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6044A - 시트상물 및 시트상물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시트상물 및 시트상물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6044A
KR20180066044A KR1020187008032A KR20187008032A KR20180066044A KR 20180066044 A KR20180066044 A KR 20180066044A KR 1020187008032 A KR1020187008032 A KR 1020187008032A KR 20187008032 A KR20187008032 A KR 20187008032A KR 20180066044 A KR20180066044 A KR 201800660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icles
sheet
absorbent polymer
water absorbent
elong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8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8554B1 (ko
Inventor
겐지 고바야시
노르 살레후딘 빈 라티프 무하마드
료타 구라마에
아이코 온다
Original Assignee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5199376A external-priority patent/JP660214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5243767A external-priority patent/JP6602660B2/ja
Application filed by 카오카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카오카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660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60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8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85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617Making absorbent pads from fibres or pulverulent material with or without treatment of the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617Making absorbent pads from fibres or pulverulent material with or without treatment of the fibres
    • A61F13/15658Forming continuous, e.g. composite, fibrous webs, e.g.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pulverulent material on par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666Wrapping formed fibrous webs or pads, e.g. the pads being formed by uniting pad pieces cut from fibrous we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707Mechanical treatment, e.g. notching, twisting, compressing, shap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707Mechanical treatment, e.g. notching, twisting, compressing, shaping
    • A61F13/15723Partitioning batts; Cu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707Mechanical treatment, e.g. notching, twisting, compressing, shaping
    • A61F13/15739Sealing, e.g. involving cut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1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is located at the waist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61F13/49009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 A61F13/4901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with elastic means the elastic means being located at the crotch reg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13/49406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 A61F13/49413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t the crotch region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an upstanding barri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of the absorbent layers with each other or with the outer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04Cutting, tearing or severing, e.g. bursting; Cutte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formed of particles, e.g. chips, powder or granu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764Transferring, feeding or handling devices; Dr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2013/15821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characterized by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 A61F2013/15861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characterized by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or bonding
    • A61F2013/1591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characterized by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or bonding via adhes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2013/49088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zed by the leg opening
    • A61F2013/49092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zed by the leg opening comprising leg cuffs
    • A61F2013/49093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zed by the leg opening comprising leg cuffs having multiple b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4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 A61F2013/4948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characterised by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the edge leakage prevention means being elast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1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being made in fibre but being not pulp
    • A61F2013/53018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being made in fibre but being not pulp characterized by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bres
    • A61F2013/53018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being made in fibre but being not pulp characterized by the connection between the fibres with thermoplastic adhes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1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being made in fibre but being not pulp
    • A61F2013/53022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being made in fibre but being not pulp with polymeric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1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being made in fibre but being not pulp
    • A61F2013/53022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being made in fibre but being not pulp with polymeric fibres
    • A61F2013/53023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being made in fibre but being not pulp with polymeric fibres being thermoplastic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1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being made in fibre but being not pulp
    • A61F2013/53022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being made in fibre but being not pulp with polymeric fibres
    • A61F2013/53029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being made in fibre but being not pulp with polymeric fibres being hydrophilic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48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86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zed by the liquid distribution or transport means other than wicking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2013/5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with a tissue-wrapped co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2013/534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being a tissue-wrapped c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5/00Personal care
    • B32B2555/02Diapers or napki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용의 시트상물 (1) 은, 장척상 기체부 (2) 및 장척상 기체부 (2) 의 일방의 면의 표면에 고정된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를 구비한 흡수성 유닛 (4) 을 복수개 구비한다. 시트상물 (1) 은, 각 흡수성 유닛 (4) 을, 그 종방향이 일방향을 향하도록 배열시켜 이루어진다.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가 액을 흡수하면,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가, 장척상 기체부 (2) 의 종방향을 따른 측 가장자리부 (2s) 를 넘어 팽윤되고, 또한 장척상 기체부의 위치가, 두께 방향에 있어서, 액을 흡수하기 전의 위치와 상이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Description

시트상물 및 시트상물의 제조 방법{SHEET-SHAPED OBJECT AND METHOD FOR PRODUCING SHEET-SHAPED OBJECT}
본 발명은 흡수성 물품에 사용하는 시트상물 및 그 시트상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일회용 기저귀 등의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일회용 기저귀, 생리용 냅킨, 실금 패드 등의 흡수성 물품에 사용되는 흡수체는, 공기류에 실어 펄프 섬유 및 흡수성 폴리머를 함유하는 흡수체의 원료를, 회전 드럼의 외주면에 형성된 오목부에 흡인하여 퇴적시키고, 이어서, 그 오목부 내에 퇴적된 적섬체 (積纖體) 를 투수성의 시트재로 피복하여 제조되어 있다. 그러나, 흡수성 폴리머의 중량은, 펄프 섬유의 중량에 비해 매우 무겁고, 흡수성 폴리머의 분산이 불균일한 것이 되기 쉽다. 이와 같이 불균일한 흡수체에서는, 겔 블로킹 등의 팽윤 저해가 발생하기 쉬워 흡수성 폴리머의 흡수 성능을 최대한으로 발휘할 수 없다.
특허문헌 1 에는, 2 장의 시트를 복수개의 고정부로 고정시키고, 이웃하는 고정부 사이에 길이 방향으로 연속하는 채널 공간을 형성하고 있고, 각 채널 공간 내에, 고흡수성 폴리머를 함유하는 체액 흡수성재를 수축성재에 대해 일체화된 흡수재가 배치되어 이루어지는 체액 흡수체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체액 흡수체에 의하면, 흡수체 전체를 유효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 특허문헌 2 에는, 배설부 대향부에, 종방향을 따른 종슬릿이 분산 상태로 형성된 배설부 슬릿 영역을 갖고, 그 횡방향 및 종방향의 중앙부에 중앙 슬릿 영역을 갖는 흡수체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2 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착용감을 높일 수 있다.
또, 특허문헌 3 에는, 4 열 이상의 슬릿이 간격을 두고 배치된 흡수체를 구비한 흡수성 물품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3 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에 의하면, 흡수체의 강성을 완화시켜, 흡수성을 높일 수 있다.
또, 본 출원인은, 먼저, 중앙 흡수체와 1 쌍의 사이드 흡수체가 가랑이 하부에서 분리되어 있는 흡수성 코어를 갖는 흡수성 본체를 구비하고, 흡수성 코어의 양측에 사이드 흡수체 기립용의 탄성 부재가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있는 일회용 기저귀를 제안하였다 (특허문헌 4).
상기 일회용 기저귀와는 별도로, 특허문헌 3 및 특허문헌 5 에는, 흡수성 물품용의 흡수체로서, 소정 길이의 슬릿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는 흡수체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22416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5-42244호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소63-18122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341061호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평1-87720호
본 발명은, 횡방향과, 그 횡방향보다 길이가 긴 종방향과, 두께 방향을 갖는 장척상 기체부, 및 그 장척상 기체부의 일방의 면의 표면에 고정된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를 구비한 흡수성 유닛을 복수개 구비하고, 각 그 흡수성 유닛을, 그 종방향이 적어도 일방향을 향하도록 배열시켜 이루어지는 흡수성 물품용의 시트상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가 액을 흡수하면, 그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가, 상기 장척상 기체부의 상기 종방향을 따른 측 가장자리부를 넘어 팽윤되고, 또한 그 장척상 기체부의 위치가, 상기 두께 방향에 있어서, 액을 흡수하기 전의 위치와 상이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 본 발명은, 횡방향과, 그 횡방향보다 길이가 긴 종방향과, 두께 방향을 갖는 장척상 기체부, 및 그 장척상 기체부의 일방의 면의 표면에 고정된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를 구비한 흡수성 유닛을 복수개 구비하고, 각 그 흡수성 유닛을, 그 종방향이 적어도 일방향을 향하도록 배열시켜 이루어지고,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가 액을 흡수하면, 그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가, 상기 장척상 기체부의 상기 종방향을 따른 측 가장자리부를 넘어 팽윤되고, 또한 그 장척상 기체부의 위치가, 상기 두께 방향에 있어서, 액을 흡수하기 전의 위치와 상이하도록 이루어져 있는 흡수성 물품용의 시트상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시트상물의 제조 방법은, 띠상의 기재 시트를 커트하여 복수개의 상기 장척상 기체부를 형성하는 커트 공정과, 형성된 복수개의 상기 장척상 기체부의 일방의 면의 표면에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를 산포하는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산포 공정을 구비한다.
또, 본 발명은, 표면 시트, 이면 시트, 및 이들 양 시트간에 개재된 흡수체를 구비하는 흡수성 본체를 구비하고, 착용자의 전후 방향에 대응하는 물품 종방향 및 그 물품 종방향에 직교하는 물품 횡방향을 갖는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상기 흡수체는, 횡방향과, 횡방향보다 길이가 긴 종방향과, 두께 방향을 갖는 장척상 기체부, 및 그 장척상 기체부의 일방의 면의 표면에 고정된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를 구비한 흡수성 유닛을 복수개 구비하고, 각 그 흡수성 유닛을, 그 종방향이 적어도 일방향을 향하도록 배열시켜 이루어지는 시트상물로 형성된 흡수성 코어를 가지고 있다. 상기 흡수성 코어는, 물품 횡방향 중앙의 중앙 영역과, 그 중앙 영역보다 물품 횡방향 외방에 형성된 1 쌍의 사이드 영역을 구비하고 있다. 각 상기 사이드 영역에 있어서, 각 상기 흡수성 유닛은, 그 종방향이 물품 횡방향을 향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상기 표면 시트는, 상기 흡수체의 피부 대향면을 피복하고, 그 흡수체의 양측 가장자리부로부터 물품 횡방향 외방으로 연장된 연장 부위를 가지고 있고, 그 연장 부위가, 그 흡수체의 비피부 대향면측으로 되접어 꺾여, 상기 흡수성 코어의 각 상기 사이드 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흡수체의 비피부 대향면을 피복하고 있다. 상기 표면 시트의 상기 연장 부위는, 그 선단부가, 그 연장 부위보다 비피부 대향면측에 위치하고 또한 그 연장 부위와 인접하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구성 부재에 고정되어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용의 시트상물의 일 실시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가 액을 흡수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내는 시트상물에 있어서의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가 액을 흡수하여 팽윤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에 나타내는 시트상물을 상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 는, 도 1 에 나타내는 시트상물의 제조 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 는, 도 4 에 나타내는 제조 장치가 구비하는 기재 시트 커트부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시트상물의 다른 실시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가 액을 흡수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 상당도).
도 7 은, 본 발명의 시트상물의 다른 실시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가 액을 흡수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 상당도).
도 8 은, 도 7 에 나타내는 시트상물의 제조 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시트상물의 다른 실시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가 액을 흡수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 상당도).
도 10 은, 본 발명의 시트상물의 다른 실시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가 액을 흡수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 상당도).
도 11 은, 본 발명의 시트상물의 다른 실시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가 액을 흡수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 상당도).
도 12 는, 도 11 에 나타내는 시트상물의 제조 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3 은, 본 발명의 시트상물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상면측에서 본 사시도이고,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가 액을 흡수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3 상당도).
도 14 는, 본 발명의 시트상물의 다른 실시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가 액을 흡수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 상당도).
도 15 는,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일 실시형태인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사시도이다.
도 16 은, 도 15 에 나타내는 기저귀를 사이드 시일부에서 떼어내어 전개하고, 신장시켜 평면상으로 펼친 상태를 일부 파단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7 은, 도 15 에 나타내는 기저귀가 구비하는 흡수체를 일부 파단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 은, 도 17 에 나타내는 흡수체가 갖는 흡수성 코어인 시트상물의 일 실시형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가 액을 흡수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9 는, 도 18 에 나타내는 시트상물에 있어서의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가 액을 흡수하여 팽윤된 상태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0 은, 도 16 에 나타내는 VI-VI 선 단면도이다.
도 21 은, 도 20 에 나타내는 기저귀에 있어서의 착용 상태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22 는, 도 15 에 나타내는 기저귀가 구비하는 흡수성 코어인 시트상물의 제조 장치의 일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3 은, 도 22 에 나타내는 제조 장치가 구비하는 상류측의 기재 시트 커트부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4 는, 도 22 에 나타내는 제조 장치가 구비하는 하류측의 기재 시트 커트부의 개략 사시도이다.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흡수체는, 고정부에서 고정되어 형성된 각 채널 공간 내에, 고흡수성 폴리머를 함유하는 흡수재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고흡수성 폴리머가 체액을 흡수하여 팽윤되어도, 두께 방향으로 잘 이동하지 않아, 고흡수성 폴리머의 흡수 성능을 최대한으로 발휘할 수 없다.
또, 특허문헌 2 및 3 에는,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가 액을 흡수했을 때의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와 상기 슬릿의 위치 관계에 관해 전혀 기재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이 갖는 결점을 해소할 수 있는 시트상물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갖는 결점을 해소할 수 있는 시트상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 특허문헌 4 에 기재된 일회용 기저귀에 의하면, 흡수성 코어가, 중앙 흡수체와 1 쌍의 사이드 흡수체로 분리되어 있고, 그 양측에 사이드 흡수체 기립용의 탄성 부재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사이드 흡수체가 기립하기 쉽고, 가랑이 하부의 피트성 및 방루 성능이 향상된다. 그러나, 착용 중에, 기립한 사이드 흡수체가 착용자의 피부에 닿아 위화감을 주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본 발명자는, 이와 같이 기립한 사이드 흡수체가 주는 위화감도 또한 해소하고자 하는 생각에 도달하였다.
또, 특허문헌 3 및 5 에는, 슬릿이 실시된 흡수체가 개시되어 있을 뿐으로, 흡수체의 양측의 사이드 부분의 흡수체를 기립시키는 것에 관해 전혀 기재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이 갖는 결점을 해소할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시트상물을, 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시트상물은 흡수성 물품에 사용되는 것이다. 흡수성 물품은, 일반적으로, 뇨나 경혈 (經血) 등의 배설 체액을 흡수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흡수성 물품에는, 예를 들어, 일회용 기저귀, 생리용 냅킨, 실금 패드 등이 포함되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인체로부터 배출되는 액의 흡수에 사용되는 물품을 널리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흡수성 물품은, 전형적으로는, 액 유지성의 흡수체와, 그 흡수체의 피부 대향면측에 배치된 표면 시트와, 그 흡수체의 비피부 대향면측에 배치된 이면 시트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그 흡수체는, 본 발명의 시트상물과, 그 시트상물을 피복하는 액 투과성의 코어 랩 시트를 가지고 있다. 즉, 본 발명의 시트상물은, 예를 들어, 액 투과성의 코어 랩 시트로 피복된 흡수체로서, 흡수성 물품에 사용된다. 또한, 흡수성 물품에는, 흡수체의 피부 대향면 및 비피부 대향면 중 적어도 일방에 소위 서브레이어 시트가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서브레이어 시트란, 흡수체와 표면 시트 사이, 또는 흡수체와 이면 시트 사이에 배치되는 액 투과성의 시트를 말한다.
표면 시트, 이면 시트 및 코어 랩 시트로는, 당해 기술 분야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재료를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면 시트로는, 친수화 처리가 실시된 각종 부직포나 개공 (開孔) 필름 등의 액 투과성의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또, 이면 시트로는, 열가소성 수지의 필름이나, 그 필름과 부직포의 라미네이트 등의 액 투과성 내지 발수성의 시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면 시트는 수증기 투과성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또, 코어 랩 시트로는, 습식 초조법 (抄造法) 에 의해 제조한 박엽지 (티슈 페이퍼) 나 액 투과성의 부직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 상기 흡수성 물품은, 추가로, 그 흡수성 물품의 구체적인 용도에 따른 각종 부재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그러한 부재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바이다. 예를 들어 흡수성 물품을 일회용 기저귀나 생리용 냅킨에 적용하는 경우에는, 표면 시트 상의 좌우 양측부에 1 쌍 또는 2 쌍 이상의 방루 커프를 배치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 에는, 본 발명의 시트상물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인 시트상물 (1) (이하, 간단히 「시트상물 (1)」 이라고도 한다) 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가 나타나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시트상물 (1) 은,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가 액을 흡수하기 전의 상태 (이하, 간단히 「사용 전의 상태」 라고도 한다) 를 나타낸다. 또, 도 2 에 나타내는 시트상물 (1) 은,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가 액을 흡수하여 팽윤된 상태 (이하, 간단히 「팽윤 후의 상태」 라고도 한다) 를 나타낸다. 여기서, 팽윤 후의 상태란, 25 ℃ 로 조온한 생리 식염수 (0.9 질량% 염화나트륨 수용액) 중에 60 분간 시트상물 (1) 을 침지시킨 후의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의 상태를 의미한다. 또, 도 3 에는, 사용 전의 상태의 시트상물 (1) 의 사시도가 나타나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시트상물 (1) 은, 횡방향 (X 방향) 과, 그 횡방향 (X 방향) 보다 길이가 긴 종방향 (Y 방향) 과, 두께 방향 (Z 방향) 을 갖는 장척상 기체부 (2), 및 장척상 기체부 (2) 의 일방의 면의 표면에 고정된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이하, 간단히 「흡수성 폴리머 (3)」 라고도 한다) 를 구비한 흡수성 유닛 (4) 을 복수개 구비하고, 각 흡수성 유닛 (4) 을, 그 종방향 (Y 방향) 이 적어도 일방향을 향하도록 배열시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장척상 기체부 (2) 의 횡방향 (X 방향), 종방향 (Y 방향), 및 두께 방향 (Z 방향) 은, 흡수성 유닛 (4) 의 횡방향 (X 방향), 종방향 (Y 방향), 및 두께 방향 (Z 방향) 과 일치하고 있고,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트상물 (1) 의 횡방향 (X 방향), 종방향 (Y 방향), 및 두께 방향 (Z 방향) 과도 일치하고 있다 (도 3 참조). 또한, 시트상물 (1) 의 종방향 (Y 방향) 은, 시트상물 (1) 을 구비한 흡수성 물품을 착용했을 때의 착용자의 전후 방향과 일치하고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시트상물 (1) 은, 흡수성 유닛 (4) 의 종방향 (Y 방향) 이 시트상물 (1) 의 종방향 (Y 방향) 을 향하도록 흡수성 유닛 (4) 을 복수개 배열시켜 형성되어 있다 (도 3 참조). 장척상 기체부 (2) (흡수성 유닛 (4)) 의 횡방향 (X 방향) 에 있어서 이웃하는 흡수성 유닛 (4, 4) 간에 있어서는, 흡수성 유닛 (4) 의 이동의 용이함의 관점에서, 개재물이 비존재 상태로 되어 있다. 즉, 흡수성 유닛 (4) 은 개재물로 싸이지 않은 상태로 되어 있다. 도 1 및 도 2 에 있어서는, 장척상 기체부 (2) 의 일방의 면인 상면이 착용자의 피부에 대향하는 피부 대향면이고, 장척상 기체부 (2) 의 타방의 면인 하면이 이면 시트에 대향하는 비피부 대향면이다. 즉, 일방의 면의 반대측의 면이 타방의 면으로 되어 있다.
시트상물 (1) 의 흡수성 유닛 (4) 은, 사용 전의 상태에 있어서, 종방향 (Y) 으로 긴 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사용 전의 상태에 있어서, 흡수성 유닛 (4) 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장척상 기체부 (2) 의 측 가장자리부 (2s) 에 걸쳐 존재하는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b) (도 1 참조) 를 갖는 경우가 있으므로, 그 횡방향 (X) 의 길이 (Lx) 가, 후술하는 장척상 기체부 (2) 의 폭 (W2) 보다 약간 길게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흡수성 유닛 (4) 의 횡방향 (X) 의 길이 (Lx) 는, 바람직하게는 0.5 ㎜ 이상 10 ㎜ 이하 정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1 ㎜ 이상 5 ㎜ 이하 정도의 것이다. 흡수성 유닛 (4) 의 종방향 (Y) 의 길이 (Ly) 는, 횡방향 (X) 의 길이 (Lx) 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20 배 이상 200 배 이하 정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배 이상 80 배 이하 정도로 되어 있다. 이 배율을 만족시키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흡수성 유닛 (4) 의 종방향 (Y) 의 길이 (Ly) 는, 바람직하게는 10 ㎜ 이상 500 ㎜ 이하 정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 ㎜ 이상 400 ㎜ 이하 정도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흡수성 유닛 (4) 은 매우 가늘고 긴 형상을 하고 있다.
사용 전의 상태에 있어서, 장척상 기체부 (2) 의 폭 (W2) 에 대한 흡수성 유닛 (4) 의 횡방향 (X 방향) 의 길이 (Lx) 의 대소 관계는, 바람직하게는 0 ㎛ < (Lx - W2) < 1400 ㎛ 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 ㎛ < (Lx - W2) < 1000 ㎛ 이다.
시트상물 (1) 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사용 전의 상태에 있어서, 종방향 (Y 방향) 으로 긴 사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시트상물 (1) 은, 종방향 (Y 방향) 의 길이가 100 ㎜ 이상 1000 ㎜ 이하 정도인 것이고, 횡방향 (X 방향) 의 길이가 50 ㎜ 이상 300 ㎜ 이하 정도인 것이다.
시트상물 (1) 은, 사용 전의 상태에 있어서, 적어도 일방향을 향하도록 흡수성 유닛 (4) 을 복수개 배열한 흡수 영역 (AT) 을 가지고 있다. 사용 전의 상태의 시트상물 (1) 을 평면에서 보았을 때, 시트상물 (1) 전체에 대한 흡수 영역 (AT) 의 비율은,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가 고정된 영역에서 액을 흡수하기 쉬운 관점에서, 2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그리고 1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90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20 % 이상 1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 이상 90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흡수 영역 (AT) 의 비율이 100 % 라는 것은, 예를 들어, 흡수성 유닛 (4) 의 종방향 (Y 방향) 이 시트상물 (1) 의 종방향 (Y 방향) 을 향하도록 복수개 시트상물 (1) 의 횡방향 (X 방향) 에 병치 (竝置) 시키는 경우에는, 시트상물 (1) 의 종방향 (Y 방향) 의 양단부간에 걸친 전역에 배치되어 있는 형태를 의미하고, 혹은 흡수성 유닛 (4) 의 종방향 (Y 방향) 이 시트상물 (1) 의 횡방향 (X 방향) 을 향하도록 복수개 시트상물 (1) 의 종방향 (Y 방향) 에 병치시키는 경우에는, 시트상물 (1) 의 종방향 (Y 방향) 을 따른 양측부간에 걸친 전역에 배치되어 있는 형태를 의미한다. 또한, 시트상물 (1) 을 평면에서 보았을 때, 흡수 영역 (AT) 이외의 영역이 후술하는 비슬릿 영역 (NT) 이 된다.
흡수성 유닛 (4) 의 종방향 (Y 방향) 을 시트상물 (1) 의 종방향 (Y 방향) 을 향하도록 배치하는 경우, 흡수성 유닛 (4) 은, 시트상물 1 장당, 3 개 이상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50 개 이상 배치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그리고 1000 개 이하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500 개 이하 배치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3 개 이상 1000 개 이하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50 개 이상 500 개 이하 배치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흡수성 유닛 (4) 의 종방향 (Y 방향) 을 시트상물 (1) 의 횡방향 (X 방향) 을 향하도록 배치하는 경우, 흡수성 유닛 (4) 은, 시트상물 1 장당, 3 개 이상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50 개 이상 배치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그리고 3500 개 이하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2000 개 이하 배치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3 개 이상 3500 개 이하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50 개 이상 2000 개 이하 배치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흡수성 유닛 (4) 의 세는 방법은, 횡방향 (X) 에 어느 직선을 그었을 때, 그 직선과 교차하는 흡수성 유닛의 수가 최대가 될 때의 개수로 정의한다.
사용 전의 상태의 시트상물 (1) 은, 제조시의 반송의 용이함의 관점에서, 흡수성 유닛 (4) 의 종방향 (Y 방향) 을 시트상물 (1) 의 종방향 (Y 방향) 을 향하도록 복수개 배치하고 있는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고, 복수개의 흡수성 유닛 (4) 이 서로 교차하지 않게, 각 흡수성 유닛 (4) 이 종방향 (Y 방향) 에 평행하게 시트상물 (1) 의 종방향 (Y 방향) 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1 에 나타내는 시트상물 (1) 에 있어서는, 균일한 폭의 장척상 기체부 (2) 를 갖는 흡수성 유닛 (4) 을 복수개 사용하여, 흡수성 유닛 (4) 의 종방향 (Y 방향) 을 시트상물 (1) 의 종방향 (Y 방향) 을 향하도록 시트상물 (1) 의 종방향 (Y 방향) 에 평행하게 배치하여 형성되어 있다.
시트상물 (1) 은, 종방향 (Y 방향) 의 양단부, 또는 종방향 (Y 방향) 을 따른 양측부에, 복수의 장척상 기체부 (2) 가 횡방향 (X 방향) 으로 연결된 비슬릿 영역 (NT) 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실시형태의 시트상물 (1) 에 있어서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방향 (Y 방향) 의 양단부에 비슬릿 영역 (NT) 을 구비하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시트상물 (1) 에 있어서는, 1 장의 기재 시트를 구비하고 있고, 그 기재 시트의 종방향 (Y 방향) 의 양단부에 비슬릿 영역 (NT) 이 형성되고, 그 비슬릿 영역 (NT) 사이에 후술하는 커트 공정에 의해 형성된 장척상 기체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비슬릿 영역 (NT) 을 형성하면, 사용 전의 상태에 있어서, 시트상물 (1) 의 시트 형상이 유지되기 쉽고, 구조가 잘 흐트러지지 않게 됨과 함께, 제조시에 반송하기 쉽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비슬릿 영역 (NT) 에는,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가 배치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비슬릿 영역 (NT) 에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를 배치하지 않으면, 액을 흡수했다고 해도, 비슬릿 영역 (NT) 에서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가 잘 팽윤되지 않고, 팽윤 후의 상태에 있어서도, 시트상물 (1) 의 시트 형상이 유지되기 쉽고, 구조가 잘 흐트러지지 않게 됨과 함께,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가 배치된 영역에서는 액을 흡수하기 쉽고, 시트상물 (1) 전체에서 밸런스를 취하기 쉽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 도 3 에 나타내는 시트상물 (1) 과 같이 종방향 (Y 방향) 의 양단부에 비슬릿 영역 (NT) 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 흡수성 물품에 사용할 때에는, 시트상물 (1) 의 시트 형상이 유지되기 쉽고, 구조가 잘 흐트러지지 않게 됨과 함께, 흡수 영역 (AT) 의 유연함이 향상되어 착용자에게 위화감을 잘 주지 않는 관점에서, 그 종방향 (Y 방향) 의 양단부가 흡수성 물품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에 나타내는 시트상물 (1) 에 있어서, 시트상물 (1) 의 폭 (W1) 에 대한 장척상 기체부 (2) 의 폭 (W2) (횡방향 (X 방향) 의 길이) 의 비율 (W2/W1) 은, 흡수성 폴리머의 담지량, 팽윤 저해, 유연성, 통기성, 시트 형상의 유지 등의 관점에서, 0.00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2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그리고 0.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04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0.001 이상 0.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002 이상 0.04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장척상 기체부 (2) 의 폭 (W2) 은, 동일한 관점에서, 0.3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6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그리고 1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8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0.3 ㎜ 이상 1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6 ㎜ 이상 2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6 ㎜ 이상 1.8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흡수성 유닛 (4) 을 구성하는 장척상 기체부 (2) (기재 시트) 는, 흡수 영역 (AT) 에서 액이 확산되기 쉽고, 흡수성 폴리머 (3) 의 이용 효율 향상의 관점에서, 친수성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친수성 시트로는, 종이, 부직포, 천, 합성 수지를 발포하여 형성된 합성 스펀지 등을 들 수 있고, 그들 중에서도, 얇아도 인장 강도가 비교적 높고, 얇고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는 관점에서, 부직포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부직포로는, 친수성의 섬유를 구성 섬유로서 함유하는 친수성 부직포, 합성 섬유에 친수성을 부여한 섬유를 구성 섬유로서 함유하는 친수성 부직포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그 부직포의 평량은, 5 g/㎡ 이상 100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g/㎡ 이상 40 g/㎡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장척상 기체부 (2) 의 일방의 면의 표면에 고정되는 흡수성 폴리머 (3) 로는, 당해 흡수성 물품의 기술 분야에 있어서 종래 사용되고 있는 각종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폴리아크릴산 소다, (아크릴산-비닐알코올) 공중합체, 폴리아크릴산 소다 가교체, (전분-아크릴산) 그래프트 중합체, (이소부틸렌-무수 말레산) 공중합체 및 그 비누화물, 폴리아크릴산칼륨, 그리고 폴리아크릴산세슘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로는, 그 형상의 차이에서, 부정형 타입, 괴상 타입, 섬상 (俵狀) 타입, 구립 응집 타입, 구상 타입 등이 있지만, 어느 타입도 사용할 수 있고, 시트상물 (1) 에 있어서는, 구상 타입이 사용되고 있다.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를 장척상 기체부 (2) 에 고정시키는 방법으로는, 접착제를 사용하는 방법, 수소 결합 등을 이용하여 화학적으로 고정시키는 방법, 또는 장척상 기체부 (2) 가 부직포 혹은 천인 경우에는, 그 구성 섬유를 기모 (起毛) 시키고, 기모한 구성 섬유 사이에서 고정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고,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시트상물 (1) 에 있어서는, 접착제 (5) 가 사용되고 있다. 즉, 시트상물 (1) 의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는, 접착제 (5) 를 통해서 장척상 기체부 (2) 의 표면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접착제 (5) 를 통해서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가 장척상 기체부 (2) 의 표면에 고정되어 있으면, 시트상물 (1) 의 사용 전의 상태 또는 팽윤 후의 상태에 있어서,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가 잘 탈락되지 않게 된다.
접착제 (5) 로는, 예를 들어, 핫멜트형 접착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핫멜트형 접착제로는, 스티렌계, 올레핀계 등을 들 수 있다. 스티렌계 핫멜트 접착제로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SBS),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공중합체 (SIS), SBS 의 수소 첨가물인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SEBS), 및 이들 2 종 이상을 블렌드한 블렌드계 핫멜트형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택력과 응집력의 밸런스를 취하기 쉬운 관점에서, 특히 SIS 와 SBS 의 블렌드계 핫멜트형 접착제, 또는 SIS 와 SEBS 의 블렌드계 핫멜트형 접착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핫멜트형 접착제의 도포량은, 0.5 g/㎡ 이상 100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 g/㎡ 이상 50 g/㎡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1 에 나타내는 시트상물 (1) 은, 사용 전의 상태에 있어서, 즉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가 액을 흡수하기 전에, 횡방향 (X 방향) 에 이웃하는 흡수성 유닛 (4) 의 장척상 기체부 (2, 2) 끼리는, 사용 전의 시트상물 (1) 의 시트 형상이 유지되기 쉽고, 구조가 잘 흐트러지지 않게 되고,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를 적절한 위치에 배치할 수 있는 관점에서, 적어도 일부 인접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횡방향 (X 방향) 에 이웃하는 장척상 기체부 (2, 2) 끼리는 전체에 걸쳐 인접하고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도 1 에 나타내는 시트상물 (1) 에 있어서는, 횡방향 (X 방향) 에 이웃하는 장척상 기체부 (2, 2) 끼리는 전체에 걸쳐 인접하고 있다. 여기서, 「인접하고 있는」 이란, 이웃하는 장척상 기체부 (2, 2) 끼리가 이웃하여 접하여 계속되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시트상물 (1) 은,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팽윤 후의 상태에 있어서,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가, 장척상 기체부 (2) 의 종방향 (Y 방향) 을 따른 측 가장자리부 (2s) 를 넘어 팽윤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가 장척상 기체부 (2) 의 측 가장자리부 (2s) 를 넘어 팽윤되는이란, 바꿔 말하면, 시트상물 (1) 의 팽윤 후의 상태에 있어서, 예를 들어 도 2 에 나타내는 팽윤된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a) 와 같이, 팽윤된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가 장척상 기체부 (2) 의 측 가장자리부 (2s) 에 걸쳐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시트상물 (1) 의 팽윤 후의 상태에 있어서, 팽윤된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가 장척상 기체부 (2) 의 측 가장자리부 (2s) 에 걸쳐 존재하게 된다면, 시트상물 (1) 의 사용 전의 상태에 있어서는,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가 장척상 기체부 (2) 의 측 가장자리부 (2s) 보다 내측에 존재하고 있어도 되고, 혹은 예를 들어 도 1 에 나타내는 사용 전 (팽윤 전) 의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b) 와 같이,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가 당초부터 장척상 기체부 (2) 의 측 가장자리부 (2s) 에 걸쳐 존재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시트상물 (1) 은,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팽윤 후의 상태에 있어서, 장척상 기체부 (2) 의 위치가, 두께 방향 (Z 방향) 에 있어서, 액을 흡수하기 전의 위치와 상이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시트상물 (1) 의 팽윤 후의 상태에 있어서, 장척상 기체부 (2) 의 위치가, 두께 방향 (Z 방향) 에 있어서, 액을 흡수하기 전의 위치와 상이하다란, 도 2 에서 나타내는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의 팽윤 후의 상태에 있어서의 장척상 기체부 (2) 의 위치와, 도 1 에서 나타내는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의 사용 전 (팽윤 전) 의 상태에 있어서의 장척상 기체부 (2) 의 위치가 상하의 방향에서 상이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고, 구체적으로는 상하로 어긋나는 경우나, 비스듬하게 어긋나는 경우, 또 그 양방이 일어나 있는 경우 등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시트상물 (1) 은,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팽윤 후의 상태에 있어서,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가 장척상 기체부 (2) 의 측 가장자리부 (2s) 를 넘어 팽윤되고 (도 2 에 나타내는 흡수성 폴리머 (3a) 참조), 또한 장척상 기체부 (2) 의 위치가, 두께 방향 (Z 방향) 에 있어서, 액을 흡수하기 전의 위치와 상이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 때문에, 시트상물 (1) 을 흡수성 물품에 사용하면,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체액을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가 흡수하여 팽윤되어 있을 때, 이웃하는 흡수성 유닛 (4, 4) 끼리에 있어서, 장척상 기체부 (2) 의 측 가장자리부 (2s) 를 넘어 팽윤된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3) 끼리가 접촉했다고 해도, 이웃하는 흡수성 유닛 (4, 4) 끼리가 두께 방향 (Z 방향) 으로 자유롭게 움직이기 쉽고, 팽윤된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3) 끼리의 충돌이 완화되고, 팽윤된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에 가해지는 압력을 저감시킬 수 있고,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의 체액의 흡수를 잘 저해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의 시트상물 (1) 은, 체액을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가 흡수하여 팽윤되어 있을 때,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가 팽윤 저해를 잘 일으키지 않고,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의 흡수 성능을 최대한으로 발휘할 수 있으므로, 흡수 성능이 향상되기 쉽다. 특히, 본 실시형태의 시트상물 (1) 은, 이웃하는 흡수성 유닛 (4, 4) 간에 있어서는 개재물이 비존재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흡수성 유닛 (4) 이 이동하기 쉬워, 상기 효과를 더욱 발휘하기 쉽게 되어 있다.
또, 시트상물 (1) 은,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팽윤 후의 상태에 있어서, 이웃하는 흡수성 유닛 (4) 을 구성하는 장척상 기체부 (2) 의 위치가, 두께 방향 (Z 방향) 에 있어서, 상하로 어긋나는, 비스듬하게 되는 등, 상이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 때문에, 이웃하는 흡수성 유닛 (4, 4) 끼리가 두께 방향 (Z 방향) 으로 자유롭게 움직이기 쉽고, 팽윤된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3) 끼리의 충돌이 완화되기 쉽고, 팽윤된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에 가해지는 압력을 저감시킬 수 있고,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의 체액의 흡수를 잘 저해시키지 않는다.
시트상물 (1) 에 있어서, 팽윤 후의 상태의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를 장척상 기체부 (2) 의 측 가장자리부 (2s) 를 넘어 팽윤시키고, 이웃하는 흡수성 유닛 (4, 4) 끼리를 두께 방향 (Z 방향) 으로 자유롭게 움직여,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의 팽윤 저해를 더욱 일으키기 어렵게 하는 관점에서,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사용 전의 상태에 있어서,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가, 장척상 기체부 (2) 의 종방향 (Y 방향) 을 따른 측 가장자리부 (2s) 근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가, 장척상 기체부 (2) 의 측 가장자리부 (2s) 를 넘어 비어져 나와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1 에 나타내는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b) 참조).
또한, 시트상물 (1) 에 있어서, 팽윤 후의 상태의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를 장척상 기체부 (2) 의 측 가장자리부 (2s) 를 넘어 팽윤시키고, 이웃하는 흡수성 유닛 (4, 4) 끼리를 두께 방향 (Z 방향) 으로 자유롭게 움직여,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의 팽윤 저해를 더욱 일으키기 어렵게 하는 관점에서, 장척상 기체부 (2) 의 종방향 (Y 방향) 을 따른 양측 가장자리부 (2s, 2s) 간의 거리가, 사용 전 (팽윤 전) 의 상태의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의 평균 입자경보다 크고, 팽윤 후의 상태의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의 평균 입자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장척상 기체부 (2) 의 양측 가장자리부 (2s, 2s) 간의 거리란, 상기 서술한 장척상 기체부 (2) 의 폭 (W2) 과 동일한 의미이다. 사용 전 (팽윤 전) 의 상태의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의 평균 입자경은, 2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00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그리고 7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0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20 ㎛ 이상 7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0 ㎛ 이상 500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팽윤 후의 상태의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의 평균 입자경은, 20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800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그리고 30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00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200 ㎛ 이상 30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00 ㎛ 이상 2000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의 평균 입자경은, 이하의 측정 방법에 의해 구해진다.
<사용 전의 상태의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의 평균 입자경의 측정 방법>
사용 전의 상태에 있어서의 평균 입자경은, 사용 전의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를 사용하여,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의 직경 혹은 장축을 광학 현미경 관찰로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직경이란,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가 구상인 경우를 가리킨다. 또, 장축이란,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가 마름모꼴, 장방형, 방상 (房狀), 풋볼형 등의 이형상인 경우를 가리킨다. 합계 50 개의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의 직경 혹은 장축을 측정하고, 그 수평균 입자경을 사용 전의 상태의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의 평균 입자경으로 한다.
<팽윤 후의 상태의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의 평균 입자경의 측정 방법>
팽윤 후의 상태에 있어서의 평균 입자경은, 시트상물 (1) 을 25 ℃ 로 조온한 생리 식염수 (0.9 질량% 염화나트륨 수용액) 중에 침지시키고, 침지 개시로부터 1 시간 후에 시트상물 (1) 을 생리 식염수로부터 취출하고, 30 분간 수직 상태로 매달아 물기를 제거한 후, 장척상 기체부 (2) 표면의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의 직경 혹은 장축을 광학 현미경 관찰로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직경이란,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가 구상인 경우를 가리킨다. 또, 장축이란,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가 마름모꼴, 장방형, 방상, 풋볼형 등의 이형상인 경우를 가리킨다. 합계 50 개의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의 직경 혹은 장축을 측정하고, 그 수평균 입자경을 팽윤 후의 상태의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의 평균 입자경으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시트상물의 제조 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양태를, 상기 구성의 시트상물 (1) 을 제조하는 경우를 예로 하여, 도 4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 에는, 본 실시양태의 제조 방법에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제조 장치 (100) 가 나타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제조 장치 (100) 는, 제조 공정의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하여, 기재 시트 커트부 (110), 접착제 도포부 (120) 및 흡수성 폴리머 산포부 (130) 를 이 순서로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4 에 나타내는 제조 장치 (100) 에 있어서는, 접착제 도포부 (120) 및 흡수성 폴리머 산포부 (130) 가 일체화된 장치를 사용하고 있지만, 접착제 도포부 (120) 및 흡수성 폴리머 산포부 (130) 가 일체화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상기 일체화된 장치는, 그 장치에 있어서의 상류측에 접착제 도포부 (120) 가 배치되고, 그 일체화된 장치에 있어서의 하류측에 흡수성 폴리머 산포부 (130) 가 배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기재 시트 커트부 (110) 는, 띠상의 기재 시트 (20) 를 커트하여 복수개의 장척상 기체부 (2) 를 형성하는 부분이다. 기재 시트 (20) 의 커트에는, 각종 공지된 커트 장치를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지만, 제조 장치 (100) 에 있어서는,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둘레면에 복수의 커터날 (111a, 111a, 111a …) 이 배치된 로터리 다이 (111b) 와, 로터리 다이 (111b) 에 대향 배치된, 둘레면이 평탄한 받침 롤 (112) 을 구비한 커트 장치 (113) 를 사용하고 있다. 커트 장치 (113) 의 각 커터날 (111a) 은, 로터리 다이 (111b) 의 회전 방향에 배치되어 있고, 복수의 커터날 (111a, 111a, 111a …) 은, 각각, 띠상의 기재 시트 (20) 의 반송 방향 (Y1 방향) 에 직교하는 방향 (X1 방향) 에 나열되어 배치되어 있다. 직교하는 방향 (X1 방향) 에 이웃하는 커터날 (111a, 111a) 끼리의 간격은, 형성되는 각 장척상 기체부 (2) 의 폭 (횡방향 (X 방향) 의 길이) 에 대응하고 있다. 여기서, 기재 시트 (20) 의 반송 방향 (Y1 방향) 은, 제조되는 시트상물 (1) 의 종방향 (Y 방향) 에 대응하고 있고, 직교하는 방향 (X1 방향) 은, 제조되는 시트상물 (1) 의 횡방향 (X 방향) 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기재 시트 (20) 의 커트에는, 상측날과 하측날의 측면을 서로 문질러 절단하는 셰어 커트 방식의 커트 장치를 사용해도 되고, 복수의 스코어 커트 나이프를 직교하는 방향 (X1 방향) 에 병치한 장치이어도 되고,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용단하는 레이저 장치를 사용해도 된다.
도 3 에 나타내는 시트상물 (1) 과 같이, 시트상물 (1) 이, 종방향 (Y 방향) 의 양단부에 비슬릿 영역 (NT) 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커터날 (111a) 의 둘레면에 오목부 (114) 를 형성하도록 하면 된다. 회전하는 커터날 (111a) 의 외주에 있어서의 오목부 (114) 부분의 원호의 길이는, 도 3 에 나타내는 시트상물 (1) 의 양단부에 배치되는 비슬릿 영역 (NT) 의 종방향 (Y 방향) 의 길이의 합계와 동일한 길이에 대응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오목부 (114) 를 구비하는 복수의 커터날 (111a, 111a, 111a …) 을 준비하고, X1 방향에 이웃하는 커터날 (111a) 의 오목부 (114, 114) 끼리의 위치를 맞춰 배치한 로터리 다이 (111b) 를 사용하면 된다. 또한, 회전하는 커터날 (111a) 의 외주에 있어서의 오목부 (114) 를 제외한 부분의 원호의 길이가, 도 3 에 나타내는 시트상물 (1) 이 갖는 장척상 기체부 (2) 의 종방향 (Y 방향) 의 길이에 대응하고 있다. 또, 시트상물 (1) 이, 종방향 (Y 방향) 을 따른 양측부에 비슬릿 영역 (NT) 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그 비슬릿 영역 (NT) 에 대응하는 위치에 커터날 (111a) 을 배치하지 않게 하면 된다.
기재 시트 커트부 (110) 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접착제 도포부 (120) 는, 장척상 기체부 (2) 의 일방의 면 (상면) 의 표면에 접착제 (5) 를 도포하는 부분이고, 제조 장치 (100) 에 있어서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포 헤드 (121) 를 구비하고 있다. 도포 헤드 (121) 에는, 각종 공지된 도포 장치를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도포 헤드 (121) 는, X1 방향에 있어서는, 시트상물 (1) 의 흡수 영역 (AT) 의 폭 (횡방향 (X 방향) 의 길이) 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도포 헤드 (121) 가, 장척상 기체부 (2) 의 일방의 면 (상면) 상에 배치되어 있다.
접착제 도포부 (120) 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흡수성 폴리머 산포부 (130) 는, 장척상 기체부 (2) 의 일방의 면 (상면) 의 표면에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를 산포하여 흡수성 유닛 (4) 을 형성하는 부분이고, 제조 장치 (100) 에 있어서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폴리머 도입부 (131) 를 구비하고 있다. 흡수성 폴리머 도입부 (131) 에는, 각종 공지된 도입 장치를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흡수성 폴리머 도입부 (131) 는, X1 방향에 있어서는, 시트상물 (1) 의 흡수 영역 (AT) 의 폭 (횡방향 (X 방향) 의 길이) 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흡수성 폴리머 도입부 (131) 가, 장척상 기체부 (2) 의 일방의 면 (상면) 상에 배치되어 있다.
또, 도 4 에 나타내는 제조 장치 (100) 에 있어서는, 접착제 도포부 (120) 및 흡수성 폴리머 산포부 (130) 가 일체화된 장치에 대향하는 위치로서, 반송되는 복수개의 장척상 기체부 (2) 의 하면측에 버큠 컨베이어 (141) 가 배치되어 있다. 버큠 컨베이어 (141) 는, 구동 롤 (142) 및 복수의 종동롤 (143) 에 걸쳐진 무단상 (無端狀) 의 통기성 벨트 (144) 와, 통기성 벨트 (144) 를 사이에 두고 상기 일체화된 장치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버큠 박스 (145) 를 구비하고 있다. 버큠 컨베이어 (141) 상에는, 기재 시트 커트부 (110) 에서 기재 시트 (20) 를 커트하여 형성되는 복수개의 장척상 기체부 (2) 가 도입되게 되어 있다.
또, 도 4 에 나타내는 제조 장치 (100) 에 있어서는, 띠상의 기재 시트 (20) 의 원단 (原反) 롤로부터 기재 시트 (20) 를 조출하는 구동 롤 (151) 과, 가장 하류측에, 제조된 시트상물 (1) 의 전구체 (1b) 를 반송하는 구동 롤 (152) 을 구비하고 있다.
다음으로, 전술한 본 실시형태의 제조 장치 (100) 를 사용하여 시트상물 (1) 을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방법, 즉, 본 발명의 시트상물의 제조 방법의 일 실시양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양태의 시트상물 (1) 의 제조 방법은, 띠상의 기재 시트 (20) 를 커트하여 복수개의 장척상 기체부 (2) 를 형성하는 커트 공정과, 형성된 복수개의 상기 장척상 기체부의 일방의 면의 표면에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를 산포하는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산포 공정을 구비하고 있다. 또,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산포 공정보다 전공정에, 접착제 (5) 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 공정을 구비하고 있다. 즉, 본 실시양태의 시트상물 (1) 의 제조 방법은, 커트 공정의 후공정에 접착제 도포 공정을 구비하고, 접착제 도포 공정의 후공정에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산포 공정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커트 공정의 실시에 앞서, 먼저, 버큠 박스 (145) 내를, 그것에 접속된 배기 장치를 작동시켜 부압으로 한다.
이어서, 구동 롤 (151) 및 구동 롤 (152) 을 구동시키고, 커트 장치 (113) 및 통기성 벨트 (144) 를 회전시켜, 버큠 컨베이어 (141) 를 작동시킨다. 그리고, 구동 롤 (151) 에 의해 띠상의 기재 시트 (20) 의 원단 롤로부터 기재 시트 (20) 를 조출하고, 기재 시트 커트부 (110) 의 커트 장치 (113) 에 있어서의 복수의 커터날 (111a) 과 받침 롤 (112) 사이에 공급하여, 띠상의 기재 시트 (20) 를 커트하여 복수개의 장척상 기체부 (2) 를 형성한다 (커트 공정).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로터리 다이 (111b) 의 회전 방향에 배치된 복수의 커터날 (111a) 이, 각각, 띠상의 기재 시트 (20) 의 반송 방향 (Y1 방향) 에 직교하는 방향 (X1 방향) 에 나열되어 배치되어 있으므로, 띠상의 기재 시트 (20) 를, 기재 시트 (20) 의 반송 방향 (Y1 방향) 을 따라 커트하고, 또한 직교하는 방향 (X1 방향) 으로 복수 지점 커트하여 복수개의 장척상 기체부 (2) 를 형성한다. 또, 커터날 (111a) 로 커트된 부분이 장척상 기체부 (2) 의 측 가장자리부 (2s) 가 된다.
또,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복수의 커터날 (111a) 이, 각각, 오목부 (114) 를 가지고 있으므로, 반송되는 띠상의 기재 시트 (20) 에, 장척상 기체부 (2) 의 종방향 (Y 방향) 의 길이분을 두고, 간헐적으로, 비슬릿 영역 (NT) 의 종방향 (Y 방향) 의 길이의 2 배의 길이분에 대응하는 비커트부 (NTb) 가 형성된다. 커트 공정에서 형성된 복수개의 장척상 기체부 (2) 는, 반송 방향 (Y1 방향) 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고, 직교하는 방향 (X1 방향) 에 병치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어서, 커트 공정에서 형성된 장척상 기체부 (2) 의 일방의 면의 표면에, 접착제 (5) 를 도포한다 (접착제 도포 공정).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커트 공정에서 형성된 복수개의 장척상 기체부 (2) 를 버큠 컨베이어 (141) 로 반송하면서, 버큠 박스 (145) 상에 위치하는 동안에, 접착제 도포부 (120) 의 도포 헤드 (121) 에 의해, 직교하는 방향 (X1 방향) 에 병치하여 형성된 복수개의 장척상 기체부 (2) 의 일방의 면 (상면) 의 표면에, 비커트부 (NTb) 를 제외하고, 간헐적으로 접착제 (5) 를 도포한다.
이어서, 접착제 도포 공정에서 복수개의 장척상 기체부 (2) 의 일방의 면 (상면) 의 표면에 도포된 접착제 (5) 상에,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를 산포한다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산포 공정).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접착제 도포 공정에서 형성된 일방의 면 (상면) 의 표면에 접착제 (5) 가 도포된 장척상 기체부 (2) 를 버큠 컨베이어 (141) 로 반송하면서, 버큠 박스 (145) 상에 위치하는 동안에, 흡수성 폴리머 산포부 (130) 의 흡수성 폴리머 도입부 (131) 에 의해, 직교하는 방향 (X1 방향) 에 병치한 복수개의 장척상 기체부 (2) 의 일방의 면 (상면) 의 표면에 도포된 접착제 (5) 상에, 비커트부 (NTb) 를 제외하고,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를 산포한다. 이와 같이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를 산포함으로써, 접착제 (5) 를 통해서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가 장척상 기체부 (2) 의 일방의 면 (상면) 의 표면에 고정된 흡수성 유닛 (4) 을 복수개 형성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복수개의 흡수성 유닛 (4) 은, 각각의 종방향 (Y 방향) 이, 반송 방향 (Y1 방향) 을 향하도록 배열되어 있고, 시트상물 (1) 의 전구체 (1b) 를 형성하게 된다.
이어서, 시트상물 (1) 의 전구체 (1b) 를 구동 롤 (152) 에 의해 하류측으로 반송하고, 공지된 절단 장치 (도시 생략) 를 사용하여, 비커트부 (NTb) 의 반송 방향 (Y1 방향) 의 길이의 이등분의 위치마다 절단하고, 종방향 (Y 방향) 의 양단부에 비슬릿 영역 (NT) 을 갖는 시트상물 (1) 을 연속해서 제조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제조 장치 (100) 및 그것을 사용한 본 실시양태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시트상물 (1) 을 안정적으로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양태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복수의 커터날 (111a, 111a, 111a …) 을 사용하여, 균일한 폭의 장척상 기체부 (2) 를 형성한 후, 장척상 기체부 (2) 의 일방의 면 (상면) 의 표면에 접착제 (5) 를 도포하고 있으므로, 제조되는 시트상물 (1) 에 있어서는, 횡방향 (X 방향) 에 이웃하는 흡수성 유닛의 장척상 기체부 (2, 2) 끼리가 전체에 걸쳐 인접하고 있는 형태가 되기 쉽다. 이와 같은 시트상물 (1) 을 안정적으로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시트상물의 다른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다른 실시형태에 관해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점에 대해서는, 앞에서 서술한 실시형태에 관한 설명이 적절히 적용된다. 또, 도 6 ∼ 도 7, 도 9 ∼ 도 11 에 나타내는 시트상물 (1) 에 있어서, 도 1 및 도 3 에 나타내는 시트상물 (1) 과 동일한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있다.
도 6 에 나타내는 시트상물 (1) 은, 사용 전의 상태이고, 장척상 기체부 (2) 의 일방의 면 (상면) 의 표면에 접착제 (5) 를 통해서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가 고정되어 있고,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상에 추가로 접착제 (5) 가 배치된 형태이다.
도 6 에 나타내는 시트상물 (1) 은, 예를 들어, 도 4 에 나타내는 제조 장치 (100) 에 있어서, 흡수성 폴리머 산포부 (130) 의 하류측에, 추가로 다른 접착제 도포부 (120) 를 형성하고,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의 산포 후에, 다른 접착제 도포부 (120) 를 사용하여,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상에 접착제 (5) 를 도포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도 6 에 나타내는 시트상물 (1) 에 의하면, 반송 중의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의 비산, 탈락을 억제하여, 안정적인 흡수 성능을 갖는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7 에 나타내는 시트상물 (1) 은, 사용 전의 상태이고, 장척상 기체부 (2) 의 일방의 면 (상면) 의 표면에 접착제 (5) 를 통해서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가 고정되어 있고, 또한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상에 접착제 (5) 가 배치되고, 그 접착제 (5) 상에 추가로 제 2 장척상 기체부 (2) 가 배치된 형태이다. 즉, 도 7 에 나타내는 시트상물 (1) 은, 일방의 면의 표면에 접착제 (5) 를 배치한 장척상 기체부 (2) 에서,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를 사이에 두고,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를 고정시킨 형태이다.
도 7 에 나타내는 시트상물 (1) 은, 예를 들어, 도 4 에 나타내는 제조 장치 (100) 를 사용하여, 띠상의 기재 시트 (20) 를 커트하여 복수개의 장척상 기체부 (2) 를 형성한 후, 형성한 복수개의 장척상 기체부 (2) 전부의 일방의 면 (상면) 의 표면에 접착제 (5) 를 도포한 후, 예를 들어, 직교하는 방향 (X1 방향) 의 이등분의 위치보다 예를 들어 우측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장척상 기체부 (2) 의 일방의 면 (상면) 의 표면에 도포한 접착제 (5) 상에만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를 산포한다. 그 후, 직교하는 방향 (X1 방향) 의 이등분의 위치보다 좌측에 위치하는, 일방의 면 (상면) 의 표면에 접착제 (5) 가 도포된 복수개의 장척상 기체부 (2) 를, 공지된 되꺾임판을 사용하여, 상기 우측에 위치하는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상으로 되접어 꺾음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또, 도 7 에 나타내는 시트상물 (1) 은, 예를 들어, 도 8 에 나타내는 제조 장치 (100B) 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제조 장치 (100B) 는, 도 7 에 나타내는 시트상물 (1) 의 하면측의 복수의 장척상 기체부 (2) 를 형성하는 띠상의 기재 시트 (20) 를 커트하는 제 1 슬릿 장치 (113A) 와, 그 제 1 슬릿 장치 (113A) 에 더하여, 도 7 에 나타내는 시트상물 (1) 의 상면측의 복수의 장척상 기체부 (2) 를 형성하는 다른 띠상의 제 2 기재 시트 (6) 를 커트하는 제 2 슬릿 장치 (113B) 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슬릿 장치 (113A) 및 제 2 슬릿 장치 (113B) 는, 각각, 로터리 다이 (111b) 와 받침 롤 (112) 을 구비하고 있다. 또, 제조 장치 (100B) 는, 흡수성 폴리머 산포부 (130) 의 상류측의 제 1 접착제 도포부 (120A) 뿐만 아니라, 흡수성 폴리머 산포부 (130) 의 하류측에 제 2 접착제 도포부 (120B) 를 구비하고 있다.
도 8 에 나타내는 제조 장치 (100B) 를 사용한 도 7 에 나타내는 시트상물 (1) 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일방의 띠상의 기재 시트 (20) 를 제 1 슬릿 장치 (113A) 에 의해 커트하여 복수개의 장척상 기체부 (2) 를 형성한 후, 형성한 복수개의 장척상 기체부 (2) 전부의 일방의 면 (상면) 의 표면에 제 1 접착제 도포부 (120A) 에 의해 접착제 (5) 를 도포한다. 그 후, 복수개의 장척상 기체부 (2) 의 일방의 면 (상면) 의 표면에 도포한 접착제 (5) 상에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를 산포하고, 산포한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의 일방의 면 (상면) 의 표면에 제 2 접착제 도포부 (120B) 에 의해 접착제 (5) 를 추가로 도포한다. 이것과는 별도로, 타방의 띠상의 제 2 기재 시트 (6) 를 제 2 슬릿 장치 (113B) 에 의해 커트하여 복수개의 제 2 장척상 기체부 (2) 를 형성한다. 그리고, 복수개의 장척상 기체부 (2) 의 일방의 면 (상면) 의 표면에 산포한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에 도포된 접착제 (5) 상에, 제 2 슬릿 장치 (113B) 에 의해 커트하여 형성된 복수개의 제 2 장척상 기체부 (2) 를 배치함으로써 도 7 에 나타내는 시트상물 (1) 을 제조할 수 있다.
도 7 에 나타내는 시트상물 (1) 에 의하면, 반송 중의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의 비산, 탈락을 억제한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9 에 나타내는 시트상물 (1) 은, 사용 전의 상태이고, 장척상 기체부 (2) 의 일방의 면 (상면) 의 표면에 접착제 (5) 를 통해서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가 고정되어 있고, 또한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상에 접착제 (5) 가 배치되고, 그 접착제 (5) 상에 추가로 장척상 기체부 (2) 가 배치된 형태이고, 도 7 에 나타내는 시트상물 (1) 의 형태와 유사하다. 즉, 도 9 에 나타내는 시트상물 (1) 은, 일방의 면의 표면에 접착제 (5) 를 배치한 복수개의 장척상 기체부 (2) 에서,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를 싸서,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를 고정시킨 형태이다.
도 9 에 나타내는 시트상물 (1) 은, 예를 들어, 도 4 에 나타내는 제조 장치 (100) 를 사용하여, 띠상의 기재 시트 (20) 를 커트하여 복수개의 장척상 기체부 (2) 를 형성한 후, 형성한 복수개의 장척상 기체부 (2) 전부의 일방의 면 (상면) 의 표면에 접착제 (5) 를 도포한 후, 예를 들어, 직교하는 방향 (X1 방향) 의 이등분의 위치에서 우측으로 간격을 둔 위치에서 우측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장척상 기체부 (2) 의 일방의 면 (상면) 의 표면에 도포한 접착제 (5) 상에만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를 산포한다. 그 후,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가 산포되지 않고, 또한 일방의 면 (상면) 의 표면에 접착제 (5) 가 도포된 복수개의 장척상 기체부 (2) 를, 공지된 되꺾임판을 사용하여,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가 고정된 복수개의 장척상 기체부 (2) 상으로 되접어 꺾고, 또한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를 싸도록 되접어 꺾음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도 9 에 나타내는 시트상물 (1) 에 의하면, 반송 중의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의 비산, 탈락을 억제한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0 에 나타내는 시트상물 (1) 은, 사용 전의 상태이고, 장척상 기체부 (2) 의 일방의 면 (상면) 의 표면에 접착제 (5) 를 통해서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가 고정되어 있고,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상에 추가로 장척상 기체부 (2) 가 배치된 형태이다.
도 10 에 나타내는 시트상물 (1) 은, 예를 들어, 도 4 에 나타내는 제조 장치 (100) 를 사용하여, 띠상의 기재 시트 (20) 를 커트하여 복수개의 장척상 기체부 (2) 를 형성한 후, 예를 들어, 직교하는 방향 (X1 방향) 의 이등분의 위치보다 예를 들어 우측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장척상 기체부 (2) 의 일방의 면 (상면) 의 표면에만 접착제 (5) 를 도포하고, 도포한 접착제 (5) 상에만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를 산포한다. 그 후, 직교하는 방향 (X1 방향) 의 이등분의 위치보다 좌측에 위치하는, 일방의 면 (상면) 의 표면에 접착제 (5) 가 도포되어 있지 않은 복수개의 장척상 기체부 (2) 를, 공지된 되꺾임판을 사용하여, 상기 우측에 위치하는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상으로 되접어 꺾음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도 10 에 나타내는 시트상물 (1) 에 의하면, 반송 중의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의 비산, 탈락을 억제한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도 11 에 나타내는 시트상물 (1) 은, 사용 전의 상태이고, 장척상 기체부 (2) 의 일방의 면 (상면) 의 표면에 접착제 (5) 를 통해서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가 고정되어 있고, 또한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상에 접착제 (5) 가 배치되고, 그 접착제 (5) 상에 추가로, 장척상 기체부 (2) 보다 폭넓게 장척상 기체부 (2) 가 형성된 기재 시트 (제 1 기재 시트) 와는 다른 제 2 기재 시트 (6) 가 배치된 형태이다. 즉, 도 11 에 나타내는 시트상물 (1) 은, 일방의 면의 표면에 접착제 (5) 를 배치한 장척상 기체부 (2) 와 일방의 면의 표면에 접착제 (5) 를 배치한 제 2 기재 시트 (6) 에서,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를 사이에 두고,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를 고정시킨 형태이다.
도 11 에 나타내는 시트상물 (1) 은, 예를 들어, 도 12 에 나타내는 제조 장치 (100C) 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제조 장치 (100C) 는, 흡수성 폴리머 산포부 (130) 의 상류측의 제 1 접착제 도포부 (120A) 뿐만 아니라, 흡수성 폴리머 산포부 (130) 의 하류측에 제 2 접착제 도포부 (120B) 를 구비하고 있다. 또, 도 11 에 나타내는 시트상물 (1) 의 상면측의 제 2 기재 시트 (6) 를 반송하는 반송 장치 (140) 를 구비하고 있다.
도 12 에 나타내는 제조 장치 (100C) 를 사용한 도 11 에 나타내는 시트상물 (1) 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일방의 띠상의 제 1 기재 시트 (20) 를 제 1 슬릿 장치 (113A) 에 의해 커트하여 복수개의 장척상 기체부 (2) 를 형성한 후, 형성한 복수개의 장척상 기체부 (2) 전부의 일방의 면 (상면) 의 표면에 제 1 접착제 도포부 (120A) 에 의해 접착제 (5) 를 도포한다. 그 후, 복수개의 장척상 기체부 (2) 의 일방의 면 (상면) 의 표면에 도포한 접착제 (5) 상에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를 산포하고, 산포한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의 일방의 면 (상면) 의 표면에 제 2 접착제 도포부 (120B) 에 의해 접착제 (5) 를 추가로 도포한다. 그리고, 복수개의 장척상 기체부 (2) 의 일방의 면 (상면) 의 표면에 산포한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에 도포된 접착제 (5) 상에, 반송 장치 (140) 에 의해 반송된 띠상의 제 2 기재 시트 (6) 를 배치함으로써 도 11 에 나타내는 시트상물 (1) 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1 에 나타내는 시트상물 (1) 에 의하면, 반송 중의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의 비산, 탈락을 억제한다는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 및 상기 실시양태에 제한되지 않고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상기 서술한 도 1, 도 6 ∼ 도 7, 도 9 ∼ 도 11 에 나타내는 시트상물 (1) 에 있어서는,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가, 각 장척상 기체부 (2) 의 일방의 면 (상면) 의 표면에만 고정되어 있지만, 시트상물 (1) 의 액의 흡수 성능 향상의 관점에서, 각 장척상 기체부 (2) 의 일방의 면 (상면) 의 표면뿐만 아니라, 타방의 면 (하면) 의 표면에도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각 장척상 기체부 (2) 의 양면 (상하면) 에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를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예를 들어, 도 4 에 나타내는 제조 장치 (100) 를 사용하여, 각 장척상 기체부 (2) 의 일방의 면 (상면) 의 표면에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를 고정시킨 후, 반전 롤을 개재하여 반전시키고, 그 후 다른 흡수성 폴리머 산포부 (130) 를 사용하여, 각 장척상 기체부 (2) 의 타방의 면 (하면) 의 표면에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를 산포하고 고정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각 장척상 기체부 (2) 의 양면 (상하면) 에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를 고정시킬 때에는, 상기 효과를 더욱 발휘하는 관점에서, 장척상 기체부 (2) 의 타방의 면 (하면) 의 표면에 고정된 흡수성 폴리머 (3) 의 평량쪽이, 그 장척상 기체부 (2) 의 일방의 면 (상면) 의 표면에 고정된 흡수성 폴리머 (3) 의 평량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장척상 기체부 (2) 의 일방의 면 (상면) 의 표면에 고정시키는 흡수성 폴리머 (3) 의 평량은, 10 g/㎡ 이상 250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g/㎡ 이상 150 g/㎡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장척상 기체부 (2) 의 타방의 면 (하면) 의 표면에 고정시키는 흡수성 폴리머 (3) 의 평량은, 30 g/㎡ 이상 400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g/㎡ 이상 300 g/㎡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각 장척상 기체부 (2) 의 양면 (상하면) 에 흡수성 폴리머 (3) 를 고정시킬 때에는, 착용자의 피부에서 먼 비피부 대향면 (하면) 에서 액을 대량으로 유지시키고, 피부 대향면 (상면) 상에 액을 남기지 않고 촉감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장척상 기체부 (2) 의 일방의 면 (상면) 의 표면에 고정된 흡수성 폴리머 (3) 는, 그 장척상 기체부 (2) 의 타방의 면 (하면) 의 표면에 고정된 흡수성 폴리머 (3) 에 비해, 가압하 통액 성능이 높고, 원심 유지량이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점에서, 장척상 기체부 (2) 의 일방의 면 (상면) 의 표면에 고정된 흡수성 폴리머 (3) 에 관해, 2.0 ㎪ 에서의 가압하 통액 속도는, 20 ㎖/min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0 ㎖/min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그리고 1000 ㎖/min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00 ㎖/min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20 ㎖/min 이상 1000 ㎖/min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0 ㎖/min 이상 800 ㎖/min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장척상 기체부 (2) 의 타방의 면 (하면) 의 표면에 고정된 흡수성 폴리머 (3) 에 관해, 2.0 ㎪ 에서의 가압하 통액 속도는, 0 ㎖/min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min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그리고 400 ㎖/min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0 ㎖/min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0 ㎖/min 이상 400 ㎖/min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min 이상 200 ㎖/min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가압하 통액 속도는, 이하의 측정 방법에 의해 구해진다.
<가압하 통액 속도의 측정 방법>
가압하 통액 속도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235889호에 기재되어 있는 측정 방법 및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측정된다. 즉, 100 ㎖ 의 유리 비커에, 측정 시료인 흡수성 폴리머 0.32 ± 0.005 g 을 팽윤시키기에 충분한 양의 생리 식염수 (0.9 질량% 염화나트륨 수용액), 예를 들어 흡수성 폴리머의 포화 흡수량의 5 배 이상의 생리 식염수에 담그고 30 분간 방치한다. 별도로, 수직으로 세운 원통 (내경 25.4 ㎜) 의 개구부의 하단에, 철망 (눈금 간격 150 ㎛, 주식회사 산쇼 판매의 바이오 칼럼 소결 스테인리스 필터 30SUS) 과, 콕 (내경 2 ㎜) 이 부착된 세관 (내경 4 ㎜, 길이 8 ㎝) 이 구비된 여과 원통관을 준비하고, 콕을 폐쇄한 상태에서 그 원통관 내에, 팽윤된 측정 시료를 함유하는 상기 비커의 내용물 모두를 투입한다. 이어서, 눈금 간격이 150 ㎛ 이고 직경이 25 ㎜ 인 철망을 선단에 구비한 직경 2 ㎜ 의 원주봉을 여과 원통관 내에 삽입하고, 그 철망과 측정 시료가 접하도록 하고, 또한 측정 시료에 2.0 ㎪ 의 하중이 가해지도록 추를 올린다. 이 상태에서 1 분간 방치한 후, 콕을 개방하여 액을 흘리고, 여과 원통관 내의 액면이 60 ㎖ 의 눈금선으로부터 40 ㎖ 의 눈금선에 이를 (요컨대 20 ㎖ 의 액이 통과할) 때까지의 시간 (T1) (초) 을 계측한다. 계측된 시간 (T1) (초) 을 사용하여, 다음 식으로부터 2.0 ㎪ 에서의 가압하 통액 속도를 산출한다. 또한, 식 중, T0 (초) 은, 여과 원통관 내에 측정 시료를 넣지 않고, 생리 식염수 20 ㎖ 가 철망을 통과하는 데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계측한 값이다.
가압하 통액 속도 (㎖/min) = 20 × 60/(T1 - T0)
측정은 5 회 실시하고 (n = 5), 상하 각 1 점의 값을 삭제하고, 남는 3 점의 평균값을 측정값으로 한다. 또, 측정은 23 ± 2 ℃, 습도 50 ± 5 % 로 실시하고, 측정 전에 시료를 동 환경에서 24 시간 이상 보존한 후에 측정한다. 가압하 통액 속도의 더욱 상세한 측정 방법은,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235889호의 단락 [0008] 및 단락 [0009] 에 기재되어 있고, 또 측정 장치는, 동 공보의 도 1 및 도 2 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관점에서, 장척상 기체부 (2) 의 일방의 면 (상면) 의 표면에 고정된 흡수성 폴리머 (3) 에 관해, 그 원심 유지량 (흡수량) 은, 20 g/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5 g/g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그리고 50 g/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5 g/g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20 g/g 이상 50 g/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5 g/g 이상 45 g/g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장척상 기체부 (2) 의 타방의 면 (하면) 의 표면에 고정된 흡수성 폴리머 (3) 에 관해, 그 원심 유지량 (흡수량) 은, 25 g/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g/g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그리고 65 g/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5 g/g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25 g/g 이상 65 g/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g/g 이상 55 g/g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원심 유지량 (흡수량) 은, 이하의 측정 방법에 의해 구해진다.
<원심 유지량 (흡수량) 의 측정 방법>
원심 유지량 (흡수량) 의 측정은, JIS K 7223 (1996) 에 준거하여 실시한다. 나일론제의 직포 (산리키 제작소 판매, 품명 : 나일론망, 규격 : 250 메시) 를 폭 10 ㎝, 길이 40 ㎝ 의 장방형으로 절단하여 길이 방향 중앙에서 둘로 접고, 양단을 히트 시일하여 폭 10 ㎝ (내치수 9 ㎝), 길이 20 ㎝ 의 나일론백을 제조한다. 이어서, 측정 시료인 흡수성 폴리머 1.00 g 을 정밀 칭량하고, 제조한 나일론백의 저부에 균일해지도록 넣는다. 이어서, 시료가 들어간 나일론백을, 25 ℃ 로 조온한 생리 식염수 (0.9 질량% 염화나트륨 수용액) 에 침지시킨다. 그리고 침지 개시로부터 1 시간 후에 나일론백을 생리 식염수로부터 취출하고, 1 시간 수직 상태로 매달아 물기를 제거한 후, 원심 탈수기 (고쿠산 (주) 제조, 형식 H-130C 특형) 를 사용하여 탈수한다. 탈수 조건은, 143G (800 rpm) 로 10 분간으로 한다. 탈수 후, 시료의 질량을 측정하고, 다음 식에 따라 목적으로 하는 원심 유지량 (흡수량) 을 산출한다.
원심 유지량 (g/g) = (a' - b - c)/c
식 중, a' 는 원심 탈수 후의 시료 및 나일론백의 총질량 (g), b 는 나일론백의 흡수 전 (건조시) 의 질량 (g), c 는 시료의 흡수 전 (건조시) 의 질량 (g) 을 나타낸다.
측정은 5 회 실시하고 (n = 5), 상하 각 1 점의 값을 삭제하고, 남는 3 점의 평균값을 측정값으로 한다. 또, 측정은 23 ± 2 ℃, 습도 50 ± 5 % 로 실시하고, 측정 전에 시료를 동 환경에서 24 시간 이상 보존한 후에 측정한다.
또, 상기 서술한 도 1 에 나타내는 시트상물 (1) 은, 균일한 폭의 장척상 기체부 (2) 를 갖는 흡수성 유닛 (4) 을 복수개 사용하여 형성되어 있지만, 장척상 기체부 (2) 의 폭은 불균일해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시트상물 (1) 을 평면에서 보았을 때,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가 편재되어 고정되어 있고, 고정된 흡수성 폴리머 (3) 의 평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부분에 있어서, 장척상 기체부 (2) 의 종방향 (Y 방향) 을 따른 양측 가장자리부 (2s, 2s) 간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짧아져 있어도 된다. 즉, 고정된 흡수성 폴리머 (3) 의 평량이 많은 부분과 적은 부분을 비교하여, 고정된 흡수성 폴리머 (3) 의 평량이 많은 부분에 있어서의 장척상 기체부 (2) 의 양측 가장자리부 (2s, 2s) 간의 거리가, 고정된 흡수성 폴리머 (3) 의 평량이 적은 부분에 있어서의 장척상 기체부 (2) 의 양측 가장자리부 (2s, 2s) 간의 거리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시트상물 (1) 이면, 고정된 흡수성 폴리머 (3) 의 평량이 많은 부분에 있어서, 이웃하는 흡수성 유닛 (4, 4) 끼리가 두께 방향 (Z 방향) 으로 자유롭게 움직이기 쉬워, 시트상물 (1) 이 잘 딱딱해지지 않고, 또,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의 흡수 성능을 최대한으로 발휘할 수 있으므로, 시트상물 (1) 의 흡수 성능이 향상되기 쉽다.
또, 상기 서술한 도 3 에 나타내는 시트상물 (1) 은, 복수개의 흡수성 유닛 (4) 각각의 종방향 (Y 방향) 이 시트상물 (1) 의 종방향 (Y 방향) 을 향하도록 배열하여 형성되어 있지만, 예를 들어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개의 흡수성 유닛 (4) 각각의 종방향 (Y 방향) 이 시트상물 (1) 의 횡방향 (X 방향) 을 향하도록 배열하여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도 13 에 나타내는 시트상물 (1) 은, 종방향 (Y 방향) 을 따른 양측부에 비슬릿 영역 (NT) 을 구비하고 있다. 도 13 에 나타내는 시트상물 (1) 을 제조할 때에는, 롤의 축 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된 커터날을, 둘레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배치한 로터리 다이와, 받침 롤을 사용하여, 그 로터리 다이와 그 받침 롤 사이에 기재 시트 (20) 를 공급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또, 각 흡수성 유닛 (4) 의 종방향 (Y 방향) 이 복수 방향을 향하도록 배열하여 형성된 시트상물 (1) 이어도 된다. 그 복수 방향을 향하도록 배열하여 형성된 시트상물 (1) 로는, 예를 들어, 복수개의 흡수성 유닛 (4) 각각의 종방향 (Y 방향) 이 시트상물 (1) 의 종방향 (Y 방향) 을 향하도록 배열하여 형성된 영역을, 그 시트상물 (1) 의 종방향 (Y 방향) 을 따른 양측부에 갖고, 복수개의 흡수성 유닛 (4) 각각의 종방향 (Y 방향) 이 시트상물 (1) 의 횡방향 (X 방향) 을 향하도록 배열하여 형성된 영역을, 상기 양측부 사이에 끼워진 중앙부에 갖는 형태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복수 방향을 향하도록 배열시켜 형성된 시트상물 (1) 은, 예를 들어, 복수의 커터날 (111a) 과 받침 롤 (112) 을 사용하여, 반송되는 기재 시트 (20) 의 반송 방향 (Y1 방향) 을 따른 양측부를 각각 복수 지점 커트하고, 그 후, 둘레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배치한 커트 롤과 받침 롤을 사용하여, 반송되는 기재 시트 (20) 가 직교하는 방향 (X1 방향) 의 중앙부를 복수 지점 커트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또, 상기 서술한 도 1 에 나타내는 시트상물 (1) 은, 각 흡수성 유닛 (4) 및 각 장척상 기체부 (2) 가 종방향 (Y 방향) 에 평행하게 직선상으로 연장되어 있지만, 형상에 상관없이 종방향 (Y 방향) 으로 연장되어 있으면 된다. 예를 들어, 각 흡수성 유닛 (4) 및 각 장척상 기체부 (2) 는, 종방향 (Y 방향) 으로 S 자상을 반복하여 연장되어 있어도 되고, 종방향 (Y 방향) 으로 톱니 모양상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또, 상기 서술한 도 7, 도 10 에 나타내는 시트상물 (1) 은, 사용 전의 상태에 있어서,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의 하면측에 배치되는 각 장척상 기체부 (2) 와,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의 상면측에 배치되는 각 장척상 기체부 (2) 의 배치 위치가, 두께 방향 (Z 방향) 에 일치하고 있지만, 예를 들어 도 14 에 나타내는 시트상물 (1) 과 같이, 횡방향 (X 방향) 으로 어긋나 있어도 된다.
또, 상기 서술한 본 실시양태의 시트상물 (1) 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커트 공정의 후공정에 접착제 도포 공정을 구비하고, 접착제 도포 공정의 후공정에 흡수성 폴리머 산포 공정을 구비하고 있지만, 기재 시트 (20) 의 일방의 면의 표면에 기모 가공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접착제 도포 공정 대신에 기모 가공 공정을 구비하면 된다. 이와 같은 기모 가공 공정을, 커트 공정의 전공정에 구비하면 된다. 기모 가공을 실시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092476호에 기재된 방법, 혹은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028891호에 기재된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을, 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기초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5 에는,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일 실시형태인 일회용 기저귀 (10) (이하, 간단히 「기저귀 (10)」 라고도 한다) 의 자연 상태의 사시도가 나타나 있다. 도 16 은, 도 15 에 나타내는 기저귀 (10) 를, 그 사이드 시일부 (S) 에서 개방하고, 평면에 전개하여 신장시킨 상태를 표면 시트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 에 나타내는 기저귀 (10) 는, 이른바 팬츠형의 일회용 기저귀이다. 기저귀 (10) 는, 표면 시트 (21), 이면 시트 (22), 및 이들 양 시트 (21, 22) 사이에 개재된 흡수체 (23) 를 구비하는 흡수성 본체 (20) 를 구비하고, 착용자의 전후 방향에 대응하는 물품 종방향 (Y) 및 물품 종방향 (Y) 에 직교하는 물품 횡방향 (X) 을 가지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기저귀 (10) 는, 흡수성 본체 (20) 와, 그 흡수성 본체 (20) 의 비피부 대향면측에 위치하는 외장체 (30) 를 구비한다. 이 기저귀 (10) 는, 착용시에 착용자의 복측에 배치되는 복측부 (A) 와, 착용자의 배측에 배치되는 배측부 (B) 와, 그 사이에 위치하는 가랑이 하부 (C) 로 구분되어 있다. 가랑이 하부 (C) 는, 후술하는 외장체 (30) 의 측 가장자리가, 물품 횡방향 (X) 의 내방을 향하여 잘록해진 영역이고, 기저귀 (10) 의 착용 상태에 있어서 착용자의 고간부 (股間部) 에 배치된다. 배측부 (A) 는, 기저귀 (10) 의 착용 상태에 있어서 가랑이 하부 (C) 보다 착용자의 복측에 위치하는 영역이다. 배측부 (B) 는, 기저귀 (10) 의 착용 상태에 있어서 가랑이 하부 (C) 보다 착용자의 배측에 위치하는 영역이다. 또한, 기저귀 (10) 는, 그 두께 방향으로, 물품 두께 방향 (Z) 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피부 대향면측」 이란, 기저귀 (10) 의 각 부재의 표리 양측 (면) 중, 기저귀 (10) 의 착용 상태에 있어서 착용자의 피부측에 배치되는 측 (면) 을 말한다. 「비피부 대향면측」 이란, 기저귀 (10) 의 각 부재의 표리 양측 (면) 중, 기저귀 (10) 의 착용 상태에 있어서 착용자의 피부측과 반대측에 배치되는 측 (면) 이다. 또,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물품 종방향 (Y)」 이란, 평면에 전개한 상태의 기저귀 (10) 에 있어서, 복측부 (A) 로부터 배측부 (B) 에 걸친 방향을 말한다. 또, 「물품 횡방향 (X)」 이란, 평면에 전개한 상태의 기저귀 (10) 의 물품 종방향 (Y) 과 직교하는 방향이고, 평면에 전개한 상태의 기저귀 (10) 의 폭 방향을 말한다.
기저귀 (10) 에서는, 흡수성 본체 (20) 는, 도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세로로 긴 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그 물품 종방향 (Y) 을, 기저귀 (10) 의 물품 종방향 (Y) 에 일치시키고, 복측부 (A) 로부터 배측부 (B) 에 걸치도록, 핫멜트형 접착제 등의 공지된 접합 수단에 의해 외장체 (30) 의 물품 횡방향 (X) 의 중앙부에 접합되어 있다. 외장체 (30) 는, 복측부 (A) 에 위치하는 부분의 양측 가장자리부와 배측부 (B) 에 위치하는 부분의 양측 가장자리부가, 히트 시일, 초음파 시일 등의 공지된 접합 수단에 의해 서로 접합되어 있다. 이로써 기저귀 (10) 에는 1 쌍의 사이드 시일부 (S) 가 형성되어 있다. 또, 그 접합에 의해, 기저귀 (10) 에, 도 1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웨이스트 개구부 (WO) 및 1 쌍의 레그 개구부 (LO, LO) 가 형성되고, 외장체 (30) 는 팬츠형의 입체 형상이 된다.
기저귀 (10) 에서는, 도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장체 (30) 는, 내층 시트 (31) 및 외층 시트 (32) 와, 이들 2 장의 시트 사이에 고정된 각 부의 사상 (絲狀) 의 탄성 부재 (33) 로 이루어진다. 내층 시트 (31) 및 외층 시트 (32) 는, 물품 횡방향 (X) 에 있어서는 동형이다. 물품 종방향 (Y) 에 있어서는, 내층 시트 (31) 의 전후의 단부로부터 외층 시트 (32) 가 연장되어 있고, 연장 부위 (32E) 가 흡수성 본체 (20) 의 물품 종방향 (Y) 전후단역을 피복하고 있다. 외장체 (30) 의 외측 가장자리는, 전개 상태의 기저귀 (10) 의 윤곽을 이루고 있다.
기저귀 (10) 에서는, 사상의 탄성 부재 (33) 는, 도 15 및 도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층 시트 (31) 및 외층 시트 (32)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웨이스트 개구부 (WO) 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웨이스트 개더를 형성하는 웨이스트부 탄성 부재 (33W), 레그 개구부 (LO) 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레그 개더를 형성하는 레그부 탄성 부재 (33L), 및 몸통 둘레부 (웨이스트 개구부 (WO) 의 둘레 가장자리단으로부터 하방으로 20 ㎜ 이간된 위치로부터 레그 개구부 (LO) 의 상단까지의 영역) 에 몸통 둘레 개더를 형성하는 몸통 둘레 탄성 부재 (33D) 를 가지고 있다. 웨이스트부 탄성 부재 (33W), 레그부 탄성 부재 (33L) 및 몸통 둘레 탄성 부재 (33D) 는, 각각 신장 상태로, 핫멜트형 접착제 등의 접합 수단에 의해 접합 고정되어 있다.
기저귀 (10) 에서는, 흡수성 본체 (20) 는, 도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체 (23) 를 구비하고 있다. 흡수체 (23) 는,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코어 (24) 와, 그 흡수성 코어 (24) 를 피복하는 액 투과성의 코어 랩 시트 (25) 를 가지고 있다. 흡수성 코어 (24) 는,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았을 때, 물품 종방향 (Y) 으로 긴 사각형상을 가지고 있다. 흡수체 (23) 는, 흡수성 코어 (24) 의 전체를 코어 랩 시트 (25) 로 피복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흡수성 물품에는, 흡수체 (23) 의 피부 대향면 및 비피부 대향면 중 적어도 일방에 소위 서브레이어 시트가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기저귀 (10) 에서는, 흡수성 코어 (24) 는,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횡방향 (x1 방향) 과, 그 횡방향 (x1 방향) 보다 길이가 긴 종방향 (y1 방향) 과, 두께 방향 (z1 방향) 을 갖는 장척상 기체부 (2), 및 장척상 기체부 (2) 의 일방의 면의 표면에 고정된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이하, 간단히 「흡수성 폴리머 (3)」 라고도 한다) 를 구비한 흡수성 유닛 (4) 을 복수개 구비하고, 각 흡수성 유닛 (4) 을, 그 종방향 (y1 방향) 이 적어도 일방향을 향하도록 배열시켜 이루어지는 시트상물 (1) 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장척상 기체부 (2) 의 횡방향 (x1 방향), 종방향 (y1 방향), 및 두께 방향 (z1 방향) 은, 흡수성 유닛 (4) 의 횡방향 (x1 방향), 종방향 (y1 방향), 및 두께 방향 (z1 방향) 과 일치하고 있다. 또한, 흡수성 코어 (24) 인 시트상물 (1) 은,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았을 때, 물품 종방향 (Y) 으로 길고, 물품 횡방향 (X) 으로 짧은 세로로 긴 사각형 형상을 이루고, 그 물품 종방향 (Y) 을, 흡수성 본체 (20) 의 물품 종방향 (Y) 또는 기저귀 (10) 의 물품 종방향 (Y) 에 일치시키고, 복측부 (A) 로부터 배측부 (B) 에 걸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장척상 기체부 (2) 의 두께 방향 (z1 방향) 및 흡수성 유닛 (4) 의 두께 방향 (z1 방향) 은, 물품 두께 방향 (Z) 에 일치하고 있다.
기저귀 (10) 에서는, 시트상물 (1) 로 형성된 흡수성 코어 (24) 는,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에서 보았을 때, 물품 횡방향 (X) 에 있어서의 중앙의 중앙 영역 (CT) 과, 중앙 영역 (CT) 보다 물품 횡방향 (X) 외방에 형성된 1 쌍의 사이드 영역 (ST, ST) 을 구비하고 있다. 중앙 영역 (CT) 은, 흡수성 코어 (24) 의 물품 횡방향 (X) 중앙에 위치하고 있고, 흡수성 코어 (24) 의 물품 종방향 (Y) 의 양단부 사이에 걸쳐 있다. 또, 1 쌍의 사이드 영역 (ST, ST) 은, 중앙 영역 (CT) 보다 물품 횡방향 (X) 외방에 위치하고 있고, 흡수성 코어 (24) 의 물품 종방향 (Y) 의 양단부 사이에 걸쳐 있다.
도 18 및 도 19 에는, 흡수성 코어 (24) 인 시트상물 (1) 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가 나타나 있다. 도 18 에 나타내는 시트상물 (1) 은,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가 액을 흡수하기 전의 상태 (이하, 간단히 「사용 전의 상태」 라고도 한다) 를 나타낸다. 또, 도 19 에 나타내는 시트상물 (1) 은,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가 액을 흡수하여 팽윤된 상태 (이하, 간단히 「팽윤 후의 상태」 라고도 한다) 를 나타낸다. 여기서, 팽윤 후의 상태란, 25 ℃ 로 조온한 생리 식염수 (0.9 질량% 염화나트륨 수용액) 중에 60 분간 시트상물 (1) 을 침지시킨 후의 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상태를 의미한다.
시트상물 (1) 의 각 사이드 영역 (ST) 에 있어서, 도 16 및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흡수성 유닛 (4) 은, 그 종방향 (y1 방향) 이 물품 횡방향 (X) 을 향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기저귀 (10) 에서는, 각 사이드 영역 (ST) 은, 흡수성 유닛 (4) 의 종방향 (y1 방향) 이 시트상물 (1) 의 물품 횡방향 (X) 을 향하도록 흡수성 유닛 (4) 을 복수개 배열시켜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복수개의 흡수성 유닛 (4) 이 서로 교차하지 않게, 각 흡수성 유닛 (4) 이 물품 횡방향 (X) 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7 에 나타내는 시트상물 (1) 의 각 사이드 영역 (ST) 은, 균일한 폭의 장척상 기체부 (2) 를 갖는 흡수성 유닛 (4) 을 복수개 사용하여, 흡수성 유닛 (4) 의 종방향 (y1 방향) 을 시트상물 (1) 의 물품 횡방향 (X) 을 향하도록 시트상물 (1) 의 물품 횡방향 (X) 에 평행하게 배치하고, 또한 물품 종방향 (Y) 에 병치하여 형성되어 있다.
각 사이드 영역 (ST) 에서는,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장척상 기체부 (2) (흡수성 유닛 (4)) 의 횡방향 (x1 방향) 에 있어서 이웃하는 흡수성 유닛 (4, 4) 사이에 있어서는, 흡수성 유닛 (4) 의 이동의 용이함의 관점에서, 개재물이 비존재 상태로 되어 있다. 즉, 각 사이드 영역 (ST) 의 흡수성 유닛 (4) 은 개재물로 싸이지 않은 상태로 되어 있다. 도 18 및 도 19 에 있어서는, 장척상 기체부 (2) 의 일방의 면인 상면이 착용자의 피부에 대향하는 피부 대향면이고, 장척상 기체부 (2) 의 타방의 면인 하면이 이면 시트에 대향하는 비피부 대향면이다.
또, 기저귀 (10) 에서는, 흡수성 코어 (24) 인 시트상물 (1) 의 중앙 영역 (CT) 에 있어서, 도 16 및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흡수성 유닛 (4) 은, 그 종방향 (y1 방향) 이 물품 종방향 (Y) 을 향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기저귀 (10) 에서는, 중앙 영역 (CT) 은, 흡수성 유닛 (4) 의 종방향 (y1 방향) 이 시트상물 (1) 의 물품 종방향 (Y) 을 향하도록 흡수성 유닛 (4) 을 복수개 배열시켜 형성되어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복수개의 흡수성 유닛 (4) 이 서로 교차하지 않게, 각 흡수성 유닛 (4) 이 물품 종방향 (Y) 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7 에 나타내는 시트상물 (1) 의 중앙 영역 (CT) 은, 균일한 폭의 장척상 기체부 (2) 를 갖는 흡수성 유닛 (4) 을 복수개 사용하여, 흡수성 유닛 (4) 의 종방향 (y1 방향) 을 시트상물 (1) 의 물품 종방향 (Y) 을 향하도록 시트상물 (1) 의 물품 종방향 (Y) 에 평행하게 배치하고, 또한 물품 횡방향 (X) 에 병치하여 형성되어 있다. 중앙 영역 (CT) 에서는, 장척상 기체부 (2) (흡수성 유닛 (4)) 의 횡방향 (x1 방향) 에 있어서 이웃하는 흡수성 유닛 (4, 4) 간에 있어서는, 흡수성 유닛 (4) 의 이동의 용이함의 관점에서, 개재물이 비존재 상태로 되어 있다. 즉, 중앙 영역 (CT) 의 흡수성 유닛 (4) 은 개재물로 싸이지 않은 상태로 되어 있다.
흡수성 코어 (24) 인 시트상물 (1) 은, 사용 전의 상태에 있어서,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방향을 향하도록 흡수성 유닛 (4) 을 복수개 배열한 흡수 영역 (AT) 을 가지고 있다. 흡수 영역 (AT) 이란, 기저귀 (10) 에서는, 각 사이드 영역 (ST) 에 있어서, 도 16 및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방향 (y1 방향) 이 물품 횡방향 (X) 을 향하도록 각 흡수성 유닛 (4) 이 배열되어 있는 영역과, 중앙 영역 (CT) 에 있어서, 종방향 (y1 방향) 이 물품 종방향 (Y) 을 향하도록 각 흡수성 유닛 (4) 이 배열되어 있는 영역을 합산한 영역을 의미한다. 사용 전의 상태의 시트상물 (1) 을 평면에서 보았을 때, 시트상물 (1) 전체에 대한 흡수 영역 (AT) 의 비율은,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가 고정된 영역에서 액을 흡수하기 쉬운 관점에서, 2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그리고 1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90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20 % 이상 1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 이상 90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흡수 영역 (AT) 의 비율이 100 % 라는 것은, 예를 들어, 종방향 (y1 방향) 이 물품 횡방향 (X) 을 향하도록 각 흡수성 유닛 (4) 이 배열되어 있는 각 사이드 영역 (ST) 에 있어서는, 각 사이드 영역 (ST) 의 물품 종방향 (Y) 을 따른 양측부간에 걸쳐 각 흡수성 유닛 (4) 이 배치되어 있고, 종방향 (y1 방향) 이 물품 종방향 (Y) 을 향하도록 각 흡수성 유닛 (4) 이 배열되어 있는 중앙 영역 (CT) 에 있어서는, 중앙 영역 (CT) 의 물품 종방향 (Y) 의 양단부간에 걸쳐 각 흡수성 유닛 (4) 이 배치되어 있는 형태를 의미한다. 또한, 시트상물 (1) 을 평면에서 보았을 때, 흡수 영역 (AT) 이외의 영역이, 후술하는 비슬릿 영역 (NT) 이 된다.
각 사이드 영역 (ST) 에 있어서, 흡수성 유닛 (4) 의 종방향 (y1 방향) 을 물품 횡방향 (X) 을 향하도록 배치하는 경우, 흡수성 유닛 (4) 은, 각 사이드 영역 (ST) 에, 10 개 이상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50 개 이상 배치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그리고 3500 개 이하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1700 개 이하 배치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10 개 이상 3500 개 이하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50 개 이상 1700 개 이하 배치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중앙 영역 (CT) 에 있어서, 흡수성 유닛 (4) 의 종방향 (y1 방향) 을 물품 종방향 (Y) 을 향하도록 배치하는 경우, 흡수성 유닛 (4) 은, 중앙 영역 (CT) 에, 2 개 이상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10 개 이상 배치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그리고 1000 개 이하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500 개 이하 배치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2 개 이상 1000 개 이하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10 개 이상 500 개 이하 배치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중앙 영역 (CT) 에 있어서, 만일, 흡수성 유닛 (4) 의 종방향 (y1 방향) 을 물품 횡방향 (X) 을 향하도록 배치하는 경우, 흡수성 유닛 (4) 은, 중앙 영역 (CT) 에, 10 개 이상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50 개 이상 배치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그리고 3500 개 이하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1700 개 이하 배치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10 개 이상 3500 개 이하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50 개 이상 1700 개 이하 배치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흡수성 코어 (24) 인 시트상물 (1) 은, 물품 종방향 (Y) 의 양단부에 복수의 장척상 기체부 (2) 가 물품 횡방향 (X) 으로 연결된 비슬릿 영역 (NT), 또는 물품 종방향 (Y) 을 따른 양측부에 물품 종방향 (Y) 으로 연결된 비슬릿 영역 (NT) 을 구비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 (10) 에 있어서는,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물품 종방향 (Y) 의 양단부에 비슬릿 영역 (NT1, NT1) 을 구비하고, 또한 물품 종방향 (Y) 을 따른 양측부에 비슬릿 영역 (NT2, NT2) 을 구비하고 있다. 즉, 본 실시형태의 시트상물 (1) 에 있어서는, 1 장의 기재 시트를 구비하고 있고, 그 기재 시트의 물품 종방향 (Y) 의 양단부 및 물품 횡방향 (X) 의 양단부에 비슬릿 영역 (NT) 이 형성되고, 그 비슬릿 영역 (NT) 사이에 후술하는 커트 공정에 의해 형성된 복수의 장척상 기체부 (2) 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비슬릿 영역 (NT) 을 형성하면, 사용 전의 상태에 있어서, 시트상물 (1) 의 시트 형상이 유지되기 쉽고, 구조가 잘 흐트러지지 않게 됨과 함께, 제조시에 반송하기 쉽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비슬릿 영역 (NT) (NT1, NT2) 에는,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가 배치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비슬릿 영역 (NT) (NT1, NT2) 에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를 배치하지 않으면, 액을 흡수했다고 해도, 비슬릿 영역 (NT) (NT1, NT2) 에서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가 잘 팽윤되지 않고, 팽윤 후의 상태에 있어서도, 시트상물 (1) 의 시트 형상이 유지되기 쉽고, 구조가 잘 흐트러지지 않게 됨과 함께, 흡수성 폴리머 (3) 의 입자가 고정된 영역에서는 액을 흡수하기 쉽고, 시트상물 (1) 전체에서 밸런스를 취하기 쉽다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 도 17 에 나타내는 시트상물 (1) 과 같이 물품 종방향 (Y) 의 양단부에 비슬릿 영역 (NT1, NT1) 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시트상물 (1) 의 시트 형상이 유지되기 쉽고, 구조가 잘 흐트러지지 않게 됨과 함께, 흡수 영역 (AT) 의 유연함이 향상되어 착용자에게 위화감을 주기 어려운 관점에서, 그 물품 종방향 (Y) 의 양단부가 흡수성 물품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말하는 물품 종방향 (Y) 의 양단부 (비슬릿 영역 (NT1, NT1)) 가 고정되는 흡수성 물품이란, 기저귀 (10) 에서는, 표면 시트 (21), 이면 시트 (22) 및 코어 랩 시트 (25) 중 적어도 1 개의 흡수성 물품의 구성 부재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물품 종방향 (Y) 의 양단부가 흡수성 물품에 고정되어 있는 경우, 비슬릿 영역 (NT1) 에는,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가 고정되어 있지 않은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중앙 영역 (CT) 에 있어서의 흡수성 유닛 (4) 이 배열된 부분은, 흡수 영역 (AT) 의 유연함이 향상되어 착용자에게 위화감을 주기 어려운 관점에서, 흡수성 물품에 고정되어 있지 않은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도 17 에 나타내는 시트상물 (1) 과 같이 물품 종방향 (Y) 을 따른 양측부에 비슬릿 영역 (NT2, NT2) 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시트상물 (1) 의 시트 형상이 유지되기 쉽고, 구조가 잘 흐트러지지 않게 됨과 함께, 흡수 영역 (AT) 의 유연함이 향상되어 착용자에게 위화감을 주기 어려운 관점에서, 그 물품 종방향 (Y) 을 따른 양측부가 흡수성 물품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말하는 물품 종방향 (Y) 을 따른 양측부 (비슬릿 영역 (NT2, NT2)) 가 고정되는 흡수성 물품이란, 기저귀 (10) 에서는, 표면 시트 (21), 이면 시트 (22) 및 코어 랩 시트 (25) 중 적어도 1 개의 흡수성 물품의 구성 부재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물품 종방향 (Y) 을 따른 양측부가 흡수성 물품에 고정되어 있는 경우, 비슬릿 영역 (NT1) 에는,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가 고정되어 있지 않은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리고, 각 사이드 영역 (ST) 에 있어서의 흡수성 유닛 (4) 이 배열된 부분은, 흡수 영역 (AT) 의 유연함이 향상되어 착용자에게 위화감을 주기 어려운 관점에서, 흡수성 물품에 고정되어 있지 않은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기저귀 (10) 에서는, 흡수성 코어 (24) 인 시트상물 (1) 의 각 사이드 영역 (ST) 에 배치된 흡수성 유닛 (4) 의 장척상 기체부 (2) 의 종방향 (y1 방향) 을 따른 양측 가장자리부간의 거리와, 흡수성 코어 (24) 인 시트상물 (1) 의 중앙 영역 (CT) 에 배치된 흡수성 유닛 (4) 의 장척상 기체부 (2) 의 종방향 (y1 방향) 을 따른 양측 가장자리부간의 거리는 상이하다. 여기서, 장척상 기체부 (2) 의 종방향 (y1 방향) 을 따른 양측 가장자리부간의 거리란, 장척상 기체부 (2) 의 폭 (횡방향 (x1 방향) 의 길이) 과 동일한 의미이다. 중앙 영역 (CT) 의 폭이 각 사이드 영역 (ST) 의 폭보다 큰 경우에는, 가랑이 하부분의 위화감 경감의 관점에서, 각 사이드 영역 (ST) 에 배치된 1 개의 장척상 기체부 (2) 폭 (W2S) (횡방향 (x1 방향) 의 길이) (도 17 참조) 이, 중앙 영역 (CT) 에 배치된 1 개의 장척상 기체부 (2) 의 폭 (W2C) (횡방향 (x1 방향) 의 길이) (도 17 참조) 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 중앙 영역 (CT) 의 폭이 각 사이드 영역 (ST) 의 폭보다 작은 경우에는, 사이드 영역 (ST) 이 기립했을 때의 다리 둘레에의 피트성의 관점에서, 중앙 영역 (CT) 에 배치된 1 개의 장척상 기체부 (2) 의 폭 (W2C) (횡방향 (x1 방향) 의 길이) (도 17 참조) 이, 각 사이드 영역 (ST) 에 배치된 1 개의 장척상 기체부 (2) 폭 (W2S) (횡방향 (x1 방향) 의 길이) (도 17 참조) 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시트상물 (1) 의 중앙 영역 (CT) 에 있어서, 시트상물 (1) 의 폭 (W1) (도 17 참조) 에 대한 1 개의 장척상 기체부 (2) 의 폭 (W2C) (횡방향 (x1 방향) 의 길이) (도 17 참조) 의 비율은, 가랑이 하부분의 굴곡성 향상 (유연성 향상) 에 의한 위화감 경감의 관점에서, 0.1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2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그리고 2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0.1 % 이상 2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2 % 이상 4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중앙 영역 (CT) 에 있어서의 장척상 기체부 (2) 의 폭 (W2C) 은, 동일한 관점에서, 0.3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6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그리고 1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0.3 ㎜ 이상 1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6 ㎜ 이상 2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시트상물 (1) 은, 그 폭 (W1) 이 50 ㎜ 이상 300 ㎜ 이하인 것이다.
시트상물 (1) 의 중앙 영역 (CT) 에 있어서, 시트상물 (1) 의 길이 (L1) (도 17 참조) 에 대한 1 개의 장척상 기체부 (2) 의 길이 (L2C) (종방향 (y1 방향) 의 길이) (도 17 참조) 의 비율은, 동일한 관점에서, 2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그리고 1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98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2 % 이상 1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 이상 98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중앙 영역 (CT) 에 있어서의 장척상 기체부 (2) 의 길이 (L2C) 는, 동일한 관점에서, 2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00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그리고 10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980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20 ㎜ 이상 10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0 ㎜ 이상 980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시트상물 (1) 은, 그 길이 (L1) 가 100 ㎜ 이상 1000 ㎜ 이하 정도인 것이다.
시트상물 (1) 의 각 사이드 영역 (ST) 에 있어서, 시트상물 (1) 의 폭 (W1) (도 17 참조) 에 대한 1 개의 장척상 기체부 (2) 의 길이 (L2S) (종방향 (y1 방향) 의 길이) (도 17 참조) 의 비율은, 각 사이드 영역 (ST) 의 기립시의 형상 유지의 관점에서, 1.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그리고 47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0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1.5 % 이상 47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 % 이상 40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각 사이드 영역 (ST) 에 있어서의 장척상 기체부 (2) 의 길이 (L2S) 는, 동일한 관점에서, 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그리고 14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20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5 ㎜ 이상 14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 이상 120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시트상물 (1) 의 각 사이드 영역 (ST) 에 있어서, 시트상물 (1) 의 길이 (L1) (도 17 참조) 에 대한 1 개의 장척상 기체부 (2) 의 폭 (W2S) (횡방향 (x1 방향) 의 길이) (도 17 참조) 의 비율은, 각 사이드 영역 (ST) 의 기립시의 다리 둘레에의 피트성의 관점에서, 0.03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06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그리고 1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0.03 % 이상 1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06 % 이상 2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각 사이드 영역 (ST) 에 있어서의 장척상 기체부 (2) 의 폭 (W2S) 은, 동일한 관점에서, 0.3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6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그리고 1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0.3 ㎜ 이상 1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6 ㎜ 이상 2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흡수성 유닛 (4) 을 구성하는 장척상 기체부 (2) 는, 흡수 영역 (AT) 에서 액이 확산되기 쉽고, 흡수성 폴리머 (3) 의 이용 효율 향상의 관점에서, 친수성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친수성 시트로는, 종이, 부직포, 천, 합성 수지를 발포하여 형성된 합성 스펀지 등을 들 수 있고, 그들 중에서도, 얇아도 인장 강도가 비교적 높고, 얇고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는 관점에서, 부직포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부직포로는, 친수성의 섬유를 구성 섬유로서 함유하는 친수성 부직포, 합성 섬유에 친수성을 부여한 섬유를 구성 섬유로서 함유하는 친수성 부직포 등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그 부직포의 평량은, 5 g/㎡ 이상 100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g/㎡ 이상 40 g/㎡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장척상 기체부 (2) 의 일방의 면의 표면에 고정되는 흡수성 폴리머 (3) 로는, 당해 흡수성 물품의 기술 분야에 있어서 종래 사용되고 있는 각종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폴리아크릴산 소다, (아크릴산-비닐알코올) 공중합체, 폴리아크릴산 소다 가교체, (전분-아크릴산) 그래프트 중합체, (이소부틸렌-무수 말레산) 공중합체 및 그 비누화물, 폴리아크릴산칼륨, 그리고 폴리아크릴산세슘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1 종을 단독으로 또는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로는, 그 형상의 차이에서, 부정형 타입, 괴상 타입, 섬상 타입, 구립 응집 타입, 구상 타입 등이 있지만, 어느 타입도 사용할 수 있고, 시트상물 (1) 에 있어서는, 구상 타입이 사용되고 있다.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를 장척상 기체부 (2) 의 표면에 고정시키는 방법으로는, 접착제를 사용하는 방법, 수소 결합 등을 이용하여 화학적으로 고정시키는 방법, 또는 장척상 기체부 (2) 가 부직포 혹은 천인 경우에는, 그 구성 섬유를 기모시키고, 기모한 구성 섬유 사이에서 고정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고, 도 18 및 도 19 에 나타내는 시트상물 (1) 에 있어서는, 접착제 (5) 가 사용되고 있다. 즉, 시트상물 (1) 의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는, 접착제 (5) 를 통해서 장척상 기체부 (2) 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접착제 (5) 를 통해서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가 장척상 기체부 (2) 의 표면에 고정되어 있으면, 시트상물 (1) 의 사용 전의 상태 또는 팽윤 후의 상태에 있어서,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가 잘 탈락되지 않게 된다.
접착제 (5) 로는, 예를 들어, 핫멜트형 접착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핫멜트형 접착제로는, 스티렌계, 올레핀계 등을 들 수 있다. 스티렌계 핫멜트 접착제로는,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SBS),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공중합체 (SIS), SBS 의 수소 첨가물인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 공중합체 (SEBS), 및 이들 2 종 이상을 블렌드한 블렌드계 핫멜트형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택력과 응집력의 밸런스를 취하기 쉬운 관점에서, 특히 SIS 와 SBS 의 블렌드계 핫멜트형 접착제, 또는 SIS 와 SEBS 의 블렌드계 핫멜트형 접착제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핫멜트형 접착제의 도포량은, 0.5 g/㎡ 이상 100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 g/㎡ 이상 50 g/㎡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시트상물 (1) 은,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가, 각 장척상 기체부 (2) 의 일방의 면 (상면 또는 하면) 의 표면에만 고정되어 있으면 되지만, 시트상물 (1) 의 액의 흡수 성능 향상의 관점에서, 도 18 에 나타내는 시트상물 (1) 에서는, 각 장척상 기체부 (2) 의 일방의 면 (상면) 의 표면뿐만 아니라, 타방의 면 (하면) 의 표면에도 고정되어 있다. 여기서, 중앙 영역 (CT) 의 일방의 면 (상면) 의 표면에 배치되어 있는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와, 각 사이드 영역 (ST) 의 일방의 면 (상면) 의 표면에 배치되어 있는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는, 폴리머의 종류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동일하게, 중앙 영역 (CT) 의 타방의 면 (하면) 의 표면에 배치되어 있는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와, 각 사이드 영역 (ST) 의 타방의 면 (하면) 의 표면에 배치되어 있는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는, 폴리머의 종류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중앙 영역 (CT) 의 일방의 면 (상면) 의 표면에 배치되어 있는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와 타방의 면 (하면) 의 표면에 배치되어 있는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각 장척상 기체부 (2) 의 양면 (상하면) 의 표면에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를 고정시킬 때에는, 상기 효과를 더욱 발휘하는 관점에서, 장척상 기체부 (2) 의 타방의 면 (하면) 의 표면에 고정된 흡수성 폴리머 (3) 의 평량쪽이, 그 장척상 기체부 (2) 의 일방의 면 (상면) 의 표면에 고정된 흡수성 폴리머 (3) 의 평량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장척상 기체부 (2) 의 일방의 면 (상면) 의 표면에 고정시키는 흡수성 폴리머 (3) 의 평량은, 10 g/㎡ 이상 250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g/㎡ 이상 150 g/㎡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장척상 기체부 (2) 의 타방의 면 (하면) 의 표면에 고정시키는 흡수성 폴리머 (3) 의 평량은, 30 g/㎡ 이상 400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g/㎡ 이상 300 g/㎡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장척상 기체부 (2) 에 있어서의 피부 대향면측에 고정되어 있는 흡수성 폴리머 (3) 의 평량 및 장척상 기체부 (2) 에 있어서의 비피부 대향면측에 고정되어 있는 흡수성 폴리머 (3) 의 평량은 이하의 방법에 의해 측정한다.
<장척상 기체부 (2) 에 있어서의 피부 대향면측에 고정되어 있는 흡수성 폴리머 (3) 의 평량 및 장척상 기체부 (2) 에 있어서의 비피부 대향면측에 고정되어 있는 흡수성 폴리머 (3) 의 평량의 측정 방법>
장척상 기체부 (2) 에 있어서의 비피부 대향면측에 고정되어 있는 흡수성 폴리머가 탈락되지 않게 흡수성 폴리머 상면에서 다시 접착제 등으로 고정시켜 두고, 피부 대향면측에 고정되어 있는 흡수성 폴리머를, 용제 등을 사용하여 장척상 기체부 (2) 로부터 박리시켜, 흡수성 폴리머에 부착되어 있는 접착제를 세정한다. 흡수성 폴리머를 건조시킨 후, 피부 대향면측에 고정되어 있던 흡수성 폴리머 중량을 측정하고, 흡수성 폴리머가 고정되어 있던 부분의 장척상 기체부 (2) 의 면적과 박리한 흡수성 폴리머의 중량으로부터, 단위 면적당 고정되어 있던 흡수성 폴리머 중량을 산출하고, 피부 대향면측의 흡수성 폴리머 평량으로 한다. 측정은 5 장 실시하여 평균값을 산출한다.
비피부 대향면측의 흡수성 폴리머 평량에 대해서는, 동일하게 피부 대향면측의 흡수성 폴리머를 고정시킨 후에, 비피부 대향면측의 흡수성 폴리머를 박리, 세정하고, 산출한다.
또, 각 장척상 기체부 (2) 의 양면 (상하면) 의 표면에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를 고정시킬 때에는, 착용자의 피부에서 먼 비피부 대향면 (하면) 의 표면에서 액을 대량으로 유지시키고, 피부 대향면 (상면) 의 표면에 액을 남기지 않고 촉감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장척상 기체부 (2) 의 일방의 면 (상면) 의 표면에 고정된 흡수성 폴리머 (3) 는, 그 장척상 기체부 (2) 의 타방의 면 (하면) 의 표면에 고정된 흡수성 폴리머 (3) 에 비해, 가압하 통액 성능이 높고, 원심 유지량이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장척상 기체부 (2) 의 일방의 면 (상면) 의 표면에 고정된 흡수성 폴리머 (3) 의 종류와, 그 장척상 기체부 (2) 의 타방의 면 (하면) 의 표면에 고정된 흡수성 폴리머 (3) 의 종류가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흡수성 폴리머의 종류가 상이하다는 것은, 가압하 통액 속도 또는 원심 유지량이 상이한 것을 의미한다. 상기 관점에서, 장척상 기체부 (2) 의 일방의 면 (상면) 의 표면에 고정된 흡수성 폴리머 (3) 에 관해, 2.0 ㎪ 에서의 가압하 통액 속도는, 20 ㎖/min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0 ㎖/min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그리고 1000 ㎖/min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00 ㎖/min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20 ㎖/min 이상 1000 ㎖/min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0 ㎖/min 이상 800 ㎖/min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장척상 기체부 (2) 의 타방의 면 (하면) 의 표면에 고정된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에 관해, 2.0 ㎪ 에서의 가압하 통액 속도는, 0 ㎖/min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min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그리고 400 ㎖/min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0 ㎖/min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0 ㎖/min 이상 400 ㎖/min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min 이상 200 ㎖/min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가압하 통액 속도는, 이하의 측정 방법에 의해 구해진다.
<가압하 통액 속도의 측정 방법>
가압하 통액 속도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235889호에 기재되어 있는 측정 방법 및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측정된다. 즉, 100 ㎖ 의 유리 비커에, 측정 시료인 흡수성 폴리머 0.32 ± 0.005 g 을 팽윤시키기에 충분한 양의 생리 식염수 (0.9 질량% 염화나트륨 수용액), 예를 들어 흡수성 폴리머의 포화 흡수량의 5 배 이상의 생리 식염수에 담그고 30 분간 방치한다. 별도로, 수직으로 세운 원통 (내경 25.4 ㎜) 의 개구부의 하단에, 철망 (눈금 간격 150 ㎛, 주식회사 산쇼 판매의 바이오 칼럼 소결 스테인리스 필터 30SUS) 과, 콕 (내경 2 ㎜) 이 부착된 세관 (내경 4 ㎜, 길이 8 ㎝) 이 구비된 여과 원통관을 준비하고, 콕을 폐쇄한 상태에서 그 원통관 내에 팽윤된 측정 시료를 함유하는 상기 비커의 내용물 모두를 투입한다. 이어서, 눈금 간격이 150 ㎛ 이고 직경이 25 ㎜ 인 철망을 선단에 구비한 직경 2 ㎜ 의 원주봉을 여과 원통관 내에 삽입하고, 그 철망과 측정 시료가 접하도록 하고, 또한 측정 시료에 2.0 ㎪ 의 하중이 가해지도록 추를 올린다. 이 상태에서 1 분간 방치한 후, 콕을 개방하여 액을 흘리고, 여과 원통관 내의 액면이 60 ㎖ 인 눈금선으로부터 40 ㎖ 인 눈금선에 이를 (요컨대 20 ㎖ 의 액이 통과할) 때까지의 시간 (T1) (초) 을 계측한다. 계측된 시간 (T1) (초) 을 사용하여, 다음 식으로부터 2.0 ㎪ 에서의 가압하 통액 속도를 산출한다. 또한, 식 중, T0 (초) 은, 여과 원통관 내에 측정 시료를 넣지 않고, 생리 식염수 20 ㎖ 가 철망을 통과하는 데에 필요로 하는 시간을 계측한 값이다.
가압하 통액 속도 (㎖/min) = 20 × 60/(T1 - T0)
측정은 5 회 실시하고 (n = 5), 상하 각 1 점의 값을 삭제하고, 남는 3 점의 평균값을 측정값으로 한다. 또, 측정은 23 ± 2 ℃, 습도 50 ± 5 % 로 실시하고, 측정 전에 시료를 동 환경에서 24 시간 이상 보존한 후에 측정한다. 가압하 통액 속도의 더욱 상세한 측정 방법은,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235889호의 단락 [0008] 및 단락 [0009] 에 기재되어 있고, 또 측정 장치는, 동 공보의 도 15 및 도 16 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관점에서, 장척상 기체부 (2) 의 일방의 면 (상면) 의 표면에 고정된 흡수성 폴리머 (3) 에 관해, 그 원심 유지량 (흡수량) 은, 20 g/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5 g/g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그리고 50 g/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5 g/g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20 g/g 이상 50 g/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5 g/g 이상 45 g/g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장척상 기체부 (2) 의 타방의 면 (하면) 의 표면에 고정된 흡수성 폴리머 (3) 에 관해, 그 원심 유지량 (흡수량) 은, 25 g/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g/g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그리고 65 g/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5 g/g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25 g/g 이상 65 g/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g/g 이상 55 g/g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원심 유지량 (흡수량) 은, 이하의 측정 방법에 의해 구해진다.
<원심 유지량 (흡수량) 의 측정 방법>
원심 유지량 (흡수량) 의 측정은, JIS K 7223 (1996) 에 준거하여 실시한다. 나일론제의 직포 (산리키 제작소 판매, 품명 : 나일론망, 규격 : 250 메시) 를 폭 10 ㎝, 길이 40 ㎝ 의 장방형으로 절단하여 길이 방향 중앙에서 둘로 접고, 양단을 히트 시일하여 폭 10 ㎝ (내치수 9 ㎝), 길이 20 ㎝ 의 나일론백을 제조한다. 이어서, 측정 시료인 흡수성 폴리머 1.00 g 을 정밀 칭량하고, 제조한 나일론백의 저부에 균일해지도록 넣는다. 이어서, 시료가 들어간 나일론백을, 25 ℃ 로 조온한 생리 식염수 (0.9 질량% 염화나트륨 수용액) 에 침지시킨다. 그리고 침지 개시로부터 1 시간 후에 나일론백을 생리 식염수로부터 취출하고, 1 시간 수직 상태로 매달아 물기를 제거한 후, 원심 탈수기 (고쿠산 (주) 제조, 형식 H-130C 특형) 를 사용하여 탈수한다. 탈수 조건은, 143G (800 rpm) 로 10 분간으로 한다. 탈수 후, 시료의 질량을 측정하고, 다음 식에 따라 목적으로 하는 원심 유지량 (흡수량) 을 산출한다.
원심 유지량 (g/g) = (a' - b - c)/c
식 중, a' 는 원심 탈수 후의 시료 및 나일론백의 총질량 (g), b 는 나일론백의 흡수 전 (건조시) 의 질량 (g), c 는 시료의 흡수 전 (건조시) 의 질량 (g) 을 나타낸다.
측정은 5 회 실시하고 (n = 5), 상하 각 1 점의 값을 삭제하고, 남는 3 점의 평균값을 측정값으로 한다. 또, 측정은 23 ± 2 ℃, 습도 50 ± 5 % 로 실시하고, 측정 전에 시료를 동 환경에서 24 시간 이상 보존한 후에 측정한다.
시트상물 (1) 은, 도 1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팽윤 후의 상태에 있어서,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가, 장척상 기체부 (2) 의 종방향 (y1 방향) 을 따른 측 가장자리부 (2s) 를 넘어 팽윤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가 장척상 기체부 (2) 의 측 가장자리부 (2s) 를 넘어 팽윤되는 것이란, 바꿔 말하면, 시트상물 (1) 의 팽윤 후의 상태에 있어서, 예를 들어 도 19 에 나타내는 팽윤된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a) 와 같이, 팽윤된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가 장척상 기체부 (2) 의 측 가장자리부 (2s) 에 걸쳐 존재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시트상물 (1) 의 팽윤 후의 상태에 있어서, 팽윤된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가 장척상 기체부 (2) 의 측 가장자리부 (2s) 에 걸쳐 존재하게 된다면, 시트상물 (1) 의 사용 전의 상태에 있어서는,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가 장척상 기체부 (2) 의 측 가장자리부 (2s) 보다 내측에 존재하고 있어도 되고, 혹은 예를 들어 도 18 에 나타내는 사용 전 (팽윤 전) 의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b) 와 같이,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가 당초부터 장척상 기체부 (2) 의 측 가장자리부 (2s) 에 걸쳐 존재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시트상물 (1) 은, 도 1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팽윤 후의 상태에 있어서, 장척상 기체부 (2) 에 있어서의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의 위치가, 두께 방향 (z1 방향) 에 있어서, 상하로 어긋나는, 비스듬하게 되는 등, 액을 흡수하기 전의 위치와 상이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시트상물 (1) 의 팽윤 후의 상태에 있어서, 장척상 기체부 (2) 의 위치가, 두께 방향 (z1 방향) 에 있어서, 액을 흡수하기 전의 위치와 상이하다는 것은,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의 팽윤 후의 상태에 있어서의 장척상 기체부 (2) 의 위치와,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의 사용 전 (팽윤 전) 의 상태에 있어서의 장척상 기체부 (2) 의 위치가 상이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 기저귀 (10) 에서는, 배뇨 후의 각 사이드 영역 (ST) 의 피트성 유지의 관점에서, 각 장척상 기체부 (2) 의 양면 (상면 및 하면) 의 표면에 있어서, 흡수성 코어 (24) 인 시트상물 (1) 의 중앙 영역 (CT) 에 배치된 흡수성 유닛 (4) 의 흡수성 폴리머 (3) 의 평량쪽이, 흡수성 코어 (24) 인 시트상물 (1) 의 각 사이드 영역 (ST) 에 배치된 흡수성 유닛 (4) 의 흡수성 폴리머 (3) 의 평량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중앙 영역 (CT) 에 배치된 흡수성 유닛 (4) 의 흡수성 폴리머 (3) 의 평량은, 상기 관점에서, 편면당, 30 g/㎡ 이상 400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g/㎡ 이상 300 g/㎡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각 사이드 영역 (ST) 에 배치된 흡수성 유닛 (4) 의 흡수성 폴리머 (3) 의 평량은, 상기 관점에서, 편면당, 10 g/㎡ 이상 250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g/㎡ 이상 150 g/㎡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기저귀 (10) 의 흡수성 본체 (20) 에서는, 도 2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 시트 (21) 는, 흡수성 코어 (24) 를 갖는 흡수체 (23) 의 피부 대향면의 전체면을 피복하고, 흡수체 (23) 의 양측 가장자리부로부터 물품 횡방향 (X) 외방으로 연장된 연장 부위 (21E) 를 가지고 있고, 그 연장 부위 (21E) 가, 흡수체 (23) 의 비피부 대향면측으로 되접어 꺾여, 흡수성 코어 (24) 의 각 사이드 영역 (ST) 에 위치하는 흡수체 (23) 의 비피부 대향면을 피복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흡수성 본체 (20) 는, 흡수성 코어 (24) 의 피부 대향면을 피복하는 표면 시트 (21) 와, 흡수성 코어 (24) 의 비피부 대향면을 피복하는 이면 시트 (22) 를 구비하고 있다. 표면 시트 (21) 는, 액 투과성의 시트로 이루어지고, 기저귀 (10) 의 착용 상태에 있어서 착용자의 피부에 대향하는 시트이다. 표면 시트 (21) 는, 흡수성 코어 (24) 인 시트상물 (1) 의 물품 종방향 (Y) 의 전역을 피복하고, 표면 시트 (21) 의 연장 부위 (21E) 의 선단부 (21E1) 는, 흡수성 코어 (24) 인 시트상물 (1) 의 각 사이드 영역 (ST) 을 넘어, 중앙 영역 (CT) 에 위치하는 흡수체 (23) 의 비피부 대향면까지 달하고 있다. 이면 시트 (22) 는, 흡수성 코어 (24) 인 시트상물 (1) 의 물품 종방향 (Y) 의 전역을 피복하고, 또한 물품 횡방향 (X) 의 전역도 피복하고 있다. 이면 시트 (22) 는, 액 불투과성 내지 발수성의 시트로 이루어지고, 외장체 (30) 와 대향하는 시트이다.
기저귀 (10) 에서는, 표면 시트 (21) 의 연장 부위 (21E) 는, 도 2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선단부 (21E1) 가, 연장 부위 (21E) 보다 비피부 대향면측에 위치하고 또한 연장 부위 (21E) 와 인접하는 흡수성 물품의 구성 부재에 고정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기저귀 (10) 에서는, 흡수성 본체 (20) 는, 물품 종방향 (Y) 을 따른 양측부에 1 쌍의 방루 커프 (26, 26) 를 가지고 있다. 방루 커프 (26) 는, 물품 종방향 (Y) 으로 긴 사각형을 한 발수성의 시트 재료 (27) 를 둘로 접고, 둘로 접힌 상태의 그 시트 재료 (27) 에 있어서의 측부역을, 이면 시트 (22) 와, 표면 시트 (21) 의 연장 부위 (21E) 사이에 개재 배치시켜 고정시키고 있다. 즉, 기저귀 (10) 에서는, 표면 시트 (21) 의 선단부 (21E1) 가 고정되는 비피부 대향면측의 흡수성 물품의 구성 부재란, 방루 커프 (26) 를 형성하는 시트 재료 (27) 이다. 이 접합에 의해, 물품 종방향 (Y) 으로 연장되는 접합부 (28) 가 형성되어 있다.
기저귀 (10) 에서는, 접합부 (28) 는, 히트 시일, 고주파 시일, 초음파 시일, 핫멜트형의 접착제 등의 공지된 접합 수단을 사용하여, 방루 커프 (26) 를 형성하는 시트 재료 (27) 와, 표면 시트 (21) 의 연장 부위 (21E) 의 선단부 (21E1) 와, 이면 시트 (22) 를 접합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접합부 (28) 는, 연속된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곳곳에 간헐부를 갖는 불연속인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혹은 연속 또는 불연속인 곡선상 등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기저귀 (10) 에서는, 표면 시트 (21) 의 선단부 (21E1) 가 방루 커프 (26) 를 형성하는 시트 재료 (27) 에 고정된 위치, 즉, 접합부 (28) 의 위치가, 도 2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코어 (24) 인 시트상물 (1) 의 중앙 영역 (CT) 과 각 사이드 영역 (ST) 의 경계에 대응하는 위치 (BP) 와 일치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기저귀 (10) 에서는, 도 2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면에서 보았을 때, 물품 두께 방향 (Z) 에, 접합부 (28) 의 위치와, 상기 경계에 대응하는 위치 (BP) 가 겹쳐 있다.
기저귀 (10) 에서는, 도 2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둘로 접힌 상태의 시트 재료 (27) 는, 그 접은 선을 물품 횡방향 (X) 의 내방에 위치시키고, 그 접은 선의 위치의 내부에, 사상의 탄성 부재 (29a) 가 신장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이 탄성 부재 (29a) 가 수축됨으로써, 기저귀 (10) 의 착용 상태에 있어서, 방루 커프 (26) 가 착용자의 피부측을 향하여 기립하게 되어 있다.
또, 기저귀 (10) 에서는, 도 2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방루 커프 (26) 를 형성하는 둘로 접힌 상태의 시트 재료 (27) 의 내부에, 사상의 탄성 부재 (29a) 이외에, 추가로, 사상의 탄성 부재 (29b) 가 신장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탄성 부재 (29b) 는, 방루 커프 (6) 에 있어서의 사상의 탄성 부재 (29a) 와 접합부 (28) 사이에 배치되고, 방루 커프 (26) 의 물품 종방향 (Y) 전체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또, 사상의 탄성 부재 (29b) 는, 기저귀 (1) 의 전개 상태에 있어서, 후술하는 흡수체 (23) 의 측부에 배치되는 사상의 탄성 부재 (29c) 보다 물품 횡방향 (X) 외방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 기저귀 (10) 에서는, 도 2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체 (23) 의 물품 종방향 (Y) 을 따른 양측 가장자리부 각각에, 측 가장자리부를 따라 탄성 부재 (29c) 가 신장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 탄성 부재 (29c) 는, 흡수성 코어 (24) 인 시트상물 (1) 의 물품 종방향 (Y) 의 전체 길이에 걸쳐 배치되어 있다. 탄성 부재 (29c) 는, 흡수체 (23) 를 구성하는 코어 랩 시트 (25) 와, 표면 시트 (21)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양 시트에 접합되어 있다. 탄성 부재 (29c) 의 수축력에 의해, 흡수성 코어 (24) 의 각 사이드 영역 (ST) 에 위치하는 흡수체 (23) 가 착용자의 피부측을 향하여 기립하게 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일회용 기저귀 (10) 의 각 부의 구성 재료에 대해 설명한다.
각 부의 구성 재료는, 당해 기술 분야에 있어서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것을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면 시트 (21) 로는, 친수성 또한 액 투과성의 부직포나, 개공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이면 시트 (22) 로는, 액 불투과성의 재료나 발수성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액 불투과성의 재료로는, 수지 필름이나, 수지 필름과 부직포 등의 라미네이트재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발수성의 재료로는, 발수성 부직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발수성 부직포로는, 방루 커프 (26) 를 형성하는 시트 재료 (27) 로서 사용하는, 후술하는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코어 랩 시트 (25) 로는, 습식 초조법에 의해 제조한 박엽지 (티슈 페이퍼) 나 액 투과성의 부직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방루 커프 (26) 를 형성하는 시트 재료 (27) 로는, 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 등으로 이루어지는 다층 구조의 복합 부직포, 스펀본드 부직포, 히트본드 부직포, 에어스루 부직포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유연성, 내수성 등의 점에서, 스펀본드와 멜트블로운으로 이루어지는 다층 구조의 부직포가 바람직하다.
외장체 (30) 를 형성하는 내층 시트 (31) 및 외층 시트 (32) 로는,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또는 상이한 통기성 시트, 예를 들어 각종 방법으로 제조된 부직포로 구성되어 있다. 내층 시트 (31) 및 외층 시트 (32) 로는, 예를 들어, 스펀본드 부직포가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흡수성 본체 (20) 에 사용하는 사상의 탄성 부재 (29a, 29b, 29c) 의 형태로는, 실고무, 소정폭의 띠상의 것 (평고무 등) 등이 바람직하고, 특히 실고무가 바람직하다. 외장체 (30) 에 사용하는 사상의 탄성 부재 (33) (웨이스트부 탄성 부재 (33W), 레그부 탄성 부재 (33L) 및 몸통 둘레 탄성 부재 (33D)) 도 동일하게, 실고무, 소정폭의 띠상의 것 (평고무 등) 등이 바람직하고, 특히 실고무가 바람직하다. 탄성 부재 (29a, 29b, 29c), 그리고 탄성 부재 (33) (웨이스트부 탄성 부재 (33W), 레그부 탄성 부재 (33L) 및 몸통 둘레 탄성 부재 (33D)) 의 소재로는, 천연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부타디엔, 이소프렌, 네오프렌 등의 합성 고무, EVA, 신축성 폴리올레핀, 우레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서술한 본 발명의 본 실시형태의 기저귀 (10) 를 사용했을 때의 작용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기저귀 (10) 는, 도 15 및 도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체 (23) 의 흡수성 코어 (24) 가, 흡수성 폴리머 (3) 를 구비한 흡수성 유닛 (4) 을 복수개 구비한 시트상물 (1) 로 형성되어 있다. 또, 흡수성 코어 (24) 인 시트상물 (1) 의 각 사이드 영역 (ST) 에 있어서,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흡수성 유닛 (4) 는, 그 종방향 (y1 방향) 이 물품 횡방향 (X) 을 향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그리고, 표면 시트 (21) 는, 도 2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체 (23) 의 피부 대향면의 전체면을 피복하고, 흡수체 (23) 의 양측 가장자리부로부터 물품 횡방향 (X) 외방으로 연장된 연장 부위 (21E) 를 가지고 있고, 그 연장 부위 (21E) 가, 흡수체 (23) 의 비피부 대향면측으로 되접어 꺾여, 흡수성 코어 (24) 의 각 사이드 영역 (ST) 에 위치하는 흡수체 (23) 의 비피부 대향면을 피복하고, 연장 부위 (21E) 의 선단부 (21E1) 가, 인접하는 흡수성 물품의 구성 부재에 접합부 (28) 로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각 흡수성 유닛 (4) 이, 그 종방향 (y1 방향) 이 물품 횡방향 (X) 을 향하도록 배열되어 있음과 함께, 표면 시트 (2) 가 각 흡수성 유닛 (4) 이 배열된 시트상물 (1) 의 각 사이드 영역 (ST) 을 싸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도 2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착용시에 각 사이드 영역 (ST) 에 대응하는 흡수체 (23) 의 사이드 부분의 흡수체가 기립하기 쉽고, 가랑이 하부 (C) 의 피트성 및 방루 성능이 향상되고, 또, 착용 중에 착용자에게 위화감을 주기 어렵게 되어 있다.
또, 기저귀 (10) 에서는, 도 2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방루 커프 (26) 를 형성하는 시트 재료 (27) 의 둘로 접은 선의 위치에, 사상의 탄성 부재 (29a) 가 신장 상태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이 탄성 부재 (29a) 가 수축됨으로써, 방루 커프 (26) 가 기립함에 따라, 흡수체 (23) 의 사이드 부분의 흡수체가 더욱 기립하기 쉬워져 있다. 또한, 기저귀 (10) 에서는, 도 2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체 (23) 의 양측 가장자리부에, 탄성 부재 (29c) 가 신장 상태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탄성 부재 (29c) 의 수축력에 의해, 흡수성 코어 (24) 의 각 사이드 영역 (ST) 에 위치하는 흡수체 (23) 가 착용자의 피부측을 향하여 더욱 기립하게 되어 있다. 또한, 기저귀 (10) 에서는, 도 2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탄성 부재 (29c) 보다 물품 횡방향 (X) 외방의 위치에, 사상의 탄성 부재 (29b) 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특히 각 사이드 영역 (ST) 에 위치하는 흡수체 (23) 가 기립하기 쉬워져 있다.
또, 기저귀 (10) 에서는, 도 2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 시트 (21) 의 선단부 (21E1) 가 방루 커프 (26) 를 형성하는 시트 재료 (27) 에 고정된 위치 (접합부 (28)) 와, 흡수성 코어 (24) 인 시트상물 (1) 의 중앙 영역 (CT) 과 각 사이드 영역 (ST) 의 경계에 대응하는 위치 (BP) 가 일치하고 있다. 그 때문에, 흡수체 (23) 의 사이드 부분의 흡수체가 더욱 기립하기 쉬워져 있다.
또, 기저귀 (10) 에서는,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코어 (24) 인 시트상물 (1) 의 중앙 영역 (CT) 에 있어서, 각 흡수성 유닛 (4) 은, 그 종방향 (y1 방향) 이 물품 종방향 (Y) 을 향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그 때문에, 기저귀 (10) 의 착용 중에, 흡수성 본체 (20) 에 있어서의 중앙 영역 (CT) 에 대응하는 부분이 착용자의 고간폭에 피트되기 쉽다. 또, 체액이, 시트상물 (1) 의 중앙 영역 (CT) 에 있어서 물품 종방향 (Y) 으로 확산되기 쉬워, 시트상물 (1) 전체를 유효하게 활용할 수 있어, 흡수 성능이 향상된다.
또, 기저귀 (10) 에서는, 흡수성 코어 (24) 인 시트상물 (1) 은, 도 1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팽윤 후의 상태에 있어서,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가 장척상 기체부 (2) 의 측 가장자리부 (2s) 를 넘어 팽윤되고 (도 19 에 나타내는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a) 참조), 또한 장척상 기체부 (2) 에 있어서의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의 위치가, 두께 방향 (Z 방향, z1 방향) 에 있어서, 액을 흡수하기 전의 위치와 상이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 때문에, 도 1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체액을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가 흡수하여 팽윤되어 있을 때, 이웃하는 흡수성 유닛 (4, 4) 끼리에 있어서, 장척상 기체부 (2) 의 측 가장자리부 (2s) 를 넘어 팽윤된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3) 끼리가 접촉했다고 해도, 이웃하는 흡수성 유닛 (4, 4) 끼리가 두께 방향 (Z 방향, z1 방향) 으로 자유롭게 움직이기 쉽고, 팽윤된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3) 끼리의 충돌이 완화되고, 팽윤된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에 가해지는 압력을 저감시킬 수 있고,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의 체액의 흡수를 잘 저해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흡수성 코어 (24) 인 시트상물 (1) 은, 체액을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가 흡수하여 팽윤되어 있을 때,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가 팽윤 저해를 잘 일으키지 않고,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의 흡수 성능을 최대한으로 발휘할 수 있으므로, 기저귀 (10) 의 흡수 성능이 향상되기 쉽다. 특히, 기저귀 (10) 에서는, 시트상물 (1) 은, 이웃하는 흡수성 유닛 (4, 4) 간에 있어서는 개재물이 비존재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흡수성 유닛 (4) 이 이동하기 쉬워, 상기 효과를 더욱 발휘하기 쉽게 되어 있다.
또, 기저귀 (10) 에서는, 시트상물 (1) 은, 도 19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팽윤 후의 상태에 있어서, 이웃하는 흡수성 유닛 (4) 을 구성하는 장척상 기체부 (2) 끼리의 위치가, 두께 방향 (Z 방향, z1 방향) 에 있어서, 상이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 때문에, 이웃하는 흡수성 유닛 (4, 4) 끼리가 두께 방향 (Z 방향, z1 방향) 으로 자유롭게 움직이기 쉽고, 팽윤된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3) 끼리의 충돌이 완화되기 쉽고, 팽윤된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에 가해지는 압력을 저감시킬 수 있고,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의 체액의 흡수를 잘 저해시키지 않는다.
기저귀 (10) 의 시트상물 (1) 에 있어서, 팽윤 후의 상태의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를 장척상 기체부 (2) 의 측 가장자리부 (2s) 를 넘어 팽윤시키고, 이웃하는 흡수성 유닛 (4, 4) 끼리를 두께 방향 (Z 방향, z1 방향) 으로 자유롭게 움직여,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의 팽윤 저해를 더욱 일으키기 어렵게 하는 관점에서, 도 18 에 나타내는 사용 전의 상태에 있어서,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가, 장척상 기체부 (2) 의 종방향 (y1 방향) 을 따른 측 가장자리부 (2s) 근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가, 장척상 기체부 (2) 의 측 가장자리부 (2s) 를 넘어 비어져 나와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도 18 에 나타내는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b) 참조).
특히, 시트상물 (1) 의 중앙 영역 (CT) 에 있어서, 팽윤 후의 상태의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를 장척상 기체부 (2) 의 측 가장자리부 (2s) 를 넘어 팽윤시키고, 이웃하는 흡수성 유닛 (4, 4) 끼리를 두께 방향 (Z 방향, z1 방향) 으로 자유롭게 움직여,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의 팽윤 저해를 더욱 일으키기 어렵게 하는 관점에서, 장척상 기체부 (2) 의 종방향 (y1 방향) 을 따른 양측 가장자리부 (2s, 2s) 간의 거리가, 사용 전 (팽윤 전) 의 상태의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의 평균 입자경보다 크고, 팽윤 후의 상태의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의 평균 입자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장척상 기체부 (2) 의 양측 가장자리부 (2s, 2s) 간의 거리란, 상기 서술한 장척상 기체부 (2) 의 폭 (W2C) 과 동일한 의미이다. 사용 전 (팽윤 전) 의 상태의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의 평균 입자경은, 2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00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그리고 7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0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20 ㎛ 이상 7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0 ㎛ 이상 500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팽윤 후의 상태의 흡수성 폴리머 (3) 의 평균 입자경은, 20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800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그리고 30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00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200 ㎛ 이상 30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00 ㎛ 이상 2000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의 평균 입자경은, 이하의 측정 방법에 의해 구해진다.
<사용 전의 상태의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의 평균 입자경 (d1) 의 측정 방법>
사용 전의 상태에 있어서의 평균 입자경 (d1) 은, 사용 전의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를 사용하여,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의 직경 혹은 장축을 광학 현미경 관찰로 측정하였다. 여기서 직경이란,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가 구상인 경우를 가리킨다. 또, 장축이란,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가 마름모꼴, 장방형, 방상, 풋볼형 등의 이형상인 경우를 가리킨다. 합계 50 개의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의 직경 혹은 장축을 측정하고, 그 수평균 입자경을 사용 전의 상태의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의 평균 입자경 (d1) 으로 한다.
<팽윤 후의 상태의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의 평균 입자경 (d2) 의 측정 방법>
팽윤 후의 상태에 있어서의 평균 입자경 (d2) 은, 시트상물 (1) 을 25 ℃ 로 조온한 생리 식염수 (0.9 질량% 염화나트륨 수용액) 중에 침지시키고, 침지 개시로부터 1 시간 후에 시트상물 (1) 을 생리 식염수로부터 취출하고, 30 분간 수직 상태로 매달아 물기를 제거한 후, 장척상 기체부 (2) 의 표면의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의 직경 혹은 장축을 광학 현미경 관찰로 측정하였다. 여기서 말하는 직경이란,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가 구상인 경우를 가리킨다. 또, 장축이란,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가 마름모꼴, 장방형, 방상, 풋볼형 등의 이형상인 경우를 가리킨다. 합계 50 개의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의 직경 혹은 장축을 측정하고, 그 수평균 입자경을 팽윤 후의 상태의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의 평균 입자경으로서 측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일회용 기저귀 (10) 에 사용되고 있는 시트상물의 제조 방법의 바람직한 일 실시양태를, 상기 구성의 시트상물 (1) 을 제조하는 경우를 예로 하여, 도 22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2 에는, 본 실시양태의 제조 방법에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제조 장치 (100) 가 나타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제조 장치 (100) 는, 제조 공정의 상류측으로부터 하류측을 향하여, 기재 시트 커트부 (110), 접착제 도포부 (120) 및 흡수성 폴리머 산포부 (130) 를, 이 순서로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22 에 나타내는 제조 장치 (100) 에 있어서는, 접착제 도포부 (120) 및 흡수성 폴리머 산포부 (130) 가 일체화된 장치를 사용하고 있지만, 접착제 도포부 (120) 및 흡수성 폴리머 산포부 (130) 가 일체화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상기 일체화된 장치는, 그 장치에 있어서의 상류측에 접착제 도포부 (120) 가 배치되고, 그 일체화된 장치에 있어서의 하류측에 흡수성 폴리머 산포부 (130) 가 배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기재 시트 커트부 (110) 는, 장척상 기체부 (2) 의 원료인 띠상의 기재 시트 (2b) 를 커트하여 복수개의 장척상 기체부 (2) 를 형성하는 부분이다. 기재 시트 (2b) 의 커트에는, 각종 공지된 커트 장치를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지만, 제조 장치 (100) 에 있어서는, 도 2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23 에 나타내는 둘레면에 복수의 커터날 (111a, 111a, 111a …) 이 배치된 로터리 다이 (111b) 와, 로터리 다이 (111b) 에 대향 배치된, 둘레면이 평탄한 받침 롤 (112) 을 구비한 커트 장치 (113) 를 1 세트 사용하고, 또한 도 24 에 나타내는 둘레면에 복수의 커터날 (115a, 115a, 115a …) 이 배치된 로터리 다이 (115b) 와, 로터리 다이 (115b) 에 대향 배치된 둘레면이 평탄한 받침 롤 (116) 을 구비한 커트 장치 (117) 를 1 세트 사용하고 있다.
상류측의 커트 장치 (113) 는, 기재 시트 (2b) 의 반송 방향 (Yd1 방향) 을 따른 양측부에 대응하도록, 도 2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의 축 방향의 양단부 각각에, 복수의 커터날 (111a, 111a, 111a …) 을 배치하고 있다. 복수의 커터날 (111a, 111a, 111a …) 은, 각각, 롤의 둘레 방향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그 칼날의 방향이, 띠상의 기재 시트 (2b) 의 반송 방향 (Yd1 방향) 에 직교하는 방향 (Xd1 방향) 에 배치되어 있다. 롤의 둘레 방향에 이웃하는 커터날 (111a, 111a) 끼리의 간격은, 형성되는 사이드 영역 (ST) 의 각 장척상 기체부 (2) 의 폭 (W2S) (도 17 참조) 에 대응하고 있다. 여기서, 기재 시트 (2b) 의 반송 방향 (Yd1 방향) 은, 제조되는 시트상물 (1) 의 물품 종방향 (Y) 에 대응하고 있고, 직교하는 방향 (Xd1 방향) 은, 제조되는 시트상물 (1) 의 물품 횡방향 (X) 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기재 시트 (2b) 의 커트에는,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용단하는 레이저 장치를 사용해도 된다.
도 17 에 나타내는 시트상물 (1) 과 같이, 시트상물 (1) 이, 물품 횡방향 (X) 의 양단부에 비슬릿 영역 (NT2) 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도 2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의 둘레면에, 커터날 (111a) 을 배치하지 않는 비배치 부분 (114) 을 형성하도록 하면 된다. 그리고, 회전하는 커터날 (111a) 을 갖는 롤의 둘레면에 있어서의 비배치 부분 (114) 의 원호의 길이는, 도 17 에 나타내는 시트상물 (1) 의 물품 종방향 (Y) 의 양단부에 배치되는 비슬릿 영역 (NT1) 의 물품 종방향 (Y) 의 길이의 합계와 동일한 길이에 대응하도록 한다. 또한, 커터날 (111a) 의 롤의 축 방향의 길이는, 도 17 에 나타내는 시트상물 (1) 의 사이드 영역 (ST) 이 갖는 장척상 기체부 (2) 의 종방향 (y1 방향) 의 길이 (L2S) (도 17 참조) 에 대응하고 있다. 또, 시트상물 (1) 이, 물품 종방향 (Y) 을 따른 양측부에 비슬릿 영역 (NT2) 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커터날 (111a) 의 롤의 축 방향의 길이가, 그 비슬릿 영역 (NT2) 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연장되지 않은 커터날 (111a) 을 사용하면 된다.
하류측의 커트 장치 (117) 는, 기재 시트 (2b) 의 반송 방향 (Yd1 방향) 의 중앙 영역에 대응하도록, 도 2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커터날 (115a, 115a, 115a …) 과, 복수의 커터날 (115a, 115a, 115a …) 에 공통적으로 대향 배치된, 둘레면이 평탄한 받침 롤 (116) 을 구비한 커트 장치 (117) 이다. 커트 장치 (117) 의 복수의 커터날 (115a, 115a, 115a …) 은, 각각, 띠상의 기재 시트 (2b) 의 반송 방향 (Yd1 방향) 에 직교하는 방향 (Xd1 방향) 에 일치하여 배치되어 있다. 직교하는 방향 (Xd1 방향) 에 이웃하는 커터날 (115a, 115a) 끼리의 간격은, 형성되는 중앙 영역 (CT) 의 각 장척상 기체부 (2) 의 폭 (W2C) (도 17 참조) 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기재 시트 (2b) 의 커트에는, 상측날과 하측날의 측면을 서로 문질러 절단하는 셰어 커트 방식의 커트 장치를 사용해도 되고,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용단하는 레이저 장치를 사용해도 된다.
도 17 에 나타내는 시트상물 (1) 과 같이, 시트상물 (1) 이, 물품 종방향 (Y) 의 양단부에 비슬릿 영역 (NT1) 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도 2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의 둘레면에, 커터날 (115a) 을 배치하지 않는 비배치 부분 (118) 을 형성하도록 하면 된다. 회전하는 커터날 (115a) 의 외주에 있어서의 비배치 부분 (118) 의 원호의 길이는, 도 17 에 나타내는 시트상물 (1) 이 갖는 비슬릿 영역 (NT1) 의 물품 종방향 (Y) 의 길이의 합계와 동일한 길이에 대응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비배치 부분 (118) 을 구비하는 복수의 커터날 (115a, 115a, 115a …) 을 준비하고, Xd1 방향에 이웃하는 커터날 (115a) 의 비배치 부분 (118, 118) 끼리의 위치를 맞춰 배치한 것을 사용하면 된다. 또한, 회전하는 커터날 (115a) 의 외주에 있어서의 비배치 부분 (118) 을 제외한 부분의 원호의 길이가, 도 17 에 나타내는 시트상물 (1) 의 중앙 영역 (CT) 이 갖는 장척상 기체부 (2) 의 종방향 (y1 방향) 의 길이 (L2C) (도 17 참조) 에 대응하고 있다.
기재 시트 커트부 (110) 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접착제 도포부 (120) 는, 장척상 기체부 (2) 의 일방의 면 (상면) 의 표면에 접착제 (5) 를 도포하는 부분이고, 제조 장치 (100) 에 있어서는, 도 2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포 헤드 (121) 를 구비하고 있다. 도포 헤드 (121) 에는, 각종 공지된 도포 장치를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도포 헤드 (121) 는, Xd1 방향에 있어서는, 시트상물 (1) 의 흡수 영역 (AT) 의 폭 (물품 횡방향 (X) 의 길이) 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도포 헤드 (121) 가, 장척상 기체부 (2) 의 일방의 면 (상면) 상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접착제 도포부 (120) 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흡수성 폴리머 산포부 (130) 는, 장척상 기체부 (2) 의 일방의 면 (상면) 의 표면에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를 산포하여 흡수성 유닛 (4) 을 형성하는 부분이고, 제조 장치 (100) 에 있어서는, 도 2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성 폴리머 도입부 (131) 를 구비하고 있다. 흡수성 폴리머 도입부 (131) 에는, 각종 공지된 도입 장치를 특별히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다. 흡수성 폴리머 도입부 (131) 는, Xd1 방향에 있어서는, 시트상물 (1) 의 흡수 영역 (AT) 의 폭 (물품 횡방향 (X) 의 길이) 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흡수성 폴리머 도입부 (131) 가, 장척상 기체부 (2) 의 일방의 면 (상면) 상에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또, 도 22 에 나타내는 제조 장치 (100) 에 있어서는, 접착제 도포부 (120) 및 흡수성 폴리머 산포부 (130) 가 일체화된 장치에 대향하는 위치로서, 반송되는 복수개의 장척상 기체부 (2) 의 하면측에 버큠 컨베이어 (141) 가 배치되어 있다. 버큠 컨베이어 (141) 는, 구동 롤 (142) 및 복수의 종동롤 (143) 에 걸쳐진 무단상의 통기성 벨트 (144) 와, 통기성 벨트 (144) 를 사이에 두고 상기 일체화된 장치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 버큠 박스 (145) 를 구비하고 있다. 버큠 컨베이어 (141) 상에는, 기재 시트 커트부 (110) 에서 기재 시트 (2b) 를 커트하여 형성되는 복수개의 장척상 기체부 (2) 가 도입되게 되어 있다.
또, 도 22 에 나타내는 제조 장치 (100) 에 있어서는, 띠상의 기재 시트 (2b) 의 원단 롤로부터 기재 시트 (2b) 를 조출하는 구동 롤 (151) 과, 가장 하류측에, 제조된 시트상물 (1) 의 전구체 (1b) 를 반송하는 구동 롤 (152) 을 구비하고 있다.
다음으로, 전술한 본 실시형태의 제조 장치 (100) 를 사용하여 시트상물 (1) 을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방법, 즉,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일회용 기저귀 (10) 에 사용되고 있는 시트상물 (1) 의 제조 방법의 일 실시양태에 대해 설명한다.
제조 장치 (100) 를 사용하는 시트상물 (1) 의 제조 방법은, 띠상의 기재 시트 (2b) 를 커트하여 복수개의 장척상 기체부 (2) 를 형성하는 커트 공정, 그 커트 공정의 후공정에,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를 산포하는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산포 공정을 구비하고 있다. 또, 본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산포 공정보다 전공정에, 접착제 (5) 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 공정을 구비하고 있다. 즉, 제조 장치 (100) 를 사용하는 시트상물 (1) 의 제조 방법은, 커트 공정의 후공정에 접착제 도포 공정을 구비하고, 접착제 도포 공정의 후공정에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산포 공정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커트 공정의 실시에 앞서, 먼저, 버큠 박스 (145) 내를, 그것에 접속된 배기 장치를 작동시켜 부압으로 한다.
이어서, 구동 롤 (151) 및 구동 롤 (152) 을 구동시키고, 커트 장치 (113) 및 통기성 벨트 (144) 를 회전시켜, 버큠 컨베이어 (141) 를 작동시킨다. 그리고, 구동 롤 (151) 에 의해 띠상의 기재 시트 (2b) 의 원단 롤로부터 기재 시트 (2b) 를 조출하고, 기재 시트 커트부 (110) 의 커트 장치 (113) 에 있어서의 복수의 커터날 (111a) 을 갖는 롤과 받침 롤 (112) 사이, 및 복수의 커터날 (115a) 과 받침 롤 (116) 사이에 공급하고, 그리고 띠상의 기재 시트 (2b) 를 커트하여 복수개의 장척상 기체부 (2) 를 형성한다 (커트 공정). 또한, 제조 장치 (100) 를 사용하는 시트상물 (1) 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띠상의 기재 시트 (2b) 를, 복수의 커터날 (111a) 을 갖는 롤과 받침 롤 (112) 사이에 공급하여 커트하고, 그 후, 복수의 커터날 (115a) 과 받침 롤 (116) 사이에 공급하여 커트하여, 복수개의 장척상 기체부 (2) 를 형성하고 있지만, 복수의 커터날 (115a) 과 받침 롤 (116) 사이에 공급하여 커트하고, 그 후, 복수의 커터날 (111a) 을 갖는 롤과 받침 롤 (112) 사이에 공급하여 커트하여, 복수개의 장척상 기체부 (2) 를 형성해도 된다.
상류측에 커트 장치 (113) 를 사용하는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도 2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롤의 축 방향의 양단부에 복수의 커터날 (111a, 111a, 111a …) 이 배치되고, 그 롤의 축 방향의 각 단부에 배치된 각 커터날 (111a) 의 칼날의 방향이, 띠상의 기재 시트 (2b) 의 반송 방향 (Yd1 방향) 에 직교하는 방향 (Xd1 방향) 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띠상의 기재 시트 (2b) 를, 기재 시트 (2b) 의 반송 방향 (Yd1 방향) 을 따른 양 사이드 영역에서 커트하고, 또한 각 사이드 영역에서, 반송 방향 (Yd1 방향) 으로 간격을 두고, 직교하는 방향 (Xd1 방향) 을 따라 복수 지점 커트하여 복수개의 장척상 기체부 (2) 가 형성된다. 또, 커터날 (111a) 로 커트된 부분이, 각 사이드 영역 (ST) 에 배치된 장척상 기체부 (2) 의 측 가장자리부 (2s) 가 된다.
또, 제조 장치 (100) 를 사용하는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롤의 축 방향의 양단부의 둘레면에, 커터날 (111a) 을 배치하지 않는 비배치 부분 (114) 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반송되는 띠상의 기재 시트 (2b) 에, 간헐적으로, 비슬릿 영역 (NT1) 의 물품 종방향 (Y) 의 길이의 합계와 동일한 길이분에 대응하는 비커트부 (NTb) 가 형성된다. 커트 공정의 상류측의 커트 장치 (113) 에서 형성된 양 사이드 영역의 복수개의 장척상 기체부 (2) 는, 직교하는 방향 (Xd1 방향) 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고, 반송 방향 (Yd1 방향) 에 병치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어서, 하류측에 커트 장치 (117) 를 사용하는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도 2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커터날 (115a) 이, 기재 시트 (2b) 의 반송 방향 (Yd1 방향) 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고, 각 커터날 (115a) 이, 띠상의 기재 시트 (2b) 의 반송 방향 (Yd1 방향) 에 직교하는 방향 (Xd1 방향) 에 일치하여 배치되어 있으므로, 띠상의 기재 시트 (2b) 의 중앙 영역에서 커트하고, 또한 중앙 영역에, 직교하는 방향 (Xd1 방향) 으로 간격을 두고, 반송 방향 (Yd1 방향) 을 따라 복수 지점 커트하여 복수개의 장척상 기체부 (2) 가 형성된다. 또, 커터날 (115a) 로 커트된 부분이, 중앙 영역 (CT) 에 배치된 장척상 기체부 (2) 의 측 가장자리부 (2s) 가 된다.
또, 제조 장치 (100) 를 사용하는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복수의 커터날 (115a) 이, 각각, 비배치 부분 (118) 을 가지고 있으므로, 비배치 부분 (118) 의 위치를, 상류측의 커트 장치 (113) 에서 형성된 비커트부 (NTb) 에 맞춤으로써, 반송되는 띠상의 기재 시트 (2b) 에, 간헐적으로, 비슬릿 영역 (NT1) 의 물품 종방향 (Y) 의 길이의 합계와 동일한 길이분에 대응하는 비커트부 (NTb) 가 형성된다. 커트 공정의 하류측의 커트 장치 (117) 에서 형성된 중앙 영역의 복수개의 장척상 기체부 (2) 는, 반송 방향 (Yd1 방향) 에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고, 직교하는 방향 (Xd1 방향) 에 병치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어서, 커트 공정에서 형성된 장척상 기체부 (2) 의 일방의 면의 표면에, 접착제 (5) 를 도포한다 (접착제 도포 공정). 제조 장치 (100) 를 사용하는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커트 공정에서 형성된 복수개의 장척상 기체부 (2) 를 버큠 컨베이어 (141) 로 반송하면서, 버큠 박스 (145) 상에 위치하는 동안에, 접착제 도포부 (120) 의 도포 헤드 (121) 에 의해, 직교하는 방향 (Xd1 방향) 에 병치하여 형성된 복수개의 장척상 기체부 (2) 의 일방의 면 (상면) 의 표면에, 비커트부 (NTb) 를 제외하고, 간헐적으로 접착제 (5) 를 도포한다.
이어서, 접착제 도포 공정에서 형성된 복수개의 장척상 기체부 (2) 의 일방의 면 (상면) 의 표면에 도포된 접착제 (5) 상에,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를 산포한다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산포 공정). 제조 장치 (100) 를 사용하는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접착제 도포 공정에서 형성된 일방의 면 (상면) 의 표면에 접착제 (5) 가 도포된 장척상 기체부 (2) 를 버큠 컨베이어 (141) 로 반송하면서, 버큠 박스 (145) 상에 위치하는 동안에, 흡수성 폴리머 산포부 (130) 의 흡수성 폴리머 도입부 (131) 에 의해, 병치한 복수개의 장척상 기체부 (2) 의 일방의 면 (상면) 의 표면에 도포된 접착제 (5) 상에, 비커트부 (NTb) 를 제외하고,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를 산포한다. 이와 같이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를 산포함으로써, 접착제 (5) 를 통해서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가 장척상 기체부 (2) 의 표면에 고정된 흡수성 유닛 (4) 을 복수개 형성한다.
시트상물 (1) 에서는, 각 장척상 기체부 (2) 의 양면 (상하면) 의 표면에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어, 도 18 에 나타내는 제조 장치 (100) 를 사용하여, 각 장척상 기체부 (2) 의 일방의 면 (상면) 의 표면에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를 고정시킨 후, 반전 롤을 개재하여 반전시키고, 그 후 다른 흡수성 폴리머 산포부 (130) 를 사용하여, 각 장척상 기체부 (2) 의 타방의 면 (하면) 의 표면에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를 산포하고 고정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시트상물 (1) 의 전구체 (1b) 가 형성된다. 형성된 시트상물 (1) 의 전구체 (1b) 에 있어서는, 중앙 영역에 형성된 복수개의 흡수성 유닛 (4) 은, 각각의 종방향 (y1 방향) 이, 반송 방향 (Yd1 방향) 을 향하도록 배열되어 있고, 각 사이드 영역에 형성된 복수개의 흡수성 유닛 (4) 은, 각각의 종방향 (y1 방향) 이 직교하는 방향 (Xd1 방향) 을 향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이어서, 시트상물 (1) 의 전구체 (1b) 를 구동 롤 (152) 에 의해 하류측으로 반송하고, 공지된 절단 장치 (도시 생략) 를 사용하여, 비커트부 (NTb) 의 반송 방향 (Yd1 방향) 의 길이의 이등분의 위치마다 절단하고, 물품 종방향 (Y) 의 양단부에 비슬릿 영역 (NT1) 을 갖는 시트상물 (1) 을 연속해서 제조한다. 이와 같이, 제조 장치 (100) 를 사용한 실시양태에 의하면, 시트상물 (1) 을 안정적으로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 제조 장치 (100) 를 사용하는 실시양태에 의하면, 복수의 커터날 (111a, 111a, 111a …), 또는 복수의 커터날 (115a, 115a, 115a …) 을 사용하여, 균일한 폭의 장척상 기체부 (2) 를 형성한 후, 장척상 기체부 (2) 의 일방의 면 (상면) 의 표면에 접착제 (5) 를 도포하고 있으므로, 제조되는 시트상물 (1) 에 있어서는, 중앙 영역 (CT) 또는 각 사이드 영역 (ST) 에 형성된, 횡방향 (x1 방향) 에 이웃하는 흡수성 유닛의 장척상 기체부 (2, 2) 끼리가 전체에 걸쳐 인접하고 있는 형태가 되기 쉽다. 이와 같은 시트상물 (1) 을 안정적으로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인 일회용 기저귀 (10) 는, 제조 장치 (100) 를 사용하여 제조된 시트상물 (1) 을 흡수성 코어 (24) 에 사용하는 것 이외에는, 이른바 횡류 (橫流) 방식의 팬츠형 일회용 기저귀의 공지된 제조 방법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트상물 (1) 을, 그 길이 방향을 흐름 방향 (종류 (縱流)) 으로 연속적으로 반송하면서, 띠상의 코어 랩 시트 (25) 로 전체를 피복하여, 시트상물 (1) 이 흐름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배치된 흡수체 (23) 의 연속체를 형성한다. 그 후, 연속하는 사상의 탄성 부재 (29a, 29b, 29c) 가 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되접어 꺾인 시트 재료 (27) 를, 띠상의 표면 시트 (21) 의 양측부에 고정시켜 형성된 톱 시트 부재로, 흡수체 (23) 의 연속체의 상면을 피복함과 함께, 띠상의 이면 시트 (22) 로 흡수체 (23) 의 연속체의 하면을 피복한다. 그 후, 그 톱 시트 부재의 흐름 방향 (종류) 을 따른 양측부를, 흡수체 (23) 의 연속체의 하면측으로 감아내려, 이들 구성 부재를 고정시키고, 흐름 방향 (종류) 에 이웃하는 시트상물 (1) 사이마다 분단하여, 흡수성 본체 (20) 를 흐름 방향 (종류) 으로 연속적으로 제조한다. 그 후에는, 각 흡수성 본체 (20) 를 90 도 회전시키고, 다른 공정에서 제조된 띠상의 외장체 (30) 의 내층 시트 (31) 상에, 핫멜트 접착제 등의 접착제를 통해서 고정시켜, 기저귀 (1) 의 연속체를 형성한다. 이어서, 흡수성 본체 (20) 가 배치된 외장체 (30) 의 연속체에 있어서의 레그부 탄성 부재 (33L) 로 환상 (環狀) 으로 둘러싸인 환상부의 내측에 레그 홀을 형성한다. 이어서, 외장체 (30) 의 연속체의 흐름 방향의 양측부가 겹치도록 중첩하고, 외장체 (30) 의 연속체와 흡수성 본체 (20) 를 둘로 접는다. 그 후는, 사이드 시일부 (S) 를 간헐적으로 형성하고, 그 후, 사이드 시일부 (S) 에서 절단하여, 기저귀 (1) 를 연속적으로 제조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제한되지 않고 적절히 변경 가능하다.
상기 서술한 기저귀 (10) 가 갖는 흡수성 코어 (24) 인 시트상물 (1) 은, 도 16 및 도 1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앙 영역 (CT) 및 각 사이드 영역 (ST)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균일한 폭의 장척상 기체부 (2) 를 갖는 흡수성 유닛 (4) 을 복수개 사용하여 형성되어 있지만, 장척상 기체부 (2) 의 폭은 불균일해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시트상물 (1) 을 평면에서 보았을 때,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3) 가 편재되어 고정되어 있고, 고정된 흡수성 폴리머 (3) 의 평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부분에 있어서, 장척상 기체부 (2) 의 종방향 (y1 방향) 을 따른 양측 가장자리부 (2s, 2s) 간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짧아져 있어도 된다. 즉, 고정된 흡수성 폴리머 (3) 의 평량이 많은 부분과 적은 부분을 비교하여, 고정된 흡수성 폴리머 (3) 의 평량이 많은 부분에 있어서의 장척상 기체부 (2) 의 양측 가장자리부 (2s, 2s) 간의 거리가, 고정된 흡수성 폴리머 (3) 의 평량이 적은 부분에 있어서의 장척상 기체부 (2) 의 양측 가장자리부 (2s, 2s) 간의 거리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상의 구성을 갖는 시트상물 (1) 이면, 고정된 흡수성 폴리머 (3) 의 평량이 많은 부분에 있어서, 이웃하는 흡수성 유닛 (4, 4) 끼리가 두께 방향 (Z 방향, z1 방향) 으로 자유롭게 움직이기 쉬워, 시트상물 (1) 이 잘 딱딱해지지 않고, 또, 흡수성 폴리머 (3) 의 흡수 성능을 최대한으로 발휘할 수 있으므로, 시트상물 (1) 의 흡수 성능이 향상되기 쉽다.
또, 상기 서술한 도 17 에 나타내는 기저귀 (10) 의 시트상물 (1) 은, 중앙 영역 (CT) 에 있어서, 복수개의 흡수성 유닛 (4) 각각의 종방향 (y1 방향) 이 시트상물 (1) 의 물품 종방향 (Y) 을 향하도록 배열하여 형성되어 있지만, 복수개의 흡수성 유닛 (4) 각각의 종방향 (y1 방향) 이 시트상물 (1) 의 물품 횡방향 (X) 을 향하도록 배열하여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상기 서술한 도 17 에 나타내는 기저귀 (10) 의 시트상물 (1) 은, 각 사이드 영역 (ST) 에 있어서, 각 흡수성 유닛 (4) 및 각 장척상 기체부 (2) 가 물품 횡방향 (X) 에 평행하게 직선상으로 연장되어 있지만, 형상에 상관없이 물품 횡방향 (X) 으로 연장되어 있으면 된다. 예를 들어, 각 흡수성 유닛 (4) 및 각 장척상 기체부 (2) 는, 물품 횡방향 (X) 으로 S 자상을 반복하여 연장되어 있어도 되고, 물품 횡방향 (X) 으로 톱니 모양상으로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또, 상기 서술한 도 16 및 도 20 에 나타내는 기저귀 (10) 는, 흡수성 본체 (20) 가, 물품 종방향 (Y) 을 따른 양측부에 1 쌍의 방루 커프 (26, 26) 를 가지고 있지만,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1 쌍의 방루 커프 (26, 26) 를 가지고 있지 않아도 된다. 1 쌍의 방루 커프 (26, 26) 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 표면 시트 (21) 의 연장 부위 (21E) 의 선단부 (21E1) 가 고정되는 비피부 대향면측의 흡수성 물품의 구성 부재란, 이면 시트 (22), 혹은 외장체 (30) 를 구성하는 내층 시트 (31) 가 된다.
또, 상기 서술한 본 실시양태의 시트상물 (1) 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는, 커트 공정의 후공정에 접착제 도포 공정을 구비하고, 접착제 도포 공정의 후공정에 흡수성 폴리머 산포 공정을 구비하고 있지만, 기재 시트 (2b) 의 일방의 면에 기모 가공을 실시하는 경우에는, 접착제 도포 공정 대신 기모 가공 공정을 구비하면 된다. 이와 같은 기모 가공 공정을 커트 공정의 전공정에 구비하면 된다. 기모 가공을 실시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092476호에 기재된 방법, 혹은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3-028891호에 기재된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상기 서술한 일회용 기저귀 (1) 이외에, 뇨나 경혈 등의 배설 체액을 흡수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면 된다. 흡수성 물품에는, 예를 들어, 전개형의 일회용 기저귀, 생리용 냅킨, 실금 패드 등이 포함되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인체로부터 배출되는 액의 흡수에 사용되는 물품을 넓게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서술한 실시형태에 관해, 추가로 이하의 시트상물 및 흡수성 물품을 개시한다.
<1>
횡방향과, 그 횡방향보다 길이가 긴 종방향과, 두께 방향을 갖는 장척상 기체부, 및 그 장척상 기체부의 일방의 면의 표면에 고정된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를 구비한 흡수성 유닛을 복수개 구비하고, 각 그 흡수성 유닛을, 그 종방향이 적어도 일방향을 향하도록 배열시켜 이루어지는 흡수성 물품용의 시트상물로서,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가 액을 흡수하면, 그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가, 상기 장척상 기체부의 상기 종방향을 따른 측 가장자리부를 넘어 팽윤되고, 또한 그 장척상 기체부의 위치가, 상기 두께 방향에 있어서, 액을 흡수하기 전의 위치와 상이하도록 이루어져 있는 시트상물.
<2>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가 액을 흡수하기 전에,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가, 상기 장척상 기체부의 상기 측 가장자리부 근방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1> 에 기재된 시트상물.
<3>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가 액을 흡수하기 전에,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가, 상기 장척상 기체부의 상기 측 가장자리부를 넘어 비어져 나와 있는 상기 <1> 또는 <2> 에 기재된 시트상물.
<4>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가 액을 흡수하기 전에, 이웃하는 상기 장척상 기체부끼리는, 적어도 일부 인접하고 있는 상기 <1> ∼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시트상물.
<5>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가 액을 흡수하기 전에, 이웃하는 상기 장척상 기체부끼리는, 전체에 걸쳐 인접하고 있는 상기 <1> ∼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시트상물.
<6>
상기 시트상물은, 상기 종방향의 양단부에, 복수의 상기 장척상 기체부가 상기 횡방향으로 연결된 비슬릿 영역을 구비하고 있는 상기 <1> ∼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시트상물.
<7>
상기 시트상물은, 상기 종방향의 양단부에, 복수의 상기 장척상 기체부가 상기 횡방향으로 연결된 비슬릿 영역을 구비하고 있고, 그 비슬릿 영역에는,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가 고정되지 않은 상기 <1> ∼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시트상물.
<8>
상기 시트상물은, 상기 종방향의 양단부가, 상기 흡수성 물품에 고정되어 있는 상기 <1> ∼ <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시트상물.
<9>
상기 장척상 기체부는, 상기 종방향을 따른 양측 가장자리부간의 거리가,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가 액을 흡수하기 전의 상태의 평균 입자경보다 크고,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가 액을 흡수하여 팽윤된 상태의 평균 입자경보다 작은 상기 <1> ∼ <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시트상물.
<10>
상기 장척상 기체부는, 친수성인 상기 <1> ∼ <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시트상물.
<11>
상기 장척상 기체부는, 부직포인 상기 <1> ∼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시트상물.
<12>
상기 시트상물을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가 편재되어 고정되어 있고, 고정된 그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의 평량이 상대적으로 많은 부분에 있어서, 상기 장척상 기체부의 종방향을 따른 양측 가장자리부간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짧은 상기 <1> ∼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시트상물.
<13>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가 액을 흡수하기 전에,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는, 상기 장척상 기체부의 타방의 면의 표면에 고정되어 있는 상기 <1> ∼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시트상물.
<14>
상기 장척상 기체부의 타방의 면의 표면에 고정된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의 평량쪽이, 그 장척상 기체부의 일방의 면의 표면에 고정된 그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의 평량보다 큰 상기 <13> 에 기재된 시트상물.
<15>
상기 장척상 기체부의 일방의 면의 표면에 고정된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는, 그 장척상 기체부의 타방의 면의 표면에 고정된 그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에 비해, 가압하 통액 성능이 높고, 원심 유지량이 낮은 상기 <13> 또는 <14> 에 기재된 시트상물.
<16>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는, 접착제를 통해서 상기 장척상 기체부에 고정되어 있는 상기 <1> ∼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시트상물.
<17>
상기 횡방향에 있어서 이웃하는 상기 흡수성 유닛간에 있어서는, 개재물이 비존재 상태로 되어 있는 상기 <1> ∼ <1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시트상물.
<18>
상기 흡수성 유닛은, 그 종방향이 상기 시트상물의 종방향을 향하도록 복수개 배열되어 있는 상기 <1> ∼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시트상물.
<19>
상기 흡수성 유닛은, 시트상물 1 장당, 3 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50 개 이상 배치되어 있고, 그리고 1000 개 이하, 바람직하게는 500 개 이하 배치되어 있고, 구체적으로는, 3 개 이상 1000 개 이하, 바람직하게는 50 개 이상 500 개 이하 배치되어 있는 상기 <18> 에 기재된 시트상물.
<20>
상기 흡수성 유닛은, 그 종방향이 상기 시트상물의 횡방향을 향하도록 복수개 배열되어 있고,
상기 흡수성 유닛은, 상기 시트상물 1 장당, 3 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50 개 이상 배치되어 있고, 그리고 3500 개 이하, 바람직하게는 2000 개 이하 배치되어 있고, 구체적으로는, 3 개 이상 3500 개 이하, 바람직하게는 50 개 이상 2000 개 이하 배치되어 있는 상기 <1> ∼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시트상물.
<21>
상기 흡수성 유닛은, 횡방향의 길이가, 0.5 ㎜ 이상 10 ㎜ 이하, 바람직하게는 1 ㎜ 이상 5 ㎜ 이인 상기 <1> ∼ <2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시트상물.
<22>
상기 흡수성 유닛의 종방향의 길이는, 그 흡수성 유닛의 횡방향의 길이에 대하여, 20 배 이상 200 배 이하, 바람직하게는 40 배 이상 80 배인 상기 <1> ∼ <2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시트상물.
<23>
상기 흡수성 유닛의 종방향의 길이는, 10 ㎜ 이상 500 ㎜ 이하, 바람직하게는 200 ㎜ 이상 400 ㎜ 이하인 상기 <22> 에 기재된 시트상물.
<24>
상기 시트상물의 폭에 대한 상기 장척상 기체부의 폭의 비율은, 0.001 이상, 바람직하게는 0.002 이상이고, 그리고 0.2 이하, 바람직하게는 0.04 이하이고, 구체적으로는, 0.001 이상 0.2 이하, 바람직하게는 0.002 이상 0.04 이하인 상기 <1> ∼ <2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시트상물.
<25>
상기 장척상 기체부의 폭은, 0.3 ㎜ 이상, 바람직하게는 0.6 ㎜ 이상이고, 그리고 10 ㎜ 이하, 바람직하게는 2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8 ㎜ 이하이고, 구체적으로는, 0.3 ㎜ 이상 10 ㎜ 이하, 바람직하게는 0.6 ㎜ 이상 2 ㎜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6 ㎜ 이상 1.8 ㎜ 이하인 상기 <1> ∼ <2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시트상물.
<26>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상에, 추가로 장척상 기체부가 배치되어 있고, 그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가 상하 2 장의 상기 장척상 기체부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어 있는 상기 <1> ∼ <2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시트상물.
<27>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상에, 상기 장척상 기체부보다 폭이 넓은 기재 시트가 추가로 배치되어 있고, 그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가 상기 장척상 기체부 및 상기 기재 시트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어 있는 상기 <1> ∼ <2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시트상물.
<28>
상기 <1> ∼ <2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시트상물과, 그 시트상물을 피복하는 액 투과성의 코어 랩 시트를 갖는 흡수성 물품용의 흡수체.
<29>
상기 <28> 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용의 흡수체와, 그 흡수체의 피부 대향면측에 배치된 표면 시트와, 그 흡수체의 비피부 대향면측에 배치된 이면 시트를 갖는 흡수성 물품.
<30>
횡방향과, 그 횡방향보다 길이가 긴 종방향과, 두께 방향을 갖는 장척상 기체부, 및 그 장척상 기체부의 일방의 면의 표면에 고정된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를 구비한 흡수성 유닛을 복수개 구비하고, 각 그 흡수성 유닛을, 그 종방향이 적어도 일방향을 향하도록 배열시켜 이루어지고,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가 액을 흡수하면, 그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가, 상기 장척상 기체부의 상기 종방향을 따른 측 가장자리부를 넘어 팽윤되고, 또한 그 장척상 기체부의 위치가, 상기 두께 방향에 있어서, 액을 흡수하기 전의 위치와 상이하도록 이루어져 있는 흡수성 물품용의 시트상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띠상의 기재 시트를 커트하여 복수개의 상기 장척상 기체부를 형성하는 커트 공정과, 형성된 복수개의 상기 장척상 기체부의 일방의 면의 표면에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를 산포하는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산포 공정을 구비하는 시트상물의 제조 방법.
<31>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산포 공정보다 전공정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 공정을 구비하고 있는 상기 <30> 에 기재된 시트상물의 제조 방법.
<32>
상기 커트 공정의 후공정에 상기 접착제 도포 공정을 구비하고, 그 접착제 도포 공정의 후공정에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산포 공정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커트 공정에서 형성된 상기 장척상 기체부의 일방의 면의 표면에, 상기 접착제 도포 공정에서 상기 접착제를 도포하고, 그 장척상 기체부의 일방의 면의 표면에 도포된 그 접착제 상에,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산포 공정에서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를 산포하고, 그 접착제를 통해서 그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가 그 장척상 기체부에 고정된 상기 시트상물을 형성하는 상기 <31> 에 기재된 시트상물의 제조 방법.
<33>
상기 커트 공정에 있어서는, 상기 띠상의 기재 시트를, 그 기재 시트의 반송 방향을 따라 커트하고, 또한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수 지점 커트하여 복수개의 장척상 기체부를 형성하는 상기 <30> ∼ <3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시트상물의 제조 방법.
<34>
상기 커트 공정에 있어서, 상기 띠상의 기재 시트에, 그 기재 시트의 반송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배치되는 비커트부를 형성하는 상기 <30> ∼ <3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시트상물의 제조 방법.
<35>
상기 커트 공정에 있어서, 상기 띠상의 기재 시트에, 그 기재 시트의 반송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배치되는 비커트부를 형성하고,
상기 접착제 도포 공정에 있어서, 상기 비커트부를 제외하고, 간헐적으로 접착제를 도포하는 상기 <31> 또는 <32> 에 기재된 시트상물의 제조 방법.
<36>
상기 커트 공정에 있어서, 상기 띠상의 기재 시트에, 그 기재 시트의 반송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배치되는 비커트부를 형성하고,
상기 비커트부를 제외하고,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를 산포하는 상기 <30> ∼ <3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시트상물의 제조 방법.
<37>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산포 공정 후에, 산포된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상기 <30> ∼ <3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시트상물의 제조 방법.
<38>
상기 커트 공정에 있어서, 상기 기재 시트를 커트하여 복수개의 상기 장척상 기체부를 형성하고,
형성한 복수개의 상기 장척상 기체부 전부의 일방의 면의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복수개의 상기 장척상 기체부에 있어서의, 상기 기재 시트를 그 직교하는 방향의 이등분의 위치보다 일방측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장척상 기체부의 일방의 면의 표면에 도포한 상기 접착제 상에만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를 산포하고, 그 접착제를 통해서 그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를 상기 장척상 기체부에 고정시키고, 이어서 상기 이등분의 위치보다 타방측에 위치하는, 일방의 면의 표면에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복수개의 장척상 기체부를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상으로 되접어 꺾어, 상기 장척상 기체부에서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를 사이에 둔 시트상물을 얻는 상기 <30> ∼ <3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시트상물의 제조 방법.
<39>
상기 커트 공정에서, 상기 기재 시트를 커트하여 복수개의 상기 장척상 기체부를 형성하고,
상기 장척상 기체부의 일방의 면의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상기 장척상 기체부에 있어서의 그 접착제가 도포된 면에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를 산포하고,
산포된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상에 추가로 접착제를 도포하고,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상에 도포된 상기 접착제 상에, 제 2 기재 시트를 커트함으로써 얻어진 제 2 장척상 기체부를 배치하고, 상기 장척상 기체부 및 상기 제 2 장척상 기체부에서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를 사이에 둔 시트상물을 얻는 상기 <30> ∼ <3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시트상물의 제조 방법.
<40>
상기 커트 공정에서, 상기 기재 시트를 커트하여 복수개의 상기 장척상 기체부를 형성하고,
상기 장척상 기체부의 일방의 면의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상기 장척상 기체부에 있어서의 그 접착제가 도포된 면의 표면에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를 산포하고,
산포된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상에 추가로 접착제를 도포하고,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상에 도포된 상기 접착제 상에, 상기 장척상 기체부보다 폭이 넓은 제 2 기재 시트를 배치하고, 상기 장척상 기체부 및 상기 제 2 기재 시트에서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를 사이에 둔 시트상물을 얻는 상기 <30> ∼ <3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시트상물의 제조 방법.
<41>
상기 표면 시트, 상기 이면 시트, 및 이들 양 시트간에 개재된 상기 흡수체를 구비하는 흡수성 본체를 구비하고, 착용자의 전후 방향에 대응하는 물품 종방향 및 그 물품 종방향에 직교하는 물품 횡방향을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체는, 횡방향과, 횡방향보다 길이가 긴 종방향과, 두께 방향을 갖는 상기 장척상 기체부, 및 그 장척상 기체부의 일방의 면의 표면에 고정된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를 구비한 상기 흡수성 유닛을 복수개 구비하고, 각 그 흡수성 유닛을, 그 종방향이 적어도 일방향을 향하도록 배열시켜 이루어지는 상기 시트상물로 형성된 흡수성 코어를 가지고 있고, 상기 흡수성 코어는, 물품 횡방향 중앙의 중앙 영역과, 그 중앙 영역보다 물품 횡방향 외방에 형성된 1 쌍의 사이드 영역을 구비하고, 각 상기 사이드 영역에 있어서, 각 상기 흡수성 유닛은, 그 종방향이 물품 횡방향을 향하도록 배열되어 있고, 상기 표면 시트는, 상기 흡수체의 피부 대향면을 피복하고, 그 흡수체의 양측 가장자리부로부터 물품 횡방향 외방으로 연장된 연장 부위를 가지고 있고, 그 연장 부위가, 그 흡수체의 비피부 대향면측으로 되접어 꺾여, 상기 흡수성 코어의 각 상기 사이드 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흡수체의 비피부 대향면을 피복하고 있고, 상기 표면 시트에 있어서의 되접어 꺾인 상기 연장 부위는, 그 선단부가, 그 연장 부위와 인접하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구성 부재에 고정되어 있는, 상기 <29> 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42>
상기 흡수체의 양측 가장자리부 각각에, 그 측 가장자리부를 따라 탄성 부재를 배치하고, 그 탄성 부재의 수축력에 의해, 상기 흡수성 코어의 각 상기 사이드 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흡수체가 착용자의 피부측을 향하여 기립하는, 상기 <41> 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43>
상기 흡수성 코어의 각 상기 사이드 영역에 배치된 상기 흡수성 유닛의 상기 장척상 기체부의 종방향을 따른 양측 가장자리부간의 거리와, 상기 흡수성 코어의 상기 중앙 영역에 배치된 상기 흡수성 유닛의 상기 장척상 기체부의 종방향을 따른 양측 가장자리부간의 거리가 상이한, 상기 <41> 또는 <42> 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44>
상기 흡수성 코어의 상기 중앙 영역에 있어서, 각 상기 흡수성 유닛은, 그 종방향이 물품 종방향을 향하도록 배열되어 있는, 상기 <41> ∼ <4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45>
상기 흡수성 코어의 상기 중앙 영역에 배치된 상기 흡수성 유닛의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평량쪽이, 상기 흡수성 코어의 각 상기 사이드 영역에 배치된 상기 흡수성 유닛의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평량보다 큰, 상기 <41> ∼ <4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46>
상기 표면 시트의 상기 연장 부위의 선단부와 상기 흡수성 물품의 구성 부재가 접합된 위치가, 상기 흡수성 코어의 상기 중앙 영역과 각 상기 사이드 영역의 경계에 대응하는 위치와 일치하고 있는, 상기 <41> ∼ <4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47>
상기 흡수성 코어는, 팽윤 후의 상태에 있어서, 그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가, 상기 장척상 기체부의 상기 종방향을 따른 측 가장자리부를 넘어 팽윤되고, 또한 그 장척상 기체부에 있어서의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의 위치가, 상기 두께 방향에 있어서, 액을 흡수하기 전의 위치와 상이하도록 이루어져 있는, 상기 <41> ∼ <4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48>
상기 흡수성 코어의 상기 중앙 영역에, 상기 흡수성 유닛이 배열되어 있고,
상기 흡수성 코어는, 상기 중앙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흡수성 유닛이 배열된 부분에서는, 상기 흡수성 물품에 고정되지 않은, 상기 <41> ∼ <4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49>
상기 흡수성 코어는, 상기 종방향의 양단부가, 상기 흡수성 물품에 고정되어 있는, 상기 <41> ∼ <4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50>
상기 흡수성 코어는, 상기 종방향을 따른 양측부가, 상기 흡수성 물품에 고정되어 있는, 상기 <41> ∼ <4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51>
상기 흡수성 코어는, 상기 종방향의 양단부 또는 상기 종방향을 따른 양측부에는,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가 고정되지 않은, 상기 <41> ∼ <5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52>
상기 흡수성 코어는, 상기 장척상 기체부가 친수성인, 상기 <41> ∼ <5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53>
상기 흡수성 코어는, 상기 장척상 기체부의 일방의 면의 표면에 고정된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종류와, 그 장척상 기체부의 타방의 면의 표면에 고정된 그 흡수성 폴리머의 종류가 상이한, 상기 <41> ∼ <5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54>
상기 사이드 영역은, 복수개의 상기 흡수성 유닛이 서로 교차하지 않게, 각 상기 흡수성 유닛이 물품 횡방향 (X) 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상기 <41> ∼ <5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55>
상기 사이드 영역은, 균일한 폭의 상기 장척상 기체부를 갖는 상기 흡수성 유닛을 복수개 사용하여, 그 흡수성 유닛의 종방향 (y1 방향) 을 상기 시트상물의 물품 횡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시트상물의 물품 횡방향에 평행하게 배치하고, 또한 물품 종방향에 병치하여 형성되어 있는, 상기 <41> ∼ <5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56>
상기 사이드 영역은, 상기 장척상 기체부의 횡방향 (x1 방향) 에 있어서 이웃하는 상기 흡수성 유닛간에 있어서는, 개재물이 비존재 상태로 되어 있는, 상기 <41> ∼ <5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57>
상기 중앙 영역은, 상기 흡수성 유닛의 종방향 (y1 방향) 이 상기 시트상물의 물품 종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흡수성 유닛을 복수개 배열시켜 형성되어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복수개의 상기 흡수성 유닛이 서로 교차하지 않게, 각 상기 흡수성 유닛이 물품 종방향 (Y) 에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상기 <41> ∼ <5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58>
상기 중앙 영역에서는, 상기 장척상 기체부의 횡방향 (x1 방향) 에 있어서 이웃하는 상기 흡수성 유닛간에 있어서는, 개재물이 비존재 상태로 되어 있는, 상기 <41> ∼ <5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59>
상기 시트상물은, 사용 전의 상태에 있어서, 일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흡수성 유닛을 복수개 배열한 흡수 영역을 갖고,
상기 시트상물 전체에 대한 상기 흡수 영역의 비율은, 2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그리고 1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90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한, 상기 <41> ∼ <5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60>
상기 사이드 영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유닛의 종방향 (y1 방향) 을 물품 횡방향 (X) 을 향하도록 배치하는 경우, 그 흡수성 유닛은, 각 상기 사이드 영역에, 10 개 이상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50 개 이상 배치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그리고 3500 개 이하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1700 개 이하 배치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 상기 <41> ∼ <5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61>
상기 중앙 영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유닛의 종방향 (y1 방향) 을 물품 종방향 (Y) 을 향하도록 배치하는 경우, 그 흡수성 유닛은, 상기 중앙 영역에, 2 개 이상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10 개 이상 배치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000 개 이하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500 개 이하 배치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 상기 <41> ∼ <6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62>
각 상기 사이드 영역에 배치된 1 개의 상기 장척상 기체부의 폭 (횡방향 (x1 방향) 의 길이) 이, 상기 중앙 영역에 배치된 1 개의 상기 장척상 기체부의 폭 (횡방향 (x1 방향) 의 길이) 보다 짧은, 상기 <41> ∼ <6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63>
상기 시트상물의 상기 중앙 영역에 있어서, 그 시트상물의 폭에 대한 1 개의 상기 장척상 기체부의 폭 (횡방향 (x1 방향) 의 길이) 의 비율은, 0.1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2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그리고 2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한, 상기 <41> ∼ <6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64>
상기 중앙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장척상 기체부의 폭은, 0.3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6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그리고 1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한, 상기 <41> ∼ <6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65>
상기 시트상물의 상기 중앙 영역에 있어서, 그 시트상물 (1) 의 길이에 대한 1 개의 상기 장척상 기체부 (2) 의 길이 (종방향 (y1 방향) 의 길이) 의 비율은, 2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0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그리고 1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98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한, 상기 <41> ∼ <6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66>
상기 중앙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장척상 기체부의 길이는, 2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00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그리고 10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980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한, 상기 <41> ∼ <6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67>
상기 사이드 영역에 있어서, 상기 시트상물의 폭에 대한 1 개의 그 장척상 기체부의 길이 (종방향 (y1 방향) 의 길이)) 의 비율은, 1.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그리고 47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0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한, 상기 <41> ∼ <6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68>
각 상기 사이드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장척상 기체부의 길이는, 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그리고 14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20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한, 상기 <41> ∼ <6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69>
상기 시트상물의 각 상기 사이드 영역에 있어서, 시트상물의 길이에 대한 1 개의 상기 장척상 기체부의 (횡방향 (x1 방향) 의 길이) 의 비율은, 0.03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06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그리고 1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한, 상기 <41> ∼ <6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70>
각 상기 사이드 영역에 있어서의 상기 장척상 기체부의 폭은, 0.3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6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그리고 1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한, 상기 <41> ∼ <6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71>
상기 장척상 기체부의 일방의 면의 표면에 고정시키는 흡수성 폴리머의 평량은, 10 g/㎡ 이상 250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장척상 기체부의 타방의 면의 표면에 고정시키는 흡수성 폴리머 (3) 의 평량은, 30 g/㎡ 이상 400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한, 상기 <41> ∼ <7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72>
상기 장척상 기체부의 일방의 면의 표면에 고정된 흡수성 폴리머에 관해, 2.0 ㎪ 에서의 가압하 통액 속도는, 20 ㎖/min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40 ㎖/min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그리고 1000 ㎖/min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800 ㎖/min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한, 상기 <41> ∼ <7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73>
상기 장척상 기체부의 타방의 면의 표면에 고정된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에 관해, 2.0 ㎪ 에서의 가압하 통액 속도는, 0 ㎖/min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min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그리고 400 ㎖/min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0 ㎖/min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한, 상기 <41> ∼ <7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74>
상기 장척상 기체부의 일방의 면의 표면에 고정된 흡수성 폴리머에 관해, 그 원심 유지량 (흡수량) 은, 20 g/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5 g/g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그리고 50 g/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45 g/g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한, 상기 <41> ∼ <7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75>
상기 장척상 기체부의 타방의 면의 표면에 고정된 흡수성 폴리머에 관해, 그 원심 유지량 (흡수량) 은, 25 g/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g/g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그리고 65 g/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5 g/g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한, 상기 <41> ∼ <7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76>
각 상기 장척상 기체부의 양면 (상면 및 하면) 의 표면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코어인 상기 시트상물의 상기 중앙 영역에 배치된 상기 흡수성 유닛의 흡수성 폴리머의 평량쪽이, 상기 흡수성 코어인 상기 시트상물의 각 상기 사이드 영역에 배치된 상기 흡수성 유닛의 흡수성 폴리머의 평량보다 큰, 상기 <41> ∼ <7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77>
상기 중앙 영역에 배치된 상기 흡수성 유닛의 흡수성 폴리머의 평량은, 편면당, 30 g/㎡ 이상 400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 g/㎡ 이상 300 g/㎡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한, 상기 <41> ∼ <7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78>
각 상기 사이드 영역에 배치된 상기 흡수성 유닛의 흡수성 폴리머의 평량은, 편면당, 10 g/㎡ 이상 250 g/㎡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g/㎡ 이상 150 g/㎡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한, 상기 <41> ∼ <7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79>
상기 장척상 기체부의 종방향 (y1 방향) 을 따른 양측 가장자리부간의 거리가, 사용 전 (팽윤 전) 의 상태의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의 평균 입자경보다 크고, 팽윤 후의 상태의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의 평균 입자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한, 상기 <41> ∼ <7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80>
사용 전 (팽윤 전) 의 상태의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의 평균 입자경은, 2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00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그리고 7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500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한, 상기 <41> ∼ <7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81>
팽윤 후의 상태의 흡수성 폴리머의 평균 입자경은, 20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800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그리고 300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000 ㎛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한, 상기 <41> ∼ <8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팽윤 저해를 잘 발생시키지 않고, 흡수성 폴리머의 흡수 성능을 최대한으로 발휘할 수 있는 시트상물이 제공된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이와 같은 시트상물을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시트상물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이드 부분의 흡수체가 기립하기 쉽고, 가랑이 하부의 피트성 및 방루 성능이 향상됨과 함께, 기립한 사이드 부분의 흡수체가 위화감을 주기 어려운 흡수성 물품이 제공된다.

Claims (30)

  1. 횡방향과, 그 횡방향보다 길이가 긴 종방향과, 두께 방향을 갖는 장척상 기체부, 및 그 장척상 기체부의 일방의 면의 표면에 고정된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를 구비한 흡수성 유닛을 복수개 구비하고, 각 그 흡수성 유닛을, 그 종방향이 적어도 일방향을 향하도록 배열시켜 이루어지는 흡수성 물품용의 시트상물로서,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가 액을 흡수하면, 그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가, 상기 장척상 기체부의 상기 종방향을 따른 측 가장자리부를 넘어 팽윤되고, 또한 그 장척상 기체부의 위치가, 상기 두께 방향에 있어서, 액을 흡수하기 전의 위치와 상이하도록 이루어져 있는 시트상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가 액을 흡수하기 전에,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가, 상기 장척상 기체부의 상기 측 가장자리부를 넘어 비어져 나와 있는 시트상물.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상물은, 상기 종방향의 양단부에, 복수의 상기 장척상 기체부가 상기 횡방향으로 연결된 비슬릿 영역을 구비하고 있는 시트상물.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상물은, 상기 종방향의 양단부가, 상기 흡수성 물품에 고정되어 있는 시트상물.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척상 기체부는, 상기 종방향을 따른 양측 가장자리부간의 거리가,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가 액을 흡수하기 전의 상태의 평균 입자경보다 크고,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가 액을 흡수하여 팽윤된 상태의 평균 입자경보다 작은 시트상물.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척상 기체부는, 부직포인 시트상물.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는, 접착제를 통해서 상기 장척상 기체부에 고정되어 있는 시트상물.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상물은, 상기 종방향의 양단부에, 복수의 상기 장척상 기체부가 상기 횡방향으로 연결된 비슬릿 영역을 구비하고 있고, 그 비슬릿 영역에는,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가 고정되지 않은 시트상물.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척상 기체부는, 친수성인 시트상물.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가 액을 흡수하기 전에,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는, 상기 장척상 기체부의 타방의 면의 표면에 고정되어 있는 시트상물.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장척상 기체부의 타방의 면의 표면에 고정된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의 평량쪽이, 그 장척상 기체부의 일방의 면의 표면에 고정된 그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의 평량보다 큰 시트상물.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척상 기체부의 일방의 면의 표면에 고정된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는, 그 장척상 기체부의 타방의 면의 표면에 고정된 그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에 비해, 가압하 통액 성능이 높고, 원심 유지량이 낮은 시트상물.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에 있어서 이웃하는 상기 흡수성 유닛간에 있어서는, 개재물이 비존재 상태로 되어 있는 시트상물.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상에, 추가로 장척상 기체부가 배치되어 있고, 그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가 상하 2 장의 상기 장척상 기체부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어 있는 시트상물.
  15.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상에, 상기 장척상 기체부보다 폭이 넓은 기재 시트가 추가로 배치되어 있고, 그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가 상기 장척상 기체부 및 상기 기재 시트 사이에 끼워져, 고정되어 있는 시트상물.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시트상물과, 그 시트상물을 피복하는 액 투과성의 코어 랩 시트를 갖는 흡수성 물품용의 흡수체.
  17. 제 16 항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용의 흡수체와, 그 흡수체의 피부 대향면측에 배치된 표면 시트와, 그 흡수체의 비피부 대향면측에 배치된 이면 시트를 갖는 흡수성 물품.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 시트, 상기 이면 시트, 및 이들 양 시트간에 개재된 상기 흡수체를 구비하는 흡수성 본체를 구비하고, 착용자의 전후 방향에 대응하는 물품 종방향 및 그 물품 종방향에 직교하는 물품 횡방향을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체는, 횡방향과, 그 횡방향보다 길이가 긴 종방향과, 두께 방향을 갖는 상기 장척상 기체부, 및 그 장척상 기체부의 일방의 면의 표면에 고정된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를 구비한 상기 흡수성 유닛을 복수개 구비하고, 각 그 흡수성 유닛을, 그 종방향이 적어도 일방향을 향하도록 배열시켜 이루어지는 상기 시트상물로 형성된 흡수성 코어를 가지고 있고,
    상기 흡수성 코어는, 물품 횡방향 중앙의 중앙 영역과, 그 중앙 영역보다 물품 횡방향 외방에 형성된 1 쌍의 사이드 영역을 구비하고,
    각 상기 사이드 영역에 있어서, 각 상기 흡수성 유닛은, 그 종방향이 물품 횡방향을 향하도록 배열되어 있고,
    상기 표면 시트는, 상기 흡수체의 피부 대향면을 피복하고, 그 흡수체의 양측 가장자리부로부터 물품 횡방향 외방으로 연장된 연장 부위를 가지고 있고, 그 연장 부위가, 그 흡수체의 비피부 대향면측으로 되접어 꺾여, 상기 흡수성 코어의 각 상기 사이드 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흡수체의 비피부 대향면을 피복하고 있고,
    상기 표면 시트에 있어서의 되접어 꺾인 상기 연장 부위는, 그 선단부가, 그 연장 부위와 인접하는 상기 흡수성 물품의 구성 부재에 고정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체의 양측 가장자리부 각각에, 그 측 가장자리부를 따라 탄성 부재를 배치하고, 그 탄성 부재의 수축력에 의해, 상기 흡수성 코어의 각 상기 사이드 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흡수체가 착용자의 피부측을 향하여 기립하는, 흡수성 물품.
  20. 제 18 항 또는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코어의 각 상기 사이드 영역에 배치된 상기 흡수성 유닛의 상기 장척상 기체부의 종방향을 따른 양측 가장자리부간의 거리와, 상기 흡수성 코어의 상기 중앙 영역에 배치된 상기 흡수성 유닛의 상기 장척상 기체부의 종방향을 따른 양측 가장자리부간의 거리가 상이한, 흡수성 물품.
  21. 횡방향과, 그 횡방향보다 길이가 긴 종방향과, 두께 방향을 갖는 장척상 기체부, 및 그 장척상 기체부의 일방의 면의 표면에 고정된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를 구비한 흡수성 유닛을 복수개 구비하고, 각 그 흡수성 유닛을, 그 종방향이 적어도 일방향을 향하도록 배열시켜 이루어지고,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가 액을 흡수하면, 그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가, 상기 장척상 기체부의 상기 종방향을 따른 측 가장자리부를 넘어 팽윤되고, 또한 그 장척상 기체부의 위치가, 상기 두께 방향에 있어서, 액을 흡수하기 전의 위치와 상이하도록 이루어져 있는 흡수성 물품용의 시트상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띠상의 기재 시트를 커트하여 복수개의 상기 장척상 기체부를 형성하는 커트 공정과, 형성된 복수개의 상기 장척상 기체부의 일방의 면의 표면에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를 산포하는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산포 공정을 구비하는 시트상물의 제조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산포 공정보다 전공정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 공정을 구비하고 있는 시트상물의 제조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커트 공정의 후공정에 상기 접착제 도포 공정을 구비하고, 그 접착제 도포 공정의 후공정에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산포 공정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커트 공정에서 형성된 상기 장척상 기체부의 일방의 면의 표면에, 상기 접착제 도포 공정에서 상기 접착제를 도포하고, 그 장척상 기체부의 일방의 면의 표면에 도포된 그 접착제 상에,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산포 공정에서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를 산포하고, 그 접착제를 통해서 그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가 그 장척상 기체부의 일방의 면의 표면에 고정된 상기 흡수성 유닛을 형성하는 시트상물의 제조 방법.
  24. 제 21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트 공정에 있어서, 상기 띠상의 기재 시트에, 그 기재 시트의 반송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배치되는 비커트부를 형성하는 시트상물의 제조 방법.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커트 공정에 있어서, 상기 띠상의 기재 시트에, 그 기재 시트의 반송 방향으로 간헐적으로 배치되는 비커트부를 형성하고,
    상기 접착제 도포 공정에 있어서, 상기 비커트부를 제외하고, 간헐적으로 접착제를 도포하는 시트상물의 제조 방법.
  26. 제 24 항 또는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비커트부를 제외하고,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를 산포하는 시트상물의 제조 방법.
  27. 제 21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산포 공정 후에, 산포된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시트상물의 제조 방법.
  28.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트 공정에 있어서, 상기 기재 시트를 커트하여 복수개의 상기 장척상 기체부를 형성하고,
    형성한 복수개의 상기 장척상 기체부 전부의 일방의 면의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복수개의 상기 장척상 기체부에 있어서의, 상기 기재 시트를 그 직교하는 방향의 이등분의 위치보다 일방측에 위치하는 복수개의 장척상 기체부의 일방의 면의 표면에 도포한 상기 접착제 상에만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를 산포하고, 그 접착제를 통해서 그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를 상기 장척상 기체부에 고정시키고, 이어서 상기 이등분의 위치보다 타방측에 위치하는, 일방의 면의 표면에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복수개의 장척상 기체부를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상으로 되접어 꺾어, 상기 장척상 기체부에서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를 사이에 둔 시트상물을 얻는 시트상물의 제조 방법.
  29.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트 공정에서, 상기 기재 시트를 커트하여 복수개의 상기 장척상 기체부를 형성하고,
    상기 장척상 기체부의 일방의 면의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상기 장척상 기체부에 있어서의 그 접착제가 도포된 면에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를 산포하고,
    산포된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상에 추가로 접착제를 도포하고,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상에 도포된 상기 접착제 상에, 제 2 기재 시트를 커트함으로써 얻어진 제 2 장척상 기체부를 배치하고, 상기 장척상 기체부 및 상기 제 2 장척상 기체부에서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를 사이에 둔 시트상물을 얻는 시트상물의 제조 방법.
  30.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트 공정에서, 상기 기재 시트를 커트하여 복수개의 상기 장척상 기체부를 형성하고,
    상기 장척상 기체부의 일방의 면의 표면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상기 장척상 기체부에 있어서의 그 접착제가 도포된 면의 표면에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를 산포하고,
    산포된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상에 추가로 접착제를 도포하고,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 상에 도포된 상기 접착제 상에, 상기 장척상 기체부보다 폭이 넓은 제 2 기재 시트를 배치하고, 상기 장척상 기체부 및 상기 제 2 기재 시트에서 상기 흡수성 폴리머의 입자를 사이에 둔 시트상물을 얻는 시트상물의 제조 방법.
KR1020187008032A 2015-10-07 2016-10-06 시트상물 및 시트상물의 제조 방법 KR1020985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199376A JP6602142B2 (ja) 2015-10-07 2015-10-07 シート状物及びシート状物の製造方法
JPJP-P-2015-199376 2015-10-07
JP2015243767A JP6602660B2 (ja) 2015-12-15 2015-12-15 吸収性物品
JPJP-P-2015-243767 2015-12-15
PCT/JP2016/079845 WO2017061568A1 (ja) 2015-10-07 2016-10-06 シート状物及びシート状物の製造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6044A true KR20180066044A (ko) 2018-06-18
KR102098554B1 KR102098554B1 (ko) 2020-04-08

Family

ID=58487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8032A KR102098554B1 (ko) 2015-10-07 2016-10-06 시트상물 및 시트상물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912683B2 (ko)
EP (1) EP3360522B1 (ko)
KR (1) KR102098554B1 (ko)
CN (1) CN108024885B (ko)
RU (1) RU2675444C1 (ko)
TR (1) TR201804953T1 (ko)
TW (1) TWI707671B (ko)
WO (1) WO20170615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500631A (ja) 2016-12-19 2020-01-16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 カンパニーThe Procter & Gamble Company 吸収性コアを有する吸収性物品
KR20200037236A (ko) * 2017-08-04 2020-04-08 가부시키가이샤 즈이코 흡수체의 제조방법, 흡수체의 제조장치 및 흡수체
JP2019063014A (ja) * 2017-09-28 2019-04-25 花王株式会社 吸収体の製造方法
GB2582103B (en) * 2017-12-29 2022-05-11 Kao Corp Absorber and absorbent article
CN109549784A (zh) * 2018-11-23 2019-04-02 陈利群 婴幼儿分离式纸尿裤
JP7151422B2 (ja) 2018-11-28 2022-10-1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吸収器および液体吸収器の制御方法
JP7192442B2 (ja) * 2018-11-29 2022-12-2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吸収性複合体
JP2020082021A (ja) 2018-11-29 2020-06-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吸収性複合体
JP7215182B2 (ja) * 2019-01-18 2023-01-3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吸収体、インク吸収器および液滴吐出装置
JP7215193B2 (ja) * 2019-01-28 2023-01-3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吸収器および液体吐出装置
JP7206958B2 (ja) * 2019-01-28 2023-01-1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体吸収器および液体吐出装置
CN110179592A (zh) * 2019-05-31 2019-08-30 重庆百亚卫生用品股份有限公司 一种3d记忆芯体的应用
IT202000019429A1 (it) * 2020-08-06 2022-02-06 Gdm Spa Metodo per realizzare un nastro composito
JP2023000879A (ja) * 2021-06-18 2023-01-04 花王株式会社 吸収性シート及び吸収性物品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8122A (ja) 1986-07-10 1988-01-26 Mazda Motor Corp エンジンの二次エア供給装置
JPS6487720A (en) 1987-09-30 1989-03-31 Nippon Steel Corp Heat treatment for rail
KR20020027651A (ko) * 1999-09-15 2002-04-13 로날드 디. 맥크레이 수직 배향된 유동 조절 벽을 갖는 흡수용품 및 그의 형성방법
JP2002224162A (ja) 2001-02-02 2002-08-13 Daio Paper Corp 体液吸収性物品
JP2006341061A (ja) 2005-05-09 2006-12-21 Kao Corp 使い捨ておむつ
KR20070113196A (ko) * 2005-03-23 2007-11-28 가오가부시끼가이샤 흡수성 물품
KR20110139682A (ko) * 2009-03-30 2011-12-29 가부시키가이샤 리브도 코포레이션 흡수성 물품
KR20140103954A (ko) * 2011-12-19 2014-08-27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초흡수성 얀을 포함하는 흡수 용품
JP2015042244A (ja) 2013-07-26 2015-03-05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8122U (ko) 1986-07-19 1988-02-06
EP0293208B1 (en) 1987-05-27 1991-07-24 Lion Corporation Absorptive article
JPH0187720U (ko) * 1987-12-01 1989-06-09
US5397316A (en) * 1993-06-25 1995-03-1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litted absorbent members for aqueous body fluids formed of expandable absorbent materials
EP0700672B1 (en) 1994-09-09 2000-05-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composite structur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5713881A (en) * 1993-10-22 1998-02-03 Rezai; Ebrahim Non-continuous absorbent composites comprising a porous macrostructure of absorbent gelling particles and a substrate
US5977014A (en) 1993-10-22 1999-11-0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composite structure formed of a substrate and cross-linkable hydrogel polymer particles
SE509260C2 (sv) * 1996-04-03 1998-12-21 Duni Ab Uppslitsat materialskikt av mjukpapper eller polymerfibrer samt anordning för tillverkning av materialskiktet
US6203654B1 (en) * 1998-02-20 2001-03-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making a slitted or particulate absorbent material
JP3692486B2 (ja) 1997-12-12 2005-09-07 味の素株式会社 高吸水性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US6663611B2 (en) 1999-09-28 2003-12-1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Breathable diaper with low to moderately breathable inner laminate and more breathable outer cover
US6972011B2 (en) * 2000-05-23 2005-12-06 Toyo Eizai Kabushiki Kaisha Ultra-thin absorbing sheet bod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provided with ultra-thin absorbing sheet body and production device for ultra-thin absorbing sheet body
US20040158212A1 (en) * 2003-02-10 2004-08-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isposable absorbent article comprising a durable hydrophilic core wrap
WO2002062279A1 (fr) 2001-02-02 2002-08-15 Daio Paper Corporation Article absorbant de liquide organiqu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JP3892324B2 (ja) * 2002-03-13 2007-03-14 大王製紙株式会社 体液吸収性物品
US20050096615A1 (en) * 2003-10-31 2005-05-0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article with segmented absorbent structure
US20060206091A1 (en) * 2005-03-10 2006-09-14 Tyco Healthcare Retail Services Ag Absorbent article having a channeled absorbent layer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WO2006120847A1 (ja) * 2005-05-09 2006-11-16 Kao Corporation 使い捨ておむつ
CN101795648A (zh) * 2007-06-12 2010-08-04 德科技控股有限公司 具有狭缝吸收芯的吸收制品
JP5306773B2 (ja) * 2008-10-29 2013-10-0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着用物品の吸液構造体
JP5524604B2 (ja) 2009-12-28 2014-06-18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5716606B2 (ja) 2011-08-19 2015-05-13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Sapシート
JP6588789B2 (ja) 2015-10-07 2019-10-09 花王株式会社 シート状物及びシート状物の製造方法
JP6170977B2 (ja) 2015-10-07 2017-07-26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193328B2 (ja) 2015-10-07 2017-09-06 花王株式会社 シート状物及びシート状物の製造方法
JP6170978B2 (ja) 2015-10-07 2017-07-26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6835464B2 (ja) 2015-10-07 2021-02-24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8122A (ja) 1986-07-10 1988-01-26 Mazda Motor Corp エンジンの二次エア供給装置
JPS6487720A (en) 1987-09-30 1989-03-31 Nippon Steel Corp Heat treatment for rail
KR20020027651A (ko) * 1999-09-15 2002-04-13 로날드 디. 맥크레이 수직 배향된 유동 조절 벽을 갖는 흡수용품 및 그의 형성방법
JP2002224162A (ja) 2001-02-02 2002-08-13 Daio Paper Corp 体液吸収性物品
KR20070113196A (ko) * 2005-03-23 2007-11-28 가오가부시끼가이샤 흡수성 물품
JP2006341061A (ja) 2005-05-09 2006-12-21 Kao Corp 使い捨ておむつ
KR20110139682A (ko) * 2009-03-30 2011-12-29 가부시키가이샤 리브도 코포레이션 흡수성 물품
KR20140103954A (ko) * 2011-12-19 2014-08-27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초흡수성 얀을 포함하는 흡수 용품
JP2015042244A (ja) 2013-07-26 2015-03-05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R201804953T1 (tr) 2018-05-21
RU2675444C1 (ru) 2018-12-19
TW201717872A (zh) 2017-06-01
KR102098554B1 (ko) 2020-04-08
CN108024885B (zh) 2020-12-18
WO2017061568A1 (ja) 2017-04-13
US10912683B2 (en) 2021-02-09
US20180296403A1 (en) 2018-10-18
CN108024885A (zh) 2018-05-11
EP3360522A1 (en) 2018-08-15
TWI707671B (zh) 2020-10-21
EP3360522A4 (en) 2019-06-12
EP3360522B1 (en) 2020-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066044A (ko) 시트상물 및 시트상물의 제조 방법
KR101909425B1 (ko) 시트상물 및 시트상물의 제조 방법
KR20180066045A (ko) 시트상물 및 시트상물의 제조 방법
KR102228399B1 (ko) 신축 탄성 부재의 제조 방법 및 그 신축 탄성 부재를 사용한 일회용 기저귀
JP6602660B2 (ja) 吸収性物品
JP5209413B2 (ja) 吸収性物品
JP2015226569A5 (ko)
JP6170978B2 (ja)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6602142B2 (ja) シート状物及びシート状物の製造方法
JP6588789B2 (ja) シート状物及びシート状物の製造方法
JP6170977B2 (ja) 吸収性物品
JP6835464B2 (ja) 吸収性物品
JP6712219B2 (ja) 吸収性物品
JP2017113189A (ja) 使い捨ておむつ
JP6012028B2 (ja) 使い捨ておむ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