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51533Y1 - 선박이동용 대차 - Google Patents

선박이동용 대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51533Y1
KR200451533Y1 KR2020080016347U KR20080016347U KR200451533Y1 KR 200451533 Y1 KR200451533 Y1 KR 200451533Y1 KR 2020080016347 U KR2020080016347 U KR 2020080016347U KR 20080016347 U KR20080016347 U KR 20080016347U KR 200451533 Y1 KR200451533 Y1 KR 2004515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ixed
welding
ship
pedes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634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6167U (ko
Inventor
주명자
Original Assignee
주명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명자 filed Critical 주명자
Priority to KR202008001634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51533Y1/ko
Publication of KR201000061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616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515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5153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3/00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 B63C3/12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using cra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6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 B60P3/1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for carrying bo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선박이동용 대차에 관한 것으로 태풍이나 해일 등의 비상사태로부터 육지의 안전한 곳으로 대피시킨 소형 선박을 안전하면서 편리하게 보관할 수 있고, 육지에서 선박수리도 할 수 있도록 하는 다목적의 기능을 가지는 것이다.
[구성] 소형선박의 선저와 중형선박의 선저를 모두 안정되게 떠받힐 수 있는 받침대를 이중으로 구비하고, 상기 받침대들은 절첩된 상태로 보관될 수 있으며, 상기 받침대의 벌어지는 각도를 임의대로 조절하고 그 상태로 받침대를 떠받혀 지지하는 제1 받침대 각도조절 및 지지장치들을 가지며, 이동 시 앞바퀴들이 동일한 방향과 동일한 각도로 스무드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한 앞바퀴 스티어링 장치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선박, 대차

Description

선박이동용 대차{Transporter for Small ship moving}
도1은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2는 도1의 A-A선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의 앞바퀴 스티어링 장치와 앞바퀴의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도4는 도3의 일부를 나타낸 확대도.
도5는 도2의 일부를 나타낸 확대도.
도6은 도7의 일부를 나타낸 확대도.
도7은 본 고안을 정면에서 바라 본 상태를 나타낸 참고도(후방에 보이는 부분은 생략함).
도8은 도7의 일부를 나타낸 확대도.
도9는 본 고안의 제1 지지쇠를 나타낸 참고사시도.
본 고안은 선박이동용 대차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비교적 중형 이하의 선박을 크레인으로 들어 올린 후 본 고안에 싣고 선박 수리장(수리조선소) 또는 공장 주변으로 이동시키고 본 고안의 프레임 위에 실려 있는 선박을 수리한 다음 다 시 바다로 띄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대차인 바, 태풍이나 해일 등의 자연재해가 발생될 우려가 있을 경우 본 고안에 선박을 싣고 육지의 안전한 곳으로 대피시키기 위한 목적으로도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며, 또한 요트 등의 선박을 싣고 장거리로 이동을 시키기 위한 목적으로도 사용된다.
선박의 수리에 있어서 선체를 제외한 매우 간단한 수리작업은 바다에 선박을 띄워놓고도 가능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육상의 선박 수리장이나 공장으로 선박을 이동시킨 후 수리작업 등을 행하게 되는데, 이때 중형 및 소형의 선박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이동을 시킬 마땅한 수단이 없는 실정이어서 선박을 수리조선소까지 운행하여 간 다음 수리조선소의 대형 크레인이나 선박전용 인양장치를 사용할 수밖에 없는 이유로 경제적인 부담과 시간 소모가 크게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한편, 본 출원인의 명의로 등록된 소형선박 이동용 대차와 소형선박 수리용 대차가 다수 있기는 하나 이들은 소형의 선박을 근거리로 이동시키거나 이동을 시킨 후 선박을 올려놓고 수리를 하기 위한 것으로 중형의 선박용으로는 적합하지 않고 유압작동식은 고장발생률이 높은 문제가 발견되었고 사용하기에 다소 불편한 점이 노출되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소형의 선박은 물론 특히 중형의 선박을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수리장소로 싣고 장거리 이동을 시킬 수 있고 중형의 선박을 올려놓고 안전하게 수리를 할 수 있는 진보된 대차를 제공하는 것이 과제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직사각 형태를 이루며 전방과 후방에 각 보강대(2)를 가지는 프레임(1)과;
상기 프레임(1)의 후방 저면에 볼트로 고정되는 뒷바퀴 축 지지베어링(31)들에 의해 지지되는 뒷바퀴 축(3) 그리고 상기 뒷바퀴 축(3)의 양단에 조립되는 뒷바퀴(4)들과;
상기 프레임(1)의 전방 2개소와 후방 2개소에 각 대향되도록 용접으로 고정되는 제1 지지쇠(5)들과;
상기 제1 지지쇠(5)들에 고정 핀(7)으로 고정되며 소형 선박의 선저부를 떠받히는 제1 받침대(6)들과;
상기 제1 받침대(6)들과 후술하는 제2 받침대(9)들을 연결시키며 고정 핀(10)이 관통하는 구멍(8-1)을 가진 채 "
Figure 112008506013412-utm00001
" 형태를 띠는 제2 지지쇠(8)들과;
상기 제2 지지쇠(8)에 고정 핀(10)으로 고정된 채 상기 1 받침대(6)의 위쪽으로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으며 중형 선박의 선저부를 떠받히는 제2 받침대(9)들과;
상기 프레임(1)의 보강대(2)들의 양단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나사 관(32), 상기 나사 관(32)에 조립되는 나사 봉(33), 상기 나사 봉(33)의 하단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핸들(34), 상기 나사 봉(33)의 상단에 지지 핀(36)을 통해 조립되며 상기 제1 받침대(6)들을 떠받혀 지지하는 받침쇠(35)로 되어, 제1 받침대(6)들이 상부로 벌어지는 각도를 임의대로 조절한 상태로 제1 받침대(6)를 떠받혀 지지하는 제1 받침대 각도조절 및 지지장치들과;
앞바퀴 스티어링(Steering) 장치의 제2 버팀쇠(12)와 힌지(13)로 연결되어 상하로 각도조절이 되는 제1 버팀쇠(14) 및 상기 제1 버팀쇠(14)와 용접으로 고정되고 끝에는 차량 등 견인수단의 후크가 관통되는 구멍(17)을 가지는 걸쇠(16)가 용접으로 고정된 버팀봉(15)과;
상기 프레임(1)의 전방 좌우에 용접으로 고정되며 앞바퀴 축(24)과 힌지식으로 결합되고 지지핀(23)에 의해 지지되는 제3 버팀쇠(22)들과;
상기 제3 버팀쇠(22)와 힌지식으로 결합되고 지지핀(23)에 의해 지지되는 앞바퀴 축(24)에 조립된 베어링(25), 상기 베어링(25)을 보호하는 베어링 커버(26), 상기 베어링 커버(26)와 볼트 및 너트로 고정되는 드럼(27), 상기 드럼(27)의 가장자리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림(Rim, 29), 상기 림(29)에 조립되는 앞바퀴(30)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에 있어서, 앞바퀴 스티어링(Steering) 장치는, 프레임(1)의 전방 저면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보강판(11)과, 상기 보강판(11)의 중앙에 힌지 핀(18)을 통해 지지되며 상기 버팀봉(15)의 좌우 각도변화에 따라 수평으로 등각운동을 하는 제2 버팀쇠(12)와, 상기 제2 버팀쇠(12)의 후방측 좌우에 지지핀(20)을 통해 고정되는 제1 지지봉(19)과, 상기 제1 지지봉(19)과 힌지식으로 결합된 채 지지핀(21)을 통해 고정되며 지지핀(21)의 반대쪽은 상기 앞바퀴 축(24)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제2 지지봉(28)으로 구성되어, 버팀봉(15)의 좌우 각도변화에 따라 앞바퀴(30)들이 동일한 방향과 동일한 각도로 스무드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고안을 구성함에 있어서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한 부품의 고정방법, 힌지식으로 두 물체를 결합하는 구조 등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상세히 설명하지 않았음을 밝힌다.
본 고안은 도1과 같이 직사각형으로 구비된 프레임(1)에 상술한 각 구성품들이 조립되는데, 전방과 후방의 위치이며 프레임(1)의 상면에는 도1, 도2와 같이 제1 지지쇠(5)들이 용접으로 고정이 된다. 상기 제1 지지쇠(5)들의 사이에는 도1, 2와 같이 제1 받침대(6)들의 하향 단부가 고정 핀(7)에 고정되어 있고, 제1 받침대(6)는 도9와 같은 제2 지지쇠(8)와 고정 핀(10)에 의해 고정된다. 따라서 제2 받침대(9)는 도2의 상태에서 제1 받침대(6)의 위쪽으로 접힌 채 보관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제1 받침대(6)와 제2 받침대(9)는 도1과 같이 4조로 이루어진다.
다음, 프레임(1)의 후방으로는 뒷바퀴 축(3)을 설치하고 상기 축(3)의 양단에는 최소 2개 이상 4개의 뒷바퀴(4)들이 조립이 된다. 여기서 축과 바퀴의 조립기술 역시 공지이므로 상세히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이어서 도2와 같이 프레임(1)의 전후로 용접 고정이 되어 있는 보강대(2)의 양단에는 제1 받침대 각도조절 및 지지장치들이 구비되는데, 이 역시 도1, 2와 같이 4조를 이루게 된다. 이를 살피면, 상기 보강대(2)들의 양단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나사 관(32), 상기 나사 관(32)에 조립되는 나사 봉(33), 상기 나사 봉(33)의 하단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핸들(34), 상기 나사 봉(33)의 상단에 지지 핀(36)을 통해 조립되며 상기 제1 받침대(6)들을 떠받혀 지지하는 받침쇠(35)로 구성된다. 따라서 핸들(34)을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제1 받침대(6)들이 상부로 벌어지는 각도를 임의대로 조절하여 선 저의 각도와 제1, 2받침대(6)(9)들의 각도를 거의 일치하도록 조절할 수 있어 가장 안정된 떠받힘 작용을 도모할 수 있는 것이고 동시에 선박을 떠받힌 상태로 제1 받침대(6)를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받침대(35)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지지핀(36)에 의해 나사 봉(33)의 상단에 조립되어 있어서 좌우로 각도변화가 자유롭게 된다. 그러므로 제1 받침대(6)의 각도변화에 따라 제1 받침대(6)의 저면에 밀착된 채(도 2 참조) 안전하게 제1 받침대(6)를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다음, 후술하는 앞바퀴 스티어링(Steering) 장치의 제2 버팀쇠(12)와 힌지(13)로 연결되어 상하로 각도조절이 되는 제1 버팀쇠(14)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버팀쇠(14)와 용접으로 고정되는 쪽의 반대쪽 끝에는 차량 등 견인수단의 후크가 관통되는 구멍(17)을 가지는 걸쇠(16)가 용접으로 고정된 버팀봉(15)을 구비시킨다. 여기서 힌지(13)는 견인수단이 롤링현상을 일으켜도 본 고안의 대차는 견인수단의 롤링현상으로부터 영향을 거의 받지 않고 안전하게 견인되도록 하기 위하여 구비된 것이다.
다음, 도3, 4, 6, 7과 같이 상기 프레임(1)의 전방 좌우에 용접으로 고정되며 앞바퀴 축(24)과 힌지식으로 결합되고 지지핀(23)에 의해 지지되는 제3 버팀쇠(22)들을 구비시키며 이어서 상기 제3 버팀쇠(22)와 역시 힌지식으로 결합되고 지지핀(23)에 의해 지지되는 앞바퀴 축(24)에 조립된 베어링(25), 상기 베어링(25)을 보호하는 베어링 커버(26), 상기 베어링 커버(26)와 볼트 및 너트로 고정되는 드럼(27), 상기 드럼(27)의 가장자리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림(Rim, 29), 상기 림(29)에 조립되는 앞바퀴(30)들을 구비시킨다.
다음, 상술한 앞바퀴 스티어링(Steering) 장치는, 도3, 6, 7, 8과 같이 프레임(1)의 전방 저면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보강판(11)과, 상기 보강판(11)의 중앙에 힌지 핀(18)을 통해 지지되며 상기 버팀봉(15)의 좌우 각도변화에 따라 수평으로 등각운동을 하는 제2 버팀쇠(12)와, 상기 제2 버팀쇠(12)의 후방측 좌우에 지지핀(20)을 통해 고정되는 제1 지지봉(19)과, 상기 제1 지지봉(19)과 힌지식으로 결합된 채 또다른 지지핀(21)을 통해 고정되며 상기 지지핀(21)의 반대쪽은 상기 앞바퀴 축(24)에 용접으로 고정된 제2 지지봉(28)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견인수단을 통해 견인되는 중 커브 길에 접어들게 되면 버팀봉(15)은 좌측이나 우측으로 각도가 변화될 것이고 이에 따라 제2 버팀쇠(12)도 힌지 핀(18)을 회전중심으로 하여 버팀봉(15)과 같은 방향으로 각도가 변화가 된다. 그러므로 앞바퀴(30)들이 동일한 방향과 동일한 각도로 스무드하게 움직일 수 있고 지면과의 마찰력을 최소화하면서 커브 길을 안전하게 지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비교적 소형의 선박을 실어서 이동시킬 경우에는 제2 받침대(9)를 제1 받침대(6) 위로 접어서 제2 받침대(9) 위에 선저가 접촉되도록 하고, 중형의 선박을 실어서 이동시킬 경우에는 제2 받침대(9)를 도2와 같이 펼쳐서 사용하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을 사용하지 않고 안전한 장소에 보관을 시킬 경우에도 제2 받침대(9)를 제1 받침대(6)의 위로 접어서 보관을 하면 거추장스럽지 않고 안전하며 미관상으로도 양호하다. 한편, 본 고안에 있어서 버팀봉(15)은 이미 공지된 보통의 기술을 사용하여 길이 조절식으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당연하며 이는 상업적인 선택사항에 불과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소형의 선박은 물론 크기가 크고 무거운 중형의 선박을 안전하게 싣고 장거리를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적 특징을 갖춘 것으로 특히 중형의 선박 이동 및 수리용으로 적합하여 상술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직사각 형태를 이루며 전방과 후방에 각 보강대(2)를 가지는 프레임(1)과;
    상기 프레임(1)의 후방 저면에 볼트로 고정되는 뒷바퀴 축 지지베어링(31)들에 의해 지지되는 뒷바퀴 축(3) 그리고 상기 뒷바퀴 축(3)의 양단에 조립되는 뒷바퀴(4)들과;
    상기 프레임(1)의 전방 2개소와 후방 2개소에 각 대향되도록 용접으로 고정되는 제1 지지쇠(5)들과;
    상기 제1 지지쇠(5)들에 고정 핀(7)으로 고정되며 소형 선박의 선저부를 떠받히는 제1 받침대(6)들과;
    상기 제1 받침대(6)들과 후술하는 제2 받침대(9)들을 연결시키며 고정 핀(10)이 관통하는 구멍(8-1)을 가진 채 "
    Figure 112008506013412-utm00002
    " 형태를 띠는 제2 지지쇠(8)들과;
    상기 제2 지지쇠(8)에 고정 핀(10)으로 고정된 채 상기 1 받침대(6)의 위쪽으로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으며 중형 선박의 선저부를 떠받히는 제2 받침대(9)들과;
    상기 프레임(1)의 보강대(2)들의 양단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나사 관(32), 상기 나사 관(32)에 조립되는 나사 봉(33), 상기 나사 봉(33)의 하단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핸들(34), 상기 나사 봉(33)의 상단에 지지 핀(36)을 통해 조립되며 상기 제1 받침대(6)들을 떠받혀 지지하는 받침쇠(35)로 되어, 제1 받침대(6)들이 상부로 벌어지는 각도를 임의대로 조절한 상태로 제1 받침대(6)를 떠받혀 지지하는 제1 받 침대 각도조절 및 지지장치들과;
    앞바퀴 스티어링(Steering) 장치의 제2 버팀쇠(12)와 힌지(13)로 연결되어 상하로 각도조절이 되는 제1 버팀쇠(14) 및 상기 제1 버팀쇠(14)와 용접으로 고정되고 끝에는 차량 등 견인수단의 후크가 관통되는 구멍(17)을 가지는 걸쇠(16)가 용접으로 고정된 버팀봉(15)과;
    상기 프레임(1)의 전방 좌우에 용접으로 고정되며 앞바퀴 축(24)과 힌지식으로 결합되고 지지핀(23)에 의해 지지되는 제3 버팀쇠(22)들과;
    상기 제3 버팀쇠(22)와 힌지식으로 결합되고 지지핀(23)에 의해 지지되는 앞바퀴 축(24)에 조립된 베어링(25), 상기 베어링(25)을 보호하는 베어링 커버(26), 상기 베어링 커버(26)와 볼트 및 너트로 고정되는 드럼(27), 상기 드럼(27)의 가장자리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림(Rim, 29), 상기 림(29)에 조립되는 앞바퀴(30)들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이동용 대차.
  2. 제1항에 있어서, 앞바퀴 스티어링(Steering) 장치는,
    프레임(1)의 전방 저면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보강판(11)과, 상기 보강판(11)의 중앙에 힌지 핀(18)을 통해 지지되며 상기 버팀봉(15)의 좌우 각도변화에 따라 수평으로 등각운동을 하는 제2 버팀쇠(12)와, 상기 제2 버팀쇠(12)의 후방측 좌우에 지지핀(20)을 통해 고정되는 제1 지지봉(19)과, 상기 제1 지지봉(19)과 힌지식으로 결합된 채 지지핀(21)을 통해 고정되며 상기 지지핀(21)의 반대쪽은 상기 앞바퀴 축(24)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제2 지지봉(28)으로 구성되어, 버팀봉(15)의 좌 우 각도변화에 따라 앞바퀴(30)들이 동일한 방향과 동일한 각도로 스무드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이동용 대차.
KR2020080016347U 2008-12-08 2008-12-08 선박이동용 대차 KR2004515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6347U KR200451533Y1 (ko) 2008-12-08 2008-12-08 선박이동용 대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6347U KR200451533Y1 (ko) 2008-12-08 2008-12-08 선박이동용 대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167U KR20100006167U (ko) 2010-06-17
KR200451533Y1 true KR200451533Y1 (ko) 2010-12-20

Family

ID=44451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6347U KR200451533Y1 (ko) 2008-12-08 2008-12-08 선박이동용 대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5153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4120B1 (ko) 2019-04-09 2019-11-12 주식회사 청호지앤씨 선박의 이동용 대차
KR102129966B1 (ko) 2019-05-28 2020-07-03 정석기 위치확인용 부표를 통해 계류 위치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선박인양대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95628A (en) * 1970-07-01 1972-10-03 James C Fisher Farm wagon steering stabilizer
US20040113395A1 (en) * 2001-04-23 2004-06-17 Giuseppe Nimis Trolley for luggage or other load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95628A (en) * 1970-07-01 1972-10-03 James C Fisher Farm wagon steering stabilizer
US20040113395A1 (en) * 2001-04-23 2004-06-17 Giuseppe Nimis Trolley for luggage or other load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4120B1 (ko) 2019-04-09 2019-11-12 주식회사 청호지앤씨 선박의 이동용 대차
KR102129966B1 (ko) 2019-05-28 2020-07-03 정석기 위치확인용 부표를 통해 계류 위치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선박인양대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6167U (ko) 2010-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77398B2 (en) Portable knockdown trolley hoist
US4445665A (en) Vehicle servicing lift
US3987563A (en) Excavator
US1399351A (en) Crane for handling motor-vehicle wheels
US9573639B1 (en) Wheel retraction assembly, cart and related components
EP1706336B1 (en) A method and equipment for moving a group of objects
US8739990B2 (en) Upright support for gantry
US6612601B1 (en) Boat wagon
KR200451533Y1 (ko) 선박이동용 대차
JP5698437B2 (ja) 機材運搬用トロ
US20130243563A1 (en) Sliding loading lifting system
US3554394A (en) Trailer and method for loading and unloading the same, in which only one workman need by used to carry out the method
KR200419393Y1 (ko) 소형선박 이동용 대차
US3441153A (en) Modified flat bed truck
US2902184A (en) Boat hoist
US2842274A (en) Motor hoist
US10730723B1 (en) Transportable mounting apparatus for portable hoist systems
US1597592A (en) Safety truck
US3567053A (en) Load hoisting truck
US20050199561A1 (en) Lockable motorcycle stand
US20190226631A1 (en) Boat lift
US1291610A (en) Adjustable automobile-holder.
US6863490B2 (en) Trailer for transporting boat hoist
US20180086612A1 (en) Lift Device for HVAC Unit
CN214399669U (zh) 一种多功能平衡运输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