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5113B1 - 용접 전,후 및 용접 중에 최적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광량 제어 방법과, 이를 구현한 소형화 및 경량화된 디지털 용접 비전 카메라 - Google Patents

용접 전,후 및 용접 중에 최적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광량 제어 방법과, 이를 구현한 소형화 및 경량화된 디지털 용접 비전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5113B1
KR102495113B1 KR1020210060958A KR20210060958A KR102495113B1 KR 102495113 B1 KR102495113 B1 KR 102495113B1 KR 1020210060958 A KR1020210060958 A KR 1020210060958A KR 20210060958 A KR20210060958 A KR 20210060958A KR 102495113 B1 KR102495113 B1 KR 102495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welding
light
opening
switching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09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53409A (ko
Inventor
김인균
조태근
정순임
Original Assignee
(주)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로닉스 filed Critical (주)로닉스
Priority to KR10202100609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5113B1/ko
Priority to JP2023570080A priority patent/JP2024518980A/ja
Priority to PCT/KR2021/006344 priority patent/WO2022239894A1/ko
Publication of KR20220153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34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5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51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95Computational photography systems, e.g. light-field imaging systems
    • H04N23/958Computational photography systems, e.g. light-field imaging systems for extended depth of field imag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1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investigating the properties, e.g. the weldability, of materials
    • B23K31/125Weld quality monito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095Monitoring or automatic control of welding parameters
    • B23K9/0956Monitoring or automatic control of welding parameters using sensing means, e.g. optic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6Specially adapted optical and illumination featur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1/00Filters or other obturators specially adapted for photographic purpo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3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the exposure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Plasma & Fus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Blocking Light For Cameras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접 중 및 용접 전,후에 최적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소형화 및 경량화된 디지털 용접 비전 카메라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윈도우부; 상기 윈도우부가 전방에 장착된 전방 케이스부, 및 상기 전방 케이스의 후방에 연결되고 내부에 단초점 렌즈가 설치된 후방 케이스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 케이스부의 전면에는 제1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전방 케이스부의 내부에는, 필터절환모듈이 장착되고 상기 제1 개구부와 동축상에 제2 개구부가 마련되어 상기 단초점 렌즈의 전방에 최대한 근접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용접 전,후 및 용접 중에 최적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광량 제어 방법과, 이를 구현한 소형화 및 경량화된 디지털 용접 비전 카메라{Method of controlling the amount of light to obtain an optimal image before, after, and during welding, and miniaturized and lightweight digital welding vision camera implement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지털 용접 비전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용접 전,후 및 용접 중에 최적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광량 제어 방법과 이를 구현한 소형화 및 경량화된 디지털 용접 비전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크(Arc)를 열원(熱源)으로 이용한 용접법은 GTAW(Gas Tungsten Arc Welding, 일명: TIG 용접), GMAW(Gas Metal Arc Welding, 일명: MIG 용접)와 PAW(Plasma Arc Welding; 플라즈마 아크 용접) 방식이 산업현장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근래에는 고출력 레이저를 활용한 LBW(Laser Beam Welding; 레이저 용접) 방식도 활발하게 이용되고 있다.
한편 아크 용접이나 레이저 용접은 고열과 함께 강한 빛(光)이 필연적으로 발생된다. 그리고 용접 종류에 따라 용접 흄(Weld Fume, 열에 의해 증발한 금속산화물 등)과 스패터(Spatter, 용접 중 주위로 튀어 나가는 용융금속의 미세한 입자)가 발생된다. 여기서 용접 광(빛)은 강한 자외선(Ultra Violet)과 강한 가시광선(Visible Light) 및 강한 적외선(Infrared)이 포함된다.
먼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빛(광)과 관련된 용어를 살펴보면, 빛의 세기(Light Intensity)는 광원에서 발하는 빛의 밝은 정도를 뜻하며, 광량(光量)은 광속(光束; 빛이 진행하는 방향에 수직인 단위 면적을 단위 시간에 지나가는 빛의 양)과 시간을 곱한 값으로 정의된다.
용접 작업 중, 영상을 통해 용접 이행상황을 효과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해서는 흑백 영상과 같은 단색으로 구성된 영상보다는 육안으로 물체를 식별할 때와 같이 용접부위의 색을 컬러 영상으로 표출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이를 위해 일명 로우패스필터(Low Pass Filter)를 촬상소자의 전면에 배치하여 용접광에 포함된 자외선과 적외선을 차단하고 가시광선만을 이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용접 광은 가시광선만을 이용한다 하더라도 촬상소자가 촬상할 수 있는 빛의 세기보다 훨씬 강하다. 이 때문에 유입 광량(光量)을 적절하게 감쇠시켜야만 적당한 밝기의 영상을 얻을 수 있다. 통상적으로 유입 광량을 감쇠시키기 위해서는 촬상소자의 전면에 배치된 렌즈의 조리개(Iris)를 줄임으로써 광량 감쇠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반해 조리개를 내장한 렌즈는 소형화 및 경량화에 적합하지 않다.
한편, 파이프를 이어 붙이기하여 파이프의 길이를 연장하는 작업에서 작업자가 수동용접을 하는 경우에는 작업자의 용접작업 자세와 공간적 제약 등으로 인해 파이프의 360°둘레를 균일한 품질로 용접하기 어렵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종래에는 고정된 파이프 원주(Orbit)를 따라 가이드 링(궤도)을 설치해 놓고 용접 토치가 그 위를 주행하면서 자동 용접되도록 한 오비탈 용접(Orbital Welding)을 실시하고 있다. 이러한 오비탈 용접을 하면 일반적으로 수동용접에 비해 대략 1.5 ~ 3배까지 작업능률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용접품질도 균일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용접작업을 영상으로 모니터링하기 위해서는, 용접 토치를 가이드 링의 위에서 주행하게 하는 이송장치(캐리지)의 주행방향의 전방과 후방에, 용접카메라를 장착하고 있다. 여기서 주행방향의 전방에 설치된 카메라를 선행 카메라라 하고, 후방에 설치된 카메라를 후행 카메라라고 지칭하며, 선행 카메라와 후행 카메라는 용접토치를 기준으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선행 카메라는 토치를 향하여 촬영하면서 용가재의 공급상태, 용가재의 끝이 용융하여 액체금속으로 이루어지는 용융금속이행(또는 용적이행, Transfer of Molten metal) 및 용가재와 모재가 용융지에서 용해되는 현상을 관찰할 수 있다. 또한 용접전극의 마모나 훼손 및 오염 등을 용접 작업 중에 즉시 파악할 수 있다. 후행 카메라는 토치를 향하여 촬상하면서 전방 카메라가 촬상할 수 없는 용접토치 뒷면의 용융지를 관찰하고, 용접에 의해 생긴 용접비드를 관찰한다. 이를 통해 용접 작업 중에 이상 현상이 발생하는 즉시 대응조치를 할 수 있어 용접품질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이송장치(캐리지)에는 추가로 장착할 수 있는 부가장치의 크기와 무게가 매우 제한적이기 때문에 용접 카메라의 소형화와 경량화가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이러한 이유로, 용접 카메라를 소형화 및 경량화하기 위해서는 소형의 렌즈를 채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통상적으로 소형 렌즈로는 초점거리가 단일 초점 거리인 단초점 렌즈가 적용되고 있으나, 이러한 단초점 렌즈는 유입 광량을 조절할 수 있는 조리개(Iris)를 구비하고 있지 않는다.
이에 따라 단초점 렌즈가 적용된 용접 카메라는 강한 용접광이 렌즈에서 집광되어 매우 큰 광량의 빛이 촬상소자에 그대로 유입된다. 이렇게 유입된 큰 광량의 빛은, 촬상소자에서 셔터속도(광전변환시간)를 가장 빠르게(광전변환 시간을 가장 짧게)하여도, 촬상된 영상이 포화(노출 과다)되어 적당한 밝기의 영상을 얻을 수 없다. 따라서 강한 용접광이 촬상소자에 도달하기 전에 광량을 적절하게 줄이는 수단이 구비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광량을 줄이는 수단으로서는 소정의 매체를 투과할 때 빛 에너지가 전 파장대에서 감쇠되어 빛의 세기를 소정량만큼 감쇠시키는 ND(Neutral Density)필터가 사용된다.
용접 카메라가 강한 용접 아크광에 대응하여 적당한 밝기의 영상을 촬상하는 것은 충분히 높은 수치의 ND필터를 사용하는 것만으로도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그러나 단초점 렌즈는, 피사계 심도(Depth of Field)가 얕기 때문에 피사체의 아주 일부분 영역에서만 초점이 맞은 영상이 촬상되어 화면에 고르게 초점이 맞은 선명한 영상(심도가 깊은 영상)을 얻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용접 영상을 전체의 화면에서 초점이 잘 맞은 선명한 영상과 적당한 밝기의 영상으로 촬상하기 위해서는 깊은 피사계 심도가 확보되고 적당한 광량으로 감쇠된 빛이 촬상소자에 입사되어야 한다.
즉, ND필터에 의해 빛 에너지가 전 파장대에서 감쇠되어 빛의 세기가 감소하는 광량 감쇠 수단과, 용접광이 렌즈에 유입되는 경로상에 렌즈와 최대한 근접하게 배치되고, 전방에 광축을 중심으로 하는 소정의 크기(들)를 갖는 하나 이상의 원형(圓形) 개구부를 개재하여 빛이 유입되는 면적을 렌즈의 외부에서 줄임(광속을 감소 시킴)으로써 광량을 감쇠시키는 수단을 고려할 수 있다.
광학에서 F값은 기본적으로 렌즈의 초점거리를 입사동공의 직경으로 나눈 값으로 계산된다. 입사동공은 빛이 유입되는 면적을 말한다. 동일한 초점거리에 대해 면적의 지름이 커지면 F값은 작아지고, 빛이 유입되는 양은 많아진다(즉 밝아진다). 반면, 면적의 지름이 작아지면 F값은 커지고, 빛이 유입되는 양은 적어진다(즉 어두워진다).
일반적으로 동일한 초점거리인 렌즈에서 F값이 작아지면 피사계 심도는 얕아져서 피사체의 전,후로 극히 좁은 영역에서만 초점이 선명하게 맞은 영상이 촬상되며, F값이 커지면 피사계 심도가 깊어져서 화면 전체에서 피사체의 초점이 선명한 영상을 촬상할 수 있다.
카메라를 소형화하기 위해 채용된 단초점 렌즈는, 초점 길이와 F값이 렌즈의 특성에 의해 특정된 고정값이기 때문에, 본 발명은 전술한 것처럼 렌즈의 전방에 광축을 중심으로 하는 소정의 크기(들)를 갖는 하나 이상의 원형 개구부를 개재하여 빛이 유입되는 면적을 렌즈의 외부에서 줄이는 것으로써, F값을 높게하여 화면 전체에서 피사체의 초점이 선명한 영상을 촬상할 수 있다.
한편, 기존 용접 작업에서는 모재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V형태의 홈(V Groove, 개선)을 형성하여 초층(Root pass) 용접을 한다. 이어서 초층 용접의 비드(Bead) 위에 다층(Multi pass)으로 용접을 한다.
이때 소정의 높은 수치의 ND필터를 렌즈의 전면에 배치하면, 용접이 이루어지는 동안 강한 용접 빛의 세기를 적절히 줄일 수 있기 때문에 촬상소자가 적당한 밝기의 영상을 촬상할 수 있다.
그러나 적당한 밝기의 용접영상을 촬상하기 위해 도입된 ND필터는 빛의 세기를 크게 감쇠시키므로 용접이 완료되고, 용접 아크가 꺼지면 일상 작업 조명만으로는 거의 암흑과 같은 영상이 촬상되어, 용접 토치나 모재의 형상을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이어지는 용접의 조건을 세팅(Setting)하기 위해 토치의 위치와 높이를 조절하고 용가재의 선단을 맞추는 것과 같은 용접 전에 사전 설정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피사계 심도와 적정한 광량을 모두 확보하여 용접 전,후 및 용접 중에 최적의 영상을 획득하기 할 수 있고 소형화 및 경량화할 수 있는 디지털 용접 비전 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면, 윈도우부, 전방 케이스부 및 후방 케이스부를 포함하되, 상기 전방 케이스부 또는 상기 후방 케이스부의 내부에 제1 개구부, 필터절환모듈, 제2 개구부, 단초점 렌즈 및 촬상소자가 구비된 디지털 용접 비전 카메라로서, 상기 전방 케이스부의 선단에는 상기 윈도우부가 마련되고, 상기 윈도우부의 후방에는, 상기 전방 케이스부의 전면(前面)에, 상기 단초점 렌즈의 광축에 중심이 일치된 상기 제1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개구부의 후방에는 입사된 빛에 대해 용접 전,후 또는 용접 중의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로우패스필터와 ND필터가 구비된 상기 필터절환모듈이 배치되고, 상기 필터절환모듈의 후방에는 상기 제1 개구부와 동축선상에 상기 제2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개구부의 후방에는 상기 단초점 렌즈가 장착되고, 상기 단초점 렌즈의 후방에는 상기 촬상소자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절환모듈은 상기 입사된 빛이 상기 윈도우부와 상기 필터절환모듈에서 서로 반사되어 고스트 이미지가 발생되는 것이 회피되도록 광축에 직교한 면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개구부는 상기 단초점 렌즈로 유입되는 광량을 감쇠시키도록 상기 제1 개구부보다 작게 형성되어, 광량 감쇠와 피사계 심도가 개선되도록 상기 단초점 렌즈의 전방 끝단에 근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절환모듈은, 상기 로우패스필터 및 상기 ND필터가 필터 프레임에 나란하게 배치 장착되어 필터창에 선택적으로 노출되되, 용접 전 및 용접 후에는, 상기 로우패스필터가 상기 필터창에 노출되도록 이동되어 상기 로우패스필터를 통과한 빛이 상기 단초점 렌즈를 거쳐 상기 촬상소자에 유입되고, 용접 중에는, 상기 ND필터가 상기 필터창에 노출되도록 이동되어 상기 ND필터를 통과한 빛이 상기 단초점 렌즈를 거쳐 상기 촬상소자에 유입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상기 필터절환모듈이 장착되는 필터절환모듈 홀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개구부는 상기 필터절환모듈 홀더에 형성되되 상기 필터절환모듈과 상기 단초점 렌즈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용접 비전 카메라의 제어방법으로서, 용접작업 상황에 대응하여 용접아크의 존재를 판정하는 아크감지 기준값과, 아크가 소멸되었음을 판정하는 아크소멸 기준값을 설정하고, 상기 촬상소자에 유입된 광량을 모니터하여, 상기 촬상소자에 유입되는 광량이 아크감지 기준값보다 크면 상기 ND필터가, 아크소멸 기준값보다 작으면 로우패스필터가 자동으로 선택되어 상기 필터창에 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디지털 용접 비전 카메라에서 최적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광량 감쇠 방법으로서, 입사된 용접광이 상기 제1 개구부에서 1차적으로 감쇠되고, 상기 필터절환모듈에서 광축상에 노출되도록 선택된 상기 ND필터에서 2차적으로 감쇠되고, 상기 제2 개구부를 통과하면서 3차적으로 감쇠되도록 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사계 심도와 적정한 광량을 모두 조절함으로써 용접 전,후 및 용접 중에 최적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고 카메라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용접 비전 카메라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용접 비전 카메라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용접 비전 카메라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용접 비전 카메라의 필터절환모듈과 제1 및 2 홀더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용접 비전 카메라의 필터절환모듈의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갖는다.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된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구성 및 연결 관계에 대한 설명>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용접 비전 카메라는 윈도우부(10), 전방 케이스부(20), 후방 케이스부(30), 및 마운트부(4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2 및 3을 참조하면, 전방 보호 케이스(21)의 전방으로는 보호 윈도우(11)가 윈도우 커버링(12)을 통해 장착된다. 여기서 전방 보호 케이스(21)의 중앙에는 제1 개구부(21h)가 형성된다.
또한 전방 보호 케이스(21)의 내측 후방으로는 필터절환모듈(50)이 필터절환모듈 홀더(51)에 횡방향으로 삽입된 상태로 설치된다. 여기서 전방 보호케이스(21)는 볼트(B2)를 통해 후방 보호케이스(31)에 장착된다. 또한 필터절환모듈 홀더(51)에는 제1 개구부(21h)와 동축상에 위치하는 제2 개구부(22h)가 형성된다. 여기서 제2 개구부(22h)는 단초첨 렌즈(60)의 전방에 최대한 근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2 개구부(22h)가 단초점 렌즈(60)에서 멀어질수록 획득되는 영상의 주변부에 광량저하(비네팅) 또는 빛 가림(Shade) 현상이 발생될 소지가 높기 때문이다.
단초점렌즈(60)는 렌즈홀더(61)에 결합된 상태로 후방 보호케이스(31)의 내부에 장착된다. 또한 단초점렌즈(60)의 후방으로는 메인 로우패스필터(70), 촬상면(80), 촬상소자(81), 및 회로기판(PCB)이 순차적으로 배치된다.
또한 후방 보호케이스(31)의 상부 측에는 카메라 마운트패드(41)가 장착된다. 후방 보호케이스(31)의 말단에는 케이블의 인출을 위한 케이블 가이드(43) 및 밀폐를 위한 케이블 밀폐부재(42)가 구비된다. 여기서 렌즈홀더(61)에는 단초점 렌즈(60)를 고정하기 위한 렌즈 스토퍼 나사(B3)가 장착된다.
도 4를 참조하면, 필터절환모듈 홀더(51)는 개구창(51h)이 형성된 제1 홀더부재(51a)와, 제2 개구부(22h)가 형성된 제2 홀더부재(51b)가 다수의 결합나사(B5)를 통해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2 개구부(22h)는 제1 개구부(21h)보다 작은 지름을 갖도록 형성된다. 아울러 제1 홀더부재(51a)와 제2 홀더부재(51b)의 서로 마주하는 측면에는 수직방향에서 일측으로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형태의 경사홈(53)이 각각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 홀더부재(51a)와 제2 홀더부재(51b)의 사이에 개재된 필터절환모듈(50)은 광축에 직교한 면과 기울어진 상태로 고정설치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필터절환모듈(50)은 외부에 필터창(50h)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필터 프레임(56a)이 장착된다. 여기서 필터 프레임(56a)은 구동부재(58)에 연결된 구동레버(57)에 의해 필터절환모듈(50)의 몸체(50a)의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또한 필터 프레임(56a)에는 ND필터(55)와 로우패스필터(56)가 나란하게 배치된다. 이에 따라 구동부재(58)의 구동력에 의해 필터 프레임(56a)이 길이방향으로 이동하면, 필터창(50h)에 선택적으로 ND필터(55)와 로우패스필터(56)가 위치된다. 이는 용접 중이나 용접 전,후에 따라 필터의 배치를 달리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이에 대해서는 후술되는 작용설명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작용 및 효과에 대한 설명>
앞서 설명한 각 구성요소의 기능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윈도우부(10)는, 전방 보호케이스(21)의 선단 돌출부 외주경에 개재된 나사산에 나사결합으로 체결된다. 여기서 보호 윈도우(11)를 전방 보호케이스(21)의 선단면으로 밀착하여 밀폐구조를 형성하고, 분진이나 스패터 등에 의해 오염된 보호 윈도우(11)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도 있다. 여기서 보호 윈도우(11)는 투명도가 높고, 내열 특성이 좋은 재질로서 외부의 분진이나 스패터가 카메라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전방 보호케이스(21)는, 카메라 내부의 구성품을 보호하는 외부 케이스로서 기능을 한다. 여기서 제1 개구부(21h)는 강한 용접광이 유입되는 면적을 줄여줌(광속을 감소 시킴)으로써 1차적으로 광량을 감쇠시킬 뿐만 아니라 보호 윈도우(11)에서 제1 개구부(21h)의 구경보다 외측에 부착된 오염물질에서 산란된 빛이 유입되는 것을 제한한다.
필터절환모듈(50)은, 내부에 로우패스필터(56)와 ND필터(55)로 구성된 2가지의 필터부재가 구비되어, 용접 아크가 미존재(용접 전 및 완료 후) 할 때는 로우패스필터(56)를 필터창(50h)에 일치하도록 이동시킨다. 반면 용접아크가 존재(용접 중)할 때는 ND필터(55)를 필터창(50h)과 일치하도록 이동시키는 기능을 한다.
필터절환모듈 홀더(51)는, 필터절환모듈(50)을 보호 윈도우(11) 및 단초점 렌즈(60)의 광축에 직교한 면과 경사지게 장착하기 위한 홀더부재로서 기능을 제공한다.
제2 개구부(22h)는 강한 용접광이 유입되는 면적을 렌즈의 외부에서 더욱 줄여줌으로써 촬상소자(81)에 유입되는 광량을 적당하게 조절하고, 피사계 심도를 깊게 하는 기능을 한다.
단초점 렌즈(60)는, 광량조절 조리개가 구비되어 있지 않은 단일초점을 갖는 소형렌즈이다.
렌즈홀더(61)는, 촬상소자(81)의 이미지 중심에 렌즈(단초점 렌즈; 60)의 광축을 일치시켜 장착하기 구성요소로서, 그의 내주면은 렌즈 경통과 나사결합되고 외주면은 후방 보호케이스(31)에 나사결합되며, 렌즈와 촬상소자간의 거리설정을 달리함으로써 피사체와의 관측거리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메인 로우패스필터(70)는, 용접 중 발생하는 강한 자외선과 적외선을 차단하고 가시광선만을 촬상소자에 통과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이하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단초점 렌즈(60)의 전방 렌즈면에 최대한 근접하여 렌즈의 광축과 동축으로 형성된 제1 및 2 개구부(21h,22h)를 형성함으로써, 렌즈의 조리개와 같은 작용으로 광량을 감쇠시킬 뿐 아니라 피사계 심도를 깊게 개선할 수 있다.
또한 ND필터(55)와 로우패스필터(56)를 전기 구동에 의해 절환하는 필터절환모듈(50)를 구비하여, 용접 아크 광의 유무에 대응한 필터를 각각 개재함으로써 용접 전, 후 및 용접 중에 최적 밝기의 영상을 촬상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최적 밝기의 영상을 촬상하기 위한 용접 광에 대한 광량의 감쇠는 개구부(22h)의 크기와 ND필터(55)의 수치와의 조합에 의해 최적의 감쇠량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제2 개구부(22h)를 크게하면 피사계 심도가 얕아지며 초점이 맞은 범위가 좁아질 뿐만 아니라 촬상소자(81)에 유입되는 광량이 증가한다. 따라서, ND수치가 더 높은 ND필터(55)를 조합하여 유입 광량을 최적의 광량으로 설정할 수 있다. 반대로 개구부(22h)를 작게하면 피사계 심도가 깊게되어 초점이 맞은 범위가 넓어지며 촬상소자에 유입되는 광량이 감소하므로, ND수치가 더 낮은 ND필터(55)를 조합하여 상기 조합에 의한 유입 광량을 최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필터절환모듈(50)은 로우패스필터(56)와 ND필터(55)의 2가지의 필터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이를 통해, 용접 전 및 후에는 로우패스필터(56)를 통과한 빛이 촬상소자(81)에 유입되고, 용접 중에는 ND필터(55)를 통과한 빛이 촬상소자(81)에 유입되도록 한다. 즉 용접작업 상황에 따라 수동조작 또는 자동으로 필터를 절환하는 것으로 카메라의 필터선택을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용접작업 상황에 대응하여 영상처리부에서 용접아크의 존재를 판정하는 '아크감지 기준값'과 아크가 소멸되었음을 판정하는 '아크소멸 기준값'을 설정하고, 촬상소자에 유입되는 광량을 모니터하여 상기 기준값들과 비교함으로써 카메라가 자동으로 필터를 절환하여 용접 아크의 유무에 따른 필터선택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카메라의 영상처리부에서 촬상소자에 유입되는 광량에 대해 광전변환된 디지털 영상 데이터 수치를 실시간으로 모니터하여, 영상데이터 수치가 아크감지 기준값을 초과하는 것이 감지되면 용접아크가 발생한 것으로 판정한다. 그리고 필터절환모듈(50)에서 ND필터(55)가 필터창(50h)에 일치하도록 배치한다.
한편 영상데이터 수치가 아크소멸 기준값 미만으로 감지되면, 용접아크가 소멸한 것으로 판정하여 필터절환모듈(50)에서 로우패스필터(56)가 필터창(50h)에 일치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윈도우부(10)를 통해, 분진이나 스패터(Spatter)로부터 카메라의 광학부와 회로부를 보호하고, 장시간 사용후에 오염되면 윈도우를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 손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고려되었다.
한편, 카메라의 최선단으로부터 촬상소자(81)까지의 구성품의 배치를 살펴보면, 본 발명은 보호 윈도우(11), 제1 개구부(21h), 필터절환모듈(50), 제2 개구부(22h), 단초점 렌즈(60), 메인 로우패스필터(70), 및 촬상소자(81)의 순서로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강한 용접광이 촬상소자(81)까지 전달되는 경로에서 광량 감쇠가 일어나는 과정을 살펴보면, 용접시에 용접아크에서 발생된 강한 빛은 보호 윈도우(11)를 통과하여 1차적으로 제1 개구부(21h)에서 광량 감쇠가 일어난다.
다음으로 필터절환모듈(50) 내에 개재된 ND필터(55)가 필터창(50h)과 일치되도록 이동 배치되어 2차적으로 ND필터(55)가 빛의 세기를 감쇠시킨다. 이어서 3차적으로 제2 개구부(22h)에서 최종적으로 광량 감쇠가 일어난다. 이때 제2 개구부(22h)는 피사계 심도를 깊게 개선하는 역할도 한다.
한편, 강한 용접광은 여러 구성품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각 구성품의 표면에서 반사될 수 있다. 그로 인해 고스트(Ghost, 다중의 반사광에 의한 허상)가 발생될 수 있다.
참고로, 아래의 설명에서 각 구성품의 표면에 대해 '외측'은 용접 광원을 향하는 면을 칭하며, '내측'은 촬상소자(81)를 향하는 면을 지칭한다.
다시 반사광에 의한 허상에 대한 설명으로 돌아가면, 렌즈의 광축에 대해 약간의 입사각(入射角)으로 유입되는 강한 용접광은, 보호 윈도우(11)를 통과한 후 필터절환모듈(50) 내의 ND필터(55)의 외측과 보호 윈도우(11)의 내측에서, 렌즈(단초첨 렌즈; 60)의 외측과 ND필터(55)의 내측에서 다중의 반사가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예시는 구성품들 사이에서 반사가 일어날 수 있는 가능성을 예시한 것이며, 하나 이상의 반사가 일어날 경우 반사된 빛은 본래 유입광에서 벗어난 위치로 유입되어 촬상된 영상에서 고스트(허상) 이미지로 나타난다. 이로 인해 영상에 이중상이 생기거나 고스트가 중요 촬상 부위의 영상에 겹치게 되어 영상 품질을 떨어뜨리는 요인이 된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도 2와 같이 필터절환모듈(50)을 보호 윈도우(11)와 평행하지 않도록 소정의 각도로 기울여 배치함으로써 반사된 빛이 광축 중심축에서 멀어지게 함으로써 촬상하고자 하는 목표 피사체로부터 멀리 벗어나도록 구성하였다.
한편, 용접 상황을 관측하는 조건에 따라 용접토치로부터 카메라의 관측거리(이격거리)를 달리 해야할 수 있다. 단초점 렌즈(60)는 렌즈와 촬상소자(81)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면 근거리의 피사체에 초점이 맞게 된다. 반면 렌즈와 촬상소자(81)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지면 원거리의 피사체에 초점이 맞게 된다.
여기서 렌즈홀더(61)의 내주면에는 단초점 렌즈(60)가 나사결합되어 장착된다. 또한 렌즈홀더(61)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개재되어 후방 보호케이스(31)의 선단 내측에 개재된 나사산 결합부와 결합된다. 여기서 관측거리는 렌즈홀더(61) 내외주면의 나사결합부를 결합위치를 조절함으로써 관측거리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윈도우부
11: 보호 윈도우
12: 윈도우 커버링
20: 전방 케이스부
21: 전방 보호 케이스
21h: 제1 개구부
22h: 제2 개구부
30: 후방 케이스부
31: 후방 보호 케이스
40: 마운트부
41: 카메라마운트 패드
42: 케이블 밀폐부재
43: 케이블 가이드
50: 필터절환 모듈
50h: 필터창
51: 필터절환모듈 홀더
51a: 제1 홀더부재
51b: 제2 홀더부재
51h: 개구창
53: 경사홈
55: ND필터
56: 로우패스필터
56a: 필터 프레임
57: 구동레버
58: 구동부재
60: 단초점 렌즈
61: 렌즈홀더
70: 메인 로우패스필터
80: 촬상면
81: 촬상소자

Claims (7)

  1. 윈도우부, 전방 케이스부 및 후방 케이스부를 포함하되, 상기 전방 케이스부 또는 상기 후방 케이스부의 내부에 제1 개구부, 필터절환모듈, 제2 개구부, 단초점 렌즈 및 촬상소자가 구비된 디지털 용접 비전 카메라로서,
    상기 전방 케이스부의 선단에는 상기 윈도우부가 마련되고,
    상기 윈도우부의 후방에는, 상기 전방 케이스부의 전면(前面)에, 상기 단초점 렌즈의 광축에 중심이 일치된 상기 제1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 개구부의 후방에는 입사된 빛에 대해 용접 전,후 또는 용접 중의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되는 로우패스필터와 ND필터가 구비된 상기 필터절환모듈이 배치되고,
    상기 필터절환모듈의 후방에는 상기 제1 개구부와 동축선상에 상기 제2 개구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개구부의 후방에는 상기 단초점 렌즈가 장착되고,
    상기 단초점 렌즈의 후방에는 상기 촬상소자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용접 비전 카메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절환모듈은 상기 입사된 빛이 상기 윈도우부와 상기 필터절환모듈에서 서로 반사되어 고스트 이미지가 발생되는 것이 회피되도록 광축에 직교한 면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용접 비전 카메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개구부는 상기 단초점 렌즈로 유입되는 광량을 감쇠시키도록 상기 제1 개구부보다 작게 형성되어, 광량 감쇠와 피사계 심도가 개선되도록 상기 단초점 렌즈의 전방 끝단에 근접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용접 비전 카메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절환모듈은,
    상기 로우패스필터 및 상기 ND필터가 필터 프레임에 나란하게 배치 장착되어 필터창에 선택적으로 노출되되,
    용접 전 및 용접 후에는, 상기 로우패스필터가 상기 필터창에 노출되도록 이동되어 상기 로우패스필터를 통과한 빛이 상기 단초점 렌즈를 거쳐 상기 촬상소자에 유입되고,
    용접 중에는, 상기 ND필터가 상기 필터창에 노출되도록 이동되어 상기 ND필터를 통과한 빛이 상기 단초점 렌즈를 거쳐 상기 촬상소자에 유입되도록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용접 비전 카메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절환모듈이 장착되는 필터절환모듈 홀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개구부는 상기 필터절환모듈 홀더에 형성되되 상기 필터절환모듈과 상기 단초점 렌즈 사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용접 비전 카메라.
  6. 청구항 4에 기재된 디지털 용접 비전 카메라의 제어방법으로서,
    용접작업 상황에 대응하여 용접아크의 존재를 판정하는 아크감지 기준값과, 아크가 소멸되었음을 판정하는 아크소멸 기준값을 설정하고,
    상기 촬상소자에 유입된 광량을 모니터하여, 상기 촬상소자에 유입되는 광량이 아크감지 기준값보다 크면 상기 ND필터가, 아크소멸 기준값보다 작으면 로우패스필터가 자동으로 선택되어 상기 필터창에 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용접 비전 카메라의 제어방법.
  7. 청구항 1에 기재된 디지털 용접 비전 카메라에서 최적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광량 감쇠 방법으로서,
    입사된 용접광이 상기 제1 개구부에서 1차적으로 감쇠되고, 상기 필터절환모듈에서 광축상에 노출되도록 선택된 상기 ND필터에서 2차적으로 감쇠되고, 상기 제2 개구부를 통과하면서 3차적으로 감쇠되도록 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최적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광량 감쇠 방법.
KR1020210060958A 2021-05-11 2021-05-11 용접 전,후 및 용접 중에 최적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광량 제어 방법과, 이를 구현한 소형화 및 경량화된 디지털 용접 비전 카메라 KR102495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0958A KR102495113B1 (ko) 2021-05-11 2021-05-11 용접 전,후 및 용접 중에 최적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광량 제어 방법과, 이를 구현한 소형화 및 경량화된 디지털 용접 비전 카메라
JP2023570080A JP2024518980A (ja) 2021-05-11 2021-05-21 溶接前、後、並びに溶接中に最適の映像を獲得するための光量制御方法と、これを具現した小型化及び軽量化されたデジタル溶接ビジョンカメラ
PCT/KR2021/006344 WO2022239894A1 (ko) 2021-05-11 2021-05-21 용접 전, 후 및 용접 중에 최적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광량 제어 방법과, 이를 구현한 소형화 및 경량화된 디지털 용접 비전 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60958A KR102495113B1 (ko) 2021-05-11 2021-05-11 용접 전,후 및 용접 중에 최적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광량 제어 방법과, 이를 구현한 소형화 및 경량화된 디지털 용접 비전 카메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3409A KR20220153409A (ko) 2022-11-18
KR102495113B1 true KR102495113B1 (ko) 2023-02-06

Family

ID=84028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0958A KR102495113B1 (ko) 2021-05-11 2021-05-11 용접 전,후 및 용접 중에 최적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광량 제어 방법과, 이를 구현한 소형화 및 경량화된 디지털 용접 비전 카메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24518980A (ko)
KR (1) KR102495113B1 (ko)
WO (1) WO2022239894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0075A (ja) * 2002-09-24 2004-04-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撮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60767B2 (ja) * 2006-11-06 2012-10-31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レンズ装置
KR200464467Y1 (ko) * 2011-06-10 2013-01-08 페이브텍 주식회사 곡면 가공된 nd 필터를 구비한 화상 인식 장치
JP2013207439A (ja) * 2012-03-28 2013-10-07 Mitsubishi Heavy Ind Ltd 溶接用撮像装置
KR102550174B1 (ko) * 2018-06-28 2023-07-03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20075A (ja) * 2002-09-24 2004-04-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撮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4518980A (ja) 2024-05-08
KR20220153409A (ko) 2022-11-18
WO2022239894A1 (ko) 2022-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56365B2 (en) Monitoring module for monitoring a process with an electric arc
US20130342678A1 (en) Visual monitoring, or imaging, system and method for using same
US5255088A (en) System and process for video monitoring a welding operation
US422577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arc welding
EP0941725A1 (fr) Masque de protection pour le soudage à vision dans l&#39;infrarouge et utilisation d&#39;un tel masque
WO2016039147A1 (ja) レンズ鏡筒、撮影装置本体、及び撮影装置
US4599506A (en) Visual observation of welding operation
JP6626675B2 (ja) 画像処理装置と画像処理方法及びレーザまたはtig溶接装置とレーザまたはtig溶接装置の制御方法
KR102495113B1 (ko) 용접 전,후 및 용접 중에 최적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광량 제어 방법과, 이를 구현한 소형화 및 경량화된 디지털 용접 비전 카메라
KR102564602B1 (ko) 용접 전,후 및 용접 중에 최적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해 더욱 개선된 광량 제어 방법과, 이를 구현한 소형화 및 경량화된 용접 카메라
CN209327241U (zh) 激光焊保护镜片的缺陷检测装置、模块
CN109211939A (zh) 激光焊保护镜片的缺陷检测装置、模块及检测方法
US4168512A (en) Optical system for an image pickup device
JP4833558B2 (ja) レーザトーチ
JP2009220172A (ja) ガスシールドアーク溶接の溶接制御方法および溶接部監視装置
JPH05185228A (ja) 溶接パラメータ測定のための溶接ヘッド、およびこの溶接ヘッドを使用した自動溶接装置
JP2003220469A (ja) 狭開先用溶接装置
CN111515556A (zh) 收集热辐射光的光电检测装置及相应的激光切割头
JP2022158669A (ja) レーザ加工ヘッド及びレーザ加工システム並びにレーザ加工システムの異常判定方法
JP7398623B2 (ja) レーザ加工ヘッド及びこれを備えたレーザ加工システム
JP4449506B2 (ja) アーク溶接部分撮影装置
KR102260920B1 (ko) 고스트 저감장치와 이것을 구비한 촬상장치, 고스트 감소방법 및 촬상광학계
CN105983795A (zh) 一种可同时观察焊接熔池及焊件表面的方法
KR100586497B1 (ko) 회전 다초점 동축 영상감시형 레이저 가공장치.
JP5732571B2 (ja) 溶接観察装置及びアーク溶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