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9631A - 액체 또는 가스 매체용 도관들을 연결하는 커넥터 - Google Patents

액체 또는 가스 매체용 도관들을 연결하는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9631A
KR20180099631A KR1020187012890A KR20187012890A KR20180099631A KR 20180099631 A KR20180099631 A KR 20180099631A KR 1020187012890 A KR1020187012890 A KR 1020187012890A KR 20187012890 A KR20187012890 A KR 20187012890A KR 20180099631 A KR20180099631 A KR 201800996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connector
retaining element
retaining
casing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28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28364B1 (ko
Inventor
볼프강 발트라이히
하랄드 하르트만
Original Assignee
헨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헨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filed Critical 헨 게엠베하 운트 콤파니 카게.
Publication of KR20180099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9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8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83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8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split elastic 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33/00Engines characterised by provision of pumps for charging or scavenging
    • F02B33/44Passages conducting the charge from the pump to the engine inlet, e.g. reservoi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091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characterised by details of intake ducts: shapes; connections; arrangements
    • F02M35/10144Connections of intake ducts to each other or to another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8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split elastic ring
    • F16L37/088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split elastic ring with access to the split elastic ring from a radial or tangential opening in the coup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4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4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 F16L37/142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where the securing element is inserted tangentially
    • F16L37/144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where the securing element is inserted tangentially the securing element being U-shap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3/00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 F16L13/14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made by plastically deforming the material of the pipe, e.g. by flanging, rolling
    • F16L13/147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made by plastically deforming the material of the pipe, e.g. by flanging, rolling by radially expanding the inner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 본체(5)를 포함하는 커넥터(2)에 관한 것이고, 커넥터 본체(5)는 단면에서 볼 때 커넥터(2)의 중앙 종방향 축선(8)을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의 슬리브형 외부 케이싱 섹션(13)을 포함한다. 잠금 요소(6)의 단부 섹션을 수용하기 위해 제공되는 적어도 두 개의 통로(33)가 외부 케이싱 섹션(13)에 형성된다. 잠금 요소(6)는 커넥터(2)를 짝 커넥터(3)에 대해 고정하도록 설계되고, 잠금 요소(6)를 고정하기 위한 유지 요소(38)가 통로(33)들 중 적어도 하나에 배치된다. 유지 요소(38)는 성형 판금으로 설계되고 별도의 유지 요소(38)가 각각의 통로에 제공된다.

Description

액체 또는 가스 매체용 도관들을 연결하는 커넥터
본 발명은 액체 또는 가스 매체용 도관들을 연결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EP 2 360 411 A1로부터 모터 차량용의 일반적인 커넥터가 공지되어 있다. 액체 또는 가스 매체용 도관들을 연결하는 커넥터는 삽입 개구를 구비하는 슬리브를 포함한다. 연결 부재가 삽입 개구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는 그 원주의 적어도 일부분에서 슬리브를 둘러싸는 잠금 스프링을 포함하며, 잠금 스프링은 연결 부재를 커넥터에 끼워 맞춰진 상태에서 잠그기 위한 잠금 위치와, 슬리브에 대해 잠기되 연결 부재와의 잠금 연결은 해제되고 연결 부재가 슬리브의 삽입 개구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해제 위치 사이에서 조정될 수 있다. 잠금 스프링은 적어도 잠금 위치에서 그 길이 방향 연장의 적어도 일부분이 돌출하며, 잠금 위치에서 잠금 스프링은 슬리브가 슬리브를 둘러싸는 내부 공간으로 통과하는 것에 의해 연결 부재에 잠길 수 있다. 또한 잠금 스프링은 슬리브의 유지 오목부 내의 슬리브의 유지 돌기 후방의 잠금 스프링의 적어도 하나의 잠금 위치에서, 잠금 해제 위치로 적소에 잠긴다. 유지 돌기는 슬리브의 축선 방향으로 유지 오목부에 대해 돌출된다.
EP 2 360 411 A1의 커넥터는 구조가 복잡하고 따라서 제조하기가 어렵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단점들을 극복하고, 제조하기가 용이하며 또한 설치 상태에서 잘 작동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은 특허청구범위 청구항 1에 따른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커넥터 본체를 포함하는 모터 차량용 커넥터이며, 커넥터 본체는 단면에서 볼 때 중앙 종방향 축선을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의 슬리브형 외부 케이싱 섹션을 포함한다. 외부 케이싱 섹션에, 잠금 요소의 단부 섹션을 수용하기 위해 제공되는 두 개의 통로가 형성된다. 잠금 요소는 커넥터를 카운터 커넥터에 대해 고정하기 위해 제공되고, 통로들 중 적어도 하나의 통로에 잠금 요소를 고정하기 위한 유지 요소가 배치된다. 유지 요소는 판형부로 설계되고, 양 통로에 대해 별도의 유지 요소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장점은 유지 요소의 대량 생산이 용이하다는 것이다. 특히, 판금 몰딩부로 설계되는 유지 요소는 질량이 최소일 수 있으면서도 높은 강도와 높은 강성을 가질 수 있다. 별도의 유지 요소가 양 통로에 대해 제공되는 사실로 인해, 유지 요소가 커넥터의 커넥터 본체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커넥터 본체가 단면에서 볼 때 커넥터의 중앙 종방향 축선을 둘러싸는 슬리브형 내부 케이싱 섹션과 커넥터의 외부 케이싱 섹션 사이에 놓이는 환형 공간을 포함하고, 내부 케이싱 섹션이 외부 케이싱 섹션에 의해 둘러싸이고, 커넥터 본체의 내부 케이싱 섹션이 제1 단부 섹션에서 제1 단부 벽 섹션에 의해 외부 케이싱 섹션에 연결되고, 케이싱 섹션들이 제2 단부 섹션에서 서로 개방되고, 적어도 두 개의 통로가 내부 케이싱 섹션과 외부 케이싱 섹션 둘 다를 통과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특히, 이런 방식으로 설계된 커넥터 본체가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에 삽입하기에 양호한 기능성을 갖는다.
또한, 유지 요소가 체결 섹션을 포함하며, 이 체결 섹션에 의해 유지 요소가 외부 케이싱 섹션에 배치된 유지 요소 마운트에 형상-끼워맞춤 방식으로 장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유지 요소가 유지 요소 마운트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고, 유지 요소가 커넥터 본체에 용접과 같은 소재-접합 연결에 의해 연결될 필요가 없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커넥터의 조립이 단순해지고 또한 이에 의해 조립 속도가 빨라진다.
또한, 유지 요소가 통로에 걸쳐지는 유지 섹션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유지 요소에 의해 잠금 수단이 커넥터 본체에 유지되는 것이 장점이다.
유지 요소가 체결 섹션의 유지 섹션 반대쪽 측부에 배치되는 지지 섹션을 포함하는 실시예가 또한 유리하다. 지지 섹션은 유지 요소가 커넥터 본체에 대해 회전하지 않게 고정시키는 유지 섹션에 대한 역지지체(counter support)로서 작용할 수 있다. 특히, 체결 섹션의 영역에 있는 유지 요소가 형상-끼워맞춤 연결에 의해 커넥터 본체의 중심 방향으로 커넥터 본체까지 인입되는 것과, 유지 요소가 체결 섹션의 오른쪽 및 왼쪽에 배치되는 유지 섹션의 영역 및 지지 섹션의 영역에서 커넥터 본체에 지지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유지 요소가 커넥터 본체에 정확한 위치에 그리고 회전되지 않게 고정되도록 장착되는 것이 가능하다.
하나의 개선예에 따르면, 유지 요소가 지지 영역에 지지 탭을 포함하고, 이 지지 탭에 의해 유지 섹션이 통로로부터 소정 거리에 배치되고 통로에 걸쳐지는 것이 가능하다. 지지 탭에 의해, 유지 섹션이 통로로부터 특정 거리에 배치되고 이에 따라 잠금 요소가 잠금 위치로부터 해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유지 요소가 고정 섹션의 영역에서 유지 요소 마운트 뒤에 걸리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 노즈를 포함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유지 요소가 형상-끼워맞춤 방식으로 유지 요소 마운트에 장착될 수 있다. 특히, 체결 노즈에 의해, 유지 요소가 유지 요소 마운트에 견고하게 끼워맞춰지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유지 요소가 체결 섹션의 영역에서 대략 중앙에 배치되는 종방향 슬릿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장점은 이렇게 해서 체결 노즈들이 서로를 향해 이동할 수 있어 유지 섹션이 유지 요소 마운트 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유지 요소가 압축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유지 요소가 유지 섹션의 영역에 베벨링을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베벨링의 장점은 체결 섹션이 외측을 향해 테이퍼지고 이에 의해 커넥터 본체의 유지 섹션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는 것이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유지 요소가 체결 섹션의 영역에 탭을 구비하고, 판금이 90° 내지 240°, 특히 140° 내지 210°, 바람직하게는 175° 내지 185°의 각도로 절첩된다. 특히, 이렇게 해서, 유지 요소가 판금 성형부로 일체로 쉐이핑될 수 있다.
본 발명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은 매우 단순화되고 도식적으로 표시되었다.
도 1은 커넥터 조립체의 변형 실시예를 그 4분의 1을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잠금 요소의 영역의 단면을 구비하는 커넥터의 실시예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3은 커넥터의 중앙 종방향 축선을 따르는 단면을 구비하는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커넥터의 분해도이다.
도 5는 잠금 요소가 잠금 위치에 있는 상태의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잠금 요소가 잠금 위치에 있는 상태의 커넥터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잠금 요소가 해제 위치에 있는 상태의 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잠금 요소가 해제 위치에 있는 상태의 커넥터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유지 요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유지 요소의 영역에서 취한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먼저, 다양하게 설명하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동일한 부품들에 동일한 도면부호들과 동일한 명칭을 부여하며, 이에 의해 상세한 설명 전체에서 개시되는 내용이 동일한 도면부호들과 동일한 명칭을 갖는 동일한 부품들에 적용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할 것이다. 또한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되는 위치와 관련된 세부 사항들, 예컨대 상부, 바닥, 측부 등은 현재 설명하고 있는 표시 도면과 관련되는 것이며, 그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에는 새로운 위치로 조정되어야 한다.
도 1은 커넥터(2)를 구비하는 커넥터 조립체(1)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여기서 커넥터는 그 4분의 1이 절개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1은 커넥터 조립체(1)와 연결될 수 있는 카운터 커넥터(3)를 개략적으로 도시하고 있다. 커넥터 조립체(1)와 카운터 커넥터(3) 간의 상호 연결은 AT 509 196 B1에 상세하게 설명되어 있다.
또한, 커넥터(2)가 결합될 수 있는 파이프(4)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파이프는 예를 들어, 플라스틱 파이프와 같은 강성 요소일 수 있다. 다른 변형 실시예에서, 파이프(4)는 고무 소재로부터 가요성 도관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커넥터(2)는 커넥터 본체(5)를 포함하며, 이는 특히 스테인리스 강판으로 만들어지는 딥-드로잉부와 같은 일체 성형부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넥터 조립체(1)는 모터 차량, 특히 자동차(car) 또는 로리(lorry)와 같이 연소 기관을 구비하는 도로용 차량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당연히, 커넥터 조립체(1)가 연소 기관에 따라 달리 사용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이는 예를 들어 커넥터 조립체(1)를 정치식 조립체, 선박의 기관, 항공기 기관, 건설 기계 등에 사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커넥터 조립체(1)는 연소 기관에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는 각기 다른 컴포넌트들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커넥터(2)가 터보차처의 흡기 영역에서 두 개의 부품들을 연결하기 위해 상응하는 카운터 커넥터(3)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예를 들어 두 개의 컴포넌트를 연결하기 위하여 이러한 커넥터 조립체(1)를 터보차처로부터 나오는 압력측에 삽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커넥터(2)의 단면을 도시하는데, 여기서 단면선은 커넥터(2)와 카운터 커넥터(3)를 서로 고정시키기 위해 커넥터(2)에 설치되는 잠금 요소(6)가 보이게 선택된다.
잠금 요소(6)는 쉽게 활성화되고 비활성화되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커넥터(2)와 카운터 커넥터(3)는 필요에 따라 서로 분리되거나 혹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잠금 요소는 잠금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데, 이 위치에서 커넥터(2)와 카운터 커넥터(3)는 서로 고정된다. 또한, 잠금 요소(6)는 해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는데, 이 위치에서 카운터 커넥터(3)가 커넥터(2)에 삽입되거나 혹은 커넥터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도 2에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 요소(7)가 커넥터 본체(5)에 삽입되고, 보강 요소는 커넥터 본체(5)의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보강 요소(7)는 도 2에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 세그먼트로 설계되고, 이에 따라 열린 원주를 구비하는 중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변형 실시예에서, 보강 요소(7)는 슬리브로 설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닫힌 원주를 구비할 수 있다.
도 3은 커넥터(2)의 중앙 종방향 축선(8)을 따르는 커넥터 조립체(1)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3에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2)는 커넥터 본체(5) 옆에 커넥터 씰(9)을 포함할 수 있는데, 씰은 커넥터 본체(5)에 장착된다. 커넥터 씰(9)은 카운터 커넥터(3)가 플러그 인(plugged in)된 커넥터를 충분히 밀폐하는 데 사용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본체(5)에 커넥터(2)의 중앙 종방향 축선(8)을 슬리브처럼 둘러싸는 내부 케이싱 섹션(10)이 형성된다. 달리 말하면, 내부 케이싱 섹션(10)은 회전 대칭인 중공 실린더이다.
내부 케이싱 섹션(10)은 내부 케이싱면(11)과 외부 케이싱면(12)을 포함한다. 외부 케이싱 섹션(13)이 내부 케이싱 섹션(10)을 둘러싸며, 외부 케이싱 섹션도 또한 중앙 종방향 축선(8)에 대해 회전 대칭이도록 설계된다. 내부 케이싱 섹션(8)은 제1 단부 섹션에서 제1 단부 벽 섹션(15)에 의해 외부 케이싱 섹션(13)에 연결된다. 제1 단부 벽 섹션(15)이 다르게 설계될 수 있다. 특히, 제1 단부 벽 섹션(15)은 절첩부의 형태로 설계될 수 있어, 외부 케이싱 섹션(3)이 내부 케이싱 섹션(10)에 대해 약 180°로 절첩되며, 이에 의해 외부 케이싱 섹션(13)이 내부 케이싱 섹션(10)을 둘러싸도록 배치된다.
내부 케이싱 섹션(10)과 같이, 외부 케이싱 섹션(13) 또한 내부 케이싱면(16)과 외부 케이싱면(17)을 포함한다.
내부 케이싱 섹션(10)은 내부 케이싱면(11)과 외부 케이싱면(12)에 의해 획정되고, 이에 의해 내부 케이싱 섹션(10)의 벽두께(18)를 형성한다. 외부 케이싱 섹션(13) 또한 내부 케이싱면(16)과 외부 케이싱면(17)에 의해 획정되고, 이에 의해 외부 케이싱 섹션(13)의 벽두께(19)를 형성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내부 케이싱 섹션(10)은 계단식으로 설계된다. 씰 마운트(20)가 커넥터(2)의 제1 단부 섹션(14) 반대쪽에서 내부 케이싱 섹션(10)에 접하는 것이 가능하며, 씰 마운트 또한 커넥터 본체(5)에 형성된다. 커넥터 씰(9)이 이러한 씰 마운트(20)에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제3 케이싱 섹션(21)이 씰 마운트(200에 접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제3 케이싱 섹션은 외부 케이싱 섹션(13)과 함께 파이프(4)를 수용하기 위한 환형 공간을 형성한다.
외부 케이싱 섹션(13)과 제3 케이싱 섹션(21)은 커넥터(2)의 제2 단부 섹션(23)에서 서로에 대해 개방되어 있고, 이에 의해 커넥터 본체(5)의 파이프 수용측부(24)를 형성한다.
제2 단부 섹션(23)의 영역에 있는 제3 케이싱 섹션(21)이 파이프 수용측부(24)에 형성되는 베벨링(beveling)(25)을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베벨링(25)은 파이프(4) 또는 파이프(4)를 밀폐하기 위해 사용되는 밀폐 요소가 환형 공간(22) 내로 삽입 방향(26)으로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파이프(4)가 또한 용이하게 환형 공간(22)으로 압박되도록 외부 케이싱 섹션(13)이 이러한 베벨링(27)을 가지는 것도 가능하다. 그 후, 두 개의 컴포넌트가 단일 유닛을 형성하도록 파이프(4)가 커넥터 본체(5)와 함께 가압될 수 있다.
베벨링(25, 27)은 예를 들어 상응하는 반경을 갖는 비딩(beading)에 의해 또는 확대부들(widenings)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딥-드로잉(deep-drawing) 공정 중에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커넥터 본체(5)는 딥-드로잉 공정에 의해 제조되고, 커넥터 본체(5)의 케이싱 섹션들의 벽두께들의 크기는 전부 대략 동일하다.
도 3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씰 마운트(20)가 제3 케이싱 섹션(21)과 접하는 단부면 벽(28)을 구비하는 것이 또한 유리할 수 있다. 단부면 벽(28)에 의해, 특히 장착 오목부가 커넥터 씰(9)에 형성될 수 있다.
내부 케이싱 섹션(10)은 외경(30)과 축선 방향 연장(29)을 갖는다. 보강 요소(7)의 내경(31)이 내부 케이싱 섹션(10)의 외경(30)과 대략 동일한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 케이싱 섹션(10)의 영역에서, 커넥터(2)가 수용 공간(32)을 구비한다. 수용 공간(32)은 내부 케이싱 섹션(10)에 의해 둘러싸이고 카운터 커넥터(3)의 일부분을 수용하는 데 사용된다.
커넥터 본체(5)는 내부 케이싱 섹션(10)의 영역에 배치되고 또한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있는 다수의 통로(33)를 포함한다. 잠금 요소가 삽입되어 잠진 상태를 취하는 잠금 요소(6)의 잠금 위치에서, 잠금 요소(6)가 각각의 통로(33)를 통해 수용 챔버(32)로 돌출한다. 상기 섹션들에서, 잠금 요소(6)가 카운터 커넥터(3)의 잠금 어깨부의 잠금면과 상호작용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보강 요소(7)가 통로(33)들 중 하나의 통로에 상응하는 오목부(34)를 포함하고 이에 따라 잠금 요소(6)가 보강 요소(7)를 통해 안내될 수 있다. 특히, 제1 유형의 통로(33') 및 제2 유형의 통로(33")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상응하게, 제1 유형의 오목부(34') 및 제2 유형의 오목부(34")가 형성될 수 있다.
보강 요소(7)의 오목부(34")와 커넥터 본체(5)의 통로(33")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동일한 외형을 가지며 서로 합동이도록 배치된다.
특히 통로(33')와 오목부(34')는 완전히 합동이도록 설계될 수 있고, 이에 의해 공동 통로(35)를 형성한다.
도 2 및 도 3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 본체(5)의 외부 케이싱 섹션(13)에 하나 이상의 비딩(36)이 삽입될 수 있고, 이에 의해 보강 요소(7)가 내부 케이싱 섹션(10)과 외부 케이싱 섹션(13) 사이의 중간 공간에 클램핑될 수 있다. 비딩(36)들에 의해, 보강 요소(7)가 반경 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거나 혹은 필요한 경우 축선 방향으로의 반경 방향 클램핑에 의해 적소에 유지될 수 있다. 비딩(36)들은 또한 외부 케이싱 섹션(13)의 안정성을 증가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커넥터(2)의 개별 컴포넌트들을 도시한 분해도이며, 동일한 도면 번호와 컴포넌트 명칭이 앞서의 도 1 내지 도 3에서와 동일한 부품에 대해 사용된다. 불필요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앞서의 도 1 내지 도 3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한다.
잠금 요소(6)가 예를 들어 4개의 잠금 영역(37)을 포함할 수 있음이 도 4에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고, 이들은 커넥터 본체(5)의 통로(33)들을 관통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잠금 영역(37)들은 내측을 향하는 V자형 요소로 설계될 수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넥터(2)는 또한 유지 요소 마운트(39)에 삽입되고 잠금 요소(6)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유지 요소(38)들을 포함한다.
도 4에서 보강 요소(7)가 미리 사전 제작된 상태로 도시되어 있는데, 보강 요소는 사전에 휘어져 있고 오목부(34)들이 보강 요소(7)에 미리 형성되어 있다. 특히,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 요소(7)는 슬리브 세그먼트로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두 개의 오목부(34")가 슬릿형으로 설계될 수 있는 것이 도시되어 있다. 두 개의 오목부(34')는 상응하는 통로(33')들과 정확히 동일한 외형을 가질 수 있다.
도시하지 않은 변형 실시예에서, 오목부(34)들이 사전 제조된 보강 요소(7)에 만들어지지 않거나 혹은 단지 부분적으로만 형성되고, 보강 요소(7)가 커넥터 본체(5)에 삽입될 때에만 형성되는 것도 또한 가능하다. 여기서, 보강 요소(7)는 삽입된 상태에서 커넥터 본체(5)와 함께 천공(punching)된다.
커넥터 본체(5)를 보강 요소(7)로 보강하기 위하여, 보강 요소(7)는 커넥터 본체(5)보다 높은 강도를 가질 수 있다. 보강 요소(7)가 커넥터 본체와 동일하게 쉐이핑(shaping)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커넥터 본체는 제1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고 보강 요소(7)는 제2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제2 소재는 제1 소재보다 변형성이 낮다.
다음으로, 커넥터(2)를 조립하는 가능한 방법을 설명한다. 제1 방법 단계에서, 커넥터 본체(5)는 평평한 판금 소재로부터 쉐이핑에 의해, 특히 딥-드로잉에 의해 제조된다. 여기서, 딥-드로잉 공정 중에, 커넥터 본체(5)의 원주에 형성되는 오목부들(34, 39)이 천공될 수 있다.
추가 방법 단계에서, 보강 요소(7)가 또한 포밍(forming)에 의해 쉐이핑될 수 있다.
또한, 보강 요소(7)가 미리 커넥터 본체(5)에 배치되는 때에는 통로(33)들 중 적어도 하나 및 이에 상응하는 오목부(34)가 오로지 후속하는 천공 공정에서 제조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해서, 오목부(34)와 통로(33)가 공동 통로(35)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고, 천공 공정에 의해 보강 요소(7)와 커넥터 본체(5)가 쐐기형으로 서로 끼워 맞춰질 수 있으며, 이렇게 해서, 보강 요소(7)의 축선 방향 위치 결정이 개선된다.
대안적인 변형예에서, 커넥터 본체(5)에 배치되기 전에 오목부(34)들이 보강 요소(7)에 삽입되는 것이 가능하다.
추가 방법 단계에서, 보강 요소(7)가 커넥터 본체(5)에 삽입 방향(26)으로 압박되어 커넥터 본체에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보강 요소(7)가 단부 벽 섹션(15)에서 커넥터 본체(5)에 형성되는 절첩 영역(40)에 삽입된다. 이 절첩 영역(40)에 의해, 보강 요소(7)가 삽입될 수 있는 좁은 슬릿이 반경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보강 요소(7)가 절첩 영역(40)에 클램핑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축선 방향 및 반경 방향 위치 결정을 위해 그리고 보강 요소(7)의 고정을 위해 비딩(36)들이 사용될 수 있다. 보강 요소는 커넥터 본체(5)에 미리 삽입될 수 있다. 대안적인 제조 방법에서, 비딩(36)들은 또한 보강 요소를 클램핑하기 위하여 보강 요소(7)를 커넥터 본체(5)에 삽입한 후에 삽입될 수 있다.
추가 방법 단계에서, 잠금 요소(6)가 커넥터 본체(5)에 삽입될 수 있고, 그 뒤에 유지 요소(38)들이 잠금 요소(6)를 커넥터 본체(5)에 고정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잠금 요소(6)는 커넥터 본체(5)에 삽입되어 잠금 위치와 해제 위치 사이에서 이동되기 위하여 파지될 수 있는 유지 영역(41)을 포함한다.
도 5는 잠금 요소(6)가 잠금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커넥터(2)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잠금 위치에 있는 잠금 요소(6)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잠금 요소(6)가 해제 위치에 있는 상태를 도시한 커넥터(2)의 사시도이다.
도 8은 해제 위치에 있는 잠금 요소(6)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은 커넥터(2)의 추가의 그리고 가능한 독립 실시예를 도시하는데, 선행하는 도 1 내지 도 4와 동일한 부품들에 대해 동일한 부품 명칭 및 컴포넌트 명칭이 사용된다. 불필요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선행하는 도 1 내지 도 4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참조한다.
잠금 요소(6)의 잠금 위치가 도 5 및 도 6 전체에 특히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다. 잠금 요소(6)가 잠금 위치에 있을 때, 잠금 영역(37)들은 수용 공간(32)으로 돌출되고, 카운터 커넥터(3)가 커넥터(2)에 대해 축선 방향으로 고정된다. 잠금 요소(6)가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잠금 영역(37)들은 수용 공간(32)으로 돌출되지 않고, 카운터 커넥터(3)는 커넥터(2)에 대해 축선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목부(34)는 보강 요소(7)에 슬릿형으로 설계될 수 있고, 슬릿의 폭은 잠금 요소(6)의 직경에 대략 상응한다. 이렇게 해서 잠금 요소가 축선 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다.
유지 영역(41)에 있는 잠금 요소(6)가 반경 방향으로 커넥터(2)의 종방향 축선으로부터 멀어지게 당겨지면, 잠금 요소(6)의 기하학적 형상으로 인해 잠금 영역(37)들이 수용 공간(32)으로부터 제거된다. 특히, 잠금 요소(6)는 도 7 및 도 8에 따른 해제 위치로 이동될 때까지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된다.
해제 위치에 도달하기 조금 전에, 잠금 요소(6)의 안내 핀(42)이 유지 요소(38)와 접촉되고, 잠금 요소가 해제 위치로 이동하도록 유지 요소에 의해 축선 방향으로 휘어진다. 특히, 유지 요소(38)에 베벨링(43)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베벨링에 의해 유지 영역(41)에 반경 방향 장력이 가해지면서 잠금 요소(6)로의 축선 방향 이동이 도입된다. 축선 방향 변위가 완료된 후에 잠금 요소(6)가 해제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안내 핀(42)이 커넥터 본체(5) 위에 지탱되거나 혹은, 도 8에 특히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 요소(7) 위에 지탱되고, 이에 따라 잠금 요소(6)가 사전 인장되는 해제 위치에 남아 있게 된다.
잠금 요소(6)를 해제 위치로부터 잠금 위치로 다시 이동시키기 위하여, 잠금 요소(6)가 축선 방향으로 약간 변위될 수 있고, 잠금 요소(6)가 오목부(34')들에 들어갈 수 있게 되자마자 잠금 요소(6)의 사전 응력으로 인해 잠금 요소(6)가 잠금 위치로 자동으로 되돌아간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가능한 변형 실시예들을 도시하며, 이 점에서 본 발명이 특히 도시된 변형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오히려 개별 변형 실시예들의 여러 가지 다양한 조합들이 또한 가능하고 이러한 가변성은 기술적 절차에 대해 설명하는 것으로 인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능력 범위 내에 있음을 알아야 할 것이다.
도 9는 유지 요소(38)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0은 유지 요소의 영역에서 취한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9와 도 10은 커넥터(2)의 추가의 그리고 가능한 독립 실시예를 도시하며, 동일한 도면 번호와 컴포넌트 명칭이 앞서의 도 1 내지 도 8에서와 동일한 부품에 대해 사용된다. 불필요한 반복을 피하기 위해 도 1 내지 도 8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한다.
유지 요소의 기능과 그 구조는 도 7, 도 8, 도 9, 도 10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내용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유지 요소(38)는 바람직하게는 판금 성형부로 설계되고, 따라서 일정한 벽두께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유지 효소(38)는 일체로 설계된다.
특히, 유지 요소(38)가 탭(45)의 형태로 설계되는 체결 섹션(44)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체결 요소(44)는 커넥터 본체(5)의 유지 요소 마운트(39)에 삽입될 수 있다.
특히, 유지 요소(38)의 종방향 연장에서 볼 때, 유지 섹션(46)이 제1 종방향 단부에 형성되고, 이 유지 섹션은 통로(33')에 걸쳐지며 요소(6)를 고정하는 데 사용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체결 섹션(44)은 유지 섹션(46)에 바로 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체결 섹션(44)이 탭(45)에 의해 형성될 수 있고, 이에 의해 판금이 90° 내지 240°, 특히 140° 내지 210°, 바람직하게는 175° 내지 185°의 각도로 절첩된다.
유지 섹션(46) 반대쪽에 있는 탭(45)의 측부에 지지 섹션(48)이 형성된다. 지지 섹션(48)은 유지 섹션(46)에 대한 역지지(counter support)를 제공하기 위해 특히 사용된다. 지지 섹션(48)에 의해, 유지 섹션(46) 내의 유지 요소(38)로 도입되는 토크가 흡수될 수 있다.
또한, 유지 섹션(46)이 지지 영역(49)에서 커넥터 본체(5)에 지탱될 수 있고, 유지 섹션(46)이 커넥터 본체(5)로부터 소정 거리(51) 떨어져 위치될 수 있게 하는 지지 탭(50)이 형성되는 것이 가능하다. 지지 탭(50)은 예를 들어 유지 섹션(46)과 직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8에 특히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 섹션(46)은 유지 요소(38)가 설치된 상태에서 외부 케이싱 섹션(13)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지지 섹션(48)은 외부 케이싱 섹션(13)에 대해 지지 각도(52)로 배치될 수 있다. 지지 영역(53)에서, 지지 섹션(48)은 외부 케이싱 섹션(13) 위에 지탱된다.
도 9 및 도 10에 명확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 요소(38)는 두 종방향 측부들에 각각 체결 섹션(44)의 영역에 있는 체결 노즈(54)를 포함할 수 있고, 체결 노즈는 체결 섹션(44)에 대해 돌출하도록 설계된다. 바람직하게는 체결 노즈(54)는 유지 요소 마운트(9)의 영역에서 커넥터 본체(5)의 외부 케이싱 섹션(13) 뒤에 형상-끼워맞춤 방식으로 걸리도록 설계되고, 이에 따라 유지 요소(38)는 커넥터 본체(5)에 형상-끼워맞춤 방식으로 체결되는 것을 보장한다.
바람직하게는, 유지 요소(38)는 설치 위치에서 그 탄성 및 체결 섹션(44)과 유지 섹션(46) 또는 지지 섹션(48) 간의 탄력성으로 인해 사전 인장되도록 설계된다. 이렇게 해서 유지 요소(38)가 커넥터 본체(5)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유지 요소(38)를 커넥터 본체(5)에 삽입하기 위하여, 유지 요소(38)의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종방향 슬릿(55)이 유지 요소(38)에 형성될 수 있다. 종방향 슬릿(55)은 특히 체결 섹션(44)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유지 요소(38)가 종방향 슬릿을 구비함에 따라, 종방향 슬릿이 폭(56)에 대해 함께 가압될 수 있어 유지 요소(38)를 유지 요소 마운트(39)에 삽입할 수 있다. 특히, 이렇게 해서 체결 노즈들이 유지 요소 마운트(9)의 개구를 통해 안내되고 유지 요소(38)의 탄성 복원 후에 유지 요소 마운트 뒤에 형상-끼워맞춤 방식으로 걸릴 수 있도록 체결 노즈(54)들이 내측을 향해 가압될 수 있다.
유지 요소(38)를 체결 섹션(44)의 영역에서 유지 요소 마운트(39)에 보다 용이하게 삽입하기 위하여, 삽입 베벨링(57)이 형성될 수 있다. 이 삽입 베벨링(57)에 의해, 유지 요소(38)가 유지 요소 마운트(39)로 가압될 때 그 폭(56)이 압축될 수 있다. 이렇게 해서, 유지 요소(38)의 유지 요소 마운트(39)로의 삽입 과정이 용이해진다.
보호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진다. 특허청구범위를 해석하기 위해서는 상세한 설명과 도면을 참조해야 한다. 도시하고 설명한 여러 가지 다양한 실시예들의 개별 피처들 또는 피처들의 조합들은 본 발명에 따른 독립적인 해결책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독립적인 해결책들에 의해 처리되는 문제는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다.
본 상세한 설명 내의 값의 범위와 관련된 세부 사항들 전부는 그 값의 범위가 임의의 그리고 모든 부분 범위들을 포함하도록 정의된다. 예컨대, 1 내지 10의 범위는 1의 하한으로부터 시작해서 10의 하한까지의, 즉 1 이상의 하한으로 시작해서 10 이하의 상한으로 끝나는, 예컨대 1 내지 1.7, 또는 3.2 내지 8.1 또는 5.5 내지 10의 모든 부분 범위들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형식적인 측면에서, 구조를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일부 요소들이 부분적으로 축척에 맞추어서 도시되지 않았고 그리고/또는 그 크기가 확대되었고 그리고/또는 축소되었음을 알아야 한다.
1: 커넥터 조립체 2: 커넥터
3: 카운터 커넥터 4: 파이프
5: 커넥터 본체 6: 잠금 요소
7: 보강 요소 8: 커넥터의 종방향 축선
9: 커넥터 씰 10: 내부 케이싱 섹션
11: 내부 케이싱면 12: 외부 케이싱면
13: 외부 케이싱 섹션 14: 커넥터의 제1 단부 섹션
15: 단부 면 섹션 16: 내부 케이싱면
17: 외부 케이싱면 18: 제1 케이싱 섹션의 벽두께
19: 제2 케이싱 섹션의 벽두께 20: 커넥터의 씰 마운트
21: 제3 케이싱 섹션 22: 환형 공간
23: 커넥터의 제2 단부 섹션 24: 파이프 수용측부
25: 베벨링 26: 삽입 방향
27: 베벨링 28: 씰 마운트의 단부 벽
29: 제1 케이싱 섹션의 축선 방향 연장
30: 제1 케이싱 섹션의 외경 31: 내경
32: 수용 공간 33: 통로
34: 오목부 35: 공동 통로
36: 비딩 37: 잠금 영역
38: 유지 요소 39: 유지 요소 마운트
40: 절첩 영역 41: 유지 영역
42: 안내 핀 43: 베벨링
44: 체결 섹션 45: 탭
46: 유지 섹션 47: 각도
48: 지지 섹션 49: 유지 섹션의 지지 영역
50: 지지 탭 51: 거리
52: 지지 각도 53: 지지 섹션의 지지 영역
54: 체결 노즈 55: 종방향 슬릿
56: 폭 57: 삽입 베벨링

Claims (10)

  1. 액체 매체 또는 가스 매체용 도관들을 연결하는 커넥터(2)로, 커넥터 본체(5)를 포함하고, 커넥터 본체(5)는 단면에서 볼 때 중앙 종방향 축선(8)을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의 슬리브형 외부 케이싱 섹션(13)을 포함하는 커넥터에 있어서,
    외부 케이싱 섹션(13)에, 잠금 요소(6)의 단부 섹션을 수용하기 위해 제공되는 두 개의 통로(33')가 형성되고, 잠금 요소(6)는 커넥터(2)를 카운터 커넥터(3)에 대해 고정하기 위해 제공되고,
    두 개의 통로(33')의 영역에 잠금 요소(6)를 고정하기 위한 유지 요소(38)가 배치되고,
    유지 요소(38)는 판형부로 구성되며, 양 통로(33')에 대해 별도의 유지 요소(38)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커넥터 본체(5)가 단면에서 볼 때 커넥터(2)의 중앙 종방향 축선(8)을 둘러싸는 슬리브형 내부 케이싱 섹션(10)과 커넥터(2)의 외부 케이싱 섹션(13) 사이에 놓이는 환형 공간(22)을 포함하고,
    내부 케이싱 섹션(10)이 외부 케이싱 섹션(13)에 의해 둘러싸이고, 커넥터 본체(5)의 내부 케이싱 섹션(10)이 제1 단부 섹션(14)에서 제1 단부 벽 섹션(15)에 의해 외부 케이싱 섹션(13)에 연결되고, 케이싱 섹션들(10, 13)은 제2 단부 섹션(23)에서 서로 개방되고,
    적어도 두 개의 통로(33)가 내부 케이싱 섹션(10)과 외부 케이싱 섹션(13) 둘 다를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유지 요소(38)가 체결 섹션(44)을 포함하며, 이 체결 섹션에 의해 유지 요소(38)가 외부 케이싱 섹션(13)에 배치된 유지 요소 마운트(39)에 형상-끼워맞춤 방식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유지 요소(38)가 통로(33')에 걸쳐지는 유지 섹션(46)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유지 요소(38)가 체결 섹션(44)의 유지 섹션(46) 반대쪽 측부에 배치되는 지지 섹션(4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유지 섹션(46)이 지지 영역(49)에 지지 탭(50)을 포함하고, 이 지지 탭에 의해 유지 섹션(46)이 통로(33')로부터 소정 거리(51)에 배치되고 통로에 걸쳐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유지 요소(38)가 체결 섹션(44)의 영역에서 유지 요소 마운트 뒤에 걸리는 적어도 하나의 체결 노즈(54)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유지 요소(38)가 체결 섹션(44)의 영역의 대략 중앙에 배치되는 종방향 슬릿(5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9.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청구항에 있어서,
    유지 요소(38)가 유지 섹션(46)의 영역에 베벨링(4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0. 선행하는 청구항들 중 어느 한 청구항에 따른 커넥터에 있어서,
    유지 요소(38)가 체결 섹션(44)의 영역에 탭(45)을 구비하고, 판금이 90° 내지 240°, 특히 140° 내지 210°, 바람직하게는 175° 내지 185°의 각도로 절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KR1020187012890A 2015-10-07 2016-10-03 액체 또는 가스 매체용 도관들을 연결하는 커넥터 KR1026283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A50856/2015 2015-10-07
ATA50856/2015A AT517085B1 (de) 2015-10-07 2015-10-07 Steckverbinder zum Verbinden von Leitungen für flüssige oder gasförmige Medien
PCT/EP2016/073541 WO2017060185A1 (de) 2015-10-07 2016-10-03 Steckverbinder zum verbinden von leitungen für flüssige oder gasförmige medi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9631A true KR20180099631A (ko) 2018-09-05
KR102628364B1 KR102628364B1 (ko) 2024-01-24

Family

ID=57104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2890A KR102628364B1 (ko) 2015-10-07 2016-10-03 액체 또는 가스 매체용 도관들을 연결하는 커넥터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0641162B2 (ko)
EP (1) EP3359863B1 (ko)
JP (2) JP7083751B2 (ko)
KR (1) KR102628364B1 (ko)
CN (1) CN108139005B (ko)
AT (1) AT517085B1 (ko)
BR (1) BR112018005507B1 (ko)
ES (1) ES2905528T3 (ko)
MX (1) MX2018002914A (ko)
RU (1) RU2723647C2 (ko)
WO (1) WO201706018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516151B1 (de) * 2015-03-03 2016-03-15 Henn Gmbh & Co Kg Steckverbinderbaugruppe zum Verbinden von Leitungen
AT517085B1 (de) * 2015-10-07 2016-11-15 Henn Gmbh & Co Kg Steckverbinder zum Verbinden von Leitungen für flüssige oder gasförmige Medien
KR20220070318A (ko) * 2019-10-10 2022-05-30 외티커 슈비츠 아게 신속 연결부
DE102019216782A1 (de) 2019-10-30 2021-05-06 Contitech Mgw Gmbh Fluidleitungskupplung
DE102019218733A1 (de) * 2019-12-03 2021-06-10 Contitech Mgw Gmbh Steckkupplung für Fluidleitung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60411B1 (de) * 2010-02-12 2013-04-17 Henn GmbH & Co.KG Steckverbinder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88705A (en) * 1993-05-24 1999-11-23 Pilot Industries, Inc. Quick connect coupling
DE19522690A1 (de) * 1995-06-22 1997-01-02 Henn Gmbh & Co Kg Steckverbindung für den Anschluß von Rohr- und Schlauchleitungen
DE10346712B4 (de) * 2003-10-08 2006-02-02 Henn Gmbh & Co. Kg Steckverbindung für Rohr- und Schlauchleitungen mit Rastfederführung
DE10347929A1 (de) * 2003-10-15 2005-05-19 Henn Gmbh & Co. Kg Steckverbindung für Rohr- und Schlauchleitungen mit verstärktem Materialquerschnitt
DE102004016599B3 (de) * 2004-04-03 2005-09-08 Henn Gmbh & Co. Kg Steckverbindung mit Winkelarretierung
DE102004019800A1 (de) 2004-04-23 2005-11-24 Henn Gmbh & Co. Kg Steckverbindung mit einem Formdichtring
DE102004019799A1 (de) * 2004-04-23 2005-11-17 Henn Gmbh & Co. K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Steckverbindung und Steckverbindung
US20080191481A1 (en) * 2005-04-13 2008-08-14 Henn Gmbh & Co. Kg Method for Production of a Plug Connection and a Plug Connection
DE102005050490A1 (de) * 2005-10-21 2007-04-26 Henn Gmbh & Co. Kg Steckverbindung an Rohren und Schläuchen mit einem Rohrrastring
WO2009094679A1 (de) 2008-01-28 2009-08-06 Henn Gmbh & Co Kg. Steckverbindung zum verbinden von kühlwasserleitungen für verbrennungsmotoren
DE102008027204B4 (de) 2008-06-06 2017-04-13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Schlauchkupplung
AT509561B1 (de) 2010-03-04 2012-07-15 Henn Gmbh & Co Kg Verfahren bei dem ein leitungsverbinder, insbesondere steckverbinder, von einer befestigungsvorrichtung an einer leitung für flüssige und/oder gasförmige medien befestigt wird
AT509196B1 (de) 2010-03-12 2011-07-15 Henn Gmbh & Co Kg Verfahren zum verbinden eines endabschnitts einer leitung für flüssige oder gasförmige medien mit einem steckverbinder
AU2011253874A1 (en) * 2010-12-13 2012-06-28 Denso Automotive Systems Australia Pty Ltd Duct connector
AT512397B1 (de) 2012-05-07 2013-08-15 Henn Gmbh & Co Kg Steckverbindung zum Verbinden von Leitungen für unter Druck gesetzte Flüssigkeiten oder Gase
JP6147210B2 (ja) 2014-03-17 2017-06-14 株式会社ニフコ 管状体のロック機構
BR112016022346B1 (pt) * 2014-04-24 2021-04-13 Henn Gmbh & Co Kg. Módulo de conectores, veículo e processo para unir uma seção de união de um tubo para fluidos líquidos ou gasosos com um conector de plugue
JP6168559B2 (ja) * 2014-08-07 2017-07-26 株式会社ニフコ 管状体のロック機構
AT516151B1 (de) * 2015-03-03 2016-03-15 Henn Gmbh & Co Kg Steckverbinderbaugruppe zum Verbinden von Leitungen
AT516707B1 (de) * 2015-05-06 2016-08-15 Henn Gmbh & Co Kg Verfahren zum Verbinden eines Rohres, für flüssige oder gasförmige Medien, mit einem Steckverbinder
AT516939B1 (de) * 2015-10-07 2016-10-15 Henn Gmbh & Co Kg Steckverbinder zum Verbinden von Leitungen für flüssige oder gasförmige Medien
AT517085B1 (de) * 2015-10-07 2016-11-15 Henn Gmbh & Co Kg Steckverbinder zum Verbinden von Leitungen für flüssige oder gasförmige Medien
FR3077615B1 (fr) * 2018-02-02 2020-02-21 Hutchinson Dispositif de raccordement fluidiqu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360411B1 (de) * 2010-02-12 2013-04-17 Henn GmbH & Co.KG Steckverbin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299051A1 (en) 2018-10-18
RU2018116412A3 (ko) 2020-02-06
AT517085B1 (de) 2016-11-15
BR112018005507B1 (pt) 2022-02-08
JP2021113617A (ja) 2021-08-05
RU2018116412A (ru) 2019-11-07
CN108139005B (zh) 2020-04-14
EP3359863B1 (de) 2021-11-24
BR112018005507A2 (ko) 2018-10-02
EP3359863A1 (de) 2018-08-15
CN108139005A (zh) 2018-06-08
ES2905528T3 (es) 2022-04-11
KR102628364B1 (ko) 2024-01-24
WO2017060185A1 (de) 2017-04-13
AT517085A4 (de) 2016-11-15
JP2018529907A (ja) 2018-10-11
US10641162B2 (en) 2020-05-05
JP7083751B2 (ja) 2022-06-13
MX2018002914A (es) 2018-06-07
RU2723647C2 (ru) 2020-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99631A (ko) 액체 또는 가스 매체용 도관들을 연결하는 커넥터
KR20180099630A (ko) 액체 또는 가스 매체용 도관들을 연결하는 커넥터
US20190001245A1 (en) Filter device
US5724946A (en) Fuel rail and injector assembly
JP6502963B2 (ja) コネクタアセンブリ
US20180328525A1 (en) Quick connect coupling with verifier
JP5797690B2 (ja) フィラーパイプの取付方法及びフィラーパイプの取付構造
KR102122882B1 (ko) 유체 라인을 위한 커넥터
US20140326223A1 (en) Fluid line coupling
US11204008B2 (en) Fuel injection assembly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1945060B1 (ko) 자동차 조립 유닛 및 자동차 조립 유닛의 제조 방법
US10669975B2 (en) Filter element and associated filter apparatus
JP3922313B2 (ja) 燃料配管又は一般の流体配管の組付接続インジケータ
US20080169649A1 (en) Flange coupling of two pipes, in particular the pipes of an exhaust system of a motor vehicle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5093065B2 (ja) デリバリパイプ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0927743B2 (en) Device for exhaust system of vehicle
US20240110652A1 (en) Mating connector for connecting components for liquid or gaseous media, and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 for producing such a mating connector
CN114365357A (zh) 插头组件以及用于制造插头组件的方法
JP3993611B2 (ja) 燃料分配管への燃料噴射弁の取付け構造及びその取付け方法
JP2005199885A (ja) 合成樹脂中空体、自動車用燃料タンク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20194946A1 (ja) グロメット
JP2009120049A (ja) 燃料タンクのニップル取付構造
US20070095840A1 (en) Fastening device
US20190264734A1 (en) Ball joint
JP2005029100A (ja) 自動車用燃料タンクのニップル取付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