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9966B1 - 위치확인용 부표를 통해 계류 위치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선박인양대차 - Google Patents

위치확인용 부표를 통해 계류 위치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선박인양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9966B1
KR102129966B1 KR1020190062251A KR20190062251A KR102129966B1 KR 102129966 B1 KR102129966 B1 KR 102129966B1 KR 1020190062251 A KR1020190062251 A KR 1020190062251A KR 20190062251 A KR20190062251 A KR 20190062251A KR 102129966 B1 KR102129966 B1 KR 1021299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hip
buoy
wire
horizontal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2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석기
Original Assignee
정석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석기 filed Critical 정석기
Priority to KR1020190062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996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9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99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3/00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 B63C3/12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using cra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7/00Salvaging of disabled, stranded, or sunken vessels; Salvaging of vessel parts or furnishings, e.g. of safes; Salvaging of other underwater objects
    • B63C7/26Means for indicating the location of underwater objects, e.g. sunken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7/00Suction cups for attaching purposes; Equivalent means using adhesi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16B7/182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for coaxial connections of two rods or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Load-Engaging Elements For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치확인용 부표를 통해 계류 위치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선박인양대차에 대한 것으로, 해상과 육상을 오가는 소형 선박의 이동 시 바다에 입수를 통해 선박을 편리하게 입수시키거나 인양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가로프레임(10)과 직교되는 세로프레임(20)으로 사각형태의 바닥틀을 형성하고, 상기 바닥틀의 수직 상부방향으로 수직프레임(30)을 형성하며, 상기 수직프레임(30)의 상단부에 선박(2)의 하측부의 표면에 대응 밀착되도록 축핀(33)에 의해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갖는 밀착지지고정판(32)을 형성하여 선박(2)의 하측부가 밀착지지고정판(32)에 밀착고정되게 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가로프레임(10) 또는 세로프레임(20)의 양측단부에서 확장 가능한 확장프레임(40)을 구비하고, 상기 확장프레임(40)의 일측단부에 형성된 와이어홀(44)를 통해 와이어(50)를 연결하여 상기 와이어(50)를 이용한 리프트가 가능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수직프레임(30)의 외측면에 선박의 정박 위치를 표시하는 부표용 로프(61)를 고정 결합할 수 있도록 접합되는 부표용 고리(60)를 구비하되, 상기 부표용 고리(60)의 내측부에 부표고정걸쇠(63)가 미끄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 결합될 수 있도록 제 1 고정홈(6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위치확인용 부표를 통해 계류 위치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선박인양대차{Real-time Anchor position checking vessel salvage device using mooring buoy}
본 발명은 위치확인용 부표를 통해 계류 위치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선박인양대차에 대한 것으로, 해상과 육상을 오가는 소형 선박의 이동 시 바다에 입수를 통해 선박을 편리하게 입수시키거나 인양시킬 수 있도록 위치확인용 부표를 구비한 위치확인용 부표를 통해 계류 위치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선박인양대차에 관한 것이다.
선박의 수리나 자연재해 발생시 대부분 육상으로 이동시켜 수리작업하거나 안전한 곳에 보관하게 되는데, 크레인이나 선박인양대차를 통해 이송한다. 이 때, 크레인과 같은 고가의 대형장비를 사용하게 되면 많은 경제적 부담이 따르기 때문에 주로 소형 선박의 경우 선박인양대차를 활용하여 작업을 진행한다.
기존의 선박인양대차과 관련한 기술로서 등록실용신안 제20-0419393호인 소형선박 이동용 대차가 고안된 바 있다.
상기의 종래기술은 프레임의 양측에 구비된 회동핀에 결합된 휠장착구조에는 한 쌍의 휠이 장착되어 지면의 요철을 통과할 시 대차가 기울어짐이 없이 통과하게 할 수 있고 적재된 선박을 대피장소에 안치할 수 있도록 하는 적재선박 승·하강 장치의 선박 고정수단에는 이동중인 선박이 출렁이지 않도록 프레임에 장착된 지지대의 상부에 받침목을 좌·우 4개소에 설치하여 선박을 안정적으로 승·하강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기존의 선박인양대차와 관련한 또 다른 기술로서 등록실용신안 제20-0451533호인 선박이동용 대차가 개시되고 있다.
상기 기술은 소형선박의 선저와 중형선박의 선저를 모두 안정되게 떠받힐 수 있는 받침대를 이중으로 구비하고, 상기 받침대들은 절첩된 상태로 보관될 수 있으며, 상기 받침대의 벌어지는 각도를 임의대로 조절하고 그 상태로 받침대를 떠받혀 지지하는 제1 받침대 각도조절 및 지지장치들을 가지며, 이동 시 앞바퀴들이 동일한 방향과 동일한 각도로 스무드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한 앞바퀴 스티어링 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선박인양대차와 관련한 기술로서 공개특허 제10-2006-0088870호에 개시된 선박이송용 대차는 선박을 인양하여 안전한 대피장소로 이송하기 위한 선박 이송용 대차(1)를 구성하되, 이는 직사각형의 전후 분할형으로 이루어지고 견인고리(21)를 설치한 프레임(2)과, 상기 프레임(2)의 하부에는 설치되는 캐스터(5) 및 대차(1) 유동방지용 나사식 서포터(6) 및 상기 프레임(2)의 전후로 설치되어 선박을 적재하는 적재서포터(7)가 프레임(2)의 전후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수개의 제1조절공(8)에 제1조절핀(9)으로 위치조절고정되는 적재플레이트(10)와, 상기 적재플레이트(10)상에는 좌우방향으로 수개의 제2조절공(11)에 제2조절핀(12)으로 위치조절고정되는 좌우조절판(13)과, 상기 좌우조절판(13)에 상하 방향으로 고정되는 포스트(14)와, 상기 포스트(14) 상단부에 스프링(15)으로 탄력설치되고 제1축핀(16)에 의해 좌우로 각도조절되는 좌우각도조절판(17)과, 상기 좌우각도조절판(17) 상부로 제2축핀(18)에 의해 전후로 각도조절이 이루어지는 전후각도조절판(19) 및 상기 전후각도조절판(19) 상면에 고정되는 선박받침판(20)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선박인양대차와 관련한 또 다른 기술로는 공개특허 제10-2014-0100009호에서 개시하는 다양한 종류의 소형 선박을 이동할 수 있는 대차가 안출된 바 있다.
상기의 종래기술은 선박이 상부에 적재되며 직사각형 형태를 이루는 메인프레임부와; 상기 메인프레임부의 전면에 결합되어 견인장비에 의해 견인될 수 있게 하는 견인프레임부와; 상기 메인프레임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선박이 직접 안착되는 선박지지부와; 상기 메인프레임부에 결합되어 상기 대차를 이동하기 쉽게 하기 위한 바퀴부로 구성되며, 상기 선박지지부는 상기 선박과 직접 접촉하는 상부지지대와, 상기 메인프레임부에 결합되는 하부지지대와, 상기 하부지지대를 일정 높이로 고정시키는 고정핀으로 이루어진 다수 개의 지지대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대는 상기 상부지지대의 형상에 따라 V형 지지대, 플랫 힌지형 지지대, 플랫수평형 지지대 및 반원형 지지대로 구분되어 선저의 형상에 따라 교체하여 설치되는 구조인 다양한 종류의 소형 선박을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기술의 경우 위치확인용 부표를 구비할 수 있는 장치나 방법이 결여되어 선박 인양 시 물 속에 입수된 선박인양대차의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지 못해 선박의 방향을 제대로 잡지 못하는 문제점이 잔존한다.
그로 인해, 물 속에 잠긴 선박인양대차상에 소형 선박을 고정시키기 위해 많은 시간과 인력을 투자해야 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또한, 수중에서 선박인양대차상에 소형 선박을 고정시키기 위한 흡착부가 결여되어 사실상 고정불가능하거나 여러가지 장치수단을 통하여 고정할 수 밖에 없어 경제적인 부담이 크다.
등록실용신안 제20-0451533호 등록실용신안 제20-0419393호 공개특허 제10-2006-0088870호 공개특허 제10-2014-0100009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해상과 육상을 오가는 소형 선박의 이동 시 바다에 입수를 통해 선박을 편리하게 입수시키거나 인양시킬 수 있도록 위치확인용 부표를 구비한 위치확인용 부표를 통해 계류 위치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고, 수중 점착 방식을 활용한 흡착부를 통하여 편의성이 증대된 선박인양대차에 주안점을 두고 그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한 것이다.
위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가로프레임(10)과 직교되는 세로프레임(20)으로 사각형태의 바닥틀을 형성하고, 상기 바닥틀의 수직 상부방향으로 수직프레임(30)을 형성하며, 상기 수직프레임(30)의 상단부에 선박(2)의 하측부의 표면에 대응 밀착되도록 축핀(33)에 의해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갖는 밀착지지고정판(32)을 형성하여 선박(2)의 하측부가 밀착지지고정판(32)에 밀착고정되게 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가로프레임(10) 또는 세로프레임(20)의 양측단부에서 확장 가능한 확장프레임(40)을 구비하고, 상기 확장프레임(40)의 일측단부에 형성된 와이어홀(44)를 통해 와이어(50)를 연결하여 상기 와이어(50)를 이용한 리프트가 가능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수직프레임(30)의 외측면에 선박의 정박 위치를 표시하는 부표용 로프(61)를 고정 결합할 수 있도록 접합되는 부표용 고리(60)를 구비하되, 상기 부표용 고리(60)의 내측부에 부표고정걸쇠(63)가 미끄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 결합될 수 있도록 제 1 고정홈(64)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확인용 부표를 통해 계류 위치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선박인양대차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가로프레임(10)과 세로프레임(20)으로 된 바닥틀의 하부측에 바퀴(70)를 연결하여 해상과 육상 사이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가로프레임(10)은 제 1 가로프레임(11)과 제 2 가로프레임(12)으로 구성하되, 제 1 가로프레임(11)은 제 2 가로프레임(12)에 슬라이딩되어 가로프레임(10)의 길이가 신축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제 1 가로프레임(11)과 제 2 가로프레임(12)의 상면에 다수의 볼트홀(13. 14)들을 각각 구비하여 원하는 위치에 상호 결합하여 신축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확장프레임(40)이 와이어(50)와 결합되어 선박(2)과 선박인양대차(1)의 하중을 견디며 안정적으로 리프트하기 위한 한 쌍의 슬라이드 고정판(41)을 상기 세로프레임(20)의 양 내측면에 접합되도록 구비하고 확장프레임(40)과 슬라이드 고정판(41)이 원하는 위치에 상호 결합하여 신축할 수 있도록 다수의 볼트홀(42, 43)들을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확장프레임(40)의 와이어홀(44)의 상측면 중심에 와이어(50)가 미끄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 결합될 수 있도록 와이어(50)의 폭에 맞도록 제 2 고정홈(4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밀착지지고정판(32)의 상면 표면에 다수의 흡착부(34)를 구비하여 선박(2)의 하측부 표면을 진공 흡착하고 압착 고정하면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구성하되, 상기 흡착부(34)는, 미세 돌기 구조로 상기 흡착부(34)의 내부 중앙하부에 형성되어 수분의 표면장력을 이용하여 흡입력을 생성하는 흡착돌기부(35); 상기 흡착돌기부(35)에서 생성된 흡입력을 통해 선박(2)의 하측부 표면과 직접 압착 접합되어 진공상태를 형성하는 깔때기부(36); 상기 형성된 진공상태를 바탕으로 수축하여 상기 생성된 흡입력을 유지시키기 위해 상기 깔때기부(36) 하부에 구성되는 빨판부(37); 및, 상기 흡착돌기부(35)를 보호하기 위해 흡착돌기부(35)를 감싸는 형태의 구형으로 구비되며 수축과 이완이 자유로이 가능한 탄성부재로 형성되는 흡착부 내벽(38)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일측면 상에 상기 흡착부(34)가 일정한 배열로 접합되고 타측면이 탈부착 형태로 밀착지지고정판(32) 상면에 부착되는 흡착패드(39)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부표용 고리(60)에 고정 결합되어 가로프레임(10)과 평행한 방향으로 선박인양대차(1)를 견인할 수 있도록 이송용프레임(8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상기 확장프레임(40)의 와이어홀(44)의 일측면 중심에 이송용프레임걸쇠(81)가 미끄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이송용프레임걸쇠(81)의 폭에 맞도록 제 3 고정홈(46)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부표용 로프(61)의 일단부에 접합되어 수면상에서 부유하는 위치확인용 부표(69); 및, 상기 부표(69)의 일측 중심부에 접합되어 수면상에서 상호 연결하여 인양 목적으로 계류하려는 선박(2)이 정확한 위치와 방향을 설정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부표연결선(68)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해상과 육상을 오가는 소형 선박의 이동 시 바다에 입수를 통해 선박을 편리하게 입수시키거나 인양시킬 수 있도록 위치확인용 부표를 구비한 위치확인용 부표를 통해 계류 위치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어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신축가능한 세로프레임과 확장프레임을 통해 선박의 사이즈에 맞게 필요에 따라 길이를 늘이거나 줄일 수 있어 편리성이 증가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슬라이드 고정판을 통해 확장프레임이 선박과 선박인양대차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정성과 고정성이 증가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와이어홀과 부표용 고리의 내측부에 고정홈을 구비하여 와이어와 부표고정걸쇠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와이어가 선박인양대차를 안정적으로 리프팅하고 부표의 위치가 고정되어 선박이 정확한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밀착지지고정판의 상면에 흡착부를 다수 구성하여 수중에서도 선박의 하측면이 완강하게 고정되어 안정성이 대폭 향상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확인용 부표를 통해 계류 위치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선박인양대차의 실시 예시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에 따른 부표용 고리를 구비한 위치확인용 부표를 통해 계류 위치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선박인양대차의 실시 예시도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표용 고리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위치확인용 부표를 통해 계류 위치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선박인양대차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가로프레임과 제 2 가로프레임으로 구성된 가로프레임의 변형 실시 예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 고정판이 구비된 위치확인용 부표를 통해 계류 위치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선박인양대차의 변형 실시 예시도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로프레임의 일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확장프레임의 일측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착부가 구비된 위치확인용 부표를 통해 계류 위치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선박인양대차의 변형 실시 예시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착부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용프레임이 구비된 위치확인용 부표를 통해 계류 위치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선박인양대차의 변형 실시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표연결선이 구비된 위치확인용 부표를 통해 계류 위치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선박인양대차의 변형 실시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해상과 육상을 오가는 소형 선박의 이동 시 바다에 입수를 통해 선박을 편리하게 입수시키거나 인양시킬 수 있도록 위치확인용 부표를 구비한 위치확인용 부표를 통해 계류 위치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편의성이 증대된 선박인양대차에 관한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9를 참조하여 보면 위치확인용 부표를 구비한 위치확인용 부표를 통해 계류 위치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편의성이 증대된 선박인양대차의 본체는 가로프레임(10), 세로프레임(20), 수직프레임(30), 확장프레임(40), 와이어(50), 부표용고리(60), 바퀴(70), 이송용프레임(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을 참조하면, 선박인양대차(1)의 바닥 뼈대를 이루는 가로프레임(10)과 세로프레임(20)이 바닥 프레임 전체를 구성한다.
상기 가로프레임(10)과 세로프레임(20)의 내측면 교차지점에서 수직방향으로 수직프레임(30)이 접합되어 바닥과 직교하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위치확인용 부표를 구비한 위치확인용 부표를 통해 계류 위치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편의성이 증대된 선박인양대차의 선박인양대차(1) 본체는 기본 뼈대 프레임을 구조적으로 단순하게 제작하여 기존의 유압식, 기계식, 공압식 등 다양한 형태의 선박인양장치에 비해 소형 선박을 운용하는 어민들이 비교적 쉽게 제작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가로프레임(10), 세로프레임(20), 수직프레임(30)의 재질은 일반적인 금속재질로 철, 구리, 스테인리스강, 합금, 합성금속 등 나열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물 속에 잠수되는 특성상 물에 의한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방수 비닐을 씌우거나 여러 가지 방수 특화 도료들을 표면에 바를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밀착지지고정판(32)은 상기 수직프레임(30)의 상단부에서 선박(2)의 하측부 표면에 대응 밀착되도록 형성하되, 축핀(33)에 의해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수직프레임(30)의 양 측면을 관통하는 관통홀과 상기 밀착지지고정판(32)의 내부를 관통하는 관통홀을 각각 구비하여 상기 축핀(33)을 중심으로 밀착지지고정판(32)이 일정 각도를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밀착지지고정판(32)의 회전 각도는 30 내지 60도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구성을 통해 소형 선박의 하측부 표면 경사도에 따라 대응되도록 밀착 고정되어 안정적으로 지지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 및 도 5a를 참조하면, 확장프레임(40)은 가로프레임(10) 또는 세로프레임(20)의 내측 바닥면상에 삽입되어 상기 가로프레임(10) 또는 세로프레임(20)과 평행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확장프레임(40)의 일측부는 가로프레임 또는 세로프레임(20)과 직교하도록 수직방향으로 벤딩되어 후술할 와이어홀(44)이 바닥면과 수직하게 구비되도록 구성한다.
와이어홀(44)은 확장프레임(40)의 일측단부에서 원형으로 구비되는 통공이다.
상기 와이어홀(44)을 통해 크레인용 와이어(50)가 결합 고정되어 선박(2)을 고정한 선박인양대차(1) 본체를 리프팅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와이어홀(44)을 통한 와이어(50)의 고정 결합 방식은 일반적 형태의 크레인 와이어 고정 방식으로 볼트 결합, 고리형 결합 구조, 스프링 결합, 샤클 결합, 소켓 결합, 커넥터 결합 등 나열한 방식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2b를 참조하면, 부표용 고리(60)는 상기 수직프레임(30)의 외측면에 수직프레임(30)과 평행하게 접합되어 후술할 부표고정걸쇠(63)와 고정 결합함으로써, 위치확인용 부표(69)를 안정적으로 부유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도 2a를 참조하면, 부표고정걸쇠(63)는 부표용 로프(62)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부표용 고리(60)에 고정 결합하여 부표용 로프(62)의 타단에 연결된 위치확인용 부표(69)가 수면상에서 안정적으로 부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부표(69)는 일반적 형태의 항로 표적으로 깃대형 부표, 추 연동형 부표, 무선부표, 전파반사부표, 야간용 등부표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모든 부표의 구성형태를 포함하며 나열된 종류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부표(69)는 부표용 로프(62)의 일단부에 접합되어 다수 구비되며, 수면상에서 선박인양대차(1) 본체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부표용 깃발(67)을 구비하여 부유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부표연결선(68)은 상기 부표(69)의 일측 중심부에 접합되어 수면상에서 부표(69)들을 상호 연결하여 인양 목적으로 계류하려는 선박(2)이 정확한 위치와 방향을 설정할 수 있도록 평행하게 형성된다.
상기 부표연결선(68)은 일반적인 형태의 로프 구성으로 노끈, 밧줄, 체인, 사슬, 야간용 형광 로프 등 다양한 연결 방식을 포함하며 열거한 방식에 제한되지 않고 구비될 수 있다.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부표용 고리(60)의 내측상부 중심에 부표고정걸쇠(63)의 폭에 맞는 가로 길이와 일정한 깊이를 가진 직사각형 형상의 제 1 고정홈(64)을 형성하여 부표고정걸쇠(63)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부표용 고리(60)에 결합되어 부표(69)의 위치가 물살의 흐름에 따라 이리저리 움직이지 않고, 상기 제 1 고정홈(64)의 연직 방향 수면 중심으로 크게 이탈하지 않도록 구성함으로써, 선박(2)이 인양을 위해 선박인양대차(1) 본체 방향으로 계류할 때 잠수해 있는 선박인양대차(1) 본체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여 상기 밀착지지고정판(32)과의 고정 및 인양 작업을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부표용고리(60)와 부표고정걸쇠(63)가 고정 결합하는 방식은 일반적 형태의 크레인 와이어 고정 방식으로 상술한 바와 같아 생략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바퀴(70)는 상기 가로프레임(10)과 세로프레임(20)으로 구성된 바닥 프레임의 하부측에 부착되어 선박인양대차(1) 본체를 이송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바퀴(70)는 일반적인 캐스터 방식의 구조로 바퀴 스핀들, 포크, 베어링을 포함한 회전축, 타이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해머 캐스터, 인테리어 캐스터, 캐비 캐스터, 의자용 캐스터, 플라스틱 바퀴 등 일정한 방식에 얽매이지 않고 회전 구동할 수 있는 모든 방식의 바퀴 구조를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가로프레임(10)은 제 1 가로프레임(11)과 제 2 가로프레임(12)으로 구성되며, 제 1 가로프레임(11)의 사이즈가 제 2 가로프레임(12)의 사이즈보다 작아 제 1 가로프레임(11)이 제 2 가로프레임(12) 내부로 슬라이딩되어 수평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어 가로프레임(10)의 길이가 신축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 1 가로프레임(11)과 제 2 가로프레임(12)의 상면에 동일한 치수의 볼트홀(13, 14)들을 다수 구비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신축하여 볼트(98)를 통해 상호 결합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형 선박의 사이즈에 맞도록 선박이양대차 선박인양대차(1)의 가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세로프레임(20) 또한 상기 가로프레임(10)과 마찬가지로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세로프레임(21)과 제 2 세로프레임(22)으로 구성되어 상술한 바와 같은 작용을 할 수 있음은 당업계에 종사하는 통상의 기술자 입장에서 자명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가로프레임(10)과 세로프레임(20)의 구성을 통해 바닥 프레임의 가로와 세로 길이를 자유자재로 조절할 수 있어 소형 선박의 다양한 사이즈에 맞도록 볼트(98) 결합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바닥프레임의 길이를 신축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슬라이드 고정판(41)은 상기 가로프레임(10) 또는 세로프레임(20)의 양내측면 하부에 "ㄷ"자 형상으로 접합되어 상기 확장프레임(40)이 상기 슬라이드 고정판(41) 사이로 삽입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드 고정판(41)과 확장프레임(40)이 상호 고정 결합될 수 있도록 내부에 볼트홀을 구비하되, 슬라이드 고정판(41)은 한 쌍의 볼트홀, 확장프레임(40)은 다수의 볼트홀들을 형성하여 확장프레임(40)이 도 5a 및 도 5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원하는 길이 만큼 신축하여 볼트(99)를 통해 고정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슬라이드 고정판(41)의 재질은 일반적인 금속재질로 철, 구리, 스테인리스강, 합금, 합성금속 등 나열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사용자는 필요한 만큼 확장프레임(40)을 신축할 수 있으며, 확장프레임(40)의 와이어홀(44)을 통해 와이어(50)가 고정 결합되어 리프팅할 때 슬라이드 고정판(41)에 의해 확장프레임(40)이 고정 지지됨으로써, 와이어(50)가 안정적으로 선박(2)과 선박인양대차(1) 본체의 하중을 지탱하며 리프팅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2 고정홈(45)은 상기 와이어홀(44)의 내측상부 중심에 와이어(50)의 폭에 맞는 가로 길이와 일정한 깊이를 가진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와이어(50)가 미끄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와이어홀(44)에 결합되어 확장프레임(40)을 통해 선박인양대차(1) 본체와 선박(2)을 리프팅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인양대차(1) 본체는 물 속에 입수된 상태에서 선박(2)을 지지고정하여 리프팅하는 것으로, 물 속에서 공기중으로 나오면 필연적으로 물기에 젖은 상태일 수 밖에 없는데, 그러한 상태에서는 와이어홀(44)에 결합된 와이어(50)가 미끄러질 확률이 높아지고 그로 인해 리프팅 시 불안정한 고정 상태를 갖게 된다.
제 2 고정홈(45)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물기에 젖은 상태에서도 와이어(50)의 폭에 맞는 길이를 가진 제 2 고정홈(45)을 통해 와이어(50)가 미끄러지지 않고 고정되어 리프팅 시 안정성이 대폭 향상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흡착부(34)는 상기 밀착지지고정판(32)의 상면 표면에 일정한 배열로 다수 접합되며, 선박(2)의 하측부 표면에 압착 고정되어 하측부 표면을 지지하면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구성된다.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흡착부(34)는 흡착돌기부(35), 깔때기부(36), 빨판부(37), 흡착부 내벽(38), 흡착패드(39)로 구성된다.
상기 흡착부(34)는 다양한 환경에서 강한 접착력을 생성하는 탈부착형 고점착 패치 소재로서 나노 입자 크기로 제조되어 인공 빨판을 통해 점착 표면의 수분을 밀어내는 방식으로 깔대기부(36)에서 상기 선박(2)의 하측부 표면의 수분을 밀어내고, 남은 수분을 모세관 효과에 의해 빈 공간에 포집하여 압착 고정한다(미도시).
흡착돌기부(35)는 도 7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고분자로 이루어진 미세 구형 돌기 구조로 문어, 불가사리 등 수중생물의 빨판 원리를 이용하여 인공적으로 구현한 모델이다.
상기 흡착돌기부(35)는 상술한 바와 같이 포집한 수분을 응집력(표면장력)으로 유지하여 선박(2)의 하측부 표면과 직접 압착 접합되는 깔때기부(36) 내부를 진공상태로 만들어 큰 흡입력을 생성한다(미도시).
빨판부(37)는 상기 생성된 흡입력을 바탕으로 수축하여 생성된 흡입력을 유지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미도시).
상기와 같은 흡착 작용을 기반으로 흡착부(34)는 선박(2)의 하측부 표면에 압착 고정되어 수중 또는 공기중 수분이 남아 있는 금속 표면과 같은 다양한 환경에서 강력한 흡입력을 통해 흡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선박(2) 인양을 위한 선박인양대차(1) 본체의 밀착 고정시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흡착패드(39)는 탈부착형으로 상기 밀착지지고정판(32)의 상면에 접합되어 오염물질이나 이물질들이 누적되어 쌓이면 교체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압착식 패드이다.
상기 흡착패드부(39)가 밀착지지고정판(32)의 상면에 접합되는 방식은 일반적 형태의 압착 패드가 다양한 외벽 표면에 접착되는 방식으로 가압식, 공압식, 진공흡착, 접착제식 등 나열한 방식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8을 참조하면, 이송용프레임(80)은 상기 부표용 고리(60)와 고정 결합하여 바퀴(70)를 통해 가로프레임(10)과 평행한 수평 방향으로 선박인양대차(1) 본체를 견인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이송용프레임(80)은 선박인양대차(1) 본체에 연결하여 선박(2)을 고정한 선박인양대차(1) 본체를 견인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 차체와 대차와의 사이에 구동력, 제어력 등 앞 뒤 힘을 전달하기 위한 장치로서, 고정대(82), 견인대(83), 마감대(84), 보강대(85), 지지대(86)로 구성되며, 후술할 이송용프레임걸쇠(81)에 접합되어 트레일러 견인장치, 트랙터 견인장치, 스윙볼스터 장치 등 다양한 형태의 견인장치와 결합하여 구동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이송용프레임걸쇠(81)는 상기 이송용프레임(80)의 일단부에 접합되어 상기 부표용 고리(60)와 결합 고정하여 상술한 다양한 형태의 견인 장치들의 구동력을 선박인양대차(1) 본체에 전달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고정대(82)는 상기 이송용프레임걸쇠(81)의 일단부에 접합되어 세로프레임(20)과 평행하고 수직프레임(30)과 직교하도록 구비된다.
견인대(83)는 상기 이송용프레임걸쇠(81)의 일단부와 접합되어 가로프레임(10) 및 수직프레임(30)과 일정한 각도로 형성되어 한 쌍으로 구비된다.
마감대(84)는 상기 한 쌍의 견인대(83)의 일단부를 상호 연결하기 위한 프레임으로 한 쌍의 견인대(83)의 일단부에 접합되어 상술한 다양한 견인장치들을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보강대(85)는 상기 고정대(82)와 마감대(84) 사이에서 한 쌍의 견인대(83)의 일측면에 접합되고 세로프레임(20)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한 쌍의 견인대(83)를 상호 연결하여 보강 지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지지대(86)는 상기 마감대(84)의 하측부에 접합되어 이송용프레임(80)을 고정 및 지지할 수 있도록 수직프레임(30)과 평행하게 한쌍으로 구비된다.
이송용프레임쿠션(87)은 상기 지지대(86)의 하측부에 결합되어 지지대(86) 하측부의 마찰을 방지하여 온전한 상태로 보관 및 유지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이송용프레임쿠션(87)의 재질인 일반적인 쿠션의 부재로 에어 쿠션, 시트용 쿠션, 쇼파용 쿠션, 진동 쿠션, 복합 쿠션 등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쿠션을 포함하며 나열한 종류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제 3 고정홈(46)은 상기 와이어홀(44)의 일측면 중심에 형성되어 상기 이송용프레임걸쇠(81)가 미끄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 결합될 수 있도록 이송용프레임걸쇠(81)의 폭에 맞도록 직사각형 형상으로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통해 발생하는 효과는 상술한 제 1 고정홈(44)과 제 2 고정홈(45)의 효과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발명의 위치확인용 부표를 통해 계류 위치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선박인양대차의 선박 입수 및 인양 방법은, 선박(2)의 높이와 너비에 맞도록 제 1 가로프레임(11), 제 2 가로프레임(12), 제 1 세로프레임(21), 제 2 세로프레임(22)의 길이를 조절하여 볼트로 고정하는 단계; 선박(2)의 하측부 표면을 선박인양대차(1)의 밀착지지고정판(32)의 상면과 밀착 부착되도록 선박(2)을 고정하는 단계; 확장프레임(40)이 와이어(50)와 연결되어 선박(2)과 선박인양대차(1)의 하중을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 고정판(41)에 구비된 한 쌍의 볼트홀(43)과 상기 확장프레임(40)에 구비된 볼트홀(42)을 통해 슬라이드 고정판(41)과 확장프레임(40)을 상호 고정 결합하는 단계; 와이어(50)를 확장프레임(40)의 와이어홀(44)에 연결하여 크레인을 통해 리프트하고 입수하는 단계; 선박을 인양할 수 있도록 물 속에 선박인양대차(1)를 일정한 깊이로 잠수시키는 단계; 정박을 위해 선박인양대차(1)를 향해 다가오는 선박(2)이 상기 선박인양대차(1)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위치확인용 부표(62)를 부표용 로프(61)를 통해 부표용 고리(60)에 메달아 수면상에 부유시키는 단계; 선박(2)이 상기 위치확인용 부표(62)를 통해 위치를 잡고 계류하며 선박인양대차(1)의 밀착지지고정판(32)의 상면과 선박(2)의 하측부 표면이 밀착 부착되도록 선박인양대차(1)의 위치를 조정하여 고정하는 단계; 확장프레임(40)의 와이어홀(44)에 와이어(50)를 연결하여 크레인을 통해 리프팅하는 단계(S8)로 구성된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해 해상과 육상을 오가는 소형 선박의 이동 시 바다에 입수를 통해 선박을 편리하게 입수시키거나 인양시킬 수 있도록 위치확인용 부표를 구비한 위치확인용 부표를 통해 계류 위치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어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제공하고, 신축가능한 세로프레임과 확장프레임을 통해 선박의 사이즈에 맞게 필요에 따라 길이를 늘이거나 줄일 수 있어 편리성이 증가되며, 슬라이드 고정판을 통해 확장프레임이 선박과 선박인양대차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하여 안정성과 고정성이 증가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와이어홀과 부표용 고리의 내측부에 고정홈을 구비하여 와이어와 부표고정걸쇠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와이어가 선박인양대차를 안정적으로 리프팅하고 부표의 위치가 고정되어 선박이 정확한 위치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밀착지지고정판의 상면에 흡착부를 다수 구성하여 수중에서도 선박의 하측면이 완강하게 고정되어 안정성이 대폭 향상된 효과를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에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선박인양대차 본체 45:제 2 고정홈
2:선박 46:제 3 고정홈
10:가로프레임 50:와이어
20:세로프레임 60:부표용 고리
30:수직프레임 64:제 1 고정홈
32:밀착지지고정판 68:부표연결선
34:흡착부 69:위치확인용 부표
40:확장프레임 70:바퀴
41:슬라이드 고정판 80:이송용프레임
44:와이어홀 81:이송용프레임걸쇠

Claims (10)

  1. 가로프레임(10)과 직교되는 세로프레임(20)으로 사각형태의 바닥틀을 형성하고, 상기 바닥틀의 수직 상부방향으로 수직프레임(30)을 형성하며, 상기 수직프레임(30)의 상단부에 선박(2)의 하측부의 표면에 대응 밀착되도록 축핀(33)에 의해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갖는 밀착지지고정판(32)을 형성하여 선박(2)의 하측부가 밀착지지고정판(32)에 밀착고정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가로프레임(10) 및 세로프레임(20)의 양측단부에서 확장 가능한 확장프레임(40)을 구비하고, 상기 확장프레임(40)의 일측단부에 형성된 와이어홀(44)을 통해 와이어(50)를 연결하여 상기 와이어(50)를 이용한 리프트가 가능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수직프레임(30)의 외측면에 선박의 정박 위치를 표시하는 부표용 로프(61)를 고정 결합할 수 있도록 접합되는 부표용 고리(60)를 구비하되,
    상기 부표용 고리(60)의 내측부에 부표고정걸쇠(63)가 미끄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 결합될 수 있도록 제 1 고정홈(64)을 구비하고,
    상기 가로프레임(10)과 세로프레임(20)으로 된 바닥틀의 하부측에 바퀴(70)를 연결하여 해상과 육상 사이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밀착지지고정판(32)의 상면 표면에 다수의 흡착부(34)를 구비하여 선박(2)의 하측부 표면을 진공 흡착하고 압착 고정하면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구성하되,
    상기 흡착부(34)는,
    미세 돌기 구조로 상기 흡착부(34)의 내부 중앙하부에 형성되어 수분의 표면장력을 이용하여 흡입력을 생성하는 흡착돌기부(35);
    상기 흡착돌기부(35)에서 생성된 흡입력을 통해 선박(2)의 하측부 표면과 직접 압착 접합되어 진공상태를 형성하는 깔때기부(36);
    상기 깔때기부(36)에 의해 형성된 진공상태를 바탕으로 수축하여 상기 생성된 흡입력을 유지시키기 위해 흡착부(34) 하부에 구성되는 빨판부(37); 및,
    상기 흡착돌기부(35)를 보호하기 위해 흡착돌기부(35)를 감싸는 형태의 구형으로 구비되며 수축과 이완이 자유로이 가능한 탄성부재로 형성되는 흡착부 내벽(38)으로 구성되고,
    상기 밀착지지고정판(32) 상면에 일측면이 탈부착형으로 부착되고, 타측면 상에 상기 흡착부(34)가 일정한 배열로 다수 접합되는 흡착패드(39)를 더 구비하며,
    상기 부표용 고리(60)에 고정 결합되어 가로프레임(10)과 평행한 방향으로 선박인양대차(1)를 견인할 수 있도록 이송용프레임(80)이 구비되고,
    상기 확장프레임(40)의 와이어홀(44)의 일측면 중심에 이송용프레임걸쇠(81)가 미끄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이송용프레임걸쇠(81)의 폭에 맞도록 제 3 고정홈(46)을 구비하며,
    상기 부표용 로프(61)의 일단부에 수면상에서 부유하는 위치확인용 부표(69)가 접합되고, 상기 부표(69)의 일측 중심부에 부표연결선(68)이 접합되어 수면상에서 상호 연결하여 인양 목적으로 계류하려는 선박(2)이 정확한 위치와 방향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확인용 부표를 통해 계류 위치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선박인양대차.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프레임(10)은 제 1 가로프레임(11)과 제 2 가로프레임(12)으로 구성하되,
    제 1 가로프레임(11)은 제 2 가로프레임(12)에 슬라이딩되어 가로프레임(10)의 길이가 신축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제 1 가로프레임(11)과 제 2 가로프레임(12)의 상면에 다수의 볼트홀(13, 14)들을 각각 구비하여 원하는 위치에 상호 결합하여 신축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확인용 부표를 통해 계류 위치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선박인양대차.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프레임(40)이 와이어(50)와 결합되어 선박(2)과 선박인양대차(1)의 하중을 견디며 안정적으로 리프트하기 위한 한 쌍의 슬라이드 고정판(41)을 상기 세로프레임(20)의 양 내측면에 접합되도록 구비하고 확장프레임(40)과 슬라이드 고정판(41)이 원하는 위치에 상호 결합하여 신축할 수 있도록 다수의 볼트홀(42, 43)들을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확인용 부표를 통해 계류 위치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선박인양대차.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프레임(40)의 와이어홀(44)의 상측면 중심에 와이어(50)가 미끄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 결합될 수 있도록 와이어(50)의 폭에 맞도록 제 2 고정홈(4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확인용 부표를 통해 계류 위치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선박인양대차.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90062251A 2019-05-28 2019-05-28 위치확인용 부표를 통해 계류 위치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선박인양대차 KR102129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251A KR102129966B1 (ko) 2019-05-28 2019-05-28 위치확인용 부표를 통해 계류 위치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선박인양대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251A KR102129966B1 (ko) 2019-05-28 2019-05-28 위치확인용 부표를 통해 계류 위치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선박인양대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9966B1 true KR102129966B1 (ko) 2020-07-03

Family

ID=71571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2251A KR102129966B1 (ko) 2019-05-28 2019-05-28 위치확인용 부표를 통해 계류 위치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선박인양대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99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0828A (ko) * 2022-02-10 2023-08-17 (주)카네비모빌리티 폭의 가변이 가능한 친환경 마린 모바일 리프트 및 이의 구동 방법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726Y1 (ko) * 2004-10-06 2004-12-16 이정수 침몰선박 인양장치
KR200419393Y1 (ko) 2006-04-10 2006-06-20 이춘식 소형선박 이동용 대차
KR20060088870A (ko) 2006-07-18 2006-08-07 이상철 선박이송용 대차
KR20100003866U (ko) * 2008-10-02 2010-04-12 (주)굿센스 진공 흡착구
KR200451533Y1 (ko) 2008-12-08 2010-12-20 주명자 선박이동용 대차
KR20140100009A (ko) 2013-02-05 2014-08-14 이정상 다양한 종류의 소형 선박을 이동할 수 있는 대차
KR101481329B1 (ko) * 2013-11-07 2015-01-14 김창완 접안시설의 선박 리프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박 지지방법
KR20170014044A (ko) * 2015-07-28 2017-02-08 최광일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KR20180090228A (ko) * 2018-07-20 2018-08-10 김종영 비계 장치의 코너구조물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0726Y1 (ko) * 2004-10-06 2004-12-16 이정수 침몰선박 인양장치
KR200419393Y1 (ko) 2006-04-10 2006-06-20 이춘식 소형선박 이동용 대차
KR20060088870A (ko) 2006-07-18 2006-08-07 이상철 선박이송용 대차
KR100819546B1 (ko) * 2006-07-18 2008-04-08 이상철 선박이송용 대차
KR20100003866U (ko) * 2008-10-02 2010-04-12 (주)굿센스 진공 흡착구
KR200451533Y1 (ko) 2008-12-08 2010-12-20 주명자 선박이동용 대차
KR20140100009A (ko) 2013-02-05 2014-08-14 이정상 다양한 종류의 소형 선박을 이동할 수 있는 대차
KR101481329B1 (ko) * 2013-11-07 2015-01-14 김창완 접안시설의 선박 리프트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박 지지방법
KR20170014044A (ko) * 2015-07-28 2017-02-08 최광일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KR20180090228A (ko) * 2018-07-20 2018-08-10 김종영 비계 장치의 코너구조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0828A (ko) * 2022-02-10 2023-08-17 (주)카네비모빌리티 폭의 가변이 가능한 친환경 마린 모바일 리프트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2644357B1 (ko) * 2022-02-10 2024-03-07 (주)카네비모빌리티 폭의 가변이 가능한 친환경 마린 모바일 리프트 및 이의 구동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811404B (zh) 用於起重機之起吊滑車
WO2019071665A1 (zh) 五自由度变胞式多用途船舶靠泊装置
EP1288157A1 (en) Remote control connecting device for lifting device
US5281077A (en) Portable watercraft lift
US6257167B1 (en) Combination boat trailer and lift
US20180178885A1 (en) Automated mooring device
KR102129966B1 (ko) 위치확인용 부표를 통해 계류 위치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선박인양대차
US10093521B2 (en) Barge lid lifter system and method
US5176394A (en) Towing rig for floating objects
CA2643797C (en) Lifting apparatus for lifting hollow frames such as manhole or catchment basin frames
NL8301831A (nl) Inrichting voor het lichten en verwijderen van het onderstel van een niet meer gebruikte offshore-constructie.
US6569024B2 (en) Giant swing amusement ride with oppositely pivoting boom arm and cam arm
AU2012100144A4 (en) Hyperbaric lifeboat recovery system
KR101438076B1 (ko) 다양한 종류의 소형 선박을 이동할 수 있는 대차
CN102530738B (zh) 拆装式码头吊机
CN109803883A (zh) 用于将连结装置附接到自由浮动物体的装置
KR101059011B1 (ko) 요트 인양 크레인
US20070059099A1 (en) Hydraulic boat lift
US2933211A (en) Lifting and towing cradles
JP2001347878A (ja) クレーン機構付きボートトレーラー
JP2010260424A (ja) 簡易船体浮上装置
US10744923B2 (en) Extendible boom suspended vehicle towing
CN212175726U (zh) 一种适用于水域平台的升降装置
CN207537031U (zh) 一种车载便携式吊机
US2682246A (en) Submersible bell for lifting submerged obje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