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0849B1 - 킥보드 - Google Patents

킥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0849B1
KR102230849B1 KR1020200144283A KR20200144283A KR102230849B1 KR 102230849 B1 KR102230849 B1 KR 102230849B1 KR 1020200144283 A KR1020200144283 A KR 1020200144283A KR 20200144283 A KR20200144283 A KR 20200144283A KR 102230849 B1 KR102230849 B1 KR 102230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ont wheel
buffer member
footrest
wheel
kick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42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마로
Original Assignee
(주)제이앤제이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앤제이글로벌 filed Critical (주)제이앤제이글로벌
Priority to KR1020200144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08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0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0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62K21/08Steerin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1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liquid only; using a fluid of which the nature is im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54Arrangements for attach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탑승할 수 있는 지지면을 제공하는 발판, 상기 발판의 전측에 배치되어 상기 발판의 진행 방향을 조절하는 조향부, 상기 발판과 상기 조향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발판과 상기 조향부 각각과 결합되는 연결축, 상기 조향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전방 휠, 상기 발판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후방 휠, 일측은 상기 전방 휠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발판의 전측에 연결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전방 휠이 좌우 방향으로 회전할 때, 압축 또는 신장되면서 상기 전방 휠이 회전하는 방향으로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는 킥보드를 제공한다.
따라서 완충부재가 전방 휠의 좌우 방향으로의 급격한 회전을 방지하므로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킥보드{kickboard}
본 발명은 킥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방 휠이 회전할 때, 일측은 전방 휠에 인접하도록 결합되고 타측은 발판과 결합되어 있는 완충부재가 압축되면서 전방 휠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는 킥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킥보드는 한 발은 발판 위에 올려 놓고, 나머지 한 발은 지면을 차면서 발생하는 추진력에 의해 주행하는 이동 기구로서, 주로 어린이의 놀이 기구로 사용되다가 최근에는 성인도 이동이나 레저용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킥보드는 한 발로 지면을 찰 때에만 추진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오래 타면 쉽게 피로해 져 먼거리를 이동하는 것이 어렵고, 한 발로 지면을 차는 과정에서 탑승 상태가 불안하며, 추진력이 충분하지 못하여, 최근에는 모터를 설치하여 바퀴가 자동 회전되도록 하는 전동 킥보드가 개발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전동 킥보드는 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 받기 때문에 사람이 발로 추진력을 얻는 킥보드에 비해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차들이 주행하는 도로에서도 전동 킥보드를 타는 사람들을 쉽게 발견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전동 킥보는 바퀴(휠)이 매우 작은 편이라 노면의 상황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운전자의 의도와는 무관하게 조향이 이루어지는 경우도 있다. 특히 빠른 속도로 운행하는 경우에는 더더욱 그러하다. 보통의 킥보드 이용자들이 특별한 안정 장치를 구비하지 않은 상태로 킥보드를 운행하는 점을 고려할 때, 전륜이 급격하게 회전될 경우 탑승자가 부상을 입을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최근의 킥보드는 편안하고 빠르게 운행할 수 있기 위한 구조만 주로 개발되고 있어서 더욱 빠르게 운행되는 킥보드를 탑승하는 탑승자의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938094호
본 발명은 전방 휠이 회전할 때, 일측은 전방 휠에 인접하도록 결합되고 타측은 발판과 결합되어 있는 완충부재가 압축되면서 전방 휠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는 킥보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사용자가 탑승할 수 있는 지지면을 제공하는 발판, 상기 발판의 전측에 배치되어 상기 발판의 진행 방향을 조절하는 조향부, 상기 발판과 상기 조향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발판과 상기 조향부 각각과 결합되는 연결축, 상기 조향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전방 휠, 상기 발판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후방 휠, 일측은 상기 전방 휠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발판의 전측에 연결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전방 휠이 좌우 방향으로 회전할 때, 압축 또는 신장되면서 상기 전방 휠이 회전하는 방향으로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는 킥보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사용자가 탑승할 수 있는 지지면을 제공하는 발판, 상기 발판의 전측에 배치되어 상기 발판의 진행 방향을 조절하는 조향부, 상기 발판과 상기 조향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발판과 상기 조향부 각각과 결합되는 연결축, 상기 조향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전방 휠, 상기 발판의 후단 부에 결합되는 후방 휠, 일측은 상기 조향부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연결축에 연결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전방 휠이 좌우 방향으로 회전할 때, 압축 또는 신장되면서 상기 전방 휠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는 킥보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킥보드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완충부재가 전방 휠의 좌우 방향으로의 급격한 회전을 방지하므로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둘째, 조향부가 전후 방향으로 유격되는 경우에도 완충부재가 조향부의 전후 방향으로의 급격한 움직임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셋째, 완충부재는 전방 휠과 발판의 전측에 결합되므로 결합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킥보드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킥보드의 완충부재의 설치모습을 확대하여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따른 킥보드의 Ⅲ-Ⅲ 선을 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따른 킥보드의 전방 휠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할 때, 완충부재가 작동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킥보드가 도시된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킥보드가 도시된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킥보드(100)는 발판(110), 조향부(120), 연결축(130), 휠(140) 및 완충부재(150)를 포함한다. 상기 발판(110)은 플레이트 형상의 판으로써, 상기 킥보드(100)를 이용하는 탑승자가 발로 서 있을 수 있는 지지면을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발판(110)은 전후 방향(상기 킥보드(100)의 휠(140) 두 개를 연결하는 직선 방향을 전후 방향이라 한다.)으로 길게 연장되어 있는 형태인 것을 예로 든다.
상기 조향부(120)는 상기 발판의 전측에 배치되어 상기 발판(110)의 진행 방향을 조절한다. 상기 조향부(120)는 상기 발판(110)으로부터 앞쪽으로 설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조향부(120)는 바(bar) 구조를 갖는다. 상기 조향부(120)의 상부에는 상기 킥보드(100)의 탑승자가 상기 조향부(120)를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손잡이(12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연결축(130)은 상기 발판(110)과 상기 조향부(1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발판(110)과 상기 조향부(120) 각각과 결합된다. 즉, 상기 연결축(130)은, 일측은 상기 발판(110)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조샹부(120)와 연결된다. 이 때 상기 연결축(130)은 비스듬하게 배치되는데,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구조이다.
상기 휠(140)은 전방 휠(141) 및 후방 휠(142)를 포함한다. 상기 전방 휠(141)은 상기 조향부(120)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후방 휠(142)은 상기 발판(110)의 후단부에 결합된다. 상기 전방 휠(141)은 상기 조향부(120)에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조향부(120)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면서 상기 킥보드(100)가 진행하는 방향을 조절한다.
본 실시예에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상기 조향부(120)와 상기 전방 휠(141)이 연결되는 부분에는 정(+) 캐스터(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전방 휠(141)은 상기 조향부(120)를 지면까지 연장한 가상의 선을 기준으로 더 앞쪽에 전진해 있게 되고, 상기 조향부(120)는 상기 정(+) 캐스터(미도시)에 의해 기울어진 각도만큼 뒤쪽으로 거울어진 형태가 된다. 상기 정(+) 캐스터는 상기 킥보드(100)의 주행 중, 상기 전방 휠(141)을 앞에서 끌어당기는 효과를 나타내므로, 전진 방향으로 안정되고 상기 전방 휠(141)의 떨림이나 튐 등의 현상이 감소하게 된다.
상기 완충부재(150)는 상기 전방 휠(141)이 좌우 방향으로 회전할 때, 압축 또는 신장 되면서 상기 전방 휠(141)이 회전하는 방향으로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완충부재(150)는 일측은 상기 전방 휠(140)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발판(110)의 전측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완충부재(150)는 상기 전방 휠(141)의 일측인 좌측에 연결되는 제1완충부재(151) 및 상기 전방 휠(142)의 타측인 우측에 연결되는 제2완충부재(152)를 포함한다.
상기 제1완충부재(151)는 제1발판 결합부(151a), 제1커버(151b), 제1피스톤 로드(151c) 및 제1휠 결합부(151d)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완충부재(151)는 쇼크 업소버(shock absorber)와 유사한 구조인 것을 예로 든다. 즉, 상기 제1완충부재(151)는 도면상에 도시하지는 않지만, 상기 제1커버(151b) 내부에 내부 커버(미도시) 및 오일(미도시)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고, 따라서 상기 제1피스톤 로드(151c)의 직선 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발판 결합부(151a)는 상기 제1발판(110)의 전단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부분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판(110)의 전측에는 상기 발판(110)과 평행하게 상기 발판(110)의 앞쪽으로 연장되어 돌출되어 있는 발판 돌출부(110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발판 돌출부(110a)는 상기 완충부재(150)와 상기 발판(110)의 결합을 위한 구성이다.
상기 제1커버(151b)는 일측이 상기 제1발판 결합부(151a)와 결합된다. 상기 제1커버(151b)는 로드(rod) 형상을 갖고, 상기 발판(110)과 평행하게 상기 전방 휠(141)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내부에 중공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제1커버(151b)는 상기 제1피스톤 로드(151c)가 상기 제1커버(151b)의 중공에서 슬라이딩 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제1피스톤 로드(151c)는 일측이 상기 제1휠 결합부(151d)와 결합되고, 상기 제1커버(151b) 방향으로 연장되며, 타측은 상기 제1커버(151b)의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제1피스톤 로드(151c)는 로드(rod)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전방 휠(141)의 회전에 따라 압축 또는 신장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피스톤 로드(151c)의 압축은, 상기 제1피스톤 로드(151c)가 상기 제1커버(151b) 내부의 중공에서 슬라이딩 하면서 상기 제1발판 결합부(151a)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상기 제1피스톤 로드(151c)의 신장은, 상기 제1피스톤 로드(151c)가 상기 제1커버(151b) 내부의 중공에서 슬라이딩 하면서 상기 제1휠 결합부(151d)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제1휠 결합부(151d)는 상기 전방 휠(141)과 상기 조향부(120)가 연결되는 전방 휠축(141a)과 결합된다. 상기 제1휠 결합부(151d)는 회동 가능하므로, 상기 전방 휠(141)이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1피스톤 로드(151c)가 압축 또는 신장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휠 결합부(151d)가 원형으로 제자리에서 회동하는 구조인 것을 예로 든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1휠 결합부(151d)는 타원형의 슬릿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피스톤 로드(151c)가 신장될 때는, 상기 제1피스톤 로드(151c)가 상기 제1휠 결합부(151d)와 연결되는 부분은 상기 타원형의 슬릿 구조의 중심부 쪽(상기 전방 휠축(141a)의 중심쪽)으로 슬라이딩 되고, 상기 제1피스톤 로드(151c)가 압축될 때는, 상기 제1피스톤 로드(151c)가 상기 제1휠 결합부(151d)와 연결되는 부분은 상기 타원형의 슬릿 구조의 가장자리 쪽(상기 전방 휠축(141a)의 가장자리쪽)으로 슬라이딩 된다.
상기 제2완충부재(152)는 제2발판 결합부(152a), 제2커버(152b), 제2피스톤 로드(152c) 및 제2휠 결합부(152d)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완충부재(152)는 상기 전방 휠(141)을 기준으로 상기 제1완충부재(151)와 대칭구조를 이룬다. 즉, 상기 제2완충부재(152)는 상기 제1완충부재(151)가 상기 전방 휠(141)의 좌측에 배치되는데 반해, 상기 전방 휠(141)의 우측에 배치된다는 점에만 차이가 있고, 구성 및 구조가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상기 제2완충부재(152)는 상기 전방 휠(141)이 좌우 방향으로 회전 운동을 할 때, 상기 제1완충부재(151)가 압축되면 신장되고, 상기 제1완충부재(151)가 신장되면 압축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4에서 도시한 것과 같이 상기 전방 휠(141)이 좌측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1완충부재(151)의 상기 제1피스톤 로드(151c)는 압축되고, 상기 제2피스톤 로드(152c)는 신장된다. 반대로 상기 전방 휠(141)이 우측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1완충부재(151)의 상기 제1피스톤 로드(151c)는 신장되고, 상기 제2피스톤 로드(152c)는 압축된다. 이러한 작용을 통해 상기 제1완충부재(151) 및 상기 제2완충부재(152)가 상기 전방 휠(141)이 좌우 방향으로 급격하게 회전하는 것을 막는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상기 조향부(120)는 전방 휠(141)을 중심으로 후방으로 설정 각도 회동이 가능하다. 즉, 이러한 작동은 상기 전방 휠(141)이 상기 조향부(120)와 결합된 상태에서 외력에 의해 앞쪽으로 밀려 나감으로써 상기 조향부(120)가 뒤쪽으로 기울어지는 동작과 유사하다. 이 때도 상기 제1완충부재(151) 및 상기 제2완충부재(152)는 상기 조향부(120)가 급격하게 전후 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조향부(120)가 후방으로 회동할 때는 상기 제1피스톤 로드(151c) 및 상기 제2피스톤 로드(152c)가 신장되면서 상기 조향부가 회동하는 속도를 감소시키고, 상기 조향부(120)가 후방으로 회동한 후 원위치로 되돌아갈 때는, 상기 제1피스톤 로드(151c) 및 상기 제2피스톤 로드(152c)가 압축되면서 상기 조향부(120)가 회동하는 속도를 감소시키는 것이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조향부(120)가 상기 전방 휠(141)을 중심으로 후방으로 설정 각도 회동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킥보드(100)는 일반 킥보드일 수도 있고, 전동 킥보드일 수도 있다. 전동 킥보드의 경우, 배터리 및 모터 구동 장치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는 공지의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킥보드(100)에서 전방 휠(141) 및 후방 휠(142)이 각각 1개 이지만, 전방 휠(141) 및 후방 휠(142)은 2개 이상이 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킥보드(200)는 발판(210), 조향부, 연결축(230), 휠 및 완충부재(2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킥보드(200)는 도 1에 따른 킥보드(100)와 완충부재(250)의 설치 구조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상기 발판(210), 상기 조향부, 상기 연결축(230) 및 상기 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완충부재(250)는 일측은 상기 조향부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연결축(230)에 연결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상기 완충부재(250)는 도 1에 따른 완충부재(150)보다 위쪽에 설치된다. 이는 전방 휠(241)이 회전할 때, 회전 각도가 커지면 상기 완충부재(250)와 간섭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킥보드(200)는 도 1에 따른 킥보드(100)에 비해 상기 전방 휠(241)의 회전 각도가 큰 경우에도 상기 완충부재(250)와의 간섭없이 사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킥보드(300)는 발판(310), 조향부, 연결축(330), 휠 및 완충부재(35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다른 킥보드(300)는 도 5에 따른 킥보드(200)와 완충부재(350)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상기 발판(310), 상기 조향부, 상기 연결축(330) 및 상기 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완충부재(350)는 단일 구성이다. 즉, 도 5에 따른 완충부재(250)는 도 1에 따른 완충부재(150)와 같이 상기 전방 휠(241)을 기준으로 좌측에 연결되는 제1완충부재 및 우측에 연결되는 제2완충부재를 포함한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재(350)는 상기 조향부를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두 개의 제1완충부재 및 제2완충부재가 배치되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완충부재(350)만 배치되는 점에 차이가 있다.
따라서 상기 완충부재(350)는 일측은 상기 조향부가 상기 연결축(330)과 마주보는 상기 조향부의 후면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연결축(330)이 상기 조향부와 마주보는 상기 연결축(330)의 전면에 연결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재(350)는 상기 연결축(330)으로부터 상기 조향부 방향으로 갈수록 위쪽으로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구조를 갖는다. 이는 상기 조향부와 상기 연결축(330) 사이에 상기 완충부재(350)를 상기 발판(310)과 평행하게 배치할 경우, 상기 조향부와 상기 연결축(330)의 이격거리가 짧아서 상기 완충부재(350)의 설치가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이격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서 본 실시예에 따른 완충부재(350)는 도 5에 따른 완충부재(250)와 동일한 크기이더라도 상기 조향부와 상기 연결축 사이에 설치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킥보드(300)는 도 5에 따른 킥보드(200)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200, 300: 킥보드
110, 210, 310: 발판
110a: 발판 돌출부
120: 조향부
121: 손잡이
130, 230, 330: 연결축
140: 휠
141, 241, 341: 전방 휠
141a: 전방 휠축
142: 후방 휠
150, 250, 350: 완충부재
151: 제1완충부재
151a: 제1발판 결합부
151b: 제1커버
151c: 제1피스톤 로드
151d: 제1휠 결합부
152: 제2완충부재
152a: 제2발판 결합부
152b: 제2커버
152c: 제2피스톤 로드
152d: 제2휠 결합부

Claims (9)

  1. 사용자가 탑승할 수 있는 지지면을 제공하는 발판;
    상기 발판의 전측에 배치되어 상기 발판의 진행 방향을 조절하는 조향부;
    상기 발판과 상기 조향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발판과 상기 조향부 각각과 결합되는 연결축;
    상기 조향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전방 휠;
    상기 발판의 후단부에 결합되는 후방 휠;
    일측은 상기 전방 휠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발판의 전측에 연결되는 완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전방 휠이 좌우 방향으로 회전할 때, 압축 또는 신장되면서 상기 전방 휠이 회전하는 방향으로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며,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조향부를 기준으로, 상기 전방 휠의 좌측에 연결되는 제1완충부재 및 상기 전방 휠의 우측에 연결되는 제2완충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완충부재는,
    상기 발판의 전단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제1발판 결합부;
    상기 전방 휠과 상기 조향부가 연결되는 전방 휠축과 결합되는 제1휠 결합부;
    일측은 상기 제1발판 결합부와 연결되고, 상기 발판과 평행하게 상기 전방 휠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커버; 및
    일측은 상기 제1휠 결합부와 결합되고, 상기 제1커버 방향으로 연장되며, 타측은 상기 제1커버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전방 휠의 회전에 따라 압축 또는 신장되는 제1피스톤 로드를 포함하는,
    킥보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전방 휠이 좌우 방향의 회전 운동을 할 때, 상기 제1완충부재 및 상기 제2완충부재 중 하나는 압축되고, 다른 하나는 신장되면서 상기 전방 휠의 회전 속도를 감소시키는,
    킥보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향부는,
    상기 전방 휠을 중심으로 후방으로 설정 각도 회동 가능한,
    킥보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완충부재는,
    상기 발판의 전단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제2발판 결합부;
    상기 전방 휠과 상기 조향부가 연결되는 전방 휠축과 결합되는 제2휠 결합부;
    일측은 상기 제2발판 결합부와 연결되고, 상기 발판과 평행하게 상기 전방 휠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커버; 및
    일측은 상기 제2휠 결합부와 결합되고, 상기 제2커버 방향으로 연장되며, 타측은 상기 제2커버 내부에 배치되되, 상기 전방 휠의 회전에 따라 압축 또는 신장되는 제2피스톤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완충부재 및 제2완충부재는,
    상기 조향부가 후방으로 회동할 때는 상기 제1피스톤 로드 및 상기 제2피스톤 로드가 신장되면서 상기 조향부가 회동하는 속도를 감소시키고,
    상기 조향부가 후방으로 회동한 후 원위치로 되돌아갈 때는, 상기 제1피스톤 로드 및 상기 제2피스톤 로드가 압축되면서 상기 조향부가 회동하는 속도를 감소시키는,
    킥보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200144283A 2020-11-02 2020-11-02 킥보드 KR102230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4283A KR102230849B1 (ko) 2020-11-02 2020-11-02 킥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4283A KR102230849B1 (ko) 2020-11-02 2020-11-02 킥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0849B1 true KR102230849B1 (ko) 2021-03-24

Family

ID=75256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4283A KR102230849B1 (ko) 2020-11-02 2020-11-02 킥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084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3472A (ko) * 2015-02-24 2016-09-01 주식회사 클라우드파이브 조향수단을 구비하는 킥스쿠터
KR101800941B1 (ko) * 2015-12-04 2017-11-23 주식회사 엠스키 틸팅식 방향전환 킥스쿠터
KR101890218B1 (ko) * 2016-11-18 2018-08-22 원종섭 전동식 주행보드용 전방 현가장치
KR101922335B1 (ko) * 2017-04-19 2018-11-26 장병택 틸팅과 핸들조작 연동식 조향장치를 구비하는 킥스쿠터
KR101929958B1 (ko) * 2018-01-04 2018-12-18 (주)머케인 전동 킥보드의 서스펜션
KR101938094B1 (ko) 2017-09-29 2019-01-11 오주민 안장을 구비한 접이식 전동 킥보드
KR20200001763U (ko) * 2019-01-30 2020-08-07 박경래 주행보드용 전륜 충격 흡수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3472A (ko) * 2015-02-24 2016-09-01 주식회사 클라우드파이브 조향수단을 구비하는 킥스쿠터
KR101800941B1 (ko) * 2015-12-04 2017-11-23 주식회사 엠스키 틸팅식 방향전환 킥스쿠터
KR101890218B1 (ko) * 2016-11-18 2018-08-22 원종섭 전동식 주행보드용 전방 현가장치
KR101922335B1 (ko) * 2017-04-19 2018-11-26 장병택 틸팅과 핸들조작 연동식 조향장치를 구비하는 킥스쿠터
KR101938094B1 (ko) 2017-09-29 2019-01-11 오주민 안장을 구비한 접이식 전동 킥보드
KR101929958B1 (ko) * 2018-01-04 2018-12-18 (주)머케인 전동 킥보드의 서스펜션
KR20200001763U (ko) * 2019-01-30 2020-08-07 박경래 주행보드용 전륜 충격 흡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7722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 of a vehicle
JP6199380B2 (ja) 電動歩行補助装置、電動歩行補助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電動歩行補助装置の制御方法
JP3981733B2 (ja) 平行2輪乗用台車
JP2004074814A (ja) 人用移動機器
US20150353158A1 (en) Self-balancing vehicle frame
CN108024895B (zh) 轮子与履带混合式移动机构
KR20170048247A (ko) 주행기구 및 그 주행기구가 장착되는 전기차와 장난감
GB2515794A (en) Improvements Relating to Vehicles
JP2011178196A (ja) 同軸二輪車及びその制御方法
WO2019019905A1 (zh) 轮滑装置及电动平衡车
KR20200072898A (ko) 퍼스널 모빌리티
KR101409202B1 (ko) 휠체어
KR101996757B1 (ko) 틸팅 억제 기능이 있는 이동수단
KR102230849B1 (ko) 킥보드
KR20180074871A (ko) 휠-레그를 장착한 세그웨이
JP7421193B2 (ja) マニュアル制御を伴う電動一輪車
KR20130108779A (ko) 속도에 따라 차륜간 거리가 자동 조절되는 병렬형 이륜 구조의 자세제어 기반 전동 이동장치
CN105966515A (zh) 一种自平衡电动滑板车
KR101743363B1 (ko) 캐스터를 구비하는 카트
CN210822589U (zh) 电动车车架及电动车
KR101441202B1 (ko) 트라이시클 킥스쿠터
KR101876922B1 (ko) 듀얼 페달을 통한 안전 및 조작 기능이 강화된 패밀리 전동차량
JP3884671B2 (ja) 軌道走行自転車
KR101339460B1 (ko) 완충수단이 구비된 직립형 3륜 이동장치
TWI765171B (zh) 不易後傾的輪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