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14115A - 어린이 자전거 - Google Patents

어린이 자전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4115A
KR20240014115A KR1020220091437A KR20220091437A KR20240014115A KR 20240014115 A KR20240014115 A KR 20240014115A KR 1020220091437 A KR1020220091437 A KR 1020220091437A KR 20220091437 A KR20220091437 A KR 20220091437A KR 20240014115 A KR20240014115 A KR 202400141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dal
coupled
frame
hand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14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호
Original Assignee
이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호 filed Critical 이종호
Priority to KR10202200914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4115A/ko
Publication of KR20240014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4115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9/00Children's cy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HCYCLE STANDS; SUPPORTS OR HOLDERS FOR PARKING OR STORING CYCLES; APPLIANCES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ZED USE OR THEFT OF CYCLES; LOCKS INTEGRAL WITH CYCLES; DEVICES FOR LEARNING TO RIDE CYCLES
    • B62H1/00Supports or stands forming part of or attached to cycles
    • B62H1/10Supports or stands forming part of or attached to cycles involving means providing for a stabilised ride
    • B62H1/12Supports or stands forming part of or attached to cycles involving means providing for a stabilised ride using additional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 B62M1/24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reciprocating levers, e.g. foot levers
    • B62M1/28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with reciprocating levers, e.g. foot lever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flexible drive members, e.g.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3Bicycles; Tricycles

Abstract

본 발명은 페달부 조작으로 구동력을 얻을 수 있을뿐만 아니라 주행 중 중심을 쉽게 잡을 수 있는 어린이 자전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 발명은, 상하로 연장되는 핸들프레임과 핸들프레임 상단에 결합되는 핸들 및 핸들프레임 하단에 결합되는 전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핸들조작부; 핸들프레임에 결합되는 몸체프레임과 몸체프레임에 결합되는 안장부로 구성되는 몸체부; 몸체프레임 후단에 결합되는 후륜과 후륜 측면에 결합되는 클러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후륜부; 일단이 몸체프레임 또는 중심축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하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거나 중간 부위가 몸체프레임에 결합되고 양 끝단이 상하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페달프레임과 상기 페달프레임에 결합되는 페달로 구성되는 페달부; 페달부에 결합되면서 페달이 하방으로 회전시 지면에 접촉되는 구름바퀴; 페달을 상방으로 회전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게 구성되는 탄성부재; 및 페달부의 조작에 의해 발생한 추진력을 후륜부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어린이 자전거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어린이 자전거{children's bike}
본 발명은 어린이 자전거에 관한 것으로서, 페달부를 상하로 조작하여 구동력을 얻을 수 있고 페달부의 하방 회동시 구름바퀴가 지면에 접촉되게 구성하여 중심을 쉽게 잡을 수 있는 어린이 자전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자전거는 2륜으로 주행중에 계속 중심을 잡아야 하고 자전거를 못 배운 어린이는 중심을 잡을 수 없어서 자전거를 탈 수 없다.
따라서 자전거를 배우지 못한 어린이들이 자전거를 안전하게 탈 수 있게 하기 위해서 페달부 조작으로 구동력을 얻을 수 있으면서 중심을 쉽게 잡을 수 있는 자전거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페달부를 조작하여 구동력을 얻을 수 있으면서 중심을 쉽게 잡을 수 있는 어린이 자전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 발명은, 상하로 연장되는 핸들프레임과 핸들프레임 상단에 결합되는 핸들 및 핸들프레임 하단에 결합되는 전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핸들조작부; 핸들프레임에 결합되는 몸체프레임과 몸체프레임에 결합되는 안장부로 구성되는 몸체부; 몸체프레임 후단에 결합되는 후륜과 후륜 측면에 결합되는 클러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후륜부; 일단이 몸체프레임 또는 중심축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하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거나 중간 부위가 몸체프레임에 결합되고 양 끝단이 상하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페달프레임과 상기 페달프레임에 결합되는 페달로 구성되는 페달부; 페달부에 결합되면서 페달이 하방으로 회전시 지면에 접촉되는 구름바퀴; 페달을 상방으로 회전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게 구성되는 탄성부재; 및 페달부의 조작에 의해 발생한 추진력을 후륜부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 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동력전달부는 페달프레임 상방에 위치한 몸체프레임 부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와 일단이 페달부에 결합되고 일부분이 회전부를 경유하게 구성되는 동력전달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구름바퀴는 페달 하부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페달은 위쪽에서 보았을 때 양쪽 페달부 회전 중심축 사이 가운데 지점에서 지면에 접촉된 구름바퀴 부위를 향하여 직선으로 그은 가상의 선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어린이 자전거는 페달부를 조작하여 구동력을 얻을 수 있고 구름바퀴가 지면에 접촉되는 형태로 탑승하여 중심을 쉽게 잡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양쪽 구름바퀴가 지면에 접촉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왼쪽 페달부가 상방으로 이동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요부 확대도 및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어린이 자전거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어린이 자전거의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어린이 자전거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핸들조작부(10), 몸체부(20), 후륜부(30), 페달부(40), 구름바퀴(50), 동력전달부(60) 및 탄성부재(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핸들조작부(10)는 핸들(11)과 핸들프레임(12) 및 전륜(13)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핸들조작부(10)는 사용자가 자전거에 탑승하여 코너를 주행할 때, 전륜(13)을 좌우측으로 회전시키는 조향 조작과 코너 주행시 발생하는 원심력에 대응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몸체부(20)의 기울임(틸팅) 조작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핸들(11)은 좌우로 연장되고 연장된 부위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을 수 있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핸들프레임(12)은 일단이 핸들(11) 가운데 부위에 결합되고 타단은 후술하는 몸체프레임(21)을 관통하여 몸체프레임(21) 하방으로 돌출된다. 그리고 핸들프레임(12) 부위 중 몸체프레임(21) 하방에 위치한 부위는 양 옆으로 벌어지게 구성하여 후술하는 전륜(13)이 결합될 수 있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전륜(13)은 한개로 구성되고 핸들프레임(12) 하부 사이에 삽입되어 핸들프레임(12)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몸체부(20)는 몸체프레임(21)과 안장부(22)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몸체프레임(21)은 일단이 핸들프레임(12) 중간 부위에 외삽 결합되어 핸들조작부(10)가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타단은 후방으로 연장된다.
몸체프레임(21) 후부는 양 옆으로 벌어지게 구성되고 타단에는 양 옆으로 관통된 구멍이 구비되어 후술하는 후륜부(30)가 결합될 수 있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안장부(22)는 몸체프레임(21) 중간 부위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안장프레임(23)과 안장프레임(23) 상단에 결합되는 안장(24)으로 구성된다. 안장부(22)는 통상의 자전거와 똑같은 모양으로 구성됨으로 안장부(22)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후륜부(30)는 후륜(31)과 클러치부(32)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후륜(31)은 몸체프레임(21) 부위 중 양 옆으로 벌어진 부위 사이에 끼움 결합된다. 즉 후륜(31)을 벌어진 몸체프레임(21) 후부에 끼운 다음 후륜(31)과 몸체프레임(21) 타단에 중심축(33)을 끼워서 몸체프레임(21) 타단에 후륜(31)을 결합시킨다.
중심축(33) 양 끝단은 몸체프레임(21) 양 측방으로 조금 돌출되고 돌출된 부위는 페달부(40)가 결합될 수 있게 축으로 구성된다.
후륜(31) 양 측면에는 중심축(33)을 따라 양 측방으로 조금 돌출된 돌출부가 각각 마련되고, 돌출부 지름은 중심축(33)보다 조금 더 크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클러치부(32)는 풀리부와 원웨이베어링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풀리부는 외주면이 통상의 풀리 형상으로 구성하여 외주면에 동력전달부재(62)가 감길 수 있게 구성되고 양 측면 가운데 부위에 좌우로 관통된 구멍이 마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원웨이베어링은 현재 판매되고 있는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력을 전달하는 베어링으로 구성된다. 풀리부에 마련된 구멍에 원웨이베어링을 끼움 결합하여 풀리부 내주면에 원웨이베어링 외주면을 고정시키고 돌출부에 원웨이베어링을 외삽 결합하여 돌출부에 원웨이베어링 내주면을 고정시킨다. 상기와 같이 원웨이베어링을 결합하여 풀리부가 정회전할 때는 원웨이베어링이 후륜(31)을 회전시키고, 풀리부가 역회전할때는 원웨이베어링이 풀리부 회전력을 차단하여 후륜(31)이 역회전 안 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페달부(40)는 페달프레임(41)과 페달(42)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페달프레임(41)은 한쌍으로 구성되고 일단이 중심축(33) 양 끝단에 결합되며 타단은 전방으로 연장되면서 상하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타단에는 측방으로 돌출된 축이 마련되고 상기 축은 후술하는 페달(42)이 외삽 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게 구성된다.
물론 페달프레임(41)은 중심축이 아닌 몸체프레임(21) 부위 중 몸체프레임 (21) 후단과 가까운 부위에 결합될 수도 있다.
페달프레임(41) 부위 중 후술하는 회전부(61) 하방에 위치한 부위에는 회전부(61) 하방쪽으로 돌출된 결합부(43)가 마련되고 결합부(43)에는 동력전달부재(62)가 결합될 수 있게 홈이 마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페달(42)은 페달프레임(41) 타단에 마련된 축에 외삽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페달(42) 상면은 통상의 자전거 페달같이 평면으로 구성하여 탑승자가 발을 얹을 수 있게 구성된다. 그리고 페달(42) 하부는 좌우 양쪽에서 하방으로 각각 돌출되고 돌출된 부위에는 후술하는 구름바퀴(50)를 결합할 수 있게 좌우로 관통된 구멍이 마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름바퀴(50)는 통상의 인라인 바퀴와 비슷한 형상으로 구성되고 페달(42) 하부 돌출된 부위 사이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물론 구름바퀴는 페달이 아닌 페달프레임 앞부위 하부에 결합될 수도 있다.
페달부(40)의 하방 회동시 구름바퀴(50)가 지면에 접촉되게 하고 지면에 접촉된 구름바퀴(50) 부위는 탑승자가 누르는 페달(42) 부위 수직 하방에 위치하게 구성된다.
몸체부(20)가 측방으로 기울어지면 기울어진 쪽에 위치한 페달부(40)는 상방으로 회전하게 되고 반대쪽에 위치한 페달부(40)는 하방으로 회전하여 양쪽 구름바퀴(50)가 지면에 접촉상태로 유지된다.
발로 누르는 페달(42) 부위는 위쪽에서 보았을 때 양쪽 페달프레임 회전 중심축(r) 사이 가운데 지점에서 지면에 접촉된 구름바퀴(50) 부위까지 직선으로 그은 가상의 선(x)에 위치하게 구성된다.
위쪽에서 보았을 때 누르는 페달(42) 부위가 양쪽 페달프레임 회전 중심축(r) 사이 가운데 지점에서 지면에 접촉된 구름바퀴(50) 부위까지 직선으로 그은 가상의 선에 위치하지 않게 구성되면 구름바퀴(50)가 지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페달(42)을 누르면 몸체부(20)가 기울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탄성부재(70)는 페달을 상방으로 회전시키고 동력전달부재(62)가 풀리부에 감기게 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탄성부재(70)는 인장 탄성부재 한쌍으로 구성되고 일단이 몸체프레임(21) 중간 부위 좌우 앙쪽에 각각 결합되며 타단은 후방으로 각각 연장된다. 탄성부재(70) 인장력은 페달부(40) 누름을 해제하였을 때 페달(42)을 상방으로 회전시킬수 있는 크기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동력전달부(60)는 페달부(40) 조작으로 발생한 구동력을 후륜(31)에 전달하는 구성으로 회전부(61)와 동력전달부재(62)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회전부(61)는 한쌍으로 구성되고 페달프레임(41) 중간 부위 상방에 위치한 몸체프레임(21) 부위 좌우 양쪽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회전부(61) 형상은 통상의 도르래와 똑같은 형상으로 구성하여 후술하는 동력전달부재(62)가 감기면서 경유할 수 있게 구성된다.
회전부(61) 부위 중 클러치부(32)쪽에 위치한 동력전달부재(62)가 감기고 풀리는 부위는 동력전달부재(62)가 감길수록 회전부(61) 반지름이 커지게 구성하여 상승한 페달부(40)가 내려갈수록 동력전달부재(62)가 회전부(61)에 많이 감기게 구성함으로써 페달부(40)가 내려갈수록 동력전달부재(62)가 풀리부에서 많이 풀리게 구성된다.
구름바퀴(50)가 지면에 접촉될 때 발생하는 충격이 작아지게 하기 위해서 페달부(40)가 내려갈수록 동력전달부재(62)가 풀리부에서 많이 풀리게 구성하여 구름바퀴(50)가 지면에 접촉될 때 구름바퀴(50)가 지면에 느리게 접촉하게 구성된다.
한편 구름바퀴가 지면에 접촉할 때 발생하는 충격력을 줄이기 위해서 구름바퀴가 지면에 접촉하기 직전에 선행기술(출원번호 10-2019-0060806)같이 부하가 걸리게 구성하여 구름바퀴가 지면에 느리게 접촉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름바퀴가 지면에 접촉하기 직전에 부하가 걸리게 하는 기술은 선행기술(출원번호 10-2019-0060806)에 설명되어 있음으로 여기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동력전달부재(62)는 한쌍으로 구성되고 다이니마 로프로 구성된다.
이러한 동력전달부재(62)는 일단이 양쪽 페달프레임(41)에 마련된 결합부(43)에 각각 결합되고 타단은 양쪽 탄성부재(70) 타단에 각각 결합된다. 그리고 중간 부위가 회전부(61)와 풀리부에 연결되면서 감기게 구성하여 페달부(40)의 하방 회동시 회전부(61)와 풀리부에서 풀리면서 회전부(61)와 풀리부를 회전시킬 수 있게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될 경우 상승한 페달부(40)를 누르면 동력전달부재(62)가 페달부(40)쪽으로 당겨지게 되고 동력전달부재(62)가 당겨짐에 따라 동력전달부재(62)가 풀리부에서 풀리면서 풀리부를 회전시키게 되고 탄성부재(70)는 늘어나게 된다. 페달부(40) 누름을 해제하면 늘어난 탄성부재(70)가 원상복귀하게 되고 페달부(40) 앞부위는 상승하게 된다.
상승한 페달부(40)를 누를때 누르는 페달부(40)쪽으로 몸체부(20)가 기울어질려고 하는 힘이 작용하지만 천천히 이동할때는 상승한 페달부(40)를 누를때 상승한 페달부(40) 반대쪽으로 몸체부(20)를 조금 기울이거나 상승한 페달부(40) 반대쪽에 위치한 핸들(11)을 누르면서 상승한 페달부(40)를 누르면 몸체부(20)는 기울어지지 않는다. 그리고 빠르게 주행할 때 상승한 페달부(40)를 누르면 몸체부(20)는 기울어지지 않는다.
또한, 상승한 페달부(40)를 누를 때 상승하지 않은 페달부(40)는 구름바퀴(50)가 지면에 접촉상태로 구름 이동함으로 페달부(40)가 지면에 걸리지 않게 된다.
또한, 상승한 페달부(40)를 누를 때 상승한 페달부(40) 반대쪽으로 몸체부(20)를 조금 기울일 경우 기울인 쪽에 위치한 탑승자 다리가 기울인 쪽에 위치한 페달부(40)에 서 있는 상태가 되어 몸체부(20)는 넘어지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페달부(40)를 조작하여 구동력을 얻을 수 있고 페달부(40)를 눌려서 구름바퀴(50)가 지면에 접촉될 경우 탑승자는 안장(24)에 착석한 상태로 발이 페달(42)에 서 있는 상태가 되어 중심을 쉽게 잡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천천히 주행할때는 한쪽 구름바퀴(50)가 지면에 접촉상태로 페달부(40)를 조작하고 자전거 속도가 빨라지면 한쪽 페달부(40)가 내려갈 때 반대쪽 페달부(40)가 올라가는 형태로 조작하여 양쪽 구름바퀴(50)가 동시에 지면에서 떨어지게 조작함으로써 중심잡기 연습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 제2실시예에서는 페달프레임(41) 중간 부위가 몸체프레임(21)에 결합되고 동력전달부재(62)가 페달프레임(41) 후단에 결합되며 회전부가 구비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2실시에에서 핸들조작부(10), 후륜부(30), 탄성부재(70) 및 구름바퀴(50)는 제1실시예와 같게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몸체부(20)와 페달부(40) 및 동력전달부(6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몸체프레임(21)은 일단이 핸들프레임(12) 중간 부위에 외삽 결합되어 핸들조작부(10)가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고 타단은 후방과 하방 사이로 연장되어 후륜(31) 앞지점까지 연장된 후 절곡되어 후방으로 연장된다. 절곡되어 후방으로 연장된 부위는 좌우 양쪽으로 벌어지게 구성하여 후륜(31)이 결합될 수 있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안장부(22)는 제1실시예와 같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페달프레임(41)은 중간 부위가 몸체프레임(21) 부위 중 절곡된 부위에 결합되고 일단은 옆에서 보았을 때 클러치부에 가까우면서 클러치부 상방에 위치하고 뒤쪽에서 보았을 때 클러치부와 가까우면서 클러치부 측방에 위치한 지점까지 연장된다. 그리고 타단은 전방과 상방 사이로 연장되어 타단을 누르면 일단이 상방으로 회전하게 구성된다. 클러치부 타단에는 측방으로 돌출되는 축이 마련되고 축은 페달(42)이 결합될 수 있게 구성된다. 그리고 클러치부 일단에는 가운데로 조금 돌출된 돌출부가 마련되고 돌출부에는 동력전달부재(62)가 결합될 수 있게 홈이 마련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페달(42)은 제1실시예와 같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동력전달부(60)는 회전부가 구비되지 않고 동력전달부재(62)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동력전달부재(62)는 일단이 페달프레임(41) 일단에 마련된 돌출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탄성부재(70) 타단에 결합되며 중간 부위가 클러치부에 연결되면서 경유하게 구성된다.
상기 제2실시예같이 구성될 경우 페달부(40)의 하방 회동시 구름바퀴(50)가 지면에 접촉됨으로 탑승자는 안장(24)에 착석한 상태로 발이 페달(42)에 서 있는 상태가 되어 중심을 쉽게 잡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로 제3실시예에서는 구름바퀴프레임(80)이 더 구비되고 구름바퀴(50)가 구름바퀴프레임(80)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핸들조작부(10), 몸체부(20), 후륜부(30), 탄성부재(70) 및 동력전달부(60)는 제1실시예와 같게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구름바퀴프레임(80)과 구름바퀴(50) 및 페달부(4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구름바퀴프레임(80)은 일단이 중심축(33) 양 끝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전방으로 연장되면서 상하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타단에는 측방으로 돌출된 축이 마련되고 축은 구름바퀴(50)가 결합될 수 있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구름바퀴(50)는 구름바퀴프레임(80) 타단에 마련된 축에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페달부(40)는 페달프레임(41)과 페달(42)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페달프레임(41)은 일단이 구름바퀴프레임(80) 부위 중 일단과 가까운 부위 상부에 힌지 결합되고 타단은 전방으로 연장되면서 상하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그리고 하방으로 회전시 구름바퀴프레임(80)에 얹히게 구성된다. 페달프레임(41) 타단에는 측방으로 돌출되는 축이 마련되고 축은 페달(42)이 결합될 수 있게 구성된다.
물론 페달프레임은 상기와 같이 구름바퀴프레임에 결합될 수도 있고 몸체프레임 후부에 결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페달(42)은 페달프레임(41) 타단에 마련된 축에 결합되어 앞뒤 부위가 상하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누르는 페달(42) 부위는 위쪽에서 보았을 때 양쪽 구름바퀴프레임(80) 회전 중심축 사이 가운데 지점에서 지면에 접촉된 구름바퀴(50) 부위까지 직선으로 그은 가상의 선에 위치하게 구성된다.
페달부(40)가 구름바퀴프레임(80)에 얹힌 상태에서 위쪽에서 보았을 때 누르는 페달(42) 부위가 양쪽 구름바퀴프레임(80) 회전 중심축 사이 가운데 지점에서 지면에 접촉된 구름바퀴(50) 부위까지 직선으로 그은 가상의 선에 위치하지 않으면 페달(42)을 누를때 몸체부(20)가 기울어지게 된다.
상기 제3실시예같이 구성될 경우 페달부(40)의 하방 회동시 페달부(40)가 구름바퀴프레임(80)에 얹히게 됨으로 탑승자는 안장(24)에 착석한 상태로 발이 페달(42)에 서 있는 상태가 되어 중심을 쉽게 잡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개시된 예제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항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핸들조작부 11 : 핸들
12 : 핸들프레임 13 : 전륜
20 : 몸체부 21 : 몸체프레임
22 : 안장부 23 : 안장프레임
24 : 안장 30 : 후륜부
31 : 후륜 32 : 클러치부
33 : 중심축 40 : 페달부
41 : 페달프레임 42 : 페달
43 : 결합부 50 : 구름바퀴
60 : 동력전달부 61 : 회전부
62 : 동력전달부재 70 : 탄성부재
80 : 구름바퀴프레임
r : 페달프레임 회전 중심축

Claims (6)

  1. 상하로 연장되는 핸들프레임과 상기 핸들프레임 상단에 결합되는 핸들 및 상기 핸들프레임 하단에 결합되는 전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핸들조작부;
    상기 핸들프레임에 결합되는 몸체프레임과 상기 몸체프레임에 결합되는 안장부로 구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프레임 후단에 결합되는 후륜과 상기 후륜 측면에 결합되는 클러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후륜부;
    일단이 상기 몸체프레임 또는 중심축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하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거나 중간 부위가 몸체프레임에 결합되고 양 끝단이 상하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페달프레임과 상기 페달프레임에 결합되는 페달로 구성되는 페달부;
    상기 페달부에 결합되면서 상기 페달이 하방으로 회전시 지면에 접촉되는 구름바퀴;
    상기 페달을 상방으로 회전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게 구성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페달부의 조작에 의해 발생한 추진력을 후륜부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어린이 자전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페달프레임 상방에 위치한 상기 몸체프레임 부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부와 일단이 상기 페달부에 결합되고 일부분이 상기 회전부를 경유하게 구성되는 동력전달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자전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름바퀴는 상기 페달 하부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자전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은 위쪽에서 보았을 때 양쪽 페달부 회전 중심축 사이 가운데 지점에서 지면에 접촉된 상기 구름바퀴 부위를 향하여 직선으로 그은 가상의 선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자전거.
  5. 상하로 연장되는 핸들프레임과 상기 핸들프레임 상단에 결합되는 핸들 및 상기 핸들프레임 하단에 결합되는 전륜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핸들조작부;
    상기 핸들프레임에 결합되는 몸체프레임과 상기 몸체프레임에 결합되는 안장부로 구성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프레임 후단에 결합되는 후륜과 상기 후륜 측면에 결합되는 클러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후륜부;
    일단이 상기 몸체프레임 또는 중심축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하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구름바퀴프레임;
    상기 구름바퀴프레임 타단에 결합되는 구름바퀴;
    일단이 상기 구름바퀴프레임 또는 상기 몸체프레임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하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페달프레임과 상기 페달프레임 타단에 결합되는 페달로 구성되면서 하방으로 회동시 상기 구름바퀴프레임에 얹히게 구성되는 페달부;
    상기 페달을 상방으로 회전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게 구성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페달부의 조작에 의해 발생한 추진력을 후륜부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어린이 자전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은 위쪽에서 보았을 때 양쪽 구름바퀴프레임 회전 중심축 사이 가운데 지점에서 지면에 접촉된 상기 구름바퀴 부위를 향하여 직선으로 그은 가상의 선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자전거.















KR1020220091437A 2022-07-25 2022-07-25 어린이 자전거 KR202400141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1437A KR20240014115A (ko) 2022-07-25 2022-07-25 어린이 자전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91437A KR20240014115A (ko) 2022-07-25 2022-07-25 어린이 자전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4115A true KR20240014115A (ko) 2024-02-01

Family

ID=898593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91437A KR20240014115A (ko) 2022-07-25 2022-07-25 어린이 자전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1411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97630B2 (en) Bi-directional propulsion caster
US6428022B1 (en) Inline skateboard
US8636288B2 (en) Street board
CN211943609U (zh) 用自平衡驱动轮组装成的滑板车组合器具
KR20240014115A (ko) 어린이 자전거
US4515362A (en) Exercise tricycle
US5906561A (en) Stepping and swinging exerciser
KR101243264B1 (ko) 유희용 운동기구
KR20190140395A (ko) 삼륜탑승기구
KR101611960B1 (ko) 트라이서클 킥보드
GB2367793A (en) Scooter with swingable footplates
KR20190140201A (ko) 서서 타는 이동수단
KR20010110239A (ko) 도로용 롤러-보드
KR102341753B1 (ko) 틸팅억제 기능이 있는 역삼륜 이동수단
KR100886155B1 (ko) 스케이트보드
KR101532475B1 (ko) 트라이크
KR20210067481A (ko) 틸팅억제 기능이 있는 역삼륜 이동수단
KR102410821B1 (ko) 틸팅 억제 기능이 있는 역삼륜 이동수단
KR100483061B1 (ko) 롤러보드
CN212327308U (zh) 一种健身/竞赛车的摇摆机构
CN215706852U (zh) 具有侧倾和转向限制机构的电动滑板车
KR200301206Y1 (ko) 롤러보드
KR20130055170A (ko) 랜드 서핑 보드
KR200275835Y1 (ko) 롤러썰매
KR20230108664A (ko) 기울어짐 억제 기능이 있는 자전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