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8090A - 삼륜 탑승 기구 - Google Patents

삼륜 탑승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8090A
KR20180068090A KR1020160169697A KR20160169697A KR20180068090A KR 20180068090 A KR20180068090 A KR 20180068090A KR 1020160169697 A KR1020160169697 A KR 1020160169697A KR 20160169697 A KR20160169697 A KR 20160169697A KR 20180068090 A KR20180068090 A KR 201800680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ting
pedal
rolling
fixed body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9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7430B1 (ko
Inventor
이종호
Original Assignee
이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호 filed Critical 이종호
Priority to KR1020160169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7430B1/ko
Publication of KR20180068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80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7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74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2Tri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9/00Steering deflectable 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9/04Steering deflectable 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with means for inwardly inclining wheels on be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탑승 기구에 과한 것으로, 사용자가 선 상태에서 발판부를 밟아 구동륜을 구동하고, 코너 주행시 일정 부위가 틸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틸팅 가능한 삼륜 탑승용 기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탑승 기구를 탑승하여 코너를 주행시 발생하는 원심력에 대응하여 안정감있게 주행할 수 있으며, 양 발로 페달을 밟았을 경우 페달과 탑승자의 하중을 지지해주는 지지부재와의 마찰면적 및 마찰력을 최소한으로 감소시켜 장시간 사용시에도 페달 및 페달을 지지해주는 지지부재의 마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삼륜 탑승 기구{Three-wheeled boarding apparatus capable of tilting}
본 발명은 삼륜 탑승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선 상태에서 발판부를 밟아 구동륜을 구동하고, 코너 주행시 일정 부위가 틸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삼륜 탑승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탑승용 기구는 탑승자의 이동이나 각종 물품을 적재하여 이동하는 기구를 말하며 자전거나 보드, 스쿠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탑승용 기구는 구동륜, 종동륜 및 탑승 영역을 갖도록 구성되며 삼륜형 또는 역삼륜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삼륜형이나 역삼륜형 탑승용 기구는 고속으로 코너나 휘어진 길의 주행시 원심력으로 인해 밖으로 나가려는 힘이 발생하고, 이러한 원심력을 상쇄시키기 위해서는 탑승용 기구를 안쪽으로 기울이는 틸팅(tilting)이 필요하다. 따라서 이러한 탑승용 기구의 틸팅과 관련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서서 타는 삼륜 탑승 기구는 구동을 위해 어느 한쪽 페달(pedal)에서 발을 떼면 탑승자의 체중은 반대쪽 페달로 이동을 함과 동시에 탑승용 기구의 몸체는 그쪽으로 기울어지게되어 탑승자의 하중이 한쪽 페달로 집중된다. 이러한 경우에 페달의 하중을 지지해주는 지지부재가 필요한데, 코너 주행시 원심력에 대응하기 위해 몸체 일부가 기울어지는 경우 패달과 지지부재의 일부가 일정간격 마찰되어 장시간 사용시 페달과 지지부재가 심하게 마모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81635호(등록일자: 2015.12.23)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페달을 밟을 경우와 같이 탑승자의 체중이 한쪽으로 이동시에도 탑승자의 체중에 의해 기울어지지 않는 삼륜 탑승 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양 발로 페달을 밟았을 경우 페달과 탑승자의 하중을 지지해주는 지지부재와의 마찰면적 및 마찰력을 최소한으로 감소시켜 장시간 사용시에도 페달 및 페달을 지지해주는 지지부재의 마모를 줄일 수 있는 삼륜 탑승 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구동을 위해 페달을 상하로 밟는 경우, 무릎에 전달되는 충격량을 최소화하여 무릎에 큰 부담을 주지 않고 장시간 탑승할 수 있는 삼륜 탑승 기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틸팅 가능한 삼륜 탑승 기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삼륜 탑승용 기구는, 핸들조작부를 통해 좌우로 틸팅 가능하게 구비되는 구동륜과, 상기 핸들조작부로부터 연장되는 틸팅바디를 포함하는 틸팅본체; 일단이 상기 틸팅바디에 결합되는 고정바디와, 상기 고정바디의 양측에 구비되는 종동륜을 포함하는 고정본체; 일단이 상기 틸팅바디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하 회동 가능하게 상기 고정바디의 상부에 놓이는 발판부; 및 상기 고정바디와 상기 발판부 중 어느 한쪽에 구비되는 지지부와 마주보는 다른 한쪽에 구비되되, 상기 틸팅본체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틸팅되는 경우 상기 지지부와 접촉되며 구름이동되는 구름부;를 포함하는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 의하면, 상기 구름부는, 상기 고정바디와 상기 발판부 중 어느 한쪽에 구비되는 회동결합부; 및 상기 회동결합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틸팅본체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틸팅되는 경우 상기 지지부와 접촉되어 회전되는 구름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삼륜 탑승 기구는 페달을 밟을 경우와 같이 탑승자의 체중이 한쪽 페달로 이동시에도 탑승자의 체중에 의해 삼륜 탑승 기구는 기울어지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삼륜 탑승 기구는 양 발로 페달을 밟았을 경우 페달과 탑승자의 하중을 지지해주는 지지부재와의 접촉부위에 발생하는 단위 면적당 압축 응력과 마찰력을 최소한으로 감소시켜 장시간 사용시에도 페달 및 페달을 지지해주는 지지부재의 마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사용자가 구동을 위해 페달을 상하로 밟는 경우, 무릎에 전달되는 충격량을 최소화하여 무릎에 큰 부담을 주지 않고 장시간 탑승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삼륜 탑승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삼륜 탑승 기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일실시예에 의한 구름부 및 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삼륜 탑승 기구의 틸틸본체가 틸팅되는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름부 및 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삼륜 탑승 기구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삼륜 탑승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삼륜 탑승 기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일실시예에 의한 구름부 및 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삼륜 탑승 기구의 틸틸본체가 틸팅되는 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구름부 및 지지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삼륜 탑승 기구의 사시도이다.
실시예의 설명에 앞서 삼륜 탑승 기구라 함은 삼륜 보드나 삼륜 자전거 등이 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삼륜 보드를 그 예로 한다.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삼륜 탑승 기구(10)는 핸들조작부(110)를 통해 좌우로 틸팅 가능하게 구비되는 구동륜(130)과, 핸들조작부(110)로부터 연장되는 틸팅바디(150)를 포함하는 틸팅본체(170); 일단이 틸팅바디(150)에 결합되는 고정바디(210)와, 고정바디(210)의 양측에 구비되는 종동륜(230)을 포함하는 고정본체(250); 일단이 틸팅바디(15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하 회동 가능하게 상기 고정바디(210)의 상부에 놓이는 발판부(330); 및 고정바디(210)와 발판부(330) 중 어느 한쪽에 구비되는 지지부(410)와 마주보는 다른 한쪽에 구비되되, 틸팅본체(17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틸팅되는 경우 지지부(410)와 접촉되며 구름이동되는 구름부(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틸팅본체(170)는 핸들조작부(110)를 통해 좌우로 틸팅 가능하게 구비되는 구동륜(130)과 핸들조작부(110)로부터 종동륜(230)을 향해 연장되는 틸팅바디(150) 및 가이드프레임(1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핸들조작부(110)는 바(bar)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는데, 상부에 사용자가 양손으로 파지할 수 있는 핸들(111)과, 일단이 핸들(111)과 연결되고 타단이 구동륜(130)을 향해 연장되는 핸들프레임(11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핸들조작부(110)는 사용자가 삼륜 탑승 기구(10)에 탑승하여 코너 주행시 발생하는 원심력에 대응하기 위하여 틸팅본체(170)의 기울임(틸팅) 조작을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핸들프레임(113)은 제1동력전달부재(310)와 마찰되며 제1동력전달부재(310)를 구동륜(130)의 방향으로 가이드해주는 회전가이드부(117)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핸들프레임(113)에는 인장스프링(311)이 결합된다. 이러한 인장스프링(311)은 제1동력전달부재(310)와 연결되어 탑승자가 발판(333)에서 발을 떼는 경우, 인장력이 작용하여 제1동력전달부재(310)를 상부로 상승시킨다. 이때, 발판(333)은 제1동력전달부재(310)와 함께 상부로 상승된다.
한편, 회전가이드부(117)는 회전가이드부재(118) 및 걸림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가이드부재(118)는 제1동력전달부재(310)의 일부가 고정결합된다.
이러한 회전가이드부재(118)는 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부(118a)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돌출부(118a)는 탑승자가 발판(333)을 상하 방향으로 밟아 회전가이드부재(118)가 제1동력전달부재(310)를 통해 회전되는 경우 제1동력전달부재(310)의 일부분과 걸림된다. 다시 말해, 돌출부(118a)는 회전가이드부재(118)가 제1동력전달부재(310)와 마찰되어 회전되는 경우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제1동력전달부재(310)와 걸림되어 제1동력전달부재(310)를 걸림부(120)와 마찰되도록 가압하여 텐션 및 마찰력을 발생시킨다.
즉, 돌출부(118a)는 탑승자가 발판부(330)를 상하 방향으로 밟는 경우, 발판(333)이 지지부재(211)와 인접하는 일정 위치에서 제1동력전달부재(310)와 걸림되어, 발판(333)의 상하 회동이 감속되면서 후술할 구름부(430)와 지지부(410)의 충격을 완화될 수 있다.
구동륜(130)은 핸들조작부(11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좀더 구체적으로 구동륜(130)은 핸들프레임(113)의 하부에 형성되는 포크부(115)에 축을 통해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동력전달부(131)는 일면이 구동륜(130)의 일측에 결합되어 제1동력전달부재(310)로부터 전해지는 동력을 구동륜(130)으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동력전달부(131)는 일예로 벨트풀리(beltpulley) 형태로 제공되고, 외주면에 제1동력전달부재(310)의 일부가 고정 결합되면서 감기는 형태로 구성된다.
틸팅바디(150)는 핸들조작부(110)로부터 연장된다. 이러한 틸팅바디(150)는 일단이 핸들조작부(110)로부터 연장되고, 타단이 핸들조작부(110)를 통해 틸팅본체(170)가 기울임 조작 가능하도록 고정바디(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가이드프레임(160)은 끝단에 도르래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도르래에는 양단이 각각 페달프레임(331)에 연결된 제2동력전달부재(332)의 일부가 경유된다.
일단이 포크부(115)로부터 연장되어 핸들조작부(110)와 틸팅바디(150)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프레임(160)은 제1동력전달부재(310)가 발판부(330)로부터 구동륜(130)의 일측에 구비된 동력전달부(131)로 향하도록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다.
이어서, 고정본체(250)는 일단이 틸팅바디(150)에 결합되는 고정바디(210)와, 고정바디(210)의 양측에 구비되는 종동륜(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정바디(210)에는 틸팅바디(150)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고정바디(210)는 틸팅바디(150)가 회전되도록 틸팅바디(150)의 타단에 외삽될 수 있다. 또한, 고정바디(210)는 일예로 'T'자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는데, 양측에 종동륜(230)이 구비되어 틸팅본체(17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임 조작되는 경우 바닥면으로부터 기울임 조작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고정바디(210)는 지지부재(2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재(211)는 발판부(330)가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는 경우 발판부(330)의 타단과 밀착 또는 밀착 해제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211)는 지지부(410) 또는 구름부(430)가 구비될 수 있다.
종동륜(230)은 고정바디(210)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러한 종동륜(230)은 고정바디(210)의 양측에 2개가 제공되며, 구동륜(130)보다 그 직경이 작을 수 있다.
이어서, 발판부(330)는 일단이 틸팅바디(150)의 양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좀더 상세하게, 발판부(330)는 일단이 틸팅바디(150)의 일단에 형성되는 포크부(115)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발판부(330)는 일단이 축을 통해 포크부(115) 및 구동륜(130)과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발판부(330)는 일단이 회동되는 경우 타단이 고정바디(210)와 밀착 또는 밀착 해제된다. 좀더 상세하게 발판부(330)는 일단이 회동되는 경우 타단이 고정바디(210)에 구비되는 지지부재(211)와 밀착 또는 밀착 해제된다. 이때, 발판부(330)는 제1,2동력전달부재(310,332)를 통해 구동륜(130)을 구동시킨다.
이러한 발판부(330)는 일예로 페달프레임(331) 및 발판(33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페달프레임(331)은 일단이 포크부(115)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에 발판(333)이 구비된다. 이러한 페달프레임(331)은 일단이 구동륜(130)을 향하도록 형성되고, 타단이 틸팅바디(150)와 멀어지도록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페달프레임(331)은 타단이 탑승자의 양다리의 폭에 맞게 형성되어 탑승자가 적당한 다리의 폭을 유지하며 탑승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페달프레임(331)에는 각각 제2동력전달부재(332)의 양단이 연결된다. 즉, 페달프레임(331)은 일단이 포크부(115)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이 상하방 회동되어 제2동력전달부재(332)를 통해 가이드프레임(160)을 당기게 된다.
이러한 제1,2동력전달부재(310,332)는 발판부(330)가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거나, 틸팅본체(170)가 좌우로 틸팅되는 경우 비틀림에 대한 저항값을 줄이기 위해 섬유로프로 제공될 수 있다.
발판(333)은 페달프레임(331)의 타단에 구비된다. 좀더 상세하게 발판(333)은 페달프레임(331)의 타단에 구비되며 탑승자의 양다리 폭에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발판(333)은 페달프레임(331)이 상하 방향으로 회동되는 경우 상술한 지지부재(211)에 접촉 또는 접촉 해제될 수 있다.
한편, 구름부(430)는 고정바디(210)와 발판부(330) 중 어느 한쪽에 구비되는 지지부(410)와 접촉될 수 있다. 즉, 구름부(430)는 고정바디(210)와 발판부(330) 중 지지부(410)와 마주보는 다른 한쪽에 구비될 수 있는데, 도면들에서는 구름부(430)가 발판부(330)에 구비되고, 지지부(410)가 고정바디(210)에 구비된 예를 도시하였다.
또한, 구름부(430)는 틸팅본체(17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틸팅되는 경우 지지부(410)와 접촉되며 구름이동 된다. 이때, 지지부(410)는 구름부(430)와 접촉되는 부분에 탄성부재(460)가 구비되어 구름부(430)와 접촉되는 경우 충격 및 소음을 줄일 수 있다.
이러한 구름부(430)의 구조에 대한 일예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구름부(430)는, 고정바디(210)와 발판부(330) 중 어느 한쪽에 구비되는 지지부(410)와 마주보는 다른 한쪽에 구비되는 회동결합부(440); 및 회동결합부(4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틸팅본체(17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틸팅되는 경우 지지부(410)와 접촉되어 회전되는 구름부재(4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회동결합부(440)는 고정바디(210)와 발판부(330) 중 어느 한쪽에 구비되는 지지부(410)와 마주보는 다른 한쪽에 구비될 수 있는데, 도면들에서는 회동결합부(440)가 발판부(330)에 구비된 예를 도시하였다.
이러한 회동결합부(440)는 일예로 발판(333)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으며, 반구형으로 함몰 형성되는 결합홈(441)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구름부재(450)는 회동결합부(44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구름부재(450)는 틸팅본체(17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틸팅되는 경우 지지부(410)와 접촉된다.
이러한 구름부재(450)는 결합홈(441)에 일부 영역이 노출되어 결합되도록 구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홈(441)으로부터 노출된 구름부재(450)의 일부 영역은, 틸팅본체(17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틸팅되는 경우 지지부(410)와 접촉되어 구름이동 될수 있다.
또한, 구름부재(450)와 결합홈(441)은 마찰계수를 작게 해서 구름부재(450)가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구성된다.
한편, 구름부(430)는 다른예로, 일정 위치에 반구형으로 함몰 형성되는 제1결합홈(441a) 및 제1결합홈(441a)과 폭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되 반구형으로 함몰형성되는 제2결합홈(441b)를 포함하는 회동결합부(440) 및 제1결합홈(441a)에 일부 영역이 노출되어 결합되도록 구형상으로 제공되는 제1구름부재(450a) 및 제2결합홈(441b)에 일부 영역이 노출되어 결합되도록 구형상으로 제공되는 제2구름부재(450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구름부(430)는 지지부(410)와 접촉시 발생하는 충격량이 제1구름부재(450a)와 제2구름부재(450b)로 분산되므로 탑승자가 구동을 위해 발판부(330)를 상하로 밟는 경우 구름부(430) 및 발판부(330)로 전해지는 충격량을 최소화시켜 구름부(430) 및 발판부(330)의 파손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발판부(330)가 지지부(410)와 접촉되는 경우 제1구름부재(450a)와 제2구름부재(450b)에 의해 안정적으로 중심을 잡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조향은 종동륜(230)에 의한 후륜 조향이지만, 이는 이미 공개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삼륜 탑승 기구(10')는 인력구동이 아닌 배터리(B)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기모터(M)를 이용하여 구동될 수 있다.
이때,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삼륜 탑승 기구(10')의 틸팅바디(150')는 틸팅본체(17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틸팅 조작 가능하도록 고정바디(210') 끼움결합된다.
또한, 발판부(330')는 타단이 상하 회동 가능하도록 고정바디(210')의 상부에 놓인다. 그리고, 발판부(330')의 타단에는 구름부(430')가, 고정바디(210')에는 지지부(410')가 구비됨으로써,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삼륜 탑승 기구(10)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삼륜 탑승 기구(10')는 구동 수단이 다를 뿐 같은 원리로 작동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탑승 기구를 탑승하여 코너를 주행시 발생하는 원심력에 대응하여 안정감있게 주행할 수 있으며, 양 발로 페달을 밟았을 경우 페달과 탑승자의 하중을 지지해주는 지지부재와의 단위 면적당 압축 응력과 마찰력을 최소한으로 감소시켜 장시간 사용시에도 페달 및 페달을 지지해주는 지지부재의 마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사용자가 구동을 위해 페달을 상하로 밟는 경우, 무릎에 전달되는 충격량을 최소화하여 무릎에 큰 부담을 주지 않고 장시간 탑승할 수 있는 또 다른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삼륜 탑승 기구 110 : 핸들조작부
111 : 핸들 113 : 핸들프레임
115 : 포크부 117 : 회전가이드부
118 : 회전가이드부재 118a : 돌출부
119 : 길이조절부 120 : 걸림부
130 : 구동륜 131 : 동력전달부
150 : 틸팅바디 160 : 가이드프레임
170 : 틸팅본체 210 : 고정바디
211 : 지지부재 230 : 종동륜
250 : 고정본체 310 : 제1동력전달부재
311 : 인장스프링 330 : 발판부
331: 페달프레임 333 : 발판
332 : 제2동력전달부재 410 : 지지부
440 : 회동결합부 441 : 결합홈
430 : 구름부 450 : 구름부재
460 : 탄성부재

Claims (4)

  1. 핸들조작부를 통해 좌우로 틸팅 가능하게 구비되는 구동륜과, 상기 핸들조작부로부터 연장되는 틸팅바디를 포함하는 틸팅본체;
    일단이 상기 틸팅바디에 결합되는 고정바디와, 상기 고정바디의 양측에 구비되는 종동륜을 포함하는 고정본체;
    일단이 상기 틸팅바디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하 회동 가능하게 상기 고정바디의 상부에 놓이는 발판부; 및
    상기 고정바디와 상기 발판부 중 어느 한쪽에 구비되는 지지부와 마주보는 다른 한쪽에 구비되되, 상기 틸팅본체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틸팅되는 경우 상기 지지부와 접촉되며 구름이동되는 구름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륜 탑승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름부는,
    상기 고정바디와 상기 발판부 중 어느 한쪽에 구비되는 지지부와 마주보는 다른 한쪽에 구비되는 회동결합부; 및
    상기 회동결합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틸팅본체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틸팅되는 경우 상기 지지부와 접촉되어 회전되는 구름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륜 탑승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결합부는 반구형으로 함몰 형성되는 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구름부재는 상기 결합홈에 일부 영역이 노출되어 결합되도록 구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륜 탑승 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구름부와 접촉되는 부분에 구비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삼륜 탑승 기구.

KR1020160169697A 2016-12-13 2016-12-13 삼륜 탑승 기구 KR1019074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697A KR101907430B1 (ko) 2016-12-13 2016-12-13 삼륜 탑승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697A KR101907430B1 (ko) 2016-12-13 2016-12-13 삼륜 탑승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8090A true KR20180068090A (ko) 2018-06-21
KR101907430B1 KR101907430B1 (ko) 2018-10-12

Family

ID=62806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9697A KR101907430B1 (ko) 2016-12-13 2016-12-13 삼륜 탑승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743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6757B1 (ko) * 2018-09-14 2019-07-08 이종호 틸팅 억제 기능이 있는 이동수단
KR102108676B1 (ko) * 2019-02-15 2020-05-07 이종호 기울어짐 제어 기능을 하는 발판부가 구비된 삼륜탑승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0821B1 (ko) * 2020-11-18 2022-07-05 이종호 틸팅 억제 기능이 있는 역삼륜 이동수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50179A1 (en) * 2003-02-03 2004-08-05 Hui-Nan Yu Scooter having reciprocating pedals
KR20100005964A (ko) * 2008-07-08 2010-01-18 김성철 탑승용 기구
KR101123472B1 (ko) * 2010-01-14 2012-03-23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동식 스쿠터 안전발판장치
KR101581635B1 (ko) * 2014-12-31 2015-12-31 이종호 틸팅 가능한 삼륜 탑승용 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50179A1 (en) * 2003-02-03 2004-08-05 Hui-Nan Yu Scooter having reciprocating pedals
KR20100005964A (ko) * 2008-07-08 2010-01-18 김성철 탑승용 기구
KR101123472B1 (ko) * 2010-01-14 2012-03-23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동식 스쿠터 안전발판장치
KR101581635B1 (ko) * 2014-12-31 2015-12-31 이종호 틸팅 가능한 삼륜 탑승용 기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6757B1 (ko) * 2018-09-14 2019-07-08 이종호 틸팅 억제 기능이 있는 이동수단
KR102108676B1 (ko) * 2019-02-15 2020-05-07 이종호 기울어짐 제어 기능을 하는 발판부가 구비된 삼륜탑승기구
WO2020166841A1 (ko) * 2019-02-15 2020-08-20 이종호 기울어짐 제어 기능을 하는 발판부가 구비된 삼륜탑승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7430B1 (ko) 2018-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48037B2 (en) Self-balancing board with primary wheel and distal auxiliary wheel
US6715779B2 (en) Exercise scooter with stunt features
US8584782B2 (en) Two-wheeled self-balancing motorized personal vehicle with tilting wheels
US9045190B2 (en) Two-wheeled self-balancing motorized personal vehicle with tilting wheels
JP6379241B2 (ja) 追加搭乗式足載せ台折り畳み型自己平衡型スクーター
EP3016847B1 (en) A vehicle drivable in use by a person walking or running whilst seated and the use of such vehicle
US20170313375A1 (en) Tilting-capable three-wheeled boarding vehicle
US20050248117A1 (en) Pedalling machines including scooters and driving mechanisms therefor
KR101907430B1 (ko) 삼륜 탑승 기구
US8998232B2 (en) Recumbant style powered unicycle
JPWO2008139740A1 (ja) 全方向に移動可能な乗り物
WO2005123493A1 (en) A front- wheel drive vehicle having no chain
KR101996757B1 (ko) 틸팅 억제 기능이 있는 이동수단
KR101729620B1 (ko) 전동식 주행 보드
KR101438904B1 (ko) 트라이 스케이트보드
JP2011025765A (ja) 折りたたみ式電動補助自転車
KR20180121091A (ko) 삼륜 탑승 기구
JP2005096500A (ja) 電動三輪キックスケータ
JP2006151032A (ja) 立ち乗り式小型車両
KR101950802B1 (ko) 기울어짐 제어 기능을 하는 발판부가 구비된 삼륜 탑승기구
KR20190140395A (ko) 삼륜탑승기구
JP3186475U (ja) 自転車用後輪支持装置
JP7424858B2 (ja) 自転車
JP2003024498A (ja) 走行具
KR101092248B1 (ko) 접이식 탈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