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9328A - 인슐레이터 유닛의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인슐레이터 유닛의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9328A
KR20180069328A KR1020160171421A KR20160171421A KR20180069328A KR 20180069328 A KR20180069328 A KR 20180069328A KR 1020160171421 A KR1020160171421 A KR 1020160171421A KR 20160171421 A KR20160171421 A KR 20160171421A KR 20180069328 A KR20180069328 A KR 201800693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or
body panel
support rib
support
vehic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14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3448B1 (ko
Inventor
오윤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14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3448B1/ko
Publication of KR20180069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9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34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34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 B60G15/067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of the spring and damper unit
    • B60G15/068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of the spring and damp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MacPherson strut-type susp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6Mounting of vehicle body on chas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 B60G2206/8201Joining by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 B60G2206/8205Joining by conical or compressed rubber clamping inserts as joi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슐레이터 유닛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맥퍼슨 스트럿 타입의 현가장치에 장착되는 인슐레이터의 코니컬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인슐레이터 유닛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인슐레이터 유닛의 장착구조{INSTALLATION STRUCTURE OF INSULATOR UNIT}
본 발명은, 인슐레이터 유닛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맥퍼슨 스트럿 타입의 현가장치에 장착되는 인슐레이터의 코니컬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인슐레이터 유닛의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산업에서 원가절감을 위한 노력은 계속되고 있으며, 이 결과 자동차의 전륜에는 1점 마운팅되는 맥퍼슨 스트럿 타입의 현가장치가 적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일반적으로 전륜 맥퍼슨 스트럿 타입의 서스펜션의 경우 스트럿 상단에 인슐레이터를 장착하여 휠로부터의 진동및 충격이 차체로 전달되는 것을 억제한다.
맥퍼슨 타입 전륜 현가장치는 차체와의 결합구조에 따라 싱글패스 마운팅 타입과 듀얼패스 마운팅 타입으로 분류되는 바, 상기 싱글패스 마운팅 타입은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럿로드의 상단이 차체를 직접 관통해서 차체와 결합이 이루어지는 구조(1점 마운팅 구조)이고, 이러한 싱글패스 마운팅타입의 경우 구조가 간단한 장점이 있지만 반대로 하중이 한 부위에 집중됨에 따라 차체 강성이 취약한 단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싱글패스타입에 사용되는 상기 인슐레이터 유닛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에 스트럿로드가 관통된 인슐레이터로 구성되며, 상기 인슐레이터의 상부는 상기 차체의 하부에 접착된다.
또한, 인슐레이터의 하부는 적층형성된 로워플레이트 및 미들플레이트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를 갖고, 상기 로워플레이트 및 미들플레이트는 하부 너트에 의해 스트럿로드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스트럿로드에는 범프스토퍼가 삽입된 상태로 상부너트를 통하여 상기 스트럿로드에 고정되며, 상기 스트럿로드의 상부에는 인슐레이터캡이 장착된다.
종래의 이러한 싱글패스 인슐레이터 타입은 구조가 간단하고 원가가 저렴한 장점이 있으나, 상하방향(축방향)과 코니컬 강성이 연성 되어 각각의 특성을 설정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상기 특성 중 코니컬 강성은 차량 핸들링 성능에 중요한 인자이기에 적정한 수준의 높은 강성값을 가질 필요가 있으나, 종래의 구조로는 높은 코니컬 강성을 갖기 위해서는 축방향 강성 역시 높아질 수 밖에 없으므로 승차감에 있어 불리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8-0029768 호 (1998.07.25)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인슐레이터의 내주면이 차체패널에 추가로 지지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하여, 코니컬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위한 인슐레이터 유닛의 장착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슐레이터 유닛의 장착구조는, 차체 패널과 스트럿로드(200) 사이에 장착되어 하중을 흡수하는 인슐레이터 유닛의 장착구조에 있어서, 스트럿로드(200)가 관통되기 위한 관통홀이 형성된 차체 패널; 상기 관통홀의 가장자리로부터 하향 돌출되게 형성된 지지리브(350); 상기 차체패널(300)의 내주면에 외주면이 접촉되고, 하부에 형성된 로워플레이트(130)에 의해 지지되는 인슐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리브(350)는 상기 인슐레이터의 내주면과 접촉되어 상기 인슐레이터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워플레이트(130)의 상측에 설치되고, 외측단부가 상기 인슐레이터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인슐레이터를 지지하는 미들플레이트(12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있다.
또한, 상기 미들플레이트(120)의 외측단부는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있다.
또한, 상기 인슐레이터의 내주면측 내부에는 상기 지지리브(350)와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인서트링이 내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슐레이터 유닛의 장착구조.
또한, 상기 미들플레이트(120)의 외측단부는 상향 절곡되어 상기 지지리브(350)와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있다.
또한, 상기 로워플레이트(130)의 외측단부는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리브(350)는 상기 차체패널(300)과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리브(350)는 “ㄱ”자 단면을 갖고, 상기 차체패널(300)의 관통홀에 용접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슐레이터의 내부에는 외주면측을 향해 원추 형상의 지지플레이트(140)가 내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슐레이터는 고무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인슐레이터의 내주면이 차체패널(300)에 추가로 지지될 수 있는 구조를 형성하여, 축방향 강성을 유지하면서 코니컬 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인슐레이터 유닛의 장착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슐레이터 유닛의 장착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슐레이터 유닛의 장착구조에 있어서, 차체패널(300)에 형성되는 지지리브(350)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슐레이터 유닛의 장착구조에 있어서, 인슐레이터 및 미들플레이트(120), 로워플레이트(130)를 보여주는 단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차체패널(300)에서 축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지지리브(350)와 상기 인슐레이터를 횡방향으로 접촉시킴으로써 축방향 강성은 유지하면서도, 코니컬 강성을 향상시킬수 있는 인슐레이터 유닛의 장착구조를 제공함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한다.
이때 코니컬 강성은, 기본적으로 원뿔형상으로 이루어진 상기 인슐레이터 고무의 경사면 방향으로의 강성을 의미하고, 이하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슐레이터 유닛의 장착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슐레이터 유닛의 장착구조는, 쇽업소버의 스트럿로드(200)의 상단부와 차체패널(300) 사이에 장착되어 스트럿로드(200)로부터 올라오는 하중을 흡수하여 차체에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한 인슐레이터 유닛의 장착구조에 있어서, 상기 차체패널(300), 지지리브(350), 로워플레이트(130), 인슐레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차체패널(300)에는 스트럿로드(200)가 관통되기 위한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리브(350)는 상기 관통홀의 가장자리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중앙에는 스트럿로드(200)가 관통되고, 외주면이 원뿔형상으로 형성된 고무재질의 인슐레이터의 상부 외주면이 상기 차체패널(300)의 내주면에 접착되고, 상부 내주면은 상기 지지리브(350)에 접촉된다.
또한, 상기 인슐레이터의 하부는 중앙에 스트럿로드(200)가 관통된 스틸재질의 로워플레이트(1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로워플레이트(130)의 상측에는 역시 중앙에 스트럿로드(200)가 관통된 미들플레이트(120)가 겹침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미들플레이트(120)의 외측단부는 상기 인슐레이터의 내부에 삽입 형성됨으로써 상기 인슐레이터를 지지할 수 있다.
즉, 종래 상기 인슐레이터의 외주면만이 차체에 접촉되는 구조에 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지지리브(350)와 상기 인슐레이터의 내주면을 접촉시켜 지지점을 추가적으로 구성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슐레이터 유닛의 장착구조에 있어서, 차체패널(300)에 형성되는 지지리브(350)의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상기 지지리브(3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체패널(30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단면이 “ㄱ”자 또는 “ㄷ”자를 갖는 별물구조의 지지리브(350)를 별도 제작하여 차체패널(300)에 형성된 관통홀에 용접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슐레이터 유닛의 장착구조에 있어서, 인슐레이터 및 미들플레이트(120), 로워플레이트(130)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상기 지지리브(350)와 접촉되어 추가적인 지지점을 형성하는 인슐레이터의 내주면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재질의 인슐레이터 자체가 연장형성되어 상기 지지리브(350)의와 접촉될 수 있으며, 상기 연장장형성된 인슐레이터의 내부에는 상기 지지리브(350)와 대향되도록 인서트링이 삽입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미들플레이트(120)의 외측단부는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서트링을 형성하는 대신, 상기 미들플레이트(120)의 외측단부가 상기 지지리브(350)와 대향될 수 있도록 상향 절곡됨으로써 상기 인슐레이터의 내주면을 지지할 수 있다. 다만, 이경우 상기 미들플레이트(120) 대신 상기 로워플레이트(130)의 외측단부가 상기 인슐레이터에 삽입된 상태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상기 차체패널(300)과 접촉되는 상기 인슐레이터의 외주면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인슐레이터의 내부에는 외주면측을 향해 원추 형상의 지지플레이트(140)가 내삽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미들플레이트(120)는 하부너트(220)로 상기 스트럿로드(200)에 고정되고, 하부너트(220)의 상측으로는 더스트커버 역할을 하는 범프스토퍼(250)가 상부너트(210)에 의해 고정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트럿로드(200)의 상단부에는 인슐레이터캡(260)이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워플레이트의 하측으로는 상단 스프링시트(240)와 베어링(23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플레이트(140), 로워플레이트(130) 및 미들플레이트(120)는 상기 인슐레이터가 고무재질로 이루어짐에 따라 인슐레이터 자체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해 구성되는 것이므로 필요에 따라 위치나, 형태가 조정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차체패널(300)에서 축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지지리브(350)와 상기 인슐레이터를 횡방향으로 접촉시킴으로써 축방향 강성은 유지하면서도, 코니컬 강성을 향상시킬수 있는 인슐레이터 유닛의 장착구조를 제공함을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으로 하는 것이다.
앞서 살펴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하 '당업자'라 한다)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바람직한 실시 예 일 뿐,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 가능한 부분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됨은 자명하다.
110: 인슐레이터
120: 미들플레이트
130: 로워플레이트
140: 지지플레이트
200: 스트럿로드
210: 상부너트
220: 하부너트
230: 베어링
240: 상단 스프링시트
250: 범프스토퍼
260: 인슐레이터캡
300: 차체패널
350: 지지리브

Claims (9)

  1. 차체 패널과 스트럿로드 사이에 장착되어 하중을 흡수하는 인슐레이터 유닛의 장착구조에 있어서,
    스트럿로드가 관통되기 위한 관통홀이 형성된 차체 패널;
    상기 관통홀의 가장자리로부터 하향 돌출되게 형성된 지지리브;
    상기 차체패널의 내주면에 외주면이 접촉되고, 하부에 형성된 로워플레이트에 의해 지지되는 인슐레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리브는 상기 인슐레이터의 내주면과 접촉되어 상기 인슐레이터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슐레이터 유닛의 장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로워플레이트의 상측에 설치되고, 외측단부가 상기 인슐레이터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인슐레이터를 지지하는 미들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슐레이터 유닛의 장착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플레이트의 외측단부는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슐레이터 유닛의 장착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인슐레이터의 내주면측 내부에는 상기 지지리브와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인서트링이 내삽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슐레이터 유닛의 장착구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플레이트의 외측단부는 상향 절곡되어 상기 지지리브와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슐레이터 유닛의 장착구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로워플레이트의 외측단부는 외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슐레이터 유닛의 장착구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리브는 상기 차체패널과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슐레이터 유닛의 장착구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리브는 “ㄱ”자 단면을 갖고, 상기 차체패널의 관통홀에 용접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슐레이터 유닛의 장착구조.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슐레이터의 내부에는 외주면측을 향해 원추 형상의 지지플레이트가 내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슐레이터 유닛의 장착구조.

KR1020160171421A 2016-12-15 2016-12-15 인슐레이터 유닛의 장착구조 KR1024634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1421A KR102463448B1 (ko) 2016-12-15 2016-12-15 인슐레이터 유닛의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1421A KR102463448B1 (ko) 2016-12-15 2016-12-15 인슐레이터 유닛의 장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9328A true KR20180069328A (ko) 2018-06-25
KR102463448B1 KR102463448B1 (ko) 2022-11-04

Family

ID=62806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1421A KR102463448B1 (ko) 2016-12-15 2016-12-15 인슐레이터 유닛의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344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6602A (ko) * 2018-09-28 2020-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인슐레이터 어셈블리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3835A (ja) * 1994-09-21 1996-04-12 Bridgestone Corp ストラットマウント
KR970034196A (ko) * 1995-12-27 1997-07-22 이우복 자동차의 앞바퀴 현가장치 장착구조
KR19980029768A (ko) 1996-10-28 1998-07-25 김영귀 차량의 맥퍼슨형 현가장치 스트럿 어셈블리의 인슐레이터 취부구조
JP2007010005A (ja) * 2005-06-29 2007-01-18 Toyo Tire & Rubber Co Ltd ストラットマウン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8185155A (ja) * 2007-01-30 2008-08-14 Tokai Rubber Ind Ltd ダストカバー及びその組付構造
KR20100051420A (ko) * 2008-11-07 2010-05-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 유닛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93835A (ja) * 1994-09-21 1996-04-12 Bridgestone Corp ストラットマウント
KR970034196A (ko) * 1995-12-27 1997-07-22 이우복 자동차의 앞바퀴 현가장치 장착구조
KR19980029768A (ko) 1996-10-28 1998-07-25 김영귀 차량의 맥퍼슨형 현가장치 스트럿 어셈블리의 인슐레이터 취부구조
JP2007010005A (ja) * 2005-06-29 2007-01-18 Toyo Tire & Rubber Co Ltd ストラットマウン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8185155A (ja) * 2007-01-30 2008-08-14 Tokai Rubber Ind Ltd ダストカバー及びその組付構造
KR20100051420A (ko) * 2008-11-07 2010-05-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 유닛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6602A (ko) * 2018-09-28 2020-04-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인슐레이터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3448B1 (ko) 2022-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44850A1 (en) Strut mount
CN109866568B (zh) 一种后减振器的连接装置及汽车
KR20160105070A (ko) 차량용 현가장치
KR20180069328A (ko) 인슐레이터 유닛의 장착구조
KR101822913B1 (ko) 프론트 쇽업소버의 캡 장착 구조
US10465761B2 (en) Coil spring pad for vehicle suspension system
KR20120015196A (ko) 서스펜션용 부시
US2916282A (en) Motor vehicle suspensions
US8991839B1 (en) Axle suspension system
KR20090083136A (ko) 차량의 서브프레임 고정장치
US20170120708A1 (en) Vehicle spring assembly
KR101371733B1 (ko) 차량의 스트럿 타입 현가장치
RU187854U1 (ru) Верхняя опора стойки передней подвески автомобиля
US10549595B2 (en) Strut assembly for vehicle
CN203892432U (zh) 一种减振器及汽车
KR102658038B1 (ko) 인슐레이터 및 이를 갖는 현가장치
KR100986085B1 (ko)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 유닛
CN105889395A (zh) 一种汽车避震器用弹簧的稳定结构
CN209381726U (zh) 轿车高强度安全减震器安装盘总成
KR101724457B1 (ko) 차량의 리어 쇽 업소버 장착구조
JPS6115323Y2 (ko)
CN209385551U (zh) 轿车高强度安全减震器的安装盘
JP2010285037A (ja) ストラットマウント
KR20060115437A (ko) 스트러트 인슐레이터 구조
KR102249617B1 (ko) 스트럿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