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2410A - 일체형 원편광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일체형 원편광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2410A
KR20160002410A KR1020150093611A KR20150093611A KR20160002410A KR 20160002410 A KR20160002410 A KR 20160002410A KR 1020150093611 A KR1020150093611 A KR 1020150093611A KR 20150093611 A KR20150093611 A KR 20150093611A KR 20160002410 A KR20160002410 A KR 201600024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ing layer
light absorbing
protective film
linear polarizer
phase differ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3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1320B1 (ko
Inventor
김훈열
박종성
최홍준
서금석
정재호
문인주
권오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160002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2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1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13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H01L27/3232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편광판; 및 상기 선편광판 상에 형성된 1/4λ 위상차판을 포함하고, 상기 선편광판 및 상기 1/4λ 위상차판 중 적어도 일면의 테두리에 광 흡수층이 형성된 일체형 원편광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소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일체형 원편광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Integrated Circular Polarizing Plate, Preparing Method for the Same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본 출원은 2014년 6월 30일에 한국 특허청에 제출된 한국 특허 출원 제 10-2014-0080774호에 기초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해당 한국 특허 출원의 문헌에 개시된 모든 내용은 본 명세서의 일부로서 포함된다.
본 발명은 일체형 원편광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기발광소자(OLED)는 발광층이 유기 화합물로 이루어진 박막 발광 다이오드로 형광성 유기화합물에 전류가 흐르면 스스로 빛을 내는 전계 발광현상을 이용한다. 이러한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낮은 전압에서 구동이 가능하고, 얇은 박형으로 만들 수 있을 뿐 아니라, 넓은 시야각과 빠른 응답속도를 갖고 있어 액정표시소자(LCD)와 달리 바로 옆에서 보아도 화질이 변하지 않으며 화면에 잔상이 남지 않고, 풀 컬러화(Full Coloration)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차세대 평판 디스플레이의 주류 제품이 될 잠재력이 매우 큰 소재이다.
이러한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일반적으로 투명기판 상에 양극, 전자주입층, 전자수송층, 발광층, 정공수송층, 정공주입층 및 음극을 차례로 적층하여 이루어진 유기발광소자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어, 전압 인가 등에 의해 유기발광소자가 발광하도록 구동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한다. 또한,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상기와 같은 유기발광소자 외에 일반적으로 구동용 기판 상에 소스 전극, 드레인 전극 및 게이트 전극 등 다양한 금속 배선들이 형성됨으로써 구현된다.
이때,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표면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유기발광소자의 발광층에서 발광된 빛이 외부로 투과됨으로써 임의의 화상을 구현하는 화상표시영역과 이러한 화상이 표시되지 않는 테두리 영역으로 나누어진다. 이때, 상기 화상표시영역 이외의 부분, 즉 유기발광 표시장치 표면의 테두리 영역은 유기발광소자의 음극 또는 다수의 전극 배선들만이 존재하며, 이들은 주로 금속 물질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러한 금속 물질은 표면 반사율이 높기 때문에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다량의 빛들이 반사하게 되고, 이로 인해 테두리 부분의 전극들이 그대로 시인되어 시감 특성이 나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외부 광이 입사되어도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테두리 부분의 전극들이 시인되지 않는, 시감 특성이 우수한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시감 특성이 우수하고 제조 공정이 간단하여 생산성이 우수한 유기발광 표시장치용 일체형 원편광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선편광판; 상기 선편광판의 일면 상에 구비된 1/4λ 위상차판; 및 상기 선편광판의 타면 상에 구비된 보호필름을 구비하고,
상기 선편광판, 상기 1/4λ 위상차판 및 상기 보호필름 중 어느 하나의 일면 상의 테두리부에 구비된 광 흡수층을 포함하는 일체형 원편광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일체형 원편광판에 있어서, 상기 광 흡수층은 상기 1/4λ 위상차판의 상기 선편광판에 인접하는 면의 반대 면 상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일체형 원편광판에 있어서, 상기 광 흡수층은 상기 1/4λ 위상차판의 보호필름의 상기 선편광판에 인접하는 면의 반대면 상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일체형 원편광판에 있어서, 상기 광 흡수층은 상기 선편광판과 상기 보호필름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일체형 원편광판에 있어서, 상기 광 흡수층은 상기 선편광판과 상기 1/4λ 위상차판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일체형 원편광판의 개구율은 93% 내지 96%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광 흡수층의 수직 단면 두께는 0.5㎛ 내지 10㎛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광 흡수층은 바인더 수지, 안료 및 용매를 포함하는 광 흡수층 형성 조성물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바인더 수지는 우레탄계 수지, 니트로셀룰로오스계 수지, 에스테르계 수지, 알키드 수지, 아미드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및 비닐계 수지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안료는 카본 블랙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용매는 톨루엔 및 메틸에틸케톤의 혼합용매, 이소프로필알콜 및 에틸아세테이트의 혼합용매, 또는 아세톤 및 에틸알콜의 혼합용매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혼합용매의 중량비는 2:8 내지 5:5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광 흡수층을 형성하는 조성물의 점도는 25℃에서 200cSt 내지 400cSt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일체형 원편광판에 있어서, 상기 광 흡수층 상에 구비되는 점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층의 두께는 10㎛ 내지 30㎛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일체형 원편광판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은 상기 보호필름의 적어도 일면 상에 기능성 코팅층이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보호필름은 일면 상에 기능성 코팅층이 구비되거나, 상면 및 하면 상에 기능성 코팅층이 구비된 것일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선편광판을 준비하는 단계; 1/4λ 위상차판을 준비하는 단계; 보호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선편광판, 상기 1/4λ 위상차판, 또는 상기 보호필름 상의 테두리부에 광 흡수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선편광판의 일면 상에 상기 1/4λ 위상차판을 합지하는 단계; 및 상기 선편광판의 타면 상에 상기 보호필름을 합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일체형 원편광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광 흡수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오프셋 인쇄, 플렉소 인쇄, 그라비아 인쇄, 잉크젯 인쇄 및 스크린 인쇄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상기 광 흡수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광 흡수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20℃ 내지 25℃의 온도 범위에서 0.01MPa 내지 0.5MPa의 압력으로 롤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편광판의 제조방법은 롤 프린팅법을 이용하고, 광흡수층이 형성된 일체형 원편광판 단위로 각각 절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단하는 단계는 나이프 또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상기 절단하는 단계는 CO2 레이저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유기발광소자의 발광면에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원편광판을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원편광판은 선편광판 및 1/4λ 위상차판 중 적어도 일면의 테두리에 광 흡수층을 포함함으로써,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테두리에 형성된 금속 배선에 외부 광원이 반사되어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인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시감 특성이 매우 우수하다.
또한, 광 흡수층이 형성된 일체형 원편광판을 사용하므로, 추가 공정 없이 한 번의 공정으로 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므로, 제조 공정이 간단하고, 생산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원편광판은 테두리부의 금속 배선을 가리기 위하여 테두리부에 블랙 매트릭스가 구비된 투명필름을 추가로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화면부의 광학성능이 우수하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원편광판의 제조방법은 연속 공정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블랙 매트릭스가 구비된 투명필름의 정교한 얼라인을 할 필요가 없으므로, 간단한 공정으로 제조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유기발광소자의 발광면에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원편광판을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2a, 도 2b, 도 3a 및 도 3b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원편광판의 다양한 예에 대한 수직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일 예에 대한 수직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편광판의 제조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에서 실시예 1에 따른 일체형 원편광판의 제조과정을 간단하게 도시하였다.
도 7에서 실시예 2에 따른 일체형 원편광판의 제조과정을 간단하게 도시하였다.
도 8에서 실시예 3에 따른 일체형 원편광판의 제조과정을 간단하게 도시하였다.
도 9에서 실시예 4에 따른 일체형 원편광판의 제조과정을 간단하게 도시하였다.
도 10에서 실시예 5에 따른 일체형 원편광판의 제조과정을 간단하게 도시하였다.
도 11에서 실시예 6 에 따른 일체형 원편광판의 제조과정을 간단하게 도시하였다.
도 12에서 실시예 7 에 따른 일체형 원편광판의 제조과정을 간단하게 도시하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광 흡수층은 상기 1/4λ 위상차판의 상기 선편광판에 인접하는 면의 반대 면 상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일체형 원편광판은 광 흡수층 / 1/4λ 위상차판 / 선편광판 / 보호필름의 구조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일체형 원편광판의 단면에 대한 예시는 도 2a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광 흡수층은 상기 1/4λ 위상차판의 보호필름의 상기 선편광판에 인접하는 면의 반대면 상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일체형 원편광판은 1/4λ 위상차판 / 선편광판 / 보호필름 / 광 흡수층의 구조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일체형 원편광판의 단면에 대한 예시는 도 2b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광 흡수층은 상기 선편광판과 상기 보호필름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일체형 원편광판은 1/4λ 위상차판 / 선편광판 / 광 흡수층 / 보호필름의 구조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일체형 원편광판의 단면에 대한 예시는 도 3a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광 흡수층은 상기 선편광판과 상기 1/4λ 위상차판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일체형 원편광판은 1/4λ 위상차판 / 광 흡수층 / 선편광판 / 보호필름의 구조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일체형 원편광판의 단면에 대한 예시는 도 3b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광 흡수층은 상기 선편광판의 일면 상의 테두리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광 흡수층은 상기 1/4λ 위상차판의 일면 상의 테두리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르면, 상기 광 흡수층은 상기 보호필름의 일면 상의 테두리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선편광판, 상기 1/4λ 위상차판 또는 상기 보호필름의 일면 상의 최외각 영역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선편광판, 상기 1/4λ 위상차판 또는 상기 보호필름의 일면 상의 최외각으로부터 5 ㎝ 이내의 영역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선편광판, 상기 1/4λ 위상차판 또는 상기 보호필름의 일면 상의 최외각으로부터 3 ㎝, 2 ㎝ 또는 1.5 ㎝ 이내의 영역일 수 있다.
도 1a에는 유기발광소자(100)의 발광 면에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원편광판을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원편광판은, 선편광판(300) 및 1/4λ 위상차판(200)을 포함하고, 상기 선편광판(300) 및 상기 1/4λ 위상차판(200) 중 적어도 일면의 테두리부에 광 흡수층(400)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도 1a에는 보호필름은 미도시 되었으나, 상기 선편광판(300)의 일면 상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선편광판(300) 및 상기 1/4λ 위상차판(200)은, 유기발광 표시장치에 부착되어, 외부로부터 유기발광소자의 영상표시영역으로 입사된 빛이 다시 외부로 반사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콘트라스트를 향상시키고, 소비전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역할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선편광판(300)은 자연광 또는 임의의 편광을 특정 방향의 편광으로 만들기 위한 광학 소자로, 외광의 반사를 저감시키기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선편광판(300)은 편광자, 예를 들면, 이색성 염료 또는 요오드로 염색된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계 수지로 이루어진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보호 필름을 적층한 구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상기 1/4λ 위상차판(200)은 위상차판의 광축에 평행하며, 서로 수직인 두 편광 성분에 1/4λ 만큼의 위상차를 부여하여 선평광을 원편광으로 바꾸거나 원편광을 선편광으로 바꾸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상기 1/4λ 위상차판(200)은 선편광판(300)을 통과한 외부 광을 원편광으로 바꾸고, 유기발광소자에 반사되어 되돌아 오는 우원 또는 좌원의 원편광을 선편광으로 바꿔줌으로써, 상기 선편광판(300)에 흡수시켜 외부 광의 반사를 저감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본 발명에서, 상기 선편광판(300) 및 상기 1/4λ 위상차판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유기발광 표시장치 제조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이면 모두 포함하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은 외부로부터 입사된 광이 반사되어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테두리에 존재하는 금속 배선이 시각적으로 인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선편광판(300), 상기 1/4λ 위상차판(200), 및 상기 보호필름(600) 중 적어도 일면 상의 테두리부에 광 흡수층(40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본 발명에서, 상기 광 흡수층의 위치는 선편광판(300), 1/4λ 위상차판(200) 및 보호필름(600) 중 적어도 일면의 테두리에 형성되기만 하면 되고 그 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 2a, 도 2b, 도 3a 및 도 3b에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원편광판의 다양한 예에 대한 수직 단면도를 나타내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2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원편광판은 선편광판(300); 상기 선편광판(300)의 일면 상에 형성된 1/4λ 위상차판(200); 상기 선편광판(300)의 타면 상에 형성된 보호필름(600) 및 상기 1/4λ 위상차판(200)의 일면 상의 테두리부에 형성된 광 흡수층(400)을 포함하는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원편광판은 선편광판(300); 상기 선편광판(300)의 일면 상에 형성된 1/4λ 위상차판(200); 상기 선편광판(300)의 타면 상에 형성된 보호필름(600) 및 상기 보호필름(600)의 일면 상의 테두리부에 형성된 광 흡수층(400)을 포함하는 형태일 수 있다.
나아가, 도 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원편광판은 1/4λ 위상차판(200); 1/4λ 위상차판(200) 상에 구비된 선편광판(300); 상기 선편광판(300) 상의 테두리부에 구비된 광 흡수층(400); 및 상기 광 흡수층(400) 상에 구비된 보호필름(600)을 포함하는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원편광판은 1/4λ 위상차판(200); 1/4λ 위상차판(200) 상의 테두리부에 구비된 광 흡수층(400); 상기 광 흡수층(400) 상에 구비된 선편광판(300); 및 상기 선편광판(300) 상에 구비된 보호필름(600)을 포함하는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광 흡수층(400)이 형성된 일체형 원편광판은 개구율이 93% 내지 98%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체형 원편광판 표면의 대각선 길이(P)가 55인치 내지 65인치인 경우에는, 개구율이 93% 내지 96%인 것이 바람직하고, 65인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개구율이 95% 내지 98%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대각선 길이(P)가 65인치를 초과하는 경우 대각선 길이는,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77인치, 105인치 또는 110인치인 경우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개구율은 본 발명의 원편광판에서 광 흡수층이 형성된 면 중 가시광선이 투과되는 영역의 비율을 의미하는 것으로, {(광흡수층이 형성된 면의 원편광판 표면적 - 광 흡수층의 표면적) / 광흡수층이 형성된 면의 원편광판 표면적}×100으로 계산될 수 있다. 만일, 상기한 바와 같이 원편광판의 대각선 길이(P)에 따라 한정된 개구율 값이 수치범위의 하한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의 일체형 원편광판이 적용된 액정표시장치에서, 영상이 표시되는 유효 영역을 광 흡수층이 가리게 되고, 개구율 값이 수치범위의 상한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액정표시장치의 테두리에 위치한 금속 배선을 본 발명의 광 흡수층이 적절하게 가리지 못하기 때문에 제품의 외관 품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광 흡수층(400)의 수직 단면 두께는 0.5㎛ 내지 10㎛, 0.5㎛ 내지 6㎛ 또는 0.5㎛ 내지 2㎛일 수 있다. 광 흡수층의 수직 단면 두께가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광 흡수 능력이 우수하기 때문에 블랙 색상 구현이 보다 용이하고, 광 흡수층 표면이 돌출되는 등의 외관 불량이 발생하는 비율도 현저히 감소되기 때문에 편광판 제조 공정에서의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도 있다.
나아가, 상기 광 흡수층(400)은 광 흡수층 형성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되며, 상기 조성물에는 바인더 수지, 안료, 용매, 기타 첨가제 등을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광 흡수층 형성 조성물에 포함되는 바인더 수지는, 우레탄계 수지, 니트로셀룰로오스계 수지, 에스테르계 수지, 알키드 수지, 아미드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및 비닐계 수지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상기 광 흡수층(400)은 우레탄계 수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 흡수층에 우레탄계 수지가 포함되는 경우, 광 흡수층이 형성되는 면과의 부착력이 우수하고, 광 흡수층의 내열, 내습열 및 열충격 등의 물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내구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우레탄계 수지는 광 흡수층 형성 조성물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0 중량부 내지 50 중량부, 25 중량비 내지 40 중량부 또는 30 중량부 내지 35 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우레탄 수지의 함량이 5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광 흡수층을 도포하는 과정에서 균일도를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특히 고속 도공시 공정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우레탄 수지의 함량이 20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선편광판 및/또는 1/4λ 위상차판과 광 흡수층과의 부착력이 저하되고, 광 흡수층 자체의 유연성도 떨어지기 때문에 이후의 후속 공정 진행시 광 흡수층의 외력에 대한 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광 흡수층 형성 조성물에 포함되는 안료는 예를 들면, 블랙 카본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광흡수층 형성 조성물에 포함되는 용매는 톨루엔, 메틸에틸케톤, 이소프로필알콜, 아세톤, 에틸알콜, 에틸아세테이트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용매의 함량은 전체 광 흡수층 형성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중량부 내지 6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용매의 함량이 20 중량부 미만인 경우 광 흡수층의 부착력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고, 6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용매의 함량이 높아 광 흡수층의 적정 두께 확보를 위해 코팅 두께를 증대 시켜야 하고, 코팅 두께 증대는 광 흡수층의 건조 시간을 지연시켜 용매와 선편광판 및/또는 1/4λ 위상차판과의 접촉 시간이 길어지고, 접촉시간이 길어질수록 상기 필름 기재의 침식 정도가 심해져서 광 흡수층 형성 부분의 기계적 물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의 광 흡수층 형성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용매는 특정 용매를 특정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 선편광판 및/또는 1/4λ 위상차판의 표면에 코로나 처리 또는 플라즈마 처리 등의 특별한 표면처리를 하지 않고도 광 흡수층과의 부착력을 보다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매는 톨루엔 및 메틸에틸케톤의 혼합 용매, 이소프로필알콜 및 아세톤의 혼합 용매, 또는 에틸알콜 및 에틸아세테이트의 혼합 용매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혼합 용매의 중량비는 예를 들면, 2:8 내지 5:5인 것이 바람직하고, 3:7 내지 4:6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광 흡수층 형성 조성물은 우레탄계 수지와 함께 톨루엔 및 메틸에틸케톤을 3:7 내지 4:6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 용매를 포함하는 경우, 선편광판 및/또는 1/4λ 위상차판과 광 흡수층 간에 적어도 3N/20mm 이상의 부착력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다. 혼합 용매에서 톨루엔의 중량이 30% 미만인 경우, 부착력이 현저히 감소될 수 있고, 톨루엔의 중량이 40%를 초과하는 경우, 혼합 용매가 선편광판 및/또는 1/4λ 위상차판 표면에 침식되기 때문에 상기 필름의 기재를 부스러지기 쉬운 상태로 만들고, 이로 인해 이후의 후속 공정에서 광 흡수층이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광 흡수층(400)의 흡수 파장 영역은 가시광선 영역인 380nm 내지 780nm이다.
또한, 상기 광 흡수층(400)을 형성용 조성물의 점도는 25℃를 기준으로, 200cSt 내지 400cSt, 250cSt 내지 380cSt 또는 250cSt 내지 350cSt일 수 있다. 광 흡수층을 형성하는 조성물의 점도가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광 흡수층의 형성이 용이하고, 인쇄 공정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이때, 상기 점도는 동 점도(kinematic viscosity)를 의미하는 것으로 25℃에서 측정된 점도를 밀도로 나눈 값을 의미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선편광판 및 상기 1/4λ 위상차판 중 적어도 일면의 테두리에 광 흡수층(400)이 형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원편광판의 두께는 30㎛ 내지 200㎛, 30㎛ 내지 150㎛, 30㎛ 내지 140㎛ 또는 30㎛ 내지 100㎛일 수 있다. 일체형 원편광판의 두께가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겨우, 편광판 제조 공정에 상기 일체형 원편광판을 즉시 적용 가능하며, 박막화 과정이 수반될 수 있으므로, 매우 유리한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일체형 원편광판의 두께는 선편광판(300), 1/4λ 위상차판(200), 보호필름(600) 및 광 흡수층(400)을 포함하는 일체형 원편광판의 수직 단면상 최대 높이를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원편광판은 점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점착층은 도 2a와 같은 구조를 갖는 일체형 원편광판의 경우 광 흡수층(400)이 형성된 1/4λ 위상차판(200) 상에 형성될 수도 있고, 도 2b와 같은 구조를 갖는 일체형 원편광판의 경우 광 흡수층(400)이 형성된 보호필름(600) 상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도 3a과 같은 구조를 갖는 일체형 원편광판의 경우, 선편광판(300)과 보호필름(600) 사이에 형성될 수도 있고, 도 3b과 같은 구조를 갖는 일체형 원편광판의 경우, 1/4λ 위상차판(200)과 선편광판(300) 사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일 예에 대한 수직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4는 도 2a에 따른 일체형 원편광판을 점착층(500)을 이용하여 유기발광소자(100)와 합지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때, 상기 점착층은 유기발광소자 패널과 일체형 원편광판을 부착시키기 위한 것으로, 충격 방지 역할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층은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당해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아크릴계, 우레탄계, 폴리이소부틸렌계, SBR(스티렌-부타디엔 러버, styrene-butadiene rubber)계, 고무계, 폴리비닐에테르계, 에폭시계, 멜라민계, 폴리에스테르계, 페놀계 및 실리콘계 수지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점착성 수지가 상기 아크릴계 수지인 경우에는 n-부틸 아크릴레이트 또는 2-에틸 헥실 아크릴레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점착제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상기 점착성 수지 외에 이소시아네이트계 또는 에폭시계 가교제, 및 실란 커플링제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점착층의 두께는 10㎛ 내지 30㎛, 또는 10㎛ 내지 20㎛일 수 있다. 점착층의 두께가 상기 수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유기발광 소자 패널과 일체형 원편광판의 부착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점착층의 내구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광 특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보호필름은 두께가 매우 얇은 편광자를 보호하기 위한 필름으로서, 편광자의 일면에 부착하는 투명필름을 말하는 것이며, 기계적 강도, 열안정성, 수분차폐성, 등방성 등이 우수한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트리아세틸셀룰로오즈(TAC)와 같은 아세테이트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에테르술폰계,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아미드계, 폴리이미드계, 폴리올레핀계, 시클로 올레핀계, 폴리우레탄계 및 아크릴계 수지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보호필름은 등방성 필름일 수도 있고, 위상차와 같은 보상 기능이 부여된 이방성 필름일 수 있으며, 1매로 구성되거나 또는 2매 이상이 접합되어 구성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보호필름은 미연신, 1축 또는 2축 연신된 필름일 수 있으며, 보호필름의 두께는 일반적으로 1㎛ 내지 50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300㎛일 수 있다.
상기 보호필름은 상기 보호필름의 적어도 일면 상에 기능성 코팅층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호필름은 일면 상에 기능성 코팅층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필름은 상면 및 하면 상에 기능성 코팅층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코팅층은 외부광 반사 저감층, 3D 액정 구현을 위한 액정층 또는 휘도 향상층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광학적 기능층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는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원편광판을 포함하는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상기 일체형 원편광판을 부착시킴으로써, 유기발광 표시장치의 테두리에 형성된 금속 배선에 외부 광에 반사되어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인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시감 특성이 매우 우수한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원편광판의 제조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원편광판의 제조방법은 선편광판을 준비하는 단계; 1/4λ 위상차판을 준비하는 단계; 보호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선편광판, 상기 1/4λ 위상차판, 또는 상기 보호필름 상의 테두리부에 광 흡수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선편광판의 일면 상에 상기 1/4λ 위상차판을 합지하는 단계; 및 상기 선편광판의 타면 상에 상기 보호필름을 합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선편광판(300), 상기 1/4λ 위상차판(200) 및 보호필름(600) 등에 관하여는 전술한 것과 같다. 또한, 선편광판(300), 1/4λ 위상차판(200) 및 보호필름(600)을 포함하는 원편광판을 제조하는 단계는 당해 기술분야에 잘 알려진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수계 접착제 또는 자외선 경화형 접착제를 이용하여 합판하는 공정을 통해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합판하는 공정은 광경화형 접착제를 이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광 흡수층(400)을 형성하는 단계는, 예를 들면 오프셋 인쇄 (Offset Printing), 플렉소 인쇄 (Flexo Printing), 그라비아 인쇄 (Gravure Printing), 잉크젯 인쇄 (Inkjet Printing) 및 스크린 인쇄 (Screen Printing)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광 흡수층(400)을 형성하는 단계는 20 내지 25의 온도 범위에서 0.01MPa 내지 0.5MPa의 압력으로 롤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그라비아 인쇄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광 흡수층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형성하는 경우, 가공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생산성이 획기적으로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광 흡수층(400)이 형성된 1/4λ 위상차판(200) 상에 상기 점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예를 들면 다이 코터, 콤마 코터, 립 코터 및 그라비아 코터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원편광판의 제조방법은 롤 프린팅법을 이용하고, 광흡수층이 형성된 일체형 원편광판 단위로 각각 절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절단하는 단계는 나이프 또는 레이저 등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나이프로는 사각형으로 배치된 나이프, "-" 형태의 나이프, 헤드가 이동하는 원형 나이프 또는 헤드가 고정된 원형 나이프 등을 이용할 수 있고, 상기 레이저로는 고정형 레이저 또는 이동형 레이저 등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에서, 상기 절단하는 단계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절단하고자 하는 영역의 좌표를 인식한 후, CO2 레이저를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절단된 일체형 원편광판의 치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편광판의 제조방법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구체적으로, 도 5는 롤 프린팅 방법으로 보호필름(600), 선편광판(300) 및 1/4λ 위상차판(200)을 합지하고, 동일한 공정 상에서 광 흡수층(400)을 형성한 후, 절단하는 단계를 통하여 일체형 원편광판 단위로 각각 절단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원편광판을 이용하는 경우, 유기발광 표시장치 제조시 광 흡수층 형성을 위한 별도의 제조 설비를 갖추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기존의 롤-투-롤 (roll-to-roll) 공정을 이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공정 단순화 및 생산성을 향상을 도모할 수 있으므로 매우 유용하다.
본 발명에 다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유기발광소자(100); 상기 유기발광소자의 발광면에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원편광판을 포함한다. 특히, 본 발명의 유기발광 소자는 상기 원편광판에서 광 흡수층(400)이 형성된 영역이 유기발광소자(100)와 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광 흡수층이 일체형 원편광판의 하부, 즉 유기발광 소자의 발광 면에 위치하는 경우, 본 발명의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 입장에서는 상기 광 흡수층과 상기 1/4λ 위상차판 사이의 계면에서 발생되는 반사광을 본 발명의 일체형 원편광판이 차단할 수 있는 구조이기 때문에 깊고 진한 검은색을 구현할 수 있으므로, 시감 특성이 우수한 유기발광소자를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상기 유기발광소자는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 제조공정을 통해 제조된 유기발광소자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상기 유기발광소자는 투명 광학 시트, 상기 투명 광학 시트 상에 투명 전극인 양극, 정공주입층, 발광층, 전자주입층 및 금속 전극인 음극을 차례로 증착하는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유기발광소자를 제조하는 일 예일 뿐이며, 그 배열 및 구조에 대해서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유기발광소자에 전압이 인가되면 전자가 이동하면서 음극에서는 전자가 전자수송층의 도움으로 발광층으로 이동하고, 상대적으로 양극에서는 전자가 빠져나간 정공(Hole)이 정공 수송층의 도움으로 발광층으로 이동하게 된다. 유기물질인 발광층에서 만난 전자와 정공은 높은 에너지를 갖는 여기자를 생성하게 되는데 이때, 여기자가 낮은 에너지로 떨어지면서 빛을 발생하게 된다. 이때, 발광층에서 발생된 빛이 투과되는 면이 발광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 표시장치는 선편광판, 위상차판 및 보호필름 중 적어도 일면 상의 테두리부에 광 흡수층을 포함하는 일체형 원편광판을 사용함으로써, 표시 장치의 테두리에 형성된 금속 배선에 외부 광원이 반사되어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인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시감 특성이 매우 우수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1/4λ 위상차판의 일면 상의 테부리부에 광 흡수층을 인쇄하고, 광 흡수층이 형성된 면의 반대면 상에 광경화형 접착수지를 이용하여 선편광판 및 보호필름을 합지하였다. 그리고, 경화용 광을 조사하여 상기 광경화형 접착수지를 경화하여 일체형 원편광판을 제조하였다.
도 6에서 실시예 1에 따른 일체형 원편광판의 제조과정을 간단하게 도시하였다.
[실시예 2]
선편광판의 일면 상의 테두리부에 광 흡수층을 인쇄하고, 광 흡수층이 형성된 면 상에 광 경화형 수지를 이용하여 1/4λ 위상차판을 합지한 후, 광 흡수층이 형성된 면의 반대면 상에 광경화형 접착수지를 이용하여 보호필름을 합지하였다. 그리고, 경화용 광을 조사하여 상기 광경화형 접착수지를 경화하여 일체형 원편광판을 제조하였다.
도 7에서 실시예 2에 따른 일체형 원편광판의 제조과정을 간단하게 도시하였다.
[실시예 3]
선편광판의 일면 상의 테두리부에 광 흡수층을 인쇄하고, 광 흡수층이 형성된 면 상에 광 경화형 수지를 이용하여 보호필름을 합지한 후, 광 흡수층이 형성된 면의 반대면 상에 광경화형 접착수지를 이용하여 1/4λ 위상차판을 합지하였다. 그리고, 경화용 광을 조사하여 상기 광경화형 접착수지를 경화하여 일체형 원편광판을 제조하였다.
도 8에서 실시예 3에 따른 일체형 원편광판의 제조과정을 간단하게 도시하였다.
[실시예 4]
보호필름의 일면 상의 테두리부에 광 흡수층을 인쇄하고, 광 흡수층이 형성된 면의 반대면 상에 광경화형 접착수지를 이용하여 선편광판 및 1/4λ 위상차판을 합지하였다. 그리고, 경화용 광을 조사하여 상기 광경화형 접착수지를 경화하여 일체형 원편광판을 제조하였다.
도 9에서 실시예 4에 따른 일체형 원편광판의 제조과정을 간단하게 도시하였다.
[실시예 5]
보호필름의 일면 상의 테두리부에 광 흡수층을 인쇄하고, 광흡수층이 인쇄된 면 상에 광경화형 접착수지를 이용하여 선편광판 및 1/4λ 위상차판을 순차적으로 합지하였다. 그리고, 경화용 광을 조사하여 상기 광경화형 접착수지를 경화하여 일체형 원편광판을 제조하였다.
도 10에서 실시예 5에 따른 일체형 원편광판의 제조과정을 간단하게 도시하였다.
[실시예 6]
1/4λ 위상차판, 선편광판 및 보호필름의 순서로 광경화형 접착수지를 이용하여 합지한 후, 경화용 광을 조사하여 상기 광경화형 접착수지를 경화하였다. 그리고, 1/4λ 위상차판 상의 테두리부에 광 흡수층을 형성하여 일체형 원편광판을 제조하였다.
도 11에서 실시예 6 에 따른 일체형 원편광판의 제조과정을 간단하게 도시하였다.
[실시예 7]
1/4λ 위상차판, 선편광판 및 보호필름의 순서로 광경화형 접착수지를 이용하여 합지한 후, 경화용 광을 조사하여 상기 광경화형 접착수지를 경화하였다. 그리고, 보호필름 상의 테두리부에 광 흡수층을 형성하여 일체형 원편광판을 제조하였다.
도 12에서 실시예 7 에 따른 일체형 원편광판의 제조과정을 간단하게 도시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7에 따라 제조된 일체형 원편광판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광 흡수층의 시감(블랙 색상의 구현 정도) 및 광 흡수층의 내구성 및 접착수지의 경화 상태 등을 평가하여 하기 표 1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광 흡수층 접착 수지의
경화 상태
적용 공정 시감 내구성
실시예 1 합판 전 4 OK NG
실시예 2 합판 전 3 OK NG
실시예 3 합판 전 2 OK NG
실시예 4 합판 전 1 NG OK
실시예 5 합판 전 2 OK OK
실시예 6 합판 후 4 OK OK
실시예 7 합판 후 1 NG OK
상기 표 1에서의 시감은 광 흡수층의 블랙 색상이 가장 선명하게 구현된 경우를 4로 하고, 블랙 색상이 가장 선명하지 않게 구현된 경우를 1로 평가하였다. 또한, 내구성의 경우, 제조된 일체형 원편광판에서 광 흡수층이 외부 마찰 원인에 의하여 쉽게 손상되는 경우를 NG로, 쉽게 손상되지 않는 경우를 OK로 표시하였다. 또한, 접착 수지의 경화상태의 경우, 제조된 일체형 원편광판에서 접착 수지가 모두 경화된 경우를 OK로 표시하고, 일부 경화되지 않은 영역이 있는 경우를 NG로 표시하였다.
100 : 유기발광소자
200 : 1/4λ 위상차판
300 : 선편광판
400 : 광 흡수층
500 : 점착층
600: 보호필름

Claims (24)

  1. 선편광판; 상기 선편광판의 일면 상에 구비된 1/4λ 위상차판; 및 상기 선편광판의 타면 상에 구비된 보호필름을 구비하고,
    상기 선편광판, 상기 1/4λ 위상차판 및 상기 보호필름 중 어느 하나의 일면 상의 테두리부에 구비된 광 흡수층을 포함하는 일체형 원편광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흡수층은 상기 1/4λ 위상차판의 상기 선편광판에 인접하는 면의 반대 면 상에 구비되는 것인 일체형 원편광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흡수층은 상기 1/4λ 위상차판의 보호필름의 상기 선편광판에 인접하는 면의 반대면 상에 구비되는 것인 일체형 원편광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흡수층은 상기 선편광판과 상기 보호필름 사이에 구비되는 것인 일체형 원편광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흡수층은 상기 선편광판과 상기 1/4λ 위상차판 사이에 구비되는 것인 원편광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원편광판의 개구율은 93% 내지 96%인 것인 일체형 원편광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흡수층의 수직 단면 두께는 0.5㎛ 내지 10㎛인 것인 일체형 원편광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흡수층은 바인더 수지, 안료 및 용매를 포함하는 광 흡수층 형성 조성물로 형성된 것인 일체형 원편광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수지는 우레탄계 수지, 니트로셀룰로오스계 수지, 에스테르계 수지, 알키드 수지, 아미드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및 비닐계 수지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일체형 원편광판.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톨루엔, 메틸에틸케톤, 이소프로필알콜,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및 에틸알콜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일체형 원편광판.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톨루엔 및 메틸에틸케톤의 혼합용매, 이소프로필알콜 및 에틸아세테이트의 혼합용매, 또는 아세톤 및 에틸알콜의 혼합용매인 것인 일체형 원편광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용매의 중량비는 2:8 내지 5:5인 것인 일체형 원편광판.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광 흡수층 형성 조성물의 점도는 200cSt 내지 400cSt인 것인 일체형 원편광판.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원편광판의 두께는 30㎛ 내지 200㎛인 것인 일체형 원편광판.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흡수층 상에 구비되는 점착층을 더 포함하는 것인 일체형 원편광판.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은 아크릴계, 우레탄계, 폴리이소부틸렌계, SBR(스티렌-부타디엔 러버, styrene-butadiene rubber)계, 고무계, 폴리비닐에테르계, 에폭시계, 멜라민계, 폴리에스테르계, 페놀계 및 실리콘계 수지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된 것인 일체형 원편광판.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의 두께는 10㎛ 내지 30㎛인 것인 일체형 원편광판.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필름은 상기 보호필름의 적어도 일면 상에 기능성 코팅층이 구비된 것인 일체형 원편광판.
  19. 선편광판을 준비하는 단계;
    1/4λ 위상차판을 준비하는 단계;
    보호필름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선편광판, 상기 1/4λ 위상차판, 또는 상기 보호필름 상의 테두리부에 광 흡수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선편광판의 일면 상에 상기 1/4λ 위상차판을 합지하는 단계; 및
    상기 선편광판의 타면 상에 상기 보호필름을 합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청구항 1 내지 18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일체형 원편광판의 제조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광 흡수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오프셋 인쇄, 플렉소 인쇄, 그라비아 인쇄, 잉크젯 인쇄 및 스크린 인쇄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방법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인 일체형 원편광판의 제조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광 흡수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20℃ 내지 25℃의 온도 범위에서 0.01MPa 내지 0.5MPa의 압력으로 롤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인 일체형 원편광판의 제조방법.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원편광판의 제조방법은 롤 프린팅법을 이용하고,
    광흡수층이 형성된 일체형 원편광판 단위로 각각 절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일체형 원편광판의 제조방법.
  23. 청구항 22에 있어서,
    상기 절단하는 단계는 나이프 또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인 일체형 원편광판의 제조방법.
  24. 유기발광소자의 발광면에 청구항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의 일체형 원편광판을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20150093611A 2014-06-30 2015-06-30 일체형 원편광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17413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80774 2014-06-30
KR1020140080774 2014-06-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2410A true KR20160002410A (ko) 2016-01-07
KR101741320B1 KR101741320B1 (ko) 2017-05-29

Family

ID=55169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3611A KR101741320B1 (ko) 2014-06-30 2015-06-30 일체형 원편광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1320B1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26883A1 (ko) * 2016-01-19 2017-07-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표시 장치
KR20170086780A (ko) * 2016-01-19 2017-07-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WO2018117410A1 (ko) * 2016-12-21 2018-06-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표시 장치
KR20180072530A (ko) * 2016-12-21 2018-06-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표시 장치
WO2018164348A1 (ko) * 2017-03-08 2018-09-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20190020925A (ko) * 2017-08-22 2019-03-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편광 필름, 상기 편광 필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상기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KR20190030523A (ko) * 2017-09-14 2019-03-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20190074168A (ko) * 2017-12-19 2019-06-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20190075756A (ko) * 2017-12-21 2019-07-0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WO2020153640A1 (ko) * 2019-01-25 2020-07-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8614A (ja) * 2002-12-17 2004-07-15 Fuji Photo Film Co Ltd 円偏光板、その製造方法、タッチパネルおよび表示装置
JP2008108877A (ja) * 2006-10-25 2008-05-08 Bridgestone Corp ディスプレイ用光学フィルタの製造方法、ディスプレイ用光学フィルタ、これを備えたディスプレイ及びプラズマディスプレイパネル
JP6014988B2 (ja) * 2011-10-14 2016-10-26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用円偏光板、及びそれを有する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26883A1 (ko) * 2016-01-19 2017-07-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표시 장치
KR20170086780A (ko) * 2016-01-19 2017-07-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1353643B2 (en) 2016-01-19 2022-06-07 Samsung Sdi Co., Ltd. Polarizing plate and optical display device including same
CN108474899B (zh) * 2016-01-19 2021-02-19 三星Sdi株式会社 偏光板和包括其的光学显示装置
CN108474899A (zh) * 2016-01-19 2018-08-31 三星Sdi株式会社 偏光板和包括其的光学显示装置
US11681179B2 (en) 2016-12-21 2023-06-20 Samsung Sdi Co., Ltd. Polarizing plate and optical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KR20180072530A (ko) * 2016-12-21 2018-06-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표시 장치
CN110100195A (zh) * 2016-12-21 2019-08-06 三星Sdi株式会社 偏光板及包括其的光学显示器
WO2018117410A1 (ko) * 2016-12-21 2018-06-2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표시 장치
WO2018164348A1 (ko) * 2017-03-08 2018-09-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US11480825B2 (en) 2017-03-08 2022-10-25 Samsung Sdi Co., Ltd. Polarizer and optical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KR20190020925A (ko) * 2017-08-22 2019-03-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편광 필름, 상기 편광 필름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상기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KR20190030523A (ko) * 2017-09-14 2019-03-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20190074168A (ko) * 2017-12-19 2019-06-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20190075756A (ko) * 2017-12-21 2019-07-0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20200092713A (ko) * 2019-01-25 2020-08-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WO2020153640A1 (ko) * 2019-01-25 2020-07-3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41320B1 (ko) 2017-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1320B1 (ko) 일체형 원편광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TWI381196B (zh) A polarizing plate,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 optical film, and an image display device
US9395471B2 (en) Display device
US9720280B2 (en) Compensation film and optical film, and display device
KR102113568B1 (ko) 편광판, 화상 표시 장치 및 화상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명소 콘트라스트의 개선 방법
KR101623086B1 (ko) 반사방지필름 및 이를 구비한 유기발광장치
US9885816B2 (en) Antireflection film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JP2004042653A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US10656459B2 (en) Color polarizing film, antireflective film, and display device
US11360347B2 (en) Window substrate integrated with polarizing plate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KR20170012322A (ko) 광학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
US8467130B2 (en) Retardation film,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KR102112864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표시 장치
US20140308499A1 (en) Window for display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window panel
CN105988154B (zh) 圆偏光板及具有该圆偏光板的amoled显示装置
KR20160118436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JP7377303B2 (ja) 反射防止用偏光板、光学積層体及び光学積層体の製造方法
US20190369292A1 (en) Antireflective polarizing plate, optical laminate, and method for producing optical laminate
KR101424587B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KR102289805B1 (ko) 가식 부착 적층체, 광학 적층체 및 플렉서블 화상 표시 장치
TW201906721A (zh) 積層體、在基板上形成光學體的方法以及相機模組搭載裝置
CN109920926B (zh) 有机发光二极管显示器
US11975500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olarizing plate
KR102454310B1 (ko) 편광 필름, 광학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
WO2013146163A1 (ja) 偏光板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