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9342B1 - 조리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조리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59342B1 KR102559342B1 KR1020180065791A KR20180065791A KR102559342B1 KR 102559342 B1 KR102559342 B1 KR 102559342B1 KR 1020180065791 A KR1020180065791 A KR 1020180065791A KR 20180065791 A KR20180065791 A KR 20180065791A KR 102559342 B1 KR102559342 B1 KR 10255934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dule
- magnet
- yoke
- optical axis
- apertur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2—Diaphragms
- G03B9/06—Two or more co-operating pivoted blades, e.g. iris type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렌즈모듈의 상부에 고정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블레이드; 및 상기 베이스에 광축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구동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마그네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구동 마그네트와 대향하게 요크가 구비되고, 상기 요크는 양쪽 단부에 상기 구동 마그네트 방향으로 돌출되는 홀딩부가 구비되는 조리개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리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스마트 폰을 비롯하여 태블릿 PC, 노트북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에 카메라 모듈이 기본적으로 채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디지털 카메라의 경우 촬영 환경에 따라 광의 입사량을 변화시키도록 기계식 조리개를 구비하고 있으나, 휴대용 전자기기와 같이 소형 제품에 이용되는 카메라 모듈의 경우에는 구조적인 특징 및 공간의 한계로 조리개를 별도로 구비하기 어렵다.
일 예로, 조리개를 구동시키기 위한 여러 부품들로 인하여 카메라 모듈의 무게가 무거워져 자동 초점 조정(Auto Focus) 기능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조리개 자체에 조리개 구동을 위한 코일 등 전원 연결부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자동 초점 조정 시에 렌즈의 상하 이동에 따라 전원 연결부가 걸리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좁은 공간에 다양한 구경을 갖는 조리개모듈을 설치해야 하므로, 구동부의 위치를 정확하게 고정할 수 없어 정확한 구경을 구현할 수 없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조리개모듈의 채용에 따른 무게 증가를 최소화하고, 구동부를 정확한 위치에 고정시키도록 하여 다양한 구경을 정확하게 구현할 수 있는 조리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모듈은, 렌즈모듈의 상부에 고정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블레이드; 및 상기 베이스에 광축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구동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마그네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에는 상기 구동 마그네트와 대향하게 요크가 구비되고, 상기 요크는 양쪽 단부에 상기 구동 마그네트 방향으로 돌출되는 홀딩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렌즈모듈을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렌즈모듈의 상부에 결합하는 조리개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조리개모듈은, 렌즈모듈의 상부에 고정되고 상기 렌즈모듈의 외측을 따라 광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렌즈모듈에 입사되는 광량을 변경하도록 입사공을 갖는 복수의 블레이드; 및 상기 돌출부에 광축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구동 마그네트를 구비하는 마그네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구동 마그네트와 대향하게 요크가 구비되고, 상기 요크는 양쪽 단부에 상기 구동 마그네트 방향으로 돌출되는 홀딩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마그네트와 상호작용하여 상기 조래개모듈을 구동하는 코일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조리개모듈을 장착하더라도 구동부의 무게 증가를 최소화하여 자동 초점 및 손떨림 보정 기능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리개모듈은 다양한 구경을 정확하게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모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입사공의 직경 변화를 위해 조리개모듈이 구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크와 구동 마그네트의 위치관계를 도시한 참고도이고,
도 7a 내지 도 7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요크가 돌출부에 결합되는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모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입사공의 직경 변화를 위해 조리개모듈이 구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크와 구동 마그네트의 위치관계를 도시한 참고도이고,
도 7a 내지 도 7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요크가 돌출부에 결합되는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또는 삭제 등을 통하여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이동 통신 단말기,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의 휴대가능한 전자기기에 장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은 렌즈모듈(200), 캐리어(300), 가이드부(400), 조리개모듈(500), 하우징(110) 및 케이스(120)를 포함한다.
렌즈모듈(200)은 피사체를 촬영하는 복수의 렌즈를 구비하는 렌즈 배럴(210) 및 렌즈 배럴(210)을 수용하는 홀더(22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광축을 따라 렌즈 배럴(210)의 내부에 배치된다. 렌즈모듈(200)은 캐리어(300)에 수용된다.
렌즈모듈(200)은 초점 조정을 위해 광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된다. 일 예로, 초점 조정부에 의해 렌즈모듈(200)은 캐리어(300)와 함께 광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초점 조정부는 광축 방향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마그네트(710)와 코일(730)을 포함한다. 아울러, 렌즈모듈(200), 즉, 캐리어(300)의 광축 방향 위치를 센싱하기 위해 위치센서(750), 가령, 홀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마그네트(710)는 캐리어(300)에 장착된다. 일 예로, 마그네트(710)는 캐리어(300)의 일면에 장착될 수 있다.
코일(730)과 위치센서(750)는 하우징(110)에 장착된다. 일 예로, 코일(730)과 위치센서(750)는 마그네트(710)와 마주보도록 하우징(110)에 고정될 수 있다. 코일(730)과 위치센서(750)는 기판(900)에 구비될 수 있으며, 기판(900)은 하우징(110)에 장착될 수 있다.
마그네트(710)는 캐리어(300)에 장착되어 캐리어(300)와 함께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재이고, 코일(730)과 위치센서(750)는 하우징(110)에 고정된 고정부재이다.
코일(730)에 전원이 인가되면, 마그네트(710)와 코일(730) 사이의 전자기적 영향력에 의하여 캐리어(300)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위치센서(750)는 캐리어(300)의 광축 방향 위치를 센싱할 수 있다.
캐리어(300)에는 렌즈모듈(200)이 수용되므로, 캐리어(300)의 이동에 의해 렌즈모듈(200)도 캐리어(300)와 함께 광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캐리어(300)가 이동될 때, 캐리어(300)와 하우징(110) 사이의 마찰을 저감하도록 캐리어(300)와 하우징(110) 사이에 구름부재(B)가 배치된다. 구름부재(B)는 볼 형태일 수 있다.
구름부재(B)는 마그네트(710)(또는 코일(730))의 양측에 배치된다.
기판(900)에는 요크가 장착될 수 있다. 일 예로, 요크는 코일(730)을 사이에 두고 마그네트(710)와 마주보도록 배치되게 구비될 수 있다.
요크와 마그네트(710) 사이에는 광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인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요크와 마그네트(710) 사이의 인력에 의해 구름부재(B)는 캐리어(300) 및 하우징(110)과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요크는 마그네트(710)의 자기력이 집속되도록 하는 기능도 한다. 이에 따라, 누설 자속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요크와 마그네트(710)는 자기 회로(Magnetic circuit)를 형성한다.
한편, 사용자의 손떨림 등의 요인에 의한 이미지의 흔들림을 보정하기 위하여, 렌즈모듈(200)은 광축에 수직한 제1 방향과, 광축 및 제1 방향에 수직하는 제2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흔들림 보정부는 사용자의 손떨림 등에 의해 영상 촬영 시 흔들림이 발생할 때, 흔들림에 대응하는 상대변위를 렌즈모듈(200)에 부여함으로써 흔들림을 보상한다.
캐리어(300)에는 가이드부(400)가 광축방향 상부에 올려지도록 수용된다. 그리고, 가이드부(400)의 상부에는 홀더(220)가 올려진다. 그리고, 캐리어(300)와 가이드부(400)의 광축 방향 사이 및 가이드부(400)와 홀더(220)의 광축 방향 사이에는 구름 베어링 역할을 하는 볼 부재(C)가 구비될 수 있다.
렌즈모듈(200)이 광축에 수직한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이동될 때, 가이드부(400)가 렌즈모듈(200)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렌즈모듈(200)은 가이드부(400)에 대하여 제1 방향으로 상대이동하고, 가이드부(400)와 렌즈모듈(200)은 캐리어(300) 내에서 제2 방향으로 함께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흔들림 보정부는 흔들림 보정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마그네트(810a, 830a)와 복수의 코일(810b, 830b)을 포함한다. 그리고, 렌즈모듈(200)의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의 위치를 센싱하도록 복수의 위치센서(810c, 830c), 가령, 홀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마그네트(810a, 830a)와 복수의 코일(810b, 830b) 중에서, 일부의 마그네트(810a)와 일부의 코일(810b)은 제1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제1 방향으로의 구동력을 발생시키고, 나머지 마그네트(830a)와 나머지 코일(830b)은 제2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제2 방향으로의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복수의 마그네트(810a, 830a)는 렌즈모듈(200)에 장착되고, 복수의 마그네트(810a, 830a)와 마주보는 복수의 코일(810b, 830b) 및 복수의 위치센서(810c, 830c)는 하우징(110)에 고정된다. 일 예로, 복수의 코일(810b, 830b) 및 복수의 위치센서(810c, 830c)는 기판(900)에 구비되며, 기판(900)은 하우징(110)에 장착된다.
복수의 마그네트(810a, 830a)는 렌즈모듈(200)과 함께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부재이고, 복수의 코일(810b, 830b) 및 복수의 위치센서(810c, 830c)는 하우징(110)에 고정된 고정부재이다.
한편, 본 발명에는 가이드부(400) 및 렌즈모듈(200)을 지지하는 볼 부재(c)가 제공된다. 볼 부재(c)는 흔들림 보정 과정에서 가이드부(400) 및 렌즈모듈(200)을 가이드하는 기능을 한다.
볼 부재(c)는 캐리어(300)와 가이드부(400) 사이, 캐리어(300)와 렌즈모듈(200) 사이 및 가이드부(400)와 렌즈모듈(20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방향으로의 구동력이 발생한 경우에, 캐리어(300)와 가이드부(400) 사이 및, 캐리어(300)와 렌즈모듈(200) 사이에 배치된 볼 부재(c)가 제1 방향으로 구름운동한다. 이에 따라, 볼 부재(c)는 가이드부(400)와 렌즈모듈(200)의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또한, 제2 방향으로의 구동력이 발생한 경우에, 가이드부(400)와 렌즈모듈(200) 사이 및, 캐리어(300)와 렌즈모듈(200) 사이에 배치된 볼 부재(c)가 제2 방향으로 구름운동한다. 이에 따라, 볼 부재(c)는 렌즈모듈(200)의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렌즈모듈(200)과 캐리어(300)는 하우징(110)에 수용된다. 일 예로, 하우징(110)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형상이며,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 렌즈모듈(200)과 캐리어(300)가 수용된다.
하우징(110)의 하부에는 이미지 센서가 탑재된 인쇄회로기판이 배치될 수 있다.
케이스(120)는 하우징(110)의 외부면을 감싸도록 하우징(110)과 결합하며, 카메라 모듈의 내부 구성부품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케이스(120)는 전자파를 차폐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일 예로, 카메라 모듈에서 발생된 전자파가 휴대가능한 전자기기 내의 다른 전자부품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케이스(120)가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다.
또한, 휴대가능한 전자기기에는 카메라 모듈 이외에 여러 전자부품이 장착되므로, 이러한 전자부품에서 발생된 전자파가 카메라 모듈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케이스(120)가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다.
케이스(120)는 금속재질로 제공되어 인쇄회로기판에 구비되는 접지패드에 접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다.
조리개모듈(500)은 렌즈모듈(200)에 입사되는 광의 입사량을 선택적으로 변경하도록 구성된 장치이다.
일 예로, 조리개모듈(500)에는 서로 다른 사이즈를 갖는 복수의 입사공이 구비될 수 있다. 촬영 환경에 따라 복수의 입사공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빛이 입사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모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a 및 도 5b는 빛이 입사되는 입사공의 직경이 변화하는 모습을 도시한 조리개모듈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요크와 구동 마그네트의 위치관계를 도시한 참고도이고, 도 7a 내지 도 7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요크가 돌출부에 결합되는 다양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조리개모듈(500)은 렌즈모듈(200)과 결합하며, 렌즈모듈(200)에 입사되는 광의 입사량을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고조도 환경에서는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빛이 렌즈모듈(200)에 입사되도록 할 수 있고, 저조도 환경에서는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빛이 렌즈모듈(200)에 입사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조도 조건에서도 이미지의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조리개모듈(500)은 렌즈모듈(200)과 결합하여 렌즈모듈(200)과 함께 광축 방향,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초점 조정 및 흔들림 보정 시에 렌즈모듈(200)과 조리개모듈(500)이 함께 움직이도록 함으로써 이들 사이의 거리가 변하지 않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조리개모듈(500)은 베이스(510), 제1 블레이드(530), 제2 블레이드(540) 및 조리개 구동부(마그네트부(520) 및 코일(950) 포함)를 포함한다. 또한, 베이스(510), 제1 블레이드(530) 및 제2 블레이드(540)를 커버하고 광이 입사하는 관통홀(551)을 구비하는 커버(5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블레이드(530)에는 제1 관통홀(531)이 구비되고, 제2 블레이드(540)에는 제2 관통홀(541)이 구비된다. 그리고, 제1 블레이드(530) 및 제2 블레이드(540)는 상호 접촉된 상태로 미끄럼 이동하게 되므로 마찰전기가 발생하지 않도록 대전방지 처리가 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제1 블레이드(530)에는 제1 가이드홀(533) 및 제3 가이드홀(535)이 구비되고, 제2 블레이드(540)에는 제2 가이드홀(543) 및 제4 가이드홀(545)이 구비된다.
제1 가이드홀(533)과 제2 가이드홀(543)은 둥근 형상으로 구비되고, 제3 가이드홀(535)과 제4 가이드홀(545)은 일방향으로 길이가 긴 형상으로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가이드홀(535)과 제4 가이드홀(545)의 경사 방향은 서로 반대일 수 있다.
제1 관통홀(531)과 제2 관통홀(541)은 직경이 다른 복수의 관통홀(531a, 531b)(541a, 541b)이 서로 연결된 형상일 수 있다. 제1 관통홀(531)과 제2 관통홀(541)은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관통홀(531a, 541a)과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관통홀(531b, 541b)이 서로 연결된 형상일 수 있다. 일 예로, 제1 관통홀(531)은 전체적으로 호리병(또는 오뚜기) 모양일 수 있으며, 관통홀(531a, 531b, 541a, 541b)은 둥근 형상 또는 다각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제1 관통홀(531)과 제2 관통홀(541)의 형상은 서로 반대일 수 있다. 즉, 제1 블레이드(530) 및 제2 블레이드(540)는 제1 가이드홀(533)과 제2 가이드홀(543)이 모두 제1 돌기부(513)에 끼워진 상태로 제1 돌기부(513)을 중심축으로 회전운동을 하게 되는데, 이를 고려할 때, 제1 관통홀(531)과 제2 관통홀(541)은 원주 방향으로 대략 대칭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제1 블레이드(530)와 제2 블레이드(540)는 광축 방향으로 일 부분이 서로 중첩되도록 베이스(510)에 결합되며, 조리개 구동부에 의해 각각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일 예로, 제1 블레이드(530)와 제2 블레이드(540)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관통홀(531)과 제2 관통홀(541)의 일부는 광축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관통홀(531)과 제2 관통홀(541)의 일부가 광축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어 빛이 통과하는 입사공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관통홀(531)과 제2 관통홀(541)은 일부가 중첩되어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복수의 입사공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관통홀(531)과 제2 관통홀(541)의 일부가 중첩되어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입사공을 형성할 수 있고, 제1 관통홀(531)과 제2 관통홀(541)의 일부가 중첩되어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입사공을 형성할 수 있다(입사공은 제1 관통홀(531) 및 제2 관통홀(541)의 형상에 따라 둥근 형상 또는 다각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따라서, 촬영 환경에 따라 복수의 입사공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빛이 입사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조리개 구동부에 의해 제1 블레이드(530)와 제2 블레이드(540)가 제1 돌기부(513)를 축으로 하여 회전 이동되며, 제1 관통홀(531)과 제2 관통홀(541)의 일부가 서로 중첩되어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입사공을 형성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조리개 구동부에 의해 제1 블레이드(530)와 제2 블레이드(540)가 제1 돌기부(513)를 축으로 하여 회전 이동되며, 제1 관통홀(531)과 제2 관통홀(541)의 일부가 서로 중첩되어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입사공을 형성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조리개 구동부는 일 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베이스(510)에 배치된 마그네트부(520) 및 마그네트부(520)와 대향하도록 하우징(110)에 고정된 코일(950를 포함한다. 코일(950)은 기판(900)에 구비되며, 기판(900)은 하우징(110)에 고정된다. 기판(900)은 카메라 모듈(1000)의 바닥에 부착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마그네트부(520)는 베이스(510)와 함께 광축 방향,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재이고, 코일(950)은 하우징(110)에 고정된 고정부재이다.
조리개모듈(50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코일(950)이 조리개모듈(500)의 외측, 즉 카메라 모듈의 하우징(110)에 배치되므로, 조리개모듈(500)의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조리개모듈(50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코일(950)이 고정부재로 제공되므로, 자동 초점 조정 또는 손떨림 보정 구동 시에 코일(950)은 움직이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조리개모듈(500)의 채용에 따른 렌즈모듈(200)의 무게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조리개모듈(50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코일(950)이 고정부재인 하우징(110)에 배치되어 인쇄회로기판(6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자동 초점 조정 및 흔들림 보정 시에 렌즈모듈(200)과 조리개모듈(500)이 움직이더라도 조리개 구동부의 코일(950)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자동 초점 조정 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베이스(510)에는 마그네트부(520)가 배치되는 돌출부(512)가 구비된다. 돌출부(512)는 베이스(510)로부터 광축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돌출부(512)는 마그네트부(520)가 안착되기 용이하도록 사각의 프레임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마그네트부(520)는 코일(950)과 마주보게 배치된 마그네트(521a) 및 마그네트(521a)가 부착된 마그네트 홀더(522)를 포함한다. 마그네트(521a)는 코일(950)과 광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구비된다.
마그네트부(520)는 베이스(510)의 돌출부(512)와 결합된다. 그리고, 돌출부(512)에는 마그네트(521a)에 대향하는 위치에 요크(515)가 구비될 수 있다. 요크(515)와 마그네트(521a) 사이의 인력에 의해 마그네트부(520)가 돌출부(512)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미끄럼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마그네트부(520)는 광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마그네트부(520)의 이동에 따라 제1 및 제2 블레이드(530, 540)가 회전하여 입사공의 사이즈를 변경시킬 수 있다. 이에, 마그네트부(520)가 광축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돌출부(512)의 일측 단부로 이동하면 입사공의 사이즈가 크거나 작은 것으로 변경되며, 이 상태로 마그네트부(520)가 돌출부(512)의 일측 단부에 고정된 상태가 유지되어야 한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크(515)와 마그네트(521a)의 위치관계를 구현하여 마그네트부(520)가 돌출부(512)의 일측 단부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요크(515)의 형상을 특정하게 구현하여 마그네트부(520)가 돌출부(512)의 양쪽 단부에 밀착 고정이 용이하게 한다.
도 6을 참고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요크(515)는 중앙부가 양쪽 단부보다 폭이 좁게 구비되며, 이에 따라 요크(515)의 양쪽 단부가 중앙부보다 면적이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마그네트부(520)에 구동력이 가해지기 전에는 마그네트(521a)의 대략 중심이 요크(515)의 대략 중심과 마주보도록 배치할 수 있다. 그리고, 코일(950)에 전원이 공급되면 마그네트(521a)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마그네트부(520)가 돌출부(512)의 일측 또는 타측 단부로 이동하며, 이 상태에서는 요크(515) 중 어느 일측과 더 가까운 상태가 되므로 요크(515)의 일측 단부 쪽과의 사이에서 작용하는 인력이 타측 단부 쪽과의 사이에서 작용하는 인력보다 크게 형성되어 코일(950)에 전원 공급을 중단하더라도 마그네트부(520)가 돌출부(512)의 일측 단부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마그네트부(520)가 일측 단부에 고정이 용이하도록, 요크(515)의 양쪽 단부에는 각각 마그네트(521a) 방향으로 돌출되는 홀딩부(515a)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요크(515)는 마그네트(521a)보다 길이가 길게 구비될 수 있고, 홀딩부(515a)가 마그네트(521a)의 양쪽 측면과 마주보게 돌출될 수 있다.
아울러, 요크(515)의 성능 극대화를 위해, 요크(515)는 광축 방향으로 상기 구동 마그네트의 중간 부분을 가로지르게 구비되고, 요크(515)의 대략 중간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 직경이 작게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요크(515)는 양쪽 단부에 광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연장부(515b)를 각각 구비할 수 있고, 제1 연장부(515b)는 마그네트(521a)의 하단부보다 더 길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연장부(515b)의 단부에는 마그네트(521a)의 하면과 마주보도록 돌출되는 제2 연장부(515c)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도 7a 내지 도 7c를 참고하면, 요크(515)는 홀딩부(515a)가 돌출부(512)의 양쪽 단부의 내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구비되거나(도 7a), 요크(515)는 홀딩부(515a)가 돌출부(512)의 양쪽 단부의 외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구비되거나(도 7b), 요크(515)는 홀딩부(515a)가 돌출부(512)의 내부에 몰딩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도 7c).
그리고, 마그네트부(520)의 미끄럼 이동이 용이하도록 베이스(510)에는 마그네트부(520)를 지지하는 로드부재(516)가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마그네트부(520)에는 로드부재(516)가 끼워지도록 삽입홈(525)이 구비될 수 있다.
로드부재(516)는 미끄럼 이동이 용이하도록 둥근 막대 형상일 수 있고, 삽입홈(525)은 마찰력 저감을 위해 로드부재(516)와 선접촉하도록 로드부재(516)보다 직경이 작은 원주형으로 구비되거나, 도시는 생략하지만 다각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로드부재(516)만 마그네트부(520)와 접촉하는 경우에는 마그네트부(520)의 고정이 불안정하여 틸팅(기울임)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점에서, 추가로 로드부재(516)와 이격되는 부분에 지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가령, 돌출부(512)의 단부에는 로드부재(516)와 대략 나란하게 가이드 블레이드(517)가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510)에는 제1 블레이드(530)의 제1 가이드홀(533)과 제2 블레이드(540)의 제2 가이드홀(543)을 동시에 관통하는 제1 돌기부(513)가 구비된다. 그리고, 제1 블레이드(530)와 제2 블레이드(540)는 제1 돌기부(513)를 축으로 회전운동한다.
그리고, 마그네트 홀더(522)에는 제1 블레이드(530)와 제2 블레이드(540)를 관통하는 제2 돌기부(523)가 구비된다.
제2 돌기부(523)는 제1 블레이드(530)의 제3 가이드홀(535)과 제2 블레이드(540)의 제4 가이드홀(545)을 통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3 가이드홀(535)과 제4 가이드홀(545)은 마그네트부(520)의 이동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3 가이드홀(535)과 제4 가이드홀(545)의 경사진 방향은 서로 반대일 수 있다.
따라서, 마그네트부(520)가 일 축을 따라 이동될 때, 제2 돌기부(523)는 제3 가이드홀(535) 및 제4 가이드홀(545) 내에서 이동될 수 있으며, 제2 돌기부(523)의 이동에 따라 제1 블레이드(530) 및 제2 블레이드(540)가 마그네트부(520)를 향하여 이동되거나 마그네트부(520)로부터 멀어지게 이동될 수 있다(도 5a 및 도 5b 참조).
이상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조리개모듈을 통해 광의 입사량을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고, 조리개모듈을 장착하더라도 자동 초점 조정 기능의 성능이 저하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조리개모듈의 채용에 따른 무게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10: 하우징
120: 케이스
200: 렌즈모듈
300: 캐리어
400: 가이드부
500: 조리개모듈
120: 케이스
200: 렌즈모듈
300: 캐리어
400: 가이드부
500: 조리개모듈
Claims (11)
- 렌즈모듈의 상부에 고정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구비되는 복수의 블레이드; 및
상기 베이스에 광축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구동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마그네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베이스에 고정 구비되며 상기 구동 마그네트와 대향하게 배치되는 요크를 포함하며,
상기 요크는 양쪽 단부에 상기 구동 마그네트 방향으로 돌출되는 홀딩부가 구비되는 조리개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는 상기 구동 마그네트보다 길이가 더 길게 구비되는 조리개모듈.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기 구동 마그네트의 측면과 마주보도록 구비되는 조리개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는 광축 방향으로 상기 구동 마그네트의 중간 부분을 가로지르게 구비되고,
상기 요크의 중간 부분은 다른 부분보다 직경이 작게 구비되는 조리개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는 광축 방향으로 상기 구동 마그네트의 중간 부분을 가로지르게 구비되고,
상기 요크는 양쪽 단부에 광축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 연장부를 각각 구비하는 조리개모듈.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의 상기 제1 연장부는 상기 구동 마그네트의 하단부보다 더 길게 구비되고,
상기 제1 연장부의 단부에는 상기 구동 마그네트의 하면과 마주보도록 돌출되는 제2 연장부를 구비하는 조리개모듈.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렌즈모듈의 외측을 따라 광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조리개모듈.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부는 상기 돌출부에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조리개모듈.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부는 상기 돌출부의 내부에 몰딩되는 조리개모듈.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부는 상기 돌출부의 외부로 노출되게 부착되는 조리개모듈. - 렌즈모듈을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렌즈모듈의 상부에 결합하는 조리개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조리개모듈은, 상기 렌즈모듈의 상부에 고정되고 상기 렌즈모듈의 외측을 따라 광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렌즈모듈에 입사되는 광량을 변경하도록 입사공을 갖는 복수의 블레이드; 및 상기 돌출부에 광축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구동 마그네트를 구비하는 마그네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에는 상기 구동 마그네트와 대향하게 요크가 구비되고, 상기 요크는 양쪽 단부에 상기 구동 마그네트 방향으로 돌출되는 홀딩부가 구비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마그네트와 상호작용하여 상기 조리개모듈을 구동하는 코일이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65791A KR102559342B1 (ko) | 2018-06-08 | 2018-06-08 | 조리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US16/196,244 US10564516B2 (en) | 2018-06-08 | 2018-11-20 | Iris modul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
CN201910237258.6A CN110579926B (zh) | 2018-06-08 | 2019-03-27 | 光阑模块及包括该光阑模块的相机模块 |
CN201920402307.2U CN210051991U (zh) | 2018-06-08 | 2019-03-27 | 光阑模块及包括该光阑模块的相机模块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65791A KR102559342B1 (ko) | 2018-06-08 | 2018-06-08 | 조리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139394A KR20190139394A (ko) | 2019-12-18 |
KR102559342B1 true KR102559342B1 (ko) | 2023-07-25 |
Family
ID=68764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65791A KR102559342B1 (ko) | 2018-06-08 | 2018-06-08 | 조리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10564516B2 (ko) |
KR (1) | KR102559342B1 (ko) |
CN (2) | CN110579926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58710B1 (ko) * | 2018-06-08 | 2020-09-22 | 삼성전기주식회사 | 카메라 모듈 |
KR102559342B1 (ko) * | 2018-06-08 | 2023-07-25 | 삼성전기주식회사 | 조리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KR102194709B1 (ko) * | 2018-08-28 | 2020-12-23 | 삼성전기주식회사 | 카메라 모듈 |
KR102185053B1 (ko) * | 2019-01-29 | 2020-12-01 | 삼성전기주식회사 | 조리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KR102248523B1 (ko) * | 2019-06-28 | 2021-05-06 | 삼성전기주식회사 | 조리개모듈 |
KR102313877B1 (ko) * | 2020-06-30 | 2021-10-18 | 자화전자(주) | 아이리스 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TWI804212B (zh) | 2022-02-25 | 2023-06-01 |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 可控光圈、微型相機模組與電子裝置 |
TWI814457B (zh) | 2022-05-26 | 2023-09-01 |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 通光孔模組、相機模組與電子裝置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59395B1 (ko) | 2015-07-15 | 2016-09-23 | 마이크로엑츄에이터(주) | 카메라 모듈에 사용되는 필터전환 장치 및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427758B2 (en) * | 2003-05-28 | 2008-09-23 | Opto-Knowledge Systems, Inc. | Cryogenically cooled adjustable apertures for infra-red cameras |
JP4317411B2 (ja) * | 2003-09-17 | 2009-08-19 |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 カメラ用羽根駆動装置 |
KR100881726B1 (ko) | 2007-03-13 | 2009-02-06 | 자화전자(주) | 카메라용 셔터장치 |
KR20090107315A (ko) * | 2008-04-08 | 2009-10-13 | (주)캠톤 | 카메라용 셔터장치 |
KR101128149B1 (ko) * | 2009-11-23 | 2012-03-23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셔터 장치 |
KR101635783B1 (ko) | 2014-06-02 | 2016-07-04 | 성우전자 주식회사 | 카메라용 조리개 장치 |
CN107250907B (zh) * | 2015-02-27 | 2020-05-22 | 日本电产科宝株式会社 | 叶片驱动装置 |
KR101795553B1 (ko) * | 2015-03-16 | 2017-11-09 | 마이크로엑츄에이터(주) | 필터전환 장치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모바일 기기 |
US10506146B2 (en) * | 2017-08-18 | 2019-12-10 |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 Camera Module |
KR102559342B1 (ko) * | 2018-06-08 | 2023-07-25 | 삼성전기주식회사 | 조리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
2018
- 2018-06-08 KR KR1020180065791A patent/KR10255934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8-11-20 US US16/196,244 patent/US10564516B2/en active Active
-
2019
- 2019-03-27 CN CN201910237258.6A patent/CN110579926B/zh active Active
- 2019-03-27 CN CN201920402307.2U patent/CN210051991U/zh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59395B1 (ko) | 2015-07-15 | 2016-09-23 | 마이크로엑츄에이터(주) | 카메라 모듈에 사용되는 필터전환 장치 및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0579926A (zh) | 2019-12-17 |
KR20190139394A (ko) | 2019-12-18 |
US20190377239A1 (en) | 2019-12-12 |
CN210051991U (zh) | 2020-02-11 |
CN110579926B (zh) | 2022-02-25 |
US10564516B2 (en) | 2020-02-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559342B1 (ko) | 조리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
CN109413306B (zh) | 相机模块 | |
KR102297281B1 (ko) | 조리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
KR102104453B1 (ko) | 카메라 모듈 | |
CN210051989U (zh) | 相机模块 | |
US10893178B2 (en) | Camera module | |
KR102139766B1 (ko) | 조리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
KR102248523B1 (ko) | 조리개모듈 | |
KR102069631B1 (ko) | 카메라 모듈 | |
KR102158710B1 (ko) | 카메라 모듈 | |
KR102194708B1 (ko) | 조리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
KR102194709B1 (ko) | 카메라 모듈 | |
KR20200144259A (ko) | 조리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
KR102163058B1 (ko) | 카메라 모듈 | |
KR102213980B1 (ko) | 조리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
CN221101227U (zh) | 光圈模块和具有光圈模块的相机模块 | |
KR20240105165A (ko) | 조리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
US20240219810A1 (en) | Camera module with an iris module | |
KR20200022303A (ko) | 조리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