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56452A - 전동식 주행보드용 전방 현가장치 - Google Patents

전동식 주행보드용 전방 현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56452A
KR20180056452A KR1020160154085A KR20160154085A KR20180056452A KR 20180056452 A KR20180056452 A KR 20180056452A KR 1020160154085 A KR1020160154085 A KR 1020160154085A KR 20160154085 A KR20160154085 A KR 20160154085A KR 20180056452 A KR20180056452 A KR 201800564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case
handle shaft
shaft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4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0218B1 (ko
Inventor
함종원
Original Assignee
(주)인간과디자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인간과디자인 filed Critical (주)인간과디자인
Priority to KR10201601540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0218B1/ko
Publication of KR20180056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56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02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02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1/00Motorcycles, engine-assisted cycles or motor scooters with one or two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5/00Axle suspensions
    • B62K25/04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 B62K25/12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with rocking arm pivoted on each fork leg
    • B62K25/14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with rocking arm pivoted on each fork leg with single arm on each fork leg
    • B62K25/16Axle suspensions for mounting axles resiliently on cycle frame or fork with rocking arm pivoted on each fork leg with single arm on each fork leg for front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주행보드용 전방 현가장치는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동식 주행보드용 전방 현가장치 { Front Suspension for Electric Driving Board }
본 발명은 전동식 주행보드용 전방 현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동식 주행보드용 전방 현가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인기를 끌고 있는 주행보드, 소위 "킥보드(Kick board)" 혹은 "스쿠터(scoter)"는 사용자가 안착하는 발판의 전후방에 전륜과 후륜이 구비되며 전륜의 상부에 주행보드의 방향을 조향하는 핸들부로 구성되는 것으로 그 주행방법을 살펴보면 사용자의 일측 발을 발판에 올려놓은 후 타측 발로 지면을 박차고 밀며 구동력을 발생시키되, 사용자의 손은 핸들부를 잡은 상태로 중심을 잡으며 방향을 조절하며 주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주행보드는 조작이 간편하고 무게가 가벼워 부담없이 즐길수 있어 남녀노소 구분없이 많은 사용자들이 즐길 수 있는 놀이기구가 되고 있는 추세로서 이에 대한 기술문헌으로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189611호(명칭; 주행용 보드)와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192306호(명칭; 외발식 슬라이드 보드),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196549호(명칭; 킥 보드) 및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204403호(명칭; 절첩 가능한 킥보드)가 개시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주행보드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다리운동을 구동력으로 사용하게 되는데 이동거리가 길고 경사가 높은 주행로에서는 현실적으로 킥보드를 이용하는 것이 매우 어렵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의 주행보드에 엔진 또는 모터를 장착한 전동형 주행보드가 개발되었고, 이에 대한 기술문헌으로 국내 등록특허 제10-0424779호(명칭; 전동식 주행용 보드)가 개시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전동식 주행용 보드는 손잡이의 하부에 앞바퀴가 연결된 핸들부재와, 상기 핸들부재를 연결하며 내부에 배터리 전지를 수납하는 보드프레임과, 상기 보드프레임의 후방에 구비된 전동모터 및 상기 전동모터에 연결된 뒷바퀴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전동식 주행용 보드는 고중량의 배터리 및 전동모터가 설치되어 주행 중 요철이나 방지턱과 같은 장애물을 넘을 경우 그 중량을 이기지 못하고 프레임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그 중 직접적으로 지면과 접촉하는 바퀴부분을 연결하는 바퀴축부분이 가장 파손률이 높아 이에 대한 해결책이 매우 시급한 상황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주행보드의 바퀴를 잡아주는 케이스부의 내부에 완충부를 설치하여 전동식 주행보드의 외형을 깔끔하게 마감하고, 완충부의 내부에 스프링과 링크부재를 구비하여 스프링을 원할하게 승하강시킬 수 있으며, 완충부의 내부에 센터볼트를 삽입하여 수직방향으로 승하강하는 스프링이 일측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차단하며, 상부블럭의 상면에 탄성재질로 형성된 링형상의 충격방지링을 구비하여 센터볼트의 하강시 상부블럭에 발생되는 충격을 차단하는 전동식 주행보드용 전방 현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 주행보드용 전방 현가장치는 전동식 주행보드의 전방에 구비된 바퀴와, 상기 바퀴의 방향을 가변하는 핸들축에 연결되어 지면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전동식 주행보드용 전방 현가장치로서 상하면과 후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의 케이스본체와, 상기 케이스본체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바퀴가 연결되도록 하부방향으로 연장된 판형상의 바퀴연결편과, 상기 케이스본체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핸들축에 상기 케이스본체가 연결되도록 상부방향으로 연장된 축연결편과, 상기 축연결편에 연결되며 그 후방면이 상기 핸들축에 회전되도록 연결된 케이스링크로 이루어진 케이스부와; 상기 핸들축에 연결된 한 쌍의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의 사이에 구비된 상부블럭과, 상기 상부블럭의 하면에 안착된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의 하부에 연결된 하부블럭과, 상기 하부블럭의 양측면과 상기 핸들축에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부의 내부에 고정된 링크부재로 이루어진 완충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링크는 상기 축연결편에 연결되도록 전방으로 연장된 한 쌍의 전방연결부와, 상기 핸들축에 연결되도록 후방으로 연장된 한 쌍의 후방연결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하부블럭에 연결되도록 전방으로 연장된 한 쌍의 전방연결구와, 상기 핸들축에 연결되도록 후방으로 연장된 한 쌍의 후방연결구와, 상기 전방연결구와 후방연결구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본체에 연결되는 케이스연결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완충부의 내부에는 상기 스프링이 일측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차단되도록 상기 상부블럭과 하부블럭의 중심축을 관통하며 상기 스프링에 삽입된 센터볼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블럭의 상면에는 상기 센터볼트의 하강시 상기 상부블럭에 발생되는 충격이 차단되도록 탄성재질로 형성된 링형상의 충격방지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동식 주행보드용 전방 현가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주행보드의 바퀴를 잡아주는 케이스부의 내부에 완충부를 설치함으로써, 전동식 주행보드의 외형을 깔끔하게 마감하여 제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둘째, 주행보드가 방지턱을 넘을 경우 케이스부의 내부에 연결된 링크부재가 일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링크부재에 연결된 스프링을 통하여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어 스프링을 원할하게 승하강시킬 수 있으며,
셋째, 완충부의 내부에 상부블럭과 하부블럭의 중심축을 관통하며 스프링에 삽입된 센터볼트가 구비됨으로써, 수직방향으로 승하강하는 스프링이 일측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고,
넷째, 상부블럭의 상면에 탄성재질로 형성된 링형상의 충격방지링이 구비됨으로써, 센터볼트의 하강시 상부블럭에 발생되는 충격이 차단되어 충격에 의한 부품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주행보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동 주행보드를 나타내 보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방 현가장치를 나타내 보인 부분 확대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전방 현가장치 중 완충부를 나타내 보인 부분삭제 확대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완충부를 확대한 부분 확대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측면작용도로서 (a)는 완충전 상태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고, (b)는 완충후 상태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부분 측면작용도로서 (a)는 완충전 상태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고, (b)는 완충후 상태를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주행보드용 전방 현가장치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식 주행보드(B)의 전방에 구비된 바퀴(W)와, 상기 바퀴(W)의 방향을 가변하는 핸들축(F)에 연결되어 지면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전동식 주행보드용 전방 현가장치(1)로서 상하면과 후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의 케이스본체(11)와, 상기 케이스본체(11)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바퀴(W)가 연결되도록 하부방향으로 연장된 판형상의 바퀴연결편(12)과, 상기 케이스본체(11)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핸들축(F)에 상기 케이스본체(11)가 연결되도록 상부방향으로 연장된 축연결편(13)과, 상기 축연결편(13)에 연결되며 그 후방면이 상기 핸들축(F)에 회전되도록 연결된 케이스링크(14)로 이루어진 케이스부(10)와;
상기 핸들축(F)에 연결된 한 쌍의 고정편(21)과, 상기 고정편(21)의 사이에 구비된 상부블럭(22)과, 상기 상부블럭(22)의 하면에 안착된 스프링(23)과, 상기 스프링(23)의 하부에 연결된 하부블럭(24)과, 상기 하부블럭(24)의 양측면과 상기 핸들축(F)에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부(10)의 내부에 고정된 링크부재(25)로 이루어진 완충부(20);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링크(14)의 양측 연결부분에는 상기 케이스본체(11)가 승하강 회전토록 볼트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고정편(21)과 링크부재(25)의 양측 연결부분에도 상기 링크부재(25)가 승하강 회전토록 볼트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케이스본체(11)의 내측면에는 상기 링크부재(25)가 볼트로 고정되도록 천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링크(14)는 상기 축연결편(13)에 연결되도록 전방으로 연장된 한 쌍의 전방연결부(141)와, 상기 핸들축(F)에 연결되도록 후방으로 연장된 한 쌍의 후방연결부(142)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전방연결부(141)와, 후방연결부(142)의 일면에는 볼트가 관통되도록 볼트공(미도시)이 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링크부재(25)는 상기 하부블럭(24)에 연결되도록 전방으로 연장된 한 쌍의 전방연결구(251)와, 상기 핸들축(F)에 연결되도록 후방으로 연장된 한 쌍의 후방연결구(252)와, 상기 전방연결구(251)와 후방연결구(252)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본체(11)에 연결되는 케이스연결부(253)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전방연결구(251)와 후방연결구(252), 케이스연결부(253)의 일면에는 볼트가 관통되도록 볼트공(미도시)이 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케이스링크(14)와 링크부재(25)의 형상은 "H"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완충부(20)의 내부에는 상기 스프링(23)이 일측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차단되도록 상기 상부블럭(22)과 하부블럭(24)의 중심축을 관통하며 상기 스프링(23)에 삽입된 센터볼트(26)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상부블럭(22)과 하부블럭(24)의 일면에는 상기 센터볼트(26)가 관통되도록 천공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블럭(22)의 상면에는 상기 센터볼트(26)의 하강시 상기 상부블럭(22)에 발생되는 충격이 차단되도록 탄성재질로 형성된 링형상의 충격방지링(221)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주행보드용 전방 현가장치의 작용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주행보드용 전방 현가장치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식 주행보드(B)의 전방에 구비된 바퀴(W)와, 상기 바퀴(W)의 방향을 가변하는 핸들축(F)에 연결되어 지면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전동식 주행보드용 전방 현가장치(1)이다.
즉, 상기 핸들축(F)에 회전되도록 연결된 케이스링크(14)에 상기 케이스부(10)의 상부를 연결하고, 상기 바퀴(W)의 양측면에 상기 케이스부(10)의 하부를 연결하는 것으로 상기 바퀴(W)가 상하로 승하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부(10)의 내부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승하강시키되 그 사이에 스프링(23)이 안착된 완충부(20)를 구비시킴으로써, 수직방향으로 발생된 작용을 스프링을 탄성으로 완충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완충부(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상기 핸들축(F)에 연결되는 고정편(21)과, 하부에 상기 핸들축(F)에 회전되도록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부(10)의 내부에 고정된 링크부재(25)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케이스부(10)의 승하강 작용 즉, 바퀴(W)가 방지턱을 넘을 경우 상기 케이스부(10)의 내부에 연결된 링크부재(25)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되, 상기 링크부재(25)에 연결된 스프링(23)을 통하여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완충부(20)의 내부에는 상기 상부블럭(22)과 하부블럭(24)의 중심축을 관통하며 상기 스프링(23)에 삽입된 센터볼트(26)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스프링(23)이 일측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미연에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상부블럭(22)의 상면에는 탄성재질로 형성된 링형상의 충격방지링(221)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센터볼트(26)의 하강시 상기 상부블럭(22)에 발생되는 충격이 차단되어 충격에 의한 부품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B : 전동식 주행보드 W : 바퀴
F : 핸들축 B1 : 볼트
1 : 현가장치 10 : 케이스부
11 : 케이스본체 12 : 바퀴연결편
13 : 축연결편 14 : 케이스링크
141 : 전방연결부 142 : 후방연결부
20 : 완충부 21 : 고정편
22 : 상부블럭 221 : 충격방지링
23 : 스프링 24 : 하부블럭
25 : 링크부재 251 : 전방연결구
252 : 후방연결구 253 : 케이스연결부
26 : 센터볼트

Claims (5)

  1. 전동식 주행보드(B)의 전방에 구비된 바퀴(W)와, 상기 바퀴(W)의 방향을 가변하는 핸들축(F)에 연결되어 지면에서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시키는 전동식 주행보드용 전방 현가장치(1)에 있어서,
    상하면과 후면이 개방된 박스형상의 케이스본체(11)와, 상기 케이스본체(11)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바퀴(W)가 연결되도록 하부방향으로 연장된 판형상의 바퀴연결편(12)과, 상기 케이스본체(11)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핸들축(F)에 상기 케이스본체(11)가 연결되도록 상부방향으로 연장된 축연결편(13)과, 상기 축연결편(13)에 연결되며 그 후방면이 상기 핸들축(F)에 회전되도록 연결된 케이스링크(14)로 이루어진 케이스부(10)와;
    상기 핸들축(F)에 연결된 한 쌍의 고정편(21)과, 상기 고정편(21)의 사이에 구비된 상부블럭(22)과, 상기 상부블럭(22)의 하면에 안착된 스프링(23)과, 상기 스프링(23)의 하부에 연결된 하부블럭(24)과, 상기 하부블럭(24)의 양측면과 상기 핸들축(F)에 연결되며 상기 케이스부(10)의 내부에 고정된 링크부재(25)로 이루어진 완충부(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주행보드용 전방 현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링크(14)는 상기 축연결편(13)에 연결되도록 전방으로 연장된 한 쌍의 전방연결부(141)와, 상기 핸들축(F)에 연결되도록 후방으로 연장된 한 쌍의 후방연결부(14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주행보드용 전방 현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25)는 상기 하부블럭(24)에 연결되도록 전방으로 연장된 한 쌍의 전방연결구(251)와, 상기 핸들축(F)에 연결되도록 후방으로 연장된 한 쌍의 후방연결구(252)와, 상기 전방연결구(251)와 후방연결구(252)의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본체(11)에 연결되는 케이스연결부(253)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주행보드용 전방 현가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20)의 내부에는 상기 스프링(23)이 일측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이 차단되도록 상기 상부블럭(22)과 하부블럭(24)의 중심축을 관통하며 상기 스프링(23)에 삽입된 센터볼트(26)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주행보드용 전방 현가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블럭(22)의 상면에는 상기 센터볼트(26)의 하강시 상기 상부블럭(22)에 발생되는 충격이 차단되도록 탄성재질로 형성된 링형상의 충격방지링(221)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주행보드용 전방 현가장치.
KR1020160154085A 2016-11-18 2016-11-18 전동식 주행보드용 전방 현가장치 KR1018902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4085A KR101890218B1 (ko) 2016-11-18 2016-11-18 전동식 주행보드용 전방 현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4085A KR101890218B1 (ko) 2016-11-18 2016-11-18 전동식 주행보드용 전방 현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56452A true KR20180056452A (ko) 2018-05-29
KR101890218B1 KR101890218B1 (ko) 2018-08-22

Family

ID=624529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4085A KR101890218B1 (ko) 2016-11-18 2016-11-18 전동식 주행보드용 전방 현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021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2023Y1 (ko) * 2020-04-24 2020-07-22 연제혁 프런트 서스펜션 구조를 구비한 전동퀵보드
KR20210079736A (ko) * 2019-12-20 2021-06-30 주식회사 피엠모터스 전동 바이크의 완충장치
USD998716S1 (en) * 2020-06-17 2023-09-12 Zhejiang Moovi Tech Co., Ltd. Electric scoot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0849B1 (ko) * 2020-11-02 2021-03-24 (주)제이앤제이글로벌 킥보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1283U (ja) * 2002-07-08 2003-01-24 士維 黄 キックボードの連結桿式振動防止構造
CN202358269U (zh) * 2011-08-25 2012-08-01 刘岗 车辆、前轮轴支架以及减震机构
KR101520354B1 (ko) * 2014-11-28 2015-05-21 (주)인간과기술 접이식 전동형 주행보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1283B2 (ja) * 1991-12-09 2000-09-25 花王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91283U (ja) * 2002-07-08 2003-01-24 士維 黄 キックボードの連結桿式振動防止構造
CN202358269U (zh) * 2011-08-25 2012-08-01 刘岗 车辆、前轮轴支架以及减震机构
KR101520354B1 (ko) * 2014-11-28 2015-05-21 (주)인간과기술 접이식 전동형 주행보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9736A (ko) * 2019-12-20 2021-06-30 주식회사 피엠모터스 전동 바이크의 완충장치
KR200492023Y1 (ko) * 2020-04-24 2020-07-22 연제혁 프런트 서스펜션 구조를 구비한 전동퀵보드
USD998716S1 (en) * 2020-06-17 2023-09-12 Zhejiang Moovi Tech Co., Ltd. Electric scoo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0218B1 (ko) 2018-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0218B1 (ko) 전동식 주행보드용 전방 현가장치
US7273118B2 (en) Electric wheelchair frame
KR20160124018A (ko) 외바퀴 전동 밸런스 트롤리
KR101520354B1 (ko) 접이식 전동형 주행보드
CN106697267A (zh) 一种无人机两用起落架
CN104828187A (zh) 一种自平衡电动独轮摩托车
CN205075956U (zh) 一种电动代步车结构
CN105151186A (zh) 一种电动代步车结构
KR20150106298A (ko) 킥스쿠터
JP2008307916A (ja) キャスター
KR101458855B1 (ko) 레져용 카트
JP2014113970A (ja) 立乗り式電動車両
CN201694323U (zh) 多功能亲子折叠自行车
CN205168755U (zh) 一种新型电动踏板车
CN204687783U (zh) 小型叉车后轮平衡装置
CN204310001U (zh) 电摩车前轮机构
CN102849164A (zh) 一种童车
CN202682206U (zh) 一种具有避震功能的轮椅
KR101758122B1 (ko) 보조배터리 연결수단이 구비된 전동 주행보드
JP3126027U (ja) 輪体構造
CN105501364B (zh) 具有缓震后车架的折叠电动车
CN213562690U (zh) 一种全向移动越障底盘
CN204723762U (zh) 小型遥控越野车
CN204674737U (zh) 一种自平衡电动独轮摩托车
CN103786818B (zh) 一种两轮电动车避震车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