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4120B1 - 선박의 이동용 대차 - Google Patents
선박의 이동용 대차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44120B1 KR102044120B1 KR1020190041119A KR20190041119A KR102044120B1 KR 102044120 B1 KR102044120 B1 KR 102044120B1 KR 1020190041119 A KR1020190041119 A KR 1020190041119A KR 20190041119 A KR20190041119 A KR 20190041119A KR 102044120 B1 KR102044120 B1 KR 10204412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eck
- transverse
- bogie
- trolley
- ship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3/00—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 B63C3/08—Tracks on slipway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3/00—Wagons or vans
- B61D3/16—Wagons or vans adapted for carrying special loads
- B61D3/18—Wagons or vans adapted for carrying special loads for vehicles
- B61D3/182—Wagons or vans adapted for carrying special loads for 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heavy vehicles, e.g. public work vehicles, trucks, trail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3/00—Wagons or vans
- B61D3/16—Wagons or vans adapted for carrying special loads
- B61D3/18—Wagons or vans adapted for carrying special loads for vehicles
- B61D3/187—Details, e.g. bridges for floor connec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13/00—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wheel arrang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5/00—Constructional details of bogies; Connections between bogies and vehicle underframes; Arrangements or devices for adjusting or allowing self-adjustment of wheel axles or bogies when rounding curves
- B61F5/50—Other details
- B61F5/52—Bogie fram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G—COUPLINGS; DRAUGHT AND BUFFING APPLIANCES
- B61G5/00—Couplings for special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G5/02—Couplings for special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upling articulated trains, locomotives and tenders or the bogies of a vehicle; Coupling by means of a single coupling bar; Couplings preventing or limiting relative lateral movement of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을 상가한 후 지상에서의 이동을 수행하는 대차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양 끝단에 복수개의 연결봉 조인트(21)가 구비된 연결봉(20)에 의해 복수개의 대차 유닛(10)이 연결되는 선박의 이동용 대차를 구성한다.
상기 대차 유닛(10)은 양 끝 종방향에 복수개의 대차 조인트(11)가 수직 방향으로 구비된 커넥팅 대차(301), 아웃 데크 대차(201), 인너 데크 대차(202)로 구분되는 한 편, 횡 방향으로 복수개 구비되는 횡방향 데크(101)와, 횡방향 데크(101)를 연결하는 기반용 데크(102)가 상기 횡방향 데크(101)의 중심단에 종방향으로 이어지고, 대차 레일 바퀴(111)가 상기 횡방향 데크(101)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이동용 대차가 상술한 목적을 수행한다.
따라서 선폭의 제약 없이 다양한 크기와 규격의 선박을 실을 수 있는 특징이 있고, 기후 조건이나 사고로 인해 상가된 선박이 기울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대차 유닛(10)은 양 끝 종방향에 복수개의 대차 조인트(11)가 수직 방향으로 구비된 커넥팅 대차(301), 아웃 데크 대차(201), 인너 데크 대차(202)로 구분되는 한 편, 횡 방향으로 복수개 구비되는 횡방향 데크(101)와, 횡방향 데크(101)를 연결하는 기반용 데크(102)가 상기 횡방향 데크(101)의 중심단에 종방향으로 이어지고, 대차 레일 바퀴(111)가 상기 횡방향 데크(101)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이동용 대차가 상술한 목적을 수행한다.
따라서 선폭의 제약 없이 다양한 크기와 규격의 선박을 실을 수 있는 특징이 있고, 기후 조건이나 사고로 인해 상가된 선박이 기울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선박을 상가한 후 지상에서의 이동을 수행하는 대차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이송 중 외부의 충격 혹은 방향 전환 등으로 선박이 균형을 상실하여 넘어지는 현상을 방지하는 한 편, 다양한 크기의 선박에 호환하여 사용할 수 있는 선박 이동용 대차에 관한 것이다.
선박에 고장이나 사고가 발생하거나 정기적인 점검 등이 필요할 경우 선박은 지상으로 인양되어져야 한다. 특히 흘수선 아래의 도장은 해상에서 선박이 활동할 때 어류나 조류와의 충돌, 해수 등에 의한 오염으로 일정 시간이 지나면 벗겨지기 때문에 정기적으로 선박을 지상으로 인양해서 도장 작업을 진행하여야 한다.
선박을 지상으로 인양하려면 종방향으로 이송되는 운반용 대차(들것)가 필요하며, 일반적으로 선박이 대차 위에서 움직여 넘어지는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가대 혹은 반목 등과 같은 고정 요소를 이용하여 선박을 고정한 후 이송한다.
이때, 선박을 거치한 상가대나 반목은 대차 위에 구비되어져야 하기 때문에 대차는 선박을 거치할 수 있는 충분한 크기여야 한다.
한 편, 선박의 종류와 규모에, 배수량에 따라 선박을 이송하기 위해 대차의 규격이나 크기가 서로 상이하여야 하기 때문에 대체로 선박을 이송하는 대차는 상가 후 지상에서 이송해야 하는 선박의 배수량과 전장, 전폭에 따라 규격이 한정되어 구비된다. 하지만, 이러한 형태로 대차를 구비하는 것은 특히 다양한 크기의 선박을 운용하는 해운이나 군사항구에서 새로운 선박을 운용할 때에는 그 선박에 맞는 대차를 따로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선박의 크기는 배수량에 따라 제각각이기 때문에 선박의 대차에는 선박의 규모 등에 제약받지 아니할 정도로 그 형태나 크기 등에 다양성이 요구되고 있었다.
한 편, 이러한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고 사료하는 일본 공개 특허공보 제 2013-052780호로 공개된 대차식 선박 인양대의 요지를 게시한다.
당해 문헌은 선체 하단의 종단과 횡단측을 각각 지지하기 위해 구비된 반목을 설치하고 시소처럼 회동하는 틸팅 상가대에 선체를 올리는데, 경사로와 같은 험준한 곳에서 대차를 이용할 때 틸팅 상가대가 전 후 방향으로 기울어져서 선박이 대차로부터 이탈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고 기술되어 있다.
또한 대차는 일정한 연결 수단 등으로 복수개가 연결될 수 있으며, 연결되는 대차의 수와 규모에 따라 상가할 수 있는 선박이 다양한 특징이 있다.
다만, 대부분이 평지나 간석지 등의 지형적 특성이 있는 항구에서는 틸팅이 가능한 상가대가 구비되는 것 보다는 대차 자체가 선박 자체의 고정력을 높이는 것이 좀 더 바람직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대차를 이어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선박의 선폭 역시도 고려되어야 하므로 평지나 간석지 등과 같은 지형적 특성이 있는 항구에서 사용하는 목적으로 다양한 선박을 상가할 수 있는 한 편, 선박의 고정력을 높일 수 있는 대차가 필요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하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 요건을 통해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첫째는 선폭의 제약 없이 다양한 크기와 규격의 선박을 실을 수 있는 선박의 이동용 대차를 얻고자 하기 위함이며,
둘째는 기후 조건이나 사고로 인해 상가된 선박이 기울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선박의 이동용 대차를 얻고자 하기 위함에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원 발명은 선박의 이동용 대차를 구현하기 위한 실시예의 구성은 크게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대차 유닛(10)이 연결봉(2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때 대차 유닛(10)은 사용자의 사용 목적에 따라 커넥팅 대차(301), 아웃 데크 대차(201), 인너 데크 대차(202)로 구분된다.
본 원 발명에서의 대차 유닛(10)은 일반적으로 횡 방향으로 복수개 구비되는 횡방향 데크(101)와, 상기 횡방향 데크(101)를 연결하는 기반용 데크(102)가 상기 횡방향 데크(101)의 중심단에 종방향으로 이어진다. 또한 대차 유닛(10)을 레일 등에 배치하여 운반할 수 있도록 대차 레일 바퀴(111)가 상기 횡방향 데크(101)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열 구비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횡방향 데크(101)의 길이방향 양측 끝에는 상가형 데크(213)가 구비된다.
한 편, 커넥팅부(241)는 선박을 상가한 대차 유닛(10)을 운송 할 때 모서리 등이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횡방향 넓이가 횡방향 데크(101)의 횡 폭을 초과하지 않도록 구비되어야 하고, 하중 분산을 위해 인너 데크 대차(202) 혹은 아웃 데크 대차(201)의 종방향 끝에 구비된 횡방향 데크(101)와 상기 횡방향 데크(101)와 가장 인접하는 두번째 횡방향 데크(101)까지 이어지도록 연결된다.
상기 상가형 데크(213)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부분이 횡방향 데크(101)의 상면을 향해 튀어 나와 요철을 형성하는 것이 특징인데, 반목이나 상가대를 상가하기 전 선체의 하부 측단을 임시적으로 상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회동 등에 의해 선체가 옆으로 쏠리게 될 경우 넘어짐을 방지하는 방지턱과 같은 역할로도 사용될 수 있다.
한 편, 인너 데크 대차(202) 혹은 아웃 데크 대차(201)를 복수개 연결하기 위해 구비되는 커넥팅 대차(30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가형 데크(213)가 구비되지 않으며, 그 대신 상기 횡방향 데크(101)의 길이방향 양측 끝에 사이드 데크(311)가 구비된다. 상기 사이드 데크(311)는 상가형 데크(213)와는 반대로 횡방향 데크(101)의 상면을 향해 일정 부분이 튀어나오지 않고 상기 횡방향 데크(101)와 평행한 높이로 구비된다. 이는 커넥팅 대차(301)의 횡방향 데크(101) 및 기반용 데크(102)의 결합을 단단하게 유지시키기 위함이며 선체를 상가한 후 격납고로 이송할 때 선박을 상가한 인너 데크 대차(202) 혹은 아웃 데크 대차(201)에서 발생하는 하중을 적절히 분산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상과 같이 구비된 인너 데크 대차(202), 아웃 데크 대차(201), 커넥팅 대차(301)의 양 끝 종방향에는 복수개의 대차 조인트(11)가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대차 유닛(10)이 연결봉(20)을 통해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과 결합 및 작용으로 이루어 진 본 원 발명에 의한 장치가 당면한 과게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하며, 상술한 구성과 실시예에 의하여 안출되거나 구비되어야 하는 구성 및 작용과 결합은 하기에서 상세히 서술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과 그 결합 및 작용으로 이루어 진 본 발명은 선폭의 제약 없이 다양한 크기와 규격의 선박을 실을 수 있는 특징이 있고, 기후 조건이나 사고로 인해 상가된 선박이 기울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원 발명을 구성하는 구성간의 결합을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대차 유닛(10)이 연결된 상태에서 선박을 상가한 형상을 도시한 실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인너 데크 대차(202)의 특징과 구성간의 결합을 상세히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아웃 데크 대차(201)의 특징과 구성간의 결합을 상세히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커넥팅 대차(301)의 특징과 구성간의 결합을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봉(20)의 연결봉 조인트(21)와 대차 유닛(10)의 대차 조인트(11)의 연결 형상을 도시한 부분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봉 조인트(21)와 대차 조인트(11)의 결합 후 회동을 통해 발생하는 하중의 방향과 작용 예시를 도시한 실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인너 대차 유닛(10)의 일측면에 보조 유닛(401)을 부착하는 형상을 도시한 부분 실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대차 유닛(10)이 연결된 상태에서 선박을 상가한 형상을 도시한 실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인너 데크 대차(202)의 특징과 구성간의 결합을 상세히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아웃 데크 대차(201)의 특징과 구성간의 결합을 상세히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커넥팅 대차(301)의 특징과 구성간의 결합을 상세히 도시한 사시도.
도 6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봉(20)의 연결봉 조인트(21)와 대차 유닛(10)의 대차 조인트(11)의 연결 형상을 도시한 부분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연결봉 조인트(21)와 대차 조인트(11)의 결합 후 회동을 통해 발생하는 하중의 방향과 작용 예시를 도시한 실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인너 대차 유닛(10)의 일측면에 보조 유닛(401)을 부착하는 형상을 도시한 부분 실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되는 용어들과 의미는 도면을 참고로 한 실시예에서의 기능과 작용 및 구성을 고려하여 선택된 용어들이며, 사용자 및 실시자의 의도 또는 판례에 따라 해석이 달라질 수 있다. 본 원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정의된 경우 그 정의에 따르지만 구체적인 정의가 없는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당업자에게 통용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원 발명의 일 실시예와 구성 및 작용 결합을 설명하는 도면에는 일부 부호가 생략 도시될 수 있으나 이는 통상적으로 본 원 발명을 이루기 위해 하기 기술하는 구성 및 작용 실시예를 근거로 부속의 위치 등을 본 원 발명의 실시범위 안에서 해석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원 선박의 이동용 대차를 구현하기 위한 실시예의 구성은 크게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대차 유닛(10)이 연결봉(2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때 대차 유닛(10)은 사용자의 사용 목적에 따라 커넥팅 대차(301), 아웃 데크 대차(201), 인너 데크 대차(202)로 구분되어져야 한다.
본 원 발명에서의 대차 유닛(10)은 일반적으로 횡 방향으로 복수개 구비되는 횡방향 데크(101)와, 상기 횡방향 데크(101)를 연결하는 기반용 데크(102)가 상기 횡방향 데크(101)의 중심단에 종방향으로 이어진다. 또한 대차 유닛(10)을 레일 등에 배치하여 운반할 수 있도록 대차 레일 바퀴(111)가 상기 횡방향 데크(101)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열 구비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횡방향 데크(101)의 길이방향 양측 끝에는 상가형 데크(213)가 구비된다.
또한 트랙터 등과 연결될 수 있도록 단일 혹은 복수의 커넥팅부(241)를 상기 인너 데크 대차(202) 및 아웃 데크 대차(201)의 종방향 끝에 구비한다.
한 편, 커넥팅부(241)는 선박을 상가한 대차 유닛(10)을 운송 할 때 모서리 등이 부딪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횡방향 넓이가 횡방향 데크(101)의 횡 폭을 초과하지 않도록 구비되어야 하고, 하중 분산을 위해 인너 데크 대차(202) 혹은 아웃 데크 대차(201)의 종방향 끝에 구비된 횡방향 데크(101)와 상기 횡방향 데크(101)와 가장 인접하는 두번째 횡방향 데크(101)까지 이어지도록 연결된다.
상기 상가형 데크(213)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부분이 횡방향 데크(101)의 상면을 향해 튀어 나와 요철을 형성하는 것이 특징인데, 반목이나 상가대를 상가하기 전 선체의 하부 측단을 임시적으로 상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며, 회동 등에 의해 선체가 옆으로 쏠리게 될 경우 넘어짐을 방지하는 방지턱과 같은 역할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때 구비되는 상가형 데크(213)는 횡방향 데크(101)에 구비되어 있는 위치를 통해 인너 데크 대차(202)와 아웃 데크 대차(201)로 나뉘어 사용될 수 있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가형 데크(213)가 횡방향 데크(101)의 길이방향 양측 끝 부분을 초과하지 않도록 구비된 것은 인너 데크 대차(202)이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가형 데크(213)가 횡방향 데크(101)의 길이방향 양측 끝 부분 밖으로 나오도록 구비된 것은 아웃 데크 대차(201)이다.
인너 데크 대차(202)는 선폭이 좁거나 뾰족한 선박을 이송하거나 복수개의 대차 유닛(10)을 연결해야 할 경우 선체의 중간 부분을 상가해야 할 때 사용될 수 있도록 횡방향 데크(101)의 길이방향 양쪽 끝 부분이 상가형 데크(213)의 바깥으로 돌출될 정도로 어느 정도 유격을 두도록 구비한다. 그와는 반대로 아웃 데크 대차(201)는 선폭이 넓거나 완만한 선박을 이송하거나 복수개의 대차 유닛(10)을 연결해야 할 경우 선체 하단에 중요 부속(스크류 등)이나 형태가 있는 선체의 선수 혹은 선미가 향하는 쪽을 상가해야 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써, 상기 상가형 데크(213)가 횡방향 데크(101)의 길이방향 양쪽 끝 부분에 밀착되도록 구비한다.
한 편, 인너 데크 대차(202) 혹은 아웃 데크 대차(201)를 복수개 연결하기 위해 구비되는 커넥팅 대차(30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가형 데크(213)가 구비되지 않으며, 그 대신 상기 횡방향 데크(101)의 길이방향 양측 끝에 사이드 데크(311)가 구비된다. 상기 사이드 데크(311)는 상가형 데크(213)와는 반대로 횡방향 데크(101)의 상면을 향해 일정 부분이 튀어나오지 않고 상기 횡방향 데크(101)와 평행한 높이로 구비된다. 이는 커넥팅 대차(301)의 횡방향 데크(101) 및 기반용 데크(102)의 결합을 단단하게 유지시키기 위함이며 선체를 상가한 후 격납고로 이송할 때 선박을 상가한 인너 데크 대차(202) 혹은 아웃 데크 대차(201)에서 발생하는 하중을 적절히 분산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상기 사이드 데크(311)와 횡방향 데크(101)를 연결하는 대각 살대(321)를 더욱 구비하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대각 살대(321)는 사이드 데크(311)의 내측과 횡방향 데크(101)의 내측에서 대각선으로 복수개가 배열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대차 유닛(10)의 결합 형태를 지탱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이 구비된 인너 데크 대차(202), 아웃 데크 대차(201), 커넥팅 대차(301)의 양 끝 종방향에는 복수개의 대차 조인트(11)가 수직 방향으로 구비되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대차 유닛(10)이 연결봉(20)을 통해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구비되는 연결봉(20)은 양 끝단에 복수개의 연결봉 조인트(21)가 구비되며, 상기 연결봉 조인트(21)가 구비된 간격의 폭은 대차 조인트(11)와 맞물릴 수 있는 정도여야 한다.
한 편, 상기 연결봉 조인트(21)와 대차 조인트(11)가 각자 복수개가 구비되는 이유를 도 7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연결봉 조인트(21)와 대차 조인트(11)가 단일로 구비될 경우 대차 유닛(10)이 회동 등으로 발생할 수 있는 하중을 지탱하는 축이 한 방향으로만 굽힘 하중(B)을 받기 때문에 휘어지거나 부러질 우려가 있는데, 수직 방향으로 복수개가 구비될 경우 굽힘 하중을 받는 연결봉 조인트(21) 혹은 대차 조인트(11)와 이격 구비된 조인트는 인장 하중(T)을 받도록 함으로써 하중을 서로 분산하는 구조가 성립되어 응력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회동 등으로 발생하는 굽힘 하중(B)으로 인한 파단 혹은 굽어짐을 일정 부분 경감할 수 있는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구성과 실시예를 통해 선박을 상가하여 운반하더라도 선박의 선폭이 지나치게 좁거나 선고가 높아서 기상 조건이나 장애물에 의해 넘어질 우려가 있는 선박을 상가해야 할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유닛(401)을 대차 유닛(10)의 일측 횡방향 데크(101)의 길이방향 끝에 더 부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구비된 보조 유닛(401)은 하단에 보조 바퀴부(405)가 구비되며, 대각선 형으로 이루어 진 보조 상가대(421)가 상단에 구비되고, 일측단에는 대차 연결부(411)가 구비되며, 상기 대차 연결부(411)는 횡방향 데크(101)와 연결될 수 있도록 결합 요홈(415)이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인너 데크 대차(202) 혹은 아웃 데크 대차(201)와의 연결을 위해 상기 대차 연결부(411)의 상부면과 보조 상가대(421)의 하부면까지의 높이 간격은 상가형 데크(213)의 높이방향과 맞물릴 수 있도록 상기 상가형 데크(213)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혹은 공업상 허용된 공차가 포함된 높이여야 한다.
이상과 같은 조건을 충족하는 보조 유닛(401)은 대차 연결부(411)를 통해 횡방향 데크(101)의 길이방향 끝에 고정하고 상가형 데크(213)와 맞물리도록 연결하면 상기 보조 유닛(401)의 보조 상가대(421)의 하부면과 횡방향 데크(101)의 상면은 상기 상가형 데크(213)가 상기 횡방향 데크(10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높이만큼 틈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보조 상가대(421)의 하부면과 횡방향 데크(101)의 상면 사이에 보조 상가대용 반목(431)을 더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보조 상가대가 온전하게 선박의 하중을 받을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 및 결합 그 작용으로 이루어 진 선박의 이동용 대차는 선폭의 제약 없이 다양한 크기와 규격의 선박을 실을 수 있는 특징이 있으며, 기후 조건이나 사고로 인해 상가된 선박이 기울어 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 작용 및 효과에 대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예로부터 도출 가능한 자명한 변형예와 구성 및 작용을 포괄하여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되고 이와 같이 해석되어야 한다.
10 : 대차 유닛 11 : 대차 조인트
20 : 연결봉 21 : 연결봉 조인트
101 : 횡방향 데크 102 : 기반용 데크
111 : 대차 레일 바퀴 201 : 아웃 데크 대차
202 : 인너 데크 대차 213 : 상가형 데크
241 : 커넥팅부 301 : 커넥팅 대차
311 : 사이드 데크 321 : 대각 살대
401 : 보조 유닛 405 : 보조 바퀴부
411 : 대차 연결부 415 : 결합 요홈
421 : 보조 상가대 431 : 보조 상가대용 반목
B : 굽힘 하중 T : 인장 하중
20 : 연결봉 21 : 연결봉 조인트
101 : 횡방향 데크 102 : 기반용 데크
111 : 대차 레일 바퀴 201 : 아웃 데크 대차
202 : 인너 데크 대차 213 : 상가형 데크
241 : 커넥팅부 301 : 커넥팅 대차
311 : 사이드 데크 321 : 대각 살대
401 : 보조 유닛 405 : 보조 바퀴부
411 : 대차 연결부 415 : 결합 요홈
421 : 보조 상가대 431 : 보조 상가대용 반목
B : 굽힘 하중 T : 인장 하중
Claims (6)
- 양 끝단에 복수개의 연결봉 조인트(21)가 구비된 연결봉(20)에 의해 복수개의 대차 유닛(10)이 연결되는 선박의 이동용 대차에 있어서,
상기 대차 유닛(10)은 양 끝 종방향에 복수개의 대차 조인트(11)가 수직 방향으로 구비된 커넥팅 대차(301), 아웃 데크 대차(201), 인너 데크 대차(202)로 구분되며,
상기 대차 유닛(10)은,
횡 방향으로 복수개 구비되는 횡방향 데크(101)와,
횡방향 데크(101)를 연결하는 기반용 데크(102)가 상기 횡방향 데크(101)의 중심단에 종방향으로 이어지고,
대차 레일 바퀴(111)가 상기 횡방향 데크(101)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커넥팅 대차(301)는,
횡방향 데크(101)와 평행한 높이의 사이드 데크(311)가 상기 횡방향 데크(101)의 길이방향 양측 끝에 더 구비되고,
사이드 데크(311)의 내측과 횡방향 데크(101)의 내측에 대각 살대(321)가 대각선으로 복수개가 배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일측단에 대차 연결부(411)가 구비된 보조 유닛(401)이 상기 대차 유닛(10)의 일측 횡방향 데크(101)의 길이방향 끝에 더 부착되며,
상기 보조 유닛(401)은,
하단에 보조 바퀴부(405)가 구비되며,
대각선 형으로 이루어 진 보조 상가대(421)가 상단에 구비되고,
상기 대차 연결부(411)는 횡방향 데크(101)와 연결될 수 있도록 결합 요홈(415)이 더 구비되는 한 편, 상기 보조 상가대(421)의 하부면과 횡방향 데크(101)의 상면 사이에 보조 상가대용 반목(431)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이동용 대차.
- 제 1항에 있어서,
일정 부분이 횡방향 데크(101)의 상면을 향해 튀어 나와 요철을 형성하는 상가형 데크(213)가 상기 인너 데크 대차(202)와 아웃 데크 대차(201)의 상기 횡방향 데크(101)의 길이방향 양측 끝에 더 구비되고,
단일 혹은 복수의 커넥팅부(241)를 상기 인너 데크 대차(202)와 아웃 데크 대차(201)의 종방향 끝에 더 구비하며,
상기 커넥팅부(241)는,
횡방향 넓이는 상기 횡방향 데크(101)의 횡 폭을 초과하지 않도록 구비되고,
상기 인너 데크 대차(202)와 아웃 데크 대차(201)의 종방향 끝에 구비된 횡방향 데크(101)와 상기 횡방향 데크(101)와 가장 인접하는 두번째 횡방향 데크(101)까지 이어지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이동용 대차.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 데크 대차(202)는,
상가형 데크(213)가 횡방향 데크(101)의 길이방향 양측 끝 부분을 초과하지 않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이동용 대차.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 데크 대차(201)는,
상가형 데크(213)가 횡방향 데크(101)의 길이방향 양측 끝 부분 밖으로 나오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의 이동용 대차.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41119A KR102044120B1 (ko) | 2019-04-09 | 2019-04-09 | 선박의 이동용 대차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41119A KR102044120B1 (ko) | 2019-04-09 | 2019-04-09 | 선박의 이동용 대차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44120B1 true KR102044120B1 (ko) | 2019-11-12 |
Family
ID=68577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41119A KR102044120B1 (ko) | 2019-04-09 | 2019-04-09 | 선박의 이동용 대차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44120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109274A (ko) * | 2007-06-12 | 2008-12-17 | 이경형 | 선박 인양장치 |
KR20100081888A (ko) * | 2009-01-07 | 2010-07-15 | 고려해양조선 주식회사 | 선박 위치 조절 장치 및 그 방법 |
KR200451533Y1 (ko) | 2008-12-08 | 2010-12-20 | 주명자 | 선박이동용 대차 |
KR20110004302U (ko) * | 2011-03-18 | 2011-05-02 | 고려해양조선 주식회사 | 멈춤 장치를 구비한 대차 및 선대 |
JP2011178387A (ja) | 2010-03-02 | 2011-09-15 | Stx Offshore & Shipbuilding Co Ltd | 船舶のローンチングシステム |
JP2013052780A (ja) | 2011-09-05 | 2013-03-21 | Okishin Senpaku Kogyo:Kk | 台車式引揚げ船台 |
-
2019
- 2019-04-09 KR KR1020190041119A patent/KR10204412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109274A (ko) * | 2007-06-12 | 2008-12-17 | 이경형 | 선박 인양장치 |
KR200451533Y1 (ko) | 2008-12-08 | 2010-12-20 | 주명자 | 선박이동용 대차 |
KR20100081888A (ko) * | 2009-01-07 | 2010-07-15 | 고려해양조선 주식회사 | 선박 위치 조절 장치 및 그 방법 |
JP2011178387A (ja) | 2010-03-02 | 2011-09-15 | Stx Offshore & Shipbuilding Co Ltd | 船舶のローンチングシステム |
KR20110004302U (ko) * | 2011-03-18 | 2011-05-02 | 고려해양조선 주식회사 | 멈춤 장치를 구비한 대차 및 선대 |
JP2013052780A (ja) | 2011-09-05 | 2013-03-21 | Okishin Senpaku Kogyo:Kk | 台車式引揚げ船台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80107505A1 (en) | Container transportation system and method | |
US6199486B1 (en) | Flatbed railcar with a center support partition | |
US6537009B1 (en) | Handler for container ship | |
US20190023356A1 (en) | Container Lashing Bridge | |
BE1009958A5 (fr) | Procede et dispositif de transport de grandes unites. | |
CA2270012C (en) | Floating dock section | |
EP1648804B1 (en) | 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cargo at sea-side of ship | |
US20100028105A1 (en) | Floating Device for Transporting and Transferring Containers | |
US4046092A (en) | Ship's hull | |
KR102044120B1 (ko) | 선박의 이동용 대차 | |
JP2010184631A (ja) | 船舶 | |
NL2007064C2 (en) | Shear leg crane and transportation vessel. | |
CN108495783B (zh) | 在集装箱船和码头之间转移标准化集装箱的方法 | |
EP1165365B1 (en) | Method and device for securing horizontally loaded cargo units to a vessel | |
CN204526956U (zh) | 船只拖运装置 | |
KR20100137021A (ko) | 분할식 선박 램프용 장치 | |
US20050276673A1 (en) | Outrigger lifting device for fuel tankers | |
JP7138594B2 (ja) | 船舶 | |
KR100650594B1 (ko) | 컨테이너 크레인 합체형 갠트리 크레인을 탑재한 쌍동선형컨테이너선 | |
US8747051B2 (en) | Method and arrangement for ocean freight transportation | |
US6722683B1 (en) | Boat trailer | |
JP6500256B2 (ja) | 揚陸用の船舶、揚陸方法、及び揚陸用の船舶の設計方法 | |
WO1993004914A1 (en) | Jumbo barge carrier fast sealift and port system | |
CN208119369U (zh) | 超大轨距岸桥整机发运装置 | |
KR101255683B1 (ko) | 부유식 크레인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