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8156A - 스페이서 직물, 스페이서 직물로 형성된 복합 재료 및 복합 재료의 이용 - Google Patents

스페이서 직물, 스페이서 직물로 형성된 복합 재료 및 복합 재료의 이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8156A
KR20180078156A KR1020170180962A KR20170180962A KR20180078156A KR 20180078156 A KR20180078156 A KR 20180078156A KR 1020170180962 A KR1020170180962 A KR 1020170180962A KR 20170180962 A KR20170180962 A KR 20170180962A KR 20180078156 A KR20180078156 A KR 201800781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rp
layer
spacer
stitch
stitch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0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6892B1 (ko
Inventor
프랑크 뮐러
슈테판 뮐러
Original Assignee
뮐러 텍스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뮐러 텍스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뮐러 텍스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80078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8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6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6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2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knitting article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14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6Knitted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8Seat cove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56Dashboard l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62Mid-console liner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06Patterned fabrics o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10Fibres of continuous length
    • B32B2305/18Fabrics, textiles
    • B32B2305/186Knitted fabr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03Interior finishing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2Cross-sectional features
    • D10B2403/021Lofty fabric with equidistantly spaced front and back plies, e.g. spacer fabric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2Cross-sectional features
    • D10B2403/021Lofty fabric with equidistantly spaced front and back plies, e.g. spacer fabrics
    • D10B2403/0213Lofty fabric with equidistantly spaced front and back plies, e.g. spacer fabrics with apertures, e.g. with one or more mesh fabric pli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08Upholstery, mattress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12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40Knit fabric [i.e., knit strand or strip material]
    • Y10T442/45Knit fabric is characterized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knit pattern other than open knit fabric or a fabric in which the strand denier is specifi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페이서 실(11)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 제1 평면형 경평층(4) 및 제2 평면형 경편층(5)을 가지며, 제1 경편층(4)은 제1 패턴을 갖는 제1 실 시스템(6) 및 제2 패턴을 갖는 제2 실 시스템(7)에 의하여 형성되고, 제1 패턴은, 제1 실 시스템(6)의 실들이 작업 방향(W)으로 교대로 필러 스티치(8)를 형성하고 스티치의 형성없이 안내되며 제2실 시스템(7)의 실들은 적어도 2개의 인접한 스티치 웨일에 걸쳐 각각 안내되고 작업 방향(W)으로 나아가는 것인 변형된 필러-스티치인 것인 경편성 스페이서 직물(1)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경편층(5)은 다수의 스티치에 의하여 형성된 개구를 갖는다.

Description

스페이서 직물, 스페이서 직물로 형성된 복합 재료 및 복합 재료의 이용{SPACER FABRIC, COMPOSITE MATERIAL FORMED WITH THE SPACER FABRIC AND USE OF THE COMPOSITE MATERIAL}
본 발명은 경편성 스페이서 직물(warp-knitted spacer fabric), 경편성 스페이서 직물로 형성된 복합 재료 및 차량의 내장 장식품을 위한 복합 재료의 이용에 관한 것이다.
특정 맥락에서, 본 발명은 스페이서 실(spacer yarn)에 의하여 연결된 제1 평면형 경편층과 제2 평면형 경편층을 갖는 경편성 스페이서 직물에 관한 것으로서, 제1 경편층은 제1 스티치 패턴(stitch pattern)을 이용한 제1 실 시스템(yarn system) 및 제2 스티치 패턴을 이용한 제2 실 시스템에 의하여 형성되며, 변형된 필러-스티치(pillar-stitch)는, 제1 실 시스템의 실이 필러 스티치를 형성하고 작업 방향으로 교대로 스티치를 형성하지 않으면서 안내되며 제2 실 시스템의 각각의 실은 작업 방향으로 나아가는 적어도 2개의 인접한 스티치 웨일(stitch wale)에 걸쳐 안내되는 것인 제1 스티치 패턴으로서 제공된다.
경편성 스페이서 직물은 가벼운 공기 투과성 구조를 특징으로 하며, 여기서 경편성 스페이서 직물은 편성 직물의 2개의 층 사이로 나아가는 스페이서 실로 인하여 그 두께 방향으로 탄성적이다.
이러한 특성 때문에 경편성 스페이서 직물은 공기 순환을 허용하는 부드럽고 탄성적인 층이며 따라서 매트리스, 포류 가구(upholstered furniture), 의류품 및 신발류에 제공된다. 경편성 스페이서 직물은 또한, 예를 들어 공기 조화 시트 및 공기 조화 시트 커버를 위한 자동차 분야의 산업용 섬유로서 사용되며, 이 시트와 시트 커버에서 경편성 스페이서 직물은 그 쿠션 특성 및 매우 우수한 복원 거동으로 인하여 윤곽에 대한 양호한 적응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또한, 경편성 스페이서 직물은 또한 다른 응용, 예를 들어 가구 제조 및 특히 받침 시스템(backing system)에 적합하다. 따라서, 스페이서 섬유는, 예를 들어 스페이서 섬유와 이에 적층된 커버층, 예를 들어 가죽, 인조 가죽 또는 장식 필름을 갖는 복합 재료가 헤드라이너, 대시보드, 센터 콘솔 및 도어의 내부를 덮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 차량 분야에서 내부를 라이닝(lining)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경편성 스페이서 직물 그리고 피복 및 장식 층을 갖는 복합 재료는 일반적으로 강성 또는 가요성의 기본 기재 구조에 결합된다. 예를 들어, 내장 트림(interior trim) 또는 가구 제작을 위한 복합 재료는 강성 기판에 적용될 수 있거나 시트 또는 시트 표면을 형성할 때 가요성 기재에 또한 적용될 수 있다.
강성 기재와 가요성 기재 모두의 경우에, 이는 둥근 곡선, 기울어짐 및 다른 3차원 형상이 경편성 스페이서 직물에 의해 어느 정도 수용될 수 있다는 이점을 발생시키며, 따라서 많은 경우에 과도한 변형 및 특히 상부 층과 장식층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는 경편성 스페이서 직물의 유연성으로 인하여 사용자에게 특히 쾌적한 부드러운 느낌을 주지만, 적어도 탄성 재설정(elastic reset) 후에는 경편성 스페이서 직물의 탄성 복원력으로 인하여 설정된 형상이 또한 유지된다.
경편성 스페이서 직물은 이러한 특성과 관련하여 어느 정도까지 다른 탄성 재료보다 훨씬 우수하지만, 경편성 스페이서 직물의 기계적 특성을 더 향상시키고 특히 상부층의 과도한 꼬임을 방지하기 위하여 특히 복잡한 형상을 갖는 제품 및 특히 수명이 긴 제품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경편성 스페이서 직물의 부드럽고 유연한 특성과 경편성 스페이서 직물의 긍정적인 지지 기능 사이에서 균형을 찾아야 한다.
경편성 스페이서 직물은 실제로 매우 다양한 목적을 위하여 사용되며, 이 목적을 위하여 특정 최적화가 종종 제공된다.
DE 10 2010 010 524 B4호로부터 청구항 제1 항의 전제부에 따른 경편성 스페이서 직물이 공지되어 있으며, 여기서 특정 경우에 여러 위치에서 에어백 및/또는 에어백 밸브 위에 경편성 스페이서 직물을 사용하기 위하여, 감소된 인장 강도를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경편성 스페이서 직물의 상부 2개의 층은 각각 기본 실 시스템 및 다른 실 시스템으로 만들어지며, 스티치 열의 제1 부분은 적어도 기본 실 시스템에 의해 형성되고, 스티치 열의 제2 부분은 제2 실 시스템에 의하여 형성되고, 기본 실 시스템의 실 및/또는 실들은 스티치의 열의 제2 부분 내에 스티치를 형성하지 않으면서 안내되며, 및/또는 스티치 열의 제2 부분 상의 상부 층은 스티치 열의 제1 부분보다 더 낮은, 생산 방향으로의 인장 강도를 갖는다.
따라서, 스티치를 생략함으로써, 가로 방향으로 나아가는 취약선들이 또한 형성되며, 대응하는 취약선들은 서로 상하로 있거나 또는 양 경편층에서 서로로부터 약간 오프셋되게 배치되며, 따라서 2개의 경편층은 이들의 기능성에 관하여 동일하게 설계된다. 따라서, 2개의 경편층은 또한 그 인장 강도뿐만 아니라 그들의 굽힘 강도와 유연성과 관련하여 동일한 또는 적어도 비슷한 기계적 특성을 갖는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에어백에 대해 경편성 스페이서 직물을 사용하는 경우, 경편성 스페이서 직물의 유리한 통기성은 부수적으로 중요한 것이며, 필요로 하는 인출(pull-out) 기능 때문에 통기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다른 선행 기술에 따라 공지된 경편층에서의 개구는 구현될 수 없다.
DE 10 2014 103 861호(미국특허출원 공개 제2017/0088987호)에 따르면, 2개의 평면형 경편층, 양 경편층 사이의 스페이서 실 그리고 양 경편층 내의 다수의 스티치에 의하여 형성된 개구를 갖는 경편성 스페이서 직물이 알려져 있다. 그 결과물은 한편으로는 특히 공기에 대한 큰 투과성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매우 큰 유연성을 발생시키는 망 구조 형태이다.
특히 이러한 재료로 길이 방향 및 가로 방향의 유연성을 제한하기 위하여, 부가적인 실이 제1 경편층에 제공되고, 이 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융합(fusion)되며, 그에 의하여 제1 경편층의 강화를 야기한다.
마지막으로, DE 10 2012 13 194호는 요실금 제품을 위한 경편성 스페이서 직물에 의하여 형성된 액체 분산층을 개시하며, 여기서 2개의 경편층 중 하나의 층만이 개구를 갖고 있으며, 다른 경편층은 균일한 그리고 본질적으로 폐쇄된 니트 패턴에 의하여 형성된다.
DE 698 26 264호(미국특허 제6,196,032호)는 양면 효과를 갖는 양면 경편성 직물을 설명한다. 양면 경편성 직물은 제1 받침 직물과 제2 받침 직물에 의해 형성되며, 재봉사(sewing yarn)와 원사(basic yarn)로부터 제조된 표면은 다른 구조를 포함하고 있다. 재봉사와 원사는 표면 상의 파일 실(pile yarn)을 덮는 방식으로 서로 묶여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복 및 장식 층과 조합될 때 구부러짐(angles) 및 굽힘(bend)에 대하여 개선된 성형성을 가지며, 특히 피복 및 장식 층의 개선된 보호를 가능하게 하는 경편성 스페이서 직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다른 목적은 경편성 스페이서 직물로 이루어진 복합 재료, 피복 및 장식 층뿐만 아니라 복합 재료의 바람직한 사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항 제1항에 따른 경편성 스페이서 직물, 청구항 제8항에 따른 복합 재료 및 청구항 제11항에 따른 이용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일반적인 경편성 스페이서 직물로부터 시작하여, 제2 경편층이 다수의 스티치에 의하여 형성된 개구를 가지며 따라서 제2 경편층이 망(mesh)과 같은 평면에서 쉽게 유연하고 성형 가능한 반면에, 작업 방향에 관하여 필러 스티치의 교호하는 순서 및 고정적인 실(standing yarn)로 인하여 그리고 적어도 2개의 스티치 웨일(stitch wales)에 걸쳐 가로 방향으로 나아가는 광범위한 실 시스템으로 인하여 제1 경편층은 가로 방향으로의 약간의 신장만이 가능한 것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제공된다. 동시에, 제1 경편층은 단지 상대적으로 작은 굽힘 강성을 가지며, 이는 특히 굽힘을 매우 쉽게 허용하여, 제1 경편층은 원하지 않는 방식으로의 팽창 또는 수축 없이 3차원적 형상을 쉽게 따를 수 있다.
제1 경편층의 더 낮은 굽힘 강도는 제1 실 시스템 및/또는 제2 실 시스템의 제 1 스티치 패턴뿐만 아니라 제2 스티치 패턴에 의해 가능해진다. 개별 실이 변형된 필러-스티치 내의 제1 스티치 패턴에 따라 하나의 스티치 웨일만을 따라 진행하기 때문에, 개별 스티치 웨일들은 서로에 대하여 가로 방향으로(tranversely) 약간 기울어질 수 있으나, 동시에 제2 실 시스템은 가로 방향으로의 과도한 신장 또는 수축을 방지할 것이다. 작업 방향에 관한 낮은 굽힘 강도는, 고정적인 실로서 소정 길이에 걸쳐 실을 안내함으로써 제1 실 시스템 내에서 일정한 간격으로 필러 스티치가 생략된다는 사실에 의하여 달성된다.
제2 실 시스템의 각각의 개별적인 실은 적어도 2개의 이웃하는 스티치 웨일에 걸쳐 연장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는 개별적인 실이 정확하게 2개의 이웃하는 스티치 웨일에 걸쳐 연장되는 트리코 패턴(tricot pattern)뿐만 아니라 각 실이 3개, 4개 또는 5개의 스티치 웨일에 걸쳐 연장되는 옷감 패턴(cloth pattern), 새틴 패턴(satin pattern) 그리고 벨벳 패턴(velvet pattern)을 포함한다. 위에서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제2 실 시스템은 가로 방향으로의 제1 경편층의 접합을 보장한다.
제2 경편층과 대조적으로, 제1 경편층은 다수의 스티치에 의하여 형성된 임의의 개구를 갖지 않는다. 이는 이웃하는 스티치 웨일들 그리고 스티치의 이웃하는 열들의 거리를 지나 돌출되는 개구가 없는 것으로 귀결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명세서 내에서, 비교적 큰 통기성 및 공기 투과성은 본 발명에 따른 니트 패턴을 통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대상물은 또한, 특히 자동차의 내부에 제공되고 위에서 설명된 경편성 스페이서 직물뿐만 아니라 피복 및 장식 층으로 형성된 복합 재료이며, 여기서 피복 및 장식 층은, 예를 들어 접착제에 의하여 경편성 스페이서 직물의 제1 경편층 상에 유지된다. 이러한 구성에서의 제1 경편층은 피복 및 장식 층의 유리한 강화를 야기하며, 장식층은 평면에서의 제1 경편층의 안정성에 의하여, 원하지 않는 압축 및 신장으로부터 보호된다.
경편성 스페이서 직물 및/또는 경편성 스페이서 직물로 형성된 복합 재료의 굽힘에 관해서는, 이는 균일한 층 재료와는 완전히 다른 거동으로 귀결된다. 예를 들어, 두꺼운 플라스틱 필름과 같은 균일한 층 재료의 경우에, 중성 섬유는 일반적으로 굽힘 동안 두께 중심에 있는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경편성 스페이서 직물을 사용하면, 중성 섬유, 즉 굽힘의 경우에 필수적인 압축 또는 신장이 발생하지 않는 중성 섬유는 제1 경편층 내에 위치된다. 따라서, 개구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구조로 인하여 매우 양호한 통기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평면에서 쉽게 변형될 수 있는 제2 경편층으로 시작하여, 굽힘을 위하여 필요한 신장 및 압축이 제공된다.
스페이서 실은 공지된 방식으로 균등층(equalizing layer)의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2 경편층은 다수의 스티치에 의하여 형성된 개구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는 필렛 패턴(filet pattern)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디자인이라 할지라도, 제2 경편층을 형성하는 실은 각 스티치 웨일에 스티치를 형성할 것이라는 점, 즉 편직 공정에서 스티치를 지나치지 않는다는 점이 일반적으로 제시된다. 제2 경편층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2개의 실 시스템 및/또는 2개의 안내 바(guidance bar)로 생성된다. 이 경우 스페이서 실은 또한 2개의 패턴 웨일(pattern wale)로 형성되지만, 이는 전반적으로 6개의 패턴 웨일을 갖는 편직 공정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변형된 필러 스티치가 제1 실 시스템에 제공된다. 필러 스티치는 또한 편직 기술에서 개방 랩 필러 스티치(open-lap pillar stitches)를 위한 1-0/0-1 패턴으로 그리고 폐쇄 랩 필러 스티치(closed-lap pillar stitches)를 위한 1-0 패턴으로서 바늘의 안내에 따라 식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그러한 패턴으로부터 시작하여 스티치가 생략된다는 점에서 변형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변형된 필러 스티치 패턴으로, n> 1, 특히 n> 2인 제1 수의 필러 스티치가 m>1, 특히 m>2의 누락된 중첩의 제2 수의 스티치와, 변형된 필러 스티치 내에서 제1 반복 순서로 작업 방향을 따라 번갈아가면서 나타나는 것이 제공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를 위하여 n=2 및 m=2이다.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필러 스티치는 적어도 바람직하게는 2개의 필러 스티치의 직접적인 순서에서 빠져있다. 그러나, 실은 일반적으로 각각의 스티치 웨일에서 벗어나지 않는다. 실은, 예를 들어, 미스랩핑(mislapping) 또는 부분적인 웨프트(partial weft)의 형태로 나아갈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변형된 필러 스티치를 사용하여, 제1 실 시스템의 실들은 필러 스티치를 형성하고, 하나의 바늘 인레이(one-needle inlay)로서 작업 방향으로 교대로 안내된다. 하나의 바늘 인레이의 경우, 실은 하나의 바늘에 의해 오프셋되지만 스티치를 형성하지 않는다. 하나의 바늘 인레이처럼, 실은 동일 스티치 웨일에 남아 있지만 약간의 물결 모양이나 지그재그 패턴으로 그곳에서 나아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경편층의 제2 실 시스템은 가로 방향으로의 결합을 담당하며, 강도는 적어도 2개의 인접한 스티치 웨일에 걸쳐 그리고 작업 방향으로 나아가는 실의 대각선 경로로 인하여 가로 방향으로 달성된다. 위에서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가능성은 트리코 랩 패턴(tricot lap pattern), 코드 랩(cord lap), 새틴 랩(satin lap) 및 벨벳 랩(velvet lap)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러한 패턴 군은 단지 예로서 언급된다.
코드 랩은 요구되는 가로 방향으로의 낮은 신장, 최대의 통기성 및 개방 가능한 구조 그리고 재료의 효율적인 이용에 관한 양호한 절충안이며, 특히 제2 실 시스템에 바람직하다. 트리코 랩은 가로 방향으로의 큰 유연성과 관련 있지만, 새틴 랩 또는 벨벳 랩의 경우 실은 여러 바늘에 걸쳐 가로 방향으로 편직되어 비교적 조밀하고 무거운 구조로 귀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스페이서 실은 모노사(monoyarn) 실로서 형성되며, 그의 섬도(fineness)는 20dtex 내지 110dtex일 수 있다. 모노사 실은 동일 섬도의 멀티사(multiyarn) 실에 비해 더 큰 강도를 특징으로 한다. 이는 스페이서 실의 복원 효과에 특히 유리하다.
제1 경편층 및 제2 경편층과 관련하여, 멀티사 실이 바람직하게는 대응하는 실 시스템을 위하여 사용되지만, 모노사 실도 또한 고려될 수 있다.
스페이서 실은 경편층들 사이에서, 바람직하게는 가로 방향으로 나아가는 경사 위치를 갖고 연장되어, 경편성 스페이서 직물의 전체 폭에 걸쳐 작업 방향을 따라 볼 때 스페이서 실이 교차하는 것으로 보여질 수 있다. 이러한 스페이서 실의 배열은 X 패턴으로도 지칭되며, 바람직하게는 제조 방향으로 자유롭게 나아가는 임의의 채널을 떠나지 않아 경편성 스페이서 직물의 임의의 국부적인 약화를 방지한다. X 패턴의 맥락에서 십자형 패턴은 이웃하는 스티치 웨일에 걸친 2개의 경편층 사이에서 교차할 수 있지만, 가로 방향으로의 더 먼 거리가 또한 연결되고 따라서 더 큰 교차가 가능하다. 스페이서 실의 십자형 패턴이 반대 방향으로 직물의 안정화를 야기하기 때문에, X 패턴은 2개의 경편층이 제어되지 않는 방식으로 서로에 대하여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2개의 경편층 및 이들 사이의 스페이서 실에 걸쳐 결정된 경편성 스페이서 직물의 두께는 전형적으로 2㎜ 내지 15㎜이고, 3㎜ 내지 10㎜ 범위가 바람직하다. 5㎜ 내지 10㎜의 전체 두께가 특히 바람직하다.
위에서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복합 재료는, 경편성 스페이서 직물의 제1 경편층 상에 피복 및 장식 층이 배치된 본 발명의 대상물이며, 층들은 보통 적절한 접착제를 이용하여 적층된다.
피복 및 장식 층을 위한 적절한 재료의 예는 가죽, 인조 가죽 그리고 장식 필름을 포함한다. 그러나, 섬유 피복 및 장식 층이 또한 고려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경편성 스페이서 직물은 라이닝(lining) 및 커버(upholstery)를 위한 산업용 섬유로서 제공된다.
커버 및 장식 층의 특정 실시예에 관계없이, 본 발명에 따른 경편성 스페이서 직물은 특별하게 유리한 힘의 균등화를 허용하며, 따라서 제1 경편층의 낮은 유연성으로 인해, 반면 동시에 낮은 굽힘 강도로 인하여, 피복 및 장식 층은 유리하게 안정화되고, 동시에 평면에서의 압축 또는 신장이 방지된다.
특히 자동차의 내부 공간에서의 피복 및 장식 층의 장시간 사용, 가구 제작 또는 실내 건축 분야의 장식 재료로서의 피복 및 장식 층의 장기간 사용과 관련하여, 마모 현상과 국부적 결함 및 취약점은, 강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유연한 기재를 사용함에 의하여 방지되거나 또는 적어도 최소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자동차의 내장 트림을 위하여 이전에 설명된 복합 재료를 사용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서, 여기서 제2 경편층을 갖는 복합 재료는 비평면 기재에 적용된다. 기재는 대시보드의 지지대, 계기판, 또는 센터 콘솔, 차량 크로스바, 도어 또는 헤드라이너와 같은 부가적인 내장 부품일 수 있다.
또한, 차량의 내장 장식품 중에서 시트의 표면, 벤치 또는 일부 다른 시트 표면도 역시 본 발명에 따른 복합 재료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단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훨씬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경편성 스페이서 직물 그리고 피복 및 장식 층을 갖는 복합 재료를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도 1에 따른 경편성 스페이서 직물의 제1 경편층의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따른 경편성 스페이서 직물의 제2 경편층의 도면이다.
도 4는 제1 경편층의 제1 실 시스템뿐만 아니라 제2 실 시스템의 패턴을 도시한다.
도 5a 내지 도 5c는 작업 방향을 따른 보기 방향(direction of view)으로의 순수한 개략도로서, 경편성 스페이서 직물의 굽힘을 나타낸다.
도 1은 경편성 스페이서 직물(1) 그리고 가죽, 합성 가죽 또는 장식 필름으로 이루어지고 경편성 스페이서 직물(1) 상에 적층되는 피복 및 장식 층(3)을 갖는, 차량의 내부를 위한 복합 재료를 나타내고 있다.
대응하는 복합 재료는, 예를 들어 피복 및 장식 층(3)이 고품질의 표면을 형성하는, 차량 내의 내장 패널 및 트림(trim)을 위하여 사용된다. 그 아래의 경편성 스페이서 직물(1)은, 힘의 균일한 분산을 가능하게 하고 좋은 촉감을 보장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피복 및 장식 층(3)은 그 아래에 경편성 스페이서 직물(1) 형태의 탄력있고 유연한 재료가 붙여져 있다.
특히, 비평면 영역의 클래딩의 경우 그리고 시트 커버, 벤치(bench) 또는 일부 다른 시트 표면 상에 복합 재료를 사용할 때, 경편성 스페이서 직물(1)은 또한 힘의 균일한 분배에 있어서 필수적이며 따라서 장기적으로 보면 피복 및 장식 층(3)은 또한 손상 또는 국부적인 마모로부터 보호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피복 및 장식 층(3)은 제1 경편층(4)의 상부 상에 있는 반면에, 복합 재료는 반대의 제2 경편층(5)을 갖는 기재에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경편층(4)과 제2 경편층(5)은 근본적으로 다른 특성을 갖는다.
도 2의 확대도는 제1 실 시스템(yarn system)(6)과 제2 실 시스템(7)으로 형성된 제1 경편층(4)의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상세한 실 패턴은 도 2에서 볼 수 없으며, 따라서 제1 실 시스템(6)과 제2 실 시스템(7)의 패턴에 관하여 도 4를 참고한다. 따라서, 변형된 필러-스티치가 제1 실 시스템(6)을 위한 제1 패턴으로서 제공되며, 여기서 제1 실 시스템(6)의 실은 작업 방향(W)으로 교대로 필러 스티치(8)를 형성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도 4는 제1 수(n=2)의 필러 스티치(8)가 제2 수(m=2)의 스티치(9)와 번갈아 나타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며, 여기서 제2 수는 작업 방향(W)을 따라 반복 순서로 "1보다 작은 웨프트(weft)"로서의 실의 안내로 인하여 생략된다. 이는 작업 방향으로 주기적으로 반복하는 패턴으로 귀결된다.
제1 실 시스템(6)의 실이 항상 하나의 스티치 웨일(stitch wale)을 따라서만 나아가기 때문에, 제1 실 시스템(6)은 가로 방향으로의 안정성에 기여하지 못하며, 따라서 제1 경편층(4)은 가로 방향으로 위로 또는 아래로 쉽게 절곡될 수 있다. 또한, 작업 방향(W)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누락된 중첩부를 갖는 구역이 쉽게 절곡되고 및/또는 비스듬하게 놓여질 수 있기 때문에 제1 경편층(4)은 위로 또는 아래로 쉽게 절곡될 수 있으며, 따라서 스티치의 열(row)들은 서로에 대하여 쉽게 절곡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패턴(1-0/2-3)은 제2 실 시스템(7)으로서 제공된 코드 랩(cord lap)이다. 코드 랩 때문에 작업 방향(W)으로 나아가는 가로 방향(Q)으로의 스티치 웨일의 연결부가 존재한다.
위에서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 시스템(6)과 제2 실 시스템(7)의 디자인으로 인하여 제1 경편층(4)은 비교적 용이하게 평면 밖으로 절곡될 수 있다. 한편, 제1 경편층(4)은 동시에 단지 매우 낮은 유연성을 갖는다. 한편, 이것은 제1 실 시스템(6)의 실이 항상 하나의 스티치 웨일 상에서만 움직이고 편직 공정에서 장력 하에 처리되며 이에 따라서 재료는 단지 약간의 힘의 소비 및/또는 작업 방향(W)으로의 힘의 큰 소비만으로도 굴곡 가능하다는 사실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가로 방향(Q)으로의 낮은 유연성은 코드 랩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따라서 제2 실 시스템(7)의 개개의 실은 서로 인접한 3개의 스티치 웨일에 걸쳐 각각 안내된다.
본 발명에 따른 경편성 스페이서 직물(1)은 2개의 경편층(4 및 5)에 관하여 서로 명확하게 다른 기계적인 특성을 특징으로 한다. 제1 경편층(4)이 높은 인장 강도를 갖는 반면에, 제2 경편층(5)은 다수의 스티치에 의해 형성된 개구(10)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는 제2 경편층(5)의 2개의 실 시스템에 의해 필렛 패턴(filet pattern)으로 쉽게 생성될 수 있다. 대략적으로 타원형의 개구(10)로 인하여, 제2 경편층(5)은 작업 방향(W)뿐만 아니라 가로 방향(Q)으로 약간 신장될 수 있으며 따라서 기재에 대한 최적의 적응을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경편성 스페이서 직물(1)의 비대칭적인 기계적 특성이 또한 도 5a 내지 도 5c에 나타나 있다. 이들 도면은 작업 방향(W)을 따른 보기 방향으로의 경편성 스페이서 직물의 도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에서와 같이, 2개의 경편층(4, 5) 사이에 배치된 스페이서 실(11)은 X 패턴으로 배치되며, 따라서 2개의 경편층(4, 5)은 서로에 대해 측방향 틸팅(tilting)으로부터 보호된다. 도 5a 내지 도 5c는 상부에서의 제1 경편층(4)과 하부에서의 제2 경편층(5)을 나타내고 있다.
경편성 스페이서 직물(1)이 평면에 놓여질 때(도 5a), 작업 방향(W)으로 나아가는 스티치 웨일들은 2개의 경편층(4, 5) 상에서 동일한 간격이다.
그러나, 경편성 스페이서 직물이 제2 경편층(5)의 방향으로 만곡되면(도 5b), 평면에서의 낮은 유연성 때문에 이웃하는 스티치 웨일들 간의 간격은 제1 경편층(4) 내에서 대략적으로 유지되는 반면에, 개구(10)로 인한 높은 변형성 때문에 제2 경편층(5)은 압축되고 따라서 스티치 웨일들은 국부적으로 더 가까워진다. ,
경편성 스페이서 직물(1)을 제1 경편층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굽힐 때(도 5c), 제1 경편층의 낮은 유연성으로 인하여, 생산 방향으로 나아가는 스티치 웨일들 간의 등거리 간격은 또한 굽힘에 관계없이 유지되는 반면에, 제2 경편층(5)은 반대 종단에서 신장되고 따라서 굽힘을 보상할 수 있다. 제2 경편층(5)의 높은 유동성으로 인하여, 제1 경편층(4)은 장력 및 음의 힘 효과(negative force effect)로부터 보호될 수 있으며, 이 경편층은 도 1에 따른 피복 및 장식 층(3) 상에 적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자인으로, 피복 및 장식 층(3)이 꼬임, 장력 등으로부터 최적으로 보호된다는 점을 보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실제로 "하프-파이프 테스트(half-pipe test)"로도 지칭되는 U-형 굽힘의 경우, 비교적 큰 굽힘에서도 꼬임이 방지될 수 있다. 복합 재료의 큰 변형이 있더라도, 예를 들어 재봉의 경우에, 이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된 실시예에 비해 확실한 개선을 야기한다.
또한, 접음 또는 굽힘 또는 일부 다른 변형 후에, 본 발명에 따른 재료는 또한 그 초기 형태 및/또는 백킹(backing)에 의해 결정된 형태로 복귀하는 매우 양호한 거동을 갖는 것이 특징이다.

Claims (11)

  1. 스페이서 실(spacer yarn; 11)에 의하여 서로 연결된 제1 평면형 경평층(4) 및 제2 평면형 경편층(5)
    을 가지며, 상기 제1 경편층(4)은 제1 패턴을 갖는 제1 실 시스템(6) 및 제2 패턴을 갖는 제2 실 시스템(7)에 의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 패턴은, 상기 제1 실 시스템(6)의 실들이 작업 방향(W)으로 교대로 필러 스티치(pillar stitch; 8)를 형성하고 스티치의 형성없이 안내되며 상기 제2 실 시스템(7)의 실들은 적어도 2개의 인접한 스티치 웨일(stitch wale)에 걸쳐 각각 안내되고 작업 방향(W)으로 나아가는 것인 변형된 필러-스티치인 것인 경편성 스페이서 직물(1)에 있어서, 상기 제2 경편층(5)은 다수의 스티치에 의하여 형성된 개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편성 스페이서 직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실 시스템(6)의 실은 변형된 필러-스티치 내에서 필러 스티치(8)를 작업 방향(W)으로 교대로 형성하며 1보다 작은 웨프트(weft; 9)로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편성 스페이서 직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경편층(5)을 형성하는 실은 각 스티치 웨일 내에 스티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편성 스페이서 직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실 시스템(7)은 코드 랩(cord lap)에 의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편성 스페이서 직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변형된 필러 스티치(8)에서 제1 수(n>1)의 필러 스티치(8)는 제2 수(m>1)의 스티치와 작업 방향(W)을 따라 반복 순서로 교대로 나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편성 스페이서 직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 실(11)은 경편층(4, 5)들 사이에 가로 방향(Q)으로 나아가는 경사 위치를 갖도록 위치되며, 스페이서 실(11)은 경편성 스페이서 직물(1)의 전체 폭에 걸쳐 작업 방향(W)을 따른 보기 방향(direction of view)과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편성 스페이서 직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양 경편층(4, 5) 및 이들 사이에서의 스페이서 실(11)에 걸쳐 결정된 두께는 2㎜ 내지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편성 스페이서 직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경편성 스페이서 직물(1) 및 상기 경편성 스페이서 직물(1)의 제1 경편층(4) 상의 피복 및 장식 층(3)을 갖는, 특히 차량의 내부 영역을 위한 복합 재료.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 및 장식 층(3)은 가죽, 합성 가죽, 장식 필름 및 섬유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재료에 의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재료.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피복 및 장식 층(3)은 상기 제1 경편층(4)에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재료.
  11. 경편층(5)과 함께 비평면형 기재에 적용된, 차량의 내장 장식품을 위한 제8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복합 재료의 이용.
KR1020170180962A 2016-12-29 2017-12-27 스페이서 직물, 스페이서 직물로 형성된 복합 재료 및 복합 재료의 이용 KR1020868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125881.4A DE102016125881B3 (de) 2016-12-29 2016-12-29 Abstandsgewirke, mit dem Abstandsgewirke gebildetes Verbundmaterial sowie Verwendung des Verbundmaterials
DE102016125881.4 2016-12-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8156A true KR20180078156A (ko) 2018-07-09
KR102086892B1 KR102086892B1 (ko) 2020-03-09

Family

ID=61564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0962A KR102086892B1 (ko) 2016-12-29 2017-12-27 스페이서 직물, 스페이서 직물로 형성된 복합 재료 및 복합 재료의 이용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041263B2 (ko)
JP (1) JP6609611B2 (ko)
KR (1) KR102086892B1 (ko)
CN (1) CN108251954B (ko)
DE (1) DE102016125881B3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36929A (zh) * 2021-01-29 2021-06-11 深圳市鸿富诚屏蔽材料有限公司 一种针织式纤维排序工艺以及辅助治具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48926A1 (en) 2017-09-05 2019-03-14 Gentherm Gmbh REPORTED ELEMENT FOR INTEGRATING INTO A TRIM LAYER AND PROVIDING A PACKAGING
DE102018114566B3 (de) 2018-06-18 2019-07-11 Müller Textil GmbH Verwendung eines Abstandstextils, Innenverkleidung und Abstandsgewirke
US11284648B2 (en) * 2018-06-21 2022-03-29 Nike, Inc. Young adult modesty support garment
DE102018118254A1 (de) * 2018-07-27 2020-01-30 Müller Textil GmbH Abstandstextil sowie Verwendung eines Abstandstextils
US11137861B2 (en) * 2018-09-05 2021-10-05 Apple Inc. Fabric-covered electronic device with touch sensor
DE102019107176B4 (de) 2019-03-20 2022-10-20 Müller Textil GmbH Abstandsgewirke sowie Verwendung eines Abstandsgewirkes
JP7272081B2 (ja) * 2019-04-17 2023-05-12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表皮材の製造方法
CH716114A1 (de) * 2019-04-24 2020-10-30 Schoeller Tech Ag Flächige Velourmaschenware.
DE102019110908B4 (de) * 2019-04-26 2020-12-24 Müller Textil GmbH Verbundanordnung
DE102019110909B4 (de) * 2019-04-26 2020-12-10 Müller Textil GmbH Abstandsgewirke
CN112009332B (zh) * 2019-05-31 2022-06-07 通用汽车环球科技运作有限责任公司 舒适就座的技术性针织结构
CN110499572A (zh) * 2019-09-02 2019-11-26 江南大学 一种双层经编间隔织物及一种经编机
DE102019127572B4 (de) * 2019-10-14 2023-08-24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Sitzkonzept für autonomes Fahren mit erhöhten Komfortaspekten in Sandwichbauweise
US11066763B1 (en) * 2020-04-21 2021-07-2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Knitting methods for increased separation of fabric layers of tethered spacer fabrics
KR102189919B1 (ko) * 2020-04-28 2020-12-11 (주) 정산인터내셔널 경편 조직을 응용한 양방향 저인열강도 스페이서 직물
FR3114966B1 (fr) 2020-10-12 2022-11-11 Michelin & Cie Dispositif de soutien d’une partie d’un corps humain
CN112401391B (zh) * 2020-12-03 2022-07-26 厦门市北顶纺织科技有限公司 基于提升保暖制品绒毛面稳定性的面料结构及其用途
US20220307170A1 (en) * 2021-03-29 2022-09-29 Lear Corporation Spacer fabric with warp knit layer, composite material, and a trim cover
DE102021123643B4 (de) 2021-09-13 2024-05-29 Müller Textil GmbH Abstandsgewirke sowie Verwendung
NL2029887B1 (en) 2021-11-24 2022-12-19 Ubed B V Modular body support assembly
US11858387B2 (en) * 2022-04-01 2024-01-02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eat assembl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5812A (ja) * 2000-09-29 2002-04-10 Seiren Co Ltd 起毛立体経編地及びその編成方法
JP2006188773A (ja) * 2004-12-28 2006-07-20 Delta Tooling Co Ltd 合成皮革及び立体編物
JP2006283221A (ja) * 2005-03-31 2006-10-19 Seiren Co Ltd 合成皮革
JP2011231445A (ja) * 2010-04-09 2011-11-17 Seiren Co Ltd 内装材用表皮材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28622A1 (de) * 1994-08-12 1996-02-15 Saechsisches Textilforsch Inst Formbarer Polsterstoff
DE9422176U1 (de) 1994-08-12 1998-08-27 Saechsisches Textilforsch Inst Formbarer Polsterstoff
US6196032B1 (en) 1998-08-12 2001-03-06 Malden Mills Industries, Inc. Double face warp knit fabric with two-side effect
JP3490070B2 (ja) * 2000-12-05 2004-01-26 健一 横山 医療用伸縮性布帛材料
JP4832663B2 (ja) * 2001-05-16 2011-12-07 株式会社デルタツーリング クッション構造
DE102010010524B4 (de) 2010-03-05 2013-11-07 Müller Textil GmbH Abstandstextil, insbesondere Abstandsgewirke
CN202187162U (zh) * 2011-08-18 2012-04-11 海宁德俊织染集团有限公司 一种镂空横条交替的经编运动面料
DE102012113194A1 (de) 2012-12-28 2014-07-03 Müller Textil GmbH Flüssigkeitsverteilschicht für Inkontinenzprodukte
DE102014103861B4 (de) 2014-03-20 2016-12-22 Müller Textil GmbH Abstandsgewirke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Abstandsgewirkes
CN205556971U (zh) * 2016-04-06 2016-09-07 上海圣欧同安防护用品开发有限公司 一种用于消防服的隔热舒适面料
CN205741474U (zh) * 2016-05-11 2016-11-30 东莞超盈纺织有限公司 一种透气全涤经编弹性织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5812A (ja) * 2000-09-29 2002-04-10 Seiren Co Ltd 起毛立体経編地及びその編成方法
JP2006188773A (ja) * 2004-12-28 2006-07-20 Delta Tooling Co Ltd 合成皮革及び立体編物
JP2006283221A (ja) * 2005-03-31 2006-10-19 Seiren Co Ltd 合成皮革
JP2011231445A (ja) * 2010-04-09 2011-11-17 Seiren Co Ltd 内装材用表皮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36929A (zh) * 2021-01-29 2021-06-11 深圳市鸿富诚屏蔽材料有限公司 一种针织式纤维排序工艺以及辅助治具
CN112936929B (zh) * 2021-01-29 2022-08-02 深圳市鸿富诚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针织式纤维排序工艺以及辅助治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041263B2 (en) 2021-06-22
KR102086892B1 (ko) 2020-03-09
US20180187348A1 (en) 2018-07-05
DE102016125881B3 (de) 2018-03-29
CN108251954A (zh) 2018-07-06
CN108251954B (zh) 2021-05-11
JP2018109257A (ja) 2018-07-12
JP6609611B2 (ja) 2019-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6892B1 (ko) 스페이서 직물, 스페이서 직물로 형성된 복합 재료 및 복합 재료의 이용
CN111850802B (zh) 间隔针织物
JP2018109257A5 (ko)
CN102212932B (zh) 内饰材料用表皮材料
JP6397114B1 (ja) 傾斜シート材、及び、傾斜シート材の製造方法
US5422153A (en) Weft knitted composite fabric
CN104018267B (zh) 杂色防撕裂布
US20210254277A1 (en) Synthetic leather
KR101540770B1 (ko) 더블 라셀 편물로 이루어진 기능성 원단
JP6746785B2 (ja) 車両内装用複合材
WO2005042818A1 (ja) 立体構造経編地
CN115279581A (zh) 表皮件、内饰件、内饰件的制造方法
CN111850801B (zh) 复合组件
KR102170511B1 (ko) 허니콤 구조를 갖는 3차원 입체형상 직물
JP6965033B2 (ja) 車両内装用複合材
CN116761912A (zh) 具有高透气性、弹性和支撑性的经编间隔网眼织物
WO2024053658A1 (ja) 生地および生地の製造方法
CN115125667A (zh) 带有经编层的间隔织物、复合材料和装饰罩
JP2022527049A (ja) 特に自動車シート・カバーを取り付けるための自己接着締結具の雌部を形成するための、ループを備えたニット・デバイス
JP2023087727A (ja) 天井用表皮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