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5283B1 - 연료 주입부 구조가 개선된 필러넥 장치 - Google Patents

연료 주입부 구조가 개선된 필러넥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5283B1
KR102145283B1 KR1020180146696A KR20180146696A KR102145283B1 KR 102145283 B1 KR102145283 B1 KR 102145283B1 KR 1020180146696 A KR1020180146696 A KR 1020180146696A KR 20180146696 A KR20180146696 A KR 20180146696A KR 102145283 B1 KR102145283 B1 KR 1021452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ler neck
gun insertion
neck housing
insertion hole
oil gu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6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1206A (ko
Inventor
도영재
김건우
장성천
김재만
Original Assignee
삼보모터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보모터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보모터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6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5283B1/ko
Publication of KR20200061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1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5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5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328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 B60K2015/03447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for improving the sea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2015/03328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 B60K2015/03453Arrangements or special measures related to fuel tanks or fuel handling for fixing or mounting parts of the fuel tank toge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4Tank inlets
    • B60K2015/0458Details of the tank inl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 주입부 구조가 개선된 필러넥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연료탱크에 연결되는 메인파이프 상부에 구비된 필러넥 하우징; 상기 필러넥 하우징에 수용되는 리테이너; 상기 필러넥 하우징 상부에 결합되고,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부를 갖는 주유건 삽입구; 상기 필러넥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주유건 삽입구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주유건 삽입구의 결합부에 상응하는 대응결합부를 갖는 고정구; 및 상기 주유건 삽입구에 연결되어 차량에 장착되는 장착브래킷;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주유건 삽입구의 결합부는 상기 고정구의 대응결합부가 절곡되고 압착되어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연료탱크에 연결되는 메인파이프를 안정적으로 차량에 장착하기 위해 필러넥 하우징, 리테이너, 주유건 삽입구, 고정구 및 장착브래킷으로 구성되고, 특히 필러넥 하우징에 결합되는 주유건 삽입구와 고정구간의 결합력을 높임으로써 메인파이프 장체 하중이나, 운행 중 진동으로부터 메인파이프의 이탈 및 분리를 방지하며, 증발가스, HC 가스 등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연료 주입부 구조가 개선된 필러넥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연료 주입부 구조가 개선된 필러넥 장치{Filler nect device with improved fuel injection structure}
본 발명은 연료탱크에 연결되는 메인파이프를 안정적으로 차량에 장착하기 위해 필러넥 하우징, 리테이너, 주유건 삽입구, 고정구 및 장착브래킷으로 구성되고, 특히 필러넥 하우징에 결합되는 주유건 삽입구와 고정구간의 결합력을 높임으로써 메인파이프 장체 하중이나, 운행 중 진동으로부터 메인파이프의 이탈 및 분리를 방지하며, 증발가스, HC 가스 등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는 연료 주입부 구조가 개선된 필러넥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엔진의 연소에 필요한 연료를 저장하는 연료탱크가 구비되고, 연료탱크는 주유관과 연결되며, 주유관 끝에는 연료 주유구를 지칭하는 차량 연료 필러넥(Fuel Filler Neck)이 구비되어 연료를 급유할 수 있다.
또한 필러넥 장치는 연료탱크에 연결되는 파이프를 차량에 고정시키기 위해 다양한 장착방식들이 도입되고 있다. 예컨대 필러넥 하우징과 주유건 삽입구에 서로 대응하도록 돌기와 홀을 형성하여 결합하는 형태로 체결하는 등 다양한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특히 도 4에는 파이프(100)를 차량에 장착하기 위해 브래킷(200)과 연결된 연결구(300)가 구비되고, 연결구(300)에 파이프(100)가 장착되어 브래킷(200)에 의하여 차량에 장착되는 구조를 예시하고 있다.
이 경우 파이프(100)와 연결구(300)간의 결합은 파이프에 돌출부(110)가 형성되고, 연결구(300)에는 다수 지점을 절개하여 걸림부(310)를 형성하여 걸림부(310)를 코킹(caulking) 공정을 통해 연결구의 걸림부(310)가 파이프의 돌출부(110)에 걸리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필러넥 장치는 일정 이상의 하중을 갖게 되고, 필러넥 장치는 차량의 운행 중 발생하는 진동에 의하여 유동이 가능하게 된다. 즉 필러넥 장치는 자체 하중 뿐만 아니라, 차량의 진동에 의한 영향을 받게 된다.
이 경우 코킹작업에 의한 결합으로 형성된 파이프의 돌출부(110)와 연결구의 걸림부(310)간의 결합부위는 필러넥 장치의 유동으로 필러넥 장치의 자체 하중에 의하여 취약하게 된다. 따라서 파이프(100)와 연결구(300)간의 결합부위가 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구(300)로부터 파이프(100)가 이탈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파이프(100)와 연결구(300)간의 연결부위 중 일부분이 분리되는 경우에도 파이프(100)로부터 연결구(300)가 들떠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파이프(100)와 연결구(300)가 불완전하게 결합되는 경우에 파이프(100)와 연결구(300) 사이에 들뜬 공간으로 증발가스, HC(탄화수소) 가스 등과 같은 배출가스가 누설될 염려가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 즉, 자체 하중을 갖는 파이프가 차량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증발가스 등의 누설 염려가 없는 필러넥 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95235호(2017.11.01. 등록)
이에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연료탱크에 연결되는 메인파이프를 안정적으로 차량에 장착하기 위해 필러넥 하우징, 리테이너, 주유건 삽입구, 고정구 및 장착브래킷으로 구성되고, 특히 필러넥 하우징에 결합되는 주유건 삽입구와 고정구간의 결합력을 높임으로써 메인파이프 장체 하중이나, 운행 중 진동으로부터 메인파이프의 이탈 및 분리를 방지하며, 증발가스, HC 가스 등의 누설을 방지하고자 하는 것을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주유건 삽입구와 고정구간에 시밍(seaming) 공정을 통하여 결합력을 높이고, 동시에 필러넥 하우징과 주유건 삽입구간의 결합구조, 필러넥 하우징과 고정구간의 결합구조를 추가적으로 개선함으로써 연료 주입부 결합구조의 신뢰성을 높이고자 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필러넥 하우징과 주유건 삽입구, 필러넥 하우징과 리테이너의 조립 후, 주유건 삽입구와 리테이너의 유동이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유동방지부를 도입함으로써 각 구성간의 안정적인 결합을 확보하고자 하는 것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주입부 구조가 개선된 필로넥 장치는 연료탱크에 연결되는 메인파이프 상부에 구비된 필러넥 하우징; 상기 필러넥 하우징에 수용되는 리테이너; 상기 필러넥 하우징 상부에 결합되고,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부를 갖는 주유건 삽입구; 상기 필러넥 하우징에 결합되어 상기 주유건 삽입구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주유건 삽입구의 결합부에 상응하는 대응결합부를 갖는 고정구; 및 상기 주유건 삽입구에 연결되어 차량에 장착되는 장착브래킷;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주유건 삽입구의 결합부는 상기 고정구의 대응결합부가 절곡되고, 압착되어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필러넥 하우징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주유건 삽입구의 결합부를 받치는 지지부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구에는 상기 지지부 하부에 의하여 지지되는 단턱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필러넥 하우징 및 상기 주유건 삽입구는 상기 주유건 삽입구의 유동 및 회전방지를 위해 서로 대응하는 제1 유동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필러넥 하우징 및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리테이너의 유동 및 회전방지를 위한 제2 유동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리테이너 상단은 외측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필러넥 하우징 상단면에 얹히는 피가압부가 구비되고, 상기 주유건 삽입구는 상기 필러넥 하우징과 결합 시, 상기 리테이너의 피가압부 상단면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필러넥 하우징 외측부에는 수용홈이 형성되고, 상기 필러넥 수용홈에는 밀페부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주입부 구조가 개선된 필러넥 장치는 연료탱크에 연결되는 메인파이프를 안정적으로 차량에 장착하기 위해 필러넥 하우징, 리테이너, 주유건 삽입구, 고정구 및 장착브래킷으로 구성되고, 특히 필러넥 하우징에 결합되는 주유건 삽입구와 고정구간의 결합력을 높임으로써 메인파이프 장체 하중이나, 운행 중 진동으로부터 메인파이프의 이탈 및 분리를 방지하며, 증발가스, HC 가스 등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주유건 삽입구와 고정구간에 시밍(seaming) 공정을 통하여 결합력을 높이고, 동시에 필러넥 하우징과 주유건 삽입구간의 결합구조, 필러넥 하우징과 고정구간의 결합구조를 추가적으로 개선함으로써 연료 주입부 결합구조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필러넥 하우징과 주유건 삽입구, 필러넥 하우징과 리테이너의 조립 후, 주유건 삽입구와 리테이너의 유동이나 회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유동방지부를 도입함으로써 각 구성간의 안정적인 결합을 확보하여 장치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주입부 구조가 개선된 필러넥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필러넥 장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필러넥 장치를 나타내는 결합단면도.
도 4는 종래의 연료 주입부 구조를 나타내는 사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연료 주입부 구조가 개선되 필러넥 장치는 연료탱크와 연결되는 메인파이프(1)에 형성된 필러넥 하우징(10)과, 리테이너(20), 필러넥 하우징(10)과 결합되는 주유건 삽입구(30)와, 필러넥 하우징(10)에 연결되는 상기 주유건 삽입구(30)와 결합되는 고정구(40)와, 주유건 삽입구(30)에 연결되어 차량에 장착되는 장착브래킷(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필러넥 하우징(10)은 연료탱크에 연결되는 메인파이프(1)가 하단에 연결되고, 측부에는 에어드레인구(2)가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필러넥 하우징(10)은 중공 형태의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져 리테이너(20)가 수용되는 중공부(11)가 구비되고, 필러넥 하우징(10)의 상부에는 리테이너(20), 주유건 삽입구(30) 및 고정구(40)간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위(14)가 형성된다.
아울러 필러넥 하우징(10)의 결합부위(14) 외측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수용홈(13)이 형성되고, 이 수용홈(13)에는 밀폐부재(60)가 장착된다. 필러넥 하우징(10)에 장착된 밀폐부재(60), 즉 오링은 후술할 주유건 삽입구(30)의 결합 시, 주유건 삽입구(30) 내측면에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리테이너(20)는 필러넥 하우징(10)의 중공부(11)에 삽입된다. 이때 리테이너(20) 상단에는 외측방향으로 절곡되어 돌출된 피가압부(21)이 구비되는데, 이 피가압부(21)은 리테이너(20)가 필러넥 하우징(10)에 삽입 시, 필러넥 하우징(10)의 상단면에 안치된다. 이렇게 필러넥 하우징(10)에 안치된 리테이너(20)의 피가압부(21)은 후술할 주유건 삽입구(30)와 필러넥 하우징(10)간의 결합 시, 주유건 삽입구(30)에 의하여 가압되어 필러넥 하우징(10)에 고정된다.
또한 리테이너(20)가 필러넥 하우징(10)에 삽입 장착된 후, 리테이너(20)가 유동 또는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필러넥 하우징(10)과 리테이너(20)에는 제2 유동방지부(FP2)가 형성된다. 제2 유동방지부(FP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러넥 하우징(10)에는 상단면이 절개되어 형성된 제2 유동방지홈(16)와, 리테이너(20)의 피가압부(21) 하부에 형성되는 제2 유동방지돌기(22)로 구성된다. 따라서 필러넥 하우징(10)과 리테이너(20)간의 결합 시, 리테이너(20)의 제2 유동방지돌기(22)가 필러넥 하우징(10)의 제2 유동방지홈(16)에 삽입됨으로써 필러넥 하우징(10)과 리테이너(20)가 조립된 후 리테이너(20)가 유동하거나 또는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첨부된 도 2에는 필러넥 하우징(10)에는 제2 유동방지홈(16)이 형성되고, 리테이너(20)에는 제2 유동방지돌기(22)가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반대로 필러넥 하우징에 제2 유동방지돌기가 형성되고, 리테이너에 제2 유동방지홈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유건 삽입구(30)는 주유건이 삽입되는 부분으로 전체적으로 원통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스테인리스 스틸 계열 등과 같은 소재로 제작된다.
본 발명에 따른 주유건 삽입구(30)는 상대적으로 지름이 작은 상부부재(30A)와, 상부부재(30A)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지름이 큰 하부부재(30B)로 구성된다. 상부부재(30A)에는 주유캡의 장착 및 고정을 위한 잠금부(31)가 형성되고, 하부부재(30B) 하단에는 외측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결합부(32)가 형성된다. 상부부재(30A)와 하부부재(30B)의 연결부위에는 단턱진 형태의 가압부(33)가 형성된다.
먼저 필러넥 하우징(10)에 결합되는 순서에 따라 리테이너(20)가 필러넥 하우징(10)에 장작되면, 전술한 바와 같이 리테이너(20)의 피가압부(21)은 필러넥 하우징(10)의 상단면에 안치된다. 다음으로 필러넥 하우징(10)에 주유건 삽입구(30)가 결합되는데, 보다 자세하게는 필러넥 하우징(10)의 결합부위(14)가 주유건 삽입구(30)가 삽입된다. 이때 주유건의 삽입구의 가압부(33) 하면이 리테이너(20)의 피가압부(21) 상면에 접촉된다. 이 상태에서 주유건의 삽입구와 고정구(40)와 완전히 결합되면 주유건 삽입구(30)의 가압부(33)와 필러넥 하우징(10)의 상단면 사이에 배치된 리테이너(20)의 피가압부(21)은 가압되면서 필러넥 하우징(10)에 리테이너(20)가 안정적으로 고정된다.
다음으로 주유건 삽입구(30)의 결합부(32)와 고정구(40)의 대응결합부(41)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는데, 이는 고정구(40)를 설명하는 부분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필러넥 하우징(10)과 주유건 삽입구(30)에는 제2 유동방지부(FP2)(FP1)가 형성되어 필러넥 하우징(10)과 주유건 삽입구(30)간의 결합 후, 주유건 삽입구(30)가 유동하거나,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를 위한 제2 유동방지부(FP2)(FP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러넥 하우징(10)의 결합부위(14) 하부에 돌출된 제1 유동방지돌기(15)와, 주유건 삽입구(30) 하단을 절개하여 형성된 제1 유동방지홈(34)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필러넥 하우징(10)과 주유건 삽입구(30)간의 결합 시, 필러넥 하우징(10)의 제1 유동방지돌기(15)가 주유건 삽입구(30)의 제1 유동방지홈(34)에 삽입됨으로써 필러넥 하우징(10)과 주유건 삽입구(30)가 조립된 후 주유건 삽입구(30)가 유동하거나 또는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첨부된 도 2에는 필러넥 하우징(10)에는 제1 유동방지돌기(15)가 형성되고, 주유건 삽입구(30)에는 제1 유동방지홈(34)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반대로 필러넥 하우징에 제1 유동방지홈이 형성되고, 주유건 삽입구에 제1 유동방지돌기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주유건 삽입구(30)에는 필러넥 장치를 차량에 장착 고정하기 위한 장착브래킷(50)이 결합되는데, 장착브래킷(50)에는 삽입공(51)이 형성되어 주유건 삽입구(30)의 상부부재(30A)가 삽입된다. 이때 장착브래킷(50)은 주유건 삽입구(30)의 가압부(33) 상면에 거치된 후, 용접 등에 의하여 주유건 삽입구(30)에 고정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착브래킷은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한데, 도 5의 도시는 장착브래킷의 또 다른 실시례를 도시하고 있다. 도 5의 장착브래킷(50)은 플라스틱 사출물로 이루어지고, 한 쌍으로 구성된 제1 및 제2 브래킷(50A)(50B)으로 구성된다. 또한 제1 및 제2 브래킷(50A)(50B)에는 각각 장착돌기(53)가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구성된 장착브래킷을 주유건 삽입구 내지 필러넥 하우징(이하 ‘필러넥 장치’라 함)에 조립한 후, 차량에 장착하게 된다.
이 경우 도 5의 장착브래킷은 도 2의 장착브래킷과 달리, 즉 복수의 볼트공이 형성되어 차량에 볼트 체결되어 장착되는 구조가 아니라, 차량에 장착브래킷의 장착돌기(53)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장착홈(미도시)에 필러넥 장치(FN)에 설치된 장착브래킷의 장착돌기(53)를 삽입하여 차량에 장착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장착브래킷은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차종이나, 장착구조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이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40)는 필러넥 하우징(10)의 결합부위(14) 하부에 삽입된 후, 주유건 삽입구(30)와 결합 고정된다.
일반적으로 필러넥 장치는 연료탱크에 연결되는 연료파이프를 차량에 고정시키기 위해 다양한 장착방식들이 도입되고 있다. 특히 도 4에는 연료파이프(100)를 차량에 장착하기 위해 브래킷(200)과 연결된 연결구(300)가 구비되고, 연결구(300)에 연결파이프(100)가 장착되어 브래킷(200)에 의하여 차량에 장착되는 구조를 예시하고 있다.
이 경우 연결파이프(100)와 연결구(300)간의 결합은 연결파이프의 돌출부(110)가 형성되고, 연결구(300)에는 다수 지점을 절개하여 걸림부(310)를 형성하여 걸림부(310)를 코킹(caulking) 공정을 통해 연결구의 걸림부(310)가 연결파이프의 돌출부(110)에 걸리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필러넥 장치는 일정 이상의 하중을 갖게 되고, 필러넥 장치는 차량의 운행 중 발생하는 진동에 의하여 유동이 가능하게 된다. 즉 필러넥 장치는 자체 하중 뿐만 아니라, 차량의 진동에 의한 영향을 받게 된다.
이 경우 코킹작업에 의한 결합으로 형성된 연결파이프의 돌출부(110)와 연결구의 걸림부(310)간의 결합부위는 필러넥 장치의 유동으로 필러넥 장치의 자체 하중에 의하여 취약하게 된다. 따라서 연결파이프(100)와 연결구(300)간의 결합부위가 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구(300)로부터 연결파이프(100)가 이탈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연결파이프(100)와 연결구(300)간의 연결부위 중 일부분이 분리되는 경우에도 연결파이프(100)로부터 연결구(300)가 들떠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연결파이프(100)와 연결구(300)가 불완전하게 결합되는 경우에 연결파이프(100)와 연결구(300) 사이에 들뜬 공간으로 증발가스, HC(탄화수소) 가스 등과 같은 배출가스가 누설될 염려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고정구(40)를 도입하고, 이 고정구(40)와 주유건 삽입구(30)간의 결합을 공정으로 시밍(seaming) 작업을 통해 고정구(40)와 주유건 삽입구(30)간의 결합력을 높여 메인파이프(1)로부터 주유건 삽입구(30)가 분리되지 않도록 하고, 이를 통하여 증발가스, HC 가스 등의 누설의 염려를 없앨 수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주유건 삽입구(3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단이 외측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결합부(32)가 구비되고, 고정구(40)에는 상단 부분이 외측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주유건 삽입구(30)의 결합부(32)에 상응하는 대응결합부(41)이 형성된다.
이렇게 형성된 주유건 삽입구(30)의 결합부(32)와 고정구(40)의 대응결합부(41)을 서로 맞댄 후, 하부에 배치된 고정구(40)의 대응결합부(41)을 상부로 구부리면서 원주방향으로 압착하는 시밍작업을 하게 된다. 시밍작업을 통해 형성되는 고정구(40)의 압착부위(42)에는 주유건 삽입구(30)의 결합부(32)가 맞물림으로써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즉 주유건 삽입구(30)와 고정구(40)가 시밍작업을 통해 일체화되어 필러넥 하우징(10)에 결합됨으로써 필러넥 하우징(10)과 주유건 삽입구(30)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코킹작업에 의하여 결합으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분리 문제나, 가스의 누설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고정구(40)에는 필러넥 하우징(10)의 지지부(12)에 대응하는 단턱부(43)가 형성되는데, 이는 주유건 삽입구(30)와 고정구(40)간의 결합 시, 고정구(40)의 단턱부(43)가 필러넥 하우징(10)의 지지부(12) 하부에 걸림으로써 주유건 삽입구(30)와 고정구(40)의 결합체가 필러넥 하우징(10)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안정적인 결합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보다 완전한 결합을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고정구의 하부 부분의 여러 지점을 코킹작업을 통하거나, 또는 고정구의 하부 부분을 원주방향으로 따라 내측으로 압력을 가하는 시밍작업을 통해 고정구와 필러넥 하우징간의 결합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례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FP1 : 제1 유동방지부 FP2 : 제2 유동방지부
1 : 메인파이프 2 : 에어드레인구
10 : 필러넥 하우징
11 : 중공부 12 : 지지부
13 : 수용홈 14 : 결합부위
15 : 제1 유동방지돌기 16 : 제2 유동방지홈
20 : 리테이너
21 : 피가압부 22 : 제2 유동방지돌기
30 : 주유건 삽입구
30A : 상부부재 30B : 하부부재
31 : 잠금부 32 : 결합부
33 ; 가압부 34 : 제1 유동방지홈
40 : 고정구
41 : 대응결합부 42 : 압착부위
43 : 단턱부
50 : 장착브래킷
51 : 삽입공
60 : 밀폐부재
100 : 연결파이프
200 : 브래킷
300 : 연결구

Claims (6)

  1. 연료탱크에 연결되는 메인파이프(1) 상부에 구비된 필러넥 하우징(10);
    상기 필러넥 하우징(10)에 수용되는 리테이너(20);
    상기 필러넥 하우징(10) 상부에 결합되고,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결합부(32)를 갖는 주유건 삽입구(30);
    상기 필러넥 하우징(10)에 결합되어 상기 주유건 삽입구(30)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주유건 삽입구(30)의 결합부(32)에 상응하는 대응결합부(41)를 갖는 고정구(40); 및
    상기 주유건 삽입구(30)에 연결되어 차량에 장착되는 장착브래킷(5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주유건 삽입구(30)의 결합부(32)는 상기 고정구(40)의 대응결합부(41)가 절곡되고 압착되어 맞물리며,
    상기 필러넥 하우징(10)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주유건 삽입구(30)의 결합부(32)를 받치는 지지부(12)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구(40)에는 상기 지지부(12) 하부에 의하여 지지되는 단턱부(43)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주입부 구조가 개선된 필러넥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넥 하우징(10) 및 상기 주유건 삽입구(30)는 상기 주유건 삽입구(30)의 유동 및 회전방지를 위해 서로 대응하는 제1 유동방지부(FP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주입부 구조가 개선된 필러넥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넥 하우징(10) 및 상기 리테이너(20)는 상기 리테이너(20)의 유동 및 회전방지를 위한 제2 유동방지부(FP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주입부 구조가 개선된 필러넥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20) 상단은 외측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필러넥 하우징 (10) 상단면에 얹히는 피가압부(21)가 구비되고,
    상기 주유건 삽입구(30)는 상기 필러넥 하우징(10)과 결합 시, 상기 리테이너(20)의 피가압부(21) 상단면을 가압하기 위한 가압부(3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주입부 구조가 개선된 필러넥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러넥 하우징(10) 외측부에는 수용홈(13)이 형성되고,
    상기 필러넥 수용홈(13)에는 밀페부재(60)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 주입구 구조가 개선된 필러넥 장치.
KR1020180146696A 2018-11-23 2018-11-23 연료 주입부 구조가 개선된 필러넥 장치 KR102145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696A KR102145283B1 (ko) 2018-11-23 2018-11-23 연료 주입부 구조가 개선된 필러넥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6696A KR102145283B1 (ko) 2018-11-23 2018-11-23 연료 주입부 구조가 개선된 필러넥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1206A KR20200061206A (ko) 2020-06-02
KR102145283B1 true KR102145283B1 (ko) 2020-08-18

Family

ID=71090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6696A KR102145283B1 (ko) 2018-11-23 2018-11-23 연료 주입부 구조가 개선된 필러넥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528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73448A (ja) * 2007-09-25 2009-04-09 Toyoda Gosei Co Ltd 燃料給油装置
JP2013023168A (ja) * 2011-07-26 2013-02-04 Toyoda Gosei Co Ltd 燃料給油装置
JP2016120741A (ja) * 2014-12-24 2016-07-07 豊田合成株式会社 燃料給油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5235B1 (ko) 2016-04-08 2017-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혼유 방지 필러넥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73448A (ja) * 2007-09-25 2009-04-09 Toyoda Gosei Co Ltd 燃料給油装置
JP2013023168A (ja) * 2011-07-26 2013-02-04 Toyoda Gosei Co Ltd 燃料給油装置
JP2016120741A (ja) * 2014-12-24 2016-07-07 豊田合成株式会社 燃料給油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1206A (ko) 2020-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66016A (en) Solderless filler neck joint
US7275521B2 (en) Joint structure of diverging branch pipe in fuel rail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diverging branch pipe and manufacture method of its diverging branch pipe
US6679282B2 (en) Valve attached to fuel tank
US6296014B1 (en) Check valve and fuel tank with check valve attached thereto
KR20130033988A (ko) 충전 장치
US9453485B2 (en) Fuel rail assembly with bracket and isolator for mounting
US7040669B2 (en) Fuel feeding pipe
JP2004009789A (ja) 給油装置
KR20180099631A (ko) 액체 또는 가스 매체용 도관들을 연결하는 커넥터
KR102145283B1 (ko) 연료 주입부 구조가 개선된 필러넥 장치
RU219128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истемы питания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JP4862778B2 (ja) 燃料ダンパ固定用クリップ
JP4884156B2 (ja) 燃料タンクの給油口構造
US7954660B2 (en) Gas cap and components therefor
JP4253620B2 (ja) 樹脂燃料タンク取付け用バルブ
RU2667197C2 (ru) Конструкция оконечного уплотнения направляющей-распределителя для топлива для бензинового двигателя с непосредственным впрыском
JP2008531360A (ja) 燃料パイプ組立体の取付け装置と組立方法
JP5445311B2 (ja) タンク用継手
JP2000280764A (ja) 燃料タンクの給油装置
JP2005016651A (ja) シール部材
JP7282658B2 (ja) 燃料供給装置用の燃料通路の封止構造
JP2020069959A (ja) 給油装置
KR100289558B1 (ko) 자동차 연료장치의 연료펌프에 설치되는 플랜지와 링 결합구조
JP5483972B2 (ja) 燃料タンク内部品の取付構造
JP2009120049A (ja) 燃料タンクのニップル取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