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0174B1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0174B1
KR102550174B1 KR1020180074711A KR20180074711A KR102550174B1 KR 102550174 B1 KR102550174 B1 KR 102550174B1 KR 1020180074711 A KR1020180074711 A KR 1020180074711A KR 20180074711 A KR20180074711 A KR 20180074711A KR 102550174 B1 KR102550174 B1 KR 1025501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barrel
camera module
driving
magnet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4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1775A (ko
Inventor
하주영
김재경
이청희
서상효
전희성
박환수
김혁주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4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0174B1/ko
Priority to US16/196,029 priority patent/US10721417B2/en
Priority to CN201920404017.1U priority patent/CN209728389U/zh
Priority to CN201910236849.1A priority patent/CN110727159B/zh
Publication of KR20200001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01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01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1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for more than one l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8Shutters
    • G03B9/10Blade or disc rotating or pivoting about axis normal to its plane
    • G03B9/14Two separate members moving in opposite direc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2Diaphragms
    • G03B9/06Two or more co-operating pivoted blades, e.g. iris ty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5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optical camera compon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05Diaphrag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7/00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 G03B7/003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setting of both shutter and diaphrag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7/00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 G03B7/08Control effected solely on the basis of the response, to the intensity of the light received by the camera, of a built-in light-sensitive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3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the exposure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45Detection of flicker frequency or suppression of flicker wherein the flicker is caused by illumination, e.g. due to fluorescent tube illumination or pulsed LED illumin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7/00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수용하는 제1렌즈배럴; 상기 제1렌즈배럴에 수용되는 렌즈와 광축 방향으로 정렬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수용하는 제2렌즈배럴; 상기 제1렌즈배럴과 상기 제2렌즈배럴의 사이에 구비되고, 복수의 블레이드에 의해 다양한 크기의 입사공을 형성하는 조리개모듈; 및 구동코일에 대향하는 구동마그네트를 포함하는 마그네트부가 직선으로 왕복 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조리개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 {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온 변화나 주변환경에 의해 카메라 영상이 열화 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제품은 CCTV 등의 감시카메라가 대부분이었으나, 근래에 들어 차량용 카메라 수요가 증대되고 적용 분야 또한 확대됨에 따라 주변환경에 의해 영상이 열화 되는 현상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 요청되고 있다. 즉, 최근의 자동차에는 후방 카메라뿐만 아니라 SVM(Surround View Monitoring) 카메라 등 ASAS(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용으로 카메라가 많이 장착되고 있고, 향후에는 여러 기능을 하는 다양한 카메라들이 자동차에 다수 장착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최근 자율주행에 대한 수요와 필요성이 증가함에 따라 차량용 ADAS (Advanced Driver Assistance System) 카메라를 통한 안정적인 영상 획득의 중요성이 커져가고 있다.
그런데, 교통 표지판, 신호등 및 각종 조명에 LED를 사용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조명 및 신호용 LED는 PWM 방식 제어를 사용함에 따라 각각의 LED 조명에 따라 개별적으로 깜빡임(Blink) 주기를 가진다. 이로 인해 카메라에 입력되는 영상에서는 LED가 깜박이는 현상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현상을 해결하는 방법을 LFM (LED Flicker Mitigation)이라고 한다.
다양한 광원에 따라 LED 조명의 깜빡임 주기가 상이하며, LFM을 구현하기 위해서 카메라의 노출시간(Exposure Time)을 LED의 깜빡임(Blink) 주기 이상으로 적용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특성 때문에 맑은 날씨의 주간환경에서는 영상의 일부 또는 전체가 포화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포화된 영상은 다이나믹 레인지(Dynamic Range)가 감소 된다.
한편, 조리개의 구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경우에 LFM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LED의 깜박임 주기보다 긴 시간동안 노출시켜 최소 1번 이상의 LED “On” 구간을 가지도록 한다. 그런데, 조리개의 구경이 상대적으로 큰 경우 같이 다이나믹 레인지(Dynamic Range)를 보상하기 위해 영상의 포화를 방지하고자 노출 시간(Exposure Time)을 감소시키면 LFM 구현이 어렵게 된다.
이에 따라, 카메라에도 노출 시간과 노출 양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장치가 구비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카메라의 노출 시간을 조절하여 카메라 촬영 영상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수용하는 제1렌즈배럴; 상기 제1렌즈배럴에 수용되는 렌즈와 광축 방향으로 정렬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수용하는 제2렌즈배럴; 상기 제1렌즈배럴과 상기 제2렌즈배럴의 사이에 구비되고, 복수의 블레이드에 의해 다양한 크기의 입사공을 형성하는 조리개모듈; 및 구동코일에 대향하는 구동마그네트를 포함하는 마그네트부가 직선으로 왕복 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조리개구동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카메라의 노출 시간을 조절하여 카메라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이 제공되므로 차량용 카메라의 촬영 영상의 열화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결합 단면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모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모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입사공의 직경 변화를 위해 조리개모듈이 구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평단면도이고,
도 6은 카메라의 열화현상과 관련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또는 삭제 등을 통하여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차량, CCTV, 보완용카메라 등 외부의 조명환경에 영향을 받는 장소나 장치에 장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은 제1렌즈배럴(100), 제2렌즈배럴(300) 및 조리개모듈(500)을 포함한다.
제1렌즈배럴(100)은 내부에 광축 방향으로 정렬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수용한다. 그리고, 제1렌즈배럴(100)에 구비되는 렌즈는 이하 설명하는 제2렌즈배럴(300)과 내부의 렌즈들이 광축방향으로 정렬되게 결합된다. 도면의 도시에서는 제1렌즈배럴(100)의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구비되고, 제1렌즈배럴(100)이 직접 제2렌즈배럴(300)의 내삽부(390)에 결합되는 구조로 도시하나, 제1렌즈배럴(100)은 외부를 감싸는 홀더 등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고, 홀더(미도시) 등이 제2렌즈배럴(300)의 내삽부(390)에 끼움결합될 수 있다. 제1렌즈배럴(100)은 결합이 용이하게 원통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내삽부(390)도 이에 상응하게 원통형일 수 있다.
그리고, 제1렌즈배럴(100)의 가장 물체측에는 커버글라스(10)가 구비되어 내부의 렌즈를 보호할 수 있고, 제1렌즈배럴(100)과 커버글라스(10)의 사이에는 실링부재(20)가 개재되어 방수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2렌즈배럴(300)은 내부에 광축 방향으로 정렬되게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수용한다. 그리고, 제2렌즈배럴(300)에 구비되는 렌즈는 제1렌즈배럴(100)의 내부에 구비되는 렌즈와 광축 방향으로 정렬되게 구비된다. 제1렌즈배럴(100)은 제2렌즈배럴(200)의 내삽부(390)에 결합될 수 있다. 제1렌즈배럴(100)은 물체 측에 구비되고, 제2렌즈배럴(300)은 이미지 측에 구비되게 제1렌즈배럴(100)과 제2렌즈배럴(300)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1렌즈배럴(100)과 제2렌즈배럴(300)의 사이에는 방수 등을 위해 실링부재(210)가 개재될 수 있다.
제2렌즈배럴(300)은 전체적으로 원통형일 수 있다. 제2렌즈배럴(300)이 실질적인 카메라 모듈(1000)의 외형을 형성하므로 다른 장치 등에 결합이 용이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렌즈배럴(100)이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제1렌즈배럴(100)과 제2렌즈배럴(200)의 상부를 덮어주는 커버부재(410)가 구비될 수 있다.
도면의 도시에서 제2렌즈배럴(300)은 렌즈가 내삽되는 부분과 그 외부에 구동코일(571)이 결합되는 부분이 모두 일체로 구비되는 형상을 도시한다. 하지만, 제2렌즈배럴(300)은 렌즈가 내삽되는 배럴(301)과 - 도 3의 가상절개선(303) 내측 -, 그 외측에 결합되어 카메라 모듈(1000)의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305)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 도 3의 가상절개선(303) 외측 - , 이들이 상호 별도의 부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배럴(301)과 하우징(305)이 별도로 제작되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제2렌즈배럴(300)은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렌즈가 장착되는 배럴(301)을 구비하고, 배럴(301)의 외측에는 외부로 노출되고 구동코일(571)이 결합되는 하우징(305)을 구비한다.
그리고, 제2렌즈배럴(300)은 배럴(301)의 상부쪽으로 조리개모듈(500)과 제1렌즈배럴(300)이 결합되는 내삽부(390)를 구비한다.
배럴(301)과 제1렌즈배럴(100)의 사이에는 조리개모듈(500)이 개재되어 조리개의 구경에 따라 입사되는 광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제2렌즈배럴(300)의 하우징(305)에는 배럴(301)의 외부를 따라 연장되는 공간인 안착부(31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안착부(310)에는 조리개모듈(500)의 마그네트부(520)와 코일부(570)를 포함하는 구동부(580)가 구비될 수 있다.
안착부(310)를 형성하는 하우징(305)의 내측에는 구동코일(571)이 고정결합될 수 있다. 더욱 상세히는 기판(575)에 결합된 구동코일(571)이 결합될 수 있으며, 구동코일(571)은 마그네트부(520)의 마그네트(521)와 대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안착부(310)에 구동코일(571)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안착부(310)의 내벽 및 공간 형상에 상응하게 구비되는 코일장착부재(577)가 구동코일(571), 더욱 상세히는 기판(575)에 결합될 수 있으며, 코일장착부재(577)가 안착부(310)에 결합될 수 있다.
조리개모듈(500)은 광축 방향으로 제1렌즈배럴(100)과 제2렌즈배럴(300)의 사이에 구비된다. 조리개모듈(500)은 카메라 모듈(1000)에 입사되는 광의 입사량을 선택적으로 변경하도록 구성된 장치이다. 일 예로, 조리개모듈(500)에는 서로 다른 사이즈를 갖는 복수의 입사공이 구비될 수 있다. 촬영 환경에 따라 복수의 입사공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빛이 입사될 수 있다.
고조도 환경에서는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빛이 카메라 모듈(1000)에 입사되도록 할 수 있고, 저조도 환경에서는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빛이 카메라 모듈(1000)에 입사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조도 조건에서도 이미지의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조리개모듈(500)은 베이스(510), 제1 블레이드(530), 제2 블레이드(540) 및 조리개 구동부(580) - 마그네트부(520) 및 코일부(570) - 를 포함한다. 또한, 베이스(510), 제1 블레이드(530) 및 제2 블레이드(540)를 커버하고 광이 입사하는 관통홀(551)을 구비하는 커버(5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조리개모듈(500)은 조리개 구동부(58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설명하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조리개모듈(500)은 조리개 구동부(580)를 제외한 나머지만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광축방향 하부의 베이스(510)는 제2렌즈배럴(300)과 대향하고, 광축방향 상부의 커버(550)는 제1렌즈배럴(100)과 대향할 수 있다. 그리고, 베이스(510)와 제2렌즈배럴(300)의 사이에는 결합이 용이하도록 결합브라켓(430)이 구비될 수 있다.
조리개 구동부(580)는 일 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베이스(510), 더욱 상세하게는 구동가이드부(512)에 배치된 마그네트부(520) 및 마그네트부(520)와 대향하도록 제2렌즈배럴(300) - 더욱 상세히는 하우징(305) - 에 고정 결합된 코일(571)을 포함한다. 코일(571)은 기판(575)에 결합된 상태로 제2렌즈배럴(300)에 구비되며, 기판(575)은 제2렌즈배럴(300)의 안착부(310)에 위치하도록 하우징(305)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기판(575)은 카메라 모듈(1000)의 외부로 인출되어 구동장치 및 제어장치 등과 전기적/제어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마그네트부(520)는 베이스(510)에 거치된 상태로 광축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직선운동할 수 있고, 구동코일(571)은 제2렌즈배럴(300) - 하우징(305) - 에 고정된 고정부재이다.
베이스(510)에는 마그네트부(520)가 배치되는 구동가이드부(512)가 구비된다. 구동가이드부(512)는 베이스(510)로부터 광축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일 수 있으며, 구동가이드부(512)는 구동코일(571)과 마주보도록 안착부(310)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구동가이드부(512)는 마그네트부(520)가 안착되기 용이하도록 사각의 프레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구동가이드부(512)의 광축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양쪽 단부에는 홀딩요크(519)가 구비될 수 있다. 마그네트부(520)가 양쪽으로 이동한 후 양쪽 단부에 고정되는 경우에는 블레이드의 조합에 의한 입사공의 사이즈 및 형상을 정확하게 구현할 수 있다.
마그네트부(520)는 구동코일(571)과 마주보게 배치된 마그네트(521) 및 마그네트(521)가 부착된 마그네트 홀더(522)를 포함한다. 마그네트(521)는 구동코일(571)과 광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구비된다.
마그네트부(520)는 베이스(510)의 구동가이드부(512)에 결합된다. 그리고, 마그네트부(520)는 베이스(510)의 상면, 즉, 블레이드(530, 540)와의 사이로 연장되는 지지부(527)를 구비할 수 있다. 지지부(527)에는 블레이드(530, 540)를 통과한 광이 통과하는 관통구(527a)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527)는 마그네트부(520)부가 광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할 때 함께 이동하며, 이동이 용이하도록 베이스(510)의 상부에는 지지부(527)와의 사이에 베어링, 더욱 상세히는 볼베어링(528)이 구비될 수 있다. 지지부(527)가 구비됨으로써 마그네트부(520)가 베이스(510)에 거치된 상태로 직선 운동할 수 있다.
한편, 구동가이드부(512)에 마그네트부(520)가 거치되는 경우에는 고정이 불안정하여 틸팅(기울임)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구동가이드부(512)의 하단부에는 가이드 블레이드(517)가 구비되어 마그네트부(520)를 지지하고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한편, 도 4b를 참고하면, 지지부를 구비하지 않는 마그네트부(520)가 개시되며, 이 경우에는 마그네트부(520)가 베이스(510)에 지지되도록 다른 수단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 베이스(510) - 더욱 상세히는 구동가이드부(512) - 에는 마그네트(521)에 대향하는 위치에 요크(515)가 구비될 수 있다. 요크(515)와 마그네트(521) 사이의 인력에 의해 마그네트부(520)가 구동가이드부(512)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미끄럼 이동할 수 있다.
베이스(510)에는 제1 블레이드(530)의 제1 가이드홀(533)과 제2 블레이드(540)의 제2 가이드홀(543)을 동시에 관통하는 제1 돌기부(513)가 구비된다. 그리고, 제1 블레이드(530)와 제2 블레이드(540)는 제1 돌기부(513)를 축으로 회전운동한다.
그리고, 마그네트 홀더(522)에는 제1 블레이드(530)와 제2 블레이드(540)를 관통하는 제2 돌기부(523)가 구비된다.
제2 돌기부(523)는 제1 블레이드(530)의 제3 가이드홀(535)과 제2 블레이드(540)의 제4 가이드홀(545)을 통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3 가이드홀(535)과 제4 가이드홀(545)은 마그네트부(520)의 이동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3 가이드홀(535)과 제4 가이드홀(545)의 경사진 방향은 서로 반대일 수 있다.
따라서, 마그네트부(520)가 일 축을 따라 이동될 때, 제2 돌기부(523)는 제3 가이드홀(535) 및 제4 가이드홀(545) 내에서 이동될 수 있으며, 제2 돌기부(523)의 이동에 따라 제1 블레이드(530) 및 제2 블레이드(540)가 마그네트부(520)를 향하여 이동되거나 마그네트부(520)로부터 멀어지게 이동될 수 있다(도 5a 및 도 5b 참조).
한편, 본 실시예의 조리개모듈(500)은 다양한 크기의 입사공을 구현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2개의 블레이드를 이용한 2개의 입상공이 구현되는 실시예로 설명하나, 블레이드의 개수는 2개 이상일 수 있고, 구현할 수 있는 입사공도 2개 이상일 수 있다. 또는 구현할 수 있는 입사공은 연속적으로 크기가 변경되는 컨티뉴어스(Continuous) 방식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의 구동부(580)는 마그네트부(520)의 위치를 센싱하여 구동에 반영하는 폐루프(Closed loop) 방식의 제어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위치센서(홀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도시는 생략하나, 위치센서는 마그네트(521)와 대향하도록 구동코일(571)의 중간 또는 옆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블레이드(530)에는 제1 관통홀(531)이 구비되고, 제2 블레이드(540)에는 제2 관통홀(541)이 구비된다. 그리고, 제1 블레이드(530) 및 제2 블레이드(540)는 상호 접촉된 상태로 미끄럼 이동하게 되므로 마찰전기가 발생하지 않도록 대전방지 처리가 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제1 블레이드(530)에는 제1 가이드홀(533) 및 제3 가이드홀(535)이 구비되고, 제2 블레이드(540)에는 제2 가이드홀(543) 및 제4 가이드홀(545)이 구비된다.
제1 가이드홀(533)과 제2 가이드홀(543)은 둥근 형상으로 구비되고, 제3 가이드홀(535)과 제4 가이드홀(545)은 일방향으로 길이가 긴 형상으로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가이드홀(535)과 제4 가이드홀(545)의 경사 방향은 서로 반대일 수 있다. 한편, 제1 가이드홀(533), 제2 가이드홀(543), 제3 가이드홀(535) 및 제4 가이드홀(545)은 편의상 '~홀'이라 지칭하나, 이는 구멍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구멍 또는 홈 형상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관통홀(531)과 제2 관통홀(541)은 직경이 다른 복수의 관통홀(531a, 531b)(541a, 541b)이 서로 연결된 형상일 수 있다. 제1 관통홀(531)과 제2 관통홀(541)은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관통홀(531a, 541a)과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관통홀(531b, 541b)이 서로 연결된 형상일 수 있다. 일 예로, 제1 관통홀(531)은 전체적으로 호리병(또는 오뚜기) 모양일 수 있으며, 관통홀(531a, 531b, 541a, 541b)은 둥근 형상 또는 다각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제1 관통홀(531)과 제2 관통홀(541)의 형상은 서로 반대일 수 있다. 즉, 제1 블레이드(530) 및 제2 블레이드(540)는 제1 가이드홀(533)과 제2 가이드홀(543)이 모두 제1 돌기부(513)에 끼워진 상태로 제1 돌기부(513)을 중심축으로 회전운동을 하게 되는데, 이를 고려할 때, 제1 관통홀(531)과 제2 관통홀(541)은 원주 방향으로 대략 대칭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블레이드(530)와 제2 블레이드(540)는 광축 방향으로 일 부분이 서로 중첩되도록 베이스(510)에 결합되며, 조리개 구동부에 의해 각각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일 예로, 제1 블레이드(530)와 제2 블레이드(540)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관통홀(531)과 제2 관통홀(541)의 일부는 광축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관통홀(531)과 제2 관통홀(541)의 일부가 광축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어 빛이 통과하는 입사공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관통홀(531)과 제2 관통홀(541)은 일부가 중첩되어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복수의 입사공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관통홀(531)과 제2 관통홀(541)의 일부가 중첩되어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입사공을 형성할 수 있고, 제1 관통홀(531)과 제2 관통홀(541)의 일부가 중첩되어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입사공을 형성할 수 있다(입사공은 제1 관통홀(531) 및 제2 관통홀(541)의 형상에 따라 둥근 형상 또는 다각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촬영 환경에 따라 복수의 입사공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빛이 입사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조리개 구동부에 의해 제1 블레이드(530)와 제2 블레이드(540)가 제1 돌기부(513)를 축으로 하여 회전 이동되며, 제1 관통홀(531)과 제2 관통홀(541)의 일부가 서로 중첩되어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입사공을 형성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조리개 구동부에 의해 제1 블레이드(530)와 제2 블레이드(540)가 제1 돌기부(513)를 축으로 하여 회전 이동되며, 제1 관통홀(531)과 제2 관통홀(541)의 일부가 서로 중첩되어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입사공을 형성할 수 있다.
도 6은 카메라의 열화현상과 관련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구경 조리개(大 조리개)와 같이 다이나믹 ㄹ레레인지(Dynamic Range)를 보상하기 위해 영상의 포화를 방지하고자 노출시간(Exposure Time)을 감소시키면 LFM의 구현이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도 6에서와 같이 카메라 모듈에 가변 조리개(IRIS)를 적용하여 광량이 많은 환경에서는 소구경 조리개(小 조리개)를 적용하여 입사되는 광량을 감소시켜 노출시간(Exposure Time)을 LED 깜빡임(Blink) 주기보다 길게 하여 LFM 성능을 확보하고 또한 일정 수준의 노출시간(Exposure Time)을 확보 하더라도 영상이 포화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저조도 환경에서는 대구경 조리개(大 조리개)로 광량을 증가시켜 주변의 환경에 상관없이 LFM 및 WDR(Wide Dynamic Range)을 구현하고 저조도 환경에서도 일정 수준이상의 밝기를 확보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제1렌즈배럴
300: 제2렌즈배럴
500: 조리개모듈
1000: 카메라 모듈

Claims (16)

  1. 내부에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수용하는 제1렌즈배럴;
    상기 제1렌즈배럴에 수용되는 렌즈와 광축 방향으로 정렬되는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수용하는 제2렌즈배럴;
    상기 제1렌즈배럴과 상기 제2렌즈배럴의 사이에 구비되고, 복수의 블레이드에 의해 다양한 크기의 입사공을 형성하는 조리개모듈; 및
    구동코일에 대향하는 구동마그네트를 포함하는 마그네트부가 직선으로 왕복 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조리개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리개모듈은,
    상기 블레이드가 상부에 구비되고, 광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동가이드부를 구비하는 베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코일은 상기 마그네트부의 구동마그네트와 대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2렌즈배럴에는 상기 구동코일이 고정되는 안착부가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배럴은 물체 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2렌즈배럴은 이미지 측에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코일은 상기 제2렌즈배럴에 고정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부는 상기 구동가이드부에 거치되어 직선으로 왕복 운동하는 카메라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마그네트부의 구동마그네트와 대향하게 요크가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가이드부는 상기 안착부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카메라 모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렌즈배럴은 상기 제1렌즈배럴을 수용하는 내삽부가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배럴이 내부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제1렌즈배럴과 상기 제2렌즈배럴의 상부를 덮어주는 커버부재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코일이 고정장착된 상태로 상기 제2렌즈배럴의 안착부에 고정되는 코일장착부재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코일은 기판에 장착된 상태로 상기 코일장착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기판은 상기 제2렌즈배럴의 외부로 연장되어 노출되는 카메라 모듈.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가이드부에는 상기 마그네트부의 구동마그네트와 대향하게 요크가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
  15.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부는 상기 베이스의 상부로 연장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는 광이 투과되는 관통구를 구비하는 카메라 모듈.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는 상기 지지부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베어링이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


KR1020180074711A 2018-06-28 2018-06-28 카메라 모듈 KR1025501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711A KR102550174B1 (ko) 2018-06-28 2018-06-28 카메라 모듈
US16/196,029 US10721417B2 (en) 2018-06-28 2018-11-20 Camera module
CN201920404017.1U CN209728389U (zh) 2018-06-28 2019-03-27 相机模块
CN201910236849.1A CN110727159B (zh) 2018-06-28 2019-03-27 相机模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711A KR102550174B1 (ko) 2018-06-28 2018-06-28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775A KR20200001775A (ko) 2020-01-07
KR102550174B1 true KR102550174B1 (ko) 2023-07-03

Family

ID=68688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4711A KR102550174B1 (ko) 2018-06-28 2018-06-28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721417B2 (ko)
KR (1) KR102550174B1 (ko)
CN (2) CN209728389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8710B1 (ko) * 2018-06-08 2020-09-22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2550174B1 (ko) * 2018-06-28 2023-07-03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US11693208B2 (en) * 2019-02-01 2023-07-04 Tdk Taiwan Corp. Optical sensing system
KR102357533B1 (ko) * 2019-04-30 2022-02-04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2248523B1 (ko) * 2019-06-28 2021-05-06 삼성전기주식회사 조리개모듈
KR102495113B1 (ko) * 2021-05-11 2023-02-06 (주)로닉스 용접 전,후 및 용접 중에 최적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광량 제어 방법과, 이를 구현한 소형화 및 경량화된 디지털 용접 비전 카메라
CN113433769A (zh) * 2021-06-25 2021-09-24 维沃移动通信(杭州)有限公司 光圈组件、摄像头模组及电子设备
KR102620537B1 (ko) 2021-10-15 2024-01-03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7957A (ja) * 2005-06-06 2006-12-14 Nikon Corp レンズ鏡筒
JP2007310242A (ja) 2006-05-19 2007-11-29 Nidec Sankyo Corp レンズ駆動装置
KR101700771B1 (ko) * 2016-05-04 2017-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59382A (en) * 1991-07-25 1992-10-27 Eastman Kodak Company Device and method for electromagnetically activating the shutter of a camera
KR100703329B1 (ko) * 2005-01-03 200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셔터 장치
CN200947147Y (zh) * 2006-07-28 2007-09-12 泓记精密股份有限公司 相机光圈快门驱动结构
JP2009195084A (ja) * 2008-02-18 2009-08-27 Tamron Co Ltd アクチュエーターおよび光学装置
CN102073192B (zh) * 2009-11-23 2015-09-09 Lg伊诺特有限公司 快门装置
KR101190390B1 (ko) * 2009-12-31 2012-10-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복귀부를 포함한 셔터 장치
KR200468693Y1 (ko) 2010-04-22 2013-08-28 일우엠앤디 (주) 조도에 따른 카메라 제어 기능을 갖는 차량용 블랙박스
KR20120063376A (ko) * 2010-12-07 2012-06-15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KR101859972B1 (ko) 2011-05-06 2018-05-23 마이크로엑츄에이터(주) 카메라용 조리개장치
KR20170139982A (ko) * 2016-06-10 2017-12-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1959251B1 (ko) * 2017-01-26 2019-03-18 자화전자(주) 카메라의 아이리스 구동장치
KR102550174B1 (ko) * 2018-06-28 2023-07-03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37957A (ja) * 2005-06-06 2006-12-14 Nikon Corp レンズ鏡筒
JP2007310242A (ja) 2006-05-19 2007-11-29 Nidec Sankyo Corp レンズ駆動装置
KR101700771B1 (ko) * 2016-05-04 2017-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727159B (zh) 2021-12-14
US20200007729A1 (en) 2020-01-02
CN209728389U (zh) 2019-12-03
CN110727159A (zh) 2020-01-24
US10721417B2 (en) 2020-07-21
KR20200001775A (ko) 2020-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0174B1 (ko) 카메라 모듈
US8670659B2 (en) Camera module
JP6382066B2 (ja) 撮像装置
KR102559342B1 (ko) 조리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130118817A (ko) 촬상 장치
EP1748313B1 (en) Lens barrel
JP2016095485A (ja) レンズ駆動装置、鏡面切替モジュール、及び電子機器
KR102069631B1 (ko) 카메라 모듈
JP2007147849A (ja) レンズ駆動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撮像装置
KR101889835B1 (ko)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모듈
KR101779817B1 (ko) 휴대단말기용 카메라 모듈
US8744253B2 (en) Image blur correcting mechanism and imaging device
KR102421546B1 (ko) 서스펜션 구조를 가지는 fpcb 및 이를 이용한 광학용 액추에이터
JP2007178914A (ja) 振れ補正装置及びレンズ装置
KR102404860B1 (ko)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67617A (ko) 카메라 모듈
KR102516769B1 (ko) 듀얼 카메라 모듈
US20140036140A1 (en) Camera module having movable image sensor for focusing
JP2000184262A (ja) バックフォーカス調整機構
US20100209087A1 (en) Image blur correction device and imaging device using same
CN115774316A (zh) 光学镜头以及摄像模组
KR101625608B1 (ko) 흔들림 보정 기능을 갖는 카메라모듈
WO2010150453A1 (ja) カメラ装置およびカメラ装置の製造方法
JP5339833B2 (ja) 撮像装置
US20230168565A1 (en) Camera actuator and camera device includ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