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8164348A1 -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8164348A1
WO2018164348A1 PCT/KR2017/013937 KR2017013937W WO2018164348A1 WO 2018164348 A1 WO2018164348 A1 WO 2018164348A1 KR 2017013937 W KR2017013937 W KR 2017013937W WO 2018164348 A1 WO2018164348 A1 WO 2018164348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polarizing plate
optical
pattern
resin layer
contrast rat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13937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위동호
이정호
정용운
오영
주영현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CN201780088079.X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0383119A/zh
Priority to US16/489,944 priority patent/US11480825B2/en
Publication of WO2018164348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816434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6Lenses, e.g. microlenses or Fresnel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4Diffusing, scattering, diffracting element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larizing plate and an optic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operates by emitting light from the backlight unit through the liquid crystal panel. Therefore, the contrast ratio (CR) is good at the front of the screen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However, the contrast ratio of the front side of the screen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is bound to fall.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side contrast ratio but minimize the decrease of the front contrast ratio, thereby improving visibility.
  • the liquid crystal display may not be in a driving state continuously but may be in a non-driving state.
  • the liquid crystal display may be displayed in a driving state or a non-driving state for the purpose of product demonstration or product sale.
  • the liquid crystal display When the liquid crystal display is in a non-driven state, when light from an external light is irradiated onto the screen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spots, mura, or splitting of reflected light may occur on the screen to lower black visibility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 the external appearance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an be reduced. Black luminous refers to the degree to which the screen appears black when the LCD is not driven.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larizing plate capable of eliminating the appearance characteristics of the screen of the optical display device caused by external light when the optical display device is not driven.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larizing plate capable of relieving a phenomenon of occurrence of mura and the like on the screen of an optical display device by external light when the optical display device is not driven and improving black visibility.
  •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larizing plate capable of improving the front contrast ratio and the side contrast ratio while driving the optical display device, and minimizing the decrease in the front contrast ratio even if the side contrast ratio is increased.
  •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olarizing plate comprising a polarizing film and a contrast ratio improvement film formed on one surface of the polarizing film
  • the contrast ratio improvement film is a contrast ratio improvement layer consisting of a first protective layer and a first resin layer and a second resin layer facing each other
  • the first resin layer has two or more optical patterns on one surface facing the second resin layer and a pattern portion having a flat portion between the optical pattern and an immediately adjacent optical pattern, wherein the optical pattern has a base angle.
  • ( ⁇ ) is about 75 ° to about 90 °, and the pattern part satisfies the following Equation 2,
  • Equation 2 P is the sum of the maximum width of the optical pattern and the width of the flat portion directly adjacent to the optical pattern (unit: ⁇ m),
  • W is the maximum width of the corresponding optical pattern ( ⁇ m)
  • the pattern portion satisfies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i) and (ii),
  • the optical pattern is different in maximum width from at least one of the neighboring optical patterns
  • the flat portion differs in width relative to at least one of the neighboring flat portions
  • the polarizing plate may have a black luminous determination coefficient of about 0.985 or more.
  • the optical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larizing plate capable of eliminating the appearance characteristics of the screen of the optical display device due to external light when the optical display device is not drive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larizing plate capable of eliminating the phenomenon that Mura occurs on the screen of the optical display device by external light when the optical display device is not driven and improving black visio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olarizing plate capable of improving the front contrast ratio and the side contrast ratio when driving the optical display device, and minimizing the decrease in the front contrast ratio even when the side contrast ratio is increased.
  •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lariz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lariz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Example 4 is a graph for deriving black luminous determination coefficients when the optical display device of Example 5 is not driven.
  • the terms “horizontal direction” and “vertical direction” mean long and short directions of a rectangular LCD screen, respectively.
  • the “side” refers to the front (0 °, 0 °), the left end point (180 °, 90 °), with ( ⁇ , ⁇ ) by a spherical coordinate system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direction.
  • the right end point is referred to as (0 °, 90 °)
  • it means a region where ⁇ becomes 60 ° to 90 °.
  • top part means the highest part of the intaglio optical pattern.
  • spect ratio means the ratio of the maximum height (maximum height / maximum width) to the maximum width of the optical pattern.
  • peripheral means the sum of the maximum width W of one optical pattern and the width L of one flat portion.
  • plane retardation (Re) is a value at a wavelength of 550 nm and is represented by the following formula A:
  • nx and ny are refractive indices in the slow axis direction and the fast axis direction of the protective layer, respectively, at a wavelength of 550 nm, and d is the thickness of the protective layer (unit: nm).
  • (meth) acryl refers to acrylic and / or methacryl.
  • black luminous means a degree in which a screen is displayed as black without occurrence of mura due to external light when the optical display device is not driven.
  • the black luminous performance is superior as the black luminous determination coefficient is higher.
  • the “black luminous determination coefficient” refers to a polarizing plate on which the black luminous determination coefficient is to be measured as a viewing side polarizing plate, to manufactur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to display a fluorescent lamp so as to correspond to an intermediate position in the long direction of the screen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From a predetermined height above. The fluorescent lamp was turned on while the liquid crystal display was not driven, and the screen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was divided by pixel to measure the intensity of the reflected light at each pixel. The intensity (I) of the reflected light measured at each pixel was divided by the maximum value of the measured intensity (I) of the reflected light to obtain a square value at each pixel.
  •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ntrast ratio improvement layer including a pattern portion that satisfies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i) and (ii), and satisfies Equation 2, thereby improving the front contrast ratio and the side contrast ratio when the optical display device is driven.
  • a contrast ratio improvement layer including a pattern portion that satisfies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i) and (ii), and satisfies Equation 2, thereby improving the front contrast ratio and the side contrast ratio when the optical display device is driven.
  • the side contrast ratio is increased, the decrease of the front contrast ratio is minimized, and the following equations 2 and 3 are satisfied at the same time, so that mura and the like are generated on the screen of the optical display device by external light when the optical display device is not driven. It is based on eliminating and improving black visibility.
  • the optical pattern differs in maximum width from at least one of the neighboring optical patterns
  • the flat portion differs in width from at least one of the neighboring flat portions.
  •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olarizing plate 10 may include a polarization film 300 and a contrast ratio improvement film including a contrast ratio improvement layer 100a and a first protective layer 200.
  • contrast ratio improvement films are sequentially stacked on the polarizing film 300.
  • the polarizer 10 may be used as the viewing side polarizer 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 the "viewing side polarizing plate” means a polarizing plate facing the light source with respect to the liquid crystal panel and disposed on the viewer side. When the LCD is not driven, the LCD is affected by external light.
  • the polarizing plate 10 includes the contrast ratio improvement film detailed below. Therefore, in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o which 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applied, external light is diffracted and mixed with each other during non-driving, thereby significantly improving the black visibility of the screen.
  • the polarizing plate may have a black luminous determination coefficient of about 0.985 or more, preferably about 0.985 to about 1.000.
  • the side contrast ratio may be improved by the contrast ratio improvement film when the LCD is driven.
  • the contrast ratio improvement film is formed on the polarizing film 300.
  • the contrast ratio improvement film is formed on the light exit surface of the polarizing film 300.
  • the contrast ratio improvement film may include a first protective layer 200; And a contrast ratio improvement layer 100a which is a laminate of the first and second resin layers 110a and 120a facing each other.
  • the second resin layer 120a, the first resin layer 110a, and the first protective layer 200 are sequentially formed from the polarizing film 300.
  • the first resin layer 110a is formed directly on the second resin layer 120a.
  • the "directly formed” means that no other adhesive layer, adhesive layer, adhesive layer, or optical layer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resin layer 110a and the second resin layer 120a.
  • the first resin layer 110a can increase the light diffusion effect by diffusing the light reaching the second resin layer 120a.
  • the first resin layer 110a may include an optical pattern on one surface of the first resin layer 110a that faces the second resin layer 120a; And a pattern portion having a flat portion between the optical pattern and a neighboring optical pattern. Therefore, the contrast ratio improvement film may diffuse the polarized light incident from the polarizing film 300 to increase the relative luminance at the front side, and simultaneously improve the front contrast ratio (CR) and the side contrast ratio, even if the side contrast ratio is increased.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reduction of the contrast ratio, to reduce the difference between the front contrast ratio and the side contrast ratio, and to increase the contrast ratio at the same side viewing angle and the same front viewing angle.
  • the pattern portion may satisfy the above (i).
  • the maximum width of the first optical pattern is W 1
  • the maximum width of the second optical pattern is W 2 , the third, based on the width direction of the optical pattern.
  • n is an integer of 4 to 500,000. 1 discloses a polarizing plate having four optical patterns, but 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Equation 1-1 At least one of the following Equation 1-1, Equation 1-2, Equation 1-3 may be established, and the width L of the flat portion may be the same.
  • W n -3 is the maximum width of the n-3 th optical pattern
  • W n - 2 is n- based on the width direction of the optical pattern of the pattern portion
  • W n -1 is the maximum width of the n-1th optical pattern
  • W n is the maximum width of the nth optical pattern
  • n is an integer of 4 or more and 500,000 or less).
  • n may be an integer from 5,000 to 200,000.
  • the polarizing plate may further improve black visibility by differentiating the maximum widths of neighboring optical patterns so that external light is diffracted with each other by the optical pattern so that the external light is mixed and extinguished.
  • the optical patterns can all differ from one another in maximum width.
  • Each optical pattern 111 of the pattern portion may have a base angle ⁇ of about 75 ° to about 90 °.
  • the base angle ⁇ means that the angle formed between the inclined plane 112 of each optical pattern 111 and the line of the maximum widths W1, W2, W3, W4 of each optical pattern 111 is about 75 ° to about 90 °. do. In the above rang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relative luminance at the front, improve the front contrast ratio and the side contrast ratio simultaneously, reduce the difference between the front contrast ratio and the side contrast ratio, and increase the contrast ratio at the same side viewing angle and the same front viewing angle. .
  • both base angles are the same among the optical patterns, but an optical pattern having different base angles may also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base angle is included in the above-described about 75 ° to about 90 °.
  • both base angles of the optical pattern are the same.
  • each optical pattern of the pattern portion and the flat portion directly adjacent to the optical pattern may satisfy the following equation 2:
  • Equation 2 P is the sum of the maximum width of the optical pattern and the width of the flat portion directly adjacent to the optical pattern (unit: ⁇ m),
  • W is the maximum width (unit: mu m) of the optical pattern.
  • the optical patterns of the pattern portions have different values from Equation 2 above.
  • the present invention satisfies Equation 3 below when the maximum value of the value of Equation 2 in the pattern portion is [P / W] max and the minimum value of the value of Equation 2 in the pattern portion is [P / W] min. In the non-driving operation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it wa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mura due to external light and to remarkably improve the black visibility.
  • Equation 3 [P / W] max is the maximum value of the P / W of the formula 2,
  • [P / W] min is the minimum value of P / W of the above formula 2.
  • it may be about 1.55 or more and less than about 10, and preferably, 2 ⁇ [P / W] max / [P / W] min ⁇ 10 in Equation 3 above. Within this range, it is possible to make the black luminous sense about 0.995 or more.
  • the optical pattern 111 may be an intaglio optical pattern including one or more inclined surfaces 112 having a first surface 114 formed on the top and connected to the first surface 114.
  • the first surface 114 is formed at the top, and the light reaching the second resin layer 120a in the optical display device can be further diffused by the first surface 114 to increase the viewing angle and luminance. Therefore, 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increase the light diffusion effect and minimize the luminance loss.
  • FIG. 1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first surface 114 is flat and the first surface 114 is formed parallel to the flat portion 113. However, the first surface 114 may have fine irregularities or curved surfaces. It may be.
  • the first surface 114 When the first surface 114 is formed as a curved surface, a lenticular lens pattern may be formed.
  • the first surface 114 may have a width A of about 0.5 ⁇ m to about 30 ⁇ m, specifically about 2 ⁇ m to about 20 ⁇ m.
  • FIG. 1 illustrates a pattern in which an optical pattern is formed at the top and an inclined surface is planar, and a cross section is trapezoidal (for example, a cross-section of a prism having a triangular cross section, cut-prism shape).
  • the case where the upper part of the pattern is a cut-micro lens may also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optical pattern may be a pattern of N squares (N is an integer of 3 to 20) in which the cross section includes a rectangle, a square, or the like.
  • the optical pattern 111 may have an aspect ratio of about 0.3 to about 3.0, specifically about 0.3 to about 2.5, and more specifically about 0.3 to about 1.5. For example, about 0.3 to about 1.4, for example about 0.3 to about 1. Within this range, the contrast ratio and the viewing angle at the side in the optical display device can be improved.
  • the height H of the optical pattern 111 may be about 40 ⁇ m or less, specifically about 30 ⁇ m or less. Even more specifically about 5 ⁇ m to about 15 ⁇ m. In the above range, the contrast ratio improvement, the viewing angle improvement, and the luminance improvement are shown and moiré or the like may not appear.
  • the height of the optical pattern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or at least one or more of the neighboring patterns may have a different height of the optical pattern.
  • the heights of the optical patterns are the same.
  • the maximum widths W1, W2, W3, and W4 of the optical pattern 111 may be about 80 ⁇ m or less, specifically about 50 ⁇ m or less. Even more specifically about 5 ⁇ m to about 25 ⁇ m. In the above range, the contrast ratio improvement, the viewing angle improvement, and the luminance improvement are shown and moiré or the like may not appear.
  •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ximum value and the minimum value among the maximum widths of the optical pattern 111 may be about 2 ⁇ m or more. Preferably about 2 ⁇ m to about 20 ⁇ m, more preferably about 2 ⁇ m to about 15 ⁇ m. In the above range, there may be a black luminous improvement effect.
  • the flat portion 113 is formed between the optical pattern and the neighboring optical pattern.
  • the flat part 113 may emit light reaching the flat part 113 to diffuse the light and maintain the front contrast ratio and the brightness.
  • the ratio of the maximum widths W1, W2, W3, and W4 of the optical pattern 111 to the width L of the flat portion 113 may be about 9 or less. Specifically, about 0.10 to about 3. More specifically about 0.15 to about 2.6. In the above rang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relative luminance at the front side, to reduce the difference between the front contrast ratio and the side contrast ratio, to increase the contrast ratio at the same side viewing angle and the same front viewing angle, and to have a moiré prevention effect.
  • the width L of the flat portion 113 may be about 1 ⁇ m to about 300 ⁇ m, specifically about 3 ⁇ m to about 50 ⁇ m and more specifically about 5 ⁇ m to about 20 ⁇ m. In the above range, there may be an effect of increasing the front brightness.
  • the maximum width of the optical pattern is about 5 ⁇ m to about 25 ⁇ m, and the width of the flat portion may be about 3 ⁇ m to about 50 ⁇ m.
  • the periods P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 the period P is the sum of the maximum width of the optical pattern and the width of one flat portion formed directly therewith.
  • the period P may be about 0.6 times or more, for example, about 0.6 times to about 5 times the maximum width W of the optical pattern. In the above range, the moiré can be prevented while improving the brightness and the contrast ratio.
  • the period P may be about 5 ⁇ m to about 500 ⁇ m, specifically about 10 ⁇ m to about 25 ⁇ m.
  • the moiré can be prevented while improving the brightness and contrast ratio within the above range.
  • the first resin layer 110a has a higher refractive index than the second resin layer 120a.
  • the absolute value of the difference in refractive index between the first resin layer 110a and the second resin layer 120a may be about 0.20 or less, specifically about 0.05 to about 0.20. More specifically, it may be about 0.10 to about 0.15. In the above range, the light diffusion and contrast ratio improvement effect can be large.
  • the contrast ratio improvement film having a refractive index difference of about 0.10 to about 0.15 is excellent in the diffusion effect of polarization in the optical display device, thereby increasing luminance at the same viewing angle.
  • FIG. 1 illustrates a case where the first resin layer 110a has a higher refractive index than the second resin layer 120a. However, the case where the first resin layer 110a has a lower refractive index than the second resin layer 120a may also b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first resin layer 110a may have a refractive index of about 1.50 or more, specifically about 1.50 to about 1.70. In the above range, the light diffusion effect can be excellent.
  • the first resin layer 110a may be formed of an ultraviolet curable composition or a thermosetting composition including one or more of (meth) acrylic, polycarbonate, silicone, and epoxy resin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first resin layer 110a is formed in direct contact with the first protective layer 20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 the first resin layer 110a may be formed directly on the first protective layer 200 or may be formed of a self-adhesive resin to facilitate bonding between layers as an adhesive agent layer.
  • an adhesive layer, an adhesive layer, or an adhesive layer may be further formed between the first protective layer 200 and the first resin layer 110a.
  • the second resin layer 120a may diffuse light by refracting the light incident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optical display device in various directions according to the incident position.
  • the second resin layer 120a is formed in direct contact with the first resin layer 110a.
  • the second resin layer 120a may include a filling pattern 121 fill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optical pattern 111.
  • the term “filling at least a portion” includes both cases of completely filling or partially filling the optical pattern.
  • the remaining portion may be filled with air or a resin having a predetermined refractive index.
  • the resin may have the same or larger refractive index than the second resin layer or the same or smaller than the first resin layer.
  • the optical pattern may be formed in an extended form of a stripe type, or the optical pattern may be formed in a dot form. The "dot" means that the optical pattern is dispersed.
  • the second resin layer 120a may have a refractive index of less than about 1.52, specifically, about 1.35 or more and less than about 1.50. In the above range, the light diffusing effect is large, manufacturing can be easy, and the light diffusing and contrast ratio improvement effects of polarized light can be large.
  • the second resin layer 120a may be formed of an ultraviolet curable or heat curable composition containing a transparent resin.
  • the resin may include one or more of (meth) acrylic, polycarbonate, silicone, and epoxy resins,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transparent resin may have a light transmittance of about 90% or more after curing.
  • the second resin layer 120a may be non-adhesive without adhesiveness, but may be formed of a self-adhesive adhesive resin to facilitate bonding between layers as an adhesive agent layer or to prevent the polarizer protective layer from being separately provided when bonding between layers. Can be thinned.
  • the self adhesive resin may be an acrylic resin, an epoxy resin, or a urethane resin.
  • the second resin layer 120a may be adhered to the polarizing film 300 by an adhesive layer.
  • the adhesive layer may be formed of an aqueous adhesive, a photocurable adhesive, or the like.
  • the contrast ratio improvement layer 100a may have a thickness of about 10 ⁇ m to about 100 ⁇ m, specifically about 20 ⁇ m to about 60 ⁇ m, and more specifically about 20 ⁇ m to about 45 ⁇ m. In the above range, it can be sufficiently supported by the first protective layer and can be used for the optical display device.
  • the first protective layer 200 is a light transmitting layer and may transmit light diffused through the first resin layer in the optical display device.
  • the first protective layer 200 may be a retardation film or an isotropic optical film having a phase difference in a predetermined range.
  • the first protective layer may have a Re of about 8,000 nm or more, specifically about 10,000 nm or more, more specifically about 10,000 nm or more, and more specifically about 10,100 nm to about 15,000 nm. Within this range, rainbow spots can be prevented from being seen, and the diffusion effect of light diffused through the laminate of the second resin layer and the first resin layer can be greater.
  • the first protective layer may be an isotropic optical film having Re of about 60 nm or less, specifically about 0 nm to about 60 nm, more specifically about 40 nm to about 60 nm.
  • the term “isotropic optical film” means a film in which nx, ny, and nz are substantially the same, and the term “substantially the same” includes both cases where the error is not only the same but also includes some errors.
  • the first protective layer may be a retardation film having a Re of about 8,000 nm or more, specifically about 10,000 nm or more, more specifically about 10,000 nm or more.
  • the first protective layer 200 may have a thickness of about 30 ⁇ m to about 120 ⁇ m, specifically about 20 ⁇ m to about 80 ⁇ m. It can be used in the optical display device in the above range.
  • the first passivation layer 200 may have a light transmittance of about 80% or more, specifically about 85% to about 95% in the visible light region.
  • the first protective layer 200 may include a film obtained by uniaxially or biaxially stretching the optical transparent resin.
  • the resin is a polyester, acrylic, cyclic olefin polymer (COP), triacetyl cellulose (TAC), etc., includin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butylene terephthalate, polyethylene naphthalate, polybutylene naphthalate, etc. Cellulose ester, polyvinylacetate, polyvinyl chloride (PVC), polynorbornene, polycarbonate (PC), polyamide, polyacetal, polyphenylene ether, polyphenylene sulfide, polysulfone, polyether sulfone , Polyarylate, polyimide.
  • the first protective layer may include a film formed of a polyester resin.
  • the first protective layer may include a film produced after the modification of the above-described resin. The modification may include copolymerization, branching, crosslinking, or modification of the molecular terminus.
  • the first protective layer may include a base film and a primer layer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base film.
  • the base film supports the first protective layer, and may have a transmittance of the base layer by having a refractive index ratio in a predetermined range with respect to the primer layer.
  • the ratio of the refractive index of the primer layer to the refractive index of the base film may be about 1.0 or less, specifically about 0.6 to about 1.0. More specifically, it may be about 0.69 to about 0.95. Even more specifically from about 0.7 to about 0.9, even more specifically from about 0.72 to about 0.88.
  • the base film may have a refractive index of about 1.3 to about 1.7. Specifically, about 1.4 to about 1.6. In the above range, it can be used as the base film of the first protective layer, it is easy to control the refractive index with the primer layer,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transmittance of the first protective layer.
  • the base film may include a film formed of the above-mentioned resin.
  • the primer layer is formed between the base film and the first resin layer, and can enhance adhesion between the base film and the first resin layer.
  • the primer layer may have a refractive index of about 1.0 to about 1.6, specifically about 1.1 to about 1.6, more specifically about 1.1 to about 1.5.
  • the primer layer may have a thickness of about 1 nm to about 200 nm, specifically about 60 nm to about 200 nm. In the above range, it can be used in the optical film, to have a proper refractive index compared to the base film to increase the transmittance of the base layer, it can be eliminated brittle phenomenon.
  • the primer layer may be a non-urethane-based primer layer containing no urethane group.
  • the primer layer may be formed of a composition for a primer layer containing a resin or monomer, such as polyester, acrylic.
  • the refractive index can be provided by controlling the mixing ratio (eg molar ratio) of these monomers.
  • the composition for primer layers may further contain 1 or more types of additives, such as a UV absorber, an antistatic agent, an antifoamer, surfactant.
  • the polarizing film 300 polarizes incident light and may include a polarizer.
  • the polarizing film may include a polarizer.
  • the polarizer polarizes incident light, and may include conventional polarizers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 the polarizer may include a polyvinyl alcohol polarizer manufactured by uniaxially stretching the polyvinyl alcohol film, or a polyene polarizer manufactured by dehydrating the polyvinyl alcohol film.
  • the polarizer may have a thickness of about 5 ⁇ m to about 40 ⁇ m. Within this range, it can be used for an optical display device.
  • the polarizing film may include a polarizer and a second protective layer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polarizer.
  • the second protective layer can suppress the penetration of external moisture into the polarizer and can increase the mechanical strength of the polarizing plate.
  • the second protective layer may be formed between the polarizer and the contrast ratio improvement film.
  • the second protective layer may comprise one or more of an optically clear, protective film or protective coating layer.
  • the second protective layer when the second protective layer is a protective film type, it may include a protective film formed of an optically transparent resin.
  • the protective film may be formed by melting and extruding the resin. If necessary, additional stretching processes may be added.
  • the resin may comprise one or more of the resins described above.
  • the protective film may be an optically transparent liquid crystal film.
  • the protective coating layer may be formed of an active energy ray curable resin composition comprising an active energy ray curable compound and a polymerization initiator.
  • the active energy ray curable compoun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ationically polymerizable curable compound, a radically polymerizable curable compound, a urethane resin, and a silicone resin.
  • the cationically polymerizable curable compound may be an epoxy compound having at least one epoxy group in a molecule, or an oxetane compound having at least one oxetane ring in a molecule.
  • the radically polymerizable curable compound may be a (meth) acrylic compound having at least one (meth) acryloyloxy group in a molecule.
  • the epoxy compound may be at least one of a hydrogenated epoxy compound, a chain aliphatic epoxy compound, a cyclic aliphatic epoxy compound, and an aromatic epoxy compound.
  • the radically polymerizable curable compound has excellent hardness, mechanical strength, and durability. High protective coating layer can be implemented.
  • the radically polymerizable curable compound can be obtained by reacting two or more kinds of (meth) acrylate monomers and functional group-containing compounds having at least one (meth) acryloyloxy group in a molecule, and at least two (meth) acryloyl jade in the molecule.
  • a (meth) acrylate oligomer which has timing is mentioned.
  • the (meth) acrylate monomer As a (meth) acrylate monomer, the monofunctional (meth) acrylate monomer which has one (meth) acryloyloxy group in a molecule
  • the (meth) acrylate oligomer may be a urethane (meth) acrylate oligomer, a polyester (meth) acrylate oligomer, an epoxy (meth) acrylate oligomer, or the like.
  •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can cure the active energy ray curable compound.
  •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may comprise one or more of a photocationic initiator, a photosensitizer.
  • Photocationic initiators can be used those commonly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 the photocationic initiator may use an onium salt containing a cation and an anion.
  • the cation is diphenyl iodonium, 4-methoxydiphenyl iodonium, bis (4-methylphenyl) iodonium, bis (4-tert-butylphenyl) iodonium, bis (dodecylphenyl) iodonium, (4 Triarylsulfonium, such as diaryl iodonium, such as -methylphenyl) [(4- (2-methylpropyl) phenyl) iodonium, triphenylsulfonium, diphenyl-4-thiophenoxyphenylsulfonium, and bis [ 4- (diphenylsulfonio) phenyl] sulfide etc.
  • the anion includes hexafluorophosphate, tetrafluoroborate, hexafluoroantimonate, hexafluoroarsenate, hexachloroantimonate, and the like.
  • a photosensitizer can be used conventionally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Specifically, the photosensitizer may be used at least one of thioxanthone, phosphorus, triazine, acetophenone, benzophenone, benzoin, oxime.
  • the polymerization initiator may be included in an amount of about 0.01 parts by weight to about 10 parts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active energy ray-curable compound.
  • the curing may be sufficiently high mechanical strength and good adhesion to the polarizer.
  • the active energy ray curable resin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conventional additives such as silicone-based leveling agents, ultraviolet absorbers, antistatic agents, and the like.
  • the additive may be included in about 0.01 parts by weight to about 1 part by weight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the total active energy ray curable compound.
  • the protective coating layer may be a liquid crystal coating layer.
  • the second protective layer may have the same or different phase difference, material, thickness, and the like than the first protective layer.
  • the thickness of the second protective layer may be about 5 ⁇ m to about 200 ⁇ m, specifically, about 30 ⁇ m to about 120 ⁇ m, about 50 ⁇ m to about 100 ⁇ m for the protective film type, and about 5 ⁇ m for the protective coating layer type. Micrometers to about 50 micrometers. It can be used in the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within the above range.
  •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lariz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olarizing plate 20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polarizing plate 10 except that the maximum width of the optical pattern 111 is the same as that of the polarizing plate 10 and satisfies the above (ii).
  • the polarizing plate 20 includes a contrast ratio improvement layer 100b including a first resin layer 110b and a second resin layer 120b.
  • the width of the first flat portion is L1
  • the width of the second flat portion is L2
  • the width of the third flat portion is L3
  • the m-3th is based on the width direction of the optical pattern 111 among the pattern portions.
  • the width of the flat portion is L m-3
  • the width of the m-2 flat portion is L m-2
  • the width of the m-1 flat portion is L m-1
  • the width of the m flat portion is L m
  • At least one of -1, 4-2, 4-3 holds, and the maximum width W of the optical pattern 111 is the same:
  • L is a m-3 m-3 first flat portion width
  • L 2 m- is a m-2 th of the flat portion width
  • L is a m-1 m-1 Width of the first flat portion
  • L m is the width of the m flat portion
  • m is an integer of 4 to 500,000.
  • m may be an integer from 5,000 to 200,000.
  • the width of each flat portion may be different in the pattern portion.
  • the polarizing plate 20 also satisfies Equation 3, thereby improving black visibility when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s not driven and suppressing spots.
  • each optical pattern satisfies Equation 2 and the base angle is about 75 ° to about 90 °
  • the polarizing plate 20 may increase the relative luminance at the front and simultaneously improve the front contrast ratio and the side contrast ratio. Therefo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front contrast ratio and the side contrast ratio can be reduced, and the contrast ratio can be increased at the same side viewing angle and the same front viewing angle.
  •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ximum value and the minimum value of the width of the flat portion 113 may be about 7 ⁇ m or more, preferably about 7 ⁇ m to about 20 ⁇ m. In the above range, there may be a black luminous improvement effect.
  • the maximum width of the optical pattern is about 5 ⁇ m to about 25 ⁇ m, and the width of the flat portion may be about 3 ⁇ m to about 50 ⁇ m.
  •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lariz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polarizing plate 30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polarizing plate 10 except for satisfying both the above (i) and (ii) compared to the polarizing plate 10.
  • the polarizing plate 30 includes a contrast ratio improvement layer 100c satisfying the first resin layer 110c and the second resin layer 120c.
  • the polarizing plate 30 satisfies at least one of Equations 1-1, 1-2, and 1-3, and at least one of Equations 4-1, 4-2, and 4-3.
  • the polarizing plate 30 also satisfies Equation 3 above, thereby improving black visibility and suppressing spots when the LCD is not driven.
  • the polarizing plate 30 also increases the relative luminance at the front, and each of the optical pattern satisfies Equation 2 and the base angle is about 75 ° to about 90 °, and can improve the front contrast ratio and the side contrast ratio at the same time. Therefo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front contrast ratio and the side contrast ratio can be reduced, and the contrast ratio can be increased at the same side viewing angle and the same front viewing angle.
  •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ximum value and the minimum value among the maximum widths of the optical pattern 111 may be about 2 ⁇ m or more, preferably about 2 ⁇ m to about 20 ⁇ m.
  •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ximum value and the minimum value of the width of the flat portion 113 may be about 7 ⁇ m or more, preferably about 7 ⁇ m to about 20 ⁇ m. In the above range, there may be a black luminous improvement effect.
  • the maximum width of the optical pattern is about 5 ⁇ m to about 25 ⁇ m, and the width of the flat portion may be about 3 ⁇ m to about 50 ⁇ m.
  • the optical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optical display device may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may include the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viewing side polarizing plate with respect to the liquid crystal panel.
  •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may be sequentially stacked with the backlight unit, the first polarizing plate, the liquid crystal panel, the second polarizing plate, the second polarizing plate may comprise a polarizing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 the liquid crystal panel may employ a VA (vertical alignment) mode, an IPS mode, a patterned vertical alignment (PVA) mode, or a super-patterned vertical alignment (S-PVA) mod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An optical pattern and a flat portion are applied to the coating layer and cured by using a film having an optical pattern having the same bottom surface and a pattern portion having a flat portion formed between the optical patterns, and curing the optical pattern and the flat surface.
  • Trapezoidal optical pattern of 2) and the 1st resin layer provided with the pattern part in which the flat part was formed alternately. At this time, each maximum width W of the optical pattern is the same.
  • Each maximum height H of the optical pattern is the same.
  • the widths L of the flat portions formed between the optical patterns were varied from 5 ⁇ m to 18 ⁇ m, respectively.
  • the refractive index of the first resin layer is 1.59.
  • An ultraviolet-ray curable resin (Shin-A T & C) was coated on the first resin layer to prepare a contrast ratio improvement film having a second resin layer having a filling pattern completely filling the optical pattern.
  •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econd resin layer is 1.47.
  • the polyvinyl alcohol film was stretched three times at 60 ° C., adsorbed with iodine, and stretched 2.5 times in an aqueous boric acid solution at 40 ° C. to prepare a polarizer.
  • Adhesive polarizing plate adhesive (Z-200, Nippon Goshei) was applied to one surface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prepared polarizer, respectively, COP film (ZEON) and PET film (Toyobo thickness: 80 ⁇ m) on one surface. Adhesion.
  • Example 1 the maximum height H and the maximum width W of the optical pattern were changed according to Table 1 below, the width L of the flat portion was changed differently in the range of Table 1 below, and the P / W A polarizing plate was manufactured in the same manner except that the minimum value and the maximum value of P / W were set to Table 1 below.
  • Example 1 the maximum height H of the optical pattern is changed according to Table 2 below, the width L of the flat portion is changed differently in the range of Table 2 below, and the maximum width W of the optical pattern is
  • the polarizing plate was manufactured by the same method except that it changed differently in the range of Table 2, and the minimum value of P / W and the maximum value of P / W became Table 2 below.
  • Example 1 the maximum height H of the optical pattern is changed according to Table 2 below, the width L of the flat portion is changed according to Table 2 below, and the maximum width W of the optical pattern is shown in Table 2 below.
  • the polarizing plate was manufactured by the same method except that the range was changed differently and the minimum value of P / W and maximum value of P / W were set to Table 2 below.
  • Example 1 the polarizing plate was produced in the same manner except that the maximum width of the optical pattern was the same at 7 ⁇ m, the width of the flat portion was the same at 7 ⁇ m, and the height of the optical pattern was the same at 7 ⁇ m.
  • the module f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was manufactured using the polarizing plate of an Example and a comparative example.
  • the polyvinyl alcohol film was stretched three times at 60 ° C., adsorbed with iodine, and stretched 2.5 times in an aqueous boric acid solution at 40 ° C. to prepare a first polarizer.
  • a triacetyl cellulose film (thickness: 80 ⁇ m) was bonded to both surfaces of the first polarizer with a polarizing plate adhesive (Z-200, Nippon Goshei) as a substrate layer to prepare a first polarizing plate.
  • Production Example 2 Manufacturing Module for Liquid Crystal Display
  • the first polarizing plate of Preparation Example 1, the liquid crystal panel (PVA mode), and the polarizing plates prepar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were sequentially assembled to manufacture a module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the polarizing plates manufactured in the Example and the comparative example were assembled into the viewing side polarizing plate.
  •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the manufactured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is shown in Tables 1 and 2 below.
  • the following physical properties were evaluated using the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manufactured in Examples and Comparative Examples,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s 1 and 2 below.
  •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s manufactured as described above.
  • a 3-wavelength fluorescent lamp (OSRAM) was placed at a height of 30 cm from the viewer-side polarizing plate, and then turned on to take a reflection image.
  • the three-wavelength fluorescent lamp corresponds to the middle value in the long direction of the screen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the intensity I of the reflected light was extracted pixel by pixel using an image analysis program ImageJ.
  • the pixel was obtained by dividing the outermost part of the three-wavelength fluorescent lamp among the screens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by a total of 250 pixels in the long direction of the screen of th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from the pixel unit 0 and the pixel unit 0.
  • the intensity (I) of the reflected light measured at each pixel was divided by the maximum value (the reflected light at pixel unit 0) of the measured intensity (I) of the reflected light to obtain a square value at each pixel.
  • 4 is a graph obtained in Example 5 with the pixel position as the x-axis and the square value as the y-axis. In FIG.
  • the blue line represents a square value according to the pixel position
  • the black solid line represents a normalized value.
  • the closer the black luminous determination coefficient is to 1, the better the appearance, and the smaller the black luminous determination coefficient means that the intensity vibration width of the reflected light is larger, which means that the diffracted light is more prominent.
  • the polarizing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eliminates the phenomenon that Mura occurs on the screen of the optical display device by external light when the optical display device is not driven, and improves black visibility.
  • the side contrast ratio can be improved when the optical display device is drive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편광판은 편광필름 및 상기 편광필름 일면에 형성된 명암비 개선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명암비 개선 필름은 제 1보호층 및 서로 대향하는 제 1수지층 및 제 2수지층으로 이루어진 명암비 개선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수지층은 상기 제 2수지층과 대향하는 일면에 2개 이상의 광학 패턴 및 상기 광학 패턴 및 바로 이웃하는 광학 패턴 사이에 평탄부를 갖는 패턴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본 발명은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는 백라이트 유닛에서 나온 광이 액정패널을 통해 출사됨으로써 작동된다. 따라서, 액정표시장치의 화면 중 정면에서는 명암비(contrast ratio, CR)가 좋다. 그러나, 액정표시장치의 화면 중 측면은 정면 대비 명암비가 떨어질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측면 명암비를 높이되 정면 명암비의 감소를 최소화시키는 것이 필요하고, 이를 통해 시인성을 개선할 수 있다.
액정표시장치는 계속해서 구동 상태에 있는 것이 아니라 비 구동 상태에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액정표시장치는 제품 시연 또는 제품 판매의 목적으로 구동 상태 또는 비 구동 상태로 전시될 수 있다. 액정표시장치가 비 구동 상태일 때, 외부 조명에 의한 광이 액정표시장치의 화면에 조사될 경우 상기 화면에 얼룩 또는 무라가 생기거나 또는 반사광이 갈라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액정표시장치의 블랙 시감을 낮추고 액정표시장치의 외관을 저하시킬 수 있다. 블랙 시감은 액정표시장치가 비 구동 상태일 때 화면이 블랙으로 보이는 정도를 의미한다.
따라서, 구동 상태에서는 측면뿐만 아니라 정면에서도 명암비를 좋게 하고 비 구동 상태에서는 상술한 외관 저하의 문제점이 없게 하는 편광판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일본공개특허 제2006-251659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광학표시장치의 비 구동시, 외부 광에 의한 광학표시장치의 화면의 외관 특성 저하를 해소할 수 있는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광학표시장치의 비 구동시, 외부 광에 의해 광학표시장치의 화면에 무라 등이 발생하는 현상을 해소하고 블랙 시감을 개선할 수 있는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광학표시장치의 구동 시, 정면 명암비와 측면 명암비를 개선시킬 수 있고 측면 명암비를 높이더라도 정면 명암비의 감소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편광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편광판은 편광필름 및 상기 편광필름 일면에 형성된 명암비 개선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이고, 상기 명암비 개선 필름은 제 1보호층 및 서로 대향하는 제 1수지층 및 제 2수지층으로 이루어진 명암비 개선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수지층은 상기 제 2수지층과 대향하는 일면에 2개 이상의 광학 패턴 및 상기 광학 패턴 및 바로 이웃하는 광학 패턴 사이에 평탄부를 갖는 패턴부를 구비하고, 상기 광학 패턴은 밑각(α)이 약 75° 내지 약 90°이고, 상기 패턴부는 하기 식 2를 만족하고,
<식 2>
1 < P/W ≤ 10
(상기 식 2에서, P는 해당 광학 패턴의 최대 폭과 해당 광학 패턴에 직접적으로 이웃하는 평탄부의 폭의 합(단위:㎛),
W는 해당 광학 패턴의 최대 폭(단위:㎛)),
상기 패턴부는 하기 (i), (ii) 중 하나 이상을 만족하고,
(i) 상기 광학 패턴은 이웃하는 상기 광학 패턴 중 적어도 하나 이상 대비 최대 폭이 다르다;
(ii) 상기 평탄부는 이웃하는 상기 평탄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 대비 폭이 다르다;
상기 편광판은 블랙 시감 결정 계수가 약 0.985 이상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표시장치는 본 발명의 편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광학표시장치의 비 구동시, 외부 광에 의한 광학표시장치의 화면의 외관 특성 저하를 해소할 수 있는 편광판을 제공하였다.
본 발명은 광학표시장치의 비 구동시, 외부 광에 의해 광학표시장치의 화면에 무라 등이 발생하는 현상을 해소하고 블랙 시감을 개선할 수 있는 편광판을 제공하였다.
본 발명은 광학표시장치의 구동 시, 정면 명암비와 측면 명암비를 개선시킬 수 있고 측면 명암비를 높이더라도 정면 명암비의 감소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편광판을 제공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실시예 5의 광학표시장치 비구동시 블랙 시감 결정 계수를 도출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상부”와 “하부”는 도면을 기준으로 정의한 것으로서, 시 관점에 따라 “상부”가 “하부”로 “하부”가 “상부”로 변경될 수 있고,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바로 위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조를 개재한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반면, “직접 위(directly on)”, “바로 위” 또는 “직접적으로 형성” 또는 “직접적으로 접하여 형성”으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구조를 개재하지 않은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수평 방향”, “수직 방향”은 각각 직사각형의 액정표시장치 화면의 장방향과 단방향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측면"은 수평 방향을 기준으로, 구면 좌표계(spherical coordinate system)에 의한 (φ, θ)로 정면을 (0°, 0°), 좌측 끝 지점을 (180°, 90°), 우측 끝 지점을 (0°, 90°)라고 할 때, θ 가 60° 내지 90°가 되는 영역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정상부(top part)”는 음각의 광학 패턴 중 가장 높은 부분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종횡비(aspect ratio)”는 광학 패턴의 최대 폭에 대한 최대 높이의 비(최대 높이/최대 폭)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주기”는 하나의 광학 패턴의 최대 폭(W)과 하나의 평탄부의 폭(L)의 합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면방향 위상차(Re)”는 파장 550nm에서의 값이고, 하기 식 A로 표시된다:
<식 A>
Re = (nx - ny) x d
(상기 식 A에서, nx, ny는 파장 550nm에서 각각 해당 보호층의 지상축 방향,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이고, d는 해당 보호층의 두께(단위: nm)이다).
본 명세서에서 “(메트)아크릴”은 아크릴 및/또는 메타아크릴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블랙 시감”은 광학표시장치의 비구동 시 외부광에 의한 무라 등이 발생하지 않고 화면이 블랙으로 보이는 정도를 의미한다. 블랙 시감은 블랙 시감 결정 계수가 높을수록 우수하다.
본 명세서에서 “블랙 시감 결정 계수”는 블랙 시감 결정 계수를 측정하고자 하는 편광판을 시인측 편광판으로 하여 액정표시장치를 제조하고, 액정표시장치의 화면 중 장방향의 중간 위치에 대응되도록 형광 램프를 화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위에 배치하였다. 액정표시장치가 비 구동인 상태에서 형광 램프를 켜고, 액정표시장치의 화면을 픽셀 단위로 나누어 각각의 픽셀에서 반사광의 강도를 측정하였다. 각각 픽셀에서 측정된 반사광의 강도(I)를 측정된 반사광의 강도(I) 중 최대값으로 나누어 각각의 픽셀에서 제곱값을 얻었다. 픽셀 단위 위치를 x축으로 하고 상기 얻은 제곱값을 y축으로 하여 그래프화하고, 통계학적 분석 방법으로 정규화(normalization)하였다. 정규화로부터 지수 함수(y=aebx)의 추세선과 잔차(residual)를 얻었다. 잔차를 블랙 시감 결정 계수로 사용하였다. 블랙 시감 결정 계수가 1에 가까울수록 외관이 양호하며, 블랙 시감 결정 계수가 작을수록 반사광의 강도 진동 폭이 큰 것을 의미하므로 회절광이 두드러지게 보임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하기 (i), (ii) 중 하나 이상을 만족하는 패턴부를 구비하는 명암비 개선층을 포함하고, 하기 식 2를 만족함으로써 광학표시장치의 구동 시, 정면 명암비와 측면 명암비를 개선시킬 수 있고 측면 명암비를 높이더라도 정면 명암비의 감소를 최소화하고, 하기 식 2와 하기 식 3을 동시에 만족함으로써 광학표시장치의 비 구동시에는 외부 광에 의해 광학표시장치의 화면에 무라 등이 발생하는 현상을 해소하고 블랙 시감을 개선하도록 한 것에 기초한 것이다.
(i) 광학 패턴은 이웃하는 상기 광학 패턴 중 적어도 하나 이상 대비 최대 폭이 다르다;
(ii) 평탄부는 이웃하는 상기 평탄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 대비 폭이 다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을 도 1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의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편광판(10)은 편광필름(300), 및 명암비 개선층(100a)과 제1보호층(200)을 포함하는 명암비 개선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편광판(10)은 편광필름(300)에 명암비 개선 필름이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있다. 편광판(10)은 액정표시장치에서 시인측 편광판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시인측 편광판”은 액정패널을 기준으로 광원과 대향하고 관찰자 쪽에 배치되는 편광판을 의미한다. 액정표시장치의 비 구동시에 액정표시장치는 외부 광에 의한 영향을 받게 된다. 편광판(10)은 하기 상술되는 명암비 개선 필름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편광판이 적용된 액정표시장치에서 비 구동시에 외부 광이 서로 회절되어 혼합(mixing)되도록 함으로써, 화면의 블랙 시감을 현저하게 개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편광판은 블랙 시감 결정 계수가 약 0.985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0.985 내지 약 1.000이 될 수 있다. 또한, 편광판(10)은 명암비 개선 필름을 포함함으로써 액정표시장치의 구동시에는 명암비 개선 필름에 의해 측면 명암비를 개선할 수 있다.
명암비 개선 필름
명암비 개선 필름은 편광필름(300) 상에 형성되어 있다. 명암비 개선 필름은 편광필름(300)의 광출사면에 형성되어 있다.
명암비 개선 필름은 제1보호층(200); 및 서로 대향하는 제1수지층(110a) 및 제2수지층(120a)의 적층체인 명암비 개선층(100a)으로 이루어져 있다. 명암비 개선 필름은 편광필름(300)으로부터 제2수지층(120a), 제1수지층(110a), 제1보호층(200)이 순차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수지층(110a)은 제2수지층(120a)에 직접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직접적으로 형성”은 제1수지층(110a)과 제2수지층(120a) 사이에 임의의 다른 점착층, 접착층, 점접착층, 또는 광학층이 개재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제1수지층(110a)은 제2 수지층(120a)에 도달한 광을 확산시킴으로써 광확산 효과를 크게 할 수 있다.
제1수지층(110a)은 제2수지층(120a)과 대향하는 일면에, 광학 패턴; 및 상기 광학 패턴과 이웃하는 광학 패턴 사이에 평탄부를 갖는 패턴부를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명암비 개선 필름은 편광필름(300)으로부터 입사된 편광을 확산시켜 정면에서의 상대휘도를 높이고, 정면 명암비(contrast ratio, CR)와 측면 명암비를 동시에 개선시킬 수 있고, 측면 명암비를 높이더라도 정면 명암비의 감소를 최소화하고, 정면 명암비와 측면 명암비의 차이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동일 측면 시야각, 동일 정면 시야각에서 명암비를 높일 수 있다.
패턴부는 상기 (i)을 만족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도 1을 참조하면, 패턴부에 있어서, 광학 패턴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1번째 광학 패턴의 최대 폭을 W1, 2번 째 광학 패턴의 최대 폭을 W2, 3번째 광학 패턴의 최대 폭을 W3, ...n-2번째 광학 패턴의 최대 폭을 Wn -2, n-1번째 광학 패턴의 최대 폭을 Wn -1, n번째 광학 패턴의 최대 폭을 Wn이라고 하였다. 이때, n은 4 내지 500,000의 정수이다. 도 1은 4개의 광학 패턴이 형성된 편광판을 개시한 것이나, 본 발명의 편광판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패턴부는 하기 식 1-1, 식 1-2, 식 1-3 중 하나 이상이 성립될 수 있고, 평탄부의 폭(L)은 서로 동일하다:
<식 1-1>
Wn -1 ≠ Wn
<식 1-2>
Wn -2 ≠ Wn
<식 1-3>
Wn -3 ≠ Wn
(상기 식 1-1, 1-2, 1-3에서, 상기 패턴부 중 광학 패턴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Wn -3은 n-3번째 광학 패턴의 최대 폭, Wn - 2은 n-2번째 광학 패턴의 최대 폭, Wn -1은 n-1번째 광학 패턴의 최대 폭, Wn은 n번째 광학 패턴의 최대 폭이고,
n은 4 이상 500,000 이하의 정수).
바람직하게는 n은 5,000 내지 200,000의 정수가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편광판은 이웃하는 광학 패턴의 최대 폭이 서로 상이함으로써 외부 광이 광학 패턴에 의해 서로 회절되어 외부 광이 믹싱되어 소멸됨으로써 블랙 시감을 더 개선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광학 패턴은 최대 폭이 모두 서로 다를 수 있다.
패턴부 중 각각의 광학 패턴(111)은 밑각(α)이 약 75° 내지 약 90°가 될 수 있다. 밑각(α)은 각각의 광학 패턴(111)의 경사면(112)과 각각의 광학 패턴(111)의 최대폭(W1, W2, W3, W4)의 선과 이루는 각이 약 75° 내지 약 90°를 의미한다. 상기 범위에서, 정면에서의 상대휘도를 높이고, 정면 명암비와 측면 명암비를 동시에 개선시킬 수 있고, 정면 명암비와 측면 명암비의 차이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동일 측면 시야각, 동일 정면 시야각에서 명암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광학 패턴 중 양쪽 밑각이 동일한 경우를 나타내었으나, 밑각이 상술한 약 75° 내지 약 90°에 포함된다면 밑각이 서로 다른 광학 패턴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광학 패턴 중 양쪽 밑각은 동일하다.
또한, 패턴부 중 각각의 광학 패턴 및 해당 광학 패턴에 직접적으로 이웃하는 평탄부는 하기 식 2를 만족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정면에서의 상대휘도를 높이고, 정면 명암비와 측면 명암비를 동시에 개선시킬 수 있고, 정면 명암비와 측면 명암비의 차이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동일 측면 시야각, 동일 정면 시야각에서 명암비를 높일 수 있다:
<식 2>
1 < P/W ≤ 10
(상기 식 2에서, P는 해당 광학 패턴의 최대 폭과 해당 광학 패턴에 직접적으로 이웃하는 평탄부의 폭의 합(단위:㎛),
W는 해당 광학 패턴의 최대 폭(단위:㎛)).
한편, 광학 패턴은 상기 식 1-1, 식 1-2, 1-3 중 하나 이상을 만족하므로 패턴부 중 각각의 광학 패턴은 상기 식 2의 값이 서로 다르다. 본원발명은 패턴부 중 상기 식 2의 값 중 최대값을 [P/W]max, 패턴부 중 상기 식 2의 값 중 최소값을 [P/W]min이라고 할 때, 하기 식 3을 만족함으로써, 액정표시장치의 비 구동시 외광에 의한 무라 발생을 막고 블랙 시감을 현저하게 개선할 수 있었다.
<식 3>
1.5 < [P/W]max / [P/W]min < 10
(상기 식 3에서, [P/W]max는 상기 식 2의 P/W 중 최대값,
[P/W]min는 상기 식 2의 P/W 중 최소값).
예를 들면 약 1.55 이상 약 10 미만이 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식 3의 2 < [P/W]max / [P/W]min <10이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블랙 시감이 약 0.995 이상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광학 패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광학 패턴(111)은 정상부에 제1면(114)이 형성되고 제1면(114)과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경사면(112)으로 구성되는 음각의 광학 패턴일 수 있다. 제1면(114)은 정상부에 형성되어, 광학표시장치에서 제2수지층(120a)에 도달한 광이 제1면(114)에 의해 더 확산되게 함으로써 시야각과 휘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편광판은 광 확산 효과를 높여 휘도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제1면(114)이 평탄하고 제1면(114)이 평탄부(113)와 평행하게 형성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나, 제1면(114)은 미세 요철이 형성되거나 곡면이 형성될 수도 있다. 제 1면(114)이 곡면으로 형성될 경우에는 렌티큘러 렌즈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제1면(114)은 폭(A)이 약 0.5㎛ 내지 약 30㎛, 구체적으로 약 2㎛ 내지 약 20㎛가 될 수 있다.
도 1은 광학 패턴이 정상부에 하나의 평면이 형성되고 경사면이 평면으로서, 단면이 사다리꼴 형태(예: 단면이 삼각형인 프리즘의 상부가 절단된 형태, cut-prism 형태)인 패턴을 나타낸 것이다. 그러나, 정상부에 제1면이 형성되고 경사면이 곡면인 광학 패턴(예: 렌티큘러 렌즈 패턴의 상부가 절단된 형태인 cut-lenticular lens인 제1수지층과 제2수지층의 적층체, 또는 마이크로렌즈 패턴의 상부가 절단된 형태인 cut-micro lens)인 경우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광학 패턴은 단면이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등을 포함하는 N 각형(N은 3 내지 20의 정수)의 패턴이 될 수도 있다.
광학 패턴(111)은 종횡비가 약 0.3 내지 약 3.0, 구체적으로 약 0.3 내지 약 2.5, 보다 구체적으로 약 0.3 내지 약 1.5 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약 0.3 내지 약 1.4, 예를 들면 약 0.3 내지 약 1이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광학표시장치에서 측면에서의 명암비와 시야각을 개선할 수 있다.
광학 패턴(111)의 높이(H)는 약 40㎛ 이하, 구체적으로 약 30㎛ 이하일 수 있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약 5㎛ 내지 약 15㎛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명암비 개선, 시야각 개선, 및 휘도 향상을 나타내고 모아레 등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도 1은 광학 패턴의 높이가 동일한 패턴부를 나타낸 것이나, 광학 패턴의 높이는 서로 다를 수도 있고 또는 이웃하는 패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광학 패턴의 높이가 다를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광학 패턴의 높이는 동일하다.
광학 패턴(111)의 최대 폭(W1, W2, W3, W4)는 약 80㎛ 이하, 구체적으로 약 50㎛ 이하일 수 있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약 5㎛ 내지 약 25㎛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명암비 개선, 시야각 개선, 및 휘도 향상을 나타내고 모아레 등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광학 패턴(111)의 최대 폭 중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는 약 2㎛ 이상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약 20㎛, 더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약 15㎛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블랙 시감 개선 효과가 있을 수 있다.
평탄부(113)는 광학 패턴과 이웃하는 광학 패턴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평탄부(113)는 평탄부(113)에 도달한 광을 출사시킴으로써 광을 확산시키고 정면 명암비와 휘도를 유지할 수 있다.
평탄부(113)의 폭(L)에 대한 광학 패턴(111)의 최대폭(W1, W2, W3, W4)의 비율은 약 9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약 0.10 내지 약 3 일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약 0.15 내지 약 2.6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정면에서의 상대휘도를 높이고, 정면 명암비와 측면 명암비의 차이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동일 측면 시야각, 동일 정면 시야각에서 명암비를 높이고, 또한, 모아레 방지 효과가 있을 수 있다.
평탄부(113)의 폭(L)은 약 1㎛ 내지 약 300㎛, 구체적으로 약 3㎛ 내지 약 50㎛ 더 구체적으로 약 5㎛ 내지 약 2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정면 휘도를 상승시켜 주는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광학 패턴의 최대 폭은 약 5㎛ 내지 약 25㎛이고, 상기 평탄부의 폭은 약 3㎛ 내지 약 50㎛이 될 수 있다.
패턴부에 있어서, 주기(P)는 서로 다르다. 주기(P)는 해당 광학 패턴의 최대 폭과 그와 직접적으로 형성된 1개 평탄부의 폭의 합이다. 주기(P)는 해당 광학 패턴의 최대 폭(W)의 약 0.6배 이상, 예를 들면 약 0.6배 내지 약 5배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휘도 향상 및 명암비 개선 효과가 있으면서 모아레를 방지할 수 있다.
주기(P)는 약 5㎛ 내지 약 500㎛, 구체적으로 약 10㎛ 내지 약 25㎛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에서 휘도 향상 및 명암비 개선 효과가 있으면서 모아레를 방지할 수 있다.
제1수지층(110a)은 제2수지층(120a)보다 굴절률이 높다. 제1수지층(110a)과 제2수지층(120a)의 굴절률 차이의 절대값은 약 0.20 이하, 구체적으로 약 0.05 내지 약 0.20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약 0.10 내지 약 0.15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집광의 확산 및 명암비 개선 효과가 클 수 있다. 특히, 굴절률 차이가 약 0.10 내지 약 0.15인 명암비 개선 필름은 광학표시장치에서 편광의 확산 효과가 우수하여 동일 시야각에서도 휘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은 제1수지층(110a)이 제2수지층(120a)보다 굴절률이 높은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그러나, 제1수지층(110a)이 제2수지층(120a)보다 굴절률이 낮은 경우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제1수지층(110a)은 굴절률이 약 1.50 이상, 구체적으로 약 1.50 내지 약 1.70이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광 확산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제1수지층(110a)은 (메트)아크릴계, 폴리카보네이트계, 실리콘계, 에폭시계 수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자외선 경화형 조성물 또는 열경화형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제1수지층(110a)은 제1보호층(200)에 직접적으로 접하여 형성된 것을 나타낸 것이나, 본 발명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수지층(110a)은 제1보호층(200)에 직접적으로 형성될 수도 있거나 또는 자체 점착제 수지로 형성되어 점접착제층으로서 층 간 결합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또는 제1보호층(200)과 제1수지층(110a) 사이에 점착층, 접착층 또는 점접착층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제2수지층(120a)은 광학표시장치에서 하면으로부터 입사된 광을 입사 위치에 따라 다양한 방향으로 굴절시켜 출사시킴으로써 광을 확산시킬 수 있다. 제2수지층(120a)은 제1수지층(110a)에 직접 접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2 수지층(120a)은 광학 패턴(111)의 적어도 일부를 충진하는 충진 패턴(12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일부를 충진”은 광학 패턴을 완전히 충진하거나 부분적으로 충진하는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충진 패턴이 광학 패턴을 부분적으로 충진하는 경우, 잔여 부분은 공기 또는 소정의 굴절률을 갖는 수지로 충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지는 제2수지층 대비 동일하거나 크고 제1수지층 대비 동일하거나 작은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도 1에서 도시되지 않았지만, 광학 패턴은 스트라이프(stripe) 형의 연장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또는 광학 패턴은 도트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도트”는 광학 패턴이 분산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제2수지층(120a)은 굴절률이 약 1.52 미만, 구체적으로 약 1.35 이상 약 1.50 미만이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광 확산 효과가 크고, 제조가 용이할 수 있으며, 편광의 광 확산 및 명암비 개선 효과가 클 수 있다. 제2수지층(120a)은 투명 수지를 포함하는 자외선 경화형 또는 열 경화형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지는 (메트)아크릴계, 폴리카보네이트계, 실리콘계, 에폭시계 수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투명 수지는 경화 후 광 투과도가 약 90% 이상이 될 수 있다.
제2수지층(120a)은 점착성이 없는 비-점착성일 수도 있으나, 자체 점접착제 수지로 형성되어 점접착제층으로서 층 간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거나 층 간 결합시 편광자 보호층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편광판을 박형화시킬 수 있다. 상기 자체 점접착제 수지는 아크릴 수지, 에폭시 수지, 우레탄 수지일 수 있다. 제2수지층(120a)이 자체 점착성이 아닌 경우, 제2수지층(120a)은 편광필름(300)에 접착층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접착층은 수계 접착제, 광경화형 접착제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명암비 개선층(100a)은 두께가 약 10㎛ 내지 약 100㎛, 구체적으로는 약 20㎛ 내지 약 60㎛가 될 수 있고 더 구체적으로는 약 20㎛ 내지 약 45㎛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제1보호층에 의해 충분히 지지될 수 있고, 광학표시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제1보호층(200)은 광 투과층으로서, 광학표시장치에서 제1수지층을 통과하여 확산된 광을 투과시킬 수 있다.
제1보호층(200)은 소정 범위의 위상차를 갖는 위상차 필름 또는 등방성 광학필름이 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제1보호층은 Re가 약 8,000 nm 이상, 구체적으로 약 10,000nm 이상, 더 구체적으로 약 10,000nm 초과, 더 구체적으로 약 10,100nm 내지 약 15,000nm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무지개 얼룩이 시인되지 않게 할 수 있고, 제2수지층과 제1수지층의 적층체를 통해 확산된 광의 확산 효과가 더 커질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제1보호층은 Re가 약 60nm 이하 구체적으로 약 0nm 내지 약 60nm, 더 구체적으로 약 40nm 내지 약 60nm의 등방성 광학필름이 될 수도 있다. 상기 범위에서 시야각을 보상하여 화상 품질을 좋게 할 수 있다. 상기 “등방성 광학필름”은 nx, ny, nz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필름을 의미하며, 상기 “실질적으로 동일한”은 완전히 동일한 경우뿐만 아니라 약간의 오차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보호층은 Re가 약 8,000 nm 이상, 구체적으로 약 10,000nm 이상, 더 구체적으로 약 10,000nm 초과인 위상차 필름이 될 수 있다.
제1보호층(200)은 두께가 약 30㎛ 내지 약 120㎛, 구체적으로 약 20㎛ 내지 약 8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광학표시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제1보호층(200)은 가시광 영역에서 광 투과도가 약 80% 이상 구체적으로 약 85% 내지 약 95%가 될 수 있다. 제1보호층(200)은 광학 투명 수지를 1축 또는 2축 연신한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지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을 포함하는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시클릭올레핀폴리머(COP), 트리아세틸셀룰로스(TAC) 등을 포함하는 셀룰로스 에스테르,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폴리노르보르넨,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아미드, 폴리아세탈, 폴리페닐렌에테르, 폴리페닐렌술피드, 폴리술폰, 폴리에테르술폰,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이미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보호층은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형성된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보호층은 상술한 수지의 변성 후 제조된 필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변성은 공중합, 브랜칭, 가교 결합, 또는 분자 말단의 변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도시되지 않았지만, 제1보호층은 기재필름 및 기재 필름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프라이머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기재필름은 제1보호층을 지지하는 것으로, 프라이머층 대비 소정 범위의 굴절률 비를 가짐으로써 기재층의 투과율을 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기재필름의 굴절률에 대한 프라이머층의 굴절률의 비(프라이머층의 굴절률/기재필름의 굴절률)는 약 1.0 이하, 구체적으로 약 0.6 내지 약 1.0 일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약 0.69 내지 약 0.95 일 수 있다. 보다 더 구체적으로 약 0.7 내지 약 0.9, 보다 더 구체적으로 약 0.72 내지 약 0.88이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제1보호층의 투과율을 높일 수 있다. 기재필름은 굴절률이 약 1.3 내지 약 1.7 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약 1.4 내지 약 1.6이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제1보호층의 기재필름으로 사용될 수 있고, 프라이머층과의 굴절률 제어가 용이하며, 제1보호층의 투과율을 높일 수 있다. 기재필름은 상술한 수지로 형성된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프라이머층은 기재필름과 제1 수지층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필름과 제1 수지층 간의 부착을 강화할 수 있다. 프라이머층은 굴절률이 약 1.0 내지 약 1.6, 구체적으로 약 1.1 내지 약 1.6, 더 구체적으로 약 1.1 내지 약 1.5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광학필름에 사용가능하고, 기재필름 대비 적정 굴절률을 가져 기재층의 투과율을 높일 수 있다. 프라이머층은 두께가 약 1nm 내지 약 200nm, 구체적으로 약 60nm 내지 약 200nm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광학필름에 사용가능하고, 기재필름 대비 적정 굴절률을 갖도록 하여 기재층의 투과율을 높일 수 있고, brittle 현상이 없게 할 수 있다. 프라이머층은 우레탄기를 포함하지 않는 비-우레탄계 프라이머층이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라이머층은 폴리에스테르, 아크릴 등의 수지 또는 모노머를 포함하는 프라이머층용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들 모노머의 혼합 비율(예:몰비)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굴절률을 제공할 수 있다. 프라이머층용 조성물은 UV 흡수제, 대전방지제, 소포제, 계면활성제 등의 첨가제를 1종 이상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편광필름
편광필름(300)은 입사광을 편광시키는 것으로, 편광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편광필름은 편광자를 포함할 수 있다. 편광자는 입사광을 편광시키는 것으로, 당업자에게 알려진 통상의 편광자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편광자는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1축 연신하여 제조되는 폴리비닐알콜계 편광자, 또는 폴리비닐알콜계 필름을 탈수하여 제조되는 폴리엔계 편광자를 포함할 수 있다. 편광자는 두께가 약 5㎛ 내지 약 4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광학표시장치에 사용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편광필름은 편광자 및 편광자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된 제2보호층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보호층은 편광자로의 외부 수분의 침투를 억제하고, 편광판의 기계적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보호층은 상기 편광자와 상기 명암비 개선 필름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2보호층은 광학적으로 투명한, 보호 필름 또는 보호코팅층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2보호층이 보호 필름 타입일 경우 광학적으로 투명한 수지로 형성된 보호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 필름은 상기 수지를 용융 및 압출하여 형성될 수 있다. 필요할 경우에는 연신 공정을 더 추가할 수도 있다. 상기 수지는 상기에서 상술된 수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호 필름은 광학적으로 투명한 액정 필름일 수도 있다.
제2보호층이 보호코팅층 타입일 경우는 편광자에 대한 양호한 밀착성,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안정성, 수분 차단성,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보호코팅층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화합물과 중합 개시제를 포함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로 형성될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화합물은 양이온 중합성의 경화성 화합물, 라디칼 중합성의 경화성 화합물, 우레탄 수지, 실리콘계 수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양이온 중합성 경화성 화합물은 분자 내에 적어도 하나의 에폭시기를 갖는 에폭시계 화합물, 분자 내에 적어도 하나의 옥세탄 고리를 갖는 옥세탄계 화합물이 될 수 있다. 라디칼 중합성의 경화성 화합물은 분자 내에 적어도 하나의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화합물이 될 수 있다. 에폭시계 화합물은 수소화 에폭시계 화합물, 사슬형 지방족 에폭시계 화합물, 고리형 지방족 에폭시계 화합물, 방향족 에폭시계 화합물 중 하나 이상이 될 수 있다.라디칼 중합성의 경화성 화합물은 경도와 기계적 강도가 우수하고 내구성이 높은 보호코팅층을 구현할 수 있다. 라디칼 중합성의 경화성 화합물은 분자 내에 적어도 하나의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 관능기 함유 화합물을 2종 이상 반응시켜 얻을 수 있고 분자 내에 적어도 2개의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들 수 있다.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로는 분자 내에 1개의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갖는 단관능(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분자 내에 2개의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갖는 2관능(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 및 분자 내에 3개 이상의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갖는 다관능(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가 될 수 있다. (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는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폴리에스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에폭시(메트)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등이 될 수 있다. 중합 개시제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화합물을 경화시킬 수 있다. 중합 개시제는 광양이온 개시제, 광증감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광양이온 개시제는 당업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양이온 개시제는 양이온과 음이온을 포함하는 오늄염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양이온은 디페닐요오드늄, 4-메톡시디페닐요오드늄, 비스(4-메틸페닐)요오드늄, 비스(4-터트-부틸페닐)요오드늄, 비스(도데실페닐)요오드늄, (4-메틸페닐)[(4-(2-메틸프로필)페닐)요오드늄 등의 디아릴요오드늄, 트리페닐술포늄, 디페닐-4-티오페녹시페닐술포늄 등의 트리아릴술포늄, 비스[4-(디페닐술포니오)페닐]술피드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음이온은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헥사플루오로안티모네이트, 헥사플루오로아르세네이트, 헥사클로로안티모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광증감제는 당업자에게 통상적으로 알려진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증감제는 티오크산톤계, 인계, 트리아진계, 아세토페논계, 벤조페논계, 벤조인계, 옥심계 중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중합 개시제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화합물 전체 100중량부에 대해 약 0.01 중량부 내지 약 1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경화가 충분히 되어 기계적 강도가 높고 편광자와의 밀착성이 좋을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 조성물은 실리콘계 레벨링제, 자외선 흡수제, 대전방지제 등의 통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첨가제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화합물 전체 100중량부에 대해 약 0.01 중량부 내지 약 1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보호코팅층은 액정 코팅층일 수도 있다.
제2보호층은 제1보호층 대비 동일 또는 이종의 위상차, 재질, 두께 등을 가질 수 있다.
제2보호층의 두께는 약 5㎛ 내지 약 200㎛, 구체적으로, 약 30㎛ 내지 약 120㎛, 보호 필름 타입의 경우 약 50㎛ 내지 약 100㎛가 될 수가 있고, 보호코팅층 타입의 경우 약 5㎛ 내지 약 5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발광표시장치에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을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의 단면도이다.
도 2을 참조하면, 편광판(20)은 편광판(10) 대비 광학 패턴(111)의 최대 폭이 동일하고 상기 (ii)을 만족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편광판(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즉, 도 2를 참조하면, 편광판(20)은 제1수지층(110b)와 제2수지층(120b)을 포함하는 명암비 개선층(100b)을 포함한다. 패턴부에 있어서 패턴부 중 광학 패턴(111)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1번째 평탄부의 폭을 L1, 2번째 평탄부의 폭을 L2, 3번째 평탄부의 폭을 L3, ... m-3번째 평탄부의 폭을 Lm-3, m-2번째 평탄부의 폭을 Lm-2, m-1번째 평탄부의 폭을 Lm-1, m번째 평탄부의 폭을 Lm이라고 할 때, 하기 식 4-1, 4-2, 4-3 중 하나 이상이 성립하고, 광학 패턴(111)의 최대 폭(W)이 동일하다:
<식 4-1>
Lm-1 ≠ Lm
<식 4-2>
Lm-2 ≠ Lm
<식 4-3>
Lm-3 ≠ Lm
(상기 식 4-1, 4-2, 4-3에서, Lm-3은 m-3번째 평탄부의 폭, Lm- 2은 m-2번째 평탄부의 폭, Lm-1은 m-1번째 평탄부의 폭, Lm은 m번째 평탄부의 폭, m은 4 이상 500,000 이하의 정수). 바람직하게는, m은 5,000 내지 200,000의 정수가 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패턴부에 있어서 각각의 평탄부의 폭이 모두 상이할 수 있다.
편광판(20)도 상기 식 3을 만족함으로써 액정표시장치의 비 구동시 블랙 시감을 개선할 수 있고 얼룩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편광판(20)도 각각의 광학 패턴이 상기 식 2를 만족하고 밑각이 각이 약 75° 내지 약 90°가 됨으로써 정면에서의 상대휘도를 높이고, 정면 명암비와 측면 명암비를 동시에 개선시킬 수 있고, 정면 명암비와 측면 명암비의 차이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동일 측면 시야각, 동일 정면 시야각에서 명암비를 높일 수 있다. 평탄부(113)의 폭 중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는 약 7㎛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7㎛ 내지 약 2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블랙 시감 개선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광학 패턴의 최대 폭은 약 5㎛ 내지 약 25㎛이고, 상기 평탄부의 폭은 약 3㎛ 내지 약 50㎛이 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을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편광판(30)은 편광판(10) 대비 상기 (i), (ii)을 모두 만족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편광판(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즉, 도 3을 참조하면, 편광판(30)은 제1수지층(110c) 및 제2수지층(120c)을 만족하는 명암비 개선층(100c)을 포함한다. 편광판(30)은 상기 식 1-1, 1-2, 1-3 중 하나 이상을 만족하고, 상기 식 4-1, 4-2, 4-3 중 하나 이상을 만족한다.
편광판(30)도 상기 식 3을 만족함으로써 액정표시장치의 비 구동시 블랙 시감을 개선할 수 있고 얼룩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편광판(30)도 각각의 광학 패턴이 상기 식 2를 만족하고 밑각이 각이 약 75° 내지 약 90°가 됨으로써 정면에서의 상대휘도를 높이고, 정면 명암비와 측면 명암비를 동시에 개선시킬 수 있고, 정면 명암비와 측면 명암비의 차이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동일 측면 시야각, 동일 정면 시야각에서 명암비를 높일 수 있다. 광학 패턴(111)의 최대 폭 중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는 약 2㎛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2㎛ 내지 약 2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블랙 시감 개선 효과가 있을 수 있다. 평탄부(113)의 폭 중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는 약 7㎛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7㎛ 내지 약 20㎛가 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블랙 시감 개선 효과가 있을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광학 패턴의 최대 폭은 약 5㎛ 내지 약 25㎛이고, 상기 평탄부의 폭은 약 3㎛ 내지 약 50㎛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광학표시장치는 본 발명의 편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광학표시장치는 액정표시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액정표시장치는 본 발명의 편광판을 액정패널에 대해 시인측 편광판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액정표시장치는 백라이트 유닛, 제1편광판, 액정패널, 제2편광판이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제2편광판은 본 발명의 편광판을 포함할 수 있다. 액정패널은 VA(vertical alignment) 모드, IPS 모드, PVA(patterned vertical alignment) 모드 또는 S-PVA(super-patterned vertical alignment) 모드를 채용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제1보호층용 PET 필름(도요보, 두께: 80㎛, 파장 550nm에서 Re=14,000nm)의 일면에 자외선 경화성 수지(신아 T&C)를 코팅하여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양쪽 밑각이 동일한 광학 패턴 및 상기 광학 패턴 사이에 평탄부가 형성된 패턴부를 구비하는 필름을 이용하여 상기 코팅층에 광학 패턴과 평탄부를 인가하고 경화시켜, 하기 표 1의 양쪽 밑각이 동일한 광학 패턴(단면이 도 2의 사다리꼴 광학 패턴)과 평탄부가 교대로 형성된 패턴부를 구비한 제1 수지층을 형성하였다. 이때, 광학 패턴의 각각의 최대 폭(W)은 동일하다. 광학 패턴의 각각의 최대 높이(H)은 동일하다. 광학 패턴 사이에 형성된 평탄부의 폭(L)은 5㎛ 내지 18㎛으로 각각 서로 다르게 하였다. 제1수지층의 굴절률은 1.59이다.
상기 제1 수지층에 자외선 경화성 수지(신아T&C)를 코팅하여 상기 광학 패턴을 완전히 충진하는 충진 패턴을 갖는 제2 수지층이 형성된 명암비 개선 필름을 제조하였다. 제2수지층의 굴절률은 1.47이다.
폴리비닐알콜 필름을 60℃에서 3배 연신하고 요오드를 흡착시킨 후 40℃의 붕산 수용액에서 2.5배 연신하여 편광자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한 편광자의 일면과 다른 일면에 편광판용 접착제(Z-200, Nippon Goshei사)를 각각 도포하고, 일면에 COP 필름(ZEON사), 다른 일면에 PET 필름(도요보 두께:80㎛)을 접착시켰다.
상기 제조한 명암비 개선 필름 중 제2수지층의 일면에 아크릴 수지 점착제를 도포하고, 상술 편광자에 접착된 PET 필름을 점착시켰다.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8
실시예 1에서, 광학 패턴의 최대 높이(H)와 최대 폭(W)을 하기 표 1에 따라 변경하고, 평탄부의 폭(L)을 하기 표 1의 범위에서 서로 다르게 변경하고, P/W의 최소값, P/W의 최대값이 하기 표 1이 되도록 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9 내지 실시예 16
실시예 1에서, 광학 패턴의 최대 높이(H)를 하기 표 2에 따라 변경하고, 평탄부의 폭(L)을 하기 표 2의 범위에서 서로 다르게 변경하고, 광학 패턴의 최대 폭(W)을 하기 표 2의 범위에서 서로 다르게 변경하고, P/W의 최소값, P/W의 최대값이 하기 표 2가 되도록 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7
실시예 1에서, 광학 패턴의 최대 높이(H)를 하기 표 2에 따라 변경하고, 평탄부의 폭(L)을 하기 표 2에 따라 변경하고, 광학 패턴의 최대 폭(W)을 하기 표 2의 범위에서 서로 다르게 변경하고, P/W의 최소값, P/W의 최대값이 하기 표 2가 되도록 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광학 패턴의 최대 폭이 7㎛로 동일하고, 평탄부의 폭이 7㎛로 동일하고, 광학 패턴의 높이가 7㎛로 동일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방법으로 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실시예와 비교예의 편광판을 이용하여 액정표시장치용 모듈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1: 제1편광판의 제조
폴리비닐알콜 필름을 60℃에서 3배 연신하고 요오드를 흡착시킨 후 40℃의 붕산 수용액에서 2.5배 연신하여 제1편광자를 제조하였다. 제1편광자의 양면에 기재층으로 트리아세틸셀룰로스 필름(두께 80㎛)을 편광판용 접착제(Z-200, Nippon Goshei사)로 접착시켜 제1편광판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액정표시장치용 모듈의 제조
제조예 1의 제1편광판, 액정패널(PVA 모드), 상기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제조한 편광판을 순차적으로 조립하여 액정표시장치용 모듈을 제조하였다.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제조한 편광판을 시인측 편광판으로 조립하였다.
제조한 액정표시장치용 모듈의 개략적인 구성을 하기 표 1,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제조한 액정표시장치용 모듈을 이용하여 하기 물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 표 2에 나타내었다.
(1) 동시 측면 명암비: 상기와 같이 액정표시장치를 제조하고, EZCONTRAST X88RC(EZXL-176R-F422A4, ELDIM사)를 이용하여 구면 좌표계 (0°, 60°)에서 명암비를 측정하였다.
(2) 비 구동시 외관 평가: 상기와 같이 액정표시장치를 제조한다. 시인측 편광 판으로부터 30cm 높이에 3파장 형광 램프(OSRAM)를 위치한 후 점등하여 반사 이미지를 촬영하였다. 3 파장 형광 램프는 액정표시장치의 화면 중 장방향의 중간 치에 대응되도록 하였다. 반사광의 강도(I)는 이미지 분석 프로그램(ImageJ)을 이용하여 픽셀 단위로 추출하였다. 픽셀은 액정표시장치의 화면 중 3 파장 형광 램프 중 최외곽을 픽셀 단위 0, 상기 픽셀 단위 0으로부터 액정표시장치의 화면의 장방향으로 총 250개의 픽셀로 나누어 얻었다.
각각 픽셀에서 측정된 반사광의 강도(I)를 측정된 반사광의 강도(I) 중 최대값(픽셀 단위 0에서의 반사광)으로 나누어 각각의 픽셀에서 제곱값을 얻었다. 픽셀 단위 위치를X축으로 하고 상기 얻은 제곱값을 Y축으로 하여 그래프화하였다. 통계학적 분석 방법으로 정규화(normalization)하였다. 정규화로부터 지수 함수(y=aebx)의 추세선과 잔차(residual)를 얻었다. 잔차를 블랙 시감 결정 계수로 하였다. 도 4는 실시예 5에 대하여 픽셀 위치를 x축으로 하고 제곱값을 y축으로 하여 얻은 그래프이다. 도 4에서 푸른색 선은 픽셀 위치에 따른 제곱값을 나타내고, 흑색 실선은 정규화한 값을 나타내다. 이때 블랙 시감 결정 계수가 1에 가까울수록 외관이 양호하며, 블랙 시감 결정 계수가 작을수록 반사광의 강도 진동 폭이 큰 것을 의미하므로 회절광이 두드러지게 보임을 의미한다.
Figure PCTKR2017013937-appb-T000001
Figure PCTKR2017013937-appb-T000002
상기 표 1 및 표 2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편광판은 광학표시장치의 비 구동시에는 외부 광에 의해 광학표시장치의 화면에 무라 등이 발생하는 현상을 해소하고 블랙 시감을 개선하고, 광학표시장치의 구동 시에는 측면 명암비를 개선시킬 수 있다.
반면에, 비교예 1은 상기 식 2를 만족하여서 구동시 측면 명암비가 높지만, 식 3의 값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서 비 구동시 외관 평가에 의한 결정계수가 0.985 미만이 되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21)

  1. 편광필름 및 상기 편광필름 일면에 형성된 명암비 개선 필름을 포함하는 편광판이고, 상기 명암비 개선 필름은 제 1보호층 및 서로 대향하는 제 1수지층 및 제 2수지층으로 이루어진 명암비 개선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 1수지층은 상기 제 2수지층과 대향하는 일면에 2개 이상의 광학 패턴 및 상기 광학 패턴 및 바로 이웃하는 광학 패턴 사이에 평탄부를 갖는 패턴부를 구비하고, 상기 광학 패턴은 밑각(α)이 약 75° 내지 약 90°이고, 상기 패턴부는 하기 식 2를 만족하고,
    <식 2>
    1 < P/W ≤ 10
    (상기 식 2에서, P는 해당 광학 패턴의 최대 폭과 해당 광학 패턴에 직접적으로 이웃하는 평탄부의 최대 폭의 합(단위:㎛),
    W는 해당 광학 패턴의 최대 폭(단위:㎛)),
    상기 패턴부는 하기 (i) 및 (ii) 중 하나 이상을 만족하고,
    (i) 상기 광학 패턴은 이웃하는 상기 광학 패턴 중 적어도 하나 이상 대비 최대 폭이 다르다;
    (ii) 상기 평탄부는 이웃하는 상기 평탄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 대비 최대 폭이 다르다;
    상기 편광판은 블랙 시감 결정 계수가 약 0.985 이상인, 편광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부는 하기 식 3을 만족하는 것인, 편광판:
    <식 3>
    1.5 < [P/W]max / [P/W]min < 10
    (상기 식 3에서, [P/W]max는 상기 식 2의 P/W 중 최대값,
    [P/W]min는 상기 식 2의 P/W 중 최소값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부는 상기 (i)을 만족하고, 상기 평탄부의 폭은 서로 동일하고, 상기 광학 패턴의 높이는 서로 동일한 것인, 편광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패턴의 최대 폭은 약 5㎛ 내지 약 25㎛이고, 상기 평탄부의 폭은 약 3㎛ 내지 약 50㎛인 것인, 편광판.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패턴의 최대 폭 중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는 약 2㎛ 내지 약 20㎛인 것인 편광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부는 상기 (ii)을 만족하고, 상기 광학 패턴의 최대 폭은 서로 동일하고, 상기 광학 패턴의 높이는 서로 동일한 것인, 편광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패턴의 최대 폭은 약 5㎛ 내지 약 25㎛이고, 상기 평탄부의 폭은 약 3㎛ 내지 약 50㎛인 것인, 편광판.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평탄부의 폭 중 최대값과 최소값의 차이는 약 7㎛ 내지 약 20㎛인 것인, 편광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부는 상기 (i)과 (ii)을 동시에 만족하고, 상기 광학 패턴의 높이는 서로 동일한 것인, 편광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패턴의 최대 폭은 약 5㎛ 내지 약 25㎛이고, 상기 평탄부의 폭은 약 3㎛ 내지 약 50㎛인 것인, 편광판.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부에서 주기는 상기 광학 패턴의 최대 폭의 약 0.6배 내지 약 5배인 것인, 편광판.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패턴의 종횡비는 약 0.3 내지 약 3.0인 것인, 편광판.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 패턴은 정상부에 제1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면과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경사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경사면이 평면 또는 곡면인 광학 패턴을 포함하는 것인, 편광판.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지층은 상기 제2수지층 보다 굴절률이 높은 것인, 편광판.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수지층과 상기 제2수지층의 굴절률 차이의 절대값은 약 0.20 이하인 것인, 편광판.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명암비 개선 필름은 상기 제2수지층 및 상기 제1 수지층이 직접적으로 접하여 형성되고, 상기 제1수지층은 상기 제1보호층에 직접적으로 접하여 형성되는 것인, 편광판.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수지층 또는 상기 제 2수지층이 점접착제층이고,
    상기 명암비 개선 필름은 상기 편광자에 직접적으로 형성된 것인, 편광판.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호층은 파장 550nm에서 하기 식 A의 Re가 약 8,000 nm 이상인 것인, 편광판:
    <식 A>
    Re = (nx - ny) x d
    (상기 식 A에서, nx, ny는 파장 550nm에서 각각 제1보호층의 지상축 방향, 진상축 방향의 굴절률이고, d는 제1보호층의 두께(단위:nm)이다).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보호층은 폴리에스테르 수지로 형성되는 것인 편광판.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필름은 편광자 및 상기 편광자의 일면에 형성된 제2보호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2보호층은 상기 편광자와 상기 명암비 개선 필름 사이에 형성된 것인, 편광판.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의 편광판을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PCT/KR2017/013937 2017-03-08 2017-11-30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WO2018164348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80088079.XA CN110383119A (zh) 2017-03-08 2017-11-30 偏光板及包括其的光学显示器
US16/489,944 US11480825B2 (en) 2017-03-08 2017-11-30 Polarizer and optical display device compri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9750A KR102018363B1 (ko) 2017-03-08 2017-03-08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2017-0029750 2017-03-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64348A1 true WO2018164348A1 (ko) 2018-09-13

Family

ID=63449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13937 WO2018164348A1 (ko) 2017-03-08 2017-11-30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480825B2 (ko)
KR (1) KR102018363B1 (ko)
CN (1) CN110383119A (ko)
TW (1) TWI663449B (ko)
WO (1) WO20181643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2200B1 (ko) * 2017-02-14 2019-12-0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명암비 개선 광학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102391028B1 (ko) * 2019-01-25 2022-04-2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20200138558A (ko) * 2019-05-31 2020-12-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10100796A (ko) * 2020-02-06 2021-08-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TWI731590B (zh) * 2020-02-18 2021-06-21 明基材料股份有限公司 液晶顯示器
CN111724697B (zh) * 2020-05-18 2023-01-24 明基材料有限公司 电致发光显示器
TWI807368B (zh) * 2021-07-15 2023-07-0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視角補償膜及使用其之顯示裝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8778A (ko) * 2006-10-31 2008-05-07 삼성정밀화학 주식회사 시인성 향상 필름과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필터 및디스플레이 장치
JP2009086400A (ja) * 2007-10-01 2009-04-23 Seiko Epson Corp プロジェクタ
KR20160002410A (ko) * 2014-06-30 2016-01-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일체형 원편광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KR101659241B1 (ko) * 2015-11-06 2016-09-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시인성 개선 광학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용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KR20160129220A (ko) * 2015-04-29 2016-11-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20467A (zh) * 2004-09-15 2012-06-2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视野角控制薄片和显示装置
JP2006251659A (ja) 2005-03-14 2006-09-21 Fuji Photo Film Co Ltd 視野角拡大フィルム及び該視野角拡大フィルムを用いた表示装置
JP5102958B2 (ja) 2005-12-15 2012-12-1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反射防止フィルムの製造方法
WO2008069112A1 (en) * 2006-12-05 2008-06-1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Plasma display panel and field emission display
WO2008069162A1 (en) * 2006-12-05 2008-06-1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Anti-reflection film and display device
US20090213593A1 (en) * 2008-02-26 2009-08-27 Reflexite Corporation Optical device and system for black level enhancement and methods of use thereof
JP2009210592A (ja) 2008-02-29 2009-09-17 Sumitomo Chemical Co Ltd 防眩性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画像表示装置
US8248696B2 (en) * 2009-06-25 2012-08-21 Moxtek, Inc. Nano fractal diffuser
TW201109739A (en) * 2009-09-10 2011-03-16 Core Flex Optical Suzhou Co Ltd Brightness enhancement film and backlight module
KR20110126921A (ko) * 2010-05-18 2011-11-24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편광판 및 표시 장치
US9112182B2 (en) * 2011-03-29 2015-08-18 Zeon Corporation Light-emitting element and illuminating apparatus
KR20150059494A (ko) * 2013-11-22 2015-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색변화 저감용 광학 필름의 제조방법, 색변화 저감용 광학필름이 적용된 유기발광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방법
JP7152129B2 (ja) 2015-02-27 2022-10-12 三星エスディアイ株式会社 偏光板及びこれを含む液晶表示装置
US10408989B2 (en) * 2015-04-29 2019-09-10 Samsung Sdi Co., Ltd. Optical film for improving contrast ratio, polarizing plate including sam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sam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38778A (ko) * 2006-10-31 2008-05-07 삼성정밀화학 주식회사 시인성 향상 필름과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필터 및디스플레이 장치
JP2009086400A (ja) * 2007-10-01 2009-04-23 Seiko Epson Corp プロジェクタ
KR20160002410A (ko) * 2014-06-30 2016-01-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일체형 원편광판,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
KR20160129220A (ko) * 2015-04-29 2016-11-0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101659241B1 (ko) * 2015-11-06 2016-09-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시인성 개선 광학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용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8363B1 (ko) 2019-09-04
KR20180102967A (ko) 2018-09-18
TW201841031A (zh) 2018-11-16
TWI663449B (zh) 2019-06-21
US11480825B2 (en) 2022-10-25
CN110383119A (zh) 2019-10-25
US20200073172A1 (en) 2020-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175580A1 (ko) 명암비 개선 광학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WO2018164348A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WO2018155792A1 (ko) 명암비 개선 광학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WO2018080036A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WO2018221872A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WO2018093081A1 (ko) 명암비 개선 광학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WO2018080017A1 (ko) 액정표시장치용 시인측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WO2016111466A1 (ko) 광학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WO2018212528A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WO2021080361A1 (ko) 광변조 디바이스
WO2017061768A1 (ko) 광학 필름
WO2011090355A2 (ko) 광배향막 배향 처리용 점착 필름
WO2019156330A1 (ko) 반사방지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WO2010027240A2 (en) Optical sheet and composite sheet with moire fringe, and backlight assembly having the same
WO2019031786A1 (en) OPTICAL ELEMENT, POLARIZING ELEMENT, AND DISPLAY DEVICE
WO2019132242A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WO2019146977A1 (ko) 다층 액정 필름, 편광판 및 편광판의 제조방법
WO2019124751A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WO2013022256A2 (ko) 광학 필터
WO2019235832A1 (ko) 점착제 조성물
WO2019083160A1 (ko) 액정 위상차 필름, 이를 포함하는 발광표시장치용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표시장치
WO2014084690A1 (ko) 주기적인 마이크로 패턴을 갖는 fpr
WO2018043891A1 (ko) 액정표시장치
WO2016159645A1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WO2019031713A1 (ko)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89924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899244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