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051946A1 - 레독스흐름전지용 전해액을 위한 알킬기 치환된 이온성 액체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레독스흐름전지용 전해액을 위한 알킬기 치환된 이온성 액체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051946A1
WO2017051946A1 PCT/KR2015/010099 KR2015010099W WO2017051946A1 WO 2017051946 A1 WO2017051946 A1 WO 2017051946A1 KR 2015010099 W KR2015010099 W KR 2015010099W WO 2017051946 A1 WO2017051946 A1 WO 2017051946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ionic liquid
electrolyte
methyl
tfsi
fs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5/01009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유정복
윤효상
송준용
주소경
이동엽
김완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트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트리
Priority to PCT/KR2015/01009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7051946A1/ko
Priority to KR1020187007163A priority patent/KR102127055B1/ko
Publication of WO2017051946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05194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8Regenerative fuel cells, e.g. redox flow batteries or secondary 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8Regenerative fuel cells, e.g. redox flow batteries or secondary fuel cells
    • H01M8/184Regeneration by electrochemical means
    • H01M8/188Regeneration by electrochemical means by recharging of redox couples containing fluids; Redox flow type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6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 H01B1/1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organic substances
    • H01B1/122Ionic condu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11/00Hybrid capacitors, i.e. capacitors having different positive and negative electrodes; Electric double-layer [EDL] capacitors;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thereof or of parts thereof
    • H01G11/54Electrolytes
    • H01G11/58Liquid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25Organic electrolyte
    • H01M2300/0045Room temperature molten salt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3Energy storage using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igh purity ionic liquid for a redox flow battery electrolyte having excellent thermal stability, high ionic conductivity in solution, and high electrochemical window.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istrifluoromethanesulfonylimide (TFSI) and bisfluorosulfonylimide (bisfluorosulfonylimide (FSI)) as an anion and imidazolium (Imidazolium)
  • TFSI bistrifluoromethanesulfonylimide
  • FSI bisfluorosulfonylimide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oducing an ionic liquid for a redox flow battery electrolyte in which an alkyl group is substituted with a cation of pyrrolidinium or morphorinium.
  • the redox flow battery is a secondary battery in which charging and discharging occurs by a redox reaction of an electrolyte.
  • the main difference from the general battery is that the charge and discharge are performed while circulating the electrolyte in which energy is stored. Charging and discharging is done in a stack where oxidation and reduction electrochemical reactions take place, and electricity is stored in the electrolyte in a separate tank, and it is a battery that stores power in the electrolyte and can repeatedly charge and discharge high output power for a long time effectively. Can be.
  • the redox flow battery has some commercialized water systems, but has a problem of low energy density of less than 26WH / L and low cell voltage of less than 1.25V, and redox flow due to crossover due to the use of two salts. Batteries have limitations in technology.
  • a non-aqueous redox flow battery electrolyte having a high cell voltage and a high cell energy density will be developed by preparing an alkyl-substituted ionic liquid.
  • an alkyl group is substituted with cations of imidazolium, pyrrolinium, and morpholinium, and bisfluorosulfonylimide (FSI) and bistri
  • An ionic liquid having fluoromethanesulfonylimide (TFSI) as an anion has thermal stability at 250 ° C or higher as a result of differential thermal gravimetric analysis (TGA) analysis, ionic conductivity of 7.0mS / cm or more in solution, and electrochemical potential
  • TGA differential thermal gravimetric analysis
  • An ionic liquid substituted with an alkyl group in a cation having a range of 2.0 V or more in an electrochemical window is prepared, and an electrolyte for a non-aqueous redox flow battery,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an ultracapacitor, a capacitor, and a dye Applicability as an electrolyte of a sensitized solar cell, a battery light-emitting cell, etc
  • TFSI bistrifluoromethanesulfonylimide
  • 1-propyl-1-methyl and 1-butyl-1-methyl were used for the pyrrolidinium system, and 1-ethyl-3-methyl, 1-propyl-3-methyl, 1 for the imidazolium system.
  • the 3-dibenzyl group was used, and the morpholinium system was an alkyl-substituted ionic liquid of 1-butyl-1-methyl, 1-hexyl-1-methyl, and 1-octyl-1-methyl group.
  • the anion has a combination group of bistrifluoromethanesulfonylimide (TFSI) and bisfluorosulfonylimide (FSI).
  • thermogravimetric analysis ranges from 288 to 445 ° C.
  • the ionic conductivity is in the range of 7.93 to 11.43 mS / cm at 25 ° C. in 0.1 mol + vanadium acetoacetonite 0.1 mol + acetonitrile solution.
  • the electrochemical potential window has a wide range of 2.0 ⁇ 2.5V.
  • the ionic liquid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very high ionic conductivity, a high decomposition point and a wide electrochemical potential window due to the improvement of the thermal decomposition temperature, and therefore, an electrolyte and an ultracapacitor for a non-aqueous redox flow battery and a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 High capacity capacitors capacitors, dye-sensitized solar cells, battery light emitting cells and the like.
  • the ionic liqui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istrifluoromethanesulfonylimide (TFSI) and bisfluorosulfonylimide (FSI) in imidazolium, pyrrolinium, morpholinium-based cations (1.69-4.87 mol) After the reaction by adding 2.23 ⁇ 6.28 mol, it can be synthesized by taking the organic layer and concentrated under reduced pressure.
  • TFSI bistrifluoromethanesulfonylimide
  • FSI bisfluorosulfonylimide
  • the ionic liqu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excellent thermal stability, has a ionic conductivity of 7.0 mS / cm or more in a solution phase, and has a wide electrochemical potential window of 2.0 V or more, so that non-aqueous redox flow battery, lithium ion secondary battery, ultra It is useful as an electrolyte for a capacitor, an ultra capacitor, a dye-sensitized solar cell, and a light emitting cell.
  • Electrochemical Potential Window 1.5 to 4.0 (2.5) V.
  • 1,3-Dibenzylimidazolium chloride 1.0Kg (3.51mol) is added to water and stirred.
  • 1.2 Kg (4.21 mol) of Li-TFSI was added thereto, and after completion of the reaction, the organic layer was distilled under reduced pressure to obtain 1.83 kg (98.9%) of a liquid ionic liqui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Hybrid Cell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Electric Double-Layer Capaci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현재 레독스플로우배터리(Redox flow battery)는 수계 시스템이 일부 상용화 되고는 있으나 26WH/L이하의 낮은 에너지 밀도와 1.25V이하의 낮은 셀 전압의 문제가 있으며 2종염의 사용으로 Crossover현상 발생으로 레독스흐름전지는 기술의 한계가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이미다졸륨, 피롤리니움, 몰포리니움의 양이온에 FSI, TFSI을 음이온으로 갖는 이온성 액체를 제조하여 시차열중량분석기(TGA) 분석 결과 250℃ 이상으로 열적 안정성이 확보되고 용액상에서 이온전도도가 7.0mS/cm 이상이며 전기화학 전위창의 범위가 2.0V 이상인 알킬기 치환된 이온성 액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이온성 액체는 비수계 레독스흐름전지, 리튬이온 2차 전지용, 울트라커패시터 (ultra capacitor·초고용량축전기), 콘덴서, 염료감응태양전지, 전지발광 셀 등의 전해질로서 응용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보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Description

레독스흐름전지용 전해액을 위한 알킬기 치환된 이온성 액체 제조방법
본 발명은 열적 안정성이 우수하고 용액상에서 이온전도도가 높으며 전기화학 전위창(Electrochemical window)이 높은 레독스흐름전지(Redox flow battery) 전해질용 고순도 이온성 액체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Bistrifluoromethanesulfonylimide: TFSI), 비스플루오로술포닐이미드(비스플로오로술포닐이미드: FSI)를 음이온으로 갖고 이미다졸륨(Imidazolium), 피롤리니움(Pyrrolidinium), 몰포리니움(Morphorinium)의 양이온에 알킬기가 치환된 레독스흐름전지 전해액을 위한 이온성 액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레독스 플로우 배터리(Redox Flow Battery)는 전해질의 산화 환원반응에 의해 충방전이 일어나는 이차전지 이다. 일반적인 전지와의 가장 큰 차이점은 에너지가 저장되는 전해질을 순환시키면서 충방전이 이루어진다는 점이다. 충방전은 산화와 환원의 전기화학전 반응이 일어나는 스택에서 이루어지고 전기는 별도의 탱크에 전해질에 저장되는 시스템으로 전해액에 전력을 비축하는 전지로써 높은 출력의 전력을 효과적으로 장시간에 걸쳐 반복하여 충방전 할 수 있다.
현재 레독스 플로우 배터리는 수계 시스템이 일부 상용화 되고는 있으나 26WH/L이하의 낮은 에너지 밀도와 1.25V이하의 낮은 셀 전압의 문제가 있으며 2종염의 사용으로 크로스오버(Crossover) 현상 발생으로 레독스흐름전지는 기술의 한계가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알킬기 치환된 이온성 액체 제조를 통해 높은 셀 전압, 높은 셀 에너지 밀도의 비수계 레독스흐름전지 전해액을 개발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자들이 지속적으로 연구한 결과, 이미다졸륨, 피롤리니움, 몰포리니움의 양이온에 알킬기가 치환되고 비스플로오로술포닐이미드(FSI),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 (TFSI)를 음이온으로 갖는 이온성 액체는 시차열중량분석기(TGA) 분석 결과 250℃ 이상으로 열적안정성이 확보되고 용액상에서 이온전도도가 7.0mS/cm 이상이며 전기화학 전위창(electrochemical window)의 범위가 2.0V 이상인 양이온에 알킬기 치환된 이온성 액체를 제조하여 비수계 레독스흐름전지, 리튬이온 2차 전지용 전해액, 울트라커패시터 (ultra capacitor·초고용량축전기), 콘덴서, 염료감응태양전지, 전지발광 셀 등의 전해질로서 응용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보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양이온으로는 이미다졸륨, 피롤리니움, 몰포리니움를 갖고 알킬기가 메틸부터 옥틸인 n=1~8의 체인을 가지며 음이온으로는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TFSI), 비스플로오로술포닐이미드(FSI)를 갖는 이온성 액체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를 갖고, 열적으로 안정하고 용액상에서 이온전도도가 7.0mS/cm 이상이고 전기화학 전위창의 범위가 2.0V 이상인 알킬기가 치환된 이온성 액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양이온으로서 피롤리니움계는 1-프로필-1-메틸, 1-부틸-1-메틸기가 사용되었고, 이미다졸륨계는 1-에틸-3-메틸, 1-프로필-3-메틸, 1,3-디벤질기가 사용되었으며 몰포리니움계는 1-부틸-1-메틸, 1-헥실-1-메틸, 1-옥틸-1-메틸기의 알킬기 치환된 이온성 액체가 사용되었다. 음이온으로는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TFSI), 비스플로오로술포닐이미드(FSI)의 조합군을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한 이온성 액체는 열중량분석법(TGA)은 288~445℃범위이며 이온성 액체 0.1mol+바나듐아세토아세토나이트 0.1mol+아세토니트릴 용액상태에서 이온전도도는 7.93~11.43 mS/cm at 25℃ 범위이며 전기화학 전위창는 2.0~2.5V의 넓은 범위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이온성 액체는 이온전도도가 매우 높으며 열분해 온도의 향상으로 분해점이 높고 넓은 전기화학 전위창을 가지므로 비수계 레독스흐름전지, 리튬이온 2차전지용 전해액과 울트라커패시터 (ultra capacitor·초고용량축전기), 콘덴서, 염료감응태양전지, 전지발광 셀 등의 전해질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온성 액체는 이미다졸륨, 피롤리니움, 몰포리니움계 양이온(1.69~4.87mol)에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TFSI) 및 비스플로오로술포닐이미드(FSI)을 2.23~6.28mol 가하여 반응시킨 후 유기층을 취하여 감압 농축하면 합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온성 액체는 열적 안정성이 우수하고, 용액상에서 이온전도도가 7.0mS/cm 이상이며 2.0V 이상의 넓은 전기화학 전위창을 가지므로 비수계 레독스흐름전지, 리튬이온 2차 전지, 울트라커패시터(Ultra capacitor), 콘덴서, 염료감응태양전지 및 전지발광셀 등의 전해질로서 유용하다.
도 1은 열분해온도의 측정에 사용된 TG/DTA7300, SEICO INST. 시차열중량분석기 이다.
도 2는 이온전도도의 측정 조건은 Measurement Method : 2 probe, Temperature : 25℃, 용액 : Ionic Liquid (0.1M) + V(acac)3 (0.1M) in acetonitrile이다. 전기화학 전위창에 사용된 Biologics VMP3B-8의 LSV(Linear Sweep Voltammetry) 측정기이며 측정조건은 아래와 같다.
- Working Electrode : SUS 316 disk 16Φ, Surface area of 2.01cm2
- Reference, Counter Electrode : Lithium
- Scan rate (dE/dt) : 5 mV/s, potential range :
- 2.95~7 V vs. Li/Li+ (Anodic scan) @ RT
- 3.05~0 V vs. Li/Li+ (Cathodic scan)
이하 실시예에서 본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물성 측정>
하기의 제조 예에 따라 합성된 이온성 액체의 구조 정보는 1H-NMR로 측정하였으며 이론량 대비 수율(%)을 계산하였고 LSV로 이온전도도(Ion-conductivity, mS/cm)와 전기화학 전위창(V) 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각 실시예에 기재하였다.
<제조예>
실시예 1:
1-프로필-1-메틸피롤리디니움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의 합성
1-프로필-1-메틸피롤리디니움 브로마이드 1.0kg(4.80mol)을 물에 넣고 교반한다. 여기에 Li-TFSI 1.65kg(5.76mol)을 넣고 반응 종료 후 분리하고 유기층을 감압 증류하여 1.80kg (92.0%)의 액상의 이온성 액체를 수득하였다.
1H-NMR (클로로포름-d, 400MHz) : 3.55 (m, 4H), 3.32 (m, 2H), 3.08 (s, 3H), 2.29 (d, 4H), 1.85 (m, 2H), 1.07 (t, 3H), TGA : 440.99, 이온 전도도 (25) : 9.96 mS/cm (용액), 전기화학 전위창 : 1.7 ~ 3.7 (2.0) V.
Figure PCTKR2015010099-appb-I000001
실시예 2: 1 -프로필-1- 메틸피롤리디니움 비스(플로오로술포닐)이미드의 합성
1-프로필-1-메틸피롤리디니움 브로마이드 500g(2.40mol)을 물에 넣고 교반한다. 여기에 K-FSI 631g(2.88mol)을 넣고. 반응 종료 후 유기층을 감압 증류하여 675g(91.2%)의 액상의 이온성 액체를 수득하였다.
1H-NMR (클로로포름-d, 400MHz) ? : 3.57 (t, 4H), 3.33 (m, 2H), 3.10 (s, 3H), 2.32 (d, 4H), 1.86 (m, 2H), 1.07 (t, 3H) TGA : 329.44, 이온 전도도 (25) : 10.79 mS/cm (용액), 전기화학 전위창 : 1.5 ~ 4.0 (2.5) V.
Figure PCTKR2015010099-appb-I000002
실시예 3:
1-부틸-1- 메틸피롤리디니움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의 합성
1-부틸-1-메틸피롤리디니움 브로마이드 1.0 Kg(4.50mol)을 물에 넣고 교반한다. 여기에 Li-TFSI 1.55Kg(5.40mol)을 넣고 반응 종료 후 유기층을 감압 증류하여 1.82kg(95.8%)의 액상의 이온성 액체를 수득하였다.
1H-NMR (클로로포름-d, 400MHz) ? : 3.52 (m, 4H), 3.31 (m, 2H), 3.05 (s, 3H), 2.26 (s, 4H), 1.73 (m, 2H), 1.42 (q, 2H), 0.99 (t, 3H), TGA: 445.46, 이온 전도도 (25) : 9.03 mS/cm (용액) : 8.09, 전기화학 전위창 : 1.5 ~ 3.8 (2.3) V.
Figure PCTKR2015010099-appb-I000003
실시예 4:
1-프로필-3- 메틸이미다졸륨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의 합성
1-프로필-3- 메틸 이미다졸륨 브로마이드 1.0kg(4.87mol)을 물에 넣고 교반한다 . 여기에 LI- TFSI 1.68kg(5.85mol)을 넣고 반응 종료 후 유기층을 감압 증류하여 1.87kg(94.9%)의 액상의 이온성 액체를 수득하였다.
1H-NMR (클로로포름-d, 400MHz) ? : 8.80 (s, 4H), 7.38 (t, 1H), 7.36 (t, 1H), 4.15 (m, 2H), 3.92 (s, 3H), 1.91 (m, 2H), 0.97 (m, 3H), TGA : 431.39, 이온 전도도 (25) : 9.71 mS/cm (용액),
전기화학 전위창 : 1.5 ~ 4.0 (2.5) V.
Figure PCTKR2015010099-appb-I000004
실시예 5:
1-프로필-3- 메틸이미다졸륨 비스(플로오로술포닐)이미드의 합성
1-프로필-3-메틸 이미다졸륨 브로마이드 1.0kg(2.43mol)을 물에 넣고 교반한다. 여기에 K-FSI 641g(2.92mol)을 넣고 반응 종료 후 분리하고 유기층을 감압 증류하여 710.8g(95.8%)의 액상의 이온성 액체를 수득하였다.
1H-NMR (클로로포름-d, 400MHz) ? : 8.75 (s, 4H), 7.36 (t, 1H), 7.31 (t, 1H), 4.15 (m, 2H), 3.92 (s, 3H), 1.89 (m, 2H), 0.95 (m, 3H), TGA : 343.81, 이온 전도도 (25) : 10.79 mS/cm (용액), 전기화학 전위창 : 1.5 ~ 3.8 (2.3) V.
Figure PCTKR2015010099-appb-I000005
실시예 6:
1-에틸-3- 메틸이미다졸륨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의 합성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 브로마이드 1.0Kg(5.23mol)을 물에 넣고 교반한다. 여기에 Li-TFSI 1.80 Kg(6.28mol)을 넣고 반응 종료 후 분리하고 유기층을 감압 증류하여 1.98kg(97.1%)의 액상의 이온성 액체를 수득하였다.
1H-NMR (클로로포름-d, 400MHz) ? : 8.57 (s, 1H), 7.39 (t, 1H), 7.34 (t, 1H), 4.23 (q, 2H), 3.98 (s, 3H), 1.52 (t, 3H), TGA : 440.86, 이온 전도도 (25) : 10.5 mS/cm (용액), 전기화학 전위창 : 1.5 ~ 3.8 (2.3) V.
Figure PCTKR2015010099-appb-I000006
실시예 7:
1-에틸- 3메틸이미다졸륨 비스(플로오로술포닐)이미드의 합성
1-에틸-3메틸이미다졸륨 브로마이드 1.0Kg(5.23mol)을 물에 넣고 교반한다. 여기에 K-FSI 1.37 Kg(6.28mol)을 넣고. 반응 종료 후 분리하고 유기층을 감압 증류하여 1.37kg(90%)의 액상의 이온성 액체를 수득하였다.
1H-NMR (클로로포름-d, 400MHz) ? : 8.46 (s, 1H), 7.38 (t, 1H), 7.33 (t, 1H), 4.21 (q, 2H), 3.90 (s, 3H), 1.52 (t, 3H), TGA : 350.75, 이온 전도도 (25) : 11.43 mS/cm (용액), 전기화학 전위창 : 1.5 ~ 3.8 (2.3) V.
Figure PCTKR2015010099-appb-I000007
실시예 8:
1,3- 디벤질이미다졸륨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의 합성
1,3-Dibenzyl이미다졸륨 chloride 1.0Kg(3.51mol)을 물에 넣고 교반한다. 여기에 Li-TFSI 1.2 Kg(4.21mol)을 넣고 반응 종료 후 유기층을 감압 증류하여 1.83kg(98.9%)의 액상의 이온성 액체를 수득하였다.
1H-NMR (클로로포름-d, 400MHz) ? : 8.98 (s, 1H), 7.41 (m, 6H), 7.36 (m, 4H), 7.16 (d, 2H), 5.33 (s, 4H), TGA : 375.73, 이온 전도도 (25) : 7.93 mS/cm (용액), 전기화학 전위창 : 1.5 ~ 4.0 (2.5) V.
Figure PCTKR2015010099-appb-I000008
실시예 9:
1-부틸-1- 메틸몰포리디니움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의 합성
1-부틸-1-메틸몰포리디니움 브로마이드 500 g(2.09mol)을 물에 넣고 교반한다. 여기에 Li-TFSI 723.23g(2.51mol)을 넣고 반응 종료 후 유기층을 감압 증류하여 905.3g(98.8%)의 액상의 이온성 액체를 수득하였다.
1H-NMR (클로로포름-d, 400MHz) ? : 4.00 (t, 4H), 3.44 (m, 6H), 3.23 (s, 3H), 1.75 (m, 2H), 1.48 (m, 2H), 1.02 (t, 3H), TGA : 291.0, 이온 전도도 (25) : 9.03 mS/cm (용액), 전기화학 전위창 : 1.5~ 4.0 (2.5) V.
Figure PCTKR2015010099-appb-I000009
실시예 10:
1-부틸-1- 메틸몰포리디니움 비스(플로오로술포닐)이미드의 합성
1-부틸-1-메틸몰포리디니움 브로마이드 500g(2.09mol)을 물에 넣고 교반한다. 여기에 Li-TFSI 723.23g(2.51mol)을 넣고 반응 종료 후 유기층을 감압 증류하여 698.8g(98.8%)의 액상의 이온성 액체를 수득하였다.
1H-NMR (클로로포름-d, 400MHz) ? : 4.03 (t, 4H), 3.44 (m, 6H), 3.24 (s, 3H), 1.77 (m, 2H), 1.46 (m, 2H), 1.03 (t, 3H), TGA : 402, 이온 전도도 (25) : 10.22 mS/cm (용액), 전기화학 전위창 : 1.5 ~ 4.0 (2.5) V.
Figure PCTKR2015010099-appb-I000010
실시예 11:
1- Hexyl -1- 메틸몰포리디니움 비스(플로오로술포닐)이미드의 합성
1-Hexyl-1-메틸몰포리디니움 브로마이드 500g(1.87mol)을 물에 넣고 교반한다. 여기에 Li-TFSI 493.26g(2.25mol)을 넣고 반응 종료 후 유기층을 감압 증류하여 811.35g(98.4%)의 액상의 이온성 액체를 수득하였다.
1H-NMR (클로로포름-d, 400MHz) ? : 4.01 (t, 4H), 3.44(m, 6H), 3.21 (s, 3H), 1.76 (m, 2H), 1.36 (m, 6H), 0.90 (m, 3H), TGA : 403, 이온 전도도 (25) : 8.63 mS/cm (용액),전기화학 전위창 : 1.5 ~ 3.8 (2.3) V.
Figure PCTKR2015010099-appb-I000011
실시예 12:
1- Octyl -1- 메틸몰포리디니움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의 합성
1-Octyl-1-메틸몰포리디니움 브로마이드 500g(1.69mol)을 물에 넣고 교반한다. 여기에 Li-TFSI 585.36g(2.03mol)을 넣고 반응 종료 후 유기층을 감압 증류하여 827.31g(98.9%)의 액상의 이온성 액체를 수득하였다.
1H-NMR (클로로포름-d, 400MHz) ? : 4.00 (t, 4H), 3.43(m, 6H), 3.22 (s, 3H), 1.76 (m, 2H), 1.32 (m, 10H), 0.88 (m, 3H), TGA : 288, 이온 전도도 (25) : 8.09 mS/cm (용액), 전기화학 전위창 : 1.5 ~ 3.8 (2.3) V.
Figure PCTKR2015010099-appb-I000012
실시예 13:
1- Octyl -1- 메틸몰포리디니움 비스(플로오로술포닐)이미드의 합성
1-Octyl-1-메틸몰포리디니움 브로마이드 500g(1.69mol)을 물에 넣고 교반한다. 여기에 K-FSI 445.03g(2.03mol/1.2eq)을 넣고 반응 종료 후 유기층을 감압증류하여 649.5g(97.4%)의 액상의 이온성 액체를 수득하였다.
1H-NMR (클로로포름-d, 400MHz) ? : 4.02 (t, 4H), 3.41(m, 6H), 3.22 (s, 3H), 1.77 (m, 2H), 1.32 (m, 10H), 0.88 (m, 3H), TGA : 408, 이온 전도도 (25) : 8.63 mS/cm (용액), 전기화학 전위창 : 1.5 ~ 3.8 (2.3) V.
Figure PCTKR2015010099-appb-I000013

Claims (8)

  1. 양이온으로는 이미다졸륨, 피롤리니움, 몰포리니움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를 갖고, 음이온으로는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TFSI), 비스플로오로술포닐이미드(FSI)의 조합군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조성된 전해질용 이온성 액체.
  2. 제 1항에 있어서, 양이온으로서 피롤리니움계는 1-프로필-1-메틸, 1-부틸-1-메틸기가 사용되고 음이온으로는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TFSI), 비스플로오로술포닐이미드(FSI)의 조합군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조성된 전해질용 이온성 액체.
  3. 제 1항에 있어서, 양이온으로서 이미다졸륨계는 1-에틸-3-메틸, 1-프로필-3-메틸, 1,3-디벤질기가 사용되고 음이온으로는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TFSI), 비스플로오로술포닐이미드(FSI)의 조합군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조성된 전해질용 이온성 액체.
  4. 제 1항에 있어서, 양이온으로서 몰포리니움계는 1-부틸-1-메틸, 1-헥실-1-메틸, 1-옥틸-1-메틸기가 사용되고 음이온으로는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TFSI), 비스플로오로술포닐이미드(FSI)의 조합군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조성된 전해질용 이온성 액체.
  5. 제 1항에 있어서, 이온성 액체는 이미다졸륨, 피롤리니움, 몰포리니움계 양이온(1.0~10mol)에 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이미드(TFSI) 및 비스플로오로술포닐이미드(FSI)을 0.8~10mol 가하여 반응시킨 후 유기층을 취하여 합성한 전해질용 이온성 액체.
  6. 제 1항에 있어서, 이온성 액체+바나듐(III) 아세틸아세토네이트+아세토니트릴의 용매를 사용하여 혼합된 성분의 전해질이거나 에스테르 계열의 전도성 용매인 EC(Ethylene carbonate), PC(Propylene carbonate), DMC(Dimethyl carbonate), DEC(Diethyl carbonate), EMC(Ethyl methyl carbonate), EA(Ethylene acetate)등과 에테르 계열의 전도성 용매인 DMM(Dipropylene glycol dimethyl ether), DME(Dimethyl ether), DEE(Diethyl ether)등의 전해질용 조성을 위해 사용된 전도성 용매와 이온성 액체.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비수계 레독스흐름전지, 리튬이온 2차 전지, 울트라커패시터 (ultra capacitor·초고용량축전기), 콘덴서, 염료감응태양전지, 전지발광 셀 등의 전해질용 조성을 위한 성분으로 사용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온성 액체.
  8. 제 1~6항에 있는 제조방법을 사용하여 제 7항과 같은 제품의 성분의 첨가제, 조절제나 촉진제 내지 주원료로 사용하는 전해질용 이온성 액체.
PCT/KR2015/010099 2015-09-24 2015-09-24 레독스흐름전지용 전해액을 위한 알킬기 치환된 이온성 액체 제조방법 WO2017051946A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5/010099 WO2017051946A1 (ko) 2015-09-24 2015-09-24 레독스흐름전지용 전해액을 위한 알킬기 치환된 이온성 액체 제조방법
KR1020187007163A KR102127055B1 (ko) 2015-09-24 2015-09-24 레독스흐름전지용 전해액을 위한 알킬기 치환된 이온성 액체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5/010099 WO2017051946A1 (ko) 2015-09-24 2015-09-24 레독스흐름전지용 전해액을 위한 알킬기 치환된 이온성 액체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051946A1 true WO2017051946A1 (ko) 2017-03-30

Family

ID=58386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5/010099 WO2017051946A1 (ko) 2015-09-24 2015-09-24 레독스흐름전지용 전해액을 위한 알킬기 치환된 이온성 액체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27055B1 (ko)
WO (1) WO20170519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8715A (ko) 2018-10-30 2020-05-08 삼성전자주식회사 혼성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전극 및 리튬전지
KR102195257B1 (ko) 2018-11-22 2020-12-24 건국대학교 글로컬산학협력단 이미다졸륨 기반 리튬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해질 조성물
CN112310476B (zh) * 2019-07-31 2021-10-29 中石化南京化工研究院有限公司 一种锂离子电池离子液体电解液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3181B1 (ko) * 2002-07-12 2004-12-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설퍼 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설퍼 전지
KR20080105045A (ko) * 2006-02-03 2008-12-03 다이이치 고교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이온성 액체를 사용한 리튬 이차 전지
US20100178555A1 (en) * 2007-06-29 2010-07-15 Adam Samuel Best Lithium energy storage device
US20110206979A1 (en) * 2008-08-29 2011-08-25 Commissariat A L'energie Atomique Et Aux Energies Alternatives Lithium-ion rechargeable accumulators including an ionic liquid electrolyte
KR20110126623A (ko) * 2009-02-18 2011-11-23 프라운호퍼-게젤샤프트 추르 푀르데룽 데어 안제반텐 포르슝 에 파우 이온성 액체에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42862B2 (en) * 2011-02-10 2016-01-26 Nippon Soda Co., Ltd. Process for production of fluorosulfonylimide ammonium salt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3181B1 (ko) * 2002-07-12 2004-12-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설퍼 전지용 전해액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설퍼 전지
KR20080105045A (ko) * 2006-02-03 2008-12-03 다이이치 고교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이온성 액체를 사용한 리튬 이차 전지
US20100178555A1 (en) * 2007-06-29 2010-07-15 Adam Samuel Best Lithium energy storage device
US20110206979A1 (en) * 2008-08-29 2011-08-25 Commissariat A L'energie Atomique Et Aux Energies Alternatives Lithium-ion rechargeable accumulators including an ionic liquid electrolyte
KR20110126623A (ko) * 2009-02-18 2011-11-23 프라운호퍼-게젤샤프트 추르 푀르데룽 데어 안제반텐 포르슝 에 파우 이온성 액체에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7617A (ko) 2018-05-30
KR102127055B1 (ko) 2020-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91559B2 (en) Functionalized ionic liquid electrolytes for lithium ion batteries
Liu et al. Ionic liquids based on (fluorosulfonyl)(pentafluoroethanesulfonyl) imide with various oniums
CN102816096B (zh) 一种亚胺碱金属盐和离子液体及其作为非水电解质的应用
CN106575791A (zh) 电解质组合物、二次电池、及二次电池的使用方法
CN102064343B (zh) 一种新型的锂离子电池电解液
JP2014007161A (ja) 非水電解液
US9472831B2 (en) Lithium-2-methoxy-1,1,2,2-tetrafluoro-ethanesulfonate and use thereof as conductive salt in lithium-based energy accumulators
US10826125B2 (en) Mono-nuclei cationized magnesium salt, preparation method and applications thereof
CN103896849B (zh) 腈基‑苯并咪唑盐及其制备方法
Chai et al. Low-viscosity ether-functionalized pyrazolium ionic liquids as new electrolytes for lithium battery
WO2017051946A1 (ko) 레독스흐름전지용 전해액을 위한 알킬기 치환된 이온성 액체 제조방법
CN104282939B (zh) 一种锂离子电池高压电解液
Nguyen et al. Multi-functional zwitterionic compounds as additives for lithium battery electrolytes
CN103553948A (zh) 含酯基官能团的离子液体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2017193510A (ja) ケイ素含有硫酸エステル塩
WO2018030564A1 (ko) 높은 이온전도도를 갖는 에테르기를 포함하는 전해질용 이온성 액체 제조방법
CN101541817A (zh) 锂盐及其制造方法
CN105742711B (zh) 一种电解液以及一种锂离子电池
JP2005179254A (ja) 常温溶融塩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8822151A (zh) 一种四氟丙二酸磷酸盐的制备方法
CN108987806A (zh) 环状硼酸酐于电池电解液中的应用
JP5680509B2 (ja) メソイオン化合物を含む電池用電解液、及び当該電解液を含む電池
JP2001052738A (ja) 非水電解液およびそれを用いたリチウム二次電池
CN103515654A (zh) 一种聚合物固体电解质的制造方法
CN104193655A (zh) 一种二元含氟磺酰亚胺及其碱金属盐的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590475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187007163

Country of ref document: KR

Kind code of ref document: A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5904757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