결정, 아모르퍼스의 결정 상태에 상관 없이 넓게 들 수 있다.
유전체층으로는, 니오브산리튬층, 탄탈산리튬층, 산화 아연층, 수정 기판층, 사파이어층, BaTiO3 층, Pb(Zr,Ti)O3(PZT) 층, (Pb,La)(Zr,Ti)O3(PLZT) 층, Pb(Zr,Ti,Nb)O3(PZTN) 층, Pb(Ni,Nb)O3-PbTiO3(PNN-PT) 층, Pb(Ni,Nb)O3-PbZnO3(PNN-PZ) 층, Pb(Mg,Nb)O3-PbTiO3(PMN-PT) 층, SrBi2Ta2O9(SBT) 층, (K,Na)TaO3 층, (K,Na)NbO3 층, BiFeO3 층, Bi(Nd,La)TiOx 층 (x = 2.5 ∼ 3.0), HfSiO(N) 층, HfO2-Al2O3 층, La2O3 층, La2O3-Al2O3 층 등을 들 수 있다.
보호막층의 막으로는, 무기물, 유기물에 상관 없이 절연성이 우수하고, 물 등의 투과성이 낮은 막을 들 수 있다. 보호막층으로는, 예를 들어, SiO2 층, SiNx 층 (x = 1.20 ∼ 1.33), SiON 층, Al2O3 층 등을 들 수 있다.
응력 완충층으로는, AlGaN 층 등을 들 수 있다.
차광층으로는, 예를 들어 금속, 금속-유기물 등을 포함하는 블랙 매트릭스층, 컬러 필터층을 들 수 있다.
전자/홀 주입층으로는, 산화물 반도체층, 유기 반도체층 등을 들 수 있다.
전자/홀 수송층으로는, 산화물 반도체층, 유기 반도체층 등을 들 수 있다.
발광층으로는, 무기 반도체층, 유기 반도체층 등을 들 수 있다.
전자/홀 블로킹층으로는, 산화물 반도체층 등을 들 수 있다.
기재로는, 발전 디바이스, 발광 디바이스, 센서, 전력 변환 디바이스, 연산 디바이스, 보호 디바이스, 옵토 일렉트로닉스 디바이스, 디스플레이, 메모리, 백엔드 오브 라인을 갖는 반도체 디바이스, 축전 디바이스 등을 들 수 있다.
층 구조의 층은, 단층이어도 되고, 2 이상의 층이어도 된다.
(접촉 저항 저감층)
접촉 저항 저감층은, 하지가 되는 기판과 쇼트키 전극 금속의 상호 작용을 방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또, 쇼트키 전극의 하지 기판에 대한 밀착성을 개선하고, 쇼트키 전극의 표면 평활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즉, 기판과 쇼트키 전극을 직접 적층한 경우의 접촉 저항을 저감시키기 위한 층이다.
기판과 쇼트키 전극을 직접 적층한 경우, 예를 들어, 기판으로서 n 형의 저저항 실리콘 기판을 사용하고, 쇼트키 전극에 산화 팔라듐을 사용하여 이것들을 직접 적층한 경우, 산화 팔라듐과 Si 가 역방향의 p-n 접합을 형성하여 순방향에 있어서 큰 저항 성분이 된다. 또, Si 와 산화 팔라듐의 계면이 평활해지지 않고, 결과적으로 쇼트키 전극 표면의 평활성을 잃게 되고, 절연 내압의 저하를 초래할 우려가 있다.
접촉 저항 저감층으로는, Ti, Mo, Ag, In, Al, W, Co 및 Ni 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금속, 그 합금 또는 그 실리사이드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저저항의 실리사이드를 형성하는 Ti, Mo, Ag, In 또는 Al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저저항 또한 쇼트키 금속과 조합했을 때에 양호한 쇼트키 접촉을 형성하는 Ti 또는 Mo 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열전도율이 높은 Mo 이다. Mo 는 방열성이 우수하고, 열전도율이 높기 때문에, 다이오드 구동시에, 전류에 의한 줄열에 의해 소자 열화가 일어나기 어려워진다.
접촉 저항 저감층의 두께는, 통상 1 ㎚ ∼ 1 ㎛ 이고, 바람직하게는 2 ㎚ ∼ 500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 500 ㎚ 이다. 이 범위이면, 충분한 밀착성을 갖고, 저항의 증가가 적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 500 ㎚ 이다. 막두께를 10 ㎚ 이상으로 함으로써 접촉 저항 저감층의 면 내의 피복성이 높고, 다이오드 구동시에 순방향의 저항의 면 내 편차가 작은 특성이 얻어지기 쉬워진다. 또한, 횡방향으로 전류를 취출하는 소자로서 사용하는 경우, 배선 저항이 낮아지고 높은 전류값이 얻어지기 쉬워진다.
접촉 저항 저감층은 단면 TEM 관찰이나 2 차 이온 질량 분석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오믹 전극, 금속 산화물 반도체층, 환원 억제층, 쇼트키 전극층, 기판도 동일하다.
(환원 억제층)
환원 억제층은, 쇼트키 전극층의 환원을 방지하는 층이다. 환원 억제층을 형성하면, 쇼트키 전극층의 환원이 억제되고, 쇼트키 계면이 문제 없이 형성된다.
환원 억제층에 사용하는 금속으로는, Pd, Mo, Pt, Ir, Ru, Au, Ni, W, Cr, Re, Te, Tc, Mn, Os, Fe, Rh, Co 에서 선택되는 1 종류 이상의 원소나 이것들의 합금을 들 수 있다.
또, 환원 억제층으로서, 후술하는 쇼트키 전극층을 구성하는 금속 원소와 동일한 원소를 사용하면 바람직하고, 즉, 쇼트키 전극층을 구성하는 금속 산화물의 금속을 사용하면 바람직하다. 환원 억제층과 쇼트키 전극층의 조합 (환원 억제층/쇼트키 전극층) 으로는, 예를 들어, Pd/산화 팔라듐, Pt/산화 백금, Ir/산화 이리듐, Ru/산화 루테늄 등을 들 수 있다.
환원 억제층의 두께는, 통상 1 ㎚ ∼ 1 ㎛ 이고, 바람직하게는 2 ㎚ ∼ 500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 100 ㎚ 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 ∼ 50 ㎚ 이다. 이 범위이면 환원 억제 효과가 우수하므로, 순방향 바이어스시의 온 저항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쇼트키 계면의 평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쇼트키 전극층)
쇼트키 전극층의 함유 금속의 일함수는 바람직하게는 3.7 eV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4 eV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7 eV 이상이다. 일함수의 상한은 특별히 지정되지 않지만, 통상 6.5 eV 이다. 해당 범위의 함유 금속을 사용한 금속 산화물을 쇼트키 전극층에 사용함으로써, 쇼트키와 금속 산화물 반도체 계면의 에너지 장벽이 형성되고, 소자의 특성으로서 리크 전류를 낮게 유지할 수 있다.
일함수는, 광 전자 분광법에 의한다.
쇼트키 전극층의 금속으로는, Pd, Mo, Pt, Ir, Ru, Ni, W, Cr, Re, Te, Tc, Mn, Os, Fe, Rh 및 Co 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금속의 산화물, 또는 이것들의 금속의 합금의 산화물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Pd 산화물, Pt 산화물, Ir 산화물 또는 Ru 산화물이다. 이것들이면, 금속 산화물 반도체와의 조합에 의해 높은 쇼트키 장벽을 형성할 수 있다.
쇼트키 전극층의 캐리어 농도는 1 × 1018-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캐리어 농도는, 예를 들어 홀 측정으로 구할 수 있다.
쇼트키 전극층의 두께는, 통상 1 ㎚ ∼ 1 ㎛ 이고, 바람직하게는 2 ㎚ ∼ 100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 ㎚ ∼ 50 ㎚ 이다. 이 범위이면, 순방향 바이어스시의 온 저항이 우수하다. 또, 쇼트키 계면의 평탄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내전압성이 우수하다.
쇼트키 전극의 금속 산화물을 얻기 위한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산소 함유 분위기하에서 금속 타깃의 반응성 스퍼터를 실시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금속 산화물 반도체층)
금속 산화물 반도체층의 조성은, 금속 산화물 반도체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In, Ga, Zn 및 Sn 에서 선택되는 1 종 이상의 원소를 포함하는 산화물이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In, Ga 및 Zn 의 산화물 반도체 (IGZO) 를 들 수 있다.
또, 결정성에 대해서도 제한은 없고, 비정질 산화물 반도체로 이루어지는 층, 다결정 산화물 반도체로 이루어지는 층, 단결정 산화물 반도체로 이루어지는 층, 그것들이 혼재된 층의 어느 것도 사용할 수 있다.
금속 산화물 반도체층의 수소 원자 농도는 1017 ∼ 1022 개/㎤ 가 바람직하고, 1019 ∼ 1022 개/㎤ 이면 보다 바람직하고, 1020 ∼ 1021 개/㎤ 가 더욱 바람직하다. 산화물 반도체는 산소 결손을 만들기 쉽고, 결손을 타고 누설 전류가 흐르는 경우가 있지만, 막 중의 수소 원자 농도를 1020 개/㎤ 이상으로 함으로써, 산소 결손을 수산기로 종단시키고, 누설 전류를 저감시킬 수 있다. 수소 원자 농도는 2 차 이온 질량 분석법으로 측정한다. 수소 원자 농도의 조정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성막시의 분위기, 성막 후의 어닐, 및 오믹 전극의 성막시의 분위기를 최적화함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금속 산화물 반도체층의 프리 캐리어 농도는, 통상 1 × 1013-3 이상 1 × 1018-3 미만이다. 프리 캐리어 농도는, 예를 들어 홀 측정으로 구할 수 있다.
금속 산화물 반도체층의 밴드 갭은, 바람직하게는 2.0 eV ∼ 6.0 eV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eV ∼ 5.5 eV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eV ∼ 5.0 eV 이다. 밴드 갭은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측정한다. 해당 범위의 밴드 갭을 갖는 금속 산화물 반도체층을 사용함으로써, 온 저항이 낮은 소자를 얻을 수 있다.
금속 산화물 반도체층의 두께는, 통상 10 ㎚ ∼ 10 ㎛ 이고, 바람직하게는 50 ㎚ ∼ 7 ㎛ 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 ㎚ ∼ 5 ㎛ 이다. 막두께는, 원하는 내전압성이 얻어지도록 선정할 수 있다. 지나치게 두꺼우면 순방향 바이어스시의 저항이 증가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적층체는, 금속 산화물 반도체층을 스퍼터 등의 생산성이 우수한 방식으로 제막해도, 양호한 다이오드 특성을 발현하는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를 제공할 수 있다.
(오믹 전극층)
오믹 전극층의 재료는, 금속 산화물 반도체층과 양호한 오믹 접속을 할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Mo, Ti, Au, Ag, 및 Al 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 종류 이상의 원소나 그것들의 합금을 들 수 있다.
또, 오믹 전극층을 복수의 층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금속 산화물 반도체층에 접하는 측에 Mo 전극층을 사용하고, 추가로 Au 나 Al 의 금속층을 적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전력 로스를 적게 하고 전류를 취출할 수 있다.
오믹 전극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 100 ㎚ ∼ 5 ㎛ 이다.
각 층의 제막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열 CVD 법, CAT-CVD 법, 광 CVD 법, 미스트 CVD 법, MO-CVD 법, 플라즈마 CVD 법 등의 CVD 법, MBE, ALD 등의 원자 레벨 제어의 제막 방법, 이온 플레이팅, 이온 빔 스퍼터링, 마그네트론 스퍼터링 등의 PVD 법, 닥터 블레이드법, 사출법, 압출법, 열간 가압법, 졸 겔법, 에어로졸 디포지션법 등, 종래 공지된 세라믹스 공정을 사용하는 방법, 도포법, 스핀 코트법, 인쇄법, 스프레이법, 전착법, 도금법, 미셀 전해법 등의 습식법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반도체 소자]
본 발명의 적층체는, 파워 반도체 소자, (정류) 다이오드 소자,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소자, 정전기 방전 (ESD) 보호 다이오드, 과도 전압 보호 (TVS) 보호 다이오드, 발광 다이오드, 금속 반도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MESFET), 접합형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JFET), 금속 산화막 반도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MOSFET), 쇼트키 소스/드레인 MOSFET, 애벌랜치 증배형 광전 변환 소자, 고체 촬상 소자, 태양 전지 소자, 광 센서 소자, 표시 소자, 저항 변화 메모리 등의 반도체 소자에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전력 로스 없이 전류를 취출할 수 있기 때문에, 파워 용도에도 적합하다. 반도체 소자는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정션 트랜지스터에 사용할 수 있다. 이 소자,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정션 트랜지스터를 사용한 전자 회로는, 전기 기기, 전자 기기, 차량, 동력 기관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 1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의 제조]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소자를 이하와 같이 제조하였다.
저항률 1 mΩ·㎝ 의 n 형 Si 기판 (직경 4 인치) 을 스퍼터링 장치 (아네르바 제조 : E-200S) 에 장착하고, 접촉 저항 저감층으로서 Ti 를 15 ㎚ 성막하였다. 성막 조건은, DC 50W, Ar 분위기로 하였다. 다음으로 쇼트키 전극층으로서 산화 팔라듐을 10 ㎚ 성막하였다 (캐리어 농도 : 1 × 1020-3). 성막 조건은, DC 50W, Ar 과 O2 의 혼합 가스 분위기로 하였다. 다음으로, 이 기판을 에어리어 마스크와 함께 스퍼터링 장치 (ULVAC 제조 : CS-200) 에 세트하고, 금속 산화물 반도체층으로서, 표 1 에 나타내는 조성을 갖는 IGZO 를 200 ㎚ 성막하였다 (프리 캐리어 농도 : 5 × 1016-3). 성막 조건은, DC 300W, 표 1 에 나타내는 가스 유량비로 실시하였다. 이 기판을 취출하고, 전기로에 의해 공기 중 300 ℃ 의 조건에서 1 시간 어닐하였다. 이 기판을 다시 에어리어 마크스와 함께 스퍼터링 장치에 세트한 후, 오믹 전극층으로서 Mo 를 150 ㎚ 성막하였다. 성막 조건은, DC 100W, Ar 분위기로 하였다.
[프리 캐리어 농도의 측정]
금속 산화물 반도체층의 프리 캐리어 농도 및 쇼트키 전극층의 캐리어 농도는 이하와 같이 측정하였다.
유리 기판에 대해, 금속 산화물 반도체층 성막 공정 (또는 쇼트키 전극층 성막 공정) 을 통해 실시하였다. 그리고, 기판을 각각 가로 세로 1 ㎝ 로 컷하고, 4 모서리에 In 전극을 붙이고 홀 효과 측정용 소자로 하였다. 프리 캐리어 농도 (캐리어 농도) 의 측정은, 실온에서 홀 효과 측정 장치 (ACCENT 제조 : HL-5500PC) 를 사용하여 홀 효과 측정을 실시하고, 얻어진 프리 캐리어량 (캐리어량) 을 금속 반도체층의 체적 (또는 쇼트키 전극의 체적) 으로 규격화하고 프리 캐리어 농도 (캐리어 농도) 로 하였다.
[밴드 갭 평가]
금속 산화물 반도체층의 밴드 갭은 이하와 같이 평가하였다.
기판에, 상기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제조 공정 중 금속 산화물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공정까지를 실시하고, 얻어진 적층체를 가로 세로 1 ㎝ 로 컷하였다. 실온에서, 분광 엘립소메트리 측정 장치 (제이·에이·울람·재팬 주식회사 제조 : M-2000D) 를 사용하여 편광의 입사 각도를 기판에 수직 방향으로부터 50°, 60°, 70°로 변화시키고, 각각에 대해 측정 파장을 192.3 ㎚ ∼ 1689 ㎚, 측정폭 3.4 ㎚ 로 하여 측정을 실시하였다. 얻어진 스펙트럼
Figure pct00004
과 Δ 에 대해, 각 층마다 흡수 모델로서 Drude model, Tauc-Lorentz mode, Gaussian functione model 을 두고, 제곱 오차 MSE = 10 이하가 될 때까지 최적화를 실시함으로써, 각 광의 에너지에 대해 흡수 계수
Figure pct00005
를 산출하였다. 금속 산화물 반도체층의 흡수 계수
Figure pct00006
의 스펙트럼을, 광의 에너지 범위 2 eV ∼ 5 eV 에 대해
Figure pct00007
를 플롯하고, 직선을 연장시킨 에너지축과의 교점을 밴드 갭으로서 산출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수소 원자 농도]
금속 산화물 반도체층의 수소 원자 농도는 이하와 같이 하여 평가하였다.
사중극형 2 차 이온 질량 분석 장치 (알박파이사 제조 : D-SIMS) 에 의해, Cs 이온원 1 ㎸, 1 차 이온 전류 100 nA, 챔버 진공도 5 × 10-10 torr 의 측정 조건하에서 측정하였다. 금속 산화물 반도체층의 수소 원자 농도는, 사중극형 2 차 이온 질량 분석 장치에 의해 얻어진 각 깊이의 H 의 2 차 이온 강도를 금속 반도체 박막의 막두께로 적분한 강도에 대해, 수소 농도와 막두께가 이미 알려진 In-Ga-Zn-O 박막을 사용하여 강도를 규격화하고 수소 농도의 정량화를 실시하고, 얻어진 값을 수소 원자 농도로 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소자의 평가]
얻어진 소자 (Si/Ti/산화 팔라듐/IGZO/Mo) 에 대해, Agilent 사 제조 B1500 을 사용하여 온 저항 (Ron) 및 리크 전류 (Ir) 를 평가하였다. 오믹 전극측에 프로브를 접지하여 그라운드에 접속하고, 기판측의 전압을 변화시켜 측정을 실시하였다. 온 저항은 소자에 1 V 인가했을 때의 ± 0.2 V 사이의 미분 저항 (Ron = ΔV/ΔI) 이고, 리크 전류는, 인가 전압이 -5 V 일 때의 전류 밀도로 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또한, 얻어진 소자는, 도 6 에 나타내는 구조에 있어서 환원 억제층 (30) 을 제외한 구조이다.
실시예 1 에서 얻어진 소자는, 온 저항 (Ron) 이 1 mΩ㎠ 미만으로 낮은 값을 나타내고, 리크 전류 (Ir) 는 9 × 10-4 A/㎠ 였다.
실시예 2
접촉 저항 저감층의 성막에 이어서, 환원 억제층으로서 Pd 를 20 ㎚ 성막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소자를 제조하였다. 성막 조건은, DC 50W, Ar 분위기로 하였다. 적층 전극의 전자 현미경 (JEOL 사 제조 : JEM-2800) 에 의해 얻어진 단면 TEM 이미지를 도 8 에 나타낸다.
얻어진 소자 (Si/Ti/Pd/산화 팔라듐/IGZO/Mo) 에 대해,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또한, 얻어진 소자는 도 6 에 나타내는 구조이다.
실시예 3
접촉 저항 저감층의 성막에 이어서, 환원 억제층으로서 Ru 를 20 ㎚ 성막하고, 다음으로 쇼트키 전극으로서 산화 루테늄을 10 ㎚ 성막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소자를 제조하였다. Ru 의 성막 조건은, DC 50W, Ar 분위기로 하고, 산화 루테늄의 성막 조건은, DC 50W, Ar 과 O2 의 혼합 가스 분위기로 하였다 (캐리어 농도 : 1 × 1020-3).
얻어진 소자 (Si/Ti/Ru/산화 루테늄/IGZO/Mo) 에 대해,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또한, 얻어진 소자는 도 6 에 나타내는 구조이다.
실시예 4
접촉 저항 저감층의 성막에 이어서, 환원 억제층으로서 Pt 를 20 ㎚ 성막하고, 다음으로 쇼트키 전극으로서 산화 백금을 10 ㎚ 성막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소자를 제조하였다. Pt 의 성막 조건은, DC 50W, Ar 분위기로 하고, 산화 백금의 성막 조건은, DC 50W, Ar 과 O2 의 혼합 가스 분위기로 하였다 (캐리어 농도 : 1 × 1020-3).
얻어진 소자 (Si/Ti/Pt/산화 백금/IGZO/Mo) 에 대해,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또한, 얻어진 소자는 도 6 에 나타내는 구조이다.
실시예 5
접촉 저항 저감층의 성막에 이어서, 환원 억제층으로서 Ir 을 20 ㎚ 성막하고, 다음으로 쇼트키 전극으로서 산화 이리듐을 10 ㎚ 성막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소자를 제조하였다. Ir 의 성막 조건은, DC 50W, Ar 분위기로 하고, 산화 이리듐의 성막 조건은, DC 50W, Ar 과 O2 의 혼합 가스 분위기로 하였다 (캐리어 농도 : 1 × 1020-3).
얻어진 소자 (Si/Ti/Ir/산화 이리듐/IGZO/Mo) 에 대해,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또한, 얻어진 소자는 도 6 에 나타내는 구조이다.
실시예 2 ∼ 5 에서 얻어진 소자는, 온 저항 (Ron) 이 1 mΩ㎠ 미만이고, 또한 리크 전류 (Ir) 가 3 × 10-8 A/㎠ 이하이고, 양호한 다이오드 특성을 나타냈다.
비교예 1
접촉 저항 저감층을 성막하지 않은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소자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소자 (Si/산화 팔라듐/IGZO/Mo) 에 대해,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비교예 1 에서 얻어진 소자는, 온 저항 (Ron) 이 200 mΩ㎠ 이상으로 높은 값을 나타내고, 또한 리크 전류 (Ir) 가 2 × 10-3 A/㎠ 였다.
실시예 6 ∼ 9
실시예 2 에 대해 환원 억제층과 쇼트키 전극층을 표 2 에 기재된 바와 같은 조합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하여 소자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소자에 대해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실시예 6 ∼ 9 에서 얻어진 소자는, 온 저항 (Ron) 이 10 mΩ㎠ 미만이고, 또한 리크 전류 (Ir) 가 5 × 10-8 A/㎠ 이하이고, 양호한 다이오드 특성을 나타냈다.
실시예 10 ∼ 12
실시예 2 에 대해 쇼트키 전극층의 막두께를 표 3 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하여 소자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소자에 대해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3 에 나타낸다.
실시예 10, 11 에서 얻어진 소자는, 온 저항 (Ron) 이 1 mΩ㎠ 미만이고, 또한 리크 전류 (Ir) 가 1 × 10-7 A/㎠ 이하이고, 양호한 다이오드 특성을 나타냈다. 실시예 12 에서 얻어진 소자는, 온 저항 (Ron) 이 10 mΩ㎠ 미만이고, 또한 리크 전류 (Ir) 가 3 × 10-5 A/㎠ 이하였다.
실시예 13 ∼ 15
실시예 2 에 대해 쇼트키 전극층, 및 환원 억제층을 표 4 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하여 소자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소자에 대해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4 에 나타낸다.
실시예 13 에서 얻어진 소자는, 온 저항 (Ron) 이 1 mΩ㎠ 미만이고, 또한 리크 전류 (Ir) 가 5 × 10-7 A/㎠ 이하이고, 양호한 다이오드 특성을 나타냈다. 실시예 14, 15 에서 얻어진 소자는, 온 저항 (Ron) 이 1 mΩ㎠ 미만의 낮은 값을 나타내고, 리크 전류 (Ir) 는 각각 2 × 10-3 A/㎠, 7 × 10-1 A/㎠ 였다.
실시예 16 ∼ 19
표 5 에 나타내는 기판 상에 포토마스크를 사용하여 소자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와 각 층의 성막 조건은 동일하다. 도 9 에, 얻어진 소자 (적층체) (15) 의 구조를 나타낸다.
먼저, 기판 (8) 의 일면에, 접촉 저항 저감층 (20) 으로서 Ti 를, 환원 억제층 (30) 으로서 Pd 를, 각각 15 ㎚ 및 20 ㎚ 스퍼터링하였다. 다음으로, 포토마스크를 사용하고, Ti/Pd 의 적층막을 패터닝하였다. 포토레지스트에는, AZ1500 (AZ 일렉트로닉 머티리얼즈사 제조) 을 사용하고, 포토마스크를 통하여 노광 후, 테트라메틸암모늄하이드록사이드 (TMAH) 로 현상을 실시하고, AURUM-302 (칸토 화학 제조) 로 Pd 를 제 1 패터닝하고, Ti 가 노출된 시점에서, KSMF-200 (칸토 화학 제조) 으로 Ti 를 제 2 패터닝을 하여, 하층 전극을 형성하였다.
계속해서, 이미지 리버설 레지스트 AZ5214 (AZ 일렉트로닉 머티리얼즈사 제조) 및 포토마스크를 사용하고, 쇼트키 전극층 (40) 으로서 PdO 를, 금속 산화물 반도체층 (50) 으로서 InGaZnO (In : Ga : Zn = 33.3 : 33.3 : 33.3 at%) 를 리프트 오프 프로세스에서 패터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AZ5214 를, 포토마스크를 통하여 노광하고, 반전 베이크 공정 후에 전체면 노광하고, 수산화 테트라메틸암모늄 (TMAH) 으로 현상하였다. 패터닝된 레지스트 부착 기판에 대해, 산화 팔라듐 20 ㎚ 를 성막한 후, InGaZnO (In : Ga : Zn = 33.3 : 33.3 : 33.3 at%) 200 ㎚ 를 성막하였다. 그 후, 아세톤 중에서 리프트 오프함으로써, 쇼트키 전극층 (40) 으로서 산화 팔라듐을, 금속 산화물 반도체층 (50) 으로서 InGaZnO (In : Ga : Zn = 33.3 : 33.3 : 33.3 at%) 를 패터닝하였다.
다음으로 층간 절연막 (70) 을 열 경화 비감광성 폴리이미드 및 포토마스크를 사용하여 패터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열 경화 비감광성 폴리이미드 용액을 스핀코터로 기판 일면에 8 ㎛ 정도 도포하고, 계속해서 AZ5214 및 포토마스크를 사용하여 패터닝하였다. AZ5214 를, 포토마스크를 통하여 노광하고, 반전 베이크 공정 후에 전체면 노광하고, 수산화 테트라메틸암모늄 (TMAH) 으로 현상하였다. 계속해서, TMAH 로 열 경화 비감광성 폴리이미드를 에칭하고, 패터닝하였다. 패터닝 후, 열 경화 비감광성 폴리이미드를 200 ℃ 1 시간, 대기 중에서 가열하고 경화시켰다.
계속해서, 이미지 리버설 레지스트 AZ5214 및 포토마스크를 사용하고, 오믹 전극층 (60) 을 리프트 오프 프로세스에서 패터닝하였다. AZ5214 를, 포토마스크를 통하여 노광하고, 반전 베이크 공정 후에 전체면 노광하고, 수산화 테트라메틸암모늄 (TMAH) 으로 현상하였다. 패터닝된 레지스트 부착 기판에 대해, 오믹 전극층으로서 Mo 150 ㎚ 를 성막하고, 그 후 Au 층 (80) 을 500 ㎚ 성막하였다. 그 후, 아세톤 중에서 리프트 오프함으로써, 오믹 전극층 (60) 을 패터닝하였다.
소자의 평가는, 오믹 전극측에 프로브를 접지하여 그라운드에 접속하고, 환원 억제층 상에 오믹 전극과 Au 가 직접 적층되어 있는 영역에 프로브를 접지하고 전압을 변화시켜 측정을 실시하였다. 그 밖의 평가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결과를 표 5 에 나타낸다. 또한, 쇼트키 전극층의 캐리어 농도는 1 × 1020-3 이었다.
실시예 16 ∼ 18 에서 얻어진 소자는, 온 저항 (Ron) 이 1 mΩ㎠ 미만이고, 또한 리크 전류 (Ir) 가 5 × 10-8 A/㎠ 이하이고, 양호한 다이오드 특성을 나타냈다. 실시예 19 에서 얻어진 소자는, 리크 전류 (Ir) 가 1 × 10-1 A/㎝ 이고, 실시예 16 ∼ 18 과 비교하여 높은 값을 나타냈다.
[기판의 표면 러프니스의 측정]
기판의 표면 러프니스는, 제조한 소자를 단면 TEM (투과 전자 현미경) 이미지와 EDX (에너지 분산형 X 선 분광법) 에 의해 관찰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인 순서를 이하에 나타낸다. EDX 로 표 5 에 나타내는 각 기판의 구성 원소가 검출된 에어리어를 기판으로 정의하고, 추가로 단면 TEM 이미지에 있어서 기판과 오믹 전극층의 콘트라스트의 차로부터 계면을 정의하였다. 막두께와 수직 방향으로 10 ㎛ 의 에어리어의 단면 TEM 이미지에 대해, 기판 계면의 요철에 대해 산술 평균 조도 (Ra) 를 식 (1) 로부터 산출하여 표면 러프니스로 하였다. 결과를 표 5 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8
[기판의 결정성의 측정]
기판의 결정성은, 전자 현미경 (JEOL 사 제조 : JEM-2800) 에 의해 얻어진 전자선 회절 이미지에 의해 평가하였다. 전자선의 조사 에어리어는 기판 단면에 대해 직경 10 ㎚ 이상의 영역으로부터 회절 이미지를 취득하였다. 회절 이미지에 있어서 스폿 형상이 관찰된 것을 단결정, 링 형상으로 관찰된 것을 다결정이라고 판단하였다. 결과를 표 5 에 나타낸다.
실시예 20 ∼ 23
표 6 에 나타내는 절연성 기판을 사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6 과 동일하게 하여 소자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소자에 대해 실시예 16 과 동일하게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6 에 나타낸다. 또한, 쇼트키 전극층의 캐리어 농도는 1 × 1020-3 이었다.
실시예 20 ∼ 23 에서 얻어진 소자는, 온 저항 (Ron) 이 1 mΩ㎠ 미만이고, 또한 리크 전류 (Ir) 가 3 × 10-7 A/㎠ 이하이고, 양호한 다이오드 특성을 나타냈다.
실시예 24 ∼ 28
금속 산화물 반도체층을 표 7 에 나타내는 금속 조성 및 성막시 도입 가스의 비율로 성막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하여 소자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소자에 대해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7 에 나타낸다.
또한, 얻어진 소자는 도 6 에 나타내는 구조이다.
실시예 24 ∼ 28 에서 얻어진 소자는, 온 저항 (Ron) 이 1 mΩ㎠ 미만이고, 또한 리크 전류 (Ir) 가 2 × 10-6 A/㎠ 이하이고, 양호한 다이오드 특성을 나타냈다.
실시예 29 ∼ 33
금속 산화물 반도체층을 표 8 에 나타내는 금속 조성 및 성막시 도입 가스의 비율로 성막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하여 소자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소자에 대해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8 에 나타낸다.
실시예 29 ∼ 31 에서 얻어진 소자에 대해, 수소 원자 농도를 평가한 결과, 각각 8 × 1020-3, 5 × 1021-3, 및 5 × 1020 ㎝ 였다. 실시예 29 ∼ 31 에서 얻어진 소자는, 온 저항 (Ron) 이 1 mΩ㎠ 미만이고, 또한 리크 전류 (Ir) 가 2 × 10-8 A/㎠ 이하이고, 양호한 다이오드 특성을 나타냈다.
실시예 32, 33 에서 얻어진 소자에 대해, 수소 원자 농도를 평가한 결과, 각각 4 × 1015-3, 8 × 1016-3 이었다. 실시예 32, 33 에서 얻어진 소자는, 온 저항 (Ron) 이 1 mΩ㎠ 미만이었지만, 리크 전류 (Ir) 가, 각각 9 × 10-1 A/㎠, 1 × 10-2 A/㎠ 였다.
실시예 34 ∼ 35
접촉 저항 저감층, 또는 오믹 전극층을 표 9 에 나타내는 재료로 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하여 소자를 제조하였다. 얻어진 소자에 대해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9 에 나타낸다.
실시예 34, 35 에서 얻어진 소자는, 온 저항 (Ron) 이 1 mΩ㎠ 미만이었지만, 리크 전류 (Ir) 가, 각각 1 × 10-1 A/㎠, 3 × 10-8 A/㎠ 이고, 양호한 다이오드 특성을 나타냈다.
Figure pct00009
Figure pct00010
Figure pct00011
Figure pct00012
Figure pct00013
Figure pct00014
Figure pct00015
Figure pct00016
Figure pct00017
표 1 ∼ 9 로부터, 본 발명의 적층체를 사용한 반도체 소자는, 순방향의 온 저항이 매우 작은 것을 알 수 있다. 또, 역방향의 리크 전류도 충분히 적은 것을 알 수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적층체는, 파워 반도체 소자, 다이오드 소자,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소자 등의 반도체 소자에 사용할 수 있고, 이 소자를 사용한 전자 회로는, 전기 기기, 전자 기기, 전동 차량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 및/또는 실시예를 몇 개 상세하게 설명했지만, 당업자는, 본 발명의 신규 교시 및 효과로부터 실질적으로 벗어나지 않고, 이것들 예시인 실시형태 및/또는 실시예에 많은 변경을 가하는 것이 용이하다. 따라서, 이것들의 많은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원의 파리 우선의 기초가 되는 일본 출원 명세서의 내용을 모두 여기에 원용한다.

Claims (18)

  1. 기판과, 접촉 저항 저감층 및 환원 억제층으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층과, 쇼트키 전극층과, 금속 산화물 반도체층을 이 순서로 갖는, 적층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과, 상기 접촉 저항 저감층과, 상기 환원 억제층을 이 순서로 갖는, 적층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환원 억제층이, Pd, Mo, Pt, Ir, Ru, Au, Ni, W, Cr, Re, Te, Tc, Mn, Os, Fe, Rh 및 Co 로부터 선택되는 1 종류 이상의 원소를 포함하는, 적층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 저항 저감층이, Ti, Mo, Ag, In, Al, W, Co 및 Ni 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금속 또는 그 실리사이드를 포함하는, 적층체.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쇼트키 전극층이, 일함수가 4.4 eV 이상인 1 종류 이상의 원소의 산화물을 포함하는, 적층체.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쇼트키 전극층이, Pd, Mo, Pt, Ir, Ru, Ni, W, Cr, Re, Te, Tc, Mn, Os, Fe, Rh 및 Co 로부터 선택되는 1 이상의 금속의 산화물을 포함하는, 적층체.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이 도전성 기판인, 적층체.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이 도전성의 실리콘 기판인, 적층체.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산화물 반도체층이, In, Sn, Ga, 및 Zn 으로부터 선택되는 1 종류 이상의 원소를 포함하는, 적층체.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산화물 반도체층의 수소 원자 농도가 1017 ∼ 1022 개/㎤ 인, 적층체.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산화물 반도체층 상에 오믹 전극층을 갖는, 적층체.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산화물 반도체층의 외연이, 상기 쇼트키 전극층의 외연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기 쇼트키 전극층의 외연의 내측에 위치하고, 상기 쇼트키 전극층이 상기 금속 산화물 반도체층의 하면의 전체면에 접하는, 적층체.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오믹 전극층의 외연이, 상기 금속 산화물 반도체층의 외연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기 금속 산화물 반도체층의 외연의 내측에 위치하는, 적층체.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층체를 사용한 반도체 소자.
  15. 제 14 항에 기재된 반도체 소자를 사용한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16. 제 14 항에 기재된 반도체 소자를 사용한 정션 트랜지스터.
  17. 제 14 항에 기재된 반도체 소자, 제 15 항에 기재된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또는 제 16 항에 기재된 정션 트랜지스터를 사용한 전자 회로.
  18. 제 17 항에 기재된 전자 회로를 사용한 전기 기기, 전자 기기, 차량, 또는 동력 기관.
KR1020187016344A 2015-12-25 2016-12-26 적층체 KR1023826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254555 2015-12-25
JP2015254555 2015-12-25
JPJP-P-2016-159352 2016-08-15
JP2016159352 2016-08-15
PCT/JP2016/088765 WO2017111174A1 (ja) 2015-12-25 2016-12-26 積層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9655A true KR20180099655A (ko) 2018-09-05
KR102382656B1 KR102382656B1 (ko) 2022-04-04

Family

ID=59090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6344A KR102382656B1 (ko) 2015-12-25 2016-12-26 적층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189737B2 (ko)
JP (2) JP6976858B2 (ko)
KR (1) KR102382656B1 (ko)
CN (1) CN108475702B (ko)
TW (1) TWI795349B (ko)
WO (1) WO20171111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52395A (zh) 2017-08-31 2020-04-21 美光科技公司 半导体装置、晶体管以及用于接触金属氧化物半导体装置的相关方法
WO2019046629A1 (en) 2017-08-31 2019-03-07 Micron Technology, Inc. SEMICONDUCTOR DEVICES, HYBRID TRANSISTORS, AND ASSOCIATED METHODS
JP6802818B2 (ja) * 2018-03-06 2020-12-23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基板、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及び、基板の製造方法
WO2020017330A1 (ja) * 2018-07-17 2020-01-23 ソニーセミコンダクタ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撮像素子、積層型撮像素子及び固体撮像装置
JP7093329B2 (ja) * 2019-09-02 2022-06-29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積層構造体、半導体装置及び半導体システム
CN110634959B (zh) * 2019-09-20 2021-01-08 山东大学 一种基于igzo肖特基二极管动态调控超材料的方法
CN110890280B (zh) * 2019-11-27 2024-02-06 山东大学 一种利用钯/钯氧化物双层肖特基电极制备氧化物半导体肖特基二极管的方法
CN111129166B (zh) * 2019-12-13 2023-02-07 合肥中科微电子创新中心有限公司 氧化镓基半导体结构及其制备方法
CN111081788B (zh) * 2019-12-31 2021-06-29 山东大学 一种底部为肖特基接触的铟铝锌氧化物二极管及其制备方法
CN111081765B (zh) * 2019-12-31 2021-06-29 山东大学 一种基于铟铝锌氧化物的肖特基二极管及其制备方法
JPWO2021157720A1 (ko) * 2020-02-07 2021-08-12
KR20220134639A (ko) * 2020-02-07 2022-10-05 가부시키가이샤 플로스피아 반도체 소자 및 반도체 장치
JP2021195279A (ja) * 2020-06-12 2021-12-27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Iii族窒化物結晶、iii族窒化物基板、及びiii族窒化物結晶の製造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1119A (ko) * 1987-12-04 1989-08-12 고타니 고오이찌 쇼트키배리어 반도체장치
JP2013102081A (ja) 2011-11-09 2013-05-23 Tamura Seisakusho Co Ltd ショットキーバリアダイオード
JP2015084439A (ja) 2009-10-30 2015-04-30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36878A (en) * 1974-09-14 1976-03-27 Tokyo Shibaura Electric Co Handotaisochi no seizohoho
KR100348269B1 (ko) * 2000-03-22 2002-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루데니움 산화물을 이용한 쇼트키 콘택 방법
TWI446626B (zh) * 2010-05-05 2014-07-21 Yageo Corp 寬頻行動通訊天線
US20130161602A1 (en) * 2010-06-24 2013-06-27 Merck Patent Gesellschaft Mit Beschrankter Haftung Process for modifying electrodes in an organic electronic device
JP5449094B2 (ja) * 2010-09-07 2014-03-19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
KR102267094B1 (ko) * 2013-08-19 2021-06-18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산화물 반도체 기판 및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KR102226985B1 (ko) 2013-08-19 2021-03-11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산화물 반도체 기판 및 쇼트키 배리어 다이오드
JP2015109315A (ja) * 2013-12-03 2015-06-11 出光興産株式会社 薄膜トランジスタ、その製造方法、酸化物半導体層、表示装置及び半導体装置
JP6135487B2 (ja) * 2013-12-09 2017-05-31 富士通株式会社 半導体装置及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6149786B2 (ja) 2014-04-11 2017-06-21 豊田合成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9590050B2 (en) 2014-05-08 2017-03-07 Flosfia, Inc. Crystalline multilayer structure and semiconductor device
WO2017111173A1 (ja) * 2015-12-25 2017-06-29 出光興産株式会社 積層体
JP6796086B2 (ja) * 2016-02-05 2020-12-02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
US10804362B2 (en) * 2016-08-31 2020-10-13 Flosfia Inc. Crystalline oxide semiconductor film, crystalline oxide semiconductor device, and crystalline oxide semiconductor system
WO2018128103A1 (ja) * 2017-01-05 2018-07-1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半導体リレー
TWI762467B (zh) * 2017-02-22 2022-05-01 晶元光電股份有限公司 氮化物半導體磊晶疊層結構及其功率元件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1119A (ko) * 1987-12-04 1989-08-12 고타니 고오이찌 쇼트키배리어 반도체장치
JP2015084439A (ja) 2009-10-30 2015-04-30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半導体装置
JP2013102081A (ja) 2011-11-09 2013-05-23 Tamura Seisakusho Co Ltd ショットキーバリアダイオード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EEE TRANSACTION ON ELECTRON DEVICES, Vol.60, No.10, OCTOBER 2013, p.340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2656B1 (ko) 2022-04-04
CN108475702B (zh) 2021-11-23
WO2017111174A1 (ja) 2017-06-29
JP2021141337A (ja) 2021-09-16
CN108475702A (zh) 2018-08-31
US11189737B2 (en) 2021-11-30
JP6976858B2 (ja) 2021-12-08
JPWO2017111174A1 (ja) 2018-10-18
TW201737485A (zh) 2017-10-16
US20200266304A1 (en) 2020-08-20
TWI795349B (zh) 2023-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2656B1 (ko) 적층체
KR102531224B1 (ko) 적층체
JP7084465B2 (ja) 酸化物半導体基板及びショットキーバリアダイオード
KR102413244B1 (ko) 구조물, 그 제조 방법, 반도체 소자 및 전자 회로
TWI731844B (zh) 積層體
CN108431963B (zh) 半导体元件和使用该半导体元件的电气设备
TWI751999B (zh) 半導體元件及使用其之電氣機器
KR101665863B1 (ko) 정류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