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72530A -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72530A
KR20180072530A KR1020170146300A KR20170146300A KR20180072530A KR 20180072530 A KR20180072530 A KR 20180072530A KR 1020170146300 A KR1020170146300 A KR 1020170146300A KR 20170146300 A KR20170146300 A KR 20170146300A KR 20180072530 A KR20180072530 A KR 201800725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olarizing film
adhesive layer
securing portion
protectiv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63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2864B1 (ko
Inventor
김진우
김한수
신광호
신동윤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US16/470,156 priority Critical patent/US11681179B2/en
Priority to PCT/KR2017/012579 priority patent/WO2018117410A1/ko
Priority to CN201780079179.6A priority patent/CN110100195B/zh
Priority to TW106140245A priority patent/TWI706173B/zh
Publication of KR20180072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2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2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28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91Arrangements for improving contrast, e.g. preventing reflection of ambient ligh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323/00Functional layers of liquid crystal optical display excluding electroactive liquid crystal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3Viewing layer characterised by chemical composition
    • C09K2323/031Polarizer or dy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편광필름, 상기 편광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배치된 편광필름 보호필름, 상기 편광필름과 상기 편광필름 보호필름 사이에 개재되는 접착층, 및 상기 접착층 내에 함침되고 상기 접착층의 가장자리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인쇄층을 포함하고, 상기 인쇄층의 적어도 일면에 굴곡 확보부가 형성된 것인,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표시 장치{POLARIZING PLATE AND OPTICAL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나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따라 투과광을 광학적으로 변조하거나, 영상 신호에 따른 휘도 화소를 자발광시킴으로써, 화소마다 계조를 얻는다. 이러한 투과광이나 발광 휘도를 화소마다 변조하는 층을 변조 기능층이라고 한다. 액정 표시 장치에서는 액정층이 변조 기능층에 해당하고,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서는 유기 발광층이 변조 기능층에 해당한다.
액정층은 그 자체로 완전히 광을 차단하는 라이트 밸브는 아니기 때문에 액정 표시 장치의 경우 액정층의 상하 방향의 양측 액정층의 상하 방향의 양측 즉, 백라이트 측과 시청자의 시인측에 편광판이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유기 발광층은 전압을 인가하지 않을 때는 광을 조사하지 않으므로, 완전한 검정색의 표시가 가능하며, 액정 표시 장치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콘트라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유기 발광 소자는 발광을 차폐한다는 목적으로 편광판을 배치하지 않는다. 다만, 유기 발광 소자는 외광이 내부의 금속 배선에 의해 반사될 수 있으며, 이는 콘트라스트 저하의 요인이 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편광판을 배치하고 있다.
표시 장치의 경우, 수평 단면 상으로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과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비 표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는데, 비표시 영역과 중첩되는 영역에는 외부에서 관측하였을 때 표시 영역 외에 존재하는 내부소자들이 시인되지 않도록, 블랙 매트릭스나 인쇄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한국공개특허 제2015-0015243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인쇄층에 의해 비 표시 영역의 소자들이 외부에서 시인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표시 장치를 보다 박형화할 수 있는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말단이 굴곡진 비 표시 영역에 적용되더라도 크랙이 발생하지 않게 할 수 있는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편광필름, 상기 편광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배치된 편광필름 보호필름, 상기 편광필름과 상기 편광필름 보호필름 사이에 개재되는 접착층, 및 상기 접착층 내에 함침되고 상기 접착층의 가장자리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인쇄층을 포함하고, 상기 인쇄층의 적어도 일면에 굴곡 확보부가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표시장치는 본 발명의 편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인쇄층에 의해 비 표시 영역의 소자들이 외부에서 시인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말단이 굴곡진 비 표시 영역에 적용되더라도 크랙이 발생하지 않게 할 수 있는 편광판을 제공하였다.
본 발명은 표시 장치를 보다 박형화할 수 있는 편광판을 제공하였다.
도 1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편광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편광판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편광판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의 편광판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의 편광판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 또 다른 실시예의 편광판의 단면도이다.
도 7은 굴곡시 크랙 발생을 평가하기 위한 실험의 개념도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상부"와 "하부"는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으로서, 시 관점에 따라 "상부"가 "하부"로 "하부"가 "상부"로 변경될 수 있고,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조를 개재한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반면, "직접 위(directly on)", "바로 위" 또는 "직접적으로 형성" 또는 "직접적으로 접하여 형성"으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조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광학표시장치는 표시 영역과 비 표시 영역으로 구성된다. 표시 영역은 광학표시장치의 디스플레이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으로, 화면을 통해 영상을 시인할 수 있게 한다. 반면에, 비 표시 영역은 디스플레이 기능에 직접적으로 관여하지 않는다. 비 표시 영역은 표시 영역의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표시 영역을 둘러싸서 표시 영역을 보호하고, 영상을 구동하기 위한 인쇄회로 기판, 구동칩 등을 실장시킨다. 비 표시 영역은 광학표시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시인되지 않도록 차광층이나 인쇄층 등으로 가려지게 된다. 한편, 일반적으로는 비 표시 영역을 외부에서 시인되지 않도록 차광하기 위해 윈도우 상에 인쇄층을 인쇄하여 형성하거나, 별도의 인쇄 테이프를 제조하고, 이를 커버 윈도우에 부착하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표시 영역과 비 표시 영역 전체에 형성되며, 비 표시 영역에 본 발명의 인쇄층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편광판은 비 표시 영역을 광학 표시 장치의 굴곡진 가장자리를 감싸더라도 굴곡진 부위에서 크랙 발생이 없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편광판은 인쇄층이 접착층 내에 함침되어 있어서 별도로 커버 윈도우에 인쇄층을 형성할 필요가 없고, 인쇄층은 하기 상술되는 인쇄층용 조성물로 형성됨으로써 광학 표시 장치를 보다 박형화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함침"은 인쇄층이 접착층 내부에 존재하고 인쇄층이 접착층의 일면과 접촉하여 형성된 경우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편광필름, 상기 편광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배치된 편광필름 보호필름, 상기 편광필름과 상기 편광필름 보호필름 사이에 개재되는 접착층, 및 상기 접착층 내에 함침되고 상기 접착층의 가장자리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인쇄층을 포함하고, 상기 인쇄층의 적어도 일면에 굴곡 확보부가 형성된 것일 수 있다. 굴곡 확보부는 편광판을 광학 표시 장치에 적용시 광학 표시 장치의 굴곡진 가장자리에서 접하는 부분으로서 굴곡진 가장자리를 감싸더라도 굴곡진 부위에서 크랙 발생이 없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1,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 일 실시예의 편광판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일 실시예의 편광판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일 실시예의 편광판의 단면도이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편광판(10)은 편광필름(100), 편광필름(100)의 일면에 배치된 편광필름 보호필름(200), 편광필름(100)과 편광필름 보호필름(200) 사이에 개재된 접착층(310)과 인쇄층(320)을 포함한다.
인쇄층
인쇄층(320)은 접착층(310) 내에 함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인쇄층(320)은
접착층(310)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접착층(310)의 일면과 접촉된다. 도 1, 도 2에서와 같이, 인쇄층(320)은 접착층(310)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있다. 인쇄층(320)은 접착층(310)과 별개의 층으로 형성되어 있지 않아서 광학표시장치를 박형화시킬 수 있다. 인쇄층(320)은 본 발명의 편광판을 광학표시장치에 장착시 비 표시 영역에 대응된다.
인쇄층(320)은 편광필름(100)의 광 출사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편광판 중 인쇄층(320)이 형성되지 않은 부분에서는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현하게 할 수 있다. 그러나, 인쇄층(320)이 편광필름(100)의 광입사면에 형성되는 경우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인쇄층(320)의 두께(H1)는 접착층(310)의 두께 대비 작거나 같을 수 있다. 도 1은 인쇄층(320)과 접착층(310)이 두께가 같은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인쇄층(320)의 두께(H1)는 접착층(310)의 두께의 50% 내지 10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접착층 내에 포함될 수 있고, 편광판을 박형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인쇄층(320)의 두께(H1)는 0.1㎛ 내지 4㎛,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접착층 내에 포함될 수 있고, 차광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편광판을 박형화시킬 수 있다.
인쇄층(320)은 편광필름 보호필름(200) 일면에 직접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광학표시장치를 보다 박형화시킬 수 있다. 상기 "직접적으로 형성"은 인쇄층(320)과 편광필름 보호필름(200) 사이에 점착층, 접착층, 또는 점접착층이 개재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인쇄층(320)은 편광필름(100)과 편광필름 보호필름(200) 사이에서 내부에 일부 공간을 오픈(open)한 상태일 수 있다. 즉, 인쇄층(320)은 폐곡선의 형상으로, 내부에 일부 비어있는 면적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에서 설명한 인쇄층(320)의 내측이라 함은 폐곡선을 이루는 인쇄층(320) 내측의 비어있는 공간으로 정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인쇄층(320)은 편광필름(100) 및 편광필름 보호필름(200)의 수평 단면 상에서 외측 테두리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전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인쇄층(320)은 하기 상술되는 조성물을 포함함으로써, 인쇄층(320) 자체에 접착력을 부여할 수 있고, 이에 의해 편광필름(100)과 편광필름 보호 필름(200)을 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편광필름(100)과 인쇄층(320), 및 편광필름 보호 필름(200)과 인쇄층(320) 사이에 접착층(310)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편광필름 (100)과 편광필름 보호 필름(200)을 합지할 수 있다.
인쇄층(320)은 빛을 차광하거나 흡수할 수 있으며, 회사의 로고(logo)나 도트(dot) 무늬 등의 특정 무늬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원하는 형상을 인쇄층(320)에 포함하도록 하여, 표시 장치의 사용자에게 심미감을 부여할 수 있다.
인쇄층(320)의 적어도 일면에는 굴곡 확보부(321)가 형성되어 있다.
굴곡 확보부
굴곡 확보부(321)는 인쇄층(320)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며 소정의 단면을 갖는 음각의 패턴이다. 그리고, 굴곡 확보부(321)는 하기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인쇄층(320)보다 높이가 작거나 같으며 단차를 갖는다. 굴곡 확보부(321)는 굴곡 확보부를 매개로 편광판을 광학 표시 장치의 가장자리 중 굴곡진 부분에 결합시켰을 때 크랙이 발생하지 않고 구부려질 수 있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편광판을 사용해서 광학 표시 장치의 가장자리 중 굴곡진 부분을 감쌀 경우 굴곡진 가장자리에 의한 편광판의 스트레스를 굴곡 확보부가 완화시켜 줌으로써 굴곡진 부위에서 크랙 발생이 없도록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굴곡 확보부(321)는 인쇄층(320) 중 편광필름(100)의 광출사면 쪽에 형성될 수 있다.
굴곡 확보부(321)는 인쇄층(320) 중 일면 내에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사용하고자 하는 광학표시장치의 가장자리의 굴곡진 부위에 따라 굴곡 확보부(321)의 인쇄층(320) 중 형성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굴곡 확보부(321)는 소정의 단면을 갖는 음각의 패턴이다. 굴곡 확보부(321)의 단면적은 굴곡 확보부와 결합될 광학 표시 장치의 가장자리 단면적 대비 동일하거나 클 수 있다. 도 1은 굴곡 확보부(321)가 단면이 사각형인 음각의 패턴인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그러나, 굴곡 확보부(321)의 단면 형상은 사각형에 제한되지 않으며, n(n은 3 내지 5의 정수)개의 면으로 이루어진 n각형일 수 있다. 또한, 굴곡 확보부(321)의 단면 형상은 곡면이거나 적어도 일면에 곡면이 형성될 수도 있다.
굴곡 확보부(321)의 높이(H2)는 인쇄층(320)의 두께(H1)의 50% 내지 100%, 예를 들면 60% 내지 10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굴곡진 가장자리에 의한 편광판의 스트레스를 굴곡 확보부가 완화시켜 줌으로써 굴곡진 부위에서 크랙 발생이 없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굴곡 확보부(321)의 높이(H2)가 인쇄층(320) 두께(H1)의 50% 이상 100% 미만인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굴곡 확보부(321)의 높이(H2)는 0.1㎛ 내지 4㎛, 예를 들면 0.1㎛ 내지 2.5㎛, 0.5㎛ 내지 2.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굴곡진 부위에서 크랙 발생이 없도록 할 수 있다.
굴곡 확보부(321)의 폭(A2)은 해당 굴곡 확보부(321)가 형성된 인쇄층(320)의 폭(A1)의 30% 내지 100%, 30% 이상 100% 미만, 예를 들면 30% 내지 8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인쇄층의 크랙 방지 효과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굴곡 확보부(321)의 폭(A2)이 인쇄층(320) 폭(A1)의 50% 이상 100% 미만인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굴곡 확보부(321)의 폭(A2)은 100㎛ 내지 3000㎛, 예를 들면 500㎛ 내지 100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인쇄층 크랙 방지 효과가 있을 수 있다.
굴곡 확보부(321)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통상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굴곡 확보부(321)는 편광필름 보호필름(200) 일면에 인쇄층 형성용 조성물을 코팅한 후 굴곡 확보부 형성을 위한 음각 패턴을 인가한 후 경화시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굴곡 확보부(321)는 인쇄층 형성용 조성물의 코팅에 의해 인쇄층(320)과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편광필름 보호필름(200) 일면에 인쇄층 형성용 조성물을 코팅시 코팅 회수를 반복적으로 함으로써 최종적으로는 단차를 형성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코팅 방법은 그라비아 코팅, 스핀 코팅 등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인쇄층 형성용 조성물은 광경화 조성물 또는 열경화형 조성물로서, 안료, 바인더 수지, 및 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인쇄층(320)은 상기 성분들을 포함함으로써, 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는 인쇄층(320)을 형성할 수 있다. 인쇄층 형성용 조성물은 반응성 불포화 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쇄층 형성용 조성물은 용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안료는 카본 블랙, 은-주석 함유 합금의 혼합 안료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카본 블랙으로는 예를 들어, 흑연화 카본, 퍼니스(furnace) 블랙, 아세틸렌 블랙, 케첸 블랙(ketjen black)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안료는 안료 분산액으로 포함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바인더 수지는 아크릴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로는 메타크릴산/벤질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벤질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벤질메타크릴레이트/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공중합체, 메타크릴산/벤질메타크릴레이트/스티렌/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으며, 상기 폴리우레탄계 수지는 알리파틱 폴리 우레탄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아크릴계 감압성 점착 수지일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반응성 불포화 화합물은 바인더 수지 대비 중량평균분자량이 낮은 화합물로서, 광경화성 불포화 화합물, 열경화성 불포화 화합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반응성 불포화 화합물은 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 디메타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A 에폭시(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스(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틸 포스페이트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개시제는 광경화 개시제, 열경화 개시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광경화 개시제로는 아세토페논계 화합물, 벤조페논계 화합물, 티오크산톤계 화합물, 벤조인계 화합물, 트리아진계 화합물, 모르폴린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열경화 개시제로는 예를 들어 히드라지드계 화합물로서 1,3-비스(히드라지노카르보노에틸-5-이소프로필히단토인), 이미다졸계 화합물로서 1-시아노에틸-2-페닐이미다졸, N-[2-(2-메틸-1-이미다졸릴)에틸]요소, 2,4-디아미노-6-[2'-메틸이미다졸릴-(1')]-에틸-s-트리아진, N,N'-비스(2-메틸-1-이미다졸릴에틸)요소, N,N'-(2-메틸-1-이미다졸릴에틸)-아디포아미드, 2-페닐-4-메틸-5-히드록시메틸이미다졸, 2-페닐-4,5-디히드록시메틸이미다졸, 산무수물계 화합물로서 테트라히드로무수프탈산, 에틸렌글리콜-비스(안히드로트리멜리테이트), 멜라민계 화합물, 구아니딘계 화합물, 디시안디아미드계 화합물, 변성 지방족 폴리아민계 화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용매로는 에틸렌 글리콜 메틸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에틸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에테르 등의 글리콜 에테르류; 메틸 셀로솔브 아세테이트, 에틸 셀로솔브 아세테이트, 디에틸 셀로솔브 아세테이트 등의 셀로솔브 아세테이트류; 메틸에틸 카르비톨, 디에틸 카르비톨,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디메틸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메틸에틸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디에틸에테르 등의 카르비톨류;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에테르 아세테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프로필 에테르 아세테이트 등의 프로필렌 글리콜 알킬에테르 아세테이트류;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인쇄층(320)용 조성물은 상기한 성분들 이외에도 0.1 내지 1중량% 정도의 기타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기타 첨가제로는 실란 커플링제 등을 들 수 있고, 이에 의해 인쇄층(320)과 보호 필름 간의 접착력을 높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인쇄층용 조성물은 안료(또는 안료 분산액)를 1 내지 50중량%, 바인더 수지를 0.5 내지 20중량%, 개시제를 0.1 내지 10중량% 및 잔부의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박형의 인쇄층을 형성하면서도, 우수한 차광 효과를 보일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인쇄층용 조성물은 안료(또는 안료 분산액)를 1 내지 50중량%, 바인더 수지를 0.5 내지 20중량%, 반응성 불포화 화합물을 1 내지 20중량%, 개시제를 0.1 내지 10중량% 및 잔부의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박형의 인쇄층을 형성하면서도, 우수한 차광 효과를 보일 수 있다.
인쇄층은 상기 인쇄층용 조성물을 광경화, 열경화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해 경화시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경화, 열경화 방법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통상의 방법에 의한다.
접착층
접착층(310)은 편광필름(100)과 편광필름 보호필름(200) 사이에 개재되어 편광필름(100)과 편광필름 보호필름(200)을 서로 접착시킬 수 있다. 접착층(310)은 편광필름(100), 편광필름 보호필름(200) 각각에 직접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접착층(310)은 편광필름(100)과 편광필름 보호 필름(200) 각각 적어도 일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즉, 편광필름(100)과 편광필름 보호 필름(200)은 서로 마주하며, 이들은 수평 단면 상으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즉, 수평 단면 상에서 이들은 서로 완전히 중첩될 수 있는데, 접착층(310)의 경우, 이들의 일부에만 형성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접착층(310)은 편광필름 (100) 및 편광필름 보호 필름(200)의 테두리를 제외한 중심부에만 섬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접착층(310)은 인쇄층(320)과 직접적으로 접하여 형성되어 인쇄층(320)이 안정적으로 편광판(10) 내에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접착층(310)은 편광필름(100)과 편광필름 보호 필름(200)을 서로 접착 내지 합지하도록 하며, 이를 위해 수계 접착제 또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수계 접착제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및 비닐아세테이트계 수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또는, 히드록시기를 갖는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는 아크릴계, 우레탄-아크릴계, 에폭시계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접착층(310)이 수계 접착제로 구성되는 경우, 접착층(310)의 두께는 0.1㎛ 내지 4㎛일 수 있으며,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로 구성되는 경우, 접착층(310)의 두께는 2㎛ 내지 4㎛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상기 본 발명의 인쇄층(320)에 의한 편광필름(100)과 편광필름 보호 필름(200) 사이의 갭(gap)을 매울 수 있고, 이에 의해 편광판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편광필름(100)과 편광필름 보호 필름(200) 사이에서 상기 인쇄층(320)이 존재하는 영역과 존재하지 않는 영역 간의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편광필름 보호필름
편광필름 보호필름(200)은 접착층(310)의 일면에 형성되어, 접착층(310), 편광필름(100)을 지지할 수 있다.
편광필름 보호필름(200)은 광학적으로 투명한 보호필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편광필름 보호필름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시클릭올레핀폴리머(COP), 트리아세틸셀룰로스(TAC) 등을 포함하는 셀룰로스 에스테르,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폴리노르보르넨,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아미드, 폴리아세탈, 폴리페닐렌에테르, 폴리페닐렌술피드, 폴리술폰,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이미드 중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필름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편광필름 보호필름은 폴리에스테르계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폴리에스테르가 결정성을 나타내는 관점에서, 방향족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계,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계,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공중합체를 들 수 있지만, 이들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편광필름 보호필름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계,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계,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공중합체 수지를 포함하는 3중 공압출 구조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예를 들어 상기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필름 형상으로 용융 압출하고, 캐스팅 드럼으로 냉각 고화시켜 필름을 형성시키는 방법 등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한편, 편광필름 보호필름(200)에 대해서는 당해 기술 분야에 널리 알려져 있는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편광필름 보호필름(200)은 두께가 30㎛ 내지 120㎛, 구체적으로 20㎛ 내지 8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광학표시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 도 2에서 도시되지 않았지만, 편광필름 보호필름(200) 상에 기능성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기능성층은 반사방지(anti-reflection), 저반사(low reflection), 하드코팅(hard coating), 눈부심 방지(anti-glare), 내지문성(anti-finger), 방오(anti-contamination), 확산, 굴절 기능 중 하나 이상을 제공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편광필름
편광필름(100)은 접착층(310)의 하부면에 형성되어, 입사광을 편광시킬 수 있다.
편광필름(100)은 편광자를 포함할 수 있다. 편광자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통상의 편광자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편광자는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1축 연신하여 제조되는 폴리비닐알콜계 편광자, 또는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탈수하여 제조되는 폴리엔계 편광자를 포함할 수 있다. 편광자는 두께가 5㎛ 내지 4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광학표시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편광필름은 편광자 및 편광자의 일면(광입사면)에 형성된 편광필름 보호필름을 포함할 수도 있다. 편광필름 보호필름은 상술된 편광필름 보호필름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도 2에서 도시되지 않았지만, 편광필름(100)의 하부면에는 점착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점착층은 편광판을 발광소자, 액정패널 등에 점착시킬 수 있다. 점착층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아크릴계, 우레탄계, 실리콘계, 에폭시계 점착제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을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편광판(20)은 인쇄층(320)이 편광필름 보호필름(200)에 직접적으로 형성되고, 인쇄층(320)이 편광필름(100)과는 접하지 않고, 인쇄층(320)의 높이가 접착층(310)의 높이 대비 작은 점을 제외하고는, 편광판(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하, 도 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의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편광판(30)은 인쇄층(320)이 편광필름 보호필름(200)에 직접적으로 형성되고, 인쇄층(320)이 편광필름(100)과는 접하지 않고, 인쇄층(320)의 높이가 접착층(310)의 두께 대비 작고, 굴곡 확보부(321)의 높이가 인쇄층(320)의 높이와 동일한 점을 제외하고는, 편광판(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하,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을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의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편광판(40)은 인쇄층(320)이 편광필름 보호필름(200)에 직접적으로 형성되고, 인쇄층(320)이 편광필름(100)과는 접하지 않고, 인쇄층(320)의 높이가 접착층(310)의 두께 대비 작고, 굴곡 확보부(321)가 인쇄층(320)의 외측으로 일면이 개방된 음각 패턴으로 형성된 점을 제외하고는 편광판(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이하,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을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의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편광판(50)은 인쇄층(320)이 편광필름 보호필름(200)에 직접적으로 형성되고, 인쇄층(320)이 편광필름(100)과는 접하지 않고, 인쇄층(320)의 높이가 접착층(310)의 두께 대비 작고, 굴곡 확보부(321)가 인쇄층(320)의 내측으로 일면이 개방된 음각 패턴으로 형성된 점을 제외하고는 편광판(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별도로 도시하진 않았으나, 본 발명은 편광판 제조방법을 제공하며, 편광판 제조방법은 편광필름 보호 필름과 편광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편광필름 보호 필름의 일면의 외측 테두리 상에 굴곡 확부가 형성된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인쇄층이 형성된 편광필름 보호 필름의 일면에 접착층을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인쇄층이 내부에 개재되도록 상기 편광필름과 편광필름 보호 필름을 합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인쇄층을 형성하는 조성물로는 안료, 바인더 수지, 개시제, 및 용매를 포함한다. 인쇄층을 형성하는 조성물은 상기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편광필름 보호 필름 및 편광필름을 준비하는 단계는 상기 편광판의 실시예들에서 일부 설명하였으며, 이에 대해서는 당해 기술분야에 널리 알려져 있는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편광필름 보호필름의 일면 테두리에 인쇄층을 구성하는 조성물을 마이크로 그라비아 인쇄기를 이용하여 도막 코팅하는 방식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코팅된 인쇄층을 광경화 또는 열경화시키고, 인쇄층이 경화된 다음에는 인쇄층이 형성된 편광필름 보호필름의 일 면에 접착층을 도포하는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접착층을 도포하는 단계에 편광필름 보호 필름의 인쇄층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접착층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접착층을 도포하는 단계에 의해 상기 인쇄층의 내측 빈 공간에 접착층이 배치될 수 있고, 접착층은 편광필름과 편광필름 보호 필름 사이에만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인쇄층 및 접착층을 내부에 개재한 상태로 편광필름과 편광필름 보호필름을 합지할 수 있고,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접착제 및 인쇄층을 경화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편광필름과 편광필름 보호필름을 합지하기 전 인쇄층 및 접착층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가경화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인쇄층을 형성한 후 광경화 또는 열경화하고, 접착층을 도포 및 편광필름과 편광필름 보호필름을 합지하여 다시 자외선을 경화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편광필름의 타면에 접착층을 개재한 상태로 다른 편광필름 보호 필름을 합지하거나, 편광필름의 타면에 프라이머 층을 도포한 뒤 점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당해 기술분야에 널리 알려져 있는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광학표시장치
별도로 도시하진 않았으나,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에서 설명한 편광판을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광학표시장치는 표시패널 및 상기 표시패널의 적어도 일 면에 배치되는 편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표시장치가 액정 표시 장치인 경우, 편광판은 액정 표시 장치 표시 패널의 양 면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본 발명의 편광판은 표시 패널의 시인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편광자와 사이에서 인쇄층을 개재하는 편광필름 보호 필름은 시인측 편광판을 기준으로 시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편광필름과 사이에서 인쇄층을 개재하는 편광필름 보호 필름은 시청자를 기준으로 최외각면에 배치될 수 있고, 편광판 자체에 형성된 인쇄층에 의해 커버 윈도우 등에 별도의 인쇄층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
광학표시장치가 액정 표시 장치인 경우, 표시장치를 구성하는 표시 패널은 액정 셀일 수 있다. 이 경우, 표시 장치는 백라이트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액정 셀을 포함하는 표시장치의 경우, OELD패널에 비해 별도의 자체 광원이 없기 때문에, 별도의 백라이트 유닛이 필요한 것이다.
액정 셀은 통상적으로 2 장의 기판과, 상기 기판 사이에 게재된 액정층을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기판 중 하나는 일반적으로 컬러 필터, 대향 전극, 배향막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기판에는 액정 구동 전극, 배선 패턴, 박막 트랜지스터 소자, 배향막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액정 셀의 동작 모드로는, 예를 들어 비틀림 네마틱(Twisted Nematic) 모드 또는 복굴절 제어(Electrically Controlled Birefrigence) 모드를 들 수 있다. 상기 복굴절 제어(Electrically Controlled Birefrigence) 모드에는, 수직 배향(Vertical Alignment) 방식, OCB(Optically Compensated) 방식, IPS(In-Plane Switching) 방식 등을 들 수 있다.
백라이트 유닛은 일반적으로 광원, 도광판 및 반사막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백라이트의 구성에 따라 직하 방식, 사이드 라이트 방식, 면 형상 광원 방식 등으로 임의로 구분할 수 있다.
표시패널이 액정 셀로 구성되는 경우, 편광판은 상기 액정 셀의 양 면에 모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편광판은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광 중에서 특정 방향으로 진동하는 광만 투과시킬 수 있으며, 편광판이 액정 셀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경우, 상측의 편광판과 하측의 편광판의 투과축은 직교 또는 평행일 수 있다.
한편, 광학표시장치가 유기발광표시장치인 경우, 표시 패널의 시인측에만 상기 편광판이 배치될 수 있다. 표시 장치가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인 경우, 표시장치를 구성하는 표시패널은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OLED패널은 각각의 화소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화소들 각각은 애노드(anode) 및 캐소드(cathode) 사이의 유기 발광층으로 구성된 OLED와 OLED를 독립적으로 구동하는 화소 회로를 구비할 수 있다. 화소 회로는 주로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와, 커패시터, 구동 TFT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칭 박막 트랜지스터는 스캔 펄스에 응답하여 데이터 전압을 커패시터에 충전하고, 구동 TFT는 커패시터에 충전된 데이터 전압에 따라 OLED로 공급되는 전류량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OLED의 발광량을 조절하고,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OLED 패널에 대해서는 당해 기술분야에 널리 알려져 있는바,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OLED패널의 시인측에 배치되는 편광판은 상기 본 발명의 편광판일 수 있다. 즉, 상기 본 발명의 편광판은 시청자가 OLED패널로부터 표시되는 영상을 관찰하는 측면으로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외광의 반사에 의한 콘트라스트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편광판에 형성된 인쇄층에 의해 OLED 표시 장치에서 내부 소자를 보호하는 밀봉층 또는 커버 윈도우 상에는 별도의 인쇄층을 형성할 필요가 없다.
한편, 광학표시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은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소자들을 내부에 수용하는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고, 이외에도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인쇄회로기판이나, 터치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충격으로부터 내부 소자들을 보호하기 위한 커버 윈도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커버 윈도우 상에는 별도의 블랙 매트릭스나, 차광층, 인쇄층 등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편광판 자체에서 이미 인쇄층을 형성하였기 때문이다. 한편, 이들 구성의 상세한 설명에 대해서는 당해 기술분야에 널리 알려져 있는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실시예를 및 비교예를 통해 본 발명의 편광판에 대해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
(A) 안료를 30중량%로 함유하는 안료 분산액으로 흑색 안료를 사용하였으며, (A-1) 은-주석 합금을 포함하는 안료 분산액(스미토모 오사카 시멘트社, TMP-DC-1)(안료 고형분 30%, 은 및 주석의 중량비=7:3)과 (A-2) 카본 블랙을 포함하는 안료 분산액(사카타社, CI-M-050)을 하기 표 1과 같이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B) 바인더 수지로서, (B1) 알리파틱 폴리우레탄 타입의 신아티엔씨社의 SUO-1000, (B2) 아크릴계 감압성 점착제 수지(우인켐텍 제조, WA-9263)을 사용하였다. (C) 반응성 불포화 화합물로서, 한농화성社의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였다. 또한, (D) 개시제로서, (D-1) 광경화 개시제인 Irgacure 369를 사용하고, (D-2) 열경화 개시제인 멜라민계 경화제(우인켐텍 제조, M60)을 사용하였다. (E) 용매로서, 프로필렌 글리콜 메틸에테르 아세테이트를 사용하고, (F) 실란 커플링제로서, Tego社의 765W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1 내지 4 각각은 상기한 안료 분산액, 바인더 수지, 반응성 불포화 화합물, 광경화 개시제, 용매, 실란 커플링제의 함량을 하기 표 1과 같이 조절하여 편광필름과 편광필름 보호 필름(트리아세틸셀룰로스 필름) 사이에 인쇄층을 형성하였으며, 상기 인쇄층의 형성은 편광필름 보호 필름 상에 코팅을 진행한 후 85℃에서 1분간 용매를 제거한 후 메탈 할라이드 노광기를 이용하여 650mJ 광량으로 노광하여 코팅 조성물을 경화하였다.
실시예 5는 상기한 안료 분산액, 바인더 수지, 열경화 개시제, 용매, 실란 커플링제의 함량을 하기 표 1과 같이 조절하여 편광필름과 편광필름 보호 필름(트리아세틸셀룰로스 필름) 사이에 인쇄층을 형성하였으며, 상기 인쇄층의 형성은 편광필름 보호 필름 상에 코팅을 진행한 후 85℃에서 2분간 열경화하여 코팅 조성물을 경화시켜 수행하였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5의 인쇄층의 두께를 하기 표 1과 같이 하고 굴곡 확보부를 도 3과 같이 형성하여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한 재료들과 동일한 재료로 하기 표 1과 같이 인쇄층을 형성하여 편광판을 제조하였고, 그 두께 또한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내지 3
상기 실시예와는 달리 열경화형 타입의 수지 조성물로 BASF社의 EFKA@4015를 사용하여 인쇄층을 코팅하였으며, 85℃에서 1분간 용매를 제거한 후 40℃에서 48시간 동안 경화를 진행하여 인쇄층을 형성하여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또한, 비교예 2 내지 3의 인쇄층의 각 두께는 하기 표 1과 같이 하였다.

A
B
C
D
E
F
인쇄층 두께
(㎛)
굴곡 확보부 형성 여부
A-1 A-2 B-1 B-2 D-1 D-2
실시예 1 25 20 8 - 3 3 - 40 1 1.0 형성
실시예 2 15 30 8 - 3 3 - 40 1 2.0 형성
실시예 3 10 35 8 - 3 3 - 40 1 3.0 형성
실시예 4 10 35 8 - 3 3 - 40 1 4.0 형성
실시예 5 25 20 8 3 - - 3 40 1 1.0 형성
비교예 1 5 40 8 - 3 3 - 40 1 4.0 비형성
비교예 2 BASF社의 EFKA@4015(열 경화 수지) 5.0 비형성
비교예 3 BASF社의 EFKA@4015(열 경화 수지) 10.0 비형성
실험예
상기 실시예 1 내지 5와 비교예 1 내지 3의 코팅외관, 차광성, 부착성 및 굴곡시 크랙 발생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상기 코팅외관은 삼파장 램프 하에서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코팅 외관이 매끈한 경우 양호, 코팅 외관에 얼룩이 있으나 육안으로 식별하기 어려운 경우 보통, 코팅 외관에 얼룩이 있고 육안으로 쉽게 식별이 가능한 경우 불량으로 평가하였다.
상기 차광성은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얻어진 편광판에서 인쇄층에 대해 JIS K7651:1988을 토대로 광학 농도계(TD-904: 그레태그맥베스社)를 이용하여 UV필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하기 표 2에서 차광성은 광학 농도가 4.0을 초과하여 측정 불능영역의 농도일 경우 ○로 표기하고, 4.0 이하일 경우 ×로 표기하였다.
또한, 상기 부착성은 상기 편광판의 편광필름과 인쇄층 그리고, 편광필름 보호 필름 간의 접착성을 JIS 5600-5-6의 기준으로 바둑판 눈 테이프법을 토대로 측정하였다. 하기 표 2에서 바둑판 눈 부분의 면적이 10% 이상 박리된 것을 ×, 5% 이상 10%미만인 것을 △, 5% 미만인 것을 ○로 표기하였다.
또한, 상기 굴곡시 크랙 발생 여부는 JIS K5600 에 따라 만드렐 평각 방법에 의해 평가하였다. 실시예와 비교예의 편광판을 편광자의 MD, TD를 기준으로 MD x TD(150mm x 40mm)로 직사각형 형태로 잘라서 평가 시편을 제조하였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조한 평가 시편 중 편광필름 보호필름이 지름이 10mm 만드렐봉에 접하도록 180°까지 말고 5초 동안 방치한 후 인쇄층에 크랙이 발생하는 정도를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크랙이 발생하지 않을 경우 양호로 평가하고, 크랙이 발생할 경우 불량으로 평가하였다.
코팅 외관 차광성 부착성 굴곡시 크랙 발생 여부
실시예1 양호 양호
실시예2 보통 양호
실시예3 보통 양호
실시예4 보통 양호
실시예5 양호 양호
비교예1 불량 × 불량
비교예2 양호 불량
비교예3 양호 불량
상기 표 1과 같이, 본 발명의 성분들을 사용하는 실시예 1 내지 5에서는 비교예 2 및 3에 비해 매우 박형의 두께를 가지는 인쇄층을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5에서는 굴곡시 크랙이 발생하지 않았다.
또한, 표 2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경우, 박형의 두께 범위를 만족하면서도, 코팅 외관, 차광성 및 부착성이 모두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모두 예시적인 것이며, 서로 다른 실시예들은 상호 조합되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16)

  1. 편광필름,
    상기 편광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배치된 편광필름 보호필름,
    상기 편광필름과 상기 편광필름 보호필름 사이에 개재되는 접착층, 및
    상기 접착층 내에 함침되고 상기 접착층의 가장자리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된 인쇄층을 포함하고,
    상기 인쇄층의 적어도 일면에 굴곡 확보부가 형성된 것인, 편광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은 상기 편광필름 보호필름에 직접적으로 형성된 것인, 편광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 확보부는 상기 편광필름 보호필름에 대향하여 상기 인쇄층에 형성된 것인, 편광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의 두께는 상기 접착층의 두께 대비 작거나 같은 것인, 편광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 확보부는 소정의 단면을 갖는 음각의 패턴인 것인, 편광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 확보부는 n개의 면으로 이루어진 n각형의 음각 패턴, 또는 적어도 일면에 곡면이 형성된 음각 패턴인 것인, 편광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 확보부는 상기 인쇄층 대비 높이가 작거나 같은 것인, 편광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 확보부의 폭은 해당 굴곡 확보부가 형성된 상기 인쇄층의 폭의 30% 내지 100%인 것인, 편광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 확보부는 상기 인쇄층의 일면 내에 형성된 것인, 편광판.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 확보부는 일면이 상기 인쇄층의 외측 또는 내층으로 개방된 음각 패턴으로 형성된 것인, 편광판.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은 상기 접착층의 일면과 접촉되고 상기 접착층의 가장자리를 둘러싸도록 형성되는 것인, 편광판.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은 안료 분산액, 바인더 수지 및 개시제를 포함하는 인쇄층 형성용 조성물로 형성된 것인, 편광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안료는 카본 블랙, 은-주석 함유 합금의 혼합 안료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인, 편광판.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개시제는 광경화 개시제, 열경화 개시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편광판.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 형성용 조성물은 반응성 불포화 화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인, 편광판.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의 편광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0170146300A 2016-12-21 2017-11-03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표시 장치 KR1021128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470,156 US11681179B2 (en) 2016-12-21 2017-11-08 Polarizing plate and optical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PCT/KR2017/012579 WO2018117410A1 (ko) 2016-12-21 2017-11-08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표시 장치
CN201780079179.6A CN110100195B (zh) 2016-12-21 2017-11-08 偏光板及包括其的光学显示器
TW106140245A TWI706173B (zh) 2016-12-21 2017-11-21 偏光板及包括其的光學顯示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6026 2016-12-21
KR20160176026 2016-12-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2530A true KR20180072530A (ko) 2018-06-29
KR102112864B1 KR102112864B1 (ko) 2020-05-19

Family

ID=62780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6300A KR102112864B1 (ko) 2016-12-21 2017-11-03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681179B2 (ko)
KR (1) KR102112864B1 (ko)
CN (1) CN110100195B (ko)
TW (1) TWI706173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9319A (ko) * 2018-09-10 2020-03-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WO2020153640A1 (ko) * 2019-01-25 2020-07-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2864B1 (ko) * 2016-12-21 2020-05-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표시 장치
KR102253712B1 (ko) * 2018-10-02 2021-05-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GB202008691D0 (en) * 2020-06-09 2020-07-22 Ams Int Ag Ambient light sensi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644B1 (ko) * 2010-06-23 2011-09-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불투명부 및 투명부가 형성된 점착필름을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및 그 제조 방법
KR101427473B1 (ko) * 2011-11-28 2014-08-08 티피케이 터치 솔루션스 인코포레이션 다중 인쇄층들을 갖는 디바이스 및 다중 인쇄층의 인쇄 방법
KR20150007571A (ko) * 2013-07-11 2015-01-21 제일모직주식회사 흑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차광층
KR20160002410A (ko) * 2014-06-30 2016-01-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일체형 원편광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6609A (ja) * 1999-08-30 2001-03-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液晶表示パネル
US6838185B2 (en) 2001-11-27 2005-01-04 Nitto Denko Corporation Adhesive used for polarizing plate and optical member
US7771781B2 (en) 2005-03-09 2010-08-10 Konica Minolta Opto, Inc. Anti-glare film, manufacturing method of anti-glare film, anti glaring anti-reflection film, polarizing plate, and display
US7854864B2 (en) 2006-04-28 2010-12-21 Konica Minolta Opto, Inc. Method for manufacturing an optical film having a convexoconcave structure
JP5226330B2 (ja) 2008-01-25 2013-07-03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イースト 液晶表示装置
JP2010079180A (ja) 2008-09-29 2010-04-08 Citizen Electronics Co Ltd 表示装置
CN101713882B (zh) * 2008-10-01 2013-07-17 株式会社日立显示器 液晶显示装置
JP2011074308A (ja) 2009-10-01 2011-04-14 Three M Innovative Properties Co 透明粘着シート及びそれを含む画像表示装置
US20120328873A1 (en) 2010-03-10 2012-12-27 Nitto Denko Corporation Optical pressure-sensitive adhesive sheet
JP2012155147A (ja) 2011-01-26 2012-08-16 Nitto Denko Corp 偏光板の製造方法
JP5244938B2 (ja) * 2011-03-29 2013-07-2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入力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5646557B2 (ja) * 2011-11-16 2014-12-24 シャープ株式会社 光ポインティング装置および該装置を備える電子機器
CN102540583B (zh) 2012-03-07 2015-04-22 友达光电(苏州)有限公司 显示面板
JP2013254116A (ja) * 2012-06-07 2013-12-19 Dainippon Printing Co Ltd 光学積層体、及びこれを用いた偏光板
JP6180095B2 (ja) 2012-10-05 2017-08-16 日本発條株式会社 識別媒体
CN103323991A (zh) * 2013-06-28 2013-09-25 合肥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彩膜基板、液晶面板及显示装置
KR102076615B1 (ko) 2013-07-31 2020-02-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네로우 베젤을 갖는 표시장치
JP6390087B2 (ja) 2013-10-28 2018-09-19 三菱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6065928A (ja) 2014-09-24 2016-04-28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部材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580315B2 (ja) 2014-10-15 2019-09-25 日東電工株式会社 両面粘着剤付き光学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ならびに両面粘着剤付き光学フィルムのカール抑制方法
JP2018024716A (ja) 2014-12-26 2018-02-15 日立化成株式会社 光硬化性樹脂組成物、画像表示用装置及び画像表示用装置の製造方法
US10775539B2 (en) 2015-02-27 2020-09-15 Samsung Sdi Co., Ltd. Polarizing pl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comprising the same
JP2016170271A (ja) * 2015-03-12 2016-09-2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光学シート、及び表示装置
US10007151B2 (en) 2015-06-10 2018-06-2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JP6566739B2 (ja) * 2015-06-24 2019-08-2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CN108474899B (zh) * 2016-01-19 2021-02-19 三星Sdi株式会社 偏光板和包括其的光学显示装置
KR102112864B1 (ko) * 2016-12-21 2020-05-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644B1 (ko) * 2010-06-23 2011-09-1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불투명부 및 투명부가 형성된 점착필름을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및 그 제조 방법
KR101427473B1 (ko) * 2011-11-28 2014-08-08 티피케이 터치 솔루션스 인코포레이션 다중 인쇄층들을 갖는 디바이스 및 다중 인쇄층의 인쇄 방법
KR20150007571A (ko) * 2013-07-11 2015-01-21 제일모직주식회사 흑색 감광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차광층
KR20160002410A (ko) * 2014-06-30 2016-01-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일체형 원편광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9319A (ko) * 2018-09-10 2020-03-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WO2020153640A1 (ko) * 2019-01-25 2020-07-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20200092713A (ko) * 2019-01-25 2020-08-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2864B1 (ko) 2020-05-19
US20190353955A1 (en) 2019-11-21
TWI706173B (zh) 2020-10-01
US11681179B2 (en) 2023-06-20
TW201823778A (zh) 2018-07-01
CN110100195B (zh) 2022-08-09
CN110100195A (zh) 2019-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1565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112864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표시 장치
CN108474899B (zh) 偏光板和包括其的光学显示装置
EP3467578A1 (en) Lighting control device
KR102241901B1 (ko) 광학 적층체 및 그것을 이용한 표시 장치
US20110199348A1 (en)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100277684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JP2019105842A (ja) 偏光板、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における明所コントラストの改善方法
JP5794102B2 (ja) 表示装置
JP2014006447A (ja) 偏光板一体型光学積層体
US9519177B2 (en) Display unit
KR20160137435A (ko) 적층체 및 액정 표시 장치
KR102301279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JP7298588B2 (ja) 調光装置
KR102126053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2146992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2112869B1 (ko) 광학표시장치
KR20200092713A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2063206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20200038143A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US20240059852A1 (en) Window lamin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O2018117410A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표시 장치
KR102532754B1 (ko) 액정 표시 장치
KR20070076066A (ko) 고경도 편광판과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패널
KR20200029319A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