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7292A - 약제 공급 장치 - Google Patents

약제 공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7292A
KR20180087292A KR1020187017085A KR20187017085A KR20180087292A KR 20180087292 A KR20180087292 A KR 20180087292A KR 1020187017085 A KR1020187017085 A KR 1020187017085A KR 20187017085 A KR20187017085 A KR 20187017085A KR 20180087292 A KR20180087292 A KR 201800872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cuate
arc
shaped divided
center line
medic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7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9382B1 (ko
Inventor
다카유키 후지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카조노 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카조노 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카조노 테크놀로지
Publication of KR20180087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72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9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9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76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46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 G07F11/5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th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being rotatably mounted
    • G07F11/54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th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being rotatably mounted about vertical ax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7/00Devices for administering medicines orally, e.g. spoons; Pill counting devices; Arrangements for time indication or reminder for taking medicine
    • A61J7/0076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 A61J7/0084Medicament distribution means for multiple medicame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6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in which the articles are stored in compartments in fixed recepta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009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assembling and dispensing of pharmaceutical art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Supply Of Fluid Materials To The Packaging Location (AREA)

Abstract

약제가 통과하는 통로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는 약제 공급 장치를 제공한다. 원호형 분할체(30)는, 약제를 수용하는 약제 수용부(31)를 복수개 갖는다. 원호형 분할체(30)는 내주면(39)을 갖는다. 내주면(39)은 부분 원통면형의 형상을 갖는다. 원호형 분할체(30)에 대하여, 내주면(39)의 부분 원통면의 직경 방향의 내측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축방향 통로(51)가 형성된다. 원호형 분할체(30)는, 회전축(A)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다. 회전축(A)은, 내주면(39)의 부분 원통면의 중심선(O)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고, 중심선(O)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원호형 분할체(30)를, 회전축(A)을 중심으로 중심선(O)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축방향 통로(51)가 노출된다.

Description

약제 공급 장치
본 발명은 약제 공급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제를 공급하는 약제 공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약제를 수납한 약제 피더를 수직으로 중첩시킨 피더 열을 고리형으로 배치한 구조에 있어서, 각 피더 열의 상측의 지점을 피봇해 두고, 이들 피더 열을 외측으로 개방하여, 약제가 통과하는 약제 안내 통로를 노출시키는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평9-201399호 공보(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평9-201399호 공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장치에서는, 약제 안내 통로를 노출시킴으로써, 약제 안내 통로의 내벽의 청소가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피더 열이 상측의 지점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외측으로 개방되기 때문에, 개방된 상태의 피더 열은 경사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 때문에, 피더 열측의 내벽을 청소하는 경우에, 경사 하방으로부터 내벽에 액세스하여 청소할 필요가 있어, 청소 작업이 어려웠다. 또한, 피더 열을 지점 둘레로 회동시킬 수 있는 각도가 한정되기 때문에, 지점 근방에서는 작업 스페이스가 협소하여, 지점 근방의 청소 작업을 행하는 것이 특히 어려웠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약제가 통과하는 통로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는 약제 공급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약제 공급 장치는, 약제를 수용하는 약제 수용부를 복수개 갖는 원호형 분할체를 복수개 구비한다. 원호형 분할체는, 부분 원통면형의 내주면을 갖는다. 원호형 분할체의 내주면을 원통형을 따르게 하여 복수의 원호형 분할체가 나란히 배치된 상태에서, 약제 수용부는, 내주면의 부분 원통면의 축방향 및 둘레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다. 원호형 분할체에 대하여 내주면의 부분 원통면의 직경 방향의 내측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약제 수용부로부터 배출되는 약제가 통과하는, 축방향 통로가 형성된다. 원호형 분할체는, 내주면의 부분 원통면의 중심선으로부터 떨어지고 중심선에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다. 원호형 분할체를 회전축을 중심으로 중심선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축방향 통로가 노출된다.
상기 약제 공급 장치에 있어서, 둘레 방향으로 나열된 복수 열의 약제 수용부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일체적으로 회동 가능하다.
상기 약제 공급 장치에 있어서, 원호형 분할체의 내주면은, 축방향 통로의 벽면을 구성한다.
상기 약제 공급 장치에 있어서, 복수의 원호형 분할체는, 내주면의 중심선을 중심으로 하여, 일체적으로 회동 가능하다.
본 발명의 약제 공급 장치에 의하면, 약제가 통과하는 통로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
도 1은 약제 공급 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원호형 분할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와는 상이한 각도에서 본 원호형 분할체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약제 공급 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5는 약제가 통과하는 경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경로를 통과하는 약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7은 원호형 분할체를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원호형 분할체를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9는 원호형 분할체의 잠금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0은 잠금 장치에 의한 원호형 분할체의 잠금을 해제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1은 가동 밀폐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또, 이하의 도면에서, 동일 또는 상당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반복하지 않는다.
도 1은, 약제 공급 장치(1)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약제 공급 장치(1)는, 장치의 외형을 이루는 케이스(2)를 구비한다. 케이스(2)는, 상부 케이스(3)와 하부 케이스(4)를 갖는다. 상부 케이스(3)는, 하부 케이스(4)에 대하여 상측에 배치된다. 하부 케이스(4)는, 상부 케이스(3)에 대하여 하측에 배치된다.
케이스(2)의 최상부에는 천장부(5)가 설치된다. 천장부(5)는, 평면에서 볼 때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는다. 평면에서 본 상부 케이스(3)의 네 모서리에는, 좌측 전방 기둥부(11), 우측 전방 기둥부(12), 도 1에는 도시하지 않은 좌측 후방 기둥부(13) 및 우측 후방 기둥부(14)가 설치된다. 좌측 전방 기둥부(11), 우측 전방 기둥부(12), 좌측 후방 기둥부(13) 및 우측 후방 기둥부(14)의 상단은, 각각 천장부(5)에 연결된다. 천장부(5)는, 좌측 전방 기둥부(11), 우측 전방 기둥부(12), 좌측 후방 기둥부(13) 및 우측 후방 기둥부(14)에 의해 지지된다.
상부 케이스(3)의 내부에는, 대략 원통형의 외형을 갖는 드럼(20)이 배치된다. 드럼(20)의 상세 구성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또, 상부 케이스(3)에는, 실제로는 사방의 측면을 덮는 커버가 설치되지만, 도 1 및 후술하는 도면에서는, 드럼(20)을 보다 명확하게 도시할 목적으로, 커버는 도시 생략되어 있다. 상부 케이스(3)의 전방의 커버는, 개폐 가능하게 구성된다.
하부 케이스(4)의 전방면(前面)에는 개폐 도어(6, 7)가 설치된다. 개폐 도어(6, 7)는 개폐 가능하게 구성된다. 약제 공급 장치(1)를 사용하는 작업자는, 개폐 도어(6, 7)를 개방하여, 약제 포장지 또는 약병에 공급된 약제를, 하부 케이스(4)의 내부로부터 취출할 수 있다. 개폐 도어(6, 7)에는, 개구가 설치되어도 좋으며, 이 개구로부터, 약제 포장지 또는 약병에 공급된 약제를 취출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도 2는, 원호형 분할체(30)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에 나타내는 원호형 분할체(30)는, 도 1에 나타내는 대략 원통형의 드럼(20)을, 둘레 방향으로 분할한 것이다. 원호형 분할체(30)의 개략의 외형은, 중공 원통을 둘레 방향으로 등분할한 형상이다. 복수의 원호형 분할체(30)가 조립되어, 도 1에 나타내는 드럼(20)이 형성된다. 도 1에 나타내는 드럼(20)은, 원호형 분할체(30)가 조합되어 구성된 중공 통형상체이다.
도 2에 나타내는 원호형 분할체(30)는, 복수의 약제 수용부(31)와, 약제 수용부(31)와 동수의 지지체(32)를 갖는다. 약제 수용부(31)는 중공의 용기이다. 약제 수용부(31)는 개폐 가능한 덮개부를 갖는다. 약제 수용부(31)의 내부 공간에는 약제가 수용된다. 약제는, 덮개부를 개방함으로써 약제 수용부(31)에 수용된다. 본 실시형태의 약제 수용부(31)에 수용되는 약제의 제형은 정제이다. 본 실시형태의 약제 공급 장치(1)는, 1종류 또는 복수종류의 정제를 포장하여 공급하기 위한 장치이다.
각각의 지지체(32)는 판형으로 형성된다. 지지체(32)는 서로 간격을 두고 나열된다. 약제 수용부(31)는, 상하의 지지체(32) 사이에 착탈 가능하게 부착된다. 각각의 약제 수용부(31)는, 약제 공급 장치(1)로의 장착 및 약제 공급 장치(1)로부터의 제거가 가능한 카세트로서 설치된다.
원호형 분할체(30)의 상단 부분에는, 원환판을 둘레 방향으로 분할한 형상의 천장부(34)가 설치된다. 원호형 분할체(30)의 하단 부분에는, 두께가 얇은 원통을 둘레 방향으로 분할한 형상의 외장판(35)이 설치된다. 외장판(35)의 일부가 절취되어 구멍부(36)가 형성된다. 구멍부(36)는, 약제 공급 장치(1)를 사용하는 작업자가 손가락을 삽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도 3은, 도 2와는 상이한 각도에서 본 원호형 분할체(30)의 사시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호형 분할체(30)는 내주면(39)을 갖는다. 내주면(39)은, 중공 원통을 둘레 방향으로 분할한 원호형 분할체(30)의 외표면 중, 상기 중공 원통의 중심선으로 향하는 표면이다. 내주면(39)은, 원통면을 둘레 방향으로 분할한 형상을 갖는다. 내주면(39)은, 원통면의 일부의 형상을 갖는다. 내주면(39)은, 부분 원통면형이다.
도 3 및 다른 도면 중에 나타내는 축방향(Z)은, 내주면(39)을 형성하는 부분 원통면의 축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도 3 및 다른 도면 중에 나타내는 직경 방향(R)은, 내주면(39)을 형성하는 부분 원통면의 직경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도 3 및 다른 도면 중에 나타내는 둘레 방향(θ)은, 내주면(39)을 형성하는 부분 원통면의 둘레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원호형 분할체(30)에는, 직경 방향(R)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직경 방향 통로(37)가 형성된다. 각각의 직경 방향 통로(37) 내에는, 축방향(Z)에 대하여 경사진 경사면(38)이 설치된다. 경사면(38)은, 직경 방향 통로(37) 내의 바닥면을 구성한다. 각각의 직경 방향 통로(37)는, 원호형 분할체(30)의 내주면(39)으로 개구된다. 또한 직경 방향 통로(37)는, 도 1에 나타내는 약제 수용부(31)의 내부 공간에 연결된다. 직경 방향 통로(37)는, 약제 수용부(31)의 각각과 내주면(39)을 연통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경 방향 통로(37)는, 축방향(Z)으로 나열되고, 또한 둘레 방향(θ)으로 나열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약제 수용부(31)는, 축방향(Z)으로 나열되고, 또한, 둘레 방향(θ)으로 나열된다. 약제 수용부(31) 및 직경 방향 통로(37)는, 축방향(Z) 및 둘레 방향(θ)으로 나란히 배치된다. 약제 수용부(31)는, 원호형 분할체(30)의 외주면에 면하여 배치된다. 약제 수용부(31)는, 직경 방향(R)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지지체(32)는, 직경 방향(R)으로 연장된다.
원호형 분할체(30)는, 제1 측면(40)과 제2 측면(43)을 갖는다. 제1 측면(40)과 제2 측면(43)은 평면형의 형상을 갖는다. 제1 측면(40)과 제2 측면(43)은, 원호형 분할체(30)의 하단으로부터 상단에 걸쳐 축방향(Z)으로 연장되고, 또한, 원호형 분할체(30)의 내주면(39)으로부터 외주면에 걸쳐 직경 방향(R)으로 연장된다.
원호형 분할체(30)의 제1 측면(40)에는 상방 축지지부(41)가 고정된다. 상방 축지지부(41)에는 2개소의 관통 구멍부가 형성된다. 이들 2개의 관통 구멍부는 축방향(Z)으로 떨어져 형성된다. 2개의 관통 구멍부는, 원형으로 형성되고, 평면에서 볼 때 공통의 중심을 갖는다. 상방 축지지부(41)는, 도시하지 않은 상방 회동축부를 받치고, 상방 회동축부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 상방 회동축부는 드럼(20)의 프레임에 부착된다.
원호형 분할체(30)의 제1 측면(40)에는 또한, 하방 회동축부(42)가 부착된다. 제1 측면(40)에는 하방 축지지부가 고정되고, 하방 축지지부에는 상방 축지지부(41)와 동일한 2개의 관통 구멍부가 형성된다. 하방 회동축부(42)는, 하방 축지지부에 형성되는 관통 구멍부를 관통한다. 하방 회동축부(42)는, 제1 측면(40)의 하단부보다 하측으로 연장된다. 하방 회동축부(42)는, 드럼(20)의 프레임에 결합된다.
도 3 중에 일점쇄선으로 나타내는 회전축(A)은, 축방향(Z)으로 연장되는 가상적인 직선이다. 회전축(A)은, 상방 축지지부(41)에 형성되는 2개의 관통 구멍부의 중심을 통과하고, 하방 회동축부(42)의 축선을 통과한다. 회전축(A)은, 후술하는 원호형 분할체(30)의 회전의 중심이 된다. 원호형 분할체(30)는, 회전축(A)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다.
도 4는, 약제 공급 장치(1)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는, 도 1에 나타내는 약제 공급 장치(1)를,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드럼(20)을 통과하는 평면을 따라서 절단한 하측의 절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3)를 평면에서 본 4개의 모서리에는, 좌측 전방 기둥부(11), 우측 전방 기둥부(12), 좌측 후방 기둥부(13) 및 우측 후방 기둥부(14)가 설치된다.
드럼(20)은, 4개의 원호형 분할체(30)를 갖는다. 도 2, 3에 나타내는 원호형 분할체(30)가, 내주면(39)을 원통형을 따르게 하여 4개 나란히 배치됨으로써, 도 4에 나타내는 대략 원통형상의 드럼(20)이 형성된다. 원호형 분할체(30)는, 대략 원통형상의 드럼(20)을 둘레 방향으로 4분할한 것이다. 각각의 원호형 분할체(30)는, 둘레 방향(θ)으로 4열 나열된 복수의 약제 수용부(31)를 갖는다.
도 4에 나타내는 중심선(O)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나란히 배치된 원호형 분할체(30)의 부분 원통면형의 내주면(39)의 중심선을 나타내고 있다. 중심선(O)은 또한, 대략 원통형상의 드럼(20)의 중심선을 나타내고 있다. 중심선(O)은, 도 4의 지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3, 4에 나타내는 회전축(A)은, 중심선(O)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고, 중심선(O)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회전축(A)은, 드럼(20)의 외주 가장자리의 근방에 설치된다. 회전축(A)은, 도 4의 지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2, 3에 나타내는 축방향(Z)은, 도 4의 지면에 대해 수직 방향에 해당한다.
약제 수용부(31)에 대하여 드럼(20)의 중심선(O) 근처에, 전술한 직경 방향 통로(37)가 형성된다.
복수의 원호형 분할체(30)는, 중심선(O)을 중심으로 하여 둘레 방향으로 나열되고, 중공 원통형의 형상을 형성한다. 복수의 원호형 분할체(30)는, 도 4 중에 양방향 화살표로 나타내는 회동 방향(DR1)과 같이, 중심선(O)을 중심으로 하여 일체적으로 회동 가능하다. 복수의 원호형 분할체(30)는, 상부 케이스(3)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약제 공급 장치(1)의 전방면으로 각각의 원호형 분할체(30)를 순차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 도 4 중의 하측이 약제 공급 장치(1)의 전방면에 해당한다.
원호형 분할체(30)에 대하여 중심선(O) 근처에, 드럼(20)의 프레임의 일부를 구성하는 지주(50)가 배치된다. 지주(50)는, 중심선(O)을 따라서 도 4의 지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다. 지주(50)는 중공으로 형성된다. 지주(50)의 내부에는 중공 공간(53)이 형성된다. 지주(50)의 중공 공간(53)에 면하는 내주면에는 4개의 구조 기둥(54)이 설치된다. 구조 기둥(54)은, 도 4의 지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실 원기둥형의 형상을 갖는다.
지주(50)의 외주면에는, 도 4의 지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홈형상이 형성된다. 이 홈형상은, 축방향(Z)으로 연장되는 축방향 통로(51)를 구성한다. 축방향 통로(51)는, 원호형 분할체(30)에 대하여 직경 방향(R)의 내측에 형성된다. 원호형 분할체(30)의 내주면(39)은 축방향 통로(51)에 면한다. 원호형 분할체(30)의 내주면(39)은 축방향 통로(51)의 벽면의 일부를 구성한다. 내주면(39)은 축방향 통로(51)의 외주측의 벽면을 구성한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지주(50)의 외주면에는 둘레 방향으로 8개소의 축방향 통로(51)가 형성된다. 하나의 원호형 분할체(30)에 대하여 2개의 축방향 통로(51)가 형성된다. 2개의 약제 수용부(31)에 대하여 1개의 축방향 통로(51)가 형성된다. 2개의 직경 방향 통로(37)에 대하여 1개의 축방향 통로(51)가 형성된다. 직경 방향 통로(37)는 축방향 통로(51)에 연통된다. 약제 수용부(31)와 축방향 통로(51)는, 직경 방향 통로(37)를 통해 서로 연통된다.
각각의 하방 회동축부(42)에 대하여 중심선(O)에 가깝게 보강 스테이(49)가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드럼(20)은 4개의 원호형 분할체(30)를 가지며, 4개의 하방 회동축부(42)를 갖기 때문에, 보강 스테이(49)도 4개소에 설치된다. 보강 스테이(49)는, 도 4의 지면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다. 보강 스테이(49)는, 상부 케이스(3)의 하단부 근방으로부터 상단부 근방까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다. 드럼(20)은, 원환 평판형의 바닥판(60)과, 바닥판(60)과 동일한 형상의 도시하지 않은 천장판을 갖는다. 보강 스테이(49)의 하단은 바닥판(60)에 고정된다. 보강 스테이(49)의 상단은 천장판에 고정된다.
도 5는, 약제가 통과하는 경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약제 수용부(31)는, 축방향(Z)으로 나열되어 배치되고, 상하의 지지체(32) 사이에 끼워져 배치된다. 직경 방향 통로(37)는 약제 수용부(31)에 연통된다. 직경 방향 통로(37)는 경사면(38)을 갖는다. 직경 방향 통로(37)는 축방향 통로(51)에 연통된다. 원호형 분할체(30)의 내주면(39)은, 축방향 통로(51)에 면하고, 축방향 통로(51)의 벽면의 일부를 구성한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주면(39)에 대향하는 대향면(52)이 축방향 통로(51)의 벽면의 일부를 구성한다. 내주면(39)과 대향면(52)은, 축방향(Z)을 따라서 연장되고, 대략 평행하게 형성된다.
직경 방향 통로(37)와 축방향 통로(51)는, 약제 수용부(31)로부터 배출되는 약제가 통과하는 경로를 구성한다. 도 6은, 직경 방향 통로(37) 및 축방향 통로(51)를 통과하는 약제(M)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약제 수용부(31)로부터 배출된 약제(M)는, 직경 방향 통로(37), 축방향 통로(51)를 순서대로 경유하여 낙하하여 공급된다.
직경 방향 통로(37)를 통과하는 약제(M)는, 직경 방향 통로(37)의 바닥면을 구성하는 경사면(38)을 따라서 이동한다. 직경 방향 통로(37)를 통과하는 약제(M)는, 경사면(38) 위를 미끄러져 떨어지거나, 또는 경사면(38)을 따라 굴러서 떨어져 이동한다.
직경 방향 통로(37)로부터 축방향 통로(51)로 이동한 약제(M)는, 직경 방향 통로(37) 내를 낙하하는 기세에 의해, 내주면(39)으로부터 대향면(52)으로 향하는 속도 성분을 갖는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몇 개의 약제(M)는 대향면(52)까지 도달한다. 대향면(52)까지 도달한 약제(M)는, 대향면(52)과 충돌하여 튀어올라, 대향면(52)으로부터 떨어져 내주면(39)에 근접하도록 이동하면서, 축방향 통로(51) 내를 낙하한다.
도 7은, 원호형 분할체(30)를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원호형 분할체(30)를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7,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호형 분할체(30)는, 축방향(Z)으로 연장되는 회전축(A)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다. 원호형 분할체(30)는, 도 8 중에 양방향 화살표로 나타내는 회동 방향(DR2)과 같이, 회전축(A)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다.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원호형 분할체(30)는, 둘레 방향(θ)으로 나열되는 복수 열의 약제 수용부(31)를 갖는다. 둘레 방향(θ)으로 나열되는 복수 열의 약제 수용부(31)는, 회전축(A)을 중심으로 하여 일체적으로 회동 가능하다.
도 7, 8에서, 원호형 분할체(30)는, 드럼(20)의 대략 원통형상의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회동한다. 원호형 분할체(30)의 내주면(39)은, 원호형 분할체(30)의 회동에 따라, 회전축(A)을 중심으로 하여 이동한다. 내주면(39)은, 축방향 통로(51)의 벽면을 구성한다. 도 8에 나타내는 원호형 분할체(30)를 회전축(A)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으로 이동시킨 상태로, 내주면(39)이 이동한 결과, 축방향 통로(51)의 벽면의 일부가 이동한다. 도 7, 8에 나타내는 원호형 분할체(30)를 회전축(A)을 중심으로 중심선(O)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축방향 통로(51)가 노출된다. 이 상태에서, 약제 공급 장치(1)를 사용하는 작업자는, 대향면(52) 등의 축방향 통로(51)의 벽면 및 원호형 분할체(30)의 내주면(39)에, 용이하게 액세스 가능해진다.
도 9는, 원호형 분할체(30)의 잠금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드럼(20)의 바닥판(60)에는 받침 부재(71)가 고정된다. 받침 부재(71)의 선단 부분에는 결합부(72)가 형성된다.
드럼(20)의 외장판(35)의 구멍부(36)가 형성된 위치의 상측에 후크 부재(75)가 부착된다. 후크 부재(75)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부(76)와, 회전축부(77)와, 조작부(78)와, 갈고리부(79)를 갖는다. 고정부(76)는 외장판(35)에 고정된다. 회전축부(77)는 고정부(76)에 부착된다. 조작부(78)는, 약제 공급 장치(1)를 사용하는 작업자가 구멍부(36)를 통해 손가락을 삽입하는 것에 의해, 손끝을 걸 수 있도록 구성된다. 갈고리부(79)는, 받침 부재(71)의 결합부(72)에 결합 가능하게 구성된다. 조작부(78)와 갈고리부(79)는, 회전축부(77)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일체로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9 중의 좌우 방향(직경 방향(R))에서 볼 때, 후크 부재(75)의 갈고리부(79)와 받침 부재(71)의 결합부(72)는, 서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도 9에 나타내는 배치에서, 갈고리부(79)의 선단 부분은, 결합부(72)보다 외장판(35)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배치된다. 후크 부재(75)의 갈고리부(79)와, 받침 부재(71)의 결합부(72)가 결합한 도 9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원호형 분할체(30)는 회전축(A) 둘레로 회전할 수 없게 된다. 후크 부재(75)와 받침 부재(71)는, 드럼(20)의 프레임에 대하여 원호형 분할체(30)를 이동 불가능하게 잠그는 잠금 장치를 구성한다.
도 10은, 잠금 장치에 의한 원호형 분할체(30)의 잠금을 해제한 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9와 도 10을 비교하여, 도 10에서는, 조작부(78)와 갈고리부(79)는, 회전축부(77)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도면 중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있다. 이러한 조작부(78)와 갈고리부(79)의 회전은, 작업자가 구멍부(36)를 통해 손가락을 삽입하여 조작부(78)를 앞쪽으로 당기는 것에 의해 실현된다.
도 10 중의 좌우 방향(직경 방향(R))에서 볼 때, 후크 부재(75)의 갈고리부(79)와 받침 부재(71)의 결합부(72)는, 서로 중첩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다. 도 9와 비교하여, 갈고리부(79)가 회전축부(77) 둘레로 회전 이동한 것에 의해, 후크 부재(75)의 갈고리부(79)와, 받침 부재(71)의 결합부(72)의 결합이 풀려, 원호형 분할체(30)의 잠금이 해제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원호형 분할체(30)를 앞쪽으로 가까이 당기는 것에 의해, 원호형 분할체(30)는 회전축(A) 둘레로 회전 이동한다.
도 11은, 가동 밀폐 부재(80)의 구성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11에는, 드럼(20)의 최하부가 도시되어 있고, 원환판 형상의 바닥판(60)의 내주측 부분의 일부가 도면 중 좌측에 도시되어 있다.
축방향 통로(51)의 하측에는 호퍼(90)가 배치된다. 호퍼(90)는, 축방향 통로(51) 내를 낙하해 온 약제(M)를 받아, 호퍼(90)의 하측에 설치되는 도시하지 않은 포장 장치에 약제(M)를 공급한다. 호퍼(90)는, 대략 원추형의 형상을 갖고, 중공으로 형성된다. 호퍼(90)의 내부에는, 약제(M)를 하측의 포장 장치로 안내하는 안내 통로(91)가 형성된다. 안내 통로(91)는 축방향 통로(51)에 연통된다.
호퍼(90)의 외주 가장자리에는, 전술한 축방향(Z)으로 연장되는 림부(92)가 설치된다. 림부(92)는, 축방향 통로(51)의 연장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림부(92)는, 원호형 분할체(30) 중, 직경 방향 통로(37)의 형성 부분의 하측에, 원호형 분할체(30)와는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축방향(Z)에서의 원호형 분할체(30)와 호퍼(90) 사이에, 가동 밀폐 부재(80)가 배치된다. 가동 밀폐 부재(80)는, 경사면(81)과, 정상 평면(83)과, 내주벽면(89)을 갖는다.
경사면(81)은, 도 11에 나타내는 가장 하측의 지지체(32)와 바닥판(6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향한다. 도 11에 나타내는 가동 밀폐 부재(80)의 배치에서는, 경사면(81)은, 원환판 형상의 바닥판(60)의 내주면에 대향한다. 정상 평면(83)은, 원호형 분할체(30)의 하면에 접촉한다. 내주벽면(89)은, 약제(M)가 통과하는 통로에 면한다. 내주벽면(89)은, 약제(M)가 통과하는 통로 중, 축방향 통로(51)와 안내 통로(91)의 경계 부분에 면한다. 내주벽면(89)은, 원호형 분할체(30)의 내주면(39)에 연속하여, 내주면(39)과 대략 동일한 면 위에서 연장된다.
가동 밀폐 부재(80)에는 홈부(82)가 형성된다. 홈부(82)는, 호퍼(90)의 림부(92)에 대하여 상측에 형성되고, 림부(92)의 연장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홈부(82)는, 림부(92)의 일부를 그 내부에 수용할 수 있다. 도 11에 나타내는 배치에서는, 림부(92)의 상단 부분이 홈부(82)의 내부에 배치된다.
가동 밀폐 부재(80)는, 도 11 중에 나타내는 양방향 화살표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시하지 않은 압박 부재는, 가동 밀폐 부재(80)를 상측으로 압박한다. 가동 밀폐 부재(80)는, 압박 부재에 의해, 도 11 중에 나타내는 양방향 화살표의 연장되는 방향이자 호퍼(9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압박된다.
도 7, 8에 나타내는 원호형 분할체(30)가 회동하여 축방향 통로(51)를 노출시킨 상태에서는, 원호형 분할체(30)는 가동 밀폐 부재(80)와 접촉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때, 전술한 압박 부재의 압박력에 의해, 가동 밀폐 부재(80)는, 도 11에 나타내는 위치보다 상측에 위치한다. 도 7, 8에 나타내는 위치로부터 원호형 분할체(30)가 회전축(A) 둘레로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하여, 원호형 분할체(30)가 지주(50)에 근접하면, 원호형 분할체(30)의 내주면(39)이 가동 밀폐 부재(80)의 경사면(81)에 접촉한다.
원호형 분할체(30)가 경사면(81)에 접촉한 상태에서 더욱 회전하면, 원호형 분할체(30)는 경사면(81)에 대하여 슬라이딩한다. 이때, 압박 부재의 압박력에 거역하여, 원호형 분할체(30)로부터 아래로 향하는 힘이 가동 밀폐 부재(80)에 작용한다. 이에 따라 가동 밀폐 부재(80)는 하측으로 이동한다. 원호형 분할체(30)가 더욱 회전하면, 원호형 분할체(30)는, 가동 밀폐 부재(80)의 정상 평면(83)과 접촉하고, 정상 평면(83)에 대하여 슬라이딩한다.
원호형 분할체(30)가 완전히 폐쇄되면, 원호형 분할체(30)는 도 11에 도시되는 위치에 배치된다. 정상 평면(83)은 원호형 분할체(30)의 하면에 접촉한다. 가동 밀폐 부재(80)가 원호형 분할체(30)와 바닥판(60) 사이에 배치되고, 원호형 분할체(30)와 바닥판(60)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지 않는 구조가 된다. 가동 밀폐 부재(80)가 원호형 분할체(30)와 호퍼(90) 사이에 배치되고, 원호형 분할체(30)와 호퍼(90)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지 않는 구조가 된다. 이에 따라, 축방향 통로(51)와 호퍼(90) 내의 안내 통로(91)가 연속적으로 이어지고, 약제(M)가 통과하는 통로의 벽면에 간극 또는 개구가 형성되지 않는 구조가 실현된다.
본 실시형태의 약제 공급 장치(1)의 구성 및 작용 효과에 관해 정리하여 설명하면, 이하와 같다. 또, 실시형태의 구성에 참조 번호를 붙이지만 이것은 일례이다.
본 실시형태의 약제 공급 장치(1)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드럼(20)을 구비한다. 드럼(20)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원호형 분할체(30)를 갖는다. 각각의 원호형 분할체(3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약제(M)를 수용하는 약제 수용부(31)를 복수개 갖는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호형 분할체(30)는 내주면(39)을 갖는다. 내주면(39)은, 부분 원통면형의 형상을 갖는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주면(39)을 원통형을 따르게 하여 복수의 원호형 분할체(30)가 나란히 배치된 상태에서, 약제 수용부(31)는, 내주면(39)의 부분 원통면의 축방향(Z) 및 둘레 방향(θ)으로 나란히 배치된다.
도 4,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약제 공급 장치(1)에는, 약제 수용부(31)로부터 배출되는 약제(M)가 통과하는 축방향 통로(51)가 형성된다. 축방향 통로(51)는 축방향(Z)으로 연장된다. 축방향 통로(51)는, 원호형 분할체(30)에 대하여, 내주면(39)의 부분 원통면의 직경 방향(R)의 내측에 형성된다. 도 7,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호형 분할체(30)는 회전축(A)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다. 회전축(A)은, 내주면(39)의 부분 원통면의 중심선(O)으로부터 떨어진 위치에 있고, 중심선(O)에 평행하게 연장된다. 원호형 분할체(30)를, 회전축(A)을 중심으로 중심선(O)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축방향 통로(51)가 노출된다.
축방향 통로(51) 내를 이동하는 약제(M)가, 도 5, 6에 나타내는 대향면(52) 등의 축방향 통로(51)의 벽면에 접촉하면, 약제(M)의 표면에 마모 또는 이지러짐이 발생하고, 약제(M)의 분진이 축방향 통로(51)의 벽면에 부착된다. 그 때문에, 축방향 통로(51)의 벽면을 정기적으로 청소할 필요가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원호형 분할체(30)를 회전축(A)을 중심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축방향 통로(51)를 노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약제(M)가 통과하는 축방향 통로(51)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
대략 원통형상의 드럼(20)을 둘레 방향으로 분할한 원호형 분할체(30)가, 드럼(20)의 중심선(O)과 평행한 회전축(A)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회전축(A) 둘레에 원호형 분할체(30)가 회동하는 각도를 증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원호형 분할체(30)의 내주면(39)과, 축방향 통로(51)의 대향면(52)을, 크게 노출시킬 수 있다. 회전축(A)의 근방에도 충분한 작업 스페이스가 확보되기 때문에, 약제 공급 장치(1)를 사용하는 작업자는, 내주면(39)과 대향면(52)의 전체에 용이하게 액세스할 수 있다. 따라서, 내주면(39)과 대향면(52)을 모두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
일본 특허 공개 평9-201399호 공보(특허문헌 1)에 기재된 장치에서는, 약제 안내 통로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상측의 지점을 중심으로 피더 열을 들어올릴 필요가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부담은 컸다. 이에 비해, 본 실시형태의 약제 공급 장치(1)에서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A) 둘레로 원호형 분할체(30)를 회전시키기 때문에, 작업자는 적은 부담으로 축방향 통로(51)를 용이하게 노출시킬 수 있다.
또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둘레 방향(θ)으로 나열되는 복수 열의 약제 수용부(31)가, 회전축(A)을 중심으로 하여 일체적으로 회동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하면, 둘레 방향(θ)으로 나열되는 복수 열의 약제 수용부(31)에 대응하는 원호형 분할체(30)의 내주면(39)과, 둘레 방향(θ)으로 나열되는 복수 열의 약제 수용부(31)에 대응하는 축방향 통로(51)를, 1회의 원호형 분할체(30)의 회동에 의해 한 번에 노출시킬 수 있다. 청소가 필요한 축방향 통로(51)의 벽면을 통합하여 노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청소에 관한 작업자의 수고를 경감할 수 있고, 청소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도 5,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호형 분할체(30)의 내주면(39)은 축방향 통로(51)의 벽면을 구성한다. 이와 같이 하면, 원호형 분할체(30)를 회동시킴으로써, 원호형 분할체(30)의 내주면(39)과 축방향 통로(51)의 벽면을 확실하게 노출시킬 수 있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원호형 분할체(30)는, 중심선(O)을 중심으로 하여 일체적으로 회동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하면, 드럼(20)을 중심선(O) 둘레에 회전시켜, 복수의 원호형 분할체(30)를 순서대로 약제 공급 장치(1)의 전방면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전방면측에 배치되는 원호형 분할체(30)를 회전축(A)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시킴으로써 축방향 통로(51)를 노출시켜, 축방향 통로(51)의 벽면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
또, 지금까지의 설명에서는, 대략 원통형의 드럼(20)이 4분할된 4개의 원호형 분할체(30)를 구비하고, 각각의 원호형 분할체(30)가 둘레 방향(θ)으로 나열되는 4열의 약제 수용부(31)를 갖는 예에 관해 설명했다. 약제 수용부(31)는, 둘레 방향(θ)으로 나열되는 각각의 열마다 회동 가능하게 해도 좋지만, 드럼(20)을 둘레 방향으로 분할하는 분할 수를 지나치게 많게 하면, 청소에 관한 수고가 증가하기 때문에 청소 시간이 증가하고, 또한 이웃하는 원호형 분할체(30)와의 간섭이 발생하여 원호형 분할체(30)를 회동시킬 수 없게 되는 경우가 있다. 한편, 드럼(20)을 둘레 방향으로 분할하는 분할 수가 지나치게 적으면, 상부 케이스(3)의 4개의 모서리의 기둥과의 간섭이 발생하여 원호형 분할체(30)의 회동 각도가 제한되어 버린다. 그 때문에, 상기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드럼(20)을 90°씩 4분할하는 예, 또는, 드럼(20)을 72°씩 5분할하는 예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심선(O)을 중심으로 하는 원통형상의 드럼(20)의 직경 방향에서, 원호형 분할체(30)가 일렬로 설치되는 예에 관해 설명했다. 이 예에 한정되지 않고, 드럼(20)의 직경 방향으로 복수 열의 원호형 분할체(30)가 설치되어도 좋다.
또한, 도 4, 8에 나타내는 평면에서 볼 때, 회전축(A)이, 원호형 분할체(30)에 대하여 드럼(20)의 둘레 방향의 시계 방향으로 설치되는 예에 관해 설명했다. 회전축(A)은, 원호형 분할체(30)에 대하여 드럼(20)의 둘레 방향의 반시계 방향으로 설치되어도 좋다. 이 경우, 회전축(A)을 중심으로 하여 원호형 분할체(3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축방향 통로(51)를 노출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 설명했지만, 이번에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설명이 아니라 청구범위에 의해 표시되며, 청구범위와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이 의도된다.
1: 약제 공급 장치, 2: 케이스, 3: 상부 케이스, 20: 드럼, 30: 원호형 분할체, 31: 약제 수용부, 32: 지지체, 35: 외장판, 36: 구멍부, 37: 직경 방향 통로, 38: 경사면, 39: 내주면, 40: 제1 측면, 41: 상방 축지지부, 42: 하방 회동축부, 49: 보강 스테이, 50: 지주, 51: 축방향 통로, 52: 대향면, 60: 바닥판, 75: 후크 부재, 80: 가동 밀폐 부재, A: 회전축, DR1, DR2: 회동 방향, M: 약제, O: 중심선, R: 직경 방향, Z: 축방향.

Claims (4)

  1. 약제를 수용하는 약제 수용부를 복수개 갖는 원호형 분할체를 복수개 구비하고,
    상기 원호형 분할체는, 부분 원통면형의 내주면을 가지며, 상기 내주면을 원통형을 따르게 하여 복수의 상기 원호형 분할체가 나란히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약제 수용부는 상기 내주면의 부분 원통면의 축방향 및 둘레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며,
    상기 원호형 분할체에 대하여 상기 내주면의 부분 원통면의 직경 방향의 내측에서 상기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약제 수용부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약제가 통과하는, 축방향 통로가 형성되고,
    상기 원호형 분할체는, 상기 내주면의 부분 원통면의 중심선으로부터 떨어지고 상기 중심선에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며,
    상기 원호형 분할체를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중심선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시킨 상태에서, 상기 축방향 통로가 노출되는 것인, 약제 공급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 방향으로 나열되는 복수 열의 상기 약제 수용부가,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일체적으로 회동 가능한 것인, 약제 공급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내주면은 상기 축방향 통로의 벽면을 구성하는 것인, 약제 공급 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원호형 분할체는, 상기 내주면의 부분 원통면의 상기 중심선을 중심으로 하여 일체적으로 회동 가능한 것인, 약제 공급 장치.
KR1020187017085A 2015-11-25 2016-10-21 약제 공급 장치 KR1026393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229365A JP6875065B2 (ja) 2015-11-25 2015-11-25 薬剤供給装置
JPJP-P-2015-229365 2015-11-25
PCT/JP2016/081242 WO2017090353A1 (ja) 2015-11-25 2016-10-21 薬剤供給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7292A true KR20180087292A (ko) 2018-08-01
KR102639382B1 KR102639382B1 (ko) 2024-02-21

Family

ID=587634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7085A KR102639382B1 (ko) 2015-11-25 2016-10-21 약제 공급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888501B2 (ko)
JP (1) JP6875065B2 (ko)
KR (1) KR102639382B1 (ko)
CN (1) CN108289791B (ko)
TW (1) TW201730059A (ko)
WO (1) WO20170903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49826A (zh) * 2021-01-04 2021-05-28 张春兰 一种垃圾滤液处理加药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566U (ko) * 1985-06-19 1987-01-06
US4664289A (en) * 1985-06-03 1987-05-12 Sanyo Electric Co, Ltd. Drug dispensing apparatus
JPH09201399A (ja) 1996-01-26 1997-08-05 Yuyama Seisakusho:Kk 薬剤収納取り出し装置
JP2001287702A (ja) * 2000-04-11 2001-10-16 Yuyama Manufacturing Co Ltd 錠剤充填装置
KR20010093142A (ko) * 1998-12-04 2001-10-27 유야마 쇼지 약품 수집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95834A (ja) * 1986-05-12 1987-12-23 Sanyo Electric Co Ltd 錠剤供給装置
JPH0533155Y2 (ko) * 1990-03-01 1993-08-24
US5277534A (en) * 1992-01-23 1994-01-11 Storage Technology Corporation Expandable magnetic tape cartridge storage system
US5667096A (en) * 1995-07-18 1997-09-16 Wu; King-Sheng Drug storing apparatus for automatic drug dispensing machines
JP3122611B2 (ja) * 1996-04-22 2001-01-09 オートメッド テクノロジ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薬剤包装機
JPH1033636A (ja) * 1996-05-03 1998-02-10 Yuyama Seisakusho:Kk 薬剤分包装置、薬瓶及び薬剤検査方法
JP3026960B2 (ja) 1998-08-24 2000-03-27 正二 湯山 薬剤収納取出装置
US6464142B1 (en) * 1999-10-29 2002-10-15 Si/Baker, Inc. Automated will call system
US6286714B1 (en) * 2000-08-11 2001-09-11 Pearson Ventures, L.L.C. Medication dispensing system
JP2002068102A (ja) 2000-08-22 2002-03-08 Takazono Sangyo Co Ltd 薬剤選択供給装置
US20030056467A1 (en) * 2001-09-24 2003-03-27 Kim Jun H. Tablet cassette cabinet assembly for automatic tablet dispensing and packaging system
JP4429752B2 (ja) * 2004-01-30 2010-03-10 株式会社湯山製作所 錠剤収納取出装置
US7853355B1 (en) * 2006-07-07 2010-12-14 Waldemar Willemse Pharmaceutical dispensing system for medicament and pre-packaged medication
JP2008029584A (ja) 2006-07-28 2008-02-14 Takazono Sangyo Co Ltd 薬剤選択供給装置
CN103720590B (zh) 2007-10-23 2015-09-30 株式会社汤山制作所 药剂送出装置
KR101524609B1 (ko) 2008-04-24 2015-06-02 (주)제이브이엠 약제 자동 포장기
JP4696170B2 (ja) 2009-04-30 2011-06-08 高園産業株式会社 ドラム形成モジュール
JP5389007B2 (ja) * 2010-12-24 2014-01-15 株式会社トーショー 錠剤分包機
JP6167907B2 (ja) 2012-02-10 2017-07-26 株式会社湯山製作所 薬剤カセット
US20150266654A1 (en) * 2014-03-21 2015-09-24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Dispenser
US10025908B1 (en) * 2015-02-25 2018-07-17 Leonardo Y. Orellano Medication adherence systems and methods
US10546100B2 (en) * 2017-06-08 2020-01-28 Medicpen Ab Tablet dispenser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64289A (en) * 1985-06-03 1987-05-12 Sanyo Electric Co, Ltd. Drug dispensing apparatus
JPS62566U (ko) * 1985-06-19 1987-01-06
JPH09201399A (ja) 1996-01-26 1997-08-05 Yuyama Seisakusho:Kk 薬剤収納取り出し装置
KR100590842B1 (ko) * 1996-01-26 2006-09-22 가부시키가이샤 유야마 세이사쿠쇼 약제수납취출장치
KR20010093142A (ko) * 1998-12-04 2001-10-27 유야마 쇼지 약품 수집 시스템
JP2001287702A (ja) * 2000-04-11 2001-10-16 Yuyama Manufacturing Co Ltd 錠剤充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093824A (ja) 2017-06-01
JP6875065B2 (ja) 2021-05-19
CN108289791A (zh) 2018-07-17
TW201730059A (zh) 2017-09-01
CN108289791B (zh) 2021-06-11
US10888501B2 (en) 2021-01-12
WO2017090353A1 (ja) 2017-06-01
KR102639382B1 (ko) 2024-02-21
US20180333334A1 (en) 2018-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74887B (zh) 用於分配及包裝固體物質之裝置及方法
KR102423995B1 (ko) 의약품을 낱개로 자동 분배하는 장치의 저장 용기
US20110163112A1 (en) Medication Container and Medication Dispensing Apparatus
ITPR20130017A1 (it) Apparato di trattamento di chiusure per contenitori mediante una sostanza sterilizzante
JP7022146B2 (ja) 保存・分配ステーションのための保存容器
KR20180087292A (ko) 약제 공급 장치
JP2007145415A (ja) フィーダ及び計数充填機
WO2020170664A1 (ja) 薬剤ケース及び薬剤供給装置
JP6917079B2 (ja) 薬剤供給装置
KR100927487B1 (ko) 약제포장장치의 정제카세트
EP3459517A1 (en) Medicine cassette and automatic medicine packaging apparatus therewith
JP7158070B2 (ja) 薬剤供給装置
KR101556511B1 (ko) 약제 분배장치 및 분말약 분배방법
JP5857285B2 (ja) 薬剤供給装置
JP6700883B2 (ja) 薬剤供給装置
JP5675068B2 (ja) 充填装置
TW201733561A (zh) 藥劑供給裝置
JP6671189B2 (ja) 薬剤供給装置
JP2006248571A (ja) 散薬供給装置
JPH057601U (ja) 錠剤フイーダ
KR20180108621A (ko) 약품 보관 및 분배 스테이션을 위한 보관 용기
JP5998346B2 (ja) 薬剤供給装置
JPH07165202A (ja) 錠剤フィーダ
JP2020114544A (ja) 薬剤供給装置
JP2019064713A (ja) 一包化治具および一包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