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9617B1 - 스트럿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스트럿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9617B1
KR102249617B1 KR1020170034860A KR20170034860A KR102249617B1 KR 102249617 B1 KR102249617 B1 KR 102249617B1 KR 1020170034860 A KR1020170034860 A KR 1020170034860A KR 20170034860 A KR20170034860 A KR 20170034860A KR 102249617 B1 KR102249617 B1 KR 102249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ut
body portion
strut assembly
bear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4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6487A (ko
Inventor
정동일
여동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34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9617B1/ko
Publication of KR20180106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64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9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9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 B60G15/06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the spring being arranged around the damper
    • B60G15/063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the spring being arranged around the dampe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f the spring on the dam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8Bearings, e.g. ball or roller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4Centering or positioning means
    • B60G2204/4402Spacers or shi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트럿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현가장치에 사용되는 스트럿 어셈블리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스트럿 어셈블리{Strut Assembly}
본 발명은 스트럿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현가장치에 사용되는 스트럿 어셈블리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현가장치는 차축과 차체를 연결하도록 구비되어, 차축이 노면으로부터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차체에 직접 전달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차체의 손상을 방지하고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장치이다.
이러한 현가장치는 차체와의 결합 방식이나 진동제어 방식 등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되는데 승용차에는 주로 스트럿(Strut) 타입이 채용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따른 스트럿 어셈블리의 분해도가 도시되어 있다.
종래의 스트럿 어셈블리의 구성은, 쇽업쇼버가 내장되어 있으며 외주면에 스프링 좌대(4)가 형성되어 있는 스트럿 로드(2)와, 상기 스트럿 로드(2)의 상부에 설치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범프스토퍼(6)와, 상기 범프스토퍼(6)의 둘레에 설치되는 더스트커버(8)와, 상기 스트럿 로드(2)의 스프링 좌대(4) 상에 설치되는 코일 스프링(10)과, 상기 스프링(10)의 상단에 설치되는 어퍼(upper) 패드(12)와, 차체에 고정되며 상기 범프스토퍼(6)의 상부에 설치되어 하단컵(18)을 이용하여 범프스토퍼(6)를 고정하는 스트럿 마운트(16)와, 상기 스트럿 마운트(16)와 상기 어퍼 패드(12) 사이에 설치되는 스트럿 베어링(20)과, 상기 스트럿 마운트(16)의 중앙부를 관통한 상기 스트럿 로드(2)의 상단에 체결되는 너트(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스트럿 구조는 범프 시 쇽업쇼버가 수직으로만 상승되는 것이 아니라 차량의 조타 등에 의하여 비틀리면서 상승하기 때문에 쇽업쇼버가 범프스토퍼(6)와 접촉하게 되고, 이 때 이음 및 범프스토퍼(6) 내구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범프스토퍼(6)와 더스트커버(8)는 상기 하단컵(18)에 고정되고, 어퍼 패드(12)와 스프링(10)은 스트럿 베어링(20)의 하단에 고정되는데, 차량의 조타 및 외력에 의한 쇽업쇼버 회전 발생 시 상기 스프링(10)과 상기 범프스토퍼(6)의 고정 위치 차이에 의한 회전량 차이로 상기 범프스토퍼(6)와 스트럿 어셈블리의 상단에서 이음 및 내구 문제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7175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차량의 현가장치에 사용되는 스트럿 어셈블리의 구조를 개선하여 기존의 구조에서 발생되던 이음 및 내구 문제를 개선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스트럿 어셈블리에 있어서,
스트럿 마운트와 어퍼(upper) 패드 사이에 설치되는 스트럿 베어링은 스트럿 어퍼 베어링과 스트럿 로어 베어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트럿 로어 베어링은,
하단이 개방되며, 속이 빈 원통형상의 몸체부;
하단이 개방되며, 속이 빈 형상으로 형성되어 몸체부와 일체가 되도록 몸체부의 내측에 형성되는 끼움부;
몸체부의 중심축과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몸체부의 상단 둘레부분으로부터 몸체부의 외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가장자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끼움부의 내부에는 더스트커버의 상단부가 일정 길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몸체부 상단면의 하면과 끼움부 상단면의 상면이 서로 맞닿아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몸체부의 상단면 중앙부와 끼움부의 상단면 중앙부에는 스트럿 로드가 관통되는 로드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몸체부는 원통형상의 어퍼 패드 바디부 내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장자리부의 하면과 몸체부의 외경면은 곡선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범프스토퍼, 더스트커버, 어퍼 패드, 스프링이 모두 스트럿 로어 베어링의 몸체부에 고정됨으로써 차량의 조타 및 외력에 의한 쇽업쇼버의 회전 시 범프스토퍼와 스프링에 동일한 회전량이 발생하여 차량의 조타 시 범프스토퍼에 발생하는 회전 모멘트가 상쇄됨으로써 스트럿 어셈블리의 내구 및 NHV 성능이 개선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종래의 구조에서는 범프 시 범프스토퍼에 걸리는 하중이 인슐레이터의 역할을 하는 스트럿 마운트에 바로 전달되지만, 본 발명에서는 스트럿 로어 베어링과 스트럿 어퍼 베어링에 전달되면서 분산된 조건으로 스트럿 마운트에 전달되어 하중의 분산 및 상쇄로 내구력 및 NHV 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트럿 어셈블리의 분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럿 어셈블리의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럿 로어 베어링의 단면도.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본 발명은 차량의 현가장치에 사용되는 스트럿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스트럿 어셈블리의 분해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럿 어셈블리의 분해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럿 로어 베어링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스트럿 어셈블리는, 쇽업소버가 내장되어 있으며 외주면에 스프링 좌대(4)가 형성되어 있는 스트럿 로드(2)와, 상기 스트럿 로드(2)의 상부에 설치되어 충격을 흡수하는 범프스토퍼(6)와, 상기 스트럿 로드(2)의 좌대 상에 설치되는 코일 스프링(10)과, 상기 스프링(10)의 상단에 설치되는 어퍼(upper) 패드(12)와, 상기 스트럿 로드(2)를 통해 전달되는 축하중을 지지하되 회전을 허용하도록 장착되는 스트럿 베어링(32, 34)과, 상기 스트럿 베어링(32, 34)의 상부에 설치되어 인슐레이터의 역할을 하는 스트럿 마운트(30)와, 상기 스트럿 로드(2) 상단에 나사결합되어 스트럿 어셈블리를 고정시키는 너트(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종래의 스트럿 어셈블리에서 범프스토퍼(6)와 스프링(10)의 고정 위치 차이에 의한 회전량 차이로 상기 범프스토퍼(6)와 스트럿 어셈블리의 상단에서 발생하던 이음 및 내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트럿 마운트(30)와 상기 어퍼 패드(12) 사이에 설치되는 상기 스트럿 베어링(32, 34)을 스트럿 어퍼 베어링(32)과 스트럿 로어 베어링(34)으로 나누어 구성하였다.
상기 스트럿 로어 베어링(34)은, 하단이 개방되며 속이 빈 원통형상의 몸체부(36)와, 하단이 개방되며 속이 빈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36)와 일체가 되도록 상기 몸체부(36)의 내측에 형성되는 끼움부(42)와, 상기 몸체부(36)의 중심축과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36)의 상단 둘레부분으로부터 상기 몸체부(36)의 외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가장자리부(38)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가장자리부(38)는 상기 가장자리부(38)의 하면이 상기 몸체부(36)의 외경면과 곡선이 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끼움부(42)의 내부에는 상기 더스트커버(8)의 상단부가 일정 길이 압입되어 끼워지는 것으로, 상기 끼움부(42)의 내측면은 상기 더스트커버(8) 외주면의 상단부 일정 길이 부분과 면접촉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끼움부(42)와 상기 몸체부(36)가 일체로 형성되기 위해 상기 끼움부(42)의 외주면을 상기 몸체부(36)의 내주면과 일체로 형성하여 구성할 수도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끼움부(42) 상단면의 상면이 상기 몸체부(36) 상단면의 하면과 서로 맞닿아 일체로 구성됨으로써 상기 끼움부(42)와 상기 몸체부(36)를 일체로 구성하였다.
일체로 형성된 상기 몸체부(36)의 상단면 중앙부와 상기 끼움부(42)의 상단면 중앙부에는 로드홀(40)이 형성되어 하측으로부터 상기 스트럿 로드(2)가 관통된다.
상기 더스트커버(8)가 상기 끼움부(42) 내부에 끼워졌을 때 상기 더스트커버(8)와 상기 로드홀(40)은 동축인 위치에 위치한다.
상기 스트럿 어퍼 베어링(32)은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스트럿 로어 베어링(34)의 상측에 끼워는 것으로, 상기 스트럿 어퍼 베어링(32)의 하면은 상기 스트럿 로어 베어링(34)의 상면에 끼워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스트럿 어퍼 베어링(32)의 하면에 일정 간격으로 링 형상의 오목부가 형성되면, 상기 스트럿 로어 베어링(34)의 상기 가장자리부(38) 상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링 형상의 볼록부가 형성되어 상기 오목부와 상기 볼록부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스트럿 어퍼 베어링(32)과 상기 스트럿 로어 베어링(34)이 결합된다.
상기 스트럿 어퍼 베어링(32)이 결합된 상기 스트럿 로어 베어링(34)의 상기 몸체부(36)는 상기 어퍼 패드(12)의 내부에 삽입된다.
상기 어퍼 패드(12)는 원통형상의 바디부(44)와 상기 바디부(44) 상단 둘레부분에 형성되는 링부(46)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몸체부(36)는 상기 바디부(44)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몸체부(36)가 상기 바디부(44)의 내부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어퍼 패드(12)의 링부(46)는 상기 스트럿 로어 베어링(34)의 가장자리부(38) 하측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어퍼 패드(12)의 바디부(44) 외주면에는 상기 스프링(10)이 끼워지게 된다.
상기 몸체부(36) 내부에 끼워진 상기 더스트커버(8)의 내측에는 상기 범프스토퍼(6)가 끼워지게 된다. 상기 범프스토퍼(6)가 상기 더스트커버(8)의 내측에 끼워졌을 때, 상기 범프스토퍼(6)의 상단 외주면은 상기 더스트커버(8)의 상단 내주면과 맞닿아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스트럿 어셈블리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상기 범프스토퍼(6), 상기 더스트커버(8), 상기 어퍼 패드(12), 상기 스프링10이 모두 상기 스트럿 로어 베어링(34)의 몸체부에(36) 고정된다. 따라서, 차량의 조차 및 외력에 의한 쇽업쇼버의 회전 시에도 상기 범프스토퍼(6)와 상기 스프링(10)에 동일한 회전량이 발생하게 되고 차량의 조타 시 상기 범프스토퍼(6)에 발생하는 회전 모멘트가 상쇄됨으로써 스트럿 어셈블리의 내구 및 NHV 성능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구조에서는 범프 시 범프스토퍼(6)에 걸리는 하중이 인슐레이터의 역할을 하는 상기 스트럿 마운트(16)에 바로 전달되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스트럿 로어 베어링(34)과 상기 스트럿 어퍼 베어링(32)에서 분산되어 상기 스트럿 마운트(30)에 전달되면서 하중의 분산 및 상쇄로 내구력 및 NHV 성능을 개선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스트럿 어셈블리의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2 : 스트럿 로드
4 : 스프링 좌대
6 : 범프스토퍼
8 : 더스트커버
10 : 스프링
12 : 어퍼(upper) 패드
14 : 너트
16 : 종래의 스트럿 마운트
18 : 종래의 하단컵
20 : 종래의 스트럿 베어링
30 : 스트럿 마운트
32 : 스트럿 어퍼 베어링
34 : 스트럿 로어 베어링
36 : 몸체부
38 : 가장자리부
40 : 로드홀
42: 끼움부
44 : 어퍼 패드 바디부
46 : 어퍼 패드 링부
48 : 볼록부

Claims (7)

  1. 삭제
  2. 차량의 현가장치에 사용되는 스트럿 어셈블리에 있어서,
    스트럿 마운트와 어퍼(upper) 패드 사이에 설치되는 스트럿 베어링은 스트럿 어퍼 베어링과 스트럿 로어 베어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스트럿 로어 베어링은,
    하단이 개방되며, 속이 빈 원통형상의 몸체부;
    하단이 개방되며, 속이 빈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몸체부와 일체가 되도록 상기 몸체부의 내측에 형성되는 끼움부;
    상기 몸체부의 중심축과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부의 상단 둘레부분으로부터 상기 몸체부의 외측으로 일정길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가장자리부;
    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 상단면의 하면과 상기 끼움부 상단면의 상면이 서로 맞닿아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럿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부의 내부에는 더스트커버의 상단부가 일정 길이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럿 어셈블리.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상단면 중앙부와 상기 끼움부의 상단면 중앙부에는 스트럿 로드가 관통되는 로드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럿 어셈블리.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원통형상의 어퍼 패드 바디부 내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럿 어셈블리.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장자리부의 하면과 상기 몸체부의 외경면은 곡선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럿 어셈블리.

KR1020170034860A 2017-03-20 2017-03-20 스트럿 어셈블리 KR102249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4860A KR102249617B1 (ko) 2017-03-20 2017-03-20 스트럿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4860A KR102249617B1 (ko) 2017-03-20 2017-03-20 스트럿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487A KR20180106487A (ko) 2018-10-01
KR102249617B1 true KR102249617B1 (ko) 2021-05-10

Family

ID=63877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4860A KR102249617B1 (ko) 2017-03-20 2017-03-20 스트럿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961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029B1 (ko) * 2013-12-20 2015-06-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상단 및 하단이 고정된 더스트커버를 가지는 쇽업쇼바
US20160223023A1 (en) 2015-01-29 2016-08-04 Hyndai Mobis Co., Ltd. Rolling bearing and suspension apparatus for automobil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1752B1 (ko) 2002-06-17 2005-03-0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 현가장치용 스트러트
KR20160025909A (ko) * 2014-08-28 2016-03-0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현가장치
KR102270573B1 (ko) * 2014-10-28 2021-06-2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현가장치의 스트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7029B1 (ko) * 2013-12-20 2015-06-1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상단 및 하단이 고정된 더스트커버를 가지는 쇽업쇼바
US20160223023A1 (en) 2015-01-29 2016-08-04 Hyndai Mobis Co., Ltd. Rolling bearing and suspension apparatus for automobi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487A (ko) 2018-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144850A1 (en) Strut mount
EP0105232A1 (en) Strut suspension for an automotive vehicle
US9132709B2 (en) Suspension device, suspension support, and buffer member
US11358427B2 (en) Suspension for vehicle
KR20010110484A (ko) 코일 스프링 및 지지 베어링을 구비한, 스프링 스트럿용장치
KR20140120452A (ko) 서스펜션 베어링 모듈
JP4367835B2 (ja) 油圧緩衝器の懸架ばね支持構造
KR102249617B1 (ko) 스트럿 어셈블리
US2999678A (en) Auxiliary spring suspensions
US20170120708A1 (en) Vehicle spring assembly
KR102658038B1 (ko) 인슐레이터 및 이를 갖는 현가장치
KR102463448B1 (ko) 인슐레이터 유닛의 장착구조
KR101196072B1 (ko) 맥퍼슨 스트럿용 상부 고정 장치
KR100986085B1 (ko)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 유닛
US3940160A (en) Independent wheel suspension for motor vehicles
KR100422842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현가 장치용 범퍼 스토퍼
KR102529387B1 (ko) 인슐레이터 어셈블리
KR102575728B1 (ko) 서스펜션 스트럿 조립체
KR20100007181A (ko) 스트럿 어셈블리용 스프링 어퍼시트
KR102452687B1 (ko) 차량용 스트러트형 현가장치의 인슐레이터 부시
KR0130622Y1 (ko) 쇽업소버의 더스트커버 설치구조
RU2312773C1 (ru) Верхняя опора направляющей передней стойки подвески автомобиля (варианты)
KR20240030164A (ko) 차량용 에어 스프링 어셈블리
KR20160025909A (ko) 차량의 현가장치
KR20080023557A (ko) 자동차용 현가장치의 스트럿 마운트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