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9570B1 - 차량의 리모트 제어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리모트 제어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9570B1
KR102099570B1 KR1020190022269A KR20190022269A KR102099570B1 KR 102099570 B1 KR102099570 B1 KR 102099570B1 KR 1020190022269 A KR1020190022269 A KR 1020190022269A KR 20190022269 A KR20190022269 A KR 20190022269A KR 102099570 B1 KR102099570 B1 KR 102099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vehicle
authentication
user terminal
control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2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흥래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22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9570B1/ko
Priority to CN202010111553.XA priority patent/CN111619508B/zh
Priority to US16/801,643 priority patent/US11433852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9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9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045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by hand ges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5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biome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09Remote starting of eng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60R25/246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characterised by the challenge trigg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5/00Steer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15/02Steering position indicators ; Steering position determination; Steering aids
    • B62D15/025Active steering aids, e.g. helping the driver by actively influencing the steering system after environment evalua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11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 G05D1/0016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characterised by the operator's input devic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11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 G05D1/0022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characterised by the communication lin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06F18/20Analysing
    • G06F18/21Design or setup of recognition systems or techniques; Extraction of features in feature space; Blind source separation
    • G06F18/217Validation; Performance evaluation; Active pattern learning techniqu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G06V20/59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inside of a vehicle, e.g. relating to seat occupancy, driver state or inner lighting condi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07Static hand or arm
    • G06V40/113Recognition of static hand sig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61Detection; Localisation; Normal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68Feature extraction; Face represen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72Classification, e.g. ident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20Movements or behaviour, e.g. gesture recognition
    • G06V40/28Recognition of hand or arm movements, e.g. recognition of deaf sign languag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6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using personal physical data of the operator, e.g. finger prints, retinal images, voicepatter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61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biometrical features, e.g. fingerprint, retina-sca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1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66Generation of secret information including derivation or calculation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involving user or device identifiers, e.g. serial number, physical or biometrical information, DNA, hand-signature or measurable physical characteristi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8Key distribution or management, e.g. generation, sharing or updating, of cryptographic keys or passwords
    • H04L9/0894Escrow, recovery or storing of secret information, e.g. secret key escrow or cryptographic key stor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 H04L9/3231Biological data, e.g. fingerprint, voice or retin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07C2009/00507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keyless data carrier having more than one function
    • G07C2009/00547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keyless data carrier having more than one function starting ign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84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463/00Additional details relating to 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covered by H04L63/00
    • H04L2463/082Additional details relating to 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covered by H04L63/00 applying multi-factor 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Remote Sens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sychiat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 얼굴 및/또는 제스처 인식을 이용한 사용자 단말기와 차량 사이의 인증을 통해 차량 제어의 보안을 강화하는 차량의 리모트 제어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모트 차량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와 및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망을 통하여 정보를 송수신하는 차량을 포함하고, 차량은,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잠금 해제 신호 또는 시동 요청 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촬영한 사용자의 영상과 기준 영상을 비교하여 사용자에 대한 제1 인증을 수행하며, 사용자의 영상으로부터 추출한 특징 벡터로부터 암호화키를 생성하여 사용자의 고유정보를 암호화한 제2 인증 전처리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기는, 차량으로부터 수신한 제2 인증 전처리 정보를 내부에 저장된 복호화키로 복호화하여 사용자에 대한 제2 인증을 수행한다.

Description

차량의 리모트 제어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REMOTE CONTROL SYSTEM OF A VEHICL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사용자 얼굴 및/또는 제스처 인식을 이용한 사용자 단말기와 차량 사이의 인증을 통해 차량 제어의 보안을 강화하는 차량의 리모트 제어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얼굴 인식 기술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어 오고 있으며, 그 중 많이 쓰이는 방식은 새로 입력된 얼굴 영상이 미리 등록된 특정 얼굴과 동일한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인증 방식이다.
근래에는 동일한 얼굴을 인식해 내는 방법으로 각 얼굴의 다양한 샘플 영상으로 미리 신경망을 훈련시킨 뒤 훈련된 신경망을 이용하여 입력 영상의 얼굴을 인식하는 학습을 이용한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17-0068869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 및/또는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일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얼굴 및/또는 제스처 인식을 이용한 사용자 단말기와 차량 사이의 인증을 통해 차량 제어의 보안을 강화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모트 차량 제어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망을 통하여 정보를 송수신하는 차량;을 포함하고, 상기 차량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잠금 해제 신호 또는 시동 요청 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촬영한 사용자의 영상과 기준 영상을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제1 인증을 수행하며, 상기 사용자의 영상으로부터 추출한 특징 벡터로부터 암호화키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의 고유정보를 암호화한 제2 인증 전처리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차량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2 인증 전처리 정보를 내부에 저장된 복호화키로 복호화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제2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상기 차량에서 수행한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제1 인증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수행한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제2 인증에 성공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차량 사이에 통신 채널이 오픈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잠금 해제 신호 또는 시동 요청 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차량이 잠금 해제 되거나 또는 시동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시스템은, 상기 차량에서 수행한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제1 인증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수행한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제2 인증에 성공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차량 사이에 통신 채널이 오픈되고, 상기 차량에서 촬영한 사용자의 제스처 영상과 기저장된 차량 제어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 영상에 대응하는 차량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포브키, 스마트워치, 스마트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모트 차량 제어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망을 통하여 정보를 송수신하는 차량을 포함하는 리모트 차량 제어 시스템의 동작 방법으로서, 상기 차량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잠금 해제 신호 또는 시동 요청 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촬영한 사용자의 영상과 기준 영상을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제1 인증을 수행하며, 상기 사용자의 영상으로부터 추출한 특징 벡터로부터 암호화키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의 고유정보를 암호화한 제2 인증 전처리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차량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2 인증 전처리 정보를 내부에 저장된 복호화키로 복호화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제2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차량에서 수행한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제1 인증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수행한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제2 인증에 성공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차량 사이에 통신 채널을 오픈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잠금 해제 신호 또는 시동 요청 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차량이 잠금 해제 되거나 또는 시동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상기 차량에서 수행한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제1 인증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수행한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제2 인증에 성공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차량 사이에 통신 채널을 오픈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에서 촬영한 사용자의 제스처 영상과 기저장된 차량 제어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 영상에 대응하는 차량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제2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포브키, 스마트워치, 스마트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차량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2 전처리 정보를 내부에 저장된 상기 암호화키로 복호화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제2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더 제공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실시 예들에 따르면, 사용자 얼굴 및/또는 제스처 인식을 이용한 사용자 단말기와 차량 사이의 인증을 통해 차량 제어의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리모트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차량의 리모트 제어 시스템 중 사용자 단말기 및 차량의 상세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리모트 제어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설명되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아래에서 제시되는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아래에 제시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리모트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의 리모트 제어 시스템(1)은 사용자 단말기(100), 차량(200) 및 통신망(30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사용자가 차량(200)을 리모트 제어하기 위해 조작하는 포브키(101), 스마트폰(102), 노트북, 태블릿 PC, 스마트 TV, 휴대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톱, 미디어 플레이어, 마이크로 서버,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장치, 전자책 단말기,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네비게이션, 키오스크, MP3 플레이어, 디지털 카메라, 가전기기 및 기타 모바일 또는 비모바일 컴퓨팅 장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100)는 통신 기능 및 데이터 프로세싱 기능을 구비한 스마트 워치(103), 안경, 헤어 밴드 및 반지 등의 웨어러블 단말기 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상술한 내용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웹 브라우징이 가능한 단말기는 제한 없이 차용될 수 있다.
차량(200)은 통신망(300)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100)와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차량(200)은 한 명 이상의 사람이 내부에 탑승한 후 운전자의 조종에 의해 주행 및 정지시키는 3륜 이상의 자동차를 포함하거나, 사람이 내부에 탑승하지 않고 사전에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또는 스스로 주위 환경(장애물, 경로)을 인식하고 판단하여 주행, 정지, 회전, 가속 또는 감속 등의 운전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는 자율주행 자동차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망(300)은 사용자 단말기(100)와 차량(200)을 연결하여 소정의 정보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통신망을 의미할 수 있다. 통신망(300)은 예컨대 LANs(Local Area Networks), WANs(Wide Area Networks), MANs(Metropolitan Area Networks), ISDNs(Integrated Service Digital Networks) 등의 유선 네트워크나, 무선 LANs, CDMA, 블루투스, 위성 통신 등의 무선 네트워크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통신망(300)은 근거리 통신 및/또는 원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근거리 통신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wideband), ZigBee, Wi-Fi (wireless fidelity) 기술을 포함할 수 있고, 원거리 통신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
차량(200)은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의 잠금 해제 신호 또는 시동 요청 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촬영한 사용자의 영상과 기준 영상을 비교하여 사용자에 대한 1차 인증을 수행하며, 사용자의 영상으로부터 추출한 특징 벡터로부터 암호화키를 생성하여 사용자의 고유정보를 암호화한 2차 인증 전처리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100)는 차량(200)으로부터 수신한 2차 전처리 정보를 내부에 저장된 복호화키로 복호화하여 사용자에 대한 2차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차량(200)에서 수행한 사용자에 대한 1차 인증 및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수행한 사용자에 대한 2차 인증에 성공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 및 차량(200) 사이에 통신 채널이 오픈되고,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의 잠금 해제 신호 또는 시동 요청 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차량(200)이 잠금 해제 되거나 또는 시동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선택적 실시 예로, 차량(200)에서 수행한 사용자에 대한 1차 인증 및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수행한 사용자에 대한 2차 인증에 성공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 및 차량(200) 사이에 통신 채널이 오픈되고, 차량(200)에서 촬영한 사용자의 제스처 영상과 기저장된 차량 제어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의 제스처 영상에 대응하는 차량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차량의 리모트 제어 시스템 중 사용자 단말기 및 차량의 상세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기(100)는 생성부(110), 제1 통신부(120), 제1 저장부(130), 제2 인증 처리부(140) 및 제1 제어부(150)를 포함할 수 있고, 차량(200)은 제2 통신부(210), 촬영부(220), 제2 저장부(230), 제1 인증 처리부(240), 제2 인증 전처리부(250) 및 제2 제어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사용자 단말기(100)를 설명하면, 생성부(110)는 차량(200)의 잠금을 해제하는 잠금 해제 신호 또는 차량(200)에 시동을 거는 시동 요청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생성부(110)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 가능한 버튼(미도시)의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잠금 해제 신호 또는 시동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버튼이라 함은, 예를 들어, 포브키(101)의 경우 잠금 해제키, 시동 키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스마트폰(102) 또는 스마트 워치(103)의 경우, 터치 가능한 잠금 해제 메뉴, 터치 가능한 시동 메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통신부(120)는 생성부(110)가 생성한 잠금 해제 신호 또는 시동 요청 신호를 통신망(300)을 통하여 차량(200)으로 전송할 수 있고, 차량(200)으로부터 제2 인증 전처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저장부(130)는 차량(200)으로부터 수신한 제2 인증 전처리 정보의 암호를 해독할 수 있는 복호화키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복호화키와 차량(200)에서 제2 인증 전처리 정보 생성 시에 이용하는 암호화키는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1 저장부(130)에는 사용자에 대한 1차 인증 및 2차 인증 수행 후, 사용자 제스처 정보에 대응하는 차량 제어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제스처 정보에 대응하는 차량 제어 정보라 함은, 예를 들어 주먹을 쥐면 차량(200)의 트렁크 오픈, 또는 손바닥을 펴면 차량(200)의 도어 오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저장부(130)는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제1 저장부(130)는 내장 메모리 및/또는 외장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DRAM, SRAM, 또는 SDRAM 등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 EPROM, EEPROM, mask ROM, flash ROM, NAND 플래시 메모리, 또는 NOR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SSD. CF(compact flash) 카드, SD 카드, Micro-SD 카드, Mini-SD 카드, Xd 카드,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과 같은 플래시 드라이브, 또는 HDD와 같은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인증 처리부(140)는 제1 통신부(120)를 통하여 차량(200)으로부터 수신한 제2 인증 전처리 정보를, 제1 저장부(130)에 저장된 복호화키로 해독하여 사용자에 대한 제2 인증(2차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인증 처리부(140)는 후술하는 제1 인증 처리가 성공해야만, 차량(200)으로부터 제2 인증 전처리 정보를 수신하여 동작할 수 있다. 즉, 제2 인증 처리부(140)는 제2 인증 전처리 정보를 복호화키로 해독한 경우 사용자 인증 성공 신호를 제1 통신부(120) 및 통신망(300)을 통하여 차량(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 성공 신호가 차량(200)으로 전송되면, 사용자 단말기(100)와 차량(200) 사이에는 별도의 통신 채널이 할당되고, 이후 사용자 단말기(100) 및 차량(200)은 별도의 통신 채널을 통하여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그러나 제2 인증 처리부(140)가 제2 인증 전처리 정보를 복호화키로 해독하지 못한 경우 사용자 인증 실패 신호를 제1 통신부(120) 및 통신망(300)을 통하여 차량(20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인증 실패 신호가 차량(200)으로 전송되면, 사용자 단말기(100)와 차량(200) 사이에는 별도의 통신 채널이 할당되지 않으므로 별도의 통신 채널을 통하여 정보를 송수신할 수 없다.
제1 제어부(150)는 리모트 차량 제어와 관련한 사용자 단말기(100) 전체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제어부(150)는 프로세서(processor)와 같이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프로세서(processor)'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에, 차량(200)을 설명하면, 제2 통신부(210)는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잠금 해제 신호 또는 시동 요청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제2 인증 전처리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통신부(210)가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잠금 해제 신호 또는 시동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제2 제어부(260)는 촬영부(22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촬영부(220)는 차량 주변에 있는 사용자 영상 특히, 사용자의 얼굴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여기서, 촬영부(220)는 카메라(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는 COM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 모듈(미도시) 또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모듈(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얼굴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카메라 내부에는 영상 신호 처리부(미도시)가 구비되어 있어서, 촬영한 영상 프레임에 대하여 노이즈를 저감하고, 감마 보정(gamma correction), 색필터 배열보간(color filter array interpolation), 색 매트릭스(color matrix), 색보정(color correction), 색 향상(color enhancement) 등의 화질 개선을 위한 영상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제2 저장부(230)는 사용자를 1차 인증 처리하기 위한 기준 사용자 얼굴 영상 정보와, 제2 전처리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암호화키와, 사용자 제스처 정보에 대응하는 차량 제어 정보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암호화키와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제2 인증 처리 수행 시에 이용하는 복호화키는 동일할 수 있다.
제1 인증 처리부(240)는 촬영부(220)가 촬영한 사용자의 얼굴 영상 정보와 제2 저장부(230)에 저장된 기준 사용자 얼굴 영상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얼굴 영상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사용자에 대한 제1 인증(1차 인증)을 성공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제1 인증 처리부(240)는 촬영부(220)가 촬영한 사용자의 얼굴 영상 정보와 제2 저장부(230)에 저장된 기준 사용자 얼굴 영상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얼굴 영상 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에 대한 제1 인증을 실패하였다고 판단하고 종료할 수 있다.
제2 인증 전처리부(250)는 사용자에 대한 제1 인증 성공에 대응하여, 사용자의 얼굴 영상 정보로부터 얼굴의 특징점(예를 들어, 눈의 모양, 코의 모양, 입의 모양, 우는 얼굴, 웃는 얼굴, 옆 모습 등)을 영상 정보가 아닌 다른 차원의 정보로 표현한 특징 벡터를 추출하고, 특징 백터에 심층신경망(deep neural network, DNN) 학습을 진행하여 암호화키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심층신경망이란, machine learning의 Deep learning의 한 분야로써, 여러 비선형 변환기법의 조합을 통해 높은 수준의 추상화를 시도하는 기계학습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큰 틀에서 사람의 사고방식을 컴퓨터에게 가르치는 기계학습의 한 분야로 설명될 수 있다. 심층신경망은 입력계층과 출력계층 사이에 복수개의 은닉 계층(hidden layer)들로 이루어진 인공신경망으로, 복잡한 비선형 관계들을 모델링할 수 있다. 이하 심층신경망 학습은 이미 공지되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 인증 전처리부(250)는 생성한 암호화키로 사용자 정보를 암호화하여 제2 인증 전처리 정보를 생성하고 제2 통신부(210)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제2 제어부(260)는 리모트 차량 제어와 관련한 차량(200) 전체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제어부(260)는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 프로세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수의 논리 게이트들의 어레이로 구현될 수도 있고, 범용적인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다른 형태의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본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다.
차량(200)에서 수행한 사용자에 대한 1차 인증 및 사용자 단말기(100)에서 수행한 사용자에 대한 2차 인증에 성공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 및 차량(200) 사이에 통신 채널이 오픈되고,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의 잠금 해제 신호 또는 시동 요청 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차량(200)이 잠금 해제 되거나 또는 시동 동작을 수행할 수 있고, 차량(200)에서 촬영한 사용자의 제스처 영상과 기저장된 차량 제어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의 제스처 영상에 대응하는 차량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리모트 제어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도 1 및 도 2에 대한 설명과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S310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기(100)는 잠금 해제 신호 또는 시동 요청 신호를 통신망(300)을 통하여 차량(200)으로 전송한다.
S320단계에서, 잠금 해제 신호 또는 시동 요청 신호를 수신한 차량(200)은 주변에 위치한 사용자의 얼굴 영상을 촬영한다.
S330단계에서, 차량(200)은 촬영한 사용자의 얼굴 영상 정보와 기저장된 기준 사용자 얼굴 영상 정보를 비교하는 제1 인증을 수행하고, 기저장된 기준 사용자 얼굴 영상 정보에 촬영한 사용자의 얼굴 영상 정보가 존재하는 경우 제1 인증에 성공하였다고 판단한다.
S340단계에서, 제1 인증에 성공한 경우 차량(200)은, 사용자의 얼굴 영상 정보로부터 특징 벡터를 추출하고, 특징 백터에 심층신경망 학습을 진행하여 암호화키를 생성하고, 생성한 암호화키로 사용자 정보를 암호화하여 제2 인증 전처리 정보를 생성한다.
S350단계에서, 차량(200)은 생성한 제2 인증 전처리 정보를 통신망(300)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S360단계에서, 사용자 단말기(100)는 차량(200)으로부터 수신한 제2 인증 전처리 정보를, 기저장된 복호화키로 해독하여 사용자에 대한 제2 인증을 수행한다.
S370단계에서, 제2 인증 전처리 정보를 복호화키로 해독한 경우 사용자에 대한 제2 인증의 성공을 판단한 사용자 단말기(100) 및 차량(200) 사이에 별도의 통신 채널을 할당한다. 여기서 제2 인증에 성공한 경우 사용자 단말기(100)는 제2 인증 성공 신호를 차량(200)으로 전송하고, 차량(200)에서 제2 인증 성공 신호를 수신하였음을 나타내는 응답 신호를 사용자 단말기(100)로 전송하면, 사용자 단말기(100)와 차량(200) 사이에는 별도의 통신 채널이 할당될 수 있다.
S380단계에서, 차량(200)은 앞서 사용자 단말기(100)로부터 수신한 잠금 해제 신호 또는 시동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잠금 해제 동작을 수행하거나 시동을 거는 동작을 수행한다.
S390단계에서, 차량(200)은 내부에서 촬영한 사용자의 제스처 영상과 기저장된 차량 제어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사용자의 제스처 영상에 대응하는 차량 제어를 수행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구현은, 예컨대, 방법 또는 프로세스, 장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데이터 스트림 또는 신호로 구현될 수 있다. 단일 형태의 구현의 맥락에서만 논의(예컨대, 방법으로서만 논의)되었더라도, 논의된 특징의 구현은 또한 다른 형태(예컨대, 장치 또는 프로그램)로도 구현될 수 있다. 장치는 적절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및 펌웨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방법은, 예컨대,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 집적 회로 또는 프로그래밍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는 프로세싱 디바이스를 일반적으로 지칭하는 프로세서 등과 같은 장치에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최종-사용자 사이에 정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는 컴퓨터, 셀 폰, 휴대용/개인용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및 다른 디바이스 등과 같은 통신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 차량의 리모트 제어 시스템
100: 사용자 단말기
200: 차량
300: 통신망

Claims (8)

  1.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망을 통하여 정보를 송수신하는 차량;을 포함하고,
    상기 차량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잠금 해제 신호 또는 시동 요청 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촬영한 사용자의 영상과 기준 영상을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제1 인증을 수행하며, 상기 사용자의 영상으로부터 추출한 특징 벡터로부터 암호화키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의 고유정보를 암호화한 제2 인증 전처리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차량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2 인증 전처리 정보를 내부에 저장된 복호화키로 복호화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제2 인증을 수행하는, 리모트 차량 제어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서 수행한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제1 인증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수행한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제2 인증에 성공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차량 사이에 통신 채널이 오픈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잠금 해제 신호 또는 시동 요청 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차량이 잠금 해제 되거나 또는 시동 동작을 수행하는, 리모트 차량 제어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서 수행한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제1 인증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수행한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제2 인증에 성공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차량 사이에 통신 채널이 오픈되고, 상기 차량에서 촬영한 사용자의 제스처 영상과 기저장된 차량 제어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 영상에 대응하는 차량 제어를 수행하는, 리모트 차량 제어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포브키, 스마트워치, 스마트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리모트 차량 제어 시스템.
  5.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와 통신망을 통하여 정보를 송수신하는 차량을 포함하는 리모트 차량 제어 시스템의 동작 방법으로서,
    상기 차량이,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잠금 해제 신호 또는 시동 요청 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촬영한 사용자의 영상과 기준 영상을 비교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제1 인증을 수행하며, 상기 사용자의 영상으로부터 추출한 특징 벡터로부터 암호화키를 생성하여 상기 사용자의 고유정보를 암호화한 제2 인증 전처리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차량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2 인증 전처리 정보를 내부에 저장된 복호화키로 복호화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제2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모트 차량 제어 시스템의 동작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서 수행한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제1 인증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수행한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제2 인증에 성공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차량 사이에 통신 채널을 오픈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의 잠금 해제 신호 또는 시동 요청 신호 수신에 대응하여 상기 차량이 잠금 해제 되거나 또는 시동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리모트 차량 제어 시스템의 동작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서 수행한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제1 인증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에서 수행한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제2 인증에 성공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 단말기 및 상기 차량 사이에 통신 채널을 오픈하는 단계; 및
    상기 차량에서 촬영한 사용자의 제스처 영상과 기저장된 차량 제어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의 제스처 영상에 대응하는 차량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리모트 차량 제어 시스템의 동작 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제2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는,
    포브키, 스마트워치, 스마트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가, 상기 차량으로부터 수신한 상기 제2 인증 전처리 정보를 내부에 저장된 상기 암호화키로 복호화하여 상기 사용자에 대한 제2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리모트 차량 제어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20190022269A 2019-02-26 2019-02-26 차량의 리모트 제어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2099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269A KR102099570B1 (ko) 2019-02-26 2019-02-26 차량의 리모트 제어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CN202010111553.XA CN111619508B (zh) 2019-02-26 2020-02-24 用于车辆的遥控系统及其操作方法
US16/801,643 US11433852B2 (en) 2019-02-26 2020-02-26 Remote control system for vehicl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2269A KR102099570B1 (ko) 2019-02-26 2019-02-26 차량의 리모트 제어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9570B1 true KR102099570B1 (ko) 2020-04-16

Family

ID=70454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2269A KR102099570B1 (ko) 2019-02-26 2019-02-26 차량의 리모트 제어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433852B2 (ko)
KR (1) KR102099570B1 (ko)
CN (1) CN111619508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15812A (zh) * 2021-07-09 2021-10-19 东软睿驰汽车技术(沈阳)有限公司 自动驾驶方法、装置、处理设备及存储介质
WO2022028246A1 (zh) * 2020-08-06 2022-02-10 华为技术有限公司 车辆的启动控制方法及车载认证设备
WO2022038845A1 (ja) * 2020-08-21 2022-02-24 アーモンド株式会社 暗号化方法、端末装置、暗号化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319420A (zh) * 2020-11-04 2021-02-05 浙江新柴股份有限公司 一种远程锁车控制方法
CN112948787B (zh) * 2021-04-13 2023-10-31 重庆金康赛力斯新能源汽车设计院有限公司 一种终端设备与adas控制器的连接方法和系统
CN113160463B (zh) * 2021-05-26 2023-06-27 北京旗偲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开启车辆的用户识别装置的方法、装置及汽车控制云
DE102022109432A1 (de) 2022-04-19 2023-10-19 Marquardt Gmbh Schließ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CN116259121A (zh) * 2023-01-20 2023-06-13 深圳市派尼尔创新技术有限公司 一种具有远程遥控功能的房车智能锁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4836A (ko) * 2013-12-04 2015-06-12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트렁크 자동 오픈 시스템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70068869A (ko) 2015-12-10 2017-06-20 (주) 군월드 자동 인맥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170098096A (ko) * 2016-02-19 2017-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정보 기반 인증을 이용한 전자 장치들 간 연결 방법 및 장치
WO2018016189A1 (ja) * 2016-07-22 2018-01-25 ソニー株式会社 イメージセンサおよび画像処理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97250B2 (en) * 2003-11-17 2009-10-06 Dpd Patent Trust Ltd. RFID reader with multiple interfaces
US7899583B2 (en) * 2005-04-12 2011-03-01 Ehud Mendelson System and method of detecting and navigating to empty parking spaces
CN101216958A (zh) * 2007-01-04 2008-07-09 财团法人车辆研究测试中心 结合生物辨识技术的车辆双重认证启动方法及装置
KR20090105016A (ko) * 2008-04-01 2009-10-07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의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그 방법
JP5402365B2 (ja) * 2009-08-04 2014-01-2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キーレスエントリー装置
US9533654B2 (en) * 2010-12-17 2017-01-0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hicle data services enabled by low power FM transmission
KR101264299B1 (ko) * 2011-01-20 2013-05-22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Cpns 환경에서 사용자 인증을 위한 인증키 발급 시스템 및 방법
JP2013063672A (ja) * 2011-09-15 2013-04-11 Denso Corp 車両用制御システム
US9202105B1 (en) * 2012-01-13 2015-12-01 Amazon Technologies, Inc. Image analysis for user authentication
US10515489B2 (en) * 2012-05-23 2019-12-24 Enterprise Holdings, Inc. Rental/car-share vehicle access an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US20140040621A1 (en) * 2012-08-03 2014-02-06 Infineon Technologies Ag Mobile Electronic Device
US9721086B2 (en) * 2013-03-15 2017-08-01 Advanced Elemental Technologie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secure and reliable identity-based computing
US10152756B2 (en) * 2014-03-31 2018-12-11 Monticello Enterprises LLC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ple payment method options to browser
CN103921759B (zh) * 2014-04-18 2017-02-01 深圳市威富安防有限公司 一种车辆智能防盗启动方法及系统
KR101514706B1 (ko) * 2014-06-26 2015-04-23 주식회사 하렉스인포텍 가변 키패드와 생체 인식을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 및 시스템
KR102303232B1 (ko) * 2014-12-01 2021-09-1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테일 게이트 제어 시스템 및 방법
WO2016094886A2 (en) * 2014-12-12 2016-06-16 Romesh Wadhwani Smartkey Apparatuses, Methods and Systems
US10168785B2 (en) * 2015-03-03 2019-01-01 Nvidia Corporation Multi-sensor based user interface
US10162347B2 (en) * 2015-04-20 2018-12-25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2407870B1 (ko) * 2015-06-18 2022-06-1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도어락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US9619638B2 (en) * 2015-08-25 2017-04-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Vehicle operations based on biometric fingerprint analysis
JP6451622B2 (ja) * 2015-12-24 2019-01-16 株式会社デンソー 車載装置及び認証システム
US10386835B2 (en) * 2016-01-04 2019-08-20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System and method for externally interfacing with an autonomous vehicle
CN114971807A (zh) * 2016-02-04 2022-08-30 苹果公司 用于车辆授权的系统和方法
EP3497546B1 (en) * 2016-08-09 2021-10-06 Google LLC Radar-based gestural interface
US10443295B2 (en) * 2016-12-02 2019-10-15 Tti (Macao Commercial Offshore) Limited Garage door opener system having an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06681499A (zh) * 2016-12-14 2017-05-17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移动终端的汽车控制方法、装置和电子设备
CN106945630A (zh) * 2017-03-17 2017-07-14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汽车门锁及启动控制方法和装置
US10585430B2 (en) * 2017-06-16 2020-03-1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emote park-assist authentication for vehicles
US10725161B2 (en) * 2017-12-15 2020-07-28 Google Llc Seamless authentication using radar
CN108256978A (zh) * 2018-02-07 2018-07-06 诺雪(武汉)科技有限公司 一种共享汽车解锁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US10604115B2 (en) * 2018-03-29 2020-03-31 Omar Mustafa Kamal Ahmad NFC system for unlocking a vehicle via smartphone biometric authentication
US11087115B2 (en) * 2019-01-22 2021-08-10 Infineon Technologies Ag User authentication using mm-Wave sensor for automotive radar system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4836A (ko) * 2013-12-04 2015-06-12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트렁크 자동 오픈 시스템 및 그 동작 제어방법
KR20170068869A (ko) 2015-12-10 2017-06-20 (주) 군월드 자동 인맥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170098096A (ko) * 2016-02-19 2017-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생체 정보 기반 인증을 이용한 전자 장치들 간 연결 방법 및 장치
WO2018016189A1 (ja) * 2016-07-22 2018-01-25 ソニー株式会社 イメージセンサおよび画像処理システム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28246A1 (zh) * 2020-08-06 2022-02-10 华为技术有限公司 车辆的启动控制方法及车载认证设备
CN114095924A (zh) * 2020-08-06 2022-02-25 华为技术有限公司 车辆的启动控制方法及车载认证设备
WO2022038845A1 (ja) * 2020-08-21 2022-02-24 アーモンド株式会社 暗号化方法、端末装置、暗号化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7427290B2 (ja) 2020-08-21 2024-02-05 アーモンド株式会社 暗号化方法、端末装置、暗号化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CN113515812A (zh) * 2021-07-09 2021-10-19 东软睿驰汽车技术(沈阳)有限公司 自动驾驶方法、装置、处理设备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269808A1 (en) 2020-08-27
CN111619508B (zh) 2022-09-13
CN111619508A (zh) 2020-09-04
US11433852B2 (en) 2022-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9570B1 (ko) 차량의 리모트 제어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US10913427B2 (en) Passenger and vehicle mutual authentication
CN105493097B (zh) 用于远程存储的数据的保护方案
US11900746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redential activation layered security
US10922677B2 (en) Service implementation using a graphic code including a biometric identifier
US20150026479A1 (en) Creation and authentication of biometric information
US10284560B2 (en) Secure unmanned vehicle operation and communication
CN107408167A (zh) 执行用户无缝认证
JP2023111974A (ja) 画像マスキング装置及び画像マスキング方法
KR20170056193A (ko) 출입자 인증 시스템 및 방법
US11113423B2 (en) FPGA hardware-based secure computing method and apparatus
US20220207915A1 (en) Acquiring a plurality of mobile credentials in a plurality of readers
WO2021248385A1 (zh) 生物特征注册的方法、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US20220207946A1 (en) Using facial recognition system to activate an automated verification protocol
US20170126635A1 (en) Controlling Access To Resource Functions At A Control Point Of The Resource Via A User Device
US11586717B2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authenticating a user
KR102493780B1 (ko) 융복합 블록체인 기반의 하이브리드 무인 비행선을 이용한 지상감시시스템 및 방법
US20150143512A1 (en) Iris key, system and method of unlocking electronic device using the iris key
EP3304391B1 (en) Controlling access to resource functions at a control point of the resource via a user device
US20180373922A1 (en) Facial gesture captcha
CN112334897A (zh) 认证用户的方法和电子设备
US20220083636A1 (en) Smart timeout with change detection
KR102380426B1 (ko) 얼굴 인증 방법 및 장치
KR102539533B1 (ko) 타인의 신분증 불법 촬영을 방지하기 위한 인증 방법 및 장치
US20220207124A1 (en) Embedded encrypted watermark in photograph or facial recognition template to ensure authentic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