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7605A - 차량 탑재 장치 및 인증 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탑재 장치 및 인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7605A
KR20180067605A KR1020187013154A KR20187013154A KR20180067605A KR 20180067605 A KR20180067605 A KR 20180067605A KR 1020187013154 A KR1020187013154 A KR 1020187013154A KR 20187013154 A KR20187013154 A KR 20187013154A KR 20180067605 A KR20180067605 A KR 201800676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hentication
vehicle
unit
wireless communication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131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1406B1 (ko
Inventor
류스케 이시카와
오승석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Publication of KR20180067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7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1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1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a signal being sent to a remote location, e.g. a radio signal being transmitted to a police station, a security company or the ow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5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biomet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4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conditions of vehicle components, e.g. of windows, door locks or gear selec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자차량에서 사용되고, 전자 키와의 사이에서의 무선 통신을 통한 코드 대조에 의해 인증을 행하는 제1 인증부(714)를 구비하는 차량 탑재 장치이며, 제1 인증부에서 사용하는 무선 통신을 통한 코드 대조 이외의 방법으로 인증을 행하는 제2 인증부(715)와, 제1 인증부(714)에서 인증이 성립되었지만, 제2 인증부(715)에서 인증이 성립되지 않은 경우에, 무선 통신을 이용한 부정한 인증이 자차에 대하여 행하여진 것을 자차의 유저의 개인 휴대기(3)로 통지시키는 통지 지시부(719)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차량 탑재 장치 및 인증 시스템
<관련 출원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5년 12월 24일에 출원된 일본 출원 번호 제2015-252252호에 기초하는 것이며, 여기에 그 기재 내용을 원용한다.
본 개시는, 유저에 휴대되는 휴대기와의 사이에서 무선 통신을 이용한 인증을 실시하는 차량 탑재 장치 및 그 차량 탑재 장치를 포함하는 인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차량 탑재 장치와 전자 키와 같은 휴대기 사이에서 무선 통신에 의한 코드 대조가 성립된 것에 기초하여, 차량 도어의 시해정이나 엔진 시동 등의 차량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인증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 이 무선 통신이 가능해지는 거리 범위는, 차량 주변의 근거리에 제한되어 있으므로, 통상, 무선 통신을 이용한 인증은, 휴대기가 차량의 근방에 위치하는 경우에 한하여 가능해진다.
그러나, 이러한 인증 시스템에서는, 악의를 가진 제3자가, 중계기를 사용하여 휴대기와 차량 탑재 장치의 통신을 간접적으로 실현시킴으로써 인증을 성립시키는 릴레이 어택이 우려되고 있다. 릴레이 어택에서는, 정규 유저가 의도치 않음에도 불구하고, 인증을 성립시켜 차량 도어의 해정이나 엔진 시동 등의 차량 제어를 가능하게 해 버린다.
이에 반하여,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는 차량(당해 차량(subject vehicle) 혹은 자차(host vehicle)라고도 언급된다)에 탑재된 차량 탑재 장치로부터 송신하는 리퀘스트 신호의 강도를 도중에 변화시키고, 휴대기에서는, 이 강도의 변화를 검출한 경우에 한하여 응답함으로써, 릴레이 어택을 방지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JP 2010-185186 A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기술에서는, 릴레이 어택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졌다고 해도, 유저는 자차에 대하여 릴레이 어택이 행해졌는지 여부를 인지할 수는 없다. 자차에 대하여 릴레이 어택이 행하여지고 있음을 유저가 인지하지 못한 경우, 유저는 자차가 도난의 표적이 되어 있음을 인지할 수 없어, 자차 도난에 대한 방범을 강화할 수 없다.
본 개시의 목적은, 무선 통신을 이용한 부정한 인증이 자차에 대하여 행하여진 것을 유저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 탑재 장치 및 인증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하나의 관점에 의하면, 차량 탑재 장치는, 차량에서 사용되고, 전자 키로서 사용되는 휴대기와의 사이에서의 무선 통신을 통한 코드 대조에 의해 인증을 행하는 제1 인증부를 구비하는 차량 탑재 장치이며, 제1 인증부에서 사용하는 무선 통신을 통한 코드 대조 이외의 방법으로 인증을 행하는 제2 인증부와, 제1 인증부에서 인증이 성립되었지만, 제2 인증부에서 인증이 성립되지 않은 경우에, 무선 통신을 이용한 부정한 인증이 차량에 대하여 행하여진 것을 차량의 유저의 통신 단말기로 통지시키는 통지 지시부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개시의 다른 하나의 관점에 의하면, 인증 시스템은, 전자 키로서 사용되는 휴대기와, 차량에서 사용되고, 휴대기와의 사이에서의 무선 통신을 통한 코드 대조에 의해 인증을 행하는 제1 인증부를 구비하는 차량 탑재 장치이며, 제1 인증부에서 사용하는 무선 통신을 통한 코드 대조 이외의 방법으로 인증을 행하는 제2 인증부와, 제1 인증부에서 인증이 성립되었지만, 제2 인증부에서 인증이 성립되지 않은 경우에, 무선 통신을 이용한 부정한 인증이 자차에 대하여 행하여진 것을 자차의 유저의 통신 단말기로 통지시키는 통지 지시부를 구비하는 차량 탑재 장치를 포함한다.
제1 인증부에서 사용하는 무선 통신을 통한 코드 대조로 인증이 성립되었지만, 이외의 방법에 의해 제2 인증부에서 인증이 성립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1 인증부에서의 무선 통신을 이용한 인증이 부정하게 성립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통지 지시부는, 무선 통신을 통한 부정한 인증이 자차에 대하여 행해진 경우에, 이것을 자차의 유저의 통신 단말기로 통지시킬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을 통한 부정한 인증이 자차에 대하여 행하여진 것을 자차의 유저의 통신 단말기로 통지시키므로, 유저가 이 통신 단말기로부터, 무선 통신을 통한 부정한 인증이 자차에 대하여 행하여진 것을 인지할 수 있다.
본 개시에 관한 상기 목적 및 그 밖의 목적, 특징이나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하기의 상세한 기술에 의해 보다 명확해진다.
도 1은 제1 실시 형태의 인증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전자 키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인증 ECU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인증 ECU의 주제어기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인증 ECU의 주제어기에서의 인증 관련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은 제1 인증부와 제2 인증부의 인증 결과의 조합과 그것에 대응하는 처리의 대응 관계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제2 실시 형태의 인증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제2 실시 형태의 인증 ECU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제2 실시 형태의 인증 ECU의 주제어기에서의 인증 관련 처리의 흐름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변형예의 인증 ECU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은 다른 변형예의 인증 ECU의 개략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서, 개시를 위한 복수의 실시 형태나 변형예를 설명한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복수의 실시 형태나 변형예의 사이에 있어서, 그때까지의 설명에 사용한 도면에 나타낸 부분과 동일한 기능을 가진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 부분에 대해서는, 다른 실시 형태나 변형예에 있어서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실시 형태 1)
<인증 시스템(1)의 개략 구성>
이하, 본 개시의 실시 형태 1에 대하여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인증 시스템(1)은, 유저에 휴대되는 전자 키(2) 및 개인 휴대기(3)(휴대 단말기라고도 언급된다)와, 차량 HV에서 사용되는 센서(5), DCM(Data Communication Module)(6) 및 인증 ECU(7)를 포함하고 있다. 이 인증 시스템(1) 중 전자 키(2)와 인증 ECU(7)를 적어도 포함하는 구성은 인증 시스템에 상당한다. 차량 HV는, 당해 차량(subject vehicle) 혹은 자차(host vehicle)라고도 언급된다.
인증 시스템(1)에서는, 센서(5)로 취득하는 유저의 생체 정보에 의해 생체 인증을 행하여, 생체 인증이 성립된 경우에, 차량 HV의 도어의 해정을 허가한다. 또한, 전자 키(2)와 인증 ECU(7) 사이에서 무선 통신에 의해 코드 대조를 행하여, 무선 통신을 통한 코드 대조에 의한 인증이 성립된 경우이며, 또한, 생체 인증이 성립된 경우에, 차량 HV의 도어의 시해정 외에도 차량 HV의 시동을 허가한다. 전자 키(2) 및 인증 ECU(7)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정보」는, 불가산 명사뿐만 아니라, 가산 명사로서도 사용되고, 정보 항목과 동등하다. 하나의 정보는 하나의 정보 항목과, 복수의 정보는 복수의 정보 항목과 동등하다.
개인 휴대기(3)는 유저가 휴대 혹은 장착하는 통신 단말기이며, DCM(6)과 공중 통신 회선망을 통하여 통신을 행한다. 개인 휴대기(3)의 일례로서는, 다기능 휴대 전화기, 웨어러블 통신 단말기 등이 있지만, 실시 형태 1에서는, 개인 휴대기(3)가 다기능 휴대 전화기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센서(5)는 차량 HV의 아우터 도어 핸들(4)에 설치되어 있고, 아우터 도어 핸들(4)을 쥔 유저로부터 생체 정보를 취득하는 접촉식의 생체 인증 센서이다. 센서(5)의 일례로서는, 접촉 발광식 지문 센서, 정맥 인식 센서 등이 있지만, 실시 형태 1에서는, 센서(5)가 접촉 발광식 지문 센서이며, 센서(5)로 취득하는 생체 정보가 지문 정보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센서(5)는 차량 HV의 운전석 도어, 조수석 도어, 후부 좌석 도어, 트렁크 룸 도어의 모든 아우터 도어 핸들(4)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해도 되고, 일부의 아우터 도어 핸들(4)에 설치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일부의 아우터 도어 핸들(4)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운전석 도어의 아우터 도어 핸들(4)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하면 된다.
DCM(6)은 텔레매틱스 서비스에 사용되는 차량 탑재 통신 모듈이며, 공중 통신 회선망을 통하여 개인 휴대기와 통신을 행한다.
<전자 키(2)의 개략 구성>
계속하여, 도 2를 사용하여, 전자 키(2)의 개략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자 키(2)는, 주제어기(21)(주제어 회로라고도 언급된다), LF 수신기(22) 및 UHF 송신기(23)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전자 키(2)는 휴대기에 상당한다.
LF 수신기(22)는 아우터 도어 핸들(4)에 설치된 LF 안테나를 갖고 있으며, 인증 ECU(7)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LF대의 리퀘스트 신호를 이 LF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한다. 또한, LF 수신기(22)는 주제어기(21)에 접속되어 있고, LF 안테나로 수신한 리퀘스트 신호를 주제어기(21)에 출력한다.
UHF 송신기(23)는 UHF 안테나를 갖고 있으며, UHF 안테나를 통하여 인증 ECU(7)로 UHF대의 전파로 리스펀스 신호를 송신한다. UHF 송신기(23)는 주제어기(21)에 접속되어 있고, 이 주제어기(21)로부터 출력된 리스펀스 신호를 UHF 안테나로부터 송신한다.
주제어기(21)는 CPU, 휘발성 메모리, 불휘발성 메모리, I/O 및 이들을 접속하는 버스를 구비하고, 불휘발성 메모리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어, 주제어기(21)는 인증 ECU(7)로부터 송신되는 리퀘스트 신호에 따른 응답 신호를 송신하는 등의 응답 관련 처리 등을 실행한다.
주제어기(21)에서는, 전기적으로 재기입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에, 정규 유저의 차량 HV를 식별하기 위한 차량 식별 코드가 등록되어 있다. 주제어기(21)는 LF 수신기(22)에서 수신한 리퀘스트 신호의 송신원의 인증 ECU(7)를 탑재한 차량 HV가 정규 유저의 차량인지 코드 대조를 행한다. 코드 대조는, 인증 ECU(7)로부터 수신하는 리퀘스트 신호에 포함되는 차량 식별 코드와, 주제어기(21)의 불휘발성 메모리에 등록되어 있는 차량 식별 코드 사이에서 행한다.
그리고, 주제어기(21)는 코드 대조가 성립된 경우에, 자기기를 식별하기 위한 전자 키 식별 코드를 포함한 리스펀스 신호를 회신한다. 전자 키 식별 코드는, 주제어기(21)의 불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해 둔 것을 판독하여 사용하는 구성으로 하면 된다.
<인증 ECU(7)의 개략 구성>
계속하여, 도 3을 사용하여, 인증 ECU(7)의 개략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증 ECU(7)는 센서(5), DCM(6), 보디 ECU(8) 및 파워 유닛 제어 ECU(9)와 접속되어 있다. 일례로서는, 차량 탑재 LAN에 의해 센서(5), DCM(6), 보디 ECU(8) 및 파워 유닛 제어 ECU(9)와 인증 ECU(7)를 접속하면 된다. 이 인증 ECU(7)는 차량 탑재 장치에 상당한다.
보디 ECU(8)는, 차량 HV의 각 차량 도어의 시해정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각 차량 도어에 설치된 도어락 모터에 출력함으로써, 각 차량 도어의 시해정을 행한다. 또한, 보디 ECU(8)에는, 각 차량 도어의 아우터 도어 핸들(4)에 설치된 터치 센서가 접속되어 있고, 각 차량 도어의 아우터 도어 핸들이 유저에 접촉됨을 검출한다.
파워 유닛 제어 ECU(9)는 차량 HV의 주행 구동원을 제어한다. 주행 구동원으로서는, 엔진, 모터 등이 있다. 파워 유닛 제어 ECU(9)는 인증 ECU(7)로부터 주행 구동원의 시동 허가 신호를 취득하면, 주행 구동원을 시동할 수 있는 시동 대기 상태로 한다. 예를 들어, 주행 구동원이 엔진인 경우를 예로 들면, 스타터 모터 등이 시동할 수 있는 상태인 엔진 시동 대기 상태로 한다.
또한,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증 ECU(7)는 주제어기(71)(주제어 회로라고도 언급된다), LF 송신기(72), UHF 수신기(73)를 구비하고 있다.
LF 송신기(72)는 각 차량 도어 도어 안테나(10)와 같은 LF 안테나를 통하여, 전자 키(2)에 LF대의 전파로 리퀘스트 신호를 송신한다. LF대란, 예를 들어 30㎑ 내지 300㎑의 주파수대이다. LF 안테나로부터 LF대의 전파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범위가, 근거리 무선 통신이 가능한 근거리 무선 통신 에어리어에 해당한다. 리퀘스트 신호는, 코드 대조를 위한 전자 키 식별 코드의 송신을 요구하는 신호이며, 차량 HV를 식별하기 위한 차량 식별 코드를 포함하고 있다. 도어 안테나(10)는 차량 HV의 차량 도어의 도어 핸들에 설치된다.
LF 송신기(72)는 차실 내에 설치된 실내 안테나를 통하여, 차실 내에도 LF대의 전파로 리퀘스트 신호를 송신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그러나, 편의상, 실시 형태 1에서는, 도어 안테나(10)를 통하여 차실 외로 리퀘스트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에 한하여 설명한다.
UHF 수신기(73)는 UHF 안테나(11)를 갖고 있으며, UHF대의 전파로 전자 키(2)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리스펀스 신호를 UHF 안테나(11)로 수신한다. UHF대란, 예를 들어 300㎒ 내지 3㎓의 주파수대이다. 또한, 리스펀스 신호란, 인증 ECU(7)로부터 송신하는 리퀘스트 신호에 대하여 전자 키(2)로부터 회신되는 신호이다.
주제어기(71)는 휘발성 메모리, 불휘발성 메모리, I/O 및 이들을 접속하는 버스를 구비하고, 불휘발성 메모리에 기억된 제어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각종 처리를 실행한다. 주제어기(71)는 인증에 관련된 처리(이하, 인증 관련 처리)를 실행한다. 주제어부(71)에 대해서는 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주제어기(71)가 실행하는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하나 혹은 복수의 IC 등에 의해 하드웨어적으로 구성해도 된다.
<주제어기(71)의 상세 구성>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제어기(71)는 송신 처리부(711), 수신 처리부(712), 등록기(713), 제1 인증부(714), 제2 인증부(715), 인증 결과 통합부(716), 시해정 허가부(717), 시동 허가부(718) 및 통지 지시부(719)를 구비하고 있다.
송신 처리부(711)는 LF 송신기(72)를 통하여 도어 안테나(10)로부터, 차량 HV의 차량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리퀘스트 신호를 송신시킨다. 일례로서 리퀘스트 신호의 송신은, 차량 HV의 주차 중에 간헐적으로 행하여지는 것으로 하면 된다. 차량 식별 코드는, 차량 HV에 탑재된 인증 ECU(7)의 기기 ID여도 되고, 차량 HV의 차량 ID여도 된다. 차량 식별 코드는, 인증 ECU(7)의 불휘발성 메모리에 저장해 둔 것을 판독하여 사용하는 구성으로 하면 된다. 수신 처리부(712)는 리퀘스트 신호에 응답하여 UHF대의 전파로 전자 키(2)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리스펀스 신호를, UHF 수신기(73)를 통하여 수신한다.
등록기(713)는 예를 들어 전기적으로 재기입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이며, 전자 키 식별 코드 중 정규 유저의 전자 키(2)의 전자 키 식별 코드가 등록되어 있다. 또한, 정규 유저의 생체 정보도 등록되어 있다. 실시 형태 1의 예에서는, 정규 유저로부터 센서(5)로 취득한 지문 정보(이하, 정규 지문 정보)가 등록되어 있다.
제1 인증부(714)는 수신 처리부(712)에서 수신한 리스펀스 신호의 송신원의 전자 키(2)가 정규 유저의 전자 키(2)인지 코드 대조를 행한다. 코드 대조는, 전자 키(2)로부터 수신한 리스펀스 신호에 포함되는 전자 키 식별 코드와, 등록기(713)에 등록되어 있는 전자 키 식별 코드 사이에서 행한다. 그리고, 양자가 일치한 경우에, 무선 통신을 통한 코드 대조에 의한 인증이 성립된 것으로 한다. 양자가 일치하지 않은 경우에는, 인증은 불성립이 된다.
제2 인증부(715)는 센서(5)로 취득한 지문 정보가, 정규 지문 정보와 일치하는지 대조하는 지문 인증을 행한다. 지문 인증은, 센서(5)로 취득한 지문 정보와, 등록기(713)에 등록되어 있는 정규 지문 정보 사이에서 행한다. 그리고, 양자가 일치한 경우에, 지문 인증이 성립된 것으로 한다. 양자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인증은 불성립이 된다.
인증 결과 통합부(716)는 제1 인증부(714)에서의 인증 결과와 제2 인증부(715)에서의 인증 결과를 통합하여, 시해정 허가부(717), 시동 허가부(718), 통지 지시부(719)에 출력한다.
시해정 허가부(717)는 제1 인증부(714)와 제2 인증부(715)의 어느 한쪽이라도 인증 성립인 경우에, 차량 도어의 시해정을 허가하는 신호를 보디 ECU(8)에 보낸다. 이 시해정 허가부(717)는 해정 허가부에 상당한다. 차량 도어의 시해정이 허가된 경우, 보디 ECU(8)는, 차량 도어의 아우터 도어 핸들(4)에 설치된 터치 센서에 대한 통전을 개시시키고, 유저에 의한 아우터 도어 핸들 조작을 검출 가능한 스탠바이 상태가 된다. 그리고, 유저가 이 터치 센서에 접촉한 것을 보디 ECU(8)에서 검출한 경우에, 보디 ECU(8)가 구동 신호를 도어락 모터에 출력하여, 차량 도어의 시해정을 행한다.
센서(5)를 차량 HV의 각 차량 도어에 설치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에는, 시해정 허가부(717)에서 시해정을 행하는 차량 도어는, 아우터 도어 핸들 조작을 검출한 차량 도어에 한정하는 구성으로 하면 된다. 이것에 의하면, 유저가 아우터 도어 핸들(4)에 접촉한 차량 도어에 한하여 시해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센서(5)를 차량 HV의 운전석의 차량 도어에 한하여 설치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에는, 시해정 허가부(717)에서 시해정을 행하는 차량 도어는, 차량 HV의 모든 차량 도어로 하는 구성으로 하면 된다. 운전석의 차량 도어의 아우터 도어 핸들(4)에 접촉함으로써 차량 HV의 전체 차량 도어의 시해정을 행하는 것은, 기존의 전자 키 시스템의 기능과 마찬가지이므로, 유저에 있어서는 익숙하여 편리성이 좋다. 따라서, 이상의 구성에 의하면, 유저에 있어서의 편리성을 양호하게 유지하면서, 센서(5)를 차량 HV에 설치하는 수를 저감시켜 비용 절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여기에서는, 시해정 허가부(717)가 시해정의 양쪽을 행하는 구성을 나타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시정만이나 해정만을 행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시동 허가부(718)는 제1 인증부(714)와 제2 인증부(715)의 양방에서 인증 성립인 경우에, 주행 구동원의 시동 허가 신호를 파워 유닛 제어 ECU(9)에 보낸다. 시동 허가 신호를 취득한 파워 유닛 제어 ECU(9)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여, 주행 구동원을 시동 대기 상태로 한다. 이들 시해정 허가부(717) 및 시동 허가부(718)는 허가부에 상당한다.
통지 지시부(719)는, 제1 인증부(714)에서 인증 성립이었지만, 제2 인증부(715)에서 인증 불성립인 경우에, 무선 통신을 이용한 부정한 인증이 자차에 대하여 행하여진 것을, DCM(6)으로부터 개인 휴대기(3)로 통지시킨다.
<주제어기(71)에서의 인증 관련 처리>
여기서, 도 5의 흐름도를 사용하여, 인증 ECU(7)의 주제어기(71)에서의 인증 관련 처리의 흐름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의 흐름도는, 차량 HV의 차량 도어가 시정되었을 때에 개시된다.
기재되는 흐름도는, 복수의 섹션(혹은 스텝이라고 언급된다)을 포함하고, 각 섹션은, 예를 들어 S1이라고 표현된다. 또한, 각 섹션은, 복수의 서브섹션으로 분할될 수 있고, 한편, 복수의 섹션이 합하여져 하나의 섹션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각 섹션은, 디바이스, 혹은, 고유명으로서, 또한, 구조적인 수식어를 수반하여, 예를 들어 인증 섹션은, 인증 디바이스, 인증기로서 언급될 수 있다. 또한, 섹션은, (i) 하드웨어 유닛(예를 들어, 컴퓨터)과 조합된 소프트웨어의 섹션뿐만 아니라, (ⅱ) 하드웨어(예를 들어, 집적 회로, 배선 논리 회로)의 섹션으로서, 관련된 장치의 기능을 포함하거나 혹은 포함하지 않고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하드웨어의 섹션은, 마이크로컴퓨터의 내부에 포함될 수도 있다.
먼저, S1에서는, 제2 인증부(715)가 센서(5)를 통하여 지문 정보를 취득한 경우(S1에서 "예")에는, S2로 이행된다. 한편, 지문 정보를 취득하지 않은 경우(S1에서 "아니오")에는, S1의 처리를 반복한다. S2에서는, 제2 인증부(715)가 센서(5)를 통하여 취득한 지문 정보가, 정규 지문 정보와 일치하는지 대조하는 지문 인증을 행한다.
S3에서는, 송신 처리부(711)가, LF 송신기(72)를 통하여 도어 안테나(10)로부터, 차량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리퀘스트 신호를 송신시킨다. S4에서는, 수신 처리부(712)가, 전자 키(2)로부터 리퀘스트 신호에 응답하여 송신되어 오는 리스펀스 신호를, UHF 수신기(73)를 통하여 수신할 수 있는 경우(S4에서 "예")에는, S5로 이행된다. 한편, 수신하지 못한 경우(S4에서 "아니오")에는 S10으로 이행된다.
S4의 처리에서는, 도어 안테나(10)의 통신 범위 내에 전자 키(2)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혹은 전자 키(2)로 차량 식별 코드의 코드 대조가 불성립인 경우에, 전자 키(2)로부터의 리스펀스 신호를 수신할 수 없게 된다.
수신 처리부(712)에서의 리스펀스 신호를 수신할 수 있었는지 여부의 판단은, 리퀘스트 신호를 송신하고 나서 소정 시간 내로 리스펀스를 수신했는지 여부에 따라 행하는 구성으로 하면 된다. 소정 시간은, 리퀘스트 신호를 한 전자 키(2)가 리스펀스 신호를 송신할 때까지의 시간보다도 긴 시간이며, 임의로 설정 가능한 시간이다. 또한, 100msec마다 등의 주기적으로 복수회 리퀘스트 신호를 송신함에도 불구하고, 리스펀스 신호의 수신을 하지 않은 경우에, 리스펀스 신호를 수신할 수 없었다고 수신 처리부(712)에서 판단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S5에서는, 제1 인증부(714)가, 수신 처리부(712)에서 수신한 리스펀스 신호에 포함되는 전자 키 식별 코드와, 등록기(713)에 등록되어 있는 전자 키 식별 코드의 코드 대조에 의한 인증을 행한다.
S6에서는, 제1 인증부(714)에서의 코드 대조에 의한 인증이 성립된 경우(S6에서 "예")에는 S7로 이행된다. 한편, 코드 대조에 의한 인증이 불성립인 경우(S6에서 "아니오")에는 S10으로 이행된다.
S7에서는, S2에 있어서 제2 인증부(715)에서의 지문 인증이 성립되어 있는 경우(S7에서 "예")에는 S8로 이행된다. 한편, 지문 인증이 불성립인 경우(S7에서 "아니오")에는 S9로 이행된다.
S8에서는, 시해정 허가부(717)가 차량 HV의 해정을 허가함과 함께, 시동 허가부(718)가 차량 HV의 시동을 허가하고, 인증 관련 처리를 종료한다. S9에서는, 릴레이 어택이라는 부정한 인증이 자차에 행하여진 것으로 하고, 시해정 허가부(717)가 차량 HV의 해정을 허가하지 않음과 함께, 시동 허가부(718)가 차량 HV의 시동을 허가하지 않는다. 또한, 통지 지시부(719)가, 무선 통신을 이용한 부정한 인증이 자차에 대하여 행하여진 것을, DCM(6)으로부터 개인 휴대기(3)로 통지시킨다. 그리고, 인증 관련 처리를 종료한다.
통지를 받은 개인 휴대기(3)에서는, 무선 통신을 이용한 부정한 인증이 자차에 대하여 행하여진 것을 나타내는 표시 및/또는 음성 출력을 행함으로써, 무선 통신을 이용한 부정한 인증이 자차에 대하여 행하여진 것을 유저에 인지시킨다. 통지의 일례로서는, 표시이면, 텍스트 표시여도 되고, 아이콘 표시여도 된다. 음성 출력이면, 텍스트의 낭독이어도 되고, 버저음의 출력이어도 된다.
S4에서 리스펀스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혹은 S6에서 코드 대조에 의한 인증이 불성립인 경우의 S10에서는, S2에 있어서 제2 인증부(715)에서의 지문 인증이 성립되어 있는 경우(S10에서 "예")에는 S11로 이행된다. 한편, 지문 인증이 불성립인 경우(S10에서 "아니오")에는 S12로 이행된다.
S11에서는, 시해정 허가부(717)가 차량 HV의 해정을 허가하는 한편, 시동 허가부(718)는 차량 HV의 시동을 허가하지 않고, 인증 관련 처리를 종료한다. S12에서는, 시해정 허가부(717)가 차량 HV의 해정을 허가하지 않음과 함께, 시동 허가부(718)가 차량 HV의 시동을 허가하지 않고, 인증 관련 처리를 종료한다.
여기서, 도 6을 사용하여, 제1 인증부(714)에서의 무선 통신에 의한 코드 대조와 제2 인증부(715)에서의 지문 인증의 인증 결과의 조합과 그것에 대응하는 처리의 대응 관계의 일례를 정리한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무선 통신에 의한 코드 대조와 지문 인증 모두 성립인 경우에는, 차량 HV의 해정과 시동 모두 허가된다. 무선 통신에 의한 코드 대조가 성립되었지만, 지문 인증이 불성립인 경우에는, 차량 HV의 해정과 시동 모두 불허가가 될 뿐만 아니라, 무선 통신을 이용한 부정한 인증이 자차에 대하여 행하여짐이 개인 휴대기(3)로 통지된다. 무선 통신에 의한 코드 대조는 불성립이지만, 지문 인증이 성립된 경우에는, 차량 HV의 시동은 허가하지 않지만, 해정은 허가된다. 무선 통신에 의한 코드 대조와 지문 인증 모두 불성립인 경우에는, 차량 HV의 해정과 시동 모두 불허가가 된다.
<실시 형태 1의 정리>
제1 인증부(714)에서의 무선 통신을 통한 코드 대조로 인증이 성립되었지만, 제2 인증부(715)에서의 지문 인증이 성립되지 않은 경우에는, 제1 인증부(714)에서의 무선 통신을 이용한 인증이 릴레이 어택 등에 의해 부정하게 성립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실시 형태 1의 구성에 의하면, 제1 인증부(714)에서의 무선 통신을 통한 코드 대조로 인증이 성립되었지만, 제2 인증부(715)에서의 지문 인증이 성립되지 않은 경우에는, 무선 통신을 통한 부정한 인증이 자차에 대하여 행하여진 것을 개인 휴대기(3)로 통지시킨다. 따라서, 유저가 이 개인 휴대기(3)로부터, 무선 통신을 통한 부정한 인증이 자차에 대하여 행하여진 것을 인지할 수 있다. 따라서, 유저는 차량 HV가 도난의 표적이 되어 있음을 인지할 수 있어, 예를 들어 차량 HV의 차륜에 도난 방지용의 락을 걸거나 하여, 차량 도난에 대한 방범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실시 형태 1의 구성에 의하면, 제1 인증부(714)에서의 무선 통신을 통한 코드 대조로 인증이 성립되지 않았지만, 제2 인증부(715)에서의 지문 인증이 성립된 경우에는, 차량 HV의 시동은 허가하지는 않지만 해정은 허가한다. 이것에 의하면, 정규 유저가 차량 HV의 시동은 필요로 하지 않아, 하물의 적하를 행하는 경우에, 전자 키(2)를 갖지 않아도 차량 HV의 해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져, 편리성이 향상된다.
또한, 실시 형태 1의 구성에 의하면, 제1 인증부(714)에서의 무선 통신을 통한 코드 대조에 의한 인증과, 제2 인증부(715)에서의 지문 인증 양쪽이 성립되지 않으면 차량 HV의 시동을 허가하지 않으므로, 이중의 인증에 의해 도난 방지의 효과가 높아진다.
또한, 센서(5)가 차량 HV의 아우터 도어 핸들(4)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유저가 승차 시의 동작을 행하기만 해도 제2 인증부(715)에서의 지문 인증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인증부(715)에서의 인증을 위한 여분의 동작을 유저에 강요할 필요가 없어, 편리성을 훼손시키지 않는다.
(실시 형태 2)
실시 형태 1에서는, 센서(5)를 아우터 도어 핸들(4)에 설치하는 구성을 기재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센서(5)를 스타트 스톱 버튼(12)에 설치하는 구성(이하, 실시 형태 2)으로 해도 된다.
<인증 시스템(1a), 인증 ECU(7a), 주제어기(71a)의 개략 구성>
실시 형태 2의 인증 시스템(1a)은,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센서(5)를 아우터 도어 핸들(4)에 설치하는 대신 스타트 스톱 버튼(12)에 설치하는 점과, 인증 ECU(7) 대신 인증 ECU(7a)를 포함하는 점을 제외하면, 실시 형태 1의 인증 시스템(1)과 마찬가지이다. 인증 ECU(7a)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제어기(71) 대신 주제어기(71a)(주제어 회로라고도 언급된다)를 구비하는 점을 제외하면, 실시 형태 1의 인증 ECU(7)와 마찬가지이다.
주제어기(71a)는, 인증 관련 처리의 처리 수순이 상이한 점을 제외하면, 실시 형태 1의 주제어기(71)와 마찬가지이다. 주제어기(71a)는, 주제어기(71)와 마찬가지로, 송신 처리부(711), 수신 처리부(712), 등록기(713), 제1 인증부(714), 제2 인증부(715), 인증 결과 통합부(716), 시해정 허가부(717), 시동 허가부(718) 및 통지 지시부(719)를 구비하고 있다.
스타트 스톱 버튼(12)은, 차량 HV의 주행 구동원을 시동시키기 위하여 유저가 조작하는 버튼이며, 차실 내에 설치되어 있다. 이 스타트 스톱 버튼(12)은 시동용 입력부에 상당한다. 실시 형태 2에서는, 센서(5)는 스타트 스톱 버튼(12)을 조작한 유저로부터 생체 정보를 취득한다. 실시 형태 2에서도, 센서(5)가 접촉 발광식 지문 센서이며, 센서(5)로 취득하는 생체 정보가 지문 정보인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실시 형태 2에 있어서의 LF 송신기(72)는 근거리 무선 통신 에어리어가 차량 HV의 운전석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실시 형태 2에 있어서, 센서(5)를 스타트 스톱 버튼(12)에 설치하는 이유는, 센서(5)를 차량 HV의 전체 차량 도어에 설치하는 구성에 비하여, 필요한 센서(5)의 수를 저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다.
<주제어기(71a)에서의 인증 관련 처리>
여기서, 도 9의 흐름도를 사용하여, 인증 ECU(7a)의 주제어기(71a)에서의 인증 관련 처리의 흐름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9의 흐름도는, 차량 HV의 운전석의 차량 도어가 해정되어 차량 도어가 개방된 후, 스타트 스톱 버튼(12)이 조작되었을 때에 개시된다. 예를 들어, 해정에 대해서는 제1 인증부(714)에서의 무선 통신에 의한 코드 대조가 성립된 경우에 허가하면 된다.
먼저, S21에서는, S3과 마찬가지로 하여, 송신 처리부(711)가, 차량 식별 코드를 포함하는 리퀘스트 신호를 송신시킨다. S22에서는, S4와 마찬가지로 하여, 수신 처리부(712)가, 리스펀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경우(S22에서 "예")에는 S23로 이행된다. 한편, 수신하지 못한 경우(S22에서 "아니오")에는 S33으로 이행된다.
S23에서는, S5와 마찬가지로 하여, 제1 인증부(714)가 코드 대조에 의한 인증을 행한다. S24에서는, 제1 인증부(714)에서의 코드 대조에 의한 인증이 성립된 경우(S24에서 "예")에는 S25로 이행된다. 한편, 코드 대조에 의한 인증이 불성립인 경우(S24에서 "아니오")에는 S33으로 이행된다.
또한, 제1 인증부(714)에서의 무선 통신에 의한 코드 대조에 의해 해정을 허가하는 구성으로 한 경우에는, S21 내지 S24 및 후술하는 S33의 처리를 생략해도 된다.
S25에서는, 주제어기(71a)가, 차량 HV의 전원 전이를 가능하게 하고, S26으로 이행된다. 여기에서 말하는 전원 전이란, 차량 HV의 전원 오프로부터, 액세서리(즉, ACC) 전원 온, 이그니션(즉, IGN) 온까지의 전원 전이이며, 차량 HV의 시동의 허가는 제외하는 것으로 한다.
S26에서는, 제2 인증부(715)가 센서(5)를 통하여 지문 정보를 취득한 경우(S26에서 "예")에는 S27로 이행된다. 한편, 지문 정보를 취득하지 않은 경우(S26에서 "아니오")에는 S31로 이행된다. S27에서는, S2와 마찬가지로 하여, 제2 인증부(715)가 지문 인증을 행한다.
S28에서는, 제2 인증부(715)에서의 지문 인증이 성립된 경우(S28에서 "예")에는 S29로 이행된다. 한편, 지문 인증이 불성립인 경우(S28에서 "아니오")에는 S30으로 이행된다.
S29에서는, 시동 허가부(718)가 차량 HV의 시동을 허가하고, 인증 관련 처리를 종료한다. S30에서는, 릴레이 어택이라고 한 부정한 인증이 자차에 행하여진 것으로 하고, 시동 허가부(718)가 차량 HV의 시동을 허가하지 않음과 함께, 통지 지시부(719)가, 무선 통신을 이용한 부정한 인증이 자차에 대하여 행하여진 것을, DCM(6)으로부터 개인 휴대기(3)로 통지시킨다. 그리고, 인증 관련 처리를 종료한다.
S26에서 지문 정보를 취득하지 않은 경우의 S31에서는, 시동 허가부(718)가 차량 HV의 시동을 허가하지 않고, S32로 이행된다. S32에서는, 인증 관련 처리의 종료 타이밍인 경우(S32에서 "예")에는 인증 관련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인증 관련 처리의 종료 타이밍이 아닌 경우(S32에서 "아니오")에는 S26으로 되돌아가 처리를 반복한다. 여기에서의 인증 관련 처리의 종료 타이밍이란, 차량 HV로부터 유저가 하차했을 때 등을 들 수 있다. 차량 HV로부터 유저가 하차한 것은, 차량 HV의 착석 센서에서의 검출 결과, 차량 HV의 실내 안테나로부터 송신하는 리퀘스트 신호에 대한 전자 키(2)의 응답의 유무 등으로부터 주제어기(71a)가 판단하면 된다.
S22에서 리스펀스 신호를 수신하지 못한 경우, 혹은 S24에서 코드 대조에 의한 인증이 불성립인 경우인 S33에서는, 시동 허가부(718)가 차량 HV의 시동을 허가하지 않고, 인증 관련 처리를 종료한다.
실시 형태 2에서는, 실시 형태 1의 센서(5)를 아우터 도어 핸들(4)에 설치한다는 구성 대신에, 센서(5)를 차실 내의 스타트 스톱 버튼(12)에 설치한다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채용한 경우라도, 전자 키(2)를 갖지 않아도 차량 HV의 해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점의 효과를 제외하면,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센서(5)가 차량 HV의 스타트 스톱 버튼(12)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유저가 시동 시의 동작을 행하기만 해도 제2 인증부(715)에서의 지문 인증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인증부(715)에서의 인증을 위한 여분의 동작을 유저에 강요할 필요가 없어, 편리성을 훼손시키지 않는다.
(변형예 1)
센서(5)로서 접촉식의 생체 인증 센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유저가 차량 HV로의 승차 시 혹은 시동 시에 접촉하는 부재라면, 아우터 도어 핸들(4) 및 스타트 스톱 버튼(12) 이외의 부재에 센서(5)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변형예 2)
센서(5)로서 접촉식의 생체 인증 센서를 사용하는 구성에 반드시 제한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비접촉식의 생체 인증 센서를 사용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일례로서는, 비접촉식의 지문 센서, 정맥 인식 센서를 사용하는 구성으로 하면 된다. 그 밖에도, 유저를 촬상한 촬상 화상으로부터 개인 인증을 행하는 장치에서 사용되는 촬상 장치를 센서(5)로서 사용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변형예 3)
제2 인증부(715)에서 행하는 인증은, 제1 인증부(714)에서 사용하는 무선 통신을 통한 코드 대조 이외의 방법에 의한 인증이면, 반드시 생체 인증이 아니어도 된다. 예를 들어, 개인 휴대기(3)와의 사이에서의 무선 통신을 통한 인증이어도 된다. 일례를 설명하면, 무선 통신 규격으로서 Bluetooth(등록 상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페어링 시에 사용하는 PIN 코드의 대조에 의해 제2 인증부(715)가 인증을 행하는 구성으로 하면 된다. 제2 인증부(715)에서 개인 휴대기(3)와의 사이에서의 무선 통신을 통한 인증을 행하는 경우에는, 개인 휴대기(3)와 주제어기(71) 사이에서의 통신을 중개하기 위한 통신부를 인증 ECU(7)가 더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면 된다.
제2 인증부(715)에서 행하는 인증이 생체 인증이 아니어도, 제1 인증부(714)에서 사용하는 무선 통신을 통한 코드 대조 이외의 방법에 의한 인증이면, 실시 형태 1과 마찬가지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변형예 4)
또한, 통지 지시부(719)로부터 DCM(6)을 통하여 통지를 받은 개인 휴대기(3)가 행하는, 무선 통신을 이용한 부정한 인증이 자차에 대하여 행하여진 것을 나타내는 표시 및/또는 음성 출력은, 통지 직후여도 되고, 직후가 아니어도 된다. 직후가 아닌 경우의 구성으로서는, 개인 휴대기(3)에서 통지를 받은 것을 기록해 두고, 유저가 임의의 타이밍에 통지의 내용을 확인하는 구성 등이 있다.
(변형예 5)
실시 형태 1, 실시 형태 2에서는, 통신 단말기로서 다기능 휴대 전화기라고 한 개인 휴대기(3)를 사용하는 구성을 나타냈지만, 반드시 유저가 휴대 혹은 장착하는 통신 단말기에 한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통신 단말기로서 유저의 자택에 있는 PC, 홈 시큐리티 단말기 등을 사용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변형예 6)
실시 형태 1, 2에서는, 무선 통신을 이용한 부정한 인증이 자차에 대하여 행하여진 것을, 통지 지시부(719)가 DCM(6)으로부터 개인 휴대기(3)로 통지시키는 구성을 나타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유저의 차량 HV로의 승차 시에, 무선 통신을 이용한 부정한 인증이 자차에 대하여 행하여진 것을, 통지 지시부(719b)가 자차에 탑재된 표시 장치(13)에 통지하여 표시시키는 구성(이하, 변형예 6)으로 해도 된다.
이하, 본 개시의 변형예 6에 대하여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변형예 6의 인증 ECU(7b)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지 지시부(719) 대신 통지 지시부(719b)를 구비하는 점 및 DCM(6)을 통하여 휴대기(3)에 통지를 행하는 대신 표시 장치(13)에 통지를 행하는 점을 제외하면, 실시 형태 1의 인증 ECU(7)와 마찬가지이다.
표시 장치(13)는 차량 HV에 탑재되는 표시 장치이다. 표시 장치(13)로서는, 예를 들어 콤비네이션 미터, CID(Center Information Display), HUD(Head-Up Display) 등이 있다.
통지 지시부(719b)는, 제1 인증부(714)에서 인증 성립이었지만, 제2 인증부(715)에서 인증 불성립인 경우에, 무선 통신을 이용한 부정한 인증이 자차에 대하여 행하여진 것을, 유저의 차량 HV의 승차 시에, 표시 장치(13)로 통지한다. 통지를 받은 표시 장치(13)는 무선 통신을 이용한 부정한 인증이 자차에 대하여 행하여진 것을 표시 장치(13)에 표시시킨다.
유저의 차량 HV의 승차 시는, 보디 ECU(8)로부터 얻어지는 차량 도어 개폐의 신호, 착석 센서의 신호 등으로부터 통지 지시부(719b)가 판단하는 구성으로 하면 된다.
변형예 6의 구성에 의하면, 무선 통신을 통한 부정한 인증이 자차에 대하여 행하여진 것을, 차량 HV로의 승차 시에 유저가 인지할 수 있다. 또한, 변형예 6에 있어서, 통지 지시부(719b)가 DCM(6)으로부터 개인 휴대기(3)로의 통지도 행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변형예 7)
실시 형태 1, 2에서는, 차량 도어의 시해정을 행하는 보디 ECU(8)가 인증 ECU(7, 7a)와 별개로 설치되어 있는 구성을 나타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차량 도어의 시해정을 행하는 보디 ECU(8)가 인증 ECU(7, 7a)와 통합되어 있는 구성(이하, 변형예 7)으로 해도 된다.
이하, 본 개시의 변형예 7에 대하여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변형예 7의 인증 ECU(7c)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해정 조작부(720)를 구비하는 점을 제외하면, 실시 형태 1의 인증 ECU(7)와 마찬가지이다.
시해정 조작부(720)는 실시 형태 1에서 설명한 보디 ECU(8)와 마찬가지의 처리를 행함으로써, 구동 신호를 도어락 모터(14)에 출력하여, 차량 도어의 시해정을 행한다. 이 시해정 조작부(720)는 해정 조작부에 상당한다.
본 개시는, 실시예에 준거하여 기술되었지만, 본 개시는 당해 실시예나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고 이해된다. 본 개시는, 다양한 변형예나 균등 범위 내의 변형도 포함한다. 그 외에도, 다양한 조합이나 형태, 나아가, 이들에 일 요소만, 그 이상, 혹은 그 이하를 포함하는 다른 조합이나 형태도, 본 개시의 범주나 사상 범위에 포함되는 것이다.

Claims (12)

  1. 차량에서 사용되고,
    전자 키로서 사용되는 휴대기(2)와의 사이에서의 무선 통신을 통한 코드 대조에 의해 인증을 행하는 제1 인증부(714)를 구비하는 차량 탑재 장치이며,
    상기 제1 인증부에서 사용하는 무선 통신을 통한 코드 대조 이외의 방법으로 인증을 행하는 제2 인증부(715)와,
    상기 제1 인증부에서 인증이 성립되었지만, 상기 제2 인증부에서 인증이 성립되지 않은 경우에, 무선 통신을 이용한 부정한 인증이 상기 차량에 대하여 행하여진 것을 상기 차량의 유저의 통신 단말기(3)로 통지시키는 통지 지시부(719, 719b)를 구비하는, 차량 탑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시동을 허가하는 시동 허가부(718)를 더 구비하고,
    상기 시동 허가부는, 상기 제1 인증부와 상기 제2 인증부의 양방에서 인증이 성립되지 않으면 상기 차량의 시동을 허가하지 않는, 차량 탑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도어의 해정을 허가하는 해정 허가부(717)를 더 구비하고,
    상기 해정 허가부는, 상기 제2 인증부에서 인증이 성립되면 상기 차량의 도어의 해정을 허가하는, 차량 탑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도어의 해정을 행하게 하는 해정 조작부(720)를 더 구비하는, 차량 탑재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증부는, 생체 인증에 의해 인증을 행하는, 차량 탑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증부는, 유저가 접촉하는 센서(5)로 취득한 이 유저의 생체 정보를 사용하여 생체 인증을 행하는, 차량 탑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증부는, 상기 차량의 아우터 도어 핸들(4)에 설치된 상기 센서로 취득한 유저의 생체 정보를 사용하여 생체 인증을 행하는, 차량 탑재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증부는, 상기 차량의 주행 구동원을 시동시키기 위하여 유저가 조작하는 시동용 입력부(12)에 설치된 상기 센서로 취득한 유저의 생체 정보를 사용하여 생체 인증을 행하는, 차량 탑재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지시부는, 무선 통신을 이용한 부정한 인증이 상기 차량에 대하여 행하여진 것을, 상기 차량의 유저에 휴대 혹은 장착되는 상기 통신 단말기로 통지시키는, 차량 탑재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지시부(719)는 무선 통신을 이용한 부정한 인증이 상기 차량에 대하여 행하여진 것을, 텔레매틱스 서비스에 사용하는 차량 탑재 통신 모듈(6)을 통하여, 상기 차량의 유저의 통신 단말기로 통지시키는, 차량 탑재 장치.
  11.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 지시부(719b)는 무선 통신을 이용한 부정한 인증이 상기 차량에 대하여 행하여진 것을, 상기 차량의 유저의 상기 차량으로의 승차 시에, 상기 차량에 탑재된 표시 장치(13)에 표시시키는, 차량 탑재 장치.
  12. 전자 키로서 사용되는 휴대기(2)와,
    차량에서 사용되고, 상기 휴대기와의 사이에서의 무선 통신을 통한 코드 대조에 의해 인증을 행하는 제1 인증부(714)를 구비하는 차량 탑재 장치이며,
    상기 제1 인증부에서 사용하는 무선 통신을 통한 코드 대조 이외의 방법으로 인증을 행하는 제2 인증부(715)와,
    상기 제1 인증부에서 인증이 성립되었지만, 상기 제2 인증부에서 인증이 성립되지 않은 경우에, 무선 통신을 이용한 부정한 인증이 상기 차량에 대하여 행하여진 것을 상기 차량의 유저의 통신 단말기(3)로 통지시키는 통지 지시부(719, 719b)를 구비하는, 차량 탑재 장치(7, 7a, 7b, 7c)를 포함하는, 인증 시스템.
KR1020187013154A 2015-12-24 2016-10-06 차량 탑재 장치 및 인증 시스템 KR1020714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252252 2015-12-24
JP2015252252A JP6451622B2 (ja) 2015-12-24 2015-12-24 車載装置及び認証システム
PCT/JP2016/079727 WO2017110207A1 (ja) 2015-12-24 2016-10-06 車載装置及び認証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7605A true KR20180067605A (ko) 2018-06-20
KR102071406B1 KR102071406B1 (ko) 2020-01-30

Family

ID=59089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3154A KR102071406B1 (ko) 2015-12-24 2016-10-06 차량 탑재 장치 및 인증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451622B2 (ko)
KR (1) KR102071406B1 (ko)
WO (1) WO201711020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1775B1 (ko) * 2019-11-20 2021-04-19 삼보모터스주식회사 차량용 이중 보안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49895A (zh) * 2017-07-13 2019-01-22 上海荆虹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生物特征识别的汽车及管理控制系统和方法
JP6962301B2 (ja) 2018-09-25 2021-11-05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中継装置
JP7125323B2 (ja) * 2018-10-19 2022-08-24 住友電装株式会社 車載制御装置、車載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EP3643569A1 (en) * 2018-10-23 2020-04-29 DURA Automotive Holdings U.K., Ltd. Method for accessing and starting a vehicle
TR201820368A2 (tr) * 2018-12-25 2019-01-21 Turkcell Teknoloji Arastirma Ve Gelistirme Anonim Sirketi Anahtarlik üzeri̇nden bi̇r araç sahi̇bi̇ tanima si̇stemi̇
JP7198682B2 (ja) * 2019-02-01 2023-01-04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認証システム及び認証方法
KR102099570B1 (ko) * 2019-02-26 2020-04-1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리모트 제어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JP7132164B2 (ja) * 2019-03-28 2022-09-0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認証装置
JP7233285B2 (ja) * 2019-03-29 2023-03-06 株式会社Subaru 車両の認証システム
JP7180512B2 (ja) * 2019-04-10 2022-11-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通信装置、システム及び方法
KR102314798B1 (ko) * 2019-12-31 2021-10-19 주식회사 성우하이텍 리트렉터블 도어핸들
JP2021161724A (ja) * 2020-03-31 2021-10-11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8640A (ja) * 1998-04-10 1999-10-29 Sony Corp カー・セキュリティーシステム
JP2003221960A (ja) * 2002-01-29 2003-08-08 Tokai Rika Co Ltd ドア開閉装置
JP2010185186A (ja) 2009-02-10 2010-08-26 Alps Electric Co Ltd キーレスエントリー装置
US20140005859A1 (en) * 2012-06-30 2014-01-02 Lonny Baskin Remote management and control of vehicular functions via multiple network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25273B2 (ja) * 2001-04-09 2006-09-27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車輌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車輌およびセキュリティセンタ
JP2005273281A (ja) * 2004-03-24 2005-10-06 Teruhiko Ishiguro ドアの施開錠システムおよびそれに用いる送信装置、並びに、車の施開錠システム、タクシーの施開錠システム、ガソリンスタンドの施開錠システム
JP2009288944A (ja) * 2008-05-28 2009-12-10 Tokai Rika Co Ltd 個人認証システム
JP6167527B2 (ja) * 2013-01-14 2017-07-26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システム、電子キー、携帯端末、及び車載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98640A (ja) * 1998-04-10 1999-10-29 Sony Corp カー・セキュリティーシステム
JP2003221960A (ja) * 2002-01-29 2003-08-08 Tokai Rika Co Ltd ドア開閉装置
JP2010185186A (ja) 2009-02-10 2010-08-26 Alps Electric Co Ltd キーレスエントリー装置
US20140005859A1 (en) * 2012-06-30 2014-01-02 Lonny Baskin Remote management and control of vehicular functions via multiple network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1775B1 (ko) * 2019-11-20 2021-04-19 삼보모터스주식회사 차량용 이중 보안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7115439A (ja) 2017-06-29
JP6451622B2 (ja) 2019-01-16
WO2017110207A1 (ja) 2017-06-29
KR102071406B1 (ko) 2020-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1406B1 (ko) 차량 탑재 장치 및 인증 시스템
US10984616B2 (en) Car sharing system and car sharing program
US10493953B2 (en) Car sharing system
US9751497B2 (en) Vehicle control apparatus
JP6292719B2 (ja) 車両無線通信システム、車両制御装置、携帯機
WO2015174012A1 (ja) 電子キーシステム
JP2018531826A (ja) 車両の起動方法
KR20190020908A (ko) 차량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JP4140731B2 (ja) 車両用通信装置
KR101667990B1 (ko) 스마트폰을 이용한 차량 제어 시스템 및 방법
CN109658547B (zh) 车辆共享系统
US11110894B2 (en) Car sharing system
JP2016079600A (ja) 車両用認証システム
WO2017104352A1 (ja) 車両制御システム
JP2017014839A (ja) 車載機器制御システム、車載制御装置
US20220198856A1 (en) Communication control system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US11247636B2 (en) Vehicle electronic key system and in-vehicle device
JP2013063672A (ja) 車両用制御システム
JP6284514B2 (ja) 車載機器制御システム、携帯機
JP6900901B2 (ja) 車両用警報システム
EP3640880B1 (en) Vehicular control system
CN112839844B (zh) 车载控制装置、车载控制方法及计算机程序
JP2018053489A (ja) スマートキーシステム
JP6894345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
JP6277847B2 (ja) 車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