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19546B1 - 선박이송용 대차 - Google Patents

선박이송용 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19546B1
KR100819546B1 KR1020060067002A KR20060067002A KR100819546B1 KR 100819546 B1 KR100819546 B1 KR 100819546B1 KR 1020060067002 A KR1020060067002 A KR 1020060067002A KR 20060067002 A KR20060067002 A KR 20060067002A KR 100819546 B1 KR100819546 B1 KR 100819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p
plate
frame
adjustment
vess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67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8870A (ko
Inventor
이상철
Original Assignee
이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철 filed Critical 이상철
Priority to KR1020060067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9546B1/ko
Publication of KR20060088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8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9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95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3/00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 B63C3/12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using cra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5/00Equipment usable both on slipways and in dry docks
    • B63C5/02Stagings; Scaffolding; Shores or struts
    • B63C2005/022Shores or struts, e.g. individual oblique support elements for stabilizing hulls in dry-do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이송용 대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태풍이나 해일 등이 발생 시 연안의 선박을 인양하여 안전한 장소로 대피시킬 때 사용하는 선박용 대차를 제공하되, 선박의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호환성 있게 적재, 이송할 수 있으며, 좁은 골목길도 운반이 가능하고, 보관 및 이송의 용이성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 선박이송용 대차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선박을 인양하여 안전한 대피장소로 이송하기 위한 선박 이송용 대차(1)를 구성하되, 이는 직사각형의 전후 분할형으로 이루어지고 견인고리(21)를 설치한 프레임(2)과, 상기 프레임(2)의 하부에는 설치되는 캐스터(5) 및 대차(1) 유동방지용 나사식 서포터(6) 및 상기 프레임(2)의 전후로 설치되어 선박을 적재하는 적재서포터(7)가 프레임(2)의 전후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수개의 제1조절공(8)에 제1조절핀(9)으로 위치조절고정되는 적재플레이트(10)와, 상기 적재플레이트(10)상에는 좌우방향으로 수개의 제2조절공(11)에 제2조절핀(12)으로 위치조절고정되는 좌우조절판(13)과, 상기 좌우조절판(13)에 상하 방향으로 고정되는 포스트(14)와, 상기 포스트(14) 상단부에 스프링(15)으로 탄력설치되고 제1축핀(16)에 의해 좌우로 각도조절되는 좌우각도조절판(17)과, 상기 좌우각도조절판(17) 상부로 제2축핀(18)에 의해 전후로 각도조절이 이루어지는 전후각도조절판(19) 및 상기 전후각도조절판(19) 상면에 고정되는 선박받침판(20)으로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서,
이와 같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선박이송용 대차(1)는 태풍이나 해일 등이 예보 시에 연안에 정박 중인 선박을 안전한 대피장소로 이동할 시에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특히 대차(1)를 좁은 장소에도 보관할 수 있으며, 선박(22)의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적재하여 이송이 가능하며, 좁은 골목길도 운반이 가능한 등 다수의 이점을 제공하는 것이다.
선박이송용 대차, 적재서포터, 적재플레이트, 조절공, 조절핀, 선박받침판

Description

선박이송용 대차{A dragger for transferring a ship}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선박이송용 대차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선박이송용 대차의 전후 프레임을 분해한 상태
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선박이송용 대차의 평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선박이송용 대차의 적재서포터를 발췌한 사시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선박이송용 대차에 선박을 적재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선박이송용 대차에 선박을 적재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선박이송용 대차에 선박을 적재한 상태를 보인
일부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
1: 대차 2: 프레임
2a: 전측 프레임 2b: 후측 프레임
3: 연결구 4: 결합핀
5: 캐스터 6: 서포터
7: 적재서포터 8: 제1조절공
9: 제1조절핀 10: 적재플레이트
11: 제2조절공 12: 제2조절핀
13: 좌우조절판 14: 포스트
15: 스프링 16: 제1축핀
17: 좌우각도조절판 18: 제2축핀
19: 전후각도조절판 20: 선박받침판
21: 견인고리 23: 잭(jack)
본 발명은 선박이송용 대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태풍이나 해일 등이 발생 시 연안의 선박을 인양하여 안전한 장소로 대피시킬 때 사용하는 선박용 대차를 제공하되, 선박의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호환성 있게 적재, 이송할 수 있으며, 좁은 골목길도 운반이 가능하고, 보관 및 이송의 용이성도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 선박이송용 대차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통상 태풍이나 해일 등이 예보되면 연안에 정박 중인 선박을 인양하여 선박이 손상, 유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인양기로 선박을 인양한 후 고가의 용역비용을 지불하고 지게차 또는 화물차를 이용하여 선박을 적재한 후 안전한 대피장소로 이송시켜 보관을 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선박 인양 후 이송수단은 선박 전용의 이송수단이 아니라 선박 크기에 따라 호환성 등이 부재하며, 이송 도중 선박이 손상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좁은 골목길에는 선박을 길이방향으로 적재하여 이송하므로 진입이 불가능하므로 안전한 장소로 대피시키기에는 다수의 문제점을 안고 있었던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태풍, 해일 등이 예보 시에 선박을 안전한 장소로 대피시킬 때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일소할 수 있는 선박이송용 대차를 제공코자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특히 보관을 좁은 장소에도 할 수 있으며, 선박의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적재, 이송이 가능하며, 좁은 골목길도 운반이 가능한 등 다수의 이점을 갖는 선박이송용 대차를 제공함에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선박이송용 대차(1)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2는 전후 프레임을 분해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평면 구성도, 도 4는 적재서포터를 발췌한 사시도, 도 5,6,7은 사용상태 예시도 등으로서, 이들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키로 한다.
본 발명의 선박이송용 대차(1)를 구성하는 개략 직사각형의 프레임(2)은 보관시 공간점유률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전후 분할형의 프레임(2)으로 구성한다.
즉, 전측 프레임(2a)과 후측 프레임(2b)을 별도로 제작하여 상호 연결구(3)를 사용하여 결합핀(4)으로 연결 및 분리가능토록 한다.
그리고 프레임(2)의 하부에는 이동을 위한 캐스터(5)를 설치하고, 선박을 적재 및 하역 시 대차(1)가 유동하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나사식으로 높이 조절이 가능한 나사식 서포터(6)를 각각 4 모서리부에 장착한다.
프레임(2)의 전후로는 선박 적재 시 크기나 모델 등에 구애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적재할 수 있도록 선저(船底) 부위를 받쳐주는 적재서포터(7)가 설치되는 바, 상기 적재서포터(7)는 선박의 길이 및 폭에 호환성을 갖도록 프레임(2)의 전후 길이방향(X방향)으로 수개의 제1조절공(8)을 소정 간격으로 형성하고, 상기 제1조절공(8)에 대응하여 전후로 이동조절하여 제1조절핀(9)으로 고정되는 적재플레이트(10)를 설치한다.
상기 적재플레이트(10)상에는 좌우방향(Y방향)으로 수개의 제2조절공(11)을 소정 간격으로 형성하고, 상기 제2조절공(11)에 대응하여 좌우로 이동조절하여 제2조절핀(12)으로 고정되는 좌우조절판(13)과, 상기 좌우조절판(13)에 고정되며 선박 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하방향(Z방향)으로 설치고정되는 포스트(14)와, 상기 포스트(14) 상단부에 스프링(15)으로 탄력설치되고 제1축핀(16)에 의해 좌우로 각도조절되는 좌우각도조절판(17)과, 상기 좌우각도조절판(17) 상부로 제2축핀(18)에 의해 전후로 각도조절이 이루어지는 전후각도조절판(19)을 설치하고, 상기 전후각도조절판(19) 상면에 고무 등과 같은 논슬립(non slip)재이며, 완충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선박받침판(20)을 고정시킨다.
그리고 프레임(2)의 전측으로는 대차(1)를 이동 시에 경운기나 트랙터 등 다양한 이동수단과 연결할 수 있는 견인고리(21)를 설치토록 한다.
도면중의 부호 22는 각종 선박을 도시한 것이다.
한편,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대차(1)를 사용하여 선박(22)을 이송할 시에 선박(22)의 중앙 저부를 잭(23)을 사용하여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는 주로 무게가 무거운 선박이나 선저의 양 경사부 두께가 상대적으로 수직면부나 중앙부에 비하여 얇게 제작된 FRP 선박(22) 등을 이송할 시에 사용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될 수 있는 본 발명의 선박이송용 대차(1)는 태풍이나 해일 등이 예보 시에 연안에 정박 중인 선박(22)을 육지로 인양하여 특정 대피장소로 이동할 시에 사용하는 것으로서,
연안에 정박 중인 선박(22)을 인양기로 인양을 하여 대차(1)에 적재한다. 이때 대차(1)는 임의 유동하지 않도록 4모서리에 설치된 나사식 서포터(6)의 하단이 지면과 접하도록 나사조절하여 대차(1)를 현 위치에서 고정시킨 후 적재를 행하도록 한다.
그리고 선박받침판(20) 역시 선박(22)의 크기에 따라 전후 및 좌우로 위치를 조절한다. 이를 위하여 우선 선박(22)의 길이에 맞추어 프레임(2) 전후로 설치된 적재플레이트(10)를 전후로 위치 조절한다. 이를 위하여 제1조절핀(9)을 분리한 후 적재플레이트(10)를 전후로 위치 조절한 후 제1조절공(8)을 통하여 제1조절핀(9)을 고정하면 적재플레이트(10)의 위치가 조절되면, 적재플레이트(10)에 설치된 좌우조절판(13)을 제2조절핀(12)을 분리하여 좌우로 위치조절한 후 제2조절공(11)을 통하여 제2조절핀(12)을 고정하면 좌우조절판(13)의 위치 역시 선박(22)의 크기에 맞게 위치조절이 이루어진다.
선박(22)을 인양기로 리프팅하여 프레임(2) 상부에 안치하면 도 5내지 도 7과 같이 전후좌우로 위치조절된 선박받침판(20) 상에 선박(22)의 곡면 저부가 연접하면서 안정적인 서포팅이 이루어지는바, 상기 선박받침판(20)은 완충성을 갖는 논슬립재로 제작이 되므로 선박(22)을 적재, 서포팅 시에 안정적인 적재상태가 유지되며 선박(22) 저부의 손상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선박(22)의 저부 곡률에 맞게 선박받침판(20)이 전후 및 좌우로 각도조절이 이루어진다. 이는 상기 선박받침판(20)이 포스트(14) 상부에서 전후 스프링(15)으로 탄력설치되고 제1축핀(16)에 의해 좌우로 각도조절되는 좌우각도조절판(17) 및 상기 좌우각도조절판(17) 상부로 제2축핀(18)에 의해 전후로 각도조절이 이루어지는 전후각도조절판(19)상에 설치되어 있어 선박(22)의 저부에 부응하여 각 도조절이 이루어지므로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적재, 이송코자 하는 선박(22)의 무게가 중량체 선박이거나, 또는 선저의 양 경사부 두께가 상대적으로 수직면부나 중앙부에 비하여 얇게 제작된 FRP 선박(22) 등을 이송할 시에는 선박받침판(20)과 함께 선저 중앙부에 잭(23)을 사용하여 안정적으로 지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박(22)이 선박받침판(20)상에 안치되면 견인고리(21)를 경운기 등과 같은 다양한 이동수단에 연결하여 선박(22)을 원하는 대피장소로 이동한 후 보관하거나, 하역하여 보관하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프레임(2)은 보관 시에 장소 등을 고려하여 좁은 공간상에 보관할 시에는 전후 프레임(2a,2b)을 연결하고 있는 연결구(3)의 결합핀(4)을 분리하여 2단 적재 방식으로 적재하거나 세워서 보관토록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선박이송용 대차(1)는 태풍이나 해일 등이 예보 시에 연안에 정박 중인 선박을 안전한 대피장소로 이동할 시에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서,
본 발명은 특히 대차(1)를 좁은 장소에도 보관할 수 있으며, 선박(22)의 크기에 구애받지 않고 안정적으로 적재하여 이송이 가능하며, 좁은 골목길도 운반이 가능한 등 다수의 이점을 득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2)

  1. 선박을 인양하여 안전한 대피장소로 이송하기 위한 선박 이송용 대차(1)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대차(1)는 직사각형의 전후 분할형으로 이루어지고 견인고리(21)를 설치한 프레임(2)과,
    상기 프레임(2)의 하부에 설치되는 캐스터(5) 및 대차(1) 유동방지용 나사식 서포터(6) 및,
    상기 프레임(2)의 전후로 설치되어 선박을 적재하는 적재서포터(7)와,
    상기 적재서포터(7)는 프레임(2)의 전후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수개의 제1조절공(8)에 제1조절핀(9)으로 위치조절고정되는 적재플레이트(10)와, 상기 적재플레이트(10)상에는 좌우방향으로 수개의 제2조절공(11)에 제2조절핀(12)으로 위치조절고정되는 좌우조절판(13)과, 상기 좌우조절판(13)에 상하 방향으로 고정되는 포스트(14)와, 상기 포스트(14) 상단부에 스프링(15)으로 탄력설치되고 제1축핀(16)에 의해 좌우로 각도조절되는 좌우각도조절판(17)과, 상기 좌우각도조절판(17) 상부로 제2축핀(18)에 의해 전후로 각도조절이 이루어지는 전후각도조절판(19) 및 상기 전후각도조절판(19) 상면에 고정되는 선박받침판(2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이송용 대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은 별도 형성되는 전측 프레임(2a)과 후측 프레임(2b) 및,
    상기 전후 프레임(2a,2b)을 연결구(3) 및 결합핀(4)으로 연결 및 분리가능토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이송용 대차.
KR1020060067002A 2006-07-18 2006-07-18 선박이송용 대차 KR1008195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7002A KR100819546B1 (ko) 2006-07-18 2006-07-18 선박이송용 대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67002A KR100819546B1 (ko) 2006-07-18 2006-07-18 선박이송용 대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8870A KR20060088870A (ko) 2006-08-07
KR100819546B1 true KR100819546B1 (ko) 2008-04-08

Family

ID=37177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67002A KR100819546B1 (ko) 2006-07-18 2006-07-18 선박이송용 대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1954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9005B1 (ko) * 2018-02-06 2018-06-20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선박 조립용 자동 지그 장치
KR20190006230A (ko) 2017-07-10 2019-01-1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받침대
KR20190065804A (ko) * 2017-12-04 2019-06-12 (주)푸른중공업 선박 조립용 자동 지그 장치
KR20200054735A (ko) * 2018-11-12 2020-05-20 주식회사 브랜드뉴 선박 대조블록 용접용 대조블록 위치 정렬장치
KR102129966B1 (ko) * 2019-05-28 2020-07-03 정석기 위치확인용 부표를 통해 계류 위치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선박인양대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5190B1 (ko) * 2013-03-06 2014-09-29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육상 운하 시스템용 차량
KR101426067B1 (ko) * 2013-03-07 2014-08-0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육상 운하 시스템
KR101487884B1 (ko) * 2014-08-26 2015-01-3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육상 운하 시스템용 차량
CN108891556A (zh) * 2018-07-19 2018-11-27 芜湖籁余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船舶稳定下水移动支撑装置
CN109204737A (zh) * 2018-10-10 2019-01-15 中船澄西船舶修造有限公司 一种用于布放船舶下水滑板的小车
KR102432189B1 (ko) * 2020-12-02 2022-08-11 주식회사 한화 작업용 자동 동심도 정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동심도 정렬 방법
KR102364665B1 (ko) * 2020-12-15 2022-02-17 주식회사 한화 자동 고정식 usv 받침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900U (ko) 1977-06-07 1979-01-08
JPH09118294A (ja) * 1995-10-25 1997-05-06 Nagatetsu:Kk 船体固定装置
JPH11348646A (ja) 1998-06-09 1999-12-21 Nippon Hoist Kk 船舶用台車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900U (ko) 1977-06-07 1979-01-08
JPH09118294A (ja) * 1995-10-25 1997-05-06 Nagatetsu:Kk 船体固定装置
JPH11348646A (ja) 1998-06-09 1999-12-21 Nippon Hoist Kk 船舶用台車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6230A (ko) 2017-07-10 2019-01-1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받침대
KR20190065804A (ko) * 2017-12-04 2019-06-12 (주)푸른중공업 선박 조립용 자동 지그 장치
KR102016588B1 (ko) 2017-12-04 2019-09-02 (주)푸른중공업 선박 조립용 자동 지그 장치
KR101869005B1 (ko) * 2018-02-06 2018-06-20 목포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선박 조립용 자동 지그 장치
KR20200054735A (ko) * 2018-11-12 2020-05-20 주식회사 브랜드뉴 선박 대조블록 용접용 대조블록 위치 정렬장치
KR102176757B1 (ko) 2018-11-12 2020-11-09 주식회사 브랜드뉴 선박 대조블록 용접용 대조블록 위치 정렬장치
KR102129966B1 (ko) * 2019-05-28 2020-07-03 정석기 위치확인용 부표를 통해 계류 위치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선박인양대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8870A (ko) 2006-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9546B1 (ko) 선박이송용 대차
US20090278326A1 (en) Kits, Components and Stackable Trailers for Transporting Containers
US3896956A (en) Round bale loader for pickup truck
US5584639A (en) Tow trailer for transporting pallets
US3993344A (en) Transporting system
US7416378B1 (en) Load lift control system
CA2406425C (en) Multi-use farm trailer
CA2080730C (en) Cylindrical bale transport device
US9011073B2 (en) Truck loading device
US20090261546A1 (en) Stackable trailers for transporting containers
US5567112A (en) Cargo ship off-loading method and cargo carrier
KR20200091589A (ko) 파렛트 이송 장치
US7299758B1 (en) Apparatus for transporting boat lifts
CN103298713B (zh) 两轮车的运送用固定装置
US3934926A (en) Transporting system
JP2017095037A (ja) 荷物運搬用台車
CN108495783B (zh) 在集装箱船和码头之间转移标准化集装箱的方法
CN210792956U (zh) 一种辅助清洗机器人用的高架车托运装置
US6565136B1 (en) Lifting device for palletized loads
GB2574599A (en) Vehicle adaptor for containers
JP5094585B2 (ja) 立体格納庫
CN219362413U (zh) 一种拖挂钩及生产车间物料配送装置
US6863490B2 (en) Trailer for transporting boat hoist
CN219838590U (zh) 一种能够稳定支撑的转鸡笼运输车
CN220115712U (zh) 一种方便装卸货物的叉臂式装货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