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8632A - 폴리아마이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아마이드 - Google Patents

폴리아마이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아마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8632A
KR20180078632A KR1020160183593A KR20160183593A KR20180078632A KR 20180078632 A KR20180078632 A KR 20180078632A KR 1020160183593 A KR1020160183593 A KR 1020160183593A KR 20160183593 A KR20160183593 A KR 20160183593A KR 20180078632 A KR20180078632 A KR 201800786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atoms
repeating unit
represented
alkylene group
following formul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83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62351B1 (ko
Inventor
황영남
조홍찬
박지용
안태환
Original Assignee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83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62351B1/ko
Publication of KR20180078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8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62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623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9/02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08G69/26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08G69/32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derived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from aromatic diamines and aromatic dicarboxylic acids with both amino and carboxylic groups aromatically bou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9/02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08G69/08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 C08G69/14Lacta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7/00Compositions of polyamide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7/02Polyamides derived from omega-amino carboxylic acids or from lactam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7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c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8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c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copolyam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2Applications used for fib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olyamid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아마이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아마이드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폴리아마이드의 제조방법은 제 1 반응물로서 제 1 나일론염(nylon salt), 제 2 반응물로서 제 2 나일론염 또는 락탐계 화합물(lactam compound), 및 제 3 반응물을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폴리아마이드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폴리아마이드의 수분 흡수율이 우수하면서도 섬유 형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방사 연신성이 우수한 폴리아마이드를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폴리아마이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아마이드{METHOD FOR PREPARING POLYAMIDE AND POLYAMIDE PREPARED B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수분 흡수율이 우수하면서도 섬유 형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방사 연신성이 우수한 폴리아마이드를 제조할 수 있는 폴리아마이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아마이드에 관한 것이다.
나일론 6 섬유는 우수한 강성, 탄성회복률, 염색성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나일론 6 섬유를 포함한 대부분의 합성섬유는 흡수성이 낮은 단점이 있고 천연섬유인 면(cotton)은 흡수성이 탁월하고 종래 합성섬유 대비 촉감이 양호하나 수분 건조속도가 매우 느리고 UV 차단성이 극히 부족하며 가격이 고가라는 단점이 있다.
통상 결정성 고분자의 흡수성은 친수성 관능기 종류, 결정 구조, 결정화도 등 여러 인자에 의해 좌우된다. 상기 결정성 고분자 중 하나인 나일론의 경우, 고분자의 반복 단위에서 친수성을 가지는 아미드 그룹 대비 친유성을 가지는 탄화수소 그룹이 줄어들면 친수성이 증가하여 흡수성이 증가할 것이라는 점에 착안되어, 나일론 6 섬유에 비해 탄소수가 적은 나일론 3 섬유 또는 나일론 4 섬유 등에 대한 연구가 심도 있게 이루어졌다.
특히, 나일론 4 섬유는 반복단위에서 나일론 6에 비해 적은 탄소수에 의한 친수성 증가로 천연섬유인 코튼(cotton)과 유사할 수준의 탁월한 흡수성(수분율)을 가지며, 강신도는 종래 나일론 6과 유사한 수준이다.
그러나, 나일론 4 섬유는 다른 나일론들과 마찬가지로 가열 및 탈수하여 원료 모노머인 GABA(gamma amino butyric acid)를 축중합하면 합성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하였으나, 모노머 자체가 고리화하여 2-피롤리돈이 되어버리므로 선상 고분자를 얻을 수 없었다. 더욱이, 2-피롤리돈은 5원환의 락탐이므로 열적으로 안정하여 개환 중합도 용이하지 않았다.
그러나, 1953년 Ney 등이 수산화칼륨을 사용하여 90 ℃ 내지 120 ℃에서 감압 가열하여 탈수하고, 질소 기류하에서 160 ℃로 가열하여 2-피롤리돈을 개환 중합함으로써, 나일론 4 섬유의 합성에 최초로 성공하였다. 상기 방법을 기초로 하여 1950년대부터 1990년대에 걸쳐 고분자량화, 다분산성 제어 및 제조 공정의 간소화 등을 목적으로 신규 촉매 물질 및 중합방법 등의 기술이 개발되었다.
상기 나일론 4 수지의 중합 및 이를 이용한 섬유 제조는 1970년대에서 1980년대까지 Chevron Research사에서 활발히 진행되었으며, 주로 촉매연구, 중합 프로세스 연구, 열 안정화 연구, 가공 기술 및 섬유제조 기술 연구가 파일럿 스케일로 진행되었으나, 상업화에는 성공하지 못하였다.
또한, 1953년 합성된 나일론 4(Poly(2-pyrrolidone)) 수지는 구조에 있어 반복 단위당 친유성 탄소수가 적은 관계로 흡수성이 탁월하고 강성이 우수하다는 강점으로 1973년 코튼을 대체할 수 있는 꿈의 합성 섬유로 역사에 화려하게 등장하였다.
그러나, 나일론 4는 용융점이 265 ℃로 나일론 6보다 높은 반면 열분해 온도가 260 ℃이다. 그 결과, 나일론 4를 이용한 섬유의 제조시 용융점 이상의 온도에서 용융 방사되어야 하는 방사 공정을 이용할 경우, 용융점에 도달하기도 전에 나일론 4가 열분해되어 연속적인 방사에 의한 섬유 형성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공중합체를 합성하여 융점을 낮추는 기술이 개발되었으나, 이는 나일론 4의 우수한 수분 흡수율을 유지할 수 없거나 섬유 형성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수분 흡수율이 우수하면서도 섬유 형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새로운 나일론의 제조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일본특허공개 제2001-348427호(2001.12.18 공개) 일본특허공개 제2009-256610호(2009.11.05 공개)
본 발명은 폴리아마이드의 수분 흡수율이 우수하면서도 섬유 형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방사 연신성이 우수한 폴리아마이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아마이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반응물로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제 1 나일론염(nylon salt); 제 2 반응물로서,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제 2 나일론염 또는 락탐계 화합물(lactam compound); 및 제 3 반응물로서, 하기 화학식 4a로 표시되는 디아민 및 하기 화학식 4b로 표시되는 디메틸-5-설포이소프탈레이트 소듐(dimethyl-5-sulfoisophthalate sodium, DMIS)을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아마이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화학식 2]
Figure pat00002
[화학식 4a]
Figure pat00003
[화학식 4b]
Figure pat00004
상기 화학식 1, 화학식 2, 화학식 4a 및 화학식 4b에서, 상기 X1 및 Y1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4의 알킬렌기이고, 상기 X2 및 Y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3 내지 6의 알킬렌기이고, 상기 X는 탄소수 3 내지 6의 알킬렌기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반응물로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제 1 나일론염(nylon salt); 제 2 반응물로서,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제 2 나일론염 또는 락탐계 화합물(lactam compound); 및 제 3 반응물로서, 하기 화학식 5a로 표시되는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 PEG)과 하기 화학식 5b로 표시되는 디카르복시산의 반응에 의해 제조된 제 4 나일론 염을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아마이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5
[화학식 2]
Figure pat00006
[화학식 5a]
Figure pat00007
[화학식 5b]
Figure pat00008
상기 화학식 1, 화학식 2, 화학식 5a 및 화학식 5b에서, 상기 X1 및 Y1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4의 알킬렌기이고, 상기 X2 및 Y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3 내지 6의 알킬렌기이고, 상기 Y는 탄소수 3 내지 6의 알킬렌기이고, 상기 R1,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3 내지 6의 알킬렌기이고, 상기 x+z는 0 내지 10의 정수이고, 상기 y는 1 내지 50의 정수이다.
상기 제 1 나일론염 또는 상기 제 2 나일론염은 하기 화학식 1a로 표시되는 디아민과 하기 화학식 1b로 표시되는 디카르복시산의 반응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 1a]
Figure pat00009
[화학식 1b]
Figure pat00010
상기 화학식 1a 내지 1b에서, 상기 X 및 Y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3 내지 6의 알킬렌기이다.
상기 락탐계 화합물은 2-피롤리돈(2-Pyrrolidone), 2-피페리돈(2-Piperidinone) 및 ε-카프로락탐(ε-Caprolactam)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반응은 200 ℃ 내지 260 ℃에서의 열처리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반복단위로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제 1 나일론염(nylon salt)으로부터 유래된 반복단위; 제 2 반복단위로서,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제 2 나일론염 또는 락탐계 화합물(lactam compound)로부터 유래된 반복단위; 및 제 3 반복단위로서, 하기 화학식 4a로 표시되는 디아민 및 하기 화학식 4b로 표시되는 디메틸-5-설포이소프탈레이트 소듐(dimethyl-5-sulfoisophthalate sodium, DMIS)으로부터 유래된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아마이드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11
[화학식 2]
Figure pat00012
[화학식 4a]
Figure pat00013
[화학식 4b]
Figure pat00014
상기 화학식 1, 화학식 2, 화학식 4a 및 화학식 4b에서, 상기 X1 및 Y1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4의 알킬렌기이고, 상기 X2 및 Y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3 내지 6의 알킬렌기이고, 상기 X는 탄소수 3 내지 6의 알킬렌기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반복단위로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제 1 나일론염(nylon salt)으로부터 유래된 반복단위; 제 2 반복단위로서,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제 2 나일론염 또는 락탐계 화합물(lactam compound)로부터 유래된 반복단위; 및 제 3 반복단위로서, 하기 화학식 5a로 표시되는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 PEG)과 하기 화학식 5b로 표시되는 디카르복시산의 반응에 의해 제조된 제 4 나일론 염으로부터 유래된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아마이드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15
[화학식 2]
Figure pat00016
[화학식 5a]
Figure pat00017
[화학식 5b]
Figure pat00018
상기 화학식 1, 화학식 2, 화학식 5a 및 화학식 5b에서, 상기 X1 및 Y1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4의 알킬렌기이고, 상기 X2 및 Y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3 내지 6의 알킬렌기이고, 상기 Y는 탄소수 3 내지 6의 알킬렌기이고, 상기 R1,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3 내지 6의 알킬렌기이고, 상기 x+z는 0 내지 10의 정수이고, 상기 y는 1 내지 50의 정수이다.
상기 폴리아마이드는 상기 폴리아마이드 전체에 대하여 상기 제 1 반복단위를 50 몰% 내지 90 몰%, 상기 제 3 반복단위를 2 몰% 내지 15 몰%, 및 상기 제 2 반복단위를 나머지 함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하면 폴리아마이드의 수분 흡수율이 우수하면서도 섬유 형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방사 연신성이 우수한 폴리아마이드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를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아마이드의 제조방법은 제 1 반응물로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제 1 나일론염(nylon salt); 제 2 반응물로서,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제 2 나일론염 또는 락탐계 화합물(lactam compound); 및 제 3 반응물로서, 하기 화학식 4a로 표시되는 디아민 및 하기 화학식 4b로 표시되는 디메틸-5-설포이소프탈레이트 소듐(dimethyl-5-sulfoisophthalate sodium, DMIS)을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19
[화학식 2]
Figure pat00020
[화학식 4a]
Figure pat00021
[화학식 4b]
Figure pat00022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아마이드의 제조방법은 제 1 반응물로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제 1 나일론염(nylon salt); 제 2 반응물로서,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제 2 나일론염 또는 락탐계 화합물(lactam compound); 및 제 3 반응물로서, 하기 화학식 5a로 표시되는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 PEG)과 하기 화학식 5b로 표시되는 디카르복시산의 반응에 의해 제조된 제 4 나일론 염을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23
[화학식 2]
Figure pat00024
[화학식 5a]
Figure pat00025
[화학식 5b]
Figure pat00026
상기 화학식 1, 화학식 2, 화학식 4a, 화학식 4b, 화학식 5a 및 화학식 5b에서, 상기 X1 및 Y1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4의 알킬렌기이고, 상기 X2 및 Y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3 내지 6의 알킬렌기이고, 상기 X는 탄소수 3 내지 6의 알킬렌기이고, 상기 Y는 탄소수 3 내지 6의 알킬렌기이고, 상기 R1,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3 내지 6의 알킬렌기이고, 상기 x+z는 0 내지 10의 정수이고, 상기 y는 1 내지 50의 정수이다.
상기 폴리아마이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1 반응물로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제 1 나일론염은 하기 화학식 1a로 표시되는 디아민과 하기 화학식 1b의 디카르복시산의 반응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 1a]
Figure pat00027
[화학식 1b]
Figure pat00028
상기 화학식 1a 및 화학식 1b 에 있어서, 상기 X 및 Y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4의 알킬렌기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디아민은 1,4-디아미노부탄(1,4-diaminobutane)일 수 있고, 상기 디카르복시산은 아디프산(adipic acid)일 수 있다.
상기 제 2 반응물로서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제 2 나일론염도 상기 화학식 1a로 표시되는 디아민과 상기 화학식 1b의 디카르복시산의 반응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다만, 이때 상기 화학식 1a 및 화학식 1b 에 있어서, 상기 X 및 Y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3 내지 6의 알킬렌기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디아민은 1,3-디아미노프로판(1,3-diaminopropane), 1,4-디아미노부탄(1,4-diaminobutane), 1,5-디아미노펜탄(1,5-diaminopentane) 및 1,6-디아미노헥산(1,6-diaminohexa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디카르복시산은 아디프산(adipic acid), 글루타르산(glutaric acid), 피멜린산(pimelic acid) 및 수베르산(suberic acid)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제 1 나일론염 또는 상기 제 2 나일론염의 제조는 질소 분위기 하에서 20 ℃ 내지 80 ℃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 나일론염 또는 상기 제 2 나일론염의 제조 온도가 20 ℃ 미만인 경우 나일론염이 잘 형성되지 않을 수 있고, 80 ℃를 초과하는 경우 중합 컨트롤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나일론염 또는 상기 제 2 나일론염의 제조반응은 수분 조건하에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분 조건은 상기 제 1 나일론염 또는 상기 제 2 나일론염을 제조하기 위하여 투입되는 원료 총 중량에 대해서 수분의 함량이 30 중량% 내지 8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수분의 함량이 30 중량% 미만이면 염이 균일하게 생성되지 않을 우려가 있고, 염 용액 또는 염 분산액의 전도가 높아져 취급이 어려울 수 있다. 한편, 수분의 함량이 80 중량%를 초과할 경우 공정시간이 길어지고, 폴리아마이드 수율이 저하될 우려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상기 제 2 반응물로서 상기 락탐계 화합물은 2-피롤리돈(2-Pyrrolidone), 2-피페리돈(2-Piperidinone) 및 ε-카프로락탐(ε-Caprolactam)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탄소수 3 내지 6의 락탐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으며, 이중에서도 제조 수율 및 최종 제조되는 폴리아마이드의 융점 및 내열성 등의 물성적 특성을 고려할 때 2-피롤리돈 및 ε-카프로락탐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 제 3 반응물로서 상기 화학식 4a로 표시되는 디아민 및 상기 화학식 4b로 표시되는 디메틸-5-설포이소프탈레이트 소듐은 상기 화학식 4a로 표시되는 디아민을 용융상으로 하고, 상기 디메틸-5-설포이소프탈레이트 소듐을 고체상으로 하여 반응관에 투입하여 반응시킬 수 있다.
[화학식 4a]
Figure pat00029
[화학식 4b]
Figure pat00030
상기 화학식 4a에서, 상기 X는 탄소수 3 내지 6의 알킬렌기이고,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X는 탄소수 4 내지 6의 알킬렌기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4a로 표시되는 디아민은 구체적으로 1,3-디아미노프로판, 1,4-디아미노부탄, 1,5-디아미노펜탄 및 1,6-디아미노헥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반응물로서 상기 제 4 나일론염은 하기 화학식 5a로 표시되는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 PEG)과 하기 화학식 5b로 표시되는 디카르복시산의 반응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 5a]
Figure pat00031
[화학식 5b]
Figure pat00032
상기 화학식 5a 및 화학식 5b에서, 상기 Y는 탄소수 3 내지 6의 알킬렌기이고,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Y는 탄소수 4 내지 6의 알킬렌기일 수 있다.
상기 R1,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3 내지 6의 알킬렌기이고, 구체적으로 탄소수 3 또는 4의 알킬렌기일 수 있다. 상기 알킬렌기는 결합기가 2개인 원자단으로서, 예를들어 상기 R은 프로필렌기, 이소프로필렌기, 부틸렌기, 이소부틸렌기, 2,3-부틸렌기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x는 0 내지 10의 정수이고, 상기 y는 1 내지 50의 정수이고, 상기 z는 0 내지 10의 정수이고,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x+z는 0 내지 10의 정수이고, 상기 y는 4 내지 39의 정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5a로 표시되는 폴리에틸렌 글리콜은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 내지 3000 g/mol, 보다 구체적으로 1500 내지 2500 g/mol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5b로 표시되는 디카르복시산은 구체적으로 아디프산, 글루타르산, 피멜린산 및 수베르산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제 4 나일론염을 제조하는 방법은 상기 화학식 5a 및 상기 화학식 5b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 1 나일론염 또는 상기 제 2 나일론염을 제조하는 방법과 동일하므로,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 1 반응물, 제 2 반응물 및 제 3 반응물의 반응은 200 ℃ 내지 260 ℃에서의 열처리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이때 열처리 공정은 상기한 범위 내의 다양한 온도에서의 연속 다단계 열처리로 실시될 수도 있다. 상기 반응 온도가 200 ℃ 미만인 경우 중합 반응이 미흡하여, 충분한 크기의 고분자를 제조할 수 없을 수 있고, 260 ℃를 초과하는 경우 중합과 분해가 동시에 일어나고 점도의 급격한 상승이 동반되어, 분자량 분포가 불균일하고 충분한 크기의 고분자를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폴리아마이드 제조방법은, 폴리아마이드의 제조시 사용되는 반응물질로서, 상기 디메틸-5-설포이소프탈레이트 소듐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로부터 유래된 물질을 포함함으로써, 수분 흡수율이 우수하면서도 섬유 형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방사 연신성이 우수한 폴리아마이드를 제조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폴리아마이드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예시에 따른 상기 폴리아마이드는 제 1 반복단위로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제 1 나일론염(nylon salt)으로부터 유래된 반복단위; 제 2 반복단위로서,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제 2 나일론염 또는 락탐계 화합물(lactam compound)로부터 유래된 반복단위; 및 제 3 반복단위로서, 하기 화학식 4a로 표시되는 디아민 및 하기 화학식 4b로 표시되는 디메틸-5-설포이소프탈레이트 소듐(dimethyl-5-sulfoisophthalate sodium, DMIS)으로부터 유래된 반복단위를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33
[화학식 2]
Figure pat00034
[화학식 4a]
Figure pat00035
[화학식 4b]
Figure pat00036
다른 하나의 예시에 따른 상기 폴리아마이드는 제 1 반복단위로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제 1 나일론염(nylon salt)으로부터 유래된 반복단위; 제 2 반복단위로서,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제 2 나일론염 또는 락탐계 화합물(lactam compound)로부터 유래된 반복단위; 및 제 3 반복단위로서, 하기 화학식 5a로 표시되는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 PEG)과 하기 화학식 5b로 표시되는 디카르복시산의 반응에 의해 제조된 제 4 나일론 염으로부터 유래된 반복단위를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37
[화학식 2]
Figure pat00038
[화학식 5a]
Figure pat00039
[화학식 5b]
Figure pat00040
상기 화학식 1, 화학식 2, 화학식 4a, 화학식 4b, 화학식 5a 및 화학식 5b에서, 상기 X1 및 Y1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4의 알킬렌기이고, 상기 X2 및 Y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3 내지 6의 알킬렌기이고, 상기 X는 탄소수 3 내지 6의 알킬렌기이고, 상기 Y는 탄소수 3 내지 6의 알킬렌기이고, 상기 R1,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3 내지 6의 알킬렌기이고, 상기 x+z는 0 내지 10의 정수이고, 상기 y는 1 내지 50의 정수이다.
예를들어,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제 1 나일론염으로부터 유래된 반복단위는 -[-NH-(CH2)4-NH-CO-(CH2)4-CO-]-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폴리아마이드는 상기 폴리아마이드 전체에 대하여 상기 제 1 반복단위를 50 내지 90 몰%, 상기 제 3 반복단위를 2 내지 15 몰%, 및 상기 제 2 반복단위를 나머지 함량으로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 상기 제 1 반복단위를 60 몰% 내지 75 몰%, 상기 제 3 반복단위를 5 몰% 내지 10 몰%, 및 상기 제 2 반복단위를 나머지 함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아마이드는 상기 제 1 반복단위, 제 2 반복단위 및 제 3 반복단위를 상기 범위로 포함함에 따라, 수분 흡수율이 우수하면서도 섬유 형성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방사 연신성이 우수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반복단위의 함량이 50 몰% 미만인 경우 폴리아마이드 기본 구조의 규칙성이 부족하여, 결정화 형성이 불규칙하게 되어 섬유 형성성이 부족할 수 있고, 90 몰%를 초과하는 경우 폴리아마이드의 결정화 속도가 너무 빠르게 되어 제조 공정 중에 연신 특성이 나빠서 섬유 형성이 부족할 수 있고, 상기 제 3 반복단위의 함량이 2 몰% 미만인 경우 충분한 수분율을 얻을 수 없을 수 있고, 15 몰%를 초과하는 경우 폴리아마이드 기본 구조의 규칙성이 부족하여, 결정화 형성이 불규칙하게 되어 섬유 형성성이 부족할 수 있다.
상기 폴리아마이드는 30 ℃, m-크레졸에서 측정한 고유점도(η)가 0.4 dl/g 내지 2.2 dl/g일 수 있고, 용융점이 150 ℃ 내지 280 ℃일 수 있고, 섬유화된 후의 공정 조건 수분 흡수율이 5 중량% 내지 15 중량%일 수 있고, 섬유의 강도가 1.5 g/d 내지 6.0 g/d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 제조예 1: 나일론염의 제조]
( 제조예 1)
1,4-디아미노부탄 42 g를 에탄올 535 ml에 용해시켜 제조한 1,4-디아미노부탄의 에탄올 용액을, 아디프산 50 g을 에탄올 633 ml에 용해시켜 제조한 아디프산의 에탄올 용액에 첨가하고 질소 분위기하에서 25 ℃에서 반응시켜 나일론 46염을 제조하였다.
( 제조예 2)
1,6-디아미노헥산 38 g를 메탄올 457 ml에 용해시켜 제조한 1,6-디아미노헥산 메탄올 용액을, 아디프산 50 g을 메탄올 367 ml에 용해시켜 제조한 아디프산의 메탄올 용액에 첨가하고, 질소 분위기하에서 25 ℃에서 반응시켜 나일론 66염을 제조하였다.
( 제조예 3)
1,4-디아미노부탄 42 g를 에탄올 535 ml에 용해시켜 제조한 1,4-디아미노부탄의 에탄올 용액을, DMIS 101 g을 에탄올 1260 ml에 용해시켜 제조한 DMIS의 에탄올 용액에 첨가하고 질소 분위기하에서 25 ℃에서 반응시켰다.
( 제조예 4)
중량 평균 분자량이 950 g/mol 수준인 PEG(폴리에틸렌글리콜)을 주쇄로 하고 말단이 디아민으로 구성된 화합물(상기 화학식 5a에서 상기 R1,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3의 이소프로필렌기이고, x+z=6, y=39, MW=2000 g/mol) 410 g를 에탄올 5,300 ml에 용해시켜 제조한 에탄올 용액을, 아디프산 50 g을 에탄올 633 ml에 용해시켜 제조한 아디프산의 에탄올 용액에 첨가하고, 질소 분위기하에서 25 ℃에서 반응시켜 나일론 염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 폴리아마이드의 제조]
( 실시예 1)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나일론 46염을 제 1 반응물로 사용하고, 카프로락탐을 제 2 반응물로 사용하고, 상기 제조에 3에서 제조한 디아민과 DMIS(디메틸렌아이소프탈릭소디윰설포네이트)의 반응물을 제 3 반응물로 사용하여, 2:1:0.2의 몰비로 반응시켜 폴리아마이드(1)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2)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나일론 46염을 제 1 반응물로 사용하고,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한 나일론 66염을 제 2 반응물로 사용하고, 상기 제조에 3에서 제조한 디아민과 DMIS(디메틸렌아이소프탈릭소디윰설포네이트)의 반응물을 제 3 반응물로 사용하여, 2:1:0.2의 몰비로 반응시켜 폴리아마이드(2)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3)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나일론 46염을 제 1 반응물로 사용하고, 카프로락탐을 제 2 반응물로 사용하고, 상기 제조에 4에서 제조한 PEG(폴리에틸렌글리콜)을 주쇄로 하고 말단이 디아민으로 구성된 화합물과 아디프산의 염을 제 3 반응물로 사용하여, 2:1:0.2의 몰비로 반응시켜 폴리아마이드(3)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4)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나일론 46염을 제 1 반응물로 사용하고,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한 나일론 66염을 제 2 반응물로 사용하고, 상기 제조예 4에서 제조한 PEG(폴리에틸렌글리콜)을 주쇄로 하고 말단이 디아민으로 구성된 화합물과 아디프산의 염을 제 3 반응물로 사용하여, 2:1:0.2의 몰비로 반응시켜 폴리아마이드(4)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5 내지 실시예 8)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에서 몰비를 3:1:0.5로 하여 반응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아마이드를 제조하였다.
( 참고예 1 내지 참고예 4)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에서 몰비를 1:1:0.5로 하여 반응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아마이드를 제조하였다.
( 참고예 5 내지 참고예 8)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에서 몰비를 2:1:0.05로 하여 반응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와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아마이드를 제조하였다.
( 비교예 1 및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몰비를 2:1:0로 하여 반응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아마이드를 제조하였다.
[ 시험예 : 폴리아마이드의 성능 측정]
상기 실시예, 참고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폴리아마이드에 대하여 방사 연신성, 인장 강도 및 수분율을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상기 방사 연신성, 인장 강도 및 수분율은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1) 연신성: 방사 설비 GR1~3 Speed로 측정함(In Line sensor).
2) 인장강도: 표준 상태의 필라멘트(Fiber)를 파지거리 30 ㎝, 인장속도 30 ± 2 ㎝/min로 신장하여 절단시 인장 강신도를 측정함(KS K 0412).
3) 수분율(%): 표준 또는 제시 상태의 시료를 105 ± 2 ℃에서 항량이 될 때까지 처리하여 질량 측정한 후, 하기 수학식 1에 의하여 계산함(KS K 0221).
[수학식 1]
수분율 = (O - D) / D × 100
O: 표준 또는 제시 상태 시험편 질량
D: 건조 상태 시험편의 질량
제1반응물 제2반응물 제3반응물 몰비 방사
연신성
인장
강도
수분율
(%)
실시예 1 나일론46 카프로락탐 DA+DMIS 2:1:0.2 양호 2.5 7.5
실시예 2 나일론46 나일론66 DA+DMIS 2:1:0.2 양호 2.8 6.8
실시예 3 나일론46 카프로락탐 PEGDA+AA 2:1:0.2 양호 3.1 10.8
실시예 4 나일론46 나일론66 PEGDA+AA 2:1:0.2 양호 3.3 8.1
실시예 5 나일론46 카프로락탐 DA+DMIS 3:1:0.5 양호 3.1 9.0
실시예 6 나일론46 나일론66 DA+DMIS 3:1:0.5 양호 3.5 8.0
실시예 7 나일론46 카프로락탐 PEGDA+AA 3:1:0.5 양호 3.4 14.0
실시예 8 나일론46 나일론66 PEGDA+AA 3:1:0.5 양호 3.7 12.0
참고예 1 나일론46 카프로락탐 DA+DMIS 1:1:0.5 불량 - -
참고예 2 나일론46 나일론66 DA+DMIS 1:1:0.5 불량 - -
참고예 3 나일론46 카프로락탐 PEGDA+AA 1:1:0.5 불량 - -
참고예 4 나일론46 나일론66 PEGDA+AA 1:1:0.5 불량 - -
참고예 5 나일론46 카프로락탐 DA+DMIS 2:1:0.5 불량 - -
참고예 6 나일론46 나일론66 DA+DMIS 2:1:0.5 불량 - -
참고예 7 나일론46 카프로락탐 PEGDA+AA 2:1:0.5 불량 - -
참고예 8 나일론46 나일론66 PEGDA+AA 2:1:0.5 불량 - -
비교예 1 나일론46 카프로락탐 - 2:1:0 양호 2.7 5.0
비교예 2 나일론46 나일론66 - 2:1:0 양호 3.0 4.8
상기 표 1을 참고하면, 실시예에서 제조된 폴리아마이드의 방사 연신성, 인장 강도 및 수분율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8)

  1. 제 1 반응물로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제 1 나일론염(nylon salt);
    제 2 반응물로서,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제 2 나일론염 또는 락탐계 화합물(lactam compound); 및
    제 3 반응물로서, 하기 화학식 4a로 표시되는 디아민 및 하기 화학식 4b로 표시되는 디메틸-5-설포이소프탈레이트 소듐(dimethyl-5-sulfoisophthalate sodium, DMIS)
    을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아마이드의 제조방법.
    [화학식 1]
    Figure pat00041

    [화학식 2]
    Figure pat00042

    [화학식 4a]
    Figure pat00043

    [화학식 4b]
    Figure pat00044

    (상기 화학식 1, 화학식 2, 화학식 4a 및 화학식 4b에서,
    상기 X1 및 Y1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4의 알킬렌기이고,
    상기 X2 및 Y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3 내지 6의 알킬렌기이고,
    상기 X는 탄소수 3 내지 6의 알킬렌기이다)
  2. 제 1 반응물로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제 1 나일론염(nylon salt);
    제 2 반응물로서,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제 2 나일론염 또는 락탐계 화합물(lactam compound); 및
    제 3 반응물로서, 하기 화학식 5a로 표시되는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 PEG)과 하기 화학식 5b로 표시되는 디카르복시산의 반응에 의해 제조된 제 4 나일론 염
    을 반응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아마이드의 제조방법.
    [화학식 1]
    Figure pat00045

    [화학식 2]
    Figure pat00046

    [화학식 5a]
    Figure pat00047

    [화학식 5b]
    Figure pat00048

    (상기 화학식 1, 화학식 2, 화학식 5a 및 화학식 5b에서,
    상기 X1 및 Y1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4의 알킬렌기이고,
    상기 X2 및 Y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3 내지 6의 알킬렌기이고,
    상기 Y는 탄소수 3 내지 6의 알킬렌기이고,
    상기 R1,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3 내지 6의 알킬렌기이고, 상기 x+z는 0 내지 10의 정수이고, 상기 y는 1 내지 50의 정수이다)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나일론염 또는 상기 제 2 나일론염은 하기 화학식 1a로 표시되는 디아민과 하기 화학식 1b로 표시되는 디카르복시산의 반응에 의해 제조되는 것인 폴리아마이드의 제조방법.
    [화학식 1a]
    Figure pat00049

    [화학식 1b]
    Figure pat00050

    (상기 화학식 1a 내지 1b에서,
    상기 X 및 Y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3 내지 6의 알킬렌기이다)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락탐계 화합물은 2-피롤리돈(2-Pyrrolidone), 2-피페리돈(2-Piperidinone) 및 ε-카프로락탐(ε-Caprolactam)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인 폴리아마이드의 제조방법.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은 200 ℃ 내지 260 ℃에서의 열처리에 의해 실시되는 것인 폴리아마이드의 제조방법.
  6. 제 1 반복단위로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제 1 나일론염(nylon salt)으로부터 유래된 반복단위;
    제 2 반복단위로서,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제 2 나일론염 또는 락탐계 화합물(lactam compound)로부터 유래된 반복단위; 및
    제 3 반복단위로서, 하기 화학식 4a로 표시되는 디아민 및 하기 화학식 4b로 표시되는 디메틸-5-설포이소프탈레이트 소듐(dimethyl-5-sulfoisophthalate sodium, DMIS)으로부터 유래된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폴리아마이드.
    [화학식 1]
    Figure pat00051

    [화학식 2]
    Figure pat00052

    [화학식 4a]
    Figure pat00053

    [화학식 4b]
    Figure pat00054

    (상기 화학식 1, 화학식 2, 화학식 4a 및 화학식 4b에서,
    상기 X1 및 Y1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4의 알킬렌기이고,
    상기 X2 및 Y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3 내지 6의 알킬렌기이고,
    상기 X는 탄소수 3 내지 6의 알킬렌기이다)
  7. 제 1 반복단위로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제 1 나일론염(nylon salt)으로부터 유래된 반복단위;
    제 2 반복단위로서,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제 2 나일론염 또는 락탐계 화합물(lactam compound)로부터 유래된 반복단위; 및
    제 3 반복단위로서, 하기 화학식 5a로 표시되는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 PEG)과 하기 화학식 5b로 표시되는 디카르복시산의 반응에 의해 제조된 제 4 나일론 염으로부터 유래된 반복단위
    를 포함하는 폴리아마이드.
    [화학식 1]
    Figure pat00055

    [화학식 2]
    Figure pat00056

    [화학식 5a]
    Figure pat00057

    [화학식 5b]
    Figure pat00058

    (상기 화학식 1, 화학식 2, 화학식 5a 및 화학식 5b에서,
    상기 X1 및 Y1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4의 알킬렌기이고,
    상기 X2 및 Y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3 내지 6의 알킬렌기이고,
    상기 Y는 탄소수 3 내지 6의 알킬렌기이고,
    상기 R1, R2 및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3 내지 6의 알킬렌기이고, 상기 x+z는 0 내지 10의 정수이고, 상기 y는 1 내지 50의 정수이다)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아마이드는 상기 폴리아마이드 전체에 대하여 상기 제 1 반복단위를 50 몰% 내지 90 몰%, 상기 제 3 반복단위를 2 몰% 내지 15 몰%, 및 상기 제 2 반복단위를 나머지 함량으로 포함하는 것인 폴리아마이드.
KR1020160183593A 2016-12-30 2016-12-30 폴리아마이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아마이드 KR102562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593A KR102562351B1 (ko) 2016-12-30 2016-12-30 폴리아마이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아마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83593A KR102562351B1 (ko) 2016-12-30 2016-12-30 폴리아마이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아마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8632A true KR20180078632A (ko) 2018-07-10
KR102562351B1 KR102562351B1 (ko) 2023-07-31

Family

ID=62916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83593A KR102562351B1 (ko) 2016-12-30 2016-12-30 폴리아마이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아마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6235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26564B2 (ja) * 1990-11-20 1998-03-11 イー・アイ・デユ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 2−メチルペンタメチレンジアミンのアミド単位を含有する三元ポリアミドおよび多元ポリアミド、ならびにこれから製造した製品
JP2001348427A (ja) 2000-06-09 2001-12-18 Kuraray Co Ltd ポリアミドの製造方法
JP2003238680A (ja) * 2001-12-26 2003-08-27 Ind Technol Res Inst スルホン酸コモノマーを含有するナイロン6共重合体の製造方法
JP2009256610A (ja) 2008-03-28 2009-11-05 Toray Ind Inc 芳香族ポリアミド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50067761A (ko) * 2012-10-10 2015-06-18 인비스타 테크놀러지스 에스.에이 알.엘. 폴리아미드 조성물 및 방법
KR20160066323A (ko) * 2014-12-02 2016-06-10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폴리아마이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아마이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26564B2 (ja) * 1990-11-20 1998-03-11 イー・アイ・デユポン・ドウ・ヌムール・アンド・カンパニー 2−メチルペンタメチレンジアミンのアミド単位を含有する三元ポリアミドおよび多元ポリアミド、ならびにこれから製造した製品
JP2001348427A (ja) 2000-06-09 2001-12-18 Kuraray Co Ltd ポリアミドの製造方法
JP2003238680A (ja) * 2001-12-26 2003-08-27 Ind Technol Res Inst スルホン酸コモノマーを含有するナイロン6共重合体の製造方法
JP2009256610A (ja) 2008-03-28 2009-11-05 Toray Ind Inc 芳香族ポリアミド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50067761A (ko) * 2012-10-10 2015-06-18 인비스타 테크놀러지스 에스.에이 알.엘. 폴리아미드 조성물 및 방법
KR20160066323A (ko) * 2014-12-02 2016-06-10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폴리아마이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아마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62351B1 (ko) 2023-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4562B1 (ko) 폴리트리메틸렌 에테르 에스테르 아미드 및 그의 용도
KR970000487B1 (ko) 신규 폴리아미드류 및 이로부터 수득되는 물품
JPH04227632A (ja) 新規なポリエーテルアミド及びその製法
US4556697A (en) Alternating copolyamide prepared on a polymer matrix
KR20140084315A (ko) 향상된 용융 흐름을 갖는 아민 관능성 폴리에테르이미드 수지의 무용매 제조방법
KR101792196B1 (ko) 폴리아마이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아마이드
Tao et al. Preparation and properties of biobased polyamides based on 1, 9-azelaic acid and different chain length diamines
Yang et al. Influence of asymmetric substituent group 2-methyl-1, 3-propanediol on bio-based poly (propylene furandicarboxylate) copolyesters
JPH04227634A (ja) テトラエチレングリコールジアミン及び芳香族ジカルボン酸からのポリエーテルアミドの製法
EP3147305A1 (en) Copolymerized polyamide resin, method for preparing same, and molded product comprising same
KR20180078632A (ko) 폴리아마이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아마이드
KR102339256B1 (ko) 폴리아마이드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아마이드
US4168602A (en) Block copolymer of poly (dioxaarylamide) and polyamide and fibers and fibrous material produced therefrom
CA1090033A (en) Single step preparation of block copolymer of polyamides
CH636079A5 (it) Procedimento per l'ottenimento di diesterediammidi e loro utilizzazione.
KR101792197B1 (ko) 폴리아마이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아마이드
JP2013525584A (ja) Pa−410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この方法により得られるpa−410
KR101355335B1 (ko) 폴리아미드 수지의 제조 방법
EP0411709B1 (en) Polyamide composition
KR20170045888A (ko) 폴리아마이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아마이드
KR102508974B1 (ko) 신규한 폴리아미드 합성용 활성화제 및 그로부터 제조된 폴리아미드
KR101723627B1 (ko) 폴리아미드 수지의 제조 방법 및 폴리아미드 수지
KR20160037691A (ko) 폴리아마이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아마이드
Zhao et al. Aliphatic segmented poly (ether ester amide) s synthesized from hexanediamine, sebacic acid and poly (ethylene glycol) s
KR20150042492A (ko) 폴리아마이드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폴리아마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