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3319A - 클로스트리디움 베이예린키이(Clostridium beijerinckii), 그 용도, 및 부탄올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클로스트리디움 베이예린키이(Clostridium beijerinckii), 그 용도, 및 부탄올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3319A
KR20180083319A KR1020187012328A KR20187012328A KR20180083319A KR 20180083319 A KR20180083319 A KR 20180083319A KR 1020187012328 A KR1020187012328 A KR 1020187012328A KR 20187012328 A KR20187012328 A KR 20187012328A KR 20180083319 A KR20180083319 A KR 201800833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mentation
butanol
beijerinckii
nitrogen source
me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2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8703B1 (ko
Inventor
취앤 장
창하이 차오
훼이펑 가오
하오 관
링민 왕
카이 치아오
Original Assignee
차이나 페트로리움 앤드 케미컬 코포레이션
후순 리서치 인스티튜트 오브 페트로리움 앤 페트로케미컬즈 씨노펙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이나 페트로리움 앤드 케미컬 코포레이션, 후순 리서치 인스티튜트 오브 페트로리움 앤 페트로케미컬즈 씨노펙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차이나 페트로리움 앤드 케미컬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80083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3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8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87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7/00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7/02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hydroxy group
    • C12P7/04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hydroxy group acyclic
    • C12P7/06Ethanol, i.e. non-beverage
    • C12P7/08Ethanol, i.e. non-beverage produced as by-product or from waste or cellulosic material substrate
    • C12P7/10Ethanol, i.e. non-beverage produced as by-product or from waste or cellulosic material substrate substrate containing cellulosic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7/00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12P7/02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hydroxy group
    • C12P7/04Preparation of oxygen-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hydroxy group acyclic
    • C12P7/16Butanols
    • C12R1/145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145Clostridiu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10Biofuels, e.g. bio-diesel

Abstract

기탁번호 CGMCC No. 9124를 갖는 클로스트리디움 베이예린키이(Clostridium beijerinckii)가 제공되고; 부탄올의 제조에 있어서 그의 용도 및 부탄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클로스트리디움 베이예린키이(Clostridium beijerinckii), 그 용도, 및 부탄올 제조 방법
본 발명은 미생물의 기술분야에 속하며, 특히 부탄올의 제조에 사용할 수 있는 클로스트리디움 베이예린키이(Clostridium beijerinckii), 그 용도, 및 상기 클로스트리디움 베이예린키이(C. beijerinckii)를 사용하여 부탄올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부탄올은 유기화학 산업에서 중요한 원료이며, 화학 산업, 제약 및 석유 분야 등 산업 분야에서 널리 사용된다. 또한 부탄올은 에탄올보다 2개 많은 메틸렌을 가지고 있고, 부탄올은 높은 소수성과 낮은 휘발성을 가지고 있으며, 가솔린과는 어떠한 비율로도 혼합 될 수 있으며, 가솔린과 비슷한 열량을 가진다. 가솔린의 잠재적인 대체물인, 재생 가능한 생물 자원으로서, 부탄올은 세계 각국에서 점점 더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부탄올 생산 공정은 주로 화학 합성 공정과 미생물 발효 공정을 포함한다. 석유 자원이 점점 고갈됨에 따라, 히드로포밀화(hydroformylation)에 의해 프로필렌을 원료로 하는 방법을 통해 석유로부터 부탄올을 생산하는 것은 점점 더 어려워 지고 있다. 또한, 오랜 기간 동안 중국 시장에 부탄올을 공급하는 것은 부적절하며 구식 기술과 소규모 설비로 인한 불충분한 생산 능력 때문에 수요를 충족 시킬 수 없다. 부탄올 생산을 위한 미생물 발효 과정은 독특한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부탄올의 부적절한 공급 상황은 바이오-부탄올 기술이 개발되면 크게 완화 될 것이다.
아세톤-부탄올 발효(Acelone-butanol fermentation,ABF)의 주 생성물은 아세톤, 부탄올 및 에탄올이며, 농도비는 3:6:1이다. 모든 통상적인 아세톤-부탄올 발효(Acelone-butanol fermentation) 공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는다: (1) 통상적인 발효를 위한 균주는 엄격한 혐기성 조건 하에서 배양되고 발효되어야하며, 부적절한 조작이 있을 경우 공기가 침투되어 결과적으로 균주가 정상적으로 자랄 수 없다. 그러므로, 통상적으로 불활성 가스(예를 들어, N2)는 높은 에너지 소비를 초래하는 무산소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발효 공정에 도입되어야 한다; (2) 부탄올의 수득률이 낮아 (오로지 약 20wt%), 부탄올 발효 공정의 원료 비용이 높고, 부탄올 발효 산업의 성장이 제한적이다: (3) 발효 산물은 부탄올 외에 40wt%의 부산물(예를들어, 아세톤 및 에탄올 등)을 포함하며, 결과적으로 생산물 분리의 어려움이 증가하기 때문에, 에너지 소비가 증가한다.
여기서, 균주 및 원료의 문제는 항상 부탄올 발효를 방해하는 병목 현상이다. 최근 많은 나라에서 섬유질 원료의 발효를 통한 부탄올 생산에 대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며, 주로 균주 돌연변이 및 육종, 적당한 섬유질 원료 및 그것의 당 용액 제조, 발효 공정의 최적화, 및 용매 추출, 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현재, 산업계에서 사용되는 부탄올 생성 균주는 주로 신진 대사 경로가 비슷한 클로스트리디움 아세토부틸리쿰(Clostridium acetobutylicum)과 클로스트리디움 베이예린키이(C. beijerinckii)이며, 주로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1) 용매(아세톤, 에탄올 및 부탄올); 2)유기 산(아세트산, 젖산 및 부탄산); 3)가스(이산화탄소와 수소 등 포함). ABE(즉, 용매)의 경제적 경쟁력은 생산물에서 수소를 재활용함으로써 더욱 향상 될 수 있다. 그러나, 부산물(예를 들어, 아세톤 및 에탄올 등)들의 생성은 제한된 탄소 대사 흐름을 소비하고, 생성물 중의 부탄올의 비율을 감소 시키며, 부탄올 회수의 어려움을 증가 시킨다.
CN102162001A는 클로스트리디움 아세토부틸리쿰(C. acetobutylicum) XY16, 클로스트리디움 아세토부틸리쿰(C. acetobutylicum) AS1.134, 또는 클로스트리디움 아세토부틸리쿰(C. acetobutylicum) AS1.135를 발효 균주(엄격한 혐기성 생물)로 사용하는 클로스트리디움 아세토부틸리쿰(Clostridium acetobutylicum)을 이용한 혐기성 발효를 통해 부탄올을 생산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포도당은 초기 포도당 농도 60g/L에서 기질로 사용되며, 발효 탱크의 엄격한 혐기성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N2를 주입하는 동안 클로스트리디움 아세토부틸리쿰(C. acetobutylicum)의 산 발생 단계와 알코올 생성 단계에서의 pH를 조절 및 제어하며, 총 용매 및 부탄올의 수득량은 각각 19.20 내지 19.65g/L 및 11.43 내지 12.30g/L이고, 부탄올의 선별도는 58.2 내지 63.1%이며, 용매의 수득률은 32.0 내지 32.8%이며, 부탄올의 수득률은 19.1 내지 20.5%이다. 그러나, 이 방법은 발효를 위해 엄격한 혐기성 환경이 필요하고 불완전한 탈산소로 인해 균주가 정상적으로 자랄 수 없는 위험을 포함한다; 또한 발효 생산물 내 부산물(예를 들어, 아세톤 및 에탄올) 함량이 높고, 결과적으로 후속 절차에서 부탄올 회수의 부담이 높을 뿐만 아니라 에너지 소비도 높아진다.
CN102719371A는 본래 균주 클로스트리디움 베이예린키이(C. beijerinckii) NCIMB 8052를 에틸메탄 설포네이트(ethylmethane sulfonate, EMS) 로 돌연변이 시켜 얻은 돌연변이 균주(엄격한 혐기성 생물)인 부탄올 생산용 클로스트리디움 베이예린키이(C. beijerinckii) Y-3을 제시하였으며, 크실로오스 탄재(cinder)로부터 바이오-부탄올을 생성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크실로오스 탄재(cinder)의 효소 가수분해물 는 탄소원으로 사용되며, 이때 총 용매의 수득량은 16g/L, 부탄올의 수득량은 8.2g/L, 아세톤의 함량은 6.8g/L, 에탄올의 함량은 1.0g/L이다. 균주의 능력이 충분하지 않고, 전통적인 생물학적 발효 공정을 통해 부탄올을 생산하기에는 원료가 충분하지 않다는 문제점은 전술된 균주를 이용함으로써 해결되지만, 이러한 경우에도 발효 과정은 엄격한 혐기성 환경에서 실행되어야 한다; 또한 발효 생성물 중 부산물(예를 들어, 아세톤 및 에탄올 등)들의 함량이 높기 때문에, 후속 절차에서 높은 부탄올의 회수 부담 및 높은 에너지 소비를 포함하는 몇가지 단점이 여전히 존재한다.
본 발명은 통성 혐기 조건에서 자라면서 발효되어 부탄올을 생성할 수 있으며, 부탄올 수득량 및 수득률이 높으며, 부산물(예를 들어, 아세톤 및 에탄올 등)이 적다는 장점을 포함하는 클로스트리디움 베이예린키이(C. beijerinckii)를 제공하는 것이다.
첫 번째 관점에서, 본 발명은 중국 일반 미생물학 배양 수집 센터 (China General Microbiological Culture Collection Center)에 기탁되어 CGMCC No. 9124로 번호가 매겨진 클로스트리디움 베이예린키이(C. beijerinckii)의 균주를 제공한다.
두 번째 관점에서, 본 발명은 부탄올 생산에서 상기 클로스트리디움 베이예린키이(C. beijerinckii)의 용도를 제공한다.
세 번째 관점에서, 본 발명은 상기 클로스트리디움 베이예린키이(C. beijerinckii)를 발효 배양을 위한 발효 배지에 접종하여 부탄올을 생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탄올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기탁 번호 CGMCC No. 9124를 갖는 본 발명에 기재된 클로스트리디움 베이예린키이(C. beijerinckii)는 통성 혐기성 조건 하에서 정상적으로 자라고 발효되어 부탄올을 생성할 수 있으며, 강한 산소 내성을 갖는다. 그러므로, 전체적인 과정에서 혐기성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어떠한 탈산소제를 첨가하거나, 불활성 기체(예를 들어, N2)를 도입할 필요는 없다; 전통적인 혐기성 발효 과정에서의 탈산소 과정이 생략되어 있기 때문에, 불완전한 탈산소로 인해 균주가 정상적으로 자랄 수 없는 현상을 피할 수 있어, 에너지 소비가 감소된다. 또한 본 발명에 기재된 클로스트리디움 베이예린키이(C. beijerinckii)의 발효에 의해, 부탄올의 수득량 및 수득률이 높아지고, 얻어진 발효 생성물 내 부산물(예를 들어, 아세톤 및 에탄올 등)들이 거의 존재하지 않고, 후속 절차에서 부탄올 회수 부담이 완화되고, 분리를 위한 에너지 소비가 감소된다.
발명의 요약
상기 기재된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발명은 부탄올의 생성에 사용될 수 있는 클로스트리디움 베이예린키이(C. beijerinckii)의 신규한 균주, 그 용도, 및 상기 클로스트리디움 베이예린키이(C. beijerinckii)을 이용한 부탄올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이 균주는 통성 혐기 조건에서 자라면서 발효되어 부탄올을 생성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부탄올 수득량 및 수득률이 높으며, 부산물(예를 들어, 아세톤 및 에탄올 등)이 적다는 장점을 포함한다. 상기 기재된 목적을 달성 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발명자는 다수의 실험을 통해, 발효를 통한 부탄올 생성에 사용되는 경우, 강한 산소 내성을 가지고, 통성 혐기성 조건 하에서 정상적으로 자라며, 높은 부탄올 수득량 및 수득률을 달성할 수 있는 클로스트리디움 베이예린키이(C. beijerinckii)의 균주를 얻었으며; 또한, 발효 생성물에는 부산물(예를 들어, 아세톤 및 에탄올 등)들이 거의 없다.
따라서, 첫 번째 관점에서, 본 발명은 중국 일반 미생물학 배양 수집 센터 (China General Microbiological Culture Collection Center)에 기탁되어 CGMCC No. 9124로 번호가 매겨진 클로스트리디움 베이예린키이(C. beijerinckii)의 균주를 제공한다.
두 번째 관점에서, 본 발명은 부탄올 생산에서 상기 클로스트리디움 베이예린키이(C. beijerinckii)의 용도를 제공한다.
세 번째 관점에서, 본 발명은 상기 클로스트리디움 베이예린키이(C. beijerinckii)를 발효 배양을 위한 발효 배지에 접종하여 부탄올을 생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탄올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기탁 번호 CGMCC No. 9124를 갖는 클로스트리디움 베이예린키이(C. beijerinckii)는 통성 혐기성 박테리아에 속하며, pH = 4 내지 9 및 온도 = 20 내지 42 ℃의 조건 하에서 정상적으로 자랄 수 있고, 부탄올 생산을 위한 발효 과정에서 강한 산소 내성을 갖는다. 따라서, 전체 공정 중에 혐기성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배양 배지에 어떠한 탈산소제를 주입하거나 N2 및/또는 다른 불활성 기체를 주입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종래의 혐기성 발효 공정 내의 탈산소화 단계는 생략되었고, 불완전한 탈산소로 인해 균주가 정상적으로 자랄 수 없는 현상을 피할 수 있게 되었으며, 에너지 소비가 줄어들었다. 또한, 본 발명에 기재된 상기 클로스트리디움 베이예린키이(C. beijerinckii)의 통성 혐기성 조건 하에서의 발효에 의해, 부탄올 수득량 및 수득률은 높고, 얻어진 발효 생산물에서 부산물(예를 들어, 아세톤 및 에탄올 등)들은 거의 없고, 후속 공정에서의 부탄올 회수 부담이 경감되고, 분리를 위한 에너지 소비가 감소된다. 더욱이, 상기 클로스트리디움 베이예린키이(C. beijerinckii)는 혐기성 조건 하에서 발효되어 부탄올을 생산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장점은 이하의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생물학적 기탁
본 발명에 기재된 클로스트리디움 베이예린키이(C. beijerinckii)는 중국 일반 미생물학 배양 수집 센터(China General Microbiological Culture Collection Center), (CGMCC, 주소: Institute of Microbiology, Chinese Academy of Sciences, Building 3, No.1 West Beichen Road, Chaoyang District, Beijing, 우편번호: 100101)에 번호 CGMCC No. 9124로 2014년 5월 4일에 기탁되었다.
실시예의 설명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는 본 발명을 묘사하고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며, 본 발명에 대한 어떠한 제한을 구성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서는 안됨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에서 기재된 범위의 종점 및 임의의 값은 바로 그 범위 또는 값으로만 제한되지 않으며; 대신에, 그 범위 또는 값은 그 범위 또는 값에 가까운 값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숫자 범위의 경우, 범위의 끝점 사이의 임의의 값, 범위의 끝점과 이산점 값, 및 이산점 값들은 결합되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새로운 수치 범위를 얻을 수 있으며, 이들은 본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기재된 것으로 간주한다.
첫 번째 관점에서, 본 발명은 기탁번호 CGMCC No. 9124를 갖는 클로스트리디움 베이예린키이(C. beijerinckii)의 균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기재된 클로스트리디움 베이예린키이(C. beijerinckii)는 그람 양성 세균에 속하며 막대형 세포 형태를 가지며 포자를 생성할 수 있다. 이는 카탈라아제 음성, 옥시다제 음성, 질산염 동화불가능 같은 생리학적 및 생화학적 특성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인 생리학적 및 생화학적 특성을 표 1에 나타냈다.
실험 항목 결과 실험 항목 결과 실험 항목 결과
세포 형태 막대 모양 그람 염색 양성 포자 형성 +
15℃에서 성장 - 카탈라아제 - 옥시다아제 -
4% NaCl - pH5.0 + 질산염 감소 -
API 50CH
글리세롤
(Glycerol)
- 이노시톨
(Inositol)
- 이눌린
(Inulin)
-
에리스리톨
(Erythritol)
- 만니톨
(Mannitol)
- 멜리지토스
(Melizitose)
-
D-아라비노스
(D-arabinose)
- 소르비톨
(Sorbitol)
- 라피노스
(Raffinose)
+
L-아라비노스
(L-arabinose)
- α-메틸-D-만노사이드
(α-methyl-D-mannoside)
- 녹말
(Starch)
+
D-리보스
(D-ribose)
+ α-메틸-D-글리코사이드
(α-methyl-D-glycoside)
+ 글리코겐
(Glycogen)
+
D-크실로오스
(D-xylose)
- N-아세틸-글루코사민
(N-acetyl-glucosamine)
+ 자일리톨
(Xylitol)
-
L-크실로오스
(L-xylose)
+ 아미그달린
(Amygdalin)
+ 젠티오비오스
(Gentiobiose)
+
아도니톨
(Adonitol)
- 알부틴
(Arbutin)
+ D-투라노오스
(D-turanose)
+
β-메틸-D-크실로사이드
(β-methyl-D-xyloside)
- 에스쿨린
(Esculin)
+ D-릭소오스
(D-lyxose)
-
D-갈락토오스
(D-galactose)
+ 살리신
(Salicin)
+ D-타가토스
(D-tagatose)
-
D-포도당
(D-glucose)
+ 셀로비오스
(Cellobiose)
+ D-푸코오스
(D-fucose)
-
D-과당
(D-fructose)
+ 말토오스
(Maltose)
+ L-푸코오스
(L-fucose)
-
D-만노오스
(D-mannose)
+ 락토오스
(Lactose)
- D-아라비톨
(D-arabitol)
-
L-소르보스
(L-sorbose)
- 멜리비오즈
(Melibioze)
- L-아라비톨
(L-arabitol)
-
L-람노오스
(L-rhamnose)
- 수크로오스
(Sucrose)
+ 글루코네이트
(Gluconate)
-
갈락티톨
(Galactitol)
- 트레할로스
(Trehalose)
+ 2-케토-글루코네이트
(2-keto-gluconate)
-
참고: "+"는 양성 반응 또는 사용가능을 나타낸다. "-"는 음성 또는 사용불가능을 나타낸다.
클로스트리디움 베이예린키이(C. beijerinckii)에서 균주의 총 DNA를 추출하고 16S rRNA 서열 분석을 수행하였다. 16S rDNA 서열을 SEQ ID NO: 1으로 나타난다. 클로스트리디움 베이예린키이(C. beijerinckii)는 XH0906으로 명명되었고, China 중국 일반 미생물학 배양 수집 센터(China General Microbiological Culture Collection Center)에 기탁되었으며, CGMCC No. 9124로 번호가 매겨졌다.
본 발명에 기재된 클로스트리디움 베이예린키이(C. beijerinckii)는 통성 호기성 균(즉, 통성 혐기성 균)에 속하며, pH = 4 내지 9 및 온도 = 20 내지 42 ℃의 조건 하에서 잘 자랄 수 있다. 통성 혐기성 조건에서 배양 및 발효 시키면 높은 수득률로 부탄올을 얻을 수 있으며, 발효 생성물 내에는 아세톤 및 에탄올이 거의 없다; 또한 클로스트리디움 베이예린키이(C. beijerinckii)는 혐기성 조건(엄격한 혐기성 조건)하에서 발효되어 부탄올을 생성 할 수 있다.
두 번째 관점에서, 본 발명은 부탄올 생산, 특히 통성 혐기성 조건 하에서의 발효를 통한 부탄올 생산에서의 클로스트리디움 베이예린키이(C. beijerinckii)의 용도를 제공한다.
세 번째 관점에서, 본 발명은, 부탄올 생산을 위한 발효를 위해 본 발명에 기재된 클로스트리디움 베이예린키이(C. beijerinckii) 균주를 발효 배지에 접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탄올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기재된 부탄올 제조 방법에서, 발효는 혐기성 조건(엄격한 혐기성 조건) 또는 통성 혐기성 조건, 바람직하게는 통성 혐기성 조건 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기재된 부탄올 제조 방법에서, 바람직하게는, 통성 혐기성 조건은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 만들어진다: 탈산소제가 배양액에 첨가되지 않으며, 배양 중 혐기성 환경을 유지하기 위한 N2 및/또는 불활성 가스가 도입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에서, 통성 혐기성 조건은 배양 배지에 어떠한 탈산소제(예를 들어, 하이드로설파이트 나트륨 등)를 첨가하거나 배양(종자 재배 및 발효를 포함) 중 혐기성 환경을 유지하기 위한 N2 및/또는 불활성 가스를 도입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통성 혐기성 조건에서 배양 환경의 산소 분압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발효과정에서 발효 탱크의 압력은 대기압과 같고; 발효 탱크의 산소 분압은 초기 발효 상태에서 20%±1%이며,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많은 양의 이산화탄소(CO2)와 수소가 생성되므로 떨어지고, 0까지 떨어질 수 있으며, 발효 후기에는 생성된 가스가 감소함에 따라 상승한다.
본 발명에 기재된 부탄올 제조 방법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발효 조건은 다음을 포함한다: 발효 온도: 20 내지 42 ℃, 보다 바람직하게는 28 내지 42℃, 가장 바람직하게는 32 내지 38 ℃이다.
바람직하게, 발효 조건은 다음을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발효 시간: 48 내지 120시간,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0시간이다. 특정 발효 시간은 특정 발효 조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발효는 교반 조건 하에서 수행되고, 보다 바람직하게, 교반 속도는 50 내지 200rpm이다.
바람직하게는, 발효 조건은 다음을 추가로 포함한다: pH:4 내지 9,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7이다. 여기에 발효 배지의 초기 pH는 5.5 내지 8.5이며, 바람직하게는 6 내지 8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발명자는 연구 중에 다음과 같은 것을 발견했다: 발효 과정에서, 발효액(fermentation broth)의 pH는 먼저 떨어지고(4-5로 떨어질 수 있음)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상승한다. 발효액(fermentation broth)의 pH가 배지의 초기 pH에서 5.5 내지 6.5의 범위 내의 임의의 값으로 떨어지면, 발효액(fermentation broth)의 pH는 발효가 끝날 때까지 5.5 내지 6.5의 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조절되고, 부탄올의 수득량 및 수득률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발효 과정 중 발효액(fermentation broth)의 pH가 5.5 내지 6.5의 범위 내의 임의의 값으로 떨어진 후, 부탄올의 수득량 및 수득률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발효액(fermentation broth)의 pH는 발효가 끝날 때까지 5.5 내지 6.5(이 범위 내 또는 이 범위 내의 특정 값)로 조절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발효 조건은 다음을 포함한다: 발효 온도 28 내지 42 ℃, 보다 바람직하게는 34 내지 38 ℃; 발효 초기 단계에서 pH의 자연적인 값은; 4 내지 7로 조절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6, 대수기 후에; 발효 시간: 72 내지 120시간. 일반적으로, 본 발명에 개시된 클로스트리디움 베이예린키이(C. beijerinckii)는 상기 언급 된 발효 조건 하에 12 내지 36 시간 동안 배양된 후 대수기로 진입 할 수 있다. 여기서, 대수기는 발효액(fermentation broth)의 OD600 값(즉, 600nm 파장에서의 광흡수 값)을 검출함으로써 판정될 수 있고, 대게 대수기의 OD600 값은 1 내지 5이다.
본 발명에 기재된 부탄올 생산 방법에서, 특정 발효 공정은 상기 발효 조건이 충족되는 한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바꿔 말해, 발효 공정은 배치 발효, 배치-페드 발효, 연속 발효, 인-시츄(in-situ) 추출 발효, 또는 인-시츄(in-situ) 가스 추출 발효 등과 같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발효 공정 일 수 있다. 각 과정의 특정 작업 단계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더 이상 설명하지 않을 것이다.
본 발명에 기재된 부탄올 생산 방법은 발효 전에 균주 활성화 배양 및 종자 배양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활성화 배양은 기탁된 상태의 균주를 적절한 배지에 접종하고 배양하여 그 균주의 발효성을 회복하는 것이다. 종자 배양의 목적은 순수하고 활발한 배양물을 얻는 것, 즉 접종을 위해 활발하고 충분한 양의 발효 박테리아의 배양물을 얻는 것이다. 여기서, 균주 활성화 배양 및 종자 배양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바꿔 말하면, 균주 활성화 배양 및 종자 배양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상이한 배양 조건 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균주 활성화 배양은 혐기성 조건하에서 수행되고, 종자 배양은 통성 혐기성 조건 하에서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부탄올의 생산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1) 클로스트리디움 베이예린키이(C. beijerinckii)를 고체 배양 배지에 접종하는 단계, 및 혐기성 조건 하 28 내지 42 ℃에서 12 내지 48 시간 동안 배양하는 단계;
(2) 단계 (1)에서 배양 된 클로스트리디움 베이예린키이(C. beijerinckii)를 종자 배양 배지에 접종하는 단계, 및 통성 혐기성 조건하 28 내지 42 ℃에서 12 내지 48 시간 동안 고정적으로 배양하여 종자 용액을 얻는 단계;
(3) 단계 (2)에서 얻은 종자 용액을 2 내지 20 부피%의 접종물 크기로 발효 배지에 접종하고, 통성 혐기성 조건 하에서 발효를 수행하는 단계. 발효의 특정 조건은 상기에 기재되어 있으며, 반복적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에 기재된 부탄올 제조 방법에서, 바람직하게, 발효 배지는 탄소원, 질소원, 무기염 및 비타민을 포함하고, 발효 배지의 초기 pH는 5.5 내지 8.5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 내지 8이다.
탄소원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바꿔 말하면, 탄소원은 당류, 전분 및 리그노셀룰로오스 원료 등 중 적어도 하나 같은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탄소원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소원은 포도당, 크실로오스, 갈락토오스, 만노오스, 과당, 말토오스, 셀로비오스, 글루코오스 올리고당, 및 크실로-올리고당 중 하나 이상이다. 부탄올의 수득량 및 수득률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탄소원은 포도당 및/또는 크실로오스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포도당이다.
질소원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바꿔 말하면, 질소원은 당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질소원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질소원은 유기 질소원 및 무기 질소원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유기 질소원은 쇠고기 추출물, 효모 추출물, 펩톤, 옥수수 침지액 및 콩가루 가수분해물 중 하나 이상이며; 부탄올의 수득량 및 수득률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기 질소원은 콩가루 가수분해물, 펩톤 및 쇠고기 추출물 중 하나 이상이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펩톤 및 쇠고기 추출물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기 질소원은 아세트산 암모늄, 질산나트륨 및 황산 암모늄 중 하나 이상이며; 부탄올의 수득량 및 수득률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기 질소원은 황산 암모늄 및/또는 아세트산 암모늄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황산 암모늄이다.
무기염에 대한 특별한 제한은 없다. 바꿔 말해서, 무기염은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임의의 무기염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기염은 인산수소이칼륨, 인산이수소칼륨, 인산수소나트륨, 인산이수소나트륨, 염화나트륨, 황산 제 1철, 황산 제 2철, 황산마그네슘, 염화칼슘, 및 황산 망간 중 하나 이상이다. 여기서, 인산염의 도입은 pH 완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비타민은 비타민 B1, 비오틴, 및 파라-아미노벤조산 중 하나 이상이다.
바람직하게는, 1L의 발효배지를 기준으로, 탄소원의 용량은 20 내지 60g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50g이다; 유기 질소원의 용량은 1 내지 20g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8g이다; 무기 질소원의 용량은 0.1 내지 10g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g이다; 무기염의 용량은 0 내지 10g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5g이다; 비타민의 용량은 0 내지 0.2g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4 내지 0.12g이다.
본 발명의 발명자는 다수의 실험을 통해 다음과 같은 사항을 추가로 발견하였다: 1L 발효 배지를 기준으로 하여, 만약 배양 배지에 포도당 40 내지 50g, 펩톤 8 내지 l2g, 쇠고기 추출물 4 내지 8g, 황산 암모늄 0.6 내지 1.2g, 염화나트륨 0.25 내지 0.75g, 황산 제 2철 0.05 내지 0.2g, 황산 마그네슘 0.15 내지 0.45g, 염화칼슘 0.05 내지 0.15g, 인산이수소칼륨 0.5 내지 4g, 인산수소나트륨 1 내지 4g, 파라-아미노벤조산 0.01-0.06g, 비타민 B1 0.01 내지 0.06g, 및 비오틴 0.001 내지 0.006g이 포함된다면, 부탄올의 수득량 및 수득률은 더욱 개선될 것이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1L의 발효 배지를 기준으로 하여, 발효 배지는 포도당 40 내지 50g, 펩톤 8 내지 12g, 쇠고기 추출물 4 내지 8g, 황산 암모늄 0.6 내지 1.2g, 염화나트륨 0.25 내지 0.75g, 황산 제 2철 0.05 내지 0.2g, 황산 마그네슘 0.15 내지 0.45g, 염화칼슘 0.05 내지 0.15g, 인산이수소칼륨 0.5 내지 4g, 인산수소나트륨 1 내지 4g, 파라-아미노벤조산 0.01 내지 0.06g, 비타민 B1 0.01 내지 0.06g, 및 비오틴 0.001 내지 0.006g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기재된 부탄올 제조 방법에서 종자 배양 배지의 조성은 발효 배지의 조성과 같을 수 있고, 액체 배지(예를 들어, 발효 배지)에 1 내지 2중량%의 한천을 첨가하여 고체 배지를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통상의 기술자는 다음을 이해할 수 있다: 활성화 배양 및 종자 배양에 사용될 수 잇는 임의의 다른 통상적인 배양 배지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하기 실시예에서의 실험 방법은 당업계의 통상적인 방법이다. 달리 명시하지 않는 한, 하기 실시예에서 사용된 실험 재료는 종래의 생화학 시약의 매장에서 구입하여 얻을 수 있다.
콩가루 가수분해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다음을 포함한다: 적당량의 콩가루의 무게를 재는 단계, 콩가루 질량의 5배에 해당하는 양의 물을 첨가하는 단계, 상기 재료를 균질한 상태로 혼합하는 단계; 물의 부피의 2%와 동일한 부피의 98% 질량 농도의 진한 황산을 첨가하는 단계, 상기 재료가 부분적으로 탄화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상기 재료를 신속하게 균질한 상태로 혼합하는 단계; 수증기를 도입하여 혼합물을 100 ℃로 가열하는 단계, 시간당 5분 동안 교반하면서 상기 온도를 20시간 동안 유지시키는 단계. 가수분해가 끝나면, 과일 향이 나는 가넷-레드 색상의 콩가루 가수분해물이 얻어진다.
발효액 중의 생산물 및 부산물을 액체 크로마토그래프로 분석하여 주성분의 농도를 계산한다. 액체 크로마토그래프는 Agilent 1200이고, 크로마토그래프의 컬럼은 HPX-87H (300mmx7.8mm)이며, 유동 상은 0.6ml/min 유속의 0.005mol/L H2SO4이고, 컬럼 온도는 65℃, 검출기는 굴절률 검출기 (Agilent 1200), 검출기 온도는 45℃, 시료 크기는 5μL이다.
부탄올의 수득률 = 발효를 통해 얻은 부탄올의 농도/(발효 전 포도당의 농도-발효 후 포도당의 농도).
실시예1
본 실시예는 본 발명에서 기탁 번호 CGMCC No. 9124를 갖는 클로스트리디움 베이예린키이(C. beijerinckii)를 통성 혐기성 조건하에서 발효하여 부탄올을 생산하는 방법을 기술하기 위해 제공된다.
액체 배양 배지의 조성(종자 배양 배지 및 발효 배지 포함)은 다음과 같다:
펩톤 10g/L , 쇠고기 추출물 6g/L, 포도당 45g/L, 염화나트륨 0.5g/L, 황산 암모늄 0.9g/L, 황산 제 2철 0.1g/L, 황산 마그네슘 0.3g/L, 염화칼슘 0.1g/L, 인산이수소칼륨1g/L, 인산수소나트륨2g/L, 파라-아미노벤조산 0.04g/L, 비타민 B1 0.04g/L 및 비오틴 0.004g/L, pH = 7.0, 그리고 상기 배지는 121 ℃에서 15 분간 멸균된다. 고체 배양 배지는 1중량%의 한천을 액체 배양 배지에 첨가함으로써 제조된다.
클로스트리디움 베이예린키이(C. beijerinckii)에 의한 통성 혐기성 조건하에서 발효를 통해 부탄올을 생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클로스트리디움 베이예린키이(C. beijerinckii)를 고형 배지의 경사면에 접종하고, 30 ℃에서 24 시간 동안 혐기성 환경에서 배양하는 단계; (2) (1)단계에서 배양 한 클로스트리디움 베이예린키이(C. beijerinckii)의 2 개의 고리를 경사면에서 긁어내어 쉐이킹 플라스크에 놓인 종자 배양 배지에 접종하고, 혐기성 환경을 유지시키기 위해 어떠한 탈산소제를 첨가하거나 N2를 도입하지 않고, 35 ℃에서 24 시간 동안 정적 상태로 배양하여 종자 용액을 획득하는 단계; (3) (2)단계에서 배양된 종자 용액을 5L 발효 탱크에 배치된 3L의 액체 발효 배지에 10부피% 접종물 크기로 주입하고, 혐기성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어떠한 탈산제를 첨가하거나 N2를 도입하지 않고, 교반 속도 150r / 분으로 교반하면서 37 ℃에서 배양하는 단계;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발효액(fermentation broth)의 pH가 먼저 떨어진 다음에 상승한다; 발효액(fermentation broth)의 pH가 원래의 pH=7.0에서 pH=6.0까지 떨어진 후에, 발효가 끝날 때까지 발효액(fermentation broth)의 pH를 6.0으로 조절하기 위해, 배치 피딩(batch feeding) 방법으로 10M의 NaOH를 첨가한다. 검출 결과에 나타난 바와 같이, 72시간 발효 후, 발효액(fermentation broth) 중의 잔류 포도당 농도는 9.67g/L, 아세톤의 농도는 0.04g/L, 에탄올 농도는 0.02g/L, 부탄올, 아세트산 및 부탄산의 농도는 각각 10.17g/L, 0.56g/L 및 0.42g/L이며, 부탄올의 수득률은 28.79 %이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기재된 방법이 사용되지만, 배양 배지 중의 포도당, 펩톤 또는 황산암모늄은 각각 다른 탄소원 및 질소원으로 대체된다. 검출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72시간 발효 후, 발효액(fermentation broth) 중 아세톤의 농도는 0.1g/L보다 낮고 에탄올의 농도는 0.1g/L보다 낮으며, 잔류 포도당(잔류 설탕)의 농도 및 아세트산, 부탄산 및 부탄올의 발효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번호. 배양 배지의 성분 발효 결과(g/L)
탄소원 질소원 잔류 포도당 아세트산 부탄산 부탄올 부탄올의 수득률(%)
1 크실로오스 실시예 1과 같음 11.62 0.72 0.45 9.13 27.35
2 포도당 : 크실로오스 (1:1, 농도 비율, g/L) 실시예 1과 같음 11.35 0.64 0.33 9.21 27.37
3 갈락토오스 실시예 1과 같음 10.87 0.50 0.39 9.38 27.48
4 실시예 1과 같음 콩가루 가수분해물 9.98 0.57 0.57 9.60 27.41
5 실시예 1과 같음 아세트산 암모늄 11.49 0.46 0.52 9.20 27.45
실시예 3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을 사용하지만, 액체 배양 배지의 조성은: 펩톤 10g/L, 쇠고기 추출물 6g/L, 포도당 45g/L, 염화나트륨 0.5g/L, 황산암모늄 0.9g/L, 황산 제 2철 0.1g/L, 염화마그네슘 0.3g/L, 염화칼슘 0.1g/L, 인산이수소칼륨 1g/L, 및 인산수소나트륨 2g/L, pH=7.0이다.
검출 결과에 나타난 바와 같이, 72시간 발효 후, 발효액(fermentation broth) 중 잔류 포도당의 농도는 10.95g/L, 아세톤 농도는 0.09g/L, 에탄올의 농도는 0.05g/L, 부탄올, 아세트산 및 부탄산의 농도는 각각 9.33g/L, 0.55g/L, 및 0.47g/L이며, 부탄올의 수득률은 27.4%이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 기재된 방법이 사용되지만, 단계 (3)에서의 전체 공정의 pH는 제어되지 않는다;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발효액(fermentation broth)의 pH가 먼저 떨어진 후 상승하고, 발효 과정에서 가장 낮은 pH는 4.5이다. 검출 결과에 나타난 바와 같이, 72시간 발효 후, 발효액(fermentation broth) 중 잔류 포도당의 농도는 13.36g/L, 아세톤 농도는 0.05g/L, 에탄올의 농도는 0.03g/L, 부탄올, 아세트산 및 부탄산의 농도는 각각 8.61g/L, 0.496g/L, 및 0.326g/L이며, 부탄올의 수득률은 27.21%이다.
실시예 5
실시예 1에서 기재된 방법이 사용되지만, 단계 (3)에서 발효액의 pH가 pH=7.0에서 pH=5.5로 떨어진 후에, 발효액의 pH는 10M의 NaOH 용액을 배치 피딩(batch feeding) 방법으로 첨가하여 발효가 끝날 때까지 발효액(fermentation broth)의 pH를 5.5로 조절한다. 검출 결과에 나타난 바와 같이, 72시간 발효 후, 발효액(fermentation broth) 중 잔류 포도당의 농도는 9.55g/L, 아세톤 농도는 0.05g/L, 에탄올의 농도는 0.03g/L, 부탄올, 아세트산 및 부탄산의 농도는 각각 9.92g/L, 0.54g/L, 및 0.32g/L이며, 부탄올의 수득률은 27.98%이다.
실시예 6
실시예 1에서 기재된 방법이 사용되지만, 단계 (3)에서 발효액(fermentation broth)의 pH가 pH=7.0에서 pH=6.5로 떨어진 후에, 발효액(fermentation broth)의 pH는 10M의 NaOH 용액을 배치 피딩(batch feeding) 방법으로 첨가하여 발효가 끝날 때까지 발효액(fermentation broth)의 pH를 6.5로 조절한다. 검출 결과에 나타난 바와 같이, 72시간 발효 후, 발효액(fermentation broth) 중 잔류 포도당의 농도는 10.41g/L, 아세톤 농도는 0.07g/L, 에탄올의 농도는 0.04g/L, 부탄올, 아세트산 및 부탄산의 농도는 각각 9.67g/L, 0.54g/L, 및 0.9g/L이며, 부탄올의 수득률은 27.96%이다.
실시예 7
실시예 1에서 기재된 방법이 사용되지만, 단계 (3)에서 발효액(fermentation broth)의 pH가 pH=7.0에서 pH=5로 떨어진 후에, 발효액(fermentation broth)의 pH는 10M의 NaOH 용액을 배치 피딩(batch feeding) 방법으로 첨가하여 발효가 끝날 때까지 발효액(fermentation broth)의 pH를 5로 조절한다. 검출 결과에 나타난 바와 같이, 72시간 발효 후, 발효액(fermentation broth) 중 잔류 포도당의 농도는 11.15g/L, 아세톤 농도는 0.08g/L, 에탄올의 농도는 0.04g/L, 부탄올, 아세트산 및 부탄산의 농도는 각각 8.54g/L, 0.51g/L, 및 0.23g/L이며, 부탄올의 수득률은 25.23%이다.
실시예 8
실시예 1에서 기재된 방법이 사용되지만, 완전 밀폐된 혐기성 병이 단계 (2)의 종자 배양 중에 사용되며, 배양 배지가 혐기성 챔버에서 탈산소되고, 차아황산나트륨이 혐기성 병에 넣어져 혐기성 병 내의 산소 분압이 0으로 떨어진 다음, 혐기성 챔버에서 접종 및 배양이 수행된다; 단계 (3)에서, 차아황산나트륨이 탈산소를 위해 발효 탱크에 있는 배양 배지에 첨가되고, N2는 전체 공정에서 산소가 없는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주입되며, pH는 전체적인 발효 과정에서 조절되지 않는다. 검출 결과에 나타난 바와 같이, 72시간 발효 후, 발효액(fermentation broth) 중 잔류 포도당의 농도는 5.0g/L, 아세톤 농도는 0.21g/L, 에탄올의 농도는 0.07g/L, 부탄올, 아세트산 및 부탄산의 농도는 각각 9.98g/L, 1.22g/L, 및 1.46g/L이며, 부탄올의 수득률은 24.95%이다.
실시예 9
액체 배양 배지의 조성: 펩톤 10g/L, 쇠고기 추출물 6g/L, 포도당 40g/L, 염화나트륨 0.5g/L , 황산 암모늄 0.9g/L, 황산 제 2철 0.1g/L, 황산 마그네슘 0.3g/L, 염화칼슘 0.1g/L, 및 pH = 7.0, 액체 배양 배지를 121 ℃에서 15 분간 멸균한다. 고체 배양 배지는 1중량%의 한천을 액체 배양 배지에 첨가함으로써 제조된다.
본 발명에서 기탁 번호 CGMCC No. 9124를 갖는 클로스트리디움 베이예린키이(C. beijerinckii)에 의한 통성 혐기성 조건하에서 발효를 통해 부탄올을 생산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클로스트리디움 베이예린키이(C. beijerinckii)를 고체 배지의 경사면에 접종하고, 30 ℃에서 24 시간 동안 혐기성 환경에서 배양하는 단계; (2) (1)단계에서 배양한 클로스트리디움 베이예린키이(C. beijerinckii)의 2 개의 고리를 경사면에서 긁어내어 쉐이킹 플라스크에 배치된 종자 배양 배지에 접종하고, 혐기성 환경을 유지시키기 위해 어떠한 탈산소제를 첨가하거나 N2를 도입하지 않고, 35 ℃에서 24 시간 동안 정적 상태로 배양한다; 그러면, 종자 용액이 얻어진다; (3) 단계 (2)에서 배양된 종자 용액을 10부피% 접종물 크기로 액체 발효 배지에 접종하고, 혐기성 환경을 유지시키기 위한 어떠한 탈산소제를 첨가하거나 N2를 주입하지 않고 배양하며, 자연적인 pH가 유지 되도록 하여, 발효를 37 ℃에서 88 시간 동안 수행한다. 88시간 발효 후, 발효액(fermentation broth) 중 부탄올의 농도는 7.5g/L이고, 발효액(fermentation broth)에는 아세톤 또는 에탄올 생성물이 없으며, 아세트산 및 부탄산의 농도는 각각 1.0g/L 및 0.6g/L이다.
실시예 10
실시예 9에 기재된 방법을 사용하지만, 배양 배지 중의 포도당, 펩톤 또는 황산 암모늄은 각각 다른 탄소원 및 질소원으로 대체된다. 발효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번호. 배양 배지의 성분 발효 결과(g/L)
탄소원 질소원 아세트산 부탄산 부탄올
1 크실로오스 실시예 9과 같음 0.9 0.7 7.8
2 포도당 : 크실로오스 (1:1, 농도 비율, g/L) 실시예 9과 같음 1.1 0.5 7.4
3 갈락토오스 실시예 9과 같음 0.8 0.6 7.6
4 실시예 9과 같음 펩톤은 콩가루 가수분해물로 대체됨 0.7 0.9 7.4
5 실시예 9과 같음 황산 암모늄은 아세트산 암모늄으로 대체됨 1.2 0.8 7.3
실시예 11
5L 발효 탱크는 발효에 사용되고, 포도당은 기질로 사용되며, 초기 배양 배지의 포도당 농도는 40g/L이다. 0.1% 인산이수소칼륨(1g/L), 0.2% 인산수소나트륨(2g/L), 0.004% 파라-아미노벤조산(0.04g/L), 0.004% 비타민 B1(0.04g/L), 및 0.0004% 비오틴(0.004g/L)을 실시예 9에 기재된 발효 배지의 조성에 기초하여 첨가하였다. 3L 액체가 적재되고, 교반 속도는 150r/min이며, 발효 첫 16 시간 내에 pH가 조절되지 않고(즉, 자연적으로 pH가 떨어짐), 16시간 후에 배치 피딩(batch feeding) 방법을 통해 10M NaOH 용액을 첨가하여 pH를 6.0으로 조정한다; 포도당은 72시간 만에 완전히 소비된다. 검출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발효액(fermentation broth) 중 부탄올, 아세트산 및 부탄산의 농도는 각각 8.25g/L, 1.2g/L 및 0.8g/L이다.
실시예 1과 실시예 2를 비교한 결과에서 다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기탁 번호 CGMCC No. 9124를 갖는 클로스트리디움 베이예린키이(C. beijerinckii)에 의한 통성 혐기성 조건하에서의 발효를 통해 부탄올을 생산하는 방법에서, 만약 배양 배지의 탄소원이 포도당이고, 유기 질소원이 펩톤 및 쇠고기 추출물이며, 무기질 질소원이 황산 암모늄이면, 부탄올의 수득량 및 수득률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1과 실시예 3를 비교한 결과에서 다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기탁 번호 CGMCC No. 9124를 갖는 클로스트리디움 베이예린키이(C. beijerinckii)에 의한 통성 혐기성 조건하에서 발효를 통해 부탄올을 생산하는 방법에서, 만약 배양 배지가 특정 유형의 비타민을 추가로 함유한다면, 부탄올의 수득량 및 수득률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1과 실시예 4 내지 7을 비교한 결과에서 다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기탁 번호 CGMCC No. 9124를 갖는 클로스트리디움 베이예린키이(C. beijerinckii)에 의한 통성 혐기성 조건하에서 발효를 통해 부탄올을 생산하는 방법에서, 발효액(fermentation broth)의 pH가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5.5 내지 6.5 범위의 임의의 값으로 떨어진 후에, 만약 발효가 끝날 때까지 발효액(fermentation broth)의 pH를 5.5 내지 6.5로 조절하면, 부탄올의 수득량 및 수득률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8의 결과에서 다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기탁 번호 CGMCC No. 9124를 갖는 클로스트리디움 베이예린키이(C. beijerinckii)가 혐기성 조건 하에서 발효를 통해 부탄올을 생산하는데 이용 되더라도, 부탄올의 높은 수득량 및 수득률은 여전히 달성할 수 있다.
요약하면, 기탁 번호 CGMCC No. 9124를 갖는 본 발명에 기재된 클로스트리디움 베이예린키이(C. beijerinckii)는 통성 혐기성 조건 하에서 정상적으로 자라고 발효되어 부탄올을 생성할 수 있으며, 강한 산소 내성을 갖는다. 그러므로, 전체적인 과정에서 혐기성 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어떠한 탈산소제를 첨가하거나, 불활성 기체(예를 들어, N2)를 도입할 필요는 없다; 전통적인 혐기성 발효 과정에서의 탈산소 과정이 생략되어 있기 때문에, 불완전한 탈산소로 인해 균주가 정상적으로 자랄 수 없는 현상을 피할 수 있어, 에너지 소비가 감소된다. 또한 본 발명에 기재된 클로스트리디움 베이예린키이(C. beijerinckii)의 발효에 의해, 부탄올의 수득량 및 수득률이 높아지고, 얻어진 발효 생성물 내 부산물(예를 들어, 아세톤 및 에탄올 등)들이 거의 존재하지 않고, 후속 절차에서 부탄올 회수 부담이 완화되고, 분리를 위한 에너지 소비가 감소된다.
상기 기재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해결책에 대한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모든 수정 및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한다. 또한, 충돌이 없다고 가정할 때, 상기 실시예들에서 기재된 특정 기술적 특징들은 임의의 적절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불필요한 반복을 피하기 위해, 가능한 조합은 본 발명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조합이 본 발명의 이상 및 사상에 벗어나지 않는 한,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조합될 수 있다. 그러나, 그러한 조합은 또한 본 발명에 개시된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SEQUENCE LISTING <110> China Petroleum & chemical Corporation; Fushun Research Institute of Petroleum and Petrochemicals, SINOPEC CORP. <120> CLOSTRIDIUM BEIJERINCKII, USE THEREOF, AND METHOD OF PRODUCING BUTANOL <130> PCT40578SINO <150> 201510638879.7 <151> 2015-09-30 <160> 1 <170> PatentIn version 3.5 <210> 1 <211> 1299 <212> DNA <213> Clostridium beijerinckii <400> 1 caactctcat ggtgtgacgg gcggtgtgta caaggcccgg gaacgtattc accgcgacat 60 tctgattcgc gattactagc aactccagct tcatgtaggc gagtttcagc ctacaatccg 120 aactgagact ggttttaaag tttggctcca cctcacggtt tagcatctct ctgtaccagc 180 cattgtagca cgtgtgtagc cctagacata aggggcatga tgatttgacg tcatccccac 240 cttcctcccg gttaacccgg gcagtctcgc tagagtgctc aactaaatgg tagcaactaa 300 caataagggt tgcgctcgtt gcgggactta acccaacatc tcacgacacg agctgacgac 360 aaccatgcac cacctgtctt cctgccccga agggcttccc cgattaaggg taattcagga 420 gatgtcaagt ctaggtaagg ttcttcgcgt tgcttcgaat taaaccacat gctccgctgc 480 ttgtgcgggc ccccgtcaat tcctttgagt tttaatcttg cgaccgtact ccccaggcgg 540 aatacttaat gcgttagcgg cggcacagag gtcatgacaa cccctacacc tagtattcat 600 cgtttacggc gtggactacc agggtatcta atcctgtttg ctccccacgc tttcgagcct 660 cagtgtcagt tacagtccag aaagtcgcct tcgccactgg tattcttcct aatctctacg 720 catttcaccg ctacactagg aattctactt tcctctcctg cactctagat atccagtttg 780 gaatgcagca cccaggttaa gcccgagtat ttcacatccc acttaaatat ccacctacgc 840 tccctttacg cccagtaaat ccggacaacg cttgctacct acgtattacc gcggctgctg 900 gcacgtagtt agccgtggct tcctcctcag gtaccgtcat tatcgtccct gaagacagag 960 ctttacaatc cgaagaccgt catcactcac gcggcgttgc tgcatcaggg tttcccccat 1020 tgtgcaatat tccccactgc tgcctcccgt aggagtctgg gccgtgtctc agtcccaatg 1080 tggccgatca ccctctcagg tcggctacgc atcgtcgcct tggtgagccg ttacctcacc 1140 aactagctaa tgcgacgcgg gtccatctca tagcggatta ctcctttaat tgctatgcca 1200 tgcggcacta caatcttatg cggtattaat cttcctttcg aaaggctatt cccctctatg 1260 aggcaggtta cccacgtgtt actcacccgt ccgccgcta 1299

Claims (11)

  1. 기탁번호 CGMCC No. 9124인, 클로스트리디움 베이예린키이(Clostridium beijerinckii).
  2. 제 1항의 클로스트리디움 베이예린키이(C. beijerinckii)의 부탄올 제조 용도.
  3. 제 1항의 클로스트리디움 베이예린키이(C. beijerinckii)를 발효 배지에 접종하는 단계; 및 부탄올 생산을 위해 발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탄올 제조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는 통성 혐기성 조건하에서 수행되는, 부탄올 제조 방법.
  5. 제 3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 조건은, 발효 온도 : 20 내지 42℃, 바람직하게는 28 내지 42℃; 발효 시간 : 48 내지 120시간,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0시간; pH : 4 내지 9, 바람직하게는 5 내지 7를 포함하는, 부탄올 제조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발효 배지의 초기 pH는 5.5 내지 8.5, 바람직하게는 6 내지 8이고; 발효 과정 중, 발효액(fermentation broth)의 pH가 5.5 내지 6.5 범위 내의 임의의 값으로 떨어진 후에, 발효액(fermentation broth)의 pH는 발효가 끝날 때까지 5.5 내지 6.5의 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조절되는, 부탄올 제조 방법.
  7. 제 3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발효 배지는 탄소원, 질소원, 무기염 및 비타민을 포함하고, 발효 배지의 초기 pH는 5.5 내지 8.5, 바람직하게는 6 내지 8인, 부탄올 제조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원은 포도당, 크실로오스, 갈락토오스, 만노오스, 프록토오스, 말토오스,셀로비오스, 글루코오스 올리고당 및 크실로-올리고당 중 하나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글루코오스 및/또는 크실로오스이고;
    상기 질소원은 유기 질소원 및 무기 질소원을 포함하며, 상기 유기 질소원은 쇠고기 추출물, 효모 추출물, 펩톤, 옥수수 침지액 및 콩가루 가수분해물 중 하나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펩톤 및 쇠고기 추출물이고; 상기 무기 질소원은 아세트산 암모늄, 질산 나트륨 및 황산 암모늄 중 하나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황산 암모늄이고;
    무기염은 인산수소이칼륨, 인산이수소칼륨, 인산수소나트륨, 인산이수소나트륨, 염화나트륨, 황산 제 1철, 황산 제 2철, 황산 마그네슘, 염화칼슘 및 황산 망간 중 하나 이상이고; 비타민은 비타민 B1, 비오틴 및 파라-아미노벤조산 중 하나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1L 발효 배지를 기준으로, 탄소원의 용량은 20 내지 60g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50g이고; 유기 질소원의 용량은 1 내지 20g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8g이고; 무기 질소원의 용량은 0.1 내지 10g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5g이고; 무기염의 용량은 0 내지 10g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5g이고; 비타민의 용량은 0 내지 0.2g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04 내지 0.12g인, 부탄올의 제조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1L 발효 배지를 기준으로, 발효 배지는 포도당 40 내지 50g, 펩톤 8 내지 12g, 쇠고기 추출물 4 내지 8g, 황산 암모늄 0.6 내지 1.2g, 염화나트륨 0.25 내지 0.75g, 황산 제 2철 0.05 내지 0.2g, 황산 마그네슘 0.15 내지 0.45g, 염화칼슘 0.05 내지 0.15g, 인산이수소칼륨 0.5 내지 4g, 인산수소나트륨 1 내지 4g, 파라-아미노벤조산 0.01 내지 0.06g, 비타민 B1 0.01 내지 0.06g, 및 비오틴 0.001 내지 0.006g을 포함하는, 부탄올 제조 방법.
  10. 제 3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발효 전에, 균주 활성화 배양 및 종자 배양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고,
    바람직하게 부탄올 제조방법은: (1) 상기 클로스트리디움 베이예린키이(C. beijerinckii)를 고체 배지에 접종하고, 혐기성 조건하 28 내지 42 ℃에서 12 내지 48 시간 동안 배양하는 단계; (2) 단계(1)에서 배양된 클로스트리디움 베이예린키이(C. beijerinckii)를 종자 배양 배지에 접종하고, 통성 혐기성 조건하 28 내지 42 ℃에서 12 내지 48시간 동안 정적으로(statically) 배양하여 종자 용액을 얻는 단계; (3) 단계(2)에서 얻은 종자 용액을 2 내지 20부피%의 접종물 크기로 발효 배지에 접종하고, 통성 혐기성 조건 하에서 발효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탄올 제조 방법.
  11. 제 4항 또는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성 혐기성 조건은, 배양 중 혐기성 환경을 유지하기 위한 탈산소제가 배양 배지에 추가되지 않고, N2 및/또는 불활성 가스가 도입되지 않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확립되는, 부탄올 제조 방법.















KR1020187012328A 2015-09-30 2016-09-29 클로스트리디움 베이예린키이(Clostridium beijerinckii), 그 용도, 및 부탄올 제조 방법 KR1025687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638879.7 2015-09-30
CN201510638879.7A CN106554931B (zh) 2015-09-30 2015-09-30 一株拜氏羧菌及其应用
PCT/CN2016/100764 WO2017054748A1 (zh) 2015-09-30 2016-09-29 一种拜氏梭菌及其应用和生产丁醇的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3319A true KR20180083319A (ko) 2018-07-20
KR102568703B1 KR102568703B1 (ko) 2023-08-21

Family

ID=58417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2328A KR102568703B1 (ko) 2015-09-30 2016-09-29 클로스트리디움 베이예린키이(Clostridium beijerinckii), 그 용도, 및 부탄올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EP (1) EP3358001B1 (ko)
JP (1) JP6942697B2 (ko)
KR (1) KR102568703B1 (ko)
CN (1) CN106554931B (ko)
DK (1) DK3358001T3 (ko)
SG (1) SG11201802596XA (ko)
WO (1) WO20170547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90853B (zh) * 2017-04-05 2021-10-08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发酵生产丁醇的方法
CN107400646B (zh) * 2017-08-29 2018-07-27 汕头大学 一株高产丁醇梭菌及其筛选与应用
CN113122522B (zh) * 2019-12-31 2022-05-03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促进生物发酵产纤维素酶的方法
CN115058361B (zh) * 2022-06-14 2023-06-09 中国科学院青岛生物能源与过程研究所 一种拜氏梭菌及其生产丁醇的方法
CN117844897A (zh) * 2022-09-30 2024-04-09 中国科学院长春应用化学研究所 一种培养基的制备及其在水体毒性比色检测中的应用
CN116536223B (zh) * 2023-07-03 2023-10-03 中国食品发酵工业研究院有限公司 一种梭菌菌种及其应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9127A (ko) * 2008-08-08 2010-02-18 한국화학연구원 증진된 부탄올 내성 및 부탄올 고생산 균주의 제조방법
KR20110083918A (ko) * 2010-01-15 2011-07-21 한국화학연구원 부탄올 고생산 균주를 이용한 고생산성 부탄올 생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43748B2 (ja) * 2007-08-08 2013-07-24 公益財団法人地球環境産業技術研究機構 ブタノール生産能を有する形質転換体
WO2009028582A1 (ja) * 2007-08-29 2009-03-05 Research Institute Of Innovative Technology For The Earth イソプロパノール生産能を有する形質転換体
US20130143288A1 (en) * 2010-08-12 2013-06-06 The Administrators Of The Tulane Educational Fund Isolated bacteria, methods for use, and methods for isolation
CN102533612B (zh) * 2012-02-16 2013-09-25 广西科学院 拜氏梭菌菌株及其筛选方法和应用
CN102719371B (zh) * 2012-03-30 2013-07-17 中国科学院青岛生物能源与过程研究所 拜氏梭菌及其以木糖渣为原料发酵制备生物丁醇的方法
CN102618479B (zh) * 2012-04-24 2013-08-21 中南林业科技大学 一种能耐受高浓度丁醇的梭菌及其构建方法与应用
CN103820367B (zh) * 2014-02-27 2015-09-23 南京工业大学 一种高产丁醇的基因工程菌株及其应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19127A (ko) * 2008-08-08 2010-02-18 한국화학연구원 증진된 부탄올 내성 및 부탄올 고생산 균주의 제조방법
KR20110083918A (ko) * 2010-01-15 2011-07-21 한국화학연구원 부탄올 고생산 균주를 이용한 고생산성 부탄올 생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11201802596XA (en) 2018-04-27
EP3358001B1 (en) 2020-01-29
KR102568703B1 (ko) 2023-08-21
WO2017054748A1 (zh) 2017-04-06
EP3358001A4 (en) 2019-03-06
CN106554931A (zh) 2017-04-05
CN106554931B (zh) 2020-03-17
JP2018529361A (ja) 2018-10-11
DK3358001T3 (da) 2020-04-27
JP6942697B2 (ja) 2021-09-29
EP3358001A1 (en) 2018-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8703B1 (ko) 클로스트리디움 베이예린키이(Clostridium beijerinckii), 그 용도, 및 부탄올 제조 방법
Shibata et al. Direct l-lactic acid fermentation with sago starch by a novel amylolytic lactic acid bacterium, Enterococcus faecium
Lo et al. Dark fermentative hydrogen production from enzymatic hydrolysate of xylan and pretreated rice straw by Clostridium butyricum CGS5
US6566107B1 (en) Recombinant Zymomonas mobilis with improved xylose utilization
Zhilina et al. Clostridium alkalicellum sp. nov., an obligately alkaliphilic cellulolytic bacterium from a soda lake in the Baikal region
US10724056B2 (en) Method of producing alcohol with a Pichia stipitis strain
Murakami et al. L-Lactic acid production from glycerol coupled with acetic acid metabolism by Enterococcus faecalis without carbon loss
Zhang et al. Enhanced biohydrogen production from corn stover by the combination of Clostridium cellulolyticum and hydrogen fermentation bacteria
Timbuntam et al. Lactic acid production from sugar-cane juice by a newly isolated Lactobacillus sp.
CN106636226B (zh) 一种以木质纤维素为原料发酵制备丁醇的方法
Wang et al. Efficient L-lactic acid production from sweet sorghum bagasse by open simultaneous saccharification and fermentation
US20130171705A1 (en) Novel lactic acid bacterium and method for producing l-lactic acid using same
Lan et al.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newly identified Clostridium butyricum strain SCUT343-4 for 1, 3-propanediol production
Futamura et al. Improvement of production of kojic acid by a mutant strain Aspergillus oryzae, MK107-39
Rodríguez et al. Use of waste materials for Lactococcus lactis development
KR101401413B1 (ko) 클로스트리디움 속 균주, 상기 균주를 이용한 부티르산 생산방법 및 상기 균주의 분리방법
CN105713851B (zh) 一株拜氏梭菌及其应用
CN103695329A (zh) 具有高木糖消耗率的分离酵母菌株和使用所述菌株产生乙醇的方法
KR101351539B1 (ko) 알긴산 및 라미나린 분해능을 가지는 복합 미생물
CN105062938A (zh) 一种可同步利用五碳糖和六碳糖发酵产d-乳酸的工程菌及其构建和应用
Jalasutram et al. Optimization of 1, 3-Propanediol production by Klebsiella pneumoniae 141B using Taguchi methodology: Improvement in production by cofermentation studies
KR101230638B1 (ko) 내열성 및 에탄올 생산성이 우수한 클루이베로마이세스 마르샤너스 균주
CN108690853B (zh) 一种发酵生产丁醇的方法
Tsai et al. Ethanol production efficiency of an anaerobic hemicellulolytic thermophilic bacterium, strain NTOU1, isolated from a marine shallow hydrothermal vent in Taiwan
CN107592884A (zh) 在乙酸的存在下具有提高的发酵木糖能力的酵母菌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