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10239A - 도로용 롤러-보드 - Google Patents

도로용 롤러-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10239A
KR20010110239A KR1020010067170A KR20010067170A KR20010110239A KR 20010110239 A KR20010110239 A KR 20010110239A KR 1020010067170 A KR1020010067170 A KR 1020010067170A KR 20010067170 A KR20010067170 A KR 20010067170A KR 20010110239 A KR20010110239 A KR 200101102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ing
board
front wheel
support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7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1949B1 (ko
Inventor
차기영
김상년
Original Assignee
차기영
김상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기영, 김상년 filed Critical 차기영
Priority to KR10-2001-0067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1949B1/ko
Publication of KR20010110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10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1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19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1Skateboards
    • A63C17/011Skateboards with steer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033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a castor wheel, i.e. a swiveling follow-up whee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04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shock absorption or suspension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06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inclined wheel, i.e. not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it rolls 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14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brakes, e.g. toe stoppers, freewheel roller clutches
    • A63C17/1409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brakes, e.g. toe stoppers, freewheel roller clutches contacting one or more of the wheels
    • A63C17/1418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brakes, e.g. toe stoppers, freewheel roller clutches contacting one or more of the wheels with radial movement against the roll surface of the whee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42Details of chassis of ice or roller skates, of decks of skateboards

Landscapes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용 외날 롤러-보드에 관한 것으로, 상기 롤러-보드는 전륜부, 후륜부, 지지편, 지지플레이트, 제동부, 스틱으로 구성되어 가상의 수직선 상을 기준으로 내측으로 10。 내지 20。 기울어진 지지축을 갖는 캐스터형 전륜으로 이루어진 전륜부를 통하여 방향조절이 자유롭고, 지지편의 평면부와 힌지걸림편들을 통하여 결합된 발판부를 갖는 지지플레이트가 힌지핀을 축으로 상기 평면부와 접탈될 수 있어 제동이 쉽고 안전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발판부 상면에 부착된 협지부를 통하여 점프 기능을 즐길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상기 전륜부 전륜의 회전가변을 제어하는 스프링, 제1 및 제2 제동부, 완충부재, 그리고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발판부와 지지편의 평면부 사이를 연결하고 있는 스프링을 통하여 주행, 제동, 점프시의 안정성을 보강하고 있다.

Description

도로용 롤러-보드{ROAD ROLLER-BOARD}
본 발명은 도로용 외날 롤러-보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좌우 방향조절이 용이하고, 속도감과 점핑 등의 유희를 즐길 수 있으며, 제동장치를 보완함으로써 안전성을 높인 롤러-보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89-12583호에 "로울러 스키"가 공지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그 기술적인 요지를 설명하면, 전륜(11')이 설치되는 지지판의 저면에는 양단에 요동방지 스프링 걸림편이 절곡 형성되어 전면으로 기판이 돌출 형성된 괘지판(16')이 고정/부착되어 있고, 상기 괘지판(16')의 중앙구멍에 축설되는 전륜(11')의 베어링커버에는 걸림편을 돌설하여 이를 기판과 스프링으로 연설하고, 후륜(21a')의 후미에는 축수부의 스프링으로 연결된 양측지간의 선단을 만곡하여 그 내부로 제동편을 고정 삽착하고, 지간의 하부에는 통상의 보조로울러(21b')가 축설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고안은 전륜을 통한 방향 조절이 자유롭지 못하고, 이에 따른 충돌 위험으로 인하여 속도감을 즐길 수 없었다. 또한, 점핑과 같은 다양한 기예를 만끽하는 것이 불가능하고, 제동장치의 신뢰도가 떨어지므로 어린이가 사용하기에는 위험하였다.
그밖에, 제동장치에 관한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 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87-16118호에 "로울러 스키이"가 공개되어 있다. 그 기술적 요지를 도 2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전륜과 후륜을 연결하는 2개의 축 좌우로 몸의 균형을 잡기 쉽고 또 제동시 행동이 용이하며 제동력이 강해지도록 후미에 돌출부가 부설된 발판을 부착하고, 로울러 스키이의 후미에 상기 발판보다 낮고 지면과 가깝게 제동장치(48')가 부착되어 있는 형상이다.
그러나 상기 고안의 제동장치는 갑작스런 제동으로 인하여 뒤로 넘어지는 위험이 상존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른 제동장치에 대한 종래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공보 공개번호 제2000-30534호에 "주행용 보드"가 공개되어 있다. 그 기술적 요지를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장방형 형상의 지지플레이트의 하단 일측에 결합고정되고, 타측이 후륜(21")의 상단 외주면에 위치되어 가압함에 따라 선택적으로 후륜(21")의 외저면에 밀착되는 탄성력을 갖는 브레이크판(48")이 부착되어 있는 형상이다.
이러한 제동장치는 요즘 유행하는 일명 "킥 보드"에 적용되는 제동장치로, 발판에 얻혀지지 않은 발로 눌러서 제동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과 같은 두 발 모두 발판에 얹혀 지는 롤러-보드에는 적용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로울러 스키이"와 제동장치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방향조절이 자유롭고, 속도감과 점핑 등의 다양한 유희를 즐길 수 있으며, 제동, 방향조절, 점핑 후 착지에 있어 안정성과 신뢰도가 높은 도로용 스키보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란 도로용 롤러-보드는 스틱을 사용하여 지면을 밀어주면 전진하게 되어 있는 도로용 롤러-보드에 있어서, 일단에는 후륜부의 후륜이 후륜축에서 고정되도록 되어 있고, 타단에는 흙받기 역할을 하도록 전륜부 상부를 감싸게 되어 있는 만곡부가 한몸으로 되어 있는 평면부를 갖되, 이 평면부의 만곡부측에는 완충부재가 내설된 홈이, 후륜부측에는 힌지 걸림편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편; 상기 지지편 만곡부에 형성된 구멍에 나합되며 가상의 수직선을 기준으로 내측으로 10。 내지 20。 기울어진 경사도를 갖는 지지축과, 베어링커버 및 베어링을 사이에 두고 일단에서 상기 지지축과 볼트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에서 캐스터형 전륜이 지지/결합되어 있는 바퀴지간과, 상기 전륜의 회전가변을 제어하도록 상기 볼트와 양 지간을 연결하고 있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전륜부; 및 상기 지지편의 평면부 후륜부측에 형성되어 있는 힌지 걸림편에 힌지결합되는 걸림편이 하면에 형성되어 있는 발판부와, 후륜을 제동함과 아울러 흙받기 역할을 하며 상기 발판부의 일단에서 한몸으로 되어 있는 제1 제동부와, 상기 발판부 타단과 접탈이 가능하고 상기 지지편의 만곡부와 볼트로 고정된 굴곡부로 이루어져 있되, 상기 지지편 평면부의 홈에 삽입되도록 상기 발판부 하면으로 돌출된 지지대와 상기 걸림편을 통하여 발판부와 상기 평면부가 이격되도록 되어 있는 지지플레이트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롤러-보드의 점프 또는 제동기능을 위하여 상기 지지편의 평면부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발판부 사이에는 각 고리편에 연결된 복귀 스프링이 내재되어 있고, 상기 발판부 상면에는 양발에 의해 협지되도록 돌출된 협지부가 형성되어 있는 롤러-보드인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1 제동부와 후륜 사이에는 각 걸림편들에서 힌지겹합되고, 제1 제동부와의 사이에 설치된 비틀림 코일스프링을 통하여 제동/이완되도록 설치된 제2 제동부를 더 포함하는 롤러-보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종래의 도로용 롤러-보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종래의 제동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종래의 다른 제동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도로용 롤러-보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도로용 롤러-보드를 나타내는 분해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도로용 롤러-보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전륜 부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a, 8b는 도 7의 A-A선을 따라 절개한 도면으로, 전륜부의 방향전환에 따른 스프링의 작용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전륜부 11: 전륜
12: 전륜축 14: 지간
16: 베어링 커버 18: 지지축
20: 후륜부 21: 후륜
22: 후륜축 30: 지지편
32: 평면부 33a: 홈
34: 고리 35: 힌지 걸림편
36: 만곡부 38: 지지축 구멍
40: 지지 플레이트 42: 발판부
43a: 지지대 43b: 협지부
44: 고리편 45a,53: 걸림편
45b: 협지부 46: 굴곡부
47: 절단면 48: 제1 제동부
49,52: 라이닝 50: 제2 제동부
B1,B2,B3: 볼트 BB: 볼베어링
H: 힌지 S1,S2,S3: 스프링
S4: 비틀림 코일스프링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도 4는 본 발명의 도로용 롤러-보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도로용 롤러-보드를 나타내는 분해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도로용 롤러-보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전륜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a, 8b는 도 7의 A-A선을 따라 자른 전륜부의 방향전환에 따른 스프링의 작용을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이다.
먼저 도 4 및 도 5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도로용 롤러-보드는 크게 전륜(11), 이 전륜(11)이 고정되는 지간(14), 이 지간과의 사이에 내재된 베어링(BB, 도 7 참조)을 덮는 커버(16) 및 지지축(18)으로 구성된 전륜부(10); 상기 전륜부(10)의 지지축(18)이 그 선단에 고정되는 지지편(30); 발판부(42, 도 6 참조)가 형성된 지지플레이트(40); 상기 지지편(30) 후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는 후륜부(20); 제동부(48)(50); 및 스틱(미도시 됨)으로 구성된다.
다시 도 4 및 도 5에서 상기 지지편(30)은 일단에 후륜부(20)의 후륜(21)이 후륜축(22)에서 고정되도록 되어 있고, 타단에는 흙받기 역할을 하도록 전륜부(10) 상부를 감싸게 되어 있는 만곡부(36)가 한몸으로 되어 있는 평면부(32)를 갖는다. 또한 상기 평면부(32)의 만곡부(36)측에는 완충부재(33b)가 내설된 홈(33a)이, 후륜부(20)측에는 힌지 걸림편(35)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평면부(32)는 점핑 후 착지시에 가해지는 충격을 고려하면 적어도 200kg의 무게를 견딜 수 있어야 한다.
도 4 및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전륜부(10)의 구성을 설명하면, 전륜부(10)는 가상의 수직선을 기준으로 내측으로 10。 내지 20。 기울어진 경사도( θ)를 갖는 지지축(18)을 통하여 상기 지지편(30) 만곡부(36)에 형성된 구멍(38)에 나합된다. 이러한 지지축(18)의 경사도( θ)는 방향 전환시 사용자의 몸이 좌우로 기울임에 따라 롤러-보드의 방향조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경사도( θ)는 13。 내지 15°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축(18)은 베어링커버(16) 및 베어링(BB)을 사이에 바퀴지간(14)의 일단과 볼트(B3)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바퀴지간(14)의 타단에는 지간 사이에 전륜(11)이 결합된다. 상기 전륜부(10)는 전체적으로 캐스터형 바퀴이다. 상기 전륜(11)의 회전가변을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볼트(B3)와 양 지간(14) 사이에는 스프링(S1,S2)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S1,S2)은 코일스프링 또는 판스프링일 수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지지플레이트(40)의 구성을 설명하면, 지지플레이트는 크게 발판부(42), 굴곡부(46), 상기 발판부(46)와 한몸으로 되어 있는 제1 제동부(48)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발판부(46)는 상기 지지편(30)의 평면부(32) 후륜부(20)측에 형성되어 있는 힌지 걸림편(35)에 힌지결합되는 걸림편(45a)이 하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제동부(48)는 후륜(21)을 제동함과 아울러 흙받기 역할을 하는데, 상기 발판부(42)의 걸림편(45a)을 기준으로 그 후방에 해당하는 부분이다. 상기 발판부(42)에는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하여 발이 접촉되는 부분에 홈이 형성된 고무판을 부착하는 것이 가능하고, 제1 제동부(48)의내측에는 내구성이 있는 합성수지로 된 브레이크 라이닝(49)을 설치하여 제동효과를 높일 수 있다. 상기 굴곡부(46)는 상기 지지편(30)의 만곡부(36)와 볼트(B1,B2)로 고정되어 있고, 상기 발판부(42)의 딴몸 형태로 서로 접하고 있다가 제동시에 떨어졌다가 제동동작이 끝나면 다시 붙게되는, 다시 말해 서로 접탈이 가능하다. 이러한 제동동작과 정상주행시의 수평유지를 위하여, 상기 발판부(42) 하면에는 상기 지지편(30) 평면부(32)에 형성된 홈(33a)에 삽입되도록 돌출된 지지대(43a)와 상기 걸림편(45a)을 통하여 발판부(42)와 상기 평면부(33a)가 이격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40)의 발판부(42)와 굴곡부(46) 사이에는 절단면(47)이 있어, 제동시에 몸을 뒤로 누이면 발판부(42)가 들리면서 제동 작용을 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절단면(47)에는 걸림쇠나 자석 등을 이용하여 힘이 작용하는 방향에 따라 떨어지거나 떨어지지 않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사용자가 몸을 뒤로 누일 때에는 발판부(42)와 굴곡부(46)가 떨어지게 되고, 몸이 똑바로 되어 있어서 힘이 정상면으로 작용하게 되면, 점핑 시에도 떨어지지 않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홈(33a)에 내설된 완충부재(33b)는 탄성고무 또는 스프링일 수 있는데, 이를 통하여 제동 또는 점핑 후 발판부(42)의 지지대(43a)가 복귀될 때 완충작용을 하여 롤러-보드 및 신체에 전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것이다.
제동 또는 점프기능과 점프 또는 제동시의 안전을 위하여 적절한 구성요소가 필요한 데, 본 발명에 따른 롤러-보드에서는 도 4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편(30)의 평면부(32)와 상기 지지플레이트(40)의 발판부(42) 사이에는지지대(43a) 및 홈(33a)과 걸림편들(45a)(35) 내측에서 각 고리편(34)(44)에 연결된 복귀 스프링(S3)이 내재되어 있고, 상기 발판부(42) 상면에는 양발에 의해 협지되도록 돌출된 협지부(43b,45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협지부(43b,45b)는 점프 또는 제동시에 사용자의 양발의 안쪽을 이용하여 협지되는 것이고, 상기 복귀 스프링(S3)은 점프시에 지지플레이트(40)의 발판부(42)가 지지편(30)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고, 분리되더라도 재빨리 복귀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제동시에 상기 스프링(S3)은 발판부(42)가 너무 뒤로 제쳐지지 않게, 제동 종료시에는 발판부(42)가 재빨리 수평을 유지하도록 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동기능을 보다 보강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롤러-보드는 상기 제1 제동부(48)와 후륜(21) 사이에 각 걸림편(35)(45a)(53)에서 힌지(H)겹합되고, 제1 제동부(48)와의 사이에 설치된 비틀림 코일스프링(S4)을 통하여 제동/이완되도록 설치되는 제2 제동부(5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제동부(50)는 제1 제동부(48)와 같은 형상을 갖는 구조로 되어 있어 서로 포개질 수 있으며, 역시 흙받기 기능을 겸하게 되며, 그 내측에는 내구성이 있는 합성수지로 된 브레이크 라이닝(52)을 설치하여 제동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도로용 롤러-보드의 사용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지지 플레이트(40)의 양 측면 중 한 면과 전·후륜(11,21)이 지면에 접촉되어 있는 롤러-보드의 발판부(42)에 사용자가 양 발을 올려놓고 두 손에 쥔 스틱으로 중심을 잡아 전륜(11)과 후륜(21)만이 지면과 접촉되게 한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스키를 타는 것과 같이 스틱을 밀어주면 전륜(11)과 후륜(21)이 구르면서 앞으로 나아가게 된다. 계속 스틱질을 하면 점차 속도가 빨라지게 된다.
사용자가 방향을 전환하고자 할 때에는, 전환하고자 하는 방향으로 몸을 누이면 전륜(11)의 지면과의 접촉 부분이 중앙에서 측면으로 바뀌면서 무게중심이 이동하게 되고 캐스터형 전륜(11)은 전환 방향과 대각되게 회전하게 된다. 이러한 방향 전환 작용에서 지지축(18)의 내측으로 기울어진 각도( θ)로 인하여 수직으로 된 지지축일 경우보다 무게 중심이 바퀴(18) 앞쪽에 있으므로, 방향 전환시 무게중심이 몰리게 되는 전륜(11) 측면부위 역시 보다 앞쪽에 있게 되어 전륜(11)의 방향 전환이 보다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방향 전환시에 전륜부(10) 바퀴지간(14)에 설치된 스프링(S1,S2)은 전륜(11)의 과도한 비틀림으로 전륜(11)과 후륜(21)이 서로 거의 직각이 되어 사용자가 앞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도 8a, 8b 참조) 다시 말하면, 상기 스프링(S1,S2)은 바퀴지간(14) 상부와 베어링커버(16)를 고정시키는 볼트(B3)와 양 바퀴지간(14)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전륜(11)이 정면을 향한 상태(C1)에서는 상기 스프링(S1,S2)은 평형상태에 있고, 볼 베어링(BB)으로 인하여 좌/우(C2)(C3)로 전륜(11)과 바퀴지간(14)이 회전함에 따라 스프링(S1,S2)이 신장 또는 비틀리게 되므로, 스프링의반발력으로 인하여 급작스러운 또는 과도한 회전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스프링(S1,S2)은 코일 스프링 또는 판스프링 일 수 있다.
또한, 점프를 하고자 할 경우에 사용자는 양 발의 안쪽면으로 협지부(43b,45b)를 꽉 죄고 도약하거나 스틱으로 지면을 밀어주면서 도약한 후 착지하면 된다. 이때에도 상기 스프링(S1,S2)으로 인하여 점프 후, 착지시에 전륜(11)이 정면을 향하지 않고 비틀려 있음으로써 사용자가 넘어지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주행속도를 줄이거나 정지하려고 할 경우를 설명함에 있어, 본 발명의 롤러-보드가 제1 제동부(48)만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몸을 뒤로 약간 누이면 힌지(H)를 축으로 하여 지지플레이트(40)의 발판부(42)가 굴곡부(46)와 떨어지면서 들리게 되고, 이에 따라 제1 제동부(48)가 후륜(21)과 가까워지면서 제1 제동부 내면에 부착된 라이닝(49)이 후륜(21)을 마찰하면서 속도가 줄이게 되고, 조금 더 마찰하거나 마찰력이 보다 커지도록 몸을 뒤로 더 누이면 롤러-보드는 정지하게 된다. 사용자가 몸을 바로 하면 다시 힌지(H)를 축으로 하여 발판부(42)가 굴곡부(46)와 붙게 되고, 제1 제동부(48)는 후륜(21)으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이때 발판부(42)의 지지대(43a)가 지지편(30)의 홈(33a)에 삽입될 때에는 충격은 감소시키는 완충부재(33b)에 의하여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충격이 훨씬 줄어들게 된다.
본 발명의 롤러-보드가 복귀 스프링(S3)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발판부(42)와 지지편(30) 사이에 내재된 스프링(S3)으로 인하여 속도를 줄이거나 정지할 때 갑작스러운 제동을 방지할 수 있고, 발판부(42)와 굴곡부(46) 접촉할 경우에도 보다 용이하게 닿을 수 있게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롤러-보드가 제1 제동부(48), 제2 제동부(50)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에는, 감속 또는 정지시에 사용자가 몸을 뒤로 누이면 힌지(H)를 중심축으로 발판부(42)가 굴곡부(46)로부터 떨어짐에 따라 발판부(42)와 직접 연결된 제1 제동부(48)가 우선 후륜(21)과 가까워지고, 이에 따라 제1 제동부(48) 하면에 설치된 비틀림 코일스프링(S4)이 눌리면서 제2 제동부(50)를 가압하게 되어 후륜(21)과 접촉하면서 후륜(21)을 제동하게 된다. 적은 마찰력으로 접촉시간을 늘리면 서서히 정지 또는 감속하게 된다. 보다 큰 마찰력 즉, 사용자가 몸을 더 뒤로 누이면 제1 제동부(48)와 제2 제동부(50)가 거의 접촉할 정도가 되므로 보다 빨리 감속 또는 정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제2 제동부(50)는 급제동을 방지하여 사용자가 넘어지는 위험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상기 제2 제동부(50)는 제동시에 후륜(21)측에 무게중심이 이동됨으로써 후륜(21)이 급전진을 하여 사용자가 넘어질 수 있는 위험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는데, 이는 무게중심이 후륜(21)에 집중되는 순간에 제2 제동부(50)가 후륜을 누르면서 마찰하여 급진전을 막는 작용을 하기 때문이다. 사용자가 다시 몸을 바로 하면 발판부(42)와 굴곡부(46)가 접촉하고, 발판부(42)와 연장된 제1 제동부(48)가 힌지(H)를 축으로 하여 들리면서 비틀림 코일스프링(S4)이 당겨짐에 따라 상기 스프링(S4)에 고정된 제2 제동부(50) 또한 들려 후륜(21)과 떨어지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도로용 롤러-보드는 가상의 수직선 상을 기준으로 내측으로 10。 내지 20。 기울어진 지지축을 갖는 캐스터형 전륜으로 이루어진 전륜부를 통하여 방향조절이 자유롭고, 지지편의 평면부와 힌지걸림편들을 통하여 결합된 발판부를 갖는 지지플레이트가 힌지핀을 축으로 상기 평면부와 접탈될 수 있어 제동이 쉽고 안전하며,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발판부 상면에 부착된 협지부를 통하여 점프 기능을 즐길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상기 전륜부 전륜의 회전가변을 제어하는 스프링, 제1 및 제2 제동부, 완충부재, 그리고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발판부와 지지편의 평면부 사이를 연결하고 있는 스프링을 통하여 주행, 제동, 점프시의 안정성을 보강하고 있다.

Claims (3)

  1. 스틱을 사용하여 지면을 밀어주면 전진하게 되어 있는 도로용 롤러-보드에 있어서,
    일단에는 후륜부(20)의 후륜(21)이 후륜축(22)에서 고정되도록 되어 있고, 타단에는 흙받기 역할을 하도록 전륜부(10) 상부를 감싸게 되어 있는 만곡부(36)가 한몸으로 되어 있는 평면부(32)를 갖되, 이 평면부(32)의 만곡부(36)측에는 완충부재(33b)가 내설된 홈(33a)이, 후륜부(20)측에는 힌지 걸림편(35)이 형성되어 있는 지지편(30);
    상기 지지편(30) 만곡부(36)에 형성된 구멍(38)에 나합되며 가상의 수직선을 기준으로 내측으로 10。 내지 20。 기울어진 경사도를 갖는 지지축(18)과, 베어링커버(16) 및 베어링(BB)을 사이에 두고 일단에서 상기 지지축(18)과 볼트(B3)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에서 캐스터형 전륜(11)이 지지/결합되어 있는 바퀴지간(14)과, 상기 전륜(11)의 회전가변을 제어하도록 상기 볼트(B3)와 양 지간(14)을 연결하고 있는 스프링(S1,S2)으로 이루어진 전륜부(10); 및
    상기 지지편(30)의 평면부(32) 후륜부(20)측에 형성되어 있는 힌지 걸림편(35)에 힌지결합되는 걸림편(45a)이 하면에 형성되어 있는 발판부(42)와, 후륜(21)을 제동함과 아울러 흙받기 역할을 하며 상기 발판부(42)의 일단에서 한몸으로 되어 있는 제1 제동부(48)와, 상기 발판부(42) 타단과 접탈이 가능하고 상기 지지편(30)의 만곡부(36)와 볼트(B1,B2)로 고정된 굴곡부(46)로 이루어져 있되, 상기지지편(30) 평면부(32)의 홈(33a)에 삽입되도록 상기 발판부(42) 하면으로 돌출된 지지대(43a)와 상기 걸림편(45a)을 통하여 발판부(42)와 상기 평면부(33a)가 이격되도록 되어 있는 지지플레이트(40)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롤러-보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보드의 점프 또는 제동기능을 위하여
    상기 지지편(30)의 평면부(32)와 상기 지지플레이트(40)의 발판부(42) 사이에는 각 고리편(34)(44)에 연결된 복귀 스프링(S3)이 내재되어 있고, 상기 발판부(42) 상면에는 양발에 의해 협지되도록 돌출된 협지부(43b,45b)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롤러-보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동부(48)와 후륜(21) 사이에는 각 걸림편(35)(45a)(53)에서 힌지겹합되고, 제1 제동부(48)와의 사이에 설치된 비틀림 코일스프링(S4)을 통하여 제동/이완되도록 설치된 제2 제동부(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롤러-보드.
KR10-2001-0067170A 2001-10-30 2001-10-30 도로용 롤러-보드 KR1003919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7170A KR100391949B1 (ko) 2001-10-30 2001-10-30 도로용 롤러-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7170A KR100391949B1 (ko) 2001-10-30 2001-10-30 도로용 롤러-보드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32304U Division KR200222388Y1 (ko) 2000-11-18 2000-11-18 도로용 롤러-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10239A true KR20010110239A (ko) 2001-12-12
KR100391949B1 KR100391949B1 (ko) 2003-07-23

Family

ID=45928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7170A KR100391949B1 (ko) 2001-10-30 2001-10-30 도로용 롤러-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1949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95259B2 (en) 2002-05-01 2007-03-27 Slovie Co., Ltd. Skateboard with direction-caster
US8414000B2 (en) 2006-04-28 2013-04-09 Razor USA, Inc. One piece flexible skateboard
USD871532S1 (en) 2016-09-02 2019-12-31 Razor Usa Llc Powered wheeled board
US10709960B2 (en) 2014-11-26 2020-07-14 Razor Usa Llc Powered wheeled board
USD899543S1 (en) 2015-05-04 2020-10-20 Razor Usa Llc Skateboard
US11446562B2 (en) 2019-09-18 2022-09-20 Razor Usa Llc Caster boards with removable insert
US11951382B2 (en) 2019-03-06 2024-04-09 Razor Usa Llc Powered wheeled board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95259B2 (en) 2002-05-01 2007-03-27 Slovie Co., Ltd. Skateboard with direction-caster
US8414000B2 (en) 2006-04-28 2013-04-09 Razor USA, Inc. One piece flexible skateboard
US10709960B2 (en) 2014-11-26 2020-07-14 Razor Usa Llc Powered wheeled board
US11478693B2 (en) 2014-11-26 2022-10-25 Razor Usa Llc Powered wheeled board
USD899543S1 (en) 2015-05-04 2020-10-20 Razor Usa Llc Skateboard
USD940805S1 (en) 2015-05-04 2022-01-11 Razor Usa Llc Skateboard
USD871532S1 (en) 2016-09-02 2019-12-31 Razor Usa Llc Powered wheeled board
USD942572S1 (en) 2016-09-02 2022-02-01 Razor Usa Llc Powered wheeled board
USD1012217S1 (en) 2016-09-02 2024-01-23 Razor Usa Llc Powered wheeled board
US11951382B2 (en) 2019-03-06 2024-04-09 Razor Usa Llc Powered wheeled board
US11446562B2 (en) 2019-09-18 2022-09-20 Razor Usa Llc Caster boards with removable insert
US11844998B2 (en) 2019-09-18 2023-12-19 Razor Usa Llc Caster boards with removable inse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91949B1 (ko) 2003-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88748A (en) Anti-lock braking system for skates
US5160155A (en) Skateboard having two wheels in tandem
US4168076A (en) Skateboard with tail brake
US5382052A (en) In-line roller blade figure skate
US5501474A (en) Braking device for in-line skates
US20060108755A1 (en) High performance three-wheeled skates
CN101745213B (zh) 滑板
WO2008153266A1 (en) Disk for controlling an angle of binding in snowboard
KR100391949B1 (ko) 도로용 롤러-보드
US5901981A (en) Roller-ski and brake apparatus
KR200222388Y1 (ko) 도로용 롤러-보드
WO1997048459A9 (en) Roller-ski apparatus
US5709396A (en) Roller skate with improved comfort
AU2001269935A1 (en) In-line racing skate propulsion device
US6485034B1 (en) Roller assembly of in-line roller skate
EP0334893A1 (en) Steering system for a one or two track vehicles
KR200421493Y1 (ko) 스케이트보드
KR100844620B1 (ko) 썰매형 롤러보드
EP0687488B1 (en) Roller skate with improved performance
US5758884A (en) Roller blade toe brake
RU2599701C2 (ru) Роликовый конек
US6116619A (en) Sole plate structure with shock absorbing effects for roller skates
KR100469159B1 (ko) 캐스터 스케이트
KR200414574Y1 (ko) 인라인 스케이트
KR200336621Y1 (ko) 인라인 스케이트의 내장형 브레이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