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3058B1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3058B1
KR102163058B1 KR1020170105049A KR20170105049A KR102163058B1 KR 102163058 B1 KR102163058 B1 KR 102163058B1 KR 1020170105049 A KR1020170105049 A KR 1020170105049A KR 20170105049 A KR20170105049 A KR 20170105049A KR 102163058 B1 KR102163058 B1 KR 102163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coil
housing
aperture
optical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5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9586A (ko
Inventor
박철진
임수철
이중석
서상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US15/914,578 priority Critical patent/US10893178B2/en
Priority to CN201810460804.8A priority patent/CN108933886B/zh
Priority to CN201820722660.4U priority patent/CN208581281U/zh
Priority to US16/115,611 priority patent/US10848656B2/en
Publication of KR20180129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95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3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3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9/00Exposure-making shutters; Diaphragms
    • G03B9/02Diaphrag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7/00Control of exposure by setting shutters, diaphragms or filters, separately or conjointly
    • G03B7/08Control effected solely on the basis of the response, to the intensity of the light received by the camera, of a built-in light-sensitive device
    • G03B7/081Analogue circuits
    • G03B7/085Analogue circuits for control of apertur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2Details of arrangement of components in or on camera bod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광축 방향으로 적층되는 복수의 렌즈를 구비하는 렌즈 모듈; 복수개의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조리개 모듈; 및 상기 복수개의 플레이트에 의해 복수개의 크기가 다른 입사공이 형성되게 상기 복수개의 플레이트를 구동하는 조리개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리개 구동부는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코일; 및 상기 코일에 대향하게 구비되는 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마그네트는 광축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코일에 대해 직선으로 상대 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스마트 폰을 비롯하여 태블릿 PC, 노트북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에 카메라 모듈이 기본적으로 채용되고 있다.
일반적인 디지털 카메라의 경우 촬영 환경에 따라 광의 입사량을 변화시키도록 기계식 조리개를 구비하고 있으나, 휴대용 전자기기와 같이 소형 제품에 이용되는 카메라 모듈의 경우에는 조리개를 별도로 구비하기 어렵다.
일 예로, 조리개를 구동시키기 위한 여러 부품들로 인하여 카메라 모듈의 무게가 무거워져 자동 초점 조정(Auto Focus) 기능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조리개 자체에 조리개 구동을 위한 회로 연결부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자동 초점 조정 시에 렌즈의 상하 이동에 따라 회로 연결부에 장력이 작용하여 자동 초점 조정 기능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목적은, 조리개 모듈을 통해 광의 입사량을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하고, 조리개 모듈을 장착하더라도 자동 초점 조정 기능의 성능이 저하되지 않도록 구성한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조리개 모듈의 채용에 따른 무게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광축 방향으로 적층되는 복수의 렌즈를 구비하는 렌즈 모듈; 복수개의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조리개 모듈; 및 상기 복수개의 플레이트에 의해 복수개의 크기가 다른 입사공이 형성되게 상기 복수개의 플레이트를 구동하는 조리개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리개 구동부는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코일; 및 상기 코일에 대향하게 구비되는 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마그네트는 광축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코일에 대해 직선으로 상대 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는 렌즈 모듈; 및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조리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는, 상기 렌즈 모듈을 광축 방향에 수직하는 제1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OIS구동코일, 상기 렌즈 모듈을 광축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하는 제2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OIS구동코일, 상기 렌즈 모듈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AF구동코일, 및 상기 조리개 모듈의 상기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하는 조리개구동코일이 구비되고, 상기 렌즈 모듈 및 상기 조리개 모듈은 광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구비되는 이동부이고, 상기 제1 OIS구동코일, 상기 제2 OIS구동코일, 상기 AF구동코일 및 상기 조리개구동코일은 상기 이동부에 상대적으로 고정되어 있는 고정부로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조리개 모듈을 통해 광의 입사량을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고, 조리개 모듈을 장착하더라도 자동 초점 조정 기능의 성능이 저하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조리개 모듈의 채용에 따른 무게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조리개 모듈에 구비되는 제1 플레이트의 평면도이고,
도 6은 조리개 모듈에 구비되는 제2 플레이트의 평면도이고,
도 7a 및 도 7b는 빛이 입사되는 입사공의 직경이 변화하는 모습을 도시한 조리개 모듈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 모듈의 측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조리개 모듈에 구비되는 제1 플레이트의 평면도이고,
도 12는 조리개 모듈에 구비되는 제2 플레이트의 평면도이고,
도 13a 및 도 13b는 빛이 입사되는 입사공의 직경이 변화하는 모습을 도시한 카메라 모듈의 평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또는 삭제 등을 통하여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이동 통신 단말기, 스마트 폰, 태블릿 PC 등의 휴대가능한 전자기기에 장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렌즈 모듈(200), 캐리어(300), 가이드부(400), 조리개 모듈(500), 하우징(110) 및 케이스(120)를 포함한다.
렌즈 모듈(200)은 피사체를 촬영하는 복수의 렌즈를 구비하는 렌즈 배럴(210) 및 렌즈 배럴(210)과 결합하는 홀더(22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광축을 따라 렌즈 배럴(210)의 내부에 배치된다.
렌즈 모듈(200)은 캐리어(300)에 수용된다.
렌즈 모듈(200)은 초점 조정을 위해 광축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된다.
일 예로, 초점 조정부에 의해 렌즈 모듈(200)은 캐리어(300)와 함께 광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초점 조정부는 광축 방향으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마그네트(710)와 코일(730)을 포함한다.
마그네트(710)는 캐리어(300)에 장착된다. 일 예로, 마그네트(710)는 캐리어(300)의 일면에 장착될 수 있다.
코일(730)은 하우징(110)에 장착된다. 일 예로, 코일(730)은 마그네트(710)와 마주보도록 하우징(110)에 고정될 수 있다. 코일(730)은 기판(900)에 구비될 수 있으며, 기판(900)은 하우징(110)에 장착될 수 있다.
마그네트(710)는 캐리어(300)에 장착되어 캐리어(300)와 함께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재이고, 코일(730)은 하우징(110)에 고정된 고정부재이다.
코일(730)에 전원이 인가되면, 마그네트(710)와 코일(730) 사이의 전자기적 영향력에 의하여 캐리어(300)를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캐리어(300)에는 렌즈 모듈(200)이 수용되므로, 캐리어(300)의 이동에 의해 렌즈 모듈(200)도 캐리어(300)와 함께 광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캐리어(300)가 이동될 때, 캐리어(300)와 하우징(110) 사이의 마찰을 저감하도록 캐리어(300)와 하우징(110) 사이에 구름부재(B)가 배치된다. 구름부재(B)는 볼 형태일 수 있다.
구름부재(B)는 마그네트(710)(또는 코일(730))의 양측에 배치된다.
기판(900)에는 요크가 장착된다. 일 예로, 요크는 코일(730)을 사이에 두고 마그네트(710)와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요크와 마그네트(710) 사이에는 광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인력이 작용한다.
따라서, 요크와 마그네트(710) 사이의 인력에 의해 구름부재(B)는 캐리어(300) 및 하우징(110)과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요크는 마그네트(710)의 자기력이 집속되도록 하는 기능도 한다. 이에 따라, 누설 자속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요크와 마그네트(710)는 자기 회로(Magnetic circuit)를 형성한다.
한편, 사용자의 손떨림 등의 요인에 의한 이미지의 흔들림을 보정하기 위하여, 렌즈 모듈(200)은 광축에 수직한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흔들림 보정부는 사용자의 손떨림 등에 의해 영상 촬영 시 흔들림이 발생할 때, 흔들림에 대응하는 상대변위를 렌즈 모듈(200)에 부여함으로써 흔들림을 보상한다.
캐리어(300)에는 가이드부(400)가 수용된다. 또한, 가이드부(400)와 렌즈 모듈(200)은 캐리어(300) 내에 삽입된다. 렌즈 모듈(200)이 광축에 수직한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이동될 때, 가이드부(400)가 렌즈 모듈(200)을 가이드하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 가이드부(400)와 렌즈 모듈(200)은 캐리어(300) 내에서 제1 방향으로 함께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렌즈 모듈(200)은 가이드부(400)에 대하여 제2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흔들림 보정부는 흔들림 보정을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복수의 마그네트(810a, 830a)와 복수의 코일(810b, 830b)을 포함한다.
복수의 마그네트(810a, 830a)와 복수의 코일(810b, 830b) 중에서, 일부의 마그네트(810a)와 일부의 코일(810b)은 제1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제1 방향으로의 구동력을 발생시키고, 나머지 마그네트(830a)와 나머지 코일(830b)은 제2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제2 방향으로의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복수의 마그네트(810a, 830a)는 렌즈 모듈(200)에 장착되고, 복수의 마그네트(810a, 830a)와 마주보는 복수의 코일(810b, 830b)은 하우징(110)에 고정된다. 일 예로, 복수의 코일(810b, 830b)은 기판(900)에 구비되며, 기판(900)은 하우징(110)에 장착된다.
복수의 마그네트(810a, 830a)는 렌즈 모듈(200)과 함께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부재이고, 복수의 코일(810b, 830b)은 하우징(110)에 고정된 고정부재이다.
한편, 본 발명에는 가이드부(400) 및 렌즈 모듈(200)을 지지하는 볼 부재가 제공된다. 볼 부재는 흔들림 보정 과정에서 가이드부(400) 및 렌즈 모듈(200)을 가이드하는 기능을 한다.
볼 부재는 캐리어(300)와 가이드부(400) 사이, 캐리어(300)와 렌즈 모듈(200) 사이 및 가이드부(400)와 렌즈 모듈(20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방향으로의 구동력이 발생한 경우에, 캐리어(300)와 가이드부(400) 사이 및, 캐리어(300)와 렌즈 모듈(200) 사이에 배치된 볼 부재가 제1 방향으로 구름운동한다. 이에 따라, 볼 부재는 가이드부(400)와 렌즈 모듈(200)의 제1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또한, 제2 방향으로의 구동력이 발생한 경우에, 가이드부(400)와 렌즈 모듈(200) 사이 및, 캐리어(300)와 렌즈 모듈(200) 사이에 배치된 볼 부재가 제2 방향으로 구름운동한다. 이에 따라, 볼 부재는 렌즈 모듈(200)의 제2 방향으로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렌즈 모듈(200)과 캐리어(300)는 하우징(110)에 수용된다.
일 예로, 하우징(110)은 상부와 하부가 개방된 형상이며, 하우징(110)의 내부 공간에 렌즈 모듈(200)과 캐리어(300)가 수용된다.
하우징(110)의 하부에는 이미지 센서가 탑재된 인쇄회로기판(600)이 배치된다.
케이스(120)는 하우징(110)의 외부면을 감싸도록 하우징(110)과 결합하며, 카메라 모듈의 내부 구성부품을 보호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케이스(120)는 전자파를 차폐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일 예로, 카메라 모듈에서 발생된 전자파가 휴대가능한 전자기기 내의 다른 전자부품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케이스(120)가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다.
또한, 휴대가능한 전자기기에는 카메라 모듈 이외에 여러 전자부품이 장착되므로, 이러한 전자부품에서 발생된 전자파가 카메라 모듈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케이스(120)가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다.
케이스(120)는 금속재질로 제공되어 인쇄회로기판(600)에 구비되는 접지패드에 접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다.
조리개 모듈(500)은 렌즈 모듈(200)에 입사되는 광의 입사량을 선택적으로 변경하도록 구성된 장치이다.
일 예로, 조리개 모듈(500)에는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복수의 입사공이 구비될 수 있다. 촬영 환경에 따라 복수의 입사공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빛이 입사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조리개 모듈에 구비되는 제1 플레이트의 평면도이며, 도 6은 조리개 모듈에 구비되는 제2 플레이트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7a 및 도 7b는 빛이 입사되는 입사공의 직경이 변화하는 모습을 도시한 조리개 모듈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 모듈의 측면도이다.
조리개 모듈(500)은 렌즈 모듈(200)과 결합하며, 렌즈 모듈(200)에 입사되는 광의 입사량을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고조도 환경에서는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빛이 렌즈 모듈(200)에 입사되도록 할 수 있고, 저조도 환경에서는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빛이 렌즈 모듈(200)에 입사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조도 조건에서도 이미지의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조리개 모듈(500)은 렌즈 모듈(200)과 결합하여 렌즈 모듈(200)과 함께 광축 방향,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초점 조정 시 및 흔들림 보정 시에 렌즈 모듈(200)과 조리개 모듈(500) 사이의 거리가 변하지 않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조리개 모듈(500)은 베이스(510), 제1 플레이트(530), 제2 플레이트(540) 및 조리개 구동부를 포함한다. 또한, 베이스(510), 제1 플레이트(530) 및 제2 플레이트(540)를 커버하도록 구성된 커버(5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 및 6을 참조하면, 제1 플레이트(530)에는 제1 관통홀(531)이 구비되고, 제2 플레이트(540)에는 제2 관통홀(541)이 구비된다.
또한, 제1 플레이트(530)에는 제1 가이드홀(533) 및 제3 가이드홀(535)이 구비되고, 제2 플레이트(540)에는 제2 가이드홀(543) 및 제4 가이드홀(545)이 구비된다.
제1 가이드홀(533)은 제3 가이드홀(535)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고, 제2 가이드홀(543)은 제4 가이드홀(545)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가이드홀(533)과 제2 가이드홀(543)의 경사 방향은 서로 반대일 수 있다.
제1 관통홀(531)은 직경이 다른 복수의 관통홀이 서로 연결된 형상일 수 있다. 제1 관통홀(531)은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관통홀과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관통홀이 서로 연결된 형상일 수 있다. 일 예로, 제1 관통홀(531)은 전체적으로 호리병 모양일 수 있다.
제2 관통홀(541)은 직경이 다른 복수의 관통홀이 서로 연결된 형상일 수 있다. 제2 관통홀(541)은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관통홀과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관통홀이 서로 연결된 형상일 수 있다. 일 예로, 제2 관통홀(541)은 전체적으로 호리병 모양일 수 있다.
또한, 제1 관통홀(531)의 형상과 제2 관통홀(541)의 형상은 서로 반대일 수 있다.
제1 플레이트(530)와 제2 플레이트(540)는 광축 방향으로 일 부분이 서로 중첩되도록 베이스(510)에 결합되며, 조리개 구동부에 의해 각각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일 예로, 제1 플레이트(530)와 제2 플레이트(540)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직선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관통홀(531)과 제2 관통홀(541)의 일부는 광축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관통홀(531)과 제2 관통홀(541)의 일부가 광축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어 빛이 통과하는 입사공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관통홀(531)과 제2 관통홀(541)은 일부가 중첩되어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복수의 입사공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관통홀(531)과 제2 관통홀(541)의 일부가 중첩되어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입사공을 형성할 수 있고, 제1 관통홀(531)과 제2 관통홀(541)의 일부가 중첩되어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입사공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촬영 환경에 따라 복수의 입사공 중 어느 하나를 통해 빛이 입사되도록 할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조리개 구동부에 의해 제1 플레이트(530)와 제2 플레이트(540)가 이동되며, 제1 관통홀(531)과 제2 관통홀(541)의 일부가 서로 중첩되어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입사공을 형성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조리개 구동부에 의해 제1 플레이트(530)와 제2 플레이트(540)가 이동되며, 제1 관통홀(531)과 제2 관통홀(541)의 일부가 서로 중첩되어 상대적으로 직경이 큰 입사공을 형성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조리개 구동부는 일 축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베이스(510)에 배치된 마그네트부(520) 및 마그네트부(520)와 대향하도록 하우징(110)에 고정된 코일(521b)를 포함한다.
코일(521b)은 기판(900)에 구비되며, 기판(900)은 하우징(110)에 고정된다. 기판(900)은 인쇄회로기판(6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마그네트부(520)는 베이스(510)와 함께 광축 방향, 제1 방향 및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재이고, 코일(521b)은 하우징(110)에 고정된 고정부재이다.
조리개 모듈(50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코일(521b)이 조리개 모듈(500)의 외측, 즉 카메라 모듈의 하우징(110)에 배치되므로, 조리개 모듈(500)의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다시 말해, 조리개 모듈(50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코일(521b)이 고정부재로 제공되므로, 자동 초점 조정 시에 코일(521b)은 움직이지 않게 되고, 이에 따라 조리개 모듈(500)의 채용에 따른 렌즈 모듈(200)의 무게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조리개 모듈(50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코일(521b)이 고정부재인 하우징(110)에 배치되어 인쇄회로기판(60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므로, 자동 초점 조정 및 흔들림 보정 시에 렌즈 모듈(200)과 조리개 모듈(500)이 움직이더라도 조리개 구동부의 코일(521b)에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자동 초점 조정 기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베이스(510)에는 마그네트부(520)가 배치되는 돌출부(512)가 구비된다. 돌출부(512)는 베이스(510)로부터 광축 방향으로 연장된 형상일 수 있다.
마그네트부(520)는 코일(521b)과 마주보게 배치된 마그네트(521a) 및 마그네트(521a)가 부착된 마그네트 홀더(522)를 포함한다.
마그네트부(520)는 베이스(510)의 돌출부(512)와 결합된다. 돌출부(512)에는 제1 요크(514)가 구비되며, 제1 요크(514)와 마그네트(521a) 사이의 인력에 의해 마그네트부(520)가 돌출부(512)와 결합된다.
여기서, 제1 요크(514)와 마그네트(521a)는 서로 비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베이스(510)에는 마그네트부(520)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구비될 수 있다.
지지부는 볼 부재(516)를 포함할 수 있고, 가이드 샤프트(5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베이스(510)에는 지지부로서 볼 부재(516)가 구비될 수 있으며, 가이드 샤프트(517)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베이스(510)에는 볼 부재(516)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구비될 수 있다. 볼 부재(516)는 삽입홈에 삽입되며, 볼 부재(516)는 베이스(510) 및 마그네트부(520)와 점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510)의 돌출부(512)에는 가이드 샤프트(517)가 구비될 수 있으며, 가이드 샤프트(517)는 마그네트부(520)와 선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코일(521b)에 전원이 인가되면, 마그네트(521a)와 코일(521b) 사이의 전자기적 영향력에 의하여 마그네트부(520)를 일 축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마그네트부(520)는 볼 부재(516)와 가이드 샤프트(517)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일 축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의 실시예에서는 마그네트부(520)의 위쪽이 볼 부재(516)에 의해 지지되고, 아래쪽이 가이드 샤프트(517)에 의해 지지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마그네트부(520)의 위쪽과 아래쪽이 모두 볼 부재(516)에 의해 지지되거나 가이드 샤프트(517)에 의해 지지되는 것도 가능하다.
마그네트 홀더(522)에는 제1 플레이트(530)와 제2 플레이트(540)를 관통하는 제1 돌기부(523)가 구비된다.
제1 돌기부(523)는 제1 플레이트(530)의 제1 가이드홀(533)과 제2 플레이트(540)의 제2 가이드홀(543)을 통과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가이드홀(533)과 제2 가이드홀(543)은 마그네트부(520)의 이동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가이드홀(533)과 제2 가이드홀(543)의 경사진 방향은 서로 반대일 수 있다.
따라서, 마그네트부(520)가 일 축을 따라 이동될 때, 제1 돌기부(523)는 제1 가이드홀(533) 내에서 이동될 수 있으며, 제1 돌기부(523)의 이동에 따라 제1 플레이트(530)가 마그네트부(520)를 향하여 이동되거나 마그네트부(520)로부터 멀어지게 이동될 수 있다(도 7a 및 도 7b 참조).
또한, 마그네트부(520)가 일 축을 따라 이동될 때, 제1 돌기부(523)는 제2 가이드홀(543) 내에서 이동될 수 있으며, 제1 돌기부(523)의 이동에 따라 제2 플레이트(540)가 마그네트부(520)로부터 멀어지게 이동되거나, 마그네트부(520)를 향하여 이동될 수 있다(도 7a 및 도 7b 참조).
여기서, 제1 플레이트(530)와 제2 플레이트(540)의 이동 방향은 마그네트부(520)의 이동 방향과 수직할 수 있다.
한편, 베이스(510)에는 제1 플레이트(530)의 제3 가이드홀(535)과 제2 플레이트(540)의 제4 가이드홀(545)에 끼워지는 제2 돌기부(513)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가이드홀(535)과 제4 가이드홀(545)은 마그네트부(520)의 이동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길이를 가진다.
제1 플레이트(530)와 제2 플레이트(540)는 제3 가이드홀(535)과 제4 가이드홀(545)에 끼워진 제2 돌기부(513)에 의해 가이드되어 이동될 수 있다.
제2 돌기부(513) 및 제3 가이드홀(535)에 의해 제1 플레이트(530)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제2 돌기부(513) 및 제4 가이드홀(545)에 의해 제2 플레이트(540)의 회전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조리개 모듈에 구비되는 제1 플레이트의 평면도이며, 도 12는 조리개 모듈에 구비되는 제2 플레이트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13a 및 도 13b는 빛이 입사되는 입사공의 직경이 변화하는 모습을 도시한 카메라 모듈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 모듈(500')은 제1 플레이트(530') 및 제2 플레이트(540')를 제외하면 앞서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개 모듈(500)과 동일하므로, 제1 플레이트(530') 및 제2 플레이트(540') 이외의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1 플레이트(530')는 제3 가이드홀(535)이 제1 관통홀(531)을 기준으로 양쪽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540')는 제4 가이드홀(545)이 제2 관통홀(541)을 기준으로 양쪽에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510)의 제2 돌기부(513)도 제3 가이드홀(535) 및 제4 가이드홀(545)에 대응되도록 제1 관통홀(531) 및 제2 관통홀(541)을 기준으로 양쪽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플레이트(530')와 제2 플레이트(540')는 마그네트부(520)의 이동에 따라 더욱 안정적으로 직선 이동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조리개 모듈을 통해 광의 입사량을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고, 조리개 모듈을 장착하더라도 자동 초점 조정 기능의 성능이 저하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조리개 모듈의 채용에 따른 무게 증가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10: 하우징
120: 케이스
200: 렌즈 모듈
300: 캐리어
400: 가이드부
500: 조리개 모듈

Claims (16)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고, 광축 방향으로 적층되는 복수의 렌즈를 구비하는 렌즈 모듈;
    복수개의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조리개 모듈; 및
    상기 복수개의 플레이트에 의해 복수개의 크기가 다른 입사공이 형성되게 상기 복수개의 플레이트를 구동하는 조리개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리개 구동부는 상기 하우징에 구비되는 코일; 및 상기 코일에 대향하게 구비되는 마그네트를 포함하고,
    상기 마그네트는 광축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코일에 대해 직선으로 상대 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리개 구동부와 연동되는 상기 복수개의 플레이트의 이동 방향은 서로 다른 카메라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플레이트에는 관통홀이 구비되고, 상기 관통홀은 크기가 다른 복수의 구멍이 상호 연결된 형상인 카메라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플레이트의 상기 관통홀은 호리병 형상인 카메라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렌즈 모듈과 함께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카메라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는 직선 운동하는 카메라 모듈.
  7.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는 렌즈 모듈; 및
    적어도 하나의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조리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는, 상기 렌즈 모듈을 광축 방향에 수직하는 제1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OIS구동코일, 상기 렌즈 모듈을 광축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에 수직하는 제2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OIS구동코일, 상기 렌즈 모듈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AF구동코일, 및 상기 조리개 모듈의 상기 플레이트 중 적어도 하나를 구동하는 조리개구동코일이 구비되고,
    상기 렌즈 모듈 및 상기 조리개 모듈은 광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구비되는 이동부이고, 상기 제1 OIS구동코일, 상기 제2 OIS구동코일, 상기 AF구동코일 및 상기 조리개구동코일은 상기 이동부에 상대적으로 고정되어 있는 고정부로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OIS구동코일, 상기 제2 OIS 구동코일, 상기 AF구동코일 및 상기 조리개구동코일은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기판에 구비되는 카메라 모듈.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170105049A 2017-05-25 2017-08-18 카메라 모듈 KR102163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914,578 US10893178B2 (en) 2017-05-25 2018-03-07 Camera module
CN201810460804.8A CN108933886B (zh) 2017-05-25 2018-05-15 相机模块
CN201820722660.4U CN208581281U (zh) 2017-05-25 2018-05-15 相机模块
US16/115,611 US10848656B2 (en) 2017-05-25 2018-08-29 Camera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4774 2017-05-25
KR20170064774 2017-05-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9586A KR20180129586A (ko) 2018-12-05
KR102163058B1 true KR102163058B1 (ko) 2020-10-07

Family

ID=64744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5049A KR102163058B1 (ko) 2017-05-25 2017-08-18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63058B1 (ko)
CN (1) CN208581281U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7281B1 (ko) * 2019-03-21 2021-09-02 삼성전기주식회사 조리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0771B1 (ko) * 2016-05-04 2017-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0771B1 (ko) * 2016-05-04 2017-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9586A (ko) 2018-12-05
CN208581281U (zh) 2019-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933886B (zh) 相机模块
KR102297281B1 (ko) 조리개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1792441B1 (ko) 카메라 모듈
KR102029532B1 (ko) 렌즈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104453B1 (ko) 카메라 모듈
KR102194708B1 (ko) 조리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559342B1 (ko) 조리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158710B1 (ko) 카메라 모듈
KR102107028B1 (ko) 카메라 모듈
KR102069631B1 (ko) 카메라 모듈
KR20180111263A (ko) 카메라 모듈
KR20150042690A (ko)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 기기
KR102272591B1 (ko) 카메라 모듈
US10701248B2 (en) Iris module and camera module including the same
KR20200004513A (ko) 카메라 모듈
KR102248523B1 (ko) 조리개모듈
KR20220104133A (ko) 렌즈 구동 유닛,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
KR20180076165A (ko) 카메라 모듈
KR102163058B1 (ko) 카메라 모듈
KR20210020728A (ko) 카메라 모듈
KR20180135270A (ko) 렌즈구동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모듈
KR20210020731A (ko) 카메라 모듈
KR102213980B1 (ko) 조리개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230102298A (ko)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