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67481A - 틸팅억제 기능이 있는 역삼륜 이동수단 - Google Patents

틸팅억제 기능이 있는 역삼륜 이동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67481A
KR20210067481A KR1020190157146A KR20190157146A KR20210067481A KR 20210067481 A KR20210067481 A KR 20210067481A KR 1020190157146 A KR1020190157146 A KR 1020190157146A KR 20190157146 A KR20190157146 A KR 20190157146A KR 20210067481 A KR20210067481 A KR 202100674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ting
footrest
handle
couple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71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호
Original Assignee
이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호 filed Critical 이종호
Priority to KR10201901571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67481A/ko
Publication of KR20210067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6748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1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with means for inwardly inclining the vehicle body on be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25/00Foot-rests; Knee grips; Passenger hand-gr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1/00Stee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2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2Tricycles
    • B62K5/05Tricycles characterised by a single rear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2Tricycles
    • B62K5/06Frames for tricy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너 주행시 발생하는 원심력에 대응하여 틸팅본체를 좌우로 틸팅하여 안정적으로 주행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직진 주행할 때와 정지할 때 중심이 잘 잡히는 이동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하로 연장되는 핸들프레임과 핸들프레임 상단에 구비되는 핸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핸들조작부; 앞단이 핸들프레임에 결합되는 틸팅프레임과 상기 틸팅프레임 중간 부위에 결합되는 안장부 및 틸팅프레임 뒷단에 결합되는 후륜을 포함하여 구성되면서 좌우로 기울임 가능하게 구성되는 틸팅몸체; 핸들프레임 하단에 가운데 부위가 결합되고 양 측방으로 연장된 양 끝단은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지지프레임과 지지프레임 양 끝단에 결합되는 전륜을 포함하여 구성된 지지몸체; 앞단 또는 중간 부위가 상기 틸팅프레임에 결합되고 뒷단은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발판부; 상기 틸팅프레임에 결합된 발판부 부위에서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한 발판부 부위가 상기 지지프레임에 연결되게 하거나 걸리게 하여 상기 틸팅몸체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질수록 발판부 뒷단 부위가 상방으로 회전되게 하는 틸팅억제부; 를 포함하되 핸들조작부를 회전시키면 핸들조작부는 지지몸체와 같이 회전하고, 핸들조작부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이면 핸들조작부는 틸팅몸체와 같이 측방으로 기울어지게 구성되며, 탑승자 하체 무게에 의해 핸들조작부와 틸팅몸체가 측방으로 기울어짐이 억제됨을 특징으로 하는 역삼륜 이동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틸팅억제 기능이 있는 역삼륜 이동수단{Reverse three-wheeled vehicle with tilting suppression}
본 발명은 이동수단 관한 것으로서, 코너 주행할 때에는 코너 안쪽으로 기울어져서 안전한 코너 주행이 가능하고 직진 주행할 때는 안 기울어지게 하여 안전성이 향상된 이동수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수단은 탑승자의 이동이나 각종 물품을 적재하여 이동하는 기구를 말하며 자전거나 보드, 스쿠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동수단은 2륜과 3륜으로 구성된다.
기존의 2륜은 직진 주행할 때 중심을 잡아야 하는 불편함이 있어 그에 대한 해결책으로 선행기술(특허 출원번호 10-2019-0017658)이 개발되었지만, 탑승자 체중 중심은 후륜과 가까운 지점에 위치함으로 탑승자 체중이 전륜에 작게 실리게 된다. 그리고 모터가 전륜에 결합됨으로 구동륜 접지력이 약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경사진 도로를 올라갈 경우 전륜이 헛도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코너 주행할 때 틸팅되어 안전한 코너주행이 가능하면서 직진 주행할 때에는 중심 잡기가 쉬운 이동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구동륜에 탑승자 체중이 많이 실리게 하여 구동륜 접지력이 향상된 이동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 발명은, 상하로 연장되는 핸들프레임과 핸들프레임 상단에 구비되는 핸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핸들조작부; 앞단이 핸들프레임에 결합되는 틸팅프레임과 상기 틸팅프레임 중간 부위에 결합되는 안장부 및 틸팅프레임 뒷단에 결합되는 후륜을 포함하여 구성되면서 좌우로 기울임 가능하게 구성되는 틸팅몸체; 핸들프레임 하단에 가운데 부위가 결합되고 양 측방으로 연장된 양 끝단은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지지프레임과 지지프레임 양 끝단에 결합되는 전륜을 포함하여 구성된 지지몸체; 앞단 또는 중간 부위가 상기 틸팅프레임에 결합되고 뒷단은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발판부; 상기 틸팅프레임에 결합된 발판부 부위에서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한 발판부 부위가 상기 지지프레임에 연결되게 하거나 걸리게 하여 상기 틸팅몸체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질수록 발판부 뒷단 부위가 상방으로 회전되게 하는 틸팅억제부; 를 포함하되 상기 핸들조작부는 상기 지지몸체와 같이 회전되고, 상기 틸팅몸체와 같이 측방으로 기울어지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지지몸체는 핸들조작부가 좌우로 회전되지 않은 상태에서 측방으로 기울어지지 않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핸들조작부가 좌우로 회전되지 않은 상태에서 발판부에 걸리는 지지프레임 부위는 핸들조작부 회전 중심축 양 측방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틸팅프레임 앞단이 핸들프레임에 외삽 결합되어 핸들조작부가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틸팅프레임에는 발판결합부가 포함되며, 상기 발판결합부는 핸들프레임에 외삽 결합된 틸팅프레임 부위 중 하부 또는 중간 부위에서 후방 또는 전방으로 돌출되게 구성되며, 발판부는 중간 또는 앞단 부위가 발판결합부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지지프레임은 핸들조작부 회전 중심축이 위치한 핸들프레임 부위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핸들조작부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핸들조작부가 회전된 방향으로 핸들조작부와 틸팅몸체가 기울어지면, 지지몸체는 전방으로 기울어지고, 발반부 뒷단은 상방으로 회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틸팅억제부는 연결부재 한 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재 일단은 핸들조작부 회전 중심축 양 측방에 위치한 지지프레임 부위에 각각 결합되고, 연결부재 타단은 지지프레임 상방에 위치한 발판부 앞단에 각각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핸들조작부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켜면 직선연장선 위치가 핸들조작부 회전 방향따라 이동되고, 상기 직선연장선은 핸들조작부와 틸팅몸체가 측방으로 기울어지지 않은 상태를 평면도로 그렸을 때 연결부재가 결합된 지지프레임 지점에서 앞뒤 기준으로 발판부가 틸팅프레임에 결합된 부위와 일치하고 좌우 기준으로 중심이 되는 지점과 일치하는 지점을 직선으로 그은 선이 발판부 뒷단까지 연장된 직선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연결부재 타단이 결합된 부위는 지지몸체 회전 중심에서 수직 상방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연결부재 타단이 결합된 부위가 지지몸체 회전 중심에서 수직 상방에 위치하지 않게 구성되면 핸들조작부가 좌우로 회전할 때 발판부 뒷단이 상방으로 이동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역삼륜 이동수단은 코너 주행할 때에는 틸팅되어 안전한 코너 주행이 가능하고 직진 주행할 때나 정지할 경우에는 중심 잡기가 쉬운 효과가 있다.
또한 구동륜에 탑승자 체중이 많이 실리기 때문에 구동륜 접지력이 향상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역삼륜 이동수단의 측면도이다.
도 2에서 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핸들조작부가 좌우로 회전 안 했을 때 발판부와 지지몸체의 확대도 및 평면도이다.
도 2에서 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핸들조작부가 좌측으로 회전되었을 때 발판부와 지지몸체의 확대도 및 평면도이다.
도 3에서 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핸들조작부와 틸팅몸체가 틸팅 안 되었을 때 틸팅억제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정면도이다.
도 3에서 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에에서 핸들조작부와 틸팅몸체가 틸팅 되었을 때 틸팅억제부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정면도이다.
도 4에서 a와 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핸들조작부가 좌우로 회전 안 했을때 직선연장선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4에서 c와 d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핸들조작부가 좌측으로 회전했을 때 직선연장선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4에서 e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핸들조작부와 틸팅몸체가 좌측으로 기울어졌을 때 직선연장선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5에서 a와 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발판지점이 수직연장직선 양 측방에 위치하게 구성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5에서 c와 d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발판지점이 수직연장직선 전방에 위치하게 구성된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역삼륜 이동수단의 측면도이다.
도 7에서 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발판부 앞단 결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정면도이다.
도 7에서 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에에서 틸팅몸체와 핸들조작부가 틸팅 안 했을때 틸팅억제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에서 c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틸팅몸체와 핸들조작부가 틸팅 했을 때 틸팅억제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8에서 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핸들조작부가 좌우로 회전 안 했을 때 발판부와 지지몸체의 확대도 및 평면도이다.
도 8에서 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핸들조작부가 오른쪽으로 회전했을 때 발판부와 지짐봄체의 확대도 및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역삼륜 이동수단의 측면도이다.
도 10에서 a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핸들조작부와 틸팅몸체가 틸팅 안 했을 때 틸팅억제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0에서 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핸들조작부와 틸팅몸체가 틸팅 했을 때 틸팅억제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1에서 a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핸들조작부가 좌우로 회전 안 했을 때 발판부와 지지몸체의 확대도 및 평면도이다.
도 11에서 b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핸들조작부가 우측으로 회전했을 때 발판부와 지지몸체의 확대도 및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에 앞서 역삼륜 이동수단이라 함은 역삼륜 스쿠터나 역삼륜 자전거 등이 될 수 있으며 여기서는 역삼륜 스쿠터를 그 예로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역삼륜 스쿠터는 핸들조작부(10), 틸팅몸체(30), 지지몸체(20), 발판부(40) 및 틸팅억제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핸들조작부(10)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핸들(11)과 일단이 핸들(11)에 연결되고 타단은 후술하는 틸팅프레임(31)을 관통하여 틸팅프레임(31) 하방으로 돌출되는 핸들프레임(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핸들조작부(10)는 사용자가 역삼륜 이동수단에 탑승하여 코너를 주행할 때, 전륜(22)을 좌우측으로 회전시켜는 조향 조작과 코너 주행시 발생하는 원심력에 대응할 수 있게 틸팅몸체(30)의 기울임(틸팅) 조작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핸들프레임(12)에는 틸팅프레임(31)을 관통하여 하방으로 돌출된 핸들프레임(12) 하부에 구비되는 포크부(13)가 포함된다. 상기 포크부(13)는 앞뒤로 벌어지고 앞뒤로 벌어진 부위에 앞뒤로 관통된 구멍이 구비되어 후술하는 지지프레임(21)이 결합될 수 있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틸팅몸체(30)는 틸팅프레임(31)과 안장부(34) 및 후륜(37)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핸들조작부(10)가 측방으로 기울어질 때 핸들조작부(10)와 같이 기울어지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틸팅프레임(31) 앞단은 핸들프레임(12) 중간 부위와 하부에 외삽 결합되어 핸들조작부(10)가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틸팅프레임(31) 뒷단은 틸팅프레임(31) 앞단 상부에서 후방과 하방 사이로 연장되고, 틸팅프레임(31) 후부 쪽은 후륜(37)이 끼움 결합될 수 있게 양 옆으로 벌어지게 구성된다.
핸들프레임(12)에 외삽 결합된 틸팅프레임(31) 부위 하부 쪽에 마련되는 발판결합부(32)가 틸팅프레임(31)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발판결합부(32)는 지지프레임(21) 상방에 위치하면서 지지프레임(21)과 가까운 틸팅프레임(31) 부위에 앞단이 고정 결합되고, 후방으로 연장된 뒷단 좌우측 부위 중 어느 한쪽 부위에 측방으로 돌출된 축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축은 후술하는 발판부(40)가 끼움 결합될 수 있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안장부(34)는 안장프레임(36)과 안장(3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안장프레임(36)은 틸팅프레임(31) 중간 부위에 일단이 고정 결합되고 타단은 상방으로 연장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안장(35)은 일반 자전거 안장과 같은 형상으로 구성되고 안장프레임(36) 상단에 고정 결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후륜(37)은 하나로 제공되고 틸팅프레임(31) 후부 벌어진 부위 사이에 끼워져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보다 상세하게 후륜(37)은 틸팅프레임(31) 뒷단에 축을 통해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후륜(37)은 인력구동이 아닌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기모터가 후륜(37)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지지몸체(20)는 지지프레임(21)과 전륜(22)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핸들조작부(10)가 좌우로 회전할 때 핸들조작부(10)와 같이 회전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지지프레임(21)은 중간 부위에 앞뒤로 관통된 구멍이 구비되고, 포크부(13) 갈라진 사이에 끼워진 후 포크부(13)에 핀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지지프레임(21) 양 끝단은 양 측방으로 연장되면서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다.
틸팅몸체(30)가 측방으로 기울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지면에 접촉된 후륜(37) 부위는 상기 지지프레임(21) 구멍 앞쪽과 뒤쪽을 직선으로 그은 선이 후방으로 연장된 직선(이하 구멍연장직선이라고 함)에 위치하게 구성하여 틸팅몸체(30)와 핸들조작부(10)는 구멍연장직선을 중심축으로 측방으로 기울어지게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핸들조작부(10)가 회전 안 된 상태에서 후륜(37)이 구멍연장직선에 위치하게 구성될 경우, 핸들조작부(1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되면 구멍연장직선은 후륜(37) 옆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구멍연장직선이 후륜(37) 옆쪽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핸들조작부(10)가 회전된 방향으로 틸팅몸체(30)와 핸들조작부(10)가 기울어질수록 지지몸체(20)는 전방으로 조금씩 기울어지고, 발판부(40) 뒷단은 상방으로 조금씩 회전된다.
핸들조작부(10)가 회전된 방향으로 핸들조작부(10)와 틸팅몸체(30)를 기울일 때 핸들조작부(10)가 좌우측으로 많이 회전될수록 지지몸체(20)가 전방으로 기울어지는 폭과 발판부(40) 뒷단이 상방으로 회전되는 폭은 커지게 된다.
포크부(13)에 결합되는 지지프레임(21) 부위는 핸들조작부 회전 중심축(p)에 위치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륜(22)은 지지프레임(21) 양 끝단에 끼움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핸들조작부(10)가 좌우로 회전될 때 지지프레임(21)과 같이 회전되면서 조향이 이루어지게 구성된다. 그리고 전륜(22)과 지지프레임(21)은 측방으로 안 기울어지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발판부(40)는 중간 부위에 좌우로 관통된 구멍이 마련되고, 상기 구멍이 발판결합부(32)에 마련된 축에 끼움 결합되어 앞단과 뒷단이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발판부(40) 앞단은 핸들프레임(12) 바로 앞까지 연장된 다음 안쪽으로 절곡되어 가운데로 조금 연장되게 구성되고, 가운데로 연장된 끝단 부위에 후술하는 연결부재(51)가 결합될 수 있게 홈이 마련된다. 상기 홈이 마련되는 부위는 핸들조작부(10)를 좌우로 회전시켜 지지몸체(20)가 회전될 때 지지몸체(20) 회전 중심이 되는 지점에서 수직 상방(이하 지지몸체(20)가 회전될 때 지지몸체(20) 회전 중심이 되는 지점에서 상방으로 수직 연장된 직선을 수직연장직선(v)이라 하고 연결부재 (51)타단이 결합된 부위와 높이가 같은 수직연장직선(v) 지점을 회전중심지점(w)이라 함)에 위치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발판부(40) 뒷단은 후방으로 연장된 다음 뒷단에서 양 옆으로 연장되고 양 옆으로 연장된 부위는 둥근 봉 형상으로 구성하여 탑승자가 발을 얹을 수 있게 구성된다.
지지프레임(21)이 핸들조작부 회전 중심축(p)에 위치한 포크부(13)에 결합되었을 때 수직연장직선(v)은 포크부(13)에 결합된 지지프레임(21) 부위에서 상방으로 수직 연장된 직선에 위치한다.
발판결합부(32)에 결합된 발판부(40) 부위에서 발판부(40) 앞단까지 길이보다 발판결합부(32)에 결합된 발판부(40) 부위에서 발판부(40) 뒷단까지 길이가 더 길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틸팅억제부(50)는 발판부(40) 앞단 또는 중간 부위가 지지프레임(21)에 연결되게 하거나 걸리게 하는 구성이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틸팅억제부(50)는 발판부(40) 앞단 또는 중간 부위가 지지프레임(21)에 걸리게 하여 발판부(40) 뒷단이 일정 높이 밑으로 내려가지 않게 하면서 틸팅몸체(3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질 때 발판부(40) 뒷단이 상방으로 이동되게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틸팅억제부(50)는 연결부재(51) 한 쌍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연결부재(51) 일단은 핸들조작부 회전 중심축(p) 양 측방에 위치한 지지프레임(21) 부위(이하 연결부재가 결합된 지지프레임 부위를 지지프레임지점(z)이라고 함)에 각각 결합되고, 연결부재(51) 타단은 지지프레임지점(z) 상방에 위치하면서 수직연장직선(v)에 위치한 발판부(40) 앞단 부위(이하 연결부재가 결합된 발판부 부위를 발판지점(y)이라고 함)에 결합된다. 그리고 핸들조작부 회전 중심축(p)에서 양쪽 지지프레임지점(z)까지 길이와 양쪽 연결부재(51) 길이는 같게 구성하여 핸들조작부(10)와 틸팅몸체(30)가 측방으로 기울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양쪽 연결부재(51)에 인장력이 걸리게 구성된다.
지지프레임(21)과 발판부(40)가 가변되지 않는 연결부재(51)로 연결될 경우 핸들조작부(10)와 지지프레임(21)은 발판부(40)에 걸림되어 회전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핸들조작부(10)와 지지프레임(21)이 회전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연결부재(51)는 외력이 작용하면 길이는 늘어나지 않으면서 형상이 가변되는 부재로 구성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연결부재(51)는 다이니마 로프로 구성됨을 제시한다.
상기 다이니마 로프는 비강도가 와이어보다 15배나 강하면서 섬유 특성인 유연성이 있기 때문에 핸들조작부(10)가 좌우로 회전될 때 지지몸체(20)가 회전되는 방향따라 휘어지면서 발판부(40) 앞단을 잡아주게 된다.
발판지점(y)이 수직연장직선(v)에 위치하게 구성될 경우, 발판지점(y)은 핸들조작부 회전 중심축(p) 전방에 위치하게 된다.
도 2에서 a와 같이 발판지점(y)이 수직연장직선(v)에 위치하게 구성될 경우, 도 2에서 b와 같이 핸들조작부(10)가 좌우로 회전할 때 발판지점(y)과 지지프레임지점(z) 사이 간격이 안 변하기 때문에 발판부(40) 뒷단은 상방으로 이동 안 하고 핸들조작부(10)는 원활히 회전된다.
도 3에서 b와 같이 핸들조작부(10)와 틸팅몸체(3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질 때 기울어진 쪽에 위치한 지지프레임지점(z)과 발판지점(y) 사이 간격은 좁아지고, 기울어진 반대쪽에 위치한 지지프레임지점(z)과 발판지점(y) 사이 간격은 커지게 된다. 그리고 발판지점(y)과 지지프레임지점(z)은 연결부재(51)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기울어진 반대쪽에 위치한 지지프레임지점(z)과 발판지점(y) 사이 간격이 커진 폭만큼 발판지점(y)이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기울어진 쪽에 위치한 연결부재(51)는 휘어지고 발판부(40) 앞단은 지지프레임(21) 쪽으로 회전하고 발판부(40) 뒷단은 상방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발판부(40) 앞단이 지지프레임(21)에 걸리게 구성하여 발판부(40) 뒷단이 일정 높이 밑으로 회동 못하게 하면서 핸들조작부(10)와 틸팅몸체(3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질 때 발판부(40) 뒷단 쪽이 상방으로 이동하게 구성된다.
핸들조작부(10)와 틸팅몸체(30)가 기울어진 쪽에 위치한 발판부(40) 부위를 누르면 발판부(40) 앞단 부위는 기울어진 반대쪽에 위치한 연결부재(51)에 걸려 지지몸체(20)를 상방으로 제끼는 구조가 되지만, 탑승자 체중 대부분이 안장(35)에 실리고 틸팅몸체(30)가 지지몸체(20)를 누르는 구조로 구성됨으로 지지몸체(20)는 측방으로 기울어지지 않게 된다.
도 4에서 a를 참조하면, 핸들조작부(10)와 틸팅몸체(30)가 측방으로 기울어지지 않은 상태를 평면도로 그렸을 때 연결부재(51)가 결합된 지지프레임(21) 부위에서 앞뒤는 틸팅프레임(31)에 결합된 발판부(40) 부위와 일치하고, 좌우는 중심 지점에 일치하는 지점을 직선으로 그은 선이 발판부(40) 뒷단까지 연장된 직선(이하 직선연장선(x)이라고 함)부위를 눌렸을 때 핸들조작부(10)와 틸팅몸체(30)는 좌우 어느 쪽으로도 기울어지지 않게 된다. 그리고 직선연장선(x)에서 양 측방으로 조금 떨어진 위치에 있는 발판부(40) 부위를 누르면 틸팅몸체(30)와 핸들조작부(10)는 누른 방향쪽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상기 직선연장선(x)은 선행기술(출원번호 10-2019-0017658)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지만 직선연장선(x)에 대한 설명은 제1실시예에서 다시 간단히 설명하고 후술하는 제2실시예와 제3실시예에서는 생략한다.
도 4에서 a와 같이 직선연장선(x)이 좌우 한 쌍이 되게 구성되고 한 쌍의 직선연장선(x) 사이를 누르면 핸들조작부(10)와 틸팅몸체(30)는 좌우 어느 쪽으로도 기울어지지 않게 된다. 그리고 도 4에서 c와 같이 핸들조작부(10)와 틸팅몸체(30)가 측방으로 기울어지면 발판부(40) 뒷단 쪽에 있어서 직선연장선(x)은 기울어진 쪽에만 존재하고 핸들조작부(10)와 틸팅몸체(30)는 직선연장선(x)을 중심으로 누른 방향 쪽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핸들조작부(10)와 틸팅몸체(30)가 좌측으로 기울어지든 우측으로 기울어지든 상관없이 한 쌍의 직선연장선(x) 사이에 위치한 발판부(40) 부위는 직선연장선(x)을 기준으로 틸팅몸체(30)가 기울어지는 반대쪽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핸들조작부(10)와 틸팅몸체(30)가 좌측으로 기울어지든 우측으로 기울어지든 상관없이 한 쌍의 직선연장선(x) 사이에 위치한 발판부(40) 부위를 누르는 힘은, 핸들조작부(10)와 틸팅몸체(30)가 기울어질 경우 핸들조작부(10)와 틸팅몸체(30)가 세워지게 하는 힘으로 작용하게 되고, 핸들조작부(10)와 틸팅몸체(30)가 기울어지지 않을 경우 핸들조작부(10)와 틸팅몸체(30)가 기울어짐을 억제시키는 힘으로 작용하게 된다.
한 쌍의 직선연장선(x)은 핸들조작부(10)가 좌우로 회전 안 된 상태에서 탑승자 발이 얹히는 발판부(40) 부위 바깥쪽에 위치하게 구성하여 탑승자가 탑승하여 하체 무게로 누르는 힘에 의해서는 틸팅몸체(30)와 핸들조작부(10)가 측방으로 기울어지지 않게 구성된다.
핸들조작부(10)와 틸팅몸체(30)가 측방으로 기울어질수록 발판부(40) 뒷단이 상방으로 회전하게 구성될 경우, 틸팅몸체(30)가 기울어진 반대쪽에 위치한 발판부(40) 뒷단 부위는 핸들조작부(10)와 틸팅몸체(30)가 측방으로 기울어질수록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탑승자 하체를 밀어올리게 된다. 따라서 탑승자가 안장에 착석하여 발판부(40)를 누르는 탑승자 하체 무게는 핸들조작부(10)와 틸팅몸체(30)가 측방으로 기울어짐을 억제하게 된다.
핸들조작부(10)와 틸팅몸체(30)가 측방으로 기울어질수록 발판부(40) 뒷단이 상방으로 회전하지 않게 구성될 경우, 발판부(40)를 눌렸을 때 핸들조작부(10)와 틸팅몸체(30)가 측방으로 기울어짐을 억제시키는 힘은 없다. 따라서 핸들조작부(10)와 틸팅몸체(30)가 측방으로 기울어질 때 발판부(40) 뒷단이 상방으로 회전되게 하기 위해 지지프레임지점(z)은 핸들조작부 회전 중심축(p)에서 양 측방에 위치하게 구성된다.
탑승자 체중이 안장(35)에 대부분 실리고 발판부(40)에 조금 실리지만 탑승자 체중이 누르는 힘의 방향과 틸팅몸체(30)가 기울어지려고 하는 힘의 방향은 90도에 가깝기 때문에 발판부(40) 뒷단에 탑승자 하체 무게만 실려도 핸들조작부(10)와 틸팅몸체(30) 기울어짐이 억제된다.
도 4에서 b를 참조하면, 핸들조작부(1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할 경우, 지지프레임지점(z)은 수직연장직선(v)을 중심축으로 원을 그리면서 회전하기 때문에 직선연장선(x) 위치가 이동하게 된다. 즉 핸들조작부(10)가 회전하여 지지프레임지점(z)이 가운데로 이동하면 직선연장선(x)도 가운데로 이동하게 된다.
핸들조작부(1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했을 때 직선연장선(x)이 이동된 거리는, 옆에서 보았을 때 지지프레임지점(z)이 수직연장직선(v)에 위치할 때 가장 작고 수직연장직선(v)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될수록 커지게 된다. 따라서 핸들조작부(1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했을 때 직선연장선(x)이 이동된 거리를 작게 하기 위해서 지지프레임지점(z)은 옆에서 보았을 때 수직연장직선(v)에 위치하게 구성된다.
도 2와 같이 발판지점(y)이 수직연장직선(v)에 위치하게 구성하는 것이 제일 바람직하지만, 도 5에서 a와 b같이 수직연장직선(v)에서 양 측방으로 조금 떨어진 지점에 위치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발판지점(y)은 옆에서 보았을 때 수직연장직선(v)에 위치하게 구성되고,앞에서 보았을 때 수직연장직선(v)에서 양 측방으로 조금 떨어진 지점에 위치하게 구성되며, 양 발판지점(y)에서 수직연장직선(v)까지 간격은 서로 같게 구성될 수 있다.
발판지점(y)이 수직연장직선(v)에서 양 측방으로 조금 떨어진 지점에 위치하게 구성될 경우, 핸들조작부(10)를 좌우로 회전시켜면 도 5에서 b와 같이 위쪽에서 보았을 때 지지프레임지점(z)은 수직연장직선(v)을 중심축으로 회전하게 되고, 연결부재(51) 일단은 발판지점(y)을 중심축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핸들조작부(10)가 좌우로 회전할수록 발판지점(y)에서 연결부재(51) 일단까지 길이는 발판지점(y)에서 지지프레임지점(z)까지 길이 대비 더 짧아지게 된다. 그리고 연결부재(51)는 늘어나지 않기 때문에 핸들조작부(10)가 좌우로 회전할수록 발판부(40) 앞단이 하방으로 이동하여 발판지점(y)에서 지지프레임지점(Z)까지 길이와 발판지점(y)에서 연결부재(51) 일단까지 길이는 같아지게 된다. 따라서 핸들조작부(10)가 좌우로 회전할수록 발판부(40) 뒷단이 상방으로 조금씩 이동하게 되지만 핸들조작부(10)를 좌우로 회전시킬 때 저항력이 작으므로 발판지점(y)은 수직연장직선(v)에서 양 옆으로 조금 떨어진 지점에 위치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발판지점(y) 위치가 수직연장직선(v)에서 양 측방으로 많이 이동된 경우. 핸들조작부(10)를 회전시킬 때 발판부(40) 뒷단이 상방으로 많이 이동하면서 탑승자 하체를 많이 밀어올리게 된다. 따라서 핸들조작부(10)를 회전시켜기 힘들어짐으로 발판지점(y) 위치가 양 측방으로 많이 이동시키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도 5에서 c와 d같이 위쪽에서 보았을 때 발판지점(y)이 수직연장직선(v)에서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하게 구성될 경우, 핸들조작부(1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되면 양쪽 발판지점(y)에서 지지프레임지점(z)까지 길이가 서로 달라지게 된다. 그리고 양쪽에 위치한 발판지점(y) 중 어느 하나는 발판지점(y)에서 지지프레임지점(z)까지 길이 대비 발판지점(y)에서 연결부재(51) 일단까지 길이가 더 짧아지게 된다. 따라서 핸들조작부(1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할 경우 틸팅몸체(30)와 핸들조작부(10)는 측방으로 기울어지고 발판부(40) 뒷단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됨으로 발판지점(y)이 수직연장직선(v)에서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하게 구성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틸팅몸체(30)가 측방으로 기울어지면 틸팅몸체(30)가 기울어진 쪽에 위치한 연결부재(51)는 휘어지고 반대쪽에 위치한 연결부재(51)는 인장력이 걸린 상태가 된다. 그리고 틸팅몸체(30)가 원상복귀할 때 휘어진 연결부재(51)에 순간적으로 인장 충격이 걸리게 된다.
상기와 같이 연결부재(51)에 걸리는 인장 충격을 줄이기 위해서 발판결합부(32) 중간 부위에 충격흡수턱(33)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충격흡수턱(33)은 도 1과 같이 발판결합부(32) 중간 부위 상부에서 발판부(40) 상방으로 돌출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돌출된 부위 하부는 평면으로 구성되고 하부에 고무판이 고정 결합되며 고무판 하부에 발판부(40)가 접촉되게 구성된다. 고무판에 접촉되는 발판부(40) 부위도 평면으로 구성된다.
즉, 핸들조작부(10)와 틸팅몸체(30)가 측방으로 기울어져서 발판부(40) 앞단이 하방으로 회전한 후 핸들조작부(10)와 틸팅몸체(30)가 원상복귀할 때 발판부(40)가 고무판에 먼저 접촉되고, 고무판이 눌러지면서 휘어진 연결부재(51)에 인장력이 걸리게 하여 연결부재(51)에 발생하는 인장 충격이 감소하게 구성된다.
탑승자가 탑승하면 발판부(40)를 누르는 탑승자 하체 무게 때문에 틸팅몸체(30)와 핸들조작부(10)는 안 기울어지지만, 탑승자가 탑승 안 하면 틸팅몸체(30)와 핸들조작부(10)는 측방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따라서 탑승자가 탑승 안 한 상태에서도 틸팅몸체(30)가 안 기울어지게 하기 위해서 인장 탄성부재(41)가 더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인장 탄성부재(41)는 도 1과 같이 일단이 발판부(40) 앞단 상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발판부(40) 상방에 위치한 틸팅프레임(31) 부위에 결합되어 발판부(40) 앞단이 상방으로 당겨지게 구성된다.
즉, 틸팅몸체(30)가 측방으로 기울어지면 발판부(40) 앞단은 하방으로 이동되는데, 인장 탄성부재(41) 인장력에 의해 발판부(40) 앞단이 하방으로 이동 안 되게 함으로서 틸팅몸체(30)와 핸들조작부(10)가 안 기울어지게 할 수 있다.
기존의 삼륜 이동수단은 거의 대부분 전륜(22) 구동이다. 그리고 탑승자 체중은 대부분 후륜(37)에 실리고 전륜(22)에는 작게 실리기 때문에 경사진 도로를 올라갈 때 전륜(22) 접지력이 작아 전륜(22)이 헛도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역삼륜 이동수단으로 구성하고 후륜(37)에 모터를 구비하여 구동륜에 탑승자 체중을 많이 실을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발판부(40) 앞단이 지지프레임(21)에 걸리게 구성함으로써 탑승자가 안장(35)에 앉을 경우, 안장(35)에 실린 탑승자 체중을 측방으로 많이 이동시키지 않는 이상 탑승자 하체 무게에 의해 핸들조작부(10)와 틸팅몸체(30) 기울어짐이 억제되어 안정적으로 탑승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발판부(40) 앞단이 지지프레임(21)에 걸리게 구성하여 핸들조작부(10)와 틸팅몸체(30) 기울어짐을 억제시켜면서 핸들조작부(10)를 원활히 회전시켜 전륜(22)으로 조향할 수 있는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 2 실시예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발판부(40)는 중간 부위가 지지프레임(21)에 걸리게 구성된다.
후술하는 제2실시예와 제3실시예에서 구성요소가 제1실시예와 같을 경우 같은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고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핸들조작부는 포크부가 구비 안되고 핸들프레임 하단에 앞뒤로 관통된 구멍이 마련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발판결합부(32)는 틸팅프레임(31) 앞단 하부에서 전방으로 조금 연장된 다음 하방으로 조금 연장되게 구성되고, 연장된 끝단에 좌우로 관통된 구멍이 마련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발판부(40)는 발판결합부(32) 앞단 양쪽에 앞단이 핀으로 결합되고, 뒷단은 탑승자 발이 위치한 지점까지 연장되며, 중간 부위와 뒷단에서 양쪽 발판부(40)를 서로 연결하여 한 개의 발판부(40)가 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뒷단에서 양쪽으로 조금 연장되고 양쪽으로 연장된 부위는 발을 얹을 수 있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지지몸체(20)에는 결합프레임(23)이 더 포함된다.
상기 결합프레임(23)은 지지프레임(21) 중간 부위에 하단이 고정 결합되면서 하부가 "u" 형상같이 앞뒤로 벌어지게 구성되고, 상방으로 향할수록 후방으로 기울어져서 핸들조작부(10)가 기울어진 각도와 같게 기울어진다. 그리고 앞뒤로 갈라진 부위 중 앞쪽 부위는 뒷쪽 부위보다 상방으로 더 연장된 후 전방으로 절곡되어 조금 연장되고 전방으로 연장된 부위에 홈이 마련된다. 홈이 마련된 부위는 연결부재(51)가 결합되는 부위로 수직연장직선(v)에 위치하게 구성된다.
또한, 결합프레임(23) 하부에 앞뒤로 관통된 구멍이 구비된다. 그리고 결합프레임(23) 부위 중 앞뒤로 벌어진 사이에 핸들프레임(12)을 끼운 후 결합프레임(23)에 핸들프레임(12)을 핀으로 결합시켜 핸들조작부(10)가 좌우로 기울임 가능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지지프레임(21)은 가운데 상단이 결합프레임(23) 하단에 고정 결합되고, 하단은 하방으로 조금 연장된 다음 양 옆으로 연장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양 옆으로 연장된 끝단은 전륜(22)이 결합될 수 있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틸팅억제부(50)는 연결부재(51) 한 쌍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연결부재(51) 일단은 핸들조작부 회전 중심축(p) 양 측방에 위치한 발판부(40) 중간 부위에 각각 결합되고, 연결부재 타단은 발판부(40) 상방이면서 수직연장직선(v)에 위치한 결합프레임(23) 부위에 각각 결합된다.
연결부재(51)가 결합된 발판부(40) 부위는 핸들프레임(12)이 결합된 결합프레임(23) 부위와 높이가 같거나 조금 낮은 지점에 위치하게 구성하여 틸팅몸체(30)가 측방으로 기울어질 때 연결부재(51)가 결합된 발판부(40) 부위가 측방으로 이동 안 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직선연장선(x)은 도 8과 같이 핸들조작부(10)와 틸팅몸체(30)가 측방으로 기울어지지 않은 상태를 평면도로 그렸을 때, 연결부재(51)가 결합된 발판부(40) 부위와 앞뒤는 발판결합부(32)에 결합된 발판부(40) 부위와 일치하고, 좌우는 중심 지점과 일치하는 지점을 직선으로 그은 선이 발판부(40) 뒷단 쪽으로 연장된 직선으로 구성된다.
지지프레임지점(z)이 수직연장직선(v)에 위치하게 구성될 경우, 핸들조작부(1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했을 때 지지프레임지점(Z)과 발판지점(y) 위치가 이동되지 않기 때문에 발판지점(y)과 지지프레임지점(z) 사이 간격은 바뀌지 않는다. 따라서 핸들조작부(10)를 좌우로 회전시켤 경우 지지프레임지점(z)은 제자리에서 회전하고, 연결부재(51)는 지지프레임지점(z)과 가까운 부위에서 비틀리면서 핸들조작부(10)가 원활히 회전된다.
옆에서 보았을 때 지지프레임지점(w)이 수직연장직선(v)에 위치하지 않게 구성될 경우, 핸들조작부(10)가 좌우로 회전할 때 발판지점(y) 위치는 이동되지 않고, 지지프레임지점(z) 위치는 핸들조작부(10)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핸들조작부(10)가 좌우로 회전할 때 지지프레임지점(z)이 이동하여 지지프레임지점(Z)과 발판지점(y) 사이 간격이 한쪽은 작아지고 다른 한쪽은 커지게 되지만 연결부재(51)가 늘어나지 않기 때문에 발판부(40) 뒷단은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연결부재(51) 타단은 수직연장직선(v)이 위치한 결합프레임(23) 부위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제2실시예로 구성될 경우에도 틸팅몸체(30)와 핸들조작부(10) 기울어짐을 억제시킬 수 있는 효과와 핸들조작부(10)를 회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3실시예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틸팅억제부(50)는 구름부(53)와 지지부(54)로 구성된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핸들조작부(10)와 지지몸체(20)는 제1실시예와 같게 구성되고, 발판결합부(32)는 틸팅프레임(31) 앞단 하부에서 전방으로 조금 연장된 다음 하방으로 연장되고 연장된 끝단에 좌우로 관통된 구멍이 마련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발판부(40) 앞단은 발판결합부(32) 앞단 양쪽에 핀으로 결합되고, 발판부(40) 중간 부위에서 양쪽 발판부(40)를 서로 연결하여 한 개의 발판부(40)가 되게 구성된다. 즉 발판부(40) 부위 중 핸들프레임(12) 뒷부분에 위치한 부위에서 양쪽 발판부(40)를 서로 연결하여 한 개의 발판부(40)가 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뒷단은 탑승자 발이 위치한 지점까지 연장되고, 뒷단에서 양쪽으로 연장되어 발을 얹을 수 있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틸팅억제부(50)는 구름부(53)와 지지부(54)로 구성된다.
발판부(40)와 지지프레임(21) 부위 중 어느 한쪽에 구름부(53)가 마련되고, 다른 한쪽에 지지부(54)가 마련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름부(53)는 발판부(40) 중간 하부에 마련되고 지지부(54)는 지지프레임(21) 상부에 마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름부(53)는 핸들조작부 회전 중심축(p) 양 측방에 위치한 발판부(40) 하부에 고정 결합되는 구름결합부(55) 및 구름결합부(5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틸팅몸체(3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질 때와 핸들조작부(10)가 좌우로 회전될 때 후술하는 지지부(54)에 접촉되어 회전되는 구름부재(5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름결합부(55)는 반구형으로 함몰 형성되는 결합홈(59)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름부재(56)는 결합홈(59)에 일부 영역이 노출되어 결합되도록 구 형상으로 구비되면서 구름결합부(5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결합홈(59)으로부터 노출된 구름부재(56)의 일부 영역은 핸들조작부(10)와 틸팅몸체(3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틸팅시와 핸들조작부(10)가 좌우로 회전될 때 지지부(54)에 접촉되어 구름 이동되게 구성된다. 그리고 틸팅몸체(30)가 틸팅되지 않은 상태에서 양쪽의 구름부재(56)는 지지부(54) 상부에 접촉되게 구성하여 발판부(40)가 하방으로 내려가지 않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지지부(54)는 구름부재(56)와 마주보는 지지프레임(21) 상부에 고정 결합되는 구름판(57)과 구름판(57) 상부에 고정 결합되는 탄성부재(5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름판(57) 상부는 앞쪽에서 후방으로 향할수록 하방으로 기울어진 면으로 구성되고, 상기 기울어진 면은 옆에서 보았을 때 핸들조작부(10) 회전 중심축과 직각이 되게 구성하여 핸들조작부(1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될 때, 구름부재(56)가 구름판(57)에 접촉되어 구름 회전할 수 있게 구성된다.
옆에서 보았을 때 구름부재(56)에 접촉되는 구름판(57) 부위가 핸들조작부 회전 중심축(p)과 직각이 안 되게 구성될 경우, 핸들조작부(10)가 좌우로 회전되면 틸팅몸체(30)와 핸들조작부(10)는 기울어지게 된다.
또한, 구름판(57) 상부 높이는 구멍연장직선과 같거나 비슷하게 구성하여 틸팅몸체(30)가 측방으로 기울어질 때, 구름부재(56)가 측방으로 이동되는 간격이 작아지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탄성부재(58)는 구름판(57) 상부에 고정 결합되고 상부는 평면으로 구성하여 구름부재(56)가 탄성부재(58)에 접촉된 상태로 구름 회전할 수 있게 구성된다.
구름판(57) 상부에 탄성부재(58)가 마련됨으로써, 구름부재(56)가 탄성부재(58)에 접촉할 때 구름부재(56)와 탄성부재(58)는 서로 점 접촉되지 않으면서, 틸팅몸체(3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진 후 기울어진 반대쪽에 위치한 구름부재(56)가 지지부(54)에 접촉될 때 발생하는 충격이 탄성부재(58)에 흡수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탄성부재(58)는 기계적 성질이 우수한 우레탄고무로 구성됨을 제시한다.
구름판(57)에 접촉되는 구름부재(56)가 구 형상이라 우레탄고무 경도가 너무 높으면 구름부재(56)에 접촉되는 탄성부재(58) 면적이 작게 형성되어 접촉부위에 너무 높은 압축응력이 발생하고, 우레탄고무 경도가 너무 낮으면 접촉면적이 증가하여 단위 면적당 압축응력은 작게 발생하지만, 구름부재(56)가 탄성부재(58)에 너무 깊게 압입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우레탄고무 경도는 쇼어경도 a60에서 a95정도 되는 우레탄고무로 구성됨을 제시하지만, 구름판(57)에 접촉되는 구름부재(56) 크기에 따라 압축응력이나 압입깊이가 달라지므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직선연장선(x)에 대한 설명은 선행기술(출원번호 10-2019-0017658)에서 설명되어 있음으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구름부(53)가 지지부(54)에 걸림되게 구성함으로써 발판부(40) 뒷단이 일정 높이 밑으로 안 내려가게 하면서 틸팅몸체(30)와 핸들조작부(10)가 기울어짐을 억제시킬 수 있다. 그리고 핸들조작부(10)를 회전시켤 경우, 구름부(53)와 지지부(54)는 서로 결합 안 되고 접촉되어 있음으로 구름부(53)는 지지부(54)에 접촉된 상태로 구름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발판부(40)가 지지프레임(21)에 걸리게 되지만 핸들조작부(10)와 지지몸체(20)를 좌우로 회전시켜 조향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개시된 예제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항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핸들조작부 11 : 핸들
12 : 핸들프레임 13 : 포크부
20 : 지지몸체 21 : 지지프레임
22 : 전륜 23 : 결합프레임
30 : 틸팅몸체 31 : 틸팅프레임
32 : 발판결합부 33 : 충격흡수턱
34 : 안장부 35 : 안장
36 : 안장프레임 37 : 후륜
40 : 발판부 41 : 인장 탄성부재
50 : 틸팅억제부 51 : 연결부재
52 : 연결회전부 53 : 구름부
54 : 지지부 55 : 구름결합부
56 : 구름부재 57 : 구름판
58 : 탄성부재 59 : 결합홈
p : 핸들조작부 회전 중심축
q : 핸들조작부를 좌우로 회전시켰을 때 연결부재 일단 이동 경로
r : 핸들조작부를 좌우로 회전시켰을 때 지지프레임지점 이동경로
s : 연결부재 일단 위치 v : 수직연장직선
w : 회전중심지점 x : 직선연장선
y : 발판지점 z : 지지프레임지점

Claims (13)

  1. 상하로 연장되는 핸들프레임과 상기 핸들프레임 상단에 구비되는 핸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핸들조작부;
    앞단이 상기 핸들프레임에 결합되는 틸팅프레임과 상기 틸팅프레임 중간 부위에 결합되는 안장부 및 상기 틸팅프레임 뒷단에 결합되는 후륜을 포함하여 구성되면서 좌우로 기울임 가능하게 구성되는 틸팅몸체;
    상기 핸들프레임 하단에 가운데 부위가 결합되고 양 끝단은 양 측방으로 연장되는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 양 끝단에 결합되는 전륜을 포함하여 구성된 지지몸체;
    앞단 또는 중간 부위가 상기 틸팅프레임에 결합되고 뒷단은 상하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발판부;
    상기 틸팅프레임에 결합된 상기 발판부 부위에서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한 상기 발판부 부위가 상기 지지프레임에 연결되게 하거나 걸리게 하여 상기 틸팅몸체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기울어질수록 상기 발판부 뒷단 부위가 상방으로 회전되게 하는 틸팅억제부; 를 포함하되,
    상기 핸들조작부는 상기 지지몸체와 같이 회전되고 상기 틸팅몸체와 같이 측방으로 기울어지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역삼륜 이동수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몸체는 측방으로 기울어지지 않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역삼륜 이동수단.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에 걸리는 상기 지지프레임 부위는 상기 핸들조작부가 좌우로 회전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핸들조작부 회전 중심축 양 측방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역삼륜 이동수단.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프레임 앞단이 상기 핸들프레임에 외삽 결합되어 상기 핸들조작부가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틸팅프레임에는 발판결합부가 포함되며,
    상기 발판결합부는 상기 핸들프레임에 외삽 결합된 상기 틸팅프레임 부위 중 하부 또는 중간 부위에서 후방 또는 전방으로 돌출되게 구성되며,
    상기 발판부는 중간 또는 앞단 부위가 상기 발판결합부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역삼륜 이동수단.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핸들조작부 회전 중심축이 위치한 상기 핸들프레임 부위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역삼륜 이동수단.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조작부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핸들조작부가 회전된 방향으로 상기 핸들조작부와 상기 틸팅몸체가 기울어지면 상기 지지몸체는 전방으로 기울어지고 상기 발반부 뒷단은 상방으로 회전됨을 특징으로 하는 역삼륜 이동수단.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억제부는 연결부재 한 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재 일단은 상기 핸들조작부 회전 중심축 양 측방에 위치한 지지프레임 부위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재 타단은 상기 지지프레임 상방에 위치한 상기 발판부 앞단에 각각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역삼륜 이동수단.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억제부는 연결부재 한 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재 일단은 상기 핸들조작부 회전 중심축 양 측방에 위치한 상기 발판부 중간 부위에 각각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재 타단은 상기 발판부 상방에 위치한 상기 지지몸체 부위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역삼륜 이동수단.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틸팅억제부는 상기 발판부와 상기 지지프레임 중 어느 한쪽에 마련되는 구름부와 다른 한쪽에 마련되는 지지부로 구성되고,
    상기 구름부는 상기 지지부에 접촉되어 구름 회전할 수 있게 구성되고 상기 구름부가 접촉되는 상기 지지부 부위는 옆에서 보았을 때 상기 핸들조작부 회전 중심축과 직각이 되게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역삼륜 이동수단.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조작부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켜면 직선연장선 위치가 상기 핸들조작부 회전 방향따라 이동되고,
    상기 직선연장선은 상기 핸들조작부와 상기 틸팅몸체가 측방으로 기울어지지 않은 상태를 평면도로 그렸을 때 상기 연결부재가 결합된 상기 지지프레임 지점에서 앞뒤는 상기 발판부가 상기 틸팅프레임에 결합된 부위와 일치하고 좌우는 중심이 되는 지점과 일치하는 지점을 직선으로 그은 선이 상기 발판부 뒷단까지 연장된 직선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역삼륜 이동수단.
  11.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 타단이 결합된 부위는 상기 지지몸체 회전 중심 부위에서 수직 상방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역삼륜 이동수단.
  12.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 타단이 결합된 부위가 상기 지지몸체 회전 중심부위에서 수직 상방에 위치하지 않게 구성되면 상기 핸들조작부가 좌우로 회전할 때 상기 발판부 뒷단이 상방으로 이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역삼륜 이동수단.
  13. 제 1 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틸팅프레임에 결합된 상기 발판부 부위에서 전방에 위치한 상기 발판부 부위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발판부 상방에 위치한 상기 틸팅프레임 부위에 결합되는 인장 탄성부재가 더 포함됨을 특징으로 하는 역삼륜 이동수단.
KR1020190157146A 2019-11-29 2019-11-29 틸팅억제 기능이 있는 역삼륜 이동수단 KR2021006748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7146A KR20210067481A (ko) 2019-11-29 2019-11-29 틸팅억제 기능이 있는 역삼륜 이동수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57146A KR20210067481A (ko) 2019-11-29 2019-11-29 틸팅억제 기능이 있는 역삼륜 이동수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67481A true KR20210067481A (ko) 2021-06-08

Family

ID=76399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7146A KR20210067481A (ko) 2019-11-29 2019-11-29 틸팅억제 기능이 있는 역삼륜 이동수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6748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99399U (ja) 立ち乗り電動車
US20170313375A1 (en) Tilting-capable three-wheeled boarding vehicle
CN101557977A (zh) 三轮载具
WO2017215056A1 (zh) 滑板车
CN211943609U (zh) 用自平衡驱动轮组装成的滑板车组合器具
KR20090072932A (ko) 트라이서클 킥보드
KR102108676B1 (ko) 기울어짐 제어 기능을 하는 발판부가 구비된 삼륜탑승기구
KR101996757B1 (ko) 틸팅 억제 기능이 있는 이동수단
US20020089136A1 (en) Safety driving equipment for toddler's scooter
KR100800570B1 (ko) 스텝보드
KR102341753B1 (ko) 틸팅억제 기능이 있는 역삼륜 이동수단
KR20210067481A (ko) 틸팅억제 기능이 있는 역삼륜 이동수단
KR102152167B1 (ko) 서서 타는 이동수단
KR20180068090A (ko) 삼륜 탑승 기구
KR102410821B1 (ko) 틸팅 억제 기능이 있는 역삼륜 이동수단
KR102304459B1 (ko) 삼륜탑승기구
KR100987927B1 (ko) 보드
KR102358414B1 (ko) 틸팅억제 기능이 있는 역삼륜 이동수단
KR20210002385A (ko) 틸팅 억제 기능이 있는 이동수단
KR20230108664A (ko) 기울어짐 억제 기능이 있는 자전거
CN217893119U (zh) 儿童玩具车
KR101668069B1 (ko) 스윙 보드
KR20230106825A (ko) 역삼륜 킥보드
KR20240014115A (ko) 어린이 자전거
KR20230106822A (ko) 역삼륜 킥보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