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83979A - 조리개 모듈의 위치 검출 장치 - Google Patents

조리개 모듈의 위치 검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83979A
KR20210083979A KR1020190176824A KR20190176824A KR20210083979A KR 20210083979 A KR20210083979 A KR 20210083979A KR 1020190176824 A KR1020190176824 A KR 1020190176824A KR 20190176824 A KR20190176824 A KR 20190176824A KR 20210083979 A KR20210083979 A KR 202100839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target point
hall
subtracted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68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제현
천지범
조자휘
민상현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768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83979A/ko
Priority to US16/852,845 priority patent/US11265482B2/en
Priority to CN202010618189.6A priority patent/CN113132590A/zh
Publication of KR20210083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39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D5/1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 G01D5/14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using Hall-effect devices
    • G01D5/145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using Hall-effect devices influenced by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Hall device and magnetic fie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D5/1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 G01D5/14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the magnitude of a current or voltage using Hall-effect devic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2Diaphrag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1Circuitry for evaluating the brightness vari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5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optical camera components
    • H04N5/2254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FAMPLIFIERS
    • H03F3/00Amplifiers with only discharge tubes or only semiconductor devices as amplifying elements
    • H03F3/45Differential amplifiers
    • H03F3/45071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03F3/45076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implementation of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in the differential amplifier
    • H03F3/45475Differential amplifiers with semiconductor devices only characterised by the way of implementation of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in the differential amplifier using IC blocks as the active amplifying circ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제1 목표 지점 및 제2 목표 지점을 스텝 이동하는 마그네트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장치는, 제1 홀 소자 및 제2 홀 소자; 상기 제1 홀 소자로부터 생성되는 제1 홀 전압 및 상기 제2 홀 소자로부터 생성되는 제2 홀 전압을 감산하여, 감산 전압을 생성하는 감산기; 상기 제1 홀 전압 및 상기 제2 홀 전압을 가산하여, 가사 전압을 생성하는 가산기; 상기 가산 전압에 대한 상기 감산 전압의 비를 산출하는 가산기; 및 상기 제1 목표 지점, 상기 제2 목표 지점, 및 상기 제1 목표 지점과 상기 제2 목표 지점 사이의 천이 구간에서의 상기 감산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감산 전압 변경부;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조리개 모듈의 위치 검출 장치{POSITION DETECTION APPARATUS OF APERTURE MODULE}
본 발명은 조리개 모듈의 위치 검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PDA, 휴대용 PC 등과 같은 휴대 통신단말기는 최근 문자 또는 음성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뿐만 아니라 화상 데이터 전송까지 수행하는 것이 일반화되어 가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부응하여 화상 데이터 전송이나 화상 채팅 등을 할 수 있기 위해서 최근에 휴대 통신단말기에 카메라 모듈이 기본적으로 설치되고 있다.
카메라 모듈은 렌즈 배럴로 입사되는 광량을 조절하는 조리개 모듈을 포함한다. 조리개 모듈은 코일과 마그네트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조리개를 목표 지점을 이동시킨다. 조리개 모듈은 홀 소자를 통해 마그네트의 위치를 센싱함으로써, 조리개의 현재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다만, 홀 소자의 홀 전압은 온도 변화에 따라 변동하므로, 마그네트 또는 조리개의 정밀한 위치 검출을 위하여는, 온도 변화에 의한 홀 전압의 변동분을 보상할 필요가 있다.
일본 등록특허공보 5715023 한국 등록특허공보 10-1588951
본 발명의 과제는 온도 변화에 의한 홀 전압의 변동분을 보상하면서도, 조리개의 변위에 대한 선형성을 유지할 수 있는 조리개 모듈의 위치 검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목표 지점 및 제2 목표 지점을 스텝 이동하는 마그네트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장치는, 제1 홀 소자 및 제2 홀 소자; 상기 제1 홀 소자로부터 생성되는 제1 홀 전압 및 상기 제2 홀 소자로부터 생성되는 제2 홀 전압을 감산하여, 감산 전압을 생성하는 감산기; 상기 제1 홀 전압 및 상기 제2 홀 전압을 가산하여, 가사 전압을 생성하는 가산기; 상기 가산 전압에 대한 상기 감산 전압의 비를 산출하는 가산기; 및 상기 제1 목표 지점, 상기 제2 목표 지점, 및 상기 제1 목표 지점과 상기 제2 목표 지점 사이의 천이 구간에서의 상기 감산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감산 전압 변경부;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 모듈의 위치 검출 장치는 온도 변화에 의한 홀 전압의 변동분을 보상하면서도, 조리개의 변위에 대한 선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채용되는 조리개 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검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 제1 홀 소자 및 제2 홀 소자의 배치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마그네트의 이동에 따른 도 4의 주요부의 출력 전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검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검출 장치의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일 예로,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개략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은 렌즈 배럴(210), 및 렌즈 배럴(210)을 이동시키는 액츄에이터, 렌즈 배럴(210)과 액츄에이터를 수용하는 케이스(110)와 하우징(120), 렌즈 배럴(210)을 통해 입사된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 모듈(700) 및 렌즈 배럴(210) 로 입사되는 광량을 조절하는 조리개 모듈(800)을 포함한다.
렌즈 배럴(210)은 피사체를 촬상하는 복수의 렌즈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도록 중공의 원통 형상일 수 있으며, 복수의 렌즈는 광축을 따라 렌즈 배럴(210)에 장착된다. 복수의 렌즈는 렌즈 배럴(210)의 설계에 따라 필요한 수만큼 배치되고, 각각의 렌즈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굴절률 등의 광학적 특성을 가진다.
액츄에이터는 렌즈 배럴(21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액츄에이터는 렌즈 배럴(210)을 광축(Z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초점을 조정할 수 있고, 렌즈 배럴(210)을 광축(Z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촬영시의 흔들림을 보정할 수 있다. 액츄에이터는 초점을 조정하는 초점 조정부(400) 및 흔들림을 보정하는 흔들림 보정부(500)를 포함한다.
이미지 센서 모듈(700)은 렌즈 배럴(210)을 통해 입사된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일 예로, 이미지 센서 모듈(700)은 이미지 센서(710) 및 이미지 센서(710)와 연결되는 인쇄회로기판(720)을 포함할 수 있고, 적외선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적외선 필터는 렌즈 배럴(210)을 통해 입사된 광 중에서 적외선 영역의 광을 차단한다. 이미지 센서(710)는 렌즈 배럴(210)을 통해 입사된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한다. 일 예로, 이미지 센서(710)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를 포함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710)에 의해 변환된 전기 신호는 휴대가능한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유닛을 통해 영상으로 출력된다. 이미지 센서(710)는 인쇄회로기판(720)에 고정되며, 와이어 본딩에 의하여 인쇄회로기판(7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렌즈 배럴(210)과 액츄에이터는 하우징(120)에 수용된다. 일 예로, 하우징(120)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형상이며, 하우징(120)의 내부 공간에 렌즈 배럴(210)과 액츄에이터가 수용된다. 하우징(120)의 하부에는 이미지 센서 모듈(700)이 배치된다.
케이스(110)는 하우징(120)의 외부면을 감싸도록 하우징(120)과 결합하며, 카메라 모듈(100)의 내부 구성부품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10)는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다. 케이스(110)는 금속재질로 제공되어 인쇄회로기판(720)에 구비되는 접지패드에 접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츄에이터는 피사체에 초점을 맞추기 위하여 렌즈 배럴(210)을 이동시킨다. 일 예로, 액츄에이터는 렌즈 배럴(210)을 광축(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초점 조정부(400)를 포함한다.
초점 조정부(400)는 렌즈 배럴(210) 및 렌즈 배럴(210)을 수용하는 캐리어(300)를 광축(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마그네트(410) 및 코일(420)을 포함한다.
마그네트(410)는 캐리어(300)에 장착된다. 일 예로, 마그네트(410)는 캐리어(300)의 제1 면에 장착될 수 있다. 코일(420)은 하우징(120)에 장착되어, 마그네트(410)와 대향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코일(420)은 기판(600)의 제1면에 배치되고, 기판(600)은 하우징(120)에 장착될 수 있다.
마그네트(410)는 캐리어(300)에 장착되어 캐리어(300)와 함께 광축(Z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코일(420)은 하우징(120)에 고정될 수 있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 마그네트(410)와 코일(420)의 위치는 서로 변경될 수 있다.
코일(420)에 구동 신호가 인가되면, 마그네트(410)와 코일(420) 사이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하여 캐리어(300)는 광축(Z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렌즈 배럴(210)은 캐리어(300)에 수용되어, 캐리어(300)의 이동에 의해 렌즈 배럴(210)도 광축(Z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프레임(310) 및 렌즈 홀더(320)도 캐리어(300)에 수용되어, 캐리어(300)의 이동에 의해 프레임(310), 렌즈 홀더(320) 및 렌즈 배럴(210)도 함께, 광축(Z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캐리어(300)가 이동될 때, 캐리어(300)와 하우징(120) 사이의 마찰을 저감하도록 캐리어(300)와 하우징(120) 사이에 구름부재(B1)가 배치된다. 구름부재(B1)는 볼 형태일 수 있다. 구름부재(B1)는 마그네트(410)의 양측에 배치된다.
하우징(120)에는 요크(440)가 배치된다. 일 예로, 요크(440)는 기판(600)에 장착되어, 하우징(120)에 배치된다. 요크(440)는 기판(600)의 타면에 마련된다. 따라서, 요크(440)는 코일(420)을 사이에 두고 마그네트(410)와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요크(440)와 마그네트(410) 사이에는 광축(Z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인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요크(440)와 마그네트(410) 사이의 인력에 의해 구름부재(B1)는 캐리어(300) 및 하우징(120)과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요크(440)는 마그네트(410)의 자기력을 집속하여, 누설 자속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요크(440)와 마그네트(410)는 자기 회로(Magnetic circuit)를 형성한다.
본 발명은 초점 조정 과정에서 렌즈 배럴(210)의 위치를 감지하여 피드백하는 폐루프 제어 방식을 사용한다. 따라서, 초점 조정부는 폐루프 제어를 위하여 위치 검출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위치 검출 소자는 AF 홀 소자(430)를 포함할 수 있다. AF 홀 소자(430)에서 검출되는 자속값은 AF 홀 소자(430)와 마주하는 마그네트(410)의 이동에 따라 변화한다. 위치 검출 소자는 마그네트(410)의 광축(Z축)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른 AF 홀 소자(430)의 자속값의 변화로부터 렌즈 배럴(210)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흔들림 보정부(500)는 이미지 촬영 또는 동영상 촬영시 사용자의 손떨림 등의 요인에 의해 이미지가 번지거나 동영상이 흔들리는 것을 보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를 들어, 흔들림 보정부(500)는 사용자의 손떨림 등에 의해 영상 촬영 시 흔들림이 발생할 때, 흔들림에 대응하는 상대변위를 렌즈 배럴(210)에 부여하여, 흔들림을 보상한다. 일 예로, 흔들림 보정부(500)는 렌즈 배럴(210)을 광축(Z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켜 흔들림을 보정한다.
흔들림 보정부(500)는 가이드부재를 광축(Z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마그네트(510a, 520a)와 복수의 코일(510b, 520b)을 포함한다. 프레임(310)과 렌즈 홀더(320)는 캐리어(300) 내에 삽입되어 광축(Z축) 방향으로 배치되며, 렌즈 배럴(210)의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다. 프레임(310)과 렌즈 홀더(320)는 렌즈 배럴(210)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구비한다. 렌즈 배럴(210)은 렌즈 홀더(320)에 삽입 고정된다.
복수의 마그네트(510a, 520a)와 복수의 코일(510b, 520b) 간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따라 발생된 구동력에 의해, 프레임(310) 및 렌즈 홀더(320)는 캐리어(300)에 대하여 광축(Z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된다. 복수의 마그네트(510a, 520a)와 복수의 코일(510b, 520b) 중에서, 제1 마그네트(510a)는 렌즈 홀더(320)의 제2 면에 배치되고, 제1 코일(510b)은 기판(600)의 제2 면에 배치되어, 제1 마그네트(510a)와 제1 코일(510b)은 광축(Z축)에 수직한 제1 축(Y축) 방향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또한, 제2 마그네트(520a)는 렌즈 홀더(320)의 제3 면에 배치되고, 제2 코일(520b)은 기판(600)의 제3 면에 배치되어, 제2 마그네트(520a)와 제2 코일(520b)은 제1 축(Y축)에 수직한 제2 축(X축) 방향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여기서, 제2 축(X축)은 광축(Z축)과 제1 축(Y축)에 모두 수직한 축을 의미한다. 복수의 마그네트(510a, 520a)는 광축(Z축)에 수직한 평면에서 서로 직교하도록 배치된다.
복수의 마그네트(510a, 520a)는 렌즈 홀더(320)에 장착되고, 복수의 마그네트(510a, 520a)와 마주보는 복수의 코일(510b, 520b)은 기판(600)에 배치되어, 하우징(120)에 장착된다.
복수의 마그네트(510a, 520a)는 렌즈 홀더(320)와 함께 광축(Z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복수의 코일(510b, 520b)은 하우징(120)에 고정될 수 있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마그네트(510a, 520a)와 복수의 코일(510b, 520b)의 위치는 서로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흔들림 보정 과정에서 렌즈 배럴(210)의 위치를 감지하여 피드백하는 폐루프 제어 방식을 사용한다. 따라서, 흔들림 보정부(500)는 폐루프 제어를 위한 위치 검출 소자를 포함할 수있다. 위치 검출 소자는 OIS 홀 소자(510c, 520c)을 포함할 수 있다. OIS 홀 소자(510c, 520c)은 기판(600)에 배치되어, 하우징(120)에 장착된다. OIS 홀 소자(510c, 520c)는 복수의 마그네트(510a, 520a)와 광축(Z축)에 수직한 방향에서 서로 마주볼 수 있다. 일 예로, 제1 OIS 홀 소자(510c)는 기판(600)의 제2 면에 배치되고, 제2 OIS 홀 소자(520c)는 기판(600)의 제3 면에 배치될 수 있다.
OIS 홀 소자(510c, 520c)의 자속값은 OIS 홀 소자(510c, 520c)와 마주하는 마그네트(510a, 520a)의 이동에 따라 변화한다. 위치 검출 소자는 마그네트(510a, 520a)의 광축과 수직한 두 개의 방향(X축 방향, Y축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른 OIS 홀 소자(510c, 520c)의 자속값의 변화로부터 렌즈 배럴(210)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한편, 카메라 모듈(100)은 흔들림 보정부(500)를 지지하는 복수의 볼 부재를 포함한다. 복수의 볼 부재는 흔들림 보정 과정에서 프레임(310), 렌즈 홀더(320) 및 렌즈 배럴(210)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캐리어(300), 프레임(310) 및 렌즈 홀더(320) 간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기능도 한다.
복수의 볼 부재는 제1 볼 부재(B2) 및 제2 볼 부재(B3)를 포함한다. 제1 볼 부재(B2)는 프레임(310), 렌즈 홀더(320) 및 렌즈 배럴(210)의 제1 축(Y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하고, 제2 볼 부재(B3)는 렌즈 홀더(320) 및 렌즈 배럴(210)의 제2 축(X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일 예로, 제1 볼 부재(B2)는 제1 축(Y축) 방향으로의 구동력이 발생한 경우, 제1 축(Y축) 방향으로 구름 운동한다. 이에 따라, 제1 볼 부재(B2)는 프레임(310), 렌즈 홀더(320) 및 렌즈 배럴(210)의 제1 축(Y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또한, 제2 볼 부재(B3)는 제2 축(X축) 방향으로의 구동력이 발생한 경우에 제2 축(X축) 방향으로 구름운동한다. 이에 따라, 제2 볼 부재(B3)는 렌즈 홀더(320) 및 렌즈 배럴(210)의 제2 축(X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제1 볼 부재(B2)는 캐리어(300)와 프레임(310)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볼 부재를 포함하고, 제2 볼 부재(B3)는 프레임(310)과 렌즈 홀더(320) 사이에 배치되는 복수의 볼 부재를 포함한다.
캐리어(300)와 프레임(310)이 서로 광축(Z축) 방향으로 마주보는 면에는 각각 제1 볼 부재(B2)를 수용하는 제1 가이드홈부(301)가 형성된다. 제1 가이드홈부(301)는 제1 볼 부재(B2)의 복수의 볼 부재에 대응되는 복수의 가이드홈을 포함한다. 제1 볼 부재(B2)는 제1 가이드홈부(301)에 수용되어 캐리어(300)와 프레임(310) 사이에 끼워진다. 제1 볼 부재(B2)는 제1 가이드홈부(301)에 수용된 상태에서, 광축(Z축) 및 제2 축(X축)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고, 제1 축(Y축) 방향으로만 이동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볼 부재(B2)는 제1 축(Y축) 방향으로만 구름운동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제1 가이드홈부(301)의 복수의 가이드홈 각각의 평면 형상은 제1 축(Y축)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일 수 있다.
프레임(310)과 렌즈 홀더(320)가 서로 광축(Z축) 방향으로 마주보는 면에는 각각 제2 볼 부재(B3)를 수용하는 제2 가이드홈부(311)가 형성된다. 제2 가이드홈부(311)는 제2 볼 부재(B3)의 복수의 볼 부재에 대응되는 복수의 가이드홈을 포함한다.
제2 볼 부재(B3)는 제2 가이드홈부(311)에 수용되어 프레임(310)과 렌즈 홀더(320) 사이에 끼워진다. 제2 볼 부재(B3)는 제2 가이드홈부(311)에 수용된 상태에서, 광축(Z축) 및 제1 축(Y축)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고, 제2 축(X축) 방향으로만 이동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볼 부재(B3)는 제2 축(X축) 방향으로만 구름운동 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제2 가이드홈부(311)의 복수의 가이드홈 각각의 평면 형상은 제2 축(X축) 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직사각형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는 캐리어(300)와 렌즈 홀더(320) 사이에서 렌즈 홀더(320)의 이동을 지지하는 제3 볼 부재(B4)가 제공된다. 제3 볼 부재(B4)는 렌즈 홀더(320)의 제1 축(Y축) 방향으로의 이동 및 제2 축(X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모두 가이드한다.
일 예로, 제3 볼 부재(B4)는 제1 축(Y축) 방향으로의 구동력이 발생한 경우에 제1 축(Y축) 방향으로 구름운동한다. 이에 따라, 제3 볼 부재(B4)는 렌즈 홀더(320)의 제1 축(Y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또한, 제3 볼 부재(B4)는 제2 축(X축) 방향으로의 구동력이 발생한 경우에 제2 축(X축) 방향으로 구름운동한다. 이에 따라, 제3 볼 부재(B4)는 렌즈 홀더(320)의 제2 축(X축)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한편, 제2 볼 부재(B3)와 제3 볼 부재(B4)는 렌즈 홀더(320)를 접촉 지지한다.
캐리어(300)와 렌즈 홀더(320)가 서로 광축(Z축) 방향으로 마주보는 면에는 각각 제3 볼 부재(B4)를 수용하는 제3 가이드홈부(302)가 형성된다. 제3 볼 부재(B4)는 제3 가이드홈부(302)에 수용되어 캐리어(300)와 렌즈 홀더(320) 사이에 끼워진다. 제3 볼 부재(B4)는 제3 가이드홈부(302)에 수용된 상태에서, 광축(Z축)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고, 제1 축(Y축) 및 제2 축(X축) 방향으로 구름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3 가이드홈부(302)의 평면 형상은 원형일 수 있다. 따라서, 제3 가이드홈부(302)와 제1 가이드홈부(301) 및 제2 가이드홈부(311)는 서로 다른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볼 부재(B2)는 제1 축(Y축) 방향으로 구름 운동 가능하고, 제2 볼 부재(B3)는 제2 축(X축) 방향으로 구름 운동 가능하며, 제3 볼 부재(B4)는 제1 축(Y축) 및 제2 축(X축) 방향으로 구름 운동 가능하다.
제1 축(Y축) 방향으로 구동력이 발생하면, 프레임(310), 렌즈 홀더(320) 및 렌즈 배럴(210)이 함께 제1 축(Y축) 방향으로 움직인다. 여기서, 제1 볼 부재(B2)와 제3 볼 부재(B4)는 제1 축(Y축)을 따라 구름 운동한다. 이때, 제2 볼 부재(B3)의 움직임은 제한된다.
또한, 제2 축(X축) 방향으로 구동력이 발생하면, 렌즈 홀더(320) 및 렌즈 배럴(210)이 제2 축(X축) 방향으로 움직인다. 여기서, 제2 볼 부재(B3)와 제3 볼 부재(B4)는 제2 축(X축)을 따라 구름 운동한다. 이때, 제1 볼 부재(B2)의 움직임은 제한된다.
한편, 본 발명에는 흔들림 보정부(500)와 제1 내지 제3 볼 부재(B2, B3, B4)가 접촉 상태를 유지하도록 복수의 요크(510d, 520d)가 제공된다. 복수의 요크(510d, 520d)는 캐리어(300)에 고정되고, 복수의 마그네트(510a, 520a)와 광축(Z축)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복수의 요크(510d, 520d)와 복수의 마그네트(510a, 520a) 사이에는 광축(Z축) 방향으로 인력이 발생한다. 복수의 요크(510d, 520d)와 복수의 마그네트(510a, 520a) 사이의 인력에 의하여 흔들림 보정부(500)가 복수의 요크(510d, 520d)를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되므로, 흔들림 보정부(500)의 프레임(310) 및 렌즈 홀더(320)는 제 내지 제3 볼 부재(B2, B3, B4)와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복수의 요크(510d, 520d)는 복수의 마그네트(510a, 520a)와의 사이에서 인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재질이다. 일 예로, 복수의 요크(510d, 520d)는 자성체로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는 프레임(310) 및 렌즈 홀더(320)가 제1 내지 제3 볼 부재(B2, B3, B4)와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복수의 요크(510d, 520d)를 제공하는 한편, 외부 충격 등에 의하여 제1 내지 제3 볼 부재(B2, B3, B4), 프레임(310) 및 렌즈 홀더(320)가 캐리어(300)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토퍼(330)가 제공된다. 스토퍼(330)는 렌즈 홀더(320)의 상면 중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캐리어(300)에 결합된다.
조리개 모듈(800)은 조리개(810), 마그네트(820), 코일(830), 홀 소자(840) 및 기판(850)을 포함할 수 있다.
조리개 모듈(800)의 조리개(810)는 케이스(110)의 상부를 통해, 렌즈 배럴(210)과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조리개(810)는 렌즈 배럴(210)이 고정 삽입되는 렌즈 홀더(320)에 장착되어, 렌즈 배럴(210)과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조리개(810)는 렌즈 배럴(210) 및 렌즈 홀더(320)와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마그네트(820)는 조리개(810)의 일 측에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마그네트(820)는 조리개(810)의 일 측에 마련되는 기판(850)에 장착되어, 조리개(810)의 일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마그네트(820)는 조리개(810)의 일 측에 마련되어, 렌즈 홀더(320)의 제4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마그네트(820)는 서로 분극되는 두 개의 자성체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850)은 제1 축(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조리개(810)와 결합될 수 있다. 기판(850)은 제1 축(Y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조리개(810)와 결합되기 위하여, 기판(850)은 조리개(810)의 제1 축(Y축) 방향으로 삽입되어 이동 가능한 연결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기판(850)의 연결 부재가 삽입되는 정도, 즉, 기판(850)과 조리개(810)의 제1 축(Y축) 방향으로의 거리에 따라 조리개(810)의 상부의 입사공의 직경이 가변되어, 조리개(810)를 통해 투과되는 광량이 결정될 수 있다.
코일(830)은 마그네트(820)와 마주하도록 기판(600)의 제4 면에 배치된다. 코일(830)은 기판(600)의 제4 면에 배치되어, 마그네트(820)와 코일(830)은 제1 축(Y축) 방향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마그네트(820)와 코일(830)에 의해 제1 축(Y축) 방향으로 구동력이 발생하는 경우, 마그네트(820)와 조리개(810)의 제1 축(Y축) 방향의 거리는 가변될 수 있다.
홀 소자(840)는 기판(600)의 제4 면에서 마그네트(820)와 마주하도록 고정 배치된다. 홀 소자(840)는 코일(830)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제1 홀 소자(841) 및 제2 홀 소자(842)를 포함할 수 있다. 홀 소자(840)의 자속값은 마그네트(820)의 이동에 따라 변화한다. 홀 소자(840)의 자속값으로부터 마그네트(820)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 채용되는 조리개 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3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 모듈(1000)은 도 2의 조리개 모듈(800)에 대응되는 구성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 모듈(1000)은 구동부(1100), 코일(1200), 마그네트(1300) 및 위치 검출 장치(14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1100)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입력 신호(Sin)와 위치 검출 장치(1400)로부터 생성되는 피드백 신호(Sf)에 따라 구동 신호(Sdr)를 생성하고, 생성된 구동 신호(Sdr)를 코일(1200)에 제공할 수 있다. 입력 신호(Sin)는 카메라 모듈의 외부 조도 정보에 대응하는 마그네트(1300)의 목표 위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마그네트(1300)의 목표 위치에 따라 조리개를 투과하는 광량이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입력 신호(Sin)는 이미지 센서에서 생성되는 영상 신호의 이미지 처리를 수행하는 이미지 프로세서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력 신호(Sin)는 카메라 모듈에 마련되는 조도 센서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코일(1200)에 구동부(1100)으로부터 제공되는 구동 신호(Sdr)가 인가되는 경우, 코일(1200)과 마그네트(1300) 간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조리개의 직경이 결정될 수 있다.
위치 검출 장치(1400)는 코일(1200)과 마그네트(1300)의 전자기적 상호 작용에 의해 이동하는 마그네트(1300)의 위치를 검출하여 피드백 신호(Sf)를 생성하고, 피드백 신호(Sf)를 구동부(110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예로, 위치 검출 장치(1400)는 자속값을 검출하는 홀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피드백 신호(Sf)가 구동부(1100)로 제공되는 경우, 구동부(1100)는 입력 신호(Sin)와 피드백 신호(Sf)를 비교하여 구동 신호(Sdr)를 다시 생성할 수 있다. 즉, 구동부(1100)는 입력 신호(Sin)와 피드백 신호(Sf)를 비교하는 클로즈 루프(Close Loop) 타입으로 구동될 수 있다. 클로즈 루프 타입의 구동부(1100)는 입력 신호(Sin)에 포함되는 마그네트(1300)의 목표 위치와 피드백 신호(Sf)에 포함되는 마그네트(1300)의 현재 위치의 오차를 감소시키는 방향으로 구동될 수 있다. 클로즈 루프 방식의 구동은 오픈 루프(Open Loop) 방식과 비교하여, 선형성(Linearity), 정확도(Accuracy), 및 반복성(Repeatability)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검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검출 장치(1400)는 제1 홀 소자(1410a), 제2 홀 소자(1410b), 제1 차동 증폭기(1420a), 제2 차동 증폭기(1420b), 감산기(1430a), 가산기(1430b), 및 제산기(14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홀 소자(1410a)에 구동 전압(VDD)이 인가되면, 제1 홀 소자(1410a)는 두 개의 출력 전압(Va1, Va2)을 출력한다. 제1 차동 증폭기(1420a)는 제1 홀 소자(1410a)로부터 출력되는 두 개의 출력 전압(Va1, Va2)을 차동 증폭하여, 제1 홀 전압(Vha=Va1-Va2)을 생성한다. 마찬가지로, 제2 홀 소자(1410b)에 구동 전압(VDD)이 인가되면, 제2 홀 소자(1410b)는 두 개의 출력 전압(Vb1, Vb2)을 출력한다. 제2 차동 증폭기(1420b)는 제2 홀 소자(1410b)로부터 출력되는 두 개의 출력 전압(Vb1, Vb2)을 차동 증폭하여, 제2 홀 전압(Vhb=Vb1-Vb2)을 생성한다.
일 예로, 제1 홀 전압(Vha)과 제2 홀 전압(Vhb)은 서로 다른 극성의 자성체에 대하여, 동일한 경향성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홀 전압(Vha)은 제1 극성의 자성체가 일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증가하고, 제1 극성의 자성체가 일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감소할 수 있고, 제2 홀 전압(Vhb)은 제1 극성과 다른 제2 극성의 자성체가 일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증가하고, 제2 극성의 자성체가 일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감소할 수 있다.
감산기(1430a)는 제1 홀 전압(Vha)과 제2 홀 전압(Vhb)을 감산하여, 감산 전압(Vdiff=Vha-Vhb)을 출력하고, 가산기(1430b)는 제1 홀 전압(Vha)과 제2 홀 전압(Vhb)을 가산하여, 가산 전압(Vsum=Vha+Vhb)을 출력한다.
제산기(1440)는 가산 전압(Vsum)에 대한 감산 전압(Vdiff)의 비에 따라 제산 전압(Vdiv=Vsum/Vdiff)을 출력한다. 한편, 제1 홀 소자(1410a)의 제1 홀 전압(Vha) 및 제2 홀 소자(1410b)의 제2 홀 전압(Vhb)이 온도 계수 T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경우, 제산 전압(Vdiv)은 하기의 수학식 1에 따라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001
수학식 1을 참조하면, 제1 홀 전압(Vha) 및 제2 홀 전압(Vhb)이 온도 계수 T에 영향을 받는 경우에도, 가산 전압(Vsum)에 대한 감산 전압(Vdiff)의 비에 따라 온도 계수 T가 소거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 검출 장치(1400)는 가산 전압(Vsum)에 대한 감산 전압(Vdiff)의 비에 따른 제산 전압(Vdiv)을 피드백 신호(Sf)로 제공하여, 온도 변화에 따른 홀 전압의 변동을 제거할 수 있다.
한편, 마그네트(1300)의 위치를 정밀하게 검출하기 위하여, 제산 전압(Vdiv)의 분자에 해당하는 가산 전압(Vsum)은 마그네트(1300)의 이동에 따라 선형적으로 가변될 필요가 있고, 제산 전압(Vdiv)의 분모에 해당하는 감산 전압(Vdiff)은 마그네트(1300)의 이동에 따라 일정할 필요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 제1 홀 소자 및 제2 홀 소자의 배치도를 나타내고, 도 6은 마그네트의 이동에 따른 도 4의 주요부의 출력 전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마그네트(1300)는 서로 다른 극성의 제1 자성체(1310) 및 제2 자성체(1320)를 포함한다. 마그네트(1300)는 코일과의 전자기적 상호 작용에 의해, 일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고, 일 예로, 마그네트(1300)는 제1 자성체(1310) 및 제2 자성체(1320)의 배치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제1 홀 소자(1410a) 및 제2 홀 소자(1410b)는 마그네트(1300)의 이동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제1 홀 소자(1410a)는 제1 자성체(1310)에 대응되게 배치되고, 제2 홀 소자(1410b)는 제2 자성체(1320)에 대응되게 배치된다. 일 예로, 제1 홀 소자(1410a)는 제1 자성체(1310)의 가장자리 영역에 대응되게 배치되고, 제2 홀 소자(1410b)는 제2 자성체(1320)의 가장자리 영역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홀 전압 및 제2 홀 전압의 그래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산 전압 및 감산 전압의 그래프이고,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산 전압의 그래프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마그네트(1300), 제1 홀 소자(1410a) 및 제2 홀 소자(1420a)의 배치에 따라, 마그네트(1300)가 제1 홀 소자(1410a) 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1 홀 전압(Vha)의 변화량은 제2 홀 전압(Vhb)의 변화량 보다 작은 반면, 마그네트(1300)가 제2 홀 소자(1410b) 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1 홀 전압(Vha)의 변화량은 제2 홀 전압(Vhb)의 변화량 보다 클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가산 전압(Vsum)은 마그네트(1300)의 이동에 대하여 선형성을 가진다. 이에 반하여, 감산 전압(Vdiff)은, 마그네트(1300)가 제1 홀 소자(1410a) 측에서, 중립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전압 레벨이 감소하는 반면, 마그네트(1300)가 중립 위치에서, 제2 홀 소자(1410b) 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전압 레벨이 증가한다. 즉, 감산 전압(Vdiff)은 마그네트(1300)의 이동에 대하여 전압 레벨이 일정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도 6(c)를 참조하면, 감산 전압(Vdiff)이 마그네트(1300)의 이동에 대하여 일정하지 못한 문제로 인하여, 감산 전압(Vdiff)에 기초하여 생성되는 제산 전압(Vdiv) 또한, 마그네트(1300)의 위치에 대하여 선형성을 가지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검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7의 위치 검출 장치의 블록도는 도 4의 위치 검출 장치의 블록도와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검출 장치(1400)는 감산 전압 변경부(1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감산 전압 변경부(1450)는 마그네트(1300)가 2개 의 스텝으로 동작하는 경우, 제산 전압(Vdiv)의 비선형성을 보상할 수 있다.
마그네트(1300)가 2개의 스텝으로 이동하는 경우, 마그네트(1300)는 제1 목표 지점(조리개의 직경이 최대인 지점)과 제2 목표 지점(조리개의 직경이 최소인 지점)을 스텝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스텝 이동이란, 조리개 직경의 2단 조절의 위하여, 마그네트(1300)가 제1 목표 지점 및 제2 목표 지점에 위치함을 의미하고, 제1 목표 지점과 제2 목표 지점 사이의 천이 구간은 목표 위치로 설정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감산 전압 변경부(1450)는 제1 목표 지점, 제2 목표 지점, 및 제1 목표 지점과 제2 목표 지점 사이의 천이 구간에서의 감산 전압(Vdiff)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제산 전압(Vdiv)의 비선형성을 보상할 수 있다.
감산 전압 변경부(1450)는 제1 목표 지점 및 제2 목표 지점 사이의 천이 구간의 감산 전압(Vdiff)을, 천이 구간 이전의 목표 지점에서 획득되는 감산 전압(Vdiff)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일 예로, 감산 전압 변경부(1450)는 마그네트(1300)가 제1 목표 지점에서 제2 목표 지점으로 이동하는 경우, 제1 목표 지점과 제2 목표 지점 사이의 천이 구간의 감산 전압(Vdiff)을, 제1 목표 지점의 감산 전압(Vdiff)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로써, 제1 목표 지점의 감산 전압(Vdiff), 및 천이 구간의 감산 전압(Vdiff)을 동일한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천이 구간의 감산 전압(Vdiff)이 제2 목표 지점의 감산 전압(Vdiff)과 다른 경우, 제산 전압(Vdiv)이 급격하게 변동되므로, 천이 구간의 감산 전압(Vdiff)과 제2 목표 지점의 감산 전압(Vdiff)을 동일하게 설정할 필요가 있다.
감산 전압 변경부(1450)는 제1 홀 전압(Vha) 및 제2 홀 전압(Vhb) 중 하나에 보정 계수를 적용하여, 제1 목표 지점의 감산 전압(Vdiff), 및 제2 목표 지점의 감산 전압(Vdiff)을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목표 지점의 감산 전압(Vdiff), 천이 구간의 감산 전압(Vdiff), 및 제2 목표 지점의 감산 전압(Vdiff)을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다.
감산 전압 변경부(1450)는 제1 홀 전압(Vha) 및 제2 홀 전압(Vhb) 중 하나에 보정 계수를 적용하여, 제1 홀 전압(Vha) 및 제2 홀 전압(Vhb) 중 하나를 보정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상, 감산 전압 변경부(1450)가 제1 홀 전압(Vha)에 보정 계수를 적용하여, 제1 홀 전압(Vha)을 보정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이 제2 홀 전압(Vhb)의 보정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감산 전압 변경부(1450)는 제1 홀 전압(Vha)에 보정 계수 α를 적용하여, 제1 홀 전압(Vha)을 보정할 수 있다. 보정 계수 α는 하기의 수학식 2에 따라 표현될 수 있다. 수학식 2에서, Vhamax는 마그네트가 제1 목표 지점에 배치되는 경우의 제1 홀 전압, Vhamin는 마그네트가 제2 목표 지점에 배치되는 경우의 제1 홀 전압, Vhbmax는 마그네트가 제1 목표 지점에 배치되는 경우의 제2 홀 전압, Vhbmin는 마그네트가 제2 목표 지점에 배치되는 경우의 제2 홀 전압을 나타낸다.
Figure pat00002
제1 홀 전압(Vha)에 보정 계수 α가 적용되면, 마그네트(1300)가 제1 목표 지점에 위치하는 경우의 감산 전압(Vdiffmax)은 하기의 수학식 3에 따라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4
또한, 제1 홀 전압(Vha)에 보정 계수 α가 적용되면, 마그네트가 제2 목표 지점에 배치되는 경우, 감산 전압(Vdiffmin)은 하기의 수학식 4에 따라 표현될 수 있다.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즉, 수학식 3 및 수학식 4을 참조하면, 제1 홀 전압(Vha)에 보정 계수 α가 적용되면, 제1 목표 지점의 감산 전압(Vdiffmax), 천이 구간의 감산 전압(Vdiff), 및 제2 목표 지점의 감산 전압(Vdiffmin)이 모두 동일하게 설정되어, 제산 전압(Vdiv)이 마그네트(1300)의 위치에 대하여 선형성을 가질 수 있다.
도 8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검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의 위치 검출 장치의 블록도는 도 4의 위치 검출 장치의 블록도와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고,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검출 장치(1400)는 감산 전압 변경부(1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8의 실시예에 따른 감산 전압 변경부(1450)는 마그네트(1300)가 3개 이상의 스텝으로 동작하는 경우, 제산 전압(Vdiv)의 비선형성을 보상할 수 있다.
일 예로, 마그네트(1300)가 3개의 스텝으로 이동하는 경우, 마그네트(1300)는 제1 목표 지점(조리개의 직경이 최대인 지점), 제2 목표 지점(제1 목표 지점과 제3 목표 지점의 사이의 목표 지점), 제3 목표 지점(조리개의 직경이 최소인 지점)을 스텝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스텝 이동이란, 조리개 직경의 3단 조절의 위하여, 마그네트(1300)가 제1 목표 지점, 제2 목표 지점, 제3 목표 지점에 위치함을 의미하고, 제1 목표 지점과 제2 목표 지점 사이의 천이 구간, 제2 목표 지점과 제3 목표 지점은 목표 위치로 설정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8의 실시예에 따른 감산 전압 변경부(1450)는 마그네트(1300)가 세 개 이상의 스텝으로 이동하는 경우, 인접하는 두 개의 목표 지점과, 인접하는 두 개의 목표 지점 사이의 천이 구간의 감산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제산 전압(Vdiv)의 비선형성을 보상할 수 있다.
감산 전압 변경부(1450)는 천이 구간의 감산 전압(Vdiff)을, 천이 구간 이전의 목표 지점에서 마지막으로 획득되는 감산 전압(Vdiff)으로 변경하여 해당 천이 구간의 보정 감산 전압(Vmdiff)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천이 구간의 보정 감산 전압(Vmdiff)은 천이 구간 이전의 목표 지점에서 마지막으로 획득되는 감산 전압(Vdiff)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감산 전압 변경부(1450)는 천이 구간의 감산 전압(Vdiff)을, 천이 구간 이전의 목표 지점에서 마지막으로 획득되는 보정 감산 전압(Vmdiff)으로 변경하여 해당 지점의 보정 감산 전압(Vmdiff)을 생성할 수 있다. 즉, 천이 구간의 보정 감산 전압(Vmdiff)은 천이 구간 이전의 목표 지점에서 마지막으로 획득되는 보정 감산 전압(Vmdiff)과 동일할 수 있다.
천이 구간의 보정 감산 전압(Vmdiff)이 천이 구간 이전의 목표 지점에서 마지막으로 획득되는 감산 전압(Vdiff)과 동일한 경우는, 천이 구간 이전의 목표 지점이 최초 목표 지점인 경우에 해당하고, 천이 구간의 보정 감산 전압(Vmdiff)이 천이 구간 이전의 목표 지점에서 마지막으로 획득되는 보정 감산 전압(Vmdiff)과 동일한 경우는, 천이 구간 이전의 목표 지점이 최초 목표 지점이 아닌 경우에 해당한다.
한편, 천이 구간의 감산 전압(Vdiff)이 천이 구간 이후의 목표 지점의 감산 전압(Vdiff)과 다른 경우, 제산 전압(Vdiv)이 급격하게 변동되므로, 천이 구간의 감산 전압(Vdiff)을 천이 구간 이후의 목표 지점의 감산 전압(Vdiff)과 동일하게 설정할 필요가 있다.
감산 전압 변경부(1450)는 천이 구간 이후의 목표 지점에서 획득되는 감산 전압(Vdiff)에 보정 계수 β를 적용하여, 보정 감산 전압(Vmdiff)을 산출할 수 있다. 보정 계수 β는 보정 계수 β1 및 β2를 포함할 수 있다. 보정 계수 β1은 현재 목표 지점 이전의 목표 지점이 최초 목표 지점인 경우 적용되는 보정 계수에 해당하고, 보정 계수 β2은 현재 목표 지점 이전의 목표 지점이 최초 목표 지점이 아닌 경우 적용되는 보정 계수에 해당한다.
일 예로, 보정 계수 β1는 하기의 수학식 5에 따라 표현될 수 있다. 수학식 5에서, Vdiff_present point_first은 현재 목표 지점에서 최초로 획득되는 감산 전압을 나타내고, Vdiff_before point_last은 현재 목표 지점 이전(천이 구간 이전)의 목표 지점에서 마지막으로 획득되는 감산 전압을 나타낸다.
Figure pat00007
일 예로, 보정 계수 β2는 하기의 수학식 6에 따라 표현될 수 있다. 수학식 6에서, Vdiff_present point_first은 현재 목표 지점에서 최초로 획득되는 감산 전압을 나타내고, Vmdiff_before point은 현재 목표 지점 이전의 목표 지점에서의 마지막으로 획득되는 보정 감산 전압을 나타낸다.
Figure pat00008
하기의 표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제산 전압(Vdiv)의 비선형 보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표이다. 이하, 표 1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제산 전압(Vdiv)의 비선형 보정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시간(s) 위치 온도 계수 Vdiff Vmdiff
T1 1 1.00 6650.00 -
T2 1 1.01 6716.50 -
T3 1 1.02 6783.00 -
T4 2 1.02 5151.00 6783.00
T5 3 1.02 3927.00 6783.00
T6 3 1.03 3965.50 6849.50
T7 3 1.04 4004.00 6916.00
T8 4 1.04 3172.00 6916.00
T9 5 1.04 2756.00 6916.00
T10 6 1.05 2756.00 6916.00
T11 6 1.05 2782.50 6982.50
표 1에서, T1 내지 T11로의 시간의 경과에 따라, 마그네트(1300)가 위치 1에서 위치 6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위치 1, 3, 6은 목표 지점에 해당하고, 위치 2, 4, 5는 천이 구간에 해당한다.
표 1을 참조하면, 목표 지점 1에서 목표 지점 3으로 마그네트가 이동하는 경우, 천이 구간 2의 감산 전압(Vdiff=5151.00)은 천이 구간 이전의 목표 지점 1에서 마지막으로 획득되는 감산 전압(Vdiff=6783.00)으로 변경되어, 천이 구간 2의 보정 감산 전압(Vmdiff=6783.00)이 산출될 수 있다.
또한, 목표 지점 3에서 목표 지점 6으로 마그네트가 이동하는 경우, 천이 구간 4의 감산 전압(Vdiff=3172.00), 천이 구간 5의 감산 전압(Vdiff=2756.00)은 목표 지점 3에서 마지막으로 획득되는 보정 감산 전압(Vmdiff=6916.00)으로 변경되어, 천이 구간 3 및 천이 구간 4의 보정 감산 전압(Vmdiff=6916.00)이 산출될 수 있다.
한편, 목표 지점 3에서 순차적으로 획득되는 감산 전압(Vdff=3927.00, 3965.50, 4004.00)에는 보정 계수 β1이 각각 적용된다. 따라서, T5 시점에서의 감산 전압(Vdff=3927.00)에 β1(=6783.00/3927.00)이 적용되어, T5 시점의 목표 지점 3의 보정 감산 전압(Vmdiff=6783.00)이 산출될 수 있다. 또한, T6 시점에서의 감산 전압(Vdff=3965.50)에 β1(=6783.00/3927.00)이 적용되어, T6 시점의 목표 지점 3의 보정 감산 전압(Vmdiff=6849.50)이 산출될 수 있다. 또한, T7 시점에서의 감산 전압(Vdff=4004.00)에 β1(=6783.00/3927.00)이 적용되어, T6 시점의 목표 지점 3의 보정 감산 전압(Vmdiff=6916.00)이 산출될 수 있다.
한편, 목표 지점 6에서 순차적으로 획득되는 감산 전압(Vdff=2756.00, 2782.50)에는 보정 계수 β2이 각각 적용된다. 따라서, T10 시점에서의 감산 전압(Vdff=2756.00)에 β2(=6916.00/2756.00)이 적용되어, T10 시점의 목표 지점 6의 보정 감산 전압(Vmdiff=6783.00)이 산출될 수 있다.
따라서, T11 시점에서의 감산 전압(Vdff=2782.00)에 β2(=6916.00/2756.00)이 적용되어, T10 시점의 목표 지점 6의 보정 감산 전압(Vmdiff=6783.00)이 산출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 케이스
120: 하우징
210: 렌즈 배럴
300: 캐리어
310: 프레임
320: 렌즈 홀더
400: 초점 조정부
500: 흔들림 보정부
600: 기판
700: 이미지 센서 모듈
800: 조리개 모듈
810: 조리개
820: 마그네트
830: 코일
840: 홀 소자
850: 기판
1000: 액츄에이터
1100: 구동부
1200: 코일
1300: 마그네트
1400: 위치 검출 장치
1410a: 제1 홀 소자
1410b: 제2 홀 소자
1420a: 제1 차동 증폭기
1420b: 제2 차동 증폭기
1430a: 감산기
1430b: 가산기
1440: 제산기

Claims (16)

  1. 제1 목표 지점 및 제2 목표 지점을 스텝 이동하는 마그네트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장치에 있어서,
    제1 홀 소자 및 제2 홀 소자;
    상기 제1 홀 소자로부터 생성되는 제1 홀 전압 및 상기 제2 홀 소자로부터 생성되는 제2 홀 전압을 감산하여, 감산 전압을 생성하는 감산기;
    상기 제1 홀 전압 및 상기 제2 홀 전압을 가산하여, 가산 전압을 생성하는 가산기;
    상기 가산 전압에 대한 상기 감산 전압의 비를 산출하는 제산기; 및
    상기 제1 목표 지점, 상기 제2 목표 지점, 및 상기 제1 목표 지점과 상기 제2 목표 지점 사이의 천이 구간에서의 상기 감산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감산 전압 변경부; 를 포함하는 위치 검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 소자 및 상기 제2 홀 소자는 상기 마그네트의 이동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위치 검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산 전압 변경부는,
    상기 천이 구간의 감산 전압을, 상기 제1 목표 지점 및 상기 제2 목표 지점 중 상기 천이 구간 이전의 목표 지점의 감산 전압으로 변경하는 위치 검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산 전압 변경부는,
    상기 제1 홀 전압 및 상기 제2 홀 전압 중 하나에 보정 계수를 적용하는 위치 검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계수에 의해, 상기 제1 목표 지점의 감산 전압 및 상기 제2 목표 지점의 감산 전압이 동일하게 유지되는 위치 검출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계수는 상기 제1 홀 전압에 적용되고,
    상기 보정 계수는, 상기 제1 목표 지점의 상기 제2 홀 전압과 상기 제2 목표 지점의 상기 제2 홀 전압의 차에 대한, 상기 제1 목표 지점의 상기 제1 홀 전압과 상기 제2 목표 지점의 상기 제1 홀 전압의 차의 비에 따라 산출되는 위치 검출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 소자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전압들을 차동 증폭하여, 상기 제1 홀 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제2 홀 소자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전압들을 차동 증폭하여, 상기 제2 홀 전압을 생성하는 차동 증폭기; 를 더 포함하는 위치 검출 장치.
  8. 제1 목표 지점, 제2 목표 지점 및 제3 목표 지점을 스텝 이동하는 마그네트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 검출 장치에 있어서,
    제1 홀 소자 및 제2 홀 소자;
    상기 제1 홀 소자로부터 생성되는 제1 홀 전압 및 상기 제2 홀 소자로부터 생성되는 제2 홀 전압을 감산하여, 감산 전압을 생성하는 감산기;
    상기 제1 홀 전압 및 상기 제2 홀 전압을 가산하여, 가산 전압을 생성하는 가산기;
    상기 가산 전압에 대한 상기 감산 전압의 비를 산출하는 제산기; 및
    상기 제1 목표 지점, 상기 제2 목표 지점 및 상기 제3 목표 지점 중 인접하는 두 개의 목표 지점과, 상기 인접하는 두 개의 목표 지점 사이의 천이 구간의 상기 감산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감산 전압 변경부; 를 포함하는 위치 검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 소자 및 상기 제2 홀 소자는 상기 마그네트의 이동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위치 검출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감산 전압 변경부는,
    상기 제1 목표 지점과 상기 제2 목표 지점 사이의 제1 천이 구간의 감산 전압을, 상기 제1 천이 구간 이전의 상기 제1 목표 지점에서 마지막으로 획득되는 감산 전압으로 변경하는 위치 검출 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감산 전압 변경부는,
    상기 제1 천이 구간 이후의 상기 제2 목표 지점의 감산 전압에 보정 계수를 적용하여, 상기 제2 목표 지점의 보정 감산 전압을 산출하는 위치 검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계수는 상기 제1 목표 지점에서 마지막으로 획득되는 감산 전압에 대한 상기 제2 목표 지점에서 최초로 획득되는 감산 전압의 비에 해당하는 위치 검출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감산 전압 변경부는,
    상기 제2 목표 지점과 상기 제3 목표 지점 사이의 제2 천이 구간의 감산 전압을, 상기 제2 천이 구간 이전의 상기 제2 목표 지점에서 마지막으로 획득되는 보정 감산 전압으로 변경하는 위치 검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감산 전압 변경부는,
    상기 제2 천이 구간 이후의 상기 제3 목표 지점의 감산 전압에 보정 계수를 적용하여, 상기 제3 목표 지점의 보정 감산 전압을 산출하는 위치 검출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 계수는 상기 제2 목표 지점에서 마지막으로 획득되는 보정 감산 전압에 대한 상기 제3 목표 지점에서 최초로 획득되는 감산 전압의 비에 해당하는 위치 검출 장치.
  16.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홀 소자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전압들을 차동 증폭하여, 상기 제1 홀 전압을 생성하고, 상기 제2 홀 소자로부터 출력되는 출력 전압들을 차동 증폭하여, 상기 제2 홀 전압을 생성하는 차동 증폭기; 를 더 포함하는 위치 검출 장치.
KR1020190176824A 2019-12-27 2019-12-27 조리개 모듈의 위치 검출 장치 KR2021008397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824A KR20210083979A (ko) 2019-12-27 2019-12-27 조리개 모듈의 위치 검출 장치
US16/852,845 US11265482B2 (en) 2019-12-27 2020-04-20 Position detecting device of aperture module
CN202010618189.6A CN113132590A (zh) 2019-12-27 2020-06-30 位置检测装置、光圈模块及相机模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6824A KR20210083979A (ko) 2019-12-27 2019-12-27 조리개 모듈의 위치 검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3979A true KR20210083979A (ko) 2021-07-07

Family

ID=76545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6824A KR20210083979A (ko) 2019-12-27 2019-12-27 조리개 모듈의 위치 검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265482B2 (ko)
KR (1) KR20210083979A (ko)
CN (1) CN113132590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5023B2 (ko) 1976-12-17 1982-03-27
KR101588951B1 (ko) 2014-04-16 2016-01-26 삼성전기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액추에이터 구동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46859A (en) * 1986-12-22 1988-05-24 Sundstrand Corporation Power and temperature independent magnetic position sensor for a rotor
GB2206690B (en) * 1987-06-30 1991-12-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Optically scanning displacement sensor
JP3832396B2 (ja) * 2002-07-17 2006-10-11 コニカミノルタフォト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駆動装置、位置制御装置およびカメラ
WO2005033716A1 (en) * 2003-10-01 2005-04-14 Eaton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urrent sensing using anti-differential, error correcting current sensing
JP2005284169A (ja) * 2004-03-30 2005-10-13 Konica Minolta Opto Inc 駆動装置及び光学機器
JP2005331549A (ja) * 2004-05-18 2005-12-02 Konica Minolta Photo Imaging Inc 手振れ補正装置および位置検出装置
JP4049125B2 (ja) * 2004-05-20 2008-02-20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位置検出装置、手振れ補正機構、および撮像装置
JP4587708B2 (ja) * 2004-05-20 2010-11-24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位置検出装置、手振れ補正機構、および撮像装置
JP4600060B2 (ja) * 2005-02-01 2010-12-15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駆動装置
JP4400500B2 (ja) * 2005-04-06 2010-01-20 コニカミノルタオプト株式会社 位置検出器および位置決め装置
WO2007126023A1 (ja) 2006-04-27 2007-11-08 Asahi Kasei Emd Corporation 位置検出装置及び位置検出方法
JP5089999B2 (ja) * 2007-01-24 2012-12-05 オリンパス株式会社 位置検出回路及びその応用装置
US8717493B2 (en) * 2009-11-23 2014-05-06 Lg Innotek Co., Ltd. Shutter device
JP5993564B2 (ja) * 2011-07-13 2016-09-14 新日本無線株式会社 反射型フォトセンサを用いた位置検出装置
JP5715023B2 (ja) * 2011-10-12 2015-05-07 旭化成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位置検出装置及び位置検出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電子機器
JP6413326B2 (ja) * 2014-05-01 2018-10-31 日立金属株式会社 磁気センサ及び電流検出構造
KR101896962B1 (ko) * 2016-02-04 2018-09-12 마이크로엑츄에이터(주) 카메라 렌즈 조립체
US10754225B2 (en) * 2016-04-28 2020-08-25 Lg Innotek Co., Ltd. Lens driving mechanism, camera module, and optical device
KR101959251B1 (ko) * 2017-01-26 2019-03-18 자화전자(주) 카메라의 아이리스 구동장치
KR102071925B1 (ko) * 2017-03-31 2020-01-31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2041668B1 (ko) * 2017-04-17 2019-11-07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의 센싱 유닛
US10893178B2 (en) * 2017-05-25 2021-01-12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Camera module
KR102104453B1 (ko) * 2017-11-09 2020-05-29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2278971B1 (ko) * 2018-11-14 2021-07-20 아사히 가세이 일렉트로닉스 가부시끼가이샤 카메라 모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5023B2 (ko) 1976-12-17 1982-03-27
KR101588951B1 (ko) 2014-04-16 2016-01-26 삼성전기주식회사 보이스 코일 모터 액추에이터 구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265482B2 (en) 2022-03-01
CN113132590A (zh) 2021-07-16
US20210203823A1 (en) 2021-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7389B1 (ko) 카메라 모듈
US10422974B2 (en) Lens driving devic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US10747013B2 (en) Lens driving apparatus with shake compensation having three ball members
KR102163416B1 (ko) 조리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107028B1 (ko) 카메라 모듈
KR102272591B1 (ko) 카메라 모듈
KR102632362B1 (ko) 카메라 모듈
US11586007B2 (en) Camera module having a plurality of sensing units
KR102380841B1 (ko) 카메라 모듈
KR102513041B1 (ko) 카메라 장치 및 광학기기
KR20190108317A (ko) 카메라 모듈의 액츄에이터
KR20220068098A (ko) 카메라 모듈
KR102327730B1 (ko) 카메라 모듈
KR102319600B1 (ko) 카메라 모듈
KR20210093567A (ko) 조리개 모듈의 위치 검출 장치
KR102460755B1 (ko) 카메라 모듈
KR20210083979A (ko) 조리개 모듈의 위치 검출 장치
KR102460751B1 (ko) 카메라 모듈
KR102386054B1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KR102319599B1 (ko) 카메라 모듈
KR102333089B1 (ko) 카메라 모듈
KR20180135270A (ko) 렌즈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모듈
KR20210099362A (ko) 위치 검출 장치
KR20210108203A (ko) 카메라 모듈
US20230353852A1 (en) Imaging lens assembly module, imaging lens assembly driving module and electronic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