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0228A - 비계 장치의 코너구조물 - Google Patents

비계 장치의 코너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0228A
KR20180090228A KR1020180085274A KR20180085274A KR20180090228A KR 20180090228 A KR20180090228 A KR 20180090228A KR 1020180085274 A KR1020180085274 A KR 1020180085274A KR 20180085274 A KR20180085274 A KR 20180085274A KR 20180090228 A KR20180090228 A KR 201800902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ner
truss
support
vertical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5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5143B1 (ko
Inventor
김종영
Original Assignee
김종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영 filed Critical 김종영
Priority to KR1020180085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5143B1/ko
Publication of KR201800902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02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5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5143B1/ko
Priority to CN201921152529.XU priority patent/CN211568251U/zh
Priority to CN201910663097.7A priority patent/CN110733619B/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9/06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5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essentially comprising special means for supporting or forming platforms; Platfo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63C2005/025Stagings, or scaffolding, i.e. constructions providing temporary working platforms on slipways, in building or repair docks, or inside hu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00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 E04G1/15Scaffolds primarily resting on the ground essentially comprising special means for supporting or forming platforms; Platforms
    • E04G2001/157Extensible platforms, e.g. telescopic plat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adders (AREA)
  • Movable Scaffo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화물창 내부에 작업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신축 가능하게 설치되는 비계 장치의 코너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코너받침부가 되는 코너구조물을 일측의 측면받침부와 일체로 형성하고, 그 코너구조물의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에 화물창벽면에 근접하는 가로 및 세로받침부를 출몰되게 설치하며, 이 코너구조물의 하부가 수직기둥에 설치되는 받침트러스수단으로 견고하게 받쳐지게 되어 코너구조물의 강도가 증대되어 코너구조물의 처짐을 방지함과 아울러 코너구조물의 선단부와 화물창벽면과의 간격을 최적화하여 안전한 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화물창 내부공간(1)의 모서리부에 화물창 벽면(2)과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비계 장치의 코너구조물(600)에 있어서;
상기 코너구조물(600)은, 외주면에 수개의 연결부(15,15a,17)를 상하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메인수직기둥(16) 및 코너수직기둥(18), 코너수직기둥(18)에 45도 방향으로 후단 모서리부가 연결 설치되는 코너지지트러스(200), 메인수직기둥(16)과 코너수직기둥(18) 사이에 가로방향으로 연결 설치되는 3단트러스(400), 메인수직기둥(16)과 코너수직기둥(18)에 세로방향으로 후단부가 각각 연결 설치되는 꺽쇠형 받침트러스(300), 코너지지트러스(200)와 2개의 꺽쇠형 받침트러스(300) 상부에 결합 설치되는 코너연장받침구(100), 코너연장받침구(100)의 상부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는 발판설치 신축바(500), 2개의 꺽쇠형 받침트러스(300) 상부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는 발판설치바(51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계 장치의 코너구조물{Corner structure of scaffold apparatus}
본 발명은 비계 장치의 코너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화물창 내부에 작업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신축 가능하게 설치되는 비계 장치에 있어서, 코너받침부가 되는 코너구조물을 일측의 측면받침부와 일체로 형성하고, 그 코너구조물의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에 화물창벽면에 근접하는 가로 및 세로받침부를 출몰되게 설치하며, 이 코너구조물의 하부가 수직기둥에 설치되는 받침트러스수단으로 견고하게 받쳐지게 되어 코너구조물의 강도가 증대되어 코너구조물의 처짐을 방지함과 아울러 코너구조물의 선단부와 화물창벽면과의 간격을 최적화하여 안전한 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발명은 특허등록 제10-1412860호(발명의 명칭 : 비계 시스템의 코너부 조절 장치의 운용 방법)로 등록되어 등록특허공보에 의해 알려지고 있다.
상기 종래발명은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액화천연가스 운반선의 화물창 내부공간(1)에 작업공간 확보를 위해 설치되는 비계장치(3) 중에 코너받침부(6)에 관한 것으로, 이 코너받침부(6)는 도면상 평면 방향에서 볼 때 직각방향의 양측 화물창벽면(2)에 대면하는 양측 측면받침부(4,5) 사이의 모서리부에 설치된다.
상기 측면받침부(4,5)와 코너받침부(6)는 공지된 바와 같은 가설재용 수직기둥(일예로, 실용신안등록 제20-0384333호의 수직기둥 참조)에 설치된 연결부에 수평대의 끝단 결합부를 외팔보 형태로 설치한 뒤에, 그들 수평대의 상부에 발판을 설치하여 측면받침부(4,5)와 코너받침부(6)를 각각 구성하였다.
그리고, 상기 양측 측면받침부(4,5)와 코너받침부(6)에는 측면 슬라이딩 받침부(7)와 코너 슬라이딩 받침부(7a)를 슬라이드식으로 출몰되게 설치하여 각각의 슬라이딩 받침부(7,7a)의 선단부가 화물창벽면(2)과 근접하여 필요로 하는 작업을 안전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였다.
종래발명에서의 코너받침부(6)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되는 사각창틀형 받침대(9)의 도면상 우측 상부 모서리부에 위에서 언급한 수직기둥의 연결부에 착탈식으로 끼움 결합되는 기둥결합부(8)가 구비되고, 사각창틀형 받침대(9)의 도면상 좌측방과 하측방에 한 쌍씩의 제1,제2 슬라이드바(10,11)가 슬라이드식으로 출몰되는데, 이들 제1,제2 슬라이드바(10,11) 상에 발판이 설치되는 것을 위에서 코너 슬라이딩 받침부(7a)라고 통칭하였다.
이와 같은 종래발명에 의한 코너받침부(6)는 직각방향으로 배치되는 양측 측면받침부(4,5)와 연결되지 않고 개별적으로 수평 설치되는데, 전체적으로 사각판형으로 구성되는 코너받침부(6)의 모서리부분에 설치되는 기둥결합부(8)만 수직기둥에 결합된 상태임에 따라 코너받침부(6) 상에 중량물이 얹히면 외팔보형태로 설치되는 코너받침부(6)의 자유단부측이 하부로 휘게 된다.
위에서 코너받침부(6)를 사각판형이라고 설명한 것은 도 2에서와 같이 사각파이프를 이용하여 사각창틀형으로 코너받침부(6)를 형성하고 그 상측에 발판이 설치하여 전체적으로 사각판 형태가 되므로 편의상 사각판형이라고 설명하였음을 밝혀둔다.
위와 같이 사각판형으로 구성되는 코너받침부(6)의 일측 모서리부분만 수직기둥에 결합된 것임에 따라 중량물이 아니더라도 작업자의 계속적인 보행에 의해 작업자의 체중과 자재, 장비 등의 중량에 의해 처짐이 발생하게 되고, 그와 인접한 양측 측면받침부(4,5) 보다 높이가 낮아져 단턱이 생기면서 작업자가 보행 중에 걸려 넘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발판이 얹히는 제1,제2 슬라이드바(10,11) 중에 3개의 슬라이드바(10a,11a,11b)의 높이는 동일하고, 기둥결합부(8) 반대편의 자유단부측의 모서리부분에 설치되는 1개의 슬라이드바(10b)는 위의 3개의 슬라이드바(10a,11a,11b) 보다 높이가 낮아서 양측 제1,제2 슬라이드바(10,11) 상에 발판을 동일한 높이로 설치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으며, 그로인하여 높이가 낮은 1개의 슬라이드바(10b) 상에 나머지 3개의 슬라이드바와 동일한 높이가 되게 하는 별도의 받침을 설치한 뒤에 발판을 설치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허등록 제10-1412860호(발명의 명칭 : 비계 시스템의 코너부 조절 장치의 운용 방법)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코너받침부가 되는 코너 구조물을 일측의 측면받침부와 일체로 형성하고, 그 코너구조물의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에 화물창벽면에 근접하는 가로 및 세로받침부를 출몰되게 설치하며, 이 코너구조물의 하부가 수직기둥에 설치되는 받침트러스수단으로 견고하게 받쳐지게 되어 코너구조물의 강도가 증대되어 코너구조물의 처짐을 방지함과 아울러 코너구조물의 선단부와 화물창벽면과의 간격을 최적화하여 안전한 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화물창 내부공간의 모서리부에 화물창 벽면과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비계 장치의 코너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코너구조물은, 외주면에 수개의 연결부를 상하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메인수직기둥 및 코너수직기둥, 코너수직기둥에 45도 방향으로 후단 모서리부가 연결 설치되는 코너지지트러스, 메인수직기둥과 코너수직기둥 사이에 가로방향으로 연결 설치되는 3단트러스, 메인수직기둥과 코너수직기둥에 세로방향으로 후단부가 각각 연결 설치되는 꺽쇠형 받침트러스, 코너지지트러스와 2개의 꺽쇠형 받침트러스 상부에 결합 설치되는 코너연장받침구, 코너연장받침구의 상부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는 발판설치 신축바, 2개의 꺽쇠형 받침트러스 상부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는 발판설치바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비계 장치의 코너 구조물은, 코너받침부가 되는 코너구조물을 일측의 측면받침부와 일체로 형성하고, 그 코너구조물의 가로방향과 세로방향에 화물창벽면에 근접하는 가로 및 세로받침부를 출몰되게 설치하며, 이 코너구조물의 하부가 수직기둥에 설치되는 받침트러스수단으로 견고하게 받쳐지게 되어 코너구조물의 강도가 증대되어 코너구조물의 처짐을 방지는 효과와, 코너구조물에 출몰되게 설치되는 가로 및 세로받침부가 코너구조물의 선단부와 화물창벽면과의 간격을 최적화하여 안전한 작업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발명의 설치상태를 계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2a 및 도 2b는 종래발명에 포함되는 코너받침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와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계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코너구조물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코너구조물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코너구조물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코너구조물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코너연장받침구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포함되는 코너지지트러스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꺽쇠형 받침트러스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3단트러스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비계 장치의 코너 구조물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 도 3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화물창 비계 장치의 코너구조물(600)은, 코너받침부가 되는 것으로,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화물창 내부공간(1)의 코너부분에서 코너구조물과 화물창 벽면의 간격에 맞게 가로 및 세로받침부를 가변시켜 발판에서 작업지점(화물창)까지 거리를 최적화할 수 있는 구조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를 계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로서, 설명의 편의상 평면도로 도시한 도 3 및 도 7에 보이는 대로 직각으로 만나는 화물창벽면(2)의 일측을 가로방향(좌우 수평방향), 그와 직각방향 타측을 세로방향(전후수평방향)으로 칭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코너구조물(600)은, 화물창 내부공간(1)의 모서리부에 화물창 벽면(2)과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그 코너구조물(600)의 가로 및 세로방향에 측면받침부(4,5)가 각각 설치되고, 측면받침부(4,5) 및 코너구조물(600)에는 측면받침부(4,5) 및 코너구조물(600)과 화물창 벽면(2)과의 간격을 안전작업에 최적화하는 간격을 유지하게 하는 슬라이딩받침수단(14)이 출몰되게 설치된다.
상기 슬라이딩받침수단(14)은 측면받침부(4)에 출몰되게 설치되는 측면 슬라이딩 받침부(7)와, 코너구조물(600)에 출몰되게 설치되는 가로받침부(12) 및 세로받침부(13)를 총칭하는 것이다.
상기 코너구조물(600)은, 도 4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외주면에 수개의 연결부(15,15a,17)를 상하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메인수직기둥(16)과 코너수직기둥(18), 코너수직기둥(18)에 45도 방향(7시 30분 방향)으로 후단 모서리부가 연결 설치되는 코너지지트러스(200), 메인수직기둥(16)과 코너수직기둥(18) 사이에 가로방향으로 연결 설치되는 3단트러스(400), 메인수직기둥(16)과 코너수직기둥(18)에 세로방향으로 후단부가 각각 연결 설치되는 꺽쇠형 받침트러스(300), 코너지지트러스(200)와 2개의 꺽쇠형 받침트러스(300) 상부에 결합 설치되는 코너연장받침구(100), 코너연장받침구(100)의 상부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는 발판설치 신축바(500), 2개의 꺽쇠형 받침트러스(300) 상부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는 발판설치바(510)가 포함된다.
상기 메인수직기둥(16)과 코너수직기둥(18)에 설치되는 수개의 연결부(15,15a,17)는 주변의 각종 구조물을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 메인수직기둥(16)에 설치되는 연결구(15,15a) 중에 상측 연결부(15)는 원판형 몸체에 90도 간격으로 4개의 걸림구멍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며, 4개의 걸림구멍이 형성된 원판형 연결부(15)가 상하로 3개가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메인수직기둥(16)의 하측에 설치되는 연결부(15a)는 "ㄷ" 자형으로 절곡 형성된 브래킷에 힌지구멍이 형성된 형태의 것이 메인수직기둥(16)의 하부 양측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코너수직기둥(18)에 설치되는 연결부(17)는 원판형 몸체에 45도 간격으로 8개의 걸림구멍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8개의 걸림구멍이 형성된 원판형 연결부(17)가 상하로 3개가 간격을 두고 설치되되, 코너수직기둥(18)에 설치되는 연결부(17)와 상기 메인수직기둥(16)에 설치된 연결부(15)는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설치된다.
상기 메인수직기둥(16)은 하부에 메인수직기둥(16)의 높이를 승하강 조절할 수 있는 스크류잭(16a)이 설치되어 스크류잭(16a)의 하측 저면이 화물창의 바닥면에 지지되게 설치되고, 코너수직기둥(18)은 하측 단부가 화물창의 바닥에 지지되게 설치될 수 있으나, 코너수직기둥(18)이 설치될 화물창 바닥면이 경사진 부분일 경우에는 코너수직기둥(18)을 허공에 뜬 상태로 설치하고, 이 허공에 뜬 코너수직기둥(18)을 3단트러스(400)의 단부에 설치하는 것도 무방하다.
상기 코너지지트러스(200)는 도 4 내지 도 7 및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각창틀형 사각틀부(201)의 대각선방향에 대각선지지대(202)가 설치되고, 이 대각선지지대(202)의 하부에는 2개의 하부지지봉(203)이 각각의 상하지지대(204)에 의해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하부측 하부지지봉(203)의 양측과 사각틀부(201)의 양측 저면 사이에는 "V"자 형태로 경사지지대(205)가 설치되고, 대각선지지대(202)와 2개의 하부지지봉(203)의 후단부에는 코너수직기둥(18)에 형성된 연결부(17)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결합구(20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코너지지트러스(200)의 대각선(45도) 방향으로 설치되는 대각선지지대(202)와 2개의 하부지지봉(203), 이들 3개의 수평부재의 간격과 코너수직기둥(18)에 설치된 3개의 연결부(17)의 간격이 동일하며, 이들 대각선지지대(202)와 2개의 하부지지봉(203)의 후단부에 설치된 끼움결합구(207)가 연결부(17)의 45도(7시 30분)방향의 걸림구멍에 쐐기(206)에 의해 끼움 결합된다.
상기 3단트러스(400)는 도 4 내지 도 7 및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메인수직기둥(16)에 설치된 3개의 연결부(15) 및 코너수직기둥(18)에 설치된 3개의 연결부(17)와 동일한 간격으로 3개의 수평바(401)가 각각의 상하지지대(402)에 의해 3단으로 연결 되고, 이들 3개의 수평바(401)의 양단부에는 양측 연결부(17,15)에 쐐기(404)에 의해 끼움 결합되는 끼움결합구(403)가 각각 설치되며, 하부측 수평바(401)의 하부에는 힌지브래킷(405)이 설치되어 있다.
이 3단트러스(400)는 양단부가 코너수직기둥(18)의 연결부(17)와 메인수직기둥(16)의 연결부(15)에 가로방향으로 끼움 결합 설치된다.
상기 꺽쇠형 받침트러스(300)는 도 4 내지 도 7 및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단봉(301)의 하부에 상단봉(301)과 동일한 방향으로 사각관(305)이 고정 설치되고, 이 사각관(305)의 전방측 측면에 핀구멍(306)이 형성되며 사각관(305)의 전방과 중간부분 양측 상부에 발판설치대 안착대(307)가 설치되고, 사각관(305)의 하부에는 중간봉(302)과 하단봉(303)이 상하지지대(304)에 의해 설치된다.
상기 상중하단봉(301,302,303)의 후방단부에는 코너수직기둥(18) 및 메인수직기둥(16)의 연결부(17,15)에 쐐기(311)에 의해 끼움 결합되는 끼움결합구(312)가 각각 설치되고, 사각관(305)의 전방에는 전방단부에 걸림대(309)가 구비되고 측면에 사각관(305)의 핀구멍(306)과 핀으로 끼워져 출몰길이를 조절하는 핀구멍(308)을 구비한 슬라이드바(310)가 슬라이드식으로 설치된다.
상기 꺽쇠형 받침트러스(300)를 코너수직기둥(18)과 메인수직기둥(16)에 세로방향으로 각각 설치하되, 꺽쇠형 받침트러스(300)의 후방측 끼움결합구(312)가 코너수직기둥(18)의 연결부(17)와 메인수직기둥(16)의 연결부(15)에 쐐기(311)에 의해 끼움 결합된다.
상기 코너연장받침구(100)는 도 4 내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각틀부(201)의 세로변(201b) 사이의 간격과 코너수직기둥(18) 및 메인수직기둥(16) 사이의 간격을 합친 길이를 가지며, 전방측에 핀구멍(101)을 형성한 한 쌍의 가로사각관(102)이 사각틀부(201)의 가로변(201a)에 얹힐 만큼의 간격을 둔 상태에서 이들 한 쌍의 가로사각관(102) 상부의 세로변(201b)에 대응되는 위치에 한 쌍의 세로바(103)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가로사각관(102)의 전방측에는 가로사각관(102)의 핀구멍(101)과 대응하여 출몰길이를 조절하는 핀구멍(104)을 형성한 각각의 슬라이드바(105)가 슬라이드식으로 출몰되게 삽입 설치되며, 한 쌍의 슬라이드바(105)의 전방측 상부에 사각관(108)을 세로방향으로 고정 설치하되, 사각관(108)의 화물창벽면(2)을 향하는 쪽에 슬라이드바(111)를 슬라이드식으로 출몰되게 설치하며, 이 슬라이드바(111)의 선단부에 걸림대(109)가 설치되면서 슬라이드바(111)에는 사각관(108)의 핀구멍(106)으로 삽입되는 핀에 의해 출몰길이를 조정하게 하는 핀구멍(11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코너연장받침구(100)는 세로바(103) 후방측의 가로사각관(102)이 각각의 수직기둥(18,16)에 설치된 꺽쇠형 받침트러스(300)의 사각관(305) 하부를 관통하여 각각의 사각관(305)에 볼트로 체결되며, 세로바(103) 하방의 가로사각관(102)이 사각틀부(201)의 가로변(201a)에 볼트로 체결되어 설치된다.
상기 발판설치 신축바(500)는 내부관(501)과 외부관(502)이 슬라이드식으로 삽입되어 길이가 신축되는 것으로, 코너연장받침구(100)의 신축바 설치대(107)와 코너수직기둥(18) 측의 꺽쇠형 받침트러스(300)에 설치된 발판설치대 안착대(307)에 양단부가 안착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발판설치바(510)는 코너수직기둥(18)에 설치된 꺽쇠형 받침트러스(300)의 발판설치대 안착대(307)와 메인수직기둥(16)에 설치된 꺽쇠형 받침트러스(300)의 발판설치대 안착대(307)에 양단부가 안착 설치된다.
또한, 3단트러스(400)의 하부측 수평바(401)에 설치된 힌지브래킷(405)과 메인수직기둥(16)에 설치된 연결부(15a) 사이에는 경사지지대(19)가 설치된다.
도 4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코너구조물(600)을 조립 구성한 뒤에, 도 3에서와 같이 코너구조물(600)과 화물창 벽면(2)과의 간격에 맞게 가로받침부(12) 및 세로받침부(13)의 출몰길이를 가변하고, 그 상면에 발판(도시생략)을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작용관계를 도 3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의한 코너구조물(600)을 화물창 내부공간(1)에 설치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3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개의 메인수직기둥(16)을 수직하게 세우면서 인접한 메인수직기둥(16)의 사이에는 도 11에 도시된 3단트러스(400)를 가로방향으로 연결한다.
이 3단트러스(400)의 양단부에는 끼움결합구(403)가 설치되고, 그에 대응하는 메인수직기둥(16)에는 끼움결합구(403)가 끼워지는 연결부(15)가 구비되어 이들을 서로 끼운 뒤에 공지된 바와 같이 쐐기(404)를 끼움에 따라 연결부(15)에 3단트러스(400)를 간편하게 조립 설치할 수 있으며, 메인수직기둥(16)에 설치된 연결부(15a)와 3단트러스(400)의 하부측 수평바(401) 하부에 설치된 힌지브래킷(405)의 사이에 경사지지대(19)를 연결 설치한다.
본 발명에 포함되는 수평바(401)가 3단으로 수평 설치되며 양단부에 3개씩의 끼움결합구(403)가 설치되어서 각각의 메인수직기둥(16)에 3단트러스(400)를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위에서 3단트러스(400)가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수개의 메인수직기둥(16)와 그 에 대응하는 수개의 3단트러스(400)를 도 4의 측면받침부(4)측으로는 세로방향으로도 함께 설치하여 본 발명을 포함하는 비계장치(3)가 화물창 내부공간(1)에 안정되게 세워지도록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이 인접한 메인수직기둥(16)의 사이에 3단트러스(400)를 연결 설치한 뒤에는, 도 4 내지 도 7 및 도 10에서와 같이 그들 메인수직기둥(16)의 세로방향에 꺽쇠형 받침트러스(300)의 후단부를 설치하는데, 이 꺽쇠형 받침트러스(300)는 후단부에 설치된 3개의 끼움결합구(312)가 설치되어서 그 3개의 끼움결합구(312)를 메인수직기둥(16)에 설치된 각각의 연결부(15)에 끼우면서 쐐기(311)를 끼워 조립한다.
이렇게 메인수직기둥(16)에 가로방향으로 3단트러스(400)를 조립 설치하고, 메인수직기둥(16)에 또 다른 꺽쇠형 받침트러스(300)를 세로방향으로 조립 설치하면서 화물창 내부공간(1)의 코너측 방향으로는 코너수직기둥(18)을 설치하는데, 코너수직기둥(18)에는 메인수직기둥(16)에 설치되는 3단트러스(400)의 타측 끼움결합구(403)가 코너수직기둥(18)의 연결부(17)에 조립 설치된다.
이때, 코너수직기둥(18)의 연결부(17)에 설치되는 3단트러스(400)는 180도 방향(3시방향)에 형성된 걸림구멍에 끼움 조립되며, 연결부(17)의 세로방향이 되는 6시방향의 걸림구멍에 꺽쇠형 받침트러스(300)의 후단 끼움결합구(312)가 쐐기(311)와 함께 끼워져 조립된다.
그 다음에 상기 연결부(17)에 형성된 8개의 걸림구멍 중에 7시 30분 방향에 형성된 걸림구멍에 도 9에 도시된 코너지지트러스(200) 후방측의 끼움결합구(207)를 쐐기(206)와 함께 끼움 결합하는데, 이 코너지지트러스(200)에도 3개의 끼움결합구(207)가 상하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서 코너지지트러스(200)를 코너수직기둥(18)에 견고하게 설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코너지지트러스(200)는 상측의 대각선지지대(202)와 그 하측에 2개의 하부지지봉(203)이 3단으로 설치되며 수직방향과 "V"자형 경사방향으로 상하지지대(204)와 경사지지대(205)가 지지되게 설치되어서 코너지지트러스(200)의 모서리방향만 3곳이 코너수직기둥(18)에 설치됨에도 불구하고 견고하게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 다음에는 도 4 내지 도 8,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부가 되는 코너연장받침구(100)를 설치하는데, 이때는 세로바(103) 후방측의 가로사각관(102)을 각각의 수직기둥(18,16)에 설치된 꺽쇠형 받침트러스(300)의 사각관(305) 하부를 관통하여 각각의 사각관(305)에 볼트로 체결하며, 세로바(103) 하방의 가로사각관(102)은 사각틀부(201)의 가로변(201a)에 볼트로 체결 설치한다.
상기 코너연장받침구(100)는 사각틀부(201)의 세로변(20b) 사이의 간격과 코너수직기둥(18) 및 메인수직기둥(16) 사이의 간격을 합친 길이를 가진 한 쌍의 가로사각관(102)이 코너지지트러스(200)와 2개의 꺽쇠형 받침트러스(300)에 설치되어서 길이가 긴 코너연장받침구(100)가 견고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한 쌍의 가로사각관(102)이 2개의 세로바(103)에 의해 간격을 유지하게 설치되고, 그들 가로사각관(102)의 내부로 슬라이드바(105)가 각각 슬라이드 되게 삽입되어서 코너연장받침구(100)의 강도가 증대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코너연장받침구(100) 까지 설치하면 본 발명에 의한 코너구조물(600)의 1차적인 설치가 완료되며, 코너구조물(600)에 대한 1차적인 설치가 완료한 뒤에는 도 3 및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화물창 벽면(2)과 비계장치(3)와의 간격(C)으로 작업자의 발이나 자재 및 도구가 빠지지 않을 만큼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신축 조절작업을 실시한다.
위의 신축 조절작업은 도 3, 4 및 도 7,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코너연장받침구(100)의 사각관(108)를 가로방향(A)으로 출몰하여 화물창 벽면(2)과 사각관(108)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고, 발판설치 신축바(500)를 세로방향(B)으로 출몰할 수 있는데, 사각관(108)이 가로방향(A)으로 출몰되면서 형성되는 부분을 가로받침부(12)라 칭하고, 발판설치 신축바(500)가 세로방향(B)으로 출몰되면서 형성되는 부분을 세로받침부(13)라고 칭하였다.
상기 사각관(108)을 가로방향(A)으로 출몰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코너지지트러스(200)의 상측에 설치된 코너연장받침구(100)의 가로사각관(102)에서 슬라이드바(105)를 가로방향(A)으로 출몰시키면서 화물창 벽면(2)과 사각관(108) 단부와의 간격이 적정한 간격이 되면, 가로사각관(102)와 슬라이드바(105)에 형성된 핀구멍(101,104)을 일치시킨 뒤에 그 일치된 핀구멍으로 핀을 끼워서 슬라이드바(105)의 신축된 길이를 고정시킨다.
발판설치 신축바(500)를 세로방향(B)으로 출몰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코너연장받침구(100)에 설치된 슬라이드바(111)와, 코너수직기둥(18)에 설치된 꺽쇠형 받침트러스(300)의 슬라이드바(310), 메인수직기둥(16)에 설치된 꺽쇠형 받침트러스(300)의 슬라이드바(310)를 세로방향(B)으로 원하는 간격만큼 출몰시킨 뒤에, 각각의 사각관(108,305)에 형성된 핀구멍(106,306)과 그들에 대응하는 슬라이드바(111,310)에 형성된 핀구멍(110,308)을 일치시킨 뒤에 그 일치된 핀구멍으로 핀을 끼워서 각각의 슬라이드바(111,310)의 신축된 길이를 고정시킨다.
이렇게 코너연장받침구(100)의 가로방향(A)으로의 신축조절과, 코너연장받침구(100) 및 꺽쇠형 받침트러스(300)의 세로방향(B)으로 신축조절이 완료된 뒤에는 코너연장받침구(100)의 신축바설치대(107)와 코너수직기둥(18)에 설치된 꺽쇠형 받침트러스(300)의 발판설치대 안착대(307)의 길이에 맞게 발판설치 신축바(500)를 신축 조절해서 그 양단부를 안착 설치한다.
이때, 발판설치 신축바(500)는 내외부관(501,502)이 슬라이드식으로 출몰되게 되어서 내외부관(501,502)을 슬라이드식으로 출몰시키면서 발판설치 신축바(500)를 원하는 길이로 신축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코너수직기둥(18)에 설치된 꺽쇠형 받침트러스(300)의 발판설치대 안착대(307)와 메인수직기둥(16)에 설치된 꺽쇠형 받침트러스(300)의 발판설치대 안착대(307)에 양측 꺽쇠형 받침트러스(300) 사이의 간격만큼의 길이로 형성된 발판설치바(510)를 설치한다.
이때, 각각의 슬라이드바(111,310)의 단부에는 걸림대(109,309)가 각각 돌출되게 설치되어서 각각의 발판설치 신축바(500)와 발판설치바(510)를 안착시켰을 때 이들의 이탈을 방지하고 정위치에 안착 설치되게 한다.
이렇게 발판설치 신축바(500)와 발판설치바(510) 까지 설치된 뒤에는 그 상부에 코너구조물(600)의 상부면적에 맞게 재단된 발판(도시생략)을 안착 설치하여 본 발명에 의한 코너구조물(600)의 설치작업을 완료한다.
본 발명에서 코너수직기둥(18)에 견고한 구조의 코너지지트러스(200)가 설치되고, 그 코너수직기둥(18)과 그와 인접한 메인수직기둥(16)에 꺽쇠형 받침트러스(300)를 각각 설치한 뒤에 코너지지트러스(200)와 각각의 꺽쇠형 받침트러스(300)에 코너연장받침구(100)가 안착 설치되며, 종래의 코너받침부와 그 일측의 측면받침부에 대응하는 부분이 본 발명에서는 일체로 형성된 형태로 설치됨에 따라 코너연장받침구(100)가 견고하고 안정되게 설치되어 코너연장받침구(100)의 처짐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고, 단턱부가 없음에 따라 작업자의 발이 걸려 염려가 없는 것이다.
1 : 화물창 내부공간 2 : 화물창 벽면 3 : 비계장치
4,5 : 측면받침부 6 : 코너받침부 7 : 측면 슬라이딩 받침부
8 : 기둥결합부 9 : 사각창틀형 받침대 10 : 제1슬라이드바
11 : 제2슬라이드바 12 : 가로받침부 13 : 세로받침부
14 : 슬라이딩 받침수단 15,17 : 연결부 16 : 메인수직기둥
18 : 코너수직기둥 19 : 경사지지대 100 : 코너연장받침구
101,104,106,110,306,308 : 핀구멍 102 : 가로사각관
103 : 세로바 105,111,310 : 슬라이드바 107 : 신축바 설치대
108,305 : 사각관 109,309 : 걸림대 200 : 코너지지트러스
201 : 사각틀부 202 : 대각선지지대 203 : 하부지지봉
204,304,402 : 상하지지대 205 : 경사지지대
206,404,311 : 쐐기 207,312,403 : 끼움결합구
300 : 꺽쇠형 받침트러스 301 : 상단봉 302 : 중간봉
303 : 하단봉 307 : 발판설치대 안착대
400 : 3단트러스 401 : 수평바 405 : 힌지브래킷
500 : 발판설치 신축바 501 : 내부관 502 : 외부관
600 : 코너구조물

Claims (3)

  1. 화물창 내부공간(1)의 모서리부에 화물창 벽면(2)과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비계 장치의 코너구조물(600)에 있어서;
    상기 코너구조물(600)은 외주면에 수개의 연결부(15,15a,17)를 상하로 간격을 두고 설치된 메인수직기둥(16) 및 코너수직기둥(18), 코너수직기둥(18)에 45도 방향으로 후단 모서리부가 연결 설치되는 코너지지트러스(200), 메인수직기둥(16)과 코너수직기둥(18) 사이에 가로방향으로 연결 설치되는 3단트러스(400), 메인수직기둥(16)과 코너수직기둥(18)에 세로방향으로 후단부가 각각 연결 설치되는 꺽쇠형 받침트러스(300), 코너지지트러스(200)와 2개의 꺽쇠형 받침트러스(300) 상부에 결합 설치되는 코너연장받침구(100), 코너연장받침구(100)의 상부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는 발판설치 신축바(500), 2개의 꺽쇠형 받침트러스(300) 상부에 가로방향으로 설치되는 발판설치바(510)가 포함되며;
    상기 코너지지트러스(200)는 사각창틀형 사각틀부(201)의 대각선방향에 대각선지지대(202)가 설치되고, 이 대각선지지대(202)의 하부에는 2개의 하부지지봉(203)이 각각의 상하지지대(204)에 의해 간격을 두고 설치되며, 하부측 하부지지봉(203)의 양측과 사각틀부(201)의 양측 저면사이에는 "V"자 형태로 경사지지대(205)가 설치되고, 대각선지지대(202)와 2개의 하부지지봉(203)의 후단부에는 코너수직기둥(18)에 형성된 연결부(17)에 끼움 결합되는 끼움결합구(207)가 설치되며;
    상기 코너연장받침구(100)는 사각틀부(201)의 세로변(201b) 사이의 간격과 코너수직기둥(18) 및 메인수직기둥(16) 사이의 간격을 합친 길이를 가지며, 전방측에 핀구멍(101)을 형성한 한 쌍의 가로사각관(102)이 사각틀부(201)의 가로변(201a)에 얹힐 만큼의 간격을 둔 상태에서 이들 한 쌍의 가로사각관(102) 상부의 세로변(201b)에 대응되는 위치에 한 쌍의 세로바(103)가 고정 설치되며;
    이들 가로사각관(102)의 전방측에는 가로사각관(102)의 핀구멍(101)과 대응하여 출몰길이를 조절하는 핀구멍(104)을 형성한 각각의 슬라이드바(105)가 슬라이드식으로 출몰되게 삽입 설치되며, 한 쌍의 슬라이드바(105)의 전방측 상부에 사각관(108)을 세로방향으로 고정 설치하되, 사각관(108)의 화물창벽면(2)을 향하는 쪽에 슬라이드바(111)를 슬라이드식으로 출몰되게 설치하며, 이 슬라이드바(111)의 선단부에 걸림대(109)가 설치되면서 슬라이드바(111)에는 사각관(108)의 핀구멍(106)으로 삽입되는 핀에 의해 출몰길이를 조정하게 하는 핀구멍(110)이 형성되고;
    상기 꺽쇠형 받침트러스(300)는 상단봉(301)의 하부에 상단봉(301)과 동일한 방향으로 사각관(305)이 고정 설치되고, 이 사각관(305)의 전방측 측면에 핀구멍(306)이 형성되며 사각관(305)의 전방과 중간부분 양측 상부에 발판설치대 안착대(307)가 설치되고, 사각관(305)의 하부에는 중간봉(302)과 하단봉(303)이 상하지지대(304)에 의해 설치되며, 상중하단봉(301,302,303)의 후방단부에는 코너수직기둥(18) 및 메인수직기둥(16)의 연결부(17,15)에 쐐기(311)에 의해 끼움 결합되는 끼움결합구(312)가 각각 설치되고, 사각관(305)의 전방에는 전방단부에 걸림대(309)가 구비되고 측면에 사각관(305)의 핀구멍(306)과 핀으로 끼워져 출몰길이를 조절하는 핀구멍(308)을 구비한 슬라이드바(310)가 슬라이드식으로 설치되며;
    상기 세로바(103) 후방측의 가로사각관(102)이 각각의 수직기둥(18,16)에 설치된 꺽쇠형 받침트러스(300)의 사각관(305) 하부를 관통하여 각각의 사각관(305)에 설치되며, 세로바(103) 하방의 가로사각관(102)이 사각틀부(201)의 가로변(201a)에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 장치의 코너구조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3단트러스(400)는 메인수직기둥(16)에 설치된 3개의 연결부(15)와 코너수직기둥(18)에 설치된 3개의 연결부(17)와 동일한 간격으로 3개의 수평바(401)가 각각의 상하지지대(402)에 의해 3단으로 연결 되고, 이들 3개의 수평바(401)의 양단부에는 양측 연결부(17,15)에 쐐기(404)에 의해 끼움 결합되는 끼움결합구(403)가 각각 설치되며, 이 3단트러스(400)는 양단부가 코너수직기둥(18)의 연결부(17)와 메인수직기둥(16)의 연결부(15)에 가로방향으로 끼움 결합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 장치의 코너구조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설치 신축바(500)는 내부관(501)과 외부관(502)이 슬라이드식으로 삽입되어 길이가 신축되며, 코너연장받침구(100)의 신축바 설치대(107)과 코너수직기둥(18) 측의 꺽쇠형 받침트러스(300)에 설치된 발판설치대 안착대(307)에 양단부가 안착 설치되고;
    상기 발판설치바(510)는 코너수직기둥(18)에 설치된 꺽쇠형 받침트러스(300)의 발판설치대 안착대(307)와 메인수직기둥(16)에 설치된 꺽쇠형 받침트러스(300)의 발판설치대 안착대(307)에 양단부가 안착 설치되며;
    상기 3단트러스(400)의 하부측 수평바(401)의 하부에는 힌지브래킷(405)이 설치되고, 힌지브래킷(405)과 연결부(15a) 사이에는 경사지지대(19)가 설치되는 구성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계 장치의 코너구조물.
KR1020180085274A 2018-07-20 2018-07-20 비계 장치의 코너구조물 KR101985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5274A KR101985143B1 (ko) 2018-07-20 2018-07-20 비계 장치의 코너구조물
CN201921152529.XU CN211568251U (zh) 2018-07-20 2019-07-22 脚手架装置的角结构物
CN201910663097.7A CN110733619B (zh) 2018-07-20 2019-07-22 脚手架装置的角结构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5274A KR101985143B1 (ko) 2018-07-20 2018-07-20 비계 장치의 코너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0228A true KR20180090228A (ko) 2018-08-10
KR101985143B1 KR101985143B1 (ko) 2019-05-31

Family

ID=63229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5274A KR101985143B1 (ko) 2018-07-20 2018-07-20 비계 장치의 코너구조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85143B1 (ko)
CN (2) CN110733619B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9966B1 (ko) * 2019-05-28 2020-07-03 정석기 위치확인용 부표를 통해 계류 위치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선박인양대차
CN114737741A (zh) * 2022-05-20 2022-07-12 中国建筑第二工程局有限公司 一种建筑施工作业平台
CN114922418A (zh) * 2022-04-22 2022-08-19 中建二局第一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盘扣架以及盘扣架矩阵
KR102452857B1 (ko) * 2021-05-24 2022-11-10 주식회사 디섹 액화가스 저장탱크용 발판구조물 및 상기 발판구조물의 설치방법
KR20220158480A (ko) * 2021-05-24 2022-12-01 주식회사 디섹 액화가스 저장탱크용 발판구조물 및 상기 발판구조물의 설치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5143B1 (ko) * 2018-07-20 2019-05-31 김종영 비계 장치의 코너구조물
KR102452419B1 (ko) * 2020-10-12 2022-10-07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ng 화물창 단열 작업용 발판 구조물, 상기 발판 구조물의 설치 및 해체방법
WO2022080591A1 (ko) * 2020-10-12 2022-04-21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ng 화물창 단열 작업용 발판 구조물, 상기 발판 구조물의 설치 및 해체방법
CN115370188B (zh) * 2022-08-24 2024-04-05 山西省安装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预应力混凝土钢管桁架叠合板的支撑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8793B1 (ko) * 2008-12-02 2011-01-1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스카폴딩 브래킷용 어댑터
KR101412860B1 (ko) 2013-08-29 2014-07-01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비계 시스템의 코너부 조절 장치의 운용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066452U (zh) * 2013-01-29 2013-07-17 海阳中集来福士海洋工程有限公司 应用于脚手架的直型卡扣以及脚手架
CN205168844U (zh) * 2015-10-28 2016-04-20 舟山中远船务工程有限公司 一种船台搭载用船体支撑塔架
CN205558248U (zh) * 2016-03-28 2016-09-07 常州市君成机械有限公司 可伸缩三维脚手架连接构件
CN206016230U (zh) * 2016-08-25 2017-03-15 上海嘉实(集团)有限公司 基于装配式连墙件外墙脚手架体系
KR200485407Y1 (ko) * 2016-11-08 2018-01-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보강 구조를 가지는 경량 족장판
CN106628054B (zh) * 2016-12-02 2018-06-05 上海江南长兴造船有限责任公司 一种模块化平台在船舶与海洋工程中的使用方法
CN206476060U (zh) * 2017-01-13 2017-09-08 江苏科技大学 用于超低温液化气体运输船的组合imoa型货物围护系统安装平台
KR101985143B1 (ko) * 2018-07-20 2019-05-31 김종영 비계 장치의 코너구조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8793B1 (ko) * 2008-12-02 2011-01-1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스카폴딩 브래킷용 어댑터
KR101412860B1 (ko) 2013-08-29 2014-07-01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비계 시스템의 코너부 조절 장치의 운용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9966B1 (ko) * 2019-05-28 2020-07-03 정석기 위치확인용 부표를 통해 계류 위치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선박인양대차
KR102452857B1 (ko) * 2021-05-24 2022-11-10 주식회사 디섹 액화가스 저장탱크용 발판구조물 및 상기 발판구조물의 설치방법
KR20220158480A (ko) * 2021-05-24 2022-12-01 주식회사 디섹 액화가스 저장탱크용 발판구조물 및 상기 발판구조물의 설치방법
CN114922418A (zh) * 2022-04-22 2022-08-19 中建二局第一建筑工程有限公司 一种盘扣架以及盘扣架矩阵
CN114737741A (zh) * 2022-05-20 2022-07-12 中国建筑第二工程局有限公司 一种建筑施工作业平台
CN114737741B (zh) * 2022-05-20 2023-07-18 中国建筑第二工程局有限公司 一种建筑施工作业平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5143B1 (ko) 2019-05-31
CN211568251U (zh) 2020-09-25
CN110733619A (zh) 2020-01-31
CN110733619B (zh) 2021-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5143B1 (ko) 비계 장치의 코너구조물
US4620612A (en) Expansible corridor
US8708100B2 (en) Rail-guided climbing system
US20200102764A1 (en) System for lateral support of shoring posts
JP4260106B2 (ja) 作業架台
KR101968222B1 (ko) 건축용 시스템 비계
KR20200000858U (ko) 조립식 구조를 갖는 고소작업대
KR102428437B1 (ko) 공사용 비계
KR101743587B1 (ko) 이중단열 거푸집의 측압 지지대
JP2878589B2 (ja) 仮設構造物
KR101621868B1 (ko) 건축 작업용 작업대
JP3865433B2 (ja) L型作業台
JP2003056187A (ja) 支保工システム
JPH09250235A (ja) 組み立て式足場
KR100636409B1 (ko) 철거푸집 작업틀
CN213204439U (zh) 一种装配式建筑支撑框架结构
JP6968327B1 (ja) 単管足場用先行筋交い及び仮設足場
JP6423256B2 (ja) 仮設足場用階段枠
KR200492307Y1 (ko) 고소작업용 발판프레임
JP3017061U (ja) 建枠およびその建枠からなる枠組足場
KR200355444Y1 (ko) 철거푸집 작업틀
JP2537584Y2 (ja) スラブ型枠用仮設ビーム
CN118087909A (zh) 护栏装置、防护系统以及护栏安装方法
JP2001164746A (ja) 仮設足場用階段
JP2001218311A (ja) 組立式架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