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5172B1 - 선박의 정박장치 - Google Patents
선박의 정박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45172B1 KR101945172B1 KR1020120100818A KR20120100818A KR101945172B1 KR 101945172 B1 KR101945172 B1 KR 101945172B1 KR 1020120100818 A KR1020120100818 A KR 1020120100818A KR 20120100818 A KR20120100818 A KR 20120100818A KR 101945172 B1 KR101945172 B1 KR 10194517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nchoring
- ship
- engaging
- mooring
- coupl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032 molecular docking Methods 0.000 title 1
- 238000004873 anchor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9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1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3139 buffer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423 ank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20—Equipment for shipping on coasts, in harbours or on other fixed marine structures, e.g. bollards
- E02B3/24—Mooring pos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06—Moles; Piers; Quays; Quay walls; Groynes; Breakwaters ; Wave dissipating walls; Quay equipment
- E02B3/066—Quay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04—Fastening or guiding equipment for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 B63B21/08—Clamp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선박의 정박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해상의 구조물에 설치되는 정박지지부; 및 선박에 구비되고, 선박이 구조물에 정박되도록 정박지지부에 결합되는 정박결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정박대부와 맞물림부 간의 맞물림을 이용하여 선박의 구조물에의 접근 및 정박을 용이하게 할 뿐 아니라, 필요에 따라 결합부를 통해 정박대부와 맞물림부 간의 결합 상태를 공고히 유지시킴으로써 선박의 정박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정박대부와 맞물림부 간의 맞물림을 이용하여 선박의 구조물에의 접근 및 정박을 용이하게 할 뿐 아니라, 필요에 따라 결합부를 통해 정박대부와 맞물림부 간의 결합 상태를 공고히 유지시킴으로써 선박의 정박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선박의 정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상에 설치되는 해상 구조물에 선박을 정박시키기 위한 선박의 정박장치에 관한 것이다.
해상에 설치되는 해상 관측설비나 풍력발전설비 등과 같은 해상 구조물의 운전 또는 유지보수를 위한 작업은, 운전원이나 정비원에 의한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질 필요가 있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운전원이나 정비원은 선박을 통해 해상을 이동하여 해상 구조물에 접근하게 된다. 선박을 통해 해상 구조물에 접근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통상 기둥 또는 벽면 형태로 해상 구조물에 설치된 정박대에 선박의 측면을 접근시킨 후 정박대에 인접되게 설치된 사다리를 통해 해상 구조물에 오르는 방법이 주로 이용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1999-301586호(1999년 11월 2일 공개, 발명의 명칭 : 선체 완충용 에어백 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해상 구조물에 접근하는 선박을 해상 구조물에 효과적으로 정박시킬 수 있는 선박의 정박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정박장치는: 해상의 구조물에 설치되는 정박지지부; 및 선박에 구비되고, 상기 선박이 상기 구조물에 정박되도록 상기 정박지지부에 결합되는 정박결합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정박결합부는, 상기 정박지지부와 맞물리는 맞물림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정박결합부는, 상기 정박지지부와 맞물린 상기 맞물림부를 상기 정박지지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정박지지부는, 상기 구조물과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정박결합부와 결합되는 정박대부; 및 상기 정박대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조물과 연결되는 데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데크부와 연결되도록 상기 선박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맞물림부는, 상기 정박대부의 외주면을 감싸며 상기 정박대부와 맞물리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선박의 정박장치에 따르면, 정박대부와 맞물림부 간의 맞물림을 이용하여 선박의 구조물에의 접근 및 정박을 용이하게 할 뿐 아니라, 필요에 따라 결합부를 통해 정박대부와 맞물림부 간의 결합 상태를 공고히 유지시킴으로써 선박의 정박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승강부를 이용하여 선박에 탑승한 작업자의 구조물 측으로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고, 그 이동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박지지부와 정박결합부 간의 회전 가능한 결합을 제공함으로써, 선박이 해수의 흐름에 따라 그 위치가 변화되며 구조물 상에 정박될 수 있도록 하고, 이로써 선박이 해수로부터 받는 저항이 감소되도록 하여 선박이 안정되게 정박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정박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정박결합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승강부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정박장치를 이용한 선박의 정박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정박장치를 이용한 선박의 정박상태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정박결합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승강부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정박장치를 이용한 선박의 정박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정박장치를 이용한 선박의 정박상태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박의 정박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정박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정박결합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승강부의 작동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정박장치(100)는 정박지지부(110)와 정박결합부(150)를 포함한다.
정박지지부(110)는 해상에 설치되는 해상 관측설비나 풍력발전설비 등과 같은 구조물(1)에 설치된다. 정박지지부(110)는 정박대부(120)와 데크부(13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정박대부(120)는 원형 단면을 갖는 봉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정박대부(12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며, 연결부(125)를 매개로 구조물(1)과 소정 거리 이격되게 설치된다.
데크부(130)는 정박대부(120)에 설치되어 구조물(1)과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데크부(130)는 정박대부(12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데크부(130)는 선박(10)에 탑승한 작업자가 구조물(1)로 접근하는데 이용되는 중간 기착점 역할을 하게 된다.
정박결합부(150)는 선박(10)에 구비된다. 정박결합부(150)는 선박(10)이 구조물(1)에 정박되도록 정박지지부(110)에 결합된다. 이러한 정박결합부(150)는 맞물림부(160)와 결합부(170)를 포함한다.
맞물림부(160)는 정박지지부(110)와 맞물리도록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맞물림부(160)는 선박(10)의 선수 측에 구비되며, "C" 형상을 포함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맞물림부(160)는 그 내주면이 정박대부(120)의 외주면의 형상을 이루는 곡선과 대응되는 곡선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맞물림부(160)는 정박대부(120)의 외주면을 감싸며 정박대부(120)와 맞물리게 된다. 이러한 맞물림부(160)와 정박대부(120) 간의 맞물림에 의해, 선박(10)은 정박지지부(110) 상에 고정되어 구조물(1)에 정박될 수 있다.
아울러, 정박결합부(150)는 완충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완충부(180)는 정박대부(120)의 외주면과 마주보는 맞물림부(160)의 내주면에 구비된다. 이러한 완충부(180)는 정박대부(120)와 맞물림부(160)가 맞물릴 때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일례로서, 완충부(180)는 쿠션 성능을 갖는 고무패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결합부(170)는 정박지지부(110)와 맞물린 맞물림부(160)를 정박지지부(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결합부(170)는 자력결합부(171)와 구동부(175)를 포함하는 형태인 것으로 예시된다.
자력결합부(171)는 정박지지부(110)와 맞닿는 맞물림부(160)의 내주면에 구비된다. 이러한 자력결합부(171)는 자력을 발생시켜 맞물림부(160)의 내주면에 맞물린 금속 재질의 정박지지부(110)를 맞물림부(160) 상에 부착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자력결합부(171)는 전류의 공급에 의해 자화(磁化)되는 전자석(電磁石)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시된다.
구동부(175)는 자력결합부(171)에 전류를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이러한 구동부(175)는 자력결합부(171)로의 전류 공급을 조절함으로써 자력결합부(171)의 동작을 조절한다.
상기와 같은 자력결합부(171)와 구동부(175)의 작용에 의해, 결합부(170)는 자력 발생 여부가 조절되고, 이에 따라 맞물림부(160)는 결합부(170)의 자력 발생 여부에 따라 정박지지부(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정박장치(100)는 승강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승강부(190)는 정박지지부(110)의 데크부(130)와 연결되도록 선박(10)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된다.
일례로서, 승강부(190)는 선박(10)에 탑승한 작업자가 탑승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탑승부(191)와, 탑승부(191)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195)를 포함한다. 여기서, 탑승부(191)를 승강시키기 의한 승강구동부(195)의 상세 구성은 당업자가 충분히 구현 가능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탑승부(191)와 승강구동부(195)를 포함하는 승강부(190)는, 선박(10)에 탑승한 작업자를 구조물(1) 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즉 탑승부(191)가 하강되어 있는 상태에서, 작업자는 선박(10)에 탑승한 상태에서 탑승부(191)에 올라설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작업자가 탑승한 탑승부(19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구동부(195)에 의해 상승될 수 있다. 탑승부(191)가 데크부(130)의 높이와 대략 동일한 높이까지 상승되면, 탑승부(191)에 탑승한 작업자는 데크부(130)를 통해 구조물(1)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정박장치를 이용한 선박의 정박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정박장치를 이용한 선박의 정박상태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정박장치의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정박결합부(150)는 선박(10)의 선수부 측에 구비되며, 정박지지부(110)를 향해 이동되는 선박(10)에 의해 정박지지부(110) 측으로 접근된다. 그리고 정박결합부(150)의 정박지지부(110)로의 접근이 계속됨에 따라, 맞물림부(160)가 정박대부(120)의 외주면을 감싸며 정박대부(120)와 맞물리게 된다.
이러한 맞물림부(160)와 정박대부(120) 간의 맞물림에 의해 이루어진 선박(10)의 구조물(1)에의 정박 상태는, 결합부(170)의 작용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즉, 결합부(170)는 자력을 발생시켜 맞물림부(160)를 정박대부(120) 상에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선박(10)이 구조물(1)에 정박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결합부(170)의 작동이 중지되어 맞물림부(160)와 정박대부(120) 간에 작용하는 자력이 사라지게 되면, 맞물림부(160)와 정박대부(120) 간의 결합이 해제되고, 이에 따라 선박(10)은 구조물(1)에 정박된 상태에서 해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결합부(170)가 자력을 발생시키는 형태인 것으로 예시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결합부(170)가 진공흡입 가능한 구성을 포함하고, 이를 통해 발생되는 진공흡입력을 이용하여 맞물림부(160)와 정박대부(120) 간을 결합시키는 형태일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선박의 정박장치(100)는, 정박대부(120)와 맞물림부(160) 간의 맞물림을 이용하여 선박(10)의 구조물(1)에의 접근 및 정박을 용이하게 할 뿐 아니라, 필요에 따라 결합부(170)를 통해 정박대부(120)와 맞물림부(160) 간의 결합 상태를 공고히 유지시킴으로써 선박(10)의 정박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맞물림부(160)와 정박대부(120) 간의 맞물림에 의해 선박(10)이 구조물(1)에 정박되면, 작업자는 승강부(190)를 통해 구조물(1)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선박(10)이 구조물(1)에 정박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탑승부(191)에 탑승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탑승부(191)는 승강구동부(195)에 의해 데크부(130)가 위치한 높이로 상승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승강부(190)와 연결된 데크부(130)를 통해 구조물(1) 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승강부(190)를 구비하는 본 실시예의 선박의 정박장치(100)는 선박(10)에 탑승한 작업자의 구조물(1) 측으로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고, 그 이동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의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맞물림부(160)는 "C" 형상을 포함하도록 형성되어 정박대부(120)의 외주면을 감싸며 정박대부(120)와 맞물리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맞물림부(160)는 정박대부(120)와 맞물린 상태에서 정박대부(120)를 중심축으로 정박대부(120) 상에서 회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정박결합부(150)는 정박지지부(110) 상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정박결합부(150)와 정박지지부(110) 간의 회전 가능한 결합에 의해, 선박(10)은 구조물(1) 상에 위치 변화 가능하게 정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선박(1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수의 흐름에 따라 그 위치가 변화되며 구조물(1) 상에 정박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선박의 정박장치(100)는 정박지지부(110)와 정박결합부(150) 간의 회전 가능한 결합을 제공함으로써, 선박(10)이 해수의 흐름에 따라 그 위치가 변화되며 구조물(1) 상에 정박될 수 있도록 하고, 이로써 선박(10)이 해수로부터 받는 저항이 감소되도록 하여 선박(10)이 안정되게 정박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선박의 정박장치 110 : 정박지지부
120 : 정박대부 130 : 데크부
150 : 정박결합부 160 : 맞물림부
170 : 결합부 180 : 완충부
190 : 승강부
120 : 정박대부 130 : 데크부
150 : 정박결합부 160 : 맞물림부
170 : 결합부 180 : 완충부
190 : 승강부
Claims (6)
- 해상의 구조물(1)에 설치되는 정박지지부(110); 및
선박(10)에 구비되고, 상기 선박(10)이 상기 구조물(1)에 정박되도록 상기 정박지지부(110)에 결합되는 정박결합부(150)를 포함하고,
상기 정박결합부(150)는,
상기 정박지지부(110)와 맞물리는 맞물림부(160); 및
상기 정박지지부(110)와 맞물린 상기 맞물림부(160)를 상기 정박지지부(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부(170)를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170)는,
상기 정박지지부(110)와 맞닿은 상기 맞물림부(160)의 내주면에 구비되고, 전류의 공급에 의해 자화되어 금속 재질의 상기 맞물림부(160)에 부착되는 자력결합부(171); 및
상기 자력결합부(171)에 공급하는 전류를 조절하여 상기 자력결합부(171)의 부착 동작을 조절하는 구동부(175)를 포함하고,
상기 정박지지부(110)는,
상기 구조물(1)과 이격되게 설치되어 상기 정박결합부(150)와 결합되는 정박대부(120); 및
상기 정박대부(120)에 설치되어 상기 구조물(1)과 연결되는 데크부(130)를 포함하고,
상기 정박결합부(150)는,
상기 정박대부(120)의 외주면과 마주보는 상기 맞물림부(160)의 내주면에 구비되는 완충부(18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180)는 쿠션 성능을 갖는 고무패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정박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부(130)와 연결되도록 상기 선박(10)에 승강 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부(19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정박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맞물림부(160)는, 상기 정박대부(120)의 외주면을 감싸며 상기 정박대부(120)와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정박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00818A KR101945172B1 (ko) | 2012-09-12 | 2012-09-12 | 선박의 정박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00818A KR101945172B1 (ko) | 2012-09-12 | 2012-09-12 | 선박의 정박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34475A KR20140034475A (ko) | 2014-03-20 |
KR101945172B1 true KR101945172B1 (ko) | 2019-02-07 |
Family
ID=50644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00818A KR101945172B1 (ko) | 2012-09-12 | 2012-09-12 | 선박의 정박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4517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05145A (ko) | 2022-01-03 | 2023-07-11 |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 전자석을 이용한 해양구조물 탑승 보조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38699U (ko) * | 1976-07-08 | 1978-01-25 | ||
IE45331B1 (en) * | 1977-01-07 | 1982-07-28 | Ryan Ramp Inc | Marine vessel mooring apparatus |
JPS5897584A (ja) * | 1981-12-04 | 1983-06-10 | Mitsui Eng & Shipbuild Co Ltd | 氷海の一点係留装置 |
JPS61154180U (ko) * | 1985-03-19 | 1986-09-24 | ||
JPH11301586A (ja) * | 1998-04-23 | 1999-11-02 | Kazuo Kuroishi | 船体緩衝用エアバッグ装置 |
-
2012
- 2012-09-12 KR KR1020120100818A patent/KR101945172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105145A (ko) | 2022-01-03 | 2023-07-11 | 재단법인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 전자석을 이용한 해양구조물 탑승 보조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34475A (ko) | 2014-03-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820784C (en) | System for launching and recovering underwater vehicles, notably towed underwater vehicles | |
CN109368493B (zh) | 一种浮标回收装置 | |
EP2920051B1 (en) | Transfer system, ship and method for transferring persons and/or goods to and/or from a floating ship | |
CN107140156B (zh) | 托底钢梁整体打捞沉船方法 | |
EP2520485B1 (en) | System and method for mooring a floating vessel against a stationary object | |
RU2601086C2 (ru) | Способ швартовки судн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существления этого способа | |
US9908590B2 (en) | Aqua lift | |
CN104203746B (zh) | 具有用于干式停靠船只的可动潜式平台的半潜式平台 | |
CN211711017U (zh) | 带升降补偿的海洋无人平台舷梯 | |
KR101945172B1 (ko) | 선박의 정박장치 | |
JP6313613B2 (ja) | クレーン装置及び作業船 | |
KR100841699B1 (ko) | 대심도 다이버 이송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잠수종 | |
KR102184639B1 (ko) | 예인 시스템이 구비된 수중 이동체 | |
WO2012108769A1 (en) | Transfer system | |
KR200481469Y1 (ko) | 구명정 진수 장치 | |
EP3554939B1 (en) | Boat transfer system | |
KR101724442B1 (ko) | 이동형 접안 장치 | |
CN218085939U (zh) | 一种大距离登离船系统 | |
KR101556268B1 (ko) |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설치방법 | |
AU2015101595A4 (en) | Mooring Platform | |
IT202100021290A1 (it) | Dispositivo di attracco per imbarcazioni | |
NO345400B1 (en) | Anchoring system for a gangway end portion | |
US9272758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overboarding of a subsea structure | |
KR101487673B1 (ko) | 캐니스터식 스러스터 | |
KR20150001651U (ko) | 스러스터 설치 구조를 갖는 선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