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4665B1 - 자동 고정식 usv 받침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고정식 usv 받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4665B1
KR102364665B1 KR1020200175380A KR20200175380A KR102364665B1 KR 102364665 B1 KR102364665 B1 KR 102364665B1 KR 1020200175380 A KR1020200175380 A KR 1020200175380A KR 20200175380 A KR20200175380 A KR 20200175380A KR 102364665 B1 KR102364665 B1 KR 102364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v
switch
contact
support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5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to KR1020200175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46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4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4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5/006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for floating containers, barges or other floating cargo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4Means for preventing unwanted cargo movement, e.g. dunn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deck lo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고정식 USV 받침장치(1)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동력 없이 중력 및 영구자력만을 활용하여, 상측에 USV가 안착되어 있을 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며, 상기 USV 이탈 시 자동으로 메인 데크 상에 부착 및 고정됨으로써, 손쉬운 활용과 함께, 견고한 고정 동작을 통한 작업자의 안전을 담보하도록 하는 받침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 고정식 USV 받침장치{AUTOMATIC FIXING USV SUPPOR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자동 고정식 USV 받침장치(1)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동력 없이 중력 및 영구자력만을 활용하여, 상측에 USV가 안착되어 있을 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며, 상기 USV 이탈 시 자동으로 메인 데크 상에 부착 및 고정됨으로써, 손쉬운 활용과 함께, 견고한 고정 동작을 통한 작업자의 안전을 담보하도록 하는 받침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인수상정(Unmanned Surface Vehicle; USV)은 항만, 해상 등의 감시 및 정찰, 해상 플랫폼 보호 등을 위하여 활용하는 장비로, 육상 기지 또는 항해 중인 함정의 통제소에서 원격 조종하거나, 사전에 설정된 목표지점까지 자율 운행하고, 연안 작전기지 주변의 레이더 사각지대와 레이더로 잡아내지 못하는 미상의 물체에 접근하여 파악하는 감시 정찰의 임무를 맡는다.
해상 탄착 계측 수행 시 선박에서 수행하는 작업 중 무인수상정을 선상 크레인을 이용하여 메인 테크에서 해상으로 진수하고 인양하는 작업을 필수적으로 요한다. 이 때 파도에 따라 불규칙적으로 흔들리는 선상에서의 작업으로, 무인수상정이 안착된 장비의 바퀴를 마찰력을 이용하여 메인 데크 상에 고정하는 방식은 작업자의 안전성을 담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파도에 의해 지속적으로 흔들리는 선상에서는 바닥면의 경사가 예측 불가능하게 변하고, 해수가 바닥면 상에 유입됨으로써 충분한 마찰력을 확보하는 것이 쉽지 않다. 따라서, 마찰력을 활용하여 바퀴를 메인 데크 상에 고정하는 것은, 육지 또는 경사가 없는 예측 가능한 환경 속에서는 높은 신뢰도를 보여주지만, 해상에서 동일하게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의 발명자는 마찰력 확보가 어려운 곳에서 별도의 동력 없이 중력 및 자력을 이용하여 활용 가능한 신규의 무인수상정 받침장치를 제시하고자 한다.
등록특허 KR 제10-1999624호 '무인수상정 원격 통제 방법'
앞서 본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파도에 의하여 흔들리는 선상에서 USV를 해상으로 진수하고 인양하는 작업 수행 시 강철로 구성된 메인 데크 상에 자동으로 견고히 고정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 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 자동 고정식 USV 받침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동력 없이 중력 및 영구자력만을 활용하여, 상측에 USV가 안착되어 있을 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며, 상기 USV 이탈 시 자동으로 메인 데크 상에 부착 및 고정됨으로써, 손쉬운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자동 고정식 USV 받침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흔들리는 선상과 같이 바닥면의 경사가 수시로 변하며, 해수 등으로 마찰력 확보가 비용이한 곳에서도 견고히 고정되어 그 활용에 높은 신뢰성을 보여줄 수 있도록 하는 자동 고정식 USV 받침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받침부 상에 USV 미 안착 시 자성을 띄는 고정부 저부가 메인 데크 상에 자동으로 고정되며, USV 안착 시 해당 고정부가 자동으로 상승함으로써 용이한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자동 고정식 USV 받침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레버부의 접촉부 상단부가 받침부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해당 받침부의 대응 위치보다 상측에 위치함으로써, 받침부 상에 USV 안착 시 자동 회전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자의 별도의 행위를 요하지 않는 자동 고정식 USV 받침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받침부 상에 USV가 안착하여 연결로드 승강 시, 스위치부재가 승강함에 따라 스위치 가이드부에 의하여 자동으로 스위치 온 위치로 회전되어 해당 USV 이탈 시 작업자의 별도의 행위 없이 고정부가 메인 데크 상에 고정되도록 하는 자동 고정식 USV 받침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결합부와, 제1 중공부 및 제2 중공부 경계 상의 단턱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의 복원력을 활용하여, 받침부로부터 USV 이탈 시 결합부가 용이하게 하강 가능하도록 하는 자동 고정식 USV 받침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앞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고정식 USV 받침장치는 USV가 안착되도록, 상측이 상기 USV의 저부와 상보적인 형상으로 구성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일 측과 결합되며, 상기 받침부 상 측에 안착되는 USV에 가압되어 회전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레버부; 및 일 측이 상기 레버부와 연결되며, 자력 발생을 제어하여 USV 받침장치가 메인데크 상에 고정 및 해제되도록 구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고정식 USV 받침장치에 구비되는 상기 레버부는 상기 받침부 상에 USV 미 안착 시, 상단부가 받침부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받침부의 대응 위치보다 상 측에 위치하는 접촉부; 및 상기 접촉부의 하단부로부터 절곡되며, 저면이 상기 고정부의 일 측과 연결되는 절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고정식 USV 받침장치에 구비되는 상기 레버부는 상기 받침부 상에 USV 이탈 시, 상기 접촉부의 상단부가 받침부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받침부의 대응 위치보다 상 측으로 재위치하게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고정식 USV 받침장치에 구비되는 상기 고정부는 상단부가 상기 받침부의 일 측과 결합 및 고정된 채 내측 중공부를 통해 연결로드가 승강 및 하강되도록 하는 케이스부재; 상단부가 상기 레버부의 일 측 저부와 연결되어 상기 레버부의 회전에 따라 승강 및 하강하는 연결로드; 하단부가 결합부와, 상단부가 상기 케이스부재의 내측 중공부의 단턱과 맞닿도록 위치하는 탄성부재; 상기 결합부의 일 측과 결합되어, 상기 결합부의 자력을 제어하도록 회전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스위치부재; 및 상기 스위치부재의 회전 동작에 의해 스위치 온/오프 됨으로써 자력이 발생/소실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고정식 USV 받침장치에 구비되는 상기 케이스부재는 상기 케이스부재의 상단부로부터 내측을 통해 하방 연장되어 연결로드의 삽입 및 상하 이동을 허용하는 제1 중공부; 및 상기 제1 중공부의 하단부와 연통되며, 내 측에 상기 탄성부재 및 결합부의 삽입을 허용하는 제2 중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중공부는 제1 중공부보다 큰 직경 크기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고정식 USV 받침장치에 구비되는 상기 케이스부재는 상기 케이스부재의 외면 하측으로부터 상방 절개되어 스위치부재의 일 측과 맞닿음으로써, 상기 연결로드 승강 시 상기 스위치부재가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가이드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고정식 USV 받침장치에 구비되는 상기 스위치부재는 일 측이 상기 결합부에 회전 가능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스위치 몸체부; 및 상기 스위치 몸체부를 커버하는 덮개 구성인 스위치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 커버의 외면에는 원통형의 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고정식 USV 받침장치에 구비되는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케이스부재의 외면 하측으로부터 상방 절개되어 상기 연결로드 승강 시 상기 돌기부와 맞닿아 상기 스위치 커버가 일 방향 회전하도록 하는 스위치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 가이드부는 상기 돌기부와 맞닿는 측이 상방으로 경사지게 절개되어 연장되는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의 상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직 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연장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고정식 USV 받침장치에 구비되는 상기 스위치부재는 상기 돌기부가 경사부와 맞닿아 회전하여 상기 경사부의 최상단 측에서 스위치 온 되며, 상기 돌기부가 고정부에 삽입되어 스위치 온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고정식 USV 받침장치에 구비되는 상기 탄성부재는 하단부가 상기 결합부와, 상단부가 상기 제1 중공부 및 제2 중공부 경계 상의 단턱과 맞닿아, 상기 연결로드 상승 시 압축되며, 상기 USV가 안착부로부터 이탈 시 복원력에 의해 상기 결합부를 하방으로 밀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고정식 USV 받침장치에 구비되는 상기 스위치 몸체부는 상기 결합부의 원형홈에 삽입되는 회전동작부; 및 상기 회전동작부와 결합되어 작업자에 의하여 상기 회전동작부가 회전되도록 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고정식 USV 받침장치에 구비되는 상기 스위치 커버는 상기 스위치 몸체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배면에 상기 손잡이부의 삽입을 허용하도록 상기 손잡이부와 상보적인 형상의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고정식 USV 받침장치에 구비되는 상기 결합부는 상기 스위치부재의 스위치 온 시 일 측이 자화되며, 스위치 오프 시 자력이 소실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고정식 USV 받침장치는 상측에 USV가 안착되도록, 상기 USV의 저부와 상보적인 형상으로 구성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일 측과 결합되며, 상기 받침부 상 측에 안착되는 USV에 가압되어 회전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레버부; 및 일 측이 상기 레버부와 연결되며, 자력 발생을 제어하여 USV 받침장치가 메인데크 상에 고정 및 해제되도록 구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단부가 상기 받침부의 일 측과 결합 및 고정된 채 내측 중공부를 통해 연결로드가 승강 및 하강되도록 하는 케이스부재; 상단부가 상기 레버부의 일 측 저부와 연결되어 상기 레버부의 회전에 따라 승강 및 하강하는 연결로드; 상기 결합부의 일 측과 결합되어, 상기 결합부의 자력을 제어하도록 회전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스위치부재; 및 상기 스위치부재의 회전 동작에 의해 스위치 온/오프 됨으로써 자력이 발생/소실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 고정식 USV 받침장치에 구비되는 상기 스위치부재는 상기 연결로드 승강 시 일 측이 상기 케이스부재의 일 측과 맞닿아 스위치 온 위치로 자동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앞서 본 구성에 의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파도에 의하여 흔들리는 선상에서 USV를 해상으로 진수하고 인양하는 작업 수행 시 강철로 구성된 메인 데크 상에 자동으로 견고히 고정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 사고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동력 없이 중력 및 영구자력만을 활용하여, 상측에 USV가 안착되어 있을 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며, 상기 USV 이탈 시 자동으로 메인 데크 상에 부착 및 고정됨으로써, 손쉬운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흔들리는 선상과 같이 바닥면의 경사가 수시로 변하며, 해수 등으로 마찰력 확보가 비용이한 곳에서도 견고히 고정되어 그 활용에 높은 신뢰성을 보여줄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도출된다.
또한, 본 발명은 받침부 상에 USV 미 안착 시 자성을 띄는 고정부 저부가 메인 데크 상에 자동으로 고정되며, USV 안착 시 해당 고정부가 자동으로 상승함으로써 용이한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레버부의 접촉부 상단부가 받침부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해당 받침부의 대응 위치보다 상측에 위치함으로써, 받침부 상에 USV 안착 시 자동 회전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자의 별도의 행위를 요하지 않는 효과를 보인다.
또한, 본 발명은 받침부 상에 USV가 안착하여 연결로드 승강 시, 스위치부재가 승강함에 따라 스위치 가이드부에 의하여 자동으로 스위치 온 위치로 회전되어 해당 USV 이탈 시 작업자의 별도의 행위 없이 고정부가 메인 데크 상에 고정되도록 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결합부와, 제1 중공부 및 제2 중공부 경계 상의 단턱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부재의 복원력을 활용하여, 받침부로부터 USV 이탈 시 결합부가 용이하게 하강 가능하도록 하는 효과가 도출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고정식 USV 받침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자동 고정식 USV 받침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자동 고정식 USV 받침장치의 참고도이고;
도 4는 도 1에 따른 고정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따른 고정부의 승강/하강 동작을 보여주는 참고도이고;
도 6은 도 4에 따른 스위치 몸체부 회전 동작을 보여주는 참고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USV 받침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한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을 기준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참고적으로 제공되는 것일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 /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개별 구성들은 필요에 따라 일체로 이루어질 수도 또는 독립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이에 별도의 제한이 없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고정식 USV 받침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자동 고정식 USV 받침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따른 자동 고정식 USV 받침장치의 참고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고정식 USV 받침장치(1)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은 자동 고정식 USV 받침장치(1)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의 동력 없이 중력 및 영구자력만을 활용하여, 상측에 USV가 안착되어 있을 시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며, 상기 USV 이탈 시 자동으로 메인 데크 상에 부착 및 고정됨으로써, 손쉬운 활용과 함께, 견고한 고정 동작을 통한 작업자의 안전을 담보하도록 하는 받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자동 고정식 USV 받침장치(1)는 받침부(10), 레버부(30) 및 고정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3을 참고하면, 받침부(10)는 상측에 USV(70)가 안착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그 상부가 상기 USV의 저부와 상보적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받침부(10)는 프레임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받침부(10)의 저부에는 한 개 이상의 이동 휠(110)이 형성되어 USV(70) 안착 시 받침장치(1)가 메인 데크로부터 용이하게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이동 휠(110)은 그 저부가 사각 프레임으로 형성되는 받침부(10)의 저부 양 모서리와 인접한 측에 각각 한 개씩 총 4개가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별도의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받침부(10)는 USV(70)의 중량을 안정적으로 견딜 수 있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및 3을 참고하면, 레버부(30)는 받침부(10)의 일 측과 결합되어, 상기 받침부(10) 상 측에 안착되는 USV(70) 하중에 의하여 회전 동작함으로써 고정부(50)가 메인 데크 상에서 고정 해제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레버부(30)는, USV(70)의 저부와 접촉하도록 그 일 측이 수평면 상에서 받침부(10)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그 후, USV(70)의 저부가 상기 레버부(30)의 일 측을 가압하면, 상기 레버부(30)가 회전 동작할 수 있다.
이러한 레버부(30)는 접촉부(310) 및 절곡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부(310)는 USV(70) 미 안착 시 그 상단부가 받침부(10)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받침부(10)의 대응 위치보다 상 측에 위치하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USV(70) 안착 시 그 저부가 접촉부(310)의 상단부를 가압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접촉부(310)는 USV(70)의 중량에 의하여 소정 각도 회전 동작한다.
절곡부(330)는 접촉부(310)의 하단부로부터 절곡되어 그 저면이 고정부(50)의 일 측과 연결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절곡부(330)는 접촉부(31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절곡부(330)는 접촉부(310)와 함께 레버부(30)를 'V'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이에 별도의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또한, 절곡부(330)는 그 저면이 후술할 고정부(50)의 연결로드(530)와 결합될 수 있다.
레버부(30)의 동작에 대하여 다시 한 번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USV(70) 이탈 시 절곡부(330)와 연결된 측 고정부(50)의 중량에 의하여 레버부(30)가 원 위치로 회전한다. 이 때 회전 동작은 절곡부(330)의 고정부(50)와 연결된 측이 하방을 향하도록 한다. 따라서, 연결로드(530) 역시 하강할 수 있다. 또한, USV(70) 안착 시 접촉부(310)의 상단부가 하방 회전하며, 절곡부(330)는 고정부(50)와 연결된 측이 상방 회전한다. 따라서, 연결로드(530)가 상방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별도의 동력장치를 활용하지 않으면서도 연결로드(530)의 승강/하강을 제어하는 것에 그 이점이 있다. 즉, UV(70) 이탈 시 고정부(50) 일 측의 중량에 의하여 레버부(30)가 자동으로 회전하는 것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고정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따른 고정부의 승강/하강 동작을 보여주는 참고도이고; 도 6은 도 4에 따른 스위치 몸체부 회전 동작을 보여주는 참고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고정부(50)는 일 측이 레버부(30)와 연결되며, 자성에 의하여 USV 받침장치(1)가 메인데크에 고정 및 상기 메인데크로부터 해제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하여, 고정부(50)는 케이스부재(510), 연결로드(530), 탄성부재(550), 스위치부재(570), 결합부(59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부재(510)는 그 상단부가 받침부(10)의 일 측과 결합 및 고정된 채 내측 중공부를 통해 연결로드(530)의 이동을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케이스부재(510)는 예를 들어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별도의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상기 케이스부재(510)는 제1 중공부(511), 제2 중공부(513) 및 가이드부(51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중공부(511)는 상기 케이스부재(510)의 상단부로부터 그 내측을 통해 하방 연장되어 그 내측에 연결로드(530)의 삽입 및 상하 이동을 허용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제1 중공부(511)는 소정의 직경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중공부(511)의 내주면 직경 크기는 연결로드(530)의 직경 크기와 대략 동일하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중공부(511)의 상하 연장 길이는 연결로드(530)의 전체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상기 연결로드(530)의 자연스러운 이동을 도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중공부(513)는 제1 중공부(511)의 하단부와 연통되며, 내 측에 후술할 탄성부재(550), 스위치부재(570) 및 결합부(590)의 삽입을 허용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2 중공부(513)는 그 직경이 제1 중공부(51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후술할 탄성부재(550)가 제1 중공부(511) 및 제2 중공부(513)의 단턱에 의해 지정된 위치로부터 상방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중공부(513)는 결합부(590)의 승강 및 하강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위치부재(570) 및 결합부(590)는 연결로드(530)와 함께 승강 또는 하강하도록 구성된다.
도 4를 참고하면, 가이드부(515)는 케이스부재(510)의 하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소정 거리 절개되어 스위치부재(570) 및/또는 결합부(590)의 승강 또는 하강을 가이드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하여, 가이드부(515)는 스위치 가이드부(5151) 및 스위치 커버 가이드부(5153)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 가이드부(5151)는 케이스부재(510)의 외면 하측으로부터 상방 절개되며, 후술할 스위치 커버(573)의 돌기부(573a)와 맞닿아, 연결로드(530)가 승강함으로써 상기 스위치 부재(570)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스위치 가이드부(5151)는 돌기부(573a)와 맞닿는 측이 상방으로 진행될수록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부(5151a)와; 상기 경사부(5151a)의 상단부로부터 상방 연장될수록 연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고정부(5151b);를 포함할 수 있다.
경사부(5151a)는 케이스부재(510)의 하측으부터 외면을 따라 상방으로 경사지게 절개됨으로써, 스위치 커버(573) 상승 시 돌기부(573a)와 접촉하여 스위치 커버(573)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스위치 커버(573)의 돌기부(573a)가 6시 방향에 위치할 때 스위치 온 되어 결합부(590)의 저부가 강자력을 통해 메인 데크 상에 고정되며, 상기 돌기부(573a)가 9시 방향에 위치할 때 스위치 오프되어 상기 결합부(590)의 자력이 소실된다.
받침부(10) 상에 USV(70) 안착 시 작업자가 스위치 커버(573)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스위치 오프시키고, 레버부(30) 회전에 의하여 연결로드(530)가 승강함에 따라, 상기 연결로드(530)와 연결된 스위치 커버(573) 역시 승강한다. 그 후, 돌기부(573a)가 경사부(5151a)와 접촉하며, 상기 돌기부(573a)가 9시 방향에서 6시 방향 측으로 이동하도록 스위치 커버(573)가 자동 회전한다. 따라서 스위치 온 상태가 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경사부(5151a)는 일 방향으로만 경사지게 절개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부(5151b)는 경사부(5151a)의 상단부로부터 연직방향으로 소정 거리 상방 연장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돌기부(573a) 회전에 의하여 6시 방향에 위치함으로써 스위치 온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로드(530) 승강에 의해 자동으로 스위치부재(570)가 스위치 온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USV(70) 이탈을 통한 연결로드(530) 하강 시 작업자가 수동으로 스위치 온을 할 필요 없이 결합부(590)가 메인 데크 상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에 이점이 있다.
스위치 커버 가이드부(5153)는 케이스부재(510)의 제2 중공부(513) 내면 상에서 후술할 스위치 커버(573)의 직경 크기와 대략 동일한 좌우 폭 크기를 가짐으로써 상방 연장되는 홈 형상 구성이다. 따라서, 연결로드(530) 승강 또는 하강 시 스위치 커버(573)의 승강 및 하강을 가이드할 수 있다.
연결로드(530)는 그 상단부가 레버부(30)의 일 측 저부와 연결되어 상기 레버부(30) 회전에 따라 승강 및 하강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연결로드(530)는 제1 중공부(511)의 내측에 부분 삽입되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연결로드(530)는 예를 들어 원통형일 수 있으나 이에 별도의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탄성부재(550)는 그 하단부가 결합부(590)와, 그 상단부가 제1 중공부(511) 및 제2 중공부(513) 경계 상의 단턱과 맞닿도록 위치하는 구성이다. 그러므로 받침부(10) 상에 USV(70) 안착 시 연결로드(530) 승강에 의하여 결합부(590)를 통해 압축되었다가, 상기 USV(70) 이탈 시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결합부(590)의 일 측을 하방으로 밀어낸다. 따라서 상기 USV(70) 이탈 시 받침장치(1)가 메인 데크 상에 용이하게 자동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550)는 예를 들어 스프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위치부재(570)는 결합부(590)의 일 측과 결합되어 스위치 온/오프를 통해 상기 결합부(590)의 자력 소실 등을 결정하는 구성이다. 설명한 바와 같이, 스위치부재(570)는 결합부(590)가 메인 데크 상에 고정 시 스위치 온 상태를, 상기 메인 데크 상에서 해제를 위하여 스위치 오프 상태가 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스위치부재(570)는 스위치 몸체부(571) 및 스위치 커버(573)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 몸체부(571)는 일 측이 후술할 결합부(590)에 회전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스위치 몸체부(571)는 회전 동작에 의하여 결합부(590)의 자력이 유도 및 소실되도록 한다. 또한, 스위치 몸체부(571)는 결합부(590)의 원형홈에 삽입되는 회전동작부(5711) 및 상기 회전동작부(5711)와 결합되어 작업자에 의해 상기 회전동작부(5711)가 회전되도록 하는 손잡이부(5713)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동작부(5711)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위치 커버(573)는 스위치 몸체부(571)를 커버하는 덮개 구성으로, 상기 스위치 몸체부(57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예를 들어 원통형일 수 있다. 또한, 스위치 커버(573)의 외면 일 측에는 돌기부(573a)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스위치 몸체부(571)가 상승 시 자동으로 스위치 온 위치로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스위치 커버(573)의 배면에는 손잡이부(5713)의 삽입을 허용하도록 상기 손잡이부(5713)와 상보적인 형상의 홈(5731)이 형성된다. 따라서, 스위치 커버(573)가 스위치 몸체부(571)의 일 측을 커버한 후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스위치 커버(573)의 외면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기부(573a)가 형성된다. 이러한 돌기부(573a)는 예를 들어 원통형일 수 있다. 설명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돌기부(573a)가 6시 방향에 위치한 경우 스위치 온 되어 결합부(590)의 저면이 자화되며, 9시 방향에 위치할 시 자력이 소실되도록 구성된다. 돌기부(573a)는 스위치 커버(573)의 전면에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590)는 스위치부재(570)의 회전 동작에 의해 스위치 온/오프 됨으로써 자력 발생/소실을 통해 메인 데크 상에 고정 및 해제되는 구성이다. 결합부(590)는 일 예로 마그네틱 클램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위치부재(570)의 회전에 따른 스위치 온 시, 일 측에 위치한 자성체(미도시)에 의해 결합부(590)의 일 측이 자화되며, 스위치 오프 시 자력이 소실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결합부(590)의 고정 및 해제를 유도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결합부(590)는 접촉부재(591) 및 고정면(593)을 포함할 수 있다.
접촉부재(591)는 케이스부재(510)의 내 측에 삽입되며 일 측이 탄성부재(550)의 하단부와 접촉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접촉부재(591)는 제2 중공부(513)의 내 측에 삽입될 수 있고, USV(70) 이탈 시 탄성부재(550)의 복원력에 의해 하방으로 밀려나는 구성이다. 상기 접촉부재(591)의 직경 크기는 제2 중공부(513)의 내주면 직경 크기와 대략 동일하거나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고정면(593)은 스위치부재(570)의 회전 동작에 의해 스위치 온/오프 됨으로써 자력 발생/소실을 통해 메인 데크 상에 고정 및 해제되는 구성이다. 상기 고정면(593)은 결합부(590)의 저면을 형성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고정식 USV 받침장치(1)의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식 USV 받침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먼저 받침부(10) 상에 USV(70)가 안착되기 전, 고정부(50)의 중량에 의해 레버부(30)가 원 위치를 유지하여 연결로드(530)가 하강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스위치부재(570)가 스위치 온 위치로 회전되어 있으므로, 마그네틱 클램프로 이루어진 결합부(590)의 저부가 강자력을 띈다. 따라서, 메인 데크가 결합부(590)의 저면에 흡착 및 고정되어 USV 받침장치(1)가 견고히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도 5(a) 및 도 7(a) 참고).
그 후, 받침부(10) 상에 USV(70) 안착 시 스위치부재(570)를 수동으로 회전시켜 스위치 오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그리고 나서 상기 USV(70)가 레버부(30)를 가압하여 회전한다. 따라서 레버부(30)와 연결된 연결로드(530)가 승강하며, 스위치부재(570) 역시 승강한다(도 5(b) 및 도7(b) 참고). 이 때 스위치부재(570) 상의 돌기부(573a)가 스위치 가이드부(5151)와 접촉하면서 상기 스위치부재(570)가 자동으로 회전하여 돌기부(573a)가 스위치 온 위치로 이동한다(도 5(c) 및 도 7(c) 참고).
그 후, USV(70)가 받침부(10) 상에서 이탈 시, 레버부(30)는 다시 원 위치로 회전하며, 스위치부재(570)가 스위치 온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므로 작업자의 별다른 작업 없이 결합부(590)가 메인 데크 상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장치 및 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는 프로그램 또는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를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1 : 자동 고정식 USV 받침장치
10 : 받침부
30 : 레버부
310 : 접촉부 330 : 절곡부
50 : 고정부
510 : 케이스부재
511 : 제1 중공부 513 : 제2 중공부
515 : 가이드부
5151 : 스위치 가이드부
5151a : 경사부 5151b : 고정부
5153 : 스위치 커버 가이드부
530 : 연결로드 550 : 탄성부재
570 :스위치부재
571 : 스위치 몸체부
5711 : 회전동작부 5713 : 손잡이부
573 : 스위치 커버
5731 : 홈 573a : 돌기부
590 : 결합부
591 : 접촉부재 593 : 고정면
70 : USV

Claims (15)

  1. USV가 안착되도록, 상측이 상기 USV의 저부와 상보적인 형상으로 구성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일 측과 결합되며, 상기 받침부의 상측에 안착되는 USV에 가압되어 회전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레버부; 및
    일 측이 상기 레버부와 연결되며, 자력 발생을 제어하여 USV 받침장치가 메인데크 상에 고정 및 해제되도록 구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레버부는 상기 받침부 상에 USV 미 안착 시, 상단부가 받침부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받침부의 대응 위치보다 상 측에 위치하는 접촉부; 및
    상기 접촉부의 하단부로부터 절곡되며, 저면이 상기 고정부의 일 측과 연결되는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단부가 상기 받침부의 일 측과 결합 및 고정된 채 내측 중공부를 통해 연결로드가 승강 및 하강되도록 하는 케이스부재;
    상단부가 상기 레버부의 일 측 저부와 연결되어 상기 레버부의 회전에 따라 승강 및 하강하는 연결로드;
    하단부가 결합부와, 상단부가 상기 케이스부재의 내측 중공부의 단턱과 맞닿도록 위치하는 탄성부재;
    상기 결합부의 일 측과 결합되어, 상기 결합부의 자력을 제어하도록 회전 동작하게 구성되는 스위치부재; 및
    상기 스위치부재의 회전 동작에 의해 스위치 온/오프 됨으로써 자력이 발생/소실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고정식 USV 받침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는
    상기 받침부 상에 USV 이탈 시, 상기 접촉부의 상단부가 받침부의 길이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받침부의 대응 위치보다 상 측으로 재위치하게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고정식 USV 받침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재는
    상기 케이스부재의 상단부로부터 내측을 통해 하방 연장되어 연결로드의 삽입 및 승강과 하강을 허용하는 제1 중공부; 및
    상기 제1 중공부의 하단부와 연통되며, 내 측에 상기 탄성부재 및 결합부의 삽입을 허용하는 제2 중공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중공부는 제1 중공부보다 큰 직경 크기를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고정식 USV 받침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재는
    상기 케이스부재의 외면 하측으로부터 상방 절개되어 스위치부재의 일 측과 맞닿음으로써, 상기 연결로드 승강 시 상기 스위치부재가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가이드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고정식 USV 받침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재는
    일 측이 상기 결합부에 회전 가능 가능하도록 삽입되는 스위치 몸체부; 및
    상기 스위치 몸체부를 커버하는 덮개 구성인 스위치 커버;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 커버의 외면에는 원통형의 돌기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고정식 USV 받침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케이스부재의 외면 하측으로부터 상방 절개되어 상기 연결로드 승강 시 상기 돌기부와 맞닿아 상기 스위치 커버가 일 방향 회전하도록 하는 스위치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위치 가이드부는
    상기 돌기부와 맞닿는 측이 상방으로 경사지게 절개되어 연장되는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의 상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직 방향을 따라 절개되어 연장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고정식 USV 받침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재는
    상기 돌기부가 경사부와 맞닿아 회전하여 상기 경사부의 최상단 측에서 스위치 온 되며, 상기 돌기부가 고정부에 삽입되어 스위치 온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고정식 USV 받침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하단부가 상기 결합부와, 상단부가 상기 제1 중공부 및 제2 중공부 경계 상의 단턱과 맞닿아, 상기 연결로드 승강 시 압축되며, 상기 USV가 안착부로부터 이탈 시 복원력에 의해 상기 결합부를 하방으로 밀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고정식 USV 받침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몸체부는
    상기 결합부의 원형홈에 삽입되는 회전동작부; 및
    상기 회전동작부와 결합되어 작업자에 의하여 상기 회전동작부가 회전되도록 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고정식 USV 받침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커버는
    상기 스위치 몸체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배면에 상기 손잡이부의 삽입을 허용하도록 상기 손잡이부와 상보적인 형상의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고정식 USV 받침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스위치부재의 스위치 온 시 일 측이 자화되며, 스위치 오프 시 자력이 소실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고정식 USV 받침장치.
  14. 상측에 USV가 안착되도록, 상기 USV의 저부와 상보적인 형상으로 구성되는 받침부;
    상기 받침부의 일 측과 결합되며, 상기 받침부의 상측에 안착되는 USV에 가압되어 회전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레버부; 및
    일 측이 상기 레버부와 연결되며, 자력 발생을 제어하여 USV 받침장치가 메인데크 상에 고정 및 해제되도록 구성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는
    상단부가 상기 받침부의 일 측과 결합 및 고정된 채 내측 중공부를 통해 연결로드가 승강 및 하강되도록 하는 케이스부재; 상단부가 상기 레버부의 일 측 저부와 연결되어 상기 레버부의 회전에 따라 승강 및 하강하는 연결로드; 하단부가 결합부와, 상단부가 상기 케이스부재의 내측 중공부의 단턱과 맞닿도록 위치하는 탄성부재; 상기 결합부의 일 측과 결합되어, 상기 결합부의 자력을 제어하도록 회전 동작하도록 구성되는 스위치부재; 및 상기 스위치부재의 회전 동작에 의해 스위치 온/오프 됨으로써 자력이 발생/소실되는 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고정식 USV 받침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재는
    상기 연결로드 승강 시 일 측이 상기 케이스부재의 일 측과 맞닿아 스위치 온 위치로 자동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고정식 USV 받침장치.




KR1020200175380A 2020-12-15 2020-12-15 자동 고정식 usv 받침장치 KR1023646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380A KR102364665B1 (ko) 2020-12-15 2020-12-15 자동 고정식 usv 받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5380A KR102364665B1 (ko) 2020-12-15 2020-12-15 자동 고정식 usv 받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64665B1 true KR102364665B1 (ko) 2022-02-17

Family

ID=80493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5380A KR102364665B1 (ko) 2020-12-15 2020-12-15 자동 고정식 usv 받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466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8870A (ko) * 2006-07-18 2006-08-07 이상철 선박이송용 대차
KR20130070316A (ko) * 2011-12-19 2013-06-27 강영호 선체 고정 장치
KR101999624B1 (ko) 2019-01-02 2019-07-12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무인수상정 원격 통제 방법
KR20190002648U (ko) * 2018-04-13 2019-10-23 주식회사 현대미포조선 선박용 이동식 대빗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8870A (ko) * 2006-07-18 2006-08-07 이상철 선박이송용 대차
KR20130070316A (ko) * 2011-12-19 2013-06-27 강영호 선체 고정 장치
KR20190002648U (ko) * 2018-04-13 2019-10-23 주식회사 현대미포조선 선박용 이동식 대빗
KR101999624B1 (ko) 2019-01-02 2019-07-12 한화시스템 주식회사 무인수상정 원격 통제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044035A1 (en) Rocket landing system
JP6761147B1 (ja) 無人飛行体、飛行体制御システム及び運搬方法
KR102364665B1 (ko) 자동 고정식 usv 받침장치
AU2016389603A1 (en) Centering and landing platform for hovering flying vehicles
WO2005010316A3 (en) Remotely operated deployment system and method of use
EP2343472A2 (en) Floatable diving torch
CN113501116B (zh) 一种气胀式救生筏系统释放操作方法
WO2016036791A2 (en) Vessel recovery system and method
US20190100291A1 (en) Subsea remotely operated vehicle (rov) hub
KR102216518B1 (ko) 선박에서 드론의 안전 착륙을 유도하는 착륙보조장치
KR101315252B1 (ko) 선박 강제 등선용 조립식 사다리
JP6084824B2 (ja) 波力発電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02132661B1 (ko) 무인비행체의 이착륙장치
US11548657B2 (en) Aerial vehicle securing system and method
WO2018021917A1 (en) Apparatus for connecting a drifting object to a towing vessel and method for using said apparatus
KR20160033912A (ko) 헬리 데크
JP2008037251A (ja) 曳航索の取付装置及びそれを搭載した水中ロボット
US20140096367A1 (en) Magnetic clamp attachment assembly
JP4645980B2 (ja) 水中機器把持装置
KR200481469Y1 (ko) 구명정 진수 장치
US20110182059A1 (en) Floatable diving torch
KR102116417B1 (ko) 선박
WO2012108769A1 (en) Transfer system
KR101945172B1 (ko) 선박의 정박장치
GB2309198A (en) Suspendable safety ke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