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8053A - 카메라의 아이리스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카메라의 아이리스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8053A
KR20180088053A KR1020170012618A KR20170012618A KR20180088053A KR 20180088053 A KR20180088053 A KR 20180088053A KR 1020170012618 A KR1020170012618 A KR 1020170012618A KR 20170012618 A KR20170012618 A KR 20170012618A KR 20180088053 A KR20180088053 A KR 201800880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magnet
driving
yok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2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9251B1 (ko
Inventor
박창욱
김인수
김희승
Original Assignee
자화전자(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화전자(주) filed Critical 자화전자(주)
Priority to KR1020170012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9251B1/ko
Priority to PCT/KR2017/013321 priority patent/WO2018139748A1/ko
Priority to US15/860,971 priority patent/US10412313B2/en
Priority to CN201820106032.3U priority patent/CN207833193U/zh
Publication of KR201800880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80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9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92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7/00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 G03B7/08Control effected solely on the basis of the response, to the intensity of the light received by the camera, of a built-in light-sensitive device
    • G03B7/12Control effected solely on the basis of the response, to the intensity of the light received by the camera, of a built-in light-sensitive device a hand-actuated member moved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providing the energy to move the setting member, e.g. depression of shutter release button causes a stepped feeler to co-operate with the pointer of the light-sensitive device to set the diaphragm and thereafter release the shutt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to co-operate with a remote control mechanis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5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optical camera compon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05Diaphrag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7/00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 G03B7/08Control effected solely on the basis of the response, to the intensity of the light received by the camera, of a built-in light-sensitive devi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2Diaphragms
    • G03B9/06Two or more co-operating pivoted blades, e.g. iris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 H04N23/687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by shifting the lens or sensor posi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64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 G02B27/646Imaging systems using optical elements for stabilisation of the lateral and angular position of the image compensating for small deviations, e.g. due to vibration or shak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iaphragms For Cameras (AREA)
  • Lens Barrels (AREA)
  • Shutters For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의 아이리스 구동장치는 서로 다른 위치에 구비되는 제1 및 제2마그네트; 빛이 유입되는 개구부를 가지며 물리적 이동에 의하여 렌즈로 유입되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블레이드; 상기 블레이드의 물리적 이동을 구동하는 구동부; 및 상기 블레이드에 구비되며 상기 블레이드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또는 제2마그네트와 인력을 발생시키는 자성 재질의 블레이드 요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카메라의 아이리스 구동장치{APPARATUS FOR DRIVING IRIS OF CAMERA}
본 발명은 아이리스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마그네트의 자력을 이용하여 아이리스의 블레이드가 정위치를 유지하는 구조가 적용된 아이리스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드웨어 기술의 발전, 사용자 환경 등의 변화에 따라 스마트폰 등의 휴대 단말에는 통신을 위한 기본적인 기능 이외에 다양하고 복합적인 기능이 통합적으로 구현되고 있다.
그 대표적인 예로 오토포커스(AF, Auto Focus), 손떨림 보정(OIS, Optical Image Stabilization) 등의 기능이 구현된 카메라 모듈을 들 수 있으며 근래에는 인증이나 보안 등을 위한 음성 인식, 지문 인식, 홍채 인식 기능 등도 휴대 단말에 탑재되고 있다.
휴대 단말 등에 탑재되는 카메라 모듈 내지 장치에는 렌즈로 유입되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조리개가 구비되는데, 이 조리개는 실시형태에 따라서 여러 가지 구조로 이루어지나 일반적으로 날개(wing) 형상을 가지는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blade)가 개폐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렌즈로 유입되는 빛의 양이 조절되도록 구동되며, 눈의 홍채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한다는 측면에서 아이리스(IRIS)라고도 지칭된다.
아이리스 구동장치는 사용자의 선택이나 또는 자동화된 설정에 의하여 렌즈 전단에 위치한 블레이드가 특정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함으로써 렌즈로 유입되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데, 이 때 특정 위치로 이동한 블레이드는 다른 제어 신호가 입력되기 전까지 정해진 위치를 유지하고 있어야 한다.
종래에는 특정 위치로 이동한 블레이드의 위치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토션 스프링과 같은 하나 이상의 탄성체, 복수 개로 치합되는 기어 등과 같은 복잡한 물리적 구조를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구조는 장치 자체를 복잡하고 비대하게 만들어 버리므로 소형화, 경량화의 본질적 특성을 가지는 휴대 단말에 탑재되기에 상당히 곤란함은 물론, 본질적으로 복잡한 작동 구조에 의존하고 있으므로 오동작 등이 쉽게 발생할 수 있고, 작은 충격에도 물리적 치합 구조가 이탈하거나 손상되는 등의 문제에 노출되어 고장이 쉽게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자동초점(AF, Auto Focus) 또는 손떨림 보정(OIS, Optical Image Stabilization) 등의 기능이 구현되어 있는 카메라 모듈의 경우 이들 기능을 구현하는 구조와는 독립된 추가적인 물리적 구조가 구현되어야 하므로 AF 또는 OIS를 구동하는 구조와 유기적으로 조화롭게 결합되기가 상당히 곤란한 문제점이 있다.
나아가 다양한 기능이 복합된 휴대 단말의 경우 각 기능마다의 저전력 소모 환경이 구현되어야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종래의 구조에 의하는 경우 복잡하게 결합되거나 치합된 구조 전반을 물리적으로 구동하여야 하므로 전력 소모의 측면에서도 그 효율성이 낮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간단한 구조적 적용만을 통하여 블레이드가 정해진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아이리스 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아래의 설명에 의하여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분명하게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구성과 그 구성의 조합에 의하여 실현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의 아이리스 구동장치는 서로 다른 위치에 구비되는 제1 및 제2마그네트; 빛이 유입되는 개구부를 가지며 물리적 이동에 의하여 렌즈로 유입되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블레이드; 상기 블레이드의 물리적 이동을 구동하는 구동부; 및 상기 블레이드에 구비되며 상기 블레이드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또는 제2마그네트와 인력을 발생시키는 자성 재질의 블레이드 요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상기 제1 또는 제2마그네트는 상기 렌즈의 AF 구동을 위한 AF마그네트 또는 상기 렌즈의 OIS 구동을 위한 OIS마그네트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제1 및 제2마그네트 사이에 위치하는 회동축을 기준으로 회전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상기 회동축과 상기 블레이드를 연결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블레이드 요크는 상기 지지부재에 구비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상기 블레이드 요크는 상기 제1 및 제2마그네트와 발생되는 인력의 크기가 상호 대응되도록 비대칭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블레이드는 제1회동축에 의하여 회전 이동하는 제1블레이드; 및 상기 제1블레이드와 링크 결합되어 상기 제1블레이드의 회전 이동에 연동하여 제2회동축을 기준으로 회전 이동하는 제2블레이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블레이드 요크는 제1블레이드 또는 제2블레이드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회동축을 회전시켜 상기 제1블레이드를 회전 이동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블레이드 요크는 제2블레이드에 구비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할 때, 블레이드 등에 구비되는 자성재질의 블레이드 요크와 마그네트 사이의 자력을 통하여 블레이드가 유격이나 흔들림 없이 각각의 정해진 위치를 유지할 수 있어 아이리스 구동장치를 더욱 간단히 구현할 수 있음과 동시에 구동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할 때, 카메라 내지 카메라 모듈에 구비되어 있는 AF 마그네트 또는 OIS 마그네트를 자력 발생 수단으로 그대로 활용할 수 있어 AF 또는/및 OIS 기능이 구현된 카메라 모듈에서 아이리스 구동장치의 장치 확장성을 더욱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는 경우, 반영구적인 자석의 자력과 자성을 가지는 블레이드 요크를 이용하여 블레이드의 위치 유지력을 구현하므로 장치의 사용 연한을 증진시킬 수 있고, 탄성체 및 기어 등과 같은 물리적 구동 방식을 지양할 수 있어 구동에 따른 소음이 전혀 발생하지 않음은 물론, 저전력 환경으로 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이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아이리스 구동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블레이드의 개폐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블레이드의 개폐에 따른 작동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블레이드 요크와 마그네트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카메라의 아이리스 구동장치(이하 '구동장치'라 지칭한다)(100)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한 구동장치(100)는 제1마그네트(120-1), 제2마그네트(120-2), 블레이드(130, 130-1/130-2), 블레이드 요크(140) 및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동장치(100)는 독립된 장치는 물론, 일반적인 카메라 장치 내지 카메라 액추에이터(모듈)에 탑재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구동장치(100)는 AF 또는 OIS 기능이 단독으로 구현된 카메라 장치는 물론, AF와 OIS 기능이 통합적으로 구현된 카메라 장치에 탑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블레이드(130)는 빛이 유입되는 개구부(131-1, 131-2)를 가지며 물리적 이동에 의하여 렌즈로 유입되는 빛을 양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블레이드는 단일 개수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2개 또는 그 이상의 개수로 구현될 수 있다.
블레이드(130)가 2개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호 링크(170)로 연결되어 하나의 블레이드(예를 들어, 제1블레이드(130-1))가 이동하는 경우 이에 연동하여 다른 하나의 블레이드(예를 들어, 제2블레이드(130-2))가 이동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동부(미도시)는 블레이드(130)의 물리적 이동을 구동하는 구성으로서, 모터 등과 같은 구동수단이나 형상기억합금(SMA) 와이어를 이용하여 회동축을 회전시키는 구조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구동 신뢰성 향상 및 소음 발생 방지 등을 위하여 코일과 마그네트 사이의 전자기력을 이용하여 블레이드(130)를 선형 이동 또는 회전 이동시키는 구조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일과 마그네트 사이의 전자기력을 이용하여 블레이드(130)를 물리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면 통상의 기술자 수준에서 다양한 실시형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를 위한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로, 블레이드(130)의 회동축(150-1, 150-2) 등에 돌출된 형상의 레버를 형성하고 이 레버를 홈부가 형성된 구동 마그네트와 연결한 후, 인가된 전원의 방향에 따라 구동 코일이 구동 마그네트에 인력과 척력을 발생시키면 이 힘에 의하여 구동 마그네트가 선형 이동하도록 구성하고, 구동 마그네트의 홈부에 결합된 레버가 구동 마그네트의 선형 이동에 의하여 회동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형태를 들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마그네트(120-1)와 제2마그네트(120-2)는 서로 다른 위치에 구비된다. 이들 제1 및 제2마그네트(120-1, 120-2)는 후술되는 블레이드 요크(140)와 인력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앞서 설명된 블레이드(130)는 물리적 이동(선형이동, 회전 이동 등)에 의하여 렌즈로 유입되는 빛의 양이 조절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는 블레이드(130-1, 130-2)가 특정한 제1위치 또는 제2위치로 이동함으로써 제1블레이드(130-1) 및 제2블레이드(130-2) 각각의 개구부(131-1, 131-2)가 상호 겹쳐지는 정도에 따라 최대 크기의 개구와 최소 크기의 개구가 되도록 하는 실시예에 해당한다.
예를 들어 구동부(미도시)의 구동에 의하여 블레이드(130)가 제1위치로 이동한 경우 개구부(131-1, 131-2)의 상호 겹침 정도에 의해 최대 개구가 되도록 하고, 블레이드(130)가 제1위치가 아닌 제2위치로 이동한 경우 개구부(131-1, 131-2)의 상호 겹침 정도에 의해 최소 개구가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마그네트(120-1)와 제2마그네트(120-2)는 이와 같이 블레이드(130)가 특정 위치인 제1위치 및 제2위치로 이동한 경우 블레이드(130)가 제1위치 및 제2위치에서 움직이지 않고 그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는 구성의 하나로서 블레이드(130)에 구비되는 블레이드 요크(140)에 자력(인력)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제1마그네트(120-1)와 제2마그네트(120-2)는 블레이드(130)가 제1위치 또는 제2위치로 이동한 각각의 경우에 블레이드 요크(140)에 자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면 그 위치는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블레이드 요크(140)는 이와 같이 블레이드(130) 또는 블레이드(130)를 지지하는 부재 등에 구비되는 구성으로서 블레이드(130)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마그네트(120-1) 또는 제2마그네트(120-2)에 인력을 발생시키는 구성으로서 자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블레이드 요크(140)는 블레이드(130)가 이동하는 경우 함께 이동하는 구성으로서 블레이드(130)가 이동하는 경우 함께 이동할 수 있는 형태라면 블레이드(130) 자체에 구비되는 형태, 블레이드(130)를 지지하는 부재에 구비되는 형태 등을 포함하여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구동장치(100)가 AF 또는/및 OIS 기능이 탑재된 카메라 장치에서 구현되는 경우 본 발명의 구동장치(100)는 AF 또는 OIS를 위한 구성을 수용하는 프레임(110)의 상부에 구비되는 형태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렌즈의 크기 또는 다른 구성과의 물리적 간섭 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앞쪽(도 1 기준 광축 방향인 Z축 방향 기준) 방향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블레이드 요크(140)는 자성 재질로 이루어지므로 서로 다른 위치에 구비되는 제1마그네트(120-1)와 제2마그네트(120-2) 각각이 제공하는 인력에 영향을 받게 되는데 본 발명은 이러한 인력을 이용하여 블레이드 요크(140)가 구비된 블레이드(130)의 위치가 유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자력(인력)에 의하여 블레이드(130)의 위치가 유지되도록 함과 동시에 블레이드(130) 자체의 구동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제1 및 제2마그네트(110-1, 110-2)와 블레이드 요크(140) 사이의 자력의 크기는 구동부의 구동력보다는 작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블레이드(130) 자체 또는 블레이드(130)및 블레이드(130)와 함께 이동하는 부재 전체의 하중에 상응하는 힘보다는 크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AF 구동은 마그네트와 코일 사이의 자력을 이용하여 이루어지며, OIS 구동 또한, 마그네트와 코일 사이의 자력을 이용하여 구현되므로 AF 및/또는 OIS 기능이 탑재된 카메라 장치의 경우, 렌즈가 탑재된 캐리어를 광축 방향(Z축 방향) 또는 광축과 수직한 방향(X축 및 Y축)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AF마그네트 및 OIS 마그네트가 X축 및 Y축에 대응되는 각각의 방향의 측면 또는 바닥면에 구비되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제1마그네트(120-1) 및 제2마그네트(120-2)는 블레이드 요크(140)와의 자력 발생만을 위한 별도의 마그네트일 수도 있으나, AF 및/OIS를 위하여 이미 프레임(110)에 구비되어 있는 AF마그네트 또는 OIS 마그네트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마그네트(120-1)와 제2마그네트(120-2) 모두 OIS 구동을 위한 OIS마그네트일 수 있으며, 제1마그네트(120-1)는 AF 구동을 위한 AF 마그네트, 제2마그네트(120-2)는 OIS 구동을 위한 OIS 마그네트일 수 있다.
실시형태에 따라서 AF마그네트 또는 OIS 마그네트 중 하나와 블레이드 요크(140)와의 인력 발생을 위한 추가 마그네트를 제1마그네트(120-1)와 제2마그네트(120-2)로 이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AF마그네트 또는 OIS 마그네트를 제1마그네트(120-1) 또는 제2마그네트(120-2)로 이용하는 경우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마그네트(120-1)와 제2마그네트(120-2)와 대면하는 부분(측면 또는 하면 등)에 AF구동 또는 OIS 구동을 위한 코일이 배치됨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블레이드(130)는 상기 제1마그네트(120-1)와 제2마그네트(120-2) 사이에 위치하는 회동축(150-2, 160-2)을 기준으로 회전 이동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실시형태에 따라 블레이드(130)가 두 개의 블레이드로 구현된다면 제1블레이드(130-1)는 제1회동축(150-1)을 기준으로 회전이동하도록 구성하고, 제2블레이드(130-2)는 제2회동축(150-2)을 기준으로 회전 이동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회동축(150-1) 또는 제2회동축(150-2) 중 하나 이상에 구동부(미도시)를 연결하여 제1회동축(150-1) 또는 제2회동축(150-2)을 기준으로 제1블레이드(130-1)와 제2블레이드(130-2)가 회전이동 하도록 구성할 수 다.
또한, 실시형태에 따라서 구동부(미도시)를 제1회동축(150-1)에만 연결하여 제1블레이드(130-1)에 회전 구동력이 전달되도록 하고, 제2블레이드(130-2)는 제1블레이드(130-1)와 제2블레이드(130-2) 사이의 링크(170) 연결을 통하여 제1블레이드(130-1)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제1블레이드(130-1)의 회전 이동에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블레이드 요크(140)는 제1블레이드(130-1) 또는 제2블레이드(130-2) 모두에 구비될 수 있으나, 구동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하여 구동력이 직접 전달되지 않는 제2블레이드(130-2)에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형태에 따라서 블레이드를 선형적으로 이동시키고, 그 이동 정도에 따라 렌즈가 가려지는 정도를 차등적으로 조정하는 형태로 본 발명의 구동장치를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제1마그네트(120-1)와 제2마그네트(120-2)는 블레이드(130)의 선형적 이동에 의한 제1위치와 제2위치 각각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다.
제1블레이드(130-1)와 제2블레이드(130-2)는 박막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블레이드(130-1, 130-2) 자체를 회전 이동시키는 방법보다는 회동축(150-1, 150-2)과 블레이드(130-1)를 연결하는 물리적 부재를 매개시키켜 블레이드(130)가 더욱 효과적으로 물리적으로 지지됨과 동시에 회전 이동이 더욱 유연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1블레이드(130-1)는 제1회동축(150-1)과 제1지지부재(160-1)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하고 제2블레이드(130-2)는 제2회동축(150-2)과 제2지지부재(160-2)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또한, 이 지지부재(160-1, 160-2)의 높이를 이용하여 블레이드(130)가 광축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자성 재질의 블레이드 요크(140)를 이 블레이드(130)에 직접 구비되도록 하는 방법도 가능은 하나, 작동 관계의 신뢰성을 더욱 높이기 위하여 상술된 본 발명의 블레이드 요크(140)는 제1지지부재(160-1) 또는 제2지지부재(160-2)에 구비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1블레이드(130-1)가 구동부에 의하여 회전 구동되는 구성이고 제2블레이드(130-2)가 제1블레이드(130-1)의 회전 이동에 종속되어 회전 이동하는 부재라면 상기 블레이드 요크(140)는 제2지지부재(160-2)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블레이드(130-1, 130-2)가 개폐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블레이드(130-1, 130-2)가 개폐되는 작동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구동장치(100) 중 일부 구성에 대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3(a)는 제1블레이드(130-1) 및 제2블레이드(130-2)가 모두 제1위치(초기 설정 위치)에 위치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으며, 도 2(b) 및 도 3(b)는 구동부(미도시)의 구동에 의하여 제1블레이드(130-1)와 제2블레이드(130-2)가 회전 이동하여 제2위치에 위치하는 모습을 도시하고 있다.
이 도면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구현하는 하나의 예로서, 이 실시예는 구동부(미도시)의 구동력이 제1회동축(150-1)에만 전달되는 형태로서 제1회동축(150-1)이 구동부(미도시)에 의하여 회전이동하면 제1지지부재(160-1)의 매개를 통하여 제1블레이드(130-1)가 회전이동하는 형태에 해당한다.
또한, 이 실시예는 앞서 기술된 바와 같이 작동 관계의 효율성을 위하여 블레이드 요크(140)가 제2블레이드(130-2)와 연결된 제2지지부재(160-2)에 구비된 실시예에 해당한다.
도 2(a) 및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블레이드(130-1)와 제2블레이드(130-2)가 제1위치(초기 설정 위치)에 있는 경우 각 개구부(131-1, 131-2)는 상대적으로 멀리 이격되어 있으므로 작은 직경(도 3의 R1)의 개구를 형성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블레이드 요크(140)는 제1마그네트(120-1)에 물리적으로 근접하고 있어 제1마그네트(120-1)와의 인력에 의하여 당겨지게 되며 그로 인해 제1블레이드(130-1)의 위치가 유지되게 된다. 물리적인 스토퍼(stopper) 등을 통하여 제1마그네트(120-1)에 의한 인력의 영향을 받되, 제1블레이드(130-1)가 이 인력에 의하여 물리적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제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상태에서 구동부(미도시)의 회전 구동이 이루어지면 이 구동력은 제1회동축(150-1)에 전달되고 제1회동축(150-1)의 회전 이동에 의하여 제1블레이드(130-1)가 반시계 방향(도 2기준이며, 도 3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 시계 방향)으로 회전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1개구부(131-1) 또한, 반시계 방향(도 2 기준)으로 회전 이동한다.
제1블레이드(130-1)와 링크(170)로 연결되어 있으며 제2회동축(150-2)에 축결합되어 있는 제2블레이드(130-2)는 제1블레이드(130-1)가 회전 이동하게 되면, 제1블레이드(130-1)의 회전 이동에 연동하여 시계 방향(도 2 기준)으로 회전 이동하고 이에 따라 제2블레이드(130-2)에 형성된 제2개구부(131-2) 또한, 시계 방향(도 2기준)으로 회전이동한다.
이러한 회전 이동에 의하여 제1개구부(131-1)과 제2개구부(131-2)는 서로 상대적으로 더 근접하게 되어 더 큰 직경의 개구(도 3의 R2)가 형성되고 이와 같이 블레이드(130)의 회전 이동에 의하여 개구의 크기가 변경됨으로써 렌즈로 유입되는 빛의 양이 차등적으로 조절된다.
한편, 본 발명의 블레이드 요크(140)는 제2블레이드(130-2)와 제2회동축(150-2) 사이를 연결하는 제2지지부재(160-2)에 구비되어 있는데, 제2블레이드(130-2)가 시계 방향(도 2기준)으로 회전이동함에 따라 블레이드 요크(140) 또한, 시계 방향(도 2기준)으로 회전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블레이드 요크(140)가 시계 방향(도 2기준)으로 회전 이동하게 되면, 블레이드 요크(140)는 제2마그네트(120-2)와 물리적으로 근접하게 되고 그에 따라 제1마그네트(120-1)보다는 상대적으로 제2마그네트(120-2)의 자력(이력)을 더욱 크게 받게 되므로 제2마그네트(120-2)에 의한 인력에 의하여 그 위치가 유지되고 그에 따라 블레이드 요크(140)가 구비된 제2블레이드(130-2)의 위치가 유지되게 된다.
도 2와 도 3은 블레이드(130)가 기준 위치(제1위치)에 있는 경우 작은 개구가 형성되고 블레이드(130)가 제1위치와 다른 제2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큰 개구가 형성되는 실시예에 해당하나, 이와는 반대로 기준 위치(제1위치)에서 상대적으로 큰 개구가 제2위치에서 작은 개구가 형성되도록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블레이드 요크(140)와 마그네트(120-1, 120-2)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블레이드 요크(140)는 회전 이동에 의하여 그 위치가 제1위치에서 제2위치 또는 제2위치에서 제1위치로 변화하며, 그 각각의 위치에서 그 위치와 근접한 마그네트(120-1, 120-2)에 의한 인력을 상대적으로 크게 받게 된다.
즉, 블레이드 요크(140)가 제1마그네트(120-1)와 근접한 경우 블레이드(130)의 일단 부분(a)이 제1마그네트(120-1)와 근접하게 되고 다른 타단 부분(b)은 제2마그네트(120-2)와 멀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블레이드 요크(140)는 제2마그네트(120-2)의 인력의 영향보보다는 제1마그네트(120-1)의 인력의 영향을 더욱 크게 받게 되므로 블레이드 요크(140)가 구비된 블레이드(130)는 이 인력에 의하여 그 위치가 지속될 수 있게 된다.
상응하는 관점에서, 블레이드 요크(140)가 반시계 방향(도 4 기준)으로 회전하는 경우 블레이드 요크(140)의 일단 부분(a)은 제1마그네트(120-1)와 멀어지게 되고 블레이드 요크(140)의 타단 부분(b)은 제2마그네트(120-2)와 근접하게 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위치 변화에 따라 블레이드(130)는 제2마그네트(120-2)에 의한 인력을 더욱 크게 받게 되어 블레이드 요크(140)가 구비된 블레이드(130)는 이 제2마그네트(120-2)에 의한 인력에 의하여 그 위치가 유지되게 된다.
블레이드 요크(140)는 제1마그네트(120-1) 및 제2마그네트(120-2)와 발생되는 인력의 크기가 상호 대응될 수 있도록 제1마그네트(120-1) 또는 제2마그네트(120-2)와의 이격 거리 등을 고려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대칭 형상이나 웨이브(wave)가 포함된 형상 등으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된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 제1 및 제2 등과 같은 수식어는 상호 간의 구성요소를 상대적으로 구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도구적 개념의 용어일 뿐이므로, 특정의 순서, 우선순위 등을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용어가 아니라고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설명과 그에 대한 실시예의 도시를 위하여 첨부된 도면 등은 본 발명에 의한 기술 내용을 강조 내지 부각하기 위하여 다소 과장된 형태로 도시될 수 있으나, 앞서 기술된 내용과 도면에 도시된 사항 등을 고려하여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 수준에서 다양한 형태의 변형 적용 예가 가능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고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아이리스 구동장치
110 : 프레임
120-1 : 제1마그네트 120-2 : 제2마그네트
130-1 : 제1블레이드 130-2 : 제2블레이드
131-1 : 제1개구부 131-2 : 제2개구부
140 : 블레이드 요크
150-1 : 제1회동축 150-2 : 제2회동축
160-1 : 제1지지부재 160-2 : 제2지지부재
170 : 링크

Claims (7)

  1. 서로 다른 위치에 구비되는 제1 및 제2마그네트;
    빛이 유입되는 개구부를 가지며 물리적 이동에 의하여 렌즈로 유입되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블레이드;
    상기 블레이드의 물리적 이동을 구동하는 구동부; 및
    상기 블레이드에 구비되며 상기 블레이드의 위치에 따라 상기 제1 또는 제2마그네트와 인력을 발생시키는 자성 재질의 블레이드 요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아이리스 구동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또는 제2마그네트는,
    상기 렌즈의 AF 구동을 위한 AF마그네트 또는 상기 렌즈의 OIS 구동을 위한 OIS마그네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아이리스 구동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제1 및 제2마그네트 사이에 위치하는 회동축을 기준으로 회전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아이리스 구동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축과 상기 블레이드를 연결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 요크는 상기 지지부재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아이리스 구동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요크는,
    상기 제1 및 제2마그네트와 발생되는 인력의 크기가 상호 대응되도록 비대칭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카메라의 아이리스 구동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제1회동축에 의하여 회전 이동하는 제1블레이드; 및
    상기 제1블레이드와 링크 결합되어 상기 제1블레이드의 회전 이동에 연동하여 제2회동축을 기준으로 회전 이동하는 제2블레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 요크는 제1블레이드 또는 제2블레이드 중 하나 이상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아이리스 구동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회동축을 회전시켜 상기 제1블레이드를 회전 이동시키고,
    상기 블레이드 요크는 제2블레이드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의 아이리스 구동장치.
KR1020170012618A 2017-01-26 2017-01-26 카메라의 아이리스 구동장치 KR1019592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618A KR101959251B1 (ko) 2017-01-26 2017-01-26 카메라의 아이리스 구동장치
PCT/KR2017/013321 WO2018139748A1 (ko) 2017-01-26 2017-11-22 카메라의 아이리스 구동장치
US15/860,971 US10412313B2 (en) 2017-01-26 2018-01-03 Apparatus for driving a blade of a camera
CN201820106032.3U CN207833193U (zh) 2017-01-26 2018-01-22 用于驱动相机的虹膜光圈的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2618A KR101959251B1 (ko) 2017-01-26 2017-01-26 카메라의 아이리스 구동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3349A Division KR101980168B1 (ko) 2018-06-26 2018-06-26 카메라의 아이리스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8053A true KR20180088053A (ko) 2018-08-03
KR101959251B1 KR101959251B1 (ko) 2019-03-18

Family

ID=62907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2618A KR101959251B1 (ko) 2017-01-26 2017-01-26 카메라의 아이리스 구동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412313B2 (ko)
KR (1) KR101959251B1 (ko)
CN (1) CN207833193U (ko)
WO (1) WO20181397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06146B2 (en) * 2017-08-18 2019-12-10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KR102104453B1 (ko) * 2017-11-09 2020-05-29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US11169430B2 (en) * 2018-05-10 2021-11-09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Stop modul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102550174B1 (ko) * 2018-06-28 2023-07-03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N111435188A (zh) * 2019-01-14 2020-07-21 致能机电工业股份有限公司 具有可变光圈装置的行动装置镜头总成
CN112505979B (zh) * 2019-08-26 2022-08-26 台湾东电化股份有限公司 光圈片转移装置
CN110475055B (zh) * 2019-08-26 2021-08-3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光圈组件、摄像头模组和电子设备
KR20210043982A (ko) * 2019-10-14 2021-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개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N110848104B (zh) * 2019-12-01 2021-09-28 西北工业大学 一种形状记忆合金丝驱动的机械虹膜装置
TWI697704B (zh) * 2019-12-27 2020-07-01 致能機電工業股份有限公司 薄型位移驅動裝置
KR20210083979A (ko) * 2019-12-27 2021-07-07 삼성전기주식회사 조리개 모듈의 위치 검출 장치
US11422432B2 (en) * 2020-06-18 2022-08-23 Tdk Taiwan Corp. Lens assembly for a mobile device having an adjustable diaphragm devic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1456A (ko) * 2004-09-29 2006-05-19 니홍세이미츠소꾸기가부시기가이샤 전동 조리개 장치
JP2006337780A (ja) * 2005-06-03 2006-12-14 Canon Inc 光量調節装置
JP2007010943A (ja) * 2005-06-30 2007-01-18 Nidec Copal Corp カメラ用羽根駆動装置
KR20110026337A (ko) * 2009-09-07 2011-03-15 삼성전기주식회사 셔터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소형 카메라
KR101700771B1 (ko) * 2016-05-04 2017-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68684B2 (ja) * 1997-03-19 2008-03-26 シチズン電子株式会社 外部光量絞り装置
JP3542325B2 (ja) * 2000-09-22 2004-07-14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カメラ用シャッタ装置
JP4549115B2 (ja) * 2004-06-29 2010-09-22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カメラ用羽根駆動装置
US7922403B2 (en) * 2006-02-28 2011-04-12 Nidec Copal Corporation Blade driving apparatus for cameras
KR100884962B1 (ko) * 2007-07-30 2009-02-23 자화전자 주식회사 휴대폰용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
JP2010152020A (ja) * 2008-12-25 2010-07-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像振れ補正機構及び撮像装置
EP2345929A1 (en) * 2010-01-19 2011-07-20 Dialog Imaging Systems GmbH Camera shutter
JP5798910B2 (ja) * 2011-12-20 2015-10-21 セイコープレシジョン株式会社 フォーカルプレーンシャッタ及びそれを備えた光学機器
KR101664194B1 (ko) * 2014-08-14 2016-10-11 마이크로엑츄에이터(주) 모바일 기기용 셔터 및 조리개 장치
JP6680212B2 (ja) * 2014-12-19 2020-04-15 ソニー株式会社 羽根開閉装置及び撮像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1456A (ko) * 2004-09-29 2006-05-19 니홍세이미츠소꾸기가부시기가이샤 전동 조리개 장치
JP2006337780A (ja) * 2005-06-03 2006-12-14 Canon Inc 光量調節装置
JP2007010943A (ja) * 2005-06-30 2007-01-18 Nidec Copal Corp カメラ用羽根駆動装置
KR20110026337A (ko) * 2009-09-07 2011-03-15 삼성전기주식회사 셔터장치 및 그것을 구비한 소형 카메라
KR101700771B1 (ko) * 2016-05-04 2017-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412313B2 (en) 2019-09-10
CN207833193U (zh) 2018-09-07
WO2018139748A1 (ko) 2018-08-02
US20180213137A1 (en) 2018-07-26
KR101959251B1 (ko) 2019-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9251B1 (ko) 카메라의 아이리스 구동장치
KR101477247B1 (ko) 초소형 조리개장치
CN105190425B (zh) 光量调节装置、光学装置
US7806605B2 (en) Light amount adjustment apparatus and image pickup apparatus
CN113259545A (zh) 一种光圈、摄像模组及电子设备
KR101980168B1 (ko) 카메라의 아이리스 구동장치
JP4950952B2 (ja) 駆動装置及び光学機器
KR101103740B1 (ko) 카메라 모듈
JPWO2015071988A1 (ja) シャッタ装置およびシャッタ装置を備えた撮像装置
JP2009008719A (ja) 光調節装置及び光学装置
JP5220382B2 (ja) 電磁アクチュエータ
CN110073287A (zh) 叶片驱动装置
JP2009175365A (ja) フォーカルプレンシャッタ及びデジタルカメラ
JP2005037866A (ja) 小型シャッタ
JP3122024U (ja) 揺動型の電磁アクチュエータ及びカメラ用の露光条件切替装置
JP4002735B2 (ja) 光量制御装置および電磁駆動装置
JP2007079390A (ja) レンズ駆動装置
JP2005110358A (ja) 電磁アクチュエータ及びカメラ用羽根駆動装置
KR20200004490A (ko) 증강된 홀딩력을 가지는 구동장치 및 이에 구비되는 홀딩 요크
WO2005022250A1 (ja) 光学機器用セクタ駆動装置
JP5052758B2 (ja) シャッタユニット、光学ユニット、および撮像装置
JP2018066977A (ja) 羽根駆動装置、撮像装置及び光学機器
KR20190031631A (ko) 블레이드 구동장치
JP2011039178A (ja) 光量調節装置
KR101080409B1 (ko) 디지털 카메라 셔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