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68869A - 자동 인맥 관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 인맥 관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68869A
KR20170068869A KR1020150175863A KR20150175863A KR20170068869A KR 20170068869 A KR20170068869 A KR 20170068869A KR 1020150175863 A KR1020150175863 A KR 1020150175863A KR 20150175863 A KR20150175863 A KR 20150175863A KR 20170068869 A KR20170068869 A KR 201700688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con
business card
identification information
unit
card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5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군
Original Assignee
(주) 군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군월드 filed Critical (주) 군월드
Priority to KR1020150175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68869A/ko
Publication of KR20170068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88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H04L67/26
    • H04W4/008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콘(Beacon)단말기와 명함관리기능을 이용하여 자신의 주변 사람들을 자동적으로 관리하도록 구현한 자동 인맥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비콘부가 타 비콘 탐지 시에 타비콘식별정보를 포함한 타 비콘 탐지를 통보하며; 메모리부가 타 이용자에 해당하는 타 전자 명함 데이터를 타비콘식별정보별로 구분하여 저장해 두며; 제어부가 비콘부로부터 타 비콘 감지를 통보받아 타비콘식별정보를 확인하며, 타비콘식별정보가 이미 등록되어 있는지를 체크하며, 타비콘식별정보에 해당하는 타 전자 명함 데이터를 메모리부에서 판독하여 출력하며; 입출력부가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타 전자 명함 데이터를 푸시 알림으로 출력수단을 통해 이용자에게 알려준다.

Description

자동 인맥 관리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personal connections automatically}
본 발명의 기술 분야는 자동 인맥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콘(Beacon)단말기와 명함관리기능을 이용하여 자신의 주변 사람들을 자동적으로 관리하도록 구현한 자동 인맥 관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상생활에 있어서, 다른 사람을 만나 인사를 나눌 때, 개인의 이름이나 연락처, 직업 등이 기재되어 있는 명함을 서로 주고받는 경우가 많다. 특히, 업무용 명함은, 자신을 소개하는 필수품으로서, 명함 홀더 등에 넣어두거나, 명함에 있는 정보를 별도의 개인 주소록 등에 기입해 둔다. 또한, 명함의 전자 관리 앱(Application) 등과 같은 소프트웨어의 보급으로, 개인용 PC, 스마트폰 등과 같은 통신단말기에 명함 관련 정보를 기입 및 저장하여 보관하는 방식이 보편화되고 있다.
스마트폰의 보급에 따라 스마트폰의 카메라 기능을 이용하여 명함에 기록되어 있는 각종 정보, 예컨대 이름, 홈페이지 주소, 블로그 주소 등을 항목별로 자동으로 분류하여 스마트폰의 전화번호부에 기록하는 방식도 있다. 그러나 명함의 문자 폰트가 일률적이지 않고, 그 크기도 명함마다 상이하여, 명함의 각 정보를 100% 완벽하게 인식하여 각 정보별로 저장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이에 명함 정보와 저장되는 정보를 다시 한 번 일일이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으며, 이에 따라 카메라를 이용한 명함 정보의 저장 및 관리가 보편화되지 못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20425호(2013.10.15 등록)는 전자 명함 및 소셜 네트워크 통합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는데, QR 코드가 기록된 제1사용자의 명함 또는 팜플렛의 QR 코드를 이용하여 인맥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QR 코드에는 제1사용자의 블로그에 액세스할 수 있는 블로그 링크 정보가 인코딩되어 있고, 방법은 제1사용자의 블로그가 구축되어 있고 제1사용자의 인적 정보가 기록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수행되는 것인 인맥 관리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제2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를 통해 QR 코드가 디코딩됨에 따라, QR 코드에 인코딩되어 있는 제1사용자의 블로그 링크 정보에 기초한 블로그 액세스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블로그 액세스 신호에 기초하여, 블로그 링크 정보에 대응하는 제1사용자의 블로그를 제2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표시하는 단계로서, 블로그는 제1사용자의 연락처 등록 항목과, 조직, 직책, 성명, 전화번호, 팩스번호, 휴대폰 번호, 이메일 주소 및 홈페이지 주소 중 하나 이상의 인적 정보가 항목별로 구분된 제1양태와, 제1사용자가 속한 조직을 표시하는 제2양태로 구분되어 표시되도록 구성되고, 제1양태 및 제2양태는 제2사용자의 터치 입력 동작에 의해 전환되도록 구성되는 것인, 블로그 표시 단계와; 소정의 회원 가입 또는 동의 절차 후, 방법을 이용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을 제2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에 설치하는 단계와; 제2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블로그의 제1양태에 표시된 연락처 등록 항목 선택 신호가 수신되면, 제1사용자의 복수의 인적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여 제2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여, 그 단말기의 주소록에 각각의 항목별로 자동 저장되도록 하는 단계 및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후, 제2사용자의 전화번호 또는 제2사용자의 성명 및 전화번호 정보를 제1사용자의 이동통신 단말기로 전송하여, 제1사용자가 자신의 블로그에 접속한 제2사용자의 인적정보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사용자로부터 명함을 건네받은 제3자는 자신의 단말기를 이용하여, QR 코드를 디코딩하면, 사용자의 블로그에 액세스하여, 사용자의 관련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단순한 터치 입력을 통해 사용자의 인적 정보를 자신의 단말기의 주소록에 자동으로 저장할 수 있어, 명함의 정보와 주소록의 정보를 확인해야 하는 번거로운 절차를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명함의 활용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에게는 제3자가 자신의 명함을 등록한 사실을 알 수 있어, 제3자에 대한 영업활동을 다양하게 펼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40335호(2011.04.20 공개)는 종이 명함을 소지하다가 다른 사람과 주고받은 다음 관리를 해야 하는 불편을 해소하고, 나아가 받은 전자 명함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맥을 관리하고 새로운 인맥을 발굴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 명함을 이용한 인맥 관리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기술에 따르면, 서버에서 인맥 데이터베이스에 이용자의 명함 서비스 계정을 개설하고, 이용자가 등록한 명함 정보를 인맥 DB에 저장하는 단계; 서버가 이용자의 명함 정보를 이용자의 모바일 단말기에 저장할 수 있도록 모바일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서버가 이용자의 모바일 단말기와 다른 이용자의 모바일 단말기 사이에서 일어난 명함 정보의 교환 이벤트를 반영하여 이용자들 사이의 인맥 관계를 계량화하는 단계; 및 서버가 계량화된 인맥 관계에 따라 인맥 DB를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인맥 관리 장치는, 명함을 전자 데이터로 변환시켜 저장하고 관리하거나, 전자 명함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화 통화 등의 이용자들 간의 인맥 관계를 계량화해서 인맥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있으나, 최초 전자 명함 데이터 등록 시에 이용자들 간에 서로 자신의 전자 명함 데이터를 일일이 직접 주고받아야 하는 불편함이 여전히 있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인맥 관리 장치는, 이미 등록해 둔 전자 명함 데이터에 해당하는 이용자를 우연히 만나는 경우에도, 안면은 있지만 누군지 알 수 없는 일이 발생하여 인맥 관계 형성에 악영향을 미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인맥 관리 장치는, 누군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이미 등록해 둔 전자 명함 데이터를 일일이 직접 검색해서 찾아야 하는 불편함도 있을 뿐만 아니라, 이름을 알지 못 하는 경우에는 이미 등록해 둔 전자 명함 데이터에 대한 검색조차 힘든 경우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인맥 관리 장치는, 이미 등록해 둔 전자 명함 데이터에 해당하는 이용자를 만나는 약속을 하거나 만나는 경우에도, 해당 이용자가 누구인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이미 등록해 둔 전자 명함 데이터를 일일이 직접 검색해서 찾아야 하는 단점도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320425호 한국공개특허 제10-2011-0040335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단점 내지는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비콘(Beacon)단말기와 명함관리기능을 이용하여 자신의 주변 사람들을 자동적으로 관리하도록 구현한 자동 인맥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르면, 타 비콘 탐지 시에 타비콘식별정보를 포함한 타 비콘 탐지를 통보하기 위한 비콘부; 타 이용자에 해당하는 타 전자 명함 데이터를 타비콘식별정보별로 구분하여 저장해 두기 위한 메모리부; 상기 비콘부로부터 타 비콘 감지를 통보받아 타비콘식별정보를 확인하며, 타비콘식별정보가 이미 등록되어 있는지를 체크하며, 타비콘식별정보에 해당하는 타 전자 명함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에서 판독하여 출력하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타 전자 명함 데이터를 푸시 알림으로 출력수단을 통해 이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입출력부를 포함하는 자동 인맥 관리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비콘부는, 타 이용자가 사용하는 비콘 탐지 시에 타비콘식별정보를 함께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비콘부는, 타 이용자가 일정한 반경 범위 안으로 접근하는 경우에, 일정한 반경 범위 내로 접근한 타 비콘을 타비콘식별정보와 함께 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비콘부는, 무선통신단말기 내부에 형성되거나, 무선통신단말기의 케이스에 장착되거나, 무선통신단말기의 케이스 형태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비콘부는, 무선통신단말기의 이어폰 마개 대신에 꽂힐 수 있는 형태로 무선통신단말기의 이어폰 삽입구에 체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비콘부는, 무선통신단말기 내부에 형성되는 경우에, 블루투스 프로토콜 기반의 근거리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하여 타 비콘 탐지를 수행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비콘부는, 무선통신단말기의 케이스에 장착되거나, 무선통신단말기의 케이스 형태로 제작되는 경우에, 무선통신모듈을 내부에 구비하여 송수신부와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비콘부는, 무선통신단말기의 이어폰 삽입구에 체결 형성되는 경우에, 이어폰 삽입구를 통해 상기 제어부와의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비콘부는, 자기비콘식별정보를 미리 설정해 저장해 두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자기 전자 명함 데이터를 전달받는 경우에, 자기비콘식별정보를 판독하여 자기 전자 명함 데이터와 함께 탐지된 타 비콘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비콘부는, 타 전자 명함 데이터를 수신받는 경우에, 타 전자 명함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타 전자 명함 데이터 판독 시에 인식요소정보도 함께 판독하여 상기 입출력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출력부로부터 전달되는 자기 전자 명함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에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타 비콘 감지를 통보받을 시에 확인된 타비콘식별정보가 상기 메모리부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자기 전자 명함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판독하여 상기 비콘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비콘부로부터 타 전자 명함 데이터를 전달받아 타비콘식별정보를 확인하며, 타 전자 명함 데이터를 각 항목별로 구분하여 타비콘식별정보별로 상기 메모리부에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자동 인맥 관리 장치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자기 전자 명함 데이터 및 목적지 어드레스를 전달받는 경우에, 자기 전자 명함 데이터를 목적지 어드레스에 해당하는 타 이용자에게 전송하기 위한 송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출력부로부터 목적지 어드레스 및 명함 전송을 통보받는 경우에,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자기 전자 명함 데이터를 판독하여 목적지 어드레스와 함께 상기 송수신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송수신부는, 타 이용자로부터 전송되는 타 전자 명함 데이터를 수신받아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수신부로부터 전달되는 타 전자 명함 데이터를 상기 입출력부로 출력한 후에, 상기 입출력부로부터 저장 명령을 통보받아 타 전자 명함 데이터를 각 항목별로 구분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제어부는, 타 전자 명함 데이터를 등록할 때에 상기 입출력부로부터 인식요소정보를 통보받거나, 상기 입출력부로부터 별도의 인식요소정보를 통보받는 경우에, 인식요소정보를 상기 메모리부에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메모리부는, 타 이용자를 쉽게 인식할 수 있는 인식요소정보를 타비콘식별정보별로 구분하여 저장해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자기 전자 명함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메모리부는, 자기단말기식별정보 또는 이용자식별정보를 미리 설정해서 저장해 두거나, 상기 비콘부를 식별해 주기 위한 자기비콘식별정보를 미리 설정해서 저장해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메모리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타 전자 명함 데이터를 각 항목별로 구분하여 타비콘식별정보별로 리스트화시켜 저장해 두거나, 상기 제어부로부터 전달되는 인식요소정보를 저장해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입출력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인식요소정보에 따라 타 사용자의 특징이나, 영상 또는 메모 내용을 출력수단을 통해 보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입출력부는, 입력수단을 통해 자기 전자 명함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제어부에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입출력부는, 타 이용자의 목적지 어드레스를 입력 또는 선택한 후에 명함 전송을 입력 또는 선택하는 경우에, 목적지 어드레스 및 명함 전송을 상기 제어부에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입출력부는,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타 전자 명함 데이터를 디스플레이시킨 후에, 입력수단을 통해 저장 명령을 입력 또는 선택하는 경우에 저장 명령을 상기 제어부에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입출력부는, 타 전자 명함 데이터를 저장할 때에 인식요소정보를 함께 입력받거나, 별도로 입력받는 경우에, 인식요소정보를 상기 제어부에 통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한 특징에 따르면, 비콘부가 타 비콘 탐지 시에 타비콘식별정보를 포함한 타 비콘 탐지를 통보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타 비콘 감지를 통보받아 타비콘식별정보를 확인하며, 타비콘식별정보가 이미 등록되어 있는지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타비콘식별정보가 이미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가 타비콘식별정보에 해당하는 타 전자 명함 데이터를 판독하여 출력하는 단계; 및 입출력부가 상기 타 전자 명함 데이터를 푸시 알림으로 출력수단을 통해 이용자에게 알려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 인맥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효과로는, 비콘(Beacon)단말기와 명함관리기능을 이용하여 자신의 주변 사람들을 자동적으로 관리하도록 구현한 자동 인맥 관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이미 등록해 둔 전자 명함 데이터를 자신의 주변 사람들에게 자동적으로 전송하거나 수신받을 수 있으며, 이에 최초 전자 명함 데이터 등록 시에 이용자들 간에 서로 자신의 전자 명함 데이터를 일일이 직접 주고받을 필요가 없어 이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기 자신이 위치한 장소에 이미 등록해 둔 전자 명함 데이터에 해당하는 이용자가 접근하는 경우에, 자동적으로 푸시(Push) 알림으로 해당 이용자의 전자 명함 데이터를 미리 알려줄 수 있으며, 이에 이미 등록해 둔 전자 명함 데이터에 해당하는 이용자를 우연히 만나는 경우에도 쉽게 누군지 알 수 있어 인맥 관계 형성에 좋은 영향을 줄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적으로 푸시 알림으로 이용자의 전자 명함 데이터를 미리 알려줌과 동시에, 이용자를 쉽게 인식할 수 있는 요소(예를 들어, 사용자 특징이나, 미리 저장해 둔 영상 또는 메모 내용 등)를 함께 알려줄 수 있으며, 이에 이미 등록해 둔 전자 명함 데이터를 일일이 직접 검색해서 누군지를 확인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이름을 알지 못 하는 경우에도 상관없이 이미 등록해 둔 전자 명함 데이터에 대한 검색을 할 필요가 없어, 자기 자신의 인맥관리에 매우 큰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미 등록해 둔 전자 명함 데이터에 해당하는 이용자를 만나는 약속을 하거나 만나는 경우에도, 자동적으로 푸시 알림으로 해당 이용자의 전자 명함 데이터를 미리 알려줌으로써, 해당 이용자가 누구인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이미 등록해 둔 전자 명함 데이터를 일일이 직접 검색해서 찾을 필요가 없는 효과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인맥 관리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비콘부의 장착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인맥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있는 타 전자 명함 데이터 알림 단계를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3에 있는 자기 전자 명함 데이터 전송 단계를 다른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인맥 관리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인맥 관리 장치를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2는 도 1에 있는 비콘부의 장착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자동 인맥 관리 장치(100)는, 비콘부(110), 제어부(120), 메모리부(130), 입출력부(140), 송수신부(150)를 포함한다.
비콘부(110)는, 타 이용자가 사용하는 비콘부(110)(이하, '타 비콘부(110)'라 함)를 탐지하는 경우(즉, 타 비콘 탐지 시)에 타 비콘 탐지(타비콘식별정보를 포함함)를 제어부(120)에 통보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비콘부(110)는, 이용자가 위치한 장소에 타 비콘부(110)를 사용하는 타 이용자(또는, 메모리부(130)에 이미 등록해 둔 전자 명함 데이터에 해당하는 타 이용자)가 일정한 반경(예를 들어, 30 ~ 100m) 범위 안으로 접근하는 경우에, 일정한 반경 범위 내로 접근한 타 비콘부(110)를 타비콘식별정보와 함께 탐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비콘부(110)는, 비콘단말기나 비콘장치 또는 비콘모듈로서, 스마트폰, 핸드폰, 모바일폰, PDA 등과 같은 무선통신단말기 내부에 형성되거나, 무선통신단말기의 케이스에 장착되거나, 무선통신단말기의 케이스 형태로 제작되거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통신단말기의 이어폰 마개 대신에 꽂힐 수 있는 형태로 무선통신단말기의 이어폰 삽입구에 체결 형성되는 등으로 이루어져, 타 비콘 탐지를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비콘부(110)는, 무선통신단말기 내부에 형성되는 경우에, 블루투스4.0(BLE) 프로토콜 기반의 근거리 무선통신모듈을 구비하여 타 비콘 탐지를 수행하여 제어부(120)와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비콘부(110)는, 무선통신단말기의 케이스에 장착되거나, 무선통신단말기의 케이스 형태로 제작되는 경우에 무선통신모듈을 내부에 구비하여 송수신부(150)와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으며, 또한 무선통신단말기의 이어폰 삽입구에 체결 형성되는 경우에 이어폰 삽입구를 통해 제어부(120)와의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비콘부(110)는, 자기 자신을 식별해 주기 위한 비콘식별정보(이하, '자기비콘식별정보'라 함)를 미리 설정해 저장하고 있을 수 있으며, 또한 제어부(120)로부터 이용자 자기 자신의 전자 명함 데이터(이하, '자기 전자 명함 데이터'라 함)(또는, 단말기식별정보(또는 이용자식별정보))를 전달받는 경우에, 해당 저장해 둔 자기비콘식별정보를 판독(또는, 메모리부(130)로부터의 판독)하여 해당 전달받은 자기 전자 명함 데이터(또는, 단말기식별정보(또는 이용자식별정보))와 함께 탐지된 타 비콘부(110)로 전송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비콘부(110)는, 탐지된 타 비콘부(110)로부터 전송되는 전자 명함 데이터(이하, '타 전자 명함 데이터'라 함)(또는, 단말기식별정보(또는 이용자식별정보))(타비콘식별정보를 포함함)를 수신받는 경우에, 해당 수신받은 타 전자 명함 데이터(또는, 단말기식별정보(또는 이용자식별정보))를 제어부(120)로 전달해 줄 수 있다.
제어부(120)는, 비콘부(110)로부터 타 비콘 감지를 통보받아 타비콘식별정보를 확인하며, 해당 확인된 타비콘식별정보가 메모리부(130)에 이미 등록되어 있는지를 체크한 후에, 해당 확인된 타비콘식별정보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 해당 확인된 타비콘식별정보에 해당하는 타 전자 명함 데이터(또는, 타단말기식별정보(또는 타이용자식별정보)를 메모리부(130)로부터 판독하여 입출력부(140)로 출력해 준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20)는, 타 전자 명함 데이터(또는, 타단말기식별정보(또는 타이용자식별정보) 판독 시에 인식요소정보도 함께 판독하여 입출력부(140)로 출력해 줄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20)는, 입출력부(140)로부터 전달되는 자기 전자 명함 데이터를 메모리부(130)에 등록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20)는, 타 비콘 감지를 통보받을 시에 확인된 타비콘식별정보가 메모리부(130)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자기 전자 명함 데이터(또는, 단말기식별정보(또는 이용자식별정보))를 메모리부(130)로부터 판독하여 비콘부(110)로 전달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20)는, 비콘부(110)로부터 타 전자 명함 데이터(또는, 타단말기식별정보(또는 타이용자식별정보))를 전달받아 타비콘식별정보를 확인하며, 해당 전달받은 타 전자 명함 데이터(또는, 타단말기식별정보(또는 타이용자식별정보))를 각 항목(예를 들어, 이름, 전화번호, 직장 등)별로 구분하여 타비콘식별정보별로 메모리부(130)에 등록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20)는, 입출력부(140)로부터 목적지 어드레스 및 명함 전송을 통보받아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자기 전자 명함 데이터(또는, 자기단말기식별정보(또는 이용자식별정보))를 판독하며, 해당 판독한 자기 전자 명함 데이터(또는, 자기단말기식별정보(또는 이용자식별정보))를 목적지 어드레스와 함께 송수신부(150)로 전달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20)는, 송수신부(150)로부터 전달되는 타 전자 명함 데이터(또는, 타단말기식별정보(또는 타이용자식별정보))를 입출력부(140)로 출력해 준 후에, 입출력부(140)로부터 저장 명령을 통보받아 타 전자 명함 데이터(또는, 타단말기식별정보(또는 타이용자식별정보) 또는 타비콘식별정보)를 각 항목(예를 들어, 이름, 전화번호, 직장 등)별로 구분하여 메모리부(130)에 등록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20)는, 타 전자 명함 데이터(또는, 타단말기식별정보(또는 타이용자식별정보) 또는 타비콘식별정보)를 등록할 때에 입출력부(140)로부터 인식요소정보를 통보받거나, 입출력부(140)로부터 별도의 인식요소정보를 통보받는 경우에, 해당 통보받은 인식요소정보를 메모리부(130)에 등록해 줄 수 있다.
메모리부(130)는, 제어부(140)의 제어 동작에 필요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예를 들어, 명함관리서비스앱 등)을 저장하고 있는데, 타 이용자에 해당하는 타 전자 명함 데이터(또는, 타단말기식별정보(또는 타이용자식별정보)를 타비콘식별정보별로 구분하여 저장해 둔다.
일 실시 예에서, 메모리부(130)는, 타 이용자를 쉽게 인식할 수 있는 요소(즉, 인식요소정보)(예를 들어, 사용자 특징이나, 미리 저장해 둔 영상 또는 메모 내용 등)를 타비콘식별정보별로 구분하여 저장해 둘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메모리부(130)는, 제어부(120)로부터 전달되는 자기 전자 명함 데이터를 저장해 둘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메모리부(130)는, 자동 인맥 관리 장치(100)(예를 들어, 무선통신단말기)를 식별해 주기 위한 자기단말기식별정보 또는 이용자를 식별해 주기 위한 이용자식별정보를 미리 설정해서 저장해 둘 수도 있으며, 또한 비콘부(110)를 식별해 주기 위한 자기비콘식별정보도 미리 설정해서 저장해 둘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메모리부(130)는, 제어부(120)로부터 전달되는 타 전자 명함 데이터(또는, 타단말기식별정보(또는 타이용자식별정보) 또는 타비콘식별정보)를 각 항목(예를 들어, 이름, 전화번호, 직장 등)별로 구분하여 타비콘식별정보별로 리스트화시켜 저장해 줄 수 있다. 또한, 메모리부(130)는, 제어부(120)로부터 전달되는 인식요소정보도 저장해 줄 수 있다.
입출력부(140)는, 키패드, 터치스크린, 터치패드, 마이크 등과 같은 입력수단과, LCD, 터치스크린, 스피커 등과 같은 출력수단을 구비하며, 제어부(120)로부터 출력되는 타 전자 명함 데이터(또는, 타단말기식별정보(또는 타이용자식별정보)를 푸시 알림으로 출력수단을 통해 이용자에게 알려준다.
일 실시 예에서, 입출력부(140)는, 제어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인식요소정보에 따라 타 사용자의 특징이나, 영상 또는 메모 내용 등을 출력수단을 통해 보여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입출력부(140)는, 입력수단을 통해 자기 전자 명함 데이터를 입력받아 제어부(120)에 전달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입출력부(140)는, 자기 전자 명함 데이터를 전송해 줄 다른 이용자(즉, 타 이용자)의 목적지 어드레스(예를 들어, 전화번호 등)를 입력(또는, 전화번호리스트에서의 선택)한 후에 명함 전송을 입력(또는, 선택)하게 되면, 해당 입력(또는, 선택)된 목적지 어드레스 및 명함 전송을 제어부(120)에 통보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입출력부(140)는, 제어부(120)로부터 출력되는 타 전자 명함 데이터(또는, 타단말기식별정보(또는 타이용자식별정보) 또는 타비콘식별정보)를 디스플레이시켜 줄 수 있으며, 그런 후에 입력수단을 통해 저장 명령을 입력(또는, 선택)하는 경우에 해당 저장 명령을 제어부(120)에 통보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입출력부(140)는, 타 전자 명함 데이터를 저장할 때에, 인식요소정보를 함께 입력받거나 별도로 입력받을 수 있으며, 이런 경우에 해당 입력받은 인식요소정보를 제어부(120)에 통보해 줄 수 있다.
송수신부(150)는, 제어부(120)로부터 자기 전자 명함 데이터(또는, 단말기식별정보(또는 이용자식별정보)) 및 목적지 어드레스를 전달받아 해당 전달받은 자기 전자 명함 데이터(또는, 단말기식별정보(또는 이용자식별정보))를 해당 전달받은 목적지 어드레스에 해당하는 이용자(즉, 타 이용자)에게 전송해 줌으로써, 자기 전자 명함 데이터(또는, 단말기식별정보(또는 이용자식별정보))를 타 이용자가 등록하도록 해 줄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송수신부(150)는, 타 이용자로부터 전송되는 타 전자 명함 데이터(또는, 타단말기식별정보(또는 타이용자식별정보) 또는 타비콘식별정보)를 수신받아 제어부(120)로 전달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자동 인맥 관리 장치(100)는, 이용자가 사용하는 단말기(예를 들어, 무선통신단말기)일 수 있으며, 또한 명함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명함관리서비스앱(즉, 명함관리서비스프로그램)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때, 입출력부(140)는, 입력수단을 통해 명함관리서비스앱 구동 명령을 입력(또는, 선택)하게 되면, 해당 입력된 명함관리서비스앱 구동 명령을 제어부(120)로 통보해 줄 수 있다. 이에, 제어부(120)는, 입출력부(140)로부터 통보되는 명함관리서비스앱 구동 명령에 따라 명함관리서비스앱을 구동시켜 비콘부(110)의 타 비콘 탐지를 자동적으로 수행하도록 해 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자동 인맥 관리 장치(100)는, 비콘부(110)와 명함관리서비스앱을 이용하여 자신의 주변 사람들을 자동적으로 관리하도록 구현함으로써, 메모리부(130)에 이미 등록해 둔 자기 전자 명함 데이터를 자신의 주변 사람들에게 자동적으로 전송하거나 타 전자 명함 데이터를 수신받을 수 있으며, 이에 최초 타 전자 명함 데이터 등록 시에 이용자들 간에 서로 자신의 전자 명함 데이터를 일일이 직접 주고받을 필요가 없어 이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자동 인맥 관리 장치(100)는, 자기 자신이 위치한 장소에 이미 등록해 둔 전자 명함 데이터에 해당하는 타 이용자가 접근하는 경우에, 비콘부(110)에서 타 비콘을 감지하여 제어부(120)에 통보하며, 이에 제어부(120)에서 자동적으로 푸시 알림으로 해당 타 이용자의 전자 명함 데이터를 입출력부(140)를 통해 미리 알려줌으로써, 이미 등록해 둔 타 전자 명함 데이터에 해당하는 타 이용자를 우연히 만나는 경우에도 쉽게 누군지 알 수 있어 인맥 관계 형성에 좋은 영향을 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자동 인맥 관리 장치(100)는, 제어부(120)에서 자동적으로 푸시 알림으로 타 전자 명함 데이터를 입출력부(140)를 통해 미리 알려줌과 동시에, 타 이용자를 쉽게 인식할 수 있는 인식요소정보를 함께 입출력부(140)를 통해 알려줌으로써, 이미 등록해 둔 타 전자 명함 데이터를 일일이 직접 검색해서 누군지를 확인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이름을 알지 못 하는 경우에도 상관없이 이미 등록해 둔 타 전자 명함 데이터에 대한 검색을 할 필요가 없이 누군지를 정확하게 알려줘 자기 자신의 인맥관리에 매우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자동 인맥 관리 장치(100)는, 이미 등록해 둔 타 전자 명함 데이터에 해당하는 타 이용자를 만나는 약속을 하거나 만나는 경우에도, 제어부(120)에서 자동적으로 푸시 알림으로 타 전자 명함 데이터를 입출력부(140)를 통해 미리 알려줌으로써, 해당 타 이용자가 누구인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이미 등록해 둔 타 전자 명함 데이터를 일일이 직접 검색해서 찾을 필요가 없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 인맥 관리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4는 도 3에 있는 타 전자 명함 데이터 알림 단계를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며, 도 5는 도 3에 있는 자기 전자 명함 데이터 전송 단계를 다른 예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 내지는 도 5를 참조하면, 비콘부(110)에서는, 타 이용자가 사용하는 비콘부(110)(이하, 구분하기 위해서 '타 비콘부(110)'라 함)를 탐지하는 경우(즉, 타 비콘 탐지 시)에 타비콘식별정보를 포함한 타 비콘 탐지를 제어부(120)에 통보해 주게 된다(S301).
상술한 단계 S301에서 타 비콘 탐지를 통보함에 있어서, 비콘부(110)에서는, 이용자가 위치한 장소에 타 비콘부(110)를 사용하는 타 이용자(또는, 메모리부(130)에 이미 등록해 둔 타 전자 명함 데이터에 해당하는 타 이용자)가 일정한 반경(예를 들어, 30 ~ 100m) 범위 안으로 접근하는 경우에, 일정한 반경 범위 내로 접근한 타 비콘부(110)를 타비콘식별정보와 함께 탐지할 수 있다.
상술한 단계 S301에서 타 비콘 탐지를 통보하게 되면, 제어부(120)에서는, 비콘부(110)로부터 타 비콘 감지를 통보받아 타비콘식별정보를 확인하며(S302), 해당 단계 S302에서 확인한 타비콘식별정보가 메모리부(130)에 이미 등록되어 있는지를 체크하게 된다(S303).
상술한 단계 S303에서 타비콘식별정보가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 제어부(120)에서는, 상술한 단계 S302에서 확인한 타비콘식별정보에 해당하는 타 전자 명함 데이터(또는, 타단말기식별정보(또는 타이용자식별정보)를 메모리부(130)로부터 판독하여 입출력부(140)로 출력해 주게 된다(S304).
상술한 단계 S304에서 타 전자 명함 데이터를 판독 출력함에 있어서, 제어부(120)에서는, 인식요소정보도 메모리부(130)로부터 판독하여 상술한 단계 S304에서 판독한 타 전자 명함 데이터(또는, 타단말기식별정보(또는 타이용자식별정보)와 함께 입출력부(140)로 출력해 줄 수도 있다.
상술한 단계 S304에서 타 전자 명함 데이터를 판독 출력하게 되면, 입출력부(140)에서는, 제어부(120)로부터 출력되는 타 전자 명함 데이터(또는, 타단말기식별정보(또는 타이용자식별정보)를 푸시 알림으로 LCD, 스피커 등과 같은 출력수단을 통해 이용자에게 알려주게 된다(S305).
상술한 단계 S305에서 타 전자 명함 데이터를 알림에 있어서, 입출력부(140)에서는, 제어부(120)로부터 출력되는 인식요소정보에 따라 타 사용자의 특징이나, 영상 또는 메모 내용 등을 출력수단을 통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여줄 수도 있다.
상술한 단계 S303에서 타비콘식별정보가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제어부(120)에서는, 자기 전자 명함 데이터(또는, 단말기식별정보(또는 이용자식별정보))를 메모리부(130)로부터 판독하여 비콘부(110)로 전달해 주게 된다(S306).
상술한 단계 S306에서 자기 전자 명함 데이터를 판독 전달하게 되면, 비콘부(110)에서는, 자기비콘식별정보를 미리 설정해 저장하고 있다가, 제어부(120)로부터 자기 전자 명함 데이터(또는, 단말기식별정보(또는 이용자식별정보))를 전달받아 저장해 둔 자기비콘식별정보를 판독(또는, 메모리부(130)로부터의 판독)하며(S307), 그런 다음에 해당 전달받은 자기 전자 명함 데이터(또는, 단말기식별정보(또는 이용자식별정보))와 해당 판독한 자기비콘식별정보를 함께 상술한 단계 S301에서 탐지한 타 비콘부(110)로 전송하게 된다(S308).
다른 제1예로서, 상술한 단계 S301에서 탐지한 타 비콘부(110)로부터 전송되는 타 전자 명함 데이터(또는, 단말기식별정보(또는 이용자식별정보))(타비콘식별정보를 포함함)를 수신받는 경우에, 비콘부(110)에서는, 수신받은 타 전자 명함 데이터(또는, 단말기식별정보(또는 이용자식별정보))를 제어부(120)로 전달해 줄 수 있다.
제어부(120)에서는, 비콘부(110)로부터 타 전자 명함 데이터(또는, 타단말기식별정보(또는 타이용자식별정보))를 전달받아 타비콘식별정보를 확인하며, 해당 단계 S302에서 확인한 타비콘식별정보가 메모리부(130)에 이미 등록되어 있는지를 체크한 후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해당 전달받은 타 전자 명함 데이터(또는, 타단말기식별정보(또는 타이용자식별정보))를 각 항목(예를 들어, 이름, 전화번호, 직장 등)별로 구분하여 타비콘식별정보별로 메모리부(130)에 등록해 줄 수 있다.
다른 제2예로서, 입력수단을 통해 자기 전자 명함 데이터를 입력받는 경우에, 입출력부(140)에서는, 해당 입력받은 자기 전자 명함 데이터를 제어부(120)에 전달해 줄 수 있다. 이에, 제어부(120)는, 입출력부(140)로부터 전달되는 자기 전자 명함 데이터를 메모리부(130)에 등록해 줄 수 있다.
다른 제3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 전자 명함 데이터를 전송해 줄 다른 이용자(즉, 타 이용자)의 목적지 어드레스(예를 들어, 전화번호 등)를 입력(또는, 전화번호리스트에서의 선택)한 후에 명함 전송을 입력(또는, 선택)하게 되면, 입출력부(140)에서는, 해당 입력(또는, 선택)된 목적지 어드레스 및 명함 전송을 제어부(120)에 통보해 줄 수 있다. 이에, 제어부(120)는, 입출력부(140)로부터 목적지 어드레스 및 명함 전송을 통보받아 메모리부(130)에 저장된 자기 전자 명함 데이터(또는, 자기단말기식별정보(또는 이용자식별정보))를 판독하며, 해당 판독한 자기 전자 명함 데이터(또는, 자기단말기식별정보(또는 이용자식별정보))를 목적지 어드레스와 함께 송수신부(150)로 전달해 줄 수 있다. 그러면, 송수신부(150)는, 제어부(120)로부터 자기 전자 명함 데이터(또는, 단말기식별정보(또는 이용자식별정보)) 및 목적지 어드레스를 전달받아 해당 전달받은 자기 전자 명함 데이터(또는, 단말기식별정보(또는 이용자식별정보))를 해당 전달받은 목적지 어드레스에 해당하는 이용자(즉, 타 이용자)에게 전송해 줌으로써, 자기 전자 명함 데이터(또는, 단말기식별정보(또는 이용자식별정보))를 타 이용자가 등록하도록 해 줄 수 있다.
다른 제4예로서, 타 이용자로부터 전송되는 타 전자 명함 데이터(또는, 타단말기식별정보(또는 타이용자식별정보) 또는 타비콘식별정보)를 수신받는 경우에, 송수신부(150)에서는, 해당 수신받은 타 전자 명함 데이터를 제어부(120)로 전달해 줄 수 있다. 이에, 제어부(120)는, 송수신부(150)로부터 전달되는 타 전자 명함 데이터(또는, 타단말기식별정보(또는 타이용자식별정보))를 입출력부(140)로 출력해 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입출력부(140)는, 제어부(120)로부터 출력되는 타 전자 명함 데이터(또는, 타단말기식별정보(또는 타이용자식별정보) 또는 타비콘식별정보)를 디스플레이시켜 줄 수 있으며, 그런 후에 입력수단을 통해 저장 명령을 입력(또는, 선택)하는 경우에 해당 저장 명령을 제어부(120)에 통보해 줄 수 있다. 그러면, 제어부(120)는, 입출력부(140)로부터 저장 명령을 통보받아 타 전자 명함 데이터(또는, 타단말기식별정보(또는 타이용자식별정보) 또는 타비콘식별정보)를 각 항목(예를 들어, 이름, 전화번호, 직장 등)별로 구분하여 메모리부(130)에 등록해 줄 수 있다.
다른 제5예로서, 인식요소정보를 타 전자 명함 데이터와 함께 입력받거나 별도로 입력받는 경우에, 입출력부(140)는, 해당 입력받은 인식요소정보를 제어부(120)에 통보해 줄 수 있다. 이에, 제어부(120)는, 입출력부(140)로부터 인식요소정보를 통보받아 타비콘식별정보를 확인하여 메모리부(130)에 등록해 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자동 인맥 관리 장치
110: 비콘부
120: 제어부
130: 메모리부
140: 입출력부
150: 송수신부

Claims (10)

  1. 타 비콘 탐지 시에 타비콘식별정보를 포함한 타 비콘 탐지를 통보하기 위한 비콘부;
    타 이용자에 해당하는 타 전자 명함 데이터를 타비콘식별정보별로 구분하여 저장해 두기 위한 메모리부;
    상기 비콘부로부터 타 비콘 감지를 통보받아 타비콘식별정보를 확인하며, 타비콘식별정보가 이미 등록되어 있는지를 체크하며, 타비콘식별정보에 해당하는 타 전자 명함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에서 판독하여 출력하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타 전자 명함 데이터를 푸시 알림으로 출력수단을 통해 이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입출력부를 포함하는 자동 인맥 관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부는,
    자기비콘식별정보를 미리 설정해 저장해 두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자기 전자 명함 데이터를 전달받는 경우에, 자기비콘식별정보를 판독하여 자기 전자 명함 데이터와 함께 탐지된 타 비콘부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인맥 관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타 전자 명함 데이터 판독 시에 인식요소정보도 함께 판독하여 상기 입출력부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인맥 관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타 비콘 감지를 통보받을 시에 확인된 타비콘식별정보가 상기 메모리부에 등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자기 전자 명함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부로부터 판독하여 상기 비콘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인맥 관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로부터 자기 전자 명함 데이터 및 목적지 어드레스를 전달받는 경우에, 자기 전자 명함 데이터를 목적지 어드레스에 해당하는 타 이용자에게 전송하기 위한 송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인맥 관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출력부로부터 목적지 어드레스 및 명함 전송을 통보받는 경우에,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자기 전자 명함 데이터를 판독하여 목적지 어드레스와 함께 상기 송수신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인맥 관리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송수신부는,
    타 이용자로부터 전송되는 타 전자 명함 데이터를 수신받아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인맥 관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수신부로부터 전달되는 타 전자 명함 데이터를 상기 입출력부로 출력한 후에, 상기 입출력부로부터 저장 명령을 통보받아 타 전자 명함 데이터를 각 항목별로 구분하여 상기 메모리부에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인맥 관리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타 전자 명함 데이터를 등록할 때에 상기 입출력부로부터 인식요소정보를 통보받거나, 상기 입출력부로부터 별도의 인식요소정보를 통보받는 경우에, 인식요소정보를 상기 메모리부에 등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인맥 관리 장치.
  10. 비콘부가 타 비콘 탐지 시에 타비콘식별정보를 포함한 타 비콘 탐지를 통보하는 단계;
    제어부가 상기 타 비콘 감지를 통보받아 타비콘식별정보를 확인하며, 타비콘식별정보가 이미 등록되어 있는지를 체크하는 단계;
    상기 타비콘식별정보가 이미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가 타비콘식별정보에 해당하는 타 전자 명함 데이터를 판독하여 출력하는 단계; 및
    입출력부가 상기 타 전자 명함 데이터를 푸시 알림으로 출력수단을 통해 이용자에게 알려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동 인맥 관리 방법.
KR1020150175863A 2015-12-10 2015-12-10 자동 인맥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1700688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5863A KR20170068869A (ko) 2015-12-10 2015-12-10 자동 인맥 관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5863A KR20170068869A (ko) 2015-12-10 2015-12-10 자동 인맥 관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8869A true KR20170068869A (ko) 2017-06-20

Family

ID=59281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5863A KR20170068869A (ko) 2015-12-10 2015-12-10 자동 인맥 관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6886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8478A (ko) * 2018-02-14 2019-08-22 주식회사 에프에스엘 명함 관리시스템
KR102099570B1 (ko) 2019-02-26 2020-04-1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리모트 제어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200065130A (ko) 2018-11-29 2020-06-09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타일 이미지 처리 장치 및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8478A (ko) * 2018-02-14 2019-08-22 주식회사 에프에스엘 명함 관리시스템
KR20200065130A (ko) 2018-11-29 2020-06-09 현대엠엔소프트 주식회사 타일 이미지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2099570B1 (ko) 2019-02-26 2020-04-1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리모트 제어 시스템 및 그의 동작 방법
CN111619508A (zh) * 2019-02-26 2020-09-04 现代摩比斯株式会社 用于车辆的遥控系统及其操作方法
US11433852B2 (en) 2019-02-26 2022-09-06 Hyundai Mobis Co., Ltd. Remote control system for vehicl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CN111619508B (zh) * 2019-02-26 2022-09-13 现代摩比斯株式会社 用于车辆的遥控系统及其操作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55271B2 (en) System and method for storing near field communication tags in an electronic phonebook
US20080084860A1 (en) Device and method for reserving a resource via a portable communication...
KR101462722B1 (ko)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위치 확인이 가능한 출결 체크 시스템
ES2329052T3 (es) Tratamiento de datos sensible al contexto.
KR20140030707A (ko) 스마트 단말기를 이용한 도서관 좌석 예약 및 운영 시스템
US20140171139A1 (en) Intercommunication methods and devices based on digital networks
KR20170068869A (ko) 자동 인맥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150027422A (ko) 휴대 단말기에서 디바이스 이름을 이용한 무선 통신 설정 방법 및 장치
JP2009086891A (ja) コンテンツ管理装置、その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テンツ管理方法
US20150271650A1 (en) Communication device,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and call control method
CN103188628B (zh) 用于共享个人电子信息的移动终端及其方法
CA2894937C (en) Intercommunication methods and devices based on digital networks
KR20140119917A (ko) 무선 통신 연결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방법, 단말기 및 무선 통신 시스템
KR101184275B1 (ko) 기능 정지 제어 방법 및 이동 통신 단말 장치
JP2016189147A (ja) 管理システム、管理装置及び管理方法
KR20110073219A (ko) 휴대용 단말기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기반 정보 공유 방법 및 이를 실행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1649363B1 (ko) 이동 단말 및 이동 단말에서의 전화 수신 방법
CN105765492A (zh) 一种获取用户信息的方法及智能手环
KR20160091613A (ko) 매칭 태그 인식을 통한 자동 호출 알람 시스템
KR101904141B1 (ko) 연결 수단의 입력에 따른 연결 설정 방법, 이를 수행하는 서버 및 단말
JP6138525B2 (ja) 情報提供装置および情報提供システム
JP6285134B2 (ja) 通信システム
JP5891421B2 (ja) センターサーバ、インターホンシステムおよび来訪者報知方法
KR20160004411A (ko) 고객정보 관리 기능이 구비된 스마트폰과 그 방법
KR101629444B1 (ko) 주소록 공유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