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05964A - 탑승용 기구 - Google Patents

탑승용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05964A
KR20100005964A KR1020080066093A KR20080066093A KR20100005964A KR 20100005964 A KR20100005964 A KR 20100005964A KR 1020080066093 A KR1020080066093 A KR 1020080066093A KR 20080066093 A KR20080066093 A KR 20080066093A KR 20100005964 A KR20100005964 A KR 201000059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shaft
ratchet
gear
ped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6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철
Original Assignee
김성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철 filed Critical 김성철
Priority to KR1020080066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005964A/ko
Publication of KR20100005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96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 B62M1/24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reciprocating levers, e.g. foot lev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12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driv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 B62M1/12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perated by both hand and foot pow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탑승용 기구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구체적으로는 탑승자의 밟는 조작 및 조향 손잡이의 전후 회전 조작에 의해 전진 구동력이 발생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그 구조가 간단히 이루어지면서도 동작의 신뢰성은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새로운 형태의 탑승용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탑승 영역을 형성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전방측에 구름 가능하게 축 결합된 전방 바퀴 및 후방측에 구름 가능하게 축 결합된 후방 바퀴; 후방측 끝단은 상기 후방 바퀴를 구성하는 축의 양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과 더불어 전방측 부위는 상기 후방측 끝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 형성된 연장레버와, 상기 연장레버의 전방측 끝단에 설치되는 페달로 구성된 두 페달부; 상기 연장레버의 후방측 끝단과 상기 후방 바퀴의 축 간의 결합 부위에 각각 구비되면서 상기 페달을 밟는 조작에 의해 상기 후방 바퀴가 전진하도록 축을 회전시키는 래칫부; 그리고, 어느 한 페달부가 상향 회전될 때 다른 한 페달부는 하향 회전되도록 연동시키는 연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용 기구가 제공된다.
탑승용 기구, 페달부, 도르래, 래칫부, 조향 손잡이

Description

탑승용 기구{device for boarding}
본 발명은 탑승용 기구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구체적으로는 탑승자의 밟는 조작 및 조향 손잡이의 전후 회전 조작에 의해 전진 구동력이 발생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그 구조가 간단히 이루어지면서도 동작의 신뢰성은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새로운 형태의 탑승용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탑승용 기구는 탑승자의 이동을 위한 기구로써, 통상적으로 자전거나 보드 기구로 구분될 수 있고, 상기한 보드 기구는 수동 조작을 통해 조향을 수행하는 구조의 킥보드와, 별도의 조향 구조 없이 허리 혹은, 다리의 힘 조절을 통해 조향이 이루어지는 구조의 보드(예컨대, 스케이트 보드, S 보드, 디멘션 보드 등)로 구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일반적인 보드 기구는 통상 발로 땅을 박참에 따라 발생된 추진력에 의해 전진하도록 구성되지만 최근에는 상기한 보드 기구가 동력 전달을 통한 구동 방식으로의 개량을 통해 사용자에게 운동 효과를 제공하거나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거나 혹은, 다양한 재미를 제공하고자 하는 노력이 지속되고 있다.
예컨대, 국내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261770호나, 등록특허공보 제10-0715835호,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63369호 및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2590호 등과 같이 사용자가 페달을 가압하는 일련의 동작을 통해 추진력이 발생되도록 하여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기술들이 제시되고 있다.
이때, 상기한 기술들은 보드의 상면에 가압 가능한 페달을 설치하고, 상기 발판과 후륜 간은 다수의 기어 혹은, 체인으로 서로 연결하여 상기 페달의 가압력에 의해 상기 후륜이 강제 회전될 수 있도록 한 것임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은 통상의 페달 가압식 추진 구동에 따른 보드 기구는 전체적인 구조가 복잡하여 그 제조가 까다로우며, 페달의 과도한 회전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조가 추가적으로 필요하기 때문에 실질적인 제품에는 적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통상의 페달 가압식 보드 기구는 단순히 페달을 밟는 동작으로만 추진 구동력이 발생되기 때문에 다리 운동 이외의 운동 효과는 미미할 수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 및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탑승자가 밟는 조작에 의해 전진 구동력이 발생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그 구조가 간단히 이루어지면서도 동작의 신뢰성은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이에 추가하여 조향 손잡이의 조작에 의해서도 구동력이 발생될 수 있도록 구성된 새로운 형태의 탑승용 기구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탑승용 기구에 따르면 탑승 영역을 형성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전방측에 구름 가능하게 축 결합된 전방 바퀴 및 후방측에 구름 가능하게 축 결합된 후방 바퀴; 후방측 끝단은 상기 후방 바퀴를 구성하는 축의 양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과 더불어 전방측 부위는 상기 후방측 끝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 형성된 연장레버와, 상기 연장레버의 전방측 끝단에 설치되는 페달로 구성된 두 페달부; 상기 연장레버의 후방측 끝단과 상기 후방 바퀴의 축 간의 결합 부위에 각각 구비되면서 상기 페달을 밟는 조작에 의해 상기 후방 바퀴가 전진하도록 축을 회전시키는 래칫부; 그리고, 상기 몸체부의 각 부위 중 상기 두 페달부 사이에 구비되며, 어느 한 페달부가 상향 회전될 때 다른 한 페달부는 하향 회전되도록 연동시키는 연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연장레버의 후방측 끝단인 상기 후방 바퀴의 축에 결합되는 부분은 상기 축의 외주면을 감쌈과 더불어 외측면으로 상기 축이 관통 결합되는 커버 체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래칫부는 상기 후방 바퀴의 축에 고정 설치되면서 외주면에는 래칫(ratchet)이 형성된 래칫휠과, 일측 끝단은 상기 래칫휠의 래칫에 선택적으로 맞물리면서 상기 연장레버의 하향 회전시에만 상기 래칫휠을 강제 회전시키도록 상기 커버체의 내벽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포올과, 상기 커버체의 내벽면에 돌출 형성되면서 상기 연장레버가 하향 회전될 경우 커버체가 회전되는 방향으로 상기 포올을 밀면서 상기 포올이 상기 래칫에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걸림턱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동부는 상기 몸체부의 후방측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 좌우 구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르래와, 상기 도르래를 경유하여 양 끝단이 상기 두 페달부의 각 연장레버에 설치되는 연결 로우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몸체부의 전방측 부위에는 상기 전방 바퀴를 조향하는 조향 손잡이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전방바퀴는 상기 조향 손잡이과는 별개로 형성된 회전 결합부에 의해 상기 몸체부의 전방측 끝단에 좌우 조향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회전 결합부는 상기 몸체부의 전방측 끝단으로부터 상기 전방바퀴의 상측에 이르기까지 연장 형성된 연장 프레임과, 상단은 상기 연장 프레임의 전방측 끝단에 좌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하단은 상기 상단으로부터 상기 전방바퀴를 구성하는 축의 양단을 향해 갈라진 상태로 상기 축의 양단에 전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조향 손잡이의 하측 양 끝단은 상기 전방바퀴를 구성하는 축의 양단이 관통되며, 상기 조향 손잡이의 하측 양 끝단과 상기 전방바퀴를 구성하는 축 사이에는 상기 조향 손잡이를 전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조작에 의해 전진 구동력을 상기 축에 제공하는 구동력 제공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며, 이와 함께, 상기 구동력 제공부는 상기 조향 손잡이의 하측 양 끝단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외주면을 따라 기어가 형성된 제1기어와, 상기 보조 프레임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제1기어와 맞물려 회전되는 제2기어와, 상기 제2기어와 동일 축 중심을 갖도록 일체로 형성된 제3기어와, 상기 전방 바퀴의 축에 일체화되어 상기 제3기어와 맞물려 회전되는 제4기어와, 상기 보조 프레임의 하단 외주면 중 상기 제3기어의 내측 부위에 형성되는 래칫휠과, 상기 제3기어의 내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래칫휠에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포올과, 상기 제2기어의 회전 방향이 상기 전방 바퀴를 전진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상기 포올과 상기 래칫휠이 서로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3기어의 내벽면에 돌출 형성된 걸림턱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탑승용 기구는 사용자가 단순히 두 페달부를 순차적으로 반복하여 밟는 조작을 통해 후방 바퀴의 추진력 발생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진다.
특히, 상기 두 페달부가 순차적으로 반복되면서 밟는 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두 페달부 중 어느 한 페달부를 밟을 경우 다른 한 페달부는 상향 이동되도록 하는 구조를 최대한 간단히 구성함으로써 구조가 단순화된 효과 및 제조 단가가 저 감될 수 있게 된 효과를 동시에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탑승용 기구는 조향 손잡이를 전후 회전시키는 조작에 의해 전방 바퀴의 추진력 발생이 가능하게 되어 탑승용 기구의 추진력 증가가 가능하다는 효과 및 다양한 부위의 운동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
이하, 전술한 본 발명의 탑승용 기구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1과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탑승용 기구는 크게 몸체부(100)와, 전방 바퀴(210) 및 후방 바퀴(220)와, 조향 손잡이(300)와, 한 쌍의 페달부(410,420)와, 래칫부(500), 그리고 연동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제시한다.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몸체부(100)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몸체부(100)는 사용자의 탑승 영역을 형성하는 부위로써,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파이프를 서로 일체화하여 형성할 수도 있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통상의 평판 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전방 바퀴(210) 및 후방 바퀴(220)는 구름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바퀴이다.
상기 전방 바퀴(210)의 축(211)은 상기 몸체부(100)의 전방측 끝단에 구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후방 바퀴(220)의 축(221)은 상기 몸체부(100)의 후방측 끝단에 구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후방 바퀴(220)의 축(221)은 상기 몸체부(100)의 후방측 양 끝단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조향 손잡이(300)는 상기 전방 바퀴(210)를 조향하는 일련의 구성이다.
상기한 조향 손잡이(300)는 크기(좌우 길이) 조절이 가능한 핸들(310)과, 상하 길이 조절이 가능한 핸들축(320)과, 하단은 전방 바퀴(21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과 더불어 상단은 상기 핸들축(320)의 하단이 요입되는 핸들파이프(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핸들파이프(330)의 하측 부위는 상기 전방 바퀴(210)의 양측을 향해 분지된 후 상기 전방 바퀴(210)를 구성하는 축(211)의 양단을 향해 하향 절곡되게 형성된 상태로 상기 축(211)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다음으로, 상기 두 페달부(410,420)는 상기 후방 바퀴(220)를 전진시키도록 추진력을 제공하는 일련의 구성으로써, 상기 몸체부(100)의 양측에 각각 밞음 조작 가능하게 설치되며, 각각 연장레버(411,421) 및 페달(412,42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각 연장레버(411,421)는 후방측 끝단이 상기 후방 바퀴(220)를 구성하는 축(221)의 양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과 더불어 전방측 부위는 상기 후방측 끝단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함께, 상기 각 페달(412,422)은 밟음 조작을 위한 부분으로써 상기 각 연장레버(411,421)의 전방측 끝단에 각각 설치된다.
다음으로, 상기 래칫부(500)는 상기 두 페달부(410,420)의 순차적인 밟음 조 작에 의해 상기 후방 바퀴(220)가 전진하도록 상기 후방 바퀴(220)의 축(221)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일련의 구성이다.
상기 래칫부(500)는 상기 각 페달부(410,420)를 구성하는 연장레버(411,421)의 후방측 끝단과 상기 후방 바퀴(220)를 구성하는 축(221) 간의 결합 부위에 구비된다.
특히, 상기 연장레버(411,421)의 후방측 끝단인 상기 후방 바퀴(220)의 축(221)에 결합되는 부분에는 상기 축(221)의 외주면을 감쌈과 더불어 외측면으로 상기 축(221)이 관통 결합되는 커버체(510)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래칫부(500)는 래칫휠(520)과 포올(530) 및 걸림턱(5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래칫휠(520)은 상기 후방 바퀴(220)의 축(221)에 고정 설치되며, 외주면에는 래칫(52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포올(530)은 상기 커버체(510)의 내벽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포올(530)의 일측 끝단은 상기 연장레버(411,421)의 하향 회전시(해당 페달부를 밟을 경우)에만 상기 래칫휠(520)의 래칫(521)에 선택적으로 맞물리면서 상기 래칫휠(520)을 강제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포올(530)은 하나만 구성하여도 되지만 더욱 정확한 구동력의 전달을 위해서는 둘 이상 복수로 구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걸림턱(540)은 상기 커버체(510)의 내벽면에 돌출 형성되면서 상기 연장레버(411,421)가 하향 회전될 경우 상기 커버체(510)가 회전되는 방향으로 상기 포올(530)을 밀면서 상기 포올(530)이 상기 래칫(521)에 맞물린 상태를 유지 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연동부(600)는 상기 두 페달부(410,420)가 순차적으로 반복되면서 상기 후방 바퀴(220)를 지속적으로 추진하도록 연동시키는 일련의 구성이다.
상기 연동부(600)는 지지대(610)와 도르래(620) 및 연결 로우프(6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610)는 상기 몸체부(100)의 후방측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부분이고, 상기 도르래(620)는 상기 지지대(610)의 상단에 좌우 방향으로 구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연결 로우프(630)는 상기 도르래(620)를 경유하여 양 끝단이 상기 두 페달부(410,420)의 연장레버(411,421)에 각각 설치되는 구성으로써, 통상의 금속 와이어가 될 수도 있고, 체인이 될 수도 있으며, 노끈이나 합사(合絲) 등이 될 수도 있다.
즉, 상기한 연동부(600)의 구성으로 인해 상기 두 페달부(410,420)의 각 연장레버(411,421)는 서로 연동되도록 연결되며, 어느 한 페달부(410)가 축(후방 바퀴의 축)을 중심으로 상향 회전될 때 다른 한 페달부(420)는 하향 회전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연동부(600)는 전술한 도르래(620) 및 연결 로우프(630)를 이용하는 구성으로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은 아니며,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지지대(610)에 회전 중심을 갖도록 힌지 결합되면서 양단은 상기 두 연장레버(411,421) 에 각각 결합된 일자형 레버로 구성함으로써 시소(seesaw) 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탑승용 기구는 전술한 일련의 구성들로만 구성되어야 하는 것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후방 바퀴(220)나 전방 바퀴(210)의 제동을 위한 제동장치(도시는 생략됨)가 추가로 설치됨이 더욱 바람직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제동장치는 자전거 등의 제동을 위한 구조(손잡이에 브레이크 레버를 연결 설치하여 구성한 구조)나 통상의 보드 기구에 적용된 제동장치(발로 제동레버를 조작하여 후방 바퀴를 제동하도록 구성한 구조) 등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이미 널리 알려진 기술임에 따라 구체적인 구조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하기에서는, 전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탑승용 기구에 대한 동작 과정에 대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탑승용 기구는 두 페달부(410,420)를 반복적으로 밟는 조작에 의해 추진력이 생성되어 전진하게 된다.
예컨대, 두 페달부(410,420) 중 어느 한 페달부(이하, “제1페달부”라 함)(410)의 페달(412)을 밟아 하향 가압하게 되면 상기 제1페달부(410)의 연장레버(411)는 후방 바퀴(220)의 축(221)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선단이 하향 회전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1페달부(410)가 하향 가압 되면 상기 제1페달부(410)의 연장레버(411)에 일체로 형성된 커버체(510)가 회전되면서 래칫부(500)를 구성하는 포 올(530)을 회전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포올(530)은 상기 후방 바퀴(220)의 축(221)에 고정 설치된 래칫휠(520)의 래칫(521)에 맞물려 상기 래칫휠(520)을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축(221)이 회전되어 상기 후방 바퀴(220)가 전진하게 되는 것이다. 이는, 첨부된 도 3 및 도 4의 상태와 같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제1페달부(410)가 하향 회전되면 상기 제1페달부(410)의 연장레버(411)에 일단이 연결된 연동부(600)의 연결 로우프(630)는 도르래(620)를 기준으로 하향 이동되면서 타단에 연결된 다른 한 페달부(이하, “제2페달부”라 함)(420)의 연장레버(421)를 상향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제2페달부(420)와 후방 바퀴(220)의 축(221) 간에 결합된 래칫부(500)의 포올(530)은 래칫휠(520)의 래칫(521)이 형성하는 경사면을 타고 넘어갈 뿐 상기 래칫휠(520)의 회전에 따른 간섭을 발생시키지 않기 때문에 상기 제2페달부(420)의 상향 회전이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상기 제2페달부(420)의 상향 회전에 따른 후방 바퀴(220)의 후진 이동은 발생되지 않는다.
결국, 전술한 제1페달부(410)와 제2페달부(420)의 반복적인 가압 조작에 의해 후방 바퀴(220)는 지속적으로 추진력을 제공받으면서 전진하게 된다.
한편, 첨부된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탑승용 기구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보드 기구를 전진 이동시키기 위한 구성이 단순히 한 쌍의 페달부(410,420)를 이용한 후방 바퀴(220)의 추진력으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조향 손잡이(300)를 이용한 전방 바퀴(210)의 추진력을 추가로 이용하는 구성을 제시한다.
즉,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조향 손잡이(300)를 전후 방향으로 밀거나 당기는 조작에 의해 전방 바퀴(210)가 강제로 구르도록 한 구조를 추가로 제시한다.
이를 첨부된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전방 바퀴(210)는 상기 조향 손잡이(300)와는 별개로 형성된 회전 결합부(700)에 의해 상기 몸체부(100)의 전방측 끝단에 좌우 조향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한 회전 결합부(700)는 몸체부(100)와의 결합을 위한 구성으로써, 상기 몸체부(100)로부터 연장되는 연장 프레임(710)과, 상기 전방 바퀴(210)의 축(211)과 상기 연장 프레임(710) 간을 연결하는 보조 프레임(7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연장 프레임(710)은 상기 몸체부(100)의 전방측 끝단으로부터 상기 전방바퀴(210)의 상측에 이르기까지 연장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연장 프레임(710)의 전방측 끝단에는 상하로 관통된 연결 파이프(711)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보조 프레임(720)의 상단은 상기 연결 파이프(711)에 삽입 결합되면서 좌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보조 프레임(720)의 하단은 상기 전방 바퀴(210)를 구성하는 축(211)의 양단을 향해 갈라진 상태로 상기 축(211)의 양단에 전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상기 조향 손잡이(300)의 하측 양 끝단은 상기 전방바퀴(210)를 구성 하는 축(211)의 양단이 관통되며, 상기 조향 손잡이(300)를 구성하는 핸들 파이프(330)의 하측 양 끝단과 상기 전방바퀴(210)를 구성하는 축(211) 사이에는 상기 조향 손잡이(300)를 전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조작에 의해 전진 구동력을 상기 축(211)에 제공하는 구동력 제공부(800)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구동력 제공부(800)는 상기 조향 손잡이(300)를 이루는 핸들 파이프(330)의 하측 양 끝단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제1기어(810)와, 상기 보조 프레임(720)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제1기어(810)와 맞물려 회전되는 제2기어(820)와, 상기 제2기어(820)와 동일 축 중심을 갖도록 일체로 형성된 제3기어(830)와, 상기 전방 바퀴(210)의 축(211)에 일체화되어 상기 제3기어(830)와 맞물려 회전되는 제4기어(840)와, 상기 보조 프레임(720)의 하단 외주면 중 상기 제3기어(830)의 내측 부위에 구비되면서 외주면을 따라 래칫(851)이 형성된 래칫휠(850)과, 상기 제3기어(830)의 내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래칫휠(850)에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포올(860) 및 상기 제2기어(820)의 회전 방향이 상기 전방 바퀴(210)를 전진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상기 포올(860)과 상기 래칫휠(850)의 래칫(851)이 서로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3기어(830)의 내벽면에 돌출 형성된 걸림턱(87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제시한다. 이는, 첨부된 도 6 내지 도 9의 상태와 같다.
즉, 전술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구동력 제공부(800)의 구성에 의해 조향 손잡이(300)를 전후 회전시키는 조작으로 전방 바퀴(210)의 강제적인 전진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조향 손잡이(300)의 좌우 회전에 따른 전방 바퀴(210)의 조향은 상기 조향 손잡이(300)와는 별개로 형성되면서 상기 몸체부(100)와 상기 전방 바퀴(210)를 연결하는 연장 프레임(710) 및 보조 프레임(720)의 구성에 의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탑승용 기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탑승용 기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탑승용 기구 중 래칫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탑승용 기구 중 조향 손잡이와 전방 바퀴 간의 구동력 제공을 위한 요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탑승용 기구 중 조향 손잡이와 전방 바퀴 간의 구동력 제공을 위한 요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탑승용 기구 중 조향 손잡이와 전방 바퀴 간의 구동력 제공을 위한 요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평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에 따른 탑승용 기구 중 구동력 제공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몸체부 210. 전방바퀴
220. 후방바퀴 211,221. 축
300. 조향 손잡이 310. 핸들
320. 핸들축 330. 핸들파이프
410. 제1페달부 420. 제2페달부
411,421. 연장레버 412,422. 페달
500. 래칫부 510. 커버체
520. 래칫휠 521. 래칫
530. 포올 540. 걸림턱
600. 연동부 610. 지지대
620. 도르래 630. 연결 로우프
700. 회전 결합부 710. 연장 프레임
711. 연결 파이프 720. 보조 프레임
800. 구동력 제공부 810,820,830,840. 기어
850. 래칫휠 851. 래칫
860. 포올 870. 걸림턱

Claims (6)

  1. 탑승 영역을 형성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전방측에 구름 가능하게 축 결합된 전방 바퀴 및 후방측에 구름 가능하게 축 결합된 후방 바퀴;
    후방측 끝단은 상기 후방 바퀴를 구성하는 축의 양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됨과 더불어 전방측 부위는 상기 후방측 끝단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 형성된 연장레버와, 상기 연장레버의 전방측 끝단에 설치되는 페달로 구성된 두 페달부;
    상기 연장레버의 후방측 끝단과 상기 후방 바퀴의 축 간의 결합 부위에 각각 구비되면서 상기 페달을 밟는 조작에 의해 상기 후방 바퀴가 전진하도록 축을 회전시키는 래칫부; 그리고,
    상기 몸체부의 각 부위 중 상기 두 페달부 사이에 구비되며, 어느 한 페달부가 상향 회전될 때 다른 한 페달부는 하향 회전되도록 연동시키는 연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용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레버의 후방측 끝단인 상기 후방 바퀴의 축에 결합되는 부분은 상기 축의 외주면을 감쌈과 더불어 외측면으로 상기 축이 관통 결합되는 커버체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래칫부는
    상기 후방 바퀴의 축에 고정 설치되면서 외주면에는 래칫(ratchet)이 형성된 래칫휠과,
    일측 끝단은 상기 래칫휠의 래칫에 선택적으로 맞물리면서 상기 연장레버의 하향 회전시에만 상기 래칫휠을 강제 회전시키도록 상기 커버체의 내벽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포올과,
    상기 커버체의 내벽면에 돌출 형성되면서 상기 연장레버가 하향 회전될 경우 커버체가 회전되는 방향으로 상기 포올을 밀면서 상기 포올이 상기 래칫에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걸림턱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용 기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는
    상기 몸체부의 후방측 상면에 고정 설치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 좌우 구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르래와,
    상기 도르래를 경유하여 양 끝단이 상기 두 페달부의 각 연장레버에 설치되는 연결 로우프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용 기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전방측 부위에는 상기 전방 바퀴를 조향하는 조향 손잡이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고,
    상기 전방바퀴는 상기 조향 손잡이와는 별개로 형성된 회전 결합부에 의해 상기 몸체부의 전방측 끝단에 좌우 조향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회전 결합부는 상기 몸체부의 전방측 끝단으로부터 상기 전방바퀴의 상측에 이르기까지 연장 형성된 연장 프레임과, 상단은 상기 연장 프레임의 전방측 끝단에 좌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하단은 상기 상단으로부터 상기 전방바퀴를 구성하는 축의 양단을 향해 갈라진 상태로 상기 축의 양단에 전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용 기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향 손잡이의 하측 양 끝단은 상기 전방바퀴를 구성하는 축의 양단이 관통되며,
    상기 조향 손잡이의 하측 양 끝단과 상기 전방바퀴를 구성하는 축 사이에는 상기 조향 손잡이을 전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조작에 의해 전진 구동력을 상기 축에 제공하는 구동력 제공부가 더 포함되어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용 기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력 제공부는
    상기 조향 손잡이의 하측 양 끝단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외주면을 따라 기어가 형성된 제1기어와,
    상기 보조 프레임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제1기어와 맞물려 회전되는 제2기어와,
    상기 제2기어와 동일 축 중심을 갖도록 일체로 형성된 제3기어와,
    상기 전방 바퀴의 축에 일체화되어 상기 제3기어와 맞물려 회전되는 제4기어와,
    상기 보조 프레임의 하단 외주면 중 상기 제3기어의 내측 부위에 형성되는 래칫휠과,
    상기 제3기어의 내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면서 상기 래칫휠에 선택적으로 맞물리는 포올과,
    상기 제2기어의 회전 방향이 상기 전방 바퀴를 전진 이동시키는 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상기 포올과 상기 래칫휠이 서로 맞물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제3기어의 내벽면에 돌출 형성된 걸림턱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용 기구.
KR1020080066093A 2008-07-08 2008-07-08 탑승용 기구 KR201000059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6093A KR20100005964A (ko) 2008-07-08 2008-07-08 탑승용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6093A KR20100005964A (ko) 2008-07-08 2008-07-08 탑승용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964A true KR20100005964A (ko) 2010-01-18

Family

ID=41815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6093A KR20100005964A (ko) 2008-07-08 2008-07-08 탑승용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00596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48847A (zh) * 2012-06-01 2013-12-18 张保堂 单前轮车前轮结构
KR101867042B1 (ko) * 2017-09-15 2018-06-12 김리한 프리휠을 이용한 주행용 드라이빙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주행 장치
KR20180068090A (ko) * 2016-12-13 2018-06-21 이종호 삼륜 탑승 기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48847A (zh) * 2012-06-01 2013-12-18 张保堂 单前轮车前轮结构
KR20180068090A (ko) * 2016-12-13 2018-06-21 이종호 삼륜 탑승 기구
KR101867042B1 (ko) * 2017-09-15 2018-06-12 김리한 프리휠을 이용한 주행용 드라이빙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주행 장치
WO2019054693A1 (ko) * 2017-09-15 2019-03-21 김리한 프리휠을 이용한 주행용 드라이빙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주행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72928A (en) Apparatus for the transmission of power to a rotating member
US20060249925A1 (en) User-propelled riding toys with simultaneously pedal recovery system
CN101801778B (zh) 踏板作为发动机的微型踏板车
JP6144199B2 (ja) ペダル駆動型キックボード
KR20120080193A (ko) 2륜형 왕복운동 페달 구동 스쿠터
US6105985A (en) Hand and foot powered bicycle
JP3101174U (ja) 自転車
JP2003514712A (ja) ペダルの前後駆動方式の自転車
KR20100005964A (ko) 탑승용 기구
EP1375333A1 (en) Vehicle with energy generating mechanism
WO2012021023A2 (ko) 핸들부를 앞뒤로 왕복시키는 동작으로 전륜올 구동하는 자전거
KR100579530B1 (ko) 핸들조작에 의해 구동되는 자전거
KR100907732B1 (ko) 전신 운동 자전거
KR20170142720A (ko) 자전거의 추진장치
US20050023793A1 (en) Pedal scooter
JP3079137U (ja) 重力三輪車
CN201721585U (zh) 一种两用保健自行车
JPWO2004092003A1 (ja) クランク装置、それを備えた乗り物用クランクペダル装置、及びそれらを備えた乗り物
JP2016055833A (ja) 自転車
WO2023066284A1 (zh) 划桨脚踏自行车
CN210681042U (zh) 滑板车脚踏驱动机构
KR200345765Y1 (ko) 다축 구동부를 갖는 승용기구
KR101069503B1 (ko) 전륜과 후륜의 간격조절로 추진하는 자전거
KR101008391B1 (ko) 탑승용 기구
KR101193257B1 (ko) 상체운동 자전거의 제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