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7617A - 레독스흐름전지용 전해액을 위한 알킬기 치환된 이온성 액체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레독스흐름전지용 전해액을 위한 알킬기 치환된 이온성 액체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7617A
KR20180057617A KR1020187007163A KR20187007163A KR20180057617A KR 20180057617 A KR20180057617 A KR 20180057617A KR 1020187007163 A KR1020187007163 A KR 1020187007163A KR 20187007163 A KR20187007163 A KR 20187007163A KR 20180057617 A KR20180057617 A KR 201800576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nic liquid
electrolyte
methyl
tfsi
fs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7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7055B1 (ko
Inventor
유정복
윤효상
송준용
주소경
이동엽
김완주
김병수
최정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트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트리
Publication of KR20180057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7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70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70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8Regenerative fuel cells, e.g. redox flow batteries or secondary 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8Regenerative fuel cells, e.g. redox flow batteries or secondary fuel cells
    • H01M8/184Regeneration by electrochemical means
    • H01M8/188Regeneration by electrochemical means by recharging of redox couples containing fluids; Redox flow type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6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 H01B1/1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organic substances
    • H01B1/122Ionic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OR LIGHT-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54Electrolytes
    • H01G11/58Liquid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25Organic electrolyte
    • H01M2300/0045Room temperature molten salt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3Energy storage using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Abstract

현재 레독스플로우배터리(Redox flow battery)는 수계 시스템이 일부 상용화 되고는 있으나 26WH/L이하의 낮은 에너지 밀도와 1.25V이하의 낮은 셀 전압의 문제가 있으며 2종염의 사용으로 Crossover현상 발생으로 레독스흐름전지는 기술의 한계가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이미다졸륨, 피롤리니움, 몰포리니움의 양이온에 FSI, TFSI을 음이온으로 갖는 이온성 액체를 제조하여 시차열중량분석기(TGA) 분석 결과 250℃ 이상으로 열적 안정성이 확보되고 용액상에서 이온전도도가 7.0mS/cm 이상이며 전기화학 전위창의 범위가 2.0V 이상인 알킬기 치환된 이온성 액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온성 액체는 비수계 레독스흐름전지, 리튬이온 2차 전지용, 울트라커패시터 (ultra capacitor·초고용량축전기), 콘덴서, 염료감응태양전지, 전지발광 셀 등의 전해질로서 응용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보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Description

레독스흐름전지용 전해액을 위한 알킬기 치환된 이온성 액체 제조방법
본 발명은 열적 안정성이 우수하고 용액상에서 이온전도도가 높으며 전기화학 전위창(Electrochemical window)이 높은 레독스흐름전지(Redox flow battery) 전해질용 고순도 이온성 액체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Bistrifluoromethanesulfonylimide: TFSI), 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비스플로오로술포닐이미드: FSI)를 음이온으로 갖고 이미다졸륨(Imidazolium), 피롤리니움(Pyrrolidinium), 몰포리니움(Morphorinium)의 양이온에 알킬기가 치환된 레독스흐름전지 전해액을 위한 이온성 액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레독스 플로우 배터리(Redox Flow Battery)는 전해질의 산화 환원반응에 의해 충방전이 일어나는 이차전지 이다. 일반적인 전지와의 가장 큰 차이점은 에너지가 저장되는 전해질을 순환시키면서 충방전이 이루어진다는 점이다. 충방전은 산화와 환원의 전기화학전 반응이 일어나는 스택에서 이루어지고 전기는 별도의 탱크에 전해질에 저장되는 시스템으로 전해액에 전력을 비축하는 전지로써 높은 출력의 전력을 효과적으로 장시간에 걸쳐 반복하여 충방전 할 수 있다.
현재 레독스 플로우 배터리는 수계 시스템이 일부 상용화 되고는 있으나 26WH/L이하의 낮은 에너지 밀도와 1.25V이하의 낮은 셀 전압의 문제가 있으며 2종염의 사용으로 크로스오버(Crossover) 현상 발생으로 레독스흐름전지는 기술의 한계가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알킬기 치환된 이온성 액체 제조를 통해 높은 셀 전압, 높은 셀 에너지 밀도의 비수계 레독스흐름전지 전해액을 개발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자들이 지속적으로 연구한 결과, 이미다졸륨, 피롤리니움, 몰포리니움의 양이온에 알킬기가 치환되고 비스플로오로술포닐이미드(FSI),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TFSI)를 음이온으로 갖는 이온성 액체는 시차열중량분석기(TGA) 분석 결과 250℃ 이상으로 열적안정성이 확보되고 용액상에서 이온전도도가 7.0mS/cm 이상이며 전기화학 전위창(electrochemical window)의 범위가 2.0V 이상인 양이온에 알킬기 치환된 이온성 액체를 제조하여 비수계 레독스흐름전지, 리튬이온 2차 전지용 전해액, 울트라커패시터 (ultra capacitor·초고용량축전기), 콘덴서, 염료감응태양전지, 전지발광 셀 등의 전해질로서 응용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보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양이온으로는 이미다졸륨, 피롤리니움, 몰포리니움를 갖고 알킬기가 메틸부터 옥틸인 n=1~8의 체인을 가지며 음이온으로는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TFSI), 비스플로오로술포닐이미드(FSI)를 갖는 이온성 액체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를 갖고, 열적으로 안정하고 용액상에서 이온전도도가 7.0mS/cm 이상이고 전기화학 전위창의 범위가 2.0V 이상인 알킬기가 치환된 이온성 액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양이온으로서 피롤리니움계는 1-프로필-1-메틸, 1-부틸-1-메틸기가 사용되었고, 이미다졸륨계는 1-에틸-3-메틸, 1-프로필-3-메틸, 1,3-디벤질기가 사용되었으며 몰포리니움계는 1-부틸-1-메틸, 1-헥실-1-메틸, 1-옥틸-1-메틸기의 알킬기 치환된 이온성 액체가 사용되었다. 음이온으로는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TFSI), 비스플로오로술포닐이미드(FSI)의 조합군을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한 이온성 액체는 열중량분석법(TGA)은 288~445℃범위이며 이온성 액체 0.1mol+바나듐아세토아세토나이트 0.1mol+아세토니트릴 용액상태에서 이온전도도는 7.93~11.43 mS/cm at 25℃ 범위이며 전기화학 전위창는 2.0~2.5V의 넓은 범위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온성 액체는 이온전도도가 매우 높으며 열분해 온도의 향상으로 분해점이 높고 넓은 전기화학 전위창을 가지므로 비수계 레독스흐름전지, 리튬이온 2차전지용 전해액과 울트라커패시터 (ultra capacitor·초고용량축전기), 콘덴서, 염료감응태양전지, 전지발광 셀 등의 전해질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온성 액체는 이미다졸륨, 피롤리니움, 몰포리니움계 양이온(1.69~4.87mol)에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TFSI) 및 비스플로오로술포닐이미드(FSI)을 2.23~6.28mol 가하여 반응시킨 후 유기층을 취하여 감압 농축하면 합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온성 액체는 열적 안정성이 우수하고, 용액상에서 이온전도도가 7.0mS/cm 이상이며 2.0V 이상의 넓은 전기화학 전위창을 가지므로 비수계 레독스흐름전지, 리튬이온 2차 전지, 울트라커패시터(Ultra capacitor), 콘덴서, 염료감응태양전지 및 전지발광셀 등의 전해질로서 유용하다.
도 1은 열분해온도의 측정에 사용된 TG/DTA7300, SEICO INST. 시차열중량분석기 이다.
도 2는 이온전도도의 측정 조건은 Measurement Method : 2 probe, Temperature : 25℃, 용액 : Ionic Liquid (0.1M) + V(acac)3 (0.1M) in acetonitrile이다. 전기화학 전위창에 사용된 Biologics VMP3B-8의 LSV(Linear Sweep Voltammetry) 측정기이며 측정조건은 아래와 같다.
- Working Electrode : SUS 316 disk 16Φ, Surface area of 2.01cm2
- Reference, Counter Electrode : Lithium
- Scan rate (dE/dt) : 5 mV/s, potential range :
- 2.95~7 V vs. Li/Li+ (Anodic scan) @ RT
- 3.05~0 V vs. Li/Li+ (Cathodic scan)
이하 실시예에서 본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물성 측정>
하기의 제조 예에 따라 합성된 이온성 액체의 구조 정보는 1H-NMR로 측정하였으며 이론량 대비 수율(%)을 계산하였고 LSV로 이온전도도(Ion-conductivity, mS/cm)와 전기화학 전위창(V) 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각 실시예에 기재하였다.
<제조예>
실시예 1:
1-프로필-1-메틸피롤리디니움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의 합성
1-프로필-1-메틸피롤리디니움 브로마이드 1.0kg(4.80mol)을 물에 넣고 교반한다. 여기에 Li-TFSI 1.65kg(5.76mol)을 넣고 반응 종료 후 분리하고 유기층을 감압 증류하여 1.80kg (92.0%)의 액상의 이온성 액체를 수득하였다.
1H-NMR (클로로포름-d, 400MHz) : 3.55 (m, 4H), 3.32 (m, 2H), 3.08 (s, 3H), 2.29 (d, 4H), 1.85 (m, 2H), 1.07 (t, 3H), TGA : 440.99, 이온 전도도 (25) : 9.96 mS/cm (용액), 전기화학 전위창 : 1.7 ~ 3.7 (2.0) V.
Figure pct00001
실시예 2: 1-프로필-1-메틸피롤리디니움 비스(플로오로술포닐)이미드의 합성
1-프로필-1-메틸피롤리디니움 브로마이드 500g(2.40mol)을 물에 넣고 교반한다. 여기에 K-FSI 631g(2.88mol)을 넣고. 반응 종료 후 유기층을 감압 증류하여 675g(91.2%)의 액상의 이온성 액체를 수득하였다.
1H-NMR (클로로포름-d, 400MHz) ? : 3.57 (t, 4H), 3.33 (m, 2H), 3.10 (s, 3H), 2.32 (d, 4H), 1.86 (m, 2H), 1.07 (t, 3H) TGA : 329.44, 이온 전도도 (25) : 10.79 mS/cm (용액), 전기화학 전위창 : 1.5 ~ 4.0 (2.5) V.
Figure pct00002
실시예 3:
1-부틸-1-메틸피롤리디니움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의 합성
1-부틸-1-메틸피롤리디니움 브로마이드 1.0 Kg(4.50mol)을 물에 넣고 교반한다. 여기에 Li-TFSI 1.55Kg(5.40mol)을 넣고 반응 종료 후 유기층을 감압 증류하여 1.82kg(95.8%)의 액상의 이온성 액체를 수득하였다.
1H-NMR (클로로포름-d, 400MHz) ? : 3.52 (m, 4H), 3.31 (m, 2H), 3.05 (s, 3H), 2.26 (s, 4H), 1.73 (m, 2H), 1.42 (q, 2H), 0.99 (t, 3H), TGA: 445.46, 이온 전도도 (25) : 9.03 mS/cm (용액) : 8.09, 전기화학 전위창 : 1.5 ~ 3.8 (2.3) V.
Figure pct00003
실시예 4:
1-프로필-3-메틸이미다졸륨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의 합성
1-프로필-3-메틸 이미다졸륨 브로마이드 1.0kg(4.87mol)을 물에 넣고 교반한다. 여기에 LI-TFSI 1.68kg(5.85mol)을 넣고 반응 종료 후 유기층을 감압 증류하여 1.87kg(94.9%)의 액상의 이온성 액체를 수득하였다.
1H-NMR (클로로포름-d, 400MHz) ? : 8.80 (s, 4H), 7.38 (t, 1H), 7.36 (t, 1H), 4.15 (m, 2H), 3.92 (s, 3H), 1.91 (m, 2H), 0.97 (m, 3H), TGA : 431.39, 이온 전도도 (25) : 9.71 mS/cm (용액),
전기화학 전위창 : 1.5 ~ 4.0 (2.5) V.
Figure pct00004
실시예 5:
1-프로필-3-메틸이미다졸륨 비스(플로오로술포닐)이미드의 합성
1-프로필-3-메틸 이미다졸륨 브로마이드 1.0kg(2.43mol)을 물에 넣고 교반한다. 여기에 K-FSI 641g(2.92mol)을 넣고 반응 종료 후 분리하고 유기층을 감압 증류하여 710.8g(95.8%)의 액상의 이온성 액체를 수득하였다.
1H-NMR (클로로포름-d, 400MHz) ? : 8.75 (s, 4H), 7.36 (t, 1H), 7.31 (t, 1H), 4.15 (m, 2H), 3.92 (s, 3H), 1.89 (m, 2H), 0.95 (m, 3H), TGA : 343.81, 이온 전도도 (25) : 10.79 mS/cm (용액), 전기화학 전위창 : 1.5 ~ 3.8 (2.3) V.
Figure pct00005
실시예 6: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의 합성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 브로마이드 1.0Kg(5.23mol)을 물에 넣고 교반한다. 여기에 Li-TFSI 1.80 Kg(6.28mol)을 넣고 반응 종료 후 분리하고 유기층을 감압 증류하여 1.98kg(97.1%)의 액상의 이온성 액체를 수득하였다.
1H-NMR (클로로포름-d, 400MHz) ? : 8.57 (s, 1H), 7.39 (t, 1H), 7.34 (t, 1H), 4.23 (q, 2H), 3.98 (s, 3H), 1.52 (t, 3H), TGA : 440.86, 이온 전도도 (25) : 10.5 mS/cm (용액), 전기화학 전위창 : 1.5 ~ 3.8 (2.3) V.
Figure pct00006
실시예 7: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 비스(플로오로술포닐)이미드의 합성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 브로마이드 1.0Kg(5.23mol)을 물에 넣고 교반한다. 여기에 K-FSI 1.37 Kg(6.28mol)을 넣고. 반응 종료 후 분리하고 유기층을 감압 증류하여 1.37kg(90%)의 액상의 이온성 액체를 수득하였다.
1H-NMR (클로로포름-d, 400MHz) ? : 8.46 (s, 1H), 7.38 (t, 1H), 7.33 (t, 1H), 4.21 (q, 2H), 3.90 (s, 3H), 1.52 (t, 3H), TGA : 350.75, 이온 전도도 (25) : 11.43 mS/cm (용액), 전기화학 전위창 : 1.5 ~ 3.8 (2.3) V.
Figure pct00007
실시예 8:
1,3-디벤질이미다졸륨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의 합성
1,3-Dibenzyl이미다졸륨 chloride 1.0Kg(3.51mol)을 물에 넣고 교반한다. 여기에 Li-TFSI 1.2 Kg(4.21mol)을 넣고 반응 종료 후 유기층을 감압 증류하여 1.83kg(98.9%)의 액상의 이온성 액체를 수득하였다.
1H-NMR (클로로포름-d, 400MHz) ? : 8.98 (s, 1H), 7.41 (m, 6H), 7.36 (m, 4H), 7.16 (d, 2H), 5.33 (s, 4H), TGA : 375.73, 이온 전도도 (25) : 7.93 mS/cm (용액), 전기화학 전위창 : 1.5 ~ 4.0 (2.5) V.
Figure pct00008
실시예 9:
1-부틸-1-메틸몰포리디니움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의 합성
1-부틸-1-메틸몰포리디니움 브로마이드 500 g(2.09mol)을 물에 넣고 교반한다. 여기에 Li-TFSI 723.23g(2.51mol)을 넣고 반응 종료 후 유기층을 감압 증류하여 905.3g(98.8%)의 액상의 이온성 액체를 수득하였다.
1H-NMR (클로로포름-d, 400MHz) ? : 4.00 (t, 4H), 3.44 (m, 6H), 3.23 (s, 3H), 1.75 (m, 2H), 1.48 (m, 2H), 1.02 (t, 3H), TGA : 291.0, 이온 전도도 (25) : 9.03 mS/cm (용액), 전기화학 전위창 : 1.5~ 4.0 (2.5) V.
Figure pct00009
실시예 10:
1-부틸-1-메틸몰포리디니움 비스(플로오로술포닐)이미드의 합성
1-부틸-1-메틸몰포리디니움 브로마이드 500g(2.09mol)을 물에 넣고 교반한다. 여기에 Li-TFSI 723.23g(2.51mol)을 넣고 반응 종료 후 유기층을 감압 증류하여 698.8g(98.8%)의 액상의 이온성 액체를 수득하였다.
1H-NMR (클로로포름-d, 400MHz) ? : 4.03 (t, 4H), 3.44 (m, 6H), 3.24 (s, 3H), 1.77 (m, 2H), 1.46 (m, 2H), 1.03 (t, 3H), TGA : 402, 이온 전도도 (25) : 10.22 mS/cm (용액), 전기화학 전위창 : 1.5 ~ 4.0 (2.5) V.
Figure pct00010
실시예 11:
1-Hexyl-1-메틸몰포리디니움 비스(플로오로술포닐)이미드의 합성
1-Hexyl-1-메틸몰포리디니움 브로마이드 500g(1.87mol)을 물에 넣고 교반한다. 여기에 Li-TFSI 493.26g(2.25mol)을 넣고 반응 종료 후 유기층을 감압 증류하여 811.35g(98.4%)의 액상의 이온성 액체를 수득하였다.
1H-NMR (클로로포름-d, 400MHz) ? : 4.01 (t, 4H), 3.44(m, 6H), 3.21 (s, 3H), 1.76 (m, 2H), 1.36 (m, 6H), 0.90 (m, 3H), TGA : 403, 이온 전도도 (25) : 8.63 mS/cm (용액),전기화학 전위창 : 1.5 ~ 3.8 (2.3) V.
Figure pct00011
실시예 12:
1-Octyl-1-메틸몰포리디니움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의 합성
1-Octyl-1-메틸몰포리디니움 브로마이드 500g(1.69mol)을 물에 넣고 교반한다. 여기에 Li-TFSI 585.36g(2.03mol)을 넣고 반응 종료 후 유기층을 감압 증류하여 827.31g(98.9%)의 액상의 이온성 액체를 수득하였다.
1H-NMR (클로로포름-d, 400MHz) ? : 4.00 (t, 4H), 3.43(m, 6H), 3.22 (s, 3H), 1.76 (m, 2H), 1.32 (m, 10H), 0.88 (m, 3H), TGA : 288, 이온 전도도 (25) : 8.09 mS/cm (용액), 전기화학 전위창 : 1.5 ~ 3.8 (2.3) V.
Figure pct00012
실시예 13:
1-Octyl-1-메틸몰포리디니움 비스(플로오로술포닐)이미드의 합성
1-Octyl-1-메틸몰포리디니움 브로마이드 500g(1.69mol)을 물에 넣고 교반한다. 여기에 K-FSI 445.03g(2.03mol/1.2eq)을 넣고 반응 종료 후 유기층을 감압증류하여 649.5g(97.4%)의 액상의 이온성 액체를 수득하였다.
1H-NMR (클로로포름-d, 400MHz) ? : 4.02 (t, 4H), 3.41(m, 6H), 3.22 (s, 3H), 1.77 (m, 2H), 1.32 (m, 10H), 0.88 (m, 3H), TGA : 408, 이온 전도도 (25) : 8.63 mS/cm (용액), 전기화학 전위창 : 1.5 ~ 3.8 (2.3) V.
Figure pct00013

Claims (8)

  1. 양이온으로는 이미다졸륨, 피롤리니움, 몰포리니움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를 갖고, 음이온으로는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TFSI), 비스플로오로술포닐이미드(FSI)의 조합군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조성된 전해질용 이온성 액체.
  2. 제 1항에 있어서, 양이온으로서 피롤리니움계는 1-프로필-1-메틸, 1-부틸-1-메틸기가 사용되고 음이온으로는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TFSI), 비스플로오로술포닐이미드(FSI)의 조합군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조성된 전해질용 이온성 액체.
  3. 제 1항에 있어서, 양이온으로서 이미다졸륨계는 1-에틸-3-메틸, 1-프로필-3-메틸, 1,3-디벤질기가 사용되고 음이온으로는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TFSI), 비스플로오로술포닐이미드(FSI)의 조합군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조성된 전해질용 이온성 액체.
  4. 제 1항에 있어서, 양이온으로서 몰포리니움계는 1-부틸-1-메틸, 1-헥실-1-메틸, 1-옥틸-1-메틸기가 사용되고 음이온으로는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TFSI), 비스플로오로술포닐이미드(FSI)의 조합군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조성된 전해질용 이온성 액체.
  5. 제 1항에 있어서, 이온성 액체는 이미다졸륨, 피롤리니움, 몰포리니움계 양이온(1.0~10mol)에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TFSI) 및 비스플로오로술포닐이미드(FSI)을 0.8~10mol 가하여 반응시킨 후 유기층을 취하여 합성한 전해질용 이온성 액체.
  6. 제 1항에 있어서, 이온성 액체+바나듐(III) 아세틸아세토네이트+아세토니트릴의 용매를 사용하여 혼합된 성분의 전해질이거나 에스테르 계열의 전도성 용매인 EC(Ethylene carbonate), PC(Propylene carbonate), DMC(Dimethyl carbonate), DEC(Diethyl carbonate), EMC(Ethyl methyl carbonate), EA(Ethylene acetate)등과 에테르 계열의 전도성 용매인 DMM(Dipropylene glycol dimethyl ether), DME(Dimethyl ether), DEE(Diethyl ether)등의 전해질용 조성을 위해 사용된 전도성 용매와 이온성 액체.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수계 레독스흐름전지, 리튬이온 2차 전지, 울트라커패시터 (ultra capacitor·초고용량축전기), 콘덴서, 염료감응태양전지, 전지발광 셀 등의 전해질용 조성을 위한 성분으로 사용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성 액체.
  8. 제 1~6항에 있는 제조방법을 사용하여 제 7항과 같은 제품의 성분의 첨가제, 조절제나 촉진제 내지 주원료로 사용하는 전해질용 이온성 액체.
KR1020187007163A 2015-09-24 2015-09-24 레독스흐름전지용 전해액을 위한 알킬기 치환된 이온성 액체 제조방법 KR1021270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5/010099 WO2017051946A1 (ko) 2015-09-24 2015-09-24 레독스흐름전지용 전해액을 위한 알킬기 치환된 이온성 액체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7617A true KR20180057617A (ko) 2018-05-30
KR102127055B1 KR102127055B1 (ko) 2020-06-26

Family

ID=58386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7163A KR102127055B1 (ko) 2015-09-24 2015-09-24 레독스흐름전지용 전해액을 위한 알킬기 치환된 이온성 액체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27055B1 (ko)
WO (1) WO2017051946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9924A (ko) 2018-11-22 2020-05-29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이미다졸륨 기반 리튬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해질 조성물
CN112310476A (zh) * 2019-07-31 2021-02-02 中石化南京化工研究院有限公司 一种锂离子电池离子液体电解液
US11152642B2 (en) 2018-10-30 2021-10-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Hybrid electrolyte, and electrode and lithium battery each including the sam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6429A (ko) * 2002-07-12 2004-01-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설퍼 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설퍼 전지
KR20080105045A (ko) * 2006-02-03 2008-12-03 다이이치 고교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이온성 액체를 사용한 리튬 이차 전지
KR20110126623A (ko) * 2009-02-18 2011-11-23 프라운호퍼-게젤샤프트 추르 푀르데룽 데어 안제반텐 포르슝 에 파우 이온성 액체에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방법
JP2012501060A (ja) * 2008-08-29 2012-01-12 コミッサリア ア ロンネルジー アトミック エ オ ゾンネルジー ザルテルナティーフ イオン性液体電解質を含むリチウムイオンの再充電可能な蓄電池
KR20130114713A (ko) * 2011-02-10 2013-10-17 닛뽕소다 가부시키가이샤 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암모늄염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MY154828A (en) * 2007-06-29 2015-07-31 Commw Scient Ind Res Org Lithium energy storage devic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06429A (ko) * 2002-07-12 2004-01-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설퍼 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설퍼 전지
KR20080105045A (ko) * 2006-02-03 2008-12-03 다이이치 고교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이온성 액체를 사용한 리튬 이차 전지
JP2012501060A (ja) * 2008-08-29 2012-01-12 コミッサリア ア ロンネルジー アトミック エ オ ゾンネルジー ザルテルナティーフ イオン性液体電解質を含むリチウムイオンの再充電可能な蓄電池
KR20110126623A (ko) * 2009-02-18 2011-11-23 프라운호퍼-게젤샤프트 추르 푀르데룽 데어 안제반텐 포르슝 에 파우 이온성 액체에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방법
KR20130114713A (ko) * 2011-02-10 2013-10-17 닛뽕소다 가부시키가이샤 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암모늄염의 제조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52642B2 (en) 2018-10-30 2021-10-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Hybrid electrolyte, and electrode and lithium battery each including the same
KR20200059924A (ko) 2018-11-22 2020-05-29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이미다졸륨 기반 리튬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해질 조성물
CN112310476A (zh) * 2019-07-31 2021-02-02 中石化南京化工研究院有限公司 一种锂离子电池离子液体电解液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51946A1 (ko) 2017-03-30
KR102127055B1 (ko) 2020-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tettner et al. Protic ionic liquids in energy storage devices: Past, present and future perspective
JP3950464B2 (ja) 第4級アンモニウム塩および電解質並びに電気化学デバイス
US9472831B2 (en) Lithium-2-methoxy-1,1,2,2-tetrafluoro-ethanesulfonate and use thereof as conductive salt in lithium-based energy accumulators
EP2062902B1 (en) Lithium salt
Yamada et al. Pyrrolidinium-based organic ionic plastic crystals: Relationship between side chain length and properties
Fang et al. Ionic liquids based on functionalized guanidinium cations and TFSI anion as potential electrolytes
CN104282939B (zh) 一种锂离子电池高压电解液
WO2016084792A1 (ja) イオン液体、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用途
CN103896849B (zh) 腈基‑苯并咪唑盐及其制备方法
CN107112592A (zh) 二次电池用电解液和二次电池
Vélez et al. Asymmetrical imidazolium-trialkylammonium room temperature dicationic ionic liquid electrolytes for Li-ion batteries
Le et al. Liquid electrolytes based on ionic liquids for lithium-ion batteries
JP4684006B2 (ja) 含フッ素有機スルホニルイミド塩電解質とそれを用いた電解液および電気化学素子
KR20150107846A (ko) 저대칭성 분자 및 포스포늄 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로부터 형성된 장치
Dong et al. A piperidinium-based ionic liquid electrolyte to enhance the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LiFePO 4 battery
KR20180057617A (ko) 레독스흐름전지용 전해액을 위한 알킬기 치환된 이온성 액체 제조방법
JP6267038B2 (ja) 非水電解液及びこれを含む蓄電デバイス
JP4889240B2 (ja) 非対称有機スルホニルイミド塩電解質とそれを用いた電解液および電気化学素子
Wang et al. Organic superbase derived ionic liquids based on the TFSI anion: synthesis, characterization, and electrochemical properties
JP2017193510A (ja) ケイ素含有硫酸エステル塩
KR20180077262A (ko) 비수 전해액용 첨가제, 비수 전해액, 및 축전 디바이스
KR102127081B1 (ko) 높은 이온전도도를 갖는 전해질용 이온성 액체 제조방법
Min et al. Synthesi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ionic liquids: 1-alkenyl-2, 3-dimethylimidazolium tetrafluoroborates
JP2006190618A (ja) イオン性液体組成物及びそれを含む電気化学デバイス
JPWO2005027157A1 (ja) 常温溶融塩及び電気化学デバイ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