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96757B1 - 틸팅 억제 기능이 있는 이동수단 - Google Patents

틸팅 억제 기능이 있는 이동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96757B1
KR101996757B1 KR1020180110857A KR20180110857A KR101996757B1 KR 101996757 B1 KR101996757 B1 KR 101996757B1 KR 1020180110857 A KR1020180110857 A KR 1020180110857A KR 20180110857 A KR20180110857 A KR 20180110857A KR 101996757 B1 KR101996757 B1 KR 101996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upled
wheel
engaging member
til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0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호
Original Assignee
이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호 filed Critical 이종호
Priority to KR1020180110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967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6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6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1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with means for inwardly inclining the vehicle body on be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25/00Foot-rests; Knee grips; Passenger hand-g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2Tri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201/00Springs used in cycle frames or part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수단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탑승하여 코너 주행에서는 안전하게 틸팅되고, 직진 주행시나 정지시 틸팅억제 수단이 구비되어 중심이 잘 잡히는 이동수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이동수단에 탑승하여 코너 주행시에는 탑승자 체중을 코너 안쪽으로 이동하여 틸팅이 되게 하고, 직진 주행시나 정지할 경우, 사용자 체중 중심을 한 쌍의 제2중심선 사이에 위치하게 탑승하여 제1몸체가 저절로 중심이 잡히게 함으로써 중심 잡기가 편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틸팅 억제 기능이 있는 이동수단{Moving means with tilting suppression function}
본 발명은 틸팅 억제 기능이 있는 이동수단에 관한 것으로서, 코너 주행 시 안전하게 틸팅되면서 직진 주행 시에는 틸팅 억제력이 있는 이동수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수단은 탑승자의 이동이나 각종 물품을 적재하여 이동하는 기구를 말하며 자전거, 보드, 스쿠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동수단은 구동륜, 종동륜 및 탑승 영역을 갖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이동수단은 코너 주행 시 발생하는 원심력에 대응하기 위해 일정 부분이 좌우로 틸팅되게 구성되어야 한다.
기존의 틸팅되는 이동수단은 탑승자 체중이 측방으로 조금만 이동해도 몸체가 기울어지기 때문에, 천천히 이동시나 정지 시, 중심잡기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몸체를 기울어 조향이 이루어지는 기존의 이동수단은 탑승자 체중을 조금만 측방으로 이동해도 조향이 되기 때문에 조향성이 상당히 민감하다. 그리고 노면 굴곡이 있는 곳을 지나갈 때 중심이 좌우로 흔들릴 가능성이 있고, 중심이 흔들림에 따라 조향이 바뀌게 되면서 주행이 불안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기존의 이동수단은 코너 주행 시 원심력에 대응하기 위해 좌측 또는 우측으로 틸팅되면서 직진 주행 시에는 몸체가 좌우측으로 기울어지지 않게 하는 수단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수단에 있어서, 코너 주행 시 발생하는 원심력에 대응하여 몸체를 좌우측으로 틸팅해 보다 효과적으로 중심을 잡을 수 있는 이동수단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노면 굴곡이 있는 곳을 지나갈 때, 몸체 중심이 쉽게 흐트러지지 않는 이동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몸체를 기울여서 조향하는 서서 타는 이동수단에 있어서, 노면 굴곡이 있는 곳을 지나갈 때, 조향이 쉽게 바뀌지 않는 직진성과 조향 민감성이 민감하지 않게 하여, 주행안정성이 향상된 서서 타는 이동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주행 중이나 정지 시 중심을 잡아야 하는 불편함이 줄어든 이동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주행 중 의도치 않은 외력에 의해 순간적으로 몸체가 조금 기울어져도 빠른 속도로 원상복귀 되는 이동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발명은,
좌우측으로 기울임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1프레임과 발판을 포함하는 제1몸체: 상기 제1몸체에 결합되는 제1륜; 상기 제1몸체가 좌우측으로 기울임 가능하게 상기 제1프레임 중간 또는 타단 부위에 결합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상하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2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 타단 양측에 결합된 제2륜을 포함하는 제2몸체;를 포함하면서, 상기 제1몸체 타단 양쪽이 상기 제2프레임에 걸리게 하여 상기 연결부 부위가 안 내려가게 구성되고, 상기 제1몸체가 좌우측 중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면, 기울인 쪽에 위치한 상기 제1몸체 타단 부위는 상기 제2프레임에 걸린 상태로 유지되고, 기울인 반대쪽에 위치한 상기 제1몸체 타단 부위는 상방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제1몸체 하부와 상기 제2몸체 하부 사이가 오므려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프레임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2프레임 일단은 상기 연결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제1몸체가 좌우측으로 기울임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2프레임 타단은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동수단을 측면도로 그렸을 때 상기 제1몸체가 상기 제2프레임 또는 상기 걸림부재에 걸리는 부위에서 상기 제2프레임이 상기 연결부에 결합된 지점까지 길이는 상기 제1몸체가 상기 제2프레임 또는 상기 걸림부재에 걸리는 부위에 위치한 한 쌍의 제1중심선 사이 폭 절반 길이보다 더 길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탑승자 체중 중심이 한 쌍의 제2중심선 사이에 위치하면, 상기 제1몸체는 기울어지지 않고, 상기 제1몸체가 기울어지면, 기울어진 쪽에 위치한 상기 제2중심선을 기준으로 탑승자 체중 중심이 위치한 방향으로 상기 제1몸체가 기울어짐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2중심선은 상기 제1몸체가 좌우측 중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질 때, 하방으로 이동하는 상기 발판 부위와 상방으로 이동하는 상기 발판 부위 경계선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2중심선이 틸팅중심축 양쪽에 위치하게 하기 위해 상기 틸팅중심축 양쪽에 위치한 상기 제1프레임 타단 부위가 상기 제2프레임에 걸리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중심선은 상기 제2프레임에 결리는 상기 제1프레임 부위가 지면에 접촉된 상기 제2륜 부위 상방에 위치할 경우, 제1중심선이 위치한 지점에 위치하고,
상기 제1중심선은 상기 제1륜이 지면에 접촉된 지점에서 상기 제2프레임에 걸리는 상기 제1프레임 부위 또는 상기 걸림부재가 결합된 상기 제1프레임 지점을 직선으로 그은 가상의 선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프레임 상부와 상기 연결부 하부 중 어느 한쪽에 고정 결합되는 완충지지부 및 상기 완충지지부와 서로 마주보는 다른 쪽에 고정 결합되는 충격흡수판과 상기 충격흡수판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완충지지부가 접촉시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부재를 포함하는 충격흡수부를 더 포함하게 구성되고, 측방으로 기울어진 상기 제1몸체가 원상복귀 할 때 상기 충격흡수부와 상기 완충지지부가 먼저 접촉된 후 상기 제1몸체가 상기 제2몸체에 접촉 또는 상기 걸림부재에 인장력이 걸리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충격흡수부재는 탄성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프레임 타단을 제2프레임에 연결하는 한 쌍의 걸림부재가 포함되며, 상기 걸림부재 일단은 상기 제2프레임 일단 후방에 위치한 상기 제1프레임 타단 좌우측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걸림부재 타단은 상기 걸림부재 일단이 결합된 부위 상방에 위치한 상기 제2프레임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제1프레임 타단이 상기 제2프레임에 걸려 상기 제1프레임 타단이 하방으로 안 내려가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제1몸체가 틸팅시, 상기 제1프레임 타단이 이동되는 방향 따라 형상이 가변되면서 상기 제1프레임 타단이 안 내려가게 잡아줄 수 있는 가변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몸체가 측방으로 최대로 기울어진 상태의 이동수단을 측면도로 그렸을 때, 상기 제2륜이 지면에 접촉된 지점에서 상기 제2프레임이 상기 연결부에 결합된 부위 수직 하방에 위치한 지면까지 길이가 상기 제2륜이 지면에 접촉된 지점에서 상기 제2프레임에 걸리는 상기 제1몸체 부위 또는 상기 걸림부재가 결합된 상기 제1몸체 부위 수직 하방에 위치한 지면까지 길이보다 더 길게 구성되거나
상기 제2프레임에 걸리는 상기 제1몸체 부위 또는 상기 걸림부재가 결합된 상기 제1몸체 부위는 상기 제2륜이 지면에 접촉된 지점에서 상기 제1륜 방향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수단에 있어서, 코너 주행 시 발생하는 원심력에 대응하여 제1몸체를 좌우측으로 틸팅해 보다 효과적으로 중심을 잡을 수 있는 이동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몸체를 기울여 조향이 이루어지는 서서 타는 이동수단에 있어서, 노면 굴곡이 있는 곳을 지날 때, 몸체가 쉽게 기울어지지 않기 때문에 직진성이 좋아지고, 조향 민감성도 민감하지 않게 되어, 주행안정성이 향상된 서서 타는 이동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몸체가 기울어지려고 하는 힘에 대한 저항력이 있어, 주행 중이나 정지 시 중심을 잡아야 하는 불편함이 줄어든 이동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외력에 의해 제1몸체가 순간적으로 조금 기울어져도 빠른 속도로 원상복귀 되는 이동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몸체를 기울여 조향이 되는 이동수단에 있어서, 조향 복귀성이 좋아진 이동수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수단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수단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수단의 후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수단이 틸팅 되었을 때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수단이 틸팅 되었을 때 후면도이다.
도 6 a, b, 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2중심선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7 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2륜이 지면에 접촉된 지점과 걸림부재가 제1지지바에 결합된 위치에 대해 설명한 측면도이다.
도 7 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2륜이 지면에 접촉된 지점과 걸림부재가 제1지지바에 결합된 위치에 대한 한 쌍의 제2중심선 사이 폭 크기에 대해 설명한 설명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수단에서 조향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이동수단에서 완충지지부와 충격흡수부가 구비된 측면도이다.
도 10 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동수단에서 측면도이다.
도 10 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동수단이 틸팅 되었을 때 측면도이다.
도 10 c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동수단에서 후면도이다.
도 10 d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동수단이 틸팅 되었을 때 후면도이다.
도 10 e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이동수단에서 한 쌍의 제2중심선 사이 폭 크기에 대한 설명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이동수단에서 측면도이다.
도 12 a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이동수단에서 후면도이다.
도 12 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이동수단이 틸팅 되었을 때 후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에 앞서 이동수단이라 함은 삼륜스쿠터나 스케이트보드 등이 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삼륜스쿠터와 스케이트보드를 그 예로 한다.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수단은 제1륜(20), 제1몸체(10), 제2몸체(40) 및 연결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1륜(20)은 코너 주행 시 좌우측으로 틸팅 가능하도록 하나로 제공되며, 후술하는 제1프레임(11) 앞부분에 결합된 중심축(21)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이동수단은 인력구동이 아닌 모터로 구동하게 구성되고, 배터리(미도시)와 전기모터(M)가 제1륜(20)에 구비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1몸체(10)는 일단이 중심축(21) 양쪽에 결합되고, 타단은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1프레임(11)과 제1륜(20) 양측에 위치한 제1프레임(11)에 결합되는 발판(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제1프레임(11)은 일단이 중심축(21) 양쪽에 결합되고, 타단(이하 제1륜 쪽에 위치한 끝단을 일단이라 하고, 제2륜(42) 쪽에 위치한 끝단을 타단이라고 함)은 후방으로 연장되어 제1륜(20) 뒷부분에서 서로 합쳐진 후, 상방과 후방을 향해 비스듬한 각도로 타단까지 연장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제1프레임(11)에는 제1프레임(11) 타단에서 좌우측으로 연장되는 제1지지바(13)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바(13)는 후술하는 연결부(30) 후방에 위치한 제1프레임(11) 타단 부위에 끼움 결합시킨 후, 제1프레임(11)에 볼트로 고정되게 하여, 제1프레임(11)과 같이 좌우측으로 기울임 가능하게 구성되지만, 구비 안 될 수도 있음으로 본 빌명의 권리범위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제1지지바(13)가 측방으로 연장된 양 끝단 위치는 제1몸체(10)가 기울어지는 중심축(이하 틸팅중심축(x)이라고 함) 높이와 같거나 비슷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틸팅중심축(x)은 제1륜(20)이 지면에 접촉된 지점에서 제1프레임(11)이 연결부(30)에 결합된 지점을 직선으로 그은 가상의 직선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발판(12)은 탑승자가 탑승하는 부위로 제1프레임(11)부위 중 제1륜(20) 후부 양 측방에 위치한 제1프레임(11)에 발판(12) 일단이 각각 결합되고, 발판(12) 타단은 바깥쪽을 향해 연장되며, 발판(12) 상부는 발을 얹을 수 있게 평면으로 구성된다.
또한, 발판(12) 일단은 제1프레임(11)에 힌지 결합되어 발판(12) 타단을 발판(12) 일단 상방으로 접을 수 있게 구성된다. 그리고 발판(12) 일단 하방에 위치한 제1프레임(11)에 스토퍼가 구비되어 발판(12) 상부가 수평이 되게 펴지면, 발판(12)이 스토퍼에 걸려 발판(12) 타단 부위가 더 이상 안 내려가게 구성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연결부(30)는 제1몸체(10)와 제2몸체(40)를 연결시켜는 구성으로 제1몸체(10)와 제2몸체(40)를 연결부(30)로 연결시켜 제1몸체(10)는 좌우측으로 기울임 가능하게 구성되고, 제2몸체(40)는 제2륜(42) 쪽이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러한 연결부(30)는 상부 또는 하부에 앞뒤로 관통된 구멍이 구비되고, 앞뒤로 관통된 구멍 상방 또는 하방에 위치한 부위에 좌우로 관통된 구멍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연결부(30)는 상부에 앞뒤로 관통된 구멍이 구비되고, 하부에 좌우로 관통된 구멍이 구비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제1륜(20)과 인접한 제1륜(20) 후방에 위치한 제1프레임(11) 부위가 앞뒤로 관통된 구멍에 끼움 결합되게 구성된다.
즉, 상기 앞뒤로 관통된 구멍에 제1프레임(11) 중간부분이 끼움 결합되고, 제1프레임(11) 타단이 구멍을 관통한 후 연결부(30) 후방으로 돌출되게 구성되어 제1몸체(10)가 좌우측으로 기울임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좌우로 관통된 구멍에는 후술하는 제2프레임(41) 일단(이하 연결부에 결합된 부위를 일단이라 하고 제2륜이 결합된 부위를 타단이라고 함)이 핀으로 결합되어 제2프레임(41) 타단 부위가 제2프레임(41) 일단 부위를 중심으로 상하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제2프레임(41) 일단 부위도 좌우로 관통된 구멍이 구비되고, 제2프레임(41) 일단이 연결부(30)에 힌지 결합되게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제1몸체(10)와 제2몸체(40)를 연결부(30)로 연결시켜 제1몸체(10)와 제1륜(20)은 좌우로 기울임 가능하게 구성되고, 제2몸체(40)는 제2륜(42) 쪽이 상하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제1프레임(11) 타단이 제2프레임(41)에 걸리게 하여 제1몸체(10) 하부와 제2몸체(40) 하부 사이가 일정 각도 이상은 안 펴지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발판(12)에 탑승시 연결부(30) 부위가 하방으로 안 내려가게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가 아닌 다른 실시예에서 연결부(30)는 일단 부위가 앞뒤로 연장되는 축으로 구성되고, 타단 부위는 좌측 또는 우측으로 절곡되어 측방으로 연장된 축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즉, 연결부(30)는 ┐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연결부(30) 일단 부위가 축으로 구성시, 제1프레임(11) 중간 또는 타단에 앞뒤로 관통된 구멍이 구비되고, 연결부(30) 일단 부위가 제1프레임(11)에 구비된 구멍에 끼움 결합되어 제1몸체(10)가 좌우측으로 기울임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연결부(30) 타단 부위가 축으로 구성시, 제2프레임(41) 일단에는 좌우로 관통된 구멍이 구비되고, 연결부(30) 타단 부위가 제2프레임(41) 구멍에 끼움 결합되어 제2프레임(41) 타단이 상하 회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프레임(11) 또는 제2프레임(41)에 구멍이 구비되면, 연결부(30)에 축이 구비되고, 제1프레임(11) 또는 제2프레임(41)에 축이 구비되면, 연결부(30)에 구멍이 구비되어 제1몸체(10)와 제2몸체(40)가 연결부(30)에 결합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2몸체(40)는 일단이 연결부(30)에 결합되고, 타단은 후방으로 연장되는 제2프레임(41)과 제2프레임(41) 타단 양측에 결합되는 제2륜(4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제2륜(42)은 제2프레임(41) 타단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륜(20)보다 직경이 작을 수 있다. 이러한 제2륜(42)은 제1몸체(10)가 좌우측으로 기울어질 때, 제2몸체(40)가 기울지 않고 바닥으로부터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서 제2프레임(41)은 일단이 연결부(30) 하부에 힌지 결합되고, 제2프레임(41) 타단은 제1프레임(11) 타단까지 연장되며, 연장된 제2프레임(41) 부위는 제1프레임(11) 하방에 위치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제2프레임(41) 타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상방으로 연장된 끝단에서 전방으로 조금 연장된 후, 양측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구성되는 제2지지바(43)가 제2프레임(41)에 포함될 수 있다.
좌우 양쪽으로 연장된 제2지지바(43) 부위는 제1지지바(13) 상방에 위치하면서 제1지지바(13)와 나란한 형태로 위치하게 구성되고, 상방으로 연장된 제2지지바(43) 부위는 제1프레임(11)에 접촉 안 되게 하기 위해 제1프레임(11) 타단에서 일정 간격 후방에 위치하게 구성된다.
또한, 제1몸체(10)가 좌우측 중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질 때, 기울어진 반대쪽에 위치한 제1지지바(13) 부위는 상방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상방으로 이동하는 제1지지바(13) 부위가 제2지지바(43)에 접촉 안 되게 하기 위해 제1지지바(13)와 제2지지바(43) 사이 간격은 제1몸체(10)가 측방으로 최대로 기울어졌을 때, 제1지지바(13) 양 끝단이 상방으로 이동되는 간격보다 더 크게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제2프레임(41) 일단이 연결부(30)에 힌지 결합됨으로 탑승자가 탑승하여 발판(12)을 누르면, 연결부(30) 부위가 하방으로 내려가면서 제1몸체(10) 하부와 제2몸체(40) 하부 사이는 펴지게 된다. 따라서 제1몸체(10) 하부와 제2몸체(40) 하부 사이가 일정 각도 이상 안 펴지게 하기 위해 제1프레임(11) 타단이 제2프레임(41)에 걸리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제1몸체(10) 하부와 제2몸체(40) 하부 사이가 일정각도 이상 안 펴지게 하기 위해 제1지지바(13)와 제2지지바(43)가 걸림부재(50)로 연결되게 구성된다. 제1지지바(13)와 제2지지바(43)를 걸림부재(50)로 연결함으로써, 제1지지바(13)와 제2지지바(43) 사이 간격이 일정 간격 이상 안 벌어지게 되고, 제1몸체(10) 하부와 제2몸체(40) 하부 사이는 일정 각도 이상 안 펴지면서 밑으로는 접히게 된다.
그리고, 제1몸체(10)가 측방으로 기울어지면 기울어진 쪽에 위치한 제1프레임(11) 타단이 제2프레임(41)에 걸리게 되고, 기울어진 반대쪽에 위치한 제1프레임(11) 타단이 상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몸체(10) 하부와 제2몸체(40) 하부 사이가 오므려지게 된다. 따라서 제1몸체(10)와 제2몸체(40)는 밑으로 접힘이 가능하게 구성되어야 한다.
상기한 걸림부재(50)는 일단이 제1지지바(13) 양쪽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은 제2지지바(43)에 각각 결합된다.
더 자세히 설명하면, 틸팅중심축(x) 좌우측에 위치한 제1지지바(13) 부위에 걸림부재(50) 일단이 각각 결합되고, 걸림부재(50) 타단은 걸림부재(50) 일단이 결합된 지점 상방에 위치한 제2지지바(43)에 각각 결합된다.
걸림부재(50) 타단이 제2지지바(43)에 결합되는 위치는 틸팅중심축(x) 상방에 위치하게 구성되고, 걸림부재(50) 일단이 제1지지바(13)에 결합되는 위치는 틸팅중심축(x) 높이와 같거나 비슷하게 구성하여 제1몸체(10)가 좌우측 중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질 때, 제1프레임(11) 타단 쪽 이동되는 폭이 작아지게 구성된다.
또한, 걸림부재(50) 일단이 결합된 지점에서 제2프레임(41)이 연결부(30)에 결합된 지점까지 길이와 걸림부재(50) 타단이 결합된 지점에서 제2프레임(41)이 연결부(30)에 결합된 지점까지 길이는 같거나 비슷하게 구성하여 제2프레임(41)이 앞쪽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제1프레임(11)을 지지할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한 걸림부재(50)는 제1몸체(10)가 틸팅시, 제1프레임(11) 타단 부위가 이동되는 방향 따라 형상이 가변되는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제1몸체(10)가 기울어질 경우, 제1프레임(11) 타단 부위 중 기울어진 쪽은 걸림부재(50)에 걸려 걸림부재(50)에 인장력이 걸리고, 기울어진 반대쪽은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걸림부재(50)가 휘어지기 때문에, 제1프레임(11) 타단이 이동되는 방향따라 걸림부재(50)가 휘어지거나 꺽어지게 하기 위해 걸림부재(50)는 외력이 작용하면, 형상이 가변되는 가변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서 걸림부재(50)는 비강도가 와이어 대비 15배나 강하면서 섬유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잘 휘어지는 슈퍼 고강도 섬유인 다이니마 로프로 구성하여 제1몸체(10)가 측방으로 기울어질 경우, 기울어진 반대쪽에 위치한 걸림부재(50)는 휘어지고, 기울어진 쪽에 위치한 걸림부재(50)에만 인장력이 걸리게 구성된다.
제1지지바(13) 양쪽을 제2지지바(43)에 걸림부재(50)로 연결함으로써, 제1몸체(10)가 좌우측 중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질 때, 제1프레임(11) 타단 부위 중 기울어진 쪽은 걸림부재(50)에 걸려 하방으로 이동 못하게 되고, 기울어진 반대쪽과 가운데 부위는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제1프레임(11) 타단 가운데 부위가 상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제1몸체(10) 하부와 제2몸체(40) 하부 사이가 오므려지게 되어, 제2지지바(43)에 걸림부재(50)가 결합된 부위 위치에 따라 후술하는 제2중심선(w) 위치가 달라진다.
상기 제2중심선(w)에 대해 설명하면, 이동수단을 옆에서 보았을 때, 제1지지바(13)에 걸림부재(50)가 결합된 부위 위치가 지면에 접촉된 제2륜 부위(이하 제2륜접촉지점(p)이라고 함) 수직 상방에 위치할 경우, 제1륜(20)이 지면에 접촉된 지점(o)에서 제1지지바(13)에 걸림부재(50)가 결합된 부위(t)를 직선으로 그은 직선(이하 제1중심선(v)이라고 함) 위를 누르면 제1몸체(10)는 기울어지지 않고, 제1중심선(v) 양 바깥쪽 중 어느 한 쪽을 누르면 누른 방향 쪽으로 제1프레임(11)과 발판(12)이 기울어지게 된다.
계속해서, 발판(12)이 기울어질 때 제1중심선(v) 바깥쪽은 하방으로 이동하고, 제1중심선(v) 안쪽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발판(12)이 상방으로 이동하는 부위와 하방으로 이동하는 부위 경계선(이하 제2중심선(w)이라고 함)이 제1지지바(13)에 걸림부재(50)가 결합된 부위 위치에 따라 위치가 달라지고, 제1몸체(10)는 제1중심선(v)이 아닌 제2중심선(w) 바깥쪽을 눌려야 제1몸체(10)가 측방으로 기울어진다.
이동수단을 옆에서 보았을 때, 걸림부재(50)가 결합된 제1지지바(13) 부위가 제2륜접촉지점(p) 수직 상방에 위치할 경우, 도 6에서 b와 같이 제2중심선(w)은 제1중심선(v)과 일치하게 된다. 그리고 걸림부재(50)가 결합된 제1지지바(13) 부위가 제2륜접촉지점(p)에서 제1륜(20) 방향으로 이동할수록 한 쌍의 제2중심선(w) 사이 폭은 한 쌍의 제1중심선(v) 사이 폭보다 커지게 되어, 도 6에서 a와 같이 제2중심선(w)은 제1중심선(v) 바깥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걸림부재(50)가 결합된 제1지지바(13) 부위가 제2륜접촉지점(p)에서 제1륜(20)이 위치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할수록 한 쌍의 제2중심선(w) 사이 폭은 작아지게 되어, 제2중심선(w)은 도 6에서 c와 같이 제1중심선(v) 안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어서, 도 7을 참조하면, a와 같이 이동수단을 측면도로 그렸을 때, 제2륜접촉지점(p)에서 제2프레임(41)이 연결부(30)에 결합된 부위 수직 하방에 위치한 지면까지 길이(1)가 제2륜접촉지점(p)에서 제1지지바(13)에 걸림부재(50)가 결합된 부위 수직 하방에 위치한 지면까지 길이(2)와 같게 되면, 제2중심선(w)은 도 7에서 b와 같이 틸팅중심축(x)과 거의 일치하게 된다.
그리고, 제1몸체(10)가 측방으로 기울어질수록 제1몸체(10) 하부와 제2몸체(40) 하부 사이가 오므려지면서 걸림부재(50)가 결합된 제1지지바(13) 부위는 제2륜접촉지점(p) 또는 제2륜접촉지점(p)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코너를 주행할 때 제1몸체(10)가 측방으로 기울어질수록 한 쌍의 제2중심선(w) 사이 폭이 좁아지면서 제1몸체(10)가 더 잘 기울어지는 구조가 되지만, 발판(12)을 수직으로 누를 때 보다 비스듬하게 안쪽으로 누를 때가 제1몸체(10)는 더 안 기울어진다. 그리고 제1몸체(10)가 축방으로 기울어질수록 원심력과 중력의 합력이 기울어지면서 발판(12)을 비스듬하게 안쪽으로 누르게 됨으로, 제1몸체(10)가 측방으로 기울어질수록 한 쌍의 제2중심선(w) 사이 폭이 좁아지는 현상은 문제가 안 된다.
또한, 제1지지바(13)에 한 쌍의 걸림부재(50)가 결합된 부위 사이 폭이 클수록 한 쌍의 제2중심선(w) 사이 폭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한 쌍의 제2중심선(w) 사이 폭 크기는 한 쌍의 걸림부재(50)가 제1지지바(13)에 결합된 부위 사이 폭 크기와 걸림부재(50)가 제1지지바(13)에 결합된 부위 위치에 따라 결정된다.
따라서, 걸림부재(50)가 제1프레임(11)에 결합되는 부위 위치는, 제1몸체(10)가 측방으로 최대로 기울어진 상태를 측면도로 그렸을 때, 제2륜접촉지점(p)에서 제2프레임(41)이 연결부(30)에 결합된 부위 수직 하방에 위치한 지면까지 길이가 제2륜접촉지점(p)에서 제1지지바(13)에 결림부재(50)가 결합된 부위 수직 하방에 위치한 지면까지 길이보다 길게 구성되거나 제2륜접촉지점(p)에서 제1륜(20) 방향에 위치하게 구성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걸림부재(50)가 결합된 제1지지바(43) 부위는 이동수단을 옆에서 보았을 때, 제1몸체(10)가 측방으로 기울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2륜접촉지점(p)에서 제1륜(20) 방향에 위치하게 구성되고, 제1몸체(10)가 최대로 기울어질 경우, 제2륜접촉지점(p) 상방에 위치하게 구성되지만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동수단을 옆에서 보았을 때, 제2프레임(41)이 연결부(30)에 결합된 지점에서 제1지지바(13)에 걸림부재(50)가 결합된 지점까지 길이가 짧을수록 제1몸체(10)가 좌우측 중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질 때, 제1몸체(10) 하부와 제2몸체(40) 하부 사이가 많이 오므려지게 된다. 따라서 이동수단을 측면도로 그렸을 때, 제2프레임(41)이 연결부(30)에 결합된 지점에서 걸림부재(50)가 결합된 제1지지바(13) 부위까지 길이는 최소한 걸림부재(50)가 결합된 제1지지바(13) 부위에 위치한 한 쌍의 제1중심선(v) 사이 폭 크기 절반보다 더 크게 구성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동수단을 측면도로 그렸을 때, 제2프레임(41)이 연결부(30)에 결합된 지점에서 걸림부재(50)가 결합된 제1지지바(13) 부위까지 길이는 걸림부재(50)가 결합된 제1지지바(13) 부위에 위치한 한 쌍의 제1중심선(v) 사이 폭 크기보다 더 크게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제1프레임(11) 타단과 제2프레임(41)을 걸림부재(50)로 연결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탑승자 체중 중심이 한 쌍의 제2중심선(w) 사이에 위치하면 제1몸체(10)는 측방으로 안 기울어지고, 제2중심선(w) 양 바깥쪽 중 어느 한쪽을 누르면 제1몸체(10)는 누른 방향 쪽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그리고 제1몸체(10)가 기울어지면 제2중심선(w)을 중심으로 기울어진 쪽에 위치한 부위를 누르면 제1몸체(10)는 더 기울어지고, 기울어진 반대쪽을 누르면 제1몸체(10)가 세워진다.
따라서, 직진 주행 시에는 탑승자 체중 중심을 한 쌍의 제2중심선(w) 사이에 위치하게 탑승하여 제1몸체(10)가 측방으로 기울어지지 않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코너 주행 시에는 탑승자 체중 중심을 제2중심선(w) 바깥쪽으로 이동하여 제1몸체(10)가 코너 안쪽으로 기울어지게 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코너를 주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제1몸체(10)가 기울어질 경우, 기울어지는 쪽에 위치한 제1프레임 타단은 걸림부재(50)에 걸려 하방으로 이동 못하게 되고, 기울어지는 반대쪽에 위치한 제1프레임(11) 타단은 상방으로 이동되면서 걸림부재(50)가 휘어지게 된다. 그리고 제1몸체(10)가 원상 복귀하면서 휘어진 걸림부재(50)가 펴질 때 탑승자 체중이 순간적으로 걸림부재(50)에 실리게 된다.
따라서, 걸림부재(50)가 펴질 때 걸림부재(50)에 인장충격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동수단을 장시간 사용할 경우, 걸림부재(50)가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걸림부재(50)가 파손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동수단에 완충지지부(70)와 충격흡수부(7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완충지지부(70)는 연결부(30) 하부와 제2프레임(41) 상부 중 어느 한쪽에 구비되고 충격흡수부(71)는 완충지지부(70)와 서로 마주 보는 다른 한쪽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완충지지부(70)는 연결부(30) 하부에 구비되게 구성된다.
더 자세히 설명하면, 연결부(30)는 상부에 앞뒤로 길게 관통된 구멍이 구비되고, 앞단 하부 쪽에 좌우로 관통된 구멍이 구비된다.
그리고, 제1프레임이 연결부 상부에 구비된 구멍에 끼움 결합되되, 제1프레임(11) 타단은 제1지지바(13)를 결합할 수 있을 정도의 간격만큼 연결부(30) 후방으로 조금 돌출되게 구성되고, 연결부(30)에 완충지지부(70)가 결합될 수 있게 하기 위해 연결부(30)는 제2프레임(41) 일단이 결합된 부위에서 후방으로 길게 연장되게 구성되며, 연장된 연결부(30) 뒷단 하부 쪽에 완충지지부(70)가 고정 결합된다.
상기 완충지지부(70)는 강한 금속판이 연결부(30) 뒷단 하부에 고정 결합되고, 충격흡수부(71)와 마주 보는 부위는 평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충격흡수부(71)는 충격흡수판(72)과 충격흡수부재(7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충격흡수판(72)은 완충지지부(70)와 마주보는 제2프레임(41) 상부에 금속판이 고정 결함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충격흡수부재(73)는 충격흡수판(72) 상부에 고정 결합되어 완충지지부(70)가 충격흡수부(71)에 접촉될 때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구성되고, 완충지지부(70)와 마주보는 충격흡수부재(73) 부위는 평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충격흡수부재(73)는 완충지지부(70)와 충격흡수부(71)가 서로 접촉될 때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부재로 구성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충격흡수부재(73)는 탄성부재 종류인 경도가 낮은 고무로 구성되어 완충지지부(70)가 충격흡수부(71)에 접촉될 때 고무가 눌려지면서 충격을 흡수하게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완충지지부(70)와 충격흡수부(71)가 구비됨으로써, 틸팅된 제1몸체(10)가 원상복귀 시 완충지지부(70)가 충격흡수부(71)에 먼저 접촉된 후, 걸림부재(50)에 인장력이 걸리게 하여 걸림부재(50)에 발생하는 인장충격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완충지지부(70)는 연결부(30)에 구비되고, 충격흡수부(71)는 제2프레임(41)에 구비되지만 그 반대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후술하는 제2실시예와 제3실시예에도 완충지지부(70)와 충격흡수부(71)가 구비됨으로써 제1프레임(11) 타단이 제2프레임(41)에 접촉시 발생하는 소음과 접촉 부위에 발생하는 충격응력을 줄일 수 있다.
다음으로, 제1몸체(10)가 일정 각도만큼 기울어지면 더 이상 안 기울어지게 하기 위해 연결부(30)에 걸림턱(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걸림턱은 제2프레임(41)이 결합된 연결부(30) 지점에서 제2프레임(41) 이동 경로 쪽으로 돌출되게 구성되고, 제1몸체(10)가 최대로 기울어질 경우, 제2프레임(41)이 걸림턱에 걸리게 하여 제1몸체(10) 하부와 제2몸체(40) 하부 사이가 더 이상 안 오므려지게 하면서, 제1몸체(10)가 더 이상 측방으로 안 기울어지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조향은 구조상 제1륜(20)과 제2륜(42)을 회전시켜 할 수 없음으로 도 8과 같이 a각도를 크게 하고 b간격을 작게 함으로써 제1몸체(10)를 좌우측으로 기울이는 동작만으로 조향이 이루어지게 구성된다.
즉, 제1륜(20) 또는 제2륜(42)으로 조향하는 것이 아니라 틸팅중심축(x) 뒷부분이 앞부분보다 상방을 향하고 있음으로 제1몸체(10)를 측방으로 기울이면 제1륜(20) 앞부분이 기울이는 방향 쪽으로 조금 이동하게 되고, 제1륜(20)이 지면과 접촉되는 접지면은 코너 바깥쪽에 위치한 부위보다는 코너 안쪽에 위치한 부위가 바퀴 지름이 작기 때문에 충분한 조향이 이루어지게 구성될 수 있다.
조향 관련 기술은 이미 공개되고 제품화된 기술이라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기존의 몸체를 기울어 조향하는 이동수단은 몸체가 측방으로 기울어질 때, 발판 부위가 상하로 이동되는 경계선인 제2중심선(w)이 가운데 있어 탑승자가 체중을 조금만 측방으로 이동해도 몸체가 기울어지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조향하면 안 되는 상황인데 의도치 않은 외력에 의해 중심 이동이 발생할 경우, 몸체가 기울어지면서 저절로 조향이 되어 위험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노면 굴곡이 있는 곳을 지날 때 탑승자 체중 중심이 흔들릴 수 있고, 탑승자 체중 중심이 흔들림에 따라 조향이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다.
그렇지만, 본 발명은 제2중심선(w)이 좌우측에 각각 위치하므로 탑승자 체중 중심이 한 쌍의 제2중심선(w) 사이에 위치하게 탑승하면 제1몸체(10)가 안 기울어지고, 제2중심선(w) 바깥쪽으로 탑승자 체중 중심을 이동해야 제1몸체(10)가 기울어짐으로 제1몸체(10) 중심 잡기가 아주 쉬울 뿐만 아니라 조향 민감성도 덜 민감해지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제1몸체(10)가 안 기울어지면 조향도 바뀌지 않음으로 직진성이 아주 좋게 된다.
또한, 주행 방향을 바꾸기 위해 제1몸체(10)가 기울어진 후, 탑승자 체중 중심을 한 쌍의 제2중심선(w) 사이로 이동하면 제1몸체(10)는 저절로 정위치로 복귀되고, 제1몸체(10)가 정위치로 복귀됨에 따라 조향도 저절로 정위치로 복귀됨으로 조향 복귀성도 아주 좋아지는 효과가 있다.
한편, 주행 중 지면으로부터 올라오는 충격과 진동을 흡수할 수 있게 하기 위해 도 9와 같이 서스펜션(83)이 제2프레임(41)에 더 구비되어 제2프레임(41)은 상부프레임(81)과 하부프레임(82) 및 서스펜션(83)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프레임(11)은 연결부(30) 중간 부위를 관통하여 후방으로 연장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하부프레임(82)은 일단이 연결부(30) 하부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제1프레임(11) 타단보다 더 후방으로 연장되면서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일단에서 타단까지 부위는 제1프레임(11) 하방에 위치하게 구성되고, 하부프레임(82) 타단 양측에 제2륜(42)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부프레임(81)은 일단이 연결부(30) 상부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제1프레임(11) 타단보다 더 후방으로 연장되면서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일단에서 타단까지 부위는 제1프레임(11) 상방에 위치하게 구성된다.
물론, 상부프레임(81) 일단은 연결부(30)에 결합될 수도 있고, 하부 프레임 부위 중 하부프레임(82) 일단과 가까운 지점 상부에 결합될 수도 있다.
상부프레임(81) 일단이 하부프레임(82) 상부에 결합될 경우, 상부프레임(81) 일단과 하부프레임(82) 일단은 틸팅중심축(x)에서 좌우측 중 어느 한쪽으로 조금 이동된 위치에 결합하여 상부프레임(81)이 제1프레임(11)에 접촉 안 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서스펜션(83)은 주행 중 노면에서 올라오는 충격이나 진동을 흡수하는 부재로 구성될 수 있는데 자전거나 전동킥보드에 결합되는 서스펜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서스펜션(11)은 일단과 타단이 제1프레임(11) 후방에 위치한 상부프레임(81)과 하부프레임(82)에 각각 결합된다.
제1지지바(13)는 서스펜션(83) 앞쪽에 위치하는 제1프레임(11) 부위에서 좌우측으로 연장되게 구성되고, 제2지지바(43)는 제1지지바(11) 상방에 위치하면서 서스펜션(83) 앞쪽에 위치하는 상부프레임(81) 부위에서 좌우측으로 연장되게 구성된다.
걸이부재(50)는 일단이 제1프레임(11)에 구비된 제1지지바(13) 양쪽에 결합되고, 타단은 제1지지바(13) 상방에 위치한 제2지지바(43) 부위에 결합시켜 제1프레임(11) 타단이 상부프레임(81)에 걸리게 함으로써 제1몸체(10) 하부와 제2몸체(40) 하부 사이가 안 펴지게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서스펜션(83)이 구비됨으로써 불규칙한 노면을 주행 시 서스펜션(83)이 상하로 움직일 때, 상부프레임(81)과 제1프레임(11) 타단도 같이 상하로 움직이면서 노면으로부터 올라오는 충격이나 진동을 서스펜션(83)이 흡수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주행 중 노면 굴곡이 있는 곳을 지날 때 탑승자 체중 중심이 흐트러져도 제1몸체(10)가 기울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노면 굴곡이 심해 제1몸체(10)가 순간적으로 조금 기울어져도 곧바로 정위치로 복귀되기 때문에 주행안전성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천천히 주행하거나 정지시에 중심을 잡을 필요가 없는 이점이 있다.
제2실시예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도 10과 같이 본 기술이 전동스케이트보드에 적용되게 하기 위해 제1륜결합축이 더 포함되게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실시예에서 이동수단은 제1몸체(10), 제1륜결합축(22), 제1륜(20), 연결부(30) 및 제2몸체(40)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2실시예에서 제1몸체(10)는 앞뒤로 길게 연장되는 발판(12)과 발판(12) 중간 또는 타단과 가까운 지점 하부에 고정 결합되는 제1프레임(1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개시의 제2실시예에서 발판(12)은 일반 스케이트보드 같이 양발을 벌려서 탑승할 수 있게 앞뒤로 길게 형성된 나무판으로 구성되는 탑승부(17), 탑승부(17) 일단 하부에 결합되는 돌출축(16), 탑승부(17) 중간 하부에 결합되는 밧데리(b) 및 탑승부(17) 타단 하부에 결합되는 상부접촉부(51)가 포함되게 구성되지만 밧데리(b)는 본 권리범위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탑승부(17)는 탑승자가 탑승하는 부위로 일반 스케이트보드와 같은 형태의 나무 합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축(16)은 상부가 탑승부(17) 제1륜 쪽에 위치한 탑승부 끝단(이하 탑승부 일단이라고 하고 제2륜 쪽에 위치한 탑승부 끝단을 탑승부 타단이라고 함)과 가까운 지점 하부에 볼트로 고정 결합되고, 하부는 하방과 제2륜(42) 쪽으로 돌출되게 구성되어 후술하는 제1륜결합축(22)이 결합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돌출축(16)에 제1륜결합축(22)이 결합되고 제1몸체(10)가 측방으로 기울어질 때, 제1륜결합축(22)이 회전되면서 조향이 되게 하기 위해, 제1륜결합축(22)이 결합되는 돌출축(16) 부위는 제1륜결합축(22)이 돌출축(16)에 끼움되어 회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축 형태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상부접촉부(51)는 후술하는 하부접촉부(52)에 접촉되는 부위로 탑승부(17) 타단 하부 또는 제1프레임(11) 타단 하부에 구비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탑승부(17) 타단 하부에 볼트로 고정 결합되게 구성된다.
상기 상부접촉부(51)는 가운데 부위에 앞뒤로 관통된 구멍이 구비되어 볼트로 탑승부(17)에 결합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양측에 위치한 하부는 둥글게 구성되어 제1몸체(10)가 측방으로 기울어질 때, 하부접촉부(52)에 접촉되면서 구름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물론, 상부접촉부(51) 양측에 위치한 하부는 평면으로 구성되고, 제1륜(20) 방향과 바깥쪽에 위치한 가장자리와 모서리 부위가 둥글게 구성되어 상부접촉부(51)가 기울어질 때, 둥글게 구성된 모서리 부분이 하부접촉부(52)에 접촉되면서 구름 이동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상부접촉부(51) 위치는 제2륜(42)이 지면에 접촉된 지점 상방에 위치하게 구성되고, 상부접촉부(51) 하부 위치는 틸팅중십축(x) 높이보다 조금 상방에 위치하게 구성되어 제1몸체(10)가 측방으로 기울어질 때, 상부접촉부(51)가 미끄럼 이동 안하고 구름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된다.
즉, 제1몸체(10)가 측방으로 기울어질 때, 제1프레임(11) 타단 부위가 상방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하부접촉부(52)와 상부접촉부(51) 사이 간격이 벌어지게 되면서 상부접촉부(51) 하부 위치는 틸팅중심축(x) 방향으로 조금 미끄럼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제1몸체(10)가 측방으로 기울어질 때, 상부접촉부(51)가 바깥쪽으로 조금 굴러갈 수 있게 하기 위해 상부접촉부(51) 하부 위치를 틸팅중심축(x) 높이에서 조금 상방에 위치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제1실시예와 같이 제1몸체(10)가 측방으로 기울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양쪽의 상부접촉부(51)가 하부접촉부(52)에 접촉된 상태로 유지되고, 제1몸체(10)가 좌우측 중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면 기울어진 쪽에 위치한 상부접촉부(51)는 하부접촉부(52)에 접촉된 상태로 유지되며, 기울어진 반대쪽에 위치한 상부접촉부(51)는 하부접촉부(52)로부터 떨어지게 구성된다.
한편, 도 10에서 e를 참조하면, 하부접촉부(52)에 접촉되는 상부접촉부(51) 양쪽 부위 간격이 너무 크면, 한 쌍의 제2중심선(w) 사이 폭이 커지기 때문에 발판(12)이 기울어지게 하기가 힘들어지고, 간격이 너무 작으면 한 쌍의 제2중심선(w) 사이 폭이 작아져서 중심잡기가 힘들어진다.
즉, 한 쌍의 제2중심선(w) 사이 폭이 넓은 쪽에 위치한 발은 제1몸체(10)가 측방으로 기울어지지 않게 하고, 제2중심선(w) 사이 폭이 좁은 쪽에 위치한 발은 발 앞부분 또는 발 뒷부분에 체중을 실어 발판(12)이 기울어지게 하여 조향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따라서 하부접촉부(52)에 접촉되는 상부접촉부(51) 양쪽 하부 사이 간격 크기에 따라 주행 방향을 바꿀 때 제1몸체(10)가 잘 기울어지게 하여 조향이 잘되게 하는 조향성과 직진 주행할 때 중심 잡기 쉬운 정도가 결정된다.
본 개시의 제2실시예에서 제1프레임(11)은 탑승부(17) 타단과 가까운 지점 하부에 일단이 고정 결합되고, 타단은 후방으로 연장되는 축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프레임(11)이 탑승부(17) 하부에 결합될 수 있게 하기 위해 제1프레임(11) 일단 상부는 평면 형태로 구성되고, 일단에서 하방으로 조금 연장된 후 절곡되어 후방으로 연장되는 부위는 연결부(30)가 끼움 결합될 수 있게 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2실시예에서 제1륜결합축(22)은 탑승부(17) 일단 하부에 구비된 돌출축(16)에 중간 부위가 끼움 결합되고, 양 끝단은 좌우측으로 연장되게 구성된다.
제1몸체(10)가 좌우측으로 기울어질 때, 제1륜결합축(22) 양 끝단이 앞뒤로 회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돌출축(16)에 결합된 제1륜결합축(22)이 회전되는 회전 중심축은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향할수록 제2륜(42) 쪽으로 향하게 구성된다.
즉, 제1륜결합축(22) 가운데 부위는 상부에서 하부로 향할수록 제2륜(42) 쪽으로 비스듬하게 관통된 구멍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된 구멍이 탑승부(17) 하부에 구비된 돌출축(16)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제1몸체(10)가 좌우측으로 기울어지면 제1륜결합축(22) 양 끝단이 앞뒤로 회전하면서 조향이 된다.
제2실시예와 같이 발판(12)을 좌우측으로 기울어서 제1륜결합축(22)이 회전되게 하여 조향이 되는 구조는 출원번호 10-2009-7020771에서 이미 공개되고 제품화가 된 상태라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개시의 제2실시예에서 제1륜(20)은 제1륜결합축(22) 양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개시의 제2실시예에서 연결부(30)는 상부에 앞뒤로 관통된 구멍이 구비되고, 하부에 좌우로 관통된 구멍이 구비된다.
상부에 구비된 구멍이 제1프레임(11) 타단에 끼움 결합되어 제1몸체(10)가 좌우측으로 기울임 가능하게 구성되고, 하부에 구비된 구멍에는 제2프레임(41)이 힌지 결합되어 제2프레임(41) 타단이 상하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본 개시의 제2실시예에서 제2프레임(41)은 일단이 연결부(30) 하부에 구비된 구멍에 힌지 결합되고, 제2프레임(41) 타단은 탑승부(17) 타단까지 연장되게 구성되면서 상하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한, 제2프레임(41) 타단에 제2륜결합축(44)이 좌우측으로 연장되게 구성되고, 제2륜결합축(44) 중간 부위 상부에 하부접촉부(52)가 고정 결합되어 상부접촉부(51)가 하부접촉부(52)에 걸리게 함으로써, 제1몸체(10) 하부와 제2몸체(40) 하부 사이가 안 펴지게 구성된다.
즉, 제2실시예에서는 걸림부재와 제2지지바가 구비 안 되고,
제2륜결합축(44)이 제2지지바 역할을 하게 구성하여 제2프레임(41)에 제2륜결합축(44)과 하부접촉부(52)가 포함된다.
상기 하부접촉부(52)는 제2륜결합축(44) 중간 상부에 고정 결합되는 접촉판(53)과 접촉판(53) 상부에 고정 결합되는 탄성부재(5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접촉판(53)은 판 형상의 금속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54)는 상부접촉부(51)가 접촉되는 부위로 상부접촉부(51)가 접촉 시, 상부접촉부(51)와 하부접촉부(52)가 서로 접촉되는 부위가 점 접촉되지 않게 하고, 제1몸체(10)가 측방으로 기울어진 후 원상 복귀할 때, 기울어진 반대쪽에 위치한 상부접촉부(51)가 하부접촉부(52)에 접촉할 때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탄성부재(54)는 기계적 성질이 우수한 우레탄고무로 구성됨을 제시한다.
상부접촉부(51) 하부가 둥근 형상이라 우레탄고무 경도가 너무 높으면, 우레탄고무와 상부접촉부(51)가 서로 접촉되는 면적이 작게 형성되어 접촉 부위에 너무 높은 압축응력이 발생하고, 우레탄고무 경도가 너무 낮으면, 접촉 면적이 증가하여 단위 면적당 압축응력은 작게 발생하지만, 상부접촉부(51)가 우레탄고무에 너무 깊게 압입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우레탄고무 경도는 쇼어 경도 a60에서 a95정도 구성됨을 제시하지만, 하부접촉부(52)에 접촉되는 상부접촉부(51) 부위 크기에 따라 접촉부위에 발생하는 압축응력이나 압입깊이가 달라지므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부접촉부(51)가 접촉되는 탄성부재(54) 부위는 평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2실시예에서 제2륜(42)은 제2륜결합축(44) 양 끝단에 결합되고, 크기는 제1륜(20)과 같게 구성되면서 한 쌍의 제2륜(42) 사이 폭은 상부접촉부(51)와 하부접촉부(52)가 접촉 안 될 정도로 넓게 구성된다.
그리고, 한 쌍의 제2륜(42) 중 어느 한쪽에 배터리(b)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전기모터(M)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틸팅중심축(x)은 제1프레임(11)이 연결부(30)에 결합된 지점에서 발판(12)이 제1륜결합축(22)에 결합된 지점을 직선으로 그은 선이 된다.
그리고, 제1중심선(v)은 발판(12) 타단 양쪽이 제2프레임(21)에 걸리는 지점에서 발판(12)이 제1륜결합축(22)에 결합된 부위를 그은 직선으로 구성되고, 제2중심선(w)은 제1실시예와 같이 상부접촉부(51)가 하부접촉부(52)에 접촉된 부위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
즉, 제1실시예에서는 걸림부재(50)에 제1프레임(11) 타단이 걸리는 구성이고, 제2실시예에서는 발판(12)이 제2프레임(42)에 걸리는 구성이지만,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 두 실시예 다 제1몸체(10) 부위 중 제2륜 쪽에 위치한 끝단(이하 제1몸체 타단이라고 하고 제1륜 쪽에 위치한 끝단을 제1몸체 일단이라고 함)이 제2프레임(42)에 걸리게 하는 구성이므로 제2중심선(w)은 제1실시예와 같다.
따라서, 발판(12) 타단이 제2프레임(41)에 걸리게 하여도 제1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발판(12) 타단과 제2프레임(41)을 걸림부재(50)로 연결하여도 제1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3실시예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도 11과 도 12와 같이 제1몸체(10)에 핸들조작부(90)와 안장부(94)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몸체(10)는 제1프레임(11), 핸들조작부(90), 발판(12) 및 안장부(94)로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3실시예에서 핸들조작부(90)는 상부에 사용자가 양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핸들(91)과, 일단이 핸들(91)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1륜(20)을 향해 연장되는 핸들프레임(9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핸들조작부(90)는 사용자가 이동수단에 탑승하여 코너를 주행하기 위해 조향 조작과, 코너 주행 시 발생하는 원심력에 대응하기 위하여 제1몸체(10)의 기울임(틸팅) 조작을 가능하게 한다.
본 개시의 제3실시예에서 핸들프레임(92)은 핸들(91)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부위와 하부에서 양쪽으로 벌어지는 포크부(9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개시의 제3실시예에서 제1프레임(11)은 일단이 포크부(93) 상방에 위치한 핸들프레임(92) 중간 부위에 고정 결합되고, 중간 부위가 제1륜(20)과 인접한 제1륜(20) 후방으로 연장된 후 절곡되어 타단은 후방으로 연장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제1프레임(11) 부위 중 타단과 가까운 부위 하부 앞뒤에 하방을 향해 연장된 한 쌍의 돌출판(15)이 고정 결합되고, 한 쌍의 돌출판(15)은 앞뒤로 구멍이 관통되게 구성된다.
또한, 제1프레임(11)타단에 제1지지바(13)가 좌우측으로 연장되게 결합되고, 좌우측으로 연장된 양 끝단 하부에는 지지부재(64)가 고정 결합된다.
상기 지지부재(64)는 제1지지바(13) 양 끝단 하부에 고정 결합되는 지지판(65)과, 지지판(65) 하부에 고정 결합되는 탄성부재(6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판(65)은 하부가 평면 형상의 판 형상으로 구성되고, 탄성부재(66)는 제2실시예와 같기 때문에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개시의 제3실시예에서 발판(12)은 제1프레임(11) 부위 중 제1륜(20) 후방에서 절곡되어 후방으로 연장된 제1프레임(11) 상부에 고정 결합되어 탑승자가 탑승할 수 있게 구성된다.
본 개시의 제3실시예에서 안장부(94)는 제1프레임(11) 부위 중 절곡되어 후방으로 연장된 부위 상부에서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안장프레임(96)과, 안장프레임(96) 상단에 결합되는 안장(95)으로 구성되어 탑승자가 안장(95)에 앉아서 탑승할 수 있게 구성된다.
탑승자가 안장(95)에 앉을 경우에도 탑승자 체중 중심이 한 쌍의 제2중심선(w) 사이에 위치하면, 제1몸체(10)는 측방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제2중심선(w) 바깥쪽으로 체중 중심이 이동하면, 제1몸체(10)가 기울어짐으로 기술원리나 효과는 제1실시예와 같다.
본 개시의 제3실시예에서 제1륜(20)은 포크부(93)에 결합된 중심축(2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륜(20)에는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전기모터(M)가 구비된다.
본 개시의 제3실시예에서 연결부(30)는 상부에 앞뒤로 관통된 구멍이 구비되고, 하부에 좌우로 관통된 구멍이 구비된다. 그리고 제1프레임(11)에 구비된 한 쌍의 돌출판(15) 사이에 연결부(30)가 끼워진 후, 연결부(30)와 돌출판(15)에 핀을 끼워 제1몸체(10)가 좌우측으로 기울임 가능하게 결합되고, 좌우로 관통된 구멍에는 제2프레임(41) 일단을 핀으로 결합시켜 제2프레임(41) 타단이 상하 회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본 개시의 제3실시예에서 제2프레임(41)은 일단이 연결부(30)에 핀으로 결합되고, 타단은 후방으로 연장되게 구성되면서 일단에서 타단까지 부위는 제1프레임(11) 하방에 위치하게 구성된다.
제3실시예에서는 제2지지바가 구비 안 되고, 제2륜결합축(44)과 구름부(60)가 제2프레임(41)에 포함되게 구성되며, 제1프레임(11) 타단이 구름부(60)에 걸리게 구성된다.
즉, 제2프레임(41) 타단에 좌우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제2륜결합축(44)이 구비되고, 각각의 제2륜결합축(44) 중간 지점 상부에 구름부(60)가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그리고 지지부재(64)가 구름부(60)에 걸리게 하여 제1몸체(10) 하부와 제2몸체(40) 하부 사이가 안 펴지게 구성된다.
상기 구름부(60)는, 제2륜결합축(44) 중간 상부에 고정 결합되는 구름결합부(61); 및 구름결합부(6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1몸체(1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틸팅되는 경우 상기 지지부재(64)와 접촉되어 회전되는 구름부재(6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름결합부(61)는 반구형으로 함몰 형성되는 결합홈(6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름부재(62)는 결합홈(63)에 일부 영역이 노출되어 결합되도록 구 형상으로 구비되어 구름결합부(6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홈(63)으로부터 노출된 구름부재(62)의 일부 영역은, 제1몸체(1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틸팅시 제1프레임(11) 타단이 좌우측으로 조금 이동할 때 지지부재(64)에 접촉되어 구름 이동하게 구성된다.
상기 구름부재(62)가 지지부재(64)에 접촉되는 부위 위치는 틸팅중심축(x) 높이와 비슷하거나 약간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하게 구성하여 제1몸체(10)가 틸팅할 때, 제1프레임(11) 타단이 좌우측으로 이동되는 폭이 작아지게 구성된다.
본 개시의 제3실시예에서 지지부재(64)는 제1지지바(13)에 결합되고, 구름부(60)는 제2륜결합축(44)에 결합되지만, 제1지지바(13)에 구름부(60)가 구비되고, 제2륜결합축(44)에 지지부재(64)가 구비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제3실시예에서 제2륜(42)은 제2륜결합축(44) 양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주행 중 노면 굴곡이 있는 곳을 지날 때 탑승자 중심이 흐트러져도 제1몸체(10)는 기울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노면 굴곡이 심해 제1몸체(10)가 순간적으로 조금 기울어져도 곧바로 원위치로 복귀되기 때문에 주행안전성이 향상되고, 천천히 주행하거나 정지시에도 중심을 잡을 필요가 없는 이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제1몸체 11 : 제1프레임
12 : 발판 13 : 제1지지바
14 : 결합판 15 : 돌출판
16 : 돌출축 17 : 탑승부
20 : 제1륜 21 : 중심축
22 : 제1륜결합축 30 : 연결부
40 : 제2몸체 41 : 제2프레임
42 : 제2륜 43 : 제2지지바
44 : 제2륜결합축 50 : 걸림부재
51 : 상부접촉부 52 : 하부접촉부
53 : 접촉판 54 : 탄성부재
60 : 구름부 61 : 구름결합부
62: 구름부재 63 : 결합홈
64 : 지지부재 65 : 지지판
66 : 탄성부재 70 : 완충지지부
71 : 충격흡수부 72 : 충격흡수판
73 : 충격흡수부재 81 : 상부프레임
82 : 하부프레임 83 : 서스펜션
90 : 핸들조작부 91 : 핸들
92 : 핸들프레임 93 : 포크부
94 : 안장부 95 : 안장
96 : 안장프레임
v : 제1중심선 w : 제2중심선
b : 밧데리 m : 전기모터
p : 제2륜접촉지점 x : 틸팅중심축
o : 제1륜이 지면에 접촉된 지점
s : 제2프레임이 연결부에 결합된 지점
t : 제1프레임이 제2프레임에 걸리는 지점 또는 제1프레임이 걸림부재에 걸리는 지점
u : 발판에 발 얹는 지점

Claims (20)

  1. 좌우측으로 기울임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1프레임과 발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제1몸체;
    상기 제1몸체에 결합되는 제1륜;
    상기 제1몸체가 좌우측으로 기울임 가능하게 상기 제1프레임 중간 또는 상기 제1프레임 타단에 결합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일단이 결합되고 타단은 상하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2프레임과 상기 제2프레임 타단 양측에 결합된 제2륜을 포함하는 제2몸체;
    를 포함하게 구성되면서,
    상기 제1몸체 중간 또는 타단 양쪽이 상기 제2프레임 중간 또는 타단에 걸리게 하여 상기 연결부 부위가 안 내려가게 구성되고,
    상기 제1몸체가 좌우측 중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면 기울인 쪽에 위치한 상기 제1몸체 중간 또는 타단 부위는 상기 제2프레임에 걸린 상태로 유지되고, 기울인 반대쪽에 위치한 상기 제1몸체 타단 부위는 상방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상기 제1몸체 하부와 상기 제2몸체 하부 사이가 오므려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수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이 결합되는 상기 연결부 부위에 앞뒤로 관통된 구멍 또는 앞뒤로 길게 형성된 축이 구비되며,
    상기 제1프레임이 결합되는 상기 연결부 부위에 앞뒤로 관통된 구멍이 구비되면, 상기 제1프레임 중간 또는 타단에 앞뒤로 길게 형성된 축이 구비되고,
    상기 제1프레임이 결합되는 상기 연결부 부위에 앞뒤로 길게 형성된 축이 구비되면, 상기 제1프레임 중간 또는 타단에 앞뒤로 관통된 구멍이 구비되어 상기 제1프레임이 상기 연결부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수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레임이 결합되는 상기 연결부 부위에 좌우로 관통된 구멍 또는 좌우측 중 어느 한쪽으로 연장된 축이 구비되며,
    상기 제2프레임이 결합되는 상기 연결부 부위에 좌우로 관통된 구멍이 구비되면 상기 제2프레임 일단 부위에 좌측 또는 우측으로 연장된 축이 구비되고,
    상기 제2프레임이 결합되는 상기 연결부 부위에 좌측 또는 우측으로 연장된 축이 구비되면 상기 제2프레임 일단 부위에 좌우로 관통된 구멍이 구비되어 상기 제2프레임이 상기 연결부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수단.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제1프레임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제1몸체가 좌우측으로 기울임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2프레임 일단은 상기 연결부에 힌지 결합되어 상기 제2프레임 타단이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수단.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 타단 하부에는 하부가 둥글게 구성되거나 평면으로 구성된 상부접촉부가 구비되고,
    상기 상부접촉부 하부가 평면으로 구성되면 상기 상부접촉부 부위 중 상기 제1륜과 바깥쪽 방향에 위치한 가장자리와 모서리 부분이 둥글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수단.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레임에는
    상기 상부접촉부와 서로 마주 보는 상기 제2프레임 상부에 고정 결합되는 접촉판과 상기 접촉판 상부에 결합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하부접촉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상부접촉부가 상기 하부접촉부에 접촉되어 상기 연결부 부위가 안 내려가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수단.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 타단 하부와 상기 제2프레임 상부 중 어느 한쪽에 구비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와 서로 마주보는 다른 한쪽에 구비되는 구름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구름부는
    상기 제1몸체 타단 하부와 상기 제2프레임 상부 중 어느 한쪽에 고정 결합되면서 반구형으로 함몰 형성되는 결합홈을 포함하는 구름결합부; 및
    상기 구름결합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1몸체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틸팅되는 경우 상기 지지부재와 접촉되어 구름 이동하는 구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수단.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구름부재와 서로 마주보는 상기 제1몸체 타단 하부와 상기 제2프레임 상부 중 어느 한쪽에 결합되는 지지판과 상기 구름부재와 서로 마주보는 상기 지지판 부위에 결합되는 탄성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수단.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 타단을 상기 제2프레임에 연결하는 한 쌍의 걸림부재가 포함되고,
    상기 걸림부재 일단은 상기 제1몸체 타단 좌우측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걸림부재 타단은 상기 걸림부재 일단이 결합된 부위 상방에 위치한 상기 제2프레임에 각각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수단.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는
    상기 제1몸체가 틸팅시 상기 제1프레임 타단이 이동되는 방향 따라 형상이 가변되면서 상기 제1프레임 타단이 안 내려가게 잡아줄 수 있는 가변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수단.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는 상기 제2프레임에 걸리게 구성되거나 걸림부재가 더 구비되어 상기 걸림부재에 걸리게 구성되고,
    상기 걸림부재가 구비될 경우, 상기 걸림부재는 한 쌍으로 구성되면서 일단이 상기 제1몸체 타단 좌우측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걸림부재 일단이 결합된 부위 상방에 위치한 상기 제2프레임 부위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제1몸체가 측방으로 최대로 기울어진 상태의 이동수단을 측면도로 그렸을 때, 상기 제2륜이 지면에 접촉된 지점에서 상기 제2프레임이 상기 연결부에 결합된 부위 수직 하방에 위치한 지면까지 길이가 상기 제2륜이 지면에 접촉된 지점에서 상기 제2프레임에 걸리는 상기 제1몸체 부위 또는 상기 걸림부재가 결합된 상기 제1몸체 부위 수직 하방에 위치한 지면까지 길이보다 더 길게 구성되거나 상기 제2프레임에 걸리는 상기 제1몸체 부위 또는 상기 걸림부재가 결합된 상기 제1몸체 부위는 상기 제2륜이 지면에 접촉된 지점에서 상기 제1륜 방향에 위치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수단.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은
    앞뒤로 길게 구성되고 상부는 평면으로 구성되면서 탑승 영역을 제공하는 탑승부;
    상기 탑승부 일단 하부에 결합되면서 하방과 상기 제2륜 쪽으로 연장되는 축으로 구성된 돌출축;
    상기 탑승부 타단 하부에 결합되면서 상기 제2프레임에 접촉되게 구성되는 상부접촉부;를 포함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수단
  13. 제 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는 상기 제2프레임에 걸리게 구성되거나 걸림부재가 더 구비되어 상기 걸림부재에 걸리게 구성되고,
    상기 걸림부재가 구비될 경우 상기 걸림부재는 한 쌍으로 구성되면서 일단이 상기 제1몸체 타단 좌우측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걸림부재 일단이 결합된 부위 상방에 위치한 상기 제2프레임 부위에 각각 결합되며,
    탑승자 체중 중심이 한 쌍의 제2중심선 사이에 위치하면 상기 제1몸체는 기울어지지 않고, 탑승자 체중 중심이 상기 제2중심선 바깥쪽으로 이동하면 상기 제1몸체는 탑승자 체중 중심이 이동한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구성되며, 상기 제2중심선은 상기 제1몸체가 좌우측 중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질 때 하방으로 이동하는 상기 발판 부위와 상방으로 이동하는 상기 발판 부위 경계선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수단.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중심선은
    옆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2프레임 또는 걸림부재에 결리는 상기 제1몸체 부위가 지면에 접촉된 상기 제2륜 부위 상방에 위치할 경우 제1중심선이 위치한 지점에 위치하고,
    옆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2프레임 또는 걸림부재에 걸리는 상기 제1몸체 부위가 지면에 접촉된 상기 제2륜 부위에서 상기 제1륜 방향에 위치할 경우 상기 제2중심선은 상기 제1중심선 바깥쪽에 위치하고,
    옆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제2프레임 또는 걸림부재에 결리는 상기 제1몸체 부위가 지면에 접촉된 상기 제2륜 부위에서 상기 제1륜 반대 방향에 위치할 경우 상기 제2중심선은 제1중심선 안쪽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1중심선은 상기 제1륜이 지면에 접촉된 지점 또는 상기 제1몸체가 제1륜결합축에 결합된 지점에서 상기 제2프레임에 걸리는 상기 제1몸체 부위 또는 상기 걸림부재가 결합된 상기 제1몸체 부위를 직선으로 그은 가상의 선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수단.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는 상기 제2프레임에 걸리게 구성되거나 걸림부재가 더 구비되어 상기 걸림부재에 걸리게 구성되고,
    상기 걸림부재가 구비될 경우 상기 걸림부재는 한 쌍으로 구성되면서 일단이
    상기 제1몸체 타단 좌우측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걸림부재 일단이 결합된 부위 상방에 위치한 상기 제2프레임 부위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제2프레임 상부와 상기 연결부 하부 중 어느 한쪽에 고정 결합되는 완충지지부; 및 상기 완충지지부와 서로 마주보는 다른 쪽에 고정 결합되는 충격흡수판과 상기 충격흡수판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완충지지부가 접촉시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부재를 포함하는 충격흡수부;가 더 포함되어 측방으로 기울어진 상기 제1몸체가 원상복귀 할 때 상기 충격흡수부와 상기 완충지지부가 먼저 접촉된 후 상기 제1프레임이 상기 제2프레임에 접촉 또는 상기 걸림부재에 인장력이 걸리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수단.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부재는 탄성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수단.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는 상기 제2프레임에 걸리게 구성되거나 걸림부재가 더 구비되어 상기 걸림부재에 걸리게 구성되고,
    상기 걸림부재가 구비될 경우 상기 걸림부재는 한 쌍으로 구성되면서 일단이 상기 제1몸체 타단 좌우측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걸림부재 일단이 결합된 부위 상방에 위치한 상기 제2프레임 부위에 각각 결합되며,
    이동수단을 측면도로 그렸을 때 상기 제1몸체가 상기 제2프레임 또는 상기 걸림부재에 걸리는 부위에서 상기 제2프레임이 상기 연결부에 결합된 지점까지 길이는 상기 제1몸체가 상기 제2프레임 또는 상기 걸림부재에 걸리는 부위에 위치한 한 쌍의 제1중심선 사이 폭 절반 길이보다 더 길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수단.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레임은
    일단이 상기 연결부 하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후방을 향해 연장되면서 상하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하부프레임;
    일단이 상기 연결부 상부 또는 상기 하부프레임 부위 중 일단과 가까운 지점 상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후방을 향해 연장되되 연장된 부위는 상기 하부프레임 상부에 위치하면서 상하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상부프레임; 및
    일단이 상기 상부프레임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하부프레임에 결합되는 서스펜션;
    을 포함하면서
    상기 제1프레임 타단은 상기 상부프레임에 걸리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수단.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몸체에는
    상기 제1프레임 중간 또는 타단 상부에서 상방을 향해 연장되게 결합되는 안장프레임과 상기 안장프레임 상단에 결합되면서 탑승자가 착석하는 안장을 포함하는 안장부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수단.
  20. 제 1 항에 있어서
    중간 부위에 상부에서 하부로 향할수록 제2륜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관통된 구멍이 구비되고, 상기 구멍이 발판 일단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끼움 결합되며, 좌우측으로 연장된 양 끝단에 제1륜이 결합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1륜결합축이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수단.
KR1020180110857A 2018-09-14 2018-09-14 틸팅 억제 기능이 있는 이동수단 KR101996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857A KR101996757B1 (ko) 2018-09-14 2018-09-14 틸팅 억제 기능이 있는 이동수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0857A KR101996757B1 (ko) 2018-09-14 2018-09-14 틸팅 억제 기능이 있는 이동수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96757B1 true KR101996757B1 (ko) 2019-07-08

Family

ID=672561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0857A KR101996757B1 (ko) 2018-09-14 2018-09-14 틸팅 억제 기능이 있는 이동수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9675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1753B1 (ko) * 2020-11-09 2021-12-20 이종호 틸팅억제 기능이 있는 역삼륜 이동수단
KR102358414B1 (ko) * 2020-11-09 2022-02-07 이종호 틸팅억제 기능이 있는 역삼륜 이동수단
KR20220067730A (ko) * 2020-11-18 2022-05-25 이종호 틸팅 억제 기능이 있는 역삼륜 이동수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6366A (ko) * 2005-10-31 2007-05-03 임관순 균형 조정수단이 구비된 삼륜차
KR20110021162A (ko) * 2009-08-25 2011-03-04 김선윤 페달 작동간을 상하로 작동시키는 3륜 자전거
KR20180068090A (ko) * 2016-12-13 2018-06-21 이종호 삼륜 탑승 기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6366A (ko) * 2005-10-31 2007-05-03 임관순 균형 조정수단이 구비된 삼륜차
KR20110021162A (ko) * 2009-08-25 2011-03-04 김선윤 페달 작동간을 상하로 작동시키는 3륜 자전거
KR20180068090A (ko) * 2016-12-13 2018-06-21 이종호 삼륜 탑승 기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1753B1 (ko) * 2020-11-09 2021-12-20 이종호 틸팅억제 기능이 있는 역삼륜 이동수단
KR102358414B1 (ko) * 2020-11-09 2022-02-07 이종호 틸팅억제 기능이 있는 역삼륜 이동수단
KR20220067730A (ko) * 2020-11-18 2022-05-25 이종호 틸팅 억제 기능이 있는 역삼륜 이동수단
KR102410821B1 (ko) 2020-11-18 2022-07-05 이종호 틸팅 억제 기능이 있는 역삼륜 이동수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6757B1 (ko) 틸팅 억제 기능이 있는 이동수단
EP3016847B1 (en) A vehicle drivable in use by a person walking or running whilst seated and the use of such vehicle
JP6626510B2 (ja) 回転接続部を備えたスクーター
KR200331983Y1 (ko) 삼륜이송보드
US8939454B2 (en) Scooters and scooter steering systems
US20170313375A1 (en) Tilting-capable three-wheeled boarding vehicle
US10723403B2 (en) Scooter assembly with auto-balancing drive wheel
JP2002325878A (ja) 三輪スケータ
JP4599907B2 (ja) 走行装置
JP2019531116A (ja) がたつき防止折りたたみスクーター
KR102108676B1 (ko) 기울어짐 제어 기능을 하는 발판부가 구비된 삼륜탑승기구
US20150145225A1 (en) Leg scooter device
KR101907430B1 (ko) 삼륜 탑승 기구
KR101074479B1 (ko) 렌칭 킥스쿠터
KR102152167B1 (ko) 서서 타는 이동수단
WO2012104622A2 (en) Foot propelled vehicle
KR102341753B1 (ko) 틸팅억제 기능이 있는 역삼륜 이동수단
KR101950802B1 (ko) 기울어짐 제어 기능을 하는 발판부가 구비된 삼륜 탑승기구
KR200493488Y1 (ko) 주행보드용 전륜 충격 흡수장치
KR20210067481A (ko) 틸팅억제 기능이 있는 역삼륜 이동수단
KR20190140395A (ko) 삼륜탑승기구
KR102230849B1 (ko) 킥보드
KR101668069B1 (ko) 스윙 보드
KR102586147B1 (ko) 주행 안정성 강화를 위한 전동스쿠터의 조향 바퀴 장치
JP2002253726A (ja) 雪面滑走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