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43264B1 - 유희용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유희용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43264B1
KR101243264B1 KR1020110053826A KR20110053826A KR101243264B1 KR 101243264 B1 KR101243264 B1 KR 101243264B1 KR 1020110053826 A KR1020110053826 A KR 1020110053826A KR 20110053826 A KR20110053826 A KR 20110053826A KR 101243264 B1 KR101243264 B1 KR 101243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shaft
frame bar
brake
footrest
brake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538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34707A (ko
Inventor
송태준
Original Assignee
송태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태준 filed Critical 송태준
Priority to KR10201100538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43264B1/ko
Publication of KR20120134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34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3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3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3/00Bicycles
    • B62K3/002Bicycles without a seat, i.e. the rider operating the vehicle in a standing position, e.g. non-motorized scooters; non-motorized scooters with skis or run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5/00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 B62K15/006Collapsible or foldable cycles the frame being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9/00Cycle frames
    • B62K19/30Frame parts shaped to receive other cycle parts or accessories
    • B62K19/38Frame parts shaped to receive other cycle parts or accessories for attaching brak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은 조향축의 내부로 브레이크용 와이어를 관통시켜 발판 및 조향축이 개별적으로 회동되도록 함으로 진행방향을 자유자재로 전환시킴과 더불어 다양한 묘기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하는 유희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방향전환을 위한 핸들이 상단에 구비되고, 하단에 브래킷을 통해 앞바퀴가 설치된 조향축; 상기 핸들에 구비된 브레이크레버와, 상기 앞바퀴와 상기 브래킷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앞바퀴와 접촉되는 브레이크패드와, 일단은 상기 브레이크레버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조향축에 형성된 연통홀을 통해 상기 조향축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브레이크패드에 연결되는 와이어로 구성된 브레이크제어부; 상기 조향축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진 원통형의 회전슬리브와, 상기 회전슬리브로부터 소정길이 연장된 상태로 절곡형성된 원통형의 프레임바로 구성되어 상기 조향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발판지지프레임; 및 저면 일측에 상기 프레임바가 관통결합되는 삽입구와, 상기 삽입구와 동일선상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바의 단부가 수용되는 위치고정구와, 상기 위치고정구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뒷바퀴가 배치되어 이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프레임바를 중심으로 비틀림이 발생되도록 하는 판상의 발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유희용 운동기구{health training machine for amusements}
본 발명은 유희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향축의 내부로 브레이크용 와이어를 관통시켜 발판 및 조향축이 개별적으로 회동되도록 함으로 진행방향을 자유자재로 전환시킴과 더불어 다양한 묘기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하여 흥미감과 성취감을 만끽할 수 있는 유희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륜 바퀴구조를 갖는 유희용 운동기구는 이동에 따른 기동성과 함께 신체단련에 따른 운동성은 바탕으로 하여 흥미유발에 따른 유희성을 가지는 어린이들의 운동기구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근래 들어서는 어린이들뿐만 아니라 청소년 및 직장인들의 레포츠기구 및 이동수단으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유희용 운동기구는, 부피의 최소화가 기능하기 때문에 운반성 및 보관성이 용이하고, 별도의 동력 없이도 이용자의 발로서 구름력을 제공하여 뛰어난 속도감 및 기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좁은 공간에서도 사용 가능함에 따라 그 사용이 점차 증가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유희용 운동기구는, 한발 또는 양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판형의 발판과, 발판의 전면에 결합되며 진행방향을 조향하는 핸들이 구비된 조향축과, 조향축 및 발판의 하부에 각각 구비되어 구름력을 제공하는 앞바퀴 및 뒷바퀴와, 핸들의 일측에 구비되어 뒷바퀴와 연결됨으로써 뒷바퀴를 제어하는 브레이크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유희용 운동기구의 주행방법은, 먼저 이용자가 조향축의 핸들을 파지한 상태로 조향축의 균형을 유지하고 이 상태에서 발판에 한발을 올려놓고 나머지 다른 한발로 지면을 내딛으면서 바퀴의 구름력을 발생시켜 주행시킴으로써 승용감과 속도감을 즐기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유희용 운동기구는 주행을 목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기본적인 운동성 및 유희성에 충실할 수 있지만 다양한 행위 즉 발판을 360도 회전시키거나 혹은 조향축을 360도 회전시키는 것 등으로 이루어지는 묘기를 발휘할 수가 없는 문제가 있다.
이는, 조향축 또는 발판이 개별적인 회동이 이루어질 수 없는 구조를 가지기 때문이고, 결국 이러한 구조에 의해 장시간 이용시 유희용 운동기구의 흥미를 감소시키게 된다.
일 예로, 인라인스케이트의 경우 기본적으로 주행을 하면서 여기에 갖가지 난이도를 요하는 기술적인 묘기를 부릴 수가 있기 때문에 현재까지도 많이 이용되고 있는 사례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 및 기술적 편견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조향축의 내부로 브레이크용 와이어를 관통시켜 발판 및 조향축이 개별적으로 회동되도록 함으로써 진행방향을 자유자재로 전환시킴과 더불어 다양한 묘기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하여 흥미감과 성취감을 만끽할 수 있는 유희용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희용 운동기구는, 방향전환을 위한 핸들이 상단에 구비되고, 하단에 브래킷을 통해 앞바퀴가 설치된 조향축; 상기 핸들에 구비된 브레이크레버와, 상기 앞바퀴와 상기 브래킷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앞바퀴와 접촉되는 브레이크패드와, 일단은 상기 브레이크레버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조향축에 형성된 연통홀을 통해 상기 조향축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브레이크패드에 연결되는 와이어로 구성된 브레이크제어부; 상기 조향축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진 원통형의 회전슬리브와, 상기 회전슬리브로부터 소정길이 연장된 상태로 절곡형성된 원통형의 프레임바로 구성되어 상기 조향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발판지지프레임; 및 저면 일측에 상기 프레임바가 관통결합되는 삽입구와, 상기 삽입구와 동일선상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바의 단부가 수용되는 위치고정구와, 상기 위치고정구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뒷바퀴가 배치되어 이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프레임바를 중심으로 비틀림이 발생되도록 하는 판상의 발판;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브레이크패드는 상기 브래킷과 핀결합을 통해 상기 브래킷의 내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에는 상기 와이어의 단부가 연결되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브레이크패드와 상기 조향축 사이에는 상기 브레이크패드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판 및 상기 프레임바에는 상기 발판의 비틀림에 대한 각도가 설정된 각도로 제한되도록 하는 비틀림제한수단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비틀림제한수단은, 상기 프레임바의 말단부에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발판의 상기 위치고정구에 수용되는 스톱퍼와, 상기 스톱퍼가 수용되도록 상기 위치고정구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발판이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비틀어질 때 상기 스톱퍼에 걸리도록 상호 대응하는 부채꼴 형상의 걸림홀 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발판지지프레임의 상기 회전슬리브 외주면에는 상기 조향축 또는 상기 발판지지프레임의 회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회동제어수단이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회동제어수단은, 상기 조향축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직경방향으로 형성된 장방향의 슬롯과; 상기 조향축의 상기 슬롯과 대응되게 상기 회전슬리브의 외주면에 형성된 관통공과; 상기 회전슬리브의 외주면에 고정되며, 내측에는 높이방향으로 소정공간을 갖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과 연통된 상태로 상기 회전슬리브 방향으로 개구된 수용홈이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가이드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수용홈을 향하는 일면에는 요홈이 형성되고 타면에는 슬라이딩을 위한 파지돌기가 형성된 슬라이더와; 상기 하우징의 상기 수용홈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며, 일측에는 상기 슬라이더의 상기 요홈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삽입돌기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회전슬리브의 상기 관통공을 통해 상기 조향축의 상기 슬롯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상기 삽입돌기로부터 연장된 축봉이 형성된 이동부재와; 상기 이동부재의 상기 축봉에 끼워져 상기 이동부재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는 압축스프링 또는 판스프링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회전슬리브의 상하에는 상기 회전슬리브의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쌍의 베어링이 더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베어링은 스러스트 베어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발판은 스프링강판, 나일론, 폴리에틸렌, 에폭시, 폴리염화비닐,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resin),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뒷바퀴는 고정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뒷바퀴는 방향성 캐스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유희용 운동기구에 의하면, 조향축의 내부로 브레이크용 와이어를 관통시켜 발판 및 조향축이 개별적으로 회동되도록 함으로 진행방향을 자유자재로 전환시킴과 더불어 다양한 묘기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하여 흥미감과 더불어 묘기의 완성에 따른 성취감을 만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회동제어수단을 통해 일반주행 또는 묘기의 구현에 맞도록 유희용 운동기구의 변환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주행의 안전이 담보되며 다양한 묘기의 구현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발판의 비틀림이 한정된 각도에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방향전환에 따른 다이나믹한 코너링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묘기의 완성도를 높여주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희용 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희용 운동기구를 나타낸 요부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희용 운동기구의 구성중 조향축을 나타낸 요부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희용 운동기구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도 2의 I-I선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유희용 운동기구의 구성중 발판이 뒤틀린 상태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도 3의 A부를 나타낸 확대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유희용 운동기구의 구성중 회동제어수단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 및 도면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고자 하는 것일 뿐 발명의 기술적범위를 이에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희용 운동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희용 운동기구를 나타낸 요부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유희용 운동기구의 구성중 조향축을 나타낸 요부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희용 운동기구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5a 및 도 5b는 도 2의 I-I선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유희용 운동기구의 구성중 발판이 뒤틀린 상태를 나타낸 요부단면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도 3의 A부를 나타낸 확대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유희용 운동기구의 구성중 회동제어수단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희용 운동기구(10)는, 방향전환을 위한 핸들(110)이 상단에 구비되고, 하단에 브래킷(120)을 통해 앞바퀴(120)가 설치된 조향축(100); 상기 핸들(110)에 구비된 브레이크레버(210)와, 상기 앞바퀴(120)와 상기 브래킷(1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앞바퀴(120)와 접촉되는 브레이크패드(220)와, 일단은 상기 브레이크레버(21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조향축(100)에 형성된 연통홀(100c)을 통해 상기 조향축(100)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브레이크패드(220)에 연결되는 와이어(230)로 구성된 브레이크제어부(200); 상기 조향축(100)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진 원통형의 회전슬리브(310)와, 상기 회전슬리브(310)로부터 소정길이 연장된 상태로 절곡형성된 원통형의 프레임바(320)로 구성되어 상기 조향축(100)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발판지지프레임(300); 및 저면 일측에 상기 프레임바(320)가 관통결합되는 삽입구(410)와, 상기 삽입구(410)와 동일선상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바(320)의 단부가 수용되는 위치고정구(420)와, 상기 위치고정구(420)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뒷바퀴(430)가 배치되어 이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프레임바(320)를 중심으로 비틀림이 발생되도록 하는 판상의 발판(40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조향축(100)은, 유희용 운동기구(10)의 주행중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면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되어 있으며 내부가 중공된 원통형의 봉 형상을 이루고 있다.
조향축(100)의 상단에는 주행에 따른 방향전환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이용자가 파지하는 한 쌍의 손잡이(113)가 형성된 핸들(110)이 구비되어 있으며, 하단에는 지면과 접촉을 이루면서 구름운동을 함으로서 유희용 운동기구(10)의 주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앞바퀴(120)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조향축(100)은 이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맞게 상측 방향으로 가변이 이루어지도록 승강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핸들(110)이 상측에 고정된 승강봉(100a)과 상기의 승강봉(100a)이 승강가능하게 삽입되는 고정봉(100b)으로 분리되어 있다.
여기서, 고정봉(100b)에는 승강봉(100a)의 승강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고정부재가 구비됨은 물론이며, 고정부재는 통상적인 기술적 사항임으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고정봉(100b)의 하측 외주면에는 고정봉(100b)의 내부로 연통하는 연통홀(100c)이 형성되는데, 이 연통홀(100c)은 후술할 브레이크제어부(200)의 와이어(230)가 고정봉(100b)의 내부를 관통하여 브레이크패드(220)에 연결되도록 하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의 연통홀(100c)을 통해 와이어(230)가 고정봉(100b)의 내부로 배치됨에 따라 조향축(100) 및 후술할 발판(400)이 360도로 개별적 회동이 가능해 지는데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조향축(100)의 하단에 구비된 앞바퀴(120)는 고정봉(100b)의 저면에 구비된 'ㄷ'형상의 브래킷(120) 내측으로 회전축에 의해 구름운동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본실시예에서는 조향축(100)이 승강봉(100a)과 고정봉(100b)으로 구성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하나의 몸체로 구성될 수도 있으므로 그 구조를 반드시 한정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브레이크제어부(200)는 조향축(100)에 구비되어 유희용 운동기구(10)의 주행에 따른 속도의 조절 또는 정지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으로서, 브레이크레버(210)와 브레이크패드(220)와 와이어(230)로 구성되어 있다.
브레이크레버(210)는 핸들(110)에 형성된 손잡이(113)의 일측에 구비되어 있으며, 이용자의 조작에 의해 브레이크패드(220)를 작동시킨다.
브레이크패드(220)는 앞바퀴(120)와 브래킷(120) 사이에 배치되어 브레이크레버(210)의 조작에 의해 앞바퀴(120)와 접촉되면서 앞바퀴(120)의 구름운동을 제어한다.
와이어(230)는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일단은 브레이크레버(210)에 연결되고, 타단은 조향축(100)에 형성된 연통홀(100c)을 통해 조향축(100) 내부를 관통하여 브레이크패드(220)의 일측에 연결되어 있다.
한편, 브레이크패드(220)는 브레이크레버(210)의 조작에 의해 회동되면서 앞바퀴(120)와 접촉을 이룬 상태로 앞바퀴(120)의 구름운동이 제어되도록 브래킷(120)과 핀결합을 통해 브래킷(120)의 내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에는 와이어(230)의 단부가 연결되는 고정홈(22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브레이크패드(220)와 조향축(100) 사이에는 브레이크레버(210)의 조작이 해제되면 앞바퀴(120)와 접촉된 브레이크패드(220)가 원상태로 복귀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24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탄성부재(240)는 압축스프링 또는 판스프링 중 어느 하나가 선택되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본실시예에서는 와이어(230)의 외측으로 권취된 압축스프링이 구비된 것으로 도시하였다.
본실시예에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브레이크패드(220)가 앞바퀴(120)의 전방(도면상 좌측)측에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한정하는 것은 아니라 앞바퀴(120)의 후방(도면상 우측)측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브레이크패드(220)는 핀(P)결합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됨과 더불어 와이어(230)가 일측에 연결되는 지렛대 원리가 적용되어 구조가 간단한 장점을 갖게 된다.
그리고,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향축(100)에 구비된 브레이크제어부(200)의 구성중 와이어(230)의 타단이 고정봉(100b)의 연통홀(100c)을 통해 고정봉(100b) 내부를 지나 브레이크패드(220)와 연결됨에 따라 고정봉(100b)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고정봉(100b)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후술할 발판지지프레임(300)의 회전에 간섭을 주지 않는다. 즉, 후술하게 되는 발판지지프레임(300)에 결합되는 발판(400)이 조향축(100)을 중심으로 360도로 회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더불어, 조향축(100) 또한 후술할 발판지지프레임(300)의 회전슬리브(310)를 중심으로 360도 회전이 가능해짐은 물론이다. 따라서, 이용자는 유희용 운동기구(10)의 주행시 조향축(100) 또는 발판지지프레임(300)에 결합된 발판(400)을 선택적으로 회동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도 4참조).
또한, 발판(400) 및 앞바퀴(120)가 360도로 자유로운 회전이 가능함에 따라 회전반경이 매우 작아지게 되면서 방향전환이 매우 쉽고 빠르게 이루어지게 되어 다이나믹한 코너링을 경험할 수가 있고, 더불어 다양한 묘기를 발휘할 수 있기 때문에 흥미감 유발과 묘기의 완성에 따른 성취감을 만끽할 수 있다.
다음으로 발판지지프레임(300)은 조향축(100)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 상태로 일측에는 이용자가 올라탈 수 있는 후술할 발판(400)이 구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회전슬리브(310)와 프레임바(320)로 구성되어 있다.
회전슬리브(310)는 내부가 중공된 원통형의 봉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고정봉(100b)이 수용된 상태로 고정봉(100b)의 하단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져 있다.
이때, 회전슬리브(310)의 상하에는 회전슬리브(310)의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쌍의 베어링(330)이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베어링(330)은 스러스트 베어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스러스트 베어링은 축 방향의 하중을 지지하는 것으로 본실시예에서는 이용자의 체중이 실리는 발판(4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프레임바(320)는 강성이 높고 가벼우며 부식에 강한 스테인레스 또는 티타늄 재질로 형성된 원통형의 형상으로 회전슬리브(310)의 외주면으로부터 소정길이 연장된 상태로 절곡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발판(400)은, 이용자가 올라탈 수 있도록 직사각 형상의 판상으로 형성되어 이용자의 조작에 의해 프레임바(320)를 중심으로 비틀림이 발생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삽입구(410)와 위치고정구(420)와 뒷바퀴(430)가 구성되어 있다.
이때 발판(400)은, 이용자의 체중을 지지함과 더불어 강성을 가지며 이용자의 체중 이동에 따른 비틀림에 대해 탄성을 가질 수 있는 스프링강판, 나일론, 폴리에틸렌, 에폭시, 폴리염화비닐,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resin),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삽입구(410)는 'U'자 형상으로 발판(400)의 저면 일측에 고정되어 있으며, 내측으로 프레임바(320)가 관통되고 고정볼트(B)에 의해 프레임바(320)와 결합되어 있다.
이때, 삽입구(410)의 형상은 반드시 'U'자 형상일 필요는 없고 프레임바(320)가 관통될 수 있는 형상이라면 한정하지는 않는다.
위치고정구(420)는 발판(400)의 저면 타측에 프레임바(320)와 결합된 삽입구(410)와 소정간격 이격된 동일선상에 배치 고정되어 프레임바(320)의 단부가 수용됨으로써 발판지지프레임(300)의 수평된 위치를 잡아주게 된다.
뒷바퀴(430)는 발판(400)의 저면 즉 위치고정구(420)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여기서, 뒷바퀴(430)는 발판(400)의 저면으로 방향성이 제어된 고정형으로 구비될 수도 있으며, 방향성이 자유로운 방향성 캐스터로 구비될 수도 있다.
뒷바퀴(430)가 고정형인 경우, 주행중인 유희용 운동기구(10)의 방향전환에 따른 코너링에 다소 제한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묘기를 습득하기 위한 초보인 경우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뒷바퀴(430)가 방향성 캐스터인 경우 주행중인 유희용 운동기구(10)의 방향전환에 따른 급격한 코너링을 이룰 수 있기 때문에 묘기를 만끽하기 위한 전문가인 경우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발판(400) 및 프레임바(320)에는 발판(400)의 비틀림에 대한 각도가 설정된 각도로 제한되도록 하면서 과도하게 비틀리는 것을 방지하는 비틀림제한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의 비틀림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이유는 발판(400)에 이용자의 체중이 어느 일측으로 쏠림으로써 유희용 운동기구(10)의 방향전환시 급 코너링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다양한 묘기를 구현토록 하기 위함이다.
비틀림제한수단은, 프레임바(320)의 말단부에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발판(400)의 위치고정구(420)에 수용되는 스톱퍼(323)와, 스톱퍼(323)가 수용되도록 위치고정구(420) 내측에 형성되어 발판(400)이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비틀어질 때 스톱퍼(323)에 걸리도록 상호 대응하는 부채꼴 형상의 걸림홀(42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발판(400)은, 소정의 탄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이용자의 체중이 실리는 쪽으로 비틀림이 발생되는데, 이때 발판(400)의 비틀림은 발판(400)의 일측 즉 삽입구(410)가 고정된 위치부터 위치고정구(420)가 고정된 발판(400)의 타측으로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틀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발판(400)이 점진적으로 비틀어지는 이유는, 삽입구(410)를 관통하는 프레임바(320)의 일측이 고정볼트(B)에 의해 고정되고 프레임바(320)의 단부는 위치고정구(420)에 삽입된 상태이기 때문이다.
이때,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틀림제한수단은 발판(400)이 비틀릴 때 발판(400)의 저면에 구비된 위치고정구(420)도 함께 비틀리게 되지만, 이 경우 위치고정구(420)는 프레임바(320)의 말단부에 형성된 스톱퍼(323)가 수용된 상태임에 따라 프레임바(320)를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더불어 걸림홀(423)도 함께 회전되는 것은 물론이다.
따라서, 걸림홀(423)이 회전하면서 어느 시점에서 걸림홀(423)에 수용된 스톱퍼(323)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발판(400)의 비틀림이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과도하게 비틀어지는 것을 막아 발판(40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유희용 운동기구(10)에는 회동제어수단(500)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회동제어수단(500)은 발판지지프레임(300)의 회전슬리브(310) 외주면에 구비되어 있으며, 조향축(100) 또는 발판지지프레임(300)이 360도 또는 설정된 각도로 회동되도록 선택적으로 제어하게 된다.
회동제어수단(500)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향축(10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직경방향으로 형성된 장방향의 슬롯(510)과, 조향축(100)의 슬롯(510)과 대응되게 회전슬리브(310)의 외주면에 형성된 관통공(520)과, 회전슬리브(310)의 외주면에 고정되며 내측에는 높이방향으로 소정공간을 갖는 가이드홈(531)이 형성되고 가이드홈(531)과 연통된 상태로 회전슬리브(310) 방향으로 개구된 수용홈(533)이 형성된 하우징(530)과, 가이드홈(53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며 수용홈(533)을 향하는 일면에는 요홈(541)이 형성되고 타면에는 슬라이딩을 위한 파지돌기(543)가 형성된 슬라이더(540)와, 하우징(530)의 수용홈(533)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며 일측에는 슬라이더(540)의 요홈(541)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삽입돌기(55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회전슬리브(310)의 관통공(520)을 통해 조향축(100)의 슬롯(510)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삽입돌기(551)로부터 연장된 축봉(553)이 형성된 이동부재(550)와, 이동부재(550)의 축봉(553)에 끼워져 이동부재(550)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560)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조향축(100)에 형성된 장방향의 슬롯(510)은 조향축(100) 또는 발판지지프레임(300)이 평상시의 주행에 맞는 각도로 회동되도록 조향축(100)의 직경을 중심으로 적어도 180도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조향축(100) 또는 발판지지프레임(300)가 360도로 회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도 6a는 이동부재(550)의 축봉(553)이 조향축(100)의 슬롯(510)으로부터 빠져나온 상태이며, 이동부재(550)의 삽입돌기(551)는 슬라이더(540)의 요홈(541)에 수용된 상태이다. 이 경우, 이동부재(550)의 축봉(553)이 조향축(100)에 간섭을 주지 않기 때문에 유희용 운동기구(10)의 조향축(100) 또는 발판지지프레임(300)은 개별적으로 360도 회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렇게 되면, 조향축(100) 또는 발판지지프레임(300)이 360도로 회동 가능해 지기 때문에 다양한 묘기의 구현이 가능해 진다.
도 6b는 도 6a의 상태에서 슬라이더(540)가 이동하는 과정에서 이동부재(550)의 삽입돌기(551)가 요홈(541)으로부터 이탈됨과 동시에 이동부재(550)가 수용홈(533)으로 이동됨으로써 이동부재(550)의 축봉(553)이 조향축(100)의 슬롯(510)에 삽입된 상태이다. 이 경우, 이동부재(550)의 축봉(553)이 조향축(100)에 삽입됨에 따라 조향축(100) 또는 발판지지프레임(300)은 개별적으로 회동 하지만 그 회동각도는 슬롯(510)의 길이만큼만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게 되면, 조향축(100) 또는 발판지지프레임(300)이 360도로 회동되지 못하기 때문에 급 코너링이 방지되어 안정적인 주행이 가능해 진다.
이와 같이, 회동제어수단(500)은 이용자의 선택에 따라 조향축(100) 또는 발판지지프레임(300)이 개별적으로 360도로 회동되도록 하거나, 또는 조향축(100) 또는 발판지지프레임(300)이 개별적으로 회동되되 회동되는 각도가 슬롯(510)의 길이만큼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하나의 유희용 운동기구(10)를 통해 다양한 기능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한다.
회동제어수단(500)을 통해 일반주행 또는 묘기의 구현에 맞도록 유희용 운동기구(10)의 변환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주행의 안전이 담보되며 다양한 묘기의 구현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유희용 운동기구(10)는 평상시의 주행 및 묘기를 위한 기능이 선택적으로 가능하도록 브레이크패드(220)가 앞바퀴(120)에 구비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만일 브레이크패드(220)가 뒷바퀴(430)에 구비된 상태라면 조향축(100) 또는 발판지지프레임(300)의 360도 회동이 이루어질 수 없으므로 주행 및 묘기를 위한 기능 또한 선택적으로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를 갖게 된다.
지금까지 서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의용 운동기구는, 조향축(100)의 내부로 브레이크용 와이어(230)를 관통시켜 발판(400) 및 조향축(100)이 개별적으로 회동되도록 함으로 진행방향을 자유자재로 전환시킴과 더불어 다양한 묘기를 발휘할 수 있도록 하여 흥미감과 더불어 묘기의 완성에 따른 성취감을 만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회동제어수단(500)을 통해 일반주행 또는 묘기의 구현에 맞도록 유희용 운동기구(10)의 변환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주행의 안전이 담보되며 다양한 묘기의 구현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발판(400)의 비틀림이 한정된 각도에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방향전환에 따른 다이나믹한 코너링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묘기의 완성도를 높여주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서도 다양한 개조나 변형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어, 브레이크패드의 결합구조, 비틀림제한수단의 구조, 회동제어수단의 구조 및 제어방법, 탄성부재의 종류, 베어링의 종류, 발판의 재질 및 구조, 뒷바퀴의 구조 및 개수 등은 본 발명의 기술적범위를 정하는 기준이 될 수 없고, 오로지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짐은 말할 나위가 없다.
10 : 유희용 운동기구 100 : 조향축
100a : 승강봉 100b : 고정봉
100c : 연통홀 110 : 핸들
113 : 손잡이 120 : 브래킷
130 : 앞바퀴 200 : 브레이크제어부
210 : 브레이크레버 220 : 브레이크패드
223 : 고정홈 230 : 와이어
240,560 : 탄성부재 300 : 발판지지프레임
310 : 회전슬리브 320 : 프레임바
323 : 스톱퍼 330 : 베어링
400 : 발판 410 : 삽입구
420 : 위치고정구 423 : 걸림홀
430 : 뒷바퀴 500 : 회동제어수단
510 : 슬롯 520 : 관통공
530 : 하우징 531 : 가이드홈
533 : 수용홈 540 : 슬라이더
541 : 요홈 543 : 파지돌기
550 : 이동부재 551 : 삽입돌기
553 : 축봉 P : 핀
B : 고정볼트

Claims (12)

  1. 방향전환을 위한 핸들(110)이 상단에 구비되고, 하단에 브래킷(120)을 통해 앞바퀴(120)가 설치된 조향축(100);
    상기 핸들(110)에 구비된 브레이크레버(210)와, 상기 앞바퀴(120)와 상기 브래킷(12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앞바퀴(120)와 접촉되는 브레이크패드(220)와, 일단은 상기 브레이크레버(210)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조향축(100)에 형성된 연통홀(100c)을 통해 상기 조향축(100) 내부를 관통하여 상기 브레이크패드(220)에 연결되는 와이어(230)로 구성된 브레이크제어부(200);
    상기 조향축(100)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진 원통형의 회전슬리브(310)와, 상기 회전슬리브(310)로부터 소정길이 연장된 상태로 절곡형성된 원통형의 프레임바(320)로 구성되어 상기 조향축(100)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발판지지프레임(300); 및
    저면 일측에 상기 프레임바(320)가 관통결합되는 삽입구(410)와, 상기 삽입구(410)와 동일선상으로 소정간격 이격되게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프레임바(320)의 단부가 수용되는 위치고정구(420)와, 상기 위치고정구(420)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뒷바퀴(430)가 배치되어 이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프레임바(320)를 중심으로 비틀림이 발생되도록 하는 판상의 발판(40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희용 운동기구(1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패드(220)는 상기 브래킷(120)과 핀(P)결합을 통해 상기 브래킷(120)의 내측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일측에는 상기 와이어(230)의 단부가 연결되는 고정홈(223)이 형성되고, 상기 브레이크패드(220)와 상기 조향축(100) 사이에는 상기 브레이크패드(220)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24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희용 운동기구(10).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400) 및 상기 프레임바(320)에는 상기 발판(400)의 비틀림에 대한 각도가 설정된 각도로 제한되도록 하는 비틀림제한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희용 운동기구(10).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비틀림제한수단은,
    상기 프레임바(320)의 말단부에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발판(400)의 상기 위치고정구(420)에 수용되는 스톱퍼(323)와,
    상기 스톱퍼(323)가 수용되도록 상기 위치고정구(420)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발판(400)이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비틀어질 때 상기 스톱퍼(323)에 걸리도록 상호 대응하는 부채꼴 형상의 걸림홀(423)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희용 운동기구(10).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지지프레임(300)의 상기 회전슬리브(310) 외주면에는 상기 조향축(100) 또는 상기 발판지지프레임(300)의 회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회동제어수단(50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희용 운동기구(10).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제어수단(500)은,
    상기 조향축(100)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직경방향으로 형성된 장방향의 슬롯(510)과;
    상기 조향축(100)의 상기 슬롯(510)과 대응되게 상기 회전슬리브(310)의 외주면에 형성된 관통공(520)과;
    상기 회전슬리브(310)의 외주면에 고정되며, 내측에는 높이방향으로 소정공간을 갖는 가이드홈(531)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531)과 연통된 상태로 상기 회전슬리브(310) 방향으로 개구된 수용홈(533)이 형성된 하우징(530)과;
    상기 가이드홈(53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수용홈(533)을 향하는 일면에는 요홈(541)이 형성되고 타면에는 슬라이딩을 위한 파지돌기(543)가 형성된 슬라이더(540)와;
    상기 하우징(530)의 상기 수용홈(533)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되며, 일측에는 상기 슬라이더(540)의 상기 요홈(541)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삽입돌기(55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회전슬리브(310)의 상기 관통공(520)을 통해 상기 조향축(100)의 상기 슬롯(510)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상기 삽입돌기(551)로부터 연장된 축봉(553)이 형성된 이동부재(550)와;
    상기 이동부재(550)의 상기 축봉(553)에 끼워져 상기 이동부재(550)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56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희용 운동기구(10).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240)는 압축스프링 또는 판스프링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희용 운동기구(10).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슬리브(310)의 상하에는 상기 회전슬리브(310)의 회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쌍의 베어링(33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희용 운동기구(10).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330)은 스러스트 베어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희용 운동기구(10).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400)은 스프링강판, 나일론, 폴리에틸렌, 에폭시, 폴리염화비닐, ABS(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resin),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희용 운동기구(10).
  11.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뒷바퀴(430)는 고정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희용 운동기구(10).
  12.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뒷바퀴(430)는 방향성 캐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희용 운동기구(10).
KR1020110053826A 2011-06-03 2011-06-03 유희용 운동기구 KR1012432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3826A KR101243264B1 (ko) 2011-06-03 2011-06-03 유희용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53826A KR101243264B1 (ko) 2011-06-03 2011-06-03 유희용 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4707A KR20120134707A (ko) 2012-12-12
KR101243264B1 true KR101243264B1 (ko) 2013-03-18

Family

ID=47902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53826A KR101243264B1 (ko) 2011-06-03 2011-06-03 유희용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4326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53351A1 (en) * 2014-10-03 2016-04-07 Ma Feiyu Dry land ski
KR101907543B1 (ko) 2018-05-11 2018-10-12 강신대 자가 구동형 유희 운동기구
KR102521400B1 (ko) 2022-08-12 2023-04-12 강신대 운동 유희 자전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77701A (zh) * 2021-03-31 2021-06-18 浙江德清久胜车业有限公司 一种线控纵向折叠盒及自行车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3124U (ja) * 2004-02-02 2004-07-29 ▲とう▼嘉棋 走行型健康器
US20080315544A1 (en) 2007-06-21 2008-12-25 Thomas Richard Jackman Folding means and folding apparatus us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3124U (ja) * 2004-02-02 2004-07-29 ▲とう▼嘉棋 走行型健康器
US20080315544A1 (en) 2007-06-21 2008-12-25 Thomas Richard Jackman Folding means and folding apparatus using the sam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53351A1 (en) * 2014-10-03 2016-04-07 Ma Feiyu Dry land ski
US9908031B2 (en) 2014-10-03 2018-03-06 Feiyu Ma Dry land ski
US10384117B2 (en) 2014-10-03 2019-08-20 Feiyu Ma Dry land ski
KR101907543B1 (ko) 2018-05-11 2018-10-12 강신대 자가 구동형 유희 운동기구
KR102521400B1 (ko) 2022-08-12 2023-04-12 강신대 운동 유희 자전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34707A (ko) 2012-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5258B1 (ko) 멀티 보드
US4826159A (en) Exercise kit, including balancing device and method of using same
US7137928B1 (en) Step exerciser
US5795277A (en) Tilt walker sport board sport tilt walker board
US8465056B2 (en) Longboard skating propulsion pole for land paddling
KR101243264B1 (ko) 유희용 운동기구
US5125880A (en) Ski simulation exercise apparatus
KR101591253B1 (ko) 자체 추진력 제공이 가능한 스케이트 보드
KR101260861B1 (ko) 쳇바퀴형 런닝머신
US20110169234A1 (en) Street board
WO2007016429A2 (en) Omnidirectional toy manipulator
US5029887A (en) Steerable skateboard
US6508745B1 (en) Stationary exercise bicycle with shock absorption system
KR100591876B1 (ko) 스케이트 보드
US6939196B2 (en) Omnidirectional toy manipulator
KR20120017170A (ko) 자가구동식 스케이트보드
KR200372403Y1 (ko) 로울러 스케이트보드
KR20060028948A (ko) 로울러 스케이트보드
KR100868496B1 (ko) 운동기구
US5782728A (en) Fitness device
JP6141752B2 (ja) スキー練習装置
WO2002055372A1 (en) Kick board with driving force
KR20100111938A (ko) 인라인 보드
KR970000293B1 (ko) 스포츠용 주행 놀이기구
KR20240014115A (ko) 어린이 자전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